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국방·군사시설사업 환경영향평가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강재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problems and make appropriate suggestions toward improving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EIA) system in the construction of military facilities in Korea. As a subset of Korean military, the Korean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MND) oversees over 4% of territories and hundreds of installations and facilities essential to military operations and training to better achieve the primary mission entrusted to the organization. The Korean National security strategy extends to environmental concerns. To be considered a successful strategy and operational role model, environmental components must be included in all aspects. With Korean people expecting the Army to responsibly manage financial, human, and natural resources entrusted to them, the policy and vision of the Army must incorporate environmental protection into the fold. Only then can Korean Army truly be considered Korean people's army. As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becomes increasingly important to Korean people, military must be prepared to meet the expectation of the growing interest to operational readiness that needs sufficient land for training individuals and units. Korean military forces must streamline and adhere to environmental compliance and restoration policies not to be penalized from funds necessary for improvements to structures, modernizations, and trainings. Unfortunately, military facilities and installations today are under increasing pressures from various inside and outside entities. Due to these pressures, military's mission is becoming more difficult to accomplish. These pressures include competitions for space and other resources bringing less opportunity for training opportunities, increasing in costs due to demands, and bad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for soldiers and civilians. Furthermore, demands for more frequent and higher quality trainings to handle new weapons systems, new missions, and better tactics can add to already overtaxed resources. Further, demands for more and better training to accommodate new weapons systems, missions, and tactics steadily increases the resources required to maintain readiness. The Korean MND is a large organization whose activities inevitably impact the environment. Military activities have caused serious problems to humans and their natural environment. This has disappointed many people. Especially in June 2006, the MND lost a suit "EIA of Baekgol division's fire training site" through Supreme Court judicial precedent. After this case Baekgol division is training neighbor's site and there may be a failure to prepare defense readiness condition. There are many different expectations from EIA system in constructing military facilities. Korean people expect EIA to be an environmental conservation tool. The government expects EIA to be a resource tool in managing land-use and development. Non Government Organizations(NGOs) expect EIA to be an aid to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civil movements. Project proponents of military facilities still considers EIA as a part of administrative procedure. Understanding of EIA in construction of military facilities is related to settlement of the dispute related to military's mission and environment. The Korean MND and other military units are fully aware of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issues and have initiated variours efforts over the last ten years. However, due to the lack of basic environmental facilities and equipments, EIA system is primitive unable grow beyond the current adolescent stage. Given the summarized back above, this paper specifies problems of EIA in construction of military facilities in Korea and recommend improvements through analysing the EISs, review and consultation of military facilities and the case of Baekgol division's fire training site as a project subject. The construction of military facilities requires significant improvements in EIA system. From hereon, the EIA system's objectives and detailed improvements required will be discussed. The first objective is to restructure fundamental basics of MND's environmental system. The second objective is to improve EIA system's operational model. The last objective is to develop assessment methodology in EIA including the project subject of military fire training site. In effort to reform MND's environmental system, following recommendations can significantly improve upon the current system: 1. Expand MND's environmental structure and establish responsible specialist in EIA at the military facilities. Base must be created in MND's EIA system for military facilities. MND can do military training legally, the public can get the property right and environmental right. 2. Make the guide to environmental management suitable for each army(at the army, the navy, and the air force), each area of unit(at the company, battalion, and brigade/regiment levels), and each class(at an officer, noncommissioned officer and enlisted man). It also provides basic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army, units, and classes. This guideline states the purposes of military environmental protection, a description of legal requirements, and a summary of current military programs. It also describes the growing strategic significance of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twenty-first century. 3. Make and operate the integrated environment conference which is composed of the public, environmental agency(local government), and MND. Two conferences are being composed already, those are the conference of the public and the Army, and the conference of the environmental agency and MND. Each conference consists of central conference and local conference. There were some limits to solve complicated environmental matters related with military facilities. The improvement to EIA system's operation model can be realized by achieving below four items: 1. Develop the EIA guide suitable for Korean military's circumstances. Though Korean MND has a regulation of environmental management including EIA regulation, it is inappropriate to apply this existing regulation to Korean military's situation without environmental considerations and specific guidance from MND. This item on developing the EIA guide include to improve the procedures of the EIA through reflection of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military facilities and the application method of the SEA suitable for Korean Army at the planning phase. It is essential and important to improve the EIA procedure and to apply the SEA early and throughout the planning phase. When it applies the SEA in planning or programming phase, easily it will be able to solve unexpected problems(e.g. project approval cancellation judgement of Baekgol division's fire training site). It is important that correct level of EIA or SEA is undertaken at the appropriate stage. 2. Improve the reclassification and revocation of a military secret being used in the construction of military facilities in Korea. There are some problems related to military security in military facilities; those are regarding the effect of camouflage code and opening of military's data range to the public. From viewpoint of military security, the effect of the camouflage code being used in the EISs is not positively. And it will be able to bring about a confusion due to the scope of opening to the public in accordance with unit's conditions. 3. Improve the participation method of the stakeholders in EIA at the military facilities projects. The stakeholders of the project do not fully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military facilities. The participation of the environmental council for public, environmental agency and MND must be institutionalized through improving of MND's environmental system. The last objective in developing assessment methodology in EIA including the project subject of military fire training site can be subdivided into four specific areas: 1. Scientifically define the scope of project subject to the fire training site. It is very hard to set the scope of the fire training site owing to characteristics of weapons and ammunitions. This improvement examines the scope of project subject of EIA in fire training site how to improve it through the military training method that is applied real high-angle fire training, ‘probable error'. Probable error of the artillery field manual is nothing more than an error that exceeded as often as it is not exceeded and it is scientific method demonstrated through real fire test in U.S. Army. If it will be applied to improve assessment methodology about the project subject of military fire training site, the method of probable error promotes effect prediction, mitigation and reliability. 2. Improve the assessment method for inspecting site and the method of predicting effects. There are a lot of troubles in inspecting site and predicting effects owing to the specialty like danger zone with using weapon and military security in the military fire training site. 3. Create additional key assessment items and the scope of inspection. This problem is not to reflect key assessment items to EIS of military fire training site. The categories and items of the military fire training site are stipulated in 7 items in the assessment section of the Article 5 of the EIA Act on Environment, Transportation and Natural Disaster and Article 4 of its Enforcement Decree. The key items except soil and waste which are key to project subject of military fire training site, but soil and waste items are very important in project subject of military fire training site. So these items must be included. 4. Make an environment-oriented conversion of recognition and develop an integrated program for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of military training site. Commanders, staffs, subordinate leaders, and soldiers must understand(recognize) their importance of individual duties and responsibilities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MND's environmental programs enhance military readiness, protect the health of military and civilian personnel living and working in Army installations, and protect the environmental quality of the installation and adjacent communities to support future activities. Good conservation program preserve training areas for future military use and reduce compliance and restoration costs. Environmental protection is no longer the province of a few technical experts. It requires soldiers to prevent environmental problems by caring for those resources entrusted to them by the Korean people. This responsibility includes financial, material, and environmental stewardship. To sum up, the Korean military's environmental mission will develop and implement cost-effective measures to protect and sustain the environment in support of military operations, installation management, and materiel development. Considering MND's disadvantageous environmental conditions (the lack of available land, environmental specialist and insufficient fire training site etc.), EIA System is good enough to be remark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method for ESSD(Environmentally Sound and Sustainable Development). Military's environmental system comes to fruition by improvement of EIA system in the Construction of Military Facilities in Korea. 본 연구는 국방·군사시설 사업의 환경영향평가에 대한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1997년 환경영향평가법 개정 이후 시행되었던 국방·군사시설 환경영향평가서와 검토의견 분석, 백골부대 군사훈련장 사업 사례분석 등을 통해 국방·군사시설 전반의 환경영향평가에 대한 문제점과 군사훈련장 사업에 대한 문제점을 도출하였으며, 관계 전문가 및 사업 담당자 인터뷰 등을 통해 도출된 문제점을 검증하고 군 환경정책으로 시행 가능한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미국군과 영국군 등 선진 외국군의 환경영향평가 사례 및 규정 분석을 통해 한국군에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고 국방·군사시설 사업의 특수성을 적용하여 한국군 환경정책에 반영할 수 있는 시행 가능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국방·군사시설 사업의 환경영향평가 실태를 분석한 결과 한국군에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정책방향은 "국방·군사시설 환경영향평가 개선"이라는 전략목표로 구체화할 수 있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성과목표로 군 환경관리를 위한 '기반조성', 현재 국방·군사시설 환경영향평가 전반에 적용되고 있는 '제도 및 운영'에 대한 개선방안, 군사시설사업의 전반에 대한 '환경영향평가 기법 개선' 방안으로 분류하여 10가지 세부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군 환경문제의 전반적인 관리와 환경영향평가를 위한 '기반조성'의 측면에서 3가지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군 환경조직의 확대 및 EIA 전담조직(담당관)의 신설 방안이다. 군 환경영향평가 전담부서는 차치하더라도 환경전담부서 인력 중 환경영향평가를 전담하는 인력이 국방부 및 각군 환경전담부서에 편성되어 있지 않고 겸직으로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환경전문인력은 편제에 반영되어 있는 인원도 부족한 실정이고, 전문교육을 이수한 환경 전문인력도 수적으로 부족한 실정이지만, 얼마 되지 않는 전문인력마저 환경전담 조직에 활용되지 못하는 것이 더 큰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국방부의 군 환경조직을 현재의 과(팀) 편제에서 '국'으로 확대 개편하고, 환경영향평가 조직은 단기적으로 전담관을 임명하고 장기적으로는 '환경영향평가팀'을 군 편제에 반영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둘째, 가칭 '민·관·군 통합 환경협의회'의 운영 방안이다. 기존의 군·관 환경협의회는 대부분 민원 해결을 위한 군의 오·폐수 처리 문제, 쓰레기 처리 등의 안건을 다루었으며, 군의 주둔이나 군사활동으로 인한 자연생태계의 훼손 방지 및 지역생태계의 보전, 군사시설 환경영향평가와는 다소 거리감이 있었다. 민·군 환경협의회는 육군본부와 환경운동연합과 녹색연합 등의 환경NGO간의 협의체로서, 그동안 폐쇄적이었던 군의 영역을 환경NGO에게 개방함으로써 군이 해결할 수 없었던 문제들을 공동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니지만, 2001년 결성 이후 상호간의 이해 차이와 상정 안건에 대한 견해 차이로 뚜렷한 결과 없이 그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었다. 미국군 Fort Carson의 환경준수·관리위원회(Directorate of Environmental Compliance and Management)는 군 환경관련 조직, 연방 및 주정부의 환경조직, 부대 주변 원주민 대표, 대학의 환경관련 연구조직, 지역사회 환경단체, 교육단체, 기타 관심단체 등의 다양한 유형의 단체들과 파트너쉽을 구성하고 있으며, 맥클레런 기지에 대한 환경영향평가시에는 중요한 관심지역에 대한 연방정부와 주정부의 중요 관심지역(Key Areas of Concern to Federal and State Agencies)과 공공 및 관심단체의 중요 관심 지역(Key Areas of Concern to the Public and Special Interest Groups)을 구체적으로 명시하여 환경영향평가에 반영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기존의 군·관, 민·군 환경협의회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외국군의 사례를 교훈으로 군사시설 환경영향평가시 민·관·군이 함께 군사시설의 환경영향평가에 참여할 수 있도록 '민·관·군 통합 환경협의회'의 운영을 제안하였다. 셋째, 각 군별, 지역별, 계급별(신분별) 특성에 부합하는 환경관리 지침서의 제작이다. 군의 환경관리는 환경정책기본법과 환경관련 관계법을 토대로 작성된 군 환경관리규정(국방부, 1999)을 기본으로 각 군의 특성에 부합하는 환경관리 규정을 제작하여 활용하고 있지만, 군의 특수성을 반영할 수 있는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지휘관이 활용할 수 있는 환경지침서도 부족하고, 군의 초급간부나 병사들의 교육용으로 제공되는 자료도 질적인 자료뿐만 아니라 양적으로도 매우 부족한 현실이다. 외국군의 경우 각군의 지휘관 지침서, 매체별 별도의 환경규정, 환경교범 등을 통하여 군의 특수성을 반영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한국군의 특성에 부합하는 제대별 지휘관 환경관리지침서, 환경교범 및 훈련회장, 매체별 환경규정과 주요 포함사항을 구체화하도록 제안하였다. 다음으로 현재 국방·군사시설 환경영향평가 전반에 적용되고 있는 '제도 및 운영'에 대한 측면에서 3가지 세부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국방·군사시설사업의 특수성을 반영한 가칭 '군 환경영향평가 지침서'의 개발방안이다. 국방·군사시설 사업은 사업의 특수성을 고려한 별도의 지침서가 없어, 국방부(대행자)는 기존의 평가서 작성규정에 따라 평가서를 작성하고 협의하게 되었으며, 협의기관(검토기관 포함)의 일방적인 기준으로 협의를 하게 됨에 따라 군의 임무와 관련하여 '보안', '무기', '위험'이라는 특수성이 제대로 반영될 수 없어 부실 환경영향평가의 소지가 항상 있어왔다. 하지만, 환경영향평가 대상사업중 도로사업, 철도사업과 같은 선형사업과, 석산개발사업, 단지조성사업과 같은 면형 사업 등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큰 일부사업은 별도의 지침서나 별도의 연구보고서를 제작하여 환경영향평가에 적용하고 있다. 미국군과 영국군등 선진 외국군의 경우 군사시설 사업과 관련하여 별도의 규정과 지침서를 제작하여 활용하고 있고, 서울시와 제주도와 같은 도시 개발로 인한 환경영향이 지대한 지역과 특정한 생태적 중요성 및 환경자원의 보존이 필요한 지방자치단체의 경우에도 강화된 환경영향평가 조례를 제정하여 활용하고 있다. 군사시설 사업의 특수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1997년 KEI 개원 이후 국방·군사시설 사업을 육군, 해군/해병대, 공군사업으로 구분하고, 육군의 사업은 다시 일반 병영시설 사업, 훈련장사업, 체력단련장 사업으로 구분하며, 해군/해병대 사업은 공유수면 매립사업, 공군의 사업은 활주로 사업에 대해 사업의 특수성과 시행 사례를 '군 환경영향평가 지침서'에 포함할 수 있도록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한편, EIA 절차 개선을 위해 우선적으로 면제 사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긴급사업 여부와 기밀 포함 여부를 검토하고, 현행 규정에 제시된 군사상 고도의 기밀보호와 군사작전 수행에 따른 면제사업에 대한 기준을 구체화 하도록 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EIA 개선 절차를 그림으로 나타내었다. 또한 대법원에서 사업 취소가 결정된 백골부대 사업의 경우를 가정하여 계획단계에서 전략환경평가를, 사업 승인 후 실시단계에서 환경영향평가를 병행하여 적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국방·군사시설 사업시 활용되는 군사기밀의 재분류 및 해제방안이다. 현행 군사시설 사업에 대한 군의 과도한 보안 유지 노력은 일부사업에서 부실한 환경영향평가의 원인으로 대두되고 있다. 군사시설사업의 환경영향평가시 보안을 고려한 위장부호 사용은 효용성에 많은 의문이 있어왔고, 사업 부대별 군사자료 공개의 범위가 상이하여 효과적으로 현장조사가 제한되었으며, 오염매체별 영향예측도 어렵게 되어 부실한 환경영향평가의 단초를 제공하였다. 미국군의 경우 전투여단의 편제, 편제 무기의 제원 등을 공개하여 환경영향평가에 활용하고 있고, 영국군은 헤브리데스 열도에 대한 환경보전을 위해 수상함정, 잠수항, 항공모함 등의 훈련일정과 제원을 비교적 상세히 제공하고 있어 해양 생태계의 보존을 위한 도움을 주고 있다. 한국군의 경우 과도하게 제한되는 자료를 과감하게 해제하고, 환경영향평가에 구체적인 자료를 언급함으로써 사격훈련시 육상동물의 번식시기를 피할 수 있고, 위장부호의 지나친 사용으로 지역주민으로부터 불필요한 오해를 유발하지 않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향후 군은 군사시설사업 환경영향평가시 부대별 제공될 수 있는 자료의 범위를 명확히 규정하고, 환경영향평가에 활용되어 지역주민과 환경보전을 위해 긍정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군사비밀 자료는 과감하게 재분류, 해제, 공개토록 하여 사전 예방차원의 환경보전 활동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군 사업 특수성 반영을 위한 관련기관의 참여 방법을 개선하는 것이다. 평가대행업체에 대한 문제점은 '보안', '위험'이라는 군사시설 특수성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전문성의 부족과 일부 대형 평가업체가 평가의 편의성을 위해 시행하고 있는 재하도급 평가에 대한 신뢰성 확보의 문제, 그리고 평가대행업체의 지정시 일부 대형 평가대행업체에 사업의 수주가 몰리고 있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협의기관 및 검토기관의 문제점은 군사시설에 대한 이해나 전문성이 부족하고, 이로 인해 검토의견의 조정 및 군의 특수성이 반영된 검토의견의 제시가 어렵다는 점이다. 이를 위해 군과 대행업체간의 업무와 관련한 종속적 관계와 대행업체의 전문성 부족으로 인한 부실평가의 문제, 군사시설에 대한 보안문제를 위한 대책으로 평가대행업체에 대한 풀(pool) 구성을 제안하였다. 협의·검토기관의 군사시설 사업에 대한 참여방법 개선을 위해 단기적으로 군내 환경전문가를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에 일정기간 파견을 보내 군사시설 환경영향평가 검토시 군사시설 사업의 특수성이 반영될 수 있도록 하고, 중·장기적으로는 국방·군사시설의 이해와 전문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소속 직원을 일정기간 국방부, 국방연구원(KIDA), 국방과학연구소(ADD) 등에 파견하도록 하고, 아울러 환경영향평가에 대한 이해와 지식이 필요한 각급 부대 환경관리자 역시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에서 일정 기간 근무가 가능하도록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군사시설사업 '환경영향평가 기법' 측면에서 4가지 세부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공용화기 사격훈련장에 대한 공산오차를 적용한 평가대상 지역 설정의 과학화이다. 사격훈련에 사용되는 해당 화기의 유효 살상반경과 불발탄 및 오발 가능성 등이 제대로 반영되지 못하여, 사업자가 대상사업의 규모를 자의적으로 해석하여 평가 대상사업임에도 평가대상 사업에서 제외하는 우를 범할 수 있다. 현재 군에서는 곡사화기의 탄도와 탄착중심을 과학적인 방법으로 예측하여 표적의 범위를 설정할 수 있도록 공산오차를 적용하고 있는데, 사격훈련장 사업시 공산오차를 포함하여 살상반경, 방화지대를 동시에 고려하면 피탄에 의한 피해를 예방할 수 있고, 과학적인 환경영향평가 기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군사훈련장에 대한 현장조사 및 영향예측 개선 방안이다. 현장조사가 제한되는 이유는 보안 규정으로 인한 출입자체의 제한, 불발탄 및 미확인 지뢰로 인한 위험성, 현장조사가 필요한 훈련장 사용 여건의 제한 등의 몇 가지 사유로 요약할 수 있다. 영향예측의 어려움은 현장조사의 제한으로 영향예측을 위한 기초 자료의 부실, 보안상의 문제로 군사자료의 획득의 어려움, 사용화기·화약·토양 조건 등이 상이한 유사자료 활용의 한계 등으로 발생하고 있다. 불발탄 및 인접지역의 미확인 지뢰지대로 인한 위험성을 극복하기 위해 사격훈련장에 사용되는 각종 화기와 탄약에 대한 환경오염 경로, 환경오염 현황 측정 등을 독자적으로 DB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비밀로 분류하여야 하는 자료는 수량과 함유물질 등은 위장부호를 사용하여 활용하고 영향예측시 적용할 수 있도록 하고, 민·관·군 협의회의 기능을 활용하여 비밀과 관련한 사업에 참여할 수 있는 주민대표를 한정하도록 하며, 군내에서도 일부 가용한 훈련일정 조정 등 탄력적인 부대운용으로 환경영향평가를 위한 매체별 측정에 적극적인 협조를 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군사시설 사업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평가항목 및 조사범위를 추가로 설정하여야 한다. 맥클레런 기지의 평시운영과 관련하여 기지에서 사용되었던 화기와 폭발물(Ordnance and Explosives)에 관한 내용을 환경영향평가 항목으로 선정하여 사용가능한 사격장(Current Ordnance Ranges), 비사용 사격장(Inactive Ordnance Ranges)으로 구분하여 환경영향평가서를 작성하기 전 기지에 대한 세부조사를 통하여 세세하게 기록하였다. 아이다호 지역의 공군훈련장에 대한 환경영향평가서에는 안전(Safety) 항목을 평가항목으로 추가하여 사업지역내 3개 지역에 대한 화재위험 관리 및 지상안전(Fire Risk and Management/Ground Safety), 비행 위험요소(Flight Risks), 탄약사용·조절(Munitions Use and Handling), 안전에 관한 북미인디언 쇼쇼니-파우티족의 문제점(Shoshone-Paiute Issues Concerning Safety)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한국군의 군사훈련장 환경영향평가시에도 탄약(화약), 화기(무기)와 같은 항목을 평가항목으로 추가할 수 있을 것이고, 군사훈련장에서 사용되는 탄약이나 화기의 사용으로 인한 사업지역의 화재발생, 인접지역 주민피해 예방을 위해 통합적으로 안전(safety) 요소를 추가항목으로 편입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환경친화적 군사훈련장 관리를 위한 장병의 인식전환 및 훈련장관리 프로그램의 개발이다. 과거 일부 군 장병은 환경영향평가를 훈련장 설치에 장애가 되는 불필요한 절차로 인식하여 왔으나, 이제 합법적인 절차를 거치면 안전하게 훈련장을 사용하고 전투준비의 효율성도 높일 수 있다는 인식의 전환을 가져야 한다. 군사훈련장에 대한 인식전환과 환경영향평가를 통한 사전예방활동 그리고 친환경적 관리와 더불어 과학적인 훈련장 관리기법과 환경보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지속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 생산량 향상을 위한 Smart Factory 제조/공정에서 머신 러닝 활용방안

        강재구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는 4차 산업혁명이 진행 중이다. 제조업에 있어서도 전통 산업에 IT 시스템을 결합하여 지능형 Smart Factory로 진화를 시켜 나가는 것이다. 즉 사물인터넷(IoT)에 해당하는 자동화 생산라인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시키고, 서비스인터넷(IoS)해당하는 ERP, PLM, MES등을 물리적인 가상공간(CPS)에서 연결하여 쌍방향으로 자유로운 정보교환을 하면서 생산하는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국내의 주요 제조업 강국들은 고령화, 노동력 감소 등 노동기반의 약화에 따라, 생산현장의 고도화를 통하여 미래 제조업 경쟁력 확보 노력을 하고 있다. 다양한 기업체들도 자사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Smart Factory를 구축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정작 대다수 기업들은 Smart Factory에 대한 최종적인 목표인 AI, 사물인터넷(IoT) 단계가 기초적인 노력없이 구축된다는 착오를 하고 있다. 생산량 향상을 위한 Smart Factory 제조/공정에서 머신 러닝 활용방안을 위해 현장에서 생산되는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여 작업자 또는 경영자에게 의미 있는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정보 제공이 필요하다. 생산량 향상을 위한 데이터 수집 및 머신 러닝을 활용한 연구를 통해 Smart Factory 고도화 수준(AI, IOT) 레벨로 진입하기 위한 디딤돌 역할인 데이터 마이닝, 머신 러닝의 기술을 활용해야 한다. 그래서 본 연구를 통하여 많은 단계, 노력, 시간, 비용, 인력이 들어가는 분석과정을 머신 러닝 기술이 대신해 주는 것이다. 머신 러닝을 활용하기 위한 TOOL 오렌지 3버전을 사용하여 설비로 수집된 실시간 공정 데이터를 전 처리하고 공정 단계단계 마다의 스펙 데이터 마이닝 하여 공정 데이터의 영향에 따라 실제 최종 제품의 생산량을 예측하여 생산량 향상의 방법을 연구합니다. 성능평가 분석모델로 AdaBoost, Random Forest, Linear Regression, SVM, Neural Network 활용하였고 모델평가로는 MSE, RMSE, MAE, R2로 측정을 완료하였다. 예측데이터는 AdaBoost가 가장 적합했고, R2가 정확도가 가장 좋은 결과가 나왔다.

      • 高麗 元宗代 麗·蒙 關係와 東寧府 설치

        강재구 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progress in the Koryeo-Mongol Yuan Empire relationship and the policy objective of the Mongol Yuan Empire after entering into the peace pact, which had been brought about through establishing the Dong-Nyoung-bu(東寧府, the Local Authorities of “Dong-Nyoung”) in Bukgye(北界) by the Mongol Yuan Empire in 1270 (the 11 year of King Won-jong). Koryeo and the Mongol Yuan Empire began to try figure out a way to establish a new relationship after entering into a peace pact in 1260. Khubilai wanted to hold the regime under Kim Jun in check, who was regarded as a potential risk, by supporting the royal family of Koryeo Dynasty, so that they could carry out the east-oriented policy in a stable way. The Mongol Yuan Empire wanted to impose the policy on Koryeo, which was like the policy it had used to reduce Japan to obedience by dispatching an envoy. And in this process, the Mongol Yuan Empire exercised it influence to the political situation in Koryeo. The Kim Jun regime, which felt menace from the pressure of Mongol Yuan Empire, tried to find a way to dethrone the king or transfer the capital to an island. And at last King Won-jong succeeded to oust Kim Jun through cooperation with other vassal named Yim Yeon. The removal of kim Jun was carried out under the direct leadership of the kin. As a result the internal status of King Won-jong was raised a lot. On the contrary, Yim Yeon began to feel fear of the increasing power of King Won-jong and the cozy relations between royal families of Koryeo and Mongol Yuan Empire, so that he dethroned the king in a hurry, making an attempt to change the situation. The information regarding dethronement of King Won-jong was conveyed to Khubilai by the crown prince Sim, who was staying in Mongolia at that time. The crown prince Sim was ennobled as 'Dong An Gong(東安公)' and granted a government post called 'Teuk Jin Sang Ju Guk(特進 上柱國)' by Khubilai. Though the ennoblement of crown prince as 'Dong An Gong' was called off, we may assume that on one hand Khubilai was trying to keep tight control over Yim Yeon by using the crown prince, but on the other hand he was trying to isolate Yim Yeon, refusing to admit the dethronement of King Won-jong. When Choi Tan and Lee Yeon-ryeong rose in rebellion in Bukgye, Khubilai approved the active obedience of Choi Tan and his men, so that the Khan could set a foundation on which he could intervene in the affairs of Koryeo. This implied that the Khan changed the diplomatic policy in which he tried to keep tight control over Yim Yeon by using the royal family of Koryeo, and the establishment of 'Dong-Nyoung-bu' was a part of counterstrategy. The 'Dong-Nyoung-bu' was established unilaterally regardless of the intention of Koryeo. After returning to reign, King Won-jong filed a strong protest with Mongolia, demanding the return of territory. But it was not accepted at all. So, King Won-jong began to govern the country himself(親朝) and gave the Mongol Yuan Empire to transfer the capital to land(出陸還都) and subjugate the powerful courtiers. On the other hand, he proposed intermarriage of royal families in both countries, trying to foster closer links with the Mongol Yuan Empire, however, his proposals were not accepted as the royal family could not expel the political group led by Yim Yeon completely. The purposes of establishing 'Dong-Nyoung-bu' were as follows. Firstly, the Mongol Yuan Empire aimed to expel the Yim Yeon regime and prevent Koryeo from rearming and betraying through establishing the 'Dong-Nyoung-bu'. In addition, the Mongol Yuan Empire tried to get a foothold for the east-oriented policy that could connect Nam-song, Yo-dong and Japan together, as well as secure a bridgehead through which it could hold a tight control over Koryeo. The strategy of Mongol Yuan Empire can be reviewed through the policy-making process in the court of empire up to the establishment of 'Dong-Nyoung-bu'. As the empire was sufficiently aware of the strategic value of Koryeo, it made a great effort to use the policy to realize the strategy. The establishment of 'Dong-Nyoung-bu' was a part of strategy called 'Yi-yi-je-yi(以夷制夷)', which meant that an enemy could be beaten off by another enemy, so that the Mongol Yuan Empire could reduce the unnecessary waste of military power caused by a full-scale war with Koryeo, making the best use of the geopolitical value of Koryeo located near by Nam-song and Japan. In short, the empire established the 'Dong-Nyoung-bu' in Bukgye Area in order to maximize the strategic value of Koryeo and invade Nam-song and Japan, preventing Nam-song, Koryeo and Japan from banding together. And this was possible on condition that the Koryeo Dynasty could be kept. Secondly, the 'Dong-Nyoung-bu' was established in order to hold the three eastern royal families(東方 3王家) in Yo-dong Area in check, which were regraded as potential threat to Khubilai. The three eastern royal families participated in the war between Koryeo and Mongol Yuan Empire, and they were steadily seeking for self-aggrandizement into the territory of Koryeo. Khubilai tried to reduce the influence of the three easter royal families on the territory of Koryeo by ordering the troops of the families to withdraw, which were stationed in the Bukgye Area during the war. And also, he stationed the forces under his direct command in the Bukgye Area under the pretense of the dethronement of King Won-jong and rebellion raised by Choi Tan and his men. This implied that Khubilai took hold over the Bukgye Area which played a role as a buffer area on the border with Yo-dong in terms of geography. And the establishment of 'Dong-Nyoung-bu' helped to block the power of the three eastern royal families in the Yo-dong Area. By doing this, Khubilai could fully reflect his own political intention in the political situation of Koryeo, and also he could reorganize the poli 본 연구는 1270년(元宗 11) 몽골이 고려의 북계지역에 두었던 “東寧府”의 설치 과정을 통해 강화 이후 고려-몽골 관계의 추이와 몽골의 정책적 목적을 검토하였다. 고려와 몽골은 1260년 강화 성립 이후 새로운 관계를 모색하게 되었다. 쿠빌라이는 동방 정책의 안정적인 수행을 위해 고려왕실을 후원하여 그로 하여금 잠재적 위험 요인이었던 김준정권을 견제하도록 하였다. 몽골은 일본 초유와 같은 정책을 고려에 부담지우고자 하였고, 그 과정에서 고려의 정세에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이러한 몽골의 압력에 위협을 느낀 김준정권은 국왕 폐위·해도재천 등을 모색하기에 이르렀고 결국 원종은 임연과 공조하여 김준을 제거하는데 성공하였다. 김준 제거는 원종이 주도하여 단행되었다. 그 결과 원종의 대내적 위상은 크게 격상되었다. 반면 임연은 높아진 원종의 위상과 여·몽 왕실간의 유착에 위협을 느끼고 다급하게 원종을 폐위시키며 국면 전환을 꾀하였다. 임연의 원종 폐위사건은 당시 몽골에 체류 중이었던 세자 심에 의해 쿠빌라이에게 전해졌다. 쿠빌라이는 세자 심을 ‘東安公’에 책봉하고 ‘特進 上柱國’을 제수하였다. 세자의 ‘동안공’ 책봉은 이후 철회되었지만, 그를 통해 쿠빌라이가 세자를 통해 임연을 통제하는 한편 폐위 자체를 인정하지 않으면서 임연을 고립시키는 의도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최탄·이연령 등의 북계 반란이 일어나자 쿠빌라이는 최탄 등의 귀부를 승인함으로써 고려에 직접 개입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이는 고려왕실을 통해 임연을 통제한다는 방침의 변경을 의미하는 것이었으며 동녕부 설치는 그 연장선 상에서 이뤄진 조치였다. 동녕부는 고려의 의사와는 관계없이 일방적으로 설치되었다. 원종은 복위 후 몽골에 강력하게 항의하고 그 반환을 요구했지만 모두 수용되지 않았다. 이에 원종은 복위 즉시 친조를 단행, 출륙환도와 권신 토벌을 약속하는 한편 왕실 통혼을 제의하면서 몽골과 적극적인 유착을 시도했지만 고려왕실 스스로 임연을 완전히 축출하지 못하면서 수용되지 못했다. 몽골이 동녕부를 설치한 목적은 첫째, 동녕부 설치를 통해 임연정권을 축출하여 고려의 재무장과 이반 가능성을 제거하는 것이었다. 뿐만 아니라 고려를 통제할 수 있는 교두보를 마련하는 한편 남송-요동-일본으로 이어지는 동방 정책을 위한 거점을 확보하고자 했다. 이는 동녕부 설치에 이르기까지의 몽골 조정 내에서의 정책 결정 과정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몽골은 고려의 전략적 가치를 충분히 인지하고 그것을 온전히 구현하기 위해 정책을 구사하였다. 동녕부 설치는 몽골이 고려와의 전면전에 따르는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막으면서도 남송·일본과 인접한 고려의 지정학적 가치에 주목하여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以夷制夷’의 일환이었다. 즉, 고려의 전략적 가치를 극대화하는 한편, 남송·일본 경략 및 宋-麗-日 연대를 차단하고자 북계지역에 동녕부를 설치하였던 것이고 이는 고려왕조의 유지를 전제로 성립할 수 있었던 것이었다. 둘째, 동녕부는 쿠빌라이에게 잠재적인 위협 대상이었던 요동의 동방 3왕가의 견제를 위한 목적에서 설치되었다. 동방 3왕가는 여몽전쟁기 동안 고려와의 전쟁에 참여하면서 고려 방면으로의 세력 확대를 꾸준히 도모하고 있었다. 쿠빌라이는 여몽전쟁기 동안 북계지역에 주둔하고 있던 동방 3왕가의 군대를 철수시키는 등 고려 방면에 대한 동방 3왕가의 영향력을 차단하는 한편 원종 폐위와 최탄 등의 반란을 빌미로 북계지역에 그의 직속 군대를 주둔시켰다. 이는 곧 쿠빌라이가 지리적으로 요동세력과 접경하여 완충지적 역할을 했던 북계지역을 흡수한 것을 의미하며, 이 지역에 동녕부를 설치함으로써 요동의 동방 3왕가 세력을 물리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로써 쿠빌라이는 고려에 전적으로 자신의 정치적 목적을 반영시킬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고려 역시 쿠빌라이와의 직접적 관계로 몰입할 수밖에 없는 구조로 재편되었던 것이다. 쿠빌라이는 남송·일본 경략, 동방 3왕가 견제와 같은 동방 정책의 수행을 위해 고려와의 관계를 안정적으로 운영할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그는 고려왕실을 후원하면서 잠재적인 위험요소인 무신정권을 축출하고자 했다. 그리고 임연의 원종 폐위와 최탄 등의 북계반란을 빌미로 고려의 정국에 직접 개입하였다. 그 과정에서 설치된 동녕부야말로 강화 이후 여·몽 관계의 성격과 역학관계를 보여주는 좋은 예라고 할 수 있다.

      • 1945-60년대 보건소 예방사업과 보건개념의 구현

        강재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examined the ideals of the medical circles, which sought to promote individuals' health by the state how it was realized after liberation. As shown by the fact that most people today manage their health through private institutions, health centers, which started from the ideal of the medical circles, faced limitations in reality. The review of this process is an important topic to understand the attempts of health care by the state and its limitations. Furthermore, it can be a starting point to understand the rise of private-centered health care methods, which are characteristic of Korean health care today. After liberation, After liberation, the medical circles formed a health concept not only under the influence of American public health, but also in a sense of problem with the Japanese sanitary administration. It was how the state promoted individual health in a democratic and preventive medical way. The medical circles wanted to implement this ideal by health centers established by the U.S. military government. However, early health centers operated like a treatment institution in the face of a lack of health concepts and poor medical conditions. The Korean War strengthened this trend by making health centers run as relief clinics. This continued after the 1963 revision of Health Center Law. Meanwhile, the health center's prevention project, which the medical circles emphasized, was selectively implemented. Health centers failed to autonomously implement preventive projects in accordance with local health conditions or needs. Budget and manpower were concentrated on tuberculosis management projects and family planning projects linked to economic development, which is a national policy. It was an clear indication that the health center was operated by the logic of national development, rather than by its own logic of improving the health of local residents. Health was emerging as a subordinate value to national development. After all, health centers did not become preventive medical institutions, unlike earlier ideal, nor did they fully improve the health of local residents. Since 1967, the Park Chung-hee administration has announced more active health care plan than before, but it did not overcome existing limitations. In a situation where health values are subordinate to national development, health was only implemented to support economic growth, as a result, private health care was filling the medical vaccum. Keyword: Public health, Preventive medicine, Dispensary, Health center, Health unit, Rural health, Doctorless village, Tuberculosis management, Family planning, Postcolonial orientation

      • 사회복지사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조직몰입에 관한 연구 : 임파워먼트, 팔로어십의 매개변수와 변혁적 리더십을 중심으로

        강재구 순천대학교 사회문화예술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개인적 특성과 조직몰입에 관한 연구를 임파워먼트, 팔로어십의 매개변수와 변혁적 리더십을 중심으로 알아보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관의 효율적인 운영과 사회복지 사들의 임파워먼트와 팔로어십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조사 대상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전라북도에 근무하는 사회복지 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를 위해 사회복지관 ‘명부’를 기준으로 광주광역시 18개 기관, 전라남도 15개 기관, 전라북도 17개 기관을 선정, 유형에 관계없이 각 기관별 5~6명을 대상으로 2010년 4월 20일부터 5월 29일까지 조사하였다. 자료 수집 방법은 사회복지관에 전화를 하여 설문지 작성에 동의를 구한 후 해당기관에 발송 후 사회복지 사 들이 기입하는 우편조사이다. 사회복지관으로부터 우편으로 회수된 설문지는 총 216부였으며,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실제 분석에 사용된 설문지는 213부였다. 통계처리는 SPSS Ver 17.0(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기술통계분석(빈도, 평균, 표준편차), 요인분석, 신뢰도분석(Cronbach's alpha),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사의 개인적 특성(성취욕구, 자아존중 감, 통제위치)은 임파워먼트에 유의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복지사의 개인수준과 조직수준의 임파워먼트는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임파워먼트를 구성하고 있는 개인수준 요인과 조직수준 요인들의 항목을 합한 전체 임파워먼트는 조직몰입 간에 유의적인 영향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복지사의 개인적 특성(성취욕구, 자아존중감)은 팔로어십에 유의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내재론 적 통제위치는 팔로어십에 유의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복지사의 독자적 비판의 팔로어십은 조직몰입에 유의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능동적 참여의 팔로어십은 조직몰입에 유의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사회복지관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사회복지사의 임파워먼트와 팔로어십에 유의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사 들의 효과적인 임파워먼트와 팔로어십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사의 개인 임파워먼트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자아존중 감을 높이기 위한 자기개발 노력과 적극적인 자세가 필요하다. 그리고 체계적이고 정기적인 슈퍼비전을 통해 사회복지 사에게 사회 환경에 대처하고, 비전을 제시해 주며 임파워먼트에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팔로어십 함양을 위한 학습에는 팔로어십 유형별로 차별화가 요구된다. 유형별 교육방법의 차별화는 개인의 맞춤형 교육 및 학습이라는 개념을 바탕으로 한다. 획일화된 집단적인 교육과정의 운영이 아니라, 효율성이 높은 개인별 역량강화를 통한 수행능력 향상이 요구된다. 셋째, 사회복지 사 들이 효과적인 팔로어의 능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이유는 개인적인 원인도 있지만 기관장의 리더십 능력 여하에 따라 팔로어의 능력에도 차이가 있기 때문에 최고관리자의 변혁적 리더십 개발이 적극적으로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basis to improve the empowerment and followership of social workers and to represent the effective management of social welfare centers through the investigation with priority to parameter of empowerment, followership of social worker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 subject of survey is the social workers working in the social welfare centers located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Jeollanam-do and Jeollabuk-do. On the basis of social welfare center`s list, the samples was selected Gwangju 18, Jeollanam-do 15 and Jeollabuk-do 17 organizations. And the survey about 5-6 persons of each center was conducted from April 20, 2010 to May 29, regardless of its type. A method of collecting material give a social welfare center bell, get there`s consent. Since then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the social workers by post. The total collected questionnaires from social welfare centers were 216 and 213 copies were used with the exception of unfaithful ones. The collected samples were analyzed by using SPSS Win 17.0 Program(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and conducted by systematic method including Technical Statistical Processing(frequency,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analysis), Factor Analysis, Cronbach's alpha,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 First, the study showed that the personal factors(self actualization motive, esteem motive, internal belonging motive) show meaningful effect on the empowerment. Second, the study showed that the empowerment of social workers on a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level have no meaningful effects on the organizational committment. But It showed that the overall empowerment composing the empowerment of social workers on a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level have some meaningful effects on organizational committment. Third, It appeared that the personal factors(self actualization motive, esteem motive, internal belonging motive) showed meaningful effect on the followership. But internal belonging motive have little effect on followership. Fourth, based on the survey, the followership of Independent Criticism showed some meaningful effects on the organizational committment. But the followership of Active Participation have no meaningful influence on the organizational committment. Fifth, the study showed that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social welfare center manager have some meaningful influences on the empowerment and followership of social workers. On the basis of above results, the followings are the suggestions to reinforce the effective empowerment and followership of social welfare workers. First, to improve the individual empowerment of social workers, it is strongly necessary that they make the best effort to promote their ability and they have the positive attitude. And through the systematic supervision on a regular basis, it is required that they have the positive roles in coping with the social circumstances and in presenting the social workers new vis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differentiate the type of followership education in studying of followership improvement. The differentiation of education should be based on suitable education for the individual learner, not on the standardized and collective education, to be recognized and accepted as improvement of job performance through reinforcing individual ability. Third,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social workers show the inability to perform their job effectively, not only because of the personal circumstances but also because of the leadership of social welfare center directors. Thus it is requisite to develop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directors managing the social welfare centers.

      •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셀-스위치 할당 문제

        강재구 韓南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designing and operating cellular networks, it is assumed that the area of coverage is geographically divided into cells. Among these cells, a certain number of cells are chosen to install switches that serve as relays for communications between any pair of cells. Then, each cell is assigned to switches to complete the cellular network. This decision regarding assignment of cells to switches is known as a CSA (Cell-to-Switch Assignment) problem. The problem is based on the minimization of communication link cost and handover cost. Since this problem is a so-called NP hard, many researches have proposed heuristic-based algorithms to provide near-optimal solutions within a reasonable computation time. Considering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CSA problem, this work develops a genetic algorithm and a local search algorithm. Throuout a number of experiments,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lgorithms are evaluated, and compared with exisisting heristic methods.

      • 물리치료전공 대학생의 카이로프랙틱에 대한 인식도에 관한 조사

        강재구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MS. Thesis A study on the awareness of chiropractics within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therapy Kang, Jae Goo Major in Manual Therapy Graduate School of Alternative Medicine, Kyonggi University A survey regarding chiropractics was conducted for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therapy within the metropolitan area, from which 143 surveys were used for analysis. Excluding 1st year students without a general understanding of physical therapy, subjects for the survey were selected at random among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therapy. The focus of the study was designed to see what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therapy thought alternative medicines as well as what their thoughts were regarding chiropractics, which is similar to physical therapy.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as follows. The degree of awareness for alternative medicines showed that 86.0% of the 123 respondents had heard about alternative medicines. In addition, the degree of awareness for chiropractics showed 91 respondents, or 63.6%, as being aware. The results showed that more higher grade students, such as 3rd or 4th year students, were familiar with chiropractics compared to 2nd year students. For the question asking about whether they would study chiropractics had they had an opportunity, 76 respondents (53.9%) said they would study the subject. Such results evidences the desire within students to learn about the subject if the opportunity existed. As for alternative medicines,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therapy most frequently selected Manipulatology of Spine and transcendantal meditation while the source of information was either from people, newspapers, or from direct experience.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ed that whil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therapy have generally heard of alternative medicine and chiropractics, they do not possess much accurate knowledge or proper training. However, the survey showed that as students go into higher grades, they develop more desire to learn about chiropractics. In the future, the way to raise the awareness for chiropractics will require more accurate delivery of knowledge and education.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utilize high-quality services and approach from a preventative medical perspective. It is the responsibility of the therapist to learn new practices if such will raise the quality of services provided to patients. Within such consideration, more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education programs must be developed in the future. Key Words : Chiropractic, Physical therapy, Alternative medicines.

      • 母后山의 森林植生과 土壤環境 分析

        강재구 建國大學校 大學院 1994 국내석사

        RANK : 247631

        모후산 일대의 삼림식생의 유형을 파악하기 위하여 식물사회학적 군락조사와 토양환경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모후산의 삼림식생을 Z-M법에 의하여 분류한 결과, 3개의 군락, 2개의 하위 군락으로 구분되었다. 신갈나무 - 조릿대군락 철쭉꽃하위군락 국수나무하위군락 소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2. 신갈나무-조릿대군락은 모후산 전반에 걸쳐 고도 600~900m에 분포하고 있었으며, 소나무군락과 굴참나무군락은 남서사면의 고도 430~520m, 400~500m에 각각 분포하고 있었다. 3. 토양환경은 신갈나무-조릿대군락이 소나무와 굴참나무군락에 비해 양호하게 나타났다. 유기물함량, 토양함수량, 양이온치환능은 고도에 따라 높은 경향을 나타냈으며, pH도 고도가 증가함에 따라 강한 산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4. 토양환경에 따른 종분포 특성은 pH가 4.13-4.61 지역에 정금나무, 선밀나물 미역줄나무, 팥배나무가, 461-5.29 지역에 졸참나무, 노각나무, 대사초, 꽃며느리밥풀, 굴참나무, 기름새가 분포하였고, 토양함수량이 40.9-47.2% 지역에 때죽나무 서어나무, 대사초, 제비꽃, 졸참나무, 작살나무가, 46.9-54.7% 지역에 계요등, 기름새, 흰갈퀴, 맑은대쑥, 넓은잎외잎쑥이 분포하였다. 그리고 유기물함량이 7.03%~16.55% 지역에 대사추 굴참나무, 졸참나무, 담쟁이덩굴이, 16.55-32.48% 지역에 정금나무, 팥배나무, 족도리, 당단풍, 철쪽꽃, 미역줄나무가 분포하였다. 5. 각 군락별 우점종의 DB퍼 분포는 신갈나무가 11~15cm급에서 9개체/a., 굴참나무가 11-l5cm급에서 5.6개9111a., 소나무가 16-20m급에서 8개체/a.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신갈나무, 소나무와 굴참나무가 모두 안정된 종형을 나타내고 있었다. 6. 모후산의 삼림식생은 소나무군락 - 굴참나무군락 - 신갈나무군락으로 천이계열이 변화될 것으로 추정되었다.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loristic composition and the soil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forest vegetation on Mt. Mohu was investiga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ccording to the Z-M method, the forest vegetation unit of Mt. Mohu was divided into three community and two subcommunity association. Quercus mongolica - Sasa borealis community Rhododendron maximowiczii subcommunity Stephanandra incisa subcommunity Pinus densiflora community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2. Quercus mongolica-Sasa borealis community was distributed at the altitude of 600~900m, and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in SW slope at 430~520m and 400~500m, respectively. 3. Quercus mongolica forest showed more favorable soil environmental conditions than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variabilis forest. Organic matters, soil water content and cation exchange capacity increased as the locating altitude increased. The pH in the soil became low when the altitude increased. 4. The results of species distribution in the soil environmental factors have been identified as follows; According to the pH : From 4.13 to 4.61 : Vaccinium oldhami, Smilax nipponica, Tripterygium regelii and Sorbus alnifolia. From 4.61 to 5.29 : Quercus serrata, Stewaria koreana, Carex siderosticta, Melampyrum roseum, Quercus variabilis and Spodiopogon cotulifer. According to the soil water content : From 40.9 to 47.2% : Styrax japonica, Carpinus laxiflora, Carex siderosticta, Viola mandshurica, Quercus serrata and Callicarpa japonica. From 46.9 to 54.7% : Paederia scandens, Spodiopogon cotulifer, Galium dahuricum var, tokyoense, Artemisia keiskena and Artemisia stolonifera. According to the organic matter : From 7.03 to 16.55% : Carex siderosticta, Quercus variabilis, Quercus serrata and Parthenocissus tricuspidata. From 16.55 to 32.48% : Vaccinium oldhami, Sorbus alnifolia, Asarum sieboldii, Acer pseudo-sieboldianum, Rhododendron schippenbachii and Tripterygium regelii. 5. The dominance species of DBH class frequency distribution in different forest showed that Quercus mongolica was 9 individual/a. at 11- l5cm class, Quercus variabilis 5.6 individuals/a at 11~15cm class, and Pinus densiflora 8 individuals/a. at 16~20cm. Quercus mongolica, Quercus variabilis and Pinus densiflora community showed the stable bell-shape distribution. 6. It was estimated that successional sere of would be changed in the forest vegetion of Mt. Mohu as follows: Pinus densiflora Community -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 Quercsu mongolica community

      • 高麗後期 對元關係의 변화와 북방지역

        강재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examines the evolution of Koryǒ-Yuan relations in the 13th and 14th centuries and its important feature, the loss and restoration of Koryǒ's northern territories. In particular, it comprehensively covered the loss and restoration of Dongnyeongbu(東寧府) and Koryǒ's northwestern territories, which were established in 1270 and abolished in 1290, as well as Ssangseong Chonggwanbu(雙城摠管府) and Koryǒ's northeastern territories, which were established in 1258 and restored in 1356. In the early 11th and 12th centuries, Koryǒ society faced internal and external crises. Internally, communities were disintegrating, especially at the local level, and externally, stability was threatened by the rapid growth of Wanyanbu Nuzhen(完顔府 女眞). As the internal and external crises spread, the Koryǒ ruling class sought to overthrow the crisis by relying on Fengshui-Docham(風水圖讖) references. The Debate of Transferring Capital of Seokyung(西京遷都論) and the Myeocheong(妙淸)'s rebellion against Capital of Seokyung, which was sparked by its failure, led to a conflict between the central and northern regions of Koryǒ. The Seogyeong rebels proclaimed a national anthem and established a year, but they also requested the return of the king and denied the Koryǒ dynasty. Instead, he envisioned bringing the Haidong T'enghi(海東天子) to Seogyeong, where the royal aura was strong, to proclaim the T'enghi Kingdom(天子國), but was thwarted by the central powers, including Kim Bu-sik(金富軾). In the end, the conflict between the central and northern regions of Koryǒ was not resolved and was covered up by changes in internal and external conditions. Meanwhile, Koryǒ society missed the opportunity to reform and eventually fell into a catastrophe called the Mushin Rebellion(武臣政變). After the Seogyeong Rebellion, the conflict between the central and northern regions of Koryǒ intensified, and there was a movement to involve foreign powers in the struggle, and the emergence of the Mushin Regime(武臣政權) accelerated it. In the early King MingJong(明宗), the rebellion of Jowichong(趙位寵) in the northern regions was sparked by the anarchists to abdicate the king and correct the state system. However, due to the non-cooperation and isolation of some northern provinces, he was unsuccessful, and when the tide of battle turned against him, Jowichong(趙位寵) wanted to take the western and northern provinces and surrender them to the "Jin Dynasty(金)". The phenomenon of "Bu-ta(附他)" refers to the movement to achieve the political objectives of a state through alliances with foreign powers outside of the consideration. This tendency is epitomized in Jowichong(趙位寵) rebellion, and later, in the 13th century, in a more intensified form, in the Tumong(投蒙) phenomenon. Although Jowichong(趙位寵)'s "Bu-ta(附他)" ultimately failed due to the rejection of Jin Dynasty(金), this pattern led to an attempted surrender in the early 13th century by the Dongjin(東眞) of Hansun-Daji(韓恂·多智), a local resident. During the subsequent Koryǒ-Mongol War, the pattern of Tumong(投蒙), or attempts to surrender to foreign powers, spread not only in the northern regions but also in society as a whole, eventually pushing Koryǒ society to the brink of collapse. The expansion of 'Bu-ta(附他)' to 'Tumong(投蒙)' was due to the explosion of long-standing distrust and conflict with the center of Koryǒ, centered on the indigenous forces in the northern regions. In addition, the Mongols attempted to separate the Koryǒ military region of the North from the mainland. These plans were realized in 1258 when a rebellion led by Chohwi-Taekcheong(趙暉·卓靑) in the northeastern part of Koryǒ, and the subsequent establishment of the Ssangseong Chonggwanbu(雙城摠管府), took place. While the establishment of Ssangseong Chonggwanbu(雙城摠管府) is ostensibly a result of the Chohwi-Taekcheong(趙暉·卓靑) rebellion, it should be understood as a continuation of Mongolia's plan to separate the northern regions from Koryǒ long before that. With the end of the war and the establishment of peace, Koryǒ-Yuan relations entered a new phase. The so-called "Kublai's instructions(世祖舊制)" agreement was created, which allowed Koryǒ to regain control of the northern regions that it had lost during the war. Koryǒ worked to rebuild the war-torn north. However, the power structure within Koryǒ was still unstable, and it eventually came to a head when Im-yeon(林衍) abdicated King Wonjong(元宗). The rebellion of Choi-tan(崔坦) and others was a large-scale rebellion in the northern part of the country with the aim of removing Im-yeon(林衍) and restoring King Wonjong(元宗), which led Yuan to station troops in the northern part of Koryǒ and put pressure on it. The rebels, including Choi-tan(崔坦), surrendered to Yuan, and as Yuan established Dongnyeongbu(東寧府), Koryǒ lost its territory in the northwest. The establishment of Dongnyeongbu(東寧府) was intended to actively utilize Koryǒ in the foreign policy that Kublai was pursuing, namely Yuan's Japan(日本)-South Sung(南宋) route. Since Koryǒ was geographically adjacent to Japan(日本)-South Sung(南宋), Yuan wanted to actively utilize it and promote smooth foreign conquest based on Koryǒ's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In addition, it existed solely for the benefit of Kublai, who wanted to keep the power of the Eastern Kingdoms(東方王家), a potential threat to Kublai, in check. After its establishment, Dongnyeongbu(東寧府) was promoted to Dongnyeongro(東寧路), and its internal organization changed. In other words, at the beginning of its establishment, the command was formed with indigenous forces from the northern region such as Choi-tan(崔坦) as the governor(摠管) and Cheonho(千戶), but later, as the Koryǒ-Yuan relationship stabilized, key points such as Seogyeong and Uiju(義州) were directly controlled by Yuan, and the rest of the region was peripheralized as indigenous forces such as Choi-tan(崔坦) were given jurisdiction. The military function of Dongnyeongbu(東寧府) was to serve as a garrison for Yuan's army for Japanese expeditions and as a production base for supplies. While the region's proximity to Koryǒ served to put pressure on Koryǒ, it shared the role of supplying and producing war materials with Koryǒ in preparation for the Japanese expedition. Yuan set up the Jeongdong-Hangsung(征東行省) in Koryǒ and made the king of Koryǒ the head of the organizations, hierarchically absorbing the military power of the Jeongdong Command Center(征東元帥府) into the Jeongdong-Hangsung(征東行省) and establishing a unified command system. Dongnyeongbu(東寧府) was also the hinterland of Jeongdong Command Center(征東元帥府), and naturally became part of Jeongdong-Hangsung(征東行省) when the Jeongdong Command Center(征東元帥府) was incorporated into Jeongdong-Hangsung(征東行省). Koryǒ continued to expand its influence in the region, and as a result, it was able to restore its northwestern frontier. Ssangseong Chonggwanbu(雙城摠管府) was eventually restored to Koryǒ by force in King Gongmin's so-called anti-Yuan reforms. King Gongmin actively utilized "Kublai's instructions" and "the head of the Jeongdong-Hangsung", which had been the framework of the Koryǒ-Yuan relationship, to expand his influence over the Ssangseong region in the name of the outbreak of wandering people in the Ssangseong region. He used the rebellion of the Ssangseong rebels and the Gichul(奇轍) clan to massively purge the Gichul(奇轍) clan, and not only restored all the northern areas lost when he abolished Ssangseong Chonggwanbu(雙城摠管府) by force, but also expanded the northern area by controlling additional territories in the north of Hamju(咸州). However, the long-standing Koryǒ-Yuan relationship developed a sense of solidarity between the Koryǒ forces in the Yoyang(遼陽) region and the Koryǒ homeland, and the "Red Bandits(紅巾賊)" reaffirmed that bond when the Koryǒ groups in the Yoyang(遼陽) region migrated back to the Koryǒ homeland. Lee Sung-gye(李成桂) led his army to capture ‘Ura Castle’ and Dongnyeongbu(東寧府) in Yoyang, and strongly promoted the repatriation of the Koryǒ people who lived in the Yodong region. 본 연구는 13~14세기 고려·원 관계의 추이와 그 중요한 특징인 고려의 북방지역 상실 및 수복에 관해 다루었다. 특히, 1270년 설치되어 1290년 폐지되었던 동녕부와 고려의 서북면 영토, 1258년 설치되어 1356년 수복되었던 쌍성총관부와 고려의 동북면 영토의 상실 및 수복 경위를 종합적으로 다루었다. 11~12세기 초, 고려사회는 대내외적 위기를 맞이하였다. 대내적으로는 지방사회를 중심으로 공동체가 해체되는 양상이 나타났고, 대외적으로는 완안부 여진의 급성장으로 인해 안정을 위협받았다. 대내외적 위기가 확산되면서 고려의 지배층은 풍수도참설에 의거하여 위기를 타계하고자 하였다. 그 일환으로 제기된 서경천도론과 그것이 실패로 귀결되면서 촉발된 묘청의 서경 반란은 고려 중앙과 북방지역 간의 갈등을 초래하였다. 인종 13년 서경 반란은 이러한 갈등의 최고조를 의미했다. 서경 반란세력은 국호를 선포하고 연호를 제정하면서도 국왕 인종의 친림을 요청하면서 고려왕조의 체제를 부정하였다. 대신 해동천자를 왕기가 왕성한 서경으로 인도하여 천자국을 선포하려고 구상하였으나 김부식 등 중앙 세력에 의해 좌절되었다. 결국 고려 중앙과 북방지역의 갈등은 이미 전개된 대내외 상황 변화에 따라 해소되지 못한 채 은폐되고 말았다. 한편, 고려사회는 개혁의 기회를 놓친 채 결국 무신정변이라는 파국으로 치닫게 되었다. 서경 반란 이후 고려 중앙과 북방지역의 갈등은 심화되면서 외세를 끌어들여 작난을 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났고, 무신정권의 출현은 이를 더욱 가속화시켰다. 명종 초 북방지역에서 일어난 조위총의 반란은 무신정권자들의 국왕 폐위와 국정 농단을 시정하기 위한 목적에서 촉발되었다. 하지만 일부 북방지역의 비협조와 고립으로 인해 실패하고 말았는데, 조위총은 전세가 불리하게 전개되자 서북지방을 들어서 금으로 투항할 것을 요청하기에 이렀다. ‘附他’ 현상은 고려 밖의 외세와의 영합을 통해 소기의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려는 움직임을 말한다. 이러한 경향은 조위총의 반란에서 전형적으로 살펴지고, 이후 13세기에 접어들면서 더욱 강화된 형태인 ‘投蒙’ 현상으로 이어지게 된다. 결국 조위총의 ‘附他’는 金의 거부로 실패하였지만, 이러한 양상은 13세기 초 의주민 한순·다지의 동진으로 투항 시도로 이어졌다. 그리고 뒤이어 촉발된 여몽전쟁기에는 본격적으로 북방지역 뿐 아니라 사회 전체에서 외세에 투탁하려는 시도, 즉 ‘投蒙’ 양상이 확산되면서 결국 고려사회를 붕괴 직전까지 몰아가게 되었다. ‘附他’이 ‘投蒙’으로 확대되는 데에는 북방지역의 토착세력을 중심으로 오랜 기간 누적된 고려 중앙에 대한 불신과 갈등이 폭발하였던 것이 작용하였다. 여기에 몽골은 고려의 군사지역인 북방지역을 본토로부터 분리하려고 시도하였다. 이러한 계획은 1258년(고종 46) 고려의 동북면에서 조휘·탁청이 주도한 반란이 벌어지고, 뒤이어 쌍성총관부가 설치되면서 실현되었다. 쌍성총관부의 설치는 표면적으로는 조휘·탁청의 반란으로 인한 것으로 보이지만, 그 이전부터 몽골이 고려로부터 북방지역을 분리하려는 계획의 연장선 상에서 이해해야 할 것이다. 전쟁이 종식되고, 강화가 성립되며 고려·원 관계가 새로운 전환기를 맞이하였다. 이른바 ‘세조구제’라는 합의가 창출되고, 그를 통해 고려는 비로소 전쟁기 상실했던 북방지역에 대한 통제권을 회복할 수 있었다. 고려는 전쟁으로 피해가 컸던 북방지역의 재건을 위해 노력하였다. 하지만 여전히 고려 내 권력구조는 불안정하였고, 결국 임연이 국왕 원종을 폐위하면서 파국을 맞이하게 되었다. 최탄 등의 반란은 임연을 제거하고 원종을 복위한다는 명분으로 북계지역에서 일어난 대규모 반란사건이다. 임연의 정변과 최탄 등의 반란을 빌미로 원은 고려의 북계지역에 군대를 주둔시키며 압박하였다. 이후 최탄 등 반란세력이 원에 투항하고, 원이 서경에 동녕부를 설치하면서 고려는 서북면의 영토를 상실하게 되었다. 원의 동녕부 설치는 대칸 쿠빌라이가 추진하던 대외정책에 고려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목적에서 추진되었다. 즉, 원의 일본·남송 경략이 그것이다. 고려는 일본·남송과 지리적으로 인접하였기 때문에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면서 고려의 인적·물적 자원을 토대로 원활한 대외정벌 사업을 도모하고자 했던 것이다. 동녕부는 이러한 고려의 전략적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존재의 이유가 있었다. 또한 동녕부는 오로지 대칸 쿠빌라이의 이익만을 위해 존재하였는데, 그는 쿠빌라이의 잠재적인 위협이었던 동방왕가의 세력을 견제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동녕부는 설치 이후 동녕로로 승격되면서 그 내부 편제에 변화가 발생하였다. 즉, 설치 초기 최탄 등 북계 토착세력을 총관, 천호로 삼으면서 지휘부를 구성하였으나 이후 고려·원 관계가 안정되면서 서경과 의주 등 요충지는 원이 직할하고, 나머지 지역을 최탄 등 토착세력에게 관할하게 되면서 주변화되었다. 동녕부의 군사적 기능은 곧 일본원정을 위한 원 군대의 주둔지이자 공급을 위한 생산기지로서의 병참기능이었다. 동녕부는 고려와 인접하여 고려를 압박하는 역할을 수행하였지만, 일본원정을 준비하는 과정에서는 고려와 함께 전쟁물자를 공급하고 생산하는 역할을 공유하였던 것이다. 원은 고려에 정동행성을 설치하고 고려국왕을 그 행성의 승상으로 삼으면서 위계적으로 정동원수부의 군정권을 정동행성으로 흡수하여 일원적인 지휘체계를 성립하였다. 일원적 지휘체계 속에서 고려국왕은 승상의 위상을 바탕으로 원의 지휘관들을 위계적으로 통솔하는 권한을 일임받았고, 이후 고려국왕은 행성 승상직을 습직하게 되면서 고려국왕권의 중요한 요소로 자리매김하였다. 동녕부 역시 정동원수부의 배후지로서, 정동행성으로 정동원수부가 통합되면서 자연스럽게 정동행성으로 귀속되게 되었다. 그리고 고려는 지속적으로 동녕부 영역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였고, 그 결과 서북면을 수복할 수 있었다. 쌍성총관부는 공민왕 5년 이른바 ‘반원 개혁’ 추진으로 인해 끝내 고려에게 무력으로 수복되었다. 공민왕은 쌍성지역의 유민 발생을 명분으로 종래 고려·원 관계의 준거틀이었던 세조구제와 행성 승상위를 적극 활용하여 쌍성 영역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였다. 그리고 쌍성 반민과 기철일파의 반역을 빌미로 기철일파를 대거 숙청하고, 무력으로 쌍성총관부를 철폐하면서 잃었던 북방지역을 모두 수복하였을 뿐 아니라 함주 이북의 영토를 추가로 장악하면서 북방 영역의 확대를 도모하였다. 그러면서도 오랜 고려·원 관계 속에서 요양 일대의 고려인 세력과 고려 본국의 연대의식은 진전되었고, 홍건적이 발호하면서 요양 일대의 고려인 집단이 다시 고려 본국으로 내부하는 현상이 벌어지면서 그 유대를 재확인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성계를 앞세워 우라산성과 요양 동녕부를 차례로 함락시키면서 요동지역에 거주하였던 고려인들의 환본을 강력히 추진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