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 문신정의 졸업 작품, 「반 고흐, 영혼의 편지」해설. The Analysis Of "Van Gogh, Letters From the Soul" A Work For Graduation Performance.

        문신정 동덕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63

        본 논문은 동덕여자대학교 공연예술센터 소극장에서 진행된 석사과정 이수를 위한 졸업 공연에서 연주한 4개의 자작곡을 분석한 것이다. 각 곡의 창작 배경과 형식, 선율 및 화성구조를 분석하여 작곡자의 작곡 의도와 음악적인 특징을 설명하고자 한다. 졸업 공연에서 연주한 4곡의 전체 주제는 ‘반 고흐, 영혼의 편지’이다. 고흐의 필치로 전개되는 <반 고흐, 영혼의 편지> 라는 책을 통해 받은 고흐의 삶과 예술세계에 대한 감동을 바탕으로, 본인이 느낀 감정들을 4개의 주제로 나누어 음악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재즈’ 양식(Style)에 기반을 두고 클래식(Classic)과 프리 재즈(Free Jazz)의 요소를 조합하여 각 곡의 이미지와 색채가 잘 드러나도록 작곡 및 편곡을 하였다. 4곡 중 2곡은 피아노 트리오(Piano, Drum, Bass)에 트럼펫과 색소폰이 추가된 퀸텟(Quintet)구성이며, 나머지 2곡은 피아노 트리오와 트럼펫이 추가된 콰르텟(Quartet)구성으로 편성하였다. 본론을 통하여 각 곡의 창작배경과 음악적인 특성을 소개하고자 한다.

      • 아동의 스트레스와 학교생활 적응간의 관계

        문신정 韓國敎員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아동의 학년과 성별에 따른 스트레스와 학교생활 적응간의 차이를 분석하고 아동이 받는 스트레스의 정도에 따른 학교생활 적응의 차이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아동의 학년별, 성별에 따라 스트레스를 받는 정도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아동의 학년별, 성별에 따라 학교생활 적응의 정도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아동이 스트레스를 받는 정도에 따라 학교생활 적응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 대전, 청주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각 1개 학교에 2, 4, 6학년 학생 563명을 대상으로 하여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스트레스 측정도구로는 천민필(1993), 홍미경(1995), 김민기(2000)의 스트레스에 관한 질문지를 참고하여 개인관련, 부모관련, 친구관련, 교사관련의 대인관계적인 스트레스와 학업관련 스트레스의 5가지 하위요인으로 스트레스 질문지를 재구성하였는데 신뢰도는 .89이었다. 그리고 학교생활 적응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지는 이상필(1990), 신철재(1995), 김형철(2000)의 학교생활 적응검사를 참고로 담임적응, 교우적응, 학습적응, 규칙 및 행사적응의 4가지 하위요인으로 하여 학교생활 적응 질문지를 재구성하였는데 신뢰도는 .89이었다. 자료분석을 위해 이용된 통계 기법은 학년(저-중-고학년)과 성별, 그리고 스트레스를 받는 정도(많음-보통-적음)를 독립변수로 하여 다변량분산분석(MANOVA)을 실시하였다. 가설을 검정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학년별, 성별에 따라 스트레스를 받는 정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스트레스의 하위요인별로 다소 차이는 있지만 전반적으로 저학년과 중학년 보다는 고학년이,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이 스트레스를 받는 정도가 높았다. 둘째, 아동의 학년별, 성별에 따라 학교생활 적응 정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학년별로는 학교생활 적응의 하위요인 중 하나인 담임적응을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고학년과 중학년 보다는 저학년이 학교생활 적응 정도가 높게 나타났고, 성별로는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이 학교생활 적응의 정도가 더 높은 결과를 보였다. 셋째, 아동이 스트레스를 받는 정도에 따라서 학교생활 적응은 차이가 있었다. 즉, 스트레스를 받는 정도가 낮을수록 학교생활 적응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동의 학년과 성별에 따라 스트레스와 학교생활 적응에는 차이가 있고, 아동이 받는 스트레스의 정도가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아동의 정상적인 발달과 원만한 학교생활 적응을 위해서는 아동이 받는 스트레스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그 정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세심한 관심과 지도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 받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children's stress and school adjustment according to grade and gender and to find out school adjustment according to the degree of perceiving on stress. The research problems were as follows : (1)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children's stress according to grade and gender? (2)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according to grade and gender? (3)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level of the school adjustment according to the stress level? On the thesis there were 563 subjects of the second, fourth, and sixth grades students of three elementary schools in the cites of Seoul, Daejeon, Cheong ju. To investigate the above-mentioned questions, I used Cheon min-pil's(1993), Hong mi-kung's(1995), Kim min-gi's(2000) stress inventory and modified to be suitable for 5 subfactors stress inventory about interpersonal stress(individuals, parents, friends, teachers) and academic stress. This inventory's reliability is .89. The inventory to measure school adjustment is used by Lee sang-pil's(1990), Shin chul-jae's(1995), Kim hung-chul's(2000) and modified 4 subfactors school adjustment inventory. This includes the adjustments of homeroom teacher, classmates, class, school regulations and school events. This inventory's reliability is .89.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MANOVA. The finding of the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the degree of perceiving stress according to grade and gender. There was a little difference on stress subfators but generally sixth grade students and girl students perceived much stress.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f school adjustment according to grade and gender. Generally second grade students and girl students adjusted well. Third, there was a difference of school adjustment according to the degree of perceiving stress, that is the less perceived stress, the better adjusted school. In conclusion, there was difference of stress and school adjustment according to grade and gender, the degree of perceiving stress influences school adjustment. To help students' normal development and harmonious school adjustment, teachers need to understand how much the students feel stress and carefully care and guide the students.

      • 무용학 분야의 예술경영연구 동향 고찰

        문신정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the art circle of today ever changes with socio-economical changes, the importance and interest in cultural and artistic sectors ever increase. In recent ten years, Korea has achieved remarkable growth and development in the fields of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As a result, the field of culture and art also has achieved some advancement, but comparing with other fields it is unsatisfactory. Social interests in dance, especially in dance management, increase domestically. In this vein, the recognition or demand of developing an educational program for the cultivation of dance managers comes to the fore and the recognition of art management is also socially highlight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troduction status and trend of art management in the field of dance science which presently became an important issue in the field of culture and art, on the basis of master's theses on art management. For this, the investigator examined literatures on art management and dance science focusing on domestic master's theses.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database (DB) of the National Assembly Electronic Library and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in Seoul focusing on domestic master's theses on dance science published after 1958. Using 'dance' as a key word, the investigator examined 14 sub-fields of dance science (aesthetics, historical science, criticism, anthropology, dance notation, movement, education, treatment, psychology, sociology, functional science, choreography, philosophy, and art management). Collected data were classified eight spheres (the general perspective of art management, art marketing, art policy and administration, theatrical management, artistic agencies, manpower management, art management and information system, event/festival) on the basis of the subjects of art management course in the Korea Culture and Policy Development Institute. In addition, the investigator classified the data by the years of publishing in order to examine the trend of studies in the filed of art management. Thus, the investigator examined 2115 master's theses on the dance science, beginning with 「The History of Dance in Korea」(Yu In-hi, 1958), focusing on the above 14 sub-fields. The results show that studies on movement occupy the greatest portion and studies on art management have become activated since 2000. The results of analyzing 252 studies on art management in the field of dance science show that the first study seemed to be "The Study on the Activity and Characteristic of Domestic Modern Dance Troupe: Focusing on Seoul, Busan, Daegu, and Gwangju" punlished in 1993 by the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and since 2001 this kind of study has been carried out in full-scale. In addition, most of studies dealt with marketing. Since 2006, studies on art management have been increased radically. As a lot of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for the period of five years from 2001, studies on the field of art management seem to put down roots as a field of science. Although the investigator classified the dance science-related art management into such eight spheres as the general perspective of art management, art marketing, art policy and administration, art management and information system, theatrical management, artistic agencies, manpower management and event/festival based on the subjects of art management course (plan) in the Korea Culture and Policy Development Institute, this system was found to be unstable in the course of carrying out this study. Therefore, future studies on art management must give careful consideration to the study spheres and methods. In addition, among above eight spheres, the present studies on the dance science-related art management seem to incline toward marketing. Therefore, in order to advance the dance science-related art management, these kinds of studies must evenly deal with such spheres as 'the general perspective of art management' which comprises a systematic art education, 'art policy and administration' for the activation of art performance, 'art management and information system' for the establishment of art information system, 'theatrical management' for the performance-centered active operation of theaters, 'survey of artistic agencies and organizations' to work out an operational strategy of them, 'manpower management' which is the study on artists-related human resources, and 'event/festival' which is related for the popularization of performance. In this study, the investigator examined the trend of art management in the field of dance science. The investigator hopes future studies deal with a variety of spheres on the basis of this study. 오늘날 예술계는 사회적 경제적 변화와 함께 끊임없이 변화하며 최근에 문화예술 부문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최근 십년 사이에 우리나라는 정치 경제 사회적인 측면에서 놀랄만한 성장과 발전을 이룩해 냈고 문화예술 분야도 많은 발전이 있었으나 타 분야에 비해 더딘 발전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 에서는 무용, 그 중 무용경영분야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며, 전문 무용경영자를 양성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그에 대한 자각이나 요구가 구체적 모습을 띄며 예술경영에 대한 인식이 사회적 차원에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현재 문화예술부분의 중요한 문제로 다루어지고 있는 예술경영에 대하여 무용학석사학위 논문을 바탕으로 무용학분야의 예술경영학 도입 현황과 동향을 분석 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분석방법으로는 문헌연구과 조사연구를 통하여 무용학 석사학위를 토대로 예술경영학 영역에 대한 논문을 중점으로 연구하여 예술경영과 무용학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과 동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국내에 발간된 무용학 석사학위 논문을 대상으로 자료 수집은 국회전자도서관 및 국립중앙도서관의 데이터베이스(DB)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연구물은 1958년 이후 발간된 자료를 시작으로 검색어는 ‘무용’을 키워드로 학문연구 분야 분류표를 기준으로 무용학 14가지 영역을(미학, 사학, 비평, 인류학, 무보, 움직임, 교육, 치료, 심리학, 사회학, 기능학, 안무, 철학, 예술경영) 조사하였으며 이렇게 나온 결과자료를 토대로 한국문화정책 개발원의 예술경영과정 학습과목(안)을 기준으로 무용학 관련 분야로 예술경영을 8가지 영역(예술경영개관, 예술마케팅, 예술정책 및 행정, 극장경영, 예술단체, 인적관리, 예술경영과 정보체계, 이벤트/축제)으로 나누어 8가지 키워드 을 포함하고 있는 석사학위논문으로 한정하여 무용학 석사학위논문을 분석하고 무용학과 무용학분야의 예술경영학 연구영역에 따른 분류, 연도별, 시기별 연구현황을 통하여 <예술경영>영역의 연구동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무용학 석사학위연구논문 총2115편의 연구를 토대로 1958년 처음 발행된 논문은 유인희, 「한국의 무용사」를 시작으로 14가지 영역의 분석결과 움직임분석 영역의 연구논문이 가장 많이 발행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2000년에 들어서면서 예술경영학 분야의 연구가 활발해짐을 알 수 있다. 무용학분야 예술경영학 논문 252편의 연구 현황을 분석 결과는 1993년 처음 발행된 조선대 대학원의 “국내 현대무용단의 활동 및 특성에 관한 연구 : 서울, 부산, 대구, 광주를 중심으로”를 시작으로 2001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연구되어지기 시작하였으며, 마케팅 관련 논문이 가장 많이 발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논문은 2006년에 들어서면서 급격한 증가를 보이고 있으며 2001년 이후 5년 동안 많은 양의 예술경영 영역의 논문이 발행되면서 예술경영을 하나의 학문으로 연구하고자 하는 노력이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문화정책개발원의 예술경영과정 학습과목(안)을 기준으로 무용학 분야 관련 예술경영학을 ‘예술경영개관’, ‘예술마케팅’, ‘예술 정책 및 행정’, ‘예술경영과 정보체계’, ‘극장경영’, ‘예술단체’, ‘인적자원관리’, ‘이벤트/축제’ 6가지 영역으로 분류 하였지만 하지만 연구 진행을 거치면서 연구 영역으로서 체계가 불안정함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예술경영학에 대한 연구는 학문의 영역을 어디까지 볼 것이며 그 영역의 분류방법을 어떻게 할 것인지 부터 고민해 보아야 할 것이다. 또한 8가지 영역 중에서 현재 무용학 분야의 예술경영학은 공연 활성화를 위한 마케팅에 관한 연구로 치우쳐 있는 경향이 있다. 마케팅 이외에 예술경영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을 포함하는 ‘예술경영개관’, 예술 공연의 활성화를 위한 ‘예술 정책 및 행정’ 그리고 예술의 정보체계구축을 위한 ‘예술경영과 정보체계’, 공연을 위한 극장의 활성화와 운영에 대한 ‘극장경영’, 예술단체의 운영방안에 대한 ‘예술단체’, 예술가의 인력관리관련 연구인 ‘인적자원관리’, 공연의 대중화를 위한 ‘이벤트/축제’ 관련 연구 등 여러 분야의 균형 있는 연구가 되어져야 만이 앞으로 무용학의 예술경영학 분야의 발달이 이루어질 것이다. 본 논문은 무용학분야의 예술경영학 연구의 동향을 살펴 본 것으로 앞으로 예술경영 연구는 하나의 영역에만 치중되지 않고 다양한 방향에서의 전문적 논문이 연구되어져야 하며, 그런 의미에서 본 논문이 무용학분야에서 예술경영학 연구의 작은 길잡이가 되길 희망한다.

      • A New Routing Scheme to Reduce Traffic in Large Scale Mobile Ad-hoc Networks through Selective On-Demand Method

        문신정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15

        Wireless networks have many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wired networks. Wireless networks usually comprise of various devices such as laptop, cellular phone, and table pc which emphasize mobility. To manage characteristics of the mobile devices some systems require coordinators such as Access Point (AP) used in IEEE 802.11 standards. This type is called infrastructure-based networks. In the infrastructure-based networks, routing method is relatively simple because every node can reach the coordinator in a single hop. But in some specific situation when unplanned dynamic links were required, for example, in a multi-hop environment, the node should communicate each other without coordinators. This kind of networks is called ad-hoc networks. Under the ad-hoc networks environment, all nodes engaging in communication under ad-hoc networks should be operated as a router. Two routing approaches are previously designed for ad-hoc networks; proactive and reactive routing. Proactive routing protocols, for example, Destination-Sequenced Distance-Vector (DSDV) were introduced. In these approaches, each node maintains routing information for all possible destination nodes in the network. The main advantage of proactive routing is short delay time due to maintaining routing table for destination nodes. Proactive routing protocol works well in a static and small scale networks. But it faces challenge of managing overheads. Overhead for maintenance of routing table increases rapidly especially in dynamic or large scale network. Reactive routing protocols such as Ad-hoc On-demand Distance Vector (AODV) were introduced to address the overhead issues of proactive routing. The protocols do not manage the routing table for the destinations; instead, they find a route in on-demand method when a packet delivery is required. The main advantage of reactive routing protocol is that it eliminates periodic control packets of proactive routing. The disadvantage of this routing is long delay time and flooding overheads for route discovery. Hybrid routing protocols, for example, Zone Routing Protocol (ZRP) were introduced to combine the advantages of both protocols. The ZRP uses proactive routing to the node located within the zone defined by the specific number of hops, while it uses reactive routing to other nodes. In ZRP, proactive routing protocol is applied only within the zone defined by the number of hops, which means that the zone is formed regardless of real data communication are occurred frequently or not. In this thesis, I propose a new routing scheme called Traffic Aware-Dynamic Zone Routing (TA-DZR) Protocol. The TA-DZR uses proactive routing method within the zone and reactive routing method outside of the zone. The major differentiation between TA-DZR and ZRP is how to define the zone. ZRP defines proactive routing zone based on the number of hops, but TA-DZR forms customized zone using traffic load. I design a new decision method named Dynamic Zone Decision (DZD). The DZD method selects nodes that are good to use proactive routing base on the traffic load. The customized proactive routing zone is formed around the route from source node to the selected destination node. By using traffic aware proactive routing zone, TA-DZR can decrease number of packets and reduce the total energy consumption. After the description of TA-DZR, the performance of TA-DZR is demonstrated using NS-2 simulator.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number of packets is reduced in overall network, and the energy consumption is also reduced. Additionally, end-to-end packet delivery time is reduced and packet delivery ratio (PDR) is improved. These results are caused by reducing overall network conges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