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교 국어과 통합적 수업 방안 연구 : 읽기 수업을 중심으로

        김병수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9855

        이 논문은 초등학교 국어 수업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논의하고 있다. 통합적 국어 수업에 주목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영역별로 이루어지고 있는 국어 수업은 초등학생의 발달 단계를 고려하지 않은 측면이 있다. 초등학생은 통합적인 활동을 통해 학습하는 단계이므로 국어 수업은 통합되어야 한다. 둘째, 초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통합은 명시하고 있지만 구체적인 통합적 수업 방안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그래서 통합적 국어 수업이 필요하다. 셋째, 분과적으로 접근하고 있는 국어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구성에서 통합의 관점이 국어 교육의 관점으로 자리매김할 필요가 있다. 통합적 수업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제일 먼저 국어 교육에서 통합의 위상을 고찰하고, 통합의 관점과 개념 및 특성을 밝혔다. 국어 교육에서 통합은 제5차 교육과정 이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원리로 자리 잡고 있다. 통합은 교육과정, 교과서, 수업의 세 가지의 층위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 연구에서는 수업에 초점을 맞추어 영역을 통합한 국어 수업의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통합의 관점은 총체적 언어교육을 이론적 토대로 한다. 통합의 관점을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국어 수업의 특징을 개념과 특성으로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그 결과 통합적 관점의 개념은 언어적 현상의 총체성, 수업 주체의 개별성, 소통과 연계의 개방성으로 정의하였다. 통합적 관점의 특성은 상호교섭성, 언어사용의 이해 기반성, 창조성, 활동 수행성, 국어문화의 고양성으로 하여 국어 수업 분석의 기준점으로 하였다. 다음으로 초등학교 국어 수업의 실태를 읽기 수업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그 개선 방향을 살폈다. 그 결과 영역별 목표의 중시, 기능의 반복과 수업의 비효율성, 언어 활동의 부적합성, 모국어 지도와 언어생활의 괴리를 문제점으로 지적하였다. 그리고 개선 방향으로는 목표 통합의 지향, 내용 확충과 수업의 연속적 진행, 구체적인 활동 중심의 수업, 언어 기능과 문화의 통합을 제시하였다. 그런 다음 통합적 국어 수업을 구체적으로 설계하였다. 통합적 국어 수업의 원리는 수업의 구성 요인과 관련하여 제시하였다. 통합적 국어 수업의 원리는 ‘내용과 목표의 연계, 학습 목표의 통합, 효율성 강화, 학습과 경험의 일치, 실제성 강화’로 구안하였다. 그리고 기존의 국어 수업 모형을 고찰하고, 통합적 국어 수업 모형을 제안하였다. 끝으로, 통합적 국어 수업의 모형과 지도 전략을 실제 초등학교에 적용하였다. 이를 위하여 3-1학기의 영역별 단원을 통합 단원으로 재구성하고, 그 중 한 단원을 선정하여 통합 수업 지도 절차를 실행하고 수업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상의 논의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먼저 초등학교 국어 수업에서 통합적 관점의 특성을 고찰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국어 수업에서 통합적 관점을 구체화하여 통합적 국어 수업의 방안을 제안하고, 이에 대한 적용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초등국어교육에서의 탈놀이 교재화 방안 연구 : 하회별신굿탈놀이를 중심으로

        이지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855

        이 연구는 탈놀이의 국어 교육적 가치를 검토하고, 탈놀이 텍스트를 중심으로 한 교재를 구성하여 초등 국어 교육에서의 탈놀이 교육 가능성을 보여주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지금까지 탈놀이는 어려운 한자어, 고어, 선정적 내용, 사회 문화적 맥락 파악의 어려움 등의 이유로 초등국어교육에서 배제되었다. 물론 탈놀이를 소재로 간간히 교과서에 등장하기는 하였지만, 탈놀이의 장르적 특성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채 그저 외적 특성인 탈과 복장만을 부각하여 나타낸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탈놀이가 지닌 교육적 가치를 무시한 채 그저 학습자 수준에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초등 국어 교육에서 탈놀이가 배제되어야 할 이유는 없다. 따라서 이 연구는 탈놀이의 가치를 고찰하고 탈놀이 교재를 실제로 제시하여 초등 국어 교육에서 탈놀이 교육이 가능함을 보여주고자 한다. Ⅱ장에서는 탈놀이가 초등국어교육에서 어떠한 가치를 지니는 가에 대한 논의를 펼쳤다. 1절에서 탈놀이의 개념과 유형을 살폈다. 탈놀이의 개념 고찰에서는 가면극을 지칭하는 용어로 널리 통용되고 있는 탈춤이라는 용어 대신 탈놀이를 사용해야 할 것을 논의하며 탈놀이의 개념을 ‘탈을 쓰고 대사와 춤, 음악으로 표현하는 종합 연극’으로 규정하였다. 탈놀이의 유형은 지역적 분포, 계통, 연행 장소에 따라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2절에서는 현대의 연극과 대비되는 탈놀이의 다양한 특성 중 초등국어교육과의 접합점을 고려하여 그와 관련되는 탈놀이의 특성을 민족의 보편적 정서 내재성, 종합예술성, 연희의 변이성, 언어의 유희성, 시공간의 무제약성의 5가지로 고찰하였다. 3절에서는 2절의 논의를 바탕으로 탈놀이가 초등 국어 교육에 수용되어 있을 때 지니는 의의를 문화 계승과 창조 능력 증진, 국어의 다양한 표현 방식 이해, 창의적 표현 능력 신장, 학습자의 자신감과 학습 참여도 향상으로 보았다. Ⅲ장에서는 탈놀이 교재화 방안 마련 및 교재화의 실제를 보였다. 1절에서는 각 학년의 영역별 성취기준 중에서 탈놀이를 제재로 하여 학습 가능한 성취기준을 추출하여 그 가능성을 탐색해 보였다. 그 결과 탈놀이는 문학의 뿐 아니라 국어과 하위 영역을 모두 아우를 수 있는 제재이며, 통합교육의 가능성이 매우 높은 텍스트임을 확인하였다. 2절에서는 탈놀이의 텍스트적 특성이 드러나도록 교재화의 원리를 통합성의 원리, 보존성의 원리, 적합성의 원리로 설정하여 논의하였다. 3절에서는 1, 2절의 논의를 바탕으로 교재화를 위해 선택한 성취기준에 따른 목표의 상세화, 제재의 선정 및 재구성, 활동 구안을 통해 탈놀이 단원을 구성하였다. 현재 초등국어교육에서는 탈놀이 교육이 실행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제까지 초등국어교육의 장으로 편입되지 못한 탈놀이를 들여오고자 하는 첫 시도이다. 그러한 의미에서 본 연구는 중고등 국어교육에서만 논의되었던 탈놀이 교육을 초등국어교육으로 확장시켰다는 점, 이론적 고찰에 그치지 않고 실제 교재화 된 양상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 따른 후속 연구로 탈놀이의 장르적 특성을 살릴 수 있는 성취기준 설정 및 교재 개발, 하회별신굿탈놀이 이외 다양한 탈놀이의 교육 가능성을 보일 수 있는 연구, 탈놀이 교재를 실제 교수․학습 상황에서 실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후속 연구가 꾸준하여 이루어진다면 초등국어교육에서의 탈놀이 교육의 가치가 더욱 공고해질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남·북한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실린 문학 작품의 비교 분석 연구 : 1〜4학년을 중심으로

        신정은 광주교육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9855

        이 연구는 남북한 초등(인민)학교 국어 교과서에 실린 문학 작품의 갈래, 주제와 소재, 플롯과 이미지 등을 비교 분석하여 민족의 동질성을 회복시켜 통일을 대비하는 국어교육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살펴보고, 선행 연구 및 연구 내용을 분석한 다음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Ⅱ장에서는 초등(인민)학교 국어과 교육에서 추구하는 문학 교육의 목적과 사회 및 국가가 요구하는 교육의 방향에 따라 초등(인민)학교 국어교과서 개발 과정과 문학 작품 선정의 원리를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남한의 2009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국어과 교육 목표와 ‘문학’ 영역의 내용을 살펴보고, 북한의 교육정책 및 교육이념에 드러난 문학 교육의 목표와 내용을 정리하였다. Ⅳ장에서는 남북한 초등(인민)학교 1학년부터 4학년까지 국어 교과서에 실린 문학 작품을 갈래, 주제와 소재, 플롯과 이미지를 기준으로 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남북한 국어 교과서에 실린 문학 작품의 갈래, 주제와 소재, 플롯과 이미지 등을 비교하여 분석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북한 국어 교과서에 실린 문학 작품들을 서정, 서사, 극의 3갈래에 따라 같은 학년별로 비교·분석하였다. 비교·분석한 결과 남북한 국어 교과서에 실린 문학 작품들이 보이는 공통점은 서사 갈래에서 위인동화와 전래동화가 남북한이 공유하는 역사 속에 잘 알려진 인물과 사건을 다루었다는 점이다. 반면에 차이점으로는, 북한에서는 정치적 사상교육을 목적으로 하는 시 작품들이 국어 교과서에 많이 수록된 반면에, 남한에서는 다양한 매체의 발달을 반영하여 북한에서는 볼 수 없는 만화양식이 교과서에 실려 있다. 이러한 차이점은 문학을 정치적 수단으로 인식하는가와 다양한 매체의 발달을 적극적으로 반영하는가의 여부에 따라 생긴 것이라 할 수 있다. 둘째, 남북한 국어 교과서에 실린 문학 작품들의 주제를 비교·분석하기 위해 연구자는 2009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도덕적 영역 4가지인 ‘도덕적 주체로서의 나’, ‘우리 타인과의 관계사회’, ‘국가 지구공동체와의 관계’, ‘자연 초월적 존재와의 관계’를 활용하였다. 그리고 작품의 소재들은 자연, 인물, 동물, 인공물을 비교·분석의 범주로 정하여 동일 학년별로 교과서에 실린 작품들을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주제와 소재 면에서 남북한 국어 교과서에 실린 문학 작품들을 비교하고 분석한 결과, 남북한 모두 아동의 정서 발달에 요구되는 소재와 주제가 문학 작품에 다루어지는 공통점을 보였다. 아울러 남북한 모두 우리 민족 고유의 전통관련 소재를 자주 활용한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러나 북한의 교과서에 실린 문학 작품들의 대부분이 김 씨 일가를 중심 소재를 삼은데 반해, 남한의 교과서에 실린 문학 작품들은 남한의 현실 사회를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차이를 보였다. 예를 들어, 남한 교과서에서는 ‘다문화에 대한 편견과 차별 금지’와 같은 주제를 다루거나 기술의 발달과 국제적 교류 확산 과정에서 생겨난 새로운 어휘들이 작품에 반영되어 있었다. 셋째, 서사 갈래인 동화작품의 난이도와 구조, 작품의 분위기를 파악하기 위해 플롯 구조를 비교·분석의 기준으로 두었다. 남북한 교과서에 실린 작품들은 많은 것들이 교육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여러 가지 플롯이 혼합된 복합적 플롯을 이용하고 있었다. 북한 교과서에 실린 문학 작품들은 작품 전체를 다루면서도 좀 더 간결한 플롯을 구사한 반면, 남한의 교과서에 실린 작품들의 플롯은 작품의 일부를 수록한 반면 복합적인 플롯의 사용이 많았다는 차이점을 보였다. 넷째, 서정 갈래인 시는 시각, 청각, 촉각, 후각, 미각 등의 감각적 이미지와 직유, 은유, 의인 등의 비유적 이미지에 따라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이미지 면에서 남북한 교과서에 실린 작품들은 남북한 서로에게 익숙한 의성어와 의태어 사용이 높았고, 직유, 은유, 의인 등과 같은 비유적 이미지도 적절하게 활용되고 있었다. 또한 시각 위주의 감각이미지가 남북 공통으로 많이 쓰이고 있었다. 그러나 북한에서는 시어의 이미지화보다는 서술 경향이 강했고, 남한 학생들에게는 생소한 어휘나 의성어, 의태어 등이 선택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북한에서는 어린 학생들의 정서 순화에 요구되는 자연스런 감정표현을 드러내는 시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가운데, 김 씨 일가와 공산주의 찬양을 위한 수사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연구는 남북한 초등(인민)학교 1학년부터 4학년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문학작품을 갈래, 주제와 소재, 플롯, 이미지 등을 기준으로 하여 비교·분석함으로써 남북한 국어 교과서에 실린 문학 작품들의 경향과 그것의 근간이 되는 문화적·정치적 차이를 밝힐 수 있었다. 본 연구가 남북한 국어교육에서의 이질감을 극복하고, 향후 통일 상황에서의 국어교육에 시사점을 줄 수 있는 기초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아울러 후속 연구를 통해 남북한 국어 교과서에 실린 문학 작품들의 선정과 배치에 관한 논의가 활성화되기를 바란다.

      • 초등 학습자를 위한 띄어쓰기 지도 방안 연구

        최효운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855

        The go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for learners to communicate smoothly with others. Communicating smoothly means being able to accurately communicate one's intentions to the other person beyond simply understanding and acquiring knowledge of the Korean language. Among the expressive functions of the Korean language, accuracy and clarity are more important because writing can express one's intention through the writing results, unlike speaking that can express through situations. In order to clearly understand the intention, word spacing is essential. But the importance of word spacing in elementary school is overlooked. There is no contents about word spacing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Korean education curriculum, and it appears only as part of a lesson in one unit of the textbook. Therefore, teachers do not instruct about meaningful word spacing to learners, but only provide some advices about word spacing for revising. At the result, learners can get a negative perception of word spacing and it can prevent learners from learning about word spacing by themselv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education curriculum and elementary school textbooks and guides, find problems in word spacing in elementary school, and design a learner-centered word spacing instruction method for elementary school learners. So in the study, there is the instruction method composed of a total of 6 steps, and it is designed so that the learners can learn the word spacing by themselves. And also an activity book is composed in the step-by-step order of the word spacing instruction method so that it can be used usefully for learning. And after instructing the word spacing, a follow-up surveys show the effectiveness of word spacing instruction. The purpose of word spacing is to communicate smoothly with others, but in the elementary school education, word spacing is not considered important. And the proportion of word spacing in the curriculum of Korean education and textbooks is small. In elementary education, Language recognition and acquisition should occur actively. But if learners only get the knowledge by one-sided way not study by themselves, that can make learners to have the wrong habit of word spacing. Therefore,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teach word spacing at the 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ddition, it is difficult for learners to understand and apply word spacing only with the knowledge that teachers instruct without a systematic Instruction method for stud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have learners-centered instruction method that can be repeatedly learned and applied. So this study is meaningful for elementary school learners, because it suggests systematic step-by-step word spacing method. I hoped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will establish the word spacing education and the researches about word spacing instruction method will be actively carried out through diverse and in-depth discussions. After that, I also hoped the diverse word spacing instruction methods will be materialized in elementary schools and developed. 국어 교육의 목표는 학습자가 타인과 원활하게 소통하는 것이다. 원활하게 소통한다는 것은 단순히 국어 지식을 이해하고 습득하는 것을 넘어 자기 의사를 상대에게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국어의 표현 기능 중, 상황을 고려하여 표현할 수 있는 말과 달리 글은 최종 결과물을 통해 자기 의사를 표현할 수 있기에 그 정확성과 명확성이 더 중요하다. 의사를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서는 올바른 띄어쓰기가 필수적이지만 학교 현장에서의 띄어쓰기 교육의 중요성은 간과되고 있다. 현행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상 띄어쓰기에 관한 내용은 부족하며 오직 교과서의 한 단원의 일부 차시 내용으로만 등장한다. 그렇기에 교사는 학습자들에게 유의미한 띄어쓰기 지도를 하지 못하고 학습자들의 쓰기 결과물을 검사하고 평가하는 수준의 지도만 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띄어쓰기 학습은 학습자들이 띄어쓰기를 부정적으로 인식하게 하며 학습자가 자기 주도적으로 띄어쓰기를 학습할 기회를 막는다. 따라서 이 연구는 현행 교육과정과 초등학교 국어과 교과서와 지도서를 자세히 분석하여 초등학교 띄어쓰기 교육의 문제점을 찾고 초등 학습자를 위한 학습자 중심의 띄어쓰기 지도 방안을 설계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에서 논의한 내용을 장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띄어쓰기 지도 방안 설계의 방향과 지향점을 얻기 위하여 연구에 필요한 선행 연구를 분석하였다. 맞춤법과 띄어쓰기 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띄어쓰기 지도 내용 연구, 띄어쓰기 지도 방안 연구에 관한 선행 연구를 분석하여 띄어쓰기 지도 방안 설계의 지향점을 정리하였다. Ⅱ장에서는 현행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과 1~6학년 국어 교과서, 국어 활동 교과서 그리고 교사용 지도서를 분석하였다. 학습 목표 도달에 필수적인 국어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과 내용 요소 속 띄어쓰기 내용을 살펴보고 교육과정이 반영된 교과서와 지도서에는 띄어쓰기가 어떻게 제시되어 있는지 분석하는 것을 통해 띄어쓰기 교육의 문제점을 정리하였다. Ⅲ장에서는 학습의 실제성을 반영하기 위해 띄어쓰기에 관한 학습자 인식 및 사용 실태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자가 담임교사로 있는 초등학교 3학년 학습자 25명을 대상으로 사전 조사를 실시하여 띄어쓰기에 관한 학습자들의 인식 및 사용 실태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학교 현장에서 필요한 띄어쓰기 지도 방안의 지향점에 대해 정리하였다. Ⅳ장에서는 앞선 Ⅱ장과 Ⅲ장에서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 학습자를 위한 띄어쓰기 지도 모형을 설계하고 학습에 필요한 활동책을 개발하였다. 지도 모형은 총 6단계이며 학습자가 중심이 되어 학습 내용을 탐구하며 학습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띄어쓰기 지도 모형의 단계 순으로 활동책을 개발하여 학습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게 하였다. 띄어쓰기 지도 후 띄어쓰기 인식 및 사용 실태 사후 조사를 실시하여 띄어쓰기 지도 방안의 효과성을 살펴보았다. 띄어쓰기는 타인과 원활하게 소통하기 위함이 목적이지만 초등학교 현장에서는 띄어쓰기를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으며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차지하고 있는 비중 또한 작다. 언어 인식 및 습득과정이 활발하게 일어나야 할 초등 국어 교육에서 이를 비중 있게 다루지 않는 것은 학습자들이 잘못된 띄어쓰기 습관을 갖게 할 수 있다. 그렇기에 초등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하여 띄어쓰기를 지도하는 것은 꼭 필요하다. 또한 체계적인 지도 방안 없이 교사가 일방적으로 지도하는 것은 학습자들이 띄어쓰기 규정을 이해하고 적용하기 어렵다. 그렇기에 학습자가 중심이 돼서 학습하고 적용할 수 있는 지도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습자 중심의 체계적인 띄어쓰기 지도 방안을 설계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초등학교 띄어쓰기 지도 방안 연구에 관한 다양한 논의와 실제 교육 현장에서의 실행을 통해 초등학교 국어 교육에 띄어쓰기 교육이 자리 잡고 초등 학습자를 위한 띄어쓰기 지도 방안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기를 바란다.

      • 초등 국어과 교육에서의 한국신화의 위상과 의미 : 단군신화, 주몽신화, 원천강본풀이, 바리공주를 중심으로

        김도윤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855

        본 연구는 초등 국어과 교육에서 한국신화의 위상과 의의를 논의하는 데 연구 목적이 있다. 한국신화는 한국 사람들의 총제적인 삶의 모습이 담겨 있다. 한국신화에는 민족의 얼과 정체성, 자긍심이 녹아들어 있으며 초등학생들의 흥미를 자극할 만한 내용과 교훈적이며 인생의 나침반이 될 내용이 들어 있고, 그 외에도 문학적인 면에서 탄탄한 서사구조와 함께 다양한 모티프를 활용한 문학 텍스트가 될 수도 있다. 하지만 현대사회에서 사람들은 신화를 단순한 신의 이야기나 허무맹랑한 옛날이야기라고 생각하며, 이를 반영하듯 학교 현장에서는 신화교육이 국어교육이나 문학교육의 일부로서 활발히 다루어지지 않고 있다. 하지만 우리 주변의 생활을 살펴보면 한국신화가 우리 생활에 얼마나 가까이 있는지 쉽게 알 수 있다. 온라인, 오프라인 서점에 가보면 학생과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한 신화 관련 서적들이 계속 출판중이며, 지금까지 출판된 서적도 상당히 많다. 신화의 내용을 주제로 한 드라마나 영화, 연극, 에니메이션도 나오고 있으며, 학교 교육의 이념인 홍익인간 사상 또한 신화에서 출발한다. 이렇게 우리들은 알게 모르게 신화를 접하고 있으며 생활 깊숙이 한국신화가 들어와 있지만, 실제 초등 국어교육과정에서는 그 중요성만큼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초등 국어과 교육에서 한국신화의 위상과 의미를 논의하는데 필요성을 느끼고 연구를 하게 되었다. 먼저 초등 국어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초등 국어교육과정의 목표를 알아보고 한국신화의 의의와 비교하여 보았다. 비교 결과 초등 국어교육과정의 목표와 한국신화의 의의가 일치한다는 것을 알고 문헌신화 2편과 구전신화 2편을 구조주의 방법으로 분석하여 교육적 가치를 추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신화의 위상과 의미를 재정립하였다. 이를 위해서 각 장에서는 다음과 같이 연구 내용과 방법을 설정하였다. Ⅱ장에서는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초등 국어교육과정의 목표를 알아보았다. 초등 국어교육과정의 목표는 국어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국어능력 신장과 함께 새로운 국어문화를 창조하고 문학적 상상력을 높이며 한국인으로서 문화를 향유하는 부분에서 한국신화의 의의와 일치하였다. 한국신화 또한 한국인의 세계관을 내재하고 있으며 인간의 내부 및 외부를 망라하여 총제적으로 이해하고자 함에서 초등 국어교육과정과 한국신화의 교육적 상관성은 매우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Ⅲ장에서는 문헌신화의 대표작품으로 <단군신화>와 <주몽신화>를 구조주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단군신화>와 <주몽신화>를 각각 서사구조, 공간, 인물, 영웅의 일생구조로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문헌신화에 내재된 교육적 가치를 추출하였다. <단군신화>와 <주몽신화>는 학생들에게 문학적 상상력을 키울 수 있는 다양한 모티프들이 등장하며 이는 후대 서사문학의 원형이 되었음을 알려준다. <주몽신화>는 영웅의 일대기 서사구조를 따르고 있으며, <단군신화>와 <주몽신화>를 통해 우리 민족의 정체성 확립과 함께 인내심과 노력 등 도덕적인 가치도 추출할 수 있었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의 방법과 마찬가지로 구비신화인 <원천강본풀이>와 <바리공주>를 각각 서사구조, 공간, 인물, 영웅의 일생구조로 분석하였다. 특히 <원천강본풀이>와 <바리공주>는 남성위주의 한국사회에서 여성의 주체적인 모습을 보여주었으며, 한국의 전통사상인 효 사상을 추출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문학교육적 측면과 도덕․윤리적인 측면에서도 교육적 가치를 추출할 수 있었다. 그동안 문헌신화 위주로 학교 현장에서 신화 교육이 되었던 점에서 구비신화는 신화교육의 또 다른 길을 열어줄 것으로 본 연구자는 기대한다. Ⅴ장에서는 초등 국어과 교육에서 한국신화의 위상과 의미를 논의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신화는 교육법에 제시된 홍익인간 이념 등을 통해 학교 교육에서 매우 큰 위상을 차지한다. 둘째, 한국신화는 국어교육과 문학교육 측면에서도 큰 위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학생들의 문학적 상상력과 국어능력의 발달, 새로운 국어문화 창조에 이바지한다. 또한 한국신화는 영화나, 드라마, 게임,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매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셋째, 한국신화는 우리 민족의 정체성 확립과 자긍심을 느낄 수 있게 하며 민족의 얼, 고유한 문화, 가치관 등을 담고 있어서 한국신화가 갖는 교육적 의미는 매우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한국신화는 도덕적․윤리적인 내용이 많아 학생들에게 매우 교육적인 의미가 크다. 인간존중 사상이나 효 사상, 어려운 환경 속에서 포기하지 않는 정신, 도전과 인내심, 가족 간의 사랑, 다양한 삶의 모습 등은 학생들에게 꼭 가르쳐야 할 교육적인 가치이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신화가 초등 국어과 교육에서 차지하는 위상과 의미를 재정립하여 학교 교육에서 초등 국어과 교육의 일부로서 교육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그 중요성과 가치를 제대로 인정받는다면 이 연구의 목적은 충분히

      • 아동문학 중심 초등국어과 통합 지도 방안 연구

        박순숙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855

        본 연구는 어린이들이 좀 더 문학을 가까이 하고 좋아하며 심도 있는 감상 활동을 통해서 평생 독자로 자라날 수 있는 문학 교육 방법에 대한 고민에서 시작하였다. 문학 작품을 중심으로 하여 초등국어과를 통합 지도한다면 문학 교육 측면에서나 언어 기능 교육 측면에서 모두 좋은 효과를 거둘 수 있고, 실제적인 교육이 될 것이란 기대에서 문학 중심 국어과 통합지도가 왜 필요하며, 얼마나 효율적인가를 밝히고, 그에 따라 통합 지도 방안을 설계해 보는 방향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아동문학은 표현매체가 넓은 의미의 언어이고, 현상과 그 이면에 숨어있는 보편적 진실이 반영된 예술이며, 상징 의식이 반영된 상징 예술이다. 그래서 문학 교육을 할 때,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활동중심의 방법이 효과적이고, 어린이들의 언어 학습에 있어서 실제적이고 가치가 많은 상황을 제시해 줄 수 있는 언어 자료가 문학이며, 작품 속 허구를 상상을 통해 현실로 여기게 되는 과정에서 사고력을 발달시킬 수 있다. 또한 아동문학은 아름다운 정서를 함양할 수 있게 해 주고, 언어 능력을 통합적으로 신장시키는 자료가 되고, 바람직한 인격을 형성시킬 수 있게 도와주며, 사고력을 신장시켜 준다는 면에서 아동문학 중심 국어과 통합지도의 필요성을 찾을 수 있다. 또한 구체적 조작기인 초등학생들에게는 활동 중심의 통합이 효과적이다. 언어 기능들을 통합적으로 지도할 때 언어 교육의 자연성, 전체성, 의미성, 실제성, 활동성, 효과성 등을 보장할 수 있다. 이러한 통합 교육이 실질적이고 의미 있으며 효율적이기 위한 필요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이 바로 문학 작품이다. 문학작품을 읽는 것은 작가가 전하는 삶과 경험의 말을 듣는 것이고, 주체와 맥락이 살아있는, 자체가 완결된 언어 사용이다. 또한 문학작품은 독자들에게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경험으로 전달되고, 문학교육은 사고력 교육이며, 활동 중심의 실제적인 교육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창조적 언어능력을 신장시키는 데 매우 효율적이라는 점 등이 바로 문학작품이 통합 국어 교육의 바탕이 될 수 있는 근거이다. 학습자 중심 교육, 총체적 언어 교육, 생태학적 교육관 등은 조금씩 차이는 있으나, 학습자에게 의미 있는 교육, 실제적인 교육, 효율적인 교육을 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이러한 논의를 종합하여 통합 국어 교육의 개념과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문학 중심 초등국어과 통합 지도를 위해서 이미 연구된 통합의 원리를 바탕으로 통합 지도 방안 설계를 하였으며, 실제적인 예를 제시하였다. 통합의 원리에 따라 먼저 2007 개정 교육과정 국어과 3학년의 성취기준과 내용요소의 예, 그리고 그 성취기준이 교과서에 구현된 단원 학습 목표 등을 살펴보았다. 그 중 통합 지도하는 것이 더욱 효율적인 학습 목표들을 추출하여 통합의 기초를 세웠다. 3학년 1,2학기 교과서에서 총 5개의 통합을 위한 성취기준들, 즉 통합 단원이 만들어졌다. 기존에 연구된 교육연극 교수-수업 모형, 상호 교수-학습법, 소통하기 프로그램 등을 바탕으로 하여 통합 지도를 위한 수업 모형을 정립하였다. 통합 지도를 위한 수업 모형은 도입, 소통하기, 통합 활동, 정리 등의 단계를 거친다. 그 모형에 맞게 『가방 들어 주는 아이』를 중심으로 국어과의 6개 영역을 통합하여 지도하는 예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아동문학 중심 통합 지도 방안을 구안해 봄으로써, 문학 중심 초등국어과 통합 지도를 위한 출발점은 될 수 있겠으나, 실제로 적용해 보지 못했다는 것에 한계가 있다.

      • 국어 탐구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초등 품사 지도 방안 연구

        박수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855

        The study is aimed at mapp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enhance their linguistic and inquiring minds. The existing grammar lessons deliver knowledge in fragments to students. In the existing grammar classes, it was difficult for students to internationalize their knowledge as grammar classes were crammed without giving them the opportunity to think. In spite of the limitations of grammar education, we identified the need for research in that the method of exploration and knowledge of grammar are not being provided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refore, based on the existing research on exploration learning, I'm going to summarize the exploration learning process for developing the linguistic and inquiring mind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devise guidance plans. The achievement criteria in the area of elementary grammar address ‘the part of speech' but the value of ‘part of speech' learning is not addressed properly in the actual class. At an elementary school level, it would be possible to help students develop their thinking skills in the process of sorting out words. Based on this information, the exploration study was applied to ‘part of speech' learning and verified its effectiveness to develop students' linguistic inquiring minds. The research is discussed below. First, in the area of grammar, education for students to develop their thinking skills should be made. A teaching knowledge of grammar that reflects the principle of thinking should be made to increase a student's thinking ability. By studying the phenomenon of Korean language and discovering grammar rules, students should be able to learn grammar principles and internationalize their knowledge. Second, the concept of language and thinking ability unique to differentiate from other subjects should be established. The word ‘thinking' is transitive, so you need to specify what you want to think about. In the Korean language and grammar field, the Korean language phenomenon is the object of thought to discover knowledge and solve problems. As grammar field is narrower than the whole area of Korean language and grammar, one defines the thoughts that can be cultivated in the area of grammar as ‘linguistic inquiring mind' and finds knowledge based on the ‘grammatical principle' Also, the focus of the exploration learning process may differ from those of other subjects, so that only the Korean language and the research should be prepared. Third, there must be a method of exploration learning that is appropriate to the 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is more appropriate to guide them to draw their own principles or rules by exploring specific objects of exploration, such as actual Korean language materials or phenomena, rather than using deductive models. Therefore, inductive models fit together at the elementary level.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offers separate models for which inductive exploration can be conducted equally, thus adding to confusion to teacher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sent models with inductive exploration processes in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according to the objectives of study. In elementary school, through part of speech education, students will be able to think better. However, knowledge of part of speech is only used as a means to search Korean dictionaries, so it is not helpful for students to think better. Knowledge of parts of speech is not a true part of speech education because it only deals with the contents necessary to find a Korean dictionary. In the process of sorting words according to certain criteria, students will be able to learn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words and increase their thinking skill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ammar area and the method of exploration learning as arranged earlier, the parts of speech were mapped to the 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were prepared according to inductive exploration models to develop students' linguistic and inquiring minds.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are organized by considering the principles of process, hierarchy, contextualization, and focusing principles. Reconstructed to reflect this, the maps of part of speech were applied to the learning of the first grade of the fourth grade. After the instruction, it was determined how much students understood about parts of speech through the recognition and exploration classes for Korean and exploration.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based on the cognitive tests for Korean language and research classes. Most of the students did not have a negative opinion about holding a research class in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More than half of the students were interested in exploring Korean language. Therefore, through exploration, students will be able to participate in grammar classes with interest, and will be able to participate more actively by enhancing their motivation.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derived by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students' exploration activities. First, we should actively apply investigation learning in Korean grammar class so that students can be familiar with the exploration study in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Although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lso emphasizes exploration, most students have not been exposed to the study in Korean language class. As a result, students were unfamiliar with carrying out an investigation into the Korean grammar phenomen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students with access to exploration learning in the areas of Korean language and grammar. Second, we can enhance students ' understanding through inductive investigation classes. It gives students the opportunity to think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words and helps internationalize their knowledge by classifying words according to specific criteria. Third, we should clarify the grammatical phenomena that are to be explored. Even if students already know something, they should reformulate the grammatical phenomena to be explored so that they can be clearly aware of the concepts before they can explore them. Fourth, because exploration is a process in which students think for themselves and find knowledge, it should be allowed to prevent an openness from forming. Students need to be emphasized in organizing their exploration learning by compiling the openness that they have through the exploration process. Fifth, check students ' thinking processes and explore them to prevent the formation of the mind, and then have enough time to organize your learning with the teacher. Learning should be organized not only through the exploration process but also through the exploration process. Sixth, it is necessary to integrate it with other subjects so that students can learn the exploration functions. Students have learned the functions of exploration in science class, so they can use them in Korean classes. Indeed, students were more interested in finding knowledge and solving problems as they went on to explore Korean language materials reflecting grammatical phenomena. Thus, in grammar education, the effectiveness of exploration learning could be verified. This paper revealed the concepts of thinking power that can be promoted in the area of grammar and set up a method of studying Korean language that can help develop the thinking power by reflecting the goals of grammar. It is also meaningful that the guidance method of part of speech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prepared and applied to clarify the effectiveness of exploration learning in the area of grammar.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actively discus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s well as specific educational contents of grammar knowledge that can reflect the principle of think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study Korean.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국어 탐구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지도 방안을 마련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기존의 문법 수업은 학생들에게 지식을 단편적으로 전달하는 것에 그쳤다. 기존의 문법 수업에서는 학생들에게 사고할 기회를 주지 않고 주입식으로 문법 교육이 이루어져 있어 학생들이 지식을 내면화하기가 어려웠다. 현재 문법 교육의 한계에도 불구하여 초등학생에게 적용할 수 있는 탐구 수업의 방법과 문법 지식의 구체적인 내용이 마련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탐구 학습에 대한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초등학생의 국어 탐구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탐구 학습 과정에 대해서 정리하고 지도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초등 문법 영역에서의 성취기준에서 ‘품사’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으나 실제 수업에서는 ‘품사’ 학습의 가치가 제대로 다루어지지 않고 있다. 초등학생 수준에서는 낱말을 분류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의 사고력 신장을 도울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학생들의 국어 탐구적 사고력 신장을 위하여 ‘품사’ 학습에 탐구학습을 적용하고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이 연구의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법 영역에서는 학생의 사고력 신장을 위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사고성의 원리를 반영하여 지도할 수 있는 문법 지식은 학생의 사고력을 신장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야 한다. 학생들이 국어 현상을 탐구하여 문법 규칙을 발견하는 활동을 통하여 학생이 주도적으로 문법 원리를 터득하여 지식을 내면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다른 교과와 차별화할 수 있는 국어과만의 사고력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여야 한다. ‘사고한다’ 라는 낱말은 타동사이므로 사고의 대상을 무엇으로 할지 구체적으로 정해야 한다. 국어과 문법 영역에서는 국어 현상을 사고의 대상으로 하여 지식을 발견하고 문제를 해결해나가도록 하고 있다. 국어과 전체 영역보다 문법 영역은 그 범위가 더 좁으므로 문법 영역에서 기를 수 있는 사고를 ‘국어 탐구적 사고력’으로 정의하고, 이를 ‘문법적 원리’를 대상으로 하여 지식을 발견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정신 과정으로 정리할 수 있다. 또한, 탐구 학습 과정에서도 타 교과와 중점을 두는 부분이 다를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국어과만의 탐구 학습을 마련하도록 해야 한다. 셋째, 초등학생 수준에 맞는 탐구 학습 방법이 마련되어야 한다. 초등학생에게는 연역적인 방식의 모형보다는 실제 국어 자료나 현상과 같이 구체적인 탐구 대상을 탐구하여 학습자가 원리나 규칙을 스스로 도출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 따라서 귀납적인 방식의 모형이 초등 수준에서는 어울린다. 국어과에서는 귀납적인 탐구과정이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모형을 따로 제시하고 있어 교사에게 혼란을 가중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국어과에서 귀납적인 탐구 과정을 이루고 있는 모형들을 학습 목표에 따라 정리하여 제시할 수 있다. 초등학교에서는 품사 교육을 통하여 학생들의 사고력을 신장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국어사전 찾기를 위한 수단으로서만 품사 지식이 활용되고 있어 학생들의 사고력 신장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 품사 지식도 국어사전 찾기에 필요한 내용만 다루고 있어 진정한 의미의 품사 교육이라고 할 수가 없다. 일정한 기준에 따라서 낱말을 분류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이 낱말의 특징에 대해서 알 수 있고, 사고력을 신장시킬 수 있을 것이다. 앞서 정리한 문법 영역의 성격과 탐구 학습 방법을 바탕으로 하여 초등학생 수준에 알맞은 품사 지도 방안을 마련하였다. 학생들의 국어 탐구적 사고력 신장을 위하여 귀납적인 탐구 모형에 따라서 교수·학습 자료를 마련하였다. 교수·학습 자료는 과정성의 원리, 위계화의 원리, 맥락화의 원리, 초점화의 원리를 고려하여 구성하였다. 이와 같은 내용을 반영하여 재구성한 품사 지도는 4학년 1개 학습에게 적용되었다. 지도 후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국어과 탐구 수업에 대한 인식과 탐구 수업을 통하여 품사에 대해서 어느 정도 이해했는지를 확인하였다. 국어과 탐구 수업에 대한 인식 검사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국어과에서 탐구 수업을 실시하는 것에 대해서 부정적인 견해를 보이지 않고 있었다. 국어과에서 탐구를 한 것에 대해서 흥미를 느끼는 학생은 과반수를 넘었다. 따라서 학생들이 탐구를 통하여 문법 수업에 흥미를 가지고 참여할 수 있고, 수업 동기를 높여 수업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학생들의 탐구 활동의 결과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국어 문법 시간에 탐구 학습을 활발하게 적용하여 학생들이 국어과에서도 탐구 학습을 익숙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탐구를 강조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학생들은 국어 시간에 탐구를 접하지 못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은 국어 문법 현상을 대상으로 하여 탐구를 수행하는 것을 낯설어 하였다. 그러므로 국어과 문법 영역에서 탐구 학습을 접할 수 있게 하여 학생들이 방법을 익힐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둘째, 귀납적인 탐구 수업을 통하여 학생들의 이해를 높일 수 있다.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낱말의 특징에 대해서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직접 일정한 기준에 따라서 낱말을 분류해보며 지식을 내면화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셋째, 탐구 대상이 되는 문법 현상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정리하여야 한다. 학생들이 이미 알고 있는 내용일지라도 탐구 대상이 되는 문법 현상에 대해서 다시 정리하여 학생들이 그 개념에 대해서 명확히 인지한 후에 탐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넷째, 탐구는 학생들이 스스로 사고하여 지식을 발견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학생들이 오개념이 형성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학생들이 탐구 과정을 통해 가질 수 있는 오개념을 정리하여 탐구 학습을 정리할 때에 강조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학생들의 사고 과정을 점검하고 오개념 형성을 막기 위해서 탐구를 실시한 다음에 교사와 함께 학습 내용을 정리하는 시간도 충분히 가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학생들이 탐구하는 것에서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탐구 과정을 통하여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같이 학습 내용을 정리하도록 하여야 한다. 여섯째, 다른 과목과 통합하여 학생들이 탐구 기능에 대해서 익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학생들이 과학 수업 시간에 탐구 기능을 배웠으므로 국어 시간에도 이를 활용하여 탐구를 실시할 수 있다. 실제로 학생들이 문법적 현상을 반영한 국어 자료를 탐구해보는 활동을 거듭하면서 지식을 발견하고 문제를 해결해내는 활동에 더 유의미하게 참여할 수 있었고,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도도 높았다. 그러므로 문법 교육에서 탐구 학습이 가지는 효과성을 검증할 수 있었다. 이 논문은 문법 영역에서 신장시킬 수 있는 사고력의 개념을 밝히고, 문법 영역의 목표를 반영하여 사고력 신장을 도울 수 있는 국어과에서의 탐구 학습 방법을 마련하도록 하였다. 또한, 초등학생의 수준에 알맞은 품사 지도 방안을 마련하고 적용하여 문법 영역에서의 탐구 학습의 효용성을 밝혔다는 것에서 의미가 있다. 이 연구가 초등학생의 국어 탐구적 사고력 신장을 위하여, 사고성의 원리를 반영할 수 있는 문법 지식의 구체적인 교육 내용과 교수·학습 방안에 대해서 활발하게 논의되는 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 초등 국어사전 활용 교육의 내용화 연구

        곽준현 서울교육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9855

        이 연구는 국어사전이 갖는 다양한 국어 교육적 가치에도 불구하고, 초등 국어 교육에서 국어사전 활용 교육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태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현재의 국어사전 활용 교육은 뜻풀이 정보를 활용하여 낱말의 의미를 파악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 원인은 교육 내용이 타당한 준거에 따라 선정되지 않고, 위계화와 통합화를 통한 교육 내용 조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데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초등 국어사전 활용 교육의 내용을 선정하고 조직하는 내용화를 통해 초등 국어 교육에서의 바람직한 국어사전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연구 내용과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Ⅱ장에서는 초등 국어사전 활용 맥락과 활용 교육의 의미를 밝혔다. 초등 교육에서의 국어사전 활용 맥락은 국어 교과 학습 상황, 타 교과 학습 상황, 일상생활에서의 필요 상황으로 나뉜다. 이 연구에서는 국어 교과 학습 상황을 중심으로 초등 국어 교육에서의 국어사전 활용 맥락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초등 국어 교육에서 국어사전은 문법 영역을 중심으로 언어 자료 수집 및 탐구의 도구로서 활용될 수 있으며, 기능 영역을 중심으로 이해 및 표현 기능 신장을 위한 학습 도구로서 활용될 수 있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현재의 교육에서 국어사전이 정확한 언어 이해를 위한 도구로서 제한적으로 활용되는 것과 달리, 정확한 언어 표현 나아가 적절한 언어 이해와 표현을 위해서도 국어사전이 활용될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국어사전 교육은 교육 목적에 따라 ‘국어사전 이해 교육’과 ‘국어사전 활용 교육’으로 구분 가능하다. 그러나 국어사전에 대한 이해를 돕는 동시에 국어사전을 활용하는 데 도움이 되는 교육 내용도 있다. 이러한 교육 내용을 반영하였을 때 ‘국어사전 교육’은 언어사용 상황에서의 국어사전 활용 여부에 따라 ‘국어사전에 대한 이해 교육’과 ‘국어사전 활용 교육’으로 구분 가능하며, ‘국어사전 활용 교육’은 다시 ‘국어사전 활용을 위한 기초 이해 교육’과 ‘국어사전의 실제적 활용 교육’으로 범주화 할 수 있다. 국어사전 활용은 교육과정 핵심역량 신장에 기여한다는 점, 국어과의 본질에 해당하는 의사소통 능력 신장에 기여한다는 점, 기초 어휘력 신장에 기여한다는 점, 학습 전이 효과가 높다는 점 등에서 초등 국어 교육적 가치가 있다. 위의 4가지 가치를 고려하였을 때, 초등 국어 교육에서는 ‘국어사전에 대한 이해 교육’보다 ‘국어사전 활용을 위한 기초 이해 교육’과 ‘국어사전의 실제적 활용 교육’이 교육적 가치가 높다. Ⅲ장에서는 교육과정 및 교과서, 학습자를 대상으로 초등 국어사전 활용 교육의 실태 및 요구를 분석하였다.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결과 내용 선정의 타당성, 내용 조직의 위계성 및 통합성, 교육과정과 교과서 간의 정합성 측면에서 문제가 있었다. 내용 선정 면에서 뜻풀이 정보 이외에 국어사전에서 활용 가능한 언어 정보들에 대한 내용 선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고, 인터넷 사전 교육에 대한 내용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지 않았다. 내용 조직의 위계성 면에서 학교 급 간, 학년 급 간 위계화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통합성 면에서 읽기 영역과 문법 영역에서 제한적인 통합이 이루어졌다. 학습자 설문을 통해서는 학습자들의 국어사전 활용 실태, 국어사전 활용에서 어려움을 겪는 부분, 국어사전 교육을 통해 더 배우고 싶은 내용 등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학습자들은 사전에서 낱말 찾기나 찾는 낱말이 동음이의어거나 다의어인 경우 해당하는 뜻을 선택하기 어려워하였다. 또한 국어사전에 실린 여러 정보의 실제적인 활용과 사전의 기호나 약어에 대한 이해에서 어려움을 호소했다. 국어사전 교육에서 더 배우고 싶은 내용으로는 인터넷 사전의 활용 방법과 사전의 종류와 기능이 높은 비율을 보였다. Ⅳ장에서는 교육 내용화의 개념을 밝히고 초등 국어사전 활용 교육의 내용화를 위한 준거를 마련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내용화를 ‘교수·학습할 대상에 대한 교육 내용을 타당한 준거에 따라 선정하고 위계화와 통합화를 통해 조직하여 실체화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내용 선정의 준거로서 내적 기준으로는 학문의 구조와 형식, 외적 기준으로 학습자의 개인적 요구와 교육과정의 사회적 요구를 설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앞선 연구 분석을 통해 국어 교육에서 활용 가능한 국어사전의 언어 정보를 선정하고 이를 국어사전이 활용 가능한 초등 국어과 교육과정 성취기준과 관련지어 제시하였다. 또한 Ⅲ장의 학습자 실태 및 요구를 반영하고 교육과정 핵심역량을 신장할 수 있는 교육 내용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위계화와 통합화를 내용 조직의 준거로 삼았다. 이 연구에서 위계화는 ‘교육 내용의 체계와 학습자의 발달 수준을 고려하여 교육 내용을 일정한 군으로 묶고 단계적으로 제시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통합화는 ‘국어과 영역 간, 영역 내 교육 내용을 유기적으로 조직하여 교과서 통합 단원으로 구성하는 것’으로 범위를 한정하였다. 위계화를 통해 교육과정 성취기준과 학년 군별 성취기준과 구체적인 교육 내용을 설정하는 한편, 통합화를 통해 교과서 통합 단원의 구성 사례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Ⅳ장 1절에서 설정한 내용 선정 및 조직의 준거에 따라 2절에서는 초등 국어사전 활용 교육을 내용화하였다. 국어사전 활용 교육 중 ‘국어사전 활용을 위한 기초 이해 교육’과 ‘국어사전의 실제적 활용 교육’에 해당하는 교육 내용을 각각 선정하였다. ‘국어사전의 실제적 활용 교육’은 다시 국어사전 활용의 맥락에 따라 언어 자료 수집 및 탐구를 위한 교육 내용, 이해 기능 신장을 위한 교육 내용, 표현 기능 신장을 위한 교육 내용으로 세분화하여 선정하였다. 선정된 교육 내용을 위계화하기 위하여 위계화의 기준을 설정하였다. 구체적으로 기초에서 심화, 필수에서 수의, 이해에서 표현, 정확성에서 적절성, 고빈도 활용 정보에서 저빈도 활용 정보, 낮은 수준의 통합 교육 내용에서 높은 수준의 통합 교육 내용으로 위계화하고자 하였다. 위의 6가지 위계화 기준에 따라 초등 3∼4학년 군, 5∼6학년 군에 적합한 성취기준을 개발하고, 각각의 학년 군에서 이루어져야 할 구체적인 교육 내용을 국어사전 활용 교육의 범주에 따라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위계화한 교육 내용을 영역 간, 영역 내 성취기준과 유기적으로 조직하여 2가지 방향에서 통합 단원으로 구성하였다. 첫째는 국어사전 활용 교육이 주 성취기준으로 작용할 때로서 쓰기 영역과 통합되는 경우, 둘째는 국어사전 활용 교육이 부 성취기준으로 작용할 때로서 문법 영역 내 타 성취기준과 통합되는 경우이다. 지도 학년과 통합 성취기준, 주요 교육내용을 개관으로 제시하고 차시별 학습 목표와 주요 활동으로 구체화하였다. 이 연구는 초등 국어사전 활용 교육의 내용화를 목적으로, 타당한 준거를 마련하고 이에 따라 교육 내용을 선정하고 위계화, 통합화하여 실체화 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초등 국어 교육에서의 바람직한 국어사전 활용 방안을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 초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에서의 문법 교육 요소 변천 연구

        정혜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855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haracter of them by examining the historical changes of the Korean gramma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curricula and suggest the constructive directions of Korean grammar education. The principal finding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grammar is competence to receive and produce language using students' many rules about their mother tongue. Grammar education is all of the intentional activities to improve student's language competence. And I set up the basis on the area of Korean grammar education and the goal of that area. Second, this study analyzed the 1st ~ 8th national curriculum and examined them critically. The area of Korean grammar education has changed through 1st ~ 7th revision, so it can express more clear than before what that area has been for, and how that area can be taught. Third, I examined the contents in the area of Korean grammar education. I examined by two aspect; The former, analyzing each national curriculum through 1st ~ 8th, finding what is taught and how to instruct it at each period, and the latter, categorizing them by different language units and examining them. Forth, after thorough inspection of 1st ~ 8st national curriculum, I suggested the principles of Korean gramma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They are about what the content have to be taught in this area and the proper order to arrange them, and how to teach and evaluate this area effectively. This principles will be apposite to the case of Korea elementary school, and can be applied practically to teacher. Fifth, as a result of all examination in this paper, I suggested the designing directions for the Korean grammar education area, especially contents, in it. They are based on examination of all national curricula and critical inspection of them, so it can be practical solution to construct substantial organization and develop this area in Korean language as a task for effective instruction. This paper has significance on navigating whole curricula focused on its historical changes to identify the character of Korean gramma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and on suggesting constructive direction of contents in that area which is a rarely discussed subject in Korean grammar education. * Key words : Korean Grammar Education, Historical Change, Principles of Korean Gramma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Direction for Designing Content of Korean Grammar Education.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을 통시적 관점에서 살펴 우리나라 초등학교 국어과 문법 교육의 변천 양상을 살펴보고, 이를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바람직한 문법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얻어 초등학교 국어과 문법 교육의 원리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 이루어진 논의의 초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각 시기별 초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문헌 검토를 통해 우리나라 초등 문법 교육의 경향을 살핀 후, 언어 단위별 지도 내용 요소 분석 결과를 제시하여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문법 교육 연구의 기반을 마련한다. 둘째, 초등학교 국어과 문법 교육의 변천 양상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얻은 시사점을 바탕으로 초등 국어과에서의 문법 교육의 원리와 지도 내용 설계 방향을 제언한다. 이와 같은 논의를 중심으로 Ⅱ장에서는 문법과 문법 교육의 정의를 밝히고, 문법 교육의 거시적인 목표와 문법 영역의 설정 근거를 제시해 보았다. Ⅲ장에서는 각 시기별 교육과정을 성격과 목표, 영역의 명칭, 내용, 방법 및 평가로 나누어 변천 양상을 분석하였다. Ⅳ장에서는 내용 요소를 언어 단위에 따라 살펴 언어 단위별 문법 지도의 특징을 보여 주었다. 끝으로 Ⅴ장에서는 앞서 검토한 것을 바탕으로 초등 국어과에서의 문법 교육의 원리와 내용 설계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이루어진 주요한 논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법이란 언어 사용자가 가진 해당 언어에 대한 모든 명시적, 암시적 규칙들로서, 언어 사용자가 이 규칙들을 활용하여 언어를 수용, 생산할 수 있는 수행 능력의 개념을 포함한다. 그리고 문법 교육은 문법을 지도하여 학습자의 언어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모든 의도적인 활동을 의미한다. 이러한 정의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문법 교육의 거시적인 목표와 초등 국어과에서의 문법 영역의 설정 근거를 제시할 수 있었다. 둘째, 각 시기의 초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 개정에 따라 국어과에서의 문법 교육의 위치와 성격을 명확히 하기 위해 문법 교육 영역이 점진적으로 변화해 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초기의 문법 교육은 언어 사용 기능 영역의 보조적 위치로서 국어 순화를 목표로 언어 규범의 지도에 그쳤지만, 점차 문법 영역이 독자적 위치를 공고히 하면서 생활 문법까지 문법의 개념이 확대되었고 탐구를 통한 교육 방법의 관점을 반영하여 마침내 언어 사용 기능 영역과 동등한 위치에서 양 영역 사이의 연계․통합적 지도가 시도되고 있다. 셋째, 교육과정 중 ‘내용’항을 살펴본 결과, 문법 관련 영역은 다른 영역에 비해 국어과에서의 비중이 적고, 지도 요소들이 규칙성 없이 추가 및 삭제됨에 따라 각 시기별로 누락된 내용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지도 내용의 상당수가 기능 영역과 통합되어 제시된 점은 초등학생의 심리적 특성을 반영한 결과로 보이며, 저학년일수록 기능과 통합된 문법 요소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내용’항에 제시된 지도 항목을 언어 단위를 기준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지도 요소가 가장 많은 것은 문장 단위였으며, 그 밖의 단위는 교육과정 시기와 학년에 따라 지도 요소 수와 종류가 큰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양상을 분석하기 위해 각 시기별로 나타난 언어 단위별 지도의 특징과 지도 요소의 학년별 분포, 구체적인 지도 내용의 추가 및 삭제 양상 등을 살펴보았다. 다섯째,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초등 국어 문법 교육 분야에서 내용 구성의 원리와 지도 및 평가의 원리를 정립해 보려 한 시도였다. 이는 앞서 제시한 변천 양상을 분석하여 도출한 실제적 원리로서, 우리나라 초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에서의 문법 교육을 위한 내용 선정 및 내용 요소의 배열, 지도 및 평가 방법적 측면의 특징이 나타나 있다. 여섯째, 문법 지도 내용 설계 방향으로 ‘내용 요소 구성의 명백한 기준 수립’, ‘인지적, 정의적 요소의 균형’, ‘텍스트로의 언어 단위 범주 확대’, ‘과정 중심의 문법 탐구’, ‘다양한 매체의 도입 방안 마련’, ‘언어 변화에 대한 유연한 태도 함양’ 등을 제시하였다. 이는 실제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한 비판적인 문헌 검토를 통해 도출한 것으로 실효성 있는 문법 교육 내용 설계를 위한 바탕이 될 것이다. 이 연구는 초등학교 문법 교육에 관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 이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문법 교육을 분석하여 교육 원리 및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문법 교육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발전하기 위한 내용 설계 방안을 제시해 본 것이다. 그동안 문법 교육 분야에서는 이루어지지 않았던 초등학교 문법 교육 변천 양상 연구를 바탕으로, 실제적인 대안으로서 구체적인 내용 설계 방향까지 모색해 보았다는 데 이 연구의 의의가 있을 것이다.

      • 초등학교 국어지식(문법) 교육을 위한 수준별 탐구학습 방법 연구

        박광일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855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에서 필수적으로 지도해야 할 문법 교육의 내용과 그 수준을 탐색하여, 학생들이 보다 쉽고 재미있게 국어지식을 익혀 이를 실제 국어 생활에 활용할 수 있도록 초등학교에 알맞은 문법 교육을 위한 수준별 탐구학습 방법과 그 지도 자료를 개발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 교사용 지도서, 교과서의 분석, 학교 현장에서의 문법 교육 실태, 문법 교육과 관련된 여러 가지 이론과 연구 논문들을 살펴본 후, 구체적으로 초등학교 문법 교육에 필요한 수준별 탐구학습 모형을 정립하고, 국어 문법 교육에 필요한 일련의 수준별 탐구학습 프로그��교수·학습 과정안, 탐구 학습지, 탐구 학습 평가지 등을 개발하였다. 국어 교육의 목표는 정확하고 창의적인 국어사용 능력을 길러주는 데 있다. 그리고 질 높은 국어사용 기능과 고등 사고력의 신장을 위해서는 국어 지식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하지만 제5차 교육과정의 시행이후 창의적인 국어 생활의 바탕이 되는 국어지식(문법) 교육보다 말하기·듣기 위주의 의사소통 능력 을 길러주는 교육으로 치중해 온 결과 학생들의 올바른 의사소통 능력도 만족스럽지 못할 뿐 아니라 독해력과 문장력, 논리적인 사고력 등의 고등 정신 능력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에서의 문법 교육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를 시도하고 실제 수업에 적용해 보았다. 제I장에서는 문법 교육의 필요성과 목적, 연구의 범위 및 방법, 문법이란 용어를 초등학교에서 사용하여 국어지식 영역을 체계적으로 지도해야 되는 타당성을 제기하였다. 제II장에서는 초등학교 교사가 최소한 알고 문법 교육에 임해야 될 기본적인 소양인 문법 교육 관련 제반 이론들을 검토하고, 초등학교에서의 문법 교육의 실태를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분석하여 그 내용 체계, 학년별 위계성, 초등학교 에서 지도해야 될 문법 영역별 지도내용을 분석하여 그 범위와 수준을 짚어보았다. 또한 문법 교육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의 구안을 위하여 제7차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과 탐구학습에 대한 제반이론 밀 연구들을 검토하고, 초등학교 문법 교육을 위한 당구학습 모형을 새롭게 구안하여 제시하였다. 제III장에서는 문법교육을 위한 수준별 탐구학습 자료의 개발이 수준별 탐구 학습의 핵심 과제임을 인식하고 교과서의 여러 유형을 분석한 후 이를 보완하여 수준별로 실례를 들어 제시해 보았다. 제IV장에서는 문법 교육을 위한 수준별 탐구 학습을 실제 어떻게 해야할 지 기존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의 수업모형과 그 과정상의 잘못된 점을 비판하고, 연구자가 새롭게 구안한 초등학교 문법 교육을 위한 탐구학습 모형의 절차에 따라 '높임말'의 지도 단원을 예시로 실제 수업 과정을 전개해 보였다. 그리 고 수준별 탐구학습에 필요한 프로그램, 교수·학습 과정안, 심화·보충형 탐구 학습지, 탐구 학습 평가지 등을 구안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실제 3-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제시된 국어지식 영역 중 어휘론과 형태론, 통사론에 해당되는 13개지도 요소를 연구자가 새롭게 구안한 초등학교 문법 교육을 위한 탐구학습 모형에 따라 문법을 가르쳐 본 결과 초등학교에서 다루어 주어야 할 문법 교육의 범위와 수준을 알게 되었으며, 초등학생들에게도 그 수준에 맞는 문법 내용을 교사가 학생들의 수준에 맞게 재구성하여 탐구학습을 통해 지도함으로써 문법 교육이 어렵 고 힘든 것이 아니라 업고 재미있게 지도할 수 있음을 확신하게 되었다. 본고는 초등학교에서 국어 문법 교육의 필요성을 다시 한번 주장하고, 실천을 위하여 구체적인 수업 방법 및 자료를 구안하여 제시함으로써 수준별 탐 구 학습이라는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의 정신에 부응하고, 문법 교육의 방법과 지도 자료의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는 현장 선생님들에게 탐구학습이란 문법 교육의 모델과 제반 자료들을 제시했다는 데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eaching material and exploring method for each of their level for appropriate grammar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s, in order to use for actual Korean language life by getting Korean language knowledge by easy and interesting way for the students, by exploring the contents and level of grammar education which should be essentially taught in elementary school.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it was researched on The seventh course of education, a guide book for teachers, a analysis of a textbook, the actual condition of grammar education in the actual spot of school, various theory and theses related to the grammar education, and made the model of exploring study for each of their level to be needed for grammar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in elementary schools in detail, then developed connected exploring education program for each of the level and curriculum for professor or teaching that should be needed to educate the grammar of Korean knowledge, a course of exploring study, the evaluation of exploring study and so on. The go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to cultivate the ability that could use correct and creative Korean language. In order to cultivate the skill of high level for using Korean language and to improve the thinking power of high grade,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e knowledge of Korean language. After enforcing The fifth course of education, however, as a result of putting stress on education that could communicate by talking and hearing than educating the knowledge of Korean language that could be fundamental to use creative Korean language in actual life, it become not only being insufficient to communicate having a correct ability but also lacking a reading comprehension and a writing ability, mental ability such as logical thinking power. In this study, therefore, it was attempted the study as follows for the gramma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and applied to practical class. In chapter 1, it was presented the necessity and the purpose of grammar education which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should know as a basic acquirements in the class, the concept of grammar and grammar education, the problem that appeared in the grammar education until now, and the propriety to be used the term called grammar in elementary school, by examining various theories related to grammar education. In chapter 2, it was researched the range and the level of actual gramma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by analyzing the course of education and the textbook, and analyzing its system of contents, the hierarchy for each grade, the guiding material that should educate in elementary school for each parts of grammar. In order to get effect method of teaching and studying for grammar education, it was also examined various theories and studies about deepening and supplementary course of education for each of their level and exploring study demanded in The seventh course of education, then presented newly the model of exploring study for gramma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In chapter 3, after recognizing that the development of grammar education material for exploring study for each of their level is the core of this subject and analyzing various kinds of textbook, it was presented the case complemented for each of their level. In chapter 4, for knowing how this exploring study for grammar education for each of their level can conducted in actual condition, it was criticized the model of a guiding book for teachers and exiting textbooks, and faults through the process, then conducted the actual process in class with the teaching unit, 'the honorific' for example, according to process of exploring study model for gramma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designed by researcher. And then, it was presented the program to be needed for exploring study for each of their level, a curriculum for teaching and studying, a study book for deepening and supplementary exploring study, the evaluation for exploring.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out the range and level of grammar education to be educated in elementary school, by teaching students in the grade from third grade to sixth grade the grammar that thirteen elements of guidance from the lexis, the morphology, and the syntax in the part for knowledge of Korean language, represented in the course of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newly, according to the model of exploring study for gramma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It was also found out that the grammar education was not difficult to teach any more but could be taught easily and pleasantly by teaching with exploring study rearranged by teacher for each level of grammar knowledge in elementary school. This study has the meaning to meet the exploring study for each level that the spirit of the seventh cours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o present the model of grammar education and various materials such as the exploring study to teacher that has been difficult to teach the grammar in actual situation because of the method of education in writing and the lack of guiding materials, by asserting the necessity of grammar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and presenting the method and data of teaching in detail in order to be applied practically in an actual cond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