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한국장학재단설립등에관한법률의 정책결정과정에 관한 연구 : Kingdon의 정책의 흐름 모형을 중심으로

        이제경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21세기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인적자원 투자의 핵심으로서 각 국가는 재원의 투자 확대와 더불어 고등교육에 대한 적극적이고 다양한 정책을 마련하고 있다. 특히 80% 이상의 대학 진학률을 가지고 있는 우리나라의 상황에서 등록금 인상에 대한 뜨거운 논란은 고등교육 정책의 주요한 화두로 부상하였다. 이에 2009년 1월 13일 한국장학재단설립등에관한법률(이하 ‘장학재단법’)이 국회에서 통과되기에 이르렀다. 이에 본 연구는 등록금에 대한 사회적 불만이라는 이슈에서 출발하여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제시된 장학재단법의 제정과정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Kindon의 정책의 흐름 모형을 통하여 장학재단이 등록금 의제에 대한 대안으로 설정된 이유가 무엇이며, 입법 과정이 진행되어 정책이 실현될 수 있었던 이유가 무엇인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등록금 문제의 정부의제화 원인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교육의 불평등이 사회의 불평등으로 재생산되는 한국 사회의 구조 하에서, 부모의 소득과 같은 다른 요인으로 인하여 교육의 공정한 기회가 제한되는 상황이 연출됨을 확인하였고, 교육의 공공재적 특성으로 사회적 요구가 더욱 심화됨을 확인하였다. 장학재단이, 등록금 상한제나 등록금 인상률 제한 등과 같이 등록금을 직접적으로 규제하는 기제가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 등록금의 문제를 해결하는 대안으로 부상한 데에는, 교과부 시스템과의 상호 책무성의 강화를 통해 장기적으로는 대학의 질에 따라 융자가 이루어지고, 소비자인 학생들의 선택에 따라 대학이 평가 받는, 고등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선도하기 위한 동력으로서 기능하기 때문이다. 문제의 흐름에서 교육부는 등록금의 문제라는 동일한 사회현상에 대하여 상이한 해석을 시도하였다. 등록금의 문제의 가장 큰 원인을 80%가 넘는 높은 진학률로 진단함으로서, 등록금이 미래 소득과 연계되지 못하여 사적 부담이 증가한 때문이라고 판단하였고, 대학의 자율성을 보장하는 종합적인 추진 주체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정치의 흐름에서 각 정치 행위자들, 특히 정부입법의 형태로 추진된 장학재단법에서 교과부 관료들은 정책의 통과를 위해 적극적인 전략을 담당하였다. 장학재단법이 한나라당이 지정한 85개 민생법안에서 탈락되었고, ‘작고 효율적인 정부’로 대표되는 이명박 정부의 공공부문 축소 정책과 충돌하여, 특히 기획재정부와 갈등을 빚었으며, 기존의 학자금 업무를 추진하고 있던 주택금융공사와도 마찰을 일으켰음에도 불구하고, 정부 내 다양한 자원을 활용한 교과부 관료들의 사전 협의와 적극적인 행보는 이틀 만에 법제사법위원회와 본회의를 극적으로 통과하는 중요한 계기로 작용하였다. 이러한 과정은 정책의 내용적 합리성보다는 정책결정이 이루어지는 정치적 여건이나 과정이 중요함을 시사해준다. 또한 정책의 흐름을 통하여 각 정당의 등록금에 대한 대책안을 검토하였고, 장학재단법에서 대안이 핵심 참여자들 간의 긴밀한 협의를 통해 계속적인 변형의 과정을 거치게 되었음을 알 수가 있었다. 장학재단법의 사례에서는 Kingdon이 주장하는 정책의 창(Policy Window)이 ‘우연한 계기’를 통하지 않고, 세 가지의 흐름에 대한 결집에 정부가 적극적으로 관여하여, 의도적으로 열리는 양상을 보이게 되었다. 또한 정책의 창이 열릴 수 있는 기회를 미리 정확히 예측하여 활용하는 정책창도자의 적극적인 역할이 중요함을 알 수가 있다. 이러한 긴밀한 협조와 전략은 정책의 수용도를 높이는데 큰 기여를 하였다. 정책의 창의 의도성과 예측 가능성을 전제하더라도, 인간은 여전히 완벽한 합리성을 담보하고 있지 못하며, 정책은 중복적인 여러 문제들의 결합을 통한 결과로 나타나는 일종의 정치 현상이므로 여전히 복잡한 문제이다. 그러나 한국적 맥락에서 어느 정도 정책의 창의 의도성과 예측 가능성이 나타나는 상황이라면, 정책의 형성을 위한 전략적 측면이 중요하며, 이는 공식적인 절차뿐만이 아니라 비공식적인 방법을 통해서도 역동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므로 정책과정에서 정책 검증의 합리성에 보다 근접할 수 있는 입법과정 개선안도 병행하여 논의가 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분석 결과에 대한 일반화 가능성과 다양한 사례의 활용을 통한 Kingdon 모형의 수정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지는 못하고 있으며, 본래 의도했던 정책의 목표를 실현할 수 있는가의 문제를 검증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이 사안의 추진을 위하여 정치적 상호작용을 분석하고 실현 가능한 대안의 재생산을 통해 대중들의 이슈에 대안의 신뢰성을 계속 부여해 나가는 지속적인 정책 연구가 필요하다.

      • 外國의 賃貸住宅 事例를 통해 본 賃貸住宅政策의 方向摸索

        이제경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외국의 임대주택정책 고찰을 통해 우리나라의 임대주택정책의 방향을 모색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선진 외국의 임대정책 사례들은 우리나라 임대주택 정책에 몇 가지 정책적 시사점을 주고 있다. 첫째로는 우리나라의 경우 임대주택에 대한 정책이 양적 지표에만 치중하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로는 정책의 대상 계층이 불명확하고 세분화되어 있지 않다. 입주자 선정 최저 주거 기준이 정책 대상 계층과 어떻게 연관되어 어떠한 방식의 정책으로 추진될 것인지에 대한 검토가 미흡하다는 것이다. 세 번째로는 공공임대주택 지원기준이 계층간, 지역간 차이를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국민주택기금의 융자기준은 임대주택 건설지역의 시장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임대주택의 유형이나 규모에 따라서만 차등 지원되고 있다. 네 번째로는 공공임대주택의 사후관리 문제를 들 수 있다. 저소득층 대상의 공공임대주택은 자가 소유나 민간임대와는 달리 입주자 및 주거 형태의 특성상 관리 소홀로 인해 불량화의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주택의 사후관리에 대한 적극적인 대책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정책의 시사점을 바탕으로 임대주택 활성화에 관한 방안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민간임대주택의 규제완화를 들 수 있다. 세제지원과 재산세 감면혜택 등을 확대하고 택지지원도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금융지원으로는 민간사업자가 국민임대주택과 같은 조건의 임대주택을 건설할 경우 국민임대주택에 준하는 재정적 지원을 해야 한다. 둘째, 민간임대주택에 대한 정책을 강화하여야 한다. 셋째, 임대료 조정위원회를 설치한다. 즉 각 지방자치단체별로 시중금리 및 소비자물가, 주택의 가격, 상태 등을 고려한 권장임대료를 설정하고, 각 지자체에 임대료 조정위원회를 설치하여 임대료 분쟁을 중재토록 한다. 넷째, 월세형 민간임대주택을 육성한다. 다섯째 전문임대주택업체의 육성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근시안적인 정책의 난발로 임대주택부분의 불균형상태와 임차가구의 주거불안정이 심화되지 않도록 장기적인 안목에서의 활성화 방안이 무엇보다도 필요할 것이다.

      • DTV 시스템 기반의 동일 채널 중계기를 위한 궤환 간섭신호 제거 기술 연구

        이제경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지식기반기술·에너지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내 지상파 디지털 TV(DTV) 방송 표준으로 채택하고 있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8VSB (8 Level Vestigial Side Band) DTV 시스템은 에러 전파에 의해 등화 성능의 열화가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에러 전파는 수신단 Decision Feedback Equalizer (DFE)에서의 훈련열 (Training Sequence)을피드백 필터의 입력으로 사용으로 훈련 열이 없는 데이터 구간에서의 잘못 결정된 심볼로 다음 심볼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에러 전파를 제거하기 위해 현재 동일 채널중계기에서 사용중인 채널 등화 방법인 비터비 디코더를 이용해 심볼의 결정 에러를 줄이는 것이다. 하지만 DFE에서의 에러전파현상은 심볼의 결정 에러뿐만 아니라, 강한 간섭신호와 수신단의 안테나를 통해 입력신호와 섞이는 궤환신호 등과 같은 잡음신호에 의해서도 발생하기 때문에 비터비 디코더를 이용한 방법 이외에 잡음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방법 또한 고려 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8VSB DTV 수신기에 사용하는 DFE의 에러 전파 현상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에러 전파를 최소화 시킬 수 있는 새로운 알고리즘 구조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의 구조는 기존의 8VSB 시스템에 최적화된 비터비 디코더를 사용하는 DFE LMS의 방식과 연동하는 상관도를 이용한 Correlation LMS 알고리즘의 복합적인 제안방식으로 동일한 채널상태 및 환경에서 각각의 시스템에서 나오는 에러 오차를 분석하여 이를 에러 오차 값에 따른 스텝사이즈에 변화를 줌으로써 수렴 성능 및 에러 신호를 감소시킨다. 모의 실험 결과, 제안하는 DFE LMS와 연동하는 Correlation LMS의 복합적인 알고리즘과 그리고 일반적인 Correlation LMS 방식을 비교해 봄으로써 AWGN 채널환경 모델 적용시, 그리고 DTV 채널모델 환경인 브라질 채널모델에서 효율적으로 에러전파 현상을 최소화 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브라질 채널 모델 안의 실내외 환경모델 브라질 채널모델 A,D로 비교분석하여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실내 환경에서는 브라질 채널모델 D의 경우 제안하는 방식의 수렴성능이 기존의 방식들에 비해 보다 높은 성능을 볼 수 있다. DTV에서 동작수신 SNR 값인 15 ~ 25dB까지의 심불 에러율을 살펴보았고, 제안한 방식에서의 에러 신호 추정과 채널 환경에 따른 스텝사이즈(Step-Size)에 따라 기존의 알고리즘 성능 보다 만족할 만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향상된 등화 기술로서의 사용이 기대된다. 본 논문의 구성은 1장 서론에 이어 2장에서 ATSC 8 VSB DTV 시스템에 대해 살펴본 뒤 다중 경로 채널 모델링에 대해 설명한다. 3장에서는 DTV 시스템에 적용되고 있는 기존의 등화 알고리즘에 대해 살펴보고, 이어서 4장에서는 제안한 등화기 알고리즘과 제안 배경에 따른 분석과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이후 5장에서는 제안한 등화기 알고리즘에서의 모의 실험을 통한 실험 결과를 분석한 뒤 6장 결론을 통해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고 결론을 맺는다.

      • 집중치료실 간호사의 의료장비 알람관리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제경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Factors affecting alarm management activities for medical devices among intensive care unit nurses Lee, Je Kyung Department of Nursing The Graduate School, University of Ulsan Supervised by Prof. Jang, Aele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medical device alarms, alarm fatigue, patient safety culture, and alarm management activities among intensive care unit (ICU) nurses, an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alarm management activities for medical devices.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February 2, 2021 to February 28, 2021.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56 ICU nurses at two tertiary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B Metropolitan City, and one tertiary general hospital and one general hospital located in U City, South Korea, who understood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This study was conducted after receiving approval from the Institutional Review Committee (IRB) at U University. This study used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at consists of a total of 118 items, including 10 items regarding general characteristics, items regarding alarm-related characteristics, 18 items regarding perception of alarms, nine items regarding the importance of alarm-related issues, eight items regarding alarm fatigue, 44 items regarding patient safety culture, and 22 items regarding alarm management activiti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a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5.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By gender,10.3% were men and 89.7% were women. The average age was 28.89±5.90 years old, with 69.2% in their 20s, 24.4% in their 30s, and 6.4% in their 40s. In terms of marital status, 27.6% were married, and 72.4% were unmarried. In terms of education level, 78.8% had an associate's degree, 16.7% had a bachelor's degree, and 4.5% had a master's degree or higher. In terms of hospital size, 64.1% were tertiary hospital nurses, and 35.9% were general hospital nurses. In terms of working department, 48.1% were nurses working in internal medicine ICU, 34.0% in surgical ICU, and 17.9% in cardiovascular ICU. The average clinical career length was 5.83±6.25 years, with 39.7% having a clinical career length of < 3 years, 22.4% having a clinical career length of 3 to 5 years, 21.8% having a clinical career length of 5 to 10 years, and 16% having a clinical career length of ≥ 10 years. The average number of patients one nurse was in charge of was 2.85±0.64. In terms of shift patterns, 96.8% were three-shift workers, and 3.2% were two-shift workers. The average level of physical fatigue in the past one week was 7.41±1.43 out of a total of 10 points. 2. With regard to the alarm-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the medical devices that emit alarms included ventilators (98.1%), infusion pumps (96.8%), physiological monitors (93.6%),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equipment (80.1%), and the hemodialyzer (66.7%). With regard to alarm management, 92.3% reported that when a medical device sounded an alarm, the causes of the alarm were solved. The medical device with the highest alarm fatigue was physiological monitors (48.8%), followed by ventilators (24.4%),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equipment (18.6%), and infusion pumps (5.1%). In the recent two years, 80.1% received education on how to use medical devices, and 64.7% received education on medical device alarm management. As for the education methods on how to use medical devices, 76.8% were given a brief explanation in the ICU while on duty, and the medical devices in which they were educated included ventilators (83.2%), fluid infusion pumps (62.4%),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equipment (61.6%), and physiological monitors (52.8%). As for the education method on alarm management, 70.3% of the participants were briefed in the ICU while on duty, and the medical devices in which they were educated included ventilators (79.2%), infusion pumps (68.3%),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61.4%), and physiological monitors (55.4%). In addition, 37.8% experienced medical device alarm-related patient safety accidents, of whom 10.9% had direct experiences and 26.9% had indirect experiences. Among those who had experienced such accidents, 67.8% received feedback such as recommended education on medical device alarms or guideline changes. The mean score for the need for alarm-related regular education was 4.05±0.76 out of 5 points. 3. The mean score for the perception of medical device alarms among the participants was 3.48±0.30 out of 5 points. Among alarm-related issues, the perceived most important issue was that “Frequent false alarms, which lead to reduced attention or response to alarms when they occur.” The score for alarm fatigue among the participants was 3.58±0.50 out of 5 points. The score for patient safety culture was 3.39±0.23 out of 5 points. The score for alarm management activities among the participants was 2.66±0.37 out of 4 points. 4.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 of alarms according to education level (F=3.897, p=.022) among the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alarm-related characteristics. 5.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arm fatigue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experiencing patient safety accidents (F=3.730, p=.026). 6.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atient safety culture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receiving education on how to use medical device (t=3.492, p=.001)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receiving education on medical device alarm management (t=3.148, p=.002). 7.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arm management activities according to hospital size (t=-3.482, p=.001), the presence or absence of receiving education on how to use medical devices (t=3.295, p=.001),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receiving education on medical device alarm management (t=3.788, p=<.001). 8. The alarm management activitie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average number of patients in charge of nurses (r=-.283, p=<.001), alarm fatigue (r=-.173, p=.031), and the perceived third-most important alarm-related issue that “Over-reliance on alarms to call attention to patient problems.” (r=-.283, p=.048). Patient safety culture (r=.251, p=.002)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perceived ninth-most important alarm-related issue that “Difficulty in hearing alarms when they occur.” (r=.224, p=.005). 9.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alarm management activities among the participants,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by inputting the participants’ alarm-related characteristic variables in the first stage, alarm perception and alarm fatigue variables in the second stage, and patient safety culture variables in the third stage. The most significant explanatory variable was the perceived important alarm-related issue “Difficulty in hearing alarms when they occur.” (β=-.254, p=.001), followed by patient safety culture (β=.174, p=.025), and hospital size (β=.226, p=.028).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for alarm management activities was 23.0% (F=6.773, p<.001, adj.R2=.230). In conclusion, this study determined the levels of perception of medical device alarms, alarm fatigue, patient safety culture, and alarm management activities among ICU nurses, and found that the factors affecting alarm management activities included a perceived important alarm-related issue that “Difficulty in hearing alarms when they occur.”, patient safety culture, and hospital size.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intervention strategies and education to reduce alarm fatigue among ICU nurses and promote their alarm management activities. 국문 초록 집중치료실 간호사의 의료장비 알람관리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본 연구는 집중치료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의료장비에 대한 알람인식, 알람피로, 환자안전문화, 알람관리 활동의 정도를 확인하고 알람관리 활동의 영향요인을 파악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1년 2월 2일부터 2월 28일까지였으며, 연구 대상은 B광역시 소재 2개 상급종합병원, U시 소재 1개 상급종합병원과 1개 종합병원에서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집중치료실 간호사 156명으로 U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 후 진행되었다. 연구도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로 일반적 특성 10문항, 알람 관련 특성 7문항, 알람인식 18문항, 알람 관련 문제 중요도 순위 9문항, 알람피로 8문항, 환자안전문화 44문항, 알람관리 활동 22문항이며 총 118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연구목적에 따라 t-test와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성별은 남자가 10.3%, 여자가 89.7%였으며, 평균연령은 28.89±5.90세로 20대가 69.2%, 30대가 24.4%, 40대가 6.4%였다. 결혼상태는 기혼이 27.6%, 미혼이 72.4%였다. 학력은 학사가 78.8%, 전문학사가 16.7%, 석사이상은 4.5%였고, 병원규모에 따른 상급종합병원 간호사는 64.1%, 종합병원 간호사는 35.9%였다. 근무부서는 내과계 집중치료실이 48.1%, 외과계 집중치료실이 34.0%, 심혈관계 집중치료실이 17.9%였다. 총 임상경력은 평균 5.83±6.25년으로 3년 미만이 39.7%, 3년에서 5년 미만이 22.4%, 5년에서 10년 미만이 21.8%, 10년 이상이 16%였다. 집중치료실 근무경력은 평균 4.54±4.66년으로 3년 미만이 47.4%, 3년에서 5년 미만이 21.2%, 5년에서 10년 미만이 21.2%, 10년 이상이 10.3%였다. 간호사 한명이 평균적으로 담당하는 환자의 수는 평균 2.85±0.64명이었으며, 근무형태는 3교대가 96.8%, 2교대는 3.2%였다. 최근 1주일 내 신체적으로 느끼는 피로의 정도는 총 10점 만점에 평균 7.41±1.43점이었다. 2. 대상자의 알람 관련 특성 중 알람을 유발하는 의료장비는 인공호흡기가 98.1%, 수액주입펌프 96.8%, 생리학적 모니터 93.6%, 지속적 신대체 요법 장비 80.1%, 혈액투석기 66.7%였다. 의료장비 알람유발 시 관리방법으로 알람의 원인을 해결한다는 응답이 92.3%였고, 알람피로도가 가장 높은 의료장비로는 생리학적 모니터가 48.8%, 인공호흡기가 24.4%, 지속적 신대체 요법 장비가 18.6%, 수액주입펌프는 5.1%였다. 최근 2년 이내 의료장비 사용방법에 대한 교육은 80.1%가 받았고, 최근 2년 이내 의료장비 알람관리 방법에 대한 교육은 64.7%가 받았다. 의료장비 사용방법에 대한 교육방법은 근무 중 짧은 집중치료실 내 설명이 76.8%였고, 교육받은 의료장비는 인공호흡기 83.2%, 수액주입펌프 62.4%, 지속적 신대체 요법 장비 61.6%, 생리학적 모니터 52.8%였다. 알람관리 방법에 대한 교육방법 역시 근무 중 짧은 집중치료실 내 설명이 70.3%였고, 교육받은 의료장비는 인공호흡기 79.2%, 수액주입펌프 68.3%, 지속적 신대체 요법 장비 61.4%, 생리학적 모니터 55.4%였다. 의료장비 알람 관련 환자안전사고는 37.8%가 경험했으며 그 중 직접 경험은 10.9%, 간접 경험은 26.9%였다. 경험자 중 67.8%는 의료장비 알람과 관련된 개선교육이나 지침변경 등의 피드백을 받았다. 알람과 관련하여 정기적인 교육의 필요성은 총 5점 만점에 평균 4.05±0.76점이었다. 3. 대상자의 알람인식은 총 5점 만점에 평균 3.48±0.30이었다. 알람과 관련된 문제 중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1위는 ‘자주 발생하는 위양성 알람으로 인해 알람에 대한 경각심과 대처가 감소한다.’였다. 대상자의 알람피로는 총 5점 만점에 3.58±0.50이었고, 환자안전문화는 총 5점 만점에 3.39±0.23점이었다. 대상자의 알람관리 활동의 정도는 총 4점 만점에 2.66±0.37점이었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알람 관련 특성에 따른 알람인식은 교육정도(F=3.897, p=.02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알람 관련 특성에 따른 알람피로는 환자안전사고 경험여부(F=3.730, p=.026)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6.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알람 관련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문화는 의료장비 사용방법 교육 유무(t=3.492, p=.001), 의료장비 알람관리 방법 교육 유무(t=3.148, p=.00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7.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알람 관련 특성에 따른 알람관리 활동은 병원규모(t=-3.482, p=.001), 의료장비 사용방법 교육 유무(t=3.295, p=.001), 의료장비 알람관리 방법 교육 유무(t=3.788,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8. 알람관리 활동은 간호사의 평균 담당 환자 수(r=-.283, p=<.001)와 알람피로(r=-.173, p=.031), 알람 관련 문제 중요도 3위인 ‘환자상태 변화를 감지하기 위해 알람에 과도하게 의존한다.’(r=-.283, p=.048)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환자안전문화((r=.251, p=.002)와 알람 관련 문제 중요도 9위인 ‘알람 소리가 잘 안 들린다.’(r=.224, p=.005)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9. 대상자의 알람관리 활동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첫 번째 단계에는 대상자의 알람 관련 특성 변수를, 두 번째 단계에는 알림인식과 알람피로를, 세 번째 단계에는 환자안전문화를 입력하여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개별 변수로는 알람 관련 문제 중요도 중 ‘알람소리가 잘 안 들린다.’(β=-.254, p=.001), 환자안전문화(β=.174, p=.025), 병원규모(β=.226, p=.028)의 순서로 유의한 설명변수였으며, 이 변수의 알람관리 활동에 대한 설명력은 23.0%였다(F=6.773, p<.001, adj.R2=.230).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집중지료실 간호사의 의료장비에 대한 알람인식, 알람피로, 환자안전문화, 알람관리 활동의 정도를 확인하고, 알람 관련 문제 중요도 중 ‘알람소리가 잘 안 들린다.’, 환자안전문화, 병원규모가 알람관리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집중치료실 간호사의 알람피로를 줄이고 알람관리 활동 증진을 위한 중재 전략과 교육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스포츠 브랜드 진정성에 관한 연구

        이제경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Authenticity means worthy of acceptance or belief based on facts, not being false or imitated, being true to one’s personality, spirit, and character, and having a trustworthy value consistent with facts based on the dictionary. Authenticity in this sense is emerging as a critical keyword in contemporary brand marketing research and industry.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the evolution of economic offerings, the change to the era of the choice economy due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increase in consumer fatigue due to excessive commercialization and mass marketing changed the marketing paradigm, which had been centered on suppliers for a long time, to one centered on consumers. In other words, a brand that consumers recognize as an authentic brand can successfully manage the business in the long term in a competitive marketing environment. Therefore, since the conceptual study of brand authenticity began, researchers have defined the factors of authenticity that consumers could recognize in various industries, developed a scale to evaluate the factors, and ver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influence on management indicators such as consumer attitudes. However, in the field of the sport industry, research on brand authenticity has not been adequately conducted, despite the fact that the original and derivative markets revolve around the theme of 'sport' which has a unique cultural context that is very different from other industries. As a result, this study presents the concept of sport brand authenticity as a general aspect shared throughout the brand industry, as well as the unique aspect of the sport that occurs in the cultural context of the intrinsic value of sport, as well as detailed measurement items. Along with a sequential mixed method design, qual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on brand authenticity and the inherent value of sport, five one-on-one expert interviews, and a Delphi survey of 10 researchers). Based on the qualitative research results, an EFA (n=304), 2 times CFA (1st: n=304, 2nd: n=311), and correlation analysis using the other scale (brand relationship quality, brand attachment, and brand credibility) were conducted to test reliability, construct validity, and criterion-related validity. As a result, 8 attributes and 36 measurement items were extracted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However, the final 6 attributes and 28 measurement items were derived as the final results of this study after statistical verification of reliability and validity. Except for ‘sports spirit’, the five attributes are conceptually similar to the factors of brand authenticity identified in previous research. However, attributes such as ‘authority’ and ‘expertise’ are constructed by the measurement items that reflect the cultural context of sport. Moreover, ‘sport spirit’ is defined as an attribute unique to a sport brand in the conceptual dimension and measurement items. Therefore, three of the six attributes (authority, sport spirit, and expertise) are newly composed as measurement items that reflect the cultural context of sport, and the other three attributes (originality, connectedness, and legitimacy) and items were identified as aspects that are conceptually shared with factors of existing research on brand authenticity.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sport brand authenticity is conceptually composed of a general aspect shared with the brand authenticity concept in other industries and a sport-specific aspect. Accordingly, this study developed a scale to measure sports brand authenticity. In addition, the predictive validity of the sport brand authenticity scale was verified by confirming the correlation analysis with external criteria related to consumer attitudes such as consumer-brand relationship quality, brand attachment, and brand credibility. The concept and measurement items of sport brand authenticity were developed for sporting goods brands in this study. However, since the sport industries share the value of the unique culture of sport as a theme, the findings in this study could be the basis for research on brand authenticity in other sport industries and for managing the brands successfully in the long term. ‘진정성(authenticity)’은 사실에 근거하여 믿을 수 있는 가치, 가짜나 모방이 아닌 것, 어떤 이의 개성, 정신, 특성 등에 대하여 진실함, 사실과 일치하여 믿을 수 있는 가치 등의 사전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의미를 지닌 진정성이 현대 브랜드 마케팅 연구 및 산업 현장에서 중요한 키워드로 대두되고 있다. 경제재(economic offerings)의 진화, 정보기술(information technology)의 발달로 인한 소비자 중심의 시대(the era of the choice economy)로의 변화, 지나친 상업화와 매스 마케팅으로 인한 소비자의 피로감 증대 등의 환경의 변화가 오랜 기간 공급자 중심으로 이뤄지던 마케팅 패러다임을 소비자 중심으로 변화하게 만든 것이다. 즉, 소비자로부터 인정받는 브랜드가 진정성 있는 브랜드로서 경쟁적인 마케팅 환경에서 장기적으로 성공적인 브랜드 경영을 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따라서 브랜드 진정성의 개념적 연구가 시작된 이후로 연구자들은 다양한 산업군에서 소비자로부터 인정받을 수 있는 진정성 요인을 정의 내리고, 요인을 평가할 수 있는 스케일을 개발하여 소비자 태도 등 경영 지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계를 검증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스포츠 산업 분야는 타 산업과는 매우 다른 독특한 문화적 맥락을 지닌 ‘스포츠’를 주제로 본원적 또는 파생적 시장을 형성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브랜드 진정성에 대한 연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는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스포츠 브랜드의 진정성을 구성하고 있는 개념을 브랜드 산업 전반에서 공유되는 보편적인 영역의 진정성과 스포츠 본질적 가치의 문화적 맥락에서 발생하는 스포츠 고유 영역의 진정성으로 구분하고 세부 측정 항목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스포츠 브랜드 진정성’이라는 새로운 개념에 대한 탐구로부터 시작하여 이에 대한 구체적 측정 항목을 개발하는 연구로서, 정성 연구(기존 이론 고찰, 전문가 인터뷰, 델파이 설문 등)를 통해 개발한 스포츠 브랜드 진정성 항목을 정량 연구(설문 조사를 통한 통계 분석(EFA, CFA, 상관관계분석 등))을 진행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순차적 혼합 연구 설계(sequential mixed method design)의 절차를 따라 진행하였다. 기존 브랜드 진정성 연구의 개념에서 스포츠 브랜드 진정성 개념에 공유될 수 있는 속성들을 추출하였으며, 스포츠 가치 관련 선행 연구의 고찰을 통해 스포츠 문화적 맥락을 반영한 스포츠 브랜드만의 새로운 진정성 영역의 기초를 마련하였다. 이를 토대로 스포츠 브랜드 현업 전문가 5인 대상 일대일 인터뷰, 스포츠 매니지먼트 박사 학위 소지자 10인 대상 델파이 설문 등을 진행하며 개념과 세부 항목들을 구체화하였다. 그 결과 8개 속성과 36개의 세부 항목을 정성 연구를 통해 추출하였으나, 이 후 신뢰도와 타당도의 통계 검증 과정에서 최종 6개 속성 28개 세부 측정 항목을 본 연구의 최종 결과로 도출하게 되었다. sport spirit(스포츠정신)을 제외한 5개의 속성은 기존 브랜드 진정성의 속성과 개념적으로 공유된 속성이나, authority(권위성), expertise(전문성) 등의 속성의 세부 항목은 대부분 스포츠의 문화적 맥락이 반영되어 스포츠 브랜드만의 고유 속성이라 할 수 있을 것이며, sport spirit(스포츠정신)은 개념과 세부 항목의 내용 모두 스포츠 브랜드만의 고유함을 지닌 속성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6개의 속성 중 3개의 속성(authority, sport spirit, expertise)은 스포츠의 문화적 맥락이 반영된 측정 항목으로 새롭게 구성 되어있으며, 나머지 3개의 속성(originality(독창성), connectedness(자이일치성), legitimacy(정당성))과 하위 측정 항목은 기존 브랜드 진정성의 속성과 개념적으로 공유되는 영역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스포츠 브랜드 진정성은 개념적으로 타 산업의 브랜드 진정성 개념과 공유되는 속성(general aspect)과 스포츠 브랜드만의 속성(sport specific aspect)으로 구성됨이 확인되었고, 그에 따라서 스포츠 브랜드의 진정성을 측정하기 위한 세부 항목들이 본 연구를 통해서 새롭게 개발되었다. 또한 브랜드 관계 품질(consumer-brand relationship quality), 브랜드 애호도(brand attachment), 브랜드 신뢰도(brand credibility) 등의 소비자 태도 관련 외부 준거와의 정적인 상관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스포츠 브랜드 진정성 척도의 예측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스포츠 용품 브랜드를 대상으로 진정성의 개념과 세부 항목을 개발하였다. 하지만 스포츠 산업은 스포츠라는 고유 문화의 가치를 주제로 또는 파생적 확장을 통해 시장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본 연구의 스포츠 브랜드 진정성 개념이 스포츠 산업 전반의 브랜드 진정성 연구 및 현업의 브랜딩 과정에서 기초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한국 e-비즈니스 기업의 가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이제경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박사

        RANK : 247631

        Debate on bubble has continued since the KOSDAQ market crash a year ago.Still opinions are divided between one that bubble has not disappeared and another one that market has turned normal.It is clear that market values of e-business firms are higher than those of traditional firms with comparable annual sales and total assets. PER of e-business firms is twice that of traditional firms since the crash in second half of 2000.These are some examples that point to the differences between e-business firms and traditional firms.From these observations, one can conclude that there exists intrinsic values embedded in e-business firms that cannot be explained by book value and net income alone.Future value of an e-business firm is not sufficiently explainable by the likes of balance sheet, profit and loss statement, and cash flow statement. For the purposes of determining intrinsic value of e-business firms, 84 e-business firms and 84 traditional firms(non e-business firms) were selected. After those companies under court receivership and workout program were excluded from the data base, 84 non e-business firms that are not high-tech oriented were selected through random sampling from 448 companies currently listed in the Korea Stock Exchange. Regression analysis showed evidences that there exists identifiable difference between e-business firms and non e-business firms.Book value and net income data were employed for regression model for the two groups of companies.R-square of non e-business firms was 92% while that of e-business firms was 71%.This result substantiates the argument that there exists intrinsic value that cannot be explained by fundamental information alone in e-business firms. What then is causing the observed disparity of 21% points between the two groups? Web traffic was the answer to explain existence of the intrinsic values associated with e-business firms. For the empirical test, we employed both technical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to identify explanatory variables. These variables were then used to run regression analysis. In early days of KOSDAQ hysteria, people jumped into investing in KOSDAQ shares without questions.Subsequently, KOSDAQ crashed not before long as Internet shares failed to turn web traffic into sales and profit.However, web traffic has turned out to be an important value determinant for the case of e-business firms.Among 58 KOSADQ-listed companies, those having web traffic tended to show significantly higher market values than those without web traffic at all. We performed another set of regression analysis by considering both fundamental information and web traffic. The first group of 84 firms includes with unique visitors less than 30,000 per moth on the average, presuming that there were no useful web data offered. In the second group, 45 companies(among the 84 selected firms) with more than 30,000 unique visitors per month on the average were included in the sample. In the sample of 84 firms, R-square was 0.705 when web traffic was excluded as a specific variable, then it was improved to 0.72~0.74 when web traffic was included.Regression coefficients were positive. Variables such as number of unique visitors, number of visits, web page view, and site duration revealed statistical significance using T-test. The second group, the 45 firms with more than 30,000 unique visitors, showed R-square of 0.74~0.75, with positive coefficient.Statistical inter-relationship was not evident. Companies among KOSPI did not show inter-relationship factor, while companies listed in KOSDAQ and trading in OTC market showed 5% inter-relationship factor.Particularly, 29 companies with web-traffic and profits showed R-square of 0.98, and 1% inter-relationship factor, respectively. Research on web traffic as a determining factor of corporate value is actively pursued in the US.Some academics in finance have argued that book value and profit are sufficient to determine value of Internet companies.Others have argued that inclusion of web traffic improves reliability.It can be said to a noteworthy progress that web traffic is a significant determinant of value of Korean e-business. Contrary to our expectation, explanatory variables such as number of patent and R&D budget, number of direct investment overseas, and export sale did not yield satisfactory results in determining value of e-business companies. Instead, the larger the number of patent and direct investment overseas, the larger value of e-business companies declined.Patents did not affect favorably on sales and operating income. Direct investment overseas also did not lead to improvement in sales and operating income due to the fact that such investment is probably in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life cycle and corporate value could not be explained by number of months since listing on the stock market and market capitalization.Inter-relationship factor and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larger for those companies with longer history than others. It is author's wish that this research might be useful in M&A transactions among e-business companies.Many M&A attempts failed due to the fact that sellers prefer applying future value while buyers prefer present value.This leads to delay in industry restructuring. This research attempts to convey that future value should be included as a determining factor for corporate valuation, in addition to present value.The research has shown that web traffic is indeed an important determinant along with fundamental information in valuation.A profitable e-business company listed on KOSDAQ having large web traffic volume will have a stronger chance of success in overseas expansion, and thereby will have very high growth potential in future value. Also, it is the author'swish that this research will provide a new tool for valuation to stock analysts in financial institutions. Non-financial factors have been accounted for in firm valuation in recent years by banks, credit guarantee funds, and venture capital investment companies.Itshould be warn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over-valuating an e-business company when non-financial factors are included. Variables such as number of patent, number of direct overseas investment, export sales, and R&D budget in relation to sales have close correlations with fundamental financial data. When these factors are included along with book value and net income, it is highly likely to over-valuate an e-business company.Excluding non-financial factors completely and relying only on fundamental financial data, however, may not accurately reflect on determining value.Web traffic volume should be treated as a specific explanatory variable in the valuation process. The current research has its shortfalls. First, insufficient data has limited the empirical research to year 2000.Data going back 3~5 years would yield more accurate results regarding determinants of valuation.Quarterly data were also not available since most Korean firms disclose financial data on annual basis. Second, only 45 out of84 e-business companies provided web traffic volume from www.internetmatrix.com.Segmentation in terms of market type(KOSPI-KOSDAQ-OTC) and industry type was not possible. Third, separation of e-business companies having off-line channel from the rest of e-business companies was not possible.Consequently, distinction of determinants in respective companies was not possible. Fourth, insufficient data on number of patents held by e-business companies led to a contrary result, showing that it does not have significant effect on valuation.Number of patent on business model, should it have been available, might have yielded the anticipated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