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도서관의 장서개발정책 수립방안에 관한 연구 : 국내 신학대학교도서관을 중심으로

        정은주 강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2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guidelines and a model of collection development policies for the libraries of theological universities in Korea.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we examined six cases of collection development policies including three at libraries of theological universities in Korea and another three overse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elements and details of collection development policies. The study then conducted a survey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collection development policies at libraries of theological universities in Korea. A total of 38 libraries of theological universities completed the questionnaire, and 37(97.4%) responded that they had no written collection development policies. The investigator presented factors that should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collectional development policies, after reviewing previous studies in the field, examining six cases of theological academic libraries in both domestic and abroad, and analyzing the survey from 38 theological academic libraries. Such factors we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1)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representing the general status and; 2) internal factors regarding the components of the content of the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Reflecting both the external and the internal factors, the investigator presented a model of collection development policies by identifying seven elements that should be included when developing the policy: prefaces, collection selection, collection gathering, budget, collection maintenance, mutual cooperation and intellectual freedom, and revision of collection development policies. The seven elements were, then, further classified as required, selective, and additional, based on the importance of each item. Academic libraries at theological universities in Korea with no established collection development policies will be able to apply the model of collection development policies presented in the study and utilize it as the basis for establishing their collection development policies. Those libraries that already established collection development policies will also be able to make use of the model when revising.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신학대학교도서관의 장서개발정책 수립을 위한 방안과 장서개발정책 모형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국내외 신학대학교도서관의 장서개발정책 사례로 각 3개관 총 6개관을 대상으로 장서개발정책의 구성요소 및 세부사항을 비교․분석하였다. 국내 신학대학교도서관의 장서개발정책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8문항으로 나눠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38개의 신학대학교도서관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37개관이 성문화된 장서개발정책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신학대학교도서관의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장서개발정책 수립을 위해 고려해야 할 요인을 일반 현황인 외적 환경요인과 장서개발정책의 구성내용 면에서의 내적 요인으로 나눠 제시하였다. 장서개발정책 수립 요인을 기초로 국내 신학대학교도서관의 장서개발정책 모형을 제시하였다. 내용은 서문, 장서의 선정, 장서의 수집, 예산, 장서의 유지 및 관리, 상호협력과 지적자유, 장서개발정책 개정의 7개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각 항목별로 중요도를 구별하여 필수․선택․추가 등으로 제안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장서개발정책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국내 신학대학교도서관은 장서개발정책의 수립 요인과 모형을 준용하여 장서개발정책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미 장서개발정책이 마련된 신학대학교도서관의 경우에는 보다 이상적인 방향으로 개정을 도모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사회복지전공 선택동기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 대학원을 중심으로

        임문정 강남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623

        사회복지직은 그 자체로 특수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누구에게나 적합하거나 수행할 수 있는 전문직은 아니며, 이러한 전문직에 필요한 전문성은 전문교육을 통해서 내면화되기 때문에 사회복지의 전문교육은 학생들의 학과 선택동기를 기초로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복지를 전공으로 선택한 사람들의 선택동기와 만족도에 대한 조사연구를 통하여 바람직한 진로지도와 상담에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학의 발달과정과 문제점을 살펴본 후, 대학생의 의사결정의 특징과 사회복지학의 학문적 특성, 그리고 사회복지전공 선택동기의 중요성과 동기이론을 살펴보았다. 조사연구에서는 경기도내에 있는 사회복지학과 또는 사회사업학과가 있는 대학의 대학원 3개의 대학원생 13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으며, 분석방법은 SPSS를 이용하여 조사결과를 통계, 분석하였다. 조사에 대한 분석은 첫째, 전체 조사결과에 대하여 빈도분석과 기술분석을 통하여 일반적 사항과 영역별 항목을 분석하였으며, 둘째, 사회복지학부를 전공한 사람과 타학부를 전공한 사람, 자원봉사를 경험한 사람과 경험하지 않은 사람, 실무를 경험한 사람과 경험하지 않은 사람을 t-test로 영역별, 항목별로 비교·분석하였다. 조사결과, 사회복지를 전공으로 선택한 조사대상자들은 자신의 가치관과 사회복지의 가치관이 일치하고 사회복지전문직과 유사한 관심영역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타주의적 성향이 강한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기여의 욕구가 무엇보다도 강하며, 사회복지사의 자격획득과 직업선택의 용이성도 사회복지를 전공으로 선택하는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외국조사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사회복지전공학생들의 73%가 가족기능의 장애와 관련된 문제(물질장애, 성학대, 폭력 등)들을 경험하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외국의 조사결과와는 다르게 우리나라의 사회복지를 전공하는 대학원생들의 경우 개인적 경험과 환경에 대한 조사결과에서 신체적, 정서적, 성적 학대와 같은 경험은 거의 없었으며, 심각한 사고나 질병을 경험하거나 만성적인 질병을 지닌 가족구성원을 가지고 있는 조사대상자는 거의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사회복지전공선택에 있어서의 종교의 영향에 대한 조사결과를 살펴보면, 종교를 가지고 있는 대상자들의 경우 대부분의 조사대상자들이 종교의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학부전공자와 타전공자, 자원봉사경험자와 무경험자, 실무경험자와 무경험자에 대한 교차분석의 경우, 학부전공자와 타전공자는 선택동기에서 개인적 경험과 환경에서, 만족도에서는 적성과 전문성, 학문의 분위기 등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자원봉사경험자와 무경험자의 경우, 모든 항목에서 거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실무경험자와 무경험자의 경우가 세 경우 중 가장 많은 부분에서 차이를 나타내고 있으나 유의한 차이는 거의 없었다. 사회복지전공 선택에 영향을 주는 동기에 대한 조사결과 사회복지를 전공으로 선택하고자하는 동기는 어느 한 부분에 의한 것이 아니라 복합적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또 한가지 생각해 보아야할 것은 이러한 조사대상자들의 응답이 어떤 성향이나 전문성을 바탕으로 이루어졌다고 단정할 수 없다는 것이다. 단순히 감상적이었다거나 자신이 이루고자 하는 가치있는 사람임을 확인하고자 하는 무의식적인 욕구에 의한 것일 수 있다는 점이다. 본 연구를 통해서 제시된 연구과제와 제언점은 사회복지전문성에 대하여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은 학부에서는 일반사회복지사(generalist)교육에 초점을 둘 수밖에 없는 상황이므로 대학원중심의 효율적 교육을 위해서는 대학원 학생의 개개인의 전문성 지도와 상담, 그리고 직업적 특성에 대하여 연구하고 실제 교육과정에서 실천모형을 정형화할 수 있는 실증적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Since social worker is peculiar vocation in it self. It is not a profession anyone can perform and which is suitable for anybody. The profes sional education of social welfare should be given as a basis of selective motives of students, because the speciality for profes sion is int ernalized through profes sional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rve as a basis for desirable occupation guide and consultation by investigating selective motives and satisfaction extent of students who selected social welfare as major.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30 graduate students from three graduate schools which had Social Welfare Department or Social Work Department located in Kyungi Province. A survey was implemented with questionnair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First, I analyzed general matters and items by field. Second, I analyzed social welfare majors vs the others,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voluntary support and vs students who had not and student s who were experience in business vs student s who were not by item and by field. As a result , the subject s majored in social welfare had their value system in harmony with value system of social welfare. They were interested in fields similar to social welfare profession and had strong altruistic tendency. First of all, they had strong desire for social service. They were influenced on the fact that it was easy to obtain certification as a social worker and to choose their profession.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made by foreign countries, 73% students of social welfare majors had experienced the problems related to dysfunctional families, sexual abuse, violence etc.). Indifferent to foreign investigation, graduate students majored in social welfare of Korea had very few experiences of physical, emotional and sexual abuse as a result of personal experience and surroundings. There were few subjects who had serious wounded and painful members or chronic invalid in their family. There'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ocial welfare majors and the others,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voluntary support and students who had not, and students who were experience in business and students who were not. As a result of motives of selecting social welfare, they were complicated not a part. However, we cannot conclude that the response of the subjects were professional and had some tendency. There can be a sentimental thinking or unconscious desire for confirming valuable person by themselves. The above mentioned findings suggest some action. Since the education of social welfare speciality has to focus on the education of generalist in college, we should guide speciality of graduate students each in per son and consult them and study speciality of occupations, and inquire actually to standardize practical model for graduate school-centered efficient education.

      • 한국수어의 연구 동향 분석 - 국내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이기상 강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2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ron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Sign Language research by identifying the research trends in Korean Sign language based on dissertations related to Korean Sign Language, and to present future research prospects. In order to analyze research dissertations related to Korean Sign Language, 139 dissertations were unearthed using the Korean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RIS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the year 1983, when the dissertation on Korean Sign Language was first published, is Kim Seung Kook's doctoral dissertation. Since then, a total of 139 dissertations have been published, of which 122 (87.8%) have master's papers and 17 (12.2%) have doctoral dissertations. Second, looking at the studies in detail by chronological trends, ① 1st Period (1983-2001): From 1983 to 2001, a total of 20 dissertations were published, including 17 master's thesis and 3 doctoral dissertations. ② 2nd Period (2002-2015): A total of 88 dissertations were published by 2015 with 77 master's and 11 doctoral dissertations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Department in the master's courses of universities and graduate schools in 2002. ③ 3rd Period (2016-2019): Since the implementation of the Korean Sign Language Act in 2016, 31 dissertations have been published, including 28 master's dissertations and 3 doctoral dissertations. Third, based on the research topics, “Sign Language" dissertations accounted for the largest portion of 46 dissertations(36 master's and 10 Ph.D.'s), followed by “Sign Language Interpretion" (38 dissertations), “Engineering Research" (36 dissertations), “Others" (15 dissertations), and "Sign Language Education" (4 dissertations). In addition, by research method, 50 literature review (36.0%), 34 engineering research (24.7%), 31 survey research (22.3%), and 24 qualitative research (17.3%). Fourthly, a total of 56 Graduate schools published their dissertations, and the one that published the most dissertations was the Korea Nazarene University, the first to set up graduate schools. A total of 28 dissertations (the Department of International sign language interpret 27 and the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1 were published, focusing on the Department of International Sign Language Interpret, Graduate School of Rehabilitation Welfare at the Korea Nazarene University. Next, 15 dissertations were published at the Daegu University, which included 10 from the special education category (6 master's and 4 doctoral dissertations), and 5 from the social welfare category (4 master's and 1 doctoral dissertations). In addition, 9 dissertations (7 masters, 2 doctoral doctors) were published at Kangnam University, and 8 dissertations (7 masters, 1 doctoral dissertations) were published at Dankook University. 6 universities have published 3 or 4 dissertations, and a total of 46 universities have less than three dissertations. Fifth,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Korean Sign Language Researchs were as follows by dividing it into “Sign Language",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and “Sign Language Education". A total of 46 dissertations (36 master's and 10 Ph.D.) were published in the dissertations concerning "Sign language" and 10 dissertations (7 master's and 3 Ph.D.) in the 1st Period and 28 dissertations (22 masters and 6 Ph.D.) in the 2nd Period, and 8 dissertations (7 Master's, 1 Ph.D.) in the 3rd Period. A total of 38 dissertations concerning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were published (34 masters and 4 Ph.D.), the 1st Period, two Master's dissertations, the 2nd Period, 26 dissertations (23 masters and 3 Ph.D.) and in the 3rd Period, 10 dissertations (9 masters and 1 Ph.D.) were published. A total of 4 dissertations were published in the study on “Sign Language Education". Among these, 2 dissertations were related to the 'Textbook', 1 study on the survey and the other on the improvement plan, and 1 related to the curriculum. The most recent dissertation was published in 2017, which is the least developed among other Korean Sign Language research fields. Based on the above trend analysis results, some implications were drawn as follows : First is the diversity of Korean Sign Language research fields and themes. The diversification of research areas and themes and the increasing trend will lead to more active sign language research. Second, research was conducted mainly in the research category as a sub-area of ​​welfare for the disabled and special education. In the future, research area of Korean Sign Language will be more activated. Third, the research methods of Sign Language research need to be extended to a more creative and linguistic approach.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formed the basic data which is useful for understanding the research trend of Korean Sign Language and forecasting future research direction.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in not analyzing the research trends in detail based on a sophisticated research analysis framework. Finally,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for future research. First, a more in-depth analysis of Korean Sign Language research dissertations and data is needed. Second, the results of the Korean Sign Language study produced by the dissertation should be systematically 'Database' to make it easier to utilize. Third, we should actively train the Deaf researchers who use the Sign Language as their first language. 본 연구는 한국수어 관련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수어의 연구 동향 을 파악함으로써 한국 수어연구의 연대별 특성을 규명하고, 향후 연구 전망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수어 관련 연구 자료들을 분석하기 위해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를 활용하여 139편의 학위논문을 발굴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수어 관련 논문이 처음 발표된 연도는 1983년이며, 이는 김승국의 박사학위 논문이다. 그 이후 현재까지 총 139편의 학위 논문이 발표되었으며 이 중 석사논문이 122편(87.8%), 박사 논문이 17편(12.2%)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대별로 연구들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① 제1기(1983-2001): 1983년부터 2001년까지 석사논문 17편, 박사논문 3편 등 총 20편의 학위논문이 발표되었다. ② 제2기(2002-2015): 2002년 대학 및 대학원 석사과정에 수화통역학과가 설립된 이후부터 2015년까지 석사논문 77편, 박사논문 11편으로 총 88편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③ 제3기(2016-현재): 2016년 「한국수화언어법」 시행 이후 현재까지 31편의 논문이 발표되었으며, 이중 석사논문이 28편, 박사논문이 3편이었다. 셋째, 연구주제별로 살펴본 결과로는 ‘수화언어’ 관련 논문이 총 46편(석사 36편, 박사 10편)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수어통역’(38편), ‘공학적 연구’(36편), ‘기타’(15편), ‘수어교육’(4편) 순이었다. 아울러 연구방법별로는 문헌연구 50편(36.0%), 공학연구 34편(24.4%), 조사연구 31편(22.3%), 질적연구 24편(17.3%)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총 56개 대학에서 학위논문이 나왔는데, 제일 많은 논문을 산출한 대학은 국내에서 가장 먼저 수어 관련 석사과정을 설치한 나사렛대학교였다. 나사렛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국제수화통역학과를 중심으로 총 28편의 논문(국제수화통역학과 17편, 재활학과 1편)이 나왔다. 그 다음으로 대구대학교에서 15편의 논문 중 특수교육 계열에서 10편(석사 6편, 박사 4편), 사회복지 계열에서 5편(석사 4편, 박사 1편)이었다. 그 외 강남대학교에서 9편(석사 7편, 박사 2편), 단국대학교에서 8편의 논문(석사 7편, 박사 1편)이 발표되었다. 3∼4개의 논문을 발표한 대학은 6개이며, 3개 미만의 논문이 나온 대학은 총 46개이다. 다섯째, 한국수어 연구를 ‘수화언어’, ‘수어통역’, ‘수어교육’으로 세분화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화언어’와 관련한 논문은 총 46편(석사 36편, 박사 10편)이 발표되었으며, 제1기 기간 동안 10편(석사 7편, 박사 3편), 제2기 28편(석사 22편, 박사 6편), 제3기 8편(석사 7편, 박사 1편)이 발표되었다. ‘수어통역’과 관련한 논문은 총 38편(석사 34편, 박사 4편)이 발표되었으며, 제1기 때는 석사논문 2편, 제2기 26편(석사 23편, 박사 3편), 제3기 10편(석사 9편, 박사 1편)이 발표되었다. 수어교육과 관련한 연구는 총 4편의 석사논문이 발표되었다. 이 중 교재와 관련한 논문이 2편이며,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1편, 교육과정과 관련한 논문이 1편이었다. 가장 최근에 발표된 논문이 2017년이며, 다른 한국수어 연구 분야 중에서는 가장 미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동향 분석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이 몇 가지 함의를 도출하였다. 첫째, 한국수어 연구 분야와 주제의 다양성이다. 연구 영역과 주제가 다양하고 점점 증가 추세로 향후 수어연구는 더욱 활발히 진행될 것이다. 둘째, 장애인복지와 특수교육의 하위 영역으로서의 연구범주에서 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가 점차 수어학 영역이 구축되어져 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앞으로는 한국수어만의 연구영역이 보다 더 확고해질 것이다. 셋째, 수어연구를 수행하는 연구방법이 보다 더 창의적이며 언어학적인 접근으로 확장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한국수어의 연구 동향을 파악하여 향후 연구 방향을 전망하는 데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형성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하지만 정교한 연구 분석틀을 토대로 세밀하게 연구 동향을 분석하지 못한 한계도 있다. 그럼에도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수어 연구의 동향 분석을 처음으로 시도한 연구라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끝으로 향후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한국수어 연구 자료들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내용분석이 필요하다. 둘째, 학위 논문으로 산출된 한국수어 연구의 결과물들을 체계적으로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하여 활용하기 편리하도록 해야 한다. 셋째, 수어를 제1언어로 사용하는 농인 연구자들을 적극적으로 양성해야 한다.

      • 예비목회자의 교회사회복지에 대한 의식 비교연구

        김현 강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23

        그 동안 현재 목회자들을 대상으로 한 사회복지의식 조사는 많이 이루어졌으나 앞으로 목회를 시작할 신학대학원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회복지 의식을 조사한 연구는 전무하다는 사실을 인지하였다. 이러한 동기에서 본 연구는 신학대학원에 재학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회복지의식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재 한국교회는 총체적인 침체와 위기 속에서 마이너스 성장을 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하루아침에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한국교회가 그간 지역사회를 위한 봉사보다는 교회의 양적 성장에만 너무 치우친 결과라고 보아진다. 이제 한국 교회가 다시 지역 사회와 융화할 수 있는 방법은 교회사회복지를 활성화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에 본 논문은 이론 연구와 설문 조사를 병행하여 한국 교회의 사회 복지를 점검하고 더 나아가 미래 한국 교회를 이끌어 나갈 신학 대학원생들의 사회복지 의식을 살펴보았다. 이론적 배경에서는 크게 일곱 단계로 나누어서 첫째, 교회사회복지의 개념을 정리하고, 둘째, 교회사회복지의 필요성, 셋째, 교회사회복지의 기능, 넷째, 교회사회복지의 역할, 다섯째, 각교단별 교회사회복지 사업과, 각 신학대학원의 현황, 여섯째, 교회사회복지의 발전의 저해요소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목회자들의 사회복지 의식을 분석하였다. 설문조사에서는 4개의 신학대학원을 중심으로 각 교단별 50명씩 200명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는데 그 중에서 171부가 회수되었다. 자료처리는 coding한 후 전산 처리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는 SPSS Win . 10.0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회사회복지 활동에 대한 의식면에서 대부분의 응답자들이 적극적인 수용을 시사했다. 이것은 현대 목회에서 사회복지활동에 대한 강한 욕구를 예비 목회자들도 피부로 느끼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교회사회복지사업에 대한 반응에서도 교회 사회복지의 활성화가 곧 교회의 성장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성서적 이념과도 부합된다고 응답하였다. 하지만 교단과 교회의 사회복지활동이 한국사회복지에 얼마만큼 기여했느냐는 질문에는 대부분의 응답자들이 크게 기여하지 못했다고 응답해 사회복지 발전을 위한 교회의 기여도에서는 부정적 응답을 보여주었다. 셋째, 교회사회복지 프로그램의 책임 및 예산에 대해서는 교회사회복지의 발전을 위해 전문사회복지사의 도입을 강하게 요구하였고 사회복지 예산으로는 전체 예산의 10%- 15% 정도가 적당하다고 응답하였다. 넷째, 소속 교회의 교회사회복지사업(아동복지, 청소년복지, 장애인복지, 노인복지, 실직자복지, 여성복지, 기타 등)의 실시여부와 운영실태에 대해서, 이 부분은 한국교회의 사회복지 후진성을 그대로 드러내 주는 대목이어서 대부분은 단순한 물질후원이나 방문이 고작이었고 클라이언트의 욕구를 사전 조사하거나 해결하려는 노력이 거의 없었다. 다섯째, 교회사회복지 발전의 방향에 대한 의식의 질문에서도 교과목을 통한 사회복지 마인드습득과 재교육의 필요성을 강하게 제기하였고 교회사회복지학과 및 사회복지대학원의 설치에 대한 질문에도 모든 응답자가 찬성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각 교단별 혹은 교회간 연합활동이나 연구개발에 대해서도 꼭 필요한 과제라고 제시하였다. 이러한 조사결과를 토대로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즉 한국교회 사회복지와 신학대원생의 사회복지 의식전환을 위해서는 첫째, 기존 목회자뿐만 아니라 예비목회자들을 대상으로 복지의식 재고와 사회복지사업 참여·확대를 위한 교육, 훈련프로그램의 도입이 필요하고 학교커리큘럼의 적극적인 변화가 요구되며, 둘째는 교회사회복지 사업의 전문화와 체계화를 위한 전문인력의 양성 및 활용이 필요하다. 이를 위한 사회복지 목회학과의 신설과 사회목사 제도의 도입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각 교단의 활동과 개 교회의 사회복지 활동을 적극 홍보하고 지원할 수 있는 체계의 보완이 시급하다.

      • 청지각적 음성평가 훈련이 언어병리학 전공 대학원생의 음성평가 신뢰도에 미치는 효과

        이영아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23

        주관적 음성평가는 숙련된 평가자의 훈련된 귀만 있으면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그 중 GRBAS 척도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이지만, 평가자나 평가환경에 따라 그 결과가 현저히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주관적 음성평가 방법의 지각훈련을 통해, 평가자 간 또는 평가자 내 신뢰도를 높이는 데 유용한지 알아보는 데에 있다. 본 연구의 음성 샘플은 모음/ㅏ, ㅔ, ㅣ, ㅗ, ㅜ/의 연속 발성과 문단 읽기로 구성되었으며, 정상 청력을 가진 음성 언어장애전문가와 언어병리학을 전공하고 있는 대학원생 30명이 참가하였다. 음성 언어장애전문가가 60개의 샘플들을 GRBAS 척도의 중증도에 따라 분류한 뒤, 40개는 평가용(30개의 이상음성과 10개의 정상음성), 20개는 훈련용으로 사용하였다. 훈련 전 기준선 측정을 위해 대학원생들에게 GRBAS 척도로 평가를 하게 한 후, 20개의 훈련용 음성샘플을 이용하여 한 주에 1시간씩 2주간 음성평가 훈련을 실시한 다음, 처음 들려주었던 40개의 음성샘플로 GRBAS 척도를 재평가하게 하여 훈련 전후를 비교하였다. 훈련기간 동안 GRBAS 척도의 각 정의 및 특징을 설명하고, 음성샘플을 들려준 후 실시한 GRBAS 척도 평가에 대한 피드백을 주었다. 평가자 내 신뢰도를 위해서 대상자의 15%에 해당하는 4명의 대학원생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각 훈련 전과 훈련 후 평가용 음성을 재평가하게 하였다. 이러한 결과의 상관관계를 통해 평가자내 신뢰도를 분석하였으며, 훈련 후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재분석하였다. GRBAS 척도를 이용한 청지각적 평가훈련은 훈련 전에 비해 훈련 후의 평가자 내와 평가자 간에 높은 신뢰도를 보여 주었다. 훈련 전-후 평가자 간 신뢰도(r)는 모음에서 훈련 전.504에서 훈련 후 .806, 문단은 훈련 전 .352에서 훈련 후 .768로 유의미하게 높아졌고, 훈련 전-후 평가자 내 신뢰도도 모음에서 G는 .514에서 .729, R은 .476에서 .706, B는 .489에서 .721, A는 .532에서 .735, S는 .487에서 .714로, 문단에서 G는 .471에서 .832, R은 .477에서 .799, B는 .524에서 .785, A는 .425에서 .743, S는 .520에서 .829로 유의미하게 높아졌다. 음성은 다차원적이기 때문에, 일관성과 신뢰성이 있는 청지각적 음성평가를 실시하는 것이 어렵다. 특히 언어장애전문가가 되기 위해 준비 중인 언어병리학 전공 대학원생이나 임상을 막 시작하려고 하는 초보 언어장애전문가의 경우, 음성평가에 대한 체계적인 훈련을 통해 보다 일관되며 신뢰성 있는 음성평가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청지각적 음성평가 훈련을 통한 음성평가의 신뢰도 향상을 입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음성평가를 위한 표준적이고 일관성 있으며, 신뢰성 있는 훈련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됨을 밝히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perceptual training on the reliability of voice quality evaluation for graduate students in speech pathology program. Sixty voice samples were selected from a database by two qualified SLPs. Samples included 40 test stimuli and 20 training stimuli of both sustained vowels and connected speech. Thirty graduate students in speech pathology program were trained for two weeks. For training, after the students were provided with the definitions of rating dimensions and perceptually evaluated 20 training stimuli with GRBAS scale. Then, they were given feedback in their ratings.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they evaluated voice quality in 30 dysphonic voice and 10 normal voices, using GRBAS scale. Intra-rater reliability was calculated from the randomly selected 15% samples throughout the testing block. Matched paired two-sample t-test was then calculat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training reliability values. Inter-rater reliability was calculated using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 After the training, intra-rater reliability and inter-reliability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lso, pre- and post-training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erceptual rating to evaluate voice quality is a subjective method, which needs sufficient training. Therefore, the use of perceptual anchors and perceptual training program for reliable perceptual rating should be developed.

      • 민자유치방식에 의한 교육시설 사업에 관한 연구 : 대학교 기숙사를 중심으로

        정승원 강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23

        경제 수준이 향상될수록 국민의 교육·복지·문화서비스에 대한 요구 수준은 날로 높아진다. 이러한 분야에 양질의 시설을 확충하고 서비스 질을 높이는 일은 복지를 기반으로 지식정보화 사회의 성장잠재력을 높이는 관건이 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현 정부의 재정여건 상 국민요구에 부응한 시설투자가 적절한 시기에 충분히 이뤄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2005년 1월에 개정된 민간투자법에서 대상사업의 범위가 학교시설·노인요양시설·문화시설 등의 교육 및 복지관련 9개 생활기반시설을 포함하는 44개시설로 확대되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의 민간투자제도는 경제적 인프라시설 뿐만 아니라 사회적 인프라 시설에도 적용될 수 있는 법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영국, 일본, 호주와 같은 선진국에서도 민자유치사업(The private capital inducement project) 대상시설 중 학교시설이 가장 활발히 시행되고 있는데 이는 어느 나라에나 교육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국가 인프라로서 시설노후화와 시설확충에 대한 재정적 수요가 크기 때문인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학생 수와 규모의 증가 등 외형적 팽창에 비해 21세기의 변화하는 상황에 적합한 교육 및 연구시설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의 주된 원인은 대학이 자체적으로 시설재원을 확보하기 위한 방법과 이를 지원할 수 있는 제도적 틀이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새로운 방식이라 할 수 있는 민자유치사업 방식은 지식기반 사회를 창출하는데 있어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대학의 교육환경 개선 즉 시설재원확보 및 운영의 효율성이라는 측면에서 큰 역할을 할 수 있다. 하지만 학교시설에 대한 민자유치사업의 경험이나 사례가 적어 실질적인 사업참여에 앞서 민자유치사업과 학교에 대한 이해와 사전검토가 절실히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민자유치사업을 중심으로 교육시설 즉 대학 기숙사 사업에 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사례연구를 통해 앞으로의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우선 사례 연구를 통해 나타난 문제점은 다른 부문도 많이 있겠지만 참여자 관점의 차이나 사업구조 상의 문제 등의 사업에 대한 문제점과 금리 및 Cash Flow 등을 포함하는 금융문제 그리고 관리비 정산, 수요부족, 감가상각 등을 포함하는 운영에 대한 문제점으로 요약하였고 민자유치방식을 활용한 대학기숙사의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민자유치사업에 대한 문제점을 연구했지만 위 사업 방식이 갖고 있는 장점에 비교한다면 충분히 극복할 수 있는 문제점이므로 앞으로 제도적인 보완을 통하여 문제점들을 보완해 나간다면 사회기반시설의 조기 확충에 적합한 사업방식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이다. The necessity level fort education, welfare and cultural service of the nation is getting higher day by day throughout the world. Expanding good quality facilities and enhancing the quality of service in this field is a key point in improving the growth potential of knowledge/information literacy society. However, considering the financial condition of our current government, there is not enough investment on facilities to meet our nation's expectations in an appropriate time. In the private investment law that was revised on Jan. 2005, the range of project has been expanded up to 44 facilities including 9 life infrastructure facilities related to education and welfare such as education facilities, the aged convalescence facilities, cultural facilities and etc. Among the private capital inducement project in advanced countries such as England, Japan and Australia, education facility is the most actively enforced project. As the most fundamental national infrastructure for education in any countries, this is due to high financial demand on facility senescent and expansion. As for our country, compared to the external inflation such as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students and size, the education and research facilities are not sufficient enough to meet the changing situation of the 21st century. The main reason for this is due to the lack of a system to secure our own facility source of revenue and organized framework to support this system. However, the private capital inducement project which can be called the new method should perform a big role in improving college education environment, that is, securing facility source of revenue and efficiency of operation. However, as the experience or precedent is less in private capital inducement project for education facilities, understanding and advancing investigation on education is very much needed before substantial participation in this project can begin. So in this research, to study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 for college dormitory project mainly by private capital inducement project, we sought future plan through studying precedents. The first problem that comes up by studying precedents is the difference in participants view or business structure, financial problem including cash flow and operational problem including administration costs, insufficient demand, depreciation. Although this study deals with the problems of private capital inducement project, these are problems that can be solved compared to the advantages of the above project method. If we deal with these problems through institutional supplement, this method will surely become a suitable project method in early expansion of social infrastructure.

      •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자립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정춘숙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8607

        This study starts from the awareness that though the seriousness of domestic violence in this Korean society, there is not any proper policy, theory, practice that support a sense of self-reliance of domestic violence victims to liberate themselves from violence fundamentally. Therefore, in this study, we have examined the various levels of a sense of self-reliance of the domestic violence victims and have tried to find out various factors that affect their sense of self-reliance from multi-dimensional aspects, such as gender equality, social support, domestic violence, sociodemographic factor. We have analysed the survey materials on domestic violence victims from the 2013 National Survey on Domestic Violence from one-hundred and forty-eight service users of the counseling centers and one-hundred and nineteen shelter residents. In this study, the used data processing is spsswin 18.0 and we have performed the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t test, and ANOVA. Finally we've carried out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find out the causal relations of each factors and their senses of self-reliance. The variables are used in the study as follows : the gender equality awareness factor(gender role attitude), the social support factor(right to an emergency action, the victim protection order system, right to access to the scene), domestic violence experience factor(Whether or not being exposed to violence from their parents and seeing violence between the parents in their childhood, the level of spousal domestic violence, the level of child violence from the parents), sociodemographic factor(age, education level, marital condition, existence of the current occupation, past job experience and availability, number of children, average monthly wage) To sum up the research results as follows ; First, the level of a sense of self-reliance of domestic violence victims has appeared relatively higher with average 3.66 points on a five-point scale. The most affected factor of the self-reliance was gender egalitarianism. This newly obtained result implies the importance of gender equality factor to the social work intervention for the domestic violence victims. Second, the study found that high level of awareness about the domestic violence victim protection system correlates with high level of a sense of self-reliance. If the victims knew the protection system, they could easily ask for help to free themselves from domestic violence. Likewise, the statutory social support indicates that the problem of domestic violence is not private issue or personal problem. The consideration of the domestic violence as public issue can have the victims to avoid self-condemnation. Third, among the domestic violence experience factors, growing violence experience exposed by their parents were shown to far more strengthen their sense of self-reliance. This is contrary to the ordinary expectation that when the victim has had less experienced the violence, they would have more sense of self-reliance. The result implies that though the victims have had their actual damage in childhood from their parental violation, the possibility of various protection factors mitigating such damage also exists and suggests the necessity to examine the dynamic relationship among other factors other than violence experience in childhood. In addition, it is necessrary to conduct the empirical study about the channel, the way, other domestic violence experience factors could affect the victims Fourth, this research demonstrates that the older victims show more sense of self-reliance. therefore, if the victims get effective supports by appropriate trainning and education, they could realize their self-reliance in their higher ages. Also, the research demonstrates that the education level and the past job experience affect a sense of self-reliance. This result represents that the continuous expansion for the training and education opportunity for women and the establishment of gender egaliritarian wage labor market should be important factor to mitigate damage of the domestic violence. Based on theses results, to strengthen their senses of self-reliance of domestic violence victims, we suggest as follows ; First, The higher level of a sense of self-reliance of domestic violence victims shows the limit of consideration of domestic violence victims as mere victims. The women with access to the shelter or counseling system have already begun solving their problems. Domestic violence victims as survivors need to multifaceted supports to transform their previous lives. Above all, there should be unconditional, practical support for women victims using victim protection system. Second, the gender role attitude of the domestic violence victim affects a sense of self-reliance. this result implies the facilities and programmes for protection should be arranged to establish their gender equality awareness. Also, domestic violence victims should have critical understanding about spousal violence and gender inequality commited against them. To do this, there should be a feminist conuseling intervention. Through their critical understanding and feminist consciousness raising, women can minimize their self-condamnation, actualize distributive justice, improve actual access to resources and develop strategies to eliminate violences. Third, gender egalitarianism is very closely related to outbreak and duration of domestic violence. Therefore, our public education system and lifelong education should establish the value of gender equality and human right for every man and woman, every member of our society. 본 연구는 한국사회의 가정폭력의 심각성에 비해, 가정폭력 피해여성이 근본적으로 폭력에서 벗어 날 수 있는 자립의지에 관한 정책적, 이론적, 실천적 미흡함에 대한 문제의식으로 시작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는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자립의지의 수준을 알아보고,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자립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성평등 의식, 사회적 지지, 가정폭력 경험, 인구사회학적 요인의 다차원적인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조사 분석 자료는 2013년 여성가족부에서 실시한 전국 가정폭력 실태조사 중 가정폭력 피해자 조사로, 가정폭력 상담소 이용자 148명과 가정폭력 피해자 보호시설 거주자 11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자료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WIN 18.0을 사용하였고, 빈도분석, 상관관계 분석, t 검증과 ANOVA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각각의 요인과 자립의지의 인과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독립변수는 성평등 인식 요인(성역할 태도), 사회적 지지 요인(긴급임시조치권, 피해자보호명령제도, 현장출입권), 가정폭력 경험 요인(성장기 부모로 부터의 폭력 경험 유무, 성장기 부모 간 폭력 목격 여부, 배우자의 가정폭력 수준, 배우자의 자녀폭력 수준), 인구사회학적 요인(연령, 교육수준, 결혼상태, 현재직업 유무, 과거직업 경험 유무, 자녀수, 월평균 가계소득)이었고, 종속변수는 자립의지이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자립의지 수준은 5점 만점에 평균 3.66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자립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성평등 의식은 가장 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의 연구에서는 다루어지지 않은 부분으로 향후 가정폭력 피해여성에 대한 사회복지적 개입에 있어 성평등 요인이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함을 의미한다. 둘째,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자립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지인 가정폭력 피해자 보호제도에 대한 인지가 높을수록 자립의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정폭력 피해자가 실질적인 도움을 구할 가능성을 높여주는 것이다. 이렇게 법에 명시된 사회적 지지는 가정폭력 문제가 개인의 잘못으로 발생하는 문제가 아님을 알게 해준다. 이는 피해자들로 하여금 가정폭력의 귀인을 바꾸어 자기비난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게 하는 중요한 요건이 된다. 셋째, 가정폭력 경험 요인 중, 성장기 부모로 부터의 폭력경험이 많을수록 자립의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폭력 경험이 적을수록 자립의지가 높을 것이라는 예상과는 상반된 결과였다. 이러한 결과는 성장기 부모의 폭력 경험이 피해로 남기는 하지만 이를 완화 시킬 만한 보호 요인이 있을 가능성과, 성장기 폭력 경험 이외의 다른 요인들과의 역동 관계를 조사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또한 이외의 다른 가정폭력 경험 요인이 피해자들에게 어떤 경로를 통해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넷째,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연령이 높을수록 자립의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가정폭력의 특수성을 보여주었다. 그러므로 가정폭력 피해여성이 연령이 높다 하더라도 피해여성에 대한 교육 훈련을 강화해 그들의 자립의지를 현실화 할 수 있는 구체적 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학력과 과거 직업경험이 자립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제적 자립이 자립의지와 관련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자립의지 향상을 위해 몇 가지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자립의지 수준이 높은 것은 가정폭력 피해여성을 가정폭력 피해자로만 규정하는 것의 한계를 말해준다. 가정폭력 피해여성 중 쉼터나 상담소에 접근한 여성들은 이미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기 시작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가정폭력 피해여성들이 피해자에서 생존자로 전환된 삶을 살 수 있는 다양한 측면에서의 지원이 필요하다. 우선적으로 보호시설을 이용하는 가정폭력 피해여성들에 대한 조건 없는 실질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성역할 태도가 자립의지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정폭력 피해여성이 보다 성평등 한 인식을 가질 수 있도록 상담소와 보호시설의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함을 말해준다. 가정폭력 피해여성들이 자신에게 발생한 배우자의 폭력과 성불평등에 대해 비판적으로 인식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여성주의적 상담 접근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여성들은 비판적 인지와 의식향상을 통해 자책을 최소화하고 분배정의를 촉진하여 자원 접근 가능성을 실질적으로 개선해, 폭력을 종식시킬 전략을 개발할 수 있다 셋째, 피해여성에 대한 제도적 사회적 지지가 자립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법률 개정에 따른 피해자 지원제도 등에 대한 인지도 향상 등을 위한 보다 적극적이고 실질적인 홍보가 필요하다.

      • 대학생의 사회봉사 만족도 및 지속의사에 지도감독이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소진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607

        사회봉사에 있어서 지도감독은 자원봉사자의 개별적인 성장 발달을 가져오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며, 자원봉사자의 행정적 능력, 이론 및 기술적 발달 그리고 개인의 업무활동에서 오는 스트레스의 해소를 통해 전문적 성장과 사명감을 고취시키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사회봉사 담당직원과 자원봉사자와의 관계는 봉사활동을 지속하도록 하는데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효과적인 사회봉사활동을 창출할 수 있게 한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사회봉사에 있어서 만족도와 지속의사를 높이는데 지도감독 특성요인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혀내고 대학 내의 사회봉사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전조사를 거친 설문지를 경기지역 K대학교에 사회봉사 경험이 있는 224명의 자원봉사자에게 배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사회과학 통계조사도구인 SPSS/10.0을 가지고 분석하였다. 사회봉사 만족도와 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도감독 특성요인 즉, 지도감독자의 지도여부, 지도감독 횟수, 지도감독 내용, 지도감독에 대한 만족도 중에서 사회봉사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학교의 봉사센터 지도감독 여부, 학교의 지도교수의 지도감독 여부, 지도감독에 대한 만족도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사회봉사 지속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학교의 봉사센터 지도감독 여부, 지도감독 횟수와 지도감독에 대한 만족도만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둘째, 개인적 특성요인 즉, 성별, 전공, 학년, 연령, 종교, 성적, 사회성 중에서 사회봉사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성별, 학년, 성적이 유의미하게 나타났고 전공과 사회성이 사회봉사 지속의사에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셋째, 봉사활동 특성요인 즉, 봉사기관 수, 봉사인원, 봉사기간, 봉사동기, 봉사활동분야, 봉사시간, 교육여부(오리엔테이션, 소양교육), 종결평가 여부 중에서 사회봉사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학교의 오리엔테이션과 소양교육, 기관의 소양교육, 학교의 종결평가 여부와 봉사기관의 종결평가 여부가 사회봉사 만족도에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기관의 오리엔테이션 여부가 사회봉사 지속의사에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넷째, 지도감독 특성요인 즉, 지도감독자의 지도여부, 지도감독 횟수, 지도감독 내용, 지도감독 만족도 중에서 사회봉사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학교의 봉사센터 지도감독 여부, 학교 지도교수의 지도감독 여부, 지도감독 횟수, 지도감독에 대한 만족도, 봉사기관의 지지적 지도감독 내용이 사회봉사 만족도에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사회봉사 지속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학교의 봉사센터의 지도감독 여부와 지도감독 횟수, 지도감독에 대한 만족도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다섯째, 개인적 특성요인, 봉사활동 특성요인, 지도감독 특성요인 중에서 사회봉사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학교의 봉사센터 지도감독 여부와 봉사기관의 지도감독 내용으로 나타났고, 사회봉사 지속의사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학교의 봉사센터 지도감독 여부, 기관의 오리엔테이션, 지도감독에 대한 만족도가 사회봉사 지속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 대한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봉사의 선행연구에서 깊이 다루지 못했던 지도감독 요인을 범주화 시켜 분석하였으며 둘째, 지도감독 유형의 부재라는 현실 속에서 지도감독에 대한 유형화를 구체화 시키고 그것을 사회봉사 현실 상황에 맞게 적용해 볼 수 있는 가능성을 열었다는데 의의가 있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를 통해 봉사 실시주최 기관인 대학과 봉사기관의 지도감독 실태를 파악해 볼 수 있었으며, 사회봉사에 있어서 바람직한 지도감독의 방향과 필요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Supervision in social service plays a critical role not only in enhancing personal development of a volunteer, but also in improving administrative ability, theoretical and technical development of a volunteer. It also helps a volunteer deal with job stress, and grows in professionalism and a sense of duty. The relationship between a volunteer and a social service personnel can affect the sustenance of a volunteering activity. It also generates effective social service activ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 factors of a supervision related to the degree of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participate of social services. For this purpose we administered questionnaires to 224 students at K university in Gyeonggi province who have former experience of social service. The questionnaire was preliminarily examin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statistical process of SPSS/10.0. The satisfaction with and the continuation of social service activities are dependant on following factors. First, among factors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supervision - whether supervision is intervened or not, the frequency of supervision, the contents of supervision, and the satisfaction with supervision, etc, - such factors like whether a university supervise a social service center or not, whether professors supervise or not, and satisfaction with supervision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social service activities. Those factors like whether a university supervise the social service center or not, the frequency of supervision,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supervision activities affect the continuation of social service activities. Second, among personal factors including sex, major, school year, age, religion, grade, and sociality, such factors as volunteers' sex, school year, grade,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with social service activities. And factors as volunteers' major, sociality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ontinuation of social service activities. Third, among factors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service activities including the number of institutions, the number of volunteers, duration of service activities, motivation of service activities, activity field of service activities, the number of hours of service activities, whether there is education and training or not and whether there is final assessment or not, such factors like, orientations and training by universities, training by social service institutions and whether or not the final assessment is performed not by either universities or social service institutions affect the continuation of service activities. Fourth, factors related to the supervision including whether or not a supervisor supervised, the frequency of supervision, the content of supervision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supervision, such factors like whether or not universities supervise the social service center, whether or not professors supervise, the frequency of supervision,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supervision, and supportive contents of supervision by service institutions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degree of satisfaction social service activities, and factors affecting volunteer's willingness to continue their service activities are; whether or not a university supervise the public service center, the frequency of supervision, and the satisfaction with the supervision. Fifth, among factors of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factors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service activities and supervision, factor that affect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social service activities are whether or not universities supervise the service center, and the contents of supervision, and factors that affect volunteers' willingness to continue their service activities are whether or not universities supervise the social service center, orientation offered by institutions,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supervision. Based on above results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as follow. First, factors related to supervision, which have not been covered in previous studies, are categorized and analyzed. Second, this study materializes the types of supervision, and therefore opens door to applying them to the reality of social service activities. Finally, through this study, we can understand the current state of supervision conducted by sponsors of service activities like universities and institutions, and future directions of desirable supervision can be presented.

      • 목회자의 사회복지 실천의식 연구

        강영훈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현재 교회가 시행하고 있는 사회복지사업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둘째, 앞으로 계획하고 시행하고자 하는 사회복지사업에 대하여 알아보고 셋째, 목회자의 사회복지 의식과 사회봉사 태도를 알아봄으로 앞으로 교회가 보다 활발하고 적극적인 사회복지사업을 실천할 수 있도록 하는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남지역의 대한예수교 장로회 통합측인 진주노회와 진주남노회의 담임목회자들을 대상으로 2004년 11월 15일에서 11월 22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모두 81부(52.6%) 회수되었으며, SPSS WIN. 10.0을 활용하여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과 사회복지 프로그램 관련 실태에 대해서는 빈도분석과 다중응답빈도분석을 사용하였고, 목회자의 사회봉사에 대한 의식 및 태도와 관련해서는 평균과 표준편차, 빈도분석, t검증, 다중응답 분석을 이용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연구의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사회봉사활동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높은 반면 그에 대한 설교나 교육은 부족함을 보였다. 이것은 자원봉사 경험의 유무에 따라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둘째, 사회복지 프로그램을 실시하면서 가장 어려운 사항으로는 예산부족이라는 결과가 가장 많이 토로되었다. 셋째, 교회내에 사회복지 전담부서가 설치된 곳은 14곳에 불과하나 지역사회복지사업 시행시 담당 주체로 목회자를 중심으로 한 복지 전담부서가 요구된다라는 높은 응답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넷째, 현재 실시중인 프로그램에는 청소년 대상의 프로그램이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고, 계획중인 프로그램에서는 노인대상 프로그램이 가장많이 계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지출 대비 구제/사회봉사비의 비율은 평균 22.09%가 적정하다고 응답하고 있었으나, 2004년 지출 총액 대비 지출항목 비율에서 보면 구제/사회봉사비는 평균 8.84%의 지출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되어 이상적인 사회봉사 비용과 실제 사용하고 있는 것과의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조사결과에 기초해서 교회의 사회복지사업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목회자의 사회복지의식 제고를 위하여 신학교육 학부과정에 사회복지 과목을 도입하고 자원봉사를 자연스럽게 경험할 수 있는 교육의 장을 마련해 주어야 한다. 둘째, 교회의 환경적인 특성들이 교회의 사회복지사업 수행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므로 농어촌 교회나 소규모 교회에 대한 교단 차원에서의 특별 선교비 지원이 요구된다. 세째, 사회복지 사업 전담 목회자 제도를 도입하고 교회 조직내에 사회복지전담부서를 설치해야 할 것이다. 넷째, 현재 운영중인 프로그램에는 아동과 청소년 대상의 복지사업이 그리고 앞으로 계획중인 사업으로는 노인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에 많은 관심을 보였다. 그러나 교회의 구성원들의 대부분이 여성임을 감안할 때 앞으로는 여성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이나 서비스들에도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을 통하여 앞으로는 대한예수교 장로회 통합측 뿐만 아니라 다른 교단과의 비교연구와 목회자를 비롯한 교회 구성원들을 조사대상으로 한 연구가 이루어져서 교회의 사회봉사 실천에 관한 구체적인 후속 논문들이 나오기를 기대하며, 본 논문이 더욱 세분화된 교회 사회봉사 논문의 기초자료가 되기를 바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make basic materials for practicing active and positive church-social work available through grasping recent church-social work, plans for church-social work, and pastors' attitudes towards church-social work. For this purpose, I surveyed the pastors charged by the presbyterian churches(the so-called "tong-hap" group) of "Jin-Ju presbytery area and "the Southern Jin-Ju presbytery area from November 11, until November 15, 2004. After 81copies of questionnaires distributed among the Presbyterian churches were returned to us, I comparatively analyzed their responses by using a frequency test and multi-response analysis to grasp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and the actual conditions involved in the social work program with the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SPSS ver 11.0), and analyzed pasters' attitudes involved in social service by using average, standard deviation, frequency test, t-test, and a multi-response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rough actual proof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most pastors perceived the necessity of social work, but they lacked the preaching and teaching for practicing for social work. It was as thought it depended on their having volunteering experience. Second, though they would have liked to practice social work , themost difficult matter was the financial problem of being short of fund for social work. Third, only 14churches or so have established a department wholly charged for social work. Fourth, it was shown that recent social work program were mainly for adolescents, a program for senior citizens was still in the planning stage. Fifth, it was presented that the ratio of the relief expenses to total expenses, an average 22.09% , should be most pertinent to church budget, but in reality the ratio was only 8.84%. The ideal goal of using budget differed from the real expenses for social work. On the base of these results, I would propose some concrete alternatives for active church social work as below: First, some subjects concerning social work has to be worked into the theological seminary/college curriculum, so they have an opportunity to get through volunteering experiences freely. Second, the small churches in the farming or fishing towns needs special mission funds on a religious associations level, because the financial condition greatly influences church social work. Third, the pastors' charge of social work and the social work post have to be instituted into the church. Fourth, they are interested in recent program for adolescent oriented social work, and planning for programs for senior citizens, but considering accounting for most church members, we should take much interest in the programs towards social work and social service I hope, through this thesis, that relative study between other religious orders or both pastors and church brethren would perform, and a concrete following thesis about church social work practice would come out hereafter.

      •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생활지원사의 직무교육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조직지원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 관련자격증 유무 집단비교연구

        양재석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mpact on quality of service of job training for life support workers working with elderly-care. For this purpose,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method with the independent variable: job training, outcome variable: service quality, and perceived support for organizations was used as mediator variables through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reviews and empirical evidence related to job training and service quality. For data collection purposes, a survey was conducted from January 25th to February 5th, 2021, on 600 life support workers by visiting institutions for customized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in the metropolitan area (Seoul, Gyeonggi-do).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23.0 and AMOS 23.0 programs to analyze frequenc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 verification, and multiple groups of life support workers. Specific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bsolute fit index, the absolute conformity index, and the incremental fit index of the hypothetical model were accurate. Second, job training for life support workers of personalized elderly care service has been shown to have a direct and significant impact on service quality. Job training has also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support, which in turn has been confirmed to have a significant and direct impact on quality of service. Third, looking at the parameter: the perceived support for organizations and job training of life support workers working with personalized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has an indirect impact on service quality and a partial mediating effect. Fourth, a multi-group analysis, comparing ownership related qualifications, confirm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relevant certificates. Furthermore, it has also been confirm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social workers’ licenses and care workers’ licenses, which are the preferred conditions for employment of life support workers for customized elderly care services. In conclusion, despite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 structural model of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personalized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was presen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strengthening and improvement of job training for life support workers within elderly-adjusted care, institutional support systems, and the quality of service provided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