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김예지 졸업 공연 "We are not different"

        김예지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63

        본 논문은 실용음악학과 석사과정의 이수를 위한 졸업 공연 "We are not different"에서 발표된 자작곡들의 내용을 분석한 논문이다. 본 논문은 대학원에서 습득한 음악 이론 및 작곡 기법, 편곡 기법 등의 지식을 바탕으로 공연 곡의 악곡 형식, 악기 편성, 음악적 특징 등 각 작품에 대한 주제와 내용에 대한 설명 및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공연은 "We are not different"라는 주제로, 공연의 네 번째 연주 곡으로 지정한 작품이기도 하다. 한 개인의 관점에서 특정 상황이나 사물을 사유(思惟)한 경험이, 넓은 관점에서는 그 사람에게만 경험해 본 일이 아니라 타자(他者) 역시 그의 삶의 시각에서 비슷한 경험이 있고, 비슷한 생각을 해봤을 것이라고 생각 한 부분에서 출발하였다. 또 한 바로 그 지점에서 동병-상련(同病相憐)의 마음을 느낌으로, 한 개인이 위로를 얻는다는 주제를 담고 싶었다. 모든 곡 들은 일상에서 바라본 관찰과 시선에 주목해서 작업했다. 졸업 작품은 총 6곡의 자작 곡으로 구성되어있다. 본 논문을 통하여 공연의 내용이 상세히 전달되고 공연의 기획 및 의도가 잘 전달되기를 바란다.

      • 대학생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대인관계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자기개념명확성의 매개효과

        김예지 동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 문 초 록 대학생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대인관계유능성 : 자기개념명확성의 매개효과 김예지 동신대학교 대학원 상담심리학과 (지도교수 송 연 주)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및 세 가지 하위요인(완벽주의적 자기노력, 불완전함 은폐노력-행동적, 불완전함 은폐노력-언어적)과 대인관계유능성의 관계를 확인하고,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및 세 가지 하위요인과 대인관계유능성의 관계에서 자기개념명확성의 매개효과가 유의한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G시 및 J지역에 소재한 대학교의 남·여 대학생 513명을 대상으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대인관계유능성, 자기개념명확성 척도를 실시한 후, 수집된 자료는 SPSS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 변인들 간 관련성을 분석하고, Baron과 Kenny의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Sobel 검증을 통해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및 세 가지 하위요인과 대인관계 유능성, 자기개념명확성 간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완벽주의적 자기노력과 대인관계유능성은 정적상관을 나타냈고, 불완전함 은폐노력-언어적은 대인관계유능성과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반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의 총합과 불완전함 은폐노력-행동적은 대인관계유능성과의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지 않았다.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총점 및 3개 하위요인은 모두 자기개념명확성과 부적상관을 나타냈고, 대인관계유능성과 자기개념명확성은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대인관계유능성의 관계에서 자기개념명확성이 매개하는지 살펴보았다. 완벽주의적 자기노력과 대인관계유능성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완전함 은폐노력-언어적과 대인관계유능성의 관계에서는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의 총합과 불완전함 은폐노력-행동적은 대인관계유능성 간의 관계에서 자기개념명확성의 매개효과를 가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완벽주의적 자기제시는 타인에게 극단적으로 완벽한 인상을 주기 위해 과도한 노력을 할 뿐 타인과 효과적으로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능력에는 영향을 주지 않음을 의미한다. 위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주요 용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완벽주의적 자기노력, 불완전함 은폐노력-행동적, 불완전함 은폐노력-언어적, 대인관계유능성, 자기개념명확성 Abstract College Student's Perfectionistic Self Presenta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oncept Clarity Kim Ye Ji Counseling Psychology The Graduate School Dongshin University (Direct by Professor Song Yeon ju)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college student's perfectionistic self presentation, three factors of perfectionistic self presentation(Perfectionistic Self Promotion, Nondisplay of Imperfection, Nondisclosure of Imperfection),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oncept clarity on the previous relationship. To conduct this study, questionnaires on perfectionistic self presentation,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self-concept clarity were administered to 513 college students in G city and J province.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through SPS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proposed by Baron & Kenny(1996), Sobel test(Sobel, 1982) to analyze the correlation among the variables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oncept clarity.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llege student's perfectionistic self presentation, three factors of perfectionistic self presenta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proved to be significantly correlated. Perfectionistic self promotion turned out to be positively correlated with interpersonal competence, while nondisclosure of imperfec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interpersonal competence. On the other hand, the correlation between total perfectionistic self presentation and nondisplay of imperfection did not prove to be significant. Total perfectionistic self presentation and three factor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lf-concept clarity, while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self-concept clarity were positively correlated. Seco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oncept clar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tic self presenta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Self-concept clarity appeared to play the role as a partial mediator between perfectionistic self promo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Self-concept clarity has been shown to fu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nondisclosure of imperfec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However, total perfectionistic self presentation and nondisplay of imperfection were found not to mediate the influence of self-concept clarity on interpersonal compet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perfectionistic self presentation only means a heroic effort to give a perfect impression to others, although it does not contribute to forming and maintaining the relationships with others effectively.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key words: Perfectionist Self Presentation, Perfectionistic Self Promotion, Nondisplay of Imperfecion, Nondisclosure of Inperfection, Interpersonal Competence, Self-Concept Clarity

      • 상상의 이미지를 투영한 유희적 표현

        김예지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47

        유희는 인간 생활 속에 자연스럽게 녹아들어 있는 기본적이고 보편적인 정신요소 중의 하나로, 원초적인 흔적은 어린아이들의 ‘놀이’에서 찾을 수 있다. 이는, 인간의 본성 중에는 즐거움을 찾으려는 유희의 정서가 크게 내재되어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며, 인간은 어릴 적부터 무의식적으로 유희를 추구해 왔음을 방증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유희의 즐거움을 삶의 가장 큰 목표로 삼고 있으며, 유희의 감정이 본인의 행복과 직결된다고 여기고 있다. 이에 따라 지루할 수도 있는 삶에서 즐거움을 만끽하기 위해 ‘상상’이라는 정신 활동을 수시로 활용하며 지낸다. 본 연구자에게 있어서 ‘상상하는 것’은 평범할 수도 있는 일상을 좀 더 재미있고 흥미롭게 보내기 위한 습관 중의 하나이며, 이는 곧 유희적인 요소로 작용하는 ‘놀이’의 한 종류라고 할 수 있다. 상상은 현실 세계에서 이루어낼 수 없는 소소한 욕망을 실현시켜 주고, 자유로움과 즐거움을 만끽하게 해준다. 또한 이러한 상상 속 이미지들을 가치 있는 조형으로 표현하는 것은 또 다른 창조의 유희를 만끽하게 해주며, 이는 즐거움을 배가시키고 가장 순수하고 자유로운 ‘나’를 마주하게 해준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상상’을 활용하여 유니크하고 재미있는 캐릭터 오브제를 제작함으로써 사람들에게 무궁무진한 상상의 즐거움을 선사하고자 하였다. 작품들은 시즌 1과 시즌 2로 나누어 각각 스토리를 구성하였으며 시즌 1에서는 6개의 작품을 시리즈로, 시즌 2에서는 4개의 작품을 시리즈로 제작하였다. 첫 번째 시즌은 ‘Welcome to my world’라는 제목으로서, 본인의 상상 속에 등장하는 6종의 캐릭터를 작품으로 제작한 것이고, 두 번째 시즌은 ‘Hello my moldy friends’라는 제목으로서, 지하 세계에 살고 있는 4종류의 곰팡이들을 상상하며 작품을 제작한 것이다. 상상의 세계를 표현한 본 연구 작품들이 즐거움과 긍정적인 에너지를 전달하기 위한 매개체로서, 관조자들에게 독특한 즐거움이 있는 환상적 상상의 세계를 선사할 뿐만 아니라, 각자의 순수하고 즐거웠던 순간의 감정들을 떠올리며 소소하고도 묘한 웃음을 지을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기를 기대해 본다. Amusement is a fundamental and universal psychological element that is inherent to human life, and the primitive form of amusement can be found in children’s ‘play’. In other words, seeking amusement is part of human nature and we unconsciously and constantly seek to have fun. As the author of this research, I consider the fun of amusement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goals in life, and believe that emotions associated with amusement are directly related to personal happiness. ‘Imagination’ as a mental activity is a useful tool for me to have fun in a life that otherwise can be mundane and routine. ‘The act of imagining’ is one of my habits to make ordinary everyday life more fun and interesting, and it is also a form of play that serves as a amusing element. Imagination allows me to realize whimsical desires that cannot be indulged in reality and to feel free and pleasure. Expressing these images from my imagination in art forms is a way of increasing the pleasure of creation, which provides more fun and lets me discover ‘myself’ as an innocent and free-thinking individual. In this paper, ‘imagination’ is used as a tool to create unique and fun character objects, thereby sharing the fun of unlimited imagination with others. These works are combined to make stories in two seasons. Season 1 is made up of 6 works and Season 2 consists of 4 works. The title of Season 1 is “Welcome to My World” in which 6 kinds of character from my imagination make a full story. Season 2, “Hello, My Moldy Friends” is a story based on my imagination of 4 different kinds of fungus growing in the underground world. The works in this research that expresses the world of my imagination are expected to serve as a medium for delivering fun and positive energy, usher viewers in the fantastic world of imagination and unique fun, and remind them of the feelings they had in their blissful innocence, giving them oddly-pleasing and satisfying smiles and giggles.

      • 영어 사역구문에 관한 연구 : 제약기반문법을 중심으로

        김예지 강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영어를 포함한 모든 자연언어의 문장은 그 구조가 단순하거나 복잡할 수 있다. 문장이 단순히 하나의 핵심이 되는 어휘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그 구조는 비교적 단순하다. 반면에 하나의 문장 안에 핵심이 되는 어휘가 두 개 이상 존재하여 하위절(embedded clause)을 그 내부에 포함하는 상위절(matrix clause)로 이루어지는 하나의 문장은 그 구조가 예상보다 훨씬 더 복잡하다. 이러한 다양한 보문구조(complement structure)를 가진 문장의 상위절과 하위절을 연계하여 그 전체구조를 기술하는 방법은 그리 간단하지 않다. 이러한 이유로 보문구조는 어떠한 문법이론이라도 반드시 기술해야 하는 언어의 주요한 현상으로 여겨져 왔다. 대개 보문구조의 대표적인 유형은 통제구문(control construction)과 인상구문(raising construction)으로 대표된다. 이 두 구문 중 통제구문에 해당하는 사역구문(causative construction) 또한 그 간의 많은 연구의 대상이 되어 왔다. 본 논문의 대상은 바로 이러한 복잡한 보문구조를 가진 사역구문과 그 문장의 핵심이 되는 어휘인 사역동사들과 관련된 문법적 현상들이다. 사역구문에 대한 기존의 논의는 Lakoff(1965, 1966, 1967), Rosenbaum(1967), Ross(1967), McCawley(1968), Kiparsky and Kiparsky(1968), Postal(1969), Geis(1970, 1973), Jackendoff(1972), Chomsky(1980), 안승신(1986), Pollard & Sag(1994), Sag, Wasaw, and Benders(2003), 조세연(2009) 등이 있다. 더불어 본 논문의 연구대상은 영어의 전형적인 사역동사인 cause, make, have, get 으로 한정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영어 사역구문의 특성을 통사적, 의미적, 화용적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형식화하기 위하여 제약기반(constraint-based)문법 이론에 입각한 어휘유형 계층체계(lexical type hierarchy)와 어휘목록(lexical entry)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Ⅱ장에서는 그간의 사역구문에 관한 연구가 중심이 되었던 목적어 통제동사(object control verbs)가 어떻게 구성되느냐 보다는 Geis가 주장한 다양한 특성을 살피고 그것을 어떻게 분석했는냐에 대해 최근 분석들을 살펴본다. Ⅲ장에서는 제약기반문법 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영어 사역구문에 대해 분석한다. Ⅲ장의 1에서는 이 논문의 논지를 이끌어 가기 위한 이론적 토대로 사용되는 핵어중심 구구조문법(HPSG)을 간략히 소개하고 HPSG를 기술하는데 사용되는 기제로써 원리와 규칙에 대한 개요를 제시한다. Ⅲ장의 2에서는 조세연(2009)에서 Geis가 제시한 사역동사의 다섯 가지의 특질을 HPSG에 의해 어떻게 설명하는지를 제시한다. Ⅳ장에서는 제약기반문법 이론에 의한 영어 사역동사의 어휘를 분석하기 위해 영어 사역구문의 특질을 통사적 특질과 의미적 특 질로 나누어 설명한다. Ⅳ장의 1에서는 영어 사역구문에 주로 사용되는 사역동사 cause, make, have, get의 분포적 양태를 살펴 각각의 개별적 특성을 파악하고 통사적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한다. 그리고 모든 사역구문에 존재하는 의미적 인과 관계를 설정하고 기존에 논의되어왔던 사역구문에 대한 의미적 분석들을 통해 사역동사들의 의미적 속성과 차이점을 Ⅳ장의 2에서 설명한다. 사역구문에 대한 총체적이고 효과적인 분석을 위해 조세연(2009)을 바탕으로 사역동사 어휘소의 어휘목록에 통사정보와 더불어 의미정보를 상세하게 명시한 새로운 어휘목록을 제안한다. Ⅳ장의 3에서는 사역구문들의 구조를 HPSG(2003)에 기초한 수형도로 나타내어 이 논문에서 제안한 어휘목록의 어휘제약에 따라 통사정보와 의미정보가 유기적으로 상호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본 논문의 내용들을 종합 정리하여 결론을 내리고 이 논문이 제안한 분석의 장단점 및 앞으로의 연구과제들을 제시한다. This thesis attempted to explain, within the framework of the constraint-based theory, the syntactic, semantic, and pragmatic properties of English causative verb constructions. Among English causative verbs, it focused on cause, make, have, and get. Early theses on various properties of English causative constructions employed, under the Generative Semantics framework, transformational rules, which assume underlying structures for causative constructions. Geis (1973) provided idiosyncratic properties of English causative constructions by giving various data and proposed some transformational rules such as the Agent Creation rule and rule ordering, to account for the syntactic and semantic aspects of causative verbs. In contrast, Cho (2009) took, as its theoretical framework, Head-driven Phrase Structure Grammar (HPSG) under a constraint-based analysis and proposed a few lexical constraints in order to explain the properties of English causative constructions provided by Geis. This thesis fully adopted the points of Cho's argument, and then not only examined the syntactic properties of each causative verb more specifically, but also represented the semantic and pragmatic properties in terms of the lexical constraints proposed by Cho and existing grammatical tools in HPSG. To describe the syntactic properties of English causative constructions, this thesis examined the syntactic distributional behaviors of causative verbs such as cause, make, have, and get and specified the lexical entries of them. Although these causative verbs belong to the same category, causative-verb-lexeme (causv-lxm) in the lexical hierarchy Cho presented, each verb exhibits syntactically idiosyncratic properties. On this basis, this thesis describes the syntactic information of each causative verb by specifying each relevant lexical entry. Also, with respect to semantic and pragmatic properties of English causative constructions, this thesis explains the relation between cause and effect of causative constructions and examines the semantic and pragmatic properties of each causative verb. In considering the meanings of causative constructions, this thesis explains the semantic and pragmatic information of causative constructions by describing the semantic part of lexical entries Cho provided in much more detail and by specifying the pragmatic part of lexical entries. This results in an integrated analysis of English causative constructions covering all syntactic, semantic and pragmatic aspects. Finally, this thesis gives some examples and tree diagrams based on HPSG(2003). By applying the rules and principles of HPSG, this thesis accounts for how syntactic, semantic, and pragmatic information of a causative verb interacts systematically in a causative sentence. This thesis has four strong points. First, by giving a few lexical constraints this thesis refrains from generating abundant grammar rules. Second, it classifies verb types more specifically by adopting the lexical hierarchy Cho presented and adding some causative verbs to causv-lxm. Third, in describing lexical information of a causative verb, it includes the pragmatic information which relates to some contextual or situational meanings as well as the semantic information which relates to the literal meaning. Finally, it describes the relevant lexical information effectively since it specifies all the syntactic, semantic, and pragmatic information of a causative verb within the well organized lexicon of HPSG (2003).

      • 초등학교 학부모들의 식품첨가물 인식에 기초한 안전 식생활 교육용 앱 개발

        김예지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식품첨가물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갖고 안전한 식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초등학교 학부모들의 식품첨가물에 대한 인식 및 정보 요구도를 조사하여 그것을 바탕으로 스마트폰용 앱으로 개발한 후, 이를 학부모들에게 적용하여 보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식품첨가물의 바른 인식에 대한 선행 연구 및 교육 자료를 연구하고, 관련 전문가의 자문을 거친 후 식품첨가물에 대한 전반적인 인지 정도, 학부모들의 관심도가 높은 식품첨가물, 식품첨가물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등에 관한 설문을 작성하였다. 여기에 식품첨가물 관련 교육 경험 여부, 교육 및 홍보의 요구도, 식품첨가물 관련 정보 제공 기관별 신뢰도, 스마트 기기 보유 여부 및 종류별 보유 현황, 앱을 통해 알고 싶은 내용에 대한 문항까지 포함하여 총 33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서울, 경기 지역 초등학생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365부를 배포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358부의 유효한 응답을 얻었고, SPSS 18.0 (ver. )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부모들은 식품첨가물에 대해 정확한 정보를 얻지 못한 채 각종 매체의 영향으로 인한 불안감만 가지고 있으며, 바른 인식을 가지기 위한 적절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답하였다. 이러한 설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전문가의 자문을 거쳐 앱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식품첨가물 교육용 앱 ‘식품첨가물 바로 알기’는 정보 요구에 맞춰 총 5개의 부분으로 구성하여 알기 쉽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첫째, ‘식품첨가물이란’, 둘째, ‘식품첨가물 안전한가?’, 셋째, ‘식품표시를 읽자’, 넷째, ‘식약처의 안전 관리’에서는 식품첨가물의 전반적인 개요, 식품첨가물의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안전성 평가, 1일 섭취 허용량의 개념, 식품을 통한 식품첨가물의 섭취량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하였고, 다섯 째 부분은 ’식품첨가물 고소사건‘ 애니메이션을 탑재하여 스토리를 통해 식품첨가물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개발된 앱을 서울시 소재 초등학교 학부모 27명을 대상으로 시범 적용한 결과, 식품첨가물에 대한 바른 인식을 정립하는 데에 많은 도움을 얻었다는 긍정적인 응답을 얻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개발한 스마트폰용 앱은 초등학교 학부모들에게 식품첨가물에 대한 바른 정보 전달, 식품 안정성에 대한 인식 함양은 물론 가공 식품에 대한 불안감에서 벗어나는 데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 앱은 학부모들에게 식품 첨가물에 대한 바른 생각을 갖게 하는 매개체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식품 첨가물 뿐만 아니라, 우리의 안전 식생활을 위협하는 여러 요소들에 대한 교육용 매체가 만들어져 활용될 수 있도록 꾸준한 연구가 요구된다.

      • 자기의식과 일상만족이 신기성 욕구에 미치는 영향 : 탈일상동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예지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boundaries between daily life and tourism are gradually fading. Tourism types deviate from the concept of traditional tourism that presupposes extraordinary space and time. Tourism Needs and lifestyles are diversifying, ranging from the desire not to travel to the desire to travel much. As such, the distinction between daily life and tourism is becoming ambiguous due to diversification of individual tourism needs and lifestyle. Similar tourism experiences in daily life are accelerating, but academic research is insufficient. In order to comprehensively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aily life and tourism, this study used C. G. Jung's individuation theory as a conceptual framework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lf-consciousness and Life satisfaction on Novelty need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Escapism motivation. The survey targets 600 residents aged 20 to 70 living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The proportional allocation method of age, region was applied. Based on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August 22 to August 25, 2022. For the analysis of the finally obtained dat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Amos 24 and SPSS 25 statistical programs. The relationship between daily life and tourism was quantitatively investigated on how the degree of self-consciousness in daily life affects Life satisfaction, how it affects the desire to escape from daily life according to Life satisfaction, and finally, how it affects the desire to pursue newness in tourism. First, self-consciousness had a nega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and second, self-consciousness had a positive(+) effect on both self-expansion and self-avoidance, and the higher the level of self-consciousness in daily life, the higher the escapism motivation. Third, Life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scapism motivation, and in detail, Life satisfac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he escapism motivation, and the lower the satisfaction, the higher the escapism motivation.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effect of Life satisfaction on novelty Need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Self-expansion and Self-avoidance had an indirect effect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Novelty Needs. Fifth, Escapism Motiv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Novelty Needs. In detail, As self-expansion increases the Novelty Needs. However, Self-avoidance decreases the Novelty Need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daily life and tourism was adjusted according to youth and middle age, which are the period of individuation. This study attempted a new interpretation of various forms of tourism including daily life and tourism needs. It is of great significance that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daily life and tourism has been integrally interpreted from the perspective of Jung's theory of individuation. 일상과 관광의 경계가 점차 희미해지고 있다. 전통적인 관광 즉, 비일상적인 공간과 시간을 전제로 하던 관광 개념에서 벗어난 일상을 포함하는 관광의 형태가 빠르게 늘고 있다. 집에서 휴식, 명상 등 여가활동을 하면서 크게 여행하고 싶지 않은 욕구에서부터 디지털 기기를 가지고 다니며 일과 여행을 병행하는 높은 관광욕구 등 관광욕구와 라이프스타일이 다변화되고 있다. 이처럼 개인의 관광욕구 다양화, 라이프스타일 다변화에 따른 일상과 관광의 구분이 모호해지고 있다. 또한 일상에서 유사 관광경험 등을 통해 일상에서의 충족화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으나, 학술적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일상과 관광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융(C. G. Jung)의 개성화 이론을 개념적 틀로 삼아 일상에서의 자기의식과 일상만족이 신기성 욕구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탈일상동기의 매개효과를 규명하였다. 조사대상은 서울시와 인천광역시, 경기도에 거주하는 만 20세 이상 70세 미만의 도시민 600명이다. 연령별, 지역별, 성별 구성비를 기준으로 비례할당방식을 적용하였다. 구조화된 설문지를 바탕으로 2022년 8월 22일부터 8월 25일간 조사가 진행되었다. 최종 확보된 데이터의 분석을 위해 Amos 24, SPSS 25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일상에서 느끼는 자기의식 정도가 일상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일상만족에 따라 일상을 벗어나고자 하는 탈일상동기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와 최종적으로 일상과 다른 새로움에 대한 관광욕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일상과 관광의 관계를 정량적으로 규명하였다. 연구 결과, 첫 번째로 자기의식은 일상만족에 음(-)의 영향을 주어, 자기의식이 높아질수록 일상만족이 낮아졌다. 두 번째로 자기의식은 탈일상동기인 자기확장과 자기회피 모두 양(+)의 영향을 가져, 일상에서의 내적 자아, 외적자아, 타인과의 상호작용에서의 불안감 등 자기의식 수준이 높을수록 일상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탈일상동기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로 일상만족은 탈일상동기에 음(-)의 영향을 가져 일상에서 만족감이 낮을수록 일상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탈일상동기가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네 번째로 일상만족이 신기성 욕구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일상만족과 신기성 욕구의 영향관계에서 탈일상동기인 자기확장과 자기회피가 매개변수로 적용하여 간접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검증하였다. 다섯 번째로 탈일상동기는 신기성 욕구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긍정적인 결과를 추구하기 위한 탈일상동기인 자기확장이 높아질수록 신기성 욕구는 높아지는 반면, 일시적으로 불안한 생각을 제거하기 위한 탈일상동기인 자기회피가 높아질수록 신기성 욕구는 낮아졌다. 또한 개성화 시기인 청년기와 중년기에 따라 일상과 관광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일상을 포함한 관광의 다양한 형태와 관광욕구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였다. 관광을 일상과 상반된 개념으로 다뤄온 전통적인 관광에서 더 나아가 일상과 관광의 영향관계를 융(Jung)의 개성화 이론의 관점으로 통합적으로 해석했다는 것에 큰 의의가 있다.

      • 기업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ESG Materiality 이슈 분석

        김예지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투자자, 규제 기관 및 정책 입안자의 요구로 인해 기업가치에 영향을 미치는ESG Materiality정보 공시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고 있다. 하지만 현업은 ESG Material Issue에 대해 인지하지 못하고 있으며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어려워 공시 자체를 할 수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ESG Materiality(중요성)에 대한 개념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는 어떤 ESG Issue가 있는지를 알기 위해 ESG Materiality 관련된 Dimension별 세부 이슈 파악 및 정리하고 얼마나 중요한지를 알기 위해 계량 경제 모델 테스트를 통해 ESG Materiality Issue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ESG Material Issue는 미래 기업가치인 Tobin’s q에 긍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나 ESG Immaterial Issue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산업군 별 ESG Material Issue를 세부적으로 분석한 결과 산업군별 중ESG Material Issue에 대해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Issue 와 유의미한 영향이 없는 Issue 가 있었다. 또한ESG Immaterial Issue에 있어서도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Issue 와 유의미한 영향이 없는 Issue 가 산업군별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ESG와 기업가치 관련 문헌에 ESG Materiality를 탐색함으로써 새로운 연구 동기를 부여하였으며 공시 관련 연구에 있어 의사결정의 유용성 제고하였다는데 학술적 기여점이 있다. 또한 평가회사/투자회사/기업/Standard 입장에서 다양한 ESG Issue 중 Materiality에 따라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한 것에 실무적 의의를 가진다. Regulations on the disclosure of ESG materiality information that affects corporate value are being reinforced owing to demands from investors, regulators, and policy makers. However, some businesses are not aware of the ESG material issues, and it is difficult to identify the impact on corporate value, making it impossible to disclose. Therefore, this study utilized the concept of ESG materiality. There are studies on the usefulness of ESG disclosure in decision-making, little is known about the impact of ESG materiality on corporate value. Hence, this study identified and organized detailed issues per dimension related to ESG materiality in order to identify which ESG issues exist and confirmed the impact of ESG materiality issues on corporate value through an econometric model test to determine how important they are. ESG material issues had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Tobin's q, the future corporate value, but ESG immaterial issues were not significant. Detailed analysis of ESG material issues by industry group was thereby performed, and there were issues that had a significant impact on ESG material issues by industry group and issues that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In addition, in ESG immaterial issue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issues with a significant impact and issues without a significant impact by industry group. This study has academic contributions in that it provides motivation for new research by exploring ESG materiality in literature related to ESG and corporate value and improves the usefulness of decision-making in research related to disclosure. In addition, it has practical significance in establishing a basis for decision-making according to materiality among various ESG issues from the perspective of evaluation companies/investment companies/corporations/standards.

      • 노인을 위한 정보-동기-행동기술 모형에 기반한 근감소증 예방 및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

        김예지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노인을 위한 IBM 모형에 기반한 근감소증 예방 및 중재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이다. 2021년 8월 2일부터 2021년 9월 17일까지 D시 소재 노인복지관 2곳을 편의 추출하여, A복지관은 실험군 25명, B복지관 대조군 25명을 대상으로 자료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Version 28.0, R language version 4.0.3 (R Foundation for Statistical Computing, Vienna, Austria), T&F software version 3.0 (YooJin BioSoft, Kore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Chi-square test, Independent t-test, Linear trend 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노인을 위한 IBM 모형에 기반한 근감소증 예방 및 중재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신체수행능력이 호전될 가능성은 12.38이였고(95% CI=1.42-107.74, p=.002) 근감소증 진단 지표 개수가 감소로 관측될 가능성은 6.50이였다(95% CI=1.52-27.78, p<.001). 또한 실험군과 대조군의 근감소증 관련 삶의 질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8.02, p<.001). 그러나 실험군과 대조군의 근육량(OR=3.12, 95% CI=0.12-80.40, p=1.000)과 근육강도(OR=2.00, 95% CI=0.33-12.12, p=.153)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 노인을 위한 IBM 모형에 기반한 근감소증 예방 및 중재 프로그램은 신체수행능력의 호전과 근감소증 진단 지표 개수의 감소 및 근감소증 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근감소증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중재로 활용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sarcopenia prevention and intervention program based on Information-Motivation- Behavioral skill model for the elderly. The period of data collection was from August 2021 to September 2021.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elderly people who attended seniors welfare A and B centers in Daegu City, Korea. Participants included 25 experimental groups in welfare center A, and 25 in the control group in welfare center B.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 Independent t-test, and a Linear trend test using the SPSS program version 28.0 and the R language version 4.0.3 (R Foundation for Statistical Computing, Vienna, Austria) and T&F software version 3.0 (YooJin BioSoft, Korea) were used for data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odds ratio of physical performance was significant at 2.37 (95% CI=1.42-107.74, p=.002), with the number of indicators used for diagnosing sarcopenia at 6.50 (95% CI=1.52-27.78, p<.001). In addition,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quality of life related to sarcopenia was observe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8.02, p<.001). However, The odds ratio of muscle mass was not significant at 3.12 (95% CI=0.12-80.40, p=1.000), with muscle strength at 2.00 (95% CI=0.33-12.12, p=.153). In conclusion, use of the sarcopenia prevention and intervention program resulted in a reduction in the number of indicators used for diagnosing sarcopenia below the cutoff in the elderly, and was verified as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related to sarcopenia.

      • 혈액투석실 간호사의 간호업무수행능력과 회복탄력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김예지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is a descriptive study to identify the impacts of nursing performance and resilience on burnout nurses in hemodialysis unit.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from December 2, 2022 to April 26, 2023 using a self-reported structured questionnaire to measure the degree of nursing performance of hemodialysis unit nurses, resilience, and burnout. The participants were 144 staff and charge nurses who worked at least 3 months in the hemodialysis unit of a medical institution in Korea. A total of 133 questionnaires were finally analyzed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SPSS) 26.0 program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n this study, the mean age of participants was 37.67±8.15 years, with 62 (46.6%) aged 30-39, followed by 40 (30.1%) aged 40-49, 20 (15%) aged 29 or younger, and 11 (8.3%) aged 50 or older. Among the participants, 82 (61.7%) had no religion, 131 (98.5%) were female, 79 (59.4%) were married, and 93 (69.9%) had a bachelor's degree. The mean clinical career was 12.66±7.88 years, with 41 (30.8%) having more than 15 years of career. The mean dialysis career was 6.03±4.99 years, with 37 (27.8%) having less than 2 years of career. 116 (87.2%) were staff nurse position, 67 (50.4%) were 12 hour shift type, and 71 (53.4%) worked at general hospitals. The average burden of arteriovenous fistula puncture was 5.43±2.09 points. 2. In this study, the mean score of nursing performance was 3.79±0.47 out of 5, the mean score of resilience was 2.46±0.57 out of 4 on a 5-point Likert-type scale, and the mean score of burnout was 3.02±0.60 out of 5. 3. In the case of nursing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F=4.63, p=.004), clinical career (F=2.79, p=.029), position (F=4.25, p=.041), and type of hospital (F=4.89, p=.003). For resilience,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y sex (F=7.26, p=.008) and marital status (F=5.17, p=.025). For burnou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y education (F=3.90, p=.023), clinical career (F=2.76, p=.031), dialysis career (F=2.80, p=.029), shift type (F=7.58, p=.001), and hospital type (F=4.27, p=.007). 4. Nursing performanc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resilience (r=.52, p<.001) and resilienc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burnout (r=-.37, p<.001), which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5. The results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explanatory power of variables for burnout in this sample was 38.8%. The effect of resilience on burnou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β=-.25, p=.011), and the higher the resilience, the lower the level of burnout.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having a master's degree or higher (β=.20, p=.047), working day time only (β=.34, p<.001), and working in a tertiary hospital (β=.34, p<.001)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influential factors on burnout.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nursing performance and resilience on burnout among hemodialysis unit nurses. The results showed that nursing performance was positively related to resilience and resilience was negatively related to burnout in nurses working at the hemodialysis unit. In conclusion, the effect of resilience on burnou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dicating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resilience, the lower the level of burnout. Therefore, this study can provide a basis for the needs to develop programs to improve nursing performance and resilience in order to reduce the burnout of hemodialysis nurses in addition to provide high-quality nursing care for hemodialysis patients. 본 연구는 혈액투석실 간호사의 간호업무수행능력과 회복탄력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2년 12월 2일부터 2023년 4월 26일까지이며, 연구 대상은 국내 의료기관 혈액투석실에서 근무 중인 혈액투석실 간호사이었다. 혈액투석실 근무경력이 최소 3개월 이상인 일반 간호사와 책임 간호사 144명을 편의 표집 추출하였다. 자료는 자가 보고형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온라인 설문 조사 방법으로 수집되었으며, 대상자 선정 제외 기준에 부합한 10부와 불충분한 응답을 한 설문지 1부를 제외하였고 총 133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연구도구는 혈액투석실 간호사의 간호업무수행능력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이은미(2008)가 간호사의 인사고과 도구 개발 연구에서 혈액투석실 간호사의 업무수행 평가도구로 개발한 것을 서정애(2015)가 수정 및 보완한 도구로 사용하였고, 회복탄력성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Connor와 Davidson (2003)이 개발한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CD-RISC)을 번역한 한국어판 코너-데이비드슨 회복력 척도(K-CD-RISC)를 사용하였으며, 소진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Kristensen 등(2005)이 개발한 코펜하겐 소진 척도(Copenhagen Burnout Inventory: CBI)를 강종수(2022)가 한국어판 CBI 척도로 개발한 것을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26.0 프로그램 이용하여 기술 통계,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linear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평균 연령은 37.67±8.15세로 30~39세 62명(46.6%), 종교는 무교 82명(61.7%), 성별은 여성 131명(98.5%), 결혼상태는 기혼 79명(59.4%), 학력은 학사 93명(69.9%)이 가장 많았다. 임상경력은 평균 12.66±7.88년으로 15년 이상이 41명(30.8%)으로 가장 많았다. 투석실 근무경력은 평균 6.03±4.99년으로 2년 미만 37명(27.8%), 직위는 일반 간호사가 116명(87.2%), 교대 근무 형태는 2교대 근무가 67명(50.4%)이며 근무 병원 형태는 종합병원이 71명(53.4%)으로 가장 많았다. 동정맥루 천자 시 부담감은 평균 5.43±2.09점으로 나타났다. 2. 연구 대상자의 간호업무수행능력은 총점 5점 만점에 평균 3.79±0.47점, 회복탄력성은 총점 4점 만점에 평균 2.46±0.57점, 소진 정도는 총점 5점 만점에 평균 3.02±0.60점이었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업무수행능력의 경우 연령(F=4.63, p=.004), 임상경력(F=2.79, p=.029), 직위(F=4.25, p=.041), 근무 병원 형태(F=4.89, p=.003)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회복탄력성의 경우 성별(F=7.26, p=.008), 결혼상태(F=5.17, p=.025)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소진의 경우 학력(F=3.90, p=.023), 임상경력(F=2.76, p=.031), 투석실 근무경력(F=2.80, p=.029), 교대 근무 형태(F=7.58, p=.001), 근무 병원 형태(F=4.27, p=.007)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간호업무수행능력은 회복탄력성과 양의 상관관계(r=.52, p<.001), 회복탄력성은 소진과 음의 상관관계(r=-.37, p<.001)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하게 나타났다. 5. 소진의 영향 요인에 대한 다중회귀분석결과, 통제변수가 종속변수를 설명하는 R2은 .388로 38.8%의 설명력을 보였다. 회복탄력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β=-.25, p=.011), 회복탄력성이 높을수록 소진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 부분 중 학력의 경우 석사 이상(β=.20, p=.047), 교대 근무 형태의 경우 상근직 근무(β=.34, p<.001), 근무 병원 형태의 경우 상급종합병원(β=.34, p<.001)은 소진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 파악되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 본 연구는 혈액투석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간호업무수행능력과 회복탄력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혈액투석실 간호사의 간호업무수행능력은 회복탄력성과 양의 상관관계, 회복탄력성은 소진과 음의 상관관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결론적으로 회복탄력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이는 회복탄력성이 높을수록 소진 수준이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혈액투석 환자에게 수준 높은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 혈액투석실 간호사의 소진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간호업무수행능력과 회복탄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궁극적으로 간호사의 소진을 감소시키는 방안 마련의 근거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대학병원 입원생활 안내문의 효율적인 정보디자인을 위한 연구

        김예지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의료서비스의 주체는 의료진 중심에서 환자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고객들은 병원으로부터의 차별화된 의료서비스를 요구하고 있다. 다양한 의료서비스 중 입원생활 안내문은 낯선 병원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입원 환자에게 제공되는 간호 정보 안내 서비스이자 의료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이다. 현재 입원생활 안내문 관련 연구는 대부분 병원 내 의료 질 향상(Quality Improvement, Q.I)과 관련된 서비스 개선 또는 만족도에 관한 것으로 보건 행정과 같은 분야에서 의료진이 주축이 되어 입원환자의 불안감을 경감시키고 의료진의 업무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측면에서만 연구되어왔다. 그러나 고객만족도향상을 위해서 입원생활 안내문은 환자 및 보호자 중심에서 정보가 선별되어야 하며 쉽고 빠르게 이해할 수 있는 시각화된 간호 정보의 형태로 제공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용자의 시각적 편의와 정보 전달의 효율성을 개선하고자 국내⋅외 입원생활 안내문의 현황을 조사하여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여 새로운 입원생활 안내문 디자인 개선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정보디자인과 입원생활안내문에 대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이론적 고찰을 실시하고 국내⋅외 병원 16개의 입원생활 안내문의 사례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일정한 기준이 없는 정보 선별과 불필요한 항목으로 인한 항목 수 증가, 안내문 사용상의 편의를 고려하지 않은 형태 등의 다양한 문제점을 발견하였으며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토대로 환자 및 보호자, 간호사 두 그룹으로 나누어 각각 50명씩, 총 100명에게 정보 습득의 효율성과 이해도, 항목의 수 및 중요도, 색상 및 형태에 관하여 사용자 의식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입원생활 안내문의 사례조사를 바탕으로 제작한 입원생활 안내문의 샘플을 사용하여 안내문의 형태와 색상에 대한 선호도 설문을 실시하였다. 사용자 의식조사 결과, 사용자 대부분 입원생활 안내문이 간단·명료하게 안내되길 원하였으며 10개 이상 15개미만의 항목을 표기하되, 중요한 항목만 컬러 표시된 양면 2페이지 리플렛 형태를 선호하였다. 그러나 항목의 중요도 설문 결과 각 사용자별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항목이 상이함을 알 수 있었다. 사례조사와 사용자 의식조사 결과를 토대로 사용자 중심의 정보를 선별하고 색, 서체, 그래픽, 레이아웃과 같은 시각적 요소들을 적용하여 사용자의 시각적 편의와 정보전달의 효율성을 향상 시키는 입원생활 안내문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입원생활 안내문 디자인 안은 지류 형태인 리플릿과 모바일 형태인 어플리케이션의 두 가지 형태로 제안하였으며 이들 개선안의 사용성 검증을 위해 추가적으로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사용성 평가 결과 대체로 기존 디자인에 비해 정보가 체계화되고 시각적 요소가 정돈되었다고 응답하였다. 다만, 필수항목만 요약된 간호 정보 안내문의 특성상 간호사와 환자 모두 재차 구두설명은 필수적으로 실시되어야 한다는 응답이 많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개선안은 안내문의 특성인 실용성과 간결성에 보다 초점을 맞추어 효율적인 정보 전달을 위한 안내문의 구성을 갖추는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아이콘 제작에 있어서 표준 규격을 고려하지 않은 부분을 개선하고자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에서 발표한 공공안내 그래픽 심볼 가이드를 토대로 아이콘을 재정비하여 이를 적용한 최종 디자인 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사용자 의식조사 및 사용성 평가 시 설문에 응답이 용이한 환자만을 선별하여 실시하였으므로 중환자의 의견이 누락되어 입원 환자 전체의 대표성을 나타내기는 어렵다는 한계점을 가진다. 그러나 입원생활 안내문을 직접 사용하는 환자 및 보호자와 간호사의 의견을 토대로 입원생활 안내문 디자인 개선안을 제안한 연구로서 의미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입원생활 안내문과 같은 간호 정보 제공 및 의료서비스 개선에 관한 연구가 보다 사용자를 고려한 시각 정보 디자인 측면으로 개선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