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용전공 중·고등학생들이 지각하는 교사의 자율성지지, 기본심리욕구, 수업참여의도간의 구조적 관계

        이슬아 서경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3327

        본 연구는 무용전공 중·고등학생들이 지각하는 교사의 자율성지지, 기본심리욕구, 수업참여의도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나아가 무용전공 중·고등학생들이 지각하는 교사의 자율성지지, 기본심리욕구(자율성, 유능성, 관계성), 수업참여의도간의 어떤 인과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고, 기본심리욕구(자율성, 유능성, 관계성)를 매개변수로 지각된 교사의 자율성지지와 수업참여의도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기 위한 본 연구의 대상은 2014년 5월에 진행된 대학무용 콩쿨에 참가한 한국무용, 발레, 현대무용전공 중·고등학생들을 연구 모집단으로 설정 후, 유층집락 무선 표집법(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으로 표본을 추출하였고 설문검사지법을 이용하였다. 총 326명을 대상으로 전공별 분포는 한국무용 126명, 발레 91명, 현대무용 109명으로 구성되어있다. 연구에 사용된 척도들은 여러 연구에 의해 사용 적합도가 증명 되었으나,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기술 분석을 통해 신뢰도, 타당도를 재검토 하였다. 자료처리 방법으로 PASW 18.0과 AMOS 20.0을 이용한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무용전공 중·고등학생들이 지각하는 교사의 자율성지지, 기본심리욕구(자율성, 유능성, 관계성), 수업참여의도,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지각된 교사의 자율성지지, 기본심리욕구(자율성, 유능성, 관계성), 수업참여의도간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연구모형의 적합도 검증 결과,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1) 무용전공 중·고등학생들이 지각하는 교사의 자율성지지, 기본심리욕구(자율성, 유능성, 관계성), 수업참여의도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결과, 연구모형에 설정된 6개의 경로가 정(+)의 방향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3. 무용전공 중·고등학생들이 지각하는 교사의 자율성지지, 기본심리욕구(자율성, 유능성, 관계성), 수업참여의도 사이에 설정된 구조적 관계 검증 결과, 각 잠재변인간의 인과효과가 나타났다. 1) 무용전공 중·고등학생들이 지각하는 교사의 자율성지지는 기본심리욕구(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에 정(+)의 직접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기본심리욕구(자율성, 유능성, 관계성)는 수업참여의도에 정(+)의 직접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무용전공 중·고등학생들이 지각하는 교사의 자율성지지, 기본심리욕구(자율성, 유능성, 관계성), 수업참여의도 사이에 설정된 구조적 관계 검증 결과, 각 잠재변인간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1) 지각된 교사의 자율성지지와 수업참여의도는 기본심리욕구(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에 의해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a casual relationship between autonomy support of the perceived teacher on the middle & high school students majoring in dance and their basic psychological needs, intention of participation in the dance class on the basis of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aims to test a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autonomy support & the intention with a parameter of basic psychological need. For 326 students majoring in dance in the middle & high school, the Perceived Autonomy Support in Dance, PASSD scale developed by Park Jung Gil, Kim Min Hee & Kim Min Jeong(2010) was used for the autonomy support, and the basic psychological need scale by Park Jung Gil & Kim Gi Hyeong(2008) was done for the basic psychological need. Also the Physical Activity Intention Questionnaire, PAIQ of Hein & Muur(2004) was used for the intention of participation in dance class. The data was examined with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correlation analysis,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First,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directivity &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7 path-coefficients set in the research model, the 7 paths were shown to be significant to the positive(+) direction. Second, the autonomy support of the perceived teacher was found to have a directly positive(+) effect on the basic psychological need. Third, it's fou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utonomy support of the perceived teacher & the intention of participation in the dance class would be partly a parameter by the psychological need. This study results in supporting the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across the autonomy support of the overall perceived teacher, the basic psychological need, and the intention of participation in the dance class in the conceptual framework of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 무용전공고등학생들의 무용열정수준에 따른 성취목표지향성과 자기관리

        김은진 서경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3327

        본 연구는 무용전공고등학생의 무용열정수준에 따른 성취목표지향성과 자기관리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변인간의 상관관계를 다차원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무용열정(조화열정, 강박열정)과 성취목표지향성(과제성향, 자아성향), 자기관리(훈련관리, 정신관리, 대인관리, 몸관리) 하위요인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였다. 나이가 무용전공고등학생의 무용전공별(한국무용, 발레, 현대), 능력별(참여안함, 참여하고 수상 못함, 수상함), 학년별(1학년, 2학년, 3학년), 경력별(1년~3년 미만, 3년~5년 미만, 5년~10년 미만, 10년 이상), 공연 참여 횟수별(없다, 1번, 2번, 3번 이상)로 무용열정이 성취목표지향성과 자기관리에 어떠한 집단 차이를 보이는지를 분석하기위한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소재의 예술 고등학교에 소속된 고등학생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다음 유층집락 무선 표집법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다. 서울시 소재의 D예술고등학교, S예술고등학교, K예술고등학교에 소속되어 있는 무용전공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총 303명으로 대상으로 설문검사지법을 실시했다. 연구에 사용된 척도들은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사용 적합성이 증명 되었으나 기술분석, 신뢰도 분석, 그리고 요인분석을 통해 신뢰도와 타당도를 재검토 하였다. 자료처리 방법으로 SPSS 18.0을 이용한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무용전공고등학생의 전공에 따른 무용열정(강박열정, 조화열정)과 성취목표지향성(과제성향, 자아성향), 자기관리(훈련관리, 대인관리, 정신관리, 몸관리)의 유의한 집단 차이가 나타났다. 2. 무용전공고등학생의 능력에 따른 무용열정(강박열정, 조화열정)과 성취목표지향성(과제성향, 자아성향), 자기관리(훈련관리, 대인관리, 정신관리, 몸관리)의 유의한 집단 차이가 나타났다. 3. 무용전공고등학생의 학년에 따른 무용열정(조화열정, 강박열정)과 성취목표지향성(과제성향, 자이성향), 자기관리(훈련관리, 정신관리, 대인관리, 몸관리)의 유의한 집단 차이가 나타났다. 4. 무용전공고등학생의 경력에 따른 무용열정(조화열정, 강박열정)과 성취목표지향성(과제성향, 자아성향), 자기관리(훈련관리, 정신관리, 대인관리, 몸관리)의 집단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5. 무용전공고등학생의 공연 참여 횟수에 따른 무용열정(조화열정, 강박열정)과 성취목표지향성(과제성향, 자아성향), 자기관리(훈련관리, 정신관리, 대인관리, 몸관리)의 유의한 집단 차이가 나타났다. 6. 무용전공고등학생들의 무용열정(강박열정, 조화열정)과 성취목표지향성(과제성향, 자아성향), 자기관리(훈련관리, 정신관리, 대인관리, 몸관리)의 하위요인들은 다차원적 상관관계가 있다. 7. 무용전공고등학생들의 무용열정(강박열정, 조화열정)은 성취목표지향성(과제성향, 자아성향)에 유의한 영향력이 나타났다. 8. 무용전공고등학생들의 무용열정(강박열정, 조화열정)은 자기관리(훈련관리, 정신관리, 대인관리, 몸관리)에 유의한 영향력이 나타났다. 9. 성취목표지향성(과제성향, 자아성향)은 자기관리(훈련관리, 정신관리, 대인관리, 몸관리)에 유의한 영향력이 나타났다. This is to study that how achieving goal directivity and self-control affect depending on the passion of high school students majored in dance. The relations among variables were multidimensionally analyzed and how dance passion(harmony passion and compulsion passion) , achieving goal directivity(assignment tendency and self-tendency) and self-control(training management, mental control, personal relationship management and body control) affect to subordinate elements. To analyze the group difference for achieving dance passion, goal directivity and self-control depending on major(Korean dance, ballet and modern dance), grade(1st, 2nd and 3rd grades), career((1yr. to less 3yr., 3yr. to less 5yr., 5yr. to less 10 yr. and over 10 yr.) and numbers of performance(None, once, twice and more than three times) by age, art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were participated and examples were extracted through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For total 303 dance-majored high students in D, S and K art school in Seoul, the survey was conducted. The measures that are used in the study were verified by other various researchers but credibility and validity were revised through technology analysis, credibility analysis and element analysis. Conducting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18.0 for data process, the gained results are as follow: 1. There was a meaningful group difference among dance passion(compulsion passion and harmony passion), achieving goal directivity(assignment tendency and self-tendency) and self-control(training control, personal relationship management, mental management and body control) depending on major of dance-majored high school students. 2. There was a meaningful group difference among dance passion(compulsion passion and harmony passion), achieving goal directivity(assignment tendency and self-tendency) and self-control(training control, personal relationship management, mental management and body control) depending on ability of dance-majored high school students. 3. There was a meaningful group difference among dance passion(compulsion passion and harmony passion), achieving goal directivity(assignment tendency and self-tendency) and self-control(training control, personal relationship management, mental management and body control) depending on grade of dance-majored high school students. 4. There was not a meaningful group difference among dance passion(compulsion passion and harmony passion), achieving goal directivity(assignment tendency and self-tendency) and self-control(training control, personal relationship management, mental management and body control) depending on career of dance-majored high school students. 5. There was a meaningful group difference among dance passion(compulsion passion and harmony passion), achieving goal directivity(assignment tendency and self-tendency) and self-control(training control, personal relationship management, mental management and body control) depending on the humber of performance of dance-majored high school students. 6. There was a multidimensional relations among subordinate elements of dance passion(compulsion passion and harmony passion), achieving goal directivity(assignment tendency and self-tendency) and self-control(training control, personal relationship management, mental management and body control). 7. There was meaningful influence in dance passion(compulsion passion and harmony passion) and achieving goal directivity(assignment tendency and self-tendency). 8. Dance passion(compulsion passion and harmony passion) of dance-majored high school students affects meaningfully to self-control(training control, mental management, personal relationship and body control). 9. Achieving goal directivity(assignment tendency and self-tendency) affects meaningfully to self-control(training control, mental management, personal relationship and body control).

      • 무용전공여대생의 바디이미지 자기차이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이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김미정 서경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33327

        본 연구는 무용전공 여대생의 바디이미지 자기차이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이 심리적 웰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변인간의 상관관계를 다차원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바디이미지 자기차이집단과 BMI에 따른 실제체형이(마른체형 집단, 정상체형 집단) 신체적 자기개념(유능감, 체지방, 외모, 건강, 신체활동, 자기 존중감, 유연성, 지구력, 근력, 신체전반)과 심리적 웰빙(긍정적 대인관계, 삶의 목적, 개인적 성장, 환경 지배력, 자아수용, 자율성)의 하위요인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였다. 나아가 무용전공 여대생들의 무용경력별(3년 미만, 3년 이상 5년 미만, 5년 이상 10년 미만, 10년 이상), 한 학기 공연 횟수별(없다, 1회, 2회, 3회), 연습시간별로 신체적 자기개념이 심리적 웰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기위한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와 경기도 소재의 대학에 소속되어있는 재학 중 여자무용수를 모집단으로 설정한 다음 유층집락 무선 표집법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다. 서울특별시 소재의 5개 대학무용학과 한국무용, 현대무용, 발레 여자무용수를 대상으로 설문검사지법을 실시했다. 총 376명을 대상으로 전공별 분포는 한국무용 173명, 현대무용, 118명, 발레 76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에 사용된 척도들은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사용 적합성이 증명 되었으나 기술 분석, 신뢰도 분석, 그리고 요인분석을 통해 신뢰도와 타당도를 재검토 하였다. 자료처리 방법으로 SPSS 18.0을 이용한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 문화예술교육사 제도도입에 따른 대학 무용(학)과 교과현황 조사 연구

        김수진 한양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33327

        ABSTRACT A Study on Examination of Current College Dance Curriculum Compliant with Introduction of Art and Culture Instructor Policy Kim, Soo Jin Dept, of Dance The Graduate School Hanyang University This study is aimed at providing basic data for research on improvement of the college dance curriculum through looking into changes in the curriculum following introduction of a culture and arts instructor system and ascertaining a necessity of the system. For the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about education programs for culture and arts instructors after selecting seven colleges which have opened courses about those instructors or include certified courses out of 19 schools in the Metropolitan area. To compare and analyze collected data on the dance curriculum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about the year 2011 before the culture and arts instructor system was introduced and the other about the 2013 when the system began to be executed. Whether or not certified courses about culture and arts instructors were executed and whether or not those courses were established within the dance curriculum of each school were confirmed referring to the culture and arts instructor curriculum. The study produced following results. First, Dankook University had two courses that have been certified equally as courses for culture and arts instructor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and Chung Ang University have three each, Sangmyung University one, Yong In University four, Kookmin University six and Ewha Woman's University seven, even if those schools haven't opened programs for those instructors. In addition, Sungkyunkwan University had five courses, University of Suwon four, Hanyang University (ERICA) one, Hanyang University (Seoul) two and Hansung University one. Second, after the culture and arts instructor system was conducted in 2013, Dankook University newly opened five courses and Sookmyung Women's University one. Hanyang University (ERICA) opened the largest nine courses and Hansung University two. Based on such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college dance curriculum has changed following introduction of the culture and arts instructor system and the reality of opening of the culture and arts instructor courses to cultivate professionals in college dance education and certified programs still is not satisfactory. There are alternatives to solve these problems. First, dance programs following introduction of the culture and arts instructor system should be additionally opened as same programs after uniting various systematic courses executed in dance of culture and arts instructor education with college dance programs. Second, educational institutions whose students can acquire culture and arts instructor licenses should be recognized as having the same capacity as college dance departments to cultivate culture and arts instructor professionals. In this way, students of college dance departments will be able to acquire licenses immediately after their graduation to have more employment opportunities. Therefore, follow-up studies should be conducted about effects of acquisition of licenses immediately after graduation on expansion of graduates' employment opportunities and their choice of course after the college dance curriculum changes after including courses about culture and arts instructors following introduction of the culture and arts instructor license system. 국문초록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사 제도 도입에 따른 대학 무용(학)과 교과과정에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 조사하고 문화예술교육사 제도의 필요성을 밝혀 대학 무용(학)과의 교과과정 개선 연구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본 연구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위해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과정을 조사하였으며, 서울·경기 지역 19개의 대학 중 문화예술교육사 교육 교과목이 개설되거나 인정교과목이 포함되어 있는 7개의 대학을 선정하여 교과과정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무용(학)과 교과과정 자료를 문화예술교육사 제도가 도입되기 전 2011년과 실행되기 시작한 2013년으로 나누어 비교분석하였으며,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과정을 참고하여 각 대학 무용(학)과 교육과정안에 문화예술교육사 교육 인정교과목의 실행 및 개설 여부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문화예술교육사 교과목이 개설되지는 않았지만 문화예술교육사 교육 과목과 동일하게 인정받은 교과목들이 단국대학교에선 2과목, 숙명여자대학교와 중앙대학교에서는 3과목, 상명대학교에서는 1과목, 용인대학교에서는 4과목, 국민대학교에서는 6과목이 인정되었으며, 이화여자대학교는 7과목이 인정되었다. 또, 성균관대학교에서는 5과목, 수원대학교는 4과목, 한양대학교(ERICA)에서는 1과목, 한양대학교(서울)에서는 2과목, 한성대학교에서는 1과목이 인정되어 교육되어지고 있다고 나타났다. 둘째, 2013년 문화예술교육사 제도 실행에 따른 대학 교과과정이 단국대학교에는 기존에 없었던 5개의 문화예술교육 인정 교과목들이 개설되었고, 숙명여자대학교에는 1개의 과목이 개설되었다. 한양대학교(ERICA)대학교에서는 가장 많은 9개의 과목이 개설되었으며, 한성대학교에서는 2개의 과목이 개설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문화예술교육사 제도 도입에 따라 대학 무용(학)과의 교과과정이 변화되었으며, 대학에서의 무용교육에 있어서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사 교과과정 개설 및 인정교과목이 현재까지 미흡한 실정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이러한 부족한 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는 첫째, 문화예술교육사 제도도입에 따른 무용(학)과의 교과과정 교과목들이 문화예술교육사 교육 무용분야에서 실행되고 있는 다양하고 체계적인 과목들을 대학 무용(학)과 교육과정과 조합하여 동일한 과목으로 추가 개설하여야 한다. 둘째, 문화예술교육사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이 취득가능한 교육기관을 대학 무용(학)과의 역량으로 인정하도록 함으로써 대학 무용(학)과 학생들이 졸업함과 동시에 자격증 취득이 가능하도록 하여 졸업 후 취업영역을 넓힐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 문화예술교육사 자격 제도 도입에 따라 대학 무용(학)과의 교과과정이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과정 과목을 포함하여 변화함에 따라 졸업함과 동시에 자격증을 취득함으로써 졸업생들의 취업영역의 확대와 진로선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문화콘텐츠로서 무용작품 <작침>의 창작과정과 발전방안 연구

        황채은 송원대학교 휴먼산업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3327

        본 연구는 순수예술에 속해 있는 창작 무용작품 <작침>이 가지는 문화콘텐츠의 가능성을 도출하고 세계적 문화콘텐츠로 발전하기 위해 재고되어야 할 요인들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창작 무용작품<작침>이 가지는 문화콘텐츠화의 가능성과 저해하는 문제점을 도출하여 문화콘텐츠화를 위한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무용관련 분야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통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본 연구를 실천하기 위하여 2020년 2월 1일부터 5월 30일까지 4개월 동안에 G광역시와 J도 지역에 거주하면서 창작 무용작품 <작침>에 공연에 참여하였거나, 공연을 관람한 대상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사전에 예비 설문조사(pilot test)의 결과로서 얻어진 의견들을 토대로 7가지의 연구문제를 도출하였으며, 무용과 관련된 학계, 무용관련 업계, 무용계 등 3개의 분야에 소속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배부 및 수집이 진행되었다. 제 1차 개방형 설문조사는 2020년 1월 1일부터 1월 31일까지 109명의전문가 패널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사전설명을 위해 전화통화 이후에 약속시간과 장소를 선정한 다음 방문하여 구체적인 연구 필요성과 목적 및 연구 절차에 대해서 충분히 설명한 후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또한 연구자가 대면조사를 거부하고 비대면 조사를 요청한 경우에는 전화통화 이 후 e-mail을 통해 조사를 진행하였다. 제 2차 설문은 2020년 4월 15일부터 동일한 대상에게 직접 방문 또는 e-mail를 통하여 109부를 발송하였고, 빠른 회수를 위하여 SMS 문자 서비스를 이용하여 회수기간과 유의점을 전문가 패널들에게 전송하였다. 설문지가 회수된 기간은 4월 30일로 총 15일이 소요되었으며 1차 설문지와 같은 109부가 회수되었다. 제 3차 설문지는 총 28부를 5월 15일부터 5월 30일까지 배부 및 수집하였으며, 직접방문과 e-mail을 통해 실시하였다. 회수율은 2차 조사 보다 낮은 최종 회수된 72부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규명하기 위하여 IBM사의 SPSS Ver. 21.0의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델파이 기법을 3회에 걸쳐 전문가들의 의견을 분석하였다. 또한 문화콘텐츠로서 창작 무용작품 <작침>에 대한 전문가들이 인식하는 가능성과 저해요인의 문제점을 분석하기 위하여 빈도분석, 탐색적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분석, 독립표본 t검증,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첫째, 문화콘텐츠로서 <작침>의 가능성에 대한 주요한 요인을 제시하였다. 레퍼토리 측면에서는 한국고유의 독창적 콘텐츠 개발이 가능하기 때문에서 제일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창작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예술장르이기 때문으로 나타났으며, 주제 표현에 때한 다양성이 확보될 수 있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환경 측면에서는 공연예술 시장이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 제일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세계에서 가장 빠른SNS접근성 때문으로 나타났으며, 대중의 문화생활이 증대되고 있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전문성 확보 측면에서는 세계최고 수준의 기량을 가진 한국의 무용수들이 있기 때문이 제일 높게 나타났다.둘째, 문화콘텐츠로서 <작침>의 저해요인 문제점에 대한 주요한 요인을 제시하였다. 국가정책 측면에서는 무용에 대한 국가기관의 관심 부족이 제일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개인 아티스트들의 여건 개선을 위한 지원 부족으로 나타났으며, 문화예술 정책이 대중과 창작자들에게 복지철학으로 접근하는 것이 문제점이라고 나타났다. 사회적 환경 측면으로는 고비용의 무용대학 시스템이 제일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무용단체의 재정적, 사회적 기반이 미약으로 나타났으며, 타 장르에 비해 어렵다는 대중들의 인식이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레퍼토리 측면에서는 감동적 작품의 부재가 제일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독창적 작품 부재, 단발성 공연이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전문가 확보 측면에서는 안무가가 기획, 안무, 연출로 도맡아 하는 1인 시스템 공연이 진행되고 있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문화 산업화를 위한 전문인력 부족으로 나타났으며, 학생들의 관심을 유발할 수 있는 무용교육의 부재가 문제점으로 나타 났다. 셋째, 문화콘텐츠로서 <작침>의 가능성과 저해요인에 대한 성별, 연령별, 전문가 직업별, 무용경력별 인식의 차이를 제시하였다. 성별에 따른 문화콘텐츠로서 <작침> 가능성과 저해요인의 인식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연령에 따른 문화콘텐츠로서 <작침> 가능성과 저해요인의 인식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문가 직업에 따른 문화콘텐츠로서 <작침> 가능성과 저해요인의 인식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용경력별에서는 문화콘텐츠로서 <작침> 가능성의 인식 차이는 없는 것으로나타났고, 문화콘텐츠로서 <작침> 저해요인에서는 레퍼토리와 전문성 확보 및 사회적 환경에서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문화콘텐츠로서 <작침> 저해요인의 인식차이는 국가정책에서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문화콘텐츠로서 창작무용 <작침>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완성도 높은 문화콘텐츠를 생산할 수 있는 국가정책 지원과 교육환경이 조성되길 기대하였다. 또한 이러한 노력으로 창작무용 <작침>이우리 고유의 문화를 간직한 콘텐츠로 성장하여 세계 속에서 성장하는 계기가 마련되길 기대하였다.

      • 무용전공 고등학생들에게 나타난 완벽주의성향이 무용 몰입과 탈진에 미치는 영향

        신성철 서경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33327

        국 문 요 약 무용전공 고등학생들에게 나타난 완벽주의 성향이 무용 몰입과 탈진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무용전공 고등학생들에게 나타난 완벽주의 성향, 무용 몰입, 탈진이 어떠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완벽주의 성향이 무용 몰입과 무용 탈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고자 한다. 나아가, 본 연구는 무용전공 고등학생들의 완벽주의 성향이 무용 몰입과 무용 탈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충청남도 소재 예술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한국무용, 현대무용, 발레 무용전공 고등학생들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다음 유층집락 무선 표집법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여 총 29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법을 실시했다. 연구에 사용된 척도는 완벽주의 성향은 Hewitt Flett(1991)가개발한 MPS를 사용하였고, 무용몰입은 Csikszentmihalvi(1975)이 척도를 이정금, 김선정(2009)이 무용수를 대상으로 타당화 검증을 한 척도를 사용하였고 무용 탈진은 척도는 유현미(2009)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요인분석을 통해 신뢰도와 타당도를 재검토 하였으며, 자료처리 방법으로 통계 프로그램 SPSS 18.0을 이용한 상관관계분석, 단계적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무용전공자들의 완벽주의 성향이 무용몰입, 그리고 무용탈진은 유의한 다차원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1) 무용전공자들의 완벽주의 성향은 무용몰입과 무용탈진의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2. 무용전공자들의 완벽주의 성향이 무용몰입, 그리고 무용탈진 유의한 영향이 나타났다. 1) 완벽주의 성향의 하위요인 중 자기지향 완벽주의 성향은 무용몰입(가치성, 음악성, 일치성)에 유의한 영향이 나타났다. 2) 완벽주의 성향의 하위요인 중 타인지향 완벽주의 성향은 무용몰입(신체성)에 유의한 영향이 나타났다. 3) 완벽주의 성향의 하위요인 중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 성향은 무용몰입(가치성, 음악성, 일치성)에 유의한 영향이 나타났다. 3. 무용전공자들의 완벽주의 성향은 무용탈진에 유의한 영향이 나타났다. 1) 완벽주의 성향의 하위요인 중 자기지향 완벽주의 성향은 무용탈진(의욕상실)에 유의한 영향력을 나타났다. 2) 완벽주의 성향의 하위요인 중 타인지향 완벽주의 성향은 무용탈진(의구심)에 유이한 영향력을 나타났다. 3) 완벽주의 성향의 하위요인 중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 성향은 무용탈진(정서적 고갈, 수행저하, 의욕상실, 의구심)에 유이한 영향력을 나타났다. 4. 무용전공자들은 무용경력(5년 이하, 10년 이하, 10년 이상)별로 완벽주의 성향이 무용몰입, 그리고 무용탈진에 유의한 영향이 나타났다. 1) 5년 이하의 경력을 가진 무용전공 고등학생들에 완벽주의 성향의 하위요인 중 자기지향 완벽주의 성향은 무용몰입(가치성, 음악성, 일치성, 시공성)에 유의한 영향력을 나타났다. 2) 10년 이하의 경력을 가진 무용전공 고등학생들에 완벽주의 성향의 하위요인 중 자기지향 완벽주의 성향이 무용몰입(가시성, 음악성, 일치성)에 유의한 영향이 나타났다. 3) 10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무용전공 고등학생들에 완벽주의 성향의 하위요인 중 자기지향 완벽주의 성향이 무용몰입(가치성, 일치성)에 유의한 영향력을 나타냈으며 타인 지향적 완벽주의는 무용몰입(가치성)에 유의한 영향이 나타났다. 4) 5년 이하의 경력을 가진 완벽주의 성향의 하위요인 중 자기지향 완벽주의 성향은 무용탈진(정서적 고갈, 의욕상실)에 유의한 영향이 나타났으며 타인지향 완벽주의는 무용탈진(의구심)에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 성향은 무용탈진(정서적 고갈)에 유의한 영향이 나타났다. 5) 10년 이하의 경력을 가진 무용전공 고등학생들에 완벽주의 성향의 하위요인 중 자기지향 완벽주의 성향은 무용탈진(의욕상실)에 영향이 나타났으며,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 성향이 무용탈진(의욕상실, 의구심)에 유의한 영향이 나타났다. 6) 10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무용전공 고등학생들에 완벽주의 성향은 무용탈진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완벽주의 성향의 모든 하위요인이 무용탈진(전서적 고갈, 수행저하, 의욕상실, 의구심)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5. 무용전공자들은 콩쿨 참여 및 수상여부는 완벽주의 성향이 무용몰입, 그리고 무용탈진에 유의한 영향이 나타났다. 1) 무용전공 고등학생들의 완벽주의 성향이 콩쿠르에 참여하지 않은 완벽주의 하위요인 중 자기지향 완벽주의 성향만이 무용몰입(일치성 ,시공성, 신체성)에 유의한 영향이 나타났다. 2) 무용전공 고등학생들의 완벽주의 성향이 콩쿠르에 참여하였으나 수상경력이 없는 완벽주의 하위요인 중 자기지향 완벽주의 성향은 무용몰입(가치성, 음악성, 일치성)에 유의한 영향이 나타났다. 타인 지향적 완벽주의는 무용몰입(신체성)에 유의한 영향이 나타났다. 3) 무용전공 고등학생들의 완벽주의 성향이 콩쿠르에 참여하여 수상경력이 있는 완벽주의 하위요인 중 자기지향 완벽주의 성향은 무용몰입(가치성, 음악성, 일치성)에 유의한 영향이 나타났다. 타인지향 완벽

      • 예술중학교 무용전공생들의 재미 및 스트레스 요인이 몰입에 미치는 영향

        장영 서경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3327

        국 문 요 약 예술중학교 무용전공생들의 재미 및 스트레스 요인이 몰입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예술중학교 무용전공생들의 재미 및 스트레스 요인이 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변인간의 상관관계를 다차원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재미 요인(연습과 그 혜택, 유능성 지각, 상급학교 진학, 승리와 경쟁, 개인적 만족, 부모의 지원, 팀 분위기)과 스트레스 요인(실패의 두려움, 시합의 부담, 선후배 사이 갈등, 학업문제 걱정, 부상우려, 경제적 부담, 수행불안)이 몰입(인지몰입, 행위몰입)의 하위요인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소재의 예술중학교에 재학 중인 무용전공 중학생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다음 유층집락 무선 표집법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다.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소재의 5개 예술중학교 무용과 한국무용, 서양무용 무용수를 대상으로 설문검사지법을 실시하였다. 총 236명을 대상으로 전공별 분포는 한국무용 138명, 서양무용 98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에 사용된 척도들은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사용 적합성이 증명 되었으나 기술 분석, 신뢰도 분석, 그리고 요인분석을 통해 신뢰도와 타당도를 재검토 하였다. 자료처리 방법으로 SPSS 18.0을 이용한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기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예술중학교 무용전공생들의 재미(연습과 그 혜택, 유능성 지각, 상급학교 진학, 승리와 경쟁, 개인적 만족, 부모의 지원, 팀 분위기)와 스트레스(실패의 두려움, 시합의 부담, 선후배 사이 갈등, 학업문제 걱정, 부상우려, 경제적 부담, 수행불안)가 몰입(인지 몰입, 행위 몰입)에 유의한 다차원적 상관관계가 있다. 2. 예술중학교 무용전공생들의 재미(연습과 그 혜택, 개인적 만족)가 인지 몰입에 유의한 영향력을 나타내고 있다. 3. 예술중학교 무용전공생들의 재미(연습과 그 혜택, 상급학교 진학, 승리와 경쟁, 개인적 만족)가 행위몰입에 유의한 영향력을 나타내고 있. 4. 예술중학교 무용전공생들의 스트레스(시합의 부담, 수행불안)가 인지 몰입에 유의한 영향력을 나타내고 있다. 5. 예술중학교 무용전공생들의 스트레스(실패의 두려움, 시합의 부담)가 행위몰입에 유의한 영향력을 나타내고 있다.

      • 무용예술단체의 6대륙 지역별, 역사별, 참여빈도별, 관계강도별 SNS 활용 분석

        양유나 서경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3311

        국 문 요 약 무용예술단체의 6대륙 지역별, 역사별, 참여빈도별, 관계강도별 SNS활용 분석 본 연구는 해외 무용예술단체의 SNS(Social Network Service) 활용과 관심에 대한 전반적인 분석을 위해 실시되었다. 해외 무용예술단체의 6대륙 지역별, 유형별 SNS 활용 현황을 조사 하였고, 6대륙 지역별 SNS 활용을 유형별, 역사별, 참여빈도별, 관계강도별 구분기준에 따라 분석 하였다. 또한 역사별 SNS 활용을 유형별, 참여빈도별, 관계강도별 구분 기준에 따라 분석 하였으며, 참여빈도별 SNS 활용을 유형별, 관계강도별 구분기준에 따라 분석 하였다. 관계강도별 SNS 활용을 유형에 따라 분석 하였으며, 역사별, 참여빈도별, 관계강도별 SNS활용을 6대륙 지역별, 유형별에 따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의 대상은 주요 포털 사이트 네이버(NAVER)와 구글(Google), balletcompanies(Dick Heuff 가 1998년 설립)가 제공하는 전 세계 6대륙 87개국 국·공립, 사설, 개인 무용예술단체 총 3,501개의 대상으로 하였다. 각 무용단의 웹사이트를 방문해 홈페이지의 메인 화면에 SNS 표시 여부에 따라 SNS를 운영 중인지를 판단하였다. 그 중 SNS를 1개라도 운영하는 532개의 단체를 선정하여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 기간은 2012년 5월에서 10월, 총 6개월로 참여빈도별 분석과 관계강도별 증가 수를 알기 위해 1개월에 한번 532개 단체의 SNS를 방문해 게시글 수와 회원 수의 변화를 조사 하였다. 6대륙 지역별, 역사별, 참여빈도별, 관계강도별 구분기준에 따른 분석은 10월 13일 최근의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 해외 무용예술단체의 6대륙 지역별, 유형별 SNS활용 현황은 대륙별, 유형별로 차이가 있었다. 1) 6대륙 지역별 SNS 활용 현황은 대륙별로 차이를 보였다. 6대륙 중 북아메리카 대륙의 무용예술단체가 SNS를 가장 많이 활용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프리카 대륙의 무용예술단체가 SNS을 가장 적게 활용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유형별 SNS활용 현황은 3개의 SNS 중 페이스북을 사용하는 단체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투브를 사용 하는 단체가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2. 해외 무용예술단체의 6대륙 지역별 SNS 활용을 유형별, 역사별, 참여빈도별, 관계강도별 구분기준에 따라 분석한 결과 구분 기준별로 차이를 보였다. 1) 유형에 따른 분석은 3개의 SNS 중 2개의 채널을 사용 하는 단체가 가장 많았으며, 그 중 페이스북을 가장 선호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역사별 구분기준에 따른 분석은 오세아니아 대륙의 SNS 사용기간이 가장 긴 것으로 나타났으며, SNS 평균 사용기간이 3년 이상 으로 나타났다. 3) 참여빈도별 구분기준에 따른 분석은 북아메리카 대륙의 참여빈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프리카 대륙 무용예술단체의 참여빈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4) 관계강도별 구분기준에 따른 분석은 북아메리카 대륙의 관계강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프리카 대륙의 관계강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3. 해외 무용예술단체의 역사별 SNS활용을 유형별, 참여빈도별, 관계강도별 구분기준에 따라 분석한 결과 구분 기준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 유형에 따른 분석은 3개의 SNS 중 유투브가 가장 먼저 사용 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용기간도 가장 긴 것으로 나타났다. 2) 참여빈도별 구분기준에 따른 분석은 SNS 사용기간이 평균(3년) 이상인 223단체 중 참여빈도가 높은 단체는 25단체(11%)로 참여빈도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3) 관계강도별 구분기준에 따른 분석은 SNS 사용기간이 평균(3년) 이상인 223단체 중 관계강도가 높은 단체는 23단체(11%)로 관계강도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4. 해외 무용예술단체의 참여빈도별 SNS 활용을 유형별, 관계강도별 구분 기준에 따라 분석한 결과 구분기준별로 차이가 나타났다. 1) 유형에 따른 분석은 3개의 SNS 중 트위터의 참여빈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투브의 참여빈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 관계강도별 구분기준에 따른 분석은 참여빈도가 높은 33단체 중 관계강도가 높은 단체는 14단체(44%)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 해외 무용예술단체의 관계강도별 SNS활용을 유형에 따라 분석한 결과 유형별로 차이를 보였다. 3개의 SNS 중 페이스북의 관계강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투브의 관계강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6. 해외 무용예술단체의 역사별, 참여빈도별, 관계강도별 SNS 활용을 6대륙 지역별, 유형별 구분 준에 따라 분석한 결과 구분 기준별로 차이를 보였다. 1) 6대륙 지역별 구분기준에 따른 분석은 북아메리카 대륙의 무용예술단체 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대부분의 단체가 발레단체 인 것으로 나타났다. 2) 유형에 따른 분석은 페이스북의 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투브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SNS utilization analysis as per six continental areas, history, frequency of participation and strength of relationship aimed at Dance arts organizations Yang, Yuna Major in Dance Art Graduate School Seo-Kyeong University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overall analysis for the interests and uses of SNS (Social Network Service) of the overseas dance arts organizations. I researched the current SNS utilization situation of the overseas Dance arts organizations as per six continental areas and types. Then I analyzed the SNS utilization of each six continental area as per the classification standards of types, frequency of participation and strength of relationship. I also analyzed the SNS utilization of history depending on the classification standards of types, frequency of participation and strength of relationship and analyzed the SNS utilization of frequency of participation as per the classification standards of types and strength of relationship. I also analyzed the SNS utilization of strength of relationship as per the classification standards of types, and analyzed the SNS utilization of history, frequency of participation and strength of relationship as per the classification standards of six continental areas and typ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otal 3,501 of countries, public, private and personal dance arts organizations in 87 countries on six continents provided by the major portal sites NAVER, Google, and ballet companies (established in 1998 by Dick Heuff). I visited each web site of dance company and judged whether each dance company operates SNS or not depending on the display of SNS on its main screen. I selected 532 organizations which operate at least one SNS, and included them in this study. The period of survey was total six months from May to October 2012 and for the analysis of frequency of participation and strength of relationship, I visited each web site of 532 organizations once a month and researched the number of posts and members changed. The analysis as per six continental areas, history, frequency of participation and strength of relationship was based on the recent data on Oct 13 and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1. The SNS utilization status as per six continental areas and types of overseas dance arts organizations vary from each continent and type. 1) The SNS utilization status as per six continental areas differed depending on the continents. Among six continents, it showed that dance arts groups of the North American continent took advantage of SNS the most and dance arts groups of the Africa continent the least. 2) Among three types of SNS, the SNS utilization status as per types showed that FACEBOOK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by organizations and YouTube the fewest. 2.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the overseas dance arts organizations' SNS utilization status of six continental areas as per types, history, frequency of participation and strength of relationship, there was difference from classification standards. 1) For the analysis of types, most organizations used two channels of three SNS and FaceBook was their favorite. 2) For the analysis of history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standard, the period of using SNS in Oceania continent was the longest and it appeared that the period of using SNS was over three years in all five continents except Africa. 3) For the analysis of frequency of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standard, it showed that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on the North America was the highest and frequency of participation on Africa was the lowest. 4) For the analysis of strength of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standard, the North American continent showed the highest strength of the relationship and the African continent the lowest. 3.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the overseas dance arts organizations' SNS utilization status of history as per types, frequency of participation and strength of relationship, there was difference from classification standards. 1) According to the type of analysis, it showed that YouTube was the first used SNS among three SNS and the period of using YouTube was the longest. 2) For the analysis of frequency of the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standard, it was not high as 25 of groups (11%) among 223 organizations which had a period over 3(average) years of using SNS had a high frequency of participation. 3) For the analysis of strength of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standard, it was not high as 23 of groups (11%) among 223 organizations which had a period over 3(average) years of using SNS had a high strength of relationship. 4.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the overseas dance arts organizations' SNS utilization status based on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as per types and strength of relationship, there was difference from classification standards. 1) Among 3 types of SNS, the SNS utilization status as per types showed that Twitter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by organizations and YouTube the fewest. 2) For the analysis of strength of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standard, it was high as 14 groups of 33 organization showed the high strength of relationship. 5.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the overseas dance arts organizations' SNS utilization status based on the strength of relationship, there was difference from each type. Among three SNS, the strength of relationship of FaceBook was the highest and YouTube was the lowest. 6.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the overseas dance arts organizations' SNS utilization status based on the history, frequency of participation and strength of relationship, as per six continental areas and types, there was difference from classification standards. 1) According to the analysis as per six continental areas, it showed that the greatest numb

      • 무용멘토링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홍지현 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3311

        국 문 요 약 무용멘토링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무용전공 고등학생들과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무용 수준별, 무용 능력별, 무용 경력별에 따라 무용멘토링,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이 어떠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무용멘토링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무용 수준별(고등학생, 대학생), 무용 능력별(콩클 안나감, 콩클 나가고 수상 못함, 수상함), 무용 경력별(1-5년 미만, 5년 이상)에 따라 무용멘토링(역할모델, 수행지도, 정신적 지원, 사회적 지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자기평가, 직업정보, 목표설정, 미래계획, 문제해결), 진로준비행동(정보수집활동, 필요한 도구를 갖추는 활동, 설정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실천적 노력)이 어떠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지를 규명하였다. 변인간의 상관관계를 다차원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나아가 무용멘토링 하위요인(역할모델, 수행지도, 정신적 지원, 사회적 지원)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기 위한 연구의 대상은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소재의 예술 고등학교와 대학교에 재학 중인 무용전공자를 모집단으로 설정한 다음 유층집락 무선표집법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다. 서울특별시, 경기도에 소재한 3개의 예술 고등학교와 3개의 대학무용학과 무용 전공자를 대상으로 설문검사지법을 실시했다. 총 472명을 대상으로 무용 수준별 분포는 고등학생 223명, 대학생 249명, 무용 능력별 분포는 콩클 안나감 103명, 콩클 나가고 수상 못함 221명, 수상함 148명이다. 또한, 무용 경력별 분포는 1-5년 미만은 225명, 5년 이상은 247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에 사용된 척도들은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사용 적합성이 증명되었으나 기술분석, 신뢰도 분석, 그리고 요인분석을 통해 신뢰도와 타당도를 재검토 하였다. 자료처리 방법으로 SPSS 18.0을 이용한 MANOVA분석,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무용전공 고등학생들과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수준별 집단(고등학생, 대학생)에 따른 무용멘토링(역할모델, 사회적 지원, 정신적 지원, 수행지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자기평가, 직업정보, 목표설정, 미래계획), 진로준비행동(정보수집활동, 필요한 도구를 갖추는 활동, 설정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실천적 노력)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1) 수준별에 따른 무용멘토링은 역할모델, 정신적 지원, 사회적 지원, 수행지도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고등학생이 대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2) 수준별에 따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직업정보, 목표설정, 미래계획, 자기평가의 하위요인에서 고등학생이 대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3) 수준별에 따른 진로준비행동은 설정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실천적 노력, 정보수집활동, 필요한 도구를 갖추는 활동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고등학생이 대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2. 무용전공 고등학생들과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능력별 집단(콩클 안나감, 콩클 나가고 수상 못함, 수상함)에 따른 무용멘토링(역할모델, 사회적 지원, 정신적 지원, 수행지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자기평가, 직업정보, 목표설정, 미래계획)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진로준비행동(정보수집활동, 필요한 도구를 갖추는 활동, 설정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실천적 노력)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1) 능력에 따른 무용멘토링 사후분석(Scheff) 결과 역할모델, 정신적 지원 요인에서는 콩클에 참여하여 수상한 무용수들이 콩클에 참여 안한 무용수보다 높게 나타났고, 콩클에 참여하고 수상 못한 무용수가 콩클에 참여 안한 무용수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평균점수상으로는 콩클에 참여하여 수상한 무용수가 콩클에 참여 하고 수상 못한 무용수보다 높은 평균을 보이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사회적 지원 요인에서는 콩클에 참여하여 수상한 무용수가 콩클에 참여하고 수상하지 못한 무용수와, 콩클에 참여 안한 무용수보다 높게 나타났고, 수행지도 요인에서는 콩클에 참여하여 수상한 무용수가 콩클에 참여 안한 무용수보다 높게 나타났다. 2) 능력별에 따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하위요인별 평균에서는 직업정보, 목표설정, 미래계획, 자기평가 요인에서 콩클에 참여하여 수상한 무용수가 콩클에 참여하고 수상 못한 무용수보다 높게 나타났다. 3. 무용전공 고등학생들과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경력별 집단(1-5년 미만, 5년 이상)에 따른 무용멘토링(역할모델, 사회적 지원, 정신적 지원, 수행지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자기평가, 직업정보, 목표설정, 미래계획, 문제해결), 진로준비행동(정보수집활동, 필요한 도구를 갖추는 활동, 설정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실천적 노력)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4. 무용전공 고등학생들과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무용멘토링(역할모델, 사회적 지원, 정신적 지원, 수행지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자기평가, 직업정보, 목표설정, 미래계획, 문제해결), 진로준비행동

      • 무용 진로개발역량 지표 개발

        김민지 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3311

        본 연구는 무용전공자의 자기주도적인 진로개발을 위한 무용 진로개발역량 지표를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진로개발역량관련 문헌연구 및 심층면담을 통해 무용전공자의 진로개발역량 특성을 탐색하고 이를 토대로 예비지표를 개발하여 무용지도자들에게 무용 진로개발역량 지표의 타당성을 검증 하였다. 무용 진로개발역량 지표 개발을 위한 연구절차는 크게 요인탐색, 지표설정, 지표의 타당화 단계로 구분되었으며,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 심층면담,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먼저, 문헌고찰을 실시하였으며, 심층면담은 4년제 대학교 무용과 재학생 중에서 학업성적 및 실기수행능력이 우수한 재학생 5명, 졸업생 4명을 대상으로 2016년 6월부터 8월까지 2개월에 걸쳐 개방형 질문 및 반구조화면담을 사용하여 이루어졌다. 델파이 조사는 전문가들로 부터 지표에 대한 각 요인의 타당성을 판정하게 하였고, 무용 진로개발역량 행동지표의 중요도와 필요도를 각 Likert 5점 척도로 분석하였다. 또한, 무용 진로개발역량을 도출하기 위해 질적연구 경험이 있는 전문가협의를 구성하여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된 자료는 유사한 의미로 나타난 자료들의 범주화와 분리를 위해 3명의 무용 및 교육관련 전문가의 검증을 실시하였다. 전문가들의 논의와 협의를 통해 지표의 각 영역과 역량요소 그리고 세부내용을 범주화 하였다. 각 영역별 내용이 적절하게 포함되었는지 검토하여 유사한 내용을 통합시키고, 부적절한 내용은 제외 시켰다. 연구결과 문헌연구와 심층면담을 통하여 도출된 무용 진로개발역량은 5개의 역량요소(자기이해, 자기관리, 직업이해, 진로탐색, 진로계획), 15개의 하위역량(개인의 특성, 개인의 흥미, 가치관 이해, 신체관리, 경력관리, 학업관리, 긍정적 자아관리, 대인관계관리, 변화에 대한 이해와 수용, 전공이해, 직업지식, 직업정보탐색, 직장구조탐색, 진로의사결정, 목표설정), 71개의 행동지표로 구성되었다. 이를 토대로 예비지표를 개발하여 델파이 조사를 통해 최종적인 무용 진로개발역량 지료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최종 무용 진로개발역량 지표는 2개의 영역(자기이해 및 관리, 직업이해 및 지식), 5개의 역량요소(자기이해, 자기관리, 직업이해, 진로탐색, 진로계획), 15개의 하위역량과 그에 따른 64개의 행동지표로 구성되었다. 자기이해 및 관리 영역은 자기이해와 자기관리로 구분되며, 가장 중요한 역량은 ‘개인의 흥미’와 ‘신체관리’로 나타났으며, 이어 ‘개인의 특성’, ‘긍정적 자아관리’, ‘대인관계관리’, ‘학업관리’, ‘경력관리’, ‘가치관 이해’ 순으로 나타났다. 직업이해 및 지식 영역은 직업이해와 진로탐색 그리고 진로계획에서 가장 중요한 역량으로 ‘전공이해’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직업정보탐색’과 ‘직장구조탐색’, ‘진로의사결정’과 ‘목표설정’,‘변화에 대한 이해와 수용’, ‘직업지식’순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무용 진로개발역량 지표를 개발함으로써 무용전공자가 스스로 실천할 수 있는 진로개발 행동에 도움이 될 것이다. 즉, 무용전공자가 본 연구의 진로개발역량 지표를 토대로 진로개발역량을 체득하여 주도적으로 자신의 진로개발과 진로를 결정하는 역량이 증대될 것이며 이러한 역량을 통해 무용전공자의 진로 다양성이 확보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