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관계마케팅에 의한 플래그 쉽 스토어 파사드 디자인 연구
신정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제품을 생산하고 판매하는 것이 중심이었던 거래마케팅이 소비자 중심의 관계마케팅으로 변화함에 따라 소비자가 스토어에서 가장 먼저 대면하게 되는 파사드는 그 중요성이 증가하게 되었고, 파사드 디자인은 브랜드마다 차별화를 보이며 다양하게 변화하였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자는 학회 저널을 통해 관계마케팅에 의한 스토어 파사드 디자인의 표현특성 연구라는 기초 연구를 진행하였고, 본 고에서는 학회 저널에서의 연구를 더욱 심층적으로 발전시킨 후, 관계마케팅에 도움이 되는 실질적인 스토어 파사드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현대 마케팅 패러다임인 관계마케팅의 관점에서 스토어 파사드의 역할 변화와 디자인의 변화를 고찰하였고, 관계마케팅이 중요 마케팅 전략으로 대두하게 된 2000년 이후 설립된 국·내외 스토어를 사례대상으로 선정하여 현재 스토어 파사드의 디자인의 양상과 표현특성을 파악하였다. 그 후, 사례를 통해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관계마케팅 시대가 요구하는 스토어 파사드의 역할을 충족시키면서 소비자와 브랜드 간의 관계 형성에 도움을 제공하는 파사드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제 Ⅰ장에서는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연구의 범위 및 방법을 서술하였다. 제 Ⅱ장에서는 이론적 고찰을 통해 관계마케팅으로의 마케팅 패러다임의 변화와 이에 따른 스토어 파사드의 역할 변화를 고찰하였고, 역할 충족을 위한 스토어 파사드 디자인의 변화를 파악하였다. 제 Ⅲ장에서는 관계마케팅 시대, 스토어 파사드 디자인은 구체적으로 어떤 디자인 양상과 표현특성을 보이고 있는지 실제 디자인 된 스토어 파사드를 사례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제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도출한 스토어 파사드 디자인의 양상과 표현특성을 적용하여 관계마케팅 시대, 소비자와 브랜드 간의 관계 형성에 도움이 되는 파사드 디자인을 제안하였고 그 후, 앞서 고찰한 이론들을 토대로 디자인을 종합, 검토하였다. 제 Ⅴ장에서는 본 연구의 내용을 요약 정리한 후, 연구의 의의 및 한계점을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연구의 과정을 통해 파악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현대 마케팅 패러다임에서 강조하는 스토어 파사드의 마케팅적 역할인 명확한 브랜드 이미지 형성을 통한 브랜드 홍보수단으로의 역할, 스토어 내부로의 고객 유도 등과 같은 역할 충족을 위해서는 먼저 파사드로 소비자의 시선을 유도하고 몰입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몰입은 체험이 극대화 되었을 때 발생하는 것이기에 몰입 유도를 위해서는 파사드를 지각하고, 인지하고, 느끼는 체험의 과정이 먼저 선행되어야 한다. 또한, 몰입은 일상적인 체험보다는 비실재, 비이성(감성), 불규칙적인 특징을 갖는 비일상적인 체험이 제공되었을 때 더 효과적으로 발생한다. 따라서 관계마케팅 시대, 스토어 파사드 디자인은 파사드의 마케팅적 역할을 충족시키기 위한 전략으로 비일상적 체험을 제공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디자인 양상과 표현특성을 보인다. 첫째, 현재 스토어 파사드 디자인은 비일상적 체험을 제공하기 위한 전략으로 시공간을 확장하는 비물질화의 양상을 보인다. 그리고 이는 스토어 내·외부의 연계를 강화하는 투명성과 소비자의 경험을 확장하는 역동성, 은유적 이미지를 제공하는 중첩성, 소비자의 행동에 반응하는 상호작용성 등의 특성을 통해 표현되고 있다. 둘째, 비일상적 체험을 제공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는 다의적 상징의 오브제성을 통한 물질화의 양상을 보인다. 그리고 이는 시각적 감흥을 제공하는 입체성과 파사드에 명확한 윤곽을 형성해주는 일체성의 표현특성을 통해 나타난다. 이렇듯, 사례를 통해 파악한 관계마케팅 시대 스토어 파사드 디자인의 양상과 이를 나타내는 투명성, 역동성, 중첩성, 입체성 등의 다양한 표현특성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소비자와 브랜드 간의 유기적이고 장기적인 관계 형성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스토어 파사드 디자인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관계마케팅 패러다임에 의한 스토어 파사드 디자인의 양상과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파사드의 역할을 충족시킴으로써 소비자와의 관계 형성, 유지,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실질적인 파사드 디자인을 제안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그러나 점점 더 치열해지는 경쟁사회에서 브랜드들은 소비자와의 지속적인 관계를 형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언급한 표현특성 이외에 타 브랜드와 차별화되는 다양한 파사드 디자인 표현방법에 대한 모색이 필수적으로 요구될 것이다. As deal marketing which is focusing on producing products and sell them has changed to consumer-centered relationship marketing, importance of facade that the consumers face the first when they get in to the stores is increasing and each brand has shown different and various facade designs. According to this,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performed a basic research of expression properties of store facade designs by relationship marketing through society journals, and this paper developed the research of the society journals more deeply and suggested practical store facade designs which will be helpful for the relationship marketing. Specifically, this paper investigated the changes of role and design of store facade from the perspective of relationship marketing which is a modern marketing paradigm, and by selecting domestic/international stores which were established after 2000 when the relationship marketing became an important marketing strategy in order to review properties and expression patterns of current store facade's designs. Furthermore, based on the result analyzed through examples, this study suggests facade designs which provides help for forming a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and brand by satisfying the role of store facade which the relationship marketing times require. This paper consists with the following process: The first chapter stated background, purpose, range and method of the study. The second chapter investigated changes of marketing paradigm of relationship marketing through theoretical review and based on this, changes of role of store facade is studied and also changes of store facade designs for fulfilling the roles. The third chapter, as examples selected store facade to see what design properties and expression patterns the store facade designs try to show specifically to analyze. The fourth chapter suggested facade designs that can help forming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ship marketing times, consumer and brand by applying properties and expression patterns of store facade designs that were extracted from chapter 3, and reviewed the designs based on the theories reviewed. And chapter 5 summarized the contents of the study and reviewed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Through this process of the study,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In order to fulfill the roles of store facade that modern marketing paradigm suggests, such as a role as a brand advertising tool through forming a definite brand image, and a role of attracting customers, firstly it is important to induce the eyes of the consumers to facade and commit. However, as commitment occurs when the experience becomes maximized, in order to induce commitment, process of experiences that realize, recognize and feel the facade should be advanced. Also, commitment occurs more effectively when non-routine experiences that have non-existence, non-rational, irregular features rather than routine experiences are provided. Thus, relationship marketing times, store facade designs provide non-routine experiences as a strategy to fulfill the marketing role of facade and it specifically shows the following design properties and expression characteristics: Firstly, current store facade designs show dematerialized aspect that expands time and space in order to provide non-routine experience. And this is expressed by transparency that enforce a relationship between inside and outside of the store, and characteristics such as interactivity that reacts to overlapping, behaviors of consumers which provide dynamics and metaphoricalimages which expand experienences of consumers. Secondly, as another way to provide non-routine experiences, materialized aspect through objecthood with equivocal symbol is shown. And this is shown through solidity that provides visual inspiration and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integrity which forms clear outline. Based on properties of relationship marketing times store facade designs and various expression characteristics such as transparency, dynamics, overlapping, solidity that show these properties, this study extracted store facade designs that can help forming organic and long-term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 and brand.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investigated properties and characteristics of store facade designs through relationship marketing paradigm and based on this by fulfilling role of facade, it suggested practical facade designs that can help forming, maintaining and developing the relationship with consumers. However, it is necessary for brands in this increasingly competing society to seek various facade designs that can be differentiated from other brands in addition to mentioned expression characteristics mentioned in this study to form continuous relationship with consumers.
성격유형(MBTI)이론을 바탕으로 진로선택에 대한 방향연구 : MBTI 분류에 따른 계열선택과 과학세부과목 선택의 차이 분석
신정은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본 연구는 학교 교육 현장에서 계열선택과 세부과목 선택이 진로에 영향을 많이 미치는 것으로 보여 학생들에게 어떤 도움을 주고자 연구였다. 연구로 사용된 도구로는 C.G. Jung의 심리유형이론인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를 사용했다. 융의 심리유형론에 따르면 인간행동이 그 다양성으로 인해 종잡을 수 없는 것 같아 보여도 사실은 아주 질서정연하고 일관된 경향이 있다는데서 출발한다. 그리고 인간행동의 다양성은 개인이 인식하고 판단하는 특징이 다르기 때문이라고 보았다. MBTI의 여러 분류중 어떤 분류의 묶음이 계열선택과 과학세부과목 선택에 영향을 주는지와 성향별 만족도가 높은 영역들을 알아보고 그것에 가장 영향을 많이주는 특정요인은 무엇인지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26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결과를 통계프로그램 SPSS WIN 11.5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다섯개의 분류기준중 특정 분류기준이 특별히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지는 않았다. 자연계의 경우 주기능 사고(T: Thinking )의 유형을 가진 학생들이 높은 만족도를 나타났다. 또한 외향적 감각형(ES)의 심리유형과 인식형(P : Perceiving) 선호지표를 가진 학생들도 다른 유형보다 높은 만족도를 보인다. 인문계의 경우 모든 유형에서 자연계보다 높은 만족도를 보인다. 그중에 주기능 감정(F: Feeling)의 유형을 가진 학생들이 높은 만족도를 나타낸다. 또한 내향적 감정형(IF)의 심리유형과 직관적 감정형(NF)의 유형을 가진 학생들도 다른 유형보다 높은 만족도를 보인다. 과학세부과목의 경우 생물에서는 외향적 직관형(EN), 내향적 직관형(IN), NF, 화학에서는 외향적 감정형(EF), 주기능 직관형(N :iNtuition) 지구과학에서는 직관형 사고형(NT)의 성향이 유의하게 나왔다. 만족도의 측면에서 볼때는 생물을 선택한 학생들에게서는 주기능T, NT, ET가 높은 만족도를 보이고 화학의 경우 주기능 N, 외향적 직관형(EN), 내향적 직관형(IN), 이 높은 만족도를 보인다. 또한 지구과학과 물리에서는 주기능인 성향의 학생들이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자연계보다 인문계의 만족도가 높은 이유가 F성향을 가진 학생들이 많은 것으로 보이고 만족도와 가장 관련이 깊은 특정요인인 F에 대해서 심층 면접을 한 결과 F 성향의 학생들은 그때의 느낌이 중요하고 좋아하는 것에 몰입도가 크고 다른 사람들을 위한 일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tudents's major choice in high schools, between social science and natural science (within natural science major, additional choice is made between chemistry, physics, earth science, and life science) on their future academic and career path. I have utilized Myers-Briggs Type Indicator(MBTI), C.G. Jung's psychological type theory as a tool for this study. According to Jung's psychological typology a human behavior, even though it may seem random and difficult to predict, has a tendency to form a regularity pattern. He claimed that the diversity in human behavior is the result of the difference in one's perception and judgement. I have conducted this study in order to discover the key factors that affects high satisfaction rate in each of the selected majors. The data was collected by conducting a survey on 262 people who have all graduated from high schools. The survey results were then analyzed by a statistical program, SPSS WIN 11.5. The final result shows that the initial five classification criterion did not explain for all the other criterion. For natural science majors, those with superior function T (inferior function F) have high satisfactory rate with their majors. Students with Psychological type ES and preference index P also have high satisfactory rate with their majors. Social science majors show higher satisfactory rate than natural science majors. Social science majors, those with superior function F (inferior function T) have high satisfactory rate with their majors. Students with Psychological type IF and type NF also have higher satisfactory rate compared to other types. When it comes to choosing a specific natural science major, these are the significant relations: 1) life science with EN, IN, NF; 2) chemistry with EF, superior function N; 3) earth science with NT. These are the high satisfactory rates: 1) superior T, NT, and ET, with life science; 2) superior N, EN, and IN, chemistry. Also students with superior function F majoring in earth science and physics showed high satisfactory rates. The reason for social science majoring students to have higher satisfactory rate than natural science majors is because there were more type F in social science majors. I performed depth interviews with type F students, and came to conclude that feeling is important for this group of students and they tend to have high immersion in what they like to do, and additional they have high satisfactory rate when it comes to helping other people.
대장선종과 대장암에서 기질단백분해효소 및 신생혈관형성관련인자의 발현
신정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박사
Objectiv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x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 tissue inhibitors of metalloproteinases(TIMPs), hypoxia-inducible factor(HIF)-1α an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VEGF) in the cases of adenoma-carcinoma sequence. Methods: Thirty-two samples of adenoma, 11 samples of early colon cancer and 36 samples of advanced colon cancer were collected by colonoscopic biopsy. Eleven samples of colon cancer were collected by surgical resection. Normal tissues were also collected from same subjects. The mRNA expression levels of MMP-2, MT1-MMP, TIMP-2, HIF-1α, and VEGF were quantitated using semi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s. The protein expression of activated MMP-2 was examined by gelatin zymography and HIF-1α by Western blot. Results: The frequency of MMP-2 mRNA expression showed a progressive increase in tissues of adenoma, early and advanced colon cancer when compared to the corresponding normal tissue(p<0.05). The frequency of MT1-MMP mRNA expression was greater in tissues of advanced colon cancer compared to adenoma(p<0.05). The frequency of TIMP-2 mRNA expression was greater in tissues of early and advanced colon cancer compared to adenoma(p<0.05). The mRNA expression levels of MMP-2, MT1-MMP and TIMP-2 were greater in tissues of advanced colon cancer compared to adenoma(p<0.001). The expression level of MMP-2 mRNA showed a progressive increase in tissues of adenoma, early and advanced colon cancer (p<0.05). The expression level of MT1-MMP mRNA was greater in tissues of advanced colon cancer compared to early colon cancer(p<0.05). The ratio of MMP-2/TIMP-2 mRNA expression of advanced colon cancer tissues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adenoma tissues(p<0.001). In colon cancer tissues, the expression level of MMP-2 mRNA showed a increasing trend according to differentiation, lymphatic invasion and Duke's stage(p<0.05). The expression level of MT1-MMP mRNA was positively related to lymph node metastasis(p<0.05). The protein expression of activated MMP-2 was observed in 10 of 11(91%) cases of cancer tissues. The frequency of HIF-1α and VEGF mRNA expression showed a increase in tissues of early and advanced colon cancer compared to adenoma(p<0.05). The mRNA expression levels of HIF-1α and VEGF were greater in tissues of advanced colon cancer compared to adenoma(p<0.05; p<0.001). The expression level of VEGF mRNA was greater in tissues of early colon cancer compared to adenoma(p<0.05). The protein expression of HIF-1α was observed in 9 of 11(82%) cases of cancer tissues. The mRNA expression level of HIF-1α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MMP-2 and VEGF(r=0.52, p<0.001; r=0.76, p<0.001). Conclusion: Proteolytic enzymes and angiogenesis factors may be useful markers of early carcinogenesis at the time of diagnosis and helpful for the decision of treatment in colon cancer. 본 연구는 암 발생 과정 중 초기 기저막 파괴에 관여하는 기질단백분해효소와 신생혈관형성에 관여하는 인자들이 대장암 발생 및 각 진행단계에서 발현하는 양상 및 예후 관련인자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장 선종 32례, 조기 대장암 11례와 진행성 대장암 36례의 대장내시경 생검 조직에서 기질단백분해효소인 matrix metalloproteinase-2(MMP-2), membrane type 1-matrix metalloproteinase (MT1-MMP),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2(TIMP-2) 및 신생혈관형성에 관여하는 hypoxia inducible factor-1α(HIF-1α)와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VEGF)의 mRNA 발현을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이용하여 주변의 정상조직을 기준으로 반정량적으로 측정하였으며, 이 중 암 수술 조직 11예에서 gelatin zymography 와 Western blot을 이용하여 활성형 MMP-2 단백질과 HIF-1α 단백질 발현을 관찰하였다. 주변 정상조직에 비해 상대적으로 발현이 증가된 빈도는 MMP-2 mRNA 경우 대장 선종, 조기 대장암, 진행성 대장암으로 갈수록 증가하였고, MT1-MMP mRNA는 선종에 비해 진행성 대장암에서 증가하였으며, TIMP-2 mRNA는 대장 선종에 비해 조기 대장암과 진행성 대장암에서 증가하였다(p<0.05). 반정량 분석에서 MMP-2, MT1-MMP와 TIMP-2 mRNA 발현은 대장 선종에 비해 진행성 대장암에서 증가하였다(p<0.001). MMP-2 mRNA 발현은 대장 선종에서 조기 대장암과 진행성 대장암으로 갈수록 증가하였고, MT1-MMP mRNA 발현은 조기 대장암과 진행성 대장암 사이에서 증가하였다(p<0.05). MMP-2/TIMP-2 mRNA 발현비는 대장 선종에 비해 진행성 대장암에서 증가하였다(p<0.001). 대장암에서 MMP-2 mRNA 발현은 림프관 침습이 있는 경우와 분화도 및 Duke 병기가 진행함에 따라 증가하였다(p<0.05). MT1-MMP mRNA 발현은 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 증가하였다(p<0.05). Gelatin zymography 결과, 11례 중 10례(91%)의 암조직에서 활성형 MMP-2 단백질이 발현되었다. HIF-1α와 VEGF mRNA가 주변 정상조직에 비해 상대적으로 발현이 증가된 빈도는 대장 선종에 비해 조기 대장암과 진행성 대장암에서 증가하였다(p<0.05). 반정량 분석에서 HIF-1α와 VEGF mRNA 발현은 대장 선종에 비해 진행성 대장암에서 증가하였다(p<0.05; p<0.001). 대장 선종에 비해 조기 대장암에서 VEGF mRNA 발현이 증가하였다(p<0.05). Western blot 결과, 11례 중 9례(82%)의 암조직에서 HIF-1α 단백질이 발현되었다. HIF-1α mRNA 발현은 MMP-2 mRNA 및 VEGF mRNA 발현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r=0.52, p<0.001; r=0.76, p<0.001). 본 연구는 대장암 발생 및 진행에 있어서 기질단백분해효소와 신생혈관형성관련인자의 발현 및 상호 연관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좀 더 많은 대상에 대한 이들 인자의 연구는 수술 전 대장내 신생물의 악성화와 악성 병변의 진행 정도를 예측하고 치료 방법의 결정에 도움이 되는 지표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다문화 음악교육을 위한 아시아 민요 고찰 및 수업지도방안 연구 : 2009 개정 중학교 음악 교과서 中 필리핀 민요를 중심으로
신정은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오늘날 우리는 세계화, 다원화, 지구촌화의 시대 속에 살고 있다. 지구상의 180여 개 국가 중 대부분이 다민족국가를 형성하고 있어 다양함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 시대가 되었다. 단일민족을 유지해왔던 우리나라도 이제는 다인종, 다민족, 다문화 국가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따라 다문화 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절실한 상황이며 음악교육에서도 다문화에 대한 이해와 중요성이 강조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도 다양한 문화권이 형성되고 있는 가운데 그 중에서도 아시아 민요를 중점적으로 고찰하기로 하였다. 이는 우리 사회의 아시아계 인구의 급증으로 인하여 교육에서도 그 필요성이 더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문헌을 바탕으로 다문화의 개념과 역사를 알아보아 다문화에 대한 의의를 다졌고, 음악과 교육과정에서의 다문화에 대한 변천과정을 분석하여 다문화 교육의 중요성을 알아보았다. 또 2009개정 중학교 교과서 10종에 수록된 아시아 민요 수용 실태를 분석하여 나라별, 수록곡들을 정리하였다. 분석을 통한 결과로 현 교과서에서는 고전주의와 낭만주의 시대의 일명 정통 클래식 음악이라고 불리우는 음악에 비해 아시아 민요곡의 수용은 현저히 낮았다. 그리고 교육 자료가 부족하여 적절한 지도방안이 마련되지 않아 실제 수업에서 많은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아시아 민요 중에서 필리핀 민요 ‘꽃은 지고’의 제재곡을 통해 학생들에게 아시아 민요가 친숙하게 다가 갈 수 있도록 가창 중심지도 방안을 제안하였고, 아시아 문화를 이해하고 나아가 다양한 문화와 가치를 존중하는 문화적 소양을 기를 수 있도록 돕고자 한다. In these days, we are living in internationalized, diversified, and globalized era. On Earth, there are around 180 countries and most of them are forming multiracial nations. Thus, it requires an understanding of diverseness. Although South Korea used to maintain a single-race nation, it's recently changing to multi-racial, multi-national, and multi-cultural country. Therefore, education on multi-culture is required acutely and its understanding and importance are being emphasized in music education as well. Among the various cultures formed in South Korea, this study was to focus on Asian Folk Songs. It's due to rapid increase of Asian population in our society and therefore, its need is also increasing in education. For this study, a fundamental concept and history of multi-culture was researched from different references and understood its significance. In addition, changes and developments of multi-culture from music education curriculum were analyzed to study the importan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Moreover, number of Asian Folk Songs included in 10 different middle school textbooks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were analyzed and classified by countries and folk songs.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current textbooks contained very few of Asian Folk Songs compared to traditional and classical musics that were in the age of classicism and romanticism. Furthermore, lack of education data and teaching methods led to various difficulties during classes. Based on this result, this study suggested a singing emphasized teaching method with ones of the Philippines Folk Songs 'Sasara Ang Bulaklak‘ so that the students could get more familiar with the Asian Folk Songs. It's also to help students better understand Asian cultures and know to respect various cultures and values.
신정은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본 연구는 일제시기 전남 지역 실업계 학교 설립운동을 파악하고, 이와 더불어 설립운동의 주도세력, 설립 기금 조성 활동, 설립운동의 정당화 논리를 살펴봄으로써 일제시기 중등학교의 위계구조와 실업계 학교 설립의 의미를 검토한 것이다. 일제시기 교육정책은 실업교육에 방점이 있었다. 그 중에서도 핵심은 간이한 형태의 실업보습학교였다. 실업계 학교 설립은 농업학교 및 농업보습학교 위주로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일제시기 대표적인 농업 지역으로 농업보습학교 중심의 학교 설립이 이루어진 전남 지역을 연구 대상 지역으로 선정하였다. 선행연구는 일제시기 취업률 우위에 따른 실업학교 선호 현상 및 개별 학교의 역사와 사회적 조건에 따른 서열 인식이 존재했다고 보았다. 하지만 일제시기 학력사회화가 추진되었음을 고려해본다면, 일제시기 중등교육에 인문계와 실업계의 계열 구분에 따른 서열 인식이 거의 존재하지 않았다는 선행연구에 선뜻 동의하기 어렵다. 일제시기 중등학교의 위계구조는 취업률, 입학경쟁률이라는 취학 행위만이 아니라 조선인의 설립 행위를 확인할 수 있는 학교 설립운동의 측면에서도 살펴보아야 한다. 일제시기 전남 지역 실업계 학교 설립운동을 분석하고 여기서 나타난 특징을 3가지로 유형화하였다. Ⅰ유형은 인문계인 고보를 추진하다 여의치 않아 실업계 학교 설립으로 전환된 유형으로 목포, 순천, 영광, 완도, 여수, 제주가 해당된다. Ⅱ유형은 비정규 사설교육기관인 사설학원·강습소에서 실업계 학교로 승격된 경우로 광주, 고흥, 함평 사례가 해당된다. Ⅲ유형은 총독부 방침을 활용해 설립한 유형으로 전남 지역 다수의 실업보습학교가 해당되었다. 이러한 3가지 유형을 통해 일제시기 교육 체제가 제도화되며 나타난 중등학교 내의‘고보-실업-실업보습’과 실업학교 내의‘갑종-을종’의 학력구조 위계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일제시기 학력구조 위계화의 원인을 학력에 따른 고용과 임금 차별의 제도화와 사회적 평판의 2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일제시기 학교 설립운동은 총독부와 지역사회의 갈등과 타협의 길항관계 속에서 이루어졌다. 실업계 학교 설립운동의 실상과 지역사회의 움직임을 규명하고자 설립운동의 주도세력, 설립 기금 조성 활동, 설립운동의 정당화 논리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크게 3가지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고보-실업-실업보습’의 중등학교 위계구조를 포착하였다. 실업계 학교 설립운동 주도세력 및 설립 기금 조성 활동의 지역 범위도 ‘고보-실업-실업보습’의 중등학교 위계에 따라 축소되었다. 또한 설립운동의 정당화 논리에도 인문계인 고보 지향성이 나타났다. 민족 사업이자 완전한 중등교육기관으로 지역의 위상을 상징하는 고보 설립이 좌절되고 실업계 학교로 설립운동 방향이 전환된 경우 갈등이 일어나기도 했다. 이는 실업계 학교가 주로 취업을 목표로 하는 반면 고보는 고등교육 진학을 준비하는 학교였으며, 당시 조선인들은 중등교육을 고등교육으로 이어지는 중간 교육으로 인식했음을 보여준다. 둘째, 실업보습학교의 관 주도적 경향성을 확인하였다. 실업보습학교의 설립은 특정 단체, 면장, 군청 직원이 동원되어 이루어졌으며 주로 관변적 인물들에 의해 주도되었다. 또한 실업보습학교는 총독부 방침을 활용하여 주로 설립되었다. 특히 농촌진흥운동의 중견인물 양성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었다.셋째, 실업계 학교 설립운동의 정당화 논리는 현실적 차원에서 전개되었다. 고보 우위의 중등학교 위계구조 속에서 기금과 관련된 역량 문제, 총독부의 실업교육 중심의 중등교육 정책, 농촌중견인물 양성이라는 현실 문제들이 거론되었다. 특히‘보통학교 졸업 후 방황하는 학생의 구제’문제가 가장 주요한 논리로 등장했다. 실제 당시 보통학교 졸업 후 방황하는 학생들의 문제는 심각했다. 중등교육의 기회가 극히 제한된 기형적 교육체제 아래에서 보통학교 졸업 후 교육 또는 취직의 기회를 얻지 못해 방황하는 학생들이 늘어나는 현실은 실업교육을 하나의 ‘생존전략’으로 선택하게 하였다. 갑오개혁 이후 형성되기 시작한 학력의 제도화는 일제시기 더욱 구체화되었다. 일제시기 학력은 신분 대신 지위 상승의 도구가 되었으며 경제적 재화 획득을 위한 수단으로 작용하였다. 이처럼 신분사회에서 학력사회로 이행되며 중등학교도‘고보-실업-실업보습’그리고‘갑종-을종’에 따라 위계화 되었다. 하지만 마련해야 할 기금 문제 또는 총독부 정책, 보통학교 졸업 후 방황하고 있는 학생과 같은 현실의 문제들은 지역민들을 실업계 학교 설립운동에 나서게 하였다. 대신 끊임없는 승격운동을 통한 ‘완전한’ 중등교육기관 설립 노력은 계속되었다.
통합교육 미술활동이 정신지체학생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신정은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통합교육은 다양한 교육적 필요와 능력을 가진 학생들이 함께 교육받는 것으로 그 특징은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이 사회적 활동이나 교수 활동에서 의미 있는 상호작용을 하는 것이다. 많은 연구들을 통해서 통합교육이 장애학생과 일반학생 모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입증되어 왔으나 이러한 긍정적인 결과는 장애학생을 일반학급에 배치했다는 단순한 물리적, 시간적 통합에 의해서 저절로 성취되는 것이 아니라 통합교육 환경에서 질적으로 우수하며 적절한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정신지체학생과 일반학생이 함께 하는 통합 미술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정신지체학생의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와 일반학생의 정신지체학생에 대한 수용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도 B중학교에 재학중인 특수반 학생 3명과 일반학생 15명을 대상으로 ‘통합환경에서 자연재료를 이용한 미술활동 프로그램’을 25회기에 걸쳐 실시하여 개인별, 단계별 사례를 분석하였다. 프로그램의 내용구성은 숲으로 둘러싸여 있는 대상학생들의 학교환경을 최대한 활용하여 ‘자연재료를 이용한 미술활동’으로 특징지었다. 또한 사례연구에서의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정신지체학생에게는 미술활동 전후에 사회 성숙도 검사와 그림검사(KFD, KSD)를 실시하여 비교 분석하였으며 일반학생들에게는 미술활동 전후에 자체 제작한 ‘일반학생들의 장애학생들에 대한 수용성에 대한 검사지’를 실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에서 나타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환경에서 자연재료를 이용한 미술프로그램 적용은 정신지체학생의 사회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통합환경에서 자연재료를 이용한 미술프로그램 적용은 정신지체학생에 대한 일반학생의 수용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2009 개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3, 4학년 과학 교과서 비교 분석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편찬된 초등학교 3, 4학년 과학 교과서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편찬된 초등학교 3, 4학년 과학 교과서의 외형적 특징, 내용 체계, 단원 구성 및 교과서 체계, 삽화의 비교·분석을 통해 올해부터 적용되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과학 교과서가 학생들의 과학적 소양 함양에 기여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지 고찰하고자 한다. 교육과정이 개정될 때마다 이에 맞추어 하나의 예시적 교수·학습 자료로 그에 따른 교과서와 교육 자료들이 새롭게 개발되었다. 교과서가 단순히 교육과정을 실현하기 위한 예시적인 자료 중 하나라고 하더라도 학교 현장에서는 과학과 교과서가 학교 교육의 학습 자료로써 지닌 의미는 매우 크다. 앞으로 학교 현장에서 적용될 2015 개정 교육과정 과학과 교과서의 체계와 구성을 자세히 살펴보고 비교·분석하는 연구는 의미 있는 일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2009 개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3, 4학년 과학 교과서를 외형적 특징, 교육과정 내용 체계, 교과서의 단원 구성, 삽화를 비교 분석하기로 하였다. 첫째, 외형적 특징을 비교·분석한 결과, 2015 개정 3, 4학년 과학 교과서는 2009 개정 3, 4학년 과학 교과서에 비해 세로의 길이가 길어졌으며 쪽수가 20쪽 정도 줄어들어 두께가 얇아졌다. 이는 내용의 적정화를 이루고자 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구성 방향을 충실히 반영한 것이다. 둘째, 교육과정 내용 체계와 교과서의 구성을 비교·분석한 결과,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물질과 에너지, 생명과 지구 두 개의 분야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운동과 에너지, 물질, 생명, 지구와 우주로 다시 세분화 되었다. 또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통합 단원을 신설하여 융합인재교육 활동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2015 개정 3, 4학년 과학 교과서에서는 기존의 중단원을 과감히 삭제하였다. 셋째, 과학 교과서의 삽화를 비교·분석한 결과, 2015 개정 3, 4학년 과학 교과서의 쪽 당 삽화 수는 2009 개정 3, 4학년 과학 교과서 쪽 당 삽화 수에 비해 늘어났으며, 사진과 그림 자료의 비율이 높았다. 2015 개정 3, 4학년 과학 교과서와 2009 개정 3, 4학년 과학 교과서 모두 학습 안내와 자료 제공 역할의 삽화가 가장 많았고 생물 영역에 가장 많은 삽화가 배치되어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cience textbooks in elementary schools compiled by the revised curriculum of 2009, compiled by the 3rd and 4th grade science textbooks and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science textbooks of 2015 revision curriculum applied from this year can be contributed to enhance students' scientific literacy through comparison and analysis. As the curriculum was revised, textbooks and educational materials were newly developed as an example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Although textbooks are one of the example materials for realizing the curriculum, the meaning of science and textbooks as learning materials of school education is very big in school field. It is meaningful to study and compare and analyze the system and composition of the science and textbook of the 2015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to be applied in the future. Therefore,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compare the third, fourth grade science textbooks of 2009 revision and 2015 revision curriculum with external features, curriculum content system, textbook composition and illustration. First,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external features, the scientific textbooks of 3rd and 4th grade revised in 2015 have longer length and shorter thickness of 20 pages than the 3rd and 4th grade science textbooks of 2009 revision. This reflects the direction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o achieve the appropriate content. Second,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contents of curriculum contents and textbooks, two fields of materials, energy, life and earth in the revised curriculum of 2009 were changed to exercise, energy, material, life, Again subdivided. In additi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provides an opportunity to integrate and integrate the unit and to engage in the training of convergent talent. In the 2015 Revised 3rd and 4th grade science textbooks, we boldly deleted existing curriculum vitae. Third, the comparison of the textbooks of science textbooks showed that the number of illustrations per side of science textbooks in 3rd and 4th grade revised in 2015 increased compared with the number of illustrations per science textbook in 3rd and 4th grade in 2009, The ratio was high. The revised 3rd and 4th grade science textbooks and the revised 3rd and 4th grade science textbooks of 2009 revised 3rd and 4th grades had the most illustrations of learning guides and data providing roles and the most images were placed in the biological areas. In this study, the science textbooks of 3rd and 4th grade in the revised curriculum of 2015 were published in the first semester, and more accurate and in - depth study was made with the 3rd and 4th grade second and third grade textbooks and 5th and 6th grade textbooks need.
신정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기관내 삽관 및 기관절개술은 중환자실에서 인공 호흡기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서 기도 유지를 위하여 흔히 사용되는 방법으로, 기관절개는 효과적인 분비물 제거 및, 구강관리, 중환자실로부터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며, 조기에 기관 절개를 할 경우 폐렴 빈도의 감소로 기계호흡 일수 및 중환자실 입원기간 등이 감소할 수 있다는 보고도 있으나, 조기 기관절개가 환자의 예후에 영향을 주는지는 아직도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조기 기관절개가 환자의 예후 향상에 영향을 주는 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1996년 1월부터 1998년 8월까지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목동 병원 중환자실에 입원하여 기관내 삽관 후 기계호흡 치료를 받다가 기관절개를 시행 받은 내과계 35명 및 외과계 15명의 총 50명 환자를 대상으로 기관내 삽관일로부터 7일 이내에 기관절개한 환자를 조기 기관절개군, 7일후에 기관절개한 환자를 후기 기관절개군으로 구분하여 이들의 임상소견 및 생화학적 변수들을 사용하여 기관절개 시기에 따른 APACHE Ⅲ 점수의 변화, 기계호흡 기간, 감염 동반 유무와 생존 여부 등을 비교 분석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조기 기관절개군과 후기 기관절개군은 각각25명이었으며 평균연령은 각각 48세 및 63세로 조기 기관절개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기관절개까지 소요된 평균시간은 조기 기관절개군과 후기 기관절개군에서 각각 3일과 13일이었다. 대상 환자의 원인 장기별 분포는 뇌·신경계 27례(54%), 호흡기계 14례(28%), 순환기계 4례(8%), 소화기계 4례(8%), 요로계 1례(2%)의 순이었고, 기관절개의 목적은 장기간 기계호흡이 필요하여 시행한 경우가 43례로 가장 많았고, 응급 기도확보가 5례, 그리고 분비물 제거를 위해 시행한 경우가 2례였으며, 조기 및 후기의 양환자군 사이의 기관절개 목적에 따른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 2. 조기 및 후기 기관절개군에 있어 기관내 삽관 및 기관절개 시점의 APACHE Ⅲ 점수는 양군간에 통계학적인 차이가 없었고 기관절개후 7일간의 APACHE Ⅲ 점수 변화도 양군간의 차이가 없었다. 이를 다시 생존자군과 사망자군으로 나누어 분석했을 때도 양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3. 임상적 경과의 지표로서 조사된 감염 발생, 기계호흡 이탈과 생존여부 등은 조기 및 후기 기관절개군 사이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사망률은 기관절개일로부터 7일간 관찰시 각 시점의 APACHE Ⅲ 점수가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그러나, 기관절개의 시기, 기관절개이전의 기계호흡 시행 일수 등에 따른 사망률의 증가는 없었으며, 환자의 나이는 기관절개 시점과 그 이후 4일째까지는 사망의 관련인자로 작용하지 않았다. 5. 생존자군과 사망자군 사이에 나이, 성별, 기관절개전 기관내 삽관 기간 등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기관내 삽관 시점과 기관절개 APACHE Ⅲ 점수는 생존자군에서 사망자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점수를 보였다. 또한 기관절개직후 1주간의 APACHE Ⅲ 점수의 변화는 생존자군에서 급속히 낮아지는 경과를 보였고, 사망자군에서는 큰 변화가 없었다. 이상의 경과로 중환자실에 입원하여 기관절개를 시행 받은 환자에서 조기 기관절개가 기관절개후 감염, 기계호흡 이탈, APACHE Ⅲ 점수와 생존 등의 환자의 예후 결정 인자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일반화시키기 위해서는 전향적 대규모 다기관 공동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Despite widespread use of tracheostomy in intensive care unit, it is still controversial to define the best timing from transtracheal intubation to tracheostomy under prolonged mechanical ventilation, Early tracheostomy within 7days after intubation has an advantage of easy airway maintenance and proper removal secretion, compared to late tracheostomy after 1 to 2 weeks. However, there is a contradictory opinion for the outcome of early tracheostomy, increasing nosocomial infection or morbidity. I conducted a retrospective study for the medical and surgical ICU patients who had admitted to Ewha Womans University Mokdong Hospital from January 1996 to August 1998, in terms of the timing of tracheostomy, early vs. late with reference of 7th days from intubation with daily monitoring of severity of illness, occurrence of nosocomial infections, and analysis of clinical outcomes which were analyzed by un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repeated measured ANOVA test. The patients consisted of 35 medical and 15 surgical patients after excluding transferred in/out cases from/to other hospitals because of an inadequate observation for the outcome. The results were followings. 1. The number of patients were 25 each in early and late tracheostomy group. The mean age were 48 years tracheostomy group and 63 years in late tracheostomy group, showing younger in early tracheostomy group. The median duration of intubation prior to tracheostomy was 3 days and 13 days in days in early and late tracheostomy group. The organ that caused respiratory failure were nervous system of 27 cases(54%), pulmonary 14(28%), cardiovascular 4(8%), gastrointestinal 4(8%), and genitourinary 1(2%) in order. The needs of prolonged ventilation ranked top on the purpose of tracheostomy. There were no difference in purpose of tracheostomy in both groups. 2. At the point of transtracheal intubation, the APACHE Ⅲ score was slightly higher in late tracheostomy group but not significant. At the point of tracheostomy, the APACHE Ⅲ score was similar between both groups. 3. The risk of nosocomial infections, weaning from mechanical ventilator, and mortality did not showed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early and late tracheostomy group. 4. The mortality was increased in relation with increasing the APACHE Ⅲ score for 7days after tracheostomy, but there was no contribution to mortality, related with the duration of intubation prior to tracheostomy, the days of mechanical ventilation before tracheostomy and age. 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duration of intubation prior to tracheostomy between survives and nonsurvivors. However, survivors showed statistically lower APACHE Ⅲ score compared to nonsurvivors than survivors at the point of transtracheal intubation and tracheostomy. Also, the changes of APACHE Ⅲ score for one weeks after tracheostomy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survivors where as no changes in nonsurvivors. In conclusion, the early tracheostomy does not have any benefit with respect to severity of illness, duration of ventilatory support, nonsocomial infection, or mortality in near future, prospective and randomized case-control study is required to confirm these resul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