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한 온라인 리뷰의 레스토랑 유형별 속성에 관한 연구

        차유정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hospitality industry, including the restaurant industry, is enhancing its competitiveness by using the core technology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s consumers' service experiences can be written in real time, related review data is continuously accumulating. In particular, in the restaurant industry, due to the intangibility, which is a characteristic of services, consumers refer to online reviews are essential. In other words, consumers can minimize risks and uncertainties in the consumption process through online reviews, and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reviews is used to select and evaluate restaurants. At this time, the restaurant attributes serve as a criterion for comparing restaurants and making purchase decisions in the purchase decision process, and at the same time affect customer satisfaction. In particular, there is a difference in restaurant attributes because consumers' needs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restaura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classify restaurants into quick service, casual dining, and fine dining types to identify differences in customer restaurant attributes and analyze what attributes are important for each type of restaurant. TripAdvisor reviews were collected using Python for the United States, which has the largest restaurant industry. Based on the collected review data, word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by deriving the simple frequency and TF-IDF values of words for each restaurant type using a text mining technique. In addition, through LDA analysis, a topic modeling method, the contents of reviews by restaurant type can be classified into which topics, and the differences in topics by restaurant type were compared. First, the difference in words mentioned by restaurant type was confirmed through word frequency analysis. In the case of quick service restaurants, keywords related to food, price, service speed, and location frequently appeared. In the case of casual dining restaurants, the words about the employees providing service and the atmosphere appeared at the top, and in the case of the fine dining restaurant, the words expressing the service, atmosphere, and purpose of visit frequently appeared. Second, through topic modeling LDA analysis, all three restaurant types were classified into four topics. Overall, food and service attributes are essential, indicating that they are the most important attributes to consider in the process of selecting and evaluating restaurants regardless of type. In addition, it shows that the more complex the type of restaurant that requires services, the more complex the restaurant attributes are considered. Through this study, the difference in restaurant attributes was confirmed by understanding the needs of customers according to the restaurant type, and it provided useful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management and marketing strategies according to the restaurant type. 외식산업을 비롯한 Hospitality산업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을 이용하여 경쟁력을 제고하고 있다. 소비자의 서비스 경험을 실시간으로 작성할 수 있게 되면서 이와 관련된 리뷰 데이터가 지속적으로 축적되고 있다. 특히, 레스토랑 산업은 무형성이라는 서비스의 특성으로 인해 소비자는 간접적인 경험을 제공하는 온라인 리뷰를 필수적으로 참고하게 된다. 즉, 소비자는 온라인 리뷰를 통해 소비 과정에서의 위험과 불확실성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었고, 리뷰를 통해 얻어지는 정보를 레스토랑을 선택하고 평가하는 데 활용하고 있다. 이때, 레스토랑 속성은 구매의사결정과정에서 레스토랑을 비교하고 구매를 결정하는 데 기준이 되고, 동시에 고객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레스토랑의 유형에 따라 소비자의 니즈가 달라지기 때문에 레스토랑 속성에도 차이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레스토랑을 퀵서비스, 캐주얼다이닝, 파인다이닝 유형으로 구분하여 고객의 레스토랑 속성의 차이를 확인하고, 각 유형의 레스토랑마다 중요하게 여기는 속성이 무엇인지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레스토랑 산업의 규모가 가장 큰 미국을 대상으로 파이썬을 활용하여 트립어드바이저의 리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리뷰 데이터를 기반으로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이용하여 레스토랑 유형별 단어의 단순빈도와 TF-IDF 값을 도출하여 단어 빈도분석을 시행하였다. 또한, 토픽모델링 방법인 LDA분석을 통해 레스토랑 유형별 리뷰의 내용이 어떠한 토픽으로 구분될 수 있는지 확인하고, 레스토랑 유형별 토픽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첫째, 단어 빈도분석을 통해 레스토랑 유형별 언급되는 단어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퀵서비스 레스토랑의 경우 주로 음식과 가격, 서비스 속도, 위치에 관련한 키워드가 자주 등장했다. 캐주얼다이닝 레스토랑의 경우 서비스를 제공하는 종업원과 분위기에 대한 단어가 상위에 나타났고, 파인다이닝 레스토랑의 경우 주로 서비스와 분위기, 방문 목적을 나타내는 단어가 자주 나타났다. 둘째, 토픽모델링 LDA 분석을 통해 세 가지 레스토랑 유형 모두 4개의 토픽으로 분류하였다. 전반적으로 음식과 서비스 속성은 필수적으로 포함되어 유형에 상관없이 레스토랑을 선택하고 평가하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속성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서비스가 더욱 요구되는 레스토랑의 유형일수록 레스토랑 속성이 더욱 복합적으로 고려된다는 점을 보여준다. 본 연구를 통해 레스토랑 유형에 따른 고객의 니즈를 이해함으로써 레스토랑 속성의 차이를 확인하였고, 레스토랑 유형에 따른 경영 및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데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 동남아시아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사회 정착 체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차유정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lifeworld in Korean society experienced by Southeast Asian marriage-based immigrant women who have lived in Korea for a long time and identify the fundamental meaning of their settlement experience. For thi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March to August 2022 with 10 Southeast Asian marriage-based immigrant women who have lived in Korea for at least 10 years. For research, Van Manen’s interpretive or hermeneutic phenomenology was adopted, which is one of the qualitative methods of phenomenology. With a focus on the four lifeworld existentials proposed by Van Manen (1990) such as lived time, lived space, lived body, and lived relationship, this study analyzed the interviews, field notes, and observational data of 10 participants through phenomenological reflection. It derived 4 essential themes (or main/superordinate themes) and 17 incidental themes (or revealed themes) by reviewing the revealed central meanings and themes in comparison with the researcher’s experiences, etymology, and literary work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or lived time (temporality), the essential theme derived was ‘accumulation and repeated cycle of experience’, with sub-themes such as ‘listening to growth needs’, ‘not letting go of the chance to take on a challenge’, ‘expanding social capital’, ‘new perception of myself’, and ‘composure found in a stable life.’ This shows that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the realization of their ideals by listening to their growth needs and taking on a challenge, building social capital, and finding composure in a stable life based on that. For lived space (spatiality), the essential theme derived was ‘expanding lifeworld’, with sub-themes such as ‘beyond cultural differences’, ‘exploring for adjustment’, ‘paying the price for choices’, and ‘living relentlessly’. The participants explored various experiences for social adaptation even in the unfamiliar environment of Korean society, paid for the choices they made, and lived relentlessly within the environment. For lived body (corporeality), the essential theme derived was ‘caring for myself’, with sub-themes such as ‘dealing with negative emotions’, ‘revealing the wounded pride’, and ‘perceiving the growing illness of the mind’. To care for themselves, the participants deal with their ongoing negative emotions, revealed their wounded pride, and perceived the growing illness of their minds, thereby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caring for themselves. Finally, for lived relationship (relationality), the essential theme derived was ‘me at the center of the network’, with sub-themes such as ‘social obstacles that are still difficult to overcome’, ‘dismantling and reconstructing relationships’, ‘being a cushion between family members’, ‘family relations being reset’, and ‘extended relationships with nationals’. This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different sides of ‘themselves’ in diverse social networks, through which they reconstructed their identities and understood their social identities and self, which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social settlement as members of Korean society.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participants’ experience of settling in Korean society has changed and developed through the process of adjusting to and settling into society. They experienced life changes and development, which can be ‘the best moments of life’, as they settled into Korean society through marriage-based immigration and performed various roles in this process. However, their challenges do not end here, and they are moving forward for bigger dreams. These dreams are for themselves and their descendants to build a new life and contribute to a society where their experiences and dual backgrounds are acknowledged, and their challenges can be referred to as ‘the never-ending best moments of life’. Accordingly,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the multi-level settlement experiences of marriage-based immigrant women and provided social welfare practices and policy implications based on that. Furthermor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exploring the settlement experiences of marriage-based immigrant women who have lived in Korean society for a long period. However, this study has physical limitations, and thus more in-depth follow-up research is proposed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 장기 체류한 동남아시아 결혼이주여성들의 생활세계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그들의 정착 체험의 본질적인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22년 3월부터 8월까지 한국에서 10년 이상 장기 체류한 동남아시아 결혼이주여성 1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현상학적 질적 연구방법 중 하나인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을 채택하였다. Van Manen(1990)이 제시한 네 가지 실존체인 체험된 시간(lived time), 체험된 공간(lived space), 체험된 신체(lived body), 체험된 관계(lived relationship)를 중심으로, 현상학적 반성을 통해 10명의 연구 참여자의 인터뷰내용, 현장노트 및 관찰 자료 등을 분석하였다. 밝혀진 중심의미와 주제들을 연구자의 경험, 어원, 문학작품 등과 비교 검토하여, 4개의 본질적 주제와 17개의 드러난 주제로 도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체험된 시간성에서는 ‘경험의 누적과 반복적 순환’이라는 본질적 주제와 이에 대한 하위 주제인 ‘성장욕구에 귀 기울이기’, ‘도전할 기회 놓지 않기’, ‘넓어지는 사회적 자본’, ‘나에 대한 새로운 인식’, ‘안정된 삶에서 찾은 여유’ 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참여자들은 자신의 성장욕구에 귀 기울이며 도전하고, 사회적 자본을 쌓으며, 이를 바탕으로 안정된 삶에서 여유를 찾음으로써 자신의 이상이 실현되는 것을 경험하였다. 체험된 공간성에서는 ‘확장되는 생활세계’라는 본질적 주제와 이에 대한 하위 주제인 ‘문화차이 너머’, ‘적응을 위해 탐색하기’, ‘선택에 따른 대가지불’, ‘악착스럽게 살아내기’가 도출되었다. 참여자들은 한국사회의 낯선 환경의 양면 속에서도 사회적응을 위해 다양한 경험을 탐색하며, 자신의 선택에 따른 대가를 감당하고 그 안에서 악착스럽게 살아가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체험된 신체성에서는 ‘나를 위한 돌봄’이라는 본질적 주제와 이에 대한 하위 주제로 ‘부정적 감정에 대응하기’, ‘상처 난 자존심 드러내기’, ‘쌓여가는 마음의 병 인지’ 가 도출되었다. 나를 위한 돌봄을 위해 참여자들은 지속된 부정적 감정에 대응하고, 상처 난 자존심을 드러내며, 쌓여가는 마음의 병을 인지함으로써 자기 돌봄의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마지막으로 체험된 관계성에서는 ‘관계망 중심에 선 나’라는 본질적 주제에 이에 대한 하위 주제로 ‘여전히 넘기 힘든 사회적 장애물’, ‘관계의 해체와 재구성’, ‘가족 사이의 쿠션(cushion)되기’, ‘재설정하는 가족관계’, ‘확장된 자국민과의 관계’ 가 도출되었다. 이는 참여자들이 다양한 사회적 관계망에서 서로 다른 ‘나’ 를 경험하며, 그를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재구성하고, 사회적 정체성과 자기이해로, 한국 사회의 일원으로서 사회 정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결과에서 참여자들의 한국사회 정착체험은 사회에 적응하고 정착하는 과정을 통해 변화하고 발전해 왔다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그들은 결혼이주를 통해 한국사회에 정착하고, 이 과정에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며 삶의 변화와 발전, 즉 ‘화양연화’ 를 경험했다. 그러나 그들의 도전은 끝나지 않았고, 그들은 더 큰 꿈을 향해 나아가고 있다. 그 꿈은 자신과 그들의 후손이 새로운 삶을 창조하고, 자신들의 경험과 이중 배경을 인정받는 사회에 일조하는 것으로, 그들의 도전은 ‘끝나지 않는 화양연화’ 라고 명명할 수 있다. 이에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결혼이주여성의 다층적 정착 체험을 논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의 실천과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장기간 생활한 결혼이주여성의 정착체험을 탐색한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그러나, 연구의 물리적 한계를 인지하고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보다 깊이 있는 후속 연구방안을 제안하였다.

      • 소리 치유를 활용한 경도인지장애예방 프로그램 개발 : 만뜨라와 싱잉볼을 중심으로

        차유정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소리 치유를 활용한 경도인지장애 예방 프로그램 개발로서 만뜨라와 싱잉볼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현재 경도인지장애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각종 프로그램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반해, 소리치료를 활용한 연구는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그러므로 경도인지장애를 효율적으로 도울 수 있는 아유르베다의 소리 치유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본 연구의 필요성이다. 이를 통해서 좀 더 체계적으로 경도인지장애 예방과 치유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을 본 연구의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G시 주간보호 센터 세 곳에서 보호를 받는 분들을 대상으로 간이 정신상태 검사를 실시하여 18점에서 23점 범위에 있는 경도인지장애로 의심되는 14명을 선정하였다. 코로나19로 인해 사전방문에 대해서 협조를 구하고 철저한 방역 지침을 준수하며 연구를 진행하였음을 밝힌다. 본 연구는 2020년 9월 1일부터 2021년 6월 25일까지 진행하였다. 예비프로그램 진행은 2020년 11월 2일부터 13일까지이고, 본 프로그램 진행은 2020년 12월 5일~2021년 03월 30까지 진행하였다. 본 프로그램이 진행되기 위해선 코로나19의 상황을 반영하여 12명의 참여자를 3그룹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각 그룹은 일주일에 한 번씩 60분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을 12주간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간이 정신상태검사지와 CORE-OM (Counseling Outcomes in Routine Evaluation-Outcome Measure)을 사용하여심리적 상태를 측정하는 척도지로 활용하였다. 또한 HRV(Heart Rate Variability) 검사를 실시함은 물론 수시로 프로그램 만족도 조사를 병행하여 진행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Version 24.0으로 분석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고 사전-사후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대응 표본을 추출한 후, 항목별 변화량을 비교하여, 독립 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1의 소리 치유를 활용한 경도인지장애 예방 프로그램 개발에서는 프로그램의 절차상의 기획, 구성, 실시, 평가에 대해 정리하였다. 프로그램의 활동 요소는 소리 치유로서 만뜨라와 싱잉 볼이다. 만뜨라는 옴(AUṀ), 람(RAM), 훔HUM)을 주로 사용하였다. 예비연구를 통해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본 연구 과정에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는데 간이 정신상태검사지의 결과와 CORE-OM의 결과, HRV의 결과에서 모두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객관적 평가에 이어 주관적 평가로는 프로그램 만족도를 파악한 결과 92.8%의 성취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실시에 대한 만족도를 확인할 수 있는 설문 결과는 5점 만점에 4.6점으로 높은 만족도가 나왔다. 결론적으로 본 프로그램을 통해 나타난 결과는 지남력이 많이 향상되었다는 것과 스트레스가 가장 많이 완화된 것으로 보인다. 이로써 소리가 우리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게 되었으며, 소리 치유는 진동을 통해 신체 내의 깨진 에너지의 균형을 바로 잡아줌으로써 질병 치유와 예방효과가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ild cognitive impairment’ prevention program using sound healing, focusing on mantras and singing balls. Currently, various program studies for the elderly people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However, study using sound healing still seems to be limit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ound healing program of āyurveda that can efficiently help mild cognitive impairment through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basic data for the prevention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in a more systematic way. In other to select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visited the selected three Day Care Centers in G city after asking for visiting in advance due to COVID-19. And Total 14 suspected people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by receiving scores between 18 and 23 points in the simple mental state test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 this study.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1, 2020 to June 25, 2021. The preliminary program was conducted from November 2 to 13. And from December 5, 2020 to March 30, 2021, main program was conducted, in other to perform the main program, 12participants should have been divided as three groups due to COVID-19. And then, Each groups took a program, which takes 60min, once a week for 12 weeks. The simple mental state test paper and CORE-OM (Counseling Outcomes in Routine Evaluation-Outcome Measure) were used as measurement tools to measure the psychological state. And it was measured using HRV (Heart Rate Variability), and program satisfaction survey was conducte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Version 24.0. In order to confirm the effect of the program, an independent t-test was used by comparing the amount of change by item with a corresponding sample to analyze the pre-post change for each item. The study results1 of the development of a mild cognitive impairment prevention program using sound healing were written about program planning, program composition, program implementation, and program evaluation according to the program procedure. The activity elements of the program are mantra and singing ball as sound healing. Mantra mainly used AUṀ, RAM and HUM. This study was started through a preliminary study, and in this study as well, significant results were derived from the results of the Simplified Mental State Test Paper, CORE-OM, and HRV in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Following the objective evaluation, as for the subjective evaluation, the survey result in the program satisfaction survey was 92.8%. And the result of the satisfaction survey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was 4.6 out of 5 which was high. In conclusion, as a result of this program, orientation was greatly improved, and stress was relieved the most. This made it possible to know how sound affects our human body. It is concluded that sound healing has the effect of healing and preventing diseases by correcting the balance of broken energy in the body through vibration.

      • 국제 테러발생 발달궤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차유정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2001년 9·11테러 이후 전 세계에서 테러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였다. 현재 우리나라는 국제적 테러단체에게 적극적 타겟이 되지는 않았지만, 점차적으로 테러의 대상이 될 가능성이 크다. 우리나라 내에서 우리영토와 국민들을 대상으로 테러를 일으킬 수 있고, 국격 향상에 따라 외국에 있는 우리나라 국민들을 대상으로도 테러를 일으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테러에 대하여 다양한 관점에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아직 거시적 관점에서 국제 테러에 대한 영향요인들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고 할 수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 한계를 보완하고자 전 세계의 국가들을 대상으로 하여 테러의 발생에 대한 연구와 테러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하여 합리적 선택이론과 상황적 범죄예방이론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전 세계의 테러발생에 대하여 각 년도 별로 Global Terrorism Database를 이용하여 국가마다 발생한 테러건수를 정리하고 이를 다시 한 번이라도 발생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로 코딩하였다. 그 다음 이에 대하여 집단기반 발달궤적 모형(Group-based Trajectory Modeling)의 방법을 사용하여 비슷한 궤적을 보이는 국가들끼리 묶어서 집단을 나누었다. 그 결과 3개의 집단이 가장 최적화 된 모형으로 나타났고 이를 ‘저테러발생국가집단’, ‘테러발생상승국가집단’, ‘고테러발생국가집단’으로 명명하였다. 그 다음, Time-varying Covariate 분석을 통하여 시간 변수 외에 독립변수를 하나 더 추가하여 그 독립변수가 테러발생에 대한 발달궤적에 영향을 어떻게 미치는 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GDP의 경우 ‘고테러발생국가집단’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치적 불안정성의 경우 ‘테러발생상승국가집단’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찰지수는 어떠한 집단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하였고, 폭력범죄수준의 경우 ‘테러발생 상승국가집단’과 ‘고테러발생국가집단’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주었고 무기획득용이성의 경우 새롭게 발달궤적이 추정되어 집단에 대한 이름을 ‘후기테러발생국가집단’이라고 명명하고 이 집단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주민지수는 ‘저테러발생국가집단’과 ‘테러발생상승국가집단’에 대하여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전 세계의 국가를 대상으로 새로운 통계방법을 통해 테러에 대한 추세와 영향요인에 대한 효과를 살펴본 점에 있어서 의의가 있다. The concern about the terrorism has increased after 9·11, 2001. Yet, Has not South Korea been the actively target of the national terrorism organizations but the possibility of being the target is increasing recently. Terror can occur toward koreans and the territory. Also, there is a possibility of being targed that who are living in other countries to terrorism. In this respect, many of studies are conducted in various own their views but it is not enough for studies about the factors with international terrorism in macro-perspective.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d terror outbreak and the factors which are affect terror incidents through rational choice theory and situational crime prevention theory. First, coding to happened once or more and never happened. Using Group-based trajectory modeling, extracted three trajectories of terror incidents. They were named 'low-terror incidents nations group', 'increasing-terror incidents nations group', 'high-terror incidents nations group'. In the time-varying covariate analysis, GDP has significant effect on the high-terror incidents nations group. Political instability affect significantly the increasing-terror incidents nations group. Otherwise, Police index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every trajectory group. Level of violent crime gi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increasing-terror nations group and the high-terror nations group. Accessibility of weapons gi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hange of later-terror increasing nations group. Displaced people index has significant effect on the low-terror incidents nations group and the increasing-terror nations group. Key words : effecting factors of terror incidents, rational choice theory, situational crime prevention theory, Time-varying analysis

      • 이공계 대학원생의 그릿(Grit)이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와 조직동료의식의 매개효과

        차유정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대부분 전일제로 학업을 수행하는 이공계 대학원생은 다른 대학원생보다 더 높은 학업스트레스를 호소한다. 아울러 이공계 대학원생은 연구실에서 동료들과 함께 연구 과제를 수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이들이 겪는 스트레스에는 사회적 지지와 동료의식 등이 크게 영향을 미친다. 학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개인의 인내와 열정을 의미하는 그릿(Grit)과 타인과의 관계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긍정적 자원인 사회적 지지에 대한 선행 연구 결과가 있었기에, 본 연구는 이공계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그릿이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와 조직동료의식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전국 대학원 재학생 206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절차는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Pearson의 상관분석, 매개효과 검증을 위한 Baron & Kenny(1986)의 위계적 회귀분석, Macro Process의 Bootstrapping을 실시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그릿, 학업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조직동료의식은 상호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그릿이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적 지지가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그릿이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조직동료의식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이공계 대학원생들의 그릿 수준이 학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며, 이때 사회적 지지와 조직동료의식이 유의한 부분 매개요인으로 작용함을 확인해 주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추후 연구를 위한 제안점을 제시하였다. 주요어: 이공계 대학원생, 그릿(Grit), 학업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조직동료의식 Most science and engineering graduate students, who study full-time, complain of higher academic stress than other graduate students. In addition, as most graduate students in science and engineering perform research tasks with their colleagues in the laboratory, social support and companionship greatly affect the stress they experience. Grit, which means individual patience and passion, and social support, a positive resource that can be obtained through relationships with others, were previously studied as factors that affect academic stress. In this study, I checked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organizational companionship on the effects of grit on academic stress. Data from 206 graduate students were collected nationwide through an online survey and analyzed. The main analysis procedures were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Baron & Kenny (1986)'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Macro Process's Bootstrapping.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grit, academic stress, social support, and organizational companionship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social support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 of grit on academic stres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organizational companionship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 of grit on academic stress. These results confirmed that the grit level of science and engineering graduate students affects academic stress, and at this time, social support and organizational companionship act as significant partial mediating factors.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Key words: A graduate student in science and engineering, Grit, Academic stress, Social support, Organizational companionship

      • <崔陟傳>의 小說的 特性 硏究 : <紅桃이야기>와의 對比를 중심으로

        차유정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Study on novelistic quality of <CHOICHEOK-JEON> -Focusing on the Comparision of <STORY OF HONGDO>- Yu-jeong Cha Dep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Graduate school Kyung Hee University The basic position which approaches <CHOICHEOK-JEON> from this dissertation with after words is same. <CHOICHEOK-JEON>, at the time of GWANHAIGUN is the Chinese writing novel which CHOWIHAN creates. This novel comes to be used relatively, initially CHO-SUN time compares in different novel and which point there is not inferiority. With aspect of society between of war, the warfare had specially and life of the populace class is devastated and to experience of author oneself to owe the pain of family dispersion, is earnest and expresses factually with from problem of the individual with problem of the social whole to magnify, prosecutes the disastrous state. Pain of the family dispersion which is caused by with warfare love of the strong family attained the reunion which leads the thing when seeing with thought of the author, being meaning there will be a possibility of doing with help of Buddhism element. Compared <STORY OF HONGDO> and <CHOICHEOK-JEON> from like this position and investigated a narrative primarily. So to novel <CHOICHEOK-JEON> the life of author CHOWIHAN leads and features of the heroes of novel inside the possibility the fact that the life of the author CHOWIHAN who lives in yearning is reflecting was about the family which separates. The result <STORY OF HONGDO> which tries to observe <CHOICHEOK-JEON> composition as a matter of qualities has the time when is Confucianism and is an ideology of the nobility the other side which a subject as the direct presentation in compliance with an array description embodies, most tight from before manifested a subject the possibility of knowing the thing was with the indirect method which leads a structural form. <CHOICHEOK-JEON> dispersion and reunion of the family which is caused by with warfare loves the sticky family between with subject matter and form means that the Buddhism element is inserted from the process which shows the love of this family between. This dissertation leads at above and there is the questionable matter to <STORY OF HONGDO> and will compare a narration and be a possibility which will seek the novel quality, are embodied a subject in what kind of aspect, tries being observed <CHOICHEOK-JEON>.

      • 대학생의 자기통제력과 심리적 독립, 스트레스 대처 사이의 관계

        차유정 건양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자기통제력이 대학생들의 당면한 과제인 심리적 독립과 스트레스 대처와 어떠한 관계를 갖으며, 자기통제력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도움을 주기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충남지역 2개 대학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여학생 103명과 남학생 193명, 총296명의 응답을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 번째, 자기통제력, 심리적 독립, 스트레스 대처요인은 성별에 따른 차이가 부분적으로 나타났다. 자기통제력의 하위요인인 단순과제와 신체활동은 남학생이, 충동성은 여학생이 높게 나타났다. 부로부터의 심리적 독립과 하위요인인 태도적 독립과 기능적 독립은 여학생이 높게 나타났으며, 스트레스 대처는 문제 중심적 대처를 남학생이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자기통제력의 하위요인이 심리적 독립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적응과 관련 있는 갈등적 독립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쳤으며, 또한 기능적 독립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자기통제력의 하위요인과 대처와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대처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통제력이 낮을수록 우울, 자살, 유사문제행동과 관련 있는 정서중심적 대처를 많이 사용하며, 화를 내지 않고, 충동적이지 않은 자기통제력의 성격특성이 높을수록 적응과 관련된 문제 중심적 대처를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대학생의 자기통제력이 높을수록 적응과 관련 있는 갈등적 독립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문제를 해결하려는 문제 중심적 대처를 높아지고, 문제행동과 관련 있는 정서 중심적 대처가 낮아지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자기통제력이 심리적 독립과 스트레스 대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부모와의 갈등으로 인한 부정적인 감정이나 스트레스 문제 를 호소하는 대학생들을 돕는데 있어 함의를 제시하였으며, 추후 연구에서 밝혀야 할 내용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한국남성의 국제결혼 선택 체험에 관한 연구 : 파시(Parse)의 인간되어감 연구방법론을 적용하여

        차유정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with the research questions; "How are the experiences of Korean men's international marriages? And what are the meanings?";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ir experiences structurally and more in-depth, analyzing their diverse and complicated problems. The materials from online cafe and offline meetings of HanVE-Sarangbang, telephone surveys and interviews of seven participan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Parse's Methodology of Becoming Human, which shows well dynamics and meanings of intersubjective lives. In other words, I collected materials through the "You and I" relationship process between researchers and participants. And, I abstracted contents from the languages of the participants to those of the researchers, made the result proposition, picked up the key concepts from the proposition. Lastly, I synthesized these, integrated structually and interpreted conceptually. Through this process, the following seven concepts were extracted from the seven propositions. (1) Considering marriage to seek new lives out of the wounds of past relationships (2) Choosing international marriages with the beliefs in marriages and expectations of not being denied (3) Playing their roles, recognizing their identities within the process of making relationship despite of the difficulties in marriages without any preparations (4) Expecting stable relationship, feeling hurt and frustrated about wives' family (5) Becoming tired of disappointment and frustration in mutual relationship (6) Drawing blueprints for the future with confirming emotions and trusts (7) Hoping their lives last with positive minds on their choices and efforts Through above, the experiences of Korean men's international marriages are like the next. Korean men consider marriage to seek new lives out of the wounds of past relationships, choose international marriages with the beliefs in marriages and expectations of not being denied, play their roles recognizing their identities within the process of making relationship despite of the difficulties in marriages without any preparations, expect stable relationship, feeling hurt and frustrated about wives' family, become tired of disappointment and frustration in mutual relationship, draw blueprints for the future with confirming emotions and trusts and hope their lives last with positive minds on their choices and efforts. The conceptual integration of relationship issues were imaging of valuing, empowering, originating and transforing the process of enabling-limiting, connecting-separating, and revealing-concealing. For Korean men who chose international marriages, those were the best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ves, and we found out that the stability from marriages and the supports from family made them happy and affected improving self-regard. Therefore, I propose the way to help them from choosing international marriages to the process and stable marriage lives to social welfare fields and expect follwing studies. 본 연구는 “한국남성의 국제결혼 선택체험은 어떠한 것인가? 그 체험은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라는 연구질문을 가지고 그들이 겪는 다양하고 복잡한 문제들을 이해하고 분석하여 당사자의 체험을 구조적으로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실행되었다. 자료는 한베사랑방 온라인 카페·오프라인 정모, 전화 등의 자료와 자발적인 참여의사를 보인 총 7명의 면담 자료를 활용하여 상호주관적 삶으로서의 역동성과 의미를 잘 나타내 주는 파시(Parse)의 인간되어감 연구방법론에 따라 자료를 분석하였다. 즉, 연구자와 참여자의 “나와 너”의 관계 과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참여자의 언어에서 추출한 내용을 연구자의 언어로 추상화하여, 이를 종합한 결과 명제를 만들고, 명제에서 핵심개념을 뽑아 낸 후, 이를 체험의 구조로 종합한 다음 발견적 해석단계를 통해 구조적 통합과 개념적 해석과정을 거쳤다. 분석과정을 거쳐 일곱 가지의 명제에서 다음과 같은 일곱 가지 핵심개념이 추출되었다. (1) 지난날의 관계의 상처에서 새로운 삶의 모색으로 결혼을 고려함. (2) 결혼에 대한 신념과 거부당하지 않으리라는 기대로 국제결혼을 선택함. (3) 준비 없이 선택한 결혼생활이 어려우나, 관계형성의 과정 안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인지하며 자신의 역할을 해 나감. (4) 아내의 원 가족중심에 서운함, 좌절을 느끼며 안정된 부부관계를 소망함. (5) 호혜적 관계에 대한 실망과 좌절로 지쳐감. (6) 감정의 확인과 신뢰로 미래에 대한 청사진을 그려감. (7) 자신의 선택과 노력에 대하여 긍정적인 마인드, 의지로 이 삶이 지속되기를 희망함. 이를 통해 한국남성의 국제결혼 선택체험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한국남성의 국제결혼 선택체험은 지난날 관계의 상처에서 새로운 삶의 모색으로 결혼을 고려하고, 결혼에 대한 신념과 거부당하지 않으리라는 기대로 국제결혼을 선택하여 준비 없이 선택한 결혼생활이 어려우나, 관계형성의 과정 안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인지하며 자신의 역할을 해 나가고 있으며, 아내의 원 가족 중심에 대해 서운함, 좌절을 느끼며 안정된 부부관계를 소망하며 호혜적 관계에 대한 실망과 좌절로 지쳐가나, 감정의 확인과 신뢰로 미래에 대한 청사진을 그려가며, 자신의 선택과 노력에 대한 긍정적인 마인드, 의지로 이 삶이 지속되기를 희망하는 과정이다. 이러한 구조를 파시(Parse)의 추상성 높은 개념으로 통합하여 상상화 가치화를 가능-제한, 연결-분리, 노출-은폐하여 독특성과 강화성으로 변형되어 가는 과정으로 재해석되었다. 국제결혼을 선택한 한국남성에게 ‘국제결혼’은 한 개인의 인생발달의 과업에서 자신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최선의 선택이었으며, 결혼을 통한 안정, 가족의 지지가 이들의 삶을 행복하게 하고, 한 개인으로서의 자존감 향상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들의 국제결혼의 선택에서부터 과정, 현재결혼생활, 미래의 안정된 생활을 유지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방안을 사회복지실천현장에 제언하고, 다양한 후속연구를 기대 해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