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에 관한 메타분석 : 1999년-2010년 연극·영화 분야를 중심으로

        차재영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95

        본 논문의 목적은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공연영상학과 연극과 영화 분야 석사학위 논문의 경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논문의 메타분석에는 처음 석사학위가 발표된 1999년부터 2010년 봄 학기까지 나온 연극과 영화 전공분야의 72편의 논문이 연구대상이 되었다.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공연영상학과가 석사학위를 배출한지 11년이 되었고, 배출한 학위논문 수가 총 830편이 되었지만, 어떠한 학문적 발자취를 갖고 있고 있는지에 관한 연구가 없었다. 그래서 이번 기회에 본 연구자는 그동안의 학문적 역사를 돌아보고, 현재와 미래를 위한 도약의 의미에서 연구자의 전공분야인 연극·영화 분야 논문 72편을 메타분석하게 되었다.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공연영상학과 연극·영화 분야에서 11년 동안 배출된 석사논문 72편중 연극전공 논문이 38편이고, 영화전공 논문이 34편으로 비교적 비슷한 수치를 보이고 있으며, 논문 주제 면에서는 72편이 모두 다 색다른 주제를 다루고 있을 정도로 다양성을 나타내고 있다. 그런 면에서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공연영상학과 연극·영화 분야 논문은 우리나라 연극·영화 분야의 학문적 보고(寶庫)라 칭할 수 있다. 전공별로 논문주제를 살펴보자. 38편의 연극 전공자들의 논문주제를 보면, 영화전공자들보다 주제면으로 훨씬 더 다양성을 보여주고 있다. 너무 다양하여 영화처럼 몇 가지로 범주화하기 어려울 정도이다. 특징적인 주제를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연극 작업일지, 전통탈, 판소리, 얼굴분장, 성우, 뮤지컬, 패션쇼, 마술, 조명, 가극, 연기훈련 등이다. 영화는 34편으로, 주제를 세분화해보면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영화제작, TV드라마 제작, 영화 비평 및 분석. 연구방법 측면에서 보면, 문헌연구(47.2%)와 사례연구(44.4%)가 매우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그 외의 비교연구(6.9%)와 실험연구(2.7%)는 가장 적게 활용된 연구형태이다. 본 연구는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연극·영화 분야의 최초의 메타분석적 연구논문이며, 지금까지 졸업생들이 발표한 모든 논문의 흐름을 한 눈에 살펴 볼 수 있는 객관적이고 통합적인 데이터를 도출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본 연구를 기초로 앞으로도 연극·영화 분야 전반에 관한 경향분석 및 메타분석이 꾸준히 연구되길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master's theses(from years 1999 to 2010) in the fields of theater and film of The Graduate School of Arts at Chung-Ang University. In this meta-analytic study, 72 theses in the two fields are utilized. Among the 72 theses, the theses are rather evenly divided in terms of the majors: 38 in theater, and 34 in film. Interestingly, the topics of the theses are so diverse that almost all of the theses deal with different topics. Among the 34 theses in the field of film, there are three major topics: film production, TV drama production, and film criticism and analysis. In the field of theater, there were more diverse topics than in film. The topics of the master's theses are diverse indeed; they can be categorized into a few sub-areas: daily logs of productions, traditional masks, pansori(Korean traditional style operas), make-up, voice acting, musicals, fashion shows, magic shows, lighting, North Korean operas, acting training, performances, etc. In addition, the quality of each thesis is sufficiently high to be used as good research data for future research in the fields. In the light of research methods, these are relatively skewed; researchers mostly used the methods of literature review (47.2%), and case study (44.4%), followed by comparative study (6.9%), and experimental research (2.7%). This thesis is the first meta-analytic thesis in the field of theater and film of The Graduate School of Arts at Chung-Ang University. In that sense, this work is meaningful since it shows an objective bird's-eye view of the all theses in the two areas. It is this researcher's hope that further meta-analytic research in the fields of theater and film would be continued, based upon this study.

      • 公演藝術 觀客開發에 關한 硏究 : 國立劇場을 中心으로

        김광집 中央大學校 藝術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9679

        이 논문은 공연 예술 관객 개발에 관한 연구이다. 그리고 이 연구는 특별히 국립중앙극장에 관하여 집중적으로 분석 연구하였다. 이유는, 국립중앙극장은 우리 나라를 대표하는 극장이고 우리 나라 공공극장 운영 의 표본이기 때문이다. 이에 문제점을 지적하고 또한 국립중앙극장은 주변 경관이 수려하고, 서울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립중앙극장 자체조사에서 세종문화회관 이나 예술의 전당에 비해서 관객인지도가 아주 현저히 떨어지는 것은 교통이 불편한 것이 주된 요인으로 평가하고 있다. 그래서 그 원인을 면밀히 조사하여 문제점을 지적하고자 한다. 국립극장은 1950년 창립한 공공극장으로서 가장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갖고 있다. 2000년부터는 `책임운영 기관`체제로 전환하여 예술성과 공공성 경영의 효율성도 도모해야 하는 과업을 안게 되었음에도 관객유치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있는 것은, 공연예술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인 공연 내용 의 문제점 일 것이다. 현재"책임운영기관"체제로 전환한 후 국립중앙극장 자체에서 많은 변화를 시도하고, 내부시설 또한 대대적인 보수, 수리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관객들의 반응이 그전체제와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고 특히 젊은 층의 외면은 전통예술공연을 집중적으로 하는 것도 원인이라 할 수 있겠으나, 전통예술공연을 장, 노년층의 향수심을 불러일으키는 데에만 중점을 두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국립중앙극장은 우리 나라를 대표하는 공연장이므로 전통예술공연에 있어서 대중예술공연에(속악俗樂)많은 비중을 두지 말고 순수예술공연(정악正樂)에 더 많은 비중을 반드시 두어야 할 것이다. 조선조, 성종 때 예조판서`성현`선생이 저술한 `악학궤범(樂學軌範)`서문에 `일부 부녀자들이 음란해지고, 일부 젊은이들이 들뜨는 것은 음악정책을 바로잡지 못한데 그 원인이 있다` 라고 언급했다. 영리가 주목적인 일반 사설 극장이 아닌 국가를 대표하는 국립중앙극장은 필연적으로 오 천년 역사의 맥을 면면히 이어온 우리의"정악(正樂)"이 주된 공연이어야 할 것이다. 현재 우리 나라의 공연 문화는 상당히 협소하여 단시일 내에 선진국처럼 국민의 70 ~ 80%가 공연장을 찾는 문화로 전환하기는 실제로 어려운 상황이다. 그 이유로는 입시 위주의 교육제도, 시시각각으로 변하는 경제상황, 등이라 할 수 있다. 즉 정신적 여유를 가질 시간이 적다는 것이다. 이제는 국립중앙극장이 예술의 전당 과, 세종문화회관 과 같이 관객들이 선호하는 극장으로 전환해야할 것이다. 국립중앙극장이 교통이 불편한 것 때문에 관객이 외면하는 것으로 자체조사에서 언급했지만, 실제로 관객은 공연내용이 충실하면 불편한 교통쯤은 충분히 감수한다. 이 시대의 사람들은 맛있는 음식을 먹기 위해 몇 시간씩 소비하면서 찾아가기도 한다. 그렇기 때문에 공연장은 반드시 수준 높은 공연과 서비스를 함께 제공한다면 그 공연장을 찾을 것이다. 또한 국립중앙극장은 우리 나라를 대표하는 극장이므로 단순한 인기위주의, 오락적인 공연물보다는, 격이 있고 수준 높은 공연 이 이루어져야 만 중장기적으로 관객의 수가 늘어날 것이다. 본 논문은 공연장의 관객개발은 물론 국립중앙극장의 문제점과 개선책을 연구하고, 더 나아가서, 문화 선진국이 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중점을 두고 연구되어져야 한다는 것을 지적하고자한다.

      • 문화행정 혁신을 위한 중앙문화행정 공무원 연수 설계 및 구현

        김정이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679

        지금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21세기 지식정보사회는 인터넷을 통해 시간과 공간의 개념을 초월한 개방화된 글로벌 시대로서 매일 같이 그 변화속도가 급변하고 있으며 모든 영역이 무한경쟁으로 치닫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환경변화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중앙문화행정의 조직 혁신은 새로운 지식사회의 패러다임을 문화영역에서 선도적으로 구축하는 첫 시발이 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추진되어야 한다. 즉, 중앙문화행정의 조직 혁신은 사람의 변화가 기본이 되는 자발적 혁신의 방법으로 시행되어야 하며 혁신의 내용은 교육시스템을 통한 개인의 역량강화가 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문화의 창조와 향유를 통한 창의성 제고가 인적자원의 지식기반 사회 적응을 고무함으로써 국가경쟁력을 높일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문화예술 매개자, 특히 공무원의 역량 강화와 이에 따른 행정조직의 혁신이 필요하다는 대전제 하에 논의를 진행하였다. 본 논문의 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서 창의성은 예술, 과학, 산업, 교육, 그리고 공동체의 발전에 핵심적인 것일 뿐만 아니라, 부자와 가난한 자, 다수자와 소수자, 학식 있는 자와 문맹자 모두의 자산이다. 이러한 창의성의 원천은 문화예술이다. 둘째, 정보화 사회로의 이행하게 됨에 따라 촉발된 환경의 변화는 사회적 위기를 가중시키고 행정의 혁신을 불러일으켰다. 셋째, 행정의 역량은 곧 구성원의 역량이며, 지속적인 혁신을 위해서는 자발성이 담보되어야 한다. 조직혁신은 시스템과 사람의 변화가 동시에 추진되어야 하며 문화적인 방식으로 전개되어야 한다. 넷째, 문화예술 전문인력을 창조자, 매개자, 향유자로 나누어 교육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중앙문화행정 공무원은 문화예술 매개자이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예술 매개자를 분류한 뒤 각각의 역량모형을 도출하였다. 역량모형을 통해 제시된 필요역량을 토대로 중앙문화행정 교육프로그램 매트릭스에 근거한 교육과정을 설계하였다. 다섯째, 역량모형을 토대로 설계된 중앙문화행정 Deep Change Program에 대한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효과성 분석을 통해 연수과정이 사람의 변화를 촉진한다는 사실과 역량모델에 의한 맞춤형 교육과정의 타당성을 검증할 수 있다. 본 연구과정을 통해 기대되는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이란 주제에 보다 세부적으로 접근할 수 있게 된다. 둘째, 문화예술 교육 대상자 중 문화예술 매개자에 대한 업무수행별 분류과정은 문화예술 매개자 수요를 계량적으로 환산할 수 있게 하며, 이러한 계량적 환산을 통해 문화예술 전문인력 중 매개자에 대한 전문교육이 필요한 곳에 필요한 내용으로 적시에 공급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셋째, 역량모델은 맞춤교육 운영을 위한 과정설계의 토대로서의 기능과 더불어 공공재로서 교육제공의 중복성을 줄이게 함으로써 효율성을 꾀할 수 있게 된다. 중앙문화행정 D.C.P.의 효과성 검증을 바탕으로 21세기 새로운 환경에 대처하기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학습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자신의 능력 중 부족한 부분을 스스로 찾아 학습할 수 있는 자기주도 학습을 설계해야 한다. 자기주도 학습은 문제해결과정의 총본산이자 문화생태지킴이로서의 연수원의 입지와 역할을 드러낸다. 둘째, 조직구성원의 자율적 능력개발에 의한 조직혁신은 빠르고 복잡한 사회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필수요소이다. 중앙문화행정 조직은 다양한 연구모임을 지원함으로써 문화적 조직혁신 사례를 창출해야 한다. 셋째, 교육운영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사이버교육과 집합교육을 연계하는 Blended Learning의 도입이 모색되어야 한다. 넷째, 창의력의 원천으로서의 문화예술의 확산을 위해서 타 부처 공무원에 대한 문화예술교육이 확대, 시행되어야 한다. 문화예술교육은 행정의 역량강화를 불러일으킨다. 다섯째, 기업의 인재개발시스템에 비해 문화예술계의 인적자원개발에 대한 접근은 비체계적이며 단선적이다. 따라서 문화예술 매개자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교육기관의 네트워크를 형성함으로써 교육기관별 프로그램과 시스템에 대한 교류와 제휴를 통해 체계적이고 과학적 데이터에 근거한 프로그램을 제시해야 한다. 여섯째, 장기적이고 전략적인 관점에서 인적자원 개발과 문화예술 핵심 인력을 육성해야 한다. 이를 위해 (가칭) 문화예술인재개발센터를 설립함으로써 변화와 개혁을 리드하고 자발적이고 지속적인 혁신의 동력으로 삼아야 한다. 앞으로 중앙문화행정 공무원 즉, 문화예술 매개자에 대한 교육훈련의 방향은 과거 수동적이고 단편적인 시각에서 벗어나, 인적자원 개발과 핵심 인력육성이라는 장기적, 전략적인 관점에서 재조명해 나가야 할 것이다.

      • 국립중앙극장 대안콘텐츠로서의 NT(National theatre) live 도입방안 연구

        이서미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for NT Live introduction and its methods, as NT Live can play a role of alternative content of National theatre of Korea. Current government let koreans to enjoy 'life in culture' and set the nations's role and status by leading the creative economic era through culture and bringing cultural prosper forward. Cultural institutions also engage in governmental policy and pursue cultural diversity. It is a green light for performance arts market which predicts huge change. Researcher could read the change in performance arts market paradigm, by observing korean audiences encounter NT Live of English national Theatre. The study had theoretical consideration looking at National Theatre of Korea itself and its repertoires and analysed cases of English National Theatre, Seoul Arts Center. Based on these theoretical inspection, the study designed model for empirical analysis and performed a survey. The study tried to empirically verify the possibility of introducing NT Live as an alternative content by looking at general condition and tendency of audiences who show active demand for NT Live programs. The survey took place in 24th February, 2016 at National theater of Korea, theatre Hae and asked with questionnaire sheets to 350 audiences of NT Live 'Hamlet'. First, correlation analysis for NT Live as alternative contents of National Theatre of Korea and satisfaction, royalty showed significance in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NT Live subfactor performance, environment and satisfaction, royalty. Second, determination factor of NT Live watch appears to be a character of over 20 years old and holds undergraduate degree. Subfactor reveals that audiences interested the most in program, director, producing company and curiosity, in the order named. Cognitive route for NT Liv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ubfactor curiosity and recommendation, respectively. Third, credibility and comments concerning NT Live had over 70% of responses that were positive for introduction of NT Live. It revealed correlation with validity and credibility in introducing NT Live and had positive interrelationship. Thus, according to empirical analysis and case studies, it seems reasonable to introduce NT Live as an alternative contents for National Theatre of Korea. It is time to request active monitoring for proper introduction. However, studies are not found which deals with the impact or the factors of NT Live to its audience. In conclusion, National Theatre of Korea should not only stay introducing NT Lives of English National Theatre, but have to reach further to produce own NT Live and provide a platform for showing off and distribute korean traditional contents globally. It would be nice for the study to be a help in decision making of National Theatre of Korea. And hope to affect positively in energizing korean performance arts market. It is necessary for researchers and markets to keep on investigate the methods of NT Live introduction. The study to be a touchstone for developing new benefit models or reading new trends in performance arts market. 본 연구는 한국의 공연예술을 대표하고 극장운영의 견인차 역할을 하는 국립중앙극장 대안콘텐츠서의 NT(National Theatre) Live 도입방안 연구로 국내에 NT Live의 적용가능성과 방법을 살피는데 목적이 있다. 현 정부는 문화를 통한 창조경제 시대를 선도하며 문화융성을 앞당김으로서 국민 모두가 ‘문화가 있는 삶’을 누릴 수 있도록 하고 대한민국의 위상과 역할을 확립하고 있다. 또한 문화예술기관들도 정부정책에 부응하기 위해 문화의 다양성을 추구하고 있다. 이는 공연예술시장에 있어 희망의 청신호로 큰 변화가 예측된다. 본 연구자는 국내 국립중앙극장에서 영국 국립극장이 제작한 NT Live 실황중계 공연을 접하게 된 국내 관객들의 반응을 보면서 NT Live 제공방식에 대한 공연예술시장 패러다임의 변화를 읽을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문헌연구를 위한 이론적 고찰로서 국립중앙극장의 개관 및 국립중앙극장의 레퍼토리를 살펴보고, 영국 국립극장의 개관 및 영국 국립극장의 NT Live의 사례를 분석, 국내 예술의전당의 개관 및 예술의전당 SAC ON SCREEN의 사례를 연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 설계에서 실증분석을 위한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설문조사 대상의 선정과 측정항목을 41개 문항으로 구성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분석의 주된 목적은 NT Live에 대한 적극적 수요자인 관객을 대상으로 관람자의 전반적인 관람 실태 및 관람 동향을 파악하여 대안콘텐츠로서의 NT Live 의 도입가능성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은 국내 국립중앙극장 해오름극장에서 2016년 2월 24일 오후 3시에 상영된 영국 국립극장이 제작한 ‘햄릿’공연의 NT Live 프로그램 공연관람자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립극장 대안콘텐츠 NT Live와 공연만족도 및 충성도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대안콘텐츠 NT Live의 하위요인별 공연요소, 환경요소가 만족도 및 충성도간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안콘텐츠 NT Live 공연관람 결정요인은 연령은 20대 이상, 학력은 대재(졸)이상, 하위요인별로 작품과 연출자 및 제작사, 호기심 순으로 나타나 정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NT Live 인지경로는 관람결정요인의 하위요인별로 호기심과 추천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셋째, 국립중앙극장 NT Live 도입관련 신뢰도 및 의견에서는‘도입이 필요하다’, ‘도입 시 관람의향에서 관람하겠다’,‘도입 시 친밀감’ 등에서 전체 평균 70%이상의 의견이 나타났다. 또한 국립극장 NT Live 도입관련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에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상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위의 사례분석과 실증분석을 토대로 보았을 때 국립중앙극장은 대안콘텐츠 NT Live의 도입에 무리가 없어 보이며, 도입을 위한 적극적인 모니터링이 오히려 필요한 시점으로 보인다. 그러나 NT Live 실황공연이 국내 관객에게 미치는 영향이나 요인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국립중앙극장은 영국 국립극장의 NT Live를 선보이는데서 끝나서는 안되며, 직접적인 제작방식을 도입해서 국내 관객들에게 다가가고, 이를 통해 세계 여러 나라에 한국의 전통공연 콘텐츠를 소개하고 보급하는 창구로서의 플랫폼 역할을 기대해 볼 수 있다. 이 연구가 향후 국립중앙극장 정책수립에 미력하나마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또한 본 연구가 국내 공연시장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을 기대한다. 따라서 대안콘텐츠 NT Live 실황중계의 제공방식에 대하여 학계와 공연계의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본 연구가 국내외 공연예술시장 트렌드 파악이나 새로운 수익모델을 개발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 뮤지컬 가창에서의 벨칸토 발성법과 에스틸 보이스 트레이닝 적용 사례 연구 : 예술고등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조수진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벨칸토 발성법이 기본이 되는 성악을 오랜 시간 배운 연구자가 에스틸 보이스 트레이닝을 접하고 다양한 음색을 구사할 수 있게 되면서 고민하던 문제들의 해결점을 찾게 된 경험에서 비롯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벨칸토 발성법과 현대 과학 발성법 중 하나인 에스틸 보이스 트레이닝을 예술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적용하여 두 발성법 공존의 필요성을 입증하고 본연구를 예술고등학교 학생들을 위한 효과적인 뮤지컬 발성법으로 제시하는 데 있다. 선행 연구들은 위 두 발성법의 훈련 방법이나 발성법의 비교에 관한 내용이 주를 이루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두 발성법을 예술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직접 적용해 수업 후 설문조사를 통해 결과를 도출하여 연구의 효율성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짧은 시간 비약적인 발전을 이룬 한국 뮤지컬의 다양한 음악 장르와 입체적인 인물의 감정 변화를 보여주기 위해서는 다채로운 음색의 구사가 필요해졌다. 이미지와 상상력, 경험을 바탕으로 발성 훈련의 기본기를 습득할 수 있는 벨칸토 발성법과 발성 기관의 구조와 움직임의 변화로 다양한 음색의 구현이 가능한 에스틸 보이스 트레이닝을 적용하기 위해서 각 발성기관의 이해와 감각 훈련이 필요한데 이것을 위한 방법의 순서와 훈련곡을 제안하였다. 연구자가 출강하는 S 예술고등학교 학생 30명을 대상으로 한 수업 전 설문조사를 통하여 학생들의 뮤지컬에 대한 관심도와 발성 기관에 대한 이해도, 본인 가창 시 문제점 등을 알아보았고 이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수업을 설계하여 1학년과 2학년 총 여덟 명의 학생들에게 두 발성법을 적용하였다. 50분간 일대일 수업으로 진행된 일곱 번의 수업은 두 발성법을 습득하고 훈련하여 뮤지컬 넘버에 적용하였고 마지막 한 번의 단체수업에는 뮤지컬 넘버를 발표한 후, ‘벨칸토 발성법과 에스틸 보이스 트레이닝 적용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 최소 1점에서 최대 5점까지의 리커트 척도에서 모두 4점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것으로 본연구의 수업 프로그램의 적용이 잘 이루어진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모방적이고 경험적인 지식에 근거한 벨칸토 발성법과 발성 기관의 기계적인 움직임에 초점이 맞춰져 노래의 예술적인 해석을 놓치기 쉬운 에스틸 보이스 트레이닝, 이 두 발성법 공존이 서로의 한계점을 보완해준다는 결과를 얻었고 학생들 발성의 개선점과 다양한 음색의 구사에 큰 도움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가 뮤지컬 배우를 지망하는 학생들과 뮤지컬 배우들의 발성 훈련에 있어서 도움이 되길 희망하고 이 연구를 통해 발성법의 혼용에 대한 연구가 더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This study is based on the experience of finding solution to the problems as researcher who have spent a long time learning the basic vocal technique of Belcanto tries Estill Voice Training and use various ton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e need for the coexistence of two vocalization methods in art high schools by applying the Estill Voice Training and Belcanto vocalization and introduce the study as an effective musical vocalization for art high school students. The previous studies were mainly about training methods or comparison of the above two vocal methods. However, in this study, the two vocalization methods were applied directly to art high school students to draw results through surveys to demonstrate their effectiveness of the study. A variety of musical genres and changes in the emotions of three-dimensional characters in Korean musicals, which have made rapid progress in a short period, require a multicolored tone of voice. Understanding and sensory training of each vocal organ is required to apply for Belcanto vocalization, which can learn the basics of vocalization based on images, imagination and experience, and Estill Voice training which enables the implementation of different tones with changes in vocal structure and movement. Therefore researcher suggest the sequence and training for them. The survey of 30 students in the S Art High School where the researcher attend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ir interest in musicals, their understanding of vocal organs, and their problems in singing. Based on the survey, the classes were designed and two vocalization methods were applied to a total of eight students in first and second graders. The seven courses, which were conducted in 50-minute one-on-one class, were applied to musical numbers by acquiring and training two vocalization techniques. In the last group class, after releasing the musical number, we conducted a technical analysis of Belcanto vocalization and Estill Voice Training. As a result, the likert cale of at least one point to a maximum of five points was higher than four points. This result confirms the good application of the teaching program. Through this study, it found that Belcanto vocalization based on imitation and empirical knowledge and Estill Voice Training, which focuses on the mechanical movement of vocal organs and tends to miss the artistic interpretation of a song, the coexistence of these two vocalization methods complements each other's limitations and greatly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student vocalization and the command of various tones. Hopefully, this study will help students who want to become musical actors and musical actors’ vocal training and will encourage more research into the use of vocalization.

      • 문화주도적 젠트리피케이션 현상 분석을 통한 도시재생정책 연구 : 홍대앞 문화예술생태계를 중심으로

        박재은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63

        This study desires to analyze cause and process of culture-leading gentrification phenomenon based on culture and arts area in recent, focusing on culture and arts area in front of Hongdae, and to deduct implication of urban restoration policy for a continuous development of culture and arts area by examining a urban restoration policy of Seoul. While a distinctive culture was formed by cultural artists in front of Hongdae, an occupied area of inner city was invigorated and commercialized. Rent increased, so culture-leading gentrification phenomenon that cultural artists feeling economic pressure move to other area happened, and this phenomenon is deepening. While they left Hongdae area and moved to Sangsu-dong, Hapjeong-dong, and Yeonnam-dong, areas where people move fell short, so consciousness of crisis was publicized, and cultural artists and merchant union ask for a political measure. Lately, Seoul announces the plan of urban restoration policy targeting the major areas. The researcher confirmed necessity of a differentiated policy for culture and arts area such as present Hongdae area, and progressed the study. The body arranged concept and characteristic of culture-leading gentrification phenomenon, urban restoration policy, and cultural and arts ecosystem, and could understand diversity of culture in front of Hongdae and characteristics of culture and arts area by examining a history of culture and arts area in front of Hongdae with the current of time and incident. Through an in-depth interview with an expert, the researcher investigated the real state of culture-leading gentrification, a directional nature of urban restoration policy in Seoul and Mapo-gu, and a self-supporting method of cultural artists. Objects of an in-depth interview are administrator of Mapo-gu in charge of culture and tourism work in front of Hongdae, administrator of local cultural foundation in charge of operation of a creative space, expert of urban research, and culture and arts organization and cooperative, hirer in local commercial sphere, and artist. The researcher questioned about effectiveness of a revision of a law for protection of commercial building tenants, urban restoration policy and culture and arts area of Seoul, culture and tourism policy in front of Hongdae of Mapo-gu, enforcement method and process of urban restoration policy, cultural urban restoration policy for a business boom of culture and arts area in Seoul, and self-reliance and vitalization of culture and arts ecosystem, and conducted the orders of tape-recording, transcription, and cording. As a result, first, there is no area to extend of culture-leading gentrification in front of Hongdae, so customized urban restoration policy specialized for an area is urgent. Second, a development of differentiated urban restoration policy and urban planning policy is needed to keep original citizen in an area specialized by culture and arts continuously. Third, a policy should be established to guarantee a concept for an ownership of building and rent in culture and arts area with a social ownership. Fourth, an active support policy of the government is needed to make cultural artists live their own life. Fifth, a database should be built by analyzing and organizing characteristics, history, and phenomenon of Hongdae area or culture and arts area clearly. Sixth, communication is needed to cooperate and discuss mutually by making a private and public consultative group of merchant union, cultural artists, and autonomous region in front of Honghae. Seventh, communication with merchant union and cultural artists is needed to form a close association between tourism policy, and culture and arts ecosystem in front of Hongdae. Lastly, culture and understanding are needed to make cultural artists, merchants, landlords, and a self-government body coexist mutually and continuously.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confirmed that it is necessary to regulate an excessive commercialization and an increase of rent in culture and arts area, and a customized policy to form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main agents and a political perspective to reflect characteristic and demand of an area are needed by stimulating characteristics of a culture and arts area more. 본 연구는 최근 문화예술 지역을 배경으로 발생하고 있는 문화주도적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의 원인 및 과정을 홍대앞 문화예술 지역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서울시의 도시재생정책을 검토함으로써 문화예술 지역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도시재생정책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진행하였다. 홍대앞은 문화예술인에 의해 독특한 문화가 형성되면서 도심지의 거주지역이 활성화 및 상업화되었다. 임대료와 지대가 상승하자 경제적 부담을 느낀 문화예술인들이 다른 지역으로 이주하는 문화주도적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이 발생하였고 점차 심화하고 있다. 홍대앞을 떠나 상수동, 합정동, 연남동으로 이주하면서 더 이주할 지역이 부족하자 위기의식이 공론화되었고, 홍대앞 문화예술인, 상인회에서 정책적인 대책을 요구하고 있다. 서울시는 최근 주요지역들을 대상으로 도시재생정책 사업계획을 발표하고 있는데 현재의 홍대지역과 같은 문화예술특화지역에 차별화된 정책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본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본론에서는 문화주도적 젠트리피케이션 현상, 도시재생정책, 문화예술생태계의 개념과 특징을 정리하였고, 시간과 사건 흐름에 따라 홍대앞 문화예술 지역의 변천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홍대앞 문화의 다양성과 문화예술 지역의 특성을 이해할 수 있었다. 전문가 심층면접을 통하여 홍대앞에서 발생하고 있는 문화주도적 젠트리피케이션의 실상과 서울시와 마포구 도시재생정책 방향성, 문화예술인의 자생방법을 조사하였다. 심층면접 대상은 마포구청에서 홍대앞의 문화 관광 업무를 담당하는 행정가, 지역 문화재단에서 창작공간운영 업무를 담당하는 행정가, 도시연구 및 문화예술 단체·협동조합 전문가, 지역 상권 임차인 및 예술가를 중심으로 하였다. 심층면접 질문으로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개정안의 실효성 여부, 서울시 도시재생 정책과 문화예술생태계, 마포구의 홍대앞 문화관광정책, 도시재생정책의 추진 방법 및 과정, 서울시 문화예술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문화적 도시재생 정책, 문화예술생태계의 자생과 활성화에 대해 질문하였으며 녹취, 전사, 코딩 단계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로 첫째, 홍대앞 문화주도적 젠트리피케이션은 더는 확장될 지역이 없어 지역의 특화된 맞춤형 도시재생정책이 시급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문화예술로 특화된 지역의 원거주민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차별화된 도시재생정책, 도시계획정책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문화예술 지역의 건물과 지대의 소유권에 대한 개념이 사회적 소유권으로 보장받을 수 있는 정책이 수립되어야 한다. 넷째, 문화예술인들이 스스로 자생할 수 있는 정부의 적극적인 활동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 다섯째, 홍대앞 지역 또는 문화예술 지역의 특성, 역사, 현상 등을 명확히 분석, 자료화하고 조직화하여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해야 한다. 여섯째, 홍대앞 상인회, 문화예술인, 자치구 등 민·관 협의체를 만들어 상호 간의 협조, 협의할 수 있는 소통창구 구축이 필요하다. 일곱째, 홍대앞 관광정책이 문화예술생태계와 긴밀한 관계성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인회, 문화예술인과 소통할 수 있는 창구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문화예술인, 상인, 건물주, 자치기관이 서로 지속적으로 상생할 수 있는 문화와 의식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문화예술 지역의 과도한 상업화의 진행과 임대료 및 지대의 상승을 규제할 필요가 있으며, 문화예술 지역의 특성을 더욱 활발히 함으로써 주체간에 상호보완적 관계를 형성하는 맞춤형 정책과 지역의 특성과 요구를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정책적 관점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 언어네트워크 분석에 의한 뉴노멀(New Normal)시대 예술정책 방향 연구

        김미연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63

        코로나19의 세계적 대유행은 사회ㆍ경제 전반에 큰 충격을 가져왔으며, 문화예술계도 큰 피해와 변화를 가져왔다. 공연예술, 시각예술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국내외 대면 행사와 프로그램들이 취소 또는 연기되었고 공연장, 미술관 등 문화시설의 휴관으로 예술활동의 중단과 심대한 위축을 가져왔다. 이는 가뜩이나 열악한 예술분야 종사자들의 경제적 사정을 더욱 악화시켜 소득감소와 고용불안정으로 생계에 큰 타격을 주었다.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촉발된 뉴노멀시대 예술정책의 변화와 이에 대응한 국가별 예술정책 동향과 그 현상을 살펴봄으로써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뉴노멀시대 예술정책 방향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하여 뉴노멀 시대의 예술정책을 둘러싼 환경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뉴노멀 시대의 개념과 현상을 정리하고, 예술정책의 개념과 변화, 뉴노멀과 예술정책의 관계성 등을 문헌연구로써 고찰하였다. 또한, 코로나19 위기가 팬데믹으로 전개되면서 이 위기의 경험이 국내만의 문제가 아닌 세계 예술계 모두와 공유하면서 함께 해결해야 할 과제가 됨에 따라, 최근에 발표하는 주요국(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의 뉴노멀에 관한 예술정책 동향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특히, 이들 국가들은 동아시아 지역보다 코로나19의 확산이 뒤늦게 시작되었음에도 비교적 이른 시기에 관련 지원정책들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었다. 예술인 사회안전망 확충 및 취약 예술단체ㆍ기관 지원에 초점을 맞추어 긴급지원금을 통한 실업수당 지급, 고용유지를 위한 임금보조, 긴급생활자금 지원, 융자혜택, 세금납부 기한 연장 등 다양한 형태로 담겨 있고, 엄중하고 급박한 시기인 만큼 정책의 참신성보다는 가능한 많은 예술인에게 빠르게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무엇보다 현장의 목소리를 정책에 실질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소통 채널을 구축하고 지금의 위기를 예술가 및 관련 종사자 간의 ‘연대’와 미래를 위한 투자와 연구를 통해 미래정책 방향을 모색하는 것은 시사점이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뉴노멀 시대의 예술정책에 관한 이론과 국내외 정책 동향을 바탕으로 언어네트워크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2020년 3월부터 9월까지의 ‘코로나’와 ‘예술’의 키워드가 들어간 자료를 구글(google) 뉴스와 웹(web) 문서에서 수집하여 227개의 정제된 주제어를 추출하였고, 추출된 주제어를 넷마이너 프로그램을 통해 주제어 빈도분석과 중심성을 지표로 분석하였다. 또한 각 주제어 간의 관계 분석을 위해 언어네트워크의 시각화 분석을 시도하였다. 언어네트워크 분석결과 가장 많은 빈도수를 기록한 주제어는 ‘코로나’였고, ‘문화예술’, ‘예술’, ‘공연’, ‘온라인’, ‘지원’이 최다 빈도수를 기록한 그룹에 포함되었다. 중심성 분석에서는 ‘코로나’가 가장 인기가 높았고, ‘시대’, ‘이후’, ‘포스트’, ‘예술’, ‘문화예술’ 순으로 나타나 빈도수가 높은 ‘코로나’와 ‘예술’, ‘문화예술’은 대부분의 중심성에서도 우위를 차지했다. 특히, 주제어 빈도수와 중심성 분석에서 공통으로 상위를 차지하는 주제어는 ‘온라인’과 ‘지원’ ‘정책’이다. 이는 코로나19로 인해 사회적 거리두기의 일상화에 따라 비대면ㆍ온라인콘텐츠의 급부상과 예술계에 대한 지원정책이 필요함을 나타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The global pandemic of COVID-19 has shocked society and the entire economy of the world, and has caused great damage and change to the cultural and artistic world. In addition to performing arts and visual arts, most domestic and international face-to-face events and programs were canceled or postponed, and the closure of cultural facilities such as concert halls and art galleries brought a halt to artistic activities and a profound contraction. This situation in the field of culture and art further worsened the economic situation of art workers, which severely damaged their livelihoods due to income reduction and job insecur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the direction of art policy for the New Normal era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by looking at the changes in art policy in the New Normal era triggered by COVID-19.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research, the concept and phenomena of the New Normal era were summarized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environment surrounding the art policy of the New Normal era,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w Normal and the Art Policy were considered as a literature study. In addition, as the Corona 19 crisis developed into a Pandemic, the experience of this crisis became a task to be solved by sharing it with all the world art community, not just domestic, this study derived implications through the recent trend of art policies in major countries(United States, United Kingdom, France, Germany). In particular, related support policies were specifically presented at a relatively early date, although the spread of Corona 19 began later than in the East Asian region in these major countries. The art policies of these major countries focus on expanding the social safety net of artists and supporting vulnerable art organizations and institutions, including the payment of unemployment benefits through emergency subsidies, wage subsidies to maintain employment, emergency living funds, loan benefits, and extension of tax payments, and since this is a strict and urgent time, the art policies of these major countries are focused on ensuring that as many artists as possible benefit faster than on the novelty of the policy. Above all, it may have implications that art policies of these major countries are establishing communication channels that can actually reflect the voices of the field in their policies and seeking future policy directions through "solidarity" between artists and related workers and investment and research for the future. As above, semantic network analysis was attempted based on the theory of art policy in the New Normal era and domestic and international policy trends. For analysis, data containing key words of "Corona" and "Art" were collected from Google News and Web documents from March to September 2020 to extract 227 refined subject words, and the extracted subject words were analyzed as indicators of frequency and centrality of subject words through the Netminor program. In addition, visualization analysis of semantic networks has been attempted for the analysis of relationships between each topic languages. As a result of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the most frequent topic was "Corona," and "Culture and Art," "Art," "Performance," "Online" and "Support" were included in the group with the most frequencies. In the centrality analysis, "Corona" was the most popular, followed by "the era," "after," "post," "art," and "cultural arts," with high frequency, "Corona," "art," and "cultural arts" also dominated most centrality. In particular, the top-level key words in the analysis of frequency and centrality of the topic are 'online' and 'support' and 'policy'. This can be seen as indicating that the rapid rise of non-face-to-face and online content and support policies for the artistic communities are needed due to the dailyization of social distance due to COVID-19.

      • 온라인 플랫폼 기반의 비대면 공연예술 소비자의 선호요인 IPA 분석

        남혜연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63

        About two years have already passed since the COVID-19 confirmed patient was first reported in Korea. Since February 2020, it has been pandemic- re-emerged three times, and ordinary daily lives such as work, school, and home have been newly changed due to unexpected COVID-19.In line with this, communication between artists and audiences is important, and new reproduction methods have begun to emerge in the field of performing arts, which has offline characteristics such as realism and one-off. Now that the situation has changed, performances that were performed face-to-face in the same space have been converted to non-face-to-face, untact content has emerged rapidly. This study aims to study the new non-face-to-face performance formats and online platforms in the era of COVID-19 an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o derive the audience's preference factors to suggest the direction for the performance environment that will gradually change in the future.Therefore, this paper derived consumer preference factors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studies on the newly changed non-face-to-face culture and arts in the COVID-19 era to measure preference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a total of six factors: usability, fieldality, technology, convenience, workability, and innovation. A survey was conducted on 260 people who watched both face-to-face performances before and after COVID-19, and a self-entry survey was conducted for about 10 days from October 15 to October 25, 2022. The SPSS 25.0 program was used for statistics, and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ronbach's α coefficient, cross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were performed as data analysis method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importance of all six components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satisfaction.First, in terms of ease of use,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easy and easy to watch performances through platforms', 'clear and easy to remember platform use', 'convenient viewing with smart devices', 'synopsis and music of performances (works)', and innovation are all high.Second, the importance of 'watching videos from various angles', 'smooth video transmission', 'high-quality sound music delivery', and 'synopsis and music of performance (work)' in work quality are high, but satisfaction is low, so this should be intensively improved in the future. The response to the non-face-to-face performing arts was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free viewing environment, but the biggest regret was that the immersion was reduced due to the unstable network condition and the vivid sense of reality was not felt.The research results confirm that even if non-face-to-face performances are enjoyed and online platforms can be a medium of creation, they cannot replace the desire for the realism of art.In a rapidly changing culture and arts market environment, consumer-centered service innovation that can satisfy consumers' expected values by reflecting consumers' opinions along with works that reflect the trend of the times is an important task.We hope that the results of these non-face-to-face performance arts preferences and satisfaction will be the basic data necessary to direct non-face-to-face performances in the future, and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performing arts as a new genre that only online can give. 코로나바이러스 확진자가 국내에 최초 보고된 이후 팬데믹 상황에 이른지 어느덧 약 2년이라는 시간이 경과 되었다. 2020년 2월부터 세 차례에 걸쳐 대유행-재유행 되며 직장, 학교, 가정 등 개인의 삶 안에 평범했던 일상들이 예상하지 못한 COVID-19로 인해 새롭게 변화되었다. 이에 맞춰 예술가와 관객의 소통이 중요시되며 현장성, 일회성등 오프라인 특성을 띄고 있는 공연예술분야에 있어서도 새로운 재현 방식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같은 공간에서 대면으로 이루어졌던 공연들이 상황이 변한 지금 비대면으로 전환되며 언택트 콘텐츠가 급부상하였다. 본 연구는 COVID-19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새롭게 나타나는 비대면 공연형식과 온라인 플랫폼에 대해 연구하고 이에 관객들의 선호 요인을 도출하여 앞으로 점차 변화될 공연 환경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COVID-19 시대의 새롭게 변화된 비대면 문화예술에 대한 선행연구와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소비자들의 선호요인을 도출하여 사용용의성, 현장성, 기술성, 편의성, 작품성, 혁식성 총 6가지 요인에 따른 선호도와 만족도를 측정하였다. COVID-19 이전의 대면 공연과 이후 비대면 공연을 모두 관람한 2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2022년 10월 15일부터 10월 25일까지 약 10일간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통계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자료 분석 방법으로는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과 Cronbach's α계수, 교차분석, 독립표본 t-test 및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A)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로는 6개의 구성요소 모두 중요도가 만족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첫 번째, 사용용이성에 있어서는 ‘플랫폼을 통한 쉽고 간편한 공연 관람’, ‘명확하고 기억하기 쉬운 플랫폼 이용방법’, 편의성에 있어 ‘스마트기기로 편리한 관람’, 작품성에 있어 ‘공연(작품)의 시놉시스 및 음악’, 혁신성에 있어 ‘시간적 공간적 제약없는 연출’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는 모두가 높게 나타나므로 지속적으로 유지해야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두 번째, 현장성에 있어서는 ‘다양한 각도의 영상 관람’, 기술성에 있어서는 ‘원활한 영상 송출’, ‘고음질 사운드의 음악 전달’, 작품성에 있어 ‘공연(작품)의 시놉시스 및 음악’에 대한 중요도는 높으나 만족도가 낮게 평가되어 이는 향후 집중적으로 개선되어야 한다. 비대면 공연예술에 대한 반응은 대체적으로 자유로운 관람환경에 만족하지만 원활하지 못한 네트워크 상태로 몰입도가 떨어지며 생생한 현장감을 느끼지 못한다는 아쉬움이 가장 컸다. 이처럼 시간을 따로 들여 대면하지 않고 쉽고 간편하게 공연을 관람할 수 있는 편의성에 만족하며 비대면 공연이 향유되고 온라인 플랫폼이 창작의 매개체가 될 수 있어도, 예술이 가지는 현장성에 대한 갈망을 대체할 순 없다는 것을 확일 할 수 있는 연구 결과이다. 빠르게 시시각각 변화하는 문화예술시장 환경에서 그 시대의 흐름을 반영한 작품과 함께 소비자의 의견을 반영하여 소비자의 기대 가치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소비자 중심의 서비스 혁신은 중요한 과제이다. 이러한 비대면 공연예술의 선호도와 만족도 결과가 앞으로 이루어질 비대면 공연의 방향성을 잡아가는데 필요한 기초자료가 되길 기대하며 온라인만이 줄 수 있는 새로운 장르로서 공연예술 활성화에 기여하기를 희망한다.

      • 한국무용분야 학술연구동향의 계량서지학적 분석

        양효순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63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a discipline is establishing firm knowledge systems; to study the knowledge systems of a discipline, analyzing what specific subjects the discipline handles is needed. Bibliometric analysis, one of methods to analyze subject bibliographies, is methodology to study the preferences, types and trends that are expressed through bibliographies; this investigates the way of distribution and deploy of knowledge and traces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a specific discipline by metrically analyzing bibliographies. Although dance is the most primitive way of expression for human, which was generated and has developed with human, there was no philosophical attention or systemic effort for theorization; it was no earlier than the 20th century when dancing began to be recognized as a research area equal to other fields of arts. Studies on Korean dance, which was spontaneously generated and developed by Korean people based on Korean culture and has been handed down to these days' generation, started with the production of the very first master of Korean dance from the Department of Sports at Ehwa Women's University in 1958, and today, 69 universities have a dancing department that offers theoretical and practical education on Korean dance.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knowledge system with regard to masters' and doctors' thesis on Korean dance will allow for understanding its common problems in today's society and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each genre and finding a future image of Korean dance. Understanding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dance is necessary to discuss its identity, and bibliometrically analyzing the knowledge structure of Korean dance studies can be the starting point for this discussion.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that investigated the knowledge structures of various disciplines using bibliometric analysis; however, merely no bibliometric study has been conducted in the field of dance, especially Korean dance. In this circumstance, this study will conduct bibliometric analysis of the titles of masters' and doctors' thesis in the field of Korean dance.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masters' and doctors' thesis in the field of Korean dance, I used Krkwic, a Korean language analyze program, to find frequently used words, regulate and systemize the words by grouping similar words. To analyze the structures of the thesis, based on the systemized words I analyzed the frequency in the use of names in Korean dance, research trends in each genre and among genres and relations between Korean dance and cultural and art genres, social functions and managerial elements. The results suggested that studies began to rapidly increase since 2000 and that multi-disciplinary studies are increasing. The frequently-used names to refer to Korean dance were muyong, mu and chum; of these, mu was the most frequent. With regard to genres, many studies investigated folk dance. The result of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 titles and artists of Korean dance indicated that Seon-young Gang had the most frequent relations with titles and artists. The results of analysis of relations with cultural and art genres showed that Korean dance had the most frequent relations with music that is one of important components of dance and humanities that is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of Korean dance. Inter-genre 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imperial court dance had frequent relations between humanities while folk dance, ritual dance and new dance with music. The results of analysis of relations with social functions showed a remarkable relation with education; inter-genre 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ritual dance and new dance had the most active relation with performance while imperial court dance and folk dance with education. The results of analysis of relations with managerial elements showed that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that are related to production management,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production of Korean dance while relations with financial management were insignificant. Although research in the field of Korean dance has remarkably developed since late 1990s including increased multi-disciplinary studies, there still exist many challenges for Korean dance to be recognized as an independent academic field; on this I made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ly, an academic system for the name of Korean dance should be established through in-depth studies. Secondly, active multi-disciplinary studies between cultural and art genres and Korean dance genres are needed to suggest an image of future development of Korean dance. Thirdly, professional multi-disciplinary studies are needed to establish a comprehensive and convergent academic system. Fourthly, as studies on the introduction of art management in various fields of arts are rapidly increasing, I considered that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dance studies for the field to develop as a new academic field by adopting the components of art management and started this study. However, due to lack of studies on the introduction of art management in the field of Korean dance this study was not thoroughgoing with regard to the approach of art management. Therefore, further studies should investigate Korean dance from viewpoints of management and marketing and focus on the introduction of art management.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investigated overall research trends in Korean dance and clarified the relations among various disciplines. However, the study also has limitations in that a word may be differently understood by difference researchers and the titles of thesises were not sufficient to deduce the relations between Korean dance and various disciplines. I look forward that based on this study many original and professional studies such as combined multi-disciplinary studies related to the introduction of art management and cultural and social functions will be conducted so that Korean dance will grow as a more systemic field of research. 학문 분야의 발전에 가장 핵심적인 요소 중 하나는 탄탄한 지식체계를 형성해 나가는 일로서 학문의 지식체계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으로 문헌이 다루는 주제의 분석이 필요하다. 주제문헌의 분석방법 중 하나인 계량학적 분석방법은 문헌의 서지를 계량학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문헌을 통한 지식의 배포 및 유통과정을 연구하고, 특정 학문분야의 발달과정을 추적하는 등 문헌을 통해 표출되는 지식의 속성과 형태, 동향을 연구하는 방법론이다. 인간의 가장 원초적인 표현수단으로 인류와 함께 생성, 발전되어 온 예술인 무용에 대한 철학적 주목이나 이론화의 시도를 위한 노력 등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20세기에 들어서면서야 비로소 다른 예술분야와 동등한 지위를 지니는 연구영역으로 인식되기 시작하였다. 한국의 문화를 바탕으로 우리 민족에 의해 자연발생적으로 뿌리를 내리고 발전되어 오늘날까지 전승되고 있는 한국무용에 관한 연구는 1958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체육학과에서 한국무용분야의 석사가 처음 배출된 이후 69개의 대학 및 대학원에 무용학과가 설치되어 각 학교를 중심으로 한국무용 이론 및 실기교육이 확산되고 있다. 한국무용 석·박사학위논문 관련 지식체계를 조사 ․ 분석한다면 오늘날 우리사회가 가지고 있는 한국무용에 대한 공통된 문제점은 물론 한국무용분야의 장르별 발달 과정도 관찰 할 수 있으며, 한국무용이 추구하는 미래상의 발견도 가능할 것이다. 한국무용의 정체성에 대한 논의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것은 한국무용의 현재 모습을 파악하는 연구이며, 한국무용분야 연구의 지적 구조를 계량서지학적으로 분석하는 일은 이러한 논의의 출발점이 될 수 있다. 국내외적으로 계량서지학적 분석을 이용하여 다양한 학문 분야의 지적구조를 규명하는 연구는 활발히 수행되어 왔으나 무용 분야 특히 한국무용분야의 계량서지학적 분석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이뤄지지 않은 형편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국무용분야 석․박사 학위논문의 서명을 계량서지학적으로 분석한 후 관련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았다. 한국무용분야 학위논문의 연구동향을 분석하기 위해 연도별, 대학별 논문 발표현황을 살펴보았고, 한국어 분석 프로그램인 Krkwi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높은 빈도를 보인 단어를 찾아 통제작업을 거친 후 유사단어를 묶어 단어 체계화 작업을 진행하였다. 한국무용분야 학위논문의 구조를 분석하기 위해 체계화된 단어를 바탕으로 한국무용명칭의 사용 빈도분석, 한국무용분야 장르별 ․ 장르간 연구동향, 문화예술장르, 사회적 기능, 경영요소와의 연구동향에 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2000년대에 들어 한국무용분야에 관한 연구가 급증하며 다양한 주제와의 복합연구가 진행되고 있었다. 한국무용의 명칭으로는 무용, 무, 춤이 사용되고 있었는데 이중 ‘무’ 라는 단어를 사용한 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장르별로는 민속무용 장르에 관한 연구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었고 한국무용 작품명과 무용가에 대한 상관관계 분석 결과 무용가 강선영씨가 작품명 및 무용가들과 가장 빈번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다. 문화예술장르와의 연구동향 분석결과 무용의 중요 구성요소인 음악, 한국무용의 사상적 기반이 되는 인문학과의 관계가 가장 두드러졌으며 장르별 관계분석에서는 궁중무용은 인문학과 민속무용, 의식무용, 신무용은 음악과의 관계형성이 활발했다. 사회적 기능과의 연구동향에서는 교육과의 관계가 돋보였고 장르별 관계분석 결과 의식무용, 신무용은 공연과 궁중무용, 민속무용은 교육과의 관계가 가장 활발했다. 마지막으로 경영요소와의 관계 분석에서는 한국무용 제작에 깊은 관련이 있는 생산관리와 관련된 연구가 가장 많이 진행되고 있으며 재무관리와의 관계형성은 미비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90년대 후반부터 예술경영을 비롯한 다양한 학제간의 복합연구가 증가하는 등 한국무용분야 관련 연구가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고 있으나 학문의 한 고유영역으로 정착하기 위해선 아직도 해결해야 할 과제가 산재해 있음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첫째, 한국무용 명칭 사용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를 통해 한국무용 명칭의 학문적 체계를 정립해야 할 것이다. 둘째, 한국무용분야의 새로운 발전상 제시를 위해 문화예술과 한국무용분야 각 장르간의 활발한 복합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한국무용분야 관련 연구가 복합적이고 융합적인 학문적 체계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학제간의 연결성을 가진 전문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다양한 예술분야의 예술경영 도입에 관한 연구가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무용분야 역시 예술경영적 요소를 받아들여 새로운 학문의 한 영역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한국무용분야 연구의 현 주소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어 본 연구를 시작하였으나, 연구를 진행한 결과 한국무용분야의 예술경영 도입에 관한 연구물 부족으로 인하여 예술경영적 시각에서 접근하는 점이 미흡하였다. 그리하여 후속 연구에서는 경영 및 마케팅적 측면에서 한국무용분야를 바라보고 예술경영을 접목시킨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무용분야가 학문적으로 발전하는데 있어서 전체적인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다양한 학제간의 관계를 밝히는데 본 연구 진행의 의의가 있다. 그러나 동일 단어라도 연구자별로 의미 해석의 차이를 가질 수 있으며, 분석대상인 학위논문 서명이 한국무용분야와 다양한 학제간의 관계 도출에 있어서 부족한 부분이 있는 등의 한계를 지니고 있다. 연구자의 연구를 바탕으로 한국무용분야의 예술경영 도입 및 문화예술 ․ 사회적 기능과 관련된 복합연구 등 다양한 학제간의 독창적이고 전문적인 연구가 이루어져 한국무용분야가 좀 더 체계적인 학문의 한 영역으로 발전하기를 기대한다.

      • 전문대의 문화예술 직업교육 위탁과정이 학생만족도 및 진로선택에 미치는 영향

        배눈희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63

        Now that culture is leading and changing in the times, culture and art education must be necessary in our times. Currently,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re preparing for the introduction of the free semester system, and high school students are moving away from the uniformed high school education of the high school created by the old age, I am trying to be born again as an artist. Based on this, we set up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by presenting research purpose based on the aspect of change development, and constructed variable and questionnaire. As a sub-variable of cultural arts curriculum, educational programs, teaching, qualifications, counseling, and facilities were plac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satisfaction and career choice. The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high school boys and girls in grades 2 and 3 who were taking courses in the culture and arts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course for the 5 days from October 23 to 27, 2017. The empirical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atus of career counseling, it was found that about half of the students reported career counseling for career counseling in a consigned educational institution, and the students who had experience in career counseling,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counselors showed that the counselors were generally consulted with the homeroom teacher. In addition, the projected plans for career and employment after completion of the entrusted education course can be regarded as hoping to advance to the same major course in general, and for students who expect to work in the same major or other major after completion of the entrusted curriculum Analysis of the reason for employment suggests that they want to get work experience because they want to gain experience in the field.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ocess of entrusting culture and arts vocational education to the general college, 'education facility' was the highest, 'qualification of instructor', 'guidance of life' and 'education program'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t was found that when the counselor was invited to a school, a church, or a club, The map is high. Third, the analysis of overall student satisfaction also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student satisfac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overall career choice, it was analyzed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career choice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when counseling was given to a school, a churc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f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curriculum entrusted to vocational colleges, student satisfaction and career choice, the educational program, education, instructor qualities, life guidance, and educational facilities according to the subordinate factors of the curriculum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 ),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career choice. In additio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areer choice and student satisfaction. Sixth, analyzing the effect of the process of entrusting culture and arts vocational education to the students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 qualities, education programs, living instruction, and educational faciliti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teacher, qualification, education program, life instruction, and educational facilities are important factors in student satisfaction. Seven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the process of entrusting culture and arts vocational education to college students, it was found that educational program, school, teacher qualifications, educational facilities, and life guidanc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educational programs, education, teacher qualities, educational facilities, and life guidance are important factors in selecting students' career options. Eighth,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f student satisfaction on career choice showed that student satisfac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areer choice. In other words, student satisfaction is an important factor in career choice of stud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develop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as a cultural artist in order to develop more systematically the curriculum through the same advanced level course and the continuing interest of the vocational college's arts and vocational education entrustment process at the initial stage. 문화가 시대를 선도하고 변화 발전시키는 지금, 문화예술교육은 우리 시대에 꼭 필요함에 틀림없다. 현재 중학생들은 자유학기제의 도입에 맞춰 준비해나가고 있으며, 고등학생들은 구시대가 만들어낸 획일화 된 인문 고등학교 교육을 탈피하여, 문화예술분야의 주역이 되고자 자신의 진로선택을 조기에 하여 보다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문화예술인으로 거듭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변화발전의 양상을 토대로 연구목적을 제시하여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변수 도출과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문화예술교육과정의 하위변수로는 교육프로그램, 교, 강사자질, 상담, 시설을 두었으며, 문화예술교육과정의 학생만족도 역시 동일하게 연구모형을 설계하였다. 그에 따른 학생만족도와 진로선택의 상관관계를 설정하였다. 설문조사는 2017년 10월 23일에서 27일 까지 5일간 서울시 사업 선정 대학 중 문화예술분야 직업교육 위탁과정을 수업받고 있는 고등학교 남녀 2,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상담 현황을 분석한 결과 위탁교육기관 내 진로상담여부는 학생의 반정도가 진로상담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진로상담에 대한 경험이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위탁교육기관 내 진로상담 및 학교생활에 대한 상담자를 분석한 결과 대체적으로 위탁과정 담임선생님과 상담을 하고 있는 것으로, 위탁교육기관 내 진로상담주기는 주로 학생이 원하는 때 언제나 진로상담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위탁교육과정 수료 후 진로 및 취업에 대한 예상계획은 대체적으로 같은 전공계열로 진학을 희망하는 것으로 볼 수 있고, 위탁교육과정 수료 후 같은 전공계열 또는 다른 전공계열로 취업을 예상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취업 예상이유를 분석한 결과 현장경험을 쌓고 싶어서 취업하고자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반적인 전문대의 문화예술 직업교육 위탁과정에 대해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볼 때, ‘교육시설’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교, 강사자질’, ‘생활지도’, ‘교육프로그램’ 순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위탁교육과정 진학권유에 따라 학원, 교회, 동아리 등에 권유를 받은 경우 본인 스스로 결정하거나 선배 또는 친구에 권유를 받은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생활지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반적인 학생만족도에 대해 분석한 결과 또한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학생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전반적인 진로선택에 대해 분석한 결과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진로선택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위탁교육과정 진학권유에 따라 학원, 교회, 동아리 등에 권유를 받은 경우 선배 또는 친구에 권유를 받은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진로선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전문대 연계 일반고 위탁교육과정과 학생만족도, 진로선택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교육과정의 하위요인별 교육프로그램, 교, 강사자질, 생활지도, 교육시설은 학생만족도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진로선택과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만족도는 진로선택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전문대의 문화예술 직업교육 위탁과정이 학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교육과정의 하위요인별 교, 강사자질, 교육프로그램, 생활지도, 교육시설이 학생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생만족도에 있어서는 전문대 연계 일반고 위탁교육과정의 교, 강사자질, 교육프로그램, 생활지도, 교육시설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일곱째, 전문대의 문화예술 직업교육 위탁과정이 진로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교육과정의 하위요인별 교육프로그램, 교, 강사자질, 교육시설, 생활지도가 진로선택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생들의 진로선택에 있어서는 전문대의 문화예술 직업교육 위탁과정의 교육프로그램, 교, 강사자질, 교육시설, 생활지도가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여덟째, 학생만족도가 진로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학생만족도는 진로선택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생들의 진로선택에 있어서는 학생만족도가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초기단계인 전문대의 문화예술 직업교육 위탁과정의 지속적인 관심과 동일 상급과정을 통한 세부교육과정을 더 체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발전시켜야 문화예술인으로서의 양적 및 질적으로 성장,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