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점화조건 및 점화유형에 따른 학령전기 말더듬 아동의 구어 특성

        김수진 부산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47

        말더듬은 말의 흐름이 방해를 받아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주로 2∼5세경 발생한다. 말더듬 아동과 일반 아동의 언어 능력을 비교하는 연구가 다수 진행되어 왔으며, 연구자마다 상반된 견해를 보인다. 그중 말더듬 아동의 언어능력이 낮다고 보고한 연구 결과는 말더듬 아동이 일반 아동에 비해 말에 대한 두려움과 심리적인 부담감을 느끼고, 이로 인해 자신의 언어능력을 충분하게 산출하지 못한 결과일 수 있다. 따라서 구어산출에 심리적 부담감이 있는 말더듬 아동의 언어처리과정에 대한 부담감을 덜어준다면 유창성 증진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점화(priming)는 목표자극을 제시하기 전에 관련된 자극을 시간적으로 먼저 제시하는 것이다. 다수의 선행연구를 통해, 점화가 아동이 느끼는 언어적 부담감을 완화하여 언어처리과정과 언어 산출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점화조건 및 점화유형에 따른 말더듬 아동과 일반 아동의 구어 특성을 확인하여 점화가 구어 산출에 대한 부담감을 줄여 직접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지 확인해 보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부산, 경남 지역에 거주하는 4∼6세 말더듬 아동 16명과 일반 아동 16명, 총 3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P-FA-Ⅱ, REVT를 통하여 대상자를 선정하였으며 연구 과제는 의미점화과제, 음운점화과제, 비점화과제로 구성하여 실시하였다. 점화과제의 경우 점화단어 그림과 목표단어 그림을 순차적으로 제시하여 아동이 이를 빠르고 정확하게 명명할 수 있도록 하였다. 비점화과제의 경우 목표단어 그림만을 제시하고 이를 빠르고 정확하게 명명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말더듬 아동과 일반 아동의 점화조건에 따른 구어반응시간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말더듬 아동의 점화조건에 따른 비유창성 빈도는 점화조건이 비점화조건보다 유의미하게 낮았다. 둘째, 말더듬 아동과 일반 아동의 점화유형에 따른 구어반응시간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말더듬 아동의 점화유형에 따른 비유창성 빈도를 비교한 결과, 의미점화와 음운점화 유형이 비점화조건보다 유의미하게 낮았다. 의미점화와 음운점화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나, 음운점화가 다소 낮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다. 셋째, 말더듬 아동 집단의 점화 하위유형 간 구어반응시간은 주제적 점화와 음소점화를 제외한 모든 점화 하위요인 간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점화 하위유형 간 비유창성 빈도는 모든 점화 하위요인 간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말더듬 아동과 일반 아동의 점화조건 및 점화유형에 따른 구어 특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점화가 말더듬 아동의 언어적, 심리적 부담감을 줄여 유창한 구어산출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과 죽음에 대한 인식 및 뇌사·장기기증·장기이식에 대한 지식

        정유리 가톨릭관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생명의료윤리의식 교육 자료를 만드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지방의 3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3, 4학년 간호 대학생 26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15년 10월 1일부터 12월 17일까지였으며, 연구도구는 생명의료윤리의식을 파악하기 위해 이영숙(1990)이 고안한 윤리적 가치관 도구를 권선주(2003)가 수정·보완한 생명의료윤리의식 도구를, 죽음에 대한 인식은 이누미야 요시유키(2002)가 개발하고, 차영례(2006)가 수정·보완한 도구, 뇌사·장기기증·장기이식에 대한 지식 측정을 위해서는 Matten 등(1991)이 개발한 도구를 주애은(1995)이 한국인의 정서와 문화에 맞게 번역·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생명의료윤리의식의 평균평점은 총 4점 만점에 2.81±0.22점으로 나타났고, 신생아의 생명권이 3.23±0.47점으로 가장 높았고 뇌사가 2.24±0.44점으로 가장 낮았다. 2. 대상자의 죽음에 대한 인식의 평균평점은 총 5점 만점에 3.15±0.36점 으로 나타났고, 죽음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3.56±0.57점으로 가장 높았고 죽음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2.56±0.63점으로 가장 낮았다. 3. 대상자의 뇌사·장기기증·장기이식에 대한 지식 정도는 21점 만점에 12.12±3.02점으로 58%의 정답률을 보였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생명의료윤리의식은 성별(t=-4.21, p<.001), 학년(t=-2.84, p=.005), 종교참여도(F=3.91, p=.022)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죽음에 대한 인식은 종교(t=-3.29, p<.001), 가족 중 사망자 유무(t=2.02, p=.044), 주관적 경제수준(F=4.05, p=.018), 장기이식 교육여부(t=2.80, p=.006), 인간생명공학 교육 여부(t=2.56, p=.01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뇌사·장기기증·장기이식에 대한 지식은 가족 중 사망자유무(t=2.07, p=.039), 앞으로 생명의료윤리에 대한 교육 시 참여의사 여부(F=4.49, p=.012)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대상자의 생명의료윤리의식은 죽음에 대한 인식과 유의하게 약한 순상관관 계(r=.220, p<.001)를 나타내었으며, 생명의료윤리의식과 뇌사·장기기증·장기이식에 대한 지식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r =.062, p=.316). 6. 대상자의 생명의료윤리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예측 변인은 성별 (β=.293, p<.001), 종교참여도(β=.230, p=.015), 죽음에 대한 인식(β=.195, p=.016)으로 나타났으며, 17.1%의 설명력을 지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간호교육과정에 생명의료윤리 및 윤리의식에 대한 내용이 강화될 필요가 있음이 제기되었다. 이는 간호 대학생들이 임상 현장에서 실습 시 생명의료윤리의식과 죽음과 관련된 부분을 반영하여 교육할 필요가 있을 것이며, 학교에서도 생명의료윤리 교육 시 죽음에 대한 인식 부분을 강화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생명의료윤리의식에 영향을 주었던 성별, 학년, 종교참여도 등을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생명의료윤리의식의 함양은 간호 대학생들이 임상에서 생명의료윤리의식의 혼돈을 겪지 않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며 간호사가 되었을 때에도 대상자와 의료인 사이에서 환자 옹호를 위한 의사결정을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임상간호사의 창업 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홍지언 가톨릭관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창업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 요인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간호사의 간호 창업 활성화를 위한 근거를 제시하고, 나아가 기업가적 행동을 촉진하며, 창업역량을 갖출 수 있는 창업 지원을 위한 간호 창업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자는 강원도 G시 일 지역의 상급종합병원 1곳에서 근무하는 173명의 간호사로 2022년 5월 18일부터 6월 3일까지 자료 수집하였다. 연구 도구로 창업에 대한 태도는 종합적인 태도측정법을 사용한 김지혜(2018)의 태도 도구를 이용하였으며, 창업에 대한 주관적 규범은 Linan과 Chen (2009)의 창업 의도 도구를 수정 및 번안한 김지혜(2018)의 주관적 규범 도구를 사용하였다. 창업에 대한 지각된 행위통제와 창업 의도는 Linan과 Chen (2009)의 창업 의도 도구를 번안하여 사용한 김지혜(2018)의 지각된 행위통제 및 창업 의도 도구를 이용하였다. 기업가정신(혁신성, 진취성, 위험감수성)은 기홍석(2020)이 개발한 기업가정신 도구를 사용하였고, 창업자기효능감은 기홍석(2020)이 개발한 창업자기효능감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방법은 Win SPSS 25.0 Program을 사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ANOVA와 독립 t-test,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대상자의 창업 의도는 7점 만점에 2.88점이었고, 본 연구대상자의 창업 의도는 성별, 근무 형태, 창업 성공인 유무, 창업 저해요인, 이직 의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연구대상자의 창업 의도는 창업에 대한 태도, 창업에 대한 주관적 규범, 창업에 대한 지각된 행위통제, 기업가정신(혁신성, 진취성, 위험감수성) 및 창업자기효능감 간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대상자의 창업 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 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창업 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창업에 대한 태도, 진취성, 성별, 이직 의도로 나타났으며, 70.5%의 유의한 설명력을 보였다.

      • 메타미디어시대 건강커뮤니케이션의 가치에 대한 연구

        강종구 가톨릭관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메타미디어시대 앨런 케이(Alan Kay)와 아델 골드버그(Adele Goldberg)가 만든 메타미디어(metamedia)는 새로운 기술과 새로운 미디어의 개발에서 형태와 콘텐츠 사이의 새로운 관계를 의미한다. 이 석사논문은 이러한 메타미디어 시대에서 건강커뮤니케이션의 가치를 중점으로 논해보고자 한다. 건강커뮤니케이션의 가치에 대한 연령별 인식에 관한 비교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30대, 40~50대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그들의 다양한 건강커뮤니케이션의 가치들을 실증적으로 나타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Q방법론을 적용하여 Q설문지를 통해서 연령별 일반인들의 주관적 인식 논의를 시도하였다. 그 결과 일반인들의 각 연령별 3가지 가치 유형으로 분류 하였다. 20~30대 일반인들은 총 3가지 유형으로 제 1유형 [건강 중심의 가치 유형(Health based value Type) (n=8)], 제 2유형[시공간 무제약의 가치 유형(Place, Time-independent value Type) (n=3)], 그리고 제 3유형[건강 정보의 가치 유형(Health Information value Type) (n=4)]으로 분류하였다. 40~50대 일반인들은 총 3가지 가치 유형으로 제 1유형 [건강 중심의 가치 유형(Health based value Type) (n=8)], 제 2유형[삶의 질 가치 유형(Quality of Life value Tape) (n=4)], 제 3유형[자연친화적 가치 유형(Eco-friendly type) (n=3)]으로 분류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20~30대, 40~50대 일반인들의 건강커뮤니케이션의 가치에 대한 유형적 특성과 일치점을 비교 논의함으로써, 추후 건강커뮤니케이션 개발 및 활용 시 일반인들의 건강커뮤니케이션의 가치의 유형을 고려할 수 있겠다.

      • 병원 영양부서의 TQM-HACCP system 적용을 위한 위생관리 체계분석

        임정현 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 영양부서의 품질관리 관점에서 투입과 산출과정을 시스템적으로 접근하여 실증분석함으로써 HACCP System 도입에 영향을 미치는 위생관리 요인변수를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HACCP System 도입의 결과 변수인 급식생산관리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급식생산공정 변수를 영양사의 TQM적 HACCP 수행도와 HACCP 인지도·수행도, 조리종사자의 HACCP 수행도로 규정하고 투입변수를 위생관리 운영체계 특성으로 파악하여 효과적인 품질 관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병원 영양부서의 위생관리 체계 실태조사를 통한 급식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서울, 인천지역의 400병상 이상의 종합병원 7곳의 영양사 38명 조리종사자 340명, 영양부서 책임자 7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설문지는 1차 예비조사와 현재 사용되고 있는 평가지침서와 문헌을 참고로 영양부서 위생관리체계, 영양사의 TQM적 HACCP 수행도와 인지도, 조리종사자의 HACCP 수행도의 3개 부문으로 구성되었으며, 대상자가 자가 기록하도록 하였다. 연구의 자료처리는 SAS/win 6.11 package를 이용하였으며, 연구내용별로 사용된 분석방법은 기술통계량, ANOVA(Analysis of Variance), SNK (Student Newman Keuls test), t-test, paired comparision, stepwise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 1부 병원 영양 부서 위생관리 체계의 실증적 분석 1. 조사대상병원의 위생관리 체계에 영향을 주는 변수 구축 1) 조사대상 병원의 허가병상은 평균 868.14병상이었고 병동수는 19.57병상. 1일 평균 제공식수는 일반식 1,207.86식, 치료식 634.71식, 직원식 1.570.29식이었다. 2) 조사대상 병원의 위생관리 체계에 영향을 주는 변수는 모두 26개로 가동병상수(병상), 병상가동율(%), 조리장 총 면적(m2), 1식당 조리장 면적(m2), 총 환자수(식), 치료식 비율(%), 일반식 식단주기(일), 치료식 식단주기(일), 치료식 담당 영양사수(명), 영양사 1인당 식수(식), 조리종사자 1인당 식수(식), 환자 1인당 잔식량(g), 잔반처리 비용(원/식), 잔반처리 인원(명/시간), 일반식 생산성지수(식/시간), 치료식 생산성지수(식/시간), 직원식 생산성지수(식/시간), 영양사 평균경력(개월), 조리종사자 평균경력(개월), 정규직 비율(%), 관리직 비율(%), 환자식 급식수입, 직원식 급식 수입, 환자 배식시간 간격(분), 위생교육 횟수(월), 급식장 소독 횟수(월)였다 2. HACCP System에 대한 급식 종사자의 업무 인지도 및 수행도 1) 병원 영양사의 TQM적 HACCP System 수행도 조사 (1) 조사대상 병원 영양사의 연령은 25∼29세가 50%로 가장 많았으며, 결혼여부는 미혼이 67.6%이었고, 최종학력은 대졸이 58.8%로 가장 많았고 고용형태는 정규직이 85.2%었고 직위는 영양사가 73.5%로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었다. (2) 조사대상 영양사의 급식 생산관리의 TQM적 HACCP 수행도는「리더십」영역의 지역사회 주민과의 HACCP 지식 공유는 1.76으로 가장 낮았고,「정보와 분석」영역이 다른 영역에 비해 가장 높았다 (3) 조사대상 병원 영양사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TQM적 HACCP 수행도는 결혼에 따른 인적자원 영역(p<0.05), 직위에 따른 정보와 분석 영역(p<0.05), 조리장의 위생상태에 따른 프로세스관리 영역(p<0.05), 소속에 따른 정보와 분석 영역(p<0.05)에서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2) 조사대상 병원 영양사의 급식생산단계별 HACCP System 인지도 및 수행도 (1) 조사대상 병원 영양사의 급식생산단계별 HACCP System 인지도는 10개 영역의 평균 점수가 4.57로 40개 세부 항목 모두가 4점 이상으로 높은 인지도를 보였다. (2) 조사대상 병원 영양사의 급식생산단계별 HACCP System 수행도는 10개 영역의 평균 점수가 4.13으로 인지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음을 알 수 있었다. (3) 조사대상 병원영양사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급식생산단계별 HACCP System 수행도는 나이에 따른 보관 영역(p<0.05), 고용형태에 따른 조리시 취급(p<0.05)과 개인위생 영역(p<0.05)이, 직위에 따라서는 세척과 소독 영역에서 유의한(p<0.05) 차이가 있었으며, 조리장의 위생상태에 따라서는 식단작성시 영역(p<0.05), 구매 및 검수 영역 (p<0.01), 세척 및 소독영역(p<0.01)과 시설 영역(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소속 여부에 따라서는 보관 영역과 개인위생 영역에서 수탁사 소속의 수행도가 유의하게 (p<0.05) 높았다. (4) 조사대상 병원 영양사의 급식생산단계별 HACCP System 위생관리 필요도는 구매 및 검수시 업무가 낮았으며, 필수적으로 위생관리가 필요한 영역은 평균 1점 이상의 차이가 난 식단작성시 수행 (-1.02)이었다. 3) 조사대상 병원 조리종사자의 급식생산단계별 HACCP System 수행도 (1) 조사대상 병원 조리종사자들의 일반적인 특성은 여자가 98.1%였으며, 나이는 40세 이상이 81.7%, 결혼여부는 기혼이 93.5%, 학력은 고졸이상이 60.9%, 고용형태는 정규직이 79.6%로 가장 많았고, 직위는 조리원 54%이었으며, 소속은 병원이 84.5%, 수탁사가 15.5%이었고. 건강상태 보통이다 49.0%, 현 직장에서 근무 평균 경력은 100.29개월, 전 직장에서의 근무 경력은 10.48개월이었다. (2) 조사대상 병원 조리종사자의 급식생산단계별 HACCP System 수행도는 4.01로 높은 수행도를 보였다. (3) 조사대상 병원 조리종사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급식생산단계별 HACCP System 수행도는 나이에 따라서는 세척 및 소독 영역(p<0.01)과 시설 영역 (p<0.05)에서, 결혼여부에 따라서는 전처리(p<0.05), 조리시 취급(p<0.05), 배식영역 (p<0.05)에서, 최종학력에 따라서는 장비(p<0.05), 시설관리(p<0.05)에서 고용형태에 따라서는 구매 및 검수(p<0.05), 전처리(p<0.05), 조리시 취급(p<0.05), 배식 (p<0.05), 보관(p<0.01), 개인위생(p<0.001), 장비(p<0.05), 시설(p<0.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직위에 따라서는 전처리(p<0.05), 조리시 취급(p<0.01), 배식 (p<0.05), 세척 및 소독(p<0.01), 개인위생 (p<0.001), 장비(p<0.05)에서, 소속여부에 따라서는 구매 및 검수(p<0.05), 배식(p<0.01), 세척 및 소독(p<0.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건강상태에 따라서는 보관(p<0.05), 개인위생(p<0.001)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병원부서의 급식 생산관리의 HACCP System 도입에 영향을 미치는 위생관리 체계 요인 분석 1) 영양사의 급식생산 관리의 TQM적 HACCP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위생관리체계 변수의 회귀 분석 결과로 최종적으로 TQM적 HACCP 수행도에 대한 변수의 영향력은 모두 3단계였으며, 영양사 1인당 식수는 음의 영향력이 유의적(p<0.01)으로 가장 컸으며, 영양사의 평균경력(p<0.01), 관리직비율(p<0.01)이 유의적인 양의 영향력을 미쳤다. 2) 영양사의 급식생산단계별 HACCP System 인지도에 영향을 미치는 위생관리 체계 변수의 회귀분석 결과로 최종적으로 HACCP System 인지도에 대한 변수의 영향력은 모두 3단계였으며, 영양사 평균경력의 영향력이 유의적(p<0.005)으로 가장 컸으며, 환자식 식단주기(p<0.005), 일반식 생산성주기(p<0.005)이 각각 유의적인 양과 음의 영향력을 미쳤다. 3) 영양사의 급식 생산단계별 HACCP System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위생관리체계 변수의 회귀분석 결과로 최종적으로 HACCP System 수행도에 대한 변수의 영향력은 모두 3단계였으며, 조리종사자의 평균경력이 음의 영향력이 유의적(p<0.005)으로 가장 컸으며, 영양사 1인당 식수(p<0.005), 1식당 조리장 면적(p<0.05)이 각각 유의적인 음과 양의 영향력을 미쳤다. 4) 조리종사자의 급식생산단계별 HACCP System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위생관리 체계 변수의 회귀분석결과로 최종적으로 조리종사자의 HACCP System 수행도에 대한 변수의 영향력은 모두 3단계였으며, 영양사 1인당 식수의 음의 영향력이 유의적(p<0.005)으로 가장 컸으며, 조리종사자 1인당 식수(p<0.005), 환자식 식단주기 (p<0.05)가 각각 유의적인 음과 양의 영향력을 미쳤다. 제 2부 병원 영양부서의 HACCP System 도입을 위한 위생관리체계 실태조사 1. 조사대상 병원의 급식관리 일반사항은 조리장은 57.1%가 지하 1층에, 42.9%가 지하 2층에 위치하고 있었고. 식기세척방법은 식기 세척기 이용 85.7%, 혼합이 14.3%, 식사의 운반방법은 전용 엘리베이터 이용이 85.7%, 전용 리프트 이용이 14.3%로, 배선형태는 중앙배선이 85.7%로 가장 많았고. 조리장 개·보수 연수는 6∼10년이 57.1%, 10년 이상이 28.6%, 1∼5년이 14.3%순이었다. 2. 조사대상 병원의 위생관리의 일반현황은 적온급식기기 사용은 보온배선카 50.0%, 보온집기 66.7%, 기타 16.7%, 음식의 온도 유지 방법은 조사대상 병원 모두가 보온·보냉고를 사용하고 있었으며 위생구역은 85.7%가 구획되어 있다고 조사되었다. 3. 조사대상 병원의 사용 식기의 재질을 조사한 결과 일반식 식기는 스테인레스 사용이 42.9% 혼합사용이 28.6%이었고, 특실과 VIP실은 주로 도자기를 사용하고 있는것으로 나타났으며, 치료식 식기는 스테인레스가 57.1%였고, 멸균식은 스테인레스 57.1%, 도자기 42.9%로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4. 조사대상 병원의 시설, 기구의 구비현황에 대한 실태조사는 재료 준비단계에서의 시설 및 기구는 평균 97%의 병원이 보유하고 있었으며, 식기, 조리기구, 세척, 소독단계의 시설 및 기구는 평균 69%이었다. 5. 조사대상 병원의 감염관리 현황에서 모든 기구의 소독 방법을 평균한 결과 열탕소독이 17%, 증기소독이 7%, 건열소독이 5%, 락스 등의 소독제 소독이 43%, 자외선 소독이 7%, 기타 혼합소독이 21%로 나타났다. 6. 조사대상 병원의 생산공정관리 기록 체계 현황은 10개의 기록 체계를 모두 갖추고 있는 병원은 평균 88.6%이었고 가장 낮은 보유율을 보인 것은 창고 및 화장실 점검일지(42.9%)이었다. 7. 조사대상 병원 영양부서의 환자 만족도 실시 현황 및 내용은 환자 만족도를 실시하는 비율은 평균 100%이었고 조사항목은 음식의 품질측면 82.8%, 서비스측면 90.5%, 위생적인 측면 85.7%을 조사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and empirically analyze the input and output process in hospital food and nutrition service departments in terms of quality management and figure out variables in sanitation management which affect adoption of the HACCP System. To this end, this study is to suggest effective methods to manage the food and nutrition service in hospitals and provide information to secure safety in hospital meal service. In this study, variables in the meal production process in securing safety in food production management which is an output variable of adoption of the HACCP System are the TQM-HACCP performance level of dietitians, the HACCP awareness and performance level of dietitians and the HACCP performance level. Input variables are characteristics of the operation system in the sanitation management. This study is based on a survey of 38 dietitians, 340 cooks and 7 managers of the food and nutrition service department in 7 general hospitals in Seoul and Incheon which have more than 400 beds . The questionnaire was made based on the preliminary survey and the assessment guideline, and was composed of three parts; sanitation system in the food and nutrition service department, the TQM-HACCP awareness and performance level of dietitians and the HACCP performance level of cooks. Respondents were required to answer each question on paper. SAS/win 6.11 was used for processing of the data, and technical statistics, ANOVA (Analysis of Variance), SNK (Student Newman Keuls test), t-test, paired comparison, stepwise regression were used for analysis. The result is as following; Part 1. Empirical analysis of the sanitation management system in hospital food and nutrition service department 1. Variables affecting the sanitation system of the hospitals surveyed 1) The average number of beds in the hospitals surveyed was 868.14, the number of wards was 19.57. The average number of meals provided per day was 1,207.86 for ordinary meals, 634.71 for meals for treatment, and 1,570.29 for meals for hospital staff. 2) There were 26 variables affecting the sanitation system in the hospitals surveyed, including the number of beds, the operation rate of beds(%), the total size of a kitchen(㎡), the size of a kitchen per dinning room(㎡), the total number of patients, the proportion of meal for treatment(%), the menu cycle for ordinary meals(day) and that for meals for treatment, the number of dietitians in charge of meals for treatment, the number of meals per dietitian, the number of meals per cook, the amount of food waste per patient(g), the cost needed to dispose food waste, the number of workers needed to dispose food waste, the productivity index of ordinary meals(number of meal/hour), that of meals for treatment and meals for hospital staff(number of meal/hour), the average career of dietitians (month), the average career of cooks(month), the proportion of regular staff(%), the proportion of those in management position(%), the revenue from meal service for patients and that from meal service for staff, the interval of meal service for patients(minute), the frequency of sanitation education(month) and the frequency of disinfection in meal service facilities(month). 2. The HACCP System awareness and performance level of those in charge of hospital meal service. 1) The TQM-HACCP performance level of dietitians (1) 50% of the respondent dieticians were between 25 and 29. 67.6% were single, and 58.8% were graduated from university. 85.2% were regular workers, and in terms of position, 73.5% were dietitians. (2) When it comes to the TQM-HACCP performance level of respondent dietitians in managing meal production, sharing knowledge of the HACCP with community members was the lowest in the leadership sector at 1.76, and the highest in the knowledge and analysis sector. (3)When it comes to the TQM-HACCP performance level of respondent dietitian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the performance level in the human resource sector meaningfully varied depending on whether a dietitian was married or not(p<0.05), in the information and analysis sector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a dietitian(p<0.05), and in process management sector depending on sanitary condition(p<0.05), and in the information and analysis sector depending on whether a dietitian was a staff of the hospital or not(p<0.05). 2) The HACCP System awareness and performance level of respondent dietitians in each phase of meal production (1) The HACCP System awareness level of respondent dietitians in each phase of meal production was an average of 4.57 in 10 sectors, and the awareness level was high at over 4 in all 40 specific items. (2) The HACCP System performance level of respondent dietitians in each phase of meal production was lower than the awareness level at 4.13. (3) The HACCP System performance level of respondents in each phase of meal production meaningfully varied in storage sector according to the age of dieticians(p<0.05), in handling while cooking and individual sanitation sector depending on types of employment(p<0.05), in cleansing and disinfection depending on position of dietitians(p<0.05), in determining a menu(p<0.05), purchasing and checking(p<0.01), cleansing and disinfection(p<0.01), and facility sector depending on sanitation in the kitchen(p<0.01). In storage and individual sanitation sector, the performance level of dietitians under contract was meaningfully higher. (4) The necessity level of the HACCP System sanitation management of respondent dietitians was low in purchasing and checking, and sanitation management was imperative in setting a menu which showed bigger difference than 1 point on average. 3) The HACCP System performance level of respondent cooks in each phase of meal production (1) In terms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cooks working in hospitals, 98.1% of respondent cooks were female, 817% were over 40. 93.5%were married, 60.9% had higher than high school education. 79.6% were regular workers, 54% were official cooks, 84.5% were workers at hospitals and 15.5% were working under contract. 49.0% answered that they were healthy. The average working period in the current workplace was 100.29 months, and 10.48 months in the previous workplace. (2) The HACCP System performance level of respondent cooks in each phase of meal production was high at 4.01. (3) The HACCP System performance level of respondent cooks in each phase of meal production meaningfully varied in cleansing and disinfection sector, and facility sector according to the age of cooks(p<0.05), in the overall treatment(p<0.05), handling while cooking(p<0.05) and serving sector(p<0.05) depending on whether a cook was married or not, in the equipment(p<0.05) and facility management sector(p<0.05) according to the education background, in purchase and checking(p<0.05), overall treatment(p<0.05), handling while cooking(p<0.05), serving(p<0.05), storage(p<0.01), individual sanitation(p<0.001), equipment(p<0.05), facility sectors(p<0.001) depending on types of employment, The performance level differs in overall treatment(p<0.05), handling while cooking(p<0.01), serving(p<0.05), cleansing and disinfection(p<0.01), individual sanitation(p<0.001), equipment(p<0.05) sector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a cook. in purchase and checking(p<0.05), serving(p<0.01), cleansing and disinfection(p<0.001) depending on whether a cook is a staff of the hospital or not, in storage(p<0.05) and individual sanitation(p<0.001) depending on whether a cooks is healthy or not. 3. Analysis on factors in the sanitation management system affecting the introduction of the HACCP System in the meal production management of hospital food and nutrition service department 1) According to results of a regression analysis on variables in the sanitation management system affecting the TQM-HACCP performance in meal production management of dietitians the final influence of variables on the TQM-HACCP performance had three phases. The number of meals per dietitian had meaningfully the highest negative influence(p<0.01), the average career of a dietitian(p<0.01), the proportion of dietitians in management position(p<0.01) had meaningfully positive influence. 2) According to results of a regression analysis on variables in the sanitation management system affecting the TQM-HACCP awareness in meal production management of dietitians, the final influence of variables on the TQM-HACCP performance had three phases. The average career of a dietitian (p<0.005) had meaningfully the highest influence, and the menu cycle of meals for patient(p<0.005) and that of ordinary meals(p<0.005) had meaningfully positive and negative influence respectively. 3) According to results of a regression analysis on variables in the sanitation management system affecting the HACCP performance in meal production management of dietitians, the final influence of variables on the HACCP performance had three phases. The average career of a cook(p<0.005) had meaningfully the highest negative influence, and the number of meals per cook(p<0.005) and the size of kitchen per dining room(p<0.005) had meaningfully negative and positive influence respectively. 4) According to results of a regression analysis on variables in the sanitation management system affecting the HACCP performance in meal production management of cooks, the final influence of variables on the HACCP performance of cooks had three phases. The number of meals per dietitian(p<0.005) had meaningfully the highest negative influence, and the number of meals per cook(p<0.005) and the menu cycle of meals for patients(p<0.005) had meaningfully negative and positive influence respectively. Part 2. Survey on the sanitation management system in the hospital food and nutrition service department for introduction of the HACCP System 1. When it comes to meal service management in the hospitals surveyed, 57.1% had kitchens on the lst underground floor, and 42.9% on the 2nd underground floor. For washing dishes, 85.7% used dish-washers, and 14.3% used dish-washers and other methods. For delivering meals, 85.7% used exclusive elevators, and 14.3% used exclusive lifts. In terms of types of service used centralized delivery service which is the highest. 57.1% repaired kitchens every 6 to 10 years, 28.6% every over 10 years, and 14.3% every 1 to 5 years. 2. When it comes to sanitation management in the hospitals surveyed, 50% used thermal cart, 66.7% thermal container, and 16.7% other methods to deep proper temperature of meals while serving. In order to keep proper temperature of food, all hospitals surveyed used thermal containers and refrigerators. 85.7% had a sanitation zone. 3. When it comes to materials of dishes used in the hospitals surveyed, as for ordinary dishes, 42.9% used stainless, 28.6% stainless and other materials mixed. As for dishes for special room and VIP room, porcelain was mostly used. As for dishes for treatment meals, 57.1% used stainless, and as for dishes for sterilized meals, 57.1% used stainless, and 42.9% used porcelain. 4. When it comes to hospital facilities and equipment for food and nutrition service, an average of 97% hospitals surveyed had facilities and equipment needed to prepare ingredients, and an average of 69% had dishes, cookers, facilities and equipment for cleansing and disinfection. 5. When it comes to disinfection methods, 17% boiled, 7% steamed, 5% dried, 43% used disinfectants, 7% used ultraviolet rays, and 21% used multiple methods. 6. When it comes to record systems for production process management, 88.6% had all of 10 record systems, and 42.9% had a check note for warehouse and rest room, marking the lowest. 7. When it comes to a checking system on patient satisfaction, 100% hospitals conducted a survey on patient satisfaction with their food and nutrition service. In terms of survey items, 82.8% surveyed patient satisfaction on food quality, 90.5% on service, and 85.7% on sanitation.

      • 한국 성인의 채소, 과일, 어패류 섭취에 따른 대사증후군 위험도에 관한 연구 : 2010, 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중심으로

        유재은 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47

        This study was to examine association between intakes of vegetable, fruit, seafood, food intake patterns and risk of metabolic syndrome(Mets). Subjects were participants in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who aged more than age of 20 (N=6668). The definitions of the metabolic syndrome were based on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Adult Treatments Panel III (NCEP ATPⅢ). Using Data of 24 hour recall method food frequency questionnaires, we had estimated intakes of vegetable, fruit and seafood. Chapter 1. The association between intakes of vegetable, vegetable without Kimchi or Kimchi and the metabolic syndrome Vegetable classified total vegetable, vegetable without Kimchi and Kimchi. 1) Men in the hightest quintiles of total vegetable intake showed significantly lower risk of having central obesity (OR: 0.56, p<0.05) and 1 risk factor of Mets(OR: 0.70, P<0.05). Women the hightest quintiles of total vegetable also revealed significantly decreased risk of Mets(OR: 0.62, P<0.05) 2) Men with high vegetable without Kimchi intakes were assessed as having significantly higher chance of having metabolic syndrome(OR: 0.68, p<0.05). Whereas women with high vegetable without Kimchi intakes were significantly lower chance of having dyslipidemia(OR: 0.68). 3) Men with the highest Kimchi intakes were significantly lower chance of having central obesity(OR: 0.53, P<0.05). But women with the highest Kimchi intakes were significantly higher risk of elevated blood pressu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takes of salted vegetable such as Kimchi is associated with a higher risk for hypertension in Korean women, Chapter 2. The association between fruit intakes and the metabolic syndrome Men with high fruit intakes showed significantly lower risk of elevated blood pressure(OR: 0.81, p<0.05)and higher risk of having lower HDL-C(OR:0.81 p<0.05) Women with high fruit intakes were significantly lower risk of Elevated blood pressure(OR: 0.73, p<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takes of fruit are associated with a reduced risk for elevated blood pressure in Korean. Chapter 3. The association between fruit and vegetable intakes and the metabolic syndrome Fruit and vegetable were categorized as total vegetable and fruit, and vegetable without Kimchi and fruit. Men with highest vegetable without Kimchi and fruit intakes were significantly lower risk of elevated blood pressure. Whereas the highest women with the highest vegetable without Kimchi and fruit intakes were significantly lower risk of dyslipidemia. In conclusion, intakes of vegetable without Kimchi and fruit are associated with a reduced risk for some parameters of Mets. Chapter 4. The association between seafood intakes and the metabolic syndrome Seafood were categorized as total seafood, seafood without salted fish and salted seafood. 1) Men with the highest total seafood intakes were observed as having significantly higher risk of elevated blood pressure and fasting plasma glucose. Women with high total seafood intake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chance of having central obesity. 2) Men with high the highest seafood without salted fish intakes revealed significantly higher risk of elevated fasting plasma glucose. Women showed significantly higher chance of having central obesity and 1 risk factor of Mets. 3) After adjusted for potential confounders, women with high salted seafood intakes were significantly higher risk of Elevated fasting plasma glucose. After adjusted for age, women with high salted seafood intakes were significantly lower risk of dyslipidemia. In conclusion, maintaining a desirable composition and avoiding excessive consumption of seafood with salt should be emphasized for prevention of metabolic syndrome and hypertension. Chapter 5. The association between dietary patterns and the metabolic syndrome Dietary pattern classified Meat and beverage pattern, Modified traditional pattern, Fruit and milk pattern. 1) Meat and beverage pattern High consumption of the Meat and beverage pattern was lower risk of dyslipidemia. 2) Modified Korean traditional pattern(meal pattern with high consumption of fish and vegetable along with fish and vegetable) After adjusted for age, high consumption of the modified traditional pattern showed higher chance of having the metabolic syndrome. 3) Fruit and milk pattern High consumption of the fruit and milk pattern was associated with risk of elevated blood pressure. In conclusion, fruit and milk pattern was associated with associated with a reduced risk for Mets. 본 연구는 채소, 과일, 어패류 섭취량에 따른 대사증후군의 연관성과 식사패턴에 따른 대사증후군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국민건강영양조사 2010~2011년 참여자 20세 이상 성인 6668명을 대상으로 채소, 과일, 어패류 섭취량에 따른 대사증후군 구성요소와 대사증후군의 연관성을 보았다. 대사증후군은 NCEP 기준으로 판정하였다. 개인별 24시간 회상조사, 식품섭취빈도 조사의 식사변수를 이용하여 채소, 과일, 어패류의 섭취량을 구하였다. Chapter 1. 채소섭취에 따른 대사증후군의 관련성 채소를 염장채소로 분류되는 김치를 포함한 총 채소, 김치를 제외한 채소, 김치만을 따로 분류하여 각각의 섭취량에 따른 대사증후군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채소 섭취가 가장 적은 군에 비해 채소 섭취가 가장 높은 군이 남성은 허리둘레 90 cm 이상을 위험도가 0.56배 유의적으로 낮아졌다(p-trend=0.0154). 1가지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을 가질 위험은 0.70배 유의적으로 낮아졌다(p-trend=0.0202). 여성은 3가지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을 가질 위험도가 0.62배 유의적으로 낮아졌다. 김치를 제외한 채소 섭취가 가장 적은 군에 비해 김치를 제외한 채소 섭취가 가장 높은 군이 남성은 3가지 위험요인을 갖는 위험도가 1.65배 (p-trend=0.0071)유의적으로 높아졌다. 1가지 위험요인을 갖는 위험도는 유의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p-trend=0.0127). 여성은 혈중 중성 지방 150 mg/dl 이상일 위험도가 0.68배 유의적으로 낮아졌다. 김치섭취가 가장 적은 군에 비해 김치 섭취가 가장 높은 군이 남성은 허리둘레 90 cm 이상 일 위험도가 0.53배 유의적을 낮았다(p-trend=0.0233). 여성은 수축기 혈압 130 mmHg 이상 또는 이완기 혈압 85 mmHg 이상이 될 위험도가 유의적으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p-trend=0.0261). 본 연구에서는 총 채소섭취량이 높은 여성에게 대사증후군의 위험이 감소하였고 채소 섭취의 양과는 별개로 김치 섭취량이 여성의 혈압 상승 위험도를 증가 시킨다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김치류를 포함한 채소 섭취량 증가에만 초점을 맞추기 보다는 김치를 제외한 채소 섭취량을 늘리도록 권장 해야 한다. Chapter 2. 과일섭취에 따른 대사증후군의 관련성 과일의 섭취유무에 따른 대사증후군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과일 섭취를 하지 않는 군에 비해 과일 섭취를 하는 군이 남성은 수축기 혈압 130 mmHg 이상 또는 이완기 혈압 85 mmHg 이상이 될 위험도가 0.81배 유의적으로 낮아졌다(p-trend=0.0493). HDL콜레스테롤이 40 mg/dl 미만의 위험도는 1.34배 유의적으로 높아졌다(p-trend=0.0367). 여성은 수축기 혈압 130 mmHg 이상 또는 이완기 혈압 85 mmHg 이상이 될 위험이 0.73배 유의적으로 낮아졌다(p-trend=0.0151). 본 연구 결과, 과일을 섭취하는 남녀 모두에게서 혈압상승의 위험을 낮추었다. 과일은 칼륨과 섬유소를 많이 포함한 대표적인 식품으로 식후에 과일의 섭취는 혈압조절에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Chapter 3. 채소∙과일섭취에 따른 대사증후군의 관련성 채소와 과일을 합쳐서 김치를 포함한 총 채소와 과일, 김치를 제외한 채소와 과일로 분류하여 각각의 섭취량에 따른 대사증후군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김치를 제외한 채소∙과일섭취가 가장 적은 군에 비해 김치를 제외한 채소∙과일섭취가 가장 높은 남성은 수축기 혈압 130 mmHg 이상 또는 이완기 혈압 85 mmHg 이상이 될 위험도는 0.69배 유의적으로 낮아졌다. 여성은 HDL-콜레스테롤이 40mg/dl 이하의 위험도는 유의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p-trend=0.0245). 본 연구결과 김치를 뺀 채소와 과일의 섭취가 많으면 남성에게 혈압상승의 위험도가 낮아졌고 여성에게는 저 HDL-콜레스테롤 의 위험도가 낮아진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즉, 김치를 제외한 채소와 과일의 섭취는 대사증후군 위험 요소와 연관성을 보이며 예방을 위해서는 김치를 제외한 채소와 과일을 하루 권장량 500g 이상을 섭취 할 수 있도록 권장되어야 한다. Chapter 4. 어패류섭취에 따른 대사증후군의 관련성 어패류에서는 염장이 필요한 젓갈을 포함한 총 어패류, 젓갈을 뺀 어패류, 젓갈로 분류하여 각각의 섭취량에 따른 대사증후군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어패류섭취가 적은 군에 비해 어패류섭취가 많은 군이 남성은 수축기 혈압 130 mmHg 이상 또는 이완기 혈압 85 mmHg 이상이 될 위험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p-trend=0.0399). 공복혈당이 100mg/dl 이상이 되는 위험도는 1.5배 유의적으로 높아졌다(p-trend=0.0117). 여성은 허리둘레 80cm 이상의 위험도가 1.75배 유의적으로 높아졌다(p-trend=0.0171). 젓갈을 뺀 어패류섭취가 적은 군에 비해 젓갈을 뺀 어패류섭취가 높은 군이 남성은 공복혈당이 100mg/dl 이상이 되는 위험도는 1.49배 유의적으로 높아졌다(p-trend=0.0134). 여성은 허리둘레가 80cm 이상이 될 위험도는 1.59배 유의적으로 높아졌다(p-trend=0.0263). 1가지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을 가질 위험도는 1.34배 유의적으로 높아졌다(p-trend=0.0212). 젓갈 섭취를 하지 않는 군에 비해 젓갈 섭취를 하는 군이 여성은 공복혈당 100mg/dl 이상이 될 위험도가 교란인자를 모두 보정하면 1.75배 유의적으로 높아졌다(p-trend=0.0277). HDL-콜레스테롤 50mg/dl 이하가 될 위험이 나

      •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단기기억과 시계그리기 수행 능력 특성

        강민수 부산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47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MCI)는 기억력의 저하가 있지만, 독립적인 일상생활 활동이 가능한 장애군이다. MCI의 10∼15%가 매년 알츠하이머 치매로 진행되고 있어 이를 예방하기 위해 조기에 선별하고 중재하는 것이 중요하다. MCI 선별과 관련하여 특히 기억력과 집행기능이 유용한 선별지표로 연구되어 왔다. 기억력은 MCI를 진단하는데 주요 기준으로 제시하고 있다. 기억력을 평가하기 위한 객관적 검사에는 주로 단어목록을 사용하여 즉각회상, 지연회상, 재인 수행 능력을 평가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하지만 기억력 감퇴가 MCI를 명확하게 구별하는 주요 증상이자 선별지표로 알려져 있지만, 일반 노화의 대표적인 특징으로 기억력만으로는 일반노인과의 구분이 어렵다. MCI는 인지기능의 하위 요소 간 복합적인 능력을 요구하는 집행기능의 문제도 또한 나타난다. 이러한 집행기능을 쉽게 평가하는 과제로는 시계그리기 검사(clock drawing test, CDT)가 있다. CDT는 기억력, 시각적 주의력, 언어 이해력 등 집행기능을 손쉽게 평가하여 초기 치매 단계에서 손상된 시공간 능력을 측정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단어회상 과제와 시계그리기검사(CDT)를 통해 MCI의 특징을 확인하여 선별의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만 65세 이상∼만 74세 이하인 자로 한국판 몬트리올 인지평가 기초(K-MoCA-B) 결과 총점 30점 중 22점 이하인 자는 경도인지장애 노인, 23점 이상인 자는 일반 노인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과제는 MCI의 기억력과 집행기능을 살펴보기 위해 단어회상(즉각회상, 지연회상, 재인)과 CDT(반응시간, 양적 채점, 질적 오류 채점) 과제로 구성하여 실시하였다. 각 집단 간 과제 수행 능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를 실시하였고 MCI 집단의 두 과제 수행 능력과 인지기능 하위영역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피어슨 적률상관분석(pearson correlation)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MCI 노인의 단어회상 능력이 즉각회상, 지연회상 모두 일반 노인보다 유의미하게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또한 지연회상 반응 시간에서 MCI 노인이 일반노인보다 더 오랜 시간이 걸렸고 재인 과제의 경우 일반 노인이 MCI 노인보다 더 오랜 시간이 걸렸다. 둘째, 집단 간 CDT 수행에 걸린 평균시간을 비교해본 결과 MCI 노인과 일반 노인 모두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양적 채점과 질적 오류 채점 결과 MCI 노인이 일반 노인보다 유의미하게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MCI 노인의 단어회상과제 및 CDT와 인지기능 하위영역 간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단어회상과제의 재인과 인지기능 하위 영역인 지연회상, 이름대기 과제에서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CDT 수행에 걸린 시간과 주의력 과제에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CDT 양적 채점 점수와 이름 대기 과제에서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으며 질적 오류 점수와 시지각·집행기능 과제에서 상관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 단어회상(즉각회상, 지연회상, 재인), CDT(,반응시간, 양적 채점, 질적 오류 채점) 과제에 따른 MCI 노인과 일반 노인 간 수행능력 차이를 확인하였다. 또한 MCI 노인의 과제 수행 특성과 인지능력 간 상관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억력과 집행기능을 통해 정상적인 노화와 MCI를 구별에 유용성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과 부모의 AAC 그림상징 인식

        민지혜 부산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47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have very limited use of language and may not use language at all.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who have difficulty expressing themselves in spoken language should be helped to acquire voluntary communication skills through AAC intervention. At this time, the selection of graphic symbols considering their cognitive characteristics is of utmost importance, so specific research is needed to examine graphic symbol comprehension and preferences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In this study, we selected four graphic symbol types, DAS, Korea AAC(KAAC), WETOK, and HANSPEAK, and conducted graphic symbol comprehension tests and preference tests to see which graphic symbol types are effective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I wanted to see it. In addition, because AAC intervention is generally conducted through a team approach, we investigated and compared the preferences of parents and experts together. This study included 19 children aged 4 to 12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19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whose receptive vocabulary matched them, 19 parent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19 parents of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nd 19 experts. A total of 95 people were targeted.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general children were subjected to an image symbolization test, and all subjects were subjected to a preference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graphic symbol comprehension across groups(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or graphic symbol types(DAS, Korea AAC, WETOK, HANSPEAK), and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graphic symbol preference depending on the group(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parent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parents of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experts).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preferred Korea AAC over other graphic symbol types.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nd parent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parents of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preferred DAS, and experts preferred HANSPEAK over other graphic symbol types. Third, children's receptive vocabular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symbolic comprehension. In other words, it was evaluated that as receptive vocabulary increases, symbolic comprehension also increases.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cognition of iconicity by DAS, Korea AAC, WETOK, and HANSPEAK graphic symbol types. Meanwhile, there appeared to be differences in preferences betwee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parent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experts. This suggests that when performing AAC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parents or experts need to reflect the child's preferences or needs rather than arbitrarily selecting graphic symbols by predicting iconicity or ease of learning. This study has clinical significance in that it examines the graphic symbol comprehension and preference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he main users of AAC, and attempts to determine which type of graphic symbol to select is more effective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과 부모의 AAC 그림상징 인식 언어청각치료학과 민 지 혜 지도교수 이 희 란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은 대개 언어가 매우 심하게 지체되어 있으며, 언어를 습득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구어 표현이 힘든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에게는 AAC 중재를 통해 자발적인 의사소통 기술을 습득하게 해주어야 한다. 이때 이들의 인지적 특성을 고려한 그림상징 선택이 무엇보다 중요하므로,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그림상징 이해 정확도와 선호도를 살펴보는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DAS, 한국형 AAC, 위톡, 한스피크 네 개의 그림상징 유형을 선정하고, 그림상징 이해 정확도 검사와 선호도 검사를 실시하여, 어떤 그림상징 유형의 적용이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에게 효과적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일반적으로 AAC 중재는 팀 접근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보호자와전문가의 선호도를함께알아보고비교해보았다. 본 연구는 4~12세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19명, 이들과 수용어휘력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 19명,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부모 19명, 일반 아동 부모 19명, 전문가 19명으로 총 9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에게 그림상징 이해 정확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모든 대상자에게 선호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결과를요약하면다음과같다. 첫째, 그림상징 이해 정확도는 집단(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일반 아동)이나 그림상징 유형(DAS, 한국형 AAC, 위톡, 한스피크)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으며, 상호작용 효과 역시 없었다. 둘째, 그림상징 선호도는 집단(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일반 아동,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부모, 일반 아동 부모, 전문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은 한국형 AAC를, 일반 아동,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부모, 일반 아동 부모는 DAS를, 전문가는 한스피크를 다른 그림상징 유형보다 선호하였다. 셋째, 아동의 수용어휘력은 상징 이해 정확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수용어휘력이 높아질수록 상징 이해 정확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은 DAS, 한국형 AAC, 위톡, 한스피크 그림상징 유형별 도상성 인식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과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부모, 전문가 간의 선호도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AAC 중재를 할 때, 부모나 전문가가 도상성이나 학습용이성을 예측하여 임의로 그림상징을 선택하기 보다는 아동의 선호나 욕구를 반영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AAC 주요 사용자인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그림상징 이해 정확도와 선호도를 살펴보고, 어떤 그림상징 유형을 선택하는 것이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에게 더 효과적인지에 대한 접근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임상적 의의가있다고할수 있다.

      • 중년 성인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 계획된 행위이론을 기반으로

        박현정 가톨릭관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47

        국문초록 본 연구는 중년 성인을 대상으로 계획된 행위이론을 적용하여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의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여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을 높일 수 있도록 정책과 홍보를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전국의 40~64세 중년 성인 230명을 대상으로 2023년 6월 15일부터 2023년 6월 2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도구는 다음과 같다. Ajzen(1991)의 계획된 행위이론의 하위요인인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위통제는 이규은(2014)이 인유두종 바이러스 백신 접종 의도 영향요인을 연구한 도구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했다. 웰다잉 인식은 정유진(2022)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Win SPSS 28.0을 사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와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및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중년 성인의 연령 평균은 46.74±6.29세이었고, 130명(56.5%)이 여자였으며, 결혼 상태는 기혼 185명(80.4%)으로 가장 많았다. 종교는 없음이 121명(52.6%)으로 가장 많았고, 학력은 대졸 이상이 157명(68.3%)으로 가장 많았다. 직업은 있는 사람이 180명(78.3%)이었으며, 월 소득은 500만 원 이상이 88명(38.3%)으로 가장 많았다. 여가생활을 하는 사람이 170명(73.9%)이었으며, 본인이 건강하다고 응답한 사람이 138명(60.0%)으로 가장 많았다. 최근 3년 이내 주변인 사망을 경험한 사람이 133명(57.8%)으로 이었다.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해 알고 있다고 응답한 사람이 164명(71.3%)이었으며 사전연명의료의향서를 건강한 상태일 때 작성하겠다고 응답한 사람이 78명(33.9%)이었다. 2. 중년 성인에 대한 웰다잉 인식은 총 5점 만점에 3.82점 이었고,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에 대한 태도는 7점 만점에 5.30점이었으며,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에 대한 주관적 규범은 7점 만점에 4.80점이었다.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에 대한 지각된 행위통제는 7점 만점에 5.25점이었고,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 의도는 7점 만점에 5.18점이었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 의도는 나이(F=3.45, p=.033), 학력(F=7.27, p<.001), 직업(t=-2.16, p=.032),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인지(t=-4.62, p=<.001),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 시기(F=2.69, p=.047)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대상자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 의도는 신체적 웰다잉 인식(r=.29, p=<.001), 심리적 웰다잉 인식(r=.34, p=<.001), 사회적 웰다잉 인식(r=.34, p=<.001), 영적 웰다잉 인식(r=.26, p=<.001), 독립적 웰다잉 인식(r=.32, p=<.001), 자율적 웰다잉 인식(r=.41, p=<.001),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에 대한 태도(r=.67, p=<.001),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에 대한 주관적 규범(r=.44, p=<.001),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에 대한 지각된 행위통제(r=.57, p=<.001)와 모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5. 중년 성인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작성 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에 대한 태도(β=.43, p<.001),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에 대한 주관적 규범(β=.23, p<.001),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에 대한 지각된 행위통제(β=.16, p=.020), 적절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시기 중 건강한 상태일 때(β=.12, p=.021) 순으로 나타났으며 회귀식의 설명력은 52%였다. 본 연구는 계획된 행위이론을 적용하여 중년 성인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의도의 영향요인을 파악하는데 의의가 있다. 추후 다양한 연령대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의도를 파악함으로써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와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본 연구의 대상자가 40~65세를 대상으로 하여 연령별 인구 비율대로 조사하지 못하여 연구결과를 일반화 하는데 무리가 있었다. 추후 다양한 연령대를 대상으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를 제언한다.

      • 혈액투석 환자의 COVID-19 감염예방행위 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 계획된 행위이론의 적용

        함수인 가톨릭관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47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tudy to understand the Factors affecting on the intention of COVID-19 infection prevention behavior by applying the planned behavior theory to hemodialysis patient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209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 receiving hemodialysis at five hemodialysis hospitals located in two cities in Gangwon-do,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28, 2021 to January 15, 2022. The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SPSS 22.0 Windows was used to conduct the data analysis by using real numbers and percentage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t-test, ANOVA, Scheffé-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attitude of the study participants averaged 6.26±1.02 out of 7; subjective norms averaged 5.41±1.28 out of 7;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veraged 5.57±1.34 out of 7; level of fulfillment of dietary restriction 4.18±0.57 out of 5; knowledge averaged 11.99±2.46 out of 15; self-efficacy averaged 5.15±2.08 out of 7; and COVID-19 infection preventive behavior intention averaged 5.96±1.42 out of 7. 2. The attitudes of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p=.042), occupational status(p=.045), and hemodialysis period(p=.001);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education(p<.001), family monthly income(p=.043), and religion(p=.001); level of fulfillment of dietary restrictio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onthly income in the home(p=.013); Knowledg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p<.001), education(p=.005), and monthly income at home(p=.031). 3. The intention of COVID-19 infection preventive behavior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ttitude(r=.172, p=.013), subjective norms(r=.709, p<.001), perceived behavior control(r=.617, p<.001), level of fulfillment of dietary restriction(r=.224, p=.001), Knowledge(r=.301, p<.001), self-efficacy(r=.295, p<.001). 4.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factors affecting COVID-19 infection preventive behavior intention in patients with hemodi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actors affecting COVID-19 infection preventive behavior intention in patients with hemodialysis in Model I were level of fulfillment of dietary restriction(β=.202, p=.002), knowledge(β=.286, p<.001), with the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of 13.1% (F=15.557, p<.001); those factors affecting COVID-19 infection preventive behavior intention in patients with hemodialysis in Model Ⅱ were subjective norms(β=.513, p<.001), perceived behavioral control(β=.269, p<.001), with the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of 54.2% (F=50.207, p<.001); those factors affecting COVID-19 infection preventive behavior intention in patients with hemodialysis in Model Ⅲ were subjective norms(β=.489, p<.001), perceived behavioral control(β=.264, p<.001), with the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of 54.8% (F=43.017, p<.001). This study has in an implication, in that it first identifies factors affecting COVID-19 infection preventive behavior intention in patients with hemodialysis by apply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which is known to have high explanatory power. By apply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it may anticipate factors affecting COVID-19 infection preventive behavior intention in patients with hemodialysis and patient safety management by preventing and managing COVID-19 infection in hemodialysis patients in advance. Since this study was conducted on hemodialysis patients in some areas of Gangwon-do,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refore we expand the target cities and studies on factors affecting COVID-19 infection preventive behavior are suggested with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본 연구는 혈액투석 환자를 대상으로 계획된 행위이론을 적용하여 COVID-19 감염예방행위 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COVID-19 감염예방행위 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여 혈액투석 환자의 COVID-19 감염을 예방할 대처방안을 마련하여 효율적이고 안전한 환자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강원도 G시, S시에 소재한 혈액투석 병원 5곳에서 혈액투석을 받는 만성 신부전 환자 209명이며 2021년 12월 28일부터 2022년 1월 15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도구는 다음과 같다. Ajzen(1991)의 계획된 행위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의 하위요인인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위통제는 이규은(2014)이 인유두종 바이러스 백신 접종 의도 영향요인을 연구한 도구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했다. 제한식이 이행 정도는 혈액투석 환자의 자가간호 수행 정도를 반영하는 생리적 지표로서 혈중 인(P) 농도, 포타슘(K) 농도, 투석 간 체중증가량(Choi & Choe, 2007; Kara et al., 2007; Kim et al., 2017; Min & Lee, 2006; Saran et al., 2003, Yeun, 2012)을 척도화 시켜서 문항을 만들었다. COVID-19에 대한 지식은 Taghrir et al.(2020)이 개발한 도구를 이수진 외(2021)가 한국어로 번역, 역 번역을 한 도구를 사용했다. 자기효능감은 Gerend & Shepherd(2012)가 인유두종 바이러스 백신 접종에 대해 조사하기 위해 개발한 자기효능감 도구를 강은희(2019)가 한국어로 번역, 역 번역을 한 도구를 사용했다. COVID-19 감염예방행위 의도는 이규은(2014)이 인유두종 바이러스 백신 접종 의도 영향요인을 연구한 도구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했다. 자료 분석은 Win SPSS 22.0을 사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와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및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혈액투석 환자의 연령 평균은 59.97±12.83세이었고, 123명(58.9%)이 남자였으며, 결혼 상태는 기혼은 128명(61.2%)으로 가장 많았다. 학력은 고졸이 74명(35.4%)으로 가장 많았고, 가정 내 월수입은 100만 원 이하가 78명(37.3%)으로 가장 많았다. 직업은 없는 사람이 144명(68.9%)이었으며, 종교는 종교가 없음이 107명(51.2%)으로 가장 많았다. 동거 형태는 가족과 사는 사람이 133명(63.6%)으로 가장 많았고, 혈액 투석 기간은 평균이 72.36±70.84개월이었고, 본인의 건강 상태가 보통이라고 응답한 사람이 110명(52.6%)으로 가장 많았다. 2. 본 연구대상자의 태도는 7점 만점에 평균 6.26±1.02점으로 중간보다 높은 정도였고, 주관적 규범은 7점 만점에 평균 5.41±1.28점으로 중간보다 높은 정도였다. 지각된 행위통제는 7점 만점에 평균 5.57±1.34점으로 중간보다 높은 정도였고, 제한식이 이행 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 4.18±0.57점으로 중간보다 높은 정도였다. 지식은 15점 만점에 평균 11.99±2.46점으로 중간보다 높은 정도였고, 자기효능감은 7점 만점에 평균 5.15±2.08점으로 중간보다 높은 정도였으며, COVID-19 감염예방행위 의도는 7점 만점에 평균 5.96±1.42점으로 중간보다 높은 정도이다. 3. 본 연구대상자의 태도는 성별(t=-2.05, p=.042), 직업 유, 무(t=-2.04, p=.045), 혈액투석기간(F=6.90,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지각된 행위통제는 학력(F=7.68, p<.001), 가정 내 월수입(F=3.19, p=.043), 종교(F=.6.18,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제한식이 이행 정도는 가정 내 월수입(F=4.47, p=.013)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지식은 연령(F=6.75, p<.001), 학력(F=3.79, p=.005), 가정 내 월수입(F=3.54, p=.03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COVID-19 감염예방행위 의도는 태도(r=.172, p=.013), 주관적 규범(r=.709, p<.001), 지각된 행위통제(r=.617, p<.001), 제한식이 이행 정도(r=.224, p=.001), 지식(r=.301, p<.001), 자기효능감(r=.295,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5. 혈액투석 환자의 COVID-19 감염예방행위 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Model Ⅰ에서 혈액투석 환자의 COVID-19 감염예방행위 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제한식이 이행 정도, 지식을 변수로 넣은 결과, 제한식이 이행 정도(β=.202, p=.002), 지식(β=.286, p<.001)으로 나타났으며, 13.1%의 유의한 설명력을 보였다(F=15.557, p<.001). Model Ⅱ에서 혈액투석 환자의 COVID-19 감염예방행위 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계획된 행위이론의 변수인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위통제를 추가한 결과, 주관적 규범(β=.513, p<.001), 지각된 행위통제(β=.269, p<.001)로 나타났으며 54.2%의 유의한 설명력을 보였다(F=50.207, p<.001). Model Ⅲ에서 혈액투석 환자의 COVID-19 감염예방행위 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자기효능감을 변수로 추가한 결과, 주관적 규범(β=.489, p<.001), 지각된 행위통제(β=.264, p<.001)로 나타났으며 54.8%의 유의한 설명력을 보였다(F=43.017, p<.001). 본 연구는 행동을 예측하는데 설명력이 높은 계획된 행위이론을 적용하여 혈액투석 환자의 COVID-19 감염예방행위 의도 영향요인을 처음으로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계획된 행위이론을 적용하여 혈액투석 환자의 COVID-19 감염예방 행위를 파악함으로써 혈액투석 환자의 COVID-19 감염을 미리 예방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여 환자 안전관리 측면에 의미를 두었다. 본 연구 대상자는 강원도 G시, S시에서 혈액투석을 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어 대상 지역을 확대하여 반복 연구를 하고, 향후 복막투석을 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COVID-19 감염예방행위 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를 제언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