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회복지 종사자들의 특수 대학원 교육 만족도가 전문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연주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55

        This study has started from the recognition that the entering graduate school of the people who work in social welfare would signifies their expert development which would be accompanied by their identity being lifted to offer ultimately their subjects qualified social welfare service. Accordingly, the goal of this study lies in finding out what graduate school should practice to fulfill the users' need by grasping educational satisfaction of the social workers currently attending special graduate school and their demand level for graduate school curriculum and by confirming the factor affecting the identity of the specialized job & its level. 127 people attending social welfare related special graduate schools at Daegu, Gyeongbuk, Busanm Gyeongnam areas as the workers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were chosen to survey and analysis the influence of the identity of the profession and general traits such as sex, age, attended terms, and work environmental traits such as institutes' pattern, position, their grade as the social worker, whether they major in social welfare, motivation of entering graduate school, the level of demand for curriculum,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on the identity of the profession. Following are the results. First, the inquiry into the differences in their motivation for entering graduate school depending on general characteristics & occupational environment characteristic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ttended terms of graduate school and in subfactor of the motivation for graduate school entering showed their activity oriented motivation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graduate school attended terms, position, their grade as the social workers. Second, the inquiry into their educational satisfaction depending on general &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showed statistically insignificant differences in sex, age, graduate school's attended terms, institutes' pattern, post and grade as the social workers and whether they major in social welfare. Third, he inquiry into the identity of the profession depending on general &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s in only institutes' pattern. Fourth, the inquiry into their educational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motivation for entering graduate school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s in educational satisfaction from motivation for entering graduate school and especially, considerable differences existed in goal oriented motivation, the subfactor of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learning oriented motivation. Fifth, the inquiry into the identity of the profession goes with their educational satisfac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every subfactor of educational satisfaction such as the curriculum, network, school image areas Sixth, the practice of regression analysis in search for the major factors affecting the identity of the social workers and their relative influence showed the curriculum area among institutes' pattern, the subfactor of the motivation for entering graduate school such as activity oriented motivation, goal oriented motivation, learning oriented motivation, educational satisfaction appeared to be influential on the identity of the profession. Seventh, the inquiry into the level of demand of the workers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for the graduate school curriculum showed that they preferred twice a week less then 60 minutes per time as the class hour and form, and various ways of class such as professor's lecture + discussion based learning + seminar(students' presentation) and the number of students to be about 15. Besides, they felt that writing thesis is necessary in graduate school curriculum showing their preference for optional subjects to required subjects. Based on the study results above, the strategies, to improve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 identity of the profession of the workers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as the students attending special graduate schools, were prepared as below First, the role of the social welfare education of each course under the reality of the plenty of the overlap of subjects and their contents due to unclear curriculum for bachelor's, master's and doctor's course in special graduate school, should be modified into the way to clear that Second, the special graduate schools have to check out the demand of the social workers and analyze it to reflect it on the curriculum composition. The optional subjects preferred by the workers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should be focused instead of required subjects centered current curriculum in open of curriculum for the purpose of widening the subjects selection, along with open of optional subjects as required subjects for the social worker who need to obtain certificate to complete the subjects necessary for the acquisition of certificate. Third, the whole graduate school education should be improved through the ways such as special lecture etc to increase educational environment, lecture quality, student welfare and educational accomplishment, keep and develop the students' close mutual relationship practicing the education students really want as the way of fulfilling their educational satisfaction. 본 연구는 사회복지 종사자들의 대학원 진학 현상이 사회복지사의 전문능력개발을 의미하며 이것을 통해 사회복지사의 전문직 정체성이 높아져 궁극적으로는 대상자에게 수준 높은 사회복지 서비스 제공할 것이라는 인식에서 시작되었다. 따라서 현재 특수 대학원에 재학하고 있는 사회복지 종사자들의 교육만족도를 알아보고 대학원 교육과정 요구도 및 전문직 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그 영향의 정도를 확인하여 대학원 교육이 수요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대학원 교육의 현실화를 위한 실천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대구․경북, 부산․경남 지역에 위치한 사회복지관련 특수대학원에 재학하고 있는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127명을 대상으로 전문직 정체성과 일반적인 특성인 성별, 연령, 대학원 재학학기, 직무환경 특성인 기관유형, 직위, 사회복지자격증 급수, 학부사회복지 전공유무, 대학원 진학동기, 교육과정 요구도, 교육만족도가 전문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 및 직무 환경적 특성에 따른 대학원 진학동기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대학원 재학학기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원 진학동기의 하위요인으로는 활동지향형 동기와 대학원 재학학기, 직위, 사회복지자격증 급수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적 특성 및 직무 환경적 특성에 따른 교육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성별, 연령, 대학원 재학학기, 기관유형, 직위, 사회복지자격증 급수, 학부사회복지 전공유무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반적 특성 및 직무 환경적 특성에 따른 전문직 정체성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기관유형만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원 진학동기에 따른 교육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교육만족도와 대학원 진학동기와는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특히 교육만족도의 하위요인인 목적지향형 동기와 학습지향형 동기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교육만족도에 따른 전문직 정체성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만족도의 하위요인인 교과과정 영역, 네트워크 영역, 학교이미지 영역의 모든 하위요인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전문직 정체성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과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기관유형, 대학원 진학동기의 하위요인인 활동지향형 동기, 목적지향형 동기, 학습지향형 동기, 교육만족도 중 교육과정 영역이 전문직 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들의 대학원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도를 알아본 결과 주 2회 60분이하의 수업시간과 형태를 선호하였으며 교수강의+토론식학습+세미나(학생발표)와 같은 다양한 방법의 수업형태와 15명 내외의 수강인원에 대한 요구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논문 작성이 대학원 교육과정에서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과목 선호도에서는 필수 과목 보다는 선택과목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특수 대학원에 재학 중인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들의 교육만족도 및 전문직 정체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천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특수 대학원에서의 명확하지 않은 학사, 석사, 박사과정의 교육과정으로 인해 교과과목이나 교과내용이 많이 중복되고 있는 현실에서 각 과정의 사회복지 교육의 역할분담이 적절하고 명확하게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둘째, 특수 대학원은 사회복지 전공 교육과정의 구성을 위해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요구를 확인하고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교육과정 구성에 반영하여야 한다. 필수과목 중심으로 짜여진 현재의 커리큘럼을 사회복지시설종사자들의 선호도가 높은 선택과목을 중심으로 커리큘럼을 개설하여 교과목 선택의 폭을 넓이고 사회복지사자격증 취득이 필요한 종사자들에게는 필수과목을 선택과목으로 개설하여 자격증 취득에 필요한 교과목을 이수할 수 있도록 커리큘럼을 제공하여야 한다. 셋째, 교육환경의 개선과 강의 질 향상, 학생복지 증진, 교육성과를 높이기 위한 특강 등 전반적인 대학원 교육을 개선해 나가며 학생들과의 상호 긴밀한 관계를 유지 발전시켜 학생들이 실제로 원하는 교육을 실천하여 교육만족도를 충족시킬 수 있어야 할 것이다.

      • 이공계 대학원생의 그릿(Grit)이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와 조직동료의식의 매개효과

        차유정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대부분 전일제로 학업을 수행하는 이공계 대학원생은 다른 대학원생보다 더 높은 학업스트레스를 호소한다. 아울러 이공계 대학원생은 연구실에서 동료들과 함께 연구 과제를 수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이들이 겪는 스트레스에는 사회적 지지와 동료의식 등이 크게 영향을 미친다. 학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개인의 인내와 열정을 의미하는 그릿(Grit)과 타인과의 관계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긍정적 자원인 사회적 지지에 대한 선행 연구 결과가 있었기에, 본 연구는 이공계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그릿이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와 조직동료의식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전국 대학원 재학생 206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절차는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Pearson의 상관분석, 매개효과 검증을 위한 Baron & Kenny(1986)의 위계적 회귀분석, Macro Process의 Bootstrapping을 실시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그릿, 학업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조직동료의식은 상호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그릿이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적 지지가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그릿이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조직동료의식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이공계 대학원생들의 그릿 수준이 학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며, 이때 사회적 지지와 조직동료의식이 유의한 부분 매개요인으로 작용함을 확인해 주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추후 연구를 위한 제안점을 제시하였다. 주요어: 이공계 대학원생, 그릿(Grit), 학업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조직동료의식 Most science and engineering graduate students, who study full-time, complain of higher academic stress than other graduate students. In addition, as most graduate students in science and engineering perform research tasks with their colleagues in the laboratory, social support and companionship greatly affect the stress they experience. Grit, which means individual patience and passion, and social support, a positive resource that can be obtained through relationships with others, were previously studied as factors that affect academic stress. In this study, I checked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organizational companionship on the effects of grit on academic stress. Data from 206 graduate students were collected nationwide through an online survey and analyzed. The main analysis procedures were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Baron & Kenny (1986)'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Macro Process's Bootstrapping.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grit, academic stress, social support, and organizational companionship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social support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 of grit on academic stres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organizational companionship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 of grit on academic stress. These results confirmed that the grit level of science and engineering graduate students affects academic stress, and at this time, social support and organizational companionship act as significant partial mediating factors.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Key words: A graduate student in science and engineering, Grit, Academic stress, Social support, Organizational companionship

      • 재직자의 대학·대학원 경험이 직업전환에 주는 의미

        이경자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examined the meaning of employees’ university·graduate school experiences for job conversion. For it, data was collected and analyzed by in-depth interview for 7 employees with university·graduate school experience from Jun. to Dec. 2018. As a result, 3 great ranges and 8 sub-factors of the meaning of employees’ university·graduate school experience for job conversion. were drawn. First is the change of value changing new view and recognition. Second is confidence improvement, motivation, and psychological change recovering interests and aptitudes. Third is changes of actual life that obtain pleasure of leaning, formation of personal network, and family supports. From the above results, employees’ university·graduate school experience may let them challenge new works with confidence and be analyzed as appearance of identity finding the work suitable for their aptitude and living a subjective life. 본 연구는 재직자의 대학·대학원 경험이 직업전환에 주는 의미가 무엇인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대학·대학원 경험이 있는 재직자 7명을 대상으로 2018년 6월부터 12월까지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재직자의 대학·대학원 경험이 직업전환에 주는 의미는 크게 3개의 범주와 8개의 하위요소가 도출되었다. 첫째, 새로운 시각과 인식이 바뀌는 가치관의 변화이다. 둘째, 자신감 향상과 동기부여, 그리고 흥미와 적성을 되찾는 심리적 변화이다. 셋째, 배움의 즐거움과 인적네트워크 형성, 그리고 가족의 지지를 얻는 실생활의 변화이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보면, 재직자들의 대학·대학원 경험은 자신감을 얻어 새로운 일을 도전하게 하고, 적성에 맞는 일을 되찾아 삶을 주체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정체성의 발현이라 해석할 수 있다.

      • 전문상담교사양성과정에재학중인상담전공교육대학원생의 첫상담실습참여경험에관한합의적질적연구

        윤선주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전문상담교사 양성과정에 재학 중인 상담 전공 대학원생의 첫 상 담 실습 참여 경험에 관한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문상담 교사 양성과정 커리큘럼 중 상담 실습 및 사례연구 강좌를 수강하면서 상담 실습에 참여한 연구참여자 25명의 경험 보고서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큰 표본을 통해 모집단을 더 완벽하게 묘사하며 개별 사례의 특별함을 탐색할 수 있는 연구 방법으로서 수정된 합의적 질적 연구(CQR-M)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상담 전공 교육대학원생의 첫 상담 실습 경험은 25명의 경험 내 용으로부터 4개 영역과 25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각 경험에서 나타난 구체 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자로서 기대감과 부담을 동시에 가짐’ 영역에서 연구참여자들은 첫 실습에 대한 설렘과 기대감을 보였지만 자신의 부족한 상담역량을 인식하 고 실습에 부담감을 느낀 경험이 주요 범주로 도출되었다. 참여자들은 이러한 부담을 덜어내고자 스스로 다양한 방법으로 전문성을 강화하고자 노력하는 모 습을 보여주었다. 둘째, ‘상담 수행과정에서 상담자로서 전문성의 한계를 절감함’ 영역에서는 상담 실습 중 연구참여자들이 겪은 어려움이 주요 범주로 도출되었다. 참여자 들이 상담 실습 중 경험한 다양한 어려움은 부족한 상담역량으로 내담자 선정 부터 막막하게 느껴짐, 전문성의 한계로 상담 방향을 확신하지 못한 채 성급 하게 문제를 해결하려는 자신을 발견함, 주 호소 문제를 정확히 파악하지 못 해 상담 중 예상치 못한 문제를 발견하여 당황함 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담자로서 성장과 변화를 경험함’ 영역에서는 이전까지 학교 장면에 서 피상적인 일회성 상담을 해왔던 연구참여자들이 여러 회기의 과정으로서 상담을 진행하면서 상담에 자신감을 느끼고 상담자로서 자부심을 얻게 된 경 험들이 주요 범주로 도출되었다. 연구참여자들은 실습 경험을 통해 공감과 지 지로 내담자의 깊은 내면을 끌어낼 수 있음을 배우고, 전문성을 높여 내담자 를 돕고자 하는 초심을 떠올리며 부족한 역량을 보완하고자 노력한 것으로 나 타났다. 또한 이 영역에서는 상담자로서 내담자를 조력하여 상담 목표를 달성 해 보람을 느끼고, 실제 상담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연구참여자들 스스로 자 부심과 자신감을 갖게 된 경험 등이 드러났다. 넷째, ‘실습제도 및 교육과정 개선의 필요성 절감’ 영역에서는 연구참여자들 이 실습과정에서 경험한 어려움을 토대로 개선되기를 바라는 점이 주요 범주 로 도출되었다. 주요 내용으로는 실습에 직접 도움이 되는 과목 편성 필요, 실 습 내용을 충분히 연구하고 나눌 수 있는 사례연구 시간이 확보되어야 함, 졸 업 전 상담 실습이 한 번 뿐이라는 두려움과 아쉬움, 실습 중 상담자의 불안 을 낮추어 줄 슈퍼바이저의 지지와 적극적인 피드백이 필요함, 학교상담 매뉴 얼의 필요성 절감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첫째, 전문상담교사 양성과정에서 상담 전공 교육대학원생의 첫 상담 실습 경험을 자세히 분석하여 실습 전, 중, 후에 초심상담자가 겪는 다양한 경험을 파악하였다. 지금까지의 연구들이 전문상담사 양성과 관련되어 초심상담자가 겪는 어려움에 주목하였다면, 본 연구는 기존의 교사들이 전문상담교사가 되 기 위해 노력하는 양성과정에서 경험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참여자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전문상담교사 양성과정에서 상담 실습이 갖는 의미와 한계를 분석한 후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본 연구 는 전문상담교사 양성과정에서 ‘상담 실습 및 사례연구’에 처음 참여하는 교육 대학원생들의 경험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는 자료를 제공하였으며, 상담 전공 에서 상담 실습 및 사례연구 강의의 의의과 가치를 확인하고 전문상담교사 양 성과정과 관련 해당 과목을 내실 있게 운영하기 위해 과목의 수정 및 보완과 관련한 시사점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가진다. 주요어 : 전문상담교사, 상담, 교육대학원, 수정된 합의적 질적 연구(CQR-M), 상담 실습

      • 고령화 사회의 노인들을 위한 가톨릭교회의 사목적 방안 연구 : 대구대교구를 중심으로

        권호섭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23

        As medicine develops and sense of hygiene improves, the life expectancy has been longer and the 'aging society' has come. As we never experienced the aging society, there are concerns about the problem that could be caused by the aging society. The main cause of the concern is related to finance. We tend to see the aging society regards to finance; the decrease of labor population and the increase of cost to support seniors. Seniors are treated as an obstacle in the modern IT society where individual competence and new knowledge are valued. Society devalued seniors as the main cause of various social problems and even describes the aging society as 'a national timing bomb' or 'the shadow of disaster'. As a result, seniors are getting isolated and suffer various difficulty. On the contrary, church regards seniors as the blessed creature of God, symbol of wisdom and people to be respected. So, a church accepts aging as a blessing and a big project. Following this, Daegu Archdiocese carries out various pastoral projects for seniors. However, pastoral projects for seniors are far less paid attention comparing with the pastoral projects for the youth. Daegu Archdiocese should make an effort to develop the pastoral projects for seniors. Such effort would be helpful to make a social trend which accepts old age as a blessing and mission, and play a big role to recover the dignity of the seniors. This thesis gives priority to reconfirm the meaning of the old age and its value following the lesson of the catholic church, and seek the ways to recover the dignity of the senior. In addition, this thesis plans to grasp the state of the aging society and the pastoral projects for seniors by Daegu Archdiocese, and suggest substantial guideline to improve and develop the projects. This is the purpose of this thesis. A similar study had been done at the graduate school in Catholic University in 2009. It is the thesis by Chan Young Choi for his graduate degree; The role of the catholic church to activate the pastoral projects for seniors in the aging society - mainly by Archdiocese of Seoul and Uijeongbu. However, the thesis is about the activity in Seoul and Uijeongbu, and a study about the activity in Daegu Archdiocese needs to be done. Therefore, in chapter I this thesis overviews the aging society and the life of the seniors in general. In chapter II this thesis trie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old age and its value through bible, documents kept in the church and the catholic church, and confirm the lesson of the catholic church regards to seniors. In chapter III this thesis analyzes the state of the aging society in Daegu Archdiocese and in the ares under its jurisdiction, and examines the state of the pastoral projects for seniors and problems. Finally in chapter IV this thesis finds the purpose of the pastoral projects for seniors to set a correct direction and the goal of the pastoral projects for seniors following the guideline of the projects. This thesis also suggests the ways to improve and activate the pastoral projects for seniors based on Daegu Archdiocese and its parish church.

      • 몽골 유학생의 자기 결정적 유학 동기와 교우관계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

        바이가리 대구대학교 일반대학원 심리학과 2021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몽골 외국인 유학생이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이들의 대학생활 부적응 문제가 이슈가 되고 있는 상황에서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유학 결정 동기와 교우관계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 대학에 재학 중인 몽골 유학생 24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유학 결정에 대한 자율적 동기를 가진 몽골 유학생은 유학 결정에 대한 통제된 동기를 가진 몽골 유학생들보다 학업 적응 또는 대학 만족도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차이를 보였다. 주로 교류한 친구의 국가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 차이를 살펴본 결과, 자국인 몽골 유학생들과 주로 교류하는 몽골 유학생들보다 한국 학생들과 주로 교류하는 몽골 유학생은 학업 적응과 대학 만족도 수준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속마음을 터놓을 수 있는 한국 친구가 많은 몽골 유학생은 자국인 몽골 친구와 다른 국가 외국인 친구가 많은 몽골 유학생보다 대학생활 적응의 유의한 높은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the adaptation of university life in the increasing number of Mongolian foreign student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otivation and friendship of their decision to study abroad.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241 Mongolian students attending Korean universities. As a result, Mongolian students with autonomous motivation for their decision to study abroa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ademic adaptation or university satisfaction than Mongolian students with university-controlled motivation. Looking at the differences in university life adaptation depending on the countries of friends who mainly interacted, Mongolian students who interacted with Korean students were found to have a higher level of academic adaptation or university satisfaction than Mongolian students. Mongolian students who have a lot of Korean friends who can open up their minds show a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adaptation to college life than Mongolian students who have a lot of foreign friends from the same country and other countries.

      • 성인대학생의 성인지 감수성이 심리사회적 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 대인관계의 매개효과

        김설형 대구한의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성인대학생의 성인지 감수성이 심리사회적 성숙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영향에서 대인관계가 어떠한 매개효과를 발휘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성인대학생의 심리사회적 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으로 성인지 감수성을 원인 변수로 설정하였으며, 이러한 변수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대인관계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대구광역시 및 경상북도에 위치한 4개 대학에서 학습 중인 총 671명의 성인대학생 대상으로 조사 및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주요 변수인 성인지 감수성, 대인관계, 심리사회적 성숙도 수준을 5점을 만점으로 하여 조사한 결과, 성인지 감수성은 M=3.24점, 대인관계는 M=3.57점, 심리사회적 성숙도는 M=3.39점으로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 보통 이상의 수준이었다. 둘째, 성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에서 성인지 감수성에는 여성, 연령은 40∼50세 미만, 가족의 월 소득이 200만 원 미만, 거주지역은 대도시, 거주 형태에 따라서는 부부가 거주하는 대상자들이 가장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대인관계에서는 남자, 연령은 40∼50세 미만, 결혼상태는 기혼자, 거주지역은 대도시지역일수록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심리사회적 성숙도에서는 성별이 여자, 연령은 40∼50세 미만, 거주지역은 대도시, 직업은 전문직에서 가장 높은수준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인대학생의 성인지 감수성은 심리사회적 성숙도와 대인관계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성인지 감수성과 심리사회적 성숙도 관계에서 대인관계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대인관계를 매개로 하여 심리사회적 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성인대학생이 사회적 상호이해 관계 속에서 균형 있는 발전을 촉진하며, 사회적 존재로서 필요한 조건을 충족시키며 인간으로서의 심리사회적 성숙도를 함양하기 위해서는 학업 과정이나 사회활동에서 성별에 따른 차별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노력은 성인대학생들이 더욱 성숙하고 포용적인 사회구조 안에서 더 나은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dult College Students' Gender Sensitivity on Psychosocial Maturity and what mediating effect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demonstrate in these effects. To this end, Gender Sensitivity was set as the cause variable as a factor influencing Adult College Students' Psychosocial Maturity, and the relationship etween these variables was confirmed and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as empirically analyzed. The tudy involved a total of 671 adult college students from four universities located in Daegu Metropolitan City and yeongsangbuk-do, an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ain variables of this study, namely Gender Sensitiv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Psychosocial Maturity levels, were surveyed on a 5-point scale. The results indicated that Gender Sensitivity scored M=3.24,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cored M=3.57, and sychosocial Maturity scored M=3.39. Overall, the levels were generally above average. Second, differences based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Adult College Students revealed that, concerning Gender Sensitivity, females, those aged under 40-50, families with a monthly income below 2 million won, residents in metropolitan areas, and individuals living as couples exhibited the highest levels. In term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males, those aged under 40-50, married individuals, and those residing in etropolitan areas showed higher levels. For Psychosocial Maturity, females, those aged under 40-50, residents in etropolitan areas, and individuals in professional occupations demonstrated the highest levels. Third, it was found that Adult College Students' Gender Sensitivity had a positive (+) effect on Psychosocial Matur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Sensitivity and Psychosocial Maturity, it was found tha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mediate the impact on Psychosocial Maturity. According to the above research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it is important to prevent gender discrimination in cademic and social activities in order to promote balanced development in social mutual understanding, meet the necessary conditions as social beings, and foster Psychosocial Maturity as humans. These efforts are expected to help Adult College Students live better lives within a more mature and inclusive social structure.

      • 교수자 커뮤니케이션과 교수자 재선택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 성인대학생을 중심으로

        우정미 대구한의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성인대학생을 대상으로 교수자의 커뮤니케이션과 교수자 재선택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에 위치한 2∼3년제 대학교와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성인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최종 498부의 설문지를 SPSS 22.0과 AMOS 22.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대학생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교수자의 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교수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교수자 재선택, 학습몰입의 수준 차이를 확인하였다. 교수자의 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의 하위요소인 전문성 및 전달성은 대학 유형, 연령대, 직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신뢰성은 대학 유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공감 및 친근감은 대학 유형과 학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의 하위요소인 외모 및 주변 환경은 대학 유형과 학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표현성은 대학 유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교수자 재선택은 대학 유형과 결혼 여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학습몰입은 대학 유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수자의 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교수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은 성인대학생이 교수자 재선택의 경로에서 총 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교수자 재선택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수자의 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교수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은 학습몰입의 매개로 성인대학생이 교수자 재선택에 이르는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성인대학생을 대상으로 수업하는 교수자가 성인대학생의 특성을 고려하여 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을 활용한다면 성인대학생의 수업만족도와 함께 학습몰입을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commitment to learn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structor communication and reselection of the same instructor among college students in lifelong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e investigator conducted a survey with college students in lifelong education attending a two or three year college or a university in Daegu Metropolitan City and Gyeongsangbuk Province and analyzed a final total of 498 questionnaires with the SPSS 22.0 and AMOS 22.0 statistical program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instructors'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reselection of the same instructor, and the level of commitment to learning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in lifelong education. Professionalism and delivery, subelements of instructors' verbal communica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type of college, age group, and occupation. Reliability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type of college, and sympathy and intimacy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type of college and the grade. Under instructors' non-verbal communication, appearances and surrounding environments had significant impacts on the type of college and the grade. Expressivenes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type of college. Reselection of the same instructor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type of college and marital status. Commitment to learning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type of college. Secondly, instructors'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had total significant effects on the path of reselection of the same instructor by college students in lifelong education, but it had no direct significant effects on reselection of the same instructor. Instructors'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had indirect effects on reselection of the same instructor by college students in lifelong education via commitment to learning. These findings imply that if instructors make use of their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in lessons for college students in lifelong education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it will be able to increase their commitment to learning as well as satisfaction with lessons.

      • 지방의회와 주민 간의 소통 프로세스가 의정활동에 미친 영향분석 : 대구대학교 행정대학원

        서정해 대구대학교 행정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지방의회와 주민 간의 소통지표, 소통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를 지방의회에 적용하여 소통 활성화 방안을 제시한 것이다. 소통프로세스는 소통태도, 소통기반, 소통노력, 소통성과로 구분하여 지표를 개발하였다. 연구대상은 대구·경북지역의 기초의회이고,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소통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통태도, 소통기반은 일정부분 반영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주민소통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고 지방의회 내에서도 지역주민들과 활발하게 소통하여야 한다는 필요성을 강하게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방의원 및 공무원은 소통활동을 활발히 한다고 보았지만, 실제 일반주민들은 그렇게 인식하지 않아 불일치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지방의원 및 공무원의 평가는 높은데 반해 일반주민의 평가는 낮았다. 둘째, 소통프로세스가 적극적일수록 의정활동효과 및 소통서비스 질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소통서비스 질의 향상으로 의회소통과 만족도는 높아진다고 인식하고 있다. 소통태도, 기반, 노력, 성과로 의정활동이 개선되고, 서비스 질이 높아질수록 의회만족도는 향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의정활동효과에 가장 영향력이 큰 요인은 소통노력이다. 따라서 의정정보공개, 언론홍보활동, 주민제안수렴, 주민자문활용, 홈피/SNS응대, 자원봉사참여, 의정협력활동, 의정활성화 등의 노력이 중요하다. 의정서비스 질에는 소통태도가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정서비스 질 개선을 위해서는 소통에 대한 마음가짐, 의정협력과 주민배려 등이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다. 넷째, 의회역량만족도에는 소통기반과 소통노력이 중요한 요인이다. 소통을 위한 주민응대시설, 공공소통공간, 주민공간확보 등은 의회계정활용 등의 기반이 확실히 갖추어지고 소통성과를 발휘하는 의회역량만족도는 제고될 수 있다. 다섯째, 소통태도, 소통기반은 의정활동효과와 의정서비스 질, 의회역량만족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소통노력은 의회역량만족도에 부(-)의 영향을 미쳤다. 의정활동효과는 의회역량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의정서비스 질은 의회역량만족도에 중요한 영향관계임이 입증되었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소통은 의정효과와 서비스 질을 증진시키며 의회역량 만족도를 상당부분 증가시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여섯째, 소통노력, 성과요인은 의정활동효과를 매개로 의회역량만족도에 중요한 영향 관계에 있지만, 소통태도, 소통기반은 그렇지 않았다. 소통관련 요인은 의정서비스 질을 매개로 의회역량만족도에 중요한 영향관계에 있지만 소통태도는 그렇지 않았다. 지방의회와 주민 간의 소통실태 및 분석을 근거하여 소통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소통 활성화 방안은 소통정책, 주민참여, 시스템 구축, 소통방식, 소통프로세스 관리 차원에서 논의하고자 한다. 첫째, 지방의회의 정책소통을 강화해야 한다. 이를 위해 지방의원의 전문성 확보, 전문위원회 활용, 공식적 대인 커뮤니케이션과 상호공감대 형성이 중요하다. 또한 주민과의 불평, 갈등요인을 원만하게 해소하는 비공식적 대인 커뮤니케이션 기회를 늘이는 노력이 요구된다. 둘째, 주민참여를 통한 소통강화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주민, 지역 NGO 등은 신뢰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사회자본을 축척하고 강화 할 것이 요구되며 주민평가제 도입이 필요하다. 또한, 주민과 직접적인 접촉을 통하여 주민들의 평가의견을 간접적으로 반영시킬 수 있는 제도의 도입이 시급하다. 셋째, 주민소통시스템 구축과 소통개선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소통협의회의 제도화, 의회 내의 소통인력, 예산, 전문성 확보, 미디어 환경변화에 필요한 소통지식과 역량구비가 필요하다. 그리고 미디어 환경에 적응하여 트위터, 페이스북 등 소셜네트워크 기술환경을 홍보에 활용하여야 한다. 넷째, 소셜미디어 소통방식의 적극 활용이다. 이를 위하여 주민상담실 설치, 소통의 진정성과 자율성이 요구된다. 주민과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 신세대 특성을 고려한 소통방식을 모색한다. 요구되는 소셜미디어 유형으로는 SNS, 인트라넷, 블로그, 트위터, 페이스북, 소통어플 등을 선택하여 활용해야 한다. 다섯째, 소통프로세스관리 및 성과노력이다. 소통체험활동, 민원소통의 강화, 온라인 및 오프라인 토론회 활성화, 주민소통위원회 설치하여 운영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의원들의 소통활동을 점검 및 지원, 성과를 평가하고 대응하는 소통채널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 결과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열린 의정을 지향하는 지방의회는 주민과의 소통 수단의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둘째, 지방의회의 실무적 관점에서 현실성과 적용 가능성이 있는 소통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셋째, 의정활동 및 의정서비스 수준을 제고하고, 의정역량 및 만족도를 높이는 지속적인 소통개선을 추진해야 한다. 본 연구는 지방의회와 주민 간의 소통실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고자 하였으나 자료수집 및 조사지역, 연구 방법의 한계를 지닌다. 향후 지방의회의 소통실태를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지방의회를 확대하여 주민 소통 파악, 현장 중심의 소통방안을 제시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This study establishes communication indicators and communication systems between local councils and residents, and proposes a way how to activate communication by applying them to local councils. The communication process was classified into communication attitude, communication basis, communication effort, and communication performance achievement and indicators for it had been developed.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the Daegu and Gyeongbuk Regional Basic Council, and a communication perception survey was conducted for local residents. The result of analysis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was turned out to be that communication attitude and communication base are partially reflected. This is because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with residents is emerging, and there as well is a strong recognition of the need rising within the local council to actively communicate with local residents. Local legislators and public officials saw that local residents were actively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but the general residents did not recognize it as such, so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n inconsistency. The evaluation of local senator and public officials was high, but the evaluation of the general residents was low. Second, it was found out that the more active the communication process was, the better the effect of law enforcement activities and the quality of communication service. In addition, it is recognized that communication with the council and satisfaction will increase because of the improvement of the communication service quality. It was found that the legislative activity was improved by the attitude of communication, foundation, effort, and performance, and that the satisfaction of the council improved as the service quality increased. Third, the factor that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effect of legislative activity is the effort of communication.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make efforts to disclose parliamentary information, promote the media, collect proposals from residents, utilize residents' advices, serve homepage/SNS, participate in volunteer activities, cooperate with the agenda, and vitalize the agenda. It was found that the attitude of communication is the most important for quality of parliamentary service. The attitude of mind toward communication, parliamentary cooperation, and consideration for residents were found to be important factors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parliamentary services. Fourth, communication base and communication effort are important factors in satisfaction level of parliamentary capability. The facilities of residents' response for communication, public communication spaces, and securing residents' spaces can be firmly established and the satisfaction level of parliamentary capability to demonstrate communication performance can be raised. Fifth, the attitude and base of communication crucially affect to the effect of legislative activities, quality of legislative service, and satisfaction of parliamentary capability. However, the effort to communicate negatively affected to the satisfaction of council capability. The effect of parliamentary activities does not affect council capability satisfaction, but the quality of parliamentary service has proven to be an important influence on parliamentary capacity satisfaction. Thus, on the whole, communications improve the effects parliamentary acitivities and the qualities of service, as well as considerable amounts of parts of parliamentary capability satisfaction level. Sixth, the communication efforts and achievement factors were in crucial relationship with council competence satisfaction in the medium of legislative action effect, but the communication attitude and the communication base were not. Factors related to communications were in important relationship with council competence satisfaction in the medium of the legislative service quality, but the communication attitude was not. This study suggests multiple possible ways to activate communications based on actual communication situations between local councils and local residents. Communication activation solutions are discussed in terms of communication policy, resident participation, system establishment, communication methods, and communication process management. First, we must strengthen policy communication in local councils. To this end, It is important to secure expertise of local councilors, utilize expert committees, and form official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nd mutual sympathy. Also, efforts are required to increase informal communication opportunities that smoothly resolve complaints and conflict factors with residents. Second,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communication through resident participation. To this end, residents, local NGOs, etc. are required to accumulate and strengthen social capital closely related to trust, and the introduction of a resident evaluation system is necessary. It is also urgent to introduce a system that can indirectly reflect residents' evaluation opinions through direct contact with residents. Third, measures to establish a community communication system and improve communication are needed. To this end, communication knowledge and capabilities are needed to build an instituitionalization of the communication council, communication personnel in council, budget, securing expertise, and change of the media environment are needed. In addition, he or she should adapt to the media environment and utilize the social network technology environment such as Twitter and Facebook for public promotions. Fourth, it is an active use of social media communication methods. For this, the establishment of a resident counseling center, sincerity and autonomy of communication are required. In order to communicate smoothly with residents, it is important to seek communication methods that consider characteristics of new generations. Among the types of social media required, SNS, intranet, blogs, Twitter, Facebook, and mobile communication apps should be selected and utilized. Fifth, it is a communication process management and performance effort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operate communication experience activities, and strengthen civil service communication, and online and offline discussions, and establish and operate a community communication committee. It is also necessary to establish a communication channel to check, support, evaluate and respond to lawmakers' communication activities. Policy implications for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local council aiming for an open council shall actively respond to changes in means of communication with residents.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ommunication system that is realistic and applicable from the practical perspective of the local council. Third, continuous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shall be promoted to enhance the level of parliamentary activities and parliamentary services, and to increase the parliamentary capacity and satisfaction. This study aims to accurately grasp the communication status between local councils and residents, but has limitations on data collection, survey area, and research method. Efforts should be made to objectively analyze the communication status of local councils in the future, expand local councils to identify residents' communication and present on-site-oriented communication meas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