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미세조류 이용 하폐수처리 공정에서 고액분리와 미세조류 농축을 위한 막 증발법 적용
In this study, microalgae was used to treat wastewater, at the same time, microalgae used for wastewater treatment was concentrated and separated by applying DC-MD. This process is a new paradigm that can treat wastewater and recover sustainable energy. The appropriate concentration of microalgae was derived from the treatment efficiency and specific growth rate of microalgae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wastewater, and the possibility of concentration and separation was estimated. Also examined the influence about membrane. Microalgae was set to Chlorella Vulgaris in Mixotrophs, wastewater imitated artificial sewage. In the research, the process was carried out in 3 chapters. In the chapter 1, the specific growth rate and the yield coefficient of each component were derived by treating low concentration (SCOD 100mg·L-1, T-N 20mg·L-1, T-P 2mg·L-1) and high concentration (SCOD 400mg·L-1, T-N 40mg·L-1, T-P 10mg·L-1)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microalgae. In the chapter 2, the use of DC-MD process to concentrate and separate microalgae was investigated, and in the chapter 3, the possibility that microalgae used for wastewater treatment was concentrate and separate by applying DC-MD was evaluated. In the chapter 1, microalgae under all conditions removed each component (SCOD, T-N, T-P). The maximum specific growth rate (0.21day-1) was revealed at high concentration (SCOD 400mg·L-1, T-N 40mg·L-1, T-P 10mg·L-1) of artificial sewage. It was 6 times lower than other literatures, and Yield coefficient corresponding to each component was also measured lower than the other literatures. Although wastewater treatment is possible through microalgae, it is judged that the concentration of microalgae can be set lower than 0.5g·L-1. In order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microalgae concentrationapplied DC-MD, the concentration of microalgae was set at 0.5g·L-1, 1g·L-1, 3g·L-1,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feed and permeate solution was 20oC, 40oC, 60oC, and the cross flow velocity was 0.09m·s-1, 0.18m·s-1. At 3g·L-1 of microalgae, the permeate flux decreased dramatically on the 1day, and at 1g·L-1 of microalgae, 0.18m·s-1 of the cross flow velocity, wetting occurred on hydrophobic membrane. At 0.5g·L-1 of microalgae, 40oC of temperature difference, 0.09m·s-1 of the cross flow velocity, the change in permeate flux was the least, and at 60oC of temperature difference, 0.18m·s-1 of the cross flow velocity, the concentration rate of microalgae per time was the highest.. Based on chapter 2, in the chapter 3,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concentrating microalgae using wastewater treatment on DC-MD. The permeate flux in both conditions was more sharply decreased than chapter 2’same conditions. At 60oC of temperature difference, membrane wetting occurr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pply DC-MD to concentrate the microalgae with wastewater treatment if proper temperature diffence between feed and permeate solution and cross flow velocity was set, and it is necessary to membrane cleaning for long maintenance. 본 연구에서는 미세조류를 이용하여 하·폐수를 처리하고 막 증발법을 적 용하여 미세조류와 처리수를 분리하고 이 과정에서 농축된 미세조류를 회 수하여 바이오에탄올, 바이오디젤 등 신재생에너지 생산의 원료로 제공하 는 방법에 대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하·폐수의 농도에 따른 미세조류 의 처리 효율 및 성장률 통하여 미세조류 적정 농도를 도출하고, 이를 막 증발법에 적용하였을 때 고액분리 및 미세조류 농축에 대한 가능성을 평가 하며 또한 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미세조류는 혼합영양성 미세조류인 Chlorella Vulgaris로 설정하였으며, 인공하수를 만들어 실제 하· 폐수를 모방하였다. 연구는 총 3단계로 이루어졌다. 1단계에서는 다양한 미 세조류 농도로 저농도 (SCOD 100mg·L-1, T-N 20mg·L-1, T-P 2mg·L-1), 고농 도 (SCOD 400mg·L-1, T-N 40mg·L-1, T-P 10mg·L-1) 인공하수 처리를 함으로 써 평균 미세조류 비 성장속도 및 각 성분에 대한 미세조류 증식 계수를 도출하였다. 2단계에서는 미세조류 고액분리 및 농축에 대해서 막 증발법 적용이 가능한지 평가하였으며, 3단계에서는 하·폐수 처리에 이용된 미세 조류를 막 증발법을 이용하여 고액분리 및 농축을 하고, 막에 미치는 영향 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1단계에서는 모든 조건에서 미세조류가 각 성분 (SCOD, T-N, T-P)을 제거를 하였으며, 미세조류의 농도 0.5g·L-1, 고농도의 인공하수 (SCOD 400mg·L-1, T-N 40mg·L-1, T-P 10mg·L-1)에서 가장 높은 평 균 미세조류 비 증식률(0.0324day-1)이 나타났지만 다른 문헌과 비교하였을 때 6배 낮았으며, 각 성분에 따른 미세조류 증식 계수 (Yield coefficient) 또 한 낮게 측정되었다. 이는 하·폐수 농도 대비 미세조류 농도가 높기 때문 이라고 판단하였다. 미세조류를 통하여 하·폐수 처리는 가능하지만 F/M비 는 0.8g-SCOD·g-VSS-1·day-1이상 설정해야한다고 판단된다. 미세조류 농축에 막 증발법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미세조류 농도 0.5g·L-1, 1g·L-1, 3g·L-1로 설정하였으며 유입수와 처리수의 온도 차이 20oC, 40oC, 60oC, 막 표면 흐름 유속 0.09m·s-1, 0.18m·s-1로 설정하였다. 미세조류 농도가 3g·L-1 에서는 1일 만에 급격한 투과 유속이 감소하였으며, 1g·L-1유입수와 처리수 의 온도 차이 60oC, 막 표면 흐름 유속 0.18m·s-1에서는 막 젖음 현상(Wetting)이 발생하였다. 0.5g·L-1에서는 유입수와 처리수의 온도 차이 40oC, 막 표면 흐름 유속 0.09m·s-1에서 투과 유속 변화가 가장 적었으며, 온도 차 이 60oC, 막 표면 흐름 유속 0.18m·s-1에서 시간 당 미세조류 농축률이 가장 높았다. 이를 기반으로 3단계에서는 하·폐수 처리를 한 미세조류를 막 증 발법을 이용하여 농축하는데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두 조건 모두 미 세조류만 막 증발법을 적용했을 때보다 투과 유속이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유입수와 처리수의 온도 차이가 60oC인 경우 막 젖음 현상(Wetting)이 발생 하였다. 이를 통하여 미세조류 농축에 막 증발법 적용이 가능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적절한 온도 및 유속 설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며, 막을 오래 유 지하기 위해서는 막 세정(Cleaning)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청소년의 진로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관악·동작구 교육복지특별지원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진로성숙은 청소년, 특히 교육소외 청소년에게 고등학교 졸업 후 바람직한 진로선택 및 결정을 하도록 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는 교육복지특별지원 고등학교 청소년을 대상으로 그들의 진로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하여 살펴보고, 청소년의 진로성숙에 필요한 교육복지 차원에서의 진로지도방안 및 개입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동작교육청 소속 교사들의 협조를 받아 교육소외 청소년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관악․동작구의 교육복지특별지원 고등학교 3곳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는 자기 기입식(self-administered) 방법을 통해 진행하였고, 설문에 응한 청소년은 총 246명이며, 최종적으로 237부가 실제 분석에 활용되었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서는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진로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요인은 경제적 수준과 성별, 부모의 교육수준이었다. 가정의 경제적 수준이 높을수록 진로성숙이 높게 나타났으며, 남자 청소년보다는 여자 청소년의 진로성숙이 높게 나타났고, 부모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진로성숙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진로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요인은 자아정체감과 자아존중감이었다. 자아정체감이 높을수록 진로성숙이 높게 나타났고,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진로성숙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진로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요인은 모와의 관계로 나타났다. 모와 관계점수가 높을수록 진로성숙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의 진로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요인은 진로관련 상담․교육 및 프로그램의 참여경험과 친구와의 관계로 나타났다. 학교에서 진로관련 상담․교육 및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청소년과 친구와 관계점수가 높은 청소년의 진로성숙이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청소년의 진로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요인, 개인 요인, 가족 요인, 학교 요인 중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요인은 자아정체감이었다. 자아정체감은 각 단계별 요인의 영향력을 통제한 후에도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의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청소년의 진로성숙을 돕기 위한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학교 차원에서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확립 및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교육 및 프로그램, 그리고 진로관련 교육․상담 및 프로그램을 제작,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청소년이 친구와 바람직한 관계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그들의 관심과 흥미분야에 맞게 다양한 동아리를 만들어주고, 필요한 공간과 프로그램을 마련해주어야 한다. 둘째, 가족 차원에서 부모가 청소년 자녀들이 신체적, 정서적으로 안정되게 생활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자녀와의 적절한 의사소통과 신뢰감 있는 관계를 위해 애정적ㆍ수용적ㆍ지지적 양육태도를 지녀야 한다. 셋째, 지역사회에서는 청소년기 자녀를 둔 부모가 청소년의 특성을 이해하고, 적절하게 의사소통하며, 효과적으로 자녀를 양육할 수 있도록 돕는 교육 프로그램과 가족 내 고민과 갈등을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상담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지역사회와 국가차원에서 교육소외 청소년의 가정이 빈곤에서 벗어나 경제적 자활과 자립을 할 수 있도록 그들의 부모나 가족구성원에게 직업능력개발․훈련 및 취업알선, 자활근로 제공 등과 같은 지원을 해주어야 한다. 다섯째, 청소년의 진로성숙을 위한 교육정책적 접근이 필요하다. 초․중․고등학교별로 청소년의 진로성숙과 관련된 교과목을 편성하거나 전문적인 진로지도교사를 양성하도록 한다. 아울러 교육소외 청소년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이나 결연사업을 적극 추진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청소년이 대학에 진학하지 않고 자신의 적성과 능력에 맞는 진로를 소신껏 선택하여 사회에 진출할 때, 학력에 따른 차별이 없도록 제도적 장치 및 사회적 분위기의 쇄신이 필요하다. 그럼으로써 대학진학을 염두에 두지 않고서도 청소년이 안정되게 진로성숙을 잘 형성해갈 수 있을 것이다. 주요어: 청소년, 진로성숙, 교육복지. Career maturity is important for adolescents, especially for the adolescents who are alienated from education, to decide their career after high school graduation. This study aims to examine factors affecting adolescents’ career maturity and find some measures to improve career maturity of adolescents focusing on students of three high schools which receive special support from the Education Welfare Program. This study surveyed 246 adolescents from three high schools in Gwanak-gu and Dongjak-gu which are specially supported through the Education Welfare Program, and 237 answers of the survey were used for the analysi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to find the factors affecting adolescents’ career maturity. The key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among socio-demographic factors, economic level, gender, and parents' education level were associated with career maturity of adolescents. A higher economic level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career maturity. Female adolescents showed higher career maturity level than male adolescents. Adolescents with more highly educated parents also demonstrated greater career maturity. Second, among individual factors, self-identity and self-esteem were associated with career maturity of adolescents. High self-esteem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career maturity of adolescents and clear self-identity was also positively associated with career maturity of adolescents. Third, among family factors,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 and adolescent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career maturity of adolescents. Fourth, among school factors, participation experience of career counseling or career education related programs and relationships with friends were associated with career maturity of adolescents. Fifth, Among all of the factors analysed, self-identity was most powerfully associated with career maturity of adolescents. The findings presented in this study have practic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career maturity of adolescents. First of all, education and programs for establishing self-identity and enhancing self-esteem are most needed in high school. These include education and counseling programs related career of adolescents. Also, different kinds of group activities for enhancing relationships between adolescents and their friends are needed. Second, parents of adolescents should have affectionate, receptive and supportive attitudes to enhance their relationships with their adolescent children. Third, community support programs for adolescents need to be diversified and effectively managed. For example, parent education programs for understanding their adolescent children and programs for improving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their children are needed. Also, counseling programs for problem solving in family are needed. Fourth, economic support programs related to developing and reinforcing the work abilities for poor families are needed. This is because the adolescents who are alienated from education generally come from these families. Fifth, education policies to support career maturity of adolescents are needed. Subjects related to career maturity should be taught and special career-counselor teachers should be trained. Further, mentoring programs or affiliation programs for adolescents alienated from education are needed. Finally, practical measures and the changed social atmosphere are needed in order to exterminate the discrimination which is now being done by the level of one's educational career. This would enable adolescents to choose their careers suitable for their talents and abilities. Key Words: adolescents, career maturity, education welfare.
Background: The anisotropic distribution of septal muscular bundle (SMB) at the left atrial septum (LAS) may provide the substrate of the reentry or wave breakup, which subsequently results in atrial fibrillation (AF). We investigated the electrophysiological property (EP) of the SMB and prospectively compared the efficacy of SMB ablation as an add-on therapy in patients with AF. Methods and Results: Total 135 consecutive patients with paroxysmal AF (PAF, n=67) and persistent AF (PeAF, n=68) were studied. A decapolar catheter was positioned at the LAS and the EP of SMB was tested. The outcome after catheter ablation for AF was compared between groups with and without SMB ablation as an additional line in the left atrium (LA). Fused local high-frequency SMB and low-frequency atrial electrograms were seen at the area (22.4  19.0 mm) of the LAS. The SMB potentials were separated (6625 ms) from the atrial electrograms during high right atrium pacing, identified to have decremental property by EP test in 83.7%, and related to complex fractionated atrial electrograms during AF at the LAS, which were successfully eliminated by linear ablation. At 12.1±3.7 months of follow up, SMB ablation group in PeAF had higher AF/LA flutter-free rate (81.8%) than those of without SMB ablation (60%, p<0.05). However, SMB ablation did not change the outcome in patients with PAF (90.3% vs. 88.9%, NS). In animal experiment using 4 mongrel dogs, elimination of high frequency potentials of SMB was achieved by selective ablation of SMB in all cases. A fatty layer between right and left interatrial septum played a role in keeping right atrial septum intact during ablation at the left atrial septal side. Conclusions: SMB at the LAS had distinctive electrical potentials with notable decremental property and could guide the effective linear ablation, which increased the AF-free rate without induction of LA flutter in patients with PeAF. Key words; Atrium, fibrillation, catheter ablation, mapping 배경: 좌심방중격에 있는 중격근속 (septal muscular bundle) 의 비등방성 (anisotrophy) 회귀 분포는 회귀 혹은 파형의 분열을 일으켜 심방세동을 유발하고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환자 및 실험견을 이용한 연구를 통해 중격근속의 전기생리적 성상을 살펴보고, 심방세동 환자에서 부가적인 치료로서의 중격근속 절제의 효과를 전향적으로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및 결과: 인체연구에서 전극도자절제술을 시행 받는 발작성 심방세동 (67명) 및 지속성 심방세동 (68명), 총 13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카테터를 좌심방중격에 위치시키고 중격근속의 전기생리검사를 시행하였다. 정확한 기하학적 소견과 정밀한 전기적 mapping을 얻기 위해 3차원 mapping system (NavX system) 을 사용하였다. 중격근속에서 기록되는 특이한 심방 전기도 (electrogram) 를 3차원 영상도면에 표시하고 이의 면적을 측정하며 조율 및 기외자극을 통해 중격근속 전위의 전기생리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심방세동이 지속되는 동안 중격근속의 역할을 규명하기 위해, 좌심방중격에 심방세동이 지속되는 동안 중격근속 전위와 복합분획심방전기도 사이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심방세동의 카테터 절제 후 중격근속 전위 유도에 의한 선형절제가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무작위적인 방법을 통해 중격근속을 절제한 군과 절제하지 않은 군을 전향적으로 비교하였다. 83.7% 환자에서 우심방 (high right atrium) pacing동안 중격근속 전위가 분리되었고 (6625 ms) 전기생리검사에서 decremental property를 보였다. 이 중겻근속 전위는 심방세동에서 나타나는 complex fractionated atrial electrograms (CAFEs)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었으며 선형절제에 의해 성공적으로 제거되었다. 평균 12.1±3.7 개월 추적기간 동안, 지속성 심방세동 환자에서 중격근속을 절제한 군이 고식적 절제만 시행한 군에 비해 동율동 유지비율이 의미 있게 높았다 (81.8% vs. 60%, p<0.05). 그러나 발작성 심방세동 환자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90.3% vs. 88.9%, NS). 실험견에서의 실험준비는 인체연구에서와 동일하고 총 4마리의 잡종견을 이용하였다. 중격근속의 전기생리적 분석을 시행하며, 고주파수 열에너지를 중격근속 전위의 유도하에 심방중격 부위에 방출하였다. 사후의 심장조직을 통하여 중격근속 전위의 소실은 난원공과 좌측 심방중격과의 연결부위 내에 존재하는 근육다발의 선택적 절제에 의한 것임을 관찰하였으며 또한 좌우 심방중격 사이에 지방층 (fatty layer)이 존재하고 이 지방층에 신경절이 다수 분포하고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특수한 해부학적 특성은 심방중격이 심방세동의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함을 나타내는 소견이자 심방중격의 선상 절제가 심방세동의 제거에 도움이 됨을 뒷받침 해주는 실험결과라 하겠다. 결론: 좌심방중격의 중격근속은 명확한 decremental property를 보이는 특징적인 전기적 전위를 가지고 있으며, 지속성 심방세동 환자에서 효과적인 선형절제를 통해 심방조동 등의 부정맥 발생 없이 동율동 유지율의 증가를 보였다.
消費者 集團訴訟制度에 關한 硏究 : 消費者基本法上의 團體訴訟을 中心으로
국민에게 참정권이 있는 것처럼, 시장경제 하에서는 무엇이 생산되고 무엇이 퇴출돼야 하는지 결정하는 권한이 소비자에게 있어야 한다. 이것이 소비자주권이다. 세계화, 지방화, 정보화로 급속하게 변화하는 21세기의 새로운 소비환경은 소비자에 대한 인식마저 바꿔놓았다. 이제 소비자는 약하고 피동적인 ‘보호의 대상'이 아니라 자발적인 시장 참여를 통해 합리적인 의사(意思)를 시장에 반영하는 ’자주적 역량을 가진 주체'로서 재인식되어야 한다. 이 같은 시대상과 소비자에 대한 인식 변화에 따라 최근 정부는 종래의 ‘소비자보호법’을 ‘소비자기본법’으로 개정하였으며, 그 입법취지를 종래의 소극적인 소비자 보호개념으로부터 탈피하여 자주적 권리자로서 소비자의 주체적 지위를 확인․강조하는데 있음을 분명히 하고 있다. 이 같은 입법취지에 가장 잘 부응한 것이 바로 소비자 집단소송제도의 도입이라 할 수 있다.현대사회의 대량생산․대량소비의 경제구조 하에서의 소비자분쟁은 소액다수의 피해를 그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개별적인 권리주장 내지 제소를 기조로 하는 전통적인 민사소송절차나 법리에 따라 소비자 피해구제를 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이를 독자적 소송으로 해결하기 보다는 집단적으로 해결하는 것이 소비자 권익보호에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우리나라에는 현대적 소비자피해의 특징을 반영한 집단소비자소송규정이 없어 피해구제의 실효성을 기대하지 못해 왔다. 이미 대부분의 선진국들은 나라마다 차이는 있으나 집단피해 구제를 위해 미국식 대표당사자소송(Class Action) 또는 독일식 단체소송(Verbandsklage)을 도입하여 이를 활용하고 있다. 어느 것이 우수하다고 하기보다는, 양제도의 검토는 우리 실정에 맞는 제도를 도입함에 있어 많은 참고가 될 것이다. 이번에 우리가 도입한 단체소송은 독일의 단체소송을 모델로 하고 있다. 오래전부터 논의되어 왔음에도 이제야 소비자 피해구제를 위한 단체소송을 도입․시행하게 된 것은 늦은 감이 없지 않으나, 이번 단체소송의 도입을 계기로 소액다수 소비자 피해를 효과적으로 구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업은 품질, 약관, 거래조건 등 여러 측면에서 피해발생을 억제하는 노력을 취하게 될 것이므로 건전하고 경쟁력 있는 기업활동을 유도하는 또 다른 긍정적 효과도 기대된다.다만 집단소송제도의 도입은 기존에 제재를 받지 않고 있던 사항이 분쟁으로 나타나고, 그 동안 시장에서 용인하던 일부의 상거래 관행이 정면으로 쟁점화 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시장의 충격을 완화하고, 제도를 한꺼번에 전면적으로 도입하는 것은 입법적인 부담도 있으므로 우선 급한 대로 단체소송이 먼저 시행되었으리라 생각한다. 아직은 도입초기단계이므로 단체소송의 대상, 적격단체, 판결의 효력 등 여러 측면에서 그 제도적 의의에 맞게 효율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보완해야 할 사항들이 많이 있다. 따라서 보다 자세한 논의와 입법적 검토를 통해 소비자 피해구제를 위한 실효성 있고 완비된 모습으로 정비되어야 할 것이다.집단소송제도의 도입에 있어 딜레마는 소비자의 권리는 강화되는 반면 피고인 기업은 소송의 부담으로 기업 활동이 위축되게 되고, 반대로 단체소송의 요건을 강화하게 되면 소비자의 권리는 위축되는 반면 기업의 부담은 줄어들게 된다는 점이다. 이는 곧 소비자의 권리강화와 남소의 방지에서 적절한 균형점을 요구하는 대목이다. 개정된 소비자기본법의 입법취지가 소비자 주체의 지위강화이고 그 명칭 또한 소비자기본법으로서 명명하고 있다면, 그에 상응하는 법적․제도적 수단들을 법안의 내용으로 담고 있어야 할 것이다. 금번 단체소송의 도입은 소비자가 소송을 통해 권익보장을 받을 수 있는 집단소송제도의 법적기초를 마련한 단계로 이해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소비자피해에 대해 소비자 스스로 구제를 받을 수 있는 사법적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사업자와 소비자의 사회적 힘의 균형이 이뤄질 때만이 소비자의 주체성이 진정으로 확보될 수 있다. 이 모든 정황을 고려할 때, 지속적이고 단계적인 법안의 보완과 제도적인 실험을 통해 우리에게 적합한 집단분쟁해결제도를 찾는 과정이 필요할 것이다.
노인 치매예방을 위한 요리심리치료 프로그램 선택에 관한 연구
이승진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현대사회의 문제로 가장 크게 대두되고 있는 급격한 노령화, 그로 인한 심각한 노인 문제 중 하나인 치매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긴장감 또한 증가하였다. 사람들은 늙는다는 사실에 관하여 이미 알고 있으나 그 의미는 개인에 따라, 관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Q방법론을 바탕으로 사람들이 인지하는 치매예방의 주관성 유형을 파악하여 각 유형과 사람들이 인지하는 치매 예방에 각기 어떠한 특성과 관계가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또한 노인의 삶과 이미 친숙한 요리라는 매개를 이용한 프로그램 활동으로 감각기관을 자극하여 기억력회복 등 정서적 안정을 도모함으로써 치매예방에 근본적 도움이 되고자 한다. 분석결과 노인치매예방을 위한 요리치료 프로그램에 관한 응답자 34명의 선택 및 태도에 관하여 ‘개인 성취적 건강 추구형’, ‘관계지향적 건강 추구형’, ‘가족 중심적 건강 추구형’, ‘환경 만족적 건강 추구형’의 4개의 유형을 발견하였으며, 이들 각각의 유형들 간의 동질적이며 이질적인 특성을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유형별로 나타난 특징은 다음과 같다. 제1유형이 사회, 경제적 수준의 향상으로 자신의 존재가치를 인정받으려 하는 개인 성취감을 고려한 유형이라면, 제2유형은 사교적이며 프로그램의 선택에 있어서 참여자들 간의 소통을 커뮤니케이션 활동으로 명확하게 나타나고 있다. 제2유형은 치매예방 요리치료 프로그램 선택에 있어서 대인관계 즉, 사람들과 소통을 통해 성취감을 얻고자 하는 선택 유형이다. 이들은 이러한 관점에서 요리치료에서는 다른 치료과정에 비해 음식을 만들고 나누는 사람들 간의 마음의 소통과 활기찬 분위기를 만들어 낸다는 장점을 포함하고 있다고 보아 참여자들 간의 긍정적인 유대관계를 통하여 치매예방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하였다. 제3유형인 안정적인 가족 관계를 유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치매예방 프로그램인지, 즉 직접적인 치매예방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인지가 프로그램 선택과 참여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제4유형은 복합적인 변화 속에서도 참여자가 환경에 적응하기 어렵지 않을 치매예방 프로그램인지가 선택을 좌우한다. 참여자에게 나타나는 생리적, 심리적 변화에서 환경에 적절히 적응할 수 있을까를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나타난다. 더불어 어떠한 요소들이 노인을 위한 요리심리치료 프로그램 선택에 있어 주관적 인식에 대한 유형의 분류를 확인하였다는 점이 이번 연구의 의미라 하겠다. 그 결과 치매 예방을 위한 요리치료 프로그램에 관하여 응답자들은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공통적 요소로 나타났으며, 요리치료 프로그램의 선택 시 과정과 결과물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을 위한 요리치료 프로그램 인식 연구에 대한 Q방법이 비교적 높은 설득력과 그에 따른 효용성에 대하여 입증하였다. 앞에서 제시된 인식 유형의 특성과 합의 진술문에 대한 분석 등은 새로운 가설로써 향후 후속 연구에 도움을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따라서 이를 대비하여 노인을 위한 요리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자에게 적합한 프로그램 연구와 참여자가 요리치료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참여 할 수 있도록 참여자에게 맞는 프로그램 연구와 참여자의 불편사항을 관리하여 참여자가 요리치료 프로그램을 통하여 치매를 예방 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운영 전략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순환식 저항성운동이 중년 비만여성의 아디포카인과 인슐린저항성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의 목적은 비만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12주 동안 순환식 저항성운동을 실시하도록 해서, 훈련 전과 후에 아디포카인(렙틴과 아디포넥틴), 인슐린저항성(HOMA-IR), 혈중지질(TC, TG, HDL-C, LDL-C), 신체조성(체중, 체지방율)의 변화를 분석하는데 있었다. 연구대상자는 체지방율 30%이상, BMI 25이상의 중년 비만여성들을 모집해서 운동군과 통제군으로 각10명씩 무선배정하였다. 운동군은 순환식 저항성운동(저항성운동 10종목)과 제자리걷기를 1회 50분씩 주3회를 12주간 실시하였고, 통제군은 일상생활이외의 운동프로그램 참여를 통제하였다. 운동군의 운동강도는 예비심박수의 60~80%를 유지하도록 했고, 각 종목별 반복횟수는 30초 동안 최대반복을 할 수 있도록 했다. 12주 동안의 운동프로그램 참여는 실험군의 렙틴, 아디포넥틴, HOMA-IR, TC, TG, HDL-C, 체지방율, 체중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고(p<.05), LDL-C는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12주간의 순환식 저항성운동프로그램은 중년 비만여성들의 비만과 관련된 대사적 지표들을 개선하기 위한 효과적인 운동방법으로 판단되며, 저항성운동을 순환식으로 실시하는 것은 유산소운동의 효과와 근력운동의 효과를 동시에 이끌어 낼 수 있는 이상적인 운동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12 weeks of circuit resistance exercise training on leptin, adiponection, insulin resistance, and blood lipids in obese women. The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into exercise group (n=10) and control group (n=10). Exercise sessions were performed 3 times per week for 12 weeks. The circuit resistance exercise training consisted of walking and resistance exercise at 60~80% of heart rate reserve for 50 minutes. Leptin, adiponectin, HOMA-IR, TC, TG, HDL-C, %body fat, and body weight were significantly changed in exercise group (p<.05). LDL-C was not significantly change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ircuit resistance exercise training produced improvement of adipokines, insulin resistance, blood lipids, and body composition in obese middle-aged women.
원/위안화 환율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 글로벌 위기 전후 비교 중심으로
본 논문의 주요 목적은 통화론적 환율결정모형으로 주요 외환시장, 채권시장, 외국인직접투자 등이 환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예측하지 못한 외부 경제 충격에 대하여 환율이 어떠한 메커니즘으로 결정되는지에 대한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시기를 전ㆍ후로 나눠 환율 변동 요인에 대하여 확인하고자 하였다. 환율 단위로는 원/위안화를 채택했으며, 통화론적 접근방법(Monetary Approach)에 기초한 환율모형들을 사용하고 기존 모형에 외국인직접투자(FDI) 변수를 추가하여 원/위안 환율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종속변수인 원/위안화 실질환율을 사용하였고, 환율변동성을 확인할 설명변수로 통화량 M2, 소득지표로 GDP, 단기 금리 변수로는 한국의 91일물 CD금리, 중국 3개월 예금금리, 장기 금리 변수는 5년 국채금리와 한국과 중국의 외국인직접투자 유입액(inflows)을 사용하였다. 자료는 모두 분기별 자료이며 금리 외 다른 변수들은 모두 자연대수를 사용하였다. 데이터의 분석은 ADF 단위근(ADF Unit Root Test) 검정, Johansen 공적분 검정(Johansen Cointegration Test), Granger 인과관계 검정(Granger Casuality Test), 벡터오차수정모형(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충격반응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예측 오차 분산분해분석(Forecast Erro Variance Decomposition) 순서로 분석하여 각 변수들 간의 특성과 관계를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로는 먼저 장기관계 분석을 통해 기간별 예상부호와 부합한 모형을 살펴보았다. 전체 기간에는 FDI 포함한 Bilson 모형이, 금융위기 이전 기간은 기존 Frankel 모형, 금융위기 이후 기간은 기존 Lucas 모형이 예상부호와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Granger 인과관계 결과로는 환율, 주기별 금리, FDI, 장단기 내외금리차, 한ㆍ중 상대적 FDI 변수 사이에서는 환율과 장기 내외금리차, 장단기 내외금리차 간에는 금융위기 전후로 인과관계가 변화가 없었으나, 다른 변수 간에는 금융위기 전후로 상호간의 인과관계가 바뀐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세 번째, VECM의 결과를 살펴보면 FDI 포함한 환율결정모형이 금융위기 이전에 대해서 환율 예측력이 높게 나왔으나, 기간 및 모형 관계없이 환율 예측값의 절대값은 기존 환율결정모형이 원/위안 환율을 예측하는데 더 부합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네 번째는 충격반응함수 결과이다. FDI 포함했을 경우 모형 내 대부분의 변수들에 충격에 대한 환율의 반응이 금융위기 전후로 변하였고, FDI를 포함한 Lucas 모형과 Bilson 모형이 금융위기 이후 예상 부호와 일치 될 수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 분산분해분석의 결과로는 FDI 변수가 추가됨으로 각 모형의 변수의 중요도가 변하였고, 모형과 상관없이 금융위기 이전에는 소득, 금융위기 이후 단기 내외금리차가 환율 변동에 중요 요소로 고려되어 지고 있을 가능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韓國 近代建築의 保存과 活用 現況에 관한 硏究 : 國家指定 史蹟을 中心으로
The importance of conservation of modern architecture has been greatly increased in the present. This is because they represent a modern-period as well as they are indispensable for an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tradition and culture and at the same time form the base for the development and advancement for future culture. The national government began to designate modern buildings as Historic Sites in 1963. Current total 30 modern buildings are designated Historic Sites(29). However, Many modern buildings have not been well conserved, especially compared with historic buildings. In this study, I investigated 30 modern buildings, which is designated as Historic Sites (29), with reason and process of designation as Historic Sites by national government, and the present condition, to propose a better way of modern buildings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meaning of conservation of modern architecture should be recognized as a bridge of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The method of conservation of historic buildings and modern buildings should be classified. 2. When we classify of modern architecture as cultural properties, should be confirmed of the organization. Now we are conserved of modern architecture as Historic Sites. But, it is reasonable that modern architecture should be classified as 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s like historic buildings. 3. It is necessary that the guideline and the grade, to be determined of modern buildings as cultural properties, In addition, legal basis for this new system should be modified. 4. Modern buildings are closely related with the present time more than historic buildings. Because of, the government buildings and religion buildings and education buildings are having the characteristic of public institution. Also, It is necessary that method of practical use should be encouraged, for example KOREA BAND is used by museum of bank to maintain the historical identity. 5. The investigations of each individual modern building should be carried out the whole country, and make available the national record of modern buildings for the use of experts, bodies and the public. Especially, in actually problem of conservation should be considered by the methods of recording conserv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