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환자실에서의 인간중심간호 수행 모형구축

        권선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1663

        본 연구의 목적은 중환자실에서의 인간중심간호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간의 인과적 경로를 확인하고 인간중심간호 수행을 통합적으로 설명하는 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의 가설적 모형은 McCormack과 McCance (2010)의 인간중심간호 이론과 Jakimowicz와 Perry (2015)의 인간중심 중환자 간호의 4가지 속성을 기반으로 선행연구 결과들을 통해 인간중심간호 수행, 간호역량, 의사소통능력, 간호전문직관, 팀워크, 간호근무환경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총 230명이며, 2023년 3월 2일부터 3월 30일까지 간호사 커뮤니티를 통해 온라인 조사로 이루어졌다. 자료분석은 SPS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분석과 t-test, ANOVA를 시행하였고, AMO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가설적 모형의 적합도 및 경로에 대한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3단계의 최종모형 도출 과정을 거쳐 최종모형을 산출하였다. 가설적 모형의 적합 지수들이 대부분 기준치에 부합하여, 가설적 모형의 적합도가 확인되었다(/df=2.25, RMR .02, SRMR .06 GFI .85, AGFI .81, TLI .91, CFI .92, RMSEA .07). 구조모형 검증 결과, 본 연구의 이론적 모형에 의해 도출된 11개 경로 중 7개의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지지되었다. 본 연구의 가설적 모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난 경로는 간호역량에서 간호근무환경과 인간중심간호 수행으로 가는 경로, 의사소통능력에서 팀워크와 인간중심간호 수행으로 가는 경로, 간호전문직관에서 팀워크와 간호근무환경으로 가는 경로가 유의하였다. 간호전문직관은 인간중심간호 수행에 직접효과가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간호근무환경을 통해 인간중심간호 수행에 유의한 간접효과를 나타내었다. 또 간호근무환경에서 인간중심간호 수행으로 가는 경로가 유의하였다. 본 연구의 인간중심간호 수행 모형의 설명력은 65.1%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 따라서, 인간중심간호 수행 증진을 위해 의사소통능력, 간호역량, 간호근무환경의 중요성에 대해 인식하여, 간호근무환경을 개선하고 의사소통능력 향상과 역량강화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교육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중환자실에서의 인간중심간호 수행을 위한 증진전략 및 지식체 구축을 위한 근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ausal pathways among variables influencing the person-centered care process in the intensive care unit. Additionally, the study seeks to develop and validate a comprehensive model that explains the person-centered care process. The hypothetical model of this study is based on the person-centered nursing theory proposed by McCormack and McCance (2010) and the four attributes of person-centered nursing in ICUs by Jakimowicz and Perry (2015). Through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person-centered care process, nursing competence, communication competence, nursing professionalism, teamwork,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were selected as variables. The study included a total of 230 participants and data were collected using an online survey on a community platform for nurses from March 2 to March 30, 2023.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6.0, includ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and ANOV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goodness-of-fit tests, and tests for the significance of the hypothesized model paths were conducted using AMOS 25.0. The final model was developed through a three-step modeling process. The goodness-of-fit indices for the hypothesized model met the established criteria, indicating a good fit (/df=2.25, RMR=.02, SRMR=.06, GFI=.85, AGFI=.81, TLI= .91, CFI=.92, RMSEA=.07). The structural model validation revealed that 7 of the 11 paths derived from the theoretical model in this stud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by supporting the proposed relationships. The hypothesized model included several statistically significant paths. Notably, nursing competence was found to significantly influence both the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person-centered care process. Similarly, communication competence had significant effects on teamwork and the person-centered care process. Furthermore, nursing professionalism had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n the person-centered care process that were mediated through the nursing work environment. The direct path from the care environment to the person-centered care process was also significant.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person-centered care process model in this study was 65.1%. Th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competence, nursing competence, and the nursing work environment in promoting the person-centered care process. Therefore, improving the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developing various programs and training initiatives to enhance communication skills and nursing competence is import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erve as a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strategies to promote the person-centered care process in ICUs, and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a comprehensive knowledge base in the field of nursing.

      • 간호대학생의 경험학습 기반 인간중심간호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추인희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1662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인간중심간호 수행에 필요한 자질향상을 위해 경험학습 기반 인간중심간호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급변하는 의료환경에서 대상자의 개별적 선호와 가치에 맞춤하는 인간중심간호의 중요성은 증대되고 있어, 간호대학생이 향후 임상에서 이에 부응하는 역량을 갖춘 간호사로 성장하기 위한 준비는 학부시기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간호대학생의 경험학습 기반 인간중심간호 교육프로그램은 McCormack과 McCane(2010)의 인간중심간호이론을 토대로 교육내용을 구성하고, Kolb(1984)의 경험학습 이론을 교육전략의 중재적 기틀로 삼아 개발되었으며, 그 효과는 인간중심간호 수행에 필수적인 자질인 자기인식, 공감능력, 대인관계 기술 및 비판적 사고 성향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간호대학생의 경험학습 기반 인간중심간호 교육프로그램은 유사실험연구로 비동등성 대조군 설계연구이다. 본 교육 프로그램은 선행연구 탐색과 교육요구도 조사를 위한 포커스그룹 인터뷰로 교육주제와 교육방법, 프로그램 세부내용으로 구성된 프로그램 초안을 개발하고, 전문가 자문과 예비 운영을 거쳐 완성되었다. 최종적으로 완성된 프로그램은 McCormack과 McCane(2010)의 인간중심간호 과정의 수행에 필요한 간호대학생의 자질 함양을 위해 강의와 동영상 시청을 통한 구체적 경험, 사례기반 동영상 시청, 성찰일지 작성을 통한 성찰적 관찰, 만다라 그리기, 대인관계 지도 그리기, vSIM 프로그램 구동을 통한 추상적 개념화, 피드백 및 디브리핑, 토론을 통한 능동적 실행을 거치며 학습하도록 구성하였다. 최종 개발된 프로그램은 실험군에게 6주 동안, 1시간씩 주 2회, 총 12회기 제공되었고, 대조군은 총 12회기의 인간중심간호 교육자료를 제공받고 자기주도 학습 후 성찰일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프로그램의 적용 및 자료수집 기간은 2023년 3월 13일부터 5월 4일까지 사전조사, 중간조사(3주), 사후조사(6주), 추후조사(8주) 순서로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자 모집은 경남 K시 일개 간호학과의 게시판과 Social networking service(SNS) 공지를 통해 연구 참여를 자발적으로 희망하는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군 28명, 대조군 29명으로 총 57명의 자료를 최종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반적 특성은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고,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증은Independent t test와 Chi-square test, Mann-Whitney U test로, 종속변수의 정규성 검정은 Shapiro-wilk test로 검정한 후 동질성 검사는 Independent t test를 실시하였다. 시간에 따른 실험군과 대조군의 자기인식, 공감능력, 대인관계 기술, 비판적 사고 성향 차이는 Repeated measure ANOVA로 분석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경험학습 기반 인간중심간호 교육프로그램에 참가한 실험군은 프로그램에 참가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자기인식 점수가 향상될 것이다.’의 가설은 실험군과 대조군의 자기인식 점수가 집단 간(F=7.24, p=.009), 시점 간(F=4.48, p=.005), 집단과 시점 간의 교호작용(F=2.99, p=.043)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지지되었다. 2. ‘경험학습 기반 인간중심간호 교육프로그램에 참가한 실험군은 프로그램에 참가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공감능력 점수가 향상될 것이다.’의 가설은 실험군과 대조군의 공감능력 점수가 집단 간(F=26.54, p<.001), 시점 간(F=5.08, p=.002), 집단과 시점 간의 교호작용(F=2.73, p=.045)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지지되었다. 3. ‘경험학습 기반 인간중심간호 교육프로그램에 참가한 실험군은 프로그램에 참가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대인관계 기술점수가 향상될 것이다.’의 가설은 실험군과 대조군의 대인관계 기술점수가 집단 간(F=9.94, p=.001), 시점 간(F=2.77, p=.043), 집단과 시점 간의 교호작용(F=2.81, p=.041)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지지되었다. 4. ‘경험학습 기반 인간중심간호 교육프로그램에 참가한 실험군은 프로그램에 참가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비판적 사고 성향점수가 향상될 것이다’에서 실험군과 대조군의 비판적 사고 성향점수가 집단 간(F=1.90, p=.174), 시점 간(F=.34, p=.790), 집단과 시점 간의 교호작용(F=.052, p=.984)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기각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경험학습 기반 인간중심간호 교육프로그램은 간호대학생의 자기인식, 공감능력, 대인관계 기술의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인간중심 간호교육은 간호대학생 저학년 시기부터 시작할 필요가 있고 효과의 지속을 위해 주기적인 반복시행이 요구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간호대학생의 인간중심간호에 대한 교육 요구도를 반영하여 사례중심 학습, 소그룹 활동, vSIM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경험학습 방법의 유용함이 확인되어 향후 교육적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인간중심간호 역량증진을 위해 본 연구를 토대로 인간중심간호교육을 정규 교과목으로 개발하고 적용하기 위한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 experiential learning-based person-centered nursing education program and examine its effect in enhancing qualities required of nursing students for person-centered nursing. As person-centered nursing focuses on the subject’s individual preference and value, its significance is growing in the rapidly changing medical environment. Preparation should begin at the undergraduate level to ensure that nursing students develop the knowledge and skills that are needed to implement this nursing approach in clinical settings. The experiential learning-based person-centered nursing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using McCormack and McCane’s (2010) person-centered nursing theory for education content and Kolb’s (1984) experiential learning theory for the intervention framework of education strategy. The program had effects on self-awareness, empathy,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s,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which are the qualities required to perform person-centered care. This quasi-experimental study us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 to develop an experiential learning-based person-centered nursing education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and examine its effect. This study developed a draft version of the program comprising education topics, methods, and specific education content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focus group interviews for educational needs survey. Subsequently,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was completed through expert consultation and a test pilot. The developed program provided a series of learning steps using ‘concrete experience’ by lectures and video watching, ‘reflective observation’ from watching case-based videos and writing a reflective note, ‘abstract conceptualization’ from drawing a mandala, a interpersonal relationship map, and vSIM program and ‘active experimentation’ from feedback, debriefing, discussion. The program aimed to fostering prerequisites in nursing students required to perform the process of person-centered nursing suggested by McCormack and McCane (2010). The experimental group used the program in 12 sessions, for an hour per session, twice a week for six weeks. The control group performed self-directed learning with a 12-session education material on person-centered nursing and wrote a reflection not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13 to May 4, 2023, while experimenting in the order of presurvey (3 weeks), post-survey (6 weeks), and follow-up survey (8 weeks). Sophomore students who agreed to voluntarily participate in this study were recruited through social media and the bulletin board of a nursing department in K city, Gyeongsangnam-do. Data from 57 participants were analyzed, with 28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9 in the control group.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Windows version 23.0 with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for general characteristics. Independent t-test, Chi-square test, and Mann–Whitney U test were used to test the homogeneity between the groups. The normality and homogeneity of dependent variables were verified using the Shapiro–Wilk test and Independent t-test, respectively. The differences over time in self-awareness, empathy,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s,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between the two groups were analyzed using repeated ANOVA.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self-awareness score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the groups(F=7.24, p=.009) and the time points(F=4.48, p=.005). The interaction between the groups and the time points was significant(F=2.99, p=.043), supporting the hypothesis that the experiment that participated in the experiential learning-based person-centered nursing education program will show higher increases in the score of self-awareness than the control group that did not participate. 2. The empathy score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the groups(F=26.54, p<.001) and the time points(F=5.08, p=.002). The interaction between the groups and the time points was significant(F=2.73, p=.045), supporting the hypothesis that the experiment that participated in the experiential learning-based person-centered nursing education program will show higher increases in the score of empathy than the control group that did not participate. 3.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 score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the groups(F=9.94, p=.001) and the time points(F=2.77, p=.043). The interaction between the groups and the time points was significant(F=2.81, p=.041), supporting the hypothesis that the experiment that participated in the experiential learning-based person-centered nursing education program will show higher increases in the scor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 than the control group that did not participate. 4. The scores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between the groups(F=1.90, p=.174) and the time points(F=.34, p=.790). The interaction between the groups and the time points was not significant(F=.052, p=.984). With this, the hypothesis that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experiential learning-based person-centered nursing education program would show improved scores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than the control group is rejected. The study findings suggest that the experiential learning-based person-centered nursing program effectively improved self-awareness, empath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 Thus, this program should be provided in regular and repetitive modes during the early stages of college for continued effectiveness. This study developed a program that reflects the educational needs for person-centered nursing and so applied case-based learning, small group activity, and the vSIM program. As this program was found to be effective, its educational practicality is expected to be high. To enhance person-centered nursing capability among nursing students, based on this study’s results, future studies are needed for developing and providing person-centered nursing education as a regular college course.

      • 성인 중환자실 간호사의 인간중심간호 수행과 영향요인

        주영신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660

        Person-centered care is a holistic approach to deliver respectful and individualized care, allowing negotiation and choice of care via therapeutic relationship wherein patients are empowered to become involved in health decisions at any level desired by the patient. This cross-sectional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examined the level of person-centered critical care nursing (PCCN) and related factors of nurses in and adult intensive care unit (ICU). Participants included 147 registered nurses employed in adult ICUs, two hospitals, Seoul,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to May, 2020.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data using SPSS Win 25.0. Participants’ mean age was 29.64(±4.66) years and ICU working experience was 4.67(±3.52) years. Of all participants, 78.2% were aware about PCCN. The level of PCCN was 3.79±0.41. Women and the participants who were aware about PCCN had significantly higher individuality scores(p<0.05).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otal mean PCCN score. PCCN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rapeutic communication skills (r=0.66, p<0.01), global communication skills (r=0.42, p<0.01), professional - 94 - -ism (r=0.38, p<0.01), and work environment (r=0.16, p<0.05). Therapeutic communication skills significantly affected PCCN (Adj R2=.45, P<.001).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strategies for enhancing therapeutic communication skills are necessary to promote PCCN. In addition, they may be particularly meaningful in providing basic data for nursing education and future intervention development research. Further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develop nursing interventions for improving PCCN. 인간중심간호는 환자 개개인에 대한 존엄성을 바탕으로 환자와의 치료적 관계형성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고 환자참여를 도우며 전인적인 간호를 수행하는 것으로 임상에서의 인간중심간호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중요성이 점점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중증도가 높고 환자들의 상태가 시시각각 변화하는 중환자실은 질병중심의 일률적인 행위들이 반복되기 쉽고 인간중심간호를 실천하기 힘든 상황에 놓여있다. 이에 중환자실의 특수성을 고려한 인간중심간호 수행을 증진시키기 위한 노력들이 절실히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성인 중환자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인간중심간호 수행과 이에 영향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중환자실에서 인간중심간호 수행을 높이기 위한 전략마련 및 중재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자료수집은 서울시 소재 1개의 500병상이상 종합병원에서 4월 16일부터 30일까지, 1개의 1000병상이상 상급종합병원에서 5월 1일부터 30일까지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147명의 대상자가 포함되었다. 인간중심간호 수행은 인간중심 중환자 간호 도구 (Person-centered Critical care Nursing, PCC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치료적 의사소통 능력은 대상자 중심 의사소통 모델에 기초하여 개발한 치료적 의사소통 수행수준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일반적 의사소통 능력은 포괄적 대인 커뮤니케이션 능력척도 (Global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y Scale, GICC)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전문직관은 간호 전문직관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근무환경은 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Nursing Work Index(PES-NWI)를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을 거쳐 개발한 한국어판 간호 근무환경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lineal regression vii analysis 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평균연령은 29.64(±4.66)세, 중환자실 근무경력은 4.67(±3.52)년, 교육수준은 학사이상이 95.2%, 인간중심간호에 대해 들어본 경험에 대해 78.2%의 대상자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성인 중환자실 간호사의 인간중심간호 수행의 평균점수는 3.70(±0.41)점으로 중상수준을 보였으며 하부영역 중 편안함의 영역이 3.93(±0.49)점으로 가장 높았고, 개별성영역이 3.61(±0.64)점으로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간중심간호 수행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하부영역 중 개별성 영역에서 성별(t=-2.33, p=0.02)과 인간중심간호를 들어본 경험 유무(t=2.09, p=0.04)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연령(t=-2.04, p=0.04)에 따라 치료적 의사소통 능력에서의 차이를 보였고, 근무 경력(F=4.95, p<0.01)에 따라 일반적 의사소통능력, 근무부서(F=3.52, p<0.01)에 따라 근무환경수준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인간중심간호 수행과 의사소통능력(치료적, 일반적), 전문직관, 근무 환경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치료적(r=0.66, p<0.01), 일반적 의사소통능력 (r=0.42, p<0.01), 전문직관(r=0,38, p<0.01), 근무환경(r=0.16, p<0.01)과 인간중심간호 수행 간에는 모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6. 성인 중환자실 간호사의 인간중심간호 수행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치료적 의사소통능력( β =0.55, p<0.001)이 확인되었으며 45%의 설명력을 나타냈다(Adj R2=0.45, P<0.001). viii 본 연구결과를 통해 치료적 의사소통능력이 인간중심간호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증진시키기 위한 노력으로 프로그램 개발, 적용 및 성과 측정과 치료적 의사소통수행의 영향요인에 대한 포괄적인 탐색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인간중심간호에 대해 간호사들이 많이 노출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향후 객관적인 지표 개발을 통해 인간중심간호 수행을 측정하며 광범위한 문헌고찰을 토대로 인간중심간호의 영향요인을 파악하는 연구를 제언하는 바이다. 본 연구는 중환자실의 특수한 상황을 바탕으로 간호사들의 개인적, 조직적 요인을 포함하여 인간중심간호 수행의 영향요인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간호제공자 교육과 향후 중재 개발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한 것에 의의가 있다.

      •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소진, 의사소통이 인간중심간호 수행에 미치는 영향

        김예지 한국교통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1659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urnout and communication among nurses in an integrated nursing care ward on person-centered care nursing.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42 nurses employed at tertiary and general hospital.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20, 2023, to October 23, 2023.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and independent t-tests, one-way ANOVA, Kruskal-Walli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all using the IBM SPSS/WIN Statistics 27.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burnout of nurses in the integrated nursing care ward was 2.91 ± 0.76 out of 6, communication was 4.27 ± 0.62 out of 6, and person-centered care nursing was 4.02 ± 0.41 out of 5. 2. The differences in burnout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nurses in integrated nursing care wards are age (F = 3.84, p = .011), marital status (t = -2.16, p = .032), and department (F = 5.70, p = .004). 3. The differences in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nurses in integrated nursing care wards are marital status (t = -2.10, p = .037), education level (F = 3.72, p = .027), and type of work (t = -3.16, p = .002). 4. The differences in person-centered care nursing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nurses in integrated nursing care wards are marital status (t = -2.00, p = .047), total career (F = 8.61, p = .035), and type of work (t = -2.57, p = .024). 5.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with the person-centered care nursing of nurses in integrated nursing care ward, communic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erson-centered care nursing (r = .58, p < .001). 6.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communication (t = 7.59, p < .001) had the highest influence on person-centered care nursing, with fixed shift (t = 2.21, p = .029), followed by more than 12 years of total career (t = 2.37, p = .019), and three years and less than seven years of total career (t = -3.34, p = .001). The explanatory power was 38.4%. The above, findings from the nurses' integrated nursing care wards confirmed that communication, type of work, and total clinical experience were influential factors in increasing person-centered care nursing. Therefore, a suitable program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To increase communication, interventions should be prepared using various programs such as proven promotion therapy and teamwork training as well as continuing education. In addition, it should be possible to apply various types of work by improving shift work. Considering the total clinical experience, interventions should be prepared to enhance person-centered care nursing by applying a person-centered nursing program. 이 연구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소진, 의사소통이 인간중심간호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소진, 의사소통이 인간중심간호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C도에 소재한 상급종합병원 및 종합병원을 대상으로 한 조사였으며 그 중 연구에 동의한 병원 6곳에 근무하는 간호사 142명이었다. 자료수집기간은 2023년 9월 20일부터 10월 13일 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WIN 2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로 산출하였고, Independent t-test 와 One-way ANOVA, Kruskal-Wallis test, 사후 분석으로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와 인간중심간호 수행의 영향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Multiple regression을 시행하였다. 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alpha로 산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소진은 0점부터 6점까지 분포하며, 평균 2.91±0.76점을 나타내었으며, 의사소통은 1점부터 6점까지 분포하며, 평균 4.27±0.62점이었고, 인간중심간호 수행은 1점부터 5점까지 분포하는데 평균 4.01±0.41점이었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소진은 연령(F=3.84, p=.011), 결혼상태 (t=-2.16, p=.032), 근무부서(F=5.70, p=.004)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의사소통은 결혼상태(t=-2.10, p=.037), 최종 학력(F=3.72, p=.027), 근무형태(t=-3.16, p=.002)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간중심간호 수행은 결혼상태(t=-2.00, p=.047), 총 임상 경력(Z=8.61, p=.035), 근무형태(t=-2.57, p=.024)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대상자의 인간중심간호 수행은 의사소통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r=.58,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 대상자의 인간중심간호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의사소통(t=7.52, p<.001), 고정근무 (t=2.21, p=.029), 총 임상 경력이 12년 이상(t=-2.37, p=.019), 3년 이상 7년 미만(t=-3.34, p=.001)이 인간중심간호 수행에 영향을 미쳤으며, 가장 큰 영향 요인은 의사소통(β=.52)으로 이들 변인의 설명력은 38.4%이었다. 즉, 의사소통 수준이 높을수록, 고정근무자가 교대근무자보다 인간 중심간호 수행이 높게 나타났으며, 총 임상 경력이 3년 이상 7년 미만과 12년 이상 간호사는 3년 미만 간호사에 비해 인간중심간호 수행이 더 낮았다. 위의 내용을 종합하였을 때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인간중심 간호 수행을 높이기 위한 영향요인으로 의사소통, 근무형태, 총 임상 경력 임을 확인하였으므로 이에 적절한 근무형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상급종합병원 중환자실 간호사의 간호역량인식, 도덕적 민감성, 직무스트레스가 인간중심간호에 미치는 영향

        임지현 전남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1646

        상급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중환자실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인간중심간호를 조사하고 관련요인을 규명하는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상급종합병원 중환자실 간호사의 간호역량인식, 도덕적 민감성, 직무스트레스 및 인간중심간호 정도를 파악하고 간호역량인식, 도덕적 민감성, 직무스트레스가 인간중심간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는 상관성 조사연구로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화순군에 위치한 상급종합병원 중환자실에서 근무하는 임상경력 6개월 이상의 중환자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구조적 설문지를 사용하여 2023년 3월 9일부터 3월 18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고 최종 222부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자와 관심변수의 분포와 정도는 기술통계로 분석하였고,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간중심간호 수준의 차이는 independent t-test, ANOVA로 분석하였으며, 사후검정 분석은 Scheffe 검정을 실시하였다. 간호역량인식, 도덕적 민감성, 직무스트레스 및 인간중심간호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으며, 인간중심간호의 관련요인은 선형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는 총 222명으로 평균연령은 29.98±4.54세(23~47세)이었고, 여자가 188명(84.7%), 미혼이 174명(78.4%), 4년제 대학 졸업자가 170명(76.6%)으로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대상자의 총 임상경력은 5.69±4.79년(0.67~25.00년)이었고 그 중 중환자실 근무 경력은 3.74±2.93년(0.50~19.00년)이었다. 근무 시 담당하는 환자 수는 2명 이하가 177명(79.7%)이였고, 인간중심간호에 대한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음은 75명(33.8%)이였다. 진료계열로는 내과계 109명(49.1%), 외과계 113명(50.9%)이었다. 직위는 일반 간호사가 215명(96.8%)이었다. 2. 대상자의 간호역량인식은 4점 만점에 2.62±0.35점, 도덕적 민감성은 7점 만점에 4.94±0.50점, 직무스트레스는 5점 만점에 3.47±0.44점, 환자중심간호는 5점 만점에 3.46±0.41점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직무 관련 특성에 따른 인간중심간호 수행의 차이는 인간중심간호 교육 경험(t=-2.11, p=.036)과 중환자실 근무 경력(t=-2.24, p=.026)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6년차 이상 군이 5년 이하군보다 인간중심간호 수행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연령, 성별, 결혼상태, 최종학력, 총 근무경력, 근무 시 담당 환자 수, 근무 부서, 직위에 따른 인간중심간호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대상자의 인간중심간호는 간호역량인식(r=.28, p<.001) 및 도덕적 민감성(r=.26,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인간중심간호 관련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일반적 특성 변수인 결혼상태, 근무시 담당 환자수, 중환자실 근무경력, 교육경험을 보정하였을 때 간호역량인식(β=.22, p=.001)과 도덕적 민감성(β=.23, p<.001)이 인간중심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모형의 설명력은 14.6%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상급종합병원 중환자실 간호사의 인간중심간호 수행에 간호역량인식과 도덕적 민감성이 유의한 영향 요인으로 규명되었다. 따라서, 보건의료 정책가와 간호관리자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인간중심간호 수행 향상을 위해 간호역량인식과 도덕적 민감성을 높이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제공에 관심을 기울이고 수행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s a correlational research study to identify nursing competency perception, moral sensitivity, job stress, and person-centered nursing degree of intensive care unit nurses in a tertiary general hospital and to confirm the effect of nursing competency perception, moral sensitivity, and job stress on person-centered nursing.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al questionnaire from March 9 to March 18, 2023, targeting ICU nurses with more than 6 months of clinical experience working in the intensive care unit of C tertiary general hospital located in Gwangju & Hwasun, and the final 222 copies of the data were analyze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performed to explain the research subjects and variables, and independent t-test and ANOVA were analyzed to identify differences in the quality of person-centered nursing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Scheffe tests were performed for post-test analysis. The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nursing competency perception, moral sensitivity, and person-centered nursing was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the factors affecting person-centered nursing were analyzed by perform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pecific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re were a total of 222 subjects, with an average age of 29.98±4.54 years old. 188 women (84.7%), 174 singles (78.4%), and 170 (76.6%) graduates of four-year colleges accounted for the majority. The total clinical experience of the subjects was 5.69±4.79 years, of which 3.74±2.93 years worked in the intensive care unit. 177(79.7%) were in charge of 2 or less patients while on duty, and 75 (33.8%) had experience in person-centered nursing. 109 (49.1%) were in internal medicine and 113 (50.9%) were in surgery. As for the position, 215 (96.8%) were general nurses. 2. The subject's nursing competency perception was an average of 2.62±0.35 points, moral sensitivity was 4.94±0.50 points, job stress was 3.47±0.44 points and patient-centered nursing was 3.46±0.41 points. 3.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son-centered nursing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person-centered nursing education experience(t=-2.11, p=.036) and the intensive care unit work experience (t=-2.24, p=.026), and the person-centered nursing performance scor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6-year or longer group than in the 5-year or shorter group.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son-centered nursing according to age, gender, marital status, level of education, overall career, number of patients in charge, work department, and working position. 4. The subject's person-centered nursing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nursing competency perception (r=.28, p<.001) and moral sensitivity (r=.26, p<.001). 5.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person-centered nursing of the subjects. As a result, nursing competency perception (β=.22, p=.001), moral sensitivity (β=.23, p<.001) was found to affect the subject's person-centered nursing,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14.6%. Summarizing the above results, nursing competency perception and moral sensitivity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on the person-centered nursing performance of intensive care unit nurses in tertiary general hospitals. Therefore, Health care policymakers and nursing managers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development and provision of educational programs that enhance nursing competency perception and moral sensitivity in order to improve the person-centered nursing performance of intensive care unit nurses.

      • 정신간호사의 공감역량, 도덕적 민감성, 인권의식이 인간중심간호에 미치는 영향

        조하리 전남대학교 2024 국내석사

        RANK : 1646

        목적: 본 연구는 정신간호사의 공감역량, 도덕적 민감성, 인권의식과 인간중심간 호의 정도를 확인하고, 인간중심간호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방법: 본 연구는 정신간호사회 회원 중 정신건강의학과 병동에 1년 이상 근무 하고 있으며,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자발적으로 참여에 동의한 간호사 172 명을 대상으로 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본 연구의 자료는 2023년 9월 26 일부터 10월 3일까지 온라인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되었다. 연구대상자와 관 심변수의 분포와 정도는 기술통계로 분석하였고,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간중심간호 수준의 차이는 Independent t-test, ANOVA로 분석하였으 며, 사후검정 분석은 Scheffe test를 실시하였다. 공감역량, 도덕적 민감성, 인 권의식 및 인간중심간호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으며, 인간중심간호의 관련 요인은 선형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는 총 172명으로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35.9±8.26세였고, 여자가 129명(75.0%), 미혼이 87명(50.6%), 학사졸업(4년제)이하가 155명(90.1%)으 로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대상자의 총 임상 경력은 평균 10.62±8.07년이고 그 중 정신과 근무경력은 평균 6.32±6.46년이었다. 자격 면에서는 정신건강간호사 및 정신전문간호사가 120명(69.8%), 직위별로는 일반간호사가 133명(77.3%)이 었다. 인간중심간호에 대한 교육경험은 있음이 80명(46.5%), 없음이 92명 (53.5%)로 분포되었다. 2. 대상자의 공감역량 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 4.24±0.61점, 도덕적 민감성 정도는 7점 만점에 평균 5.37±0.80점, 인권의식 정도는 2점 만점에 평균 0.95±0.89점, 인간중심간호 5점 만점에 평균 4.42점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직무관련 특성에 따른 인간중심간호 수행 정도는 유의한 차 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4. 대상자의 인간중심간호는 공감역량(r=.720, p<.001), 도덕적 민감성(r=.587, p<.001), 인권의식(r=.601,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인간중심간호 관련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공감역량(β=.515, p<.001), 인권의식(β=.264, p<.001)이 인간중심간호수행에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모형의 설명력은 58%이었다. 결론: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정신간호사의 인간중심간호 수행에 공감역량 과 인권의식이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신간호사의 인간중심 간호 수행의 향상을 위해 공감역량, 인권의식을 높이기 위해 다각적인 전략 및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주요용어 : 정신간호사, 인간중심간호, 공감역량, 도덕적 민감성, 인권의식

      • 중환자실 간호사의 조직몰입, 간호근무환경, 공감역량과 인간중심간호의 관계

        박유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631

        인간중심간호란 환자를 독립적인 존재로 존중하고 개별 특성과 반응을 인정하며 대상자 중심 소통을 통해 돌봄을 제공하는 것이다. 인간중심간호의 다양한 긍정적 효과가 보고되고 있으나, 중환자실은 주로 환자의 질병 치료 과정에 집중하고 있어 인간중심간호 제공이 어려운 환경이다. 하지만 중환자들은 낯선 환경에서 고립감과 공포감 등 부정적 경험을 하게 되고, 중환자실 퇴실 후에도 집중치료 후 증후군 등으로 고통을 받는다. 이에 최근 들어 중환자에게도 인간중심간호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주장이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환자실 인간중심간호와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중환자실에서의 인간중심간호 향상에 기여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2022년 7월 25일부터 8월 31일까지 서울특별시 소재 1개 상급종합병원의 성인 중환자실 간호사 135명을 대상으로 시행된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연구이다. 대상자의 조직몰입, 간호근무환경, 공감역량 및 인간중심간호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자가 기입 설문조사 방식을 사용하였다. 조직몰입은 Mowday 등(1979)이 개발하고 이명하(1998)가 번안, 장경화(2010)가 수정한 조직몰입 측정도구(Organizational Commitment Questionnaire, OCQ)로 측정하였고, 간호근무환경은 이효진 등(2021)이 개발한 한국형 중환자실 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 측정도구(Nursing Work Environment Scale for Critical Care Nurse, NWES-CCN)로 측정하였다. 대상자의 공감역량은 Lee와 Seomun(2016b)이 개발한 간호사의 공감역량 측정도구(Compassion Competence Scale, CCS)로 측정하였으며, 대상자의 인간중심간호는 이진주(2018)가 개발한 인간중심 간호 측정 도구(Person Centered Nursing Assessment Tool, PCNAT)로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8.0 program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빈도, 백분율,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와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성별은 여성이 116명으로 85.9%를 차지했고, 연령은 20대가 88명(65.2%)로 가장 많았다. 미혼이 116명(85.9%), 종교는 무교가 90명(66.7%)이었다. 학력은 학사 졸업이 107명(79.3%)을 차지했으며, 간호사로서의 총 경력은 3년 이상 5년 미만이 38명(28.1%), 현재 근무하는 중환자실 근무 경력은 3년 이상 5년 미만이 47명(34.8%)으로 가장 많았다. 근무부서는 내과계열이 68명(50.4%)으로 절반을 차지했고, 현재 직위는 일반간호사인 경우가 대부분(107명, 79.3%)이었다. 인간중심간호에 대해 들어본 경험이 있는 경우가 102명(75.6%)이었다. 둘째, 대상자의 인간중심간호는 25~125점을 범위로 하며 평균 98.36±9.55점이었다. 셋째, 대상자의 조직몰입, 간호근무환경, 공감역량은 5점 만점에 각각 평균 3.56±0.43점, 3.66±0.47점, 3.82±0.38점이었다. 넷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간중심간호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하위 영역 중 개별화 영역에서는 간호사로서의 총 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경력이 6개월 이상 1년 미만인 간호사보다 5년 이상 10년 미만인 간호사, 10년 이상인 간호사가 개별화 영역에서 더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F=2.709, p=0.333). 다섯째, 대상자의 인간중심간호는 조직몰입(r=.40, p<.001), 간호근무환경(r=.36, p<.001), 공감역량(r=.80, p<.001)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중환자실 인간중심간호는 조직몰입, 간호근무환경, 공감역량과 모두 중요한 관련이 있다. 따라서 중환자실 간호사의 조직몰입, 간호근무환경, 공감역량 향상을 위한 개인적 및 조직적 차원에서의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본 연구 자료를 기초로 하여 중환자실 간호사의 인간중심간호 수행 향상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과 같은 후속 연구를 제언한다. Person-centered care is to respect patients as independent beings and to provide care with patient-centered communication. While various positive effects of person-centered care have been reported, it is likely to be overlooked in the intensive care unit(ICU). This is because intensive care traditionally emphasizes medically orientated care coupled with a highly technological environment. However, critically ill patients have negative experiences such as isolation, fear in an unfamiliar environment, and suffering from Post-Intensive Care Syndrome(PICS) even after leaving the ICU. Accordingly, it has been emphasized that person-centered care should be actively conducted for critically ill patients in ICU.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factors related to person-centered care in ICU, and through this, to contribute to improving person-centered care in ICU. In supporting nurses to provide effective person-centered care in the ICU environment, it is crucial to identify which factors are related to their delivery of high-quality person-centered care. This study conducted an analys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person-centered care and other organizational and personal factors, includ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compassion competence of ICU nurses. This is a descriptive study, and the data was collected from 135 nurses working in the adult intensive care units of S hospital in Seoul, from July 25th to August 31st, 2022. Self-reported questionnaires were used.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measured using a modified Organizational Commitment Questionnaire(OCQ), whose origin was developed by Mowday et al(1979). This study employed Nursing Work Environment Scale for Critical Care Nurse(NWES-CCN) developed by Lee et al(2021) to measure the nursing work environment. It also used Compassion Competence Scale(CCS) designed by Lee & Seomun(2016b) to measure compassion competence. Also, person-centered care was measured using a Person Centered Nursing Assessment Tool(PCNAT) by Lee(2018). The SPSS 28.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1) The total score of person-centered care was 98.36±9.55, in the range of 25-125 points. 2) The mean score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compassion competence were 3.56±0.43, 3.66±0.47, and 3.82±0.38, respectively. 3)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erson-centered care and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However, the individualization area, one of the sub-categories of person-centered care,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linical career as a nurse. Nurses with more than five years and less than ten years of clinical career and nurses with more than ten years of clinical career had higher scores than those with more than six months and less than one year of clinical career (F=2.709, p=0.333). 4) The study found that person-centered care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r=.40, p<.001), nursing work environment(r=.36, p<.001), and compassion competence(r=.80, p<001). In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at person-centered care in ICU relates to the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compassion competence. Based on this study, further studies should focus on intervention strategies for organizational commitment, nursing work environment, compassion competence to improve person-centered care in this population.

      • 종합병원 간호사의 노인섬망환자 간호에 미치는 영향요인

        김지해 가천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613

        국문초록 종합병원 간호사의 노인섬망환자 간호에 미치는 영향요인 김 지 해 (지도교수: 고 하 나) 간호학과 노인간호학 전공 가천대학교 간호대학원 본 연구는 급성기 질환 치료가 집중되는 종합병원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노인섬망간호 수행 정도, 노인섬망 관련 지식, 인간중심간호와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 정도를 파악하고, 노인섬망환자 간호수행과의 관련성을 확인하여 노인섬망환자 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I시 소재 일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들 중,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에 동의한 간호사 14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자가 속한 기관의 연구윤리심리위원회(IRB: Institutional Review Board)의 승인을 받아 2022년 3월 24일부터 4월 6일까지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진행하였으며,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노인섬망간호 수행, 섬망 지식, 인간중심간호,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에 대한 설문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정, 분산분석, 피어슨상관관계 계수와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연령과 임상경험, 직위, 근무지, 섬망교육 경험 유무에 따른 노인섬망간호 수행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섬망에 대한 지식수준은 45점 만점에 33.44(±3.89)점으로,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결과는 82.1점이었다. 인간중심간호는 5점 만점에 4.27(±.56)점,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은 5점 만점에 4.15(±.58)점이었으며, 노인섬망간호 수행 정도는 4점 만점에 3.10(±.44)점이었다. 섬망 지식은 노인섬망간호 수행과 상관관계가 없었으며(r=-.041, p=<.622), 인간중심간호(r=.518, p<.001)와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r=.472, p=<.001)은 노인섬망간호 수행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인간중심간호와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은 노인섬망간호 수행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F=8.154, p=<.001), 설명력은 30.9%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간호사의 인간중심간호와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은 노인섬망간호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섬망간호 수행을 향상시키기 위한 인간중심간호와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의 역량을 강화하고, 직위와 근무지를 고려한 대상자 수준 맞춤형 섬망간호 교육개발이 필요하며, 추후 그 효과를 분석하는 연구를 제언한다. 주제어 : 노인섬망, 지식, 인간중심간호, 환자안전관리, 섬망간호수행 Abstract Influencing Factors on Delirium Nursing for the Older Adult in General Hospital Nurse Ji-Hae Kim (advisor: Ha-Na Ko) Gerontological Nursing, Department of Nursing Gachon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Nursing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egree of nursing performance of delirium care for older adults, knowledge of delirium, person-centered care, and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for nurses in a general hospital which provided acute phase disease treatment. Among the nurses working at a general hospital in I City, 146 nurses who understood the study’s purpose and agreed to participate were included in the study. A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used from March 24 to April 6, 2022, with approval from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IRB) of the researcher’s affiliated institution. Furthermore, survey tools were used for assessing the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nursing performance of delirium care for older adults, knowledge level on delirium, person-centered care, and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 t-test, analysis of varianc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SPSS/WIN 25.0 program. Among the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rsing performance of delirium care for older adults depending on age, clinical experience, job position, workplace, and experience of delirium education. The level of knowledge about delirium was 33.44(±3.89) out of 45 points and 82.1 points converted out of 100 points. Person-centered care scored 4.27(±.56) out of 5 points,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was 4.15(±.58) out of 5 points, and the degree of delirium nursing for the elderly was 3.10(±.44) out of 4points. Person centered care(r=.518, p=<.001) and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r=.472, p=<.001)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erformance of delirium care for older adults. Knowledge level on delirium was not correlated with performance of delirium care for older adults (r=-.041, p=<.622) and person-centered care (r=.518, p<.001). Person-centered care and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nursing performance of delirium care for older adults (F=8.154, p=<.001), with an explanatory power of 30.9%. The study findings indicate that nurses’ person-centered care and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were factors influencing performance of delirium care for older adul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nurses’ capacity of person-centered care and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to improve nursing performance of delirium care for older adults and develop customized delirium care education programs considering job positions and workplace. Moreover, further studies are suggested to analyze its effect. Key wards: Delirium in Older Adults, Knowledge, Person-Centered Care, Patient Safety Management, Nursing Performance of Delirium Care

      • 상급종합병원 중환자실 간호사의 신체보호대 간호수행 영향요인

        김진영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1613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인간중심간호, 신체보호대 적용에 대한 인식, 신체보호대 적용에 대한 태도에 대한 수준을 살펴보고 올바른 신체보호대 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일개 상급종합병원 중환자실 간호사 17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23년 10월 13일부터 2023년 10월 20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수집 하였다. 대상자의 인간중심간호는 강지연 등(2018)이 개발한 인간중심 중환자 간호 측정 도구(Person-centered Critical Care Nursing)로 측정하였고, 신체보호대 적용에 대한 인식은 Evans와 Strumpf (1989)가 개발한 신체보호대 적용 인식 측정 도구(Perception of Restraints Use Questionnaire)를 김진선과 오희영(2006)이 번안하고 김무영(2017)이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신체보호대 적용에 대한 태도는 Janelli 등(1991)이 개발한 신체보호대 적용에 대한 태도 도구(Attitudes regarding Use of Restraints)를 김진선과 오희영(2006)이 번안하고 김무영(2017)이 수정 보완한 도구로 측정하였다. 신체보호대 간호수행은 Janelli 등(1991)이 개발하고 Suen 등(2006)이 수정 보완한 신체보호대 적용 관련 실무 도구(Nursing practice related to the use of physical restraints)를 최금봉과 김진선(2009)이 한국어로 번역한 도구로 측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인간중심간호는 5점 만점에 평균 3.60±0.40점이었다. 신체보호대 적용에 대한 인식은 5점 만점에 평균 3.91±0.56점이었고, 신체보호대 적용에 대한 태도는 5점 만점에 3.28±0.31점이었다. 신체보호대 간호수행은 총점 3점 만점에 평균 2.58±0.24점이었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신체보호대 간호수행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3교대 간호사의 신체보호대 간호수행 수준은 2.65±0.17점으로 2교대 간호사의 2.54±0.26점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t=-2.59, p=.011). 3. 신체보호대 간호수행은 인간중심간호(r=.41, p<.001), 신체보호대 적용에 대한 태도(r=.28, p<.001)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신체보호대 적용에 대한 인식(r=.11 p=.177)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즉, 대상자의 인간중심간호 수준이 높을수록 신체보호대 적용에 대해 기피적인 태도를 가질수록 올바른 신체보호대 간호수행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올바른 신체보호대 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인간중심간호(β=.32, p<.001), 신체보호대 적용에 대한 태도(β=.28 p<.001), 근무 형태(β=-.21, p=.004) 순으로 나타났다. 즉, 인간중심간호 수준이 높을수록, 신체보호대 적용에 대한 태도가 기피적일수록, 2교대 근무자보다 3교대 근무자가 올바른 신체보호대 간호수행 수준이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들 변수의 신체보호대 간호수행에 대한 설명력은 25.4%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F=17.70, p<.001). The study aimed to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application of physical restraints in nursing practice among intensive care unit nurses at a university affiliated hospital. A cross-sectional survey was conducted among 176 ICU nurses in a university-affiliated hospital in Gyeonggi-do. The survey, conducted from from October 13th to October 20th, 2023, utilized structured questionnaires to gather data. The subjects person-centered care was measured using the ‘Person-centered Critical Care Nursing scale Nursing’ scale developed by Kang Ji-yeon et al. (2018). Their perception of applying physical restraints was assessed using the ‘Perception of Restraints Use Questionnaire’ tool adapted by Kim Jin-sun and Oh Hee-young (2006) from the tool developed by Evans and Strumpf (1989), revised by Kim Moo-yong (2017). Attitudes toward the application of physical restraints were measured using the ‘Attitudes regarding Use of Restraints’ tool adapted by Kim Jin-sun and Oh Hee-young (2006) from the instrument developed by Janelli et al. (1991), further revised by Kim Moo-young (2017). Application of physical restraints in nursing practice was measured using the ‘Nursing practice related to the use of physical restraints’ tool developed by Janelli et al. (1991), translated into Korean by Choi Geum-bong and Kim Jin-sun (2009) after modifications by Suen et al. (2006). The main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Person-centered care scored an average of 3.60±0.40 of 5. Perceptions of physical restraints application averaged 3.91±0.56 out of 5, while attitudes toward physical restraints application averaged 3.28±0.31 out of 5. The application of physical restraints in nursing practice scored an average of 2.58±0.24 out of a total of 3 points. 2.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the application of physical restraints in nursing practic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revealed that the level of physical restraint application among nurses in a three-shift system (2.65±0.17)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nurses in a two-shift system (2.65±0.26)(t=-2.59, p=.011) 3. The application of physical restraints in nursing practic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erson-centered care (r= .41,p<.001) and attitudes toward physical restraints application (r=.28,p<.001).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found between perceptions of physical restraints application (r=.11,p=.177). This suggests that higher levels of person-centered care and more favorable attitudes toward physical restraints application are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physical restraints application in nursing practice. 4.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variables significantly influencing the application of physical restraints in nursing practice were person-centered care (β=.32,p<.001), attitudes toward physical restraints application (β=.28,p<.001), and work pattern (β=.21,p=.004), in that order. This indicates that higher levels of person-centered care, more unfavorable attitudes toward physical restraints application, and being in a three-shift system were associated with a higher level of application of physical restraints in nursing practice. These variables collectively accounted for 25.4% of the variance in the application of physical restraints and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17.70, p<.001)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