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高麗時代 外官 任用體系 硏究

        최은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34271

        This study aimed to outline the appointment system of local officials during the Goryeo Dynasty through relevant cases and contemplate the significance. During the Goryeo Dynasty, those who reached certain degrees of qualification in accordance with central posts could be appointed as local officials, and the structure of local officials was composed of three stories. Chosawegwanjick was the first local government post to which new local officials were assigned, Gyesugwan Pangwan and magistrate of ordinary control counties were local government posts to which local officials were assigned during their service in posts between Chamsangjick and Chamwejick, and Gyesugwan’s magistrate was a local government post to which local officials were assigned during their service in Chamsangjick over the 6th-grade government post. Thus, this study examined how this three-story structure of local officials was established, operated and changed during the Goryeo Dynasty. Chosawegwanjick was first applied to Gyeong, Mok, and Dohobu during King Seongjong’s reign. There is a historical record about a man named ‘Wang Gah-do’, and it says that in 995 (the 14th year of King Seongjong’s reign), he won the first place in the state examination and was appointed to Seogyeong-jangseogi. In this post, there were 6 different positions, Jiseogyeongyususa, Seogyeongbuyusu, Seogyeongyusu-Pangwan, Sarokchamgunsa, Jangseogi and Beobjo, and out of them, successful state examinees were mostly appointed to Sarokchamgunsa and Jangseogi. The reason why they were appointed to these two positions was because Goryeo governed its local regions indirectly. With Gyeong, Mok and Dohobu used as administrative footholds, the structure of local officials was established in layers, and Sarokchamgunsa and Jangseogi were made to take full charge of local administration with the help of Hyangri, native government workers. Since they passed the state examination and were qualified with their literary arts, they were quite good at paper work-based administration. Therefore, they were dispatched as Sarokchamgunsa and Jangseogi. Chosawegwanjick was later extended into ordinary control counties in 1018 (the 9th year of King Hyeonjong’s reign) by the time when the local system of Goryeo was completed. The system of local officials was composed of Pangwan for Ju, Bu, Gun and Bangeojin, and Hyeonwi and Jinbujang for Hyeon and Jin. Unlike Chosawegwanjick for Gyeong, Mok and Dohobu, even officials from the system of Eumseo (officials appointed in the influence of well-known families, not through the state examination) could be appointed to Chosawegwanjick for ordinary control counties, which further led to an quantitative expansion of Chosawegwanjick. The local system during King Hyeonjong’s reign is referred to as control counties-subordinate counties System. Ordinary control counties had jurisdiction over subordinate counties as an administrative foothold, and there could be more than two local officials overlapped in this system. Out of all the jurisdiction scopes of ordinary control counties, there were some cases corresponding to Gyesugwan. Both Pangwan for Ju, Bu, Gun and Bangwojin and Hyeonwi and Jinbujang carried out their administrative duties with the help of Hyangri as Sarokchamgunsa and Jangseogi did. It indicates an extension of King Seongjong’s way of local governance. For more effective local governance, Goryeo had Chosawegwanjick established in all control counties areas. It is noticeable that Chosawegwanjick played a role as an opportunity for new government officials. Since they had neither career nor administrative experience at all, they had to build their administrative career for three years while being dispatched as local officials. When returning to Gaegyeong (the capital of Goryeo) after their terms of local posts, they could prepare conditions good enough to work as central officials. In other words, the establishment and expansion of Chosawegwanjick brought effective local governance from the central government’s point of view, and it was also regarded as an opportunity for new officials to attain distinction in Gaegyeong in the future. In 1106 (the first year of King Yejong's reign), the central government attempted to overcome Yuminanjip (the settlement of drifting people) by establishing Gammu in subordinate counties. Considering some cases such as Yang Won-jun, this study found out that Gammu was operated as Chosawegwanjick. Like Chosawegwanjick for ordinary control counties, all new government officials could be appointed to Gammu regardless of their backgrounds when they started government work. In 1172 (the 2th year of King Myeongjong's reign), Gammu was dispatched more by Lee Jun-ui. Basically,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appointment of Gammu between King Myeongjong’s reign and King Yejong’s reign, but there were some interesting cases, showing that sons from military nobility or nationally distinguished-service families and successful examinees of Gukjagamshi were appointed to Gammu. After King Gojong's reign, however, Ju-Bu-Gun Pangwan and Hyeonwi were abolished, which reduced the number of Chosawegwanjick. It was the consequence of more Gunhyeon areas under the jurisdiction of Gammu during King Yejong and King Myeongjong’s reigns. The local governance of Goryeo gradually turned into the system of One magistrate-One Gunhyeon due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local officials like Gammu. As a result, the nature of Gammu changed to that of a single magistrate, which indicates changes in Chosawegwanjick. Gyesugwan Pangwan and magistrate of ordinary control counties were government posts to which officials could be assigned during their service in posts between Chamsangjick and Chamwejick. In 995, the organization of Gyeong, Mok, and Dohobu was established, and it is believed that the standard for Pangwan appointment was also set at the same time. With the system of Gyesugwan improved in 1018, Pangwan remained as vice-minister for Gyeong, Mok, and Dohobu. Gyesugwan Pangwan could be applied by officials in either Chamsangjick or Chamwejick, which allowed them to hold an additional governmental position equivalent to Chamsangjick and even helped them express their social status in the local community. Ordinary control counties had two different aspects in nature. One was civilian administration for Ju, Bu, Gun and Hyeon, and the other was military administration for Bangeojin and Jin. magistrate for Ju, Bu, Gun and Bangeojin had the same appointment conditions as Gyesugwan Pangwan, but magistrate for Hyeon and Jin had relatively lower conditions. Before 1018, magistrate for Ju, Bu, Gun and Bangeojin had been already put in place, but it became the most extensive and universal government post after 1018. Therefore, it was important to secure human resources many enough to recruit for this position. Goryeo government officials had their capabilities of literary and public post verified while holding several different positions, such as Gwonmujick and Chamwejick beside Chosawegwanjick. Moreover, when they reached posts between the 7th-grade post and the 6th-grade post, they were given an opportunity to get promoted to Chamsangjick through their career as local officials. To be appointed to Hyeonryeong and Jinjang, officials had to have actual administrative careers more than Chosawegwanjick and less than the 8th-rank post. Considering this fact, it is clear that Hyeonryeong and Jinjang were higher than Chosawegwanjick, but lower than magistrate of ordinary control counties. Yet, according to such historical records as Baekgwanji Wejick and Sikhwaji Wegwanrok, Hyeonryeong and Jinjang were treated almost the same as Chosawegwanjick. Ordinary local officials of control counties were qualified and treated according to the practices on Gyesugwan local officials. Since the status of Ju, Bu, Gun magistrate was supposed to be similar to that of Gyesugwan Pangwan, Hyeonryeong and Jinjang were set lower in qualification and treatment. Specifically, the qualifications of Hyeonryeong and Jinjang were set higher than the 7th-grade post, but lower than the 6th-grade post, which created a phenomenon that they were regarded the same as Chosawegwanjick in qualification. However, as Hyeonryeong and Jinjang corresponded to magistrate of ordinary control counties, it is believed that when being actually appointed, they were regarded higher than Chosawegwanjick, but lower than Gyesugwan Pangwan and magistrate of ordinary control counties. There took place some changes in the appointment standard for Gyesugwan Pangwan and magistrate of ordinary control counties in 1308 (the reinstatement of King Chungseon). Out of Ju, Bu, Gun and Hyeon, Bu was upgraded in status. As a result, ordinary control counties changed to Ju, Gun and Hyeon. While officials over the 6th-grade post were assigned to magistrate for Ju and Gun, but those who even had defects in social standing could be appointed to Hyeonryeong, which shows another change in the appointment system of local officials. In addition, as Pangwan and Hyeonwi were abolished, only magistrate was dispatched to ordinary control counties, gradually changing the existing system to One magistrate-One Gunhyeon System. Gyesugwan’s magistrate was the highest post out all the local officials in Goryeo. However, there was a certain difference in rank between magistrate for Gyeong and magistrate for Mok and Dohobu. Jiseogyeongyususa and Donggyeongyususa were posts to which the third-grade officials could be assigned, while Seogyeongbuyusu and Donggyeongbuyusu were ones to which the fourth-grade officials could be appointed. Yet, Namgyeongyusu and Namgyeongbuyusu were lower than magistrate for Donggyeong and Seogyeong in rank, so the 4th to 5th-grade officials could be assigned to these posts. Magistrate for Mok and Dohobu had the same appointment standard as the 5th to 6th-rank posts, which was slightly lower than magistrate for Namgyeong. Therefore, the status of Mok and Dohobu magistrate was positioned lower than that of Gyeong magistrate, and officials serving in posts corresponding to Chamsangjick were appointed to this post. When officials completed their duties as Chosawegwanjick, Gyesugwan Pangwan or magistrate of ordinary control counties, they did not go back to the same posts again. Especially, when Gyesugwan’s magistrate completed his duties for Mok and Dohobu, he was assigned to magistrate for Gyeong. It indicates that there was a dividing line between magistrate for Gyeong and magistrate for Mok and Dohobu, and also reveals the symbolism of Gyeong. The change in Gyesugwan’s magistrate started from King Gojong’s reign in earnest. Among Ju, Bu and Gun, many villages were promoted to Dohobu, resulting in a quantitative expansion of Gyesugwan. In addition, with the local system reorganized in 1308, Goryeo changed Seogyeong, Donggyeong, and Namgyeong changed into Pyeongyangbu, Gyerimbu, and Hanyangbu, and Mok, Dohobu, and some orinary control counties into Mok. In 1310, however, some of the Mok areas were demoted to Bu. Through this process, all of the appointment standards for Goryeo local officials changed greatly, which had been maintained for about 290 years. The third-grade officials were dispatched as Buyun and Moksa for Gyeomgyo-jaeshin, while the fourth-grade officials were dispatched as Jibusa. The appointment system for local officials in Goryeo featured a long-term continuity. Although there were some possible factors leading to such changes as more Gammu dispatched and Gunhyeon specially promoted, the basic operation principles established in 1018 were not revised until King Chungseon’s reign. Goryeo established the system of local officials in the beginning of the country foundation and intended to govern local areas by dispatching central government there. This is how the appointment system of local officials became institutionally completed through King Seongjong and King Hyeonjong reigns. Not all the government officials were dispatched to local regions even though they met the appointment standard for local posts. They tried to consistently select suitable people for effective local governance before dispatching officials. When it comes to the process of selecting central officials for local dispatch, a high-ranking official recommended an official who met the appointment standard. Then, Sangseoyibu investigated him and prepared a draft, and asked the king for approval. Afterwards, when the king approved the appointment, Daegan had the certificate of appointment signed. This process shows that the personnel administration for local officials was conducted in the same manner as that for central officials. Therefore, the system of local officials in Goryeo featured being operated within the structure of central officials, and no one refused to be appointed to local posts as long as they were officials of Goryeo. It is pointed out that the appointment system of local officials in Goryeo turned into a mess after the Military Regime period. There were some historical events directly related to the personnel management of local officials, such as the phenomenon of personnel congestion and the implementation of an administrative system called ‘Munmugyochaje’ during this period. Thus, this study looked into how they took place in those days. The personnel congestion of local officials mainly happened to successful state examinees, especially when being appointed to Chosawegwangick. It was because the state examination of Goryeo was regularly performed, and the number of successful examinees was regulated. In other words, the state examination was originally characterized as an employment test to recruit as many government workers as necessary in the early Goryeo Dynasty, but it turned into a qualification test during the Military Regime period. The Munmugyochaje system featured being applied to villages where two or more local posts were established. In other words, a literary official and a military official were dispatched together to govern a local area. Therefore, it seems that this system was applied to all the control counties areas, except villages where Gammu was dispatched. However, there was no case that a military official was dispatched as Chosawegwanjick, and literary officials were mostly appointed to Gyesugwan and ordinary control counties, probably because civil servants were administratively superior to military officers. The military administration tried to maintain its regime by stabilizing local regions rather than exploiting them. Thanks to such an attempt, the appointment system of local officials could be maintained in Goryeo for a long time. 본 연구는 고려시대 外官의 임명 사례를 분석하여 任用體系의 大體를 밝히고 그 의미를 고찰하였다. 고려 외관은 京官에 조응하여 일정한 품질에 도달한 관인을 대상으로 임명하였다. 이에 외관의 구조는 모두 3층으로 구성되어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初仕外官職은 초입사자에게 최초로 제수되는 외관직, 界首官 判官 및 일반 主縣 守令은 叅上職과 叅外職의 계선에 재임하고 있는 관인에게 제수되는 외관직, 그리고 界首官 守令은 6품 이상의 참상직에 재임하고 있는 관인에게 제수되는 외관직이었다. 이에 외관의 3층 구조의 성립⋅운영⋅변화를 살펴보았다. 초사외관직은 성종대 京⋅牧⋅都護府에서 처음 운용되었다. 이는 995년(성종 14)에 王可道가 과거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西京掌書記에 보임되었던 내용에서 비롯된다. 西京留守官에는 知西京留守事, 西京副留守, 西京留守判官, 司錄叅軍事, 掌書記, 法曹가 두어졌는데, 이중 사록참군사와 장서기를 과거급제자에게 제수한 것이다. 과거급제자를 사록참군사⋅장서기에 보임한 이유는 고려가 거점을 중심으로 지방을 간접지배했기 때문이었다. 고려는 경⋅목⋅도호부를 거점으로 하여 외관을 중첩적으로 설치하였고, 사록참군사⋅장서기로 하여금 지방 향리와 긴밀히 행정을 담당하도록 하였다. 과거급제자는 문한의 능력이 검증된 사람들로 문서 행정에 능했다. 그러므로 그들을 사록참군사⋅장서기로 파견하게 되었다. 초사외관직은 고려 지방제도가 완비되는 1018년(현종 9)에 일반 주현으로 확대되었다. 州⋅府⋅郡⋅防禦鎭의 判官과 縣⋅鎭의 縣尉⋅鎭副將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일반 주현의 초사외관직은 경⋅목⋅도호부의 초사외관직과 달리 과거급제자 뿐만 아니라 음서 출신 관인에게도 제수되었다. 이는 초사외관직의 양적 확대를 수반하였다. 현종대 지방제도의 특징은 주현-속현 체제로 일컬어진다. 일반 주현도 거점으로 속현을 관할하였는데, 여기에 2인 이상의 외관이 중첩적으로 설치되었다. 일반 주현의 관할 범위 중에는 계수관에 준하는 경우도 있었다. 주⋅부⋅군⋅방어진의 판관과 현위⋅진부장은 사록참군사⋅장서기와 마찬가지로 지방 향리와 긴밀하게 행정 업무를 수행하였다. 이는 성종대 지방 통치 방식의 확대를 의미하였다. 고려는 효과적인 지방 통치를 위해 모든 주현에 초사외관직을 설치하게 되었다. 다만 초사외관직은 초입사자에게도 기회로 작용하였다. 실직 경력과 행정 경험이 전무한 관인들은 외관에 임명되어 지방에 파견됨으로써 3년 동안 실적을 쌓을 수 있었다. 그리고 임기를 마치고 개경으로 돌아와 중앙 관인으로서 활동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였다. 즉 초사외관직의 성립과 확대는 정부의 입장에서는 효과적인 지방 통치를 가져올 수 있었고, 초입사자의 입장에서는 추후 개경에서 현달할 수 있는 기회로 여겨졌다. 1106년(예종 1)에 정부는 속현에 監務를 설치하여 유민안집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梁元俊 등의 사례를 보건대 감무는 초사외관직으로 운영되었음을 알 수 있다. 감무는 일반 주현의 초사외관직과 마찬가지로 입사방법에 구애받지 않고 모든 초입사자에게 제수될 수 있었다. 1172년(명종 2)에 李俊儀에 의해 다시 한번 감무가 증파되었다. 기본적으로 감무의 임명은 예종대에 정해진 것과 다른 점이 없었는데, 일부 감무를 역임했던 사례 중에 무반가문의 자제, 國子監試 합격자, 가족구성원의 공훈으로 임명되기도 하였다. 또한 고종대 이후로 주⋅부⋅군 판관 및 현위가 혁파되어 초사외관직이 감축되었는데, 예종대와 명종대에 감무의 증치로 외관의 관할을 받는 군현이 증가하였기에 나타난 결과였다. 고려의 지방 지배는 감무 등 외관의 증치를 통해 점진적으로 1수령-1군현으로 변모하였다. 그러므로 감무의 성격은 단독 수령으로 바뀌었고, 이는 초사외관직의 변화를 가리키는 것이었다. 계수관 판관과 일반 주현 수령은 참상직과 참외직의 계선에 위치한 관인에게 제수되는 관직이었다. 995년에 경⋅목⋅도호부의 직제가 마련되었고, 판관의 임명 기준도 이때 정해졌다고 여겨진다. 1018년에 계수관제가 정비되면서 판관은 경⋅목⋅도호부의 차관으로 존속하였다. 계수관 판관에는 참상직자와 참외직자 모두 나갈 수 있었는데, 참상직에 해당하는 경직을 겸대하도록 하여 지방 사회에서 그 지위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해주었다. 일반 주현은 민정적 성격의 주⋅부⋅군⋅현과 군정적 성격의 방어진⋅진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주⋅부⋅군⋅방어진의 수령은 계수관 판관과 임명 조건에서 동일하였지만, 현⋅진의 수령은 다소 낮았다. 1018년 이전에 주⋅부⋅군⋅방어진의 수령은 이미 마련되어 있었고, 1018년 이후에는 가장 광범위하면서도 보편적인 관직이었다. 그러므로 이 관직에 충원할 관인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였다. 고려의 관인은 초사외관직을 비롯하여 권무직과 참외직을 역임하여 文과 吏에 대한 능력이 검증받았고 7품 이상 6품 이하에 이르게 되면 외관을 통해 참상직으로 승진할 기회를 부여받을 수 있었다. 현령과 진장은 초사외관직 이상 8품 이하의 실직 경력을 보유한 관인에게 제수하였다. 이로 보면 현령과 진장은 초사외관직보다는 상위이지만, 계수관 판관 및 일반 주현 수령보다는 하위였음을 알 수 있다. 다만 󰡔高麗史󰡕 백관지 외직 및 식화지 외관록 등을 보면 현령과 진장은 초사외관직과 유사한 대우를 받고 있었다. 일반 주현 외관의 품질과 대우는 계수관 외관에 대응시키는 방법으로 정해졌다. 주⋅부⋅군 수령이 계수관 판관과 유사한 지위여야 했으므로, 현령과 진장은 그보다는 낮게 책정해야 했다. 따라서 현령과 진장의 품질을 6품 이상보다 한 단계 낮은 7품 이상으로 정했는데, 이것이 초사외관직의 품질과 동일하게 되는 현상으로 나타난 것이다. 다만 현령과 진장은 일반 주현 수령에 해당되므로 실제 임명에서는 초사외관직보다는 높게 하고 계수관 판관 및 일반 주현 수령보다는 낮게 했다고 여겨진다. 계수관 판관과 일반 주현 수령의 임명 기준은 1308년(충선왕 복위)에 변화가 수반되었다. 먼저 주⋅부⋅군⋅현 중에서 부의 지위가 상승되었다. 이에 일반 주현은 주⋅군⋅현으로 고쳐졌다. 주⋅군의 수령은 6품 이상의 관인에게 제수된 반면, 현령은 신분적으로 하자가 있는 인물이 임명되기도 하는 등 일정한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판관과 현위가 폐지되어 일반 주현에는 수령만이 파견되도록 하여 1수령-1군현 체제로 바뀌어갔다. 계수관 수령은 고려의 외관 중 가장 지위가 높은 관직이었다. 다만 경의 수령과 목⋅도호부의 수령 사이에 일정한 지위의 차이가 있었다. 지서경유수사와 東京留守使는 3품 관인에게, 서경부유수와 東京副留守는 4품 관인에게 제수되었다. 다만 南京留守와 南京副留守는 서경과 동경의 수령보다는 그 지위가 낮아 4~5품 관인에게 제수되는 차이를 보인다. 목⋅도호부의 수령은 남경의 수령보다 근소하게 낮은 5~6품의 임명 기준을 지녔다. 그러므로 목⋅도호부 수령의 지위는 경의 수령보다 하위에 위치하였고, 참상직에 해당되는 관인에게 제수되었다. 다만 초사외관직과 계수관 판관 및 일반 주현 수령은 그 경력을 보유하면 다시 나가지 않았는데, 계수관 수령은 먼저 목⋅도호부에 다녀온 후 재차 경의 수령에 제수되었다. 이는 경의 수령과 목⋅도호부의 수령 사이에 계선이 있었음을 의미하며, 경이 가지는 상징성을 드러낸 것으로 여겨진다. 계수관 수령의 변화는 고종대부터 본격화되었다. 주⋅부⋅군 중에 도호부로 승격되는 고을이 다수 등장하여 계수관의 양적 확대를 가져왔다. 또한 1308년에 지방제도가 개편되면서 서경⋅동경⋅남경을 平壤府⋅鷄林府⋅漢陽府로 바꾸고 목⋅도호부와 일부의 일반 주현을 모두 목으로 고쳤다. 또한 1310년에 또다시 일부 목을 부로 강등하였다. 이 과정에서 약 290년동안 유지되어왔던 고려 외관의 임명 기준이 모두 변화하였다. 府尹과 牧使는 3품 관인에게 검교재신을 겸대하도록 하고, 知府事에는 4품 관인을 파견한 것이다. 이렇듯 고려의 외관 임용체계는 장기적으로 지속되었다는 특징을 지닌다. 비록 감무의 증치와 군현의 특례 승격 등의 변화가 따를 수 있는 요인도 있었지만, 1018년에 마련된 기본적인 운영원리는 충선왕대에 이르러서야 고쳐진 것이다. 고려는 국초부터 외관을 설치하고 중앙의 관인을 파견하여 지방을 통치하고자 하였다. 이것이 성종대와 현종대를 거쳐 제도적으로 완결성을 지닌 형태로 등장하게 된 것이다. 다만 외관의 임명 기준에 부합하는 관인을 모두 지방에 파견한 것은 아니었다. 고려는 외관을 파견함에 있어서 효과적인 지방 통치를 구현하기 위해 적합한 인물을 꾸준히 선발하였다. 외관으로 파견할 중앙 관인을 선발하는 과정은 고위 관인이 임명 기준에 부합하는 관인을 천거하고 尙書吏部에서 銓注하여 批目을 작성해 국왕에게 결재를 요청하였다. 그리고 국왕이 외관 인사에 결재하여 외관의 임명이 이루어졌고, 마지막으로 臺諫의 署經을 거쳐야 했다. 이는 외관의 인사행정이 경관과 동일하게 이루어졌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고려의 외관제는 경관제의 구조 안에서 운영되었다는 특징을 지니며 고려의 관인은 외관에 임명되는데 있어 거부하지 않았다. 고려의 외관제는 무신집권기 이후로 문란해졌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외관의 인사에 직결되는 변화는 인사 적체 현상과 文武交差制를 꼽을 수 있는데, 이것이 당대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살펴보았다. 외관의 인사 적체는 초사외관직의 임명 과정에서 과거급제자에 한해 주로 나타났다. 이는 고려의 과거가 정기적으로 시행되고 또 급제 인원이 규정화되었기 때문이었다. 즉 고려전기에 과거는 필요에 따라 관인을 선발하기 위한 임용시험의 성격을 지녔다면, 무신집권기에 과거는 자격시험의 성격으로 전환되었다. 문무교차제는 2인 이상의 외관이 설치된 고을에 적용되는 특성을 지녔다. 즉 文班과 武班이 함께 기용되어 지방을 통치해야 했던 것이다. 그러므로 감무가 파견된 고을을 제외한 모든 주현에 문무교차제가 적용되었다고 할 수 있다. 다만 초사외관직에는 무반이 파견된 사례가 전무하였다. 또한 계수관과 일반 주현에도 주로 문반 위주의 임명이 이루어졌다. 이는 문반이 행정적으로 무반보다 능했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그리고 무신집정은 지방에 대한 착취⋅수탈보다는 안정을 기하여 정권을 유지하려 하였다. 이러한 점으로 인하여 고려 외관 임용체계는 장기적으로 지속될 수 있었다.

      • 조선후기 '華陽洞' 공간의 정치적 의미

        박소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4271

        兩亂과 명 멸망을 거치면서 형성된 尊周大義는 조선후기 지식인들에게 의리의 차원으로 설정되어, 통치의 정당성을 부여한 가치로 인식되었다. 존주대의론의 전개 과정에서 형성된 ‘화양동’ 공간의 위상에 대해 파악하기 위해서는 이의 흐름과 연계하여 살펴야만 한다. 이를 위해서는 조선후기 존주대의와 ‘화양동’ 공간을 유기적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조선후기 존주대의가 태동함에 따라 조성된 ‘화양동’ 공간의 여러 변곡점을 추적하였다. ‘華陽洞’은 현종 7년(1666) 송시열이 우거하기 시작한 이래 조선후기 尊周大義에 대한 권위를 상징하는 곳으로 점차 자리매김할 수 있었다. 송시열은 ‘화양동’에 머물며 중국식 의복을 착용하거나 명 황제의 어필 암각을 통해 이곳이 존주대의를 기억할 수 있는 공간이 되도록 조성하였다. 송시열 사후 그의 문인들은 송시열의 도통을 시각화한 華陽九曲 설정하여, ‘화양동’의 존주대의에 대한 위상을 강조하고자 했다. 또한 숙종 21년(1695) 己巳換局 당시 실추된 송시열의 권위를 회복시키고자 송시열의 문인들은 ‘화양동’에 華陽書院을 건립 후, 사액을 받아내었다. 이에 따라 ‘화양동’은 점차 노론의 정치·사상적 위상을 담지한 공간으로 기능하기 시작했다. 한편, 명 멸망 1주갑인 숙종 30년(1704)을 전후하여, 국가와 송시열의 문인들은 大報壇과 萬東廟를 설립하여, 존주대의를 현창하고자 했다. 이 과정에서 경상도 상주에서 영남 남인의 거두인 李萬敷와 ‘江門八學士’의 일원인 成晩徵 간에 만동묘를 둘러싼 논쟁이 발생했다. 이의 핵심은 만동묘의 非禮性과 黨論의 유무였다. 이러한 논란에도 불구하고 ‘화양동’은 숙종 42년(1716) 이루어진 丙申處分을 통해 노론의 정치적 부침 속에서도 그 명맥을 이어갈 수 있었다. 18세기 접어들어 국가가 존주대의를 주도하려는 움직임이 발생함에 따라 ‘화양동’ 또한 한 차례 변동을 맞이한다. 영조는 ‘화양동’에 대한 견제를 통해 국왕의 위상을 강화하는 조치를 시행하였다. 그 과정에서 대보단에 홍무제와 숭정제를 합사하는 등 만동묘와 대보단 간의 위계를 설정하였다. ‘화양동’을 견제하였던 영조와 달리 정조는 ‘화양동’과 송시열이 지닌 존주대의에 대한 이미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특히 정조는 정조 즉위년(1776) 발생한 ‘이명휘 옥사’를 통해 이러한 의지를 적극적으로 표출하였다. 그러나 정조는 ‘화양동’과 송시열의 이미지를 어디까지나 존주대의의 명목에만 국한하는 모습을 보인다. 또한 정조는 󰡔尊周彙編󰡕 「皇壇志」의 부록으로 「華陽洞志」를 수록하여, ‘화양동’이 존주대의의 자장 하에 포섭되었음을 드러내었다. 17~18세기를 거쳐 확고한 정치·사상적 지위를 획득한 화양동은 19세기에도 그 위상을 견지하였다. 하지만 그 위상이 높아짐에 따라 ‘화양동’의 폐단 또한 지적되었다. 순조 3년(1803) 11월 ‘강세정 사건’을 통해 공권력에 직접적인 도전을 하거나 ‘福酒村’과 ‘華陽墨牌’를 통해 불법적인 이득을 취하였다. 한편 ‘화양동’은 이곳의 정치‧사상적 지위를 강조해주던 만동묘와 화양서원이 연이어 철폐됨에 따라 위기를 맞게 된다. 그러나 고종 11년(1874) 만동묘가 복설됨과 동시에 국가 사전체제 하에 편입되어 ‘화양동’의 위상은 다시금 강화될 수 있었다.

      • 壬辰倭亂 直後 朝鮮의 對日講和政策 性格硏究

        김경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34271

        壬辰倭亂期의 明ㆍ日 강화교섭은 조선에 부정적인 강화인식을 축적시켰고, 北人은 柳成龍을 강화주도자로 설정하여 탄핵했다. 그러나 명군 철수 후 德川家康이 우호적으로 강화교섭을 요청해오자, 강화배격만으로는 이에 대응할 수 없다는 것을 인식한 宣祖는 北人을 실각시키고 이덕형에 對日정책을 맡겼다. 이덕형은 전쟁 종결을 위해 궁극적으로 일본중앙정권과의 강화가 이루어져야만 한다는 것을 인지했다. 하지만 그는 對馬를 대상으로 한 정책을 펼쳤다. 섣불리 對日강화가 거론될 수 없었던 당시 분위기와 함께, 그는 對馬를 견제ㆍ포섭하여 자강한 후, 幕府와의 교섭을 유리하게 이끌고자 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정책을 일결 짓기 위해 필요했던 明의 委官이 파견되지 않고, 선조가 강화성사를 재촉하면서 정책은 중단되었다. 선조는 이제 勝戰의 명분을 얻은 상태에서의 조속한 강화를 원했다. 유영경은 이러한 선조의 의향에 부응했다. 그는 家康이 조선에 서계를 전하려했다는 정보와, 犯陵賊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이를 사절 파견명분으로 활용했다. 유영경은 명분확보에 만족하지 않고, 명분을 强化하는 과정을 거쳤다. 對馬가 보내온 가짜 犯陵賊을 진짜로 포장하여 宗廟에 바치고자 한 것이다. 이러한 시도는 가짜 犯陵賊의 처형을 반대하는 여론에 의해 위기를 맞았으나, 전쟁을 승리로 마무리 지으려는 宣祖의 강력한 지원에 힘입어 처형에 이르렀고, 명분 强化과정과 별도로 준비되던 사절은 그 즉시 파견되었다.

      • 高麗後期 對元關係의 변화와 북방지역

        강재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34271

        This study examines the evolution of Koryǒ-Yuan relations in the 13th and 14th centuries and its important feature, the loss and restoration of Koryǒ's northern territories. In particular, it comprehensively covered the loss and restoration of Dongnyeongbu(東寧府) and Koryǒ's northwestern territories, which were established in 1270 and abolished in 1290, as well as Ssangseong Chonggwanbu(雙城摠管府) and Koryǒ's northeastern territories, which were established in 1258 and restored in 1356. In the early 11th and 12th centuries, Koryǒ society faced internal and external crises. Internally, communities were disintegrating, especially at the local level, and externally, stability was threatened by the rapid growth of Wanyanbu Nuzhen(完顔府 女眞). As the internal and external crises spread, the Koryǒ ruling class sought to overthrow the crisis by relying on Fengshui-Docham(風水圖讖) references. The Debate of Transferring Capital of Seokyung(西京遷都論) and the Myeocheong(妙淸)'s rebellion against Capital of Seokyung, which was sparked by its failure, led to a conflict between the central and northern regions of Koryǒ. The Seogyeong rebels proclaimed a national anthem and established a year, but they also requested the return of the king and denied the Koryǒ dynasty. Instead, he envisioned bringing the Haidong T'enghi(海東天子) to Seogyeong, where the royal aura was strong, to proclaim the T'enghi Kingdom(天子國), but was thwarted by the central powers, including Kim Bu-sik(金富軾). In the end, the conflict between the central and northern regions of Koryǒ was not resolved and was covered up by changes in internal and external conditions. Meanwhile, Koryǒ society missed the opportunity to reform and eventually fell into a catastrophe called the Mushin Rebellion(武臣政變). After the Seogyeong Rebellion, the conflict between the central and northern regions of Koryǒ intensified, and there was a movement to involve foreign powers in the struggle, and the emergence of the Mushin Regime(武臣政權) accelerated it. In the early King MingJong(明宗), the rebellion of Jowichong(趙位寵) in the northern regions was sparked by the anarchists to abdicate the king and correct the state system. However, due to the non-cooperation and isolation of some northern provinces, he was unsuccessful, and when the tide of battle turned against him, Jowichong(趙位寵) wanted to take the western and northern provinces and surrender them to the "Jin Dynasty(金)". The phenomenon of "Bu-ta(附他)" refers to the movement to achieve the political objectives of a state through alliances with foreign powers outside of the consideration. This tendency is epitomized in Jowichong(趙位寵) rebellion, and later, in the 13th century, in a more intensified form, in the Tumong(投蒙) phenomenon. Although Jowichong(趙位寵)'s "Bu-ta(附他)" ultimately failed due to the rejection of Jin Dynasty(金), this pattern led to an attempted surrender in the early 13th century by the Dongjin(東眞) of Hansun-Daji(韓恂·多智), a local resident. During the subsequent Koryǒ-Mongol War, the pattern of Tumong(投蒙), or attempts to surrender to foreign powers, spread not only in the northern regions but also in society as a whole, eventually pushing Koryǒ society to the brink of collapse. The expansion of 'Bu-ta(附他)' to 'Tumong(投蒙)' was due to the explosion of long-standing distrust and conflict with the center of Koryǒ, centered on the indigenous forces in the northern regions. In addition, the Mongols attempted to separate the Koryǒ military region of the North from the mainland. These plans were realized in 1258 when a rebellion led by Chohwi-Taekcheong(趙暉·卓靑) in the northeastern part of Koryǒ, and the subsequent establishment of the Ssangseong Chonggwanbu(雙城摠管府), took place. While the establishment of Ssangseong Chonggwanbu(雙城摠管府) is ostensibly a result of the Chohwi-Taekcheong(趙暉·卓靑) rebellion, it should be understood as a continuation of Mongolia's plan to separate the northern regions from Koryǒ long before that. With the end of the war and the establishment of peace, Koryǒ-Yuan relations entered a new phase. The so-called "Kublai's instructions(世祖舊制)" agreement was created, which allowed Koryǒ to regain control of the northern regions that it had lost during the war. Koryǒ worked to rebuild the war-torn north. However, the power structure within Koryǒ was still unstable, and it eventually came to a head when Im-yeon(林衍) abdicated King Wonjong(元宗). The rebellion of Choi-tan(崔坦) and others was a large-scale rebellion in the northern part of the country with the aim of removing Im-yeon(林衍) and restoring King Wonjong(元宗), which led Yuan to station troops in the northern part of Koryǒ and put pressure on it. The rebels, including Choi-tan(崔坦), surrendered to Yuan, and as Yuan established Dongnyeongbu(東寧府), Koryǒ lost its territory in the northwest. The establishment of Dongnyeongbu(東寧府) was intended to actively utilize Koryǒ in the foreign policy that Kublai was pursuing, namely Yuan's Japan(日本)-South Sung(南宋) route. Since Koryǒ was geographically adjacent to Japan(日本)-South Sung(南宋), Yuan wanted to actively utilize it and promote smooth foreign conquest based on Koryǒ's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In addition, it existed solely for the benefit of Kublai, who wanted to keep the power of the Eastern Kingdoms(東方王家), a potential threat to Kublai, in check. After its establishment, Dongnyeongbu(東寧府) was promoted to Dongnyeongro(東寧路), and its internal organization changed. In other words, at the beginning of its establishment, the command was formed with indigenous forces from the northern region such as Choi-tan(崔坦) as the governor(摠管) and Cheonho(千戶), but later, as the Koryǒ-Yuan relationship stabilized, key points such as Seogyeong and Uiju(義州) were directly controlled by Yuan, and the rest of the region was peripheralized as indigenous forces such as Choi-tan(崔坦) were given jurisdiction. The military function of Dongnyeongbu(東寧府) was to serve as a garrison for Yuan's army for Japanese expeditions and as a production base for supplies. While the region's proximity to Koryǒ served to put pressure on Koryǒ, it shared the role of supplying and producing war materials with Koryǒ in preparation for the Japanese expedition. Yuan set up the Jeongdong-Hangsung(征東行省) in Koryǒ and made the king of Koryǒ the head of the organizations, hierarchically absorbing the military power of the Jeongdong Command Center(征東元帥府) into the Jeongdong-Hangsung(征東行省) and establishing a unified command system. Dongnyeongbu(東寧府) was also the hinterland of Jeongdong Command Center(征東元帥府), and naturally became part of Jeongdong-Hangsung(征東行省) when the Jeongdong Command Center(征東元帥府) was incorporated into Jeongdong-Hangsung(征東行省). Koryǒ continued to expand its influence in the region, and as a result, it was able to restore its northwestern frontier. Ssangseong Chonggwanbu(雙城摠管府) was eventually restored to Koryǒ by force in King Gongmin's so-called anti-Yuan reforms. King Gongmin actively utilized "Kublai's instructions" and "the head of the Jeongdong-Hangsung", which had been the framework of the Koryǒ-Yuan relationship, to expand his influence over the Ssangseong region in the name of the outbreak of wandering people in the Ssangseong region. He used the rebellion of the Ssangseong rebels and the Gichul(奇轍) clan to massively purge the Gichul(奇轍) clan, and not only restored all the northern areas lost when he abolished Ssangseong Chonggwanbu(雙城摠管府) by force, but also expanded the northern area by controlling additional territories in the north of Hamju(咸州). However, the long-standing Koryǒ-Yuan relationship developed a sense of solidarity between the Koryǒ forces in the Yoyang(遼陽) region and the Koryǒ homeland, and the "Red Bandits(紅巾賊)" reaffirmed that bond when the Koryǒ groups in the Yoyang(遼陽) region migrated back to the Koryǒ homeland. Lee Sung-gye(李成桂) led his army to capture ‘Ura Castle’ and Dongnyeongbu(東寧府) in Yoyang, and strongly promoted the repatriation of the Koryǒ people who lived in the Yodong region. 본 연구는 13~14세기 고려·원 관계의 추이와 그 중요한 특징인 고려의 북방지역 상실 및 수복에 관해 다루었다. 특히, 1270년 설치되어 1290년 폐지되었던 동녕부와 고려의 서북면 영토, 1258년 설치되어 1356년 수복되었던 쌍성총관부와 고려의 동북면 영토의 상실 및 수복 경위를 종합적으로 다루었다. 11~12세기 초, 고려사회는 대내외적 위기를 맞이하였다. 대내적으로는 지방사회를 중심으로 공동체가 해체되는 양상이 나타났고, 대외적으로는 완안부 여진의 급성장으로 인해 안정을 위협받았다. 대내외적 위기가 확산되면서 고려의 지배층은 풍수도참설에 의거하여 위기를 타계하고자 하였다. 그 일환으로 제기된 서경천도론과 그것이 실패로 귀결되면서 촉발된 묘청의 서경 반란은 고려 중앙과 북방지역 간의 갈등을 초래하였다. 인종 13년 서경 반란은 이러한 갈등의 최고조를 의미했다. 서경 반란세력은 국호를 선포하고 연호를 제정하면서도 국왕 인종의 친림을 요청하면서 고려왕조의 체제를 부정하였다. 대신 해동천자를 왕기가 왕성한 서경으로 인도하여 천자국을 선포하려고 구상하였으나 김부식 등 중앙 세력에 의해 좌절되었다. 결국 고려 중앙과 북방지역의 갈등은 이미 전개된 대내외 상황 변화에 따라 해소되지 못한 채 은폐되고 말았다. 한편, 고려사회는 개혁의 기회를 놓친 채 결국 무신정변이라는 파국으로 치닫게 되었다. 서경 반란 이후 고려 중앙과 북방지역의 갈등은 심화되면서 외세를 끌어들여 작난을 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났고, 무신정권의 출현은 이를 더욱 가속화시켰다. 명종 초 북방지역에서 일어난 조위총의 반란은 무신정권자들의 국왕 폐위와 국정 농단을 시정하기 위한 목적에서 촉발되었다. 하지만 일부 북방지역의 비협조와 고립으로 인해 실패하고 말았는데, 조위총은 전세가 불리하게 전개되자 서북지방을 들어서 금으로 투항할 것을 요청하기에 이렀다. ‘附他’ 현상은 고려 밖의 외세와의 영합을 통해 소기의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려는 움직임을 말한다. 이러한 경향은 조위총의 반란에서 전형적으로 살펴지고, 이후 13세기에 접어들면서 더욱 강화된 형태인 ‘投蒙’ 현상으로 이어지게 된다. 결국 조위총의 ‘附他’는 金의 거부로 실패하였지만, 이러한 양상은 13세기 초 의주민 한순·다지의 동진으로 투항 시도로 이어졌다. 그리고 뒤이어 촉발된 여몽전쟁기에는 본격적으로 북방지역 뿐 아니라 사회 전체에서 외세에 투탁하려는 시도, 즉 ‘投蒙’ 양상이 확산되면서 결국 고려사회를 붕괴 직전까지 몰아가게 되었다. ‘附他’이 ‘投蒙’으로 확대되는 데에는 북방지역의 토착세력을 중심으로 오랜 기간 누적된 고려 중앙에 대한 불신과 갈등이 폭발하였던 것이 작용하였다. 여기에 몽골은 고려의 군사지역인 북방지역을 본토로부터 분리하려고 시도하였다. 이러한 계획은 1258년(고종 46) 고려의 동북면에서 조휘·탁청이 주도한 반란이 벌어지고, 뒤이어 쌍성총관부가 설치되면서 실현되었다. 쌍성총관부의 설치는 표면적으로는 조휘·탁청의 반란으로 인한 것으로 보이지만, 그 이전부터 몽골이 고려로부터 북방지역을 분리하려는 계획의 연장선 상에서 이해해야 할 것이다. 전쟁이 종식되고, 강화가 성립되며 고려·원 관계가 새로운 전환기를 맞이하였다. 이른바 ‘세조구제’라는 합의가 창출되고, 그를 통해 고려는 비로소 전쟁기 상실했던 북방지역에 대한 통제권을 회복할 수 있었다. 고려는 전쟁으로 피해가 컸던 북방지역의 재건을 위해 노력하였다. 하지만 여전히 고려 내 권력구조는 불안정하였고, 결국 임연이 국왕 원종을 폐위하면서 파국을 맞이하게 되었다. 최탄 등의 반란은 임연을 제거하고 원종을 복위한다는 명분으로 북계지역에서 일어난 대규모 반란사건이다. 임연의 정변과 최탄 등의 반란을 빌미로 원은 고려의 북계지역에 군대를 주둔시키며 압박하였다. 이후 최탄 등 반란세력이 원에 투항하고, 원이 서경에 동녕부를 설치하면서 고려는 서북면의 영토를 상실하게 되었다. 원의 동녕부 설치는 대칸 쿠빌라이가 추진하던 대외정책에 고려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목적에서 추진되었다. 즉, 원의 일본·남송 경략이 그것이다. 고려는 일본·남송과 지리적으로 인접하였기 때문에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면서 고려의 인적·물적 자원을 토대로 원활한 대외정벌 사업을 도모하고자 했던 것이다. 동녕부는 이러한 고려의 전략적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존재의 이유가 있었다. 또한 동녕부는 오로지 대칸 쿠빌라이의 이익만을 위해 존재하였는데, 그는 쿠빌라이의 잠재적인 위협이었던 동방왕가의 세력을 견제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동녕부는 설치 이후 동녕로로 승격되면서 그 내부 편제에 변화가 발생하였다. 즉, 설치 초기 최탄 등 북계 토착세력을 총관, 천호로 삼으면서 지휘부를 구성하였으나 이후 고려·원 관계가 안정되면서 서경과 의주 등 요충지는 원이 직할하고, 나머지 지역을 최탄 등 토착세력에게 관할하게 되면서 주변화되었다. 동녕부의 군사적 기능은 곧 일본원정을 위한 원 군대의 주둔지이자 공급을 위한 생산기지로서의 병참기능이었다. 동녕부는 고려와 인접하여 고려를 압박하는 역할을 수행하였지만, 일본원정을 준비하는 과정에서는 고려와 함께 전쟁물자를 공급하고 생산하는 역할을 공유하였던 것이다. 원은 고려에 정동행성을 설치하고 고려국왕을 그 행성의 승상으로 삼으면서 위계적으로 정동원수부의 군정권을 정동행성으로 흡수하여 일원적인 지휘체계를 성립하였다. 일원적 지휘체계 속에서 고려국왕은 승상의 위상을 바탕으로 원의 지휘관들을 위계적으로 통솔하는 권한을 일임받았고, 이후 고려국왕은 행성 승상직을 습직하게 되면서 고려국왕권의 중요한 요소로 자리매김하였다. 동녕부 역시 정동원수부의 배후지로서, 정동행성으로 정동원수부가 통합되면서 자연스럽게 정동행성으로 귀속되게 되었다. 그리고 고려는 지속적으로 동녕부 영역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였고, 그 결과 서북면을 수복할 수 있었다. 쌍성총관부는 공민왕 5년 이른바 ‘반원 개혁’ 추진으로 인해 끝내 고려에게 무력으로 수복되었다. 공민왕은 쌍성지역의 유민 발생을 명분으로 종래 고려·원 관계의 준거틀이었던 세조구제와 행성 승상위를 적극 활용하여 쌍성 영역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였다. 그리고 쌍성 반민과 기철일파의 반역을 빌미로 기철일파를 대거 숙청하고, 무력으로 쌍성총관부를 철폐하면서 잃었던 북방지역을 모두 수복하였을 뿐 아니라 함주 이북의 영토를 추가로 장악하면서 북방 영역의 확대를 도모하였다. 그러면서도 오랜 고려·원 관계 속에서 요양 일대의 고려인 세력과 고려 본국의 연대의식은 진전되었고, 홍건적이 발호하면서 요양 일대의 고려인 집단이 다시 고려 본국으로 내부하는 현상이 벌어지면서 그 유대를 재확인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성계를 앞세워 우라산성과 요양 동녕부를 차례로 함락시키면서 요동지역에 거주하였던 고려인들의 환본을 강력히 추진하였다.

      • 高麗前期 宋使 迎送 硏究

        金圭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34271

        Abstract Goryeo’s Welcome and Send-off System for Song Dynasty in the Early Goryeo Period. This study examined Goryeo's attitude, position, and aim toward Song Dynasty(宋)according to chang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oryeo and Song. Accordingly, the study intends to clarify Goryeo's position toward Song with a focus on changes in Goryeo’s welcome and send-off system for Song’s envoys. First, Goryeo’s welcome and send-off system for Song’s envoys was first introduced in the early days of exchanges with Song during the reign of King Gwangjong(光宗), and it is assumed that the welcome and send-off system in those days customarily used a system that had been built in Goryeo’s relationship with Later Liang Dynasty(後梁) in an earlier period. Later, during the reign of King Gyeongjong, a new welcome and send-off system seems to have been prepared and operated to welcome Song’s envoys visiting for ordinary or special purposes, but the specific details of this system have not been identified. King Seongjong, who succeeded King Gyeongjong(景宗), was invested by Song on a total of five occasions. Around this time, Song repeatedly sent envoys to Goryeo to raise the title of office and peerage for King Seongjong(成宗) while plotting a northern expedition. This means that as long as Goryeo was invested by Song, the master-servant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remained valid, and therefore, it was possible to expect political and military assistance. Goryeo's welcome and send-off system for Song underwent an initial change with the first dispatch of gwango-guoxinshi in the 11th year of King Seongjong's reign. At that time, for the first time since Song started exchanges with Goryeo in 961, it sent gwango-guoxinshi(官告國信使) and issued an edict to raise the title of office and peerage for King Seongjong. This is associated with Song's foreign policy changes to escape its crisis of diplomatic isolation stemming from the confrontation with Liao Dynasty(遼) in those days, and as an extension of this move, Song sent gwango-guoxinshi to Goryeo and issued an edict to raise the title of office and peerage for King Seongjong. In doing so, Song wanted to reaf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while expressing its preferential treatment for Goryeo. This change in Song’s policy toward Goryeo appears to have required Goryeo to reorganize its welcome and send-off procedures for Song’s envoys. Accordingly, Goryeo held the first ceremony of suchaek(受冊) using Seogyo(西郊) as a space for diplomatic ceremonies when Song’s gwango-guoxinshi arrived at Seogyo outside the capital city. In addition, before the departure of gwango-guoxinshi after finishing their trip as envoys and returned home, Goryeo conducted a Bupyorye(附表禮) in the palace and sent officials to send them off to Deungju(登州). Based on this fact, the operation of Goryeo’s welcome and send-off system was not unchangeable by being unilaterally established by either side, but was rather flexible in the event of Goryeo's foreign policy changes or various internal and external variables occurring in its relationship with Song. Since then, Goryeo had severed its relationship with Song for about 80 years due to pressure from Liao. Instead, the country used Liao’s era name from 994 and established a new diplomatic relationship that prioritized Liao after being invested by Liao in 996. These changes in Goryeo's foreign relations led to the reorganization of its guest-welcoming body and diplomatic ceremonies. In addition, Yebin-seong(禮賓省) became Gaek-seon(客省), Yeongbukjojosaeui(迎北朝詔使儀) was established, and the established diplomatic ceremonies for welcoming envoys from the northern dynasties(北朝) at this time was later applied to the relationship with Jin Dynasty(金). Meanwhile, the relationship between Goryeo and Song, which had been severed for the past 80 years, was resumed during the reign of King Munjong(文宗). In 1068, Song’s emperor first sent Song’s merchants(宋商) to convey his intention to resume diplomatic relations, which were reinstated upon the acceptance of Goryeo. After the resumption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Goryeo and Song, the biggest chang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was that no more envoys were sent after Song sent its last gwango-guoxinshi to Goryeo to raise the title of office and peerage for King Seongjong in 992 (11th year of Seongjong's reign). This show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Goryeo and Song changed to a state in which investiture and almanacs were excluded, which means that the status of Goryeo within Song changed from the past. This change in Goryeo's status led to Song's reorganization of the welcome and send-off system for Goryeo’s envoys, which was also soon conveyed to Goryeo’s royal court through Goryeo’s envoys. Therefore, Goryeo must have been very concerned about which welcome and send-off procedures to follow before greeting Song’s guoxinshi who visited for the first time after the resumption of its diplomatic relations with Song. This was because the relationship between Goryeo and Song, which had changed after the resumption of their diplomatic ties as well as the relationship with Liao, the investing state, could not be ignored. Accordingly, Goryeo reorganized its welcome and send-off system for Song’s envoys in a manner that reflected Song’s changed status of Song, and at the same time, showed an example of preferential treatment on the surface. As a result, in the process of resuming diplomatic ties, Goryeo issued diplomatic documents through Yebin-seong, a working-level sub-organization for foreign affairs, to make contact with local government offices in Song by installing Hoegyeongjeon(會慶殿) as a space for diplomatic ceremonies and Suncheongwan(順天館) as an official residence, which are separated from the ceremonial space and official residence for envoys from Liao, the investing state. In addition, after the resumption of diplomatic relations with Song, Goryeo appointed and operated jeobbansa(接伴使) and gwanbansa(館伴使), who were in charge of welcoming and sending off as well as entertaining envoys, under the influence of Song. However, unlike Song’s differential diplomatic use of the name and position of officials in charge of welcoming, sending off, and entertaining envoys depending on the envoy’s status in their own country, Goryeo consistently operated the system of jeobbansa and gwanbansa. After the resumption of diplomatic relations during the reign of King Munjong, Goryeo’s reorganized welcome and send-off system was operated in the following order: notification to Gyeonsa(遣使) and registration in cheop(牒) - wonjeop(遠接) at the place of arrival - reception on the land route for a trip as an envoy and Gaegyeong(開京) - ceremonies at the royal place(燕禮) - reception at the official residence - ceremonies at the royal place - return to the home country. This was in the form of adding notification to Gyeonsa and wonjeop at Yeseong Port(禮成港), which were not seen in the earlier period. In this way, Goryeo’s welcome and send-off system reorganized during the reign of King Munjong was passed down to the period of King Injong. Goryeo’s welcome and send-off system in the first year of Injong was operated in the following order: notification to Gyeonsa and registration in cheop - wonyeong(遠迎) at gyesugwan(界首官), the place of arrival - wonjeop by jeobbansa - appointment and waiting of gwanbansa - Yeongro of Seogyo - Suncheongwan: reception and buljinyeon by gwanbansa - ceremonies at the royal place: yeongjorye and yeonrye - ceremonies at the royal place: baepyorye and jeonbyeolyeon(餞別宴) - send-off at Seogyo and return to the home country. The Song’s welcome and send-off system operated during the rule of Injong inherited the welcome and send-off system from the period of Munjong, which was prepared after the resumption of diplomatic ties in terms of procedures but did not follow the system as it was. For example, wonjeop at the place of envoys’ arrival was farther from Anheungjeong(安興亭) to Gunsanjeong(群山亭) in terms of distance, and receptions by jeobbansa and gyesugwan on the sea route for the envoy’s trip were added after the envoy’s entry into the country. In addition, reception by gwanbansa at the official residence was added. Moreover, when looking only at the outward appearance of the welcome and send-off system, Goryeo’s welcome and send-off system for Song’s envoys appears to have changed in the direction of giving Song more preferential treatment than before. However, the reality of the welcome and send-off system under operation was not in that direction. The operation of Goryeo’s welcome and send-off system for Song’s envoys in this manner was also reflected in the formality of Goryeo’s king receiving edicts from Song’s emperor and delivering pyomun(official administrative letters, 表文) to Song’s emperor. Goryeo’s diplomatic ceremonies for Song and Bukjo were prepared and operated by reflecting its relationship with each of these countries. Therefore, although Goryeo operated the same external structure of ceremonies without any changes, it distinguished between Song and Bukjo by differentiating the internal elements constituting the external appearance, such as the location of King Yeongjo(睿宗) and the procedures of ceremonial performance in the event of greeting. In particular, the purpose of sending Song’s guoxinshi, who visited Goryeo in the first year of King Injong(仁宗), was ostensibly to pay condolences to King Yejong of Goryeo and comfort his son Injong. In reality, however, it was to invite Goryeo to restore its relationship of investiture with Goryeo. In response to this, Goryeo gratefully rejected Song's offer of investiture, stating that it would send an envoy next year to express gratitude for the favor by reason of being in the period of mourning. However, Goryeo was already aware of Song's political intention to contain the newly emerging Jin by raising the country’s international status through the restoration of its relations with Goryeo in consideration of the changes in Song's international situation following the rise of Jin and the weakening of Liao. The 「youngSongjosaeui(迎宋詔使儀)」 and 「Songbaepyoeui(宋拜表儀)」, which were conducted in the first year of King Injong, were conducted amid the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situation of East Asia, such as the relationship between Goryeo and Song, the weakening of Liao, and the rise of Jin. Therefore, Goryeo's political judgment on Song’s changing international status in those days formed a reorganized structure by reflecting the status in the internal elements constituting the ceremonial procedures. Goryeo faced up to the reality of its ongoing relationship with Song that had lasted for a long time and Jin that was rising, and thus struggled to develop self-rescue measures to gain practical benefits and prevent occasional conflicts. Goryeo resolved these concerns over its foreign policy toward Song by reproducing a welcome and send-off system that outwardly gave preferential treatment to Song. key words: Early Goryoe Period, Welcome and Send-off, Song, jeobbansa(接伴使), gwanbansa(館伴使), diplomatic ceremonies, Hoegyeongjeon(會慶殿) 본 연구는 송에 대한 고려의 태도나 입장 및 지향 등을 고려와 송의 관계 변화의 추이에 따라서 살펴보았다. 이때 고려의 송사에 대한 대우 즉 송사 영송 체계의 변화에 초점을 맞추어 고려의 대송 입장을 해명해보고자 하였다. 고려 건국 초의 외국 사절에 대한 영송은 일차적으로 태봉 및 신라의 영송 절차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생각된다. 아울러 고려의 중국 사절에 대한 영송 체계는 적어도 고려가 후당에 사절을 파견해 책봉을 청한 932년(태조 15)에서 후당의 책봉사가 파견되는 933년 사이에 처음 마련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때 마련된 영송 체계는 내용 면에서는 928년에 후당이 설정한 고려와 후당의 관계를 반영하되, 그 절차는 기존 고려와 후백제 및 신라 사절의 내왕 시에 운용되었던 사절 영송의 관례를 따랐을 가능성이 크다. 다음으로 고려의 송사 영송 체계는 광종대 송과의 교류 초기에 처음 마련되었으며, 이는 후량과의 관계 속에서 마련된 것을 관례적으로 사용했을 것이다. 이후 경종대에는 통상적·의례적 또는 특별한 목적 하에 내방하는 송 사절을 맞이하기 위하여 새로운 영송 체계가 마련되었을 것이나, 이의 구체적인 내용은 확인되지 않는다. 경종의 뒤를 이은 성종은 총 다섯 차례에 걸쳐 송으로부터 책봉을 받았다. 이 무렵 송은 북벌을 도모하면서 반복적으로 고려에 사절을 파견해 성종에 대한 가책을 내렸다. 이는 고려가 송의 책봉을 받고 있는 한 양국의 주종관계는 여전히 유효하며 이로 말미암아 정치적·군사적 도움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 고려의 송사 영송 체계는 성종 11년에 있었던 관고국신사의 최초 파견을 계기로 일차 변화하였다. 당시 송은 961년에 고려와 교류를 시작한 이래 처음으로 관고국신사를 파견해 성종에 대한 가책의 조서를 내렸다. 이는 당시 요와의 대립구도에서 오는 외교적 고립 위기를 탈피하기 위한 송의 대외정책 변화와 관련이 있었다. 송은 고려에 관고국신사를 파견해 성종에게 가책의 조서를 내림으로써 우대의 뜻을 표하는 동시에 양국 관계를 재확인시키고자 하였다. 이러한 송의 대고려 정책 변화는 고려로 하여금 송사에 대한 영송 절차의 정비를 필요로 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에 고려는 송의 관고국신사가 도성 밖 서교에 도착하자, 서교를 외교의례의 공간으로 삼아 수책 의식을 처음으로 거행하였다. 그리고 관고국신사가 사행을 마치고 귀국하기에 앞서 궁궐에서 부표례를 설행하고, 관원을 파견해 등주까지 송영하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보면, 고려의 송사 영송 체계는 어느 한쪽에 의해 일방적으로 제정되어 변동이 불가능한 것이 아니라 고려의 대외정책 변화 또는 송과의 관계에서 여러 대내외적 변수가 발생하는 경우 변경이 가능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후 고려는 요의 압력으로 인해 약80여 년간 송과의 관계를 단절하게 되었다. 그 대신 994년부터 요의 연호를 사용하고, 996년에는 책봉을 받아 요를 우위로 하는 새로운 외교관계를 수립하게 되었다. 이러한 고려의 대외관계 변동은 영빈 기구와 외교의례의 개편으로 이어지게 되어, 예빈성은 객성으로 개편되고, 개경 내 관사에 대한 정비와 증치가 이루여졌으며, 고려 국왕이 북조 황제의 조서를 받는 「영북조조사의」가 성립되었는데 이때 성립된 외교의례는 이후 금과의 관계에도 적용되었다. 한편 지난 80년간 단절되었던 고려와 송의 관계는 문종대에 재개되었다. 1068년에 송이 먼저 통교 재개 의사를 전달하였고, 고려가 이를 적극 수용함에 따라 복교되었다. 고려와 송의 통교 재개 이후 양국 간 관계에 있어 가장 큰 변화는 성종 11년에 송이 마지막으로 고려에 관고국신사를 파견해 성종을 가책한 이후로 더 이상의 책봉사는 파견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이는 고려와 송의 관계가 책봉과 정삭이 배제된 상태로 변화했음을 보여주며, 이는 곧 송 내부에서 고려의 위상이 이전과는 달라졌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고려의 위상 변화는 송의 고려 사절에 대한 영송 체계의 정비로 이어졌으며, 이는 곧 고려 사절을 통해 고려 조정에도 전달되었다. 이에 고려는 송과 통교 재개 이후 처음으로 방문하는 국신사를 맞이하기에 앞서 어떠한 영송 절차에 따라 그들을 맞이할 것인지 고민이 컸을 것이다. 이는 통교 재개 이후 변화된 고려와 송의 관계와 책봉국인 요와의 관계도 무시할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 이에 변화된 송의 위상을 반영하는 동시에 표면적으로는 우대를 표하는 방식으로, 고려는 송사 영송 체계를 재정비하였다. 그 결과 통교 재개 과정에서 대외 업무상 실무의 하위 기관에 해당하는 예빈성을 통해 외교문서를 발행하여 송의 지방관서와 연락을 취하도록 하는 한편, 외교의례의 공간은 회경전으로, 관사는 순천관으로 설정함으로써 책봉국인 요 사절의 의례공간 및 관사와 분리하여 운영했다. 아울러 통교재개 이후 송의 영향을 받아 사절의 영송과 접대를 전담하는 접반사와 관반사를 임명하여 운용하였다. 하지만 송이 사절의 영송과 접대의 업무를 전담하는 관원의 명칭과 지위를 해당 국가 사절의 지위에 따라 차등을 두고 외교적으로 활용했던 것과는 달리 고려는 접반사와 관반사 체제로 일관되게 운용하였다. 문종대에 통교재개 이후 재정비된 고려의 송사 영송 체계는 견사 통지와 첩의 접수-도착지의 원접-사행 육로 및 개경에서의 영접-궁궐의례(영조례, 연례)-관사에서의 영접-궁궐의례(부표례, 연례 등)-귀국 순으로 운영되었다. 여기에는 이전시기에 보이지 않던 견사 통지와 도착지인 예성항에서의 원접 등이 추가되었다. 이와 같이 문종대에 재정비된 송사 영송 체계는 이후 인종대로 이어졌다. 인종 원년 고려의 송사에 대한 영송 체계는 견사 통지와 첩의 접수-도착지의 원영(계수관)-도착지의 원접(접반사)-관반사의 임명과 대기-서교 영로-순천관 영접(관반사, 불진연 등)-궁궐의례(영조례, 연례)-궁궐의례(배표례, 전별연)-서교 송행 및 귀국 순으로 진행되었다. 이상 인종대에 운영된 송사 영송 체계는 절차상으로는 통교재개 이후 마련된 문종대의 영송 체계를 이어받았으나, 그대로 따르고 있지는 않았다. 예컨대 사절의 도착지 원접은 안흥정에서 군산정으로 더 멀어졌고, 사절이 입경한 이래 통과하는 사행 해로 상에서의 접반사와 계수관의 영접이 추가되었다. 아울러 영송 절차의 외형만으로 보면, 고려의 송사에 대한 영송 체계는 송을 이전보다 더욱 우대하는 방향으로 변화한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영송 체계 운영의 실상은 그렇지 않았다. 이와 같은 고려의 송사 영송 체계는 고려 국왕이 송 황제의 조서를 받는 의례 「영송조사의」와 송 황제에게 표문을 올리는 「송배표의」에도 반영되어 있었다. 고려의 송 및 북조에 대한 외교의례는 이들 국가와의 관계를 각각 반영하여 의식을 마련하고 운용되었다. 그러므로 고려는 고정 불변에 해당하는 의례의 외형적인 구조는 동일하게 운용하였으나. 그 외형을 구성하는 내부 요소 즉 영조 위치, 문안 시의 행례 절차 등에 차이를 두어 송과 북조를 구분하였다. 특히 인종 원년 고려에 방문한 송 국신사의 파견 목적은 표면적으로는 전년에 훙거한 고려 국왕 예종을 조문하고 그의 아들인 인종을 위로하기 위한 것이었으나, 사실상 책봉 관계가 해제된 상태에 놓여 있던 고려에 책봉의 회복을 다시 권유하기 위해서였다. 이에 대하여 고려는 상중임을 이유로 내년에 사절을 파견해 후의에 사례를 표하겠다는 뜻을 전함으로써, 송의 책봉 제의를 완곡히 거절하였다. 고려는 이미 금의 부상과 요의 약화에 따른 국제 정세 변동과 송이 고려와의 책봉 관계 회복을 통해 국제적 위상을 높여 새로 떠오른 금을 견제하고자 하는 송의 정치적 의도를 인지하고 있었다. 인종 원년에 거행된 외교의례는 이러한 동아시아 국제 정세 변동 가운데 설행되었다. 따라서 여기에는 그 무렵 송의 국제적 지위 변동에 대한 고려의 정치적 판단이 의례절차를 구성하는 내부 요소에 반영되어 하나의 구조를 이루고 있었다. 고려는 오랜 동안 유지해온 송과의 관계와 이제 막 흥기하는 금 사이에서 현실을 직시하여 실리를 얻고 때로는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자구책을 마련하기 위해 고민하였다. 이러한 대송 외교정책에 대한 고민을 고려는 외형상으로는 송을 우대하는 형태의 영송 체계의 재생산을 통해 해소했던 것이다. 이후 송은 고려를 대신해 금과 협공하여 요를 멸망시키는 데에는 성공하였으나, 금과 맺은 약속을 지키지 않음에 따라 도리어 금으로부터 공격을 받게 되었다. 결국 1126년(인종 4) 송은 금에 의해 수도 개봉이 함락되고 휘종과 흠종이 잡혀가는 정강의 변을 겪은 끝에 1127년 멸망하게 되었다. 이에 송은 흠종의 아우 강왕 조구를 남경에서 옹립하여 남송을 재건하고, 위기에서 벗어나기 위하여 가도요청을 명목으로 다시 한 번 고려에 국신사를 파견하였다. 고려는 금과 대립을 초래할 여지가 있는 남송의 요청을 수용할 수는 없었다. 남송과 금에 대한 고려의 입장은 양국과 모두 외교 관계는 유지하지만 불필요한 전쟁에는 휘말리지 않기 위하여 정세변화를 관망하는 중립적인 태도를 견지고 있었다. 이에 고려는 남송의 가도 요청을 완곡하게 거절하였다. 1128년에 방문한 남송 국신사에 대한 고려의 영송 절차는 예성항에 위치한 벽란정에서의 접반사 영접과 개경 내 관사에서의 관반사의 영접 및 영조례와 배표례의 설행 등 송 멸망 이전 국신사를 맞이하던 방식과 대체로 유사하게 운영된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남송 국신사에 대한 고려의 대우는 이전 시기 고려의 송 국신사에 대한 것과는 다른 점도 발견된다. 첫째는 영조례와 배표례의 장소가 별궁인 수창궁과 이곳의 정전으로 추정되는 중화전에서 각각 거행되었다. 이러한 변화의 일차적 원인은 1126년 4월에 발생한 이자겸의 난으로 인해 회경전과 건덕전이 소실된 탓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전 시기 고려는 송 국신사와 북조 사절에 대하여 영조례를 거행하는 경우 회경전과 건덕전으로 각각 의례 공간을 구분하였으며, 같은 송 사절이라 하더라도 국신사가 아니거나 사절의 지위가 낮은 경우에는 회경전 이외의 공간에서 조서를 받았다. 그런데 송이 멸망한 이후부터 고려는 남송과 금 사절의 의례 공간을 구분해 운영하지 않고 모두 중화전에서 영조례와 연회를 거행하였으며, 남송 사절의 지위가 낮은 경우에도 역시 중화전에서 조서를 받았다. 이는 고려가 남송 국신사 및 사절과 그 외 국가 사절의 의례 공간을 이전과 같이 구분하고 있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둘째는 1128년에 내방한 남송 국신사를 이전과는 다르게 “송사”라고만 지칭하고 또 배표례 당일 국왕이 국신사를 만나는 것을 “인견”으로 표현했다는 점이다. 이러한 모습은 이전 시기에는 전혀 보이지 않는 현상이었다. 이처럼 고려가 1128년에 내방한 남송 국신사를 맞이하여 의례공간을 별궁인 수창궁으로 하고, 이들을 가리켜 ‘송사’라 지칭하고, 또 ‘인견’하였다고 한 것으로 볼 때, 이 무렵 고려 내에서 남송에 대한 인식 나아가 위상에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이러한 고려의 남송에 대한 인식 변화는 송사 영송 체계에 바로 반영되어, 남송 국신사에 대한 영송 체계 운영 및 지칭의 변동 등으로 나타나게 된 것으로 생각된다. 당시 고려는 1126년에 이미 금의 송사에 대한 영송 체계가 금에 항복한 북요 사절에 대한 것과 같았다는 사실을 전해 듣고, 이 무렵 송의 국제적 위상이 변화했음을 인지하고 있었으며, 송과 금이 화의한 사실 또한 알고 있었다. 이러한 동아시아 국제 정세의 변동과 이에 따른 송의 국제적 위상 변화에 대한 고려의 외교적 판단이 이후 1128년 고려의 남송 국신사에 대한 영송 체계에 그대로 반영되어 별궁인 수창궁에서의 영조례 거행 및 국신사에 대한 지칭의 변화 등으로 나타났던 것이다. 결국 고려의 송사 영송 체계는 동북아시아 정세 변동에 따른 고려의 대송 정책과 매우 밀접하게 연동되어 운영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주제어: 고려전기, 영송, 송, 영접의례, 접반사, 관반사, 외교의례, 회경전, 관사

      • 고려 명종대 후반기 정치양상과 이의민의 집권

        원정인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4271

        The 13th year after the death of Gyeong Dae-seung(慶大升), which corresponds to the latter half of Myeongjong(明宗), is said to be the reign of Lee Ui-min, but there was no indication that a certain individual or power, including such influential military officials as Lee Ui-min(李義旼), led the government arbitrarily. During this period, the military officials compromised and checked each other and led the government. The king and the literati officials compromised and cooperated with the military officials and participated in the administration of the state with some voice. In this paper, focuses on the political aspects of the latter half of the reign of King Myeongjong, it deals with how the military officials, including Lee Ui-min, compromised and cooperated with the king and the literati officials and led the government. In the 9th year of King Myeongjong(1179), Gyeong Dae-seung, who became a new influential military officials after removing the Jeong Jung-bu(鄭仲夫) family, tried to revive the order and discipline of correct consideration centering on the king according to the restoration. Although there were no structural changes or changes in the political forces that led the political situation, he organized Dobang(都房) to monitor the surroundings and to cause excessive administration of the major criminal cases such as murder and high treason, thereby reducing the illegal behavior of the military officials and limiting their actions. On the other hand, the king 's authority and political influence have risen and he has been able to make his voice, such as being involved in personnel decisions. After the death of Gyeong Dae-seung, it was still the military officials that led the country. The military officials carried out their interests through the Jungbang(重房). And in the situation where the existing bureaucracy maintained its function, the military officials expanded their political influence by concurrently holding a civil office. The literati officials compromised with the military officials and were involved in the administration of the state, and the military officials accepted it in a way that did not harm their interests. Although Myeongjong led the eradication of Gyeong Dae-seung, such as leading the dismantling Dobang of the aftermath of Gyeong Dae-seung, he tolerated and accepted the reality that they led the government in order not to stimulate the military officials with a common political background. After the 19th year of King Myeongjong(1189), the military officials who led the government and the literati officials cooperating with them died in succession, and Lee Ui-min began to lead the government. After an military coup detat, Lee Ui-min not only had a high position and reputation by making various distinguished services, but also received a threat of murder from Gyeong Dae-seung, and became a symbol of Gyeong Dae-seung's opposition. After the death of Gyeong Dae-seung, Lee Ui-min, who returned to the central political world after receiving a call from Myeongjong, did not show any political movements. During the reign of Gyeong Dae-seung, he fell back from home and lacked a foundation in the central political world, so rather than forcibly going to the front, he cooperated with other the military officials and protected them, drawing support from them. As a influential military official, Lee Ui-min did not show any dogmatic aspect even though he secured political influence to lead the country. There is a point where he could not help but show concession and consideration for Myeongjong, who call himself to come, but he also witnessed the collapse of former influential military officials who led the political situation arbitrarily, causing dissatisfaction. Because of this, Lee Ui-min did not arbitrarily lead the country and wanted to avoid conflicts with the king and the royal family. However, in the absence of structural changes or safeguards to protect oneself, Lee Ui-min gradually followed the steps of the previous influential military officials and provided the righteous cause. In the end, Lee Ui-min was taken down by Choi Chung-Heon's surprise. 명종대 후반기에 해당하는 경대승 사후 13년은 이의민 집권기라 일컬어지고 있지만, 무신집권자인 이의민을 비롯해 특정 개인이나 세력이 독단적으로 정국을 주도하는 모습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 시기 무신들은 서로 타협하고 견제하면서 정국을 주도하는 모습을 보였다. 국왕과 문신들은 무신들과 타협하고 협력하며 국정운영에 어느 정도 제 목소리를 내며 관여했다. 본고에서는 바로 이러한 명종대 후반기 정치양상을 조명하며, 이의민을 비롯한 여러 무신들이 국왕과 문신들과 어떻게 타협하고 협력하며 정국을 주도해 나갔는지 다루고 있다. 명종 9년(1179) 정중부 일가를 제거하고 새로운 무신집권자가 된 경대승은 스스로 품고 있던 ‘復古’의 뜻에 따라 국왕을 중심으로 한 올바른 고려의 질서와 규율을 되살리고자 했다. 비록 구조적인 변화나 정국을 주도하는 정치세력의 교체가 이뤄지진 않았지만, 都房을 조직하여 주변을 감시하고 과도한 옥사를 일으킴으로써 무신들의 불법적인 행동을 줄어들게 만들며 그들의 행보에 제약을 가했다. 반면, 국왕의 권위와 정치적 영향력은 상승하여 인사결정에 관여하는 등 제 목소리를 낼 수 있게 되었다. 경대승 사후 정국을 주도하는 건 여전히 무신들이었다. 무신들은 중방을 통해 자신들의 이해관계를 관철해 나갔다. 그리고 기존 관료체제가 제 기능을 유지하던 상황에서, 무신들은 문반직을 겸하여 자신들의 정치적 영향력을 넓혀갔다. 문신들은 무신들과 타협하며 국정운영에 관여했고, 무신들은 자신들의 이권에 해가 되지 않는 선에서 이를 수용했다. 명종은 경대승 사후 도방 해체를 주도하는 등 경대승 지우기를 주도하긴 했지만, 자신과 공통적인 정치적 배경을 지닌 무신들을 자극치 않고자 그들이 정국을 주도하는 현실을 묵인하고 받아들였다. 명종 19년(1189) 이후 정국을 주도하던 무신들과 이에 협력하는 문신들이 연달아 사망하면서 이의민이 정국을 주도하기 시작했다. 이의민은 무신정변 이후 여러 공로들을 세우며 높은 직책과 명성을 소유했을 뿐 아니라 경대승으로부터 살해 위협을 당하면서 경대승의 대척점이라는 상징성을 가지게 되었다. 경대승 사후 명종의 부름을 받고 중앙정계로 복귀한 이의민은 이렇다 할 정치적 행보를 보이지 않았다. 경대승 집권기 동안 낙향하여 중앙정계에 기반이 부족한 상황이었기에 무리하게 전면에 나서기보다는 다른 무신들과 협력하고 그들을 보호해주기도 하면서 그들로부터 지지를 이끌어냈다. 이의민은 무신집권자로서 정국을 주도할 만큼 정치적 영향력을 확보했음에도 독단적인 면모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자신을 불러올린 명종에 대해 양보와 배려를 보이지 않을 수 없었던 점도 있지만, 이전 무신집권자들이 독단적으로 정국을 주도하다가 불만을 사서 몰락한 것을 목격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이의민은 독단적으로 정국을 주도하지 않았으며, 국왕 및 왕실과의 충돌을 피하고자 했다. 그러나 구조적인 변화나 자신을 지킬 안전장치가 마련되지 않은 상황에서 이의민은 점차 앞선 무신집권자들의 행보를 답습하며 정변의 명분을 만들었다. 결국 이의민은 최충헌 형제의 기습을 받고 몰락하게 되었다.

      • 高麗 元宗代 麗·蒙 關係와 東寧府 설치

        강재구 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4271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progress in the Koryeo-Mongol Yuan Empire relationship and the policy objective of the Mongol Yuan Empire after entering into the peace pact, which had been brought about through establishing the Dong-Nyoung-bu(東寧府, the Local Authorities of “Dong-Nyoung”) in Bukgye(北界) by the Mongol Yuan Empire in 1270 (the 11 year of King Won-jong). Koryeo and the Mongol Yuan Empire began to try figure out a way to establish a new relationship after entering into a peace pact in 1260. Khubilai wanted to hold the regime under Kim Jun in check, who was regarded as a potential risk, by supporting the royal family of Koryeo Dynasty, so that they could carry out the east-oriented policy in a stable way. The Mongol Yuan Empire wanted to impose the policy on Koryeo, which was like the policy it had used to reduce Japan to obedience by dispatching an envoy. And in this process, the Mongol Yuan Empire exercised it influence to the political situation in Koryeo. The Kim Jun regime, which felt menace from the pressure of Mongol Yuan Empire, tried to find a way to dethrone the king or transfer the capital to an island. And at last King Won-jong succeeded to oust Kim Jun through cooperation with other vassal named Yim Yeon. The removal of kim Jun was carried out under the direct leadership of the kin. As a result the internal status of King Won-jong was raised a lot. On the contrary, Yim Yeon began to feel fear of the increasing power of King Won-jong and the cozy relations between royal families of Koryeo and Mongol Yuan Empire, so that he dethroned the king in a hurry, making an attempt to change the situation. The information regarding dethronement of King Won-jong was conveyed to Khubilai by the crown prince Sim, who was staying in Mongolia at that time. The crown prince Sim was ennobled as 'Dong An Gong(東安公)' and granted a government post called 'Teuk Jin Sang Ju Guk(特進 上柱國)' by Khubilai. Though the ennoblement of crown prince as 'Dong An Gong' was called off, we may assume that on one hand Khubilai was trying to keep tight control over Yim Yeon by using the crown prince, but on the other hand he was trying to isolate Yim Yeon, refusing to admit the dethronement of King Won-jong. When Choi Tan and Lee Yeon-ryeong rose in rebellion in Bukgye, Khubilai approved the active obedience of Choi Tan and his men, so that the Khan could set a foundation on which he could intervene in the affairs of Koryeo. This implied that the Khan changed the diplomatic policy in which he tried to keep tight control over Yim Yeon by using the royal family of Koryeo, and the establishment of 'Dong-Nyoung-bu' was a part of counterstrategy. The 'Dong-Nyoung-bu' was established unilaterally regardless of the intention of Koryeo. After returning to reign, King Won-jong filed a strong protest with Mongolia, demanding the return of territory. But it was not accepted at all. So, King Won-jong began to govern the country himself(親朝) and gave the Mongol Yuan Empire to transfer the capital to land(出陸還都) and subjugate the powerful courtiers. On the other hand, he proposed intermarriage of royal families in both countries, trying to foster closer links with the Mongol Yuan Empire, however, his proposals were not accepted as the royal family could not expel the political group led by Yim Yeon completely. The purposes of establishing 'Dong-Nyoung-bu' were as follows. Firstly, the Mongol Yuan Empire aimed to expel the Yim Yeon regime and prevent Koryeo from rearming and betraying through establishing the 'Dong-Nyoung-bu'. In addition, the Mongol Yuan Empire tried to get a foothold for the east-oriented policy that could connect Nam-song, Yo-dong and Japan together, as well as secure a bridgehead through which it could hold a tight control over Koryeo. The strategy of Mongol Yuan Empire can be reviewed through the policy-making process in the court of empire up to the establishment of 'Dong-Nyoung-bu'. As the empire was sufficiently aware of the strategic value of Koryeo, it made a great effort to use the policy to realize the strategy. The establishment of 'Dong-Nyoung-bu' was a part of strategy called 'Yi-yi-je-yi(以夷制夷)', which meant that an enemy could be beaten off by another enemy, so that the Mongol Yuan Empire could reduce the unnecessary waste of military power caused by a full-scale war with Koryeo, making the best use of the geopolitical value of Koryeo located near by Nam-song and Japan. In short, the empire established the 'Dong-Nyoung-bu' in Bukgye Area in order to maximize the strategic value of Koryeo and invade Nam-song and Japan, preventing Nam-song, Koryeo and Japan from banding together. And this was possible on condition that the Koryeo Dynasty could be kept. Secondly, the 'Dong-Nyoung-bu' was established in order to hold the three eastern royal families(東方 3王家) in Yo-dong Area in check, which were regraded as potential threat to Khubilai. The three eastern royal families participated in the war between Koryeo and Mongol Yuan Empire, and they were steadily seeking for self-aggrandizement into the territory of Koryeo. Khubilai tried to reduce the influence of the three easter royal families on the territory of Koryeo by ordering the troops of the families to withdraw, which were stationed in the Bukgye Area during the war. And also, he stationed the forces under his direct command in the Bukgye Area under the pretense of the dethronement of King Won-jong and rebellion raised by Choi Tan and his men. This implied that Khubilai took hold over the Bukgye Area which played a role as a buffer area on the border with Yo-dong in terms of geography. And the establishment of 'Dong-Nyoung-bu' helped to block the power of the three eastern royal families in the Yo-dong Area. By doing this, Khubilai could fully reflect his own political intention in the political situation of Koryeo, and also he could reorganize the poli 본 연구는 1270년(元宗 11) 몽골이 고려의 북계지역에 두었던 “東寧府”의 설치 과정을 통해 강화 이후 고려-몽골 관계의 추이와 몽골의 정책적 목적을 검토하였다. 고려와 몽골은 1260년 강화 성립 이후 새로운 관계를 모색하게 되었다. 쿠빌라이는 동방 정책의 안정적인 수행을 위해 고려왕실을 후원하여 그로 하여금 잠재적 위험 요인이었던 김준정권을 견제하도록 하였다. 몽골은 일본 초유와 같은 정책을 고려에 부담지우고자 하였고, 그 과정에서 고려의 정세에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이러한 몽골의 압력에 위협을 느낀 김준정권은 국왕 폐위·해도재천 등을 모색하기에 이르렀고 결국 원종은 임연과 공조하여 김준을 제거하는데 성공하였다. 김준 제거는 원종이 주도하여 단행되었다. 그 결과 원종의 대내적 위상은 크게 격상되었다. 반면 임연은 높아진 원종의 위상과 여·몽 왕실간의 유착에 위협을 느끼고 다급하게 원종을 폐위시키며 국면 전환을 꾀하였다. 임연의 원종 폐위사건은 당시 몽골에 체류 중이었던 세자 심에 의해 쿠빌라이에게 전해졌다. 쿠빌라이는 세자 심을 ‘東安公’에 책봉하고 ‘特進 上柱國’을 제수하였다. 세자의 ‘동안공’ 책봉은 이후 철회되었지만, 그를 통해 쿠빌라이가 세자를 통해 임연을 통제하는 한편 폐위 자체를 인정하지 않으면서 임연을 고립시키는 의도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최탄·이연령 등의 북계 반란이 일어나자 쿠빌라이는 최탄 등의 귀부를 승인함으로써 고려에 직접 개입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이는 고려왕실을 통해 임연을 통제한다는 방침의 변경을 의미하는 것이었으며 동녕부 설치는 그 연장선 상에서 이뤄진 조치였다. 동녕부는 고려의 의사와는 관계없이 일방적으로 설치되었다. 원종은 복위 후 몽골에 강력하게 항의하고 그 반환을 요구했지만 모두 수용되지 않았다. 이에 원종은 복위 즉시 친조를 단행, 출륙환도와 권신 토벌을 약속하는 한편 왕실 통혼을 제의하면서 몽골과 적극적인 유착을 시도했지만 고려왕실 스스로 임연을 완전히 축출하지 못하면서 수용되지 못했다. 몽골이 동녕부를 설치한 목적은 첫째, 동녕부 설치를 통해 임연정권을 축출하여 고려의 재무장과 이반 가능성을 제거하는 것이었다. 뿐만 아니라 고려를 통제할 수 있는 교두보를 마련하는 한편 남송-요동-일본으로 이어지는 동방 정책을 위한 거점을 확보하고자 했다. 이는 동녕부 설치에 이르기까지의 몽골 조정 내에서의 정책 결정 과정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몽골은 고려의 전략적 가치를 충분히 인지하고 그것을 온전히 구현하기 위해 정책을 구사하였다. 동녕부 설치는 몽골이 고려와의 전면전에 따르는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막으면서도 남송·일본과 인접한 고려의 지정학적 가치에 주목하여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以夷制夷’의 일환이었다. 즉, 고려의 전략적 가치를 극대화하는 한편, 남송·일본 경략 및 宋-麗-日 연대를 차단하고자 북계지역에 동녕부를 설치하였던 것이고 이는 고려왕조의 유지를 전제로 성립할 수 있었던 것이었다. 둘째, 동녕부는 쿠빌라이에게 잠재적인 위협 대상이었던 요동의 동방 3왕가의 견제를 위한 목적에서 설치되었다. 동방 3왕가는 여몽전쟁기 동안 고려와의 전쟁에 참여하면서 고려 방면으로의 세력 확대를 꾸준히 도모하고 있었다. 쿠빌라이는 여몽전쟁기 동안 북계지역에 주둔하고 있던 동방 3왕가의 군대를 철수시키는 등 고려 방면에 대한 동방 3왕가의 영향력을 차단하는 한편 원종 폐위와 최탄 등의 반란을 빌미로 북계지역에 그의 직속 군대를 주둔시켰다. 이는 곧 쿠빌라이가 지리적으로 요동세력과 접경하여 완충지적 역할을 했던 북계지역을 흡수한 것을 의미하며, 이 지역에 동녕부를 설치함으로써 요동의 동방 3왕가 세력을 물리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로써 쿠빌라이는 고려에 전적으로 자신의 정치적 목적을 반영시킬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고려 역시 쿠빌라이와의 직접적 관계로 몰입할 수밖에 없는 구조로 재편되었던 것이다. 쿠빌라이는 남송·일본 경략, 동방 3왕가 견제와 같은 동방 정책의 수행을 위해 고려와의 관계를 안정적으로 운영할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그는 고려왕실을 후원하면서 잠재적인 위험요소인 무신정권을 축출하고자 했다. 그리고 임연의 원종 폐위와 최탄 등의 북계반란을 빌미로 고려의 정국에 직접 개입하였다. 그 과정에서 설치된 동녕부야말로 강화 이후 여·몽 관계의 성격과 역학관계를 보여주는 좋은 예라고 할 수 있다.

      • 高麗 顯宗代 佛敎界의 變化의 그 性格

        변상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93 국내석사

        RANK : 234271

        穆宗이 왕위에 오르자 千秋太后(黃州皇甫氏)가 攝政을 하였고 태후와 결합한 金致陽이 실권자가 되었다. 황주의 대호족이었던 황보씨는 일찍부터 均如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었던 점과 태후의 願刹인 眞觀寺가 華嚴宗 사찰인 점으로 보아 태후가 후원하였던 종파는 華嚴宗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승려였던 金致陽의 불교신앙이 도교나 토속신앙과 습합되어 미신적인 색채를 띠고 있는 점은 신이적인 측면이 강조 되었던 均如의 화엄사상을 계승한 것으로 생각된다. 金致陽 일파를 제거하고자 했던 穆宗은 그들과 연결된 華嚴宗을 배제하고 法相宗과 禪宗僧으로 하여금 불교교단을 주도하게 하였다. 이것은 穆宗의 願刹인 崇敎寺의 소속종파가 法相宗인 점과 王師·國師로서 法相宗僧인 正慧王師 曇休와 禪宗僧인 弘法國師의 존재로서도 확인할 수 있다. 穆宗末에 이르러 천추태후는 金致陽과의 사이에 태어난 아들을 후사로 삼기 위하여 유일한 왕위계승권인 大良院君(顯宗)을 승려로 삼은 뒤 살해하고자 하였다. 천추태후의 화엄종에 대한 후원으로 말미암아 종세가 약화된 선종의 사찰인 神穴寺에서는 千秋太后의 핍박으로부터 顯宗을 보호하여 왕위에 오르게 함으로서 종세를 회복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당대의 실력자인 千秋太后의 압력에도 불구하고 顯宗을 보호할 수 있었던 것은 고려의 정통성을 유지하고자하는 穆宗과 王后族으로서 皇甫氏勢力의 신장에 위협을 느끼던 忠州 劉氏勢力의 후원을 기반으로 禪宗 승려이면서 國師로 있던 弘法이 神穴寺 老僧과 연결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禪宗 사찰인 삼각산 신혈사 승려의 보호를 받았던 顯宗은 즉위하자 禪宗에 대한 후원을 하게 된다. 顯宗 4年 王師로 임명되었던 禪宗僧 智宗은 成宗代에 三角山의 積石寺 주지를 지냈었다. 아마 顯宗이 神穴寺에 은거하고 있었을 당시에도 智宗은 삼각산 내의 사찰에서 영향력을 행사하였을 것이다. 새로운 지배세력으로서 門閥貴族이 대두하게 되자 불교계에 있어서도 禪宗 대신 敎宗이 성행하게 되었다. 顯宗 9년에 법상종 사찰인 현화사가 창건되어 동왕 12년에 완공되었다. 八關會의 다시 설치와 皇龍寺塔 수리를 청원한 崔抗은 그 사후 靖宗의 명으로 기일에 玄化寺에 도량을 차려 명복을 빌고 기제를 계속 지내게 하였다. 그리고 顯宗 즉위의 유공자인 崔土威의 水州崔氏 가문은 그가 현화사의 공사를 총감독하였고, 그의 증손 현손으로 현화사 승통 尙之와 觀奧가 있다. 顯宗은 三角山 三川寺의 주지인 法鏡을 玄化寺의 초대 주지로 삼고 王師로 임명하였다. 神穴寺에 있으면서 顯宗은 三角山에 있는 사찰의 종파에 영향을 받았을 것이므로 즉위 초에는 禪宗을 후원하고, 門閥貴族이 대두하게 되자 敎宗 중 三角山內 사찰의 종파였던 法相宗을 후원하게 되었다. 고려 顯宗代 法相宗이 대두할 수 있었던 것은 그것이 戒律을 강조하는 특성을 가졌기 때문이다. 불교에서의 戒律은 儒家의 禮와 같이 국가의 통치질서를 확립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다. 穆宗代의 官人體系가 무시되는 측근정치로 인한 정치적 혼란을 경험한 顯宗과 국왕에 대한 忠義를 근본으로 하는 유교적 관인층들은 戒律사상을 가진 법상종을 적극 후원하여 왕권강화와 통치질서의 확립을 꾀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When Mokjong acceded the throne, Chonchutaehu(千秋太后) ruled the country as regent and Kimchiyang(金致陽) became a real power. Considering that the Hwangbo family which was the powerful family had the close connection with Kyunyeo(均如) and rhat Jinkwan remple(眞觀寺) was the temple of Hwaoemjong(華嚴宗), the branch that was supported by Taehu must have been Hwaoemjong. Mokjong who tried to get rid of Kimchiyang group excluded the Hwaoemjong and had Boebsangjong(法相宗) and the monks of Soenjing(禪宗) lead the Buddhist body. At the end of Mokjong, Chonchutaehu made Hyeonjong(顯宗) a monk and attempted to kill him. Sinhyeol temple(神穴寺) that belonged to Soenjong safeguarded Hyeonjong and helped him to be a King. The reason that Sinhyeolsa could safe guard Hyeonjong in spite of Taehu's persecution is that It was connected with Mokjong who wanted to keep legitimacy of Korea dynasty and the royal teacher, Hongbeob(弘法). After Hyeonjong acceded the throne, he supported Seonjong, Jijong, who was appointed as royal teacher at 4 th year in Hyeonjong, became a head of Jeogsok temple(績石寺). Perhaps he might influence in the temples in Samkag mount. As the new royalty came to the force as ruling power, Kyojong, instead of Seonjong, prevailed. In 12th year in Hyeinkong, Hyeonhwa temple(玄化寺) was builded, Chihang(崔沆), who insisted reholding Palkwanhoi(八關會), was received a sacrificial rite by the order of Joenjong(靖宗). Because Hyeonjong was influenced by the temples in Samkag mount. In the early age he supported Seonjong, and according to coming force of family royalty supported Beobsangjong(法相宗) that was the branch of the temples in the Samkag mount. The reason Bebsangjong came to force in the Hyeonjong's age was that It had the property of emphasizing commandments. Commandments in Buddhism is needed for ruling order of the nation. Hyeonjong and his confucian officials who experienced the political disorder attempted to establish ruling order and to strengthen the royal power by supporting Beobsangjong that had commandments-idea.

      • 고려시대 國喪 儀禮와 弔問 使行 연구

        이승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34271

        고려시대에는 국상이 발생하면, 고전과 의례서의 여러 규정을 살피고 비교하여 상황에 가장 알맞은 의례를 시행했다. 국상 의례는 왕의 遺詔를 지침으로 삼았는데, 유조 의례서의 규범과 중국 왕조의 고사를 통해 국상 의례의 방향성을 제시했다. 고려 국상은 태조 대부터 유조를 통해 漢·魏의 喪葬園陵 제도를 도입했고, 晉·唐·宋의 예제를 끌어와 국상 의례의 틀을 구성하고, 시의에 맞게 의례를 보완하기도 했다. 고려 국상 의례 절차는 단상제와 심상이다. 단상제는 以日易月이라고 하여 27개월의 삼년상 기간을 27일로 줄여 시행하는 것과 매장 이후 복상을 끝내는 旣葬除服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어서 근신하면서 실제 삼년상 기간의 소상·대상·담제를 치르는 心喪으로 구성된다. 이는 한 문제에서부터 시작되어 당·송 대까지 국상 의례의 전범으로서 시행되었으며, 고려에서는 이를 도입해 국상 의례의 典例로 삼았다. 국상이 발생하면 도감이 설치되었는데, 여러 의례들을 조정하고 관리하기 위해 기존 관청 간 업무를 분담하고 조율하면서, 의례 절차에 따라 시신을 수습하는 것부터 왕릉을 조성하고, 祭와 齋를 올리는 것까지 필요한 의례 전반을 준비하고 진행하는 역할을 했다. 도감은 국상마다 동일하게 설치되지는 않았을 것이고, 국상의 경중을 따져 도감의 종류와 수를 달리하여 설치했을 가능성이 크다. 국상 절차는 사망에서부터 태묘에 안치하는 것까지 27개월을 전후로 하는 기간이 소요되었다. 전체 국상 절차 과정은 의례서에 따라 사망과 시신 수습 과정, 매장하기 전까지 절차, 매장 이후의 절차로 나눌 수 있다. 고려 국왕은 정침에서 사망했으며, 습·염 의식부터, 빈전을 설치하여 시신을 보관하고 제전, 上諡冊儀, 啓殯, 祖奠도 시행했다. 매장 이후에는 혼전을 설치하고 제례를 올리며 소상과 대상을 치른다. 이 때에는 유교적·불교적 의례가 함께 시행되었다. 고려 국상 의례는 유교적 틀 안에서 불교적 상장례 문화의 요소를 수렴하며 최종적으로 국가의 의례 제도를 만들었다. 그 후 진영과 신주를 경령전과 태묘에 봉안하는 것으로 국상이 끝난다. 이와 같이 단상제와 함께 심상을 결합하여 27개월의 삼년상이 치러지는 의례 절차는 현종 국상을 시작으로 고려 말까지 유지된다. 특히 무신집권기에는 국왕의 폐위가 잦고 국상에 대해 무신집정자의 의중이 반영되어 단상제의 복상 기간을 줄이기도 하지만 심상으로 시행하는 삼년상은 지켜진다. 이는 태후나 왕후의 국상도 마찬가지인데, 물품과 의례의 격식과 세부절차에 차등이 있을지라도 기간은 삼년상이 기본이 되었다. 고려 후기에는 세자나 국왕이 원에서 체재하는 상황이 빈번했는데, 이 때 사망 소식을 듣고 고려로 돌아오는 奔喪과 국왕 및 왕후가 원에서 사망하게 되는 경우 시신을 고려로 운구하는 返喪이 시행되기도 했다. 국상 의례가 시행되는 가운데 부고와 사위를 주변국에 알리고 조문 사신들을 맞이하는 과정도 밟았다. 책봉과 조공이라는 외교 체계 안에서 이루어졌던 국상에 대한 조문 사행은 국가 간 관계가 의례를 매개로 엮어지는 연결 고리가 되었다. 고려에서 파견된 고애 사행의 특징은 크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국상은 책봉국을 우선으로 파견했으며, 거란과 송, 명과 북원 등 여러 국가에게 고애사를 보낼 때에는 책봉국과 아닌 국가 사이에 의례적 차등을 두었다. 둘째, 고려 중기에는 태후의 부고를 알리는 고애사도 파견되었으며, 고려 후기에는 원 출신의 왕후의 부고를 알리는 사신을 파견했다. 셋째, 고애사는 고려 국내의 정치 상황 혹은 국제 관계의 변화에 따라 파견되지 않기도 했다. 고애사를 보내 국상을 알리면 상대국에서는 조문을 위한 사신을 준비했다. 고려전중기 조문 사행은 사망한 국왕의 제사를 위한 祭奠使, 새로이 즉위한 왕에 대한 위문 목적의 弔慰使, 국왕이 奪情하기 위한 起復使가 파견되는 것으로 정례화 했다. 기복사는 11세기경 시작되었는데, 엄밀히 말하면 조문 사행은 아니지만 조문과 책봉의 사이의 외교 의례로서 책봉 전까지 정치·외교적 틈을 메우는 역할을 했다. 거란과 금이 고려에 기복사를 파견할 수 있었던 것은 고려 국상이 삼년상으로 시행되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기복사는 책봉 관계에 따라 거란과 금만 보낼 수 있었는데, 이는 고려전중기 국제 관계의 다층성을 보여준다. 조문 사행은 원 관계에서는 변화한다. 조문 사행에서는 고려 전중기에 나타난 규범화 한 조문이 이루어지지 않고, 사행 양상은 일관된 형식으로 나타나지 않는다. 국왕의 국상보다 사왕에 대한 즉위와 책봉이 우선시 되었으며, 조문은 원 출신 왕후에 한해 이루어졌다. 조문의 내용 역시 정형화 하지 않고 상황에 따라 종왕가에서 조문사를 보내거나, 의례를 불교 법회로 치르기도 했으며, 賻儀도 저화나 술 등을 하사하는 것으로 사행과 의례 내용이 달라졌다. 또한 고려전중기 매장과 함께 諡冊을 올리던 의례가 바뀌는데, 시호·묘호·능호 가운데, 묘호는 사용하지 않고, 시호는 원에 요청했으며, 능호만을 올렸다. 충렬왕 국상에서 처음 시호를 요청했는데, 이후 공민왕 국상까지 원과 명에 의한 시호는 국상 의례와는 관계없이 양국의 정치 상황에 따라 이용된다. 시호 요청과 사여가 국상 의례 절차에 시기와 형식이 맞지 않게 되면서 오히려 묘호와 시호가 없이 국왕이 능호로 불리는 상황이 만들어졌다. 고려와 원의 외교는 책봉을 매개로 이루어졌지만 사행과 외교 의례는 실질적 힘의 관계에 따라 이루어졌다. 특히, 국상과 관련한 사행은 양국의 정치·외교적 이해관계와 우열에 따라 운영되었고, 때로는 원의 문화적 성격을 반영했다. 고려는 원과의 외교를 책봉 관계로 인식하고 원의 영향력 하에서 제후국의 체제를 갖추었지만, 역설적으로 양국 관계는 이전과 같이 의례에 기반을 둔 사행으로 운영되지 않았다. 정리하면, 고려 국상 의례는 유교에 기반을 둔 군주의 상장례를 도입하고 시행했다. 고려는 의례서를 기초하여 예제를 이해했으며, 시의에 따라 적합한 古事와 典例를 채택하여 운영했다. 고려초부터 국상 의례를 도입한 것은 유교 정치사상이 가지고 있는 민의 위한 정치, 효를 구현하는 정치라는 성격을 수용한 것이었다. 또한, 고려의 국상 의례 도입은 유교에 기반을 둔 의례가 고려와 중국 왕조 사이에서 공유되고 있었음을 의미한다. 한편, 국상은 국왕의 사망과 사왕의 즉위라는 국내의 왕위계승 문제에 그치는 것이 아니었다. 고려전중기 국상과 관련한 조문 사행은 제전-조위-기복-책봉으로 단계적인 의례로 시행되었는데, 거란이 왕위계승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것은 아니었지만 국상의 의례 절차와 연동되면서 고려 국왕의 지위를 정치적·외교적으로 드러냈다. 고려후기에는 고려-원 관계에서 고려 왕위에 관여할 수 있는 원의 실질적 힘에 영향을 받았다. 양국은 책봉을 통해 외교관계를 맺었으나, 사행은 이전과 같은 의례에 기반을 둔 체계로 운영되지 않았다. This research aimed at investigating the national mourning ritual procedure and management method of Goryeo by analyzing national funeral procedure of Goryeo and condolence diplomacy, and investigating the correlation between national mourning ritual and diplomacy. Furthermore, this research intended to investigate the political and diplomatic characteristic linked with King’s funeral ritual and international relation surrounding Goryeo national mourning rituals. During Goryeo, when national mourning ritual occurred, they performed the most suitable ritual considering and comparing several regulations of classical literature and ritual records. National mourning ritual took the King’s will(遺詔) as the prior guideline. Besides, national ritual of Han(漢)·Wei(魏)·Qin(晉) was adopted. Also, rituals were complemented referring to the cases of Tang·Song while performing national funeral. Ritual procedure of Goryeo national funeral was composed of Dansangje and in-mind mourning. Dansangje was a in-mind mourning(心喪) to keep 3 years’ mourning with careful behavior along with Dansangje conceptualized to Yiyilyeogwol(以日易月) by Han Munje(文帝) and Dansangjae of Gijangjebok (removal of mourning clothes of official affairs just after burial, 旣葬除服), which was more simplified from Wi(魏). Furthermore, national mourning ritual of Goryeo was operated based on the precedents of Dansangje and Simsang(in-mind mourning), accumulated in a big frame of 3 years’ mourning. Rituals were conducted according to exceptional situation based on the ritual records, ancient document, and precedent in a regular standard rather than adhering to the principled procedure or foxed rule. Before national mourning ritual, Dogam was installed. Since the early Goryeo, there’s a record of installing Dogam in royal mourning ritual, and there’s a big probability to install deferring the type and number of Dogam. Overall national mourning ritual process can be divided based on burial, before burial, the procedure focused on treatment and management of the body, and after burial, the procedure was mainly composed of mourning clothes(喪服) system ritual(祭奠). The King died at Jeongchim, and the ritual to collect and arrange the body such as basic Sup· Yum was conducted. In Binjeon, Jejeon was conducted before burial of royal tomb, after burial, Honjeon was installed, ritual was performed treatig Sosang and Daessang, and the national mourning ritual ended with enshrinement of Jinyoung and ancestral tablet at Gyeongryeongjeon and Taemyo. During Sosang and Daesang, Confucian·Buddhist ritual was performed together. National mourning ritual of Goryeo. National mourning ritual of Goryeo eventually created national ritual system by collecting the factors of Buddhist funeral culture in the Confucian frame. Enshrinement in Taemyo was called Bumyo, which is the last procedure of funeral ritual. In the process of arranging national ritual during Seongjong period, Obok system was established and Taemyo and Sajik were built, here, the national mourning ritual procedure from death to Bumyo was completed. National mourning ritual of Goryeo was maintained until late Goryeo after conducting 3 years’ mourning of 27 months, combined with Dansangje and in-mind mourning during Hyeonjong. Particularly, during the military government, mourning period of Dansangje was reduced due to frequent deposition of kings and the will of military government administrators on national mourning, however 3 years’ mourning was kept in the form of in-mind mourning. Funeral ritual of queen was conducted with 3 years’ mourning as king. Queen’s mourning ritual was divided into 3 years’ mourning and the other way. Also, detailed procedure of formality and ritual including the goods used for the funeral ritual of empress and queen might have a difference. During late Goryeo, there were Bunsang(奔喪), where Crown prince returned to Goryeo from Yuan while visiting there to hear the news about king’s death, and Bansang(返喪), to convey the body to Goryeo was conducted, in case when king or queen died in Yuan Dynasty. In reality, this was because the place where the king stayed or died was outside Goryeo. Such Bansang and Bunsang could be said the example that definitely showed the correlation between Goryeo-Yuan. In the process of king’s death, successor’s enthronement, and national mourning ritual, there was a process to inform the overseas nations of king’s death, succession of the throne, and receive mourning envoys. Here, connection between national mourning ritual of Goryeo and international society appeared distinctly. After enthronement of king, the prior work to treat was national mourning ritual. Diplomatic ritual to dispatch mourning messenger to inform the news of king’s death to neighboring countries and reception of condolence envoy, etc. were combined simultaneously while conducting domestic national mourning ritual. The characteristic of mourning envoy dispatched from Goryeo can be largely arranged into three. First, information of national mourning ritual by officially dispatching envoy was limited to the nations that has installation relation with Goryeo. Second, during mid Goryeo, mourning messenger to inform queen’s death was also dispatched, and during late Goryeo, empress from Yuan was informed. Third, sometimes mourning messenger was not dispatched along with change of domestic political situation of Goryeo or international relation. Fourth, there was a ritual differential between installation country and other country when dispatching mourning messenger to several countries as Khitan, Song, Ming, and north Yuan, etc. When national mourning ritual was informed by mourning messenger, the recipient nation prepared envoy for condolence. Condolence envoy was regularized as Jejeonsa(祭奠使) for the dead king’s rite, Jowisa(弔慰使), condolence for the newly enthroned king, and dispatch of Giboksa(起復使) to let the king return to governmental affairs after the mourning ritual. Giboksa was the envoy only from Khitan and Jin Dynasty, actually based on the authority of installation country. Later, after 3 years’ mourning, Gibok was finished by dispatching Nakgiboksa, then installation was conducted. Such condolence envoy was established during the 11th century and was systematically established as a form of diplomacy until the early 13th century, and plural diplomatic relation among Khitan· Jin· Song and Goryeo was concretized through condolence envoy. Condolence envoy changed in the relationship with Yuan Dynasty. In respect of condolence envoy, regularized condolence that appeared in the early and mid Goryeo was not conducted. Regarding the king’s death, enthronement and installation of successor was conducted priorly, however condolence was performed only in case of the death of queen who was from Yuan. The content of condolence, also, was not regularized. This implies that the symbolism and justification of the authority of king of Goryeo was absolutely influenced by Yuan Dynasty, simultaneously, diplomatic target of Goryeo was unified to Yuan, and royal family of Goryeo was under the political influence. Envoy between Goryeo and Yuan basically has the figure of East Asian diplomatic form, installation, however it reflected the ritualistic character and diplomatic correlation. National mourning ritual of Goryeo was conducted by reorganizing the ritual norms and precedents, etc. of Chinese Dynasty based on the ritualistic concept regulated by Confucianism based on the king’s will. National mourning ritual accepted the emperor’s funeral established in Chinese Dynasty with Dansangje and in-mind mourning, as 3 years’ mourning established based on Confucianism in a large frame. In respect of operation of rituals, the ritual procedure and content was strictly defined, however, the degree of importance and details were adjusted according to political· social situation, adopting Buddhist funeral rite, instead of fully observing them, and the rituals were flexibly operated. Condolence of neighboring countries to national mourning ritual of Goryeo was connected with an important ritual procedure of diplomatic relation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besides domestic matter of succession, including king’s death and successor’s enthronement. Particularly, based on multi-level international relation structure and the relation between late Goryeo and Yuan Dynasty through condolence diplomacy to national mourning ritual of Goryeo, in the multi-phased diplomatic relation of early·mid Goryeo, diplomatic form and content could be concretely confirmed, which was politically· ritually chang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