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아동이 지각한 부부 갈등, 아동의 공격성과 또래괴롭힘 가해 및 피해와의 관계

        정은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711

        본 연구의 목적은 또래관계가 큰 비중을 차지하는 시기인 학령기의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아동의 성별에 따라 또래괴롭힘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아동이 지각한 부부갈등과 아동의 공격성이 또래괴롭힘 가해 및 피해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규명함으로써, 부부갈등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개발과 또래괴롭힘의 가해와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효과적인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서울시와 경기도 안양시에 위치한 3개의 초등학교 5, 6학년에 재학중인 아동 7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분석대상은 637(남아 331명, 여아 306명)명이다. 또래괴롭힘 측정도구는 Crick과 Grotpeter(1996)의 Social Experience Questionnaire(SEQ)를 기초로 신체적 요인(3문항), 관계적 요인(4문항)을 모두 포함한 가해척도와 피해척도를 나누어서 총 14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아동의 공격성 측정도구는 Murray의 욕구 이론을 바탕으로 한 황정규(1965)의 욕구진단 검사 중에서 공격성 측정 문항을 연진영(1992)이 수정하여 사용한 것 중 13개 문항으로 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아동이 지각한 부부갈등 측정도구는 Grych와 그의 동료들(1992)이 개발한 Children's Perception of Interparental Conflict Scale(CPIC)을 권영옥과 이정덕(1997)이 국내에서 번안하여 타당화한 44문항을 수정하여 15개 문항을 선정하여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평균과 표준편차, independent sample t검증과 paired sample t검증,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과 부분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Cronbach α계수 산출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부갈등, 아동의 공격성, 또래괴롭힘 가해 및 피해의 전반적인 경향을 분석한 결과 모두 중간수준 이하로 나타났다. 이를 아동의 성별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아동이 지각한 부부갈등의 빈도·강도·해결은 성차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아동의 공격성의 경우에는 남아가 여아보다 더 공격적이었다. 또래괴롭힘이 일어나는 정도는 가해와 피해 전체에 있어 성차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또래괴롭힘의 신체적 가해 및 피해에서 남아가 여아보다 신체적으로 또래를 더 괴롭히며 괴롭힘을 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부갈등, 아동의 공격성, 또래괴롭힘 가해 및 피해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아동의 공격성과 또래괴롭힘 신체적·관계적 가해 및 피해와의 관계는 정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아동이 지각한 부부갈등과 아동의 공격성과의 관계도 정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었으며, 아동이 지각한 부부갈등 전체와 또래괴롭힘 가해 및 피해와의 관계 역시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셋째, 부부갈등과 아동의 공격성이 또래괴롭힘 가해 및 피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남·여 아동 모두 부부갈등과 아동의 공격성은 또래괴롭힘 신체적·관계적 가해 및 피해에 영향을 미친다. 또래괴롭힘의 가해를 살펴보면, 남·여 아동 모두 부부갈등을 고려하더라도 아동의 공격성은 또래괴롭힘 신체적·관계적 가해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이때, 부부갈등은 남아의 경우는 신체적 가해에, 여아의 경우는 신체적 및 관계적 가해에 미치는 영향이 소멸되었다. 따라서 아동의 공격성은 남아의 경우 부부갈등과 신체적 가해 사이에, 여아의 경우 부부갈등과 신체적·관계적 가해 사이에서 완전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또래괴롭힘의 피해를 살펴보면, 남·여 아동 모두 부부갈등을 고려하였을 때 아동의 공격성은 또래괴롭힘 관계적·신체적 피해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며 이때, 부부갈등 또한 독립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만 그 영향력은 일부 감소되었다. 따라서 부부갈등은 남·여 아동의 공격성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또래괴롭힘 피해에 영향을 미치며 동시에, 아동의 공격성과 상관없이 또래괴롭힘 피해에 독립적으로도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얻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또래괴롭힘 가해를 이해하고 예방하기 위한 노력에 있어 독립적이며 또한 매개역할을 하는 아동의 공격성에 초점을 두는 것이 효과적이다. 둘째, 아동의 공격성을 줄이기 위한 노력으로는 가족에서의 부모의 역할이 중요함을 가르쳐준다. 셋째, 아동이 가족환경인 부부갈등 속에 빈번히 노출되는 것이 또래괴롭힘 피해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게 해준다. 넷째, 또래괴롭힘을 보다 폭넓게 이해하고 이에 대한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또래괴롭힘의 신체적 차원과 관계적 차원, 그리고 또래괴롭힘의 가해와 피해의 양면을 모두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peer victimization depending on the gender of elementary students in grade 5 and 6 where peer rel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Also, it is to examine relationships of marital conflict perceived by children and children's aggression with bullies and victims at peer victimization. Furthermore, it is to provide basic material for the development of a family life educational program through which marital conflict can be effectively managed, and for the development of a preventative program against bullies and victims at peer victimization. The subject was 637 students of grade 5 and 6 consisting of 306 girls and 331 boys from 3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Anyang city. The research components included a questionnaire about children's perception of interparental conflict, and a children's aggression measurement questionnaire, and a peer victimization measurement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about children's perception of interparental conflict consisted of 15 questions selected from 44 questions translated and validated by Yeong-Og Kwon and Jeong-Deog Lee(1997) from Children's Perception of Interparental Conflict Scale(CPIC) developed by Grych and his co-workers(1992). The children's aggression measurement questionnaire has 13 questions which were selected from aggression measurement questions modified by Jin-Yeong Yeon(1992) from desire diagnosis test questions designed on the basis of Murray's desire theory by Jeong-Gyu Hang(1965). The peer victimization measurement questionnaire was a total of 14 questions with 7 bully and 7 victim questions including physical factors (3 questions) and relational factors (4 questions). It was based on the Social Experience Questionnaire (SEQ) of Crick and Grotpeter (1996). The data were analyzed with means,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samples t-test, paired samples t-test, correlation, partial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d Cronbach' α coefficient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trends of marital conflict perceived by children, children's aggression, and bullies/victims at peer victimization showed that their means were under the medium score. While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frequency, intensity, and resolution of marital conflict according to children's gender, there was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children's aggression. Boys, that is, were more aggressive than girls. Besides that, according to children's gender, the total bullies and victims didn't have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peer victimization, but in terms of physical bullies and victims, boys were more bullied and victimized than girls. Second, in regard to the result of analyzing correlations among marital conflict perceived by children, children's aggression, and bullies/victims at peer victimization, children's aggress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physical and relational bullies as well as victims of peer victimization. Furthermore, marital conflict perceived by children was positively related to children's aggression. Total marital conflict perceived by children, also, had a statistically meaningful relation with bullies and victims at peer victimization. Third, according to the effects of marital conflict perceived by children and children's aggression on bullies/victims at peer victimization, marital conflict perceived by children and children's aggression had effects on physical and relational bullies/victims at peer victimization for both boys and girls. In the case of bullies at peer victimization, children's aggression had a meaningful effect on the physical and relational bullies under the consideration of marital conflict perceived by children for both boys and girls. In this case, the effects of marital conflict perceived by children on physical bullies for boys and physical and relational bullies for girls became statistically meaningless. Therefore, children's aggress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physical bullies for boys and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physical and relational bullies for girls. In the case of victims of peer victimization, children's aggression had a meaningful effect on the physical and relational victims under the consideration of marital conflict perceived by children for both boys and girls. In this case, marital conflict perceived by children had an independent effect on victims for boys and girls, but its' effect decreased partially. Therefore, marital conflict affected victims of peer victimization through children's aggression. Furthermore, marital conflict partially affected victims of peer victimization regardless of children being aggressive or not.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e following: first, in order to understand and prevent bullies from victimizing, it is more effective to focus on children's aggression that is the intermediary factor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bullies and has an independent effect on bullies. Second, it shows that parents role is important in reducing/decreasing children's aggression. Third, frequent exposure of children to a family environment of marital conflict has a negative effect on peer victimization. Finally, it is important that both the physical and relational dimensions of peer victimization needs to be considered as well as both sides of the bullies and victims in order to get a wider understanding of peer victimization and to develop a more effective program against it.

      • 아동의 분노정서가 우울과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분노대처방식과 자아존중감의 중재효과

        이윤경 가톨릭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9711

        본 연구는 아동의 분노정서가 우울과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아동의 분노와 우울 그리고 분노와 공격성의 관계에 대해 분노대처방식과 자아존중감의 중재효과가 어떠한지 알아보려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2곳에 재학 중인 5, 6학년 남, 여 총 564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아동의 분노정서는 3개의 하위영역(분노상태, 분노경향, 분노경험)으로 측정하였다. 아동의 분노상태와 분노경향을 측정하기 위해 Spielberg, Krasner과 Solomon(1988)이 개발한 상태-특성 분노표현척도의 한국판(STAXI-K)을 사용하였다. 분노경험을 측정하기 위해 초점집단면접을 실시한 후 아동의 분노경험 척도를 구성하였다. 아동의 우울을 측정하기 위해 오경자, 김영아, 하은혜, 이혜련, 홍강의(2010)의 자기보고식 아동⋅청소년 행동평가 척도 중 내재화 문제행동 척도를 사용하였고, 아동의 공격성을 측정하기 위해 오경자 등 (2010)의 자기보고식 아동⋅청소년 행동평가 척도 중 공격행동 외현화 척도를 사용하였다. 아동의 분노대처방식은 Spielberg 등 (1988)이 개발한 상태-특성 분노표현척도의 한국판(STAXI-K)을 사용하였으며, 3개의 하위영역(분노표출, 분노억제, 분노조절)으로 구성되었다.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해 Rosenberg(1979)의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분노정서는 우울과 공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현재 많이 화가 난 상태일수록, 화내는 경향이 높을수록, 분노를 많이 경험할수록 우울과 공격성은 증가한다. 둘째, 아동의 분노와 우울의 관계에 대해 분노억제방식은 중재효과를 미친다. 분노억제가 낮을 때보다 높을 경우에, 화내는 경향이 낮은 아동보다 높은 아동의 우울이 더 증가한다. 또한 분노억제는 부모, 교사, 또래로 인해 분노를 적게 경험하는 아동보다 많이 경험하는 아동의 우울을 더 많이 증가시킨다. 셋째, 아동의 분노와 우울의 관계에 대해 자아존중감은 중재효과를 미친다.자아존중감이 높을 때보다 낮을 경우에, 화내는 경향이 낮은 아동보다 높은 아동의 우울이 더 많이 증가한다. 자아존중감이 높을 때보다 낮을 경우에, 부모, 교사, 또래로 인해 분노를 적게 경험하는 아동보다 많이 경험하는 아동의 우울이 더 많이 증가한다. 넷째, 아동의 분노와 공격성의 관계에 대해 분노표출방식과 분노억제방식은 중재효과를 미친다. 분노표출과 분노억제가 낮을 때보다 높을 경우에, 화내는 경향이 낮은 아동보다 높은 아동의 공격성이 더 많이 증가한다. 또한 분노표출은 부모, 교사, 또래로 인해 분노를 적게 경험하는 아동보다 많이 경험하는 아동의 공격성을 더 증가시킨다. 다섯째, 아동의 분노와 공격성의 관계에 대해 자아존중감은 중재효과를 미친다. 자아존중감이 높을 때보다 낮을 경우에, 화내는 경향이 낮은 아동보다 높은 아동의 공격성이 더 증가한다. 자아존중감이 높을 때보다 낮을 경우에, 교사, 또래로 인해 분노를 적게 경험하는 아동보다 많이 경험하는 아동의 공격성이 더 증가한다. 본 연구결과, 분노경향과 분노경험에서 비롯된 아동의 우울과 공격성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적절한 분노대처방식(분노표출, 분노억제, 분노조절)에 대한 훈련 프로그램, 그리고 자아존중감 향상프로그램이 적극 실행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s of children's anger on depression and aggression,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anger coping style and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anger and depression, an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anger and aggression. The sample of this study were 564 male and female students in grades 5-6 in 2 elementary schools in Incheon City. The children's anger was composed of three factors (state-anger, trait-anger, anger experience). To measure the status and tendency of children's anger, the Korean version of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STAXI-K) developed by Spielberg, Krasner and Solomon (1988) was used. The scale for the children's anger-experience was constructed after focus group interviews. The internal/external behavior scale used in this study was developed by Oh Gyeong Ja, Kim Young Ah, Ha Eun hye, and Lee He Ryeon, Hong Gang Ui (2010) to measure children's depression and aggression. Children's anger coping styles were measured by using the Korean version of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STAXI-K) developed by Spielberg, Krasner and Solomon (1988) and it was composed of three sub-styles (anger-out, anger-in, and anger-control). Children's self-esteem were measured by the Rosenberg self-esteem scale, developed by Dr. Morris Rosenberg(1979).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use of SPSS/WIN 18.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nger of the childre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 and aggression. The higher level of children's anger, the more depression and aggression are increased. Second, the anger-in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anger tendency and depression. If the level of anger-in is relatively high, the depression of a child who has relatively high trait-anger increases higher. In addition, anger-out and anger-in have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s anger tendency and aggression. If anger-out is relatively high, the aggression of a child who has relatively high trait-anger increases higher. In addition, if anger-in is relatively high, the aggression of a child who has relatively high trait-anger increases higher. Third, child's anger-experiences caused by parents or teachers have negative influences on child's depression. Anger-in increases more depression in children who experience anger more frequently. Anger-out has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nger experiences caused by parents, teachers, and peers and aggression. If anger-out is relatively high, the aggression of a child who experience anger more frequently increases higher. Fourth, self-esteem has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it-anger and depression. If self-esteem is relatively low, the depression of a child who has high anger tendency increases higher. Self-esteem has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nger tendency and aggression. If self-esteem is relatively low, the aggression of a child who has high anger tendency scale increases higher. Fifth, self-esteem has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nger experiences caused by parents, teachers or peers and depression. Self-esteem has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nger experience caused by teachers and peers and aggression. The findings on this study show that in order to reduce child depression and aggression originated from anger, training program to have proper anger coping style and self-esteem enhancement program should be actively implemented.

      • 아버지의 아동기 훈육경험이 초등학생 자녀 훈육방식에 미치는 영향 :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김현태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95

        The father's participation in parenting is increasing, and the father's interest in discipline is also increasing. Discipline Style are divided into positive and negative discipline style, which are passed on between generations. There are no prior studies exploring the effects of childhood discipline experiences on fathers' child discipline style through emotional control difficulties.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childhood discipline experiences and child discipline style for fathers whose first child is an elementary school student, and to examine whether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mediates this connection.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an Internet survey, and a total of 235 fath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For data analysis, SPSS Statistics 25.0 was used, and the mediating effect of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was verified using Process Macro 4.2 Model 4 of Hayes(2022).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mo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nly ag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over-allowed disciplin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father's experience of rational discipline in childhood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rational discipline method and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emotional discipline method.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rational discipline experiences in childhood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over-permissive discipline methods. However,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difficul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ational discipline and child discipline.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 father's childhood negative discipline experi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ositive discipline experience through the mediation of emotional difficulty.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father's childhood negative discipline experi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negative discipline experience through the mediation of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father's childhood discipline experience and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are the determinants of negative discipline methods. In order to lower the level of the father's negative discipline, it is necessary to lower the degree of the father's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Fathers with good emotional control use less negative discipline when they discipline their children. This will be an important key to reducing negative discipline when the next generation of children becomes parents. By lowering the degree of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the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process of discipline can change in a more positive direction.

      • 어린이집에서의 사회적 지지가 보육교사의 문제행동 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 :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조주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79

        이 연구에서는 아동들의 문제행동을 지도하기 위한 보육교사의 문제행동 지도전략에 주목하며, 보육교사가 어떠한 지도전략을 사용해 아동의 문제행동을 지도하고 있는지 알아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사회적지지 및 교사의 효능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보육교사는 아동의 문제행동을 지도하기 위해서 어떤 전 략을 사용하는가? [연구문제 2] 보육교사에 대한 사회적 지지가 문제행동 지도전략에 영 향을 미치는가? 2-1. 보육교사가 재직하는 어린이집의 지지체계에 따라서 문제행동 지도전략에 차이가 있는가? 2-2. 사회적 지지의 하위 요인(물질적 지지,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평가적 지지)이 보육교사의 문제행동 지도 전략에 영향 을 미치는가? 2–3. 사회적 지지의 원천(동교교사, 관리자, 아동의 부모, 공동담임) 이 보육교사의 문제행동 지도전략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3] 보육교사의 문제행동 지도전략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영 향은 교사효능감에 의해 매개되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서울 및 경기 지역의 어린이집에서 일하고 있는 보육교사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416부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문제행동 지도 전략, 사회적지지, 교사 효능감, 개인적 변인 (학력, 경력, 연령, 담당반), 재직하고 있는 어린이집의 교사 지지체계의 유무, 문제행동 상황에서의 지도 전략에 대한 자유 응답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객관식 문항은 PASW Statistic 18.0 프로그램에서 기술통계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분산분석,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 중다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Amos 20 프로그램에서 경로 모형을 분석하고 부트스트래핑기법을 사용하여 모형을 검증하였다. 주관식 문항은 R을 사용해 텍스트 마이닝 기법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는 문제행동을 지도하기 위해서 다양한 전략을 사용하였으며 이들은 주로 긍정적인 전략들이었다. 문제행동 지도 전략 척도를 이용한 결과에서도 긍정적 반응전략의 평균 점수가 제일 높았고, 긍정적 예방전략의 사용이 그 다음이었고 부정적 반응전략이 가장 낮았다. 둘째, 보육 교사가 재직하는 어린이집의 교사 지지체계에 따라 보육교사의 문제행동 지도전략에 차이가 나타났다. 재직하고 있는 어린이집에 교사를 지원하는 제도가 있는 경우 긍정적 예방전략과 긍정적 반응전략의 사용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많았다. 또한 교사끼리 의견을 교환하는 제도가 있는 경우 부정적 반응전략의 사용이 적었다. 셋째, 보육교사에 대한 사회적 지지가 긍정적이고 예방적인 문제행동 지도 전략에 영향을 미쳤다. 사회적 지지척도를 분석한 결과, 보육교사에 대한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긍정적 예방전략과 긍정적 반응전략의 사용이 더 많았다.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인 정보적 지지, 정서적 지지, 평가적 지지는 긍정적 예방전략, 긍정적 반응전략과 정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었으며, 물질적 지지는 긍정적 반응전략과 정적인 관계를 가졌다. 넷째, 보육교사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원천 중 세 가지 원천(동료교사, 관리자, 아동의 부모)에 의한 지지가 긍정적 예방전략과 긍정적 반응전략을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공동담임에 의한 지지는 문제행동 지도전략에 대해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다섯째, 교사효능감은 보육 교사에 대한 사회적 지지가 긍정적 예방전략과 긍정적 반응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원천 중 관리자와 아동의 부모에 의한 지지가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긍정적 예방전략과 긍정적 반응전략에 영향을 미쳤다. 이 연구를 통해 보육교사는 아동의 문제행동을 지도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긍정적인 방법을 주로 사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보육교사의 문제행동 지도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교사효능감과 사회적 지지를 탐색한 결과, 사회적 지지가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긍정적 예방전략과 긍정적 반응전략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보육교사가 긍정적이고 예방적인 방법을 사용해 아동의 문제행동을 지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보육교사에 대한 사회적 지지를 높이고 교사 효능감 증진을 위한 사회제도적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 모래놀이치료를 통한 사회성과 정서에 어려움이 있는 초등학생 남아의 내면세계 연구

        김신화 군산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79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journey of having appropriate peer relations and emotional stability through sandplay therapy in an elementary school boy living with a mother who had social and emotional difficulties such as poor peer relations, anxiety and withdrawal.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changing processes of sandboxes, how a boy having social and emotional difficulties expressed his internal world, by the content themes in sandplay according to Turner(2009) based on analytical psychology and sandplay theories. This would give basic knowledge of educational guidance in school and counseling fields by expanding the understanding of a boy’s unconsciousness and by knowing which psychological elements existed in the boy having troubles of sociability and emotions.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a 4th grade boy in the K city who had been raised in a family in which marital conflicts had been severe and has lived with a mother, older and younger sisters as a third child after parental divorce when he was five years old. The 72th sessions were held from May 22nd in 2015 to February 28th in 2017 every week around one hour in the K university therapy room. The client’s changes assessed objectively by the CBCL 6-18(Oh etc., 2010) and the KPRC(Cho etc., 2006) reported by parents and projectively by HTP, KFD, KSD and SCT before and after the therapy. The processes of sandplay were classified by the initial phase, the intermediate phase and the final phase of therapy according to the content themes in the sandboxes. The initial phase of therapy was 1~6(The beginning of war) expressing confusing wars as the start of a long internal journey. The intermediate phase was 7~55(Struggle), the intermediate phase I 7~18(Hero’s fight I), the intermediate phase II 19~36(Hero’s fight II), the intermediate phase III 37~48(Seeking for male identity), and the intermediate phase IV 49~55(Centering). During the intermediate phase, the client identified himself as teenaged heroes and expressed the conflict between good and bad, between death and rebirth and struggled for seeking for treasures in the fight of heroes. After finding the sense of existence, establishing order in the middle of confusion, expressing strong and rational masculinity, he found the identity as a male. After the client became known the parental divorce in the 49th session, he got confused somewhile. However, he became stable and strong through the works of centering. The final phase of therapy was 56~72(The winner of the struggle). In the fights repeating, he expressed adventurous and positive male energy such as racing, speed contest and the union of male and female in the opposites of male heroes and female heroins and the birth of new conscious. In a real life he got improved in the basic habit, kept things safely, had good relations with younger sister, slept alone, and expressed himself appropriately. In school he became active and responsible and had appropriate peer relations spending time with friends. In the objective test, the CBCL 6-18 had more positive scores and the KPRC had positive changes in the areas of anxiety, family relations and social relations. In the projective test, the house became straight with happy environments, the tree had a balance, and the KFD and the KSD became more stable. This study was significant in the viewpoints of examining the internal world based on analytical psychology and sandplay theories for an early adolescent who became a real male by fighting wars as heroes and departed from maternity naturally through a long journey of sandplay therapy. This study showed the effectiveness of sandplay therapy since the clients became more adjusted in school life with having good peer relations and expressed his feelings appropriately by releasing from anxiety and withdrawal in a daily life. 본 연구는 어머니와 생활하며 친구관계 등 사회성과 불안, 위축 등 정서적인 어려움이 있는 초등학교 4학년 남아가 모래놀이치료를 통하여 원만한 친구관계와 정서적인 안정을 찾아가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모래놀이를 통해 대인관계와 정서적인 어려움이 있는 남아가 자신의 내면을 어떻게 표현하는지 모래상자의 변화과정을 분석심리학과 모래놀이치료 이론을 근거로 Turner(2009)의 내용주제 관점에서 탐색하는 것이다. 이것은 내담아동의 내면에 어떠한 정신적인 요소들이 존재하는지 살피고 사회성과 정서에 어려움이 있는 남아의 무의식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 학교현장 및 상담 장면에서 초등학생 남아의 교육과 생활지도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할 수 있다. 연구의 대상은 K시의 초등학교 4학년 남아로 영유아기부터 부모 간의 갈등이 심한 가정에서 자랐고, 만 5세경에 부모의 이혼 후 어머니, 누나, 여동생과 생활하는 다자녀 가정의 셋째이다. 이런 상황의 내담아동에게 2015년 5월 22일 - 2017년 2월 28일까지 1주일에 한번 1시간 정도 총 72회기의 모래놀이치료가 K대학교 모래놀이치료실에서 실시되었다. 내담아동의 변화를 객관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모래놀이치료 사전과 사후에 부모가 보고한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 및 한국아동 인성평가척도가 사용되었고, 투사검사로는 HTP, KFD, KSD 그리고 SCT를 실시하였다. 전체 모래놀이과정은 내용주제에 맞춰 상담초기, 상담중기, 상담말기로 구분하였다. 상담초기는 1-6회기(전쟁의 시작)로 내담아동은 혼란스러운 전쟁으로 긴 내면의 여정을 시작한다. 상담중기는 7-55회기(투쟁)인데, 상담중기 Ⅰ은 7-18회기(영웅의 싸움 Ⅰ), 상담중기 Ⅱ는 19-36회기(영웅의 싸움 Ⅱ), 상담중기 Ⅲ은 37-48회기(남성 정체성을 찾아서), 상담중기 Ⅳ는 49-55회기(중심화)이다. 상담중기는 내담아동이 자신을 10대 영웅과 동일시하며 영웅들의 대결에서 선과 악의 갈등, 죽음과 재생, 보물을 차지하기 위한 싸움으로 승리를 맛본다. 존재감을 찾고, 혼란에서 질서를 잡으며, 강하고 이성적인 남성성을 표현하며 남성으로의 정체감을 찾아간다. 49회기에 이혼사실을 알게 된 사건으로 잠시 혼란한 모습을 보이지만, 다시 내면의 중심화 작업으로 안정을 찾고, 강해지는 모습을 보인다. 상담말기는 56-72회기(투쟁에서의 승자)로 반복되는 싸움에서 경주, 속도대결 등 진취적이고 긍정적인 남성 에너지를 표현하고, 남녀 영웅의 대극에서 남녀합일에 이르며, 새로운 의식의 탄생을 표현한다. 실생활에서 기본생활습관이 좋아지고, 자신의 물건을 잘 챙기며, 여동생과의 관계가 좋아지고, 방에서 혼자 잠을 자며, 자신의 감정을 잘 표현하는 등 정서적인 어려움이 완화된다. 학교생활에 적극적이고 책임감 있게 참여하며, 친한 친구들과 많은 시간을 보내 친구관계도 원만해지는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치료 후 부모가 보고한 객관검사 CBCL 6-18은 사전에 비해 부정적인 모습이 전체적으로 감소했음을 보여주고, KPRC는 불안, 가족관계, 사회관계 영역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있다. 투사 그림검사에서 집은 반듯해지며 행복한 분위기가 되고, 나무도 균형이 잡혔으며, 가족화와 학교화 역시 전반적으로 사전보다 안정적인 모습으로 바뀌었다. 본 연구는 사춘기 초기 남아의 사례로 소년이 불안한 환경 속에서 심리적으로 진전한 남성이 되는 과정을 영웅 주제로 다양한 전쟁을 치르며 모성에서 자연스럽게 분리되는 긴 모래놀이치료 여정을 분석심리학과 모래놀이치료 이론에 근거해 내면세계의 변화과정을 탐색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치료를 통해 학교생활에 보다 적응적이며 친구관계가 좋아지고, 불안과 위축에서 자유로워져 자신의 감정을 원만하게 표현하게 되어 모래놀이치료가 내담아동에게 효과적이었음을 보여 준다.

      • 유아기에서 초등학교로의 전이에 따른 학교적응 및 학업성취에 관한 종단연구

        염미애 가톨릭대학교 2008 국내박사

        RANK : 249662

        본 연구에서는 유아기의 어머니 양육행동, 정서지능, 사회적 행동이 초등학교에서의 적응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년간 대상 아동들을 추적하는 종단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이 변인들 간의 경로를 분석하였다. 1차 연구시기인 유아기의 대상은 서울시 Y구의 중류층 지역에 위치한 5개의 구립어린이집 만4세와 만5세 유아 201명과 그들의 어머니였다. 그리고 2차 연구대상은 1차 연구대상 유아 중 추적이 이루어진 22개 초등학교, 163명(남아 82명, 여아 81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는 어머니의 양육행동을 측정하기 위하여 이영환, 조복희 및 이진숙(1999)의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생산적 노릇󰡑 연구에서 양육행동 요인을 추출하여 사용하였다. 유아(아동)의 사회적 행동은 Behar와 Stringfield(1974)의 유아행동 질문지(The preschool behavior questionnaire)를 임연진(1999)이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정서지능 평가는 김경회(1998)가 작성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학교적응 척도는 지성애와 정대현(2006)이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학업성취도는 2007년 1학기 말에 실시된 기말고사의 국어와 수학의 성적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 각 측정 변인들의 기술적 통계치와 Pearson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였고, 유아기 변인들과 학교적응과 학업성취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Amo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경로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유아의 정서지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기의 정서지능(자기정서의 이용, 타인정서의 인식 및 배려, 자 기정서의 인식 및 표현, 감정의 조절 및 충동억제, 교사와의 관계 그리고 또래와의 관계)은 유아기의 사회적 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기의 사회적 행동은 초등학교 입학 후 아동의 사회적 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기와 아동기의 평가자(교사)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전 하위영역에서 정적인 상관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사회적 행동은 유아기에서 아동기로 지속되는 특성을 지닌다고 볼 수 있다. 넷째, 사회적 행동은 학교적응과 학업성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인으로, 학교적응과 학업성취에 대한 유아기의 주요변인은 사회적 행동이라고 할 수 있다. 다섯째,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정서지능은 사회적 행동을 매개로 하여 학교적응과 학업성취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사회적 행동은 유아기에서 아동기로 지속되는 특성을 보이고, 초등학교 입학 후 아동의 학교적응과 학업성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유아기의 변인은 사회적 행동이다. This study is to find out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s of maternal parenting behavior, child's social behavior and emotional intelligence, which affect child's school adjus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at elementary school. Therefore a longitudinal study is used to analyze paths of variable elements, having observed the targeted children for two years. During the initial period of the study, the first target groups were 201 children from 4 to 5 year old and their mothers from 5 different daycare centers located Y-gu, middle class area, in Seoul. The second target groups of 163 children, of which 82 were male and 81 female from 22 different elementary schools chosen from the first target groups were longitudinally surveyed. Elements of parenting behavior taken from "Productive Role of Mother of Preschool Children" by Youngwhan Lee, Bokhee Jo and Jinsook Lee(1999) are used as tools for the study to measure the maternal parenting behavior. For child's social behavior "The preschool behavior questionnaire" published by Behar and Stringfield(1974) and translated by Yeonjin Yim, 1999 was used as a measure while the measure for the assessment for emotional intelligence worked out by Gyeonghoe Kim(1998) was used. For the school adjustment was used the measure developed by Sungae Ji and Daehyun Jeong(2006) while the academic intelligence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academic records for Korean and Math of final examination from the first semester of 2007. The collected materials were put into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through Amos Program in order to proof the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variable elements of preschool children and the school adjustment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the followings: First, the maternal parenting behavior directly influences the emotional intelligences of children while it indirectly influences the school adjus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of children, mediating the social behaviors of preschool and elementary school children. Second,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preschool children (usage of self-emotion, perception and care of others' emotion, perception of self-emotion and expression, control of emotion and restrain of compulsion, relations with teachers and peer groups) directly influences social behavior of preschool children, which positively affects social behavior of children after entering into elementary schools. It is shown that the social behavior of preschool children (T1) emotionally influences school adjus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mediating the social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T2). Third, the positive social behavior of preschool children influences the social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as direct mediating variables. It is proved the sociable and social friendly behavior of school children influence emotionally, but their hostile-offensive, anxious-withdrawal and hyperactive -distractive behaviors influence negatively. Fourth, looking at children's school adjus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sex difference of male and female, the female children have higher scores in social friendly areas of social behavior, but male children have higher level in hostile-offensive, anxious-withdrawal and hyperactive-distractive social are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