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속담을 활용한 한국어 문화 교육 방안

        이효정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7 국내석사

        RANK : 248831

        외국어 학습의 궁극적인 목적은 원활한 의사소통에 있다. 이를 위해서는 목표 언어 민족의 문화에 대한 이해가 반드시 필요한데, 문화란 그 사회 구성원의 사고와 행위 양식을 담고 있는 총체적인 개념으로 언어에는 그 언어가 속해 있는 사회의 문화가 잘 반영되어 있기 때문이다. 최근 한국어 교육에서 문화 교육의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다. 한국 문화에 대한 바른 이해를 통하여 한국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사고방식과 삶의 방식을 객관적이고 체계적으로 이해하게 될 뿐만 아니라 타국 문화와 한국 문화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인식하여 상호 문화적인 관점에서 바라보게 한다. 본 논문은 한국어 교육을 위한 문화 교육의 다양한 학습 자료로 속담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이렇게 특별히 속담을 이 논문의 고찰 대상으로 삼은 까닭은 어느 언어에서나 대체로 존재하며, 그 내용은 그 민족의 고유한 특성을 반영하고 있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본 논문에서 연구한 내용을 장별로 간략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속담이 갖는 가치에 비해 연구가 아직은 미진한 상태임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밝혔다. 제2장에서는 문화의 일반적 개념 및 언어와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 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문화 교육을 위한 학습 자료로써 ‘속담’을 제시하였다. 속담은 짧은 문장 속에 민중의 전통적인 생활 습관, 의식 구조, 사회 구조, 가치관 등 민족의 역사와 문화가 응축되어 있으므로 한국어 교육에서 문화 교육을 위한 자료로서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즉 속담의 문화 교육적 특성과 기능을 알아보고 속담이 어떤 문화 교육적 가치를 갖는지에 대한 의의를 고찰하였다. 제3장에서는 속담의 개념 및 특징을 살펴보고, 속담을 주제별로 분석하여 그 속에 한국 문화의 독특한 양상을 추출하여 정리해 보았다. 특히 한국 속담은 민중의 생활 문화의 정수를 포괄적으로 반영하고 있는데, 속담에 나타난 문화 교육적 요소를 ‘낙천적·숙명론적 인생관, 농경 생활 문화, 유교 문화, 불교와 샤머니즘 문화, 집단 문화’로 크게 나누어 살펴보았다. 즉 이 장에서는 속담이 담고 있는 문화 교육적 기반을 정리하였으며, 속담이 어떤 문화적 가치를 갖는지에 대한 의의를 구체적으로 정리해 보았다. 제4장에서는 3개의 대학(경희대, 연세대, 고려대) 부설기관에서 현재 쓰고 있는 중급과 고급 교재를 대상으로 속담 교육의 현황 및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제5장에서는 한국어 교육용 속담의 선정 방안을 검토하여 단계별로 교육용 속담을 선정하였다. 제5장에서는 한국 문화가 잘 반영된 속담을 어떻게 학습시킬 것인가에 대한 구체적인 활용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속담 교육을 위해서 앞서 선정한 교육용 속담을 포함한 단원을 구성하여 실제 속담 수업 모형을 제시하였다. 수업 모형은 크게 중급 단계와 고급 단계로 나누어서 ‘제시-설명-연습-활용-보충·심화’의 단계로 진행되며, 속담과 한국 문화가 연계되어 학습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만화나 비교적 실생활에서 많이 접하게 되는 신문, 드라마, 뉴스 등을 학습 자료로 활용하여 구성하였다. 앞서 밝힌 바와 같이 본 연구에서 가장 주목할 점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속담을 통한 문화 교육의 의의를 발견하고, 이를 위한 교수 학습 모형을 마련하였다는 데 있다. 이렇게 실제 자료를 이용한 수업은 학습자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의욕을 증진시키며 자연스럽게 속담을 통해 한국 문화에 접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초급 단계 학습자를 위한 모형을 제시하지 않은 점과 각 단계의 구체적인 목표와 내용을 설정하지 못한 점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는 연구를 앞으로의 과제로 남긴다.

      •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어 교육정책의 현황과 발전 방안

        김상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831

        국문요지 현대는 이주의 시대라고 할 수 있다.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원인에 따른 이주가 활발하기 때문이다. 앞으로의 시대는 더욱 이주가 자연스러운 현상이 될 것이며, 따라서 이민자에 대한 각 국의 정책은(특히 언어정책) 그 의미가 중요해지고 있다. 한국의 경우에도 이주노동자, 결혼이민자, 외국인 유학생, 북한이탈주민 등 체류하는 외국인의 가파른 증가로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문화권 구성원들과의 접촉이 활발해지고 있다. 이로 인해 한국은 이민자의 나라라고 할 수 있는 미국뿐만 아니라, 이민자 유입이 상당히 오래 전부터 진행되어 왔던 유럽이나 호주, 그리고 가까이 일본에 이르기까지 그 유례를 찾기 힘들 정도로 빠르게 다인종·다민족·다종교·다언어·다문화 사회로 변모하고 있다. 한국은 특히 저출산, 고령화의 문제와 맞물려 있고, 특히 급격한 노동인구의 유입, 결혼이민자의 증가와 같은 현상은 사회 전반에 걸친 다양한 변화에 직면해 있고 그에 따르는 대책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처럼 이민자들의 증가라는 세계적인 흐름과 한국의 특수성이 더해진 이민자의 급증은 한국의 중앙정부 각 부처, 지방자치단체와 시민단체에서 다양한 사회통합정책의 추진 배경이 되었다. 그렇지만 사회통합에 대한 합의된 개념이 없었기에 각기 정책 주체의 목적에 맞는 제도 시행에 초점이 맞추어 졌고, 따라서 체계적이며 일관된 정책은 기대하기 어려웠다. 본 논문은 이러한 사회통합의 다양한 정부 시책 중에서 2009년부터 시행된 법무부의 사회통합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국어교육의 정책적 변화와 현황을 검토하고 한국어 교육정책의 발전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사회통합프로그램의 한국어교육 실태를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미국, 호주와 같은 이민자의 비율이 높은 국가들이 시행하고 있는 다양한 언어교육 프로그램을 살펴보고, 유럽 국가들의 이민자정책의 변화에 따르는 언어교육의 의무화 추세를 국가별로 검토한다. 특히 일본이 추구하고 있는 다문화공생이라는 생활밀착형 언어교육도 조사해 본다. 이러한 비교분석을 바탕으로 한국의 사회통합프로그램이 이민자들이 빠르게 한국에 적응하도록 하고, 언어교육의 핵심 제도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제도적 보완이 필요할 것이다. 첫째, 사회통합프로그램 이수 의무화가 시행되어야 한다. 의무이수를 통해 이민자에게 실질적인 평등의 교육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사회통합관련 법제의 정비가 필요하다. 헌법을 위시하여 관련 법류의 체계적인 정비가 필요한데, 근본적으로는 이민자를 위한 통합법제, 특히 차별 방지를 위한 법제의 수립이 요구된다. 셋째, 수요자중심의 교육체계가 구축되어야 한다. 교육 내용에 있어서도 수요자의 요구에 맞도록 하고, 교육 시스템도 수요자를 중심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끝으로 사회통합프로그램 정착을 위한 체계적인 거버넌스의 구축이다. 중앙부처, 지방자치단체, 시민단체간에 유기적인 협력을 통하여 미래지향적인 거버넌스를 구축해야 한다. 사회통합프로그램 Korean Immigration and Integration Program(KIIP) 한국어교육 정책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이민자 migrants 사회통합 Social Integration

      • 단기 한국어 교육과정 교재 개발 방안에 관한 연구

        차순걸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에서는 한류와 한국의 경제성장 등의 요인으로 특히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단기 한국어 교육과정(이하‘단기 교육과정’) 참가자들을 위한 교재를 개발하는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그 연구방법으로 먼저 서울 소재 H대학교의 단기 교육과정 참가자들의 요구사항을 설문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존의 단기 교육과정용 교재인 한양대학교 국제교육원의‘빨리 배우는 한국어 1, 2’,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의‘Active Korean 1, 2’그리고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의‘100시간 한국어 1’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처럼 초급교재를 분석대상으로 삼은 이유는 이 교재들이 단기 교육과정 참가자들이 필요로 하는 기초적인 언어기능과 일상생활에 필요한 기능들을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이 분석 결과들을 기초로 하여 단기 교육과정용 교재를 개발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그리고 연구방법과 범위를 제시하였다. 또한 관련 선행 연구들인 단기 교육과정 수업 방안, 단기 과정용 교재 개발 연구 및 문화 관련 연구 결과를 살펴보았다. 제2장에서는 2017년 H대학교 단기 한국어 교육과정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학습자 요구 설문조사를 시행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최근 단기 과정 학습자들의 학습 목적은 한국어 자체에 대한 관심보다 한국과 한국문화에 대한 관심에 있었다. 학습 효과는‘말하기-읽기-발음’등의 분야에서 높게 나타났고 학습자들이 원하는 학습의 주제는‘음식 주문하기-인사하기-물건사기-길 찾기’ 등 한국의 실생활에 필요한 기능들이었다. 제3장에서는 세 권의 기존 단기 과정용 교재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세 권 모두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영역의 통합교육을 추구했고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목표로 하였다. 그리고 주제와 문법, 어휘, 과제 등의 상호 긴밀성을 유지하고자 노력하였다. 아쉬운 점은 나선형 교육이 이루어지 않아서 반복학습이 부족했고 발음과 억양, 평가 부분 면에서 많은 보완을 필요로 했다. 문화 부분은 문화체험과 연결성을 유지하여 한국문화와 한국어에 대한 관심을 유지시키는데 중요한 부분인데‘100시간 한국어 1’에서만 설명과 제시에 그친 수준으로 다루었고 ‘Active Korean 1, 2’와 ‘빨리 배우는 한국어 1, 2’에서는 문화부분이 없었다. 추후 개발되는 교재에서는 반드시 보완되어야 할 부분이다. 제4장에서는 제2장과 제3장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단기 교육과정용 교재 개발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재의 외적 구성에서 단기 교육과정의 한국어 학습시간은 그 외의 활동을 감안하여 60시간 내외로 한다. 부교재는 수업시간 내에서 활용하고 단원 내에서 삽화와 사진은 적절히 사용한다. 둘째, 교재의 내적 구성에서 교재의 전체적 구성은 단기 과정 참가자들의 한국과 한국문화에 대한 관심을 충족시키기 위해 실생활의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학습을 추구한다. 그리고 각 단원에서 제목, 학습목표, 예시문 , 문법/어휘/발음, 과제, 문화, 평가 부분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짧은 학습시간 내에 학습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하고 교재의 문화부분과 문화체험 내용을 과정 중심적으로 운영하여 문화 부분이 설명이나 제시에 그치지 않게 한다. 셋째, 각 단원의 구성은 제2장의 학습자 요구 조사결과의 내용과 같은 실제적인 주제를 선택하고 주제/문법/어휘/과제 등이 나선형 교육을 이루어 반복학습이 가능하게 한다. 넷째, 발음과 억양 부분은 교재 내용에 포함시키도록 하여야 한다. 단기 교육과정이지만 입문이나 초급 학습자들에게는 발음과 억양에서 중요한 시기임을 고려한다. 다섯째, 문화부분은 한국사 등과 관련하여 한국문화를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영어로 된 교재 내용과 동영상 부교재를 활용하고 문화체험과 연결시키도록 한다. 여섯째, 과제 및 학습활동은 주제와 연관성을 유지하면서 언어의 네 가지 영역을 통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실제적인 과제를 수행하도록 하여야 한다. 단, 통합 학습에 치중하여 과도한 학습량으로 학습자의 학습 의욕을 저해시키지 않도록 학습량을 조절한다. 일곱째, 평가 부분은 단기 교육과정의 시간적 제약 때문에 소홀해지기 쉬운 분야이다. 그러나 교수자가 학습자의 학습상태를 확인함으로써 학습자의 학습 의욕을 고취시키는 것은 필수적인 부분이므로 매 단원 끝부분에 수록되어야 한다. 단 학습자의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OX 문제나 퀴즈 형식의 문제를 활용한다. 본 연구는 H 대학교의 외국인 교환학생인 100명에 가까운 학습자들의 요구를 분석하였고 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주제, 문법, 어휘, 과제, 문화 등이 긴밀하게 연결되어 반복학습에 의해 단기간에 실생활에서 사용가능한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단기 교재 개발 방안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아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추후 실제적인 단기 한국어 교재를 개발하는데 기초 연구로 공헌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분석의 범위나 개발 방안이 초급 교재에 머물러 중급 교재와 고급 교재에 대한 분석과 개발방안도 시급히 요청된다. 추후 이와 관련된 교재가 체계적으로 개발되고 그로 인해 단기 교육과정이 보다 효율적으로 체계적으로 운영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개신교 선교사 한국어교육의 형성과 전개에 대한 사적 연구

        박새암 한성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8831

        This study is a diachronic analysis of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imed at freshly establishing the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y protestant missionaries within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rough specifically and empirically investigating the development and natur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y the Western protestant Missions for their missionaries taking place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the mid 20th century, and elucidating its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For this purpose, relevant materials such as minutes of official minutes of Missions, reports and personal correspondences were collected, and the contents with respect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extracted and used for analysis.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of protestant missionaries was divided into four stages including (1) the time when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mainly conducted in missions of each religious sect, (2) the time when it was mainly conducted in the form of a short-term intensive course, (3) the time when it was conducted through a union language school and (4) the time of transition to moder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analyzed thoroughly focusing on relevant historical records. (1) The time when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conducted mainly in missions of each sect for their missionaries was investigated by focusing on activities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United State of America (PCUSA) and the Methodist Episcopal Church (MEC), both of which played a leading role among various sects having entered Korea. They had a sub-organization 'Language Committee' in charge of managing language education of their missionaries, and controlled and managed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ctively by utilizing the 'course of study', a learning guideline, and a 'mentoring system' that enabled a missionary to help his successor's learning. ⑵ During the time when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mainly conducted in the form of short-term intensive courses, the 'classroom lesson', which had been a limit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preceding time, emerged through a short-term intensive course 'Language Class' in Pyengyang initiated in 1909 by PCUSA. Later, after a coordination with MEC, it became under management by the Federal Council Protestant Evangelical Missions in Korea, which was a united organization of missions form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ecumenical movement' of the time, and had been opened once a year in Pyengyang and Seoul, respectively, until 1914. ⑶ During the time when it was conducted through a Union Language School, 'Language School' created and operated permanently as a union language school of missions to secure the continuity of the curriculum played a central role in conduc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school operated from 1920 to at least 1936 had a modern institutional education system such as dedicated textbooks developed according to defined curricula, standardized written and oral assessments, issue of completion certificates and paid permanent staff. ⑷ In analysis of the time of transition to moder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Korean Language School' emerging freshly around 1950 was confirmed to be a reconstruction of the 'Language School' that had been closed down around 1940 after missionaries had been expelled from Korea by the Japanese colonialists. Those missionaries returned to Korea after the Liberation and rebuilt the school under the name 'Korean Language School'. It was also confirmed again that this institution lea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s first modern Korean education institution 'YONSEI KLI'. Given that the methodolog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y protestant missionaries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the mid 20th century in the Korean Peninsula was the utilization of the complementary management of distance education and gathering education and the content-based approach, characteristic features in terms of education contents could be found in that they consisted of the lessons to understand the Korean culture for mission and the emphasis of Chinese characters and writing style reflecting multi-layered literacy life at the time.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in that it could identify the whole flow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ducted before the moder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rough a series of process investigating the development proces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y protestant missionaries, which also revealed that the foundation of the modern Korean Language Education lies in the efforts by the Western protestant missionaries having started from the late 19th century. Moreover, although there are a few limitations in terms of the teachers and learners of education, this study has another significance in that it identified the modern natur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y the Western protestant missionaries as a foreign language education at the time. However, this study also has limitations in that it examined only the time span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the mid 20th century, and did not provide finely detailed and comprehensive comparative analysi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he Japanese in Korea, which also existed during the same period. 이 논문은 한국어교육의 역사를 다룬 통시적 연구로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중반 한국에서 전개되었던 서양인 개신교 선교사들의 한국어교육의 전개 양상과 성격을 구체적이고 실증적으로 고찰하고, 그 의미와 한계를 밝혀 한국어교육사 안에서 개신교 선교사 한국어교육이 지니는 위상을 새롭게 정립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이를 위해 선교회의 공식 연회록과 보고서, 개인 서신 등 관련 자료를 확보하고 한국어교육 관련 내용을 추출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먼저 개신교 선교사들의 한국어교육이 전개된 양상을 ⑴교파별 선교회 중심 한국어교육 시기, ⑵단기 집중 강좌 중심 한국어교육 시기, ⑶연합언어학교 중심 한국어교육 시기, ⑷현대 한국어교육으로의 이행기로 구분하여 관련 사료를 중심으로 면밀하게 고찰하였다. ⑴교파별 선교회 중심 한국어교육 시기는 한국에 진출한 여러 교파 선교회 중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던 〈북장로회〉와 〈미감리회〉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는데 이들 선교회는 산하에 선교사들의 언어 교육을 관리하는 하부 조직인 〈언어 위원회〉를 두고 일종의 학습 가이드라인인 ‘학습과정’과 선임 선교사가 후임 선교사들의 학습을 돕는 ‘멘토링 시스템’을 활용하여 소속 선교사들의 한국어 학습을 적극적으로 통제하고 관리하였다. ⑵단기 집중 강좌 중심 한국어교육 시기는 이전 시기 한국어교육의 한계였던 ‘교실 수업’이 1909년부터 〈북장로회〉에서 시작한 평양에서의 《Language Class》라는 단기 집중 강좌를 통해 나타났다. 이후 〈미감리회〉와의 협력을 거쳐, 당시 ‘에큐메니컬 운동’의 영향으로 조직된 선교회들 간의 통합 기구였던 〈연합선교협의회〉로 이어져 1914년까지 평양과 서울에서 1년에 한 차례씩 개설되었다. ⑶연합언어학교 중심 한국어교육 시기에는 교육과정의 연속성을 가지고 상설 운영된 연합언어학교인 《Language School》을 중심으로 한국어교육이 전개되었다. 1920년부터 적어도 1936년까지 운영된 이 학교는 교육과정에 맞춰 개발된 전용 교과서, 표준화된 지필과 구술평가, 수료증의 발급, 급여를 지급받는 상근 교원 등 근대적인 제도적 교육기관의 모습을 갖추고 있었다. ⑷현대 한국어교육으로의 이행기에는 1950년을 전후하여 새롭게 등장한 《Korean Language School》이 1940년을 전후하여 일제에 의해 선교사들이 강제 추방되며 중단되었던 《Language School》이 해방 이후 돌아온 선교사들에 의해 재건된 것임을 다시 확인하고, 이 기관이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이라는 한국 최초의 현대적인 한국어 교육기관의 설립으로 이어졌음을 재확인하였다.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중반까지 한반도에서 이루어졌던 개신교 선교사들의 한국어교육은 교육의 방법적 측면에서는 원격교육과 집합교육의 상보적 운영과 내용 중심 접근의 활용이라는 점에서, 교육의 내용적 측면에서는 선교를 위한 한국 문화 이해을 위한 교육 내용 구성과 당시의 중층적인 문자생활이 반영된 한자와 문체 교육이 강조된 교육 내용의 구성이라는 점에서 특징적인 모습을 찾을 수 있었다. 개신교 선교사들의 한국어교육의 전개 과정을 고찰하는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단편적이나마 현대 한국어교육 이전 시기의 한국어교육의 전체적인 흐름을 짚어볼 수 있었고, 이를 통해 현대 한국어교육 형성의 토대가 19세기 후반부터 시작된 서양인 개신교 선교사들의 한국어교육에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는 점에서 이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교육의 주체와 학습자 측면에서 일정 부분 한계는 있으나 당시 서양인 개신교 선교사들의 한국어교육이 가진 외국어 교육으로서의 근대적 성격을 확인하였다는 점 역시 이 연구의 의의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중반까지로 그 시기를 제한한 점, 동일한 시기에 병존하였던 한국에서 일본인 대상 한국어교육과의 세밀하고 종합적인 비교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은 점은 이 연구가 지닌 한계이다.

      • 한국어 단기교육과정 교재 개발 연구

        최재민 대진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831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어 단기교육과정의 현황을 살피고, 3주 정도의 문화체험과 연계한 한국어 단기교육과정에 적합한 교재 개발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현재 문화체험을 포함한 단기교육과정 교재는 대부분 자체 제작으로 공개되지 않는다. 이 연구는 국내 대학 부설 한국어 교육기관에서 시행되고 있는 한국어 단기교육과정을 대상으로 하였다. 단기교육과정 진행 여부는 전화와 이메일을 통해 연구자가 해당 기관에 직접 문의하였다. 2017년 현재 국내 한국어교육기관 전체 111개 기관 중 단기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곳은 22곳으로 전체 교육기관의 약 20퍼센트였다. 단기교육과정은 문화체험의 시간에 따라 한국어 집중과정과 문화체험 교육과정으로 나뉘는데, 문화체험 교육과정이 진행되는 한국어 교육기관은 17곳이고, 운영되는 교육과정은 20개이다. 문화체험 교육과정에 사용되는 교재는 정규과정 교재 4종, 단기교육과정용 교재 6종이 사용되고 있었다. 기관에서 자체적으로 제작하여 사용되는 자체교재는 9종이었으나 교재를 구할 수 없어서 연구에서 제외하였다. 정규과정 교재와 단기교육과정용 교재를 비교해 본 결과 목적을 달리했음에도 불구하고 큰 차이를 발견할 수는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체험을 포함하는 한국어 단기교육과정이 하나의 교육과정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과 교재를 제안하였다. 문화체험을 기반으로 하는 3주 한국어 단기교육과정을 ‘한국어교육 → 교실활동 → 문화체험’의 세 단계로 구성하고 3주 간 한국어교육이 문화체험과 연계되어 진행될 수 있도록 문화체험과 연계 가능한 5개 주제, 7개 과로 한국어 교재를 구성하고, 1개 단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한계는 각 국적별로 학습자들이 요구하는 문화 내용을 교재에 반영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이 연구가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단기교육과정 교재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textbooks proper for short-term Korean language program. The subject for this study includes the short-term Korean language programs implemented by various Korean language schools in universities. A short-term language program can be divided into an intensive program and a cultural experience program, depending on the number of cultural experiences. Most of the textbooks on cultural experience program were made from within and not revealed to the public. As of 2017, there are a total of 111 Korean language schools in South Korea, and of those, 22 have a short-term program - that is 20% of all. Of these 22 schools, only 5 offer 2 different types of short-term programs. The information regarding short-term language programs were obtained through phone call and email inquiries to each institute. In this study, a language program was proposed that may facilitate short-term Korean language programs with cultural experience as a language program. Based on cultural experiences, this 3-week long program is comprise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 classroom activities -> cultural experience'. To achieve this, a Korean language textbook was prepared that has 5 subjects across 7 chapters that were linked to cultural experience and 1 learning unit. There were some limitations to this study, one being that the textbook could not incorporate all cultural contents for the learners from varying cultures. I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assist in developing textbooks proper for short-term Korean language programs.

      • 한국어 양태부사 연구 : 한국어 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 구축

        이선영 서울여자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8831

        이 논문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용 양태부사의 목록을 작성하고, 양태부사를 분류한 후 각각의 양태부사가 가진 의미, 기능, 그리고 호응 관계와 문법적 제약을 기술함으로써 한국어 교육에 실제적으로 활용할 자료를 구축할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논문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에서 시작한다. 첫째, 학생들은 양태부사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자유롭게 사용할 수 없다. 둘째, 선행 국어학 연구 결과들을 한국어 교육 현장에 그대로 적용시킬 수 없다. 셋째, 지금까지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는 양태부사 전반에 대한 충분한 논의와 연구가 없었다. 따라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교사와 학생이 쉽게 이해하고 활용할 만한 자료는 매우 부족하다. 이에 한국어 교육 현장의 교사들과 외국인 학습자들이 양태부사를 가르치고 배우는 과정에서, 그리고 한국어 교육 자료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활용하고 참고할 수 있는 자료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2장에서는 국립국어원의 연구 결과물 두 가지에서의 부사 목록, 국어학과 한국어 교육학의 선행 연구에서 제시된 양태부사 어휘 목록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 세 가지의 어휘 목록에서 공통적으로 출현한 양태부사의 목록을 정리하여 이를 최종 연구 대상 양태부사 목록으로 확정하였다. 또한 교재 분석을 실시하여 한국어 교재에서의 양태부사 교육의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총 72개의 한국어 교육용 양태부사 최종 목록을 선정하였다. 3장에서는 각 양태부사의 의미적 특성에 대해 논하고 의미 분류를 실시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양태부사를 의미를 기준으로 분류하는 방법을 택하였다. 그 이유는 첫째, 인간이 문장을 구성할 때 어휘와 문법 선택의 일차적 선택 기준은 의미이다. 둘째, 자신이 표현하려는 의미의 어휘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학습한 후 각 어휘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고려하여 선택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제시하는 것이 더욱 유용하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이유에 근거하여 먼저 한국어 교육용 양태부사를 공통의 양태 의미를 가진 어휘별로 분류한 후 각 어휘의 구체적 의미를 살폈으며, 공통의 양태 의미로 분류한 어휘들을 모아 ‘사실성 양태부사’, ‘가정성 양태부사’, ‘의지성 양태부사’의 세 가지로 묶는 귀납적 연구 방법을 취하였다.4장에서는 3장에서 의미적 특성을 논의한 한국어 교육용 양태부사의 문법적 특성을 살폈다. 각 어휘의 호응하는 문법 표현 또는 어휘, 주어 제약, 시제 제약, 서법 제약, 결합 용언의 품사 제약, 부정 표현 제약 등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각 양태부사의 화용적 측면에 대한 논의, 그리고 이상의 연구를 바탕으로 한 어휘 교수법의 제안 등은 과제로 남아 있다. The Paper is to build a list of modal adverb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classify modal adverbs, and then describe the meaning, function, and grammatical collocation and grammatical restrictions of each modal adverb. This paper begins with the following problems. First, students can not understand the modal adverbs correctly and use it freely. Second, it is not possible to apply the results of preceding Korean linguistics studies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rd, there has not been enough discussion and research on the overall modal adverb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refore, there is a lack of data that teachers and students can easily understand and utilize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data that teachers and foreign learners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ield can use and refer to in the process of teaching and learning modal adverbs and developing Korean language teaching materials. In Section 2, I review the adverb list in the two research result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and the list of adverb vocabulary presented in previous studies of Korean linguistics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list of modal adverbs that appeared in common in these three vocabulary lists was summarized and confirmed as the adverb list of the final study subject. Also, I analyzed the textbooks and examined the problems of modal adverb education in Korean textbooks. Based on this, a total list of 72 Korean language teaching adverbs was selected. In Section 3, semantic characteristics of each modal adverb are discussed and semantic classification is done. In this paper, I adopt a method to classify modal adverbs based on meaning. First, when human beings construct a sentence, the primary selection criteria of vocabulary and grammar selection are meaningful. Second, it is more useful to learn the vocabularies of the meaning that you want to express in a group, and to suggest the vocabulary so that you can select and use them consider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vocabularies. In this paper, first, based on these reasons, we first classify the modal adverb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to vocabularies with common meaning, and then examined the specific meaning of each vocabulary, collect vocabularies classified into common meaning as 'truth modal adverb', ‘supposition modal adverb’ and 'will modla adverb' using inductive method. In Chapter 4, I examined the grammat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modal adverbs for discussing semantic characteristics in Chapter 3. The grammatical expressions or vocabulary, subject constraint, tense constraint, clause constraint, part - of - speech constraint, and negative expressions constraint of each vocabulary are presented. However, the pragmatics did not develop the argument, and the lack of suggestion of vocabulary teaching method based on the above study is the limit of this paper.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의문문 교육 방안 연구

        김연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831

        Language is intended to be the tool for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and the way to replenish the lack of information. This communication process uses interrogative sentences. If the Korean language speaker haven't learned enough function of the interrogatives, it can cause the failure of meaning transmission. This is because interrogative sentence can be both a tool for asking questions but also speaking skill for indirect statements. Therefore 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suggest the method about interrogative sentences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The first step was to analyze the tendency of interrogative sentences in korean language books. Based on the recent study, we analysed Kyung-hee Korean listening, Kyung-hee Korean speaking, Seoul Univ. Korean, Yonsei Korean in each level and type for how interrogatives are introduced in listening and speaking conversations. In each level, interrogatives were increased in conversation as the level goes up until level 3(intermediate) and decreased after level 3. In the type of interrogative sentences, content question interrogative were emerged most frequently and alternative interrogative were the least. Also in level 3, all the types of interrogatives were educated. In Korean language books, interrogative sentences were based on the daily native speakers' usage of interrogative, however the overall function of the interrogative sentences were not introduced therefore th the context of interrogative usage were vague. It could be lead to possibility to cause the confusion to the learners whether interrogative is for questioning or for indirect statement.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textbook, we observed utterance of the advanced level students about interrogative sentences. As we have seen in their utterance, students tended to speak more based on their daily preference but less on the proper contextual manner. Especially they sometimes had hard times using specific interrogative grammar. Comprehensive overview about korean language learners' interrogative usage tells us that when the educator instruct interrogative grammar, the instructor should suggest explicit function of interrogative so that students can use proper grammar based on the context. Prior study, we suggested interrogative education in research study process. In this study, the purpose is to teach various types of interrogatives, so we represented students over level 4(intermediate2) who finished overall learning of interrogative grammar. In research study process is divided to problem declaration- specification of interrogatives- final conclusion statement- application of conclusion and generalization. Based on this process, we tried to make students adapt the interrogative function in each process. This study is significant units effort to analyze the tendency of interrogative statement in textbook and compare the actual utterance of the non-native korean language speaker so that suggesting instructions which include overall learning of interrogatives. Although the study had limited subject and have to prove the efficacy of interrogative educating based on the research study method, we hope the study could be the groundwork of future educational plan. 인간의 언어는 의사소통을 그 목적으로 하며 이때 발생하는 정보의 결여를 보충하기 위한 장치 중 하나가 의문문이라고 할 수 있다. 의문문은 질문의 기능뿐만 아니라 간접 화행 기능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한국어 학습자가 의문문의 다양한 기능을 학습하지 못할 경우 한국어 모어 화자와의 대화에서 실패를 야기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한국어 학습자의 성공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의문문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의문문 제시 양상을 분석하였다. 종래의 의문문 유형에 관한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경희 한국어 듣기』, 『경희 한국어 말하기』, 『서울대 한국어』, 『연세 한국어』 전 권의 대화문과 듣기 지문에 나타난 의문문을 발췌하여 수준별·유형별 분석을 하였다. 수준별 의문문 제시 양상을 살펴보면 초급1 단계에서 중급1 단계까지 의문문 출현 횟수가 증가하고 중급1 단계에서 가장 많이 출현한 후 감소하는 추세를 보인다. 유형별 의문문 제시 양상은 설명의문문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선택의문문이 가장 적게 나타났다. 또한 중급1 단계에서 모든 유형의 의문문 제시가 완료됨을 알 수 있었다.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의문문 제시 양상을 살펴보면 비교적 한국어 모어 화자의 의문문 사용 양상이 반영되어 있었으나 의문문 전체 기능에 대한 종합적인 설명이 제시되지 않으며 상황 맥락이 명확하지 않아 한국어 학습자로 하여금 질문의 기능을 하는 것인지 간접 화행의 기능을 하는 것인지에 대한 혼란을 일으킬 수 있는 요소가 있었다. 다음으로 교재 분석을 기반으로 하여 모든 유형의 의문문 학습이 완료된 한국어 고급 단계 학습자를 대상으로 의문문 발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자의 발화 양상을 살펴보면 상황 맥락에 맞는 의문문 발화보다는 평소 자신들이 즐겨 사용하는 의문문을 발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특정한 의문문 기능의 사용에 어려움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교재분석과 한국어 학습자의 의문문 발화 양상을 종합하여 보면 의문문 전반의 기능에 대한 통합적인 교육이 필요하며, 또한 명확한 상황 맥락을 제공하여 학습자로 하여금 상황 맥락에 적절한 의문문을 발화할 수 있도록 교육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앞서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탐구 학습을 통한 의문문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의문문의 다양한 기능에 대해 교육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으므로 대상자를 의문문 유형에 대한 학습이 완료된 중급2 이상으로 설정하였다. 탐구 학습의 단계는 ‘문제의 정의-의문의 구체화-결론 진술-결론의 적용 및 일반화’로 나누어서 학습자로 하여금 단계별로 발전하며 의문문 기능을 체득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방송 프로그램을 제시하여 구체적인 상황 맥락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의문문 제시 양상을 분석하고 이를 한국어 학습자의 발화 양상과 비교해 봄으로써 의문문 전반에 대한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 그러나 연구 대상이 한정적이며 탐구 학습 방법을 활용한 의문문 교육 방안의 효과를 검증하지 못한 점에서 아쉬움이 남는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의문문 기능에 대한 다양한 교육 방안이 제시되기를 바란다.

      • 공기관계를 활용한 한국어 한자어 교육 연구 : 중급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형문수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831

        利用搭配關系進行韓語漢字詞教育的研究 -以中國中級學習者爲中心- 韓語詞彙體系最顯著的特點之一是漢字詞所占比重很大。在作爲第二語言的韓語教學中,不僅要加強對非漢字文化圈的學習者的漢字詞教育,還應該加強對漢字文化圈中中國學習者的漢字詞教育。韓語漢字詞和漢語詞彙的相似性,讓中國學習者比其他外國學習者在漢字詞習得方面更具優勢;但由於兩者在形態、意義、用法上的差異,導致中國學習者在韓語漢字詞使用上會造成很多偏誤。 詞彙並不是作爲單獨的個體存在,在詞彙教學中,我們還應該考慮它所處的敘述結構。特別是當我們通過句子內的詞彙與其他要素的關系讓學習者來理解詞彙時,能極大提高學習者的語言學習效率。本研究試圖利用韓語漢字詞名詞的搭配關系,摸索可行的教學方法和方案,爲中國中級韓語學習者提供有效的漢字詞教育。 首先本研究通過文獻研究方法回顧了漢字詞及搭配關系的現有研究,並在此基礎上重新設定了漢字詞及搭配關系的概念和類型,重新闡釋了搭配關系在詞彙教育中的重要性。爲了解中國國內韓語漢字詞教育的現狀,研究者對中國境內大學韓語系的學生進行了問卷調查,並以調查結果爲基礎對教材和學習者的漢字詞使用偏誤進行了分析。通過問卷調查,確定了中國國內韓語語言教學中漢字詞課程設置、教學內容和教材使用上存在的問題,證明了搭配關系在漢字詞教育中的必要性和實用性。 爲了構建可行的教學內容和教育方案,本研究首先根據韓國國立國語研究所編制的『韓國語教育詞彙內容開發4階段』中列出的詞彙,選定了適用於中國中級韓語學習者的教育用漢字詞詞彙目錄。然後利用‘現代韓語基礎語料庫分析軟件-Hanmaru2.0’,從‘21世紀世宗計劃現代書面語形態意義分析語料庫’提取出了使用頻度最高的漢字詞名詞‘社會07,境遇,政府01,時代’的搭配信息,並將搭配的詞語按級別進行了分類。最後對分類後的搭配詞語進行分析,並把初級和中級中需要進行強化訓練的搭配詞語篩選出來,導入PPP教學模式,利用多種適當的活動制定了教學方案。 本研究的意義在於利用語料庫,構建能加強學習者對於漢字詞的理解且具有實用性的教育內容,並提供可以激發學習者學習興趣的視覺資料和教學活動,使得教學方案切實可行。希望本研究有助於提高中國學習者的韓語用詞能力和語言表達能力。 A Study on Korean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by Using Collocation Relationship -Focusing of Intermediate Chinese Learners- One of the most distinctive features of Korean language is that its vocabulary involves a lot of Chinese characters(Sino-Korean words).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for the Chinese characters as well as other Korean-learners who are non-Chinese-cultural background. Because of the similarity of the Chinese characters in Korean language and Chinese language, Chinese Korean-learners have more advantages in learning Chinese characters than other Korean-learners, but meanwhile they make a lot of mistakes because of the differences in the form, meaning and usage of those words in the two languages. Teaching vocabularies in their context in relation to elements that air together in sentences can help learners maximize the learning efficiency in language acquis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way of teaching Chinese characters by applying Lexical collocations between nouns among Chinese characters and other words for effective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Chinese intermediate Korean–learners. In this paper, we review the existing discuss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me nouns among Chinese characters and other word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methods, and rethink the importance of collocations in vocabulary educa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hina,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and analyzed textbooks of Korean language at regular universities in China. Through questionnaires, we identified the problems of the curriculum, contents, and textbooks and confirmed the necessity and practicability of the Chinese characters’ collocations in Korean-language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constructing practical teaching contents and preparing teaching methods, the list of Chinese characters for educational purposes for Chinese intermediate Korean-learners was selected based on the vocabularies listed in the ‘the 4th Stage of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tents’ compil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hen we extracts from ‘21st Century Sejong Plan Modern Octopus Type Semantic Analysis Corpus’ the col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st frequently used Chinese character nouns: ‘사회07, 경우, 정부01, 시대’ by using the analysis software ‘Hanmaru2.0’ often used in ‘Modern Korean Basic Corpus analysis’. In addition, we selected the elementary and intermediate collocations to be taught to the intermediate Korean-learners, introduced the PPP instructional model, and prepared educational programs with diverse and appropriate activiti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by utilizing corpus, to provide visual materials and instructional activities that can motivate learners in order to learn and understand the meaning of Chinese characters better, to construct educational contents with practicality and to enable practical learning. It is hoped that this discussion can be a basis for improving the vocabulary acquisition and thus, language expression ability of Chinese Korean–learners. 공기관계를 활용한 한국어 한자어 교육 연구 -중급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의 어휘 특징 중에서 가장 뚜렷한 것 중의 하나는 한자어의 비중이 많다는 것이다. 그래서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한자어는 비한자권 외국인 학습자는 물론 한자권에 속하는 중국인 학습자에게도 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한중 한자어의 유사성으로 인해 중국인 학습자들이 다른 외국인 학습자들보다 한자어 학습에 있어서 유리한 측면이 있으나 한중 한자어의 형태, 의미, 그리고 사용법 등의 차이로 많은 오류를 만들어내기 때문이다. 어휘는 원자적인 개별 단위로서가 아니라 그것이 쓰이는 구조와 기술이 함께 고려되고, 특히 문장 내에서 함께 공기하는 요소와의 관계를 통해 이해될 때, 언어 습득에 있어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본고에서는 중국인 중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에서 효과적인 한자어 교육을 위해 한자어 명사의 공기관계를 활용한 한자어 교육 방법을 모색하고 구체적인 교육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고에서는 이론적인 토대를 마련하기 위하여 문헌 연구 방법을 통하여 한자어와 공기관계에 대한 기존 논의를 살펴보고 한자어와 공기 관계의 개념과 유형을 다시 설정하여 어휘 교육에서 공기관계의 중요성을 정리하였다. 중국 내 한자어 교육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중국 내 대학교 한국어 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교재를 분석 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한자어 사용 시 중국인 학습자의 오류 양상을 분석하였다. 설문 조사를 통해 한자어 교육 과정 및 교육 내용, 그리고 교재에 관한 문제점을 밝히고 공기관계가 한자어교육에 있어서의 필요성과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실용적인 교육 내용 구축과 교육 방안 마련을 위하여 국립국어연구원에서 편찬한 『한국어 교육 어휘 내용 개발 4단계』에 수록되어 있는 어휘를 토대로 중국인 중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교육용 한자어 목록을 선정하였다. ‘현대국어 기초말뭉치 활용시스템 한마루2.0’과 ‘21세기 세종계획 현대문어 형태의미분석말뭉치’를 활용하여 빈도가 높은 한자어 명사 4개, 즉 ‘사회07, 경우, 정부01, 시대’의 공기관계 정보를 추출하고 단계별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초급과 중급 공기어 중 학습자에게 교육시킬 필요가 있는 것을 선택하고 PPP수업 모형을 도입하여 다양하고 적합한 활동으로 교육 방안을 마련하였다. 본고는 코퍼스를 활용하여 한자어 의미를 잘 이해하도록 하고 실제성이 있는 교육 내용을 구축하며 실제적 학습이 가능하도록 학습자들의 동기와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시각 자료와 교수 활동을 제공해 주는 데에 의의가 있다. 이런 논의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력을 향상시키고 언어 기능 수행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는 데에 기반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중도입국 청소년을 위한 중학교 가정 교과와 한국어 통합 교수·학습 방안

        박숙성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8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both to inspire Korean language skills of immigrant youths and to propos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at can also achieve the class goal of home economics. To do this, I constructed and developed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tegrated home economics and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e integration method extracts the main topic and vocabularies in the home economics of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and utilizes the content-based teaching method that can develop Korean language skills and acquires the content effectively.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has consisted of the two-way system of home economics and Korean language. For the specific application of the integrat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I apply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which can achieve the goal of the lesson effectively, utilize the audio-visual media to make students participate in class and develop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hat applies to the individual and group activities. This lesson plan consists of teaching-learning contents, teaching-learning activities, and teaching-learning materials by steps. By conducting the class related the shelter model learning among a type of content learning method, I select key words that are somewhat difficult in home economics and the flash word cards are used for immigrants youth to understand better. Immigrant youths have various nationalities. But they have common concerns like the same age group. The purpose of this study elicits not ‘An expression of exaggerated beauty’ but ‘An expression of independent and healthy beauty’ from immigrant youths who are very sensitive to appearance, clothes, and the trend. This lesson plan examines the process which women who have expressed beauty in East and West as well as Korea through the class. Also, it constructed for students to realize the way of pursuing beauty is similar even though the language is different and to form healthy beauty and the right clothes value. In addition, It makes immigrant youths have a big curiosity about the expressing ways of various beauties and give a presentation in the class activities positively through real experiences and sharing opinions. In addition, It consists of making immigrant youths have a big curiosity about the expressing ways of various beauties and involve in the class actively by giving a presentation about the way of expressing beauty with their real experiences and sharing opinions. Through the process of developing a lesson plan, I realize that the most important thing in Korean language lesson to adapt well to the regular curriculum is choosing ‘Content’ or ‘Theme’, which elicits their curiosities and concerns. In particular, home economics is not a subject for the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but a usefulness of subject for real life. Given that students have deep involvement in class, home economics has a strong advantage on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tegration. Limitations of the research are the failure to apply in the actual lesson, and the unsuitable application to students with low language proficiency because of big difficulties. As a result, it needs that on-site research of lesson plan, development of materials based on different levels of language ability and development of teaching-learning metho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immigrant youths. 본 연구는 중도입국 청소년 학습자들의 한국어 능력을 고취시키고, 가정 교과 성취도 이룰 수 있는 교수·학습 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가정과 교육과정과 한국어 교육과정을 통합한 교수·학습 방안을 구성·계발하였다. 통합 방법은 중학교 1학년 가정과 영역의 핵심 주제와 어휘를 추출하였고, 한국어 능력을 향상시키고 교과 내용을 효과적으로 습득할 수 있는 내용 중심 교수법을 활용하였으며, 가정 교과와 한국어 학습을 이원적 체계로 통합시켜 교수·학습 과정을 구성하였다. 통합 교수·학습 과정의 구체적 적용을 위해, 수업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 적용, 수업 참여도를 높이기 위한 시청각 매체의 활용, 그리고 개별 및 모둠 학습 활동을 적용한 교수·학습 지도안을 개발하였다. 본 지도안은 교수·학습 단계별로 교수·학습 내용과 교수·학습 활동, 교수·학습 자료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내용 중심 접근법 유형 중 내용 보호 학습에 관련된 수업을 진행함으로써, 가정 교과에 나오는 다소 어려운 어휘들 중 언어 학습을 할 수 있는 핵심 어휘를 선택하여 중도입국 청소년 학습자들이 교과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단어 카드를 사용하였다. 중도입국 청소년들의 국적은 다양하다. 하지만 또래 청소년기의 학습자들이 갖는 관심사는 공통적이며, 특히 자신의 외모나 의복, 유행에 민감하다. 이들 청소년기의 학습자들이 옷차림을 통하여 자기표현을 하고, 이것이 ‘과장된 미의 표현’이 아닌 ‘주체적이고 건강한 미의 표현’으로 추구할 수 있도록 이끌어주는 것이 이 수업 지도안의 목표이다. 본 수업 지도안은 동·서양 및 한국에서 여성들이 미를 표현해 왔던 과정을 살펴보며 학습자들이 언어가 다른 국적일지라도 미의 추구 방식은 비슷하다는 것을 깨닫게 하고, 건강한 미의 표현 및 올바른 의복 가치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중도입국 청소년들이 다양한 미의 표현 양식에 대해 호기심을 갖게 하고, 실제 경험을 통해 미의 표현 방식에 대해서도 주체적으로 발표하고, 의견을 공유하게 하는 등 적극적인 수업 활동을 하도록 구성하였다. 특히 한국어 소통에 어려움이 있으나 공통된 관심사인 ‘미의 표현’을 한국어로 익히고 친구들과 모둠활동을 하게 함으로 능동적이고 창의적인 수업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수업 지도안 개발 과정을 통해, 중도입국 청소년 학습자들이 일반 교육과정에 잘 적응하기 위한 한국어 수업에서는, 교육과정에 있는 다양한 학습 내용 중 호기심과 관심을 유도할 수 있는 내용(content) 또는 주제(theme)를 선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것임을 알게 되었다. 특히 가정 교과는 입시 위주의 교과가 아니라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어 주제 접근성이 높은 교과이며, 학습자들이 수업에 임하는 태도 역시 매우 적극적이라는 점에서 한국어 과정을 통합할 수 있는 장점이 큰 교과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수업 지도안을 실제 수업에 적용하지 못했다는 점, 언어 숙달도가 낮은 학습자에게는 난이도가 커서 적용하기에 적합하지 않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업 지도안의 현장 연구, 언어 능력의 수준별 자료 개발, 중도입국 청소년 학습자 특성에 따른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 등이 절실히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