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소규모 초등학교의 음악 학습 실태 및 활성화 방안 고찰

        곽정원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855

        학교의 음악교육은 학생들로 하여금 음악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고, 또한 음악이 인간 사회에서 기여하는 가치를 이해하게 함으로써 보다 나은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초등학교의 시기의 아동은 가장 예민한 감수성을 가지고 있어 음악을 감각적으로 쉽게 받아들일 수 있고 아동의 소질을 계발하여 발전할 가능성이 무한한 시기다. 특히, 초등학교 3~6학년 어린이들은 인간 성숙의 몇 단락들 중에서 또 하나의 의미있는 단락, 즉 새로운 감정적 인간으로 탄생되는 특별한 시기이다. 따라서 이 시기에 여러 음악 체험 및 환경의 질과 음악을 교수하는 교사의 태도, 교사의 음악적 소양 및 기능 그리고 음악을 학습할 수 있는 학교내의 시설, 자료, 교구 등이 음악 학습에 영향을 주며 나아가 아동들의 음악적 능력과 음악적 성장에도 큰 영향을 줄 것이다. 그러나 농어촌 소규모 학교의 아동들은 현실적으로 도시 지역 학교의 아동들에 비해 문화적, 환경적으로 열악한 조건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음악적 경험과 활동을 체험하기가 어렵고, 학교교육 이외의 다른 음악적 경험은 접할 기회가 거의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상남도에 있는 소규모 초등학교의 음악 학습 실태를 설문지를 통해 파악하고, 문제점을 찾아내어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설문지는 경상남도의 6학급이하 전교생이 100명 이하인 소규모 초등학교에 근무하며, 현재 3~6학년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와 음악전담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2002년 12월 1일부터 12월 말까지 258부의 설문지를 발송, 회수된 250부의 통계를 통해 작성하였다. 교사의 일반적인 사항, 학교의 지역·문화·경제적 여건 면, 교사의 음악 학습에 대한 교육 방법적인 면, 학교의 교육 환경적인 면 등으로 분류하여 그 실태를 조사하고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음악 학습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첫째, 학교의 지역적, 문화적, 경제적 여건 면에서 지역의 음악 관련 행사의 개최 횟수가 전혀 없거나 적었으며, 학부모의 경제적 여유 및 음악 교육에 대한 관심도 또한 낮거나 저조했다. 학생들의 음악 학원 수강 경험도 낮은 편이었으며, 음악 행사 참여 경험도 전혀 없거나 낮은 편이었다. 또 대부분의 교사들이 소규모 초등학교 아동들과 도시지역 아동들과의 음악 수준을 비교했을 때 그 차이가 매우 많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의 음악 학습에 대한 교육 방법적인 면에서 음악 학습 시간의 반주 방법으로 컴퓨터 관련 자료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었으며, 교과서에 나오는 합주나 합창(중창)의 지도는 경우에 따라 지도하였다. 합주나 합창(중창)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는 적은 학생 수, 지도 시간의 부족, 교사의 지도 능력 부족, 학생들의 음악적 능력 부족 등이 거의 비슷했으며, 음악 수업시 교사용 지도서는 가끔 활용하는 편이었다. 셋째, 학교의 교육 환경적인 면에서 교사의 음악 전담 교사의 필요성과는 달리 음악 전담 교사가 있는 소규모 초등학교는 적었으며, 음악실을 갖추고 있는 학교도 극히 적었다. 또 음악실이 있더라도 음악실의 시설에 대해서 교사의 만족도는 낮은 편이었다. 학교에 개설된 음악 관련 특별 활동 부서나 사물(풍물)놀이와 같이 어느 일부 부서에 편중되어 있었고, 학교에서 실시한 음악 관련 행사도 거의 없는 편이었으며, 음악 행사를 실시하기가 어려운 이유로는 시간과 장소의 부족이 가장 많았다. 위에서 파악된 소규모 학교의 음악 학습의 문제점을 바탕으로 음악 학습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첫째, 학교의 지역적, 문화적, 경제적 여건 면에서는 효율적인 협동 학교의 운영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며, 과중한 업무와 잡무의 부담으로부터 벗어나 정상적인 수업 운영을 위해 형식 위주의 보고 공문의 지양 및 공문의 간소화, 벽지학교와 일부 소규모 초등학교에 배치되어 있는 교무 보조 인력을 확대 운영하는 실질적인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교사의 음악 학습에 대한 방법적인 면에서 보면 교사의 음악 교과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교사 양성 기관인 교육대학교의 교육과정에 좀더 많은 학점을 음악 및 예체능 교과 수업에 확보되어야 할 것이며, 사회적 변화에 잘 대처하고 현장에서 학생들을 지도하는데 어려움이 없도록 졸업 후에도 다양한 연수 프로그램이 계발되어야 하며 교사 연수의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 또 음악 학습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위해 음악 교육의 필요성이나 중요성에 대한 교육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학교의 교육 환경적인 면에서는 보면 전담 교사 제도의 원래 취지를 살리기 위해선 전담 교사 선정시 교사의 자질과 능력을 우선으로 고려해야 하며, 부족한 음악실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유휴 교실을 음악실로도 활용해야 할 것이다. 또한 다양한 음악적 경험을 할 수 있는 악기의 구입, 확보할 수 있는 기준의 강화와 음악 기교재를 확보할 수 있는 재정적, 행정적 뒷받침이 있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다양한 음악 관련 행사를 통해 어린이들에게 심미적 경험과 예술에 대한 기본적인 소양을 갖추게 하고 자신의 적성과 흥미를 스스로 찾아내고 계발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어야 할 것이다. Music education in school enables students not only to understand the music but also to understand the role of music in contributing to society, and thus helps them to live a better life. As students this age are the most sensitive by nature, they easily tend to accept the music works with a great sensitivity and can have a great opportunity to develop their potentials. Especially, as three to six graders are in the special period in which they are turned into a new emotional human beings, it is obvious that the various musical experience of students, the attitude and quality of music teachers, and the quality of musical instrument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ir musical ability and development. However, since the cultural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of small elementary schools in a country are much poorer than those of large elementary school in a city, it would be hard for local students to expect the musical experience other than music class at school. In this sense, it is worthwhile to indicate the state of music education in small elementary schools through the questionaries and to identify the problems and to suggest the implications in a real classroom setting. 258 questionaries are distributed to regular teachers and music teachers who are currently teaching three to six graders at small elementary schools in which the number of students is less than hundred from December 1st to December 31st and 250 questionaries among them a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the statistics. These data are analyz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The background of teachers, the local, cultural, and economic status of schools, the teaching methods of music teachers, and the educational background of each school, and the following problems can be identified. First of all, the musical performance has rarely been held and the interest of parents in music are quite low. Students also have seldom taken a music lesson and participated in the music performance. Besides, most teachers consider the students at a small elementary school a bit behind the city students. Secondly, in view of teaching methods of music teachers, they usually use the computer software for accompaniment and on some occasions they teach students to play in concert and sing in choir. Because of the small number of students, lack of instructional hours, and the disability of teachers and students, teachers could not teach in concert and choir as much as they should do. Thirdly, in view of educational environment of a small elementary school, there are not as many music teachers and music rooms as needed. If any, the quality of music rooms is quite low. The extra-curricula activity is also limited to 'Pulmul' - a Korean traditional music -. Because of the limitation of time and place, there is not much music-related events at the schools. Based on the previous problems, I make three suggestions in order to improve music education in a small elementary school. First of all, teachers should be free from the excessive administrative works. In order to reduce the paper works of the teachers, there should be much less conventional official documents from the Korean DOE and more administrative assistants should be assigned to each school to help teachers to deal with more extensive school affairs. Secondly, in view of the methodology of music learning, more credits should be given to music classes in the curriculum of the teacher's college in order to enhance the expertise of music teachers. There also should be more various training program for music teachers to keep up with the new social and educational trends. However, above all, the importance of music education should be preceeded to change the perception of music learning. Thirdly, in view of educational environment, the quality and ability of the teachers should be first considered. The available classrooms should be used as a music classroom if there is not enough a music classroom. Furthermore, th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should be given to provide students with various musical instruments enabling them to enjoy different kinds of musical experiences. Finally, students should be provided with various music-related performances, which can help them well-grounded in music and find out their aptitude and interest in music.

      • 교육과정 시기별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의 동요 수용 양상 연구

        김은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9855

        동요는 어린이가 부르는 노래, 즉 아동 가요의 줄임말로써 한국 어린이들의 생활 감정과 정서를 바탕으로 한 동심을 어린이의 감각과 표현에 알맞도록 직접적이고 강렬하게 담은 음악적 양식이다. 동요는 목적과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으며 미적․정서 교육적 가치, 시민 교육적 가치, 사회 교육적 가치 등의 교육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어린이를 위한 동요 창작은 1920년대 방정환과 색동회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어린이 사랑 운동’을 위시한 동요 창작의 움직임으로 시작되었으며, 역사적 흐름에 따라 변화와 발전을 거듭해 왔다. 해방 이후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이 제정되고 이에 따른 교과서가 만들어지면서 동요는 학교 교육의 범주에 포함되기 시작하였고, 교육과정 시기에 따른 교과서의 동요 수용 양상은 역사․사회․시대적 맥락 속에서 뚜렷하게 변화해왔다. 동요는 교과서에 수용되기 시작하였을 때부터 오늘날까지 교과서 제재곡으로서 비중 있게 다루어져 왔으며, 교수․학습 과정의 매개체로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점에서, 동요의 교과서 수용 양상을 고찰하는 것은 앞으로의 교과서 동요 수용의 방향을 정립하는 데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시기별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에 수용된 동요를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우선 동요의 개념을 명확히 하고 동요의 분류 체계를 정비하는 한편, 동요의 교육적 가치를 바탕으로 교육과정 시기별 동요의 교과서 수용 양상을 살펴보기 위한 관점을 정립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교육과정 시기별 동요의 교과서 수용 양상을 고찰하고 교과서에 수용된 동요의 특성을 정리함으로써 학교 음악 교육에서 동요의 의미 탐색과 앞으로의 방향 모색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II장에서는 동요의 개념을 명확히 정의하고 분류 체계를 정비하였으며 역사적 흐름 속에서 우리나라 동요의 변화와 발전을 고찰하였다. 더불어 동요의 미적․정서 교육적 가치, 시민 교육적 가치, 사회 교육적 가치를 바탕으로 동요의 교과서 수용 양상을 살피는 관점을 ‘동심 발현의 관점’, ‘교훈적 관점’, ‘사회의 관점’으로 설정하고 이를 연구의 프레임 워크 설계의 바탕으로 삼았다. III장에서는 각 교육과정 시기별로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의 동요 수용 양상을 고찰하였다. 우선 각 시기별 교육과정 총론에 담긴 사회적 상황과 배경, 교육 철학과 강조점을 파악하고, 음악과 교육과정의 특성을 분석하여 음악 교육에서의 강조점과 특색을 확인하였다. 이어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의 동요 수용 양상을 앞서 설정한 관점을 바탕으로 ‘동심 발현의 관점’, ‘교훈적 관점’, ‘사회적 관점’으로 나누어 살펴봄으로써 교과서에 수용된 동요를 분석하였다. 각 시기별 음악 교과서의 동요 수용 양상을 고찰한 결과, 교육과정 총론과 교과 교육과정 간의 연계성에 대해 살펴볼 수 있었다. 또한, 후기 교육과정으로 갈수록 교육과정 문서에 따른 교과서의 동요 수용의 제한성이 약해지고 악곡 선정의 자율성이 강해지는 경향이 나타남을 볼 수 있었다. 더불어, 교과서 동요의 수용 양상의 변화를 통하여 국가와 사회가 교육에 기대하는 점이나 교육 사조에 따른 교과서 동요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었다. IV장에서는 교육과정 시기별로 교과서에 수용된 동요의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교과서에 수용된 동요 중 ‘동심 발현의 관점’, ‘교훈적 관점’, ‘사회적 관점’에 해당하는 악곡의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동심 발현의 관점에서는 자연친화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한 동요, 어린이의 정서와 생활과 관련한 동요를 중심으로 양적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면서 매 교육과정 시기마다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여 왔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교훈적 관점에서는 민족 의식과 애국주의에 관한 악곡, 의식이나 행사에 쓰이는 기능을 지닌 악곡, 교육 자료 기능의 악곡 등이 있었으며 이는 교육과정의 변화에 큰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사회적 관점에서는 반공과 국방․치안과 관련된 동요, 사회상을 그려낸 동요, 사회 혼란기를 극복하고 새로운 사회 건설을 염원하는 동요 등을 찾을 수 있었다. V장에서는 초등 음악 교과서에서 동요 수용의 방향과 과제를 제시하였다. 음악 교과서에서 동요 수용을 위한 방향은 동심 발현의 관점에서 어린이들이 ‘내면의 노래’를 발견할 수 있도록 돕고, 교훈적 관점에서 음악 교육의 본질에 부합하여야 하며, 사회적 관점에서 동요를 통한 음악의 생활화와 어린이들의 사회 참여를 지향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제시하였다. 음악 교과서의 동요 수용을 위한 과제로는 ‘좋은 동요’에 대한 논의, 숨겨진 동요 자료의 발굴과 정리, 우리 동요의 가치화와 세계화를 제안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시기별 교과서 동요의 수용 양상을 고찰함으로써 동요와 학교 음악 교육이 서로 어떠한 영향을 주고받으며 발전해 왔는지를 파악하였다. 더불어 교과서의 동요 수용 양상의 관점의 설정과 탐색을 통하여 동요의 음악 교과서 수용 양상의 특징과 의미를 발견하고 학교 음악 교육에서 동요 수용의 방향과 과제를 제시하였다. 앞으로 좀 더 넓은 범위에서 동요의 음악 교육적 가치와 의미 탐색을 위해서는 동요의 본질을 바탕으로 현재를 점검하고 미래를 설계하기 위한 노력과 연구와 더불어 음악 교육 공동체 구성원들 간의 열린 소통의 장이 마련되어야 한다. 나아가 음악 교육적 본질에 입각한 다양한 관점들이 서로 조화로운 관계를 형성함으로써 음악 교육의 발전에 기여해야 할 것이다.

      • 초등학생들의 음악 사교육 실태 조사 : 충북 북부권 4~6학년 초등학생과 학부모를 중심으로

        이성은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855

        이 연구는 충북 북부권 초등학교 4~6학년 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음악 사교육 실태를 설문조사하여 음악 사교육 실태에 관한 현황을 통계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학생 음악 사교육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초등학생 음악 사교육비 실태는 어떠한가? 셋째, 초등학생 음악 사교육에 대한 발생원인과 교육적 효과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문헌과 선행 연구들을 고찰한 후 충북 북부권 3개 초등학교 4~6학년 학생과 이를 자녀로 둔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배포한 설문지 600부 중 회수 본은 547부(학생 295부, 학부모 252부)였으나 이 중에서 불성실하고 내용이 분명하지 않은 설문지 29부(학생 7부, 학부모 22부)를 제외한 후 518부를 연구대상 설문지로 결정하여 통계분석프로그램인 SPSS 12.0을 활용하여 자료를 통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약 77%의 학생이 음악 사교육 경험이 있으며 82.4%의 학생이 초등학교 2학년 시기 이전부터 피아노 학원 등을 통하여 음악 사교육을 시작하였고 부모의 학력과 가정의 월평균 소득이 높을수록 음악 사교육을 경험한 학생이 많았다. 둘째, 음악 사교육비가 전체 사교육비의 45% 이상을 차지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40.6%로 높은 편이었다. 셋째, 학부모와 자녀 모두 음악 사교육의 발생 원인으로 취미․교양․재능 계발을 위해서라고 응답하였다. 부모가 시켜서 음악 사교육을 받는 경우 음악 사교육 경험 기간이 평균 2~3년으로 짧았고, 음악 사교육 경험으로 부정적 영향을 받았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넷째, 학생들은 음악 사교육 경험이 학교 음악 수업에 흥미를 더해주거나 참여도를 높여주었고 학교 음악 성적이 향상되어 수업 시간에 대한 즐거움이 늘어난 것으로 확인되었지만, 음악 사교육으로 시간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학부모는 음악 사교육의 경험으로 자녀의 음악성, 음악 흥미도, 음악 성취도가 향상되었다고 느꼈으나 부정적 효과로 자녀가 음악 사교육을 받은 이후 오히려 음악에 대한 흥미도가 감소하거나 자녀의 자유 시간이 줄어들고 학교 음악 수업 소홀, 체력 저하 및 스트레스 증가를 꼽았다. 충북 북부권 초등학교 4~6학년 학생과 학부모의 음악 사교육 실태를 조사한 결과 그에 따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 사교육을 받는 학생과 받지 않는 학생들의 학교 음악 시간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교사의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높은 사교육비로로 말미암아 부담을 느끼는 학부모들을 위해 지역 사회와 연계하여 질 높은 강사를 확보하고 다양한 음악 프로그램을 갖춘 방과 후 학교가 활성화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의 제반 절차 및 조사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대도시, 중소도시 및 농어촌 지역뿐 아니라 전국 초등학교 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연구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저학년과 고학년을 비교분석하는 연구를 통하여 학년별로 어떤 점을 중점으로 음악 사교육을 받고 있는지, 학년에 따른 음악 교육이 어떻게 전개되는지 비교 분석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 결과와 다른 지역 학생을 대상으로 한 다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 간의 음악 사교육 실태를 비교 분석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더욱 정확하고 세밀한 음악 사교육 실태 및 사교육비 산출을 위해서는 막대한 비용과 시간 및 인력이 필요하므로 관계기관 또는 연구기관에서 좀 더 과학적이고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은 조사 방법을 사용하여 더욱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다른 사교육을 하는 학생과 음악 사교육을 하는 학생들의 비교를 통해 각 집단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여 사교육이 아동에게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연구하는 것도 필요하다. 다섯째, 음악 사교육의 교육적 효과를 더 정확히 알기 위해서는 설문지를 통한 양적 연구뿐만 아니라 음악 사교육을 받기 전과 받은 후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교육적 효과에 대한 질적 연구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번 조사를 통하여 충북 북부권 4~6학년 초등학생들과 학부모들의 음악 사교육 및 사교육비 실태, 발생 원인과 교육적 효과에 대해 알 수 있었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사교육을 받고 있는 학생과 받고 있지 않는 학생들의 인식 차이를 이해하고 이들이 한 교실에서 즐겁게 음악을 공부하는 방안에 대해 생각해보고 이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가 앞으로 많이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 일본과 싱가포르 초등음악교과서 분석을 통한 다문화 음악 교육

        김혜정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855

        본 연구는 일본과 싱가포르 초등음악교과서 분석을 통하여 일본과 싱가포르에서 다문화 음악 교육이 어떻게 실시되고 있는 지 살펴보고 이를 통해 우리나라 초등음악교과서의 다문화 교육 방향에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오늘날 다문화 사회로의 빠른 변화 속에서 다양한 문화에 대해 이해하고 존중하는 방식의 다문화 교육이 부각되고 있다. 이처럼 다문화 교육에 대한 중요성과 시대적 요구가 강조됨에 따라 다문화 교육에 관해 살펴볼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되며 그중에서도 가창과 기악 활동 등 표현 활동을 통해 다문화 관련 내용에 흥미와 관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음악 교과서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최근 세계 여러 나라에서도 다문화 교육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다민족 국가로 다문화 교육이 잘 이루어지고 있는 싱가포르와 우리나라와 비슷한 교육과정과 학제를 도입하고 있는 일본의 초등음악교과서에서 다문화 관련 내용을 어떻게 다루고 있는 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 내용으로는 일본 초등음악교과서와 싱가포르 초등음악교과서의 전체 악곡에서 다문화 악곡이 차지하는 비중과 분포를 분석하여 다문화 악곡의 구성 현황을 살펴보고, 다문화 악곡이 수록된 단원의 내용적 특성을 알아보았다. 다문화 악곡은 민족음악, 종교음악, 대중음악의 관점에서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다문화 악곡의 비중이 일본 초등음악교과서는 평균 16.5%, 싱가포르 초등음악교과서는 평균 42.2%로 나타났다. 일본 교과서에는 5, 6학년에 “세계의 음악과 친해지자”라는 다문화 음악 교육을 위한 독립적인 주제가 선정되어 있고, 싱가포르 교과서는 4, 5학년에서 민족음악과 종교음악, 대중음악이 고루 수록되어 있으며 각 나라의 전통 타악기 곡을 감상하는 단원이 별도로 제시되어 있었다. 또한 다양한 민족음악, 종교음악, 대중음악을 수록하여 학생들의 민족, 종교, 사회에 대한 이해를 넓히도록 하고 있다. 둘째, 다문화 악곡의 분포는 일본과 싱가포르 교과서 모두 대륙별 각 나라가 고루 분포하여 아시아와 아메리카, 유럽의 다양한 악곡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장르별로 살펴보면 일본 초등음악교과서는 전체 다문화 악곡 중 민족 음악이 70%를 차지하고 있고, 싱가포르 초등음악교과서는 83%를 차지하고 있어 두 나라 모두 다양한 민족 문화를 경험할 수 있는 민족음악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종교음악은 두 나라 모두 다양한 종교 중 세계 주요 종교인 기독교, 힌두교, 이슬람 음악을 감상하는 활동이 주를 이루고 있다. 종교 의식 음악을 통해 특정 종교의 특징을 이해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그 종교에 대해 간략하게 알 수 있지만 몇몇 종교의 음악으로 범위가 한정되어 있어 다양한 종교를 접해볼 기회는 부족하였다. 대중음악은 일본과 싱가포르 초등음악교과서에 1학년부터 6학년까지 넓게 분포하고 있는데 뮤지컬, 영화음악, TV애니메이션 주제곡, 재즈, 팝송 등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제시하고 있다. 학년 별로 장르의 편향됨 없이 고루 제시하여 다양한 음악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셋째, 다문화 악곡 학습 내용을 살펴보면 일본과 싱가포르 초등음악교과서에서는 대부분의 악곡이 감상 활동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고, 세계 여러 나라 의 음악을 각국의 생활이나 축제 등 문화와 연결하고 있다. 이때 그 문화와 관련된 전통 의상, 문화재, 전통 악기 등의 사진 자료를 제시하여 그 문화에 대한 이해를 돕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자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없는 경우가 많고, 일부 악곡에서는 관련된 자료가 실려 있지 않다는 제한점이 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우리나라 음악과 교육 속 다문화 교육 내용을 계획하는데 있어 일본과 싱가포르의 음악 교과서 분석한 내용을 교과서 내용 구성 및 방향 제시에 참고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다양한 국가의 이민자가 많아지는 상황에서 다문화 가정의 학생들이 부모의 고국 음악을 경험할 수 있도록 초등음악교과서 속 다문화 악곡의 나라별 분포 범위를 넓히고 해당하는 나라의 다문화 악곡을 민족음악, 대중음악, 종교음악의 관점에서 다양하게 선정해야 한다. 셋째, 다문화 악곡에 적합한 하나의 주제 및 활동을 선정하여 그 주제에 맞는 음악적 개념 제시 및 활동의 구성을 통해 단순히 노래 한 곡을 익히는 것에서 그치는 게 아니라 능동적인 음악 활동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학습 활동을 구성해야 한다.

      • 초등학교 음악 특기적성 교육 실태 조사

        손혜선 경인교육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9855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and analyze the status of extracurricular music programs at elementary schools, so that this research may be used as a foundation for the vitalization of extracurricular music education. A survey was prepared to review the effects, needs, and satisfaction level conforming to the objective of extracurricular music education, in order to examine the necessity of extracurricular music programs, awareness on the operation status, satisfaction level, awareness on the level of contribution to classes, specialties and aptitude in music and the mitigation effect on private educational expenses pursuant to such, among the principal agents of extracurricular programs composed of students, parents, lecturers, and managing teachers. The research subjects were randomly selected as elementary schools administered by the Gyeonggi-do Office of Education, and a survey of the subjects was conducted for 12 weeks from March 2015 to June 2015 by classifying them into managing teachers of the extracurricular activities, lecturers for the extracurricular activities, students, and parents. As a result of the survey, a total of 1,154 responses were obtained from 282 managing teachers, 148 lecturers, 422 students, and 302 parents. The SPSS test was implemented to analyze the survey results. An analysis was conducted of the survey results, and the conclusions obtained based on analyzing the survey results are as follows. Regarding the difference in awareness of the subjects over the necessity of extracurricular music education and school classes and the difference in awareness over the satisfaction level, the subjects that considered that extracurricular music education to be most necessary appeared to be lecturers, and the subjects who thought that such education contributed most to school classes and had the highest satisfaction level appeared to be students. As such, the results after examining with a focus on the categorization sectors of research tools appeared to be as follows. First, the subjects that considered that extracurricular music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is most needed appeared to be lecturers, followed in the order of managing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Second, regarding the conditions of extracurricular music programs at elementary schools, managing teachers seemed to consider the desire of students and parents as the factor to consider most when organizing programs, and the method most widely used to procure lecturers appeared to be through a school’s self-screening process. When registering a student for an extracurricular music program, parents mostly appeared to register for students to take one or two programs, and appeared to mostly pay an inexpensive tuition of KRW30,000 to enhance the students’ aptitudes and specialties. Third, regarding the most problematic issues in extracurricular music activities at elementary schools, managing teachers gave responses such as lack of interest by parents and students, lack of musical instruments, and classroom environment, and the managing teachers seemed to think that providing programs that consider the interest of students and present various presentation opportunities for students are important. Lecturers appeared to be satisfied with the overall extracurricular musical programs at elementary schools, however, they did not appear to be satisfied with the wage level. Most of the students appeared to be satisfied with the extracurricular music programs at elementary schools and showed a willingness to continue to take the programs, however, the students that were not satisfied gave the reasons for their dissatisfaction as ‘classroom facilities and environment’ and ‘not matching their aptitude.’ Fourth, the subjects that mostly appeared to think that extracurricular music programs at elementary schools contribute to school classes appeared to be students, followed in the order of parents and teachers. Fifth, while the instances in which private educational fees were reduced after participating in extracurricular music programs at elementary schools appeared to be around 51%, the remaining respondents responded that there was no change in private educational fees, and some even responded that there was an increase in such fees. Some of the reasons for taking private music education appeared to be ‘the ratio between the teacher and students’ and ‘diverse programs’. 본 연구는 초등학교 음악 특기적성 교육의 실태를 조사․분석하여 음악 특기적성 교육의 활성화를 위하여 개선점을 모색하는 기초 자료로써 이용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음악 특기적성 교육의 목적에 부합하는 효과․필요성․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지를 작성하고 이를 통해 업무 담당교사․교육 강사․학부모․학생의 특기적성 교육 주체들의 인식을 음악 특기적성 교육의 필요성, 운영 실태에 대한 인식, 만족도, 수업에 기여하는 정도에 대한 인식, 음악 특기적성과 그에 따른 사교육비 경감 효과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교육청 소속의 초등학교를 임의로 선정하고 특기적성 담당교사, 특기적성 강사, 학생, 학부모의 주체로 분류하며 이 대상으로 2015년 3월부터 6월까지 12주 동안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 실시 결과 특기적성 담당교사 282명, 특기적성 강사 148명, 학생, 422명, 학부모 302명으로 총 1154명의 응답을 얻었다. 설문지 결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 검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의 결과를 바탕으로 분석을 하였고 설문지의 결과 분석을 바탕으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음악 특기적성 교육의 필요성과 학교 수업에 대한 인식 차이, 만족도에 대한 각 대상의 인식 차이를 보면 초등학교 음악 특기적성 교육이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는 대상은 음악 특기적성 교육 강사였으며 학교 수업에 가장 많이 기여한다고 인식하며 만족도가 가장 높은 대상은 학생이었다. 이에 연구도구의 구분 영역을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음악 특기적성 교육이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는 대상은 음악 특기적성 교육 강사였으며 음악 특기적성 교육 담당 교사, 학부모, 학생 순으로 초등학교 음악 특기적성 교육이 매우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음악 특기적성 프로그램의 실태에 대해 음악 특기적성 교육 담당교사들은 프로그램을 편성할 때 가장 고려해야 할 것으로 학생과 학부모의 희망사항이라 생각했으며 강사를 확보하는 방법으로 거의 대부분의 학교들이 학교 자체 심사를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부모들이 초등학교 음악 특기적성 교육에 학생들을 참여시킬 때 주로 1-2과목을 수강시키는 경우가 많았고 소질과 특기를 신장시키게 하기 위해 대부분 3만원 내외의 저렴한 수강료로 교육을 받게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 음악 특기적성 교육의 가장 문제가 되는 부분에 대해 음악 특기적성 교육 담당교사들은 학생, 학부모의 관심 부족과 악기 부족과 교실 환경이라고 답했으며 학생들의 흥미를 고려한 프로그램과 다양한 발표기회가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 강사들은 전체적인 초등학교 음악 특기적성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만족하는 편이나 급여 수준에 있어서는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초등학교 음악 특기적성 프로그램에 대해서 대부분 만족하여 계속 수강하고 원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나 만족하지 않을 경우의 이유는 ‘교육 시설과 환경’, ‘적성에 맞지 않음’으로 나타났다. 넷째, 초등학교 음악 특기적성 교육이 학교 수업에 가장 크게 기여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는 대상은 학생이었으며 학부모, 교사의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초등학교 음악 특기적성 교육에 참여한 후 사교육비가 줄은 경우가 51% 정도였으나 나머지는 변화가 없거나 늘은 경우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악 사교육을 받는 이유는 ‘교사 대 학생의 비율’과 ‘다양한 프로그램’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 음악놀이를 활용한 초등학교 4학년 가창 지도방안 연구

        정혜린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855

        Singing plays an important role in elementary school music education. Singing is an act of using the voice, an instrument that everyone has naturally, and is a musical activity that students can feel most familiar and start naturally. In addition, you can easily express your thoughts and emotions, understand and express the lyrics of the song, have aesthetic experiences, and naturally acquire various musical concepts in the process of making musical elements and concepts into sound. Play also continues to be emphasized in elementary music education. Not only does play continue to appear in the 2015 and 2022 national curriculum, but research on the educational effects of play is being conducted by various scholars. Play is the basis for intellectual development and has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physical, emotional, social, and verbal development. In particular, play in music education has educational significance that it can increase students'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music classes, make students learn music concepts effectually, and provide music education which is suitabl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development stage. Therefore, in this study, teaching method of singing class for four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using play was set as a research topic. To this end, we first looked at the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play and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play. Next, by examining elementary school singing education, we explored the importance of singing in elementary school music education, and looked into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fourth-grade elementary school learners related to singing. Fin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singing and play was considered, and the reason for using play in the singing area was explained. Prior to the development of music play that can be used in the singing area, the curriculum and textbook analysis were conducted first to lay the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music pla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singing and playing are treated as important, and in particular, play has appeared in the 2022 national curriculum, indicating that its importance continues. In addition, when looking at the contents related to singing in the curriculum, singing guided by elementary school music education could be largely organized into three stages: 1) learning the basic functions of singing, 2) singing using musical characteristics, and 3) interpreting and expressing songs on their own. In textbook analysis, singing-related activities were first extracted from each textbook, and then organized and analyzed in three steps as above. Finally, as a result of the curriculum and textbook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of singing classes using music play were summarized based on various theories about play and singing. Next, the types of play were classified based on the three singing stages derived through curriculum analysis, and music plays suitable for each were presented. When presenting play, it was intended to enhance understanding by presenting goals to be reached through play, related music concepts, play methods, illustrations or work sheet, and points to note when playing. In this study, the importance of singing and play in elementary music education was confirmed, and implications were prepared that it suggested ways to use play in singing classe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help to provide singing education through play in the field, and further research will be conducted on how to use play for music education. 초등학교 음악교육에서 가창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가창은 모든 사람이 선천적으로 갖고 있는 악기인 목소리를 활용하는 행위로, 학생들이 가장 친숙하게 느끼고 자연스럽게 시작할 수 있는 음악 활동이다. 또한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용이하게 표현할 수 있으며, 노랫말을 이해하고 표현하며 심미적 체험을 할 수 있고, 음악 요소와 개념을 실음화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여러 음악 개념을 습득할 수 있다. 놀이 역시 초등음악교육에서 계속해서 강조되고 있다. 놀이는 2015 및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지속적으로 등장하고 있을 뿐 아니라, 다양한 학자들에 의해 놀이의 교육적 효과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놀이는 지적 발달을 위한 기초가 되며, 아동의 신체 및 정서, 언어, 사회성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특히 음악교육에서의 놀이는 음악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와 참여도를 높이고 음악 개념을 효과적으로 익힐 수 있게 하며, 총체적인 음악 체험을 제공하여 초등학생의 발달 단계에 적합한 음악교육을 할 수 있다는 교육적 의의를 갖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놀이를 활용한 초등학교 4학년 가창 지도방안을 연구 주제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놀이의 특성 및 유형, 그리고 놀이가 갖는 교육적 의의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초등학교 가창 교육에 대해 살펴보며 가창이 초등학교 음악교육에서 갖는 중요성을 탐색하였고, 가창과 관련된 초등학교 4학년 학습자의 음악적 특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가창과 놀이의 관련성에 대해 고찰하여 놀이를 가창 영역에 활용하고자 하는 까닭을 설명하였다. 가창 영역에 활용할 수 있는 음악놀이를 개발하기에 앞서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을 먼저 진행하여 음악놀이 개발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2015 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 가창과 놀이가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고, 특히 놀이는 2022 교육과정에도 등장함으로써 그 중요성이 계속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교육과정에서 가창과 관련된 내용을 살펴보았을 때 초등학교 음악교육에서 지도하는 가창은 크게 1) 노래의 기초 기능 익히기, 2) 음악적 특징을 살려 노래 부르기, 3) 스스로 노래를 해석하고 표현하기의 세 단계로 정리할 수 있었다. 교과서 분석에서는 각 교과서에서 가창 관련 활동을 먼저 추출한 후, 위와 같은 3단계로 나누어 정리 및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결과, 놀이와 가창에 관한 여러 이론을 바탕으로 음악놀이를 활용한 가창 수업의 특징을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도출한 3가지 가창 단계를 기준으로 놀이 유형을 분류하여 각각에 알맞은 음악놀이를 제시하였다. 놀이를 제시할 때에는 놀이를 통해 도달하고자 하는 목표, 관련 음악 개념, 놀이 방법, 삽화 또는 활동지, 놀이 시 유의할 점 등을 함께 제시하여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 음악교육에서 가창과 놀이가 갖는 중요성을 확인하였으며, 놀이를 가창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시사점을 마련하였다. 본 연구가 현장에서 놀이를 통한 가창 교육을 실시하는 데 보탬이 되고, 나아가 놀이를 음악교육에 활용하는 방안에 대한 더욱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초등기악교육의 다양성 신장을 위한 악기자료

        최영선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855

        음악은 고대로부터 근대를 거쳐 현대에 이르기까지 우리의 삶 속에 자리 잡고 있으며, 음악성 계발과 심미적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꼭 필요할 뿐만 아니라, 인성교육의 부재로 인한 여러 문제가 나타나는 지금의 학교교육에 정서적 안정과 만족감을 주는 교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기악활동은 다양한 음색과 연주방법을 통한 표현력 향상, 연주 후의 만족감, 음악 개념의 이해 등에서 가창, 감상, 창작 활동에 비해 교육적 가치가 크다. 그러나 학교 음악 수업에서 기악활동은 그 매체가 되는 악기가 있어야만 가능하다는 점 때문에 쉽게 구할 수 있는 간단한 악기의 연주에 그 범위가 제한되어 왔다. 어린이들은 도구를 사용하는 놀이에 관심이 많으므로, 다양한 악기 활용은 초등학생의 흥미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음악적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음악성 향상과 즐거움 신장을 위하여 학교 현장에서 도입, 사용할 수 있는 악기를 파악 한 후 이를 사진자료와 함께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제시함으로서, 보다 다양한 악기들을 소개하고 수업 현장에서 악기 선택 자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되었다. 첫째, 초등 기악교육과 악기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초등 기악교육의 의의와 특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둘째, 2007개정교육과정 음악교과서에 제시되어 있는 악기 중 실제 연주에 사용되고 있는 악기를 출판사별로 파악하여 관악기, 타악기, 건반악기의 순으로 정리하였다. 셋째, 초등학생들의 발달단계, 악기의 안전성, 가격, 연계악기, 다양한 음악활동 및 악기자체의 음악적 기능을 고려해 초등학생에게 적합한 악기를 연구자가 1차 선별한 후, 실제로 초등학교에서 음악을 가르쳐 본 경험이 있는 교사들에게 설문을 실시하여 초등 음악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악기를 선별하였다. 넷째, 이러한 과정을 통해 선정된 관악기 9종, 현악기 2종, 막 울림 타악기 12종, 나무 울림 타악기 13종, 금속 울림 타악기 17종, 효과 악기 9종, 선율 타악기 6종, 건반 악기 4종의 총 72종 악기를 사진, 역사, 구조 및 특징, 연주법, 음색듣기, 활용예시악보의 순서대로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음색듣기의 경우 유튜브 동영상을 활용하였고, 악보는 다른 악기의 악보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경우 중복되지 않게 1개의 악보만을 수록하였다.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모든 악기들을 학교 현장에 활용하기란 현실적으로는 쉽지 않을 것이다. 실제로 음악치료나 오르프음악 등에서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는 악기임에도 불구하고, 현장의 교사들이 악기의 존재 자체도 모르고 있다는 점을 설문을 통해 발견할 수 있었다. 이는 한명의 교사가 여러 과목을 가르치는 초등교육의 특성상 음악교과만을 연구할 수 없는 현실 때문이라고 본다. 따라서, 이 연구에 제시되어 있는 악기들을 학교 현장에 모두 도입하려 하기 보다는, 교사들의 악기 선택 자료로서 활용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또한, 72종의 악기를 가지고 직접 교수-학습 과정안을 구안하여 수업에 적용해 보거나, 학생들의 인식변화를 살펴보는 후속연구를 위한 자료로 역할을 담당할 수 있을 것이다. Music has been a part of our lives since the ancient times. Nowadays, music acts as a subject that gives emotional stability and satisfaction at schools that lack personality education. Playing an instrument, with various tone and techniques, enhances one’s ability to express. With a greater satisfaction after performing and better understanding of musical concepts, it has a greater educational value compared to singing, listening, or composing activities. It also can be used to encourage students who are not good at singing. However, there is an issue of limited choices in instrument. Generally, children are more interested in playing instruments that requires tools or sticks. Therefore utilizing various instruments will induce interest i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provide a variety of musical experience. Therefore, this study first identified instruments that should be adopted and used by schools to improve musical abilities of students and to increase entertainment. And then it systematically organized the instruments with images in order to introduce instruments whare were not often used and to help schools in selecting instruments that fits their situation. The procedur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er reviewed the related studies on classroom instruments and instrument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to analyze the purpose and characteristics. Second, among the instruments shown in the music textbook in the 2007 revised curriculum, I observed instruments that are actually being used by publisher, and then I organized them into three categories: wind instrument, percussion, and keyboard instrument. Third, considering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safety of instruments, price, development stage of children, linked instruments, various musical activities, and the musical function of each instrument, I made a primary selection of instruments that are suitabl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n I ask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 an experience of teaching music to select instruments that can be applied to the elementary music education. Fourth, I proposed the imag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techniques, listening, and sample scores for 72 instruments (9 wind instruments, 2 string instruments, 12 leather percussion instruments, 13 wood percussion instruments, and 17 metal percussion instruments, 9 sound effect instruments, 6 idiophones, and 4 keyboard instruments. For listening, I utilized YouTube videos, and for sample scores, I only included one set of score only if a same song was used for different instrument. It will be realistically difficult to use all instruments proposed in this study. Although some of the instruments were often used in music therapy or Orff music, I found out through the survey that many music teachers were not aware of the existence of such instruments. I believe it is because one teacher teaches many different subjects, and cannot only focus on the music curriculum. Therefore, I hope the teachers use this study as a resource to refer to when selecting an appropriate instrument for their school. Also, further studies are needed on teaching-learning programs that actually utilizes instruments introduced in this study, and changes in perception of students.

      • 진로탄력성 신장을 위한 초등 음악과 교육과정 재구성 방안

        나혜윤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855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의 흐름은 직업 세계에도 큰 영향을 미치며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고정된 평생직장의 의미는 사라지고 평생에 걸쳐 여러 직업을 경험하는 것이 이 시대의 숙명적인 과제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교육계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를 위해 국가 교육과정에서는 진로교육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기획하고 시행하고 있다. 학교 현장에서는 다양한 진로교육을 장려하고자 매년 진로교육 기반 학교 교육과정을 수립하며 개별 학교 수준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진로교육은 학생들에게 직업의 세계에 대한 경험을 폭넓게 제공하기 위해 창의적 체험 활동 속에서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교과교육과 연계의 필요성 또한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여 유동적인 직업 세계에서 유연함으로 대처할 수 있는 역량으로 진로탄력성의 개념을 도입하였다. 그리고 이 개념을 학교 현장, 그 중에서도 초등음악교육에 접목시켜 음악과 교육과정을 재구성하고자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진로탄력성과 초등 진로교육, 초등 음악교육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개념 접목의 당위성을 도출하였다. 또한 교육과정 재구성을 위해 재구성의 필요성과 방법, 원리를 명시하였고 현장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절차적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초등 음악교육에서의 진로탄력성을 새로이 정의하였다. 이를 통해 초등 음악교육 현장에서 다양한 음악 활동에 이 개념을 구체적으로 적용하고자 분석하였다. 교육과정 분석 결과, 초등 음악교육은 진로탄력성 신장을 돕는 학습 요소들이 많으며, 그 상관관계가 분명함을 밝힘으로써 연구의 실제 활용도가 높을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재구성 원리 중 학생 주도형 평가 계획 수립의 원리를 부각시켜 교사와 학생 두 교육 주체 모두 음악교육에 흥미와 관심을 가질 수 있을 것임을 확인하였다. 기존의 교육과정 재구성은 교사 주도형으로 이루어졌다면 본 연구에서는 해당 원리를 통해 수업을 만들고 진행하고 사후 처리 과정까지 학생들의 자발적 참여를 이끌어냄으로써 진로탄력성을 신장 시킬 수 있는 도구로 음악교육이 자리매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프로그램 개발에 음악교육의 영역과 기능들이 최대한 균등하게 담고자 하였다. 개발에 앞서 진로탄력성의 주요 영역들을 5가지 하위 요인을 기준으로 하여 분류한 후 해당 프로그램에 맞는 영역을 조화롭게 배치하였다. 이는 한 영역만으로 진로탄력성을 신장시키기에는 부족할 것을 고려하여 5가지 하위 요인에 맞는 프로그램을 구현하였다. 이를 통해 음악의 다양한 활동 요소가 진로탄력성 신장을 위해 미치는 영향을 알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먼저 진로탄력성 개념에 대해 초등교육 현장에서 관심을 갖고, 음악교육과 진로교육을 연계한 재구성의 필요성을 알리고자 하였다. 나아가 진로탄력성 신장을 위해 음악교육 뿐 아니라 타 교과교육 연구에도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다만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의 적용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진로탄력성과 음악교과만의 결합이 아닌 타 교과와의 통합적, 학제적 측면에서의 연구도 필요하다. 궁극적으로는 초등학교 학생들이 학교 교육 현장에서 변화하는 직업 세계의 흐름에 자연스럽게 적응하고 대처하는 능력을 신장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며, 이를 위해 교사들의 끊임없는 관심과 지속적인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