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미용전공대학생의 자아개념이 창의력과 진로의식에 미치는 영향

        박미나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7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self-concept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beauty art on their creativity and career awareness. There is a trend that the number of high schools and colleges that offer beauty art education is on the rise along with the quantitative growth of the beauty industry, but this industry is still confronted with manpower problem, and workers in the industry usually don't take their job seriously. Therefore it's meant in this study to discuss the importance of self-concept among beauty art majors and to boost their creative thinking and career awarenes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beauty art majors in Seoul, Gyeonggi Province and North Jeolla Province.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impact of their self-concept on creativity and career awareness, the answer sheets from 506 respondents were analyzed by a SPSS 17.0 program. The response rate stood at 84.3 percent. A reliability analysis was made to check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variables, and a factor analysis was utilized to check their construct validit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were investigated by obtaining statistical data on percentage and making a frequency analysis. Besides, regression analysis and T-test were carried out to look for any possible gaps in the influence of the variables, and two-way ANOVA was employed to look for any possible gaps among the variable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ncerning differences in career awareness according to self-concept, the dimension of achievement self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impact on career awareness(p<.001). That was negatively affected by career purposiveness that meant to make a career choice not by internal motivation but for employment or good prospects(ß=-.13, p<.01), and career barriers(ß=-.24, p<.001) exerted a negative influence on it as well. Second, whether the self-concept of the beauty art majors made any differences to their creativity was checked, and self-concept was found to exert a statistically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creativity (F=196.37, p<.001). Third, whether the creativity of the beauty art majors made any differences to their career awareness was investigated, and creativit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ly positive impact on career awareness(F=47.43, p<.001). Fourth, as for the relationship of the interaction between self-concept and creativity to career awarenes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wo affected career barriers only in a significant manner(F=4.17, p<.05). The group that put higher value on achievement self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other that didn't in career awareness. The group that set higher value on their own imaginative thinking were relatively ahead of the other that didn't in career assurance(from a high of M=3.65 to a low of M=3.21) and career determination(from a high of M=3.53 to a low of 3.22). The group that prized their own divergent thinking better was relatively ahead of the other that didn't in career assurance(from a high of M=3.71 to a low of M=3.23) and career determination(from a high of M=3.67 to a low of 3.13). There were more career barriers(from a high of M=2.75 to a low of M=2.98) and stronger career purposiveness(from a high of M=2.61 to a low of M=2.84) in the latter than in the former. The group that had a higher opinion on their own social ego and imaginary thinking were relatively ahead of the other that didn't in career assurance(from a high of M=3.65 to a low of M=3.22) and career determination(from a high of M=3.54 to a low of M=3.22). Fifth, whether the interaction between self-concept and general characteristics made any differences to career awareness was analyzed, and gender had a significant impact on career assurance(p<.05). Self-concept and academic year had an interaction effect on career barriers and career determination(p<.05), and self-concept and motivation of college choice had a significant interaction impact on career purposiveness(p<.01). In the group with better self-concept, the women (M=3.73) excelled the men in career assurance, but in the other group with worse self-concept, the men(M=3.48) outdid the women in that aspect. As for career barriers, the seniors(M=2.89) encountered more career barriers in the group with better self-concept, but in the other group with worse self-concept, the sophomores were confronted with more career barriers. Sixth, whether the interaction between creativity and general characteristics made any differences to career awareness was checked, a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gaps just in career purposiveness (p<.05) according to gender. Concerning the impact of the interaction between creative thinking and each general characteristic on career awareness, the men(M=3.07) were ahead of the women in career purposiveness in the group with better creative thinking. In the other group with worse creative thinking, the women(M=2.80) were ahead of the men in that aspect. Seventh, in regard to the relationship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o self-concept, creativity and career awareness, whether the motivation of college choice made any differences to self-concept was analyzed,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gaps were found in achievement self according to that(F=4.08, p<.01). Specifically, the motivation of college choice was most related to their experiences at beauty art academies(M=3.77). As to differences in creativity by academic year,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gaps only in imagination according to that(F=3.02, p<.05). The seniors(M=3.59) were most imaginative, followed by the juniors(M=3.37), sophomores(M=3.35) and freshmen(M=3.26). Thus, the students whose academic year was higher were more imaginative. Whether their creativity varied with a post-college career plan was analyzed, and those who were going to keep studying their current major field of study at graduate school(M=3.57) were most imaginative. Those who were going to go to graduate school(M=4.02) were the best in terms of divergent thinking as well. Whether their creativity varied with the degree of difficulty of major was checked, and there was a difference only in imagination according to that(F=4.97, p<.01). Whether their academic year made any differences to career awareness was investigated,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gaps were found in career assurance according to that(F=2.61, p<.05). In particular, the seniors(M=3.66) excelled the others in that aspect, which showed that a higher academic year led to more career assurance. Whether the motivation of college choice made any differences to career awareness was analyzed, and career assurance was most bound up with their experiences at beauty art academies(M=3.57). Whether their career awareness differed with a post-college career plan was checked, and those who didn't ever think of it(M=3.17) faced the most career barriers(F=5.52, p<.001). The students who were going to keep studying their major field of study at graduate school(M=3.72) were the best in terms of career assurance, and those students(M=3.72) were the best in terms of career determination as well.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out the correlation of the self-concept of beauty art majors to their creativity and career awareness, and self-concept was identified as one of the variables to affect creativity and career awareness in a significant manner. Creativity and career awareness were significantly linked to each other and varied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ed that a positive view of beauty art and confidence were two primary variables to design one's future. Therefore beauty art majors should wake up to the importance of the right self-concept, and beauty art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to improve their creative thinking and career awareness. 본 연구는 미용을 전공하는 대학생의 자아개념 차이에 따라 창의력과 진로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 것이다. 미용분야의 양적인 팽창과 함께 미용관련 고등학교와 대학 및 대학교가 늘어가는 추세이지만 여전히 겪고 있는 인력난과 직업의식의 결여가 문제되고 있기에 미용전공대학생의 자아개념의 중요성에 대해 언급하며 창의적 사고와 진로의식을 향상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미용전공 대학생의 자아개념이 창의력과 진로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 경기도, 전라북도에 거주하는 미용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 506부, 84.3%를 SPSS 17.0의 프로그램으로 변수간의 내적 일관성을 조사하기 위한 신뢰성 분석을 하였으며 변수들의 구성개념 타당성을 위한 요인분석, 표본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백분율과 빈도분석 이용하였다. 또한 결과 분석을 위해서 변수들 간의 영향력 차이를 검증위한 회귀분석, T-test와 관련변수간의 차이검증을 위한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을 실시하여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개념에 따른 진로의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취자아 차원은 유의한 정적(+)영향(p<.001)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로선택의 요인이 내적동기가 아닌 취업을 목적으로 하거나 경제적으로 전망이 높은 진로선택의 요인으로 보고 있는 문항으로 보고 있는 진로목적성(β=-.13, p<.01)과 진로장애(β=-.24, p<.001)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개념에 따른 창의력에 차이를 분석한 결과 미용전공 대학생들의 자아개념이 창의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F=196.37, p<.001)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창의력에 따른 진로의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대학생들의 창의력이 진로의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F=47.43 p<.001)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아개념과 창의력의 상호작용에 따른 진로의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진로장애 요인에서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F=4.17, p<.05). 또한 성취자아를 높게 지각한 집단의 경우, 진로의식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상상력 사고는 높게 지각하는 집단이 낮게 지각하는 집단보다 진로확신성(고:M=3.64, 저:M=3.21)과 진로결정성(고:M=3.53, 저:M=3.22)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확산적 사고를 높게 지각한 집단이 낮게 지각한 집단보다 진로확신성(고:M=3.71, 저:M=3.23)과 진로결정성(고:M=3.67, 저:M=3.13)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고, 낮게 지각한 집단이 높게 지각한 집단보다 진로장애(고:M=2.75, 저:M=2.98)와 진로목적성(고:M=2.61, 저:M=2.84)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또 사회자아를 높게 지각하고 상상력 사고가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보다 진로확신성(고:M=3.65, 저:M=3.22)과 진로결정성(고:M=3.54, 저:M=3.22)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다섯째, 자아개념과 일반적 특성의 상호작용에 따라 진로의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이 진로확신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p<.05), 자아개념과 학년이 상호작용하여 진로장애와 진로결정성에 영향을 미쳤으며(p<.05), 자아개념과 대학선택 동기가 상호작용하여 진로목적성에 유의한 영향(p<.01)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개념이 높은 집단의 경우, 여자(M=3.73)가 진로확신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낮은 집단의 경우, 남자(M=3.48)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장애에 있어서 자아개념이 높은 집단의 경우, 4학년(M=2.89)이 진로장애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낮은 집단의 경우 2학년이 진로장애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창의력과 일반적 특성의 상호작용에 따른 진로의식의 차이에서는 성별이 진로목적성(p<.05)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창의적 사고가 세부적 일반적 특성과 상호작용하여 진로의식에 미친 효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높은 집단의 경우 남자가(M=3.07) 진로목적성이 더 높았으며, 낮은 집단의 경우 여자(M=2.80)가 진로목적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아개념, 창의력, 진로의식의 차이에 대해서는 대학선택 동기에 따라 자아개념에 차이가 있는 가를 파악한 결과 성취 자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4.08 p<.01). 구체적으로 대학선택 동기는 미용학원에서의 미용경험(M=3.77)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학년에 따라 창의력에 차이가 있는 가를 파악한 결과 상상력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3.02, p<.05). 특히 4학년(M=3.59), 3학년(M=3.37), 2학년(M=3.35), 1학년(M=3.26)순으로 학년이 높을수록 상상력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졸업 후 진로에 따라 창의력에 차이가 있는 가를 파악한 결과 상상력에서는 학과 전공과 관련된 대학원 진학(M=3.57)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확산적 사고에서도 학과 전공과 관련된 대학원 진학(M=4.02)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 전공과목 난이도에 따라 창의력에 차이가 있는 가를 파악한 결과 상상력에서만 차이가 나타났다(F=4.97, P<.01). 학년에 따라 진로의식에 차이가 있는 있는가를 파악한 결과 진로확신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2.61, p<.05). 특히 4학년(M=3.66)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학년이 높을수록 진로에 관한 확신성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선택 동기에 따라 진로의식에 차이가 있는 있는가를 파악한 결과 진로 확신성은 미용학원에서의 미용경험(M=3.57)익 가장 높게 나타났다. 대학졸업 후 진로에 따라 진로의식에 차이가 있는 있는가를 파악한 결과 진로장애(F=5.52, p<.001)는 생각해 본 적이 없음(M=3.17)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진로 확신성은 학과 전공과 관련된 대학원 진학(M=3.72)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진로결정성은 학과 전공과 관련된 대학원 진학(M=3.86)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미용 전공 대학생의 자아개념에 따른 창의력과 진로의식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고 그 결과 자아개념에 따라 창의력과 진로의식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또한 창의력과 진로의식 또한 서로 유의한 관계를 형성하며 일반적 특성에 따라서도 변화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결과는 미용전공 대학생들에게 미용을 통해 자신의 미래를 설계하는데 있어 보다 미용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자신감이 무엇보다 중요한 변수 임을 밝혀냄으로써 미용전공 대학생들의 올바른 자아개념 형성의 중요성과 미용 교육의 방향이 보다 창의적 사고를 촉진 시키며 미용전공 대학생의 진로의식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가야 할 것이다.

      • 중국 여성들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피부관리행동 및 외모만족도에 대한 연구

        유배봉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skin care behavior and appearance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model was divided into four parts: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and skin care behavior,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and appearance satisfac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skin care behavior and appearance satisfaction, 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In this study, 418 copies of the study were selected as the final data for women over 20 years of age in Shanghai, China, using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variance analysis using SPSS 23.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ffects of lifestyle on skin care behavior were shown in conspicuous consumption type (β=.206, p<.01), epidemic pursuit type (β=.126, p<.05), and individual pursuit type (β=.137, p<.05) had a positive effect, and the economic pursuit type (β=-.254, p<.01) had a negative effect. Second, according to the lifestyle, the effect on appearance satisfaction was shown in conspicuous consumption type (β=.193, p<.01), epidemic pursuit type (β=.141, p<.05), and individual pursuit type (β=.137, p<.05) had a positive effect, and the economic pursuit type (β=-.136, p<.01) had a negative effect. Third, the effects of skin care behavior on appearance satisfaction were positively affected by both home care (β=.233, p<.01) and professional care (β=.341, p<.01) were all had a positive effects. Fourth, it can be said that it plays a role of mediating skin care behavior in relation to the effect of lifestyle on appearance satisfaction. Fifth, the effects on appearance satisfaction according to lifestyle and general characteristics was shown in marital status (β=-.115, p<.01) had a negative effect, and education (β=.219, p<.01), monthly income (β=.098, p<.05), and lifestyle (β=.307, p<.01)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Sixth, the effects on skin satisfaction according to skin care behavior and general characteristics was shown in age (β=-.162, p<.01) had negative effects, and education (β=.180, p<.01) and skin care behavior (β=.366, p<.01) had a positive effect. Seventh, age, marital status, educational background, and monthly income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lifestyle, by age 20-29 (4.02), unmarried (3.56), graduate school and graduation (3.53), and more than 15000 yuan (3.61) were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 Age, marital status, education, and monthly income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kin care behavior, by age 20-29 years (4.08), unmarried (3.69), graduate and graduate school (3.62), and more than 15000 yuan (3.79) were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 Therefore, This study found that among the lifestyle factors conspicuous consumption type, fashion pursuit type and personal pursuit type on skin care behavior, appearance satisfaction and appearance satisfaction on skin care behavior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Lifestyle factors The economic pursuit type has a negative effect on skin care behavior and appearance satisfaction. Age, marital status, education, and monthly income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lifestyle, skin care behavior and appearance satisfaction.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The study was conducted by constructing a sample of women in some parts of China,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limited in generalizing or expanding the interpretation of the results. In addition, using the questionnaire method the responsive stereotypes or subjective values ​​may distort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본 연구는 라이프스타일, 피부관리행동 그리고 외모만족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라이프스타일과 피부관리행동의 관계, 라이프스타일과 외모만족도의 관계, 피부관리행동과 외모만족도의 관계, 그리고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각 변수의 관계라는 네 부분으로 구분된 연구모형을 설정하였으면, 중국 상하이 지역에 거주하는 20세 이상의 여성들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연구 자료를 적합하다고 판정된 418부를 최종자료로 채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회귀분석,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피부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면 과시소비형(β=.206, p<.01), 유행추구형(β=.126, p<.05), 개성추구형(β=.137, p<.05)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경제추구형(β=-.254, p<.01)이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외모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면 과시소비형(β=.193, p<.01), 유행추구형(β=.141, p<.05), 개성추구형(β=.137, p<.05)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경제추구형(β=-.136, p<.01)이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피부관리행동에 따라 외모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면 홈케어(β=.233, p<.01)와 전문케어(β=.341, p<.01)가 모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라이프스타일이 외모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피부관리행동의 매개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다섯째, 라이프스타일과 일반적 특성에 따라 외모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면 결혼여부(β=-.115, p<.01)가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력(β=.219, p<.01), 월수입(β=.098, p<.05), 라이프스타일(β=.307, p<.01)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피부관리행동과 일반적 특성에 따라 외모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면 연령(β=-.162, p<.01)이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력(β=.180, p<.01), 피부관리행동(β=.366, p<.01)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의 연령, 결혼여부, 학력, 월수입은 라이프스타일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29세별로(4.02), 미혼(3.56), 대학원 재학 및 졸업(3.53), 15000위안 이상(3.61)은 유의한 차이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의 연령, 결혼여부, 학력, 월수입은 피부관리행동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29세별로(4.08), 미혼(3.69), 대학원 재학 및 졸업(3.62), 15000위안 이상(3.79)은 유의한 차이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의 연령, 결혼여부, 학력, 월수입은 외모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29세별로(4.08), 미혼(3.91), 대학원 재학 및 졸업(3.85), 15000위안 이상(3.89), 10000∼15000위안(3.89)은 유의한 차이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라이프스타일 요인 중의 과시소비형, 유행추구형, 개성추구형은 피부관리행동과 외모만족도 및 피부관리행동은 외모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라이프스타일 요인 경제추구형은 피부관리행동과 외모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의 연령, 결혼여부, 학력, 월수입은 라이프스타일, 피부관리행동과 외모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갖고 있다. 중국 일부지역의 여성들을 대상으로 표본을 구성하여, 진행한 연구로 본 연구의 결과가 중국의 전체 여성에게 일반화 하거나 확대 해석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또한, 설문지 방식을 이용하여 응답자의 고정관념이나 주관적인 가치 등으로 인해 변수들 사이의 관계가 왜곡될 수도 있다.

      • 열 펌 시술시 아마란스 추출물을 첨가한 앰플이 모발손상완화에 미치는 영향

        강은지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47

        Digital perm is a type of heat perm that uses thermic physical and chemical processes, and the level of preference is high for minor damage on hair but cannot exclude damages from high temperature. For this reason, this study intended to identify the difference of the damage degree between general ample and Amaranthus spp. L. ample by experimenting the time of ample application with added Amaranthus spp. L. ample different to increase the perm effectiveness while minimizing the degree of hair damage. The group was classified into the Group G, which used general ample, the Group GB, who applied before softening, the Group GM, which applied by stirring it into a reducing agent at the time of softening, and the Group GW, which applied before winding. For group which processed the Amaranthus spp. L. ample were classified into Group A, the Group AB which applied before the softening, the Group AM which applied by stirring it into a reducing agent at the time of softening, and group AW which applied before winding. When the wave efficiency was measured, the Group AW which applied the Amaranthus spp. L. ample before winding showed the highest efficiency with 26.00%, and for the Group G which processed general ample, the Group GW which applied general ample before winding showed 20.64% of efficiency. When hair thickness was measured, the Group AW which applied the Amaranthus spp. L. ample before winding showed the most similar thickness as the normal hair as they showed 0.0435 ± 0.0026 ㎜ of thickness from Group A, and from Group G, the group GM which applied by stirring the reducing agent at the time of softening the general ample showed the thickest hair with 0.0400 ± 0.0053 ㎜ among the general ample group. When amount of moisture contained in hair was measured from Group A, the Group AM which stirred the Amaranthus spp. L. ample in the reducing agent at the time of Amaranthus spp. L. ample application showed 8.10 ± 1.16%, and from Group G, the Group GB which applied general ample before the softening process showed the highest amount of moisture contained in hair with 6.39 ± 1.01%. When tensile strength was measured, the Group AW which applied Amaranthus spp. L. ample on hair before winding showed the highest value of tensile strength with 128.70 ± 15.34 gf/㎜2 among Group A, and the GW which applied general ample on hair before winding also showed the highest value of tensile strength with 105.79 ± 22.38 gf/㎜2. When elongation percentage was measure, the Group AW which applied Amaranthus spp. L. ample on hair before winding showed the highest elongation percentage with 240.26 ± 17.89% from Group A, and from Group G, the Group GB which applied general ample before softening showed 225.51 ± 16.13%. When the degree of hair damage was measured through the methylene blue experiment, the Group AW which applied Amaranthus spp. L. ample on hair before winding showed the least damage in Group A as the O.D value was 0.4970 that shows 84.02% of the MB absorption rate, and from Group G, the Group GW which applied general ample on hair before winding showed least damage as it showed 84.40% of the MB absorption rate with 0.4992 of the O.D value. Whe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hair surface was observed, undamaged hair of the Group AW which applied Amaranthus spp. L. ample before winding showed similar form as the undamaged hair of virgin hair, and the interval was regular. By comparison, it was difficult to observe the scale for the Group G which processed general ample as the undamaged hair got absorbed. When microstructure of hair of each group was observed, the thickness of cuticle of normal hair was measured to 369.27 ± 27.32 ㎚. From Group A which process the Amaranthus spp. L. ample, the Group AW which applied the ample before winding showed the thickest hair with 385.51 ± 10.14 ㎚, and from Group G which processed general ample, the Group GB who applied general ample on hair before softening showed thickest hair with 339.07 ± 14.26 ㎚. When surface element was analyzed, 8 elements were detecte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sulfur content within cortex, the Group A which applied Amaranthus spp. L. ample showed greater sulfur content compare to the Group G which applied general ample, and specially, the Group AW which applied Amaranthus spp. L. ample before winding showed least damage as the sulfur content was 12.84%.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identified that the hair damage gets eas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Amaranthus spp. L. ample, but as when applied after stirring the ample in the reducing agent at the time of softening showed relatively low wave efficiency, it is considered that research on the types of chemical action that is produced at the time of stirring ample and reducing agent take place need to be conducted continuously. 디지털 펌은 열에 의한 물리?화학적 작용으로 이루어지는 열 펌의 종류 중 하나로 손상이 적은 장점으로 선호도는 높으나 높은 온도로 인한 손상을 배제할 수 없다. 이에 모발손상을 최소화 하면서 펌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천연 추출물인 아마란스를 첨가한 앰플(이하 아마란스 앰플)의 적용시점을 달리하여 실험한 후 일반 앰플 과의 모발 손상도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일반 앰플을 처리한 군을 G군으로 구분하였으며 연화 전에 도포한 군(GB), 연화 시 환원제에 교반하여 도포한 군(GM), 와인딩 전에 도포한 군(GW)으로 설정하였다. 아마란스 앰플을 처리한 군을 A군으로 구분하였으며 연화 전 도포한 군(AB), 연화 시 환원제에 교반하여 도포한 군(AM), 와인딩 전 도포한 군(AW)으로 설정하여 실험을 진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웨이브 효율성을 측정결과 A군은 와인딩 전 아마란스 앰플을 도포한 AW가 26.00%로 가장 높은 효율성을 나타냈으며 일반 앰플을 처리한 G군은 와인딩 전 일반 앰플을 도포한 GW가 20.64%의 효율성을 나타냈다. 모발 굵기를 측정한 결과 A군은 와인딩 전 아마란스 앰플을 모발에 도포한 AW가 0.0435 ± 0.0026 ㎜의 두께를 보여 정상모와 가장 유사한 두께로 나타났으며, G군은 연화 시 일반 앰플을 환원제에 교반하여 도포한 GM이 0.0400 ± 0.0053 ㎜로 일반 앰플군 중 가장 두꺼운 모발 굵기를 나타냈다. 모발이 함유하고 있는 수분 량을 측정한 결과 A군은 연화 시 아마란스 앰플을 환원제에 교반하여 도포한 AM이 8.10 ± 1.16%로 나타났고 G군은 연화 전 일반 앰플을 모발에 도포한 GB가 6.39 ± 1.01%로 가장 높은 수분 함유량을 나타냈다. 모발의 인장강도를 측정한 결과 A군은 와인딩 전 아마란스 앰플을 모발에 도포한 AW가 128.70 ± 15.34 gf/㎜2로 가장 높은 인장강도 값을 보였으며 G군은 와인딩 전 일반 앰플을 도포한 GW가 105.79 ± 22.38 gf/㎜2로 가장 높은 인장강도 값을 보였다. 연신율을 측정한 결과 A군은 와인딩 전 아마란스 앰플을 도포한 AW가 240.26 ± 17.89%로 높은 연신율을 보였으며 G군은 연화 전 일반 앰플을 도포한 GB가 225.51 ± 16.13%로 나타났다. methylene blue 실험을 통해 모발의 손상정도를 측정한 결과 A군은 와인딩 전 아마란스 앰플을 모발에 도포한 AW가 O.D값 0.4970으로 84.02%의 MB 흡착률을 보여 가장 손상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G군은 와인딩 전 일반 앰플을 모발에 도포한 GW가 O.D값 0.4992로 나타나 84.40%의 MB 흡착률을 보여 손상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모발 표면의 형태학적 특성을 관찰한 결과 와인딩 전 아마란스 앰플을 모발에 도포한 AW의 모표피가 virgin hair의 모표피와 유사한 형태를 보였으며 스케일이 뚜렷하고 그 간격이 일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에 비해 일반 앰플을 처리한 G군은 모표피가 흡착되어 스케일을 관찰하기에 어려웠다. 각 군의 모발 미세구조 관찰 결과 정상모의 큐티클 굵기는 369.27 ± 27.32 ㎚로 측정되었다. 아마란스 앰플 처리한 A군은 와인딩 전 아마란스 앰플을 모발에 도포한 AW가 385.51 ± 10.14 ㎚로 나타나 가장 두꺼운 굵기를 나타냈으며 일반 앰플을 처리한 G군은 연화 전 일반 앰플을 모발에 도포한 GB가 339.07 ± 14.26 ㎚로 가장 두꺼운 굵기를 나타내었다. 표면원소를 분석한 결과 여덟 종류의 원소가 검출되었으며 모피질 내 황 함유량을 살펴본 결과 아마란스 앰플을 도포한 A군이 일반 앰플을 도포한 G군에 비해 황 함유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와인딩 전 아마란스 앰플을 모발에 도포한 AW가 12.84%의 황 함유량을 보여 가장 손상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보아 아마란스 앰플의 적용으로 인해 모발손상이 완화되는 효과를 확인하였으나 연화 시 환원제에 앰플을 교반 후 도포하였을 때 웨이브 효율성이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나 앰플과 환원제의 교반 시 어떠한 작용이 일어나는지에 대한 화학적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정상 골격양상을 보이는 젊은 성인여성에서 연조직 안모에 대한 심미적 선호도의 삼차원적 분석

        오진형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647

        본 연구의 목적은 정상 골격양상을 보이는 젊은 성인 여성에서 안모의 심미도를 평가한 후 삼차원적 좌표 및 두부 계측치를 이용하여 교정의, 일반치과의, 그리고 일반인 세 군 간에 안모의 심미성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전후방, 수직 및 수평적으로 정상 골격양상을 보이며 교정 치료를 위해 콘빔전산화단층촬영(CBCT) 영상을 채득한 40명의 젊은 성인 여성(23.9±4.7세)으로 하였다. 이들의 CBCT 영상을 ON3D (3DONS, INC., Seoul, Korea)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리오리엔테이션한 후 삼차원적 두부 계측 및 분석을 시행하였다. 다섯 장의 삼차원적 안모 영상 (정면, 45도 좌우 측면, 90도 좌우 측면)과 두 개의 질문으로 구성된 컴퓨터 기반 설문지를 이용하여 세 군으로 구성된 총 124명(교정의 42명, 일반치과의 42명, 일반인 42명)의 평가자가 안모의 심미성을 numeric rating scale(NRS)을 이용하여 1점 (가장 비심미적)에서 10점 (가장 심미적) 사이의 점수로 평가하였다. 심미군 (상위 20%)과 비심미군 (하위 20%)의 삼차원 계측치를 분석하여 세 군간의 심미적 인식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추가적으로, 안모 심미성을 평가 시 가장 큰 영향을 준 안면 영상과 영역을 조사 및 비교하였다. 심미군에서 비심미군에 비해 더 큰 Pog-NB(P < 0.05), 상순의 두께(P < 0.05) 및 비순각(P < 0.001)을 보였고, FH plane에 대하여 더 작은 상순의 경사도(P < 0.001) 및 상악 중절치 치축각(P < 0.001), 더 큰 하악 중절치의 치축각(P < 0.01)을 보였다. 또한 심미선에 비해 상순(P < 0.05)과 하순(P < 0.001)은 더 후방으로 위치하였다. 각각의 세 군에서도 이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으며, 세 군 간의 안면 심미도 순위도 서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안모 심미성을 판단하는데 영향을 미친 안면 영상 및 영역은 세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교정의와 일반치과의에서는 90도 측면 영상을 보는 빈도가 각각 59.5%, 57.2%로 유의하게 가장 높았다. 일반인에서는 정면 영상을 보는 빈도가 40.5%로 가장 높았으며, 다른 영상과의 빈도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안모의 심미성을 평가 시 주목받는 안면영역을 비교해 본 결과, 교정의와 일반인은 각각 입술(73.8%)과 턱(45.2%)을 유의하게 높은 비율로 주목하였으며, 일반치과의는 턱(38.1%)을 가장 높은 비율로 주목하였으나 유의하지는 않았다. 정상 골격 양상을 보이는 성인 여성의 안모 심미성을 평가 시 교정의, 일반치과의, 일반인의 모든 군에서 전치 및 입술이 더 후방으로 위치 및 경사진 경우에 더 높은 심미적 선호도를 보였다. 그러나 심미성을 평가하는 방식에서는 군 간의 차이를 보였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facial attractiveness for young female adults with normal skeletal pattern and then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esthetic perception between orthodontists, general dentists, and laypersons using 3-dimensional coordinates and cephalometric measurements. Methods: The subjects were consisted of 40 young female adults (23.9± 4.7 years) with normal skeletal pattern who had taken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scans for orthodontic treatment. Their CBCT images were reoriented and 3-dimensional cephalometric measurement and analysis were done using ON3D (3DONS, INC., Seoul, Korea) software. A computer-based questionnaire that was comprised of 3-dimensional facial images of 40 subjects (5 images; frontal, 2 oblique, and 2 lateral) and two questions was used for a total of 124 evaluators (42 orthodontists, 42 general dentists, and 42 laypersons) to estimate the facial attractiveness of 40 subjects and to score them between 1 (very unattractive) and 10 (very attractive) using numeric rating scale (NRS). According to the ranking of the facial attractiveness, 40 subjects were divided into attractive group (top 20%) and unattractive group (bottom 20%), and 3D measurements were analyzed and esthetic perception was compared between 3 groups of evaluators. Additionally, most influential facial view and component on evaluating facial esthetics were examined and compared. Results: Compared to the unattractive group, the attractive group showed greater Pog-NB (P < 0.05), U lip thickness (P < 0.05), L1SI-FH (P < 0.01), and Nasolabial angle (P < 0.001), and lesser Cant of upper lip (P < 0.001) and U1SI-FH (P < 0.001), and more retruded position of U lip (P < 0.05) and L lip (P < 0.001) relative to esthetic lines. A similar tendency was shown in each group of evaluators and significantly high correlation was found in the ranking of facial attractiveness between 3 groups of evaluators. When evaluating facial esthetics, affecting facial views and compone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3 groups. Orthodontists (59.5%) and general dentists (57.2%) showed significantly higher rates for considering profile view. Laypersons (40.5%) considered frontal view the most but with no significance. When evaluating facial esthetics depending on the facial components, orthodontists and laypersons focused on lips (73.8%) and chin (45.2%) at significantly higher rates, respectively, and general dentists focused on chin (38.1%) at a higher rate but with no significance. Conclusions: When evaluating the facial esthetics for young female adults with normal skeletal pattern, all 3 groups (orthodontists, general dentists, and laypersons) showed a high esthetic preference for more retroclined and retruded position of the incisors and lips. But they showed some differences on the way to evaluate facial soft tissue esthetics.

      • 중국 초등 무용교육 실태에 따른 초등 무용교사 인식에 관한 연구

        왕우미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47

        이 연구는 중국 초등 무용교육 실태에 따른 초등 무용교사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중국 초등 무용교육을 개선할 수 있는 발전적인 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중국 하북성에 소재한 4개 시에 분포되어 있는 초등학교 무용교사 200명에게 설문지를 배부하고 성실하게 답변한 184부를 사용하였다. 이 연구목적을 규명하기 위하여 사용한 조사도구는 설문지법으로 국내•외 선행연구에서 신뤼도 및 타당도 검증을 실시한 설문지를 요인 분석 등을 통하여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하여 코딩한 설문문항을 통계 프로그램인 SPSS Windows 24.0 Version을 사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독립표본 T검정(t-test)과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으며, 특히 초등 무용교사 모집단으로 설정하여 유층집락무선표집법을 실시하였다. 이에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중국의 초등학교 무용실태는 첫째, 중국의 초등 무용교육의 정과 교육과정은 지식과 기술, 과정과 방법, 감정과 태도 목적으로 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둘째, 방과 후 무용교육은 대표성, 체계성, 수준별 수업, 고난이도 동작, 시설 및 교구재 등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셋째, 타 문화와의 교류 차원인 공연 중심의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움직임을 통한 생활미와 예술미에 대한 느낌, 감상, 창의적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지도자 양성 및 관련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중국 초등 무용교사의 교육시설의 일반적 사항, 교육과정, 교수학습의 각 영역별 인식 수준은 첫째, 시설 등 일반적 사항 인식에 있어 남교사가 여교사보다 긍정적이었으며, 나이가 적을수록 긍정적 인식을 보였다. 경력이 높을수록 긍정적 인식을 보였으며, 사립 교사가 공립 교사보다 긍정적인 인식을 나타내고 있었다. 사범대학 출신 교사가 전문대학, 대학원 이상의 출신 교사보다 긍정적이었으며, 음악 전공 교사가 타 전공교사보다 긍정적인 인식을 보였다. 국가 자격을 취득한 교사가 일반 자격의 교사보다 긍정적인 인식을 나타내고 있었다. 둘째, 교육과정 인식에 있어 남교사가 여교사보다 긍정적이었으며, 나이가 많을수록 긍정적 인식을 보였다. 경력이 많을수록 긍정적 인식을 보였으며, 공립 교사가 사립 교사보다 긍정적인 인식을 나타내고 있었다. 사범대학 출신 교사가 전문대학, 대학원 이상의 출신 교사보다 긍정적이었으며, 체육 전공 교사가 타 전공교사보다 긍정적인 인식을 보였다. 국가 자격을 취득한 교사가 일반 자격의 교사보다 긍정적인 인식을 나타내고 있었다. 셋째, 교수학습 인식에 있어 여교사가 남교사보다 긍정적이었으며, 나이가 많을수록 긍정적 인식을 보였다. 경력이 많을수록 긍정적 인식을 보였으며, 공립 교사가 사립 교사보다 긍정적인 인식을 나타내고 있었다. 사범대학 출신 교사가 전문대학, 대학원 이상의 출신 교사보다 긍정적이었으며, 무용 전공 교사가 타 전공교사보다 긍정적인 인식을 보였다. 국가 자격을 취득한 교사가 일반 자격의 교사보다 긍정적인 인식을 나타내고 있었다. The research's purpose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lementary dance teacher's realization according to Chinese elementary dance education reality to suggest the basic data which is necessary for developed policy to improve the Chinese elementary dance education. To achieve the aim, distribute the questionnaires to 200 dance teachers of the elementary school in four cities of Hebei province, China and use the 184 questionniairs which are answered sincerely. To investigae the reacher's purpose, use the reseach toll of survey method to modify and supplement by factor analyzing the questionnaire which is verified the credibility and validity in advanced research of home and abroad. Carry out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anova by frequency analysis and demography's characteristic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 by using survey question with statistical program SPSS Windows 24.0 Version for data analysis. Specially, set as elementary dance teacher population to implement the oil cluster radio sampling method. Deduct the conclusion below according to this. Chinese elementary school’s dance reality is below. Firstly, Chinese elementary dance education’s required course is constituted of the contents which regard knowledge and technology, process and method, emotion and attitude as purpose. Secondly, the dance education after school concludes the problems of representative nature, organization, differentiated education, difficult action, facility and teaching material, and so on. Thirdly, as other culture’s communication level, performance central’s cultural art education program mainly features. And it needs Systematic leader training and relating program development to cultivate feeling, thought, creation ability to life beauty and art beauty through movement. Chinese elementary dance teacher’s education facility general item, education progress, teaching learning each area recognition level is below. Firstly, about the quality and so on usual item recognition, male teacher is more positive than female teacher and the younger is more positive. The one who has more experience has more positive recognition. The private school teacher shows more positive recognition than public teacher. The teacher graduated from college of education is more positive than the teacher graduated from junior college and over university. Sport major teacher shows more positive recognition than other major teacher. The teacher who has national qualification shows more positive recognition than the teacher who has usual qualification. Thirdly, about the teacher learning recognition, female teacher is more positive than male teacher and the older is more positive. The one who has more experience has more positive recognition. The public school teacher shows more positive recognition than private teacher. The teacher graduated from college of education is more positive than the teacher graduated from junior college and over university. Dance major teacher shows more positive recognition than other major teacher. The teacher who has national qualification shows more positive recognition than the teacher who has usual qualification.

      • 재한 중국 유학생이 지각한 대학환경과 대학생활 적응간의 관계

        장아남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47

        Since the agreement of Korean-Chinese diplomatic association and open-door policy after 1990, the cultural exchange between the two countries has expanded to economic exchange. Moreover, Korea's abroad -studying policy has switched from 'sending abroad' to 'receiving from abroad', trying to build a superior high-school education system market and an Asian-education hub through the opening of education system market and internationalization. As the result of the two countries' increasing interchange and the policy of attracting foreign students, the number of Chinese students who come to Korea for studying has increased over the past several years.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work out ways to systematically assist Chinese students staying in Korea for study in their university environment perception and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by examining the actual conditions and relationship in this regard. With a view to reach the goal of this study, following queries were posed: 1. What kind of difference is there in the university environment perceived by Chinese students in Korea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nts? 2. What difference is there in the extent of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by demographic variants? 3. What relationship exists between the university environment perceived by Chinese students in Korea and their extent of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In order to verify the above issues, a survey was conducted to Chinese students enrolled in Wonkwang University. A total of 350 Chinese students were sampled as subjects for this study, including undergraduates, undergraduate exchange students and graduate students in Korea. Questionnaires were prepared and distributed to them to explore relationship between their university environment perception and their adaptation to school life. 321 responses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of this study. Cronbach's, descriptive analysis, t-test, ANOVA, Post -hoctest and 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by SPSS 15.0 statistical package. After compar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ith the preceding study,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difference was revealed in the university environment perception by social status and proficiency of Korean. Graduate students and students who learned Korean over one year before coming to Korea were found to have perceived the university environment much better. Second,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was subject to a staying period and proficiency of Korean with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length of stay in Korea,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Chinese students can get the more adaptation the longer the length of their visit. The analysis of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by the extent of learning Korean featured significant difference. Chinese students who learned Korean over one year before coming to Korea were found to have adapted to Korean life much better than those who learned Korean less than a year or had no experience of learning Korean before came to Korea as regards personal -emotional adaptation and satisfaction with universities they belonged, according to the survey. Third, the correlation analysi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environment perception and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resulted in positive correlat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following suggestions could be offered for further studies that may follow: First, it is requested to teach students about Korean culture and language before they come to Korea for study. Systematic programs for this purpose should be developed, used and operated actively. Second, undergraduate students need more help than undergraduate exchange students and graduate students in Korea. Third, the result shows that Chinese students can adapt better the longer the length of their visit. So the college education in Korea must enforce special programs for the freshmen studying abroad to help them adapt to university life well. Fourth, there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pport of friends and university life. It is important to develop the system introducing Korean students to Chinese students in Korea. Fifth, when the teacher consult with the students who are studying abroad, it is desired that he or she should supportive and accepting because his or her support is very helpful for the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Korea. Sixth, nationwide studies should be carried out on this subject further to the present study which places its focus on the region in Wonkwang University. Seventh, studies should be conducted in the manner dealing with various elements that are connected with the perception of university environment adaptation and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Every effort should also be exerted in parallel to develop new tools modified to Korean culture to measure such factors. 1990년 이후 한․중 수교 및 문호개방으로 양국의 교류는 경제교류에서 문화 교류로 확대되고 있다. 또한 한국의 유학정책이 ‘보내는 유학’ 에서 ‘받아 들이는 유학’으로 정책 전환을 시도하며, 고등 교육 시장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교육 시장개방과 국제화 전략 을 통해서 아시아 교육허브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양국의 교류 확대와 외국인 유학생 유치에 대한 노력의 결과로 한국을 찾는 중국인 유학생이 급증 하였다. 본 연구는 재한 중국 유학생들이 지각한 대학환경과 대학생활 적응의 실태 및 관계를 파악하여 유학생들의 성공적인 유학생활이 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돕기 위한 방안을 수립하는데 목적을 가진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재한 중국 유학생들의 인적 변인에 따라 대학 환경에 대한 지각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2. 재한 중국 유학생들의 인적 변인에 따라 대학생활 적응도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3. 재한 중국 유학생들의 지각하는 대학환경과 대학생활 적응 정도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연구 대상은 원광대학교에 유학하고 있는 중국인 유학생으로 학부 일반 유학생, 학부 교환 유학생, 대학원생 등 350명을 표집 하여 질문지 조사방법을 사용하였다. 이중 답변이 누락되었거나 불성실한 설문지 19부를 제외하여 총 321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SPSS 15.0를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구체적인 통계적 기법으로는 각 척도의 신뢰도를 파악하기 위해 Cronbach's 를 분석하였고, 기술 통계분석, t-검정, 분산 분석(ANOVA), 사후검정 (Post -hoctest),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환경에 대한 지각은 신분, 한국어 학습 정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대학원 학생들과 한국어를 오랫동안 배우는 학생들이 대학환경을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대학생활 적응은 체류기간, 한국어 학습정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한국에서 체류하는 기간이 길수록 한국어를 오랫동안 배울 수 록 한국대학 생활 적응을 잘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셋째, 대학환경과 대학생활 적응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이들 간에는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학을 위한 충실한 사전 준비 특히 언어 준비는 반드시 필요하다. 유학생 들이 한국으로 유학을 오기 전 한국 문화와 언어 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학부 일반 유학생들은 대학환경 지지를 더 필요로 한다. 셋째, 체류기간이 길수록 한국대학 생활 적응을 잘 하고 있다는 결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한국 대학교육이 신입외국 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을 위하여 특별한 프로 그램을 실시해야 된다. 넷째, 친구의 지지와 대학생활 적응과 관계가 있다. 따라서 중국 유학생들의 한국 유학생활을 도와 줄 수 있는 한국 친구를 연계시켜 주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다섯째, 교사의 지지가 유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 났기 때문에 교사는 유학생들을 상담을 해 줄 때는 지지적이고 수용적인 상담이 바람직하다. 그들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적절하게 격려하고 위로하는 지지가 효과적이라고 본다. 여섯째, 본 연구는 원광대학교 중심으로 대상을 설정하고 연구를 실시했다. 향후 연구대상을 전국적으로 확대하여 연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일곱째, 유학생들의 대학환경과 대학생활 적응에 관련된 다양한 요인들을 적용한 많은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또한 중국유학생에게 적합한 새로운 측정도구의 개발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프랜차이즈 미용 종사자의 이커머스 OTT 교육이 직무활용, 직무성과, 교육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태진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47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과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의 보급은 사회에 많은 변화를 불러왔다. 시각 콘텐츠를 중점으로 하는 OTT 서비스의 등장으로 정보화 시대에 있어 다양하고 원하는 정보를 쉽고 빠르게 얻을 수 있게 되었으며 이에 미용 산업에서도 OTT 서비스를 이용한 교육 및 마케팅이 자연스럽게 활용되고 있다. 과거부터 이어져 오는 오프라인 방식의 교육과 더불어 언제든지 스스로 공부할 수 있는 온라인교육의 발전은 다양한 헤어트랜드 및 기술정보의 흐름을 빠르게 습득할 수 있는 필수 전략이 되고 있으며 개인의 실무능력을 빠르게 성장하기 위한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프랜차이즈 미용 종사자의 OTT 서비스교육이 직무활용과 직무성과, 교육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조사 대상은 온라인플랫폼을 통해 OTT 서비스교육을 시청한 경험이 있고, 경기도와 충청도에 소재하고 있는 프랜차이즈 미용 종사자들에 한하여 10대~50대 남녀를 편의추출 하였으며, 설문지 606부(97.7%)를 IBM SPSS Statistics 26.0 통계프로그램과 AMOS 26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일반적 특성과 OTT 이용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측정도구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AMOS를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OTT 교육특성, 직무활용, 직무성과, 교육만족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와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분산분석이 유의한 경우 사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후분석으로는 Scheffe의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정규성과 등분산성을 만족하지 않은 경우는 비모수 검정(Kruskal-Wallis의 H)을 실시하여 같이 제시하였다. OTT 교육특성, 직무활용, 직무성과, 교육만족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OTT 교육특성이 직무활용, 직무성과, 교육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직무활용이 교육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직무성과가 교육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OTT 교육특성이 직무활용과 직무성과를 매개로 교육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AMOS를 이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도구의 내적 신뢰도는 Cronbach's α를 산출하였으며 유의수준 α는 .05이하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OTT 교육특성의 직무활용, 직무성과와 교육만족도차이를 분석한 결과, 직무활용은 직책(F=12.490, p<.001), 학력(F=5.281, p<.001), 근무기간과(F=6.190, p<.001) 연령(F=3.133, p<.05) 순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직무성과는 직책(F=27.630, p<.001), 근무기간(F=21.288, p<.001), 연령(F=16.579, p<.001), 학력(F=7.105, p<.001) 순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교육만족도는 직책(F=14.841, p<.001), 근무기간(F=5.789, p<.001), 학력(F=4.413, p<.01), 연령(F=3.020, p<.05) 순으로 유의한 차이로 나타났음을 확인했다. 둘째, 프랜차이즈 미용종사자의 OTT교육특성이 직무활용, 직무성과, 교육만족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OTT 교육특성은 교육만족도(r=.83, p<.01), 직무활용도(r=.82, p<.01), 직무성과(r=.66, p<.01)와 가장 높은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활용은 교육만족도(r=.80, p<.01)와 가장 높은 정적 상관으로 나타났다. 직무성과는 교육만족도(r=.76, p<.01)가 가장 높은 정적 상관으로 나타났다. 셋째, 프랜차이즈 미용 종사자의 OTT 교육특성이 직무활용, 직무성과, 교육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직무활용에 OTT 교육특성은 정적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무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순위는 OTT 교육특성 하위변인 정보성(=.28)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편의성(=.26), 신뢰성(=.22), 유희성(=.18) 순으로 나타났다. 직무성과에 OTT 교육특성은 정적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순위는 OTT 교육특성 하위변인 편의성 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정보성, 신뢰성 순으로 나타났다. 교육만족에 OTT교육특성은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육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순위는 OTT 교육특성 하위변인 편의성(=.27)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신뢰성(=.26), 유희성(=.24), 정보성(=.17) 순으로 유의한 차이로 나타났음을 확인했다. 넷째, 프랜차이즈 미용 종사자의 직무성과가 교육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직무성과를 독립변인, 교육만족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회귀모형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F=781.894, p<.001) 모형의 설명력을 나타내는 수정된 결정계수(Adj)는 .57로 나타났다. 교육만족에 직무성과(B=.68, t=27.962, p<.001)는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만족에 직무성과 하위요인 직무할당(B=.23, t=4.720, p<.001), 업무수행(B=.45, t=9.134, p<.001)는 정적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영향력을 살펴보면 업무수행(=.51), 직무할당(=.23) 으로 업무수행의 영향력이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프랜차이즈 미용 종사자의 OTT 교육특성이 직무활용과 직무성과를 매개로 교육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구조방정식 모형에 대한 절대적합지수의 경우 값(=189.538, df=38)의 p 값이 .000로 ‘모형은 자료를 완벽하게 설명한다’ 라는 영가설이 기각됨으로 연구모형의 적합도에 충족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절대적합지수 중 RMR .01, GFI .94로 기준치를 충족 하였으고, 증분적합지수의 경우 표준적합지수(NFI)가 .97로 기준치(≥0.9)를 충족하였으며, 비교준적합지수(IFI)는 .98으로 기준치(≥0.9)를 충족하였다. 또한 상대적합지수(CFI) 역시 .98로 기준치(≥0.9)를 충족함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성이 검증되었다. OTT 교육특성은 직무활용에 경로계수.91(p<.001)로 유의한 정적 영향하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활용은 직무성과에 경로계수 .49(p<.001)로 유의한 영향이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OTT 교육특성은 직무성과에 경로계수 .28(p<.01) 나타남에 유의한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성과는 교육만족에 경로계수.32(p<.001) 나타남에 유의한 정적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직무활용, 직무성과, 교육만족은 일반적 특성에 따른 OTT 교육특성에 차이가 나타났다. 프랜차이즈 종사자들의 연령, 학력, 근무기간, 직책에서 OTT 교육특성의 (정보성, 신뢰성, 유희성, 편의성)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OTT 교육특성은 직무활용, 직무성과, 교육만족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활용과 직무성과는 교육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OTT 교육특성은 직무활용과 직무성과를 매개로 교육만족에 직간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이 미치고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OTT 서비스교육을 통해 미용 종사자들에게 알맞은 차별적인 시각적 전략과 최신트랜드 컨텐츠를 중점으로 하는 OTT 교육특성을 활용하여 미용종사자의 교육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품질향상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ttempted to The development of networking technology and the spread of smartphones and tablet PCs have brought about many changes in society. With the advent of OTT services that focus on visual content, various and desired information can be easily and quickly obtained in the information age, and education and marketing using OTT services are naturally being used in the beauty industry. Along with offline education that has been going on since the past, the development of online education that allows students to study on their own at any time is an essential strategy to quickly learn various hair trends and technical information flows. Therefore, this study sought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OTT service education for franchise beauty workers on job utilization, job performance,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For this study, men and women in their teens to 50s were conveniently extracted only from franchise beauty workers in Gyeonggi-do and Chungcheong-do, and 606 (97.7%) of the survey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Statistics 26.0 statistics program and AMOS 26.In addition,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OTT usage characteristic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measurement tool, we conducted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AMO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to find out if there was a difference in OTT education performance, job utilization, and job satisfaction depending on general characteristics.If the variance analysis is significant, a post-analysis was conducted, and a post-test of Scheffe was conducted in the post-analysis. If you are not satisfied with normality and equality, we conducted a nonparametric test (H of Kruskal-Wallis) and presented it together.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the correlation between OTT education characteristics, job utilization, job performance,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impact of OTT education characteristics on job utilization, job performance,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We conducted a regression analysis to find out the impact of job utilization on educational satisfaction.We conducted a regression analysis to find out the impact of job performance on educational satisfact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OTT education characteristics on educational satisfaction through job utilization and job performance. First of all, the difference in job utilization, job performance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of OTT educa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job utilization (F=12.490, p<.001), academic background (F=5.281, p<.001). Job performanc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rder of responsibility (F=27.630, p<.001), working period (F=21.288, p<.001), age (F=16.579; p<.001), educational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in the order of responsibility (F=14.841, p<.001), and age (F=3.05, p<).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job utilization, job performance,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of franchise beauty workers, OTT education characteristics were found to be the highest static correlation with educational satisfaction (r=.83, p<.01), r=.82, p<.01). Job performance was found to have the highest static correlation with educational satisfaction (r=.76, p<.01). Third, the impact of OTT education characteristics on job utilization, job performance,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of franchise beauty workers showed that OTT education characteristics had a static impact on job utilization. OT education characteristics have a static impact on job performance, and the ranking that affects job performance has the highest convenience of OTT education characteristics subvariables, followed by information and reliability. OTT education characteristics had a static impact on education satisfaction, and OTT education characteristics subvariable convenience (=.27) was the highest, followed by reliability (=.26), playability (=.24), and informationability (=.17) Fourth, the effect of job performance on educational satisfaction of franchise beauticians was analyzed and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job performance as independent variable and education satisfaction as dependent variable. (F=781.894, p<.001) model had a modified coefficient (Adj) of .57. Job performance (B=.68, t=27.962, p<.001) was found to have a static effect on educational satisfaction. Job performance sub-factor job assignment (B=.23, t=4.720, p<.001) and job performance (B=.45, t=9.134, p<.001) were found to have a static effect on education satisfaction. Looking at its influence, it showed a high impact on work performance (=.51) and job assignment (=.23). Fif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act of OTT education characteristics of franchise beauty workers on educational satisfaction through job utilization and job performance, it is the p-value of the absolute fit index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s (=189.538, df=38).In 000, the English hypothesis that "the model explains the data perfectly" was rejected, which does not meet the suitability of the research model. However, RMR.01, GFI.94 of the absolute conformity index met the reference value, and in the case of incremental conformity index, the standard conformity index (NFI) met the reference value (±0.9) with .97, and the comparative quasi-conformity index (IFI) was .98. The relative fit index (CFI) is also .98, which meets the reference value (±0.9), and the conformity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has been verified. The characteristics of OTT education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job performance with a path coefficient of .28 (p<.01). Job performance is a route factor of .32 (p<) for educational satisfaction.001)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static effect. Taken together, the above results showed that job utilization, job performance, and education satisfaction differed in OTT education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OTT education characteristics (information, reliability, playability, convenience) in the age, educational background, working period, and responsibilities of franchise workers.Job utilization and job performance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educational satisfaction. In addition, OTT education characteristics were found to have a direct and indirect significant impact on educational satisfaction through job utilization and job performa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quality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beauty workers by utilizing OTT education characteristics that focus on discriminatory visual strategies suitable for beauty workers and latest trend contents through OTT service education.

      • 미용실 예약시스템에 대한 소비자인식과 재방문의도의 관계에서 소비자행동 및 서비스품질만족도의 매개효과

        이내경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미용실 예약시스템에 대한 소비자인식과 재방문의도의 관계에서 소비자행동 및 서비스품질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지를 이용한 실증조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소비자들이 미용실 예약제를 이용하는지에 대한 이용현황 파악과 예약시스템 소비자인식, 재방문의도, 소비자행동, 서비스품질만족도 변수 등을 도출하였다. 2022년 5월 23일부터 2022년 6월 10일까지 대전광역시의 소비자들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설문지는 총 520부를 배포하였고 508부가 회수되었다. 표본의 크기는 ANOVA, 회귀분석을 위해 G Power 3.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효과크기 .19, 검정력 .95, 유효값 .05로 산출된 F기각역 2.62, 총 표본크기 480명으로, 탈락률을 고려하여 520명을 임의표집 하였다. 508명의 설문지 중 응답이 불완전한 4명의 자료를 제외한 총 504명(96.9%)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미용실 예약제 이용현황은 혼자 미용실 방문이, 미용실 예약은 네이버 예약, 현재 미용실을 선택하는 이유는 기술, 예약 서비스를 선택하는 이유는 기다리는 시간 절약, 예약 안내 알림 필요, 안내 알림 기간은 예약 1일 전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미용실 예약시스템에 대한 소비자인식이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미용실 예약시스템에 대한 소비자인식을 독립변인, 재방문의도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회귀모형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F=350.824, p<.001), 모형의 설명력을 나타내는 결정계수()는 .41로 나타났다. 재방문의도에 소비자인식(B=.56, t=18.730, p<.001)은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용실 예약시스템에 대한 소비자인식이 서비스품질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미용실 예약시스템에 대한 소비자인식을 독립변인, 서비스품질만족도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회귀모형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F=498.442, p<.001), 모형의 설명력을 나타내는 결정계수()는 .50로 나타났다. 서비스품질만족도에 소비자인식(B=.59, t=22.326, p<.001)은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소비자행동이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소비자행동을 독립변인, 재방문의도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회귀모형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F=215.939, p<.001), 모형의 설명력을 나타내는 결정계수()는 .30로 나타났다. 재방문의도에 소비자행동(B=.46, t=14.695, p<.001)은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소비자행동이 서비스품질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소비자행동을 독립변인, 서비스품질만족도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회귀모형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F=341.028, p<.001), 모형의 설명력을 나타내는 결정계수()는 .40로 나타났다. 서비스품질만족도에 소비자행동(B=.51, t=18.467, p<.001)은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서비스품질만족도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서비스품질만족도를 독립변인, 재방문의도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회귀모형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F=802.317, p<.001), 모형의 설명력을 나타내는 결정계수()는 .62로 나타났다. 재방문의도에 서비스품질만족도(B=.82, t=28.325, p<.001)는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서비스품질만족도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서비스품질만족도를 독립변인, 재방문의도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회귀모형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F=802.317, p<.001), 모형의 설명력을 나타내는 결정계수()는 .62로 나타났다. 재방문의도에 서비스품질만족도(B=.82, t=28.325, p<.001)는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일반적 특성을 통제하고 재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소비자인식, 소비자행동, 서비스품질만족도를 독립변인, 일반적 특성을 통제변인, 재방문의도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회귀모형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F=125.193, p<.001), 모형의 설명력을 나타내는 결정계수()는 .64로 나타났다. 소비자인식(B=.13, t=3.873, p<.001)과 서비스품질만족도(B=.65, t=14.444, p<.001)는 재방문의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향력을 살펴보면 서비스품질만족도(=.62), 소비자인식(=.15) 순으로 재방문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홉째, 소비자행동과 서비스품질만족도를 매개로 미용실 예약시스템에 대한 소비자인식이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AMOS를 이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고 간접효과의 크기는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사용하여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모형의 적합도 검증은 절대적합지수 중 RMSEA.07, SRMR .05로 기준치를 충족 하였으며, 증분적합지수의 경우 비표준적합지수(TLI)는 .91, 비교준적합지수(IFI)는 .92로 기준치(≥0.9)를 충족하였다. 상대적합지수(CFI)는 .92로 기준치(≥0.9)를 충족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성이 검증되었다. 소비자인식은 소비자행동에 경로계수 .59(p<.001)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인식은 서비스품질만족도에 경로계수 .35(p<.001)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인식은 재방문의도에 경로계수 .08(p<.05)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행동은 서비스품질만족도에 경로계수 .45(p<.001)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행동은 재방문의도에 경로계수 .10(p<.05)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품질만족도는 재방문의도에 경로계수 .63(p<.001)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인식은 소비자행동(.70, p<.01)에 유의한 정적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소비자인식은 서비스품질만족도(.43, p<.05)에 유의한 정적 직접효과가 나타났으며, 서비스품질만족도(.33, p<.01)에 유의한 정적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인식은 재방문의도(.11, p<.05)에 유의한 정적 직접효과가 있었으며, 재방문의도(.59, p<.01)에 유의한 정적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행동은 서비스품질만족도(.47, p<.01)에 유의한 정적 직접효과가 있었다. 소비자행동은 재방문의도(.12, p>.05)에 유의한 정적 직접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재방문의도(.32, p<.01)에 유의한 정적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품질만족도는 재방문의도(.67, p<.01)에 유의한 정적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일반적 특성에 따른 소비자인식의 차이를 독립 표본 t-검정 또는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별(t=3.242, p<.01)은 여성이, 연령(F=3.864, p<.01)은 20대, 결혼여부(F=8.086, p<.001)는 기타, 최종학력(F=2.901, p<.05)은 학사(재학포함)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소비자행동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결혼여부(F=4.791, p<.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서비스품질만족도의 차이를 독립 표본 t-검정 또는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별(t=2.128, p<.05)에서 여성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재방문의도의 차이를 독립 표본 t-검정 또는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별(t=2.688, p<.01)에서 여성이 최종학력(F=5.428, p<.01)에서 대학원 석사(재학포함)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통해 미용실 예약시스템에 대한 소비자인식과 재방문의도의 관계에서 소비자행동과 서비스품질만족도는 직간접 효과가 나타나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a questionnaire-based practical surve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consumer behavior and quality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 perception of the beauty salon reservation system and revisit intention.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consumers’ use status of the beauty salon reservation system was examined based on precedent studies, and variables such as consumer perception of the reservation system, revisit intention, consumer behavior, and service quality satisfaction were drawn. The survey was performed from 23rd May 2022 to 10th June 2022 among consumers residing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A total of 520 questionnaire copies were distributed, and 508 copies were collected. As far as the sample size is concerned, the G Power 3.1 program was used for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and an effect size of .19, a statistical power of .95, an effective value of .05, and an F rejection region of 2.62 were used. The total sample size was 480, and,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withdrawal rate, 520 study subjects were randomly sampled. Of the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508 study subjects, 4 questionnaires that were not completely filled out excluded, and the remaining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a total of 504 study subjects(96.9%) were used as the final analysis data, and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onsumers’ use status of the beauty salon reservation system showed the highest number of study subjects who chose ‘visits alone’, beauty salon reservation system showed the highest number of study subjects who chose ‘reservation on Naver’, reason for selecting the current beauty salon showed the highest value number of study subjects who chose ‘to save waiting time’ and ‘to receive a reservation notification message), and notification message time showed the highest number of study subjects who chose 1 day before the date of visit’. Secon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consumer perception of the beauty salon reservation system on beauty salon revisit intention, a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by setting consumer perception of the beauty salon reservation system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beauty salon revisit intention as a dependent variable.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regression model was significant(F=350.824, p<.001) and that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epresenting the model’s explanatory power was .41.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consumer perception(B=.56, t=18.730, p<.001) had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beauty salon revisit intention. Thir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consumer perception of the beauty salon reservation system on service quality satisfaction, a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by setting consumer perception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service quality satisfaction as a dependent variable.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regression model was significant(F=498.442, p<.001), and that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epresenting the model’s explanatory power was .50.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consumer perception(B=.59, t=22.326, p<.001) had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service quality satisfaction. Fourth, to examine the influence of consumer behavior on beauty salon revisit intention, a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by setting consumer behavior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beauty salon revisit intention as a dependent variable.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regression model was significant(F=215.939, p<.001), and that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epresenting the model’s explanatory power was .30.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consumer behavior(B=.46, t=14.695, p<.001) had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revisit intention. Fifth, to examine the influence of consumer behavior on service quality satisfaction, a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by setting consumer behavior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service quality satisfaction as a dependent variable.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regression model was significant(F=341.028, p<.001), and that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epresenting the model’s explanatory power was .40.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consumer behavior(B=.51, t=18.467, p<.001) had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service quality satisfaction. Sixth,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ervice quality satisfaction on revisit intention, a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by setting service quality satisfaction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beauty salon revisit intention as a dependent variable.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regression model was significant(F=802.317, p<.001), and that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epresenting the model’s explanatory power was .62.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service quality satisfaction(B=.82, t=28.325, p<.001) had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revisit intention. Seventh, to examine to influence on service quality satisfaction on revisit intention, a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by setting service quality satisfaction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beauty salon revisit intention as a dependent variable.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regression model was significant(F=802.317, p<.001), and that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epresenting the model’s explanatory power was .62.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service quality satisfaction(B=.82, t=28.325, p<.001) had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revisit intention. Eighth, to examine the factors having an influence on beauty salon revisit intention while controll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gender, age, marital status, and final academic backgrou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by setting consumer perception, consumer behavior and service quality satisfaction as independent variables, general characteristics as control variables, and beauty salon revisit intention as a dependent variable.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regression model was significant(F=125.193, p<.001), and that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epresenting the model’s explanatory power was .64.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consumer perception(B=.13, t=3.873, p<.001) and service quality satisfaction(B=.65, t=14.444, p<.001) had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revisit intention. As for the level of influence, it was confirmed that the variable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revisit intention in the following descending order: service quality satisfaction(=.62) and consumer perception(=.15). Ninth, to examine the influence of consumer perception of the beauty salon reservation system on beauty salon revisit intention by using consumer behavior and service quality satisfaction as mediator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MOS, and the indirect effect size was validated using the bootstrapping method.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In the model’s goodness-of-fit test, of the absolute fit indices, the RMSEA and SRMR showed values of .07 and .05, respectively, and satisfied the standard value. As for the incremental fit indices, the TLI and IFI showed values of .91 and .92, respectively, and satisfied the standard value(≥0.9). Therefore, the goodness-of-fit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validated. It was confirmed that consumer perception had a path coefficient of .59(p<.001) to consumer behavior and had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consumer behavior. It was confirmed that consumer perception had a path coefficient of .35(p<.001) to service quality satisfaction and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service quality satisfaction. It was confirmed that consumer perception has a path coefficient of .08(p<.05) to revisit intention and had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revisit intention. It was confirmed that consumer behavior had a path coefficient of .45(p<.001) to service quality satisfaction and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service quality satisfaction. It was confirmed that consumer behavior had a path coefficient of .10(p<.05) to revisit intention and had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revisit intention. It was confirmed that service quality satisfaction had a path coefficient of .63(p<.001) to revisit intention and had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revisit intention. It was confirmed that consumer percep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direct effect on consumer behavior(.70, p<.01). It was confirmed that consumer percep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direct effect on service quality satisfaction(.43, p<.05) and had a significant positive indirect effect on service quality satisfaction(.33, p<.01). It was confirmed that consumer percep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direct effect on revisit intention(.11, p<.05) and had a significant positive indirect effect on revisit intention(.59, p<.01). It was confirmed that consumer behavior had a significant positive direct effect on service quality satisfaction(.47, p<.01). It was confirmed that consumer behavior had no significant positive direct effect on revisit intention(.12, p>.05), but had a significant positive indirect effect on revisit intention(.32, p<.01). It was confirmed that service quality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direct effect on revisit intention(.67, p<.01). Tenth, an independent sample t-test or analysis of variance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consumer perception differences based o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gender(t=3.242, p<.01) showed a significantly high value in study subjects who were women, that age(F=3.864, p<.01) showed a significantly high value in study subjects who were in their 20’s, that marital status(F=8.086, p<.001) showed a significantly high value in study subjects who chose ‘others’, and that final academic background(F=2.901, p<.05) showed a significantly high value in study subjects who chose ‘graduation from university(including enrolled studen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sumer behavior differences based o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t was confirmed that marital status(F=4.791, p<.01)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n independent sample t-test or analysis of variance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service quality satisfaction differences based o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gender(t=2.128, p<.05) showed a significantly high value in study subjects who were women. An independent sample t-test or analysis of variance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revisit intention differences based o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gender(t=2.688, p<.01) showed a significantly high value in study subjects who were women, and that final academic background(F=5.428, p<.01) showed a significantly high value in study subjects who chose ‘graduation from graduate school(including enrolled students)’.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consumer behavior and quality satisfaction play mediating ro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 perception of the beauty salon reservation system and revisit inten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