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간호학과 학생들의 DISC행동유형별 전공만족도 및 직업선호도 분석

        김보람 광주교육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9743

        본 연구는 간호대학 학생들의 DISC행동유형에 따른 전공만족도와 직업선호도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G광역시 소재의 간호학과 1학년 205명을 대상으로 한국교육컨설팅 연구소의 DISC행동유형 진단지를 사용하였고, 전공만족도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전공만족도 6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직업선호도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직업선호도 4문항 및 그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토대로 현재 및 미래의 간호학과 대학생들이 진로를 선택함에 있어 기초가 되는 개인별 성향을 파악하여 다양하고 구체적인 직업 환경을 제시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었다. 이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간호학과 대학생의 DISC행동유형 분포를 알아본 결과 I행동유형이 가장 높았다. 둘째, 세 대학교에 따른 DISC행동유형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직장과 예절이라는 수업이 필수 교양과목으로 지정된 B대학교의 경우, I행동유형 빈도가 가장 높았다. 셋째, DISC행동유형에 따른 전공만족도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I행동유형이 전공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넷째, DISC행동유형에 따른 직업선호도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직업선호도 중 하위요인인 명예에 대한 선호도는 D행동유형이 가장 높았고, 적성과 흥미에 대한 선호도는 I행동유형, 안정성 및 발전성에 대한 선호도는 C행동유형, 근무 환경에 대한 선호도는 I행동유형이 가장 높았다. 간호학과 학생들 중 I행동유형이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고, 이는 앞으로 많은 환자들을 응대해야 하고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직업인만큼 사람관계를 중요시 하는 I행동유형의 비율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간호학과 학생들 중 낮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D 행동유형과 C 행동유형 같은 경우, 권위적이고 혼자 연구하는 성향을 보이기 때문에 환자들을 상대해야 하는 간호사라는 직업이 성향과 맞지 않아 그런 결과가 나온 것으로 보여 지며,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사람과의 관계에 대한 소통교육이나 화법에 대한 교육의 병행이 필요할 것으로 보여진다. 본 연구를 통해 개인의 성향에 따른 전공만족도와 직업만족도에 나타나는 특성을 알 수 있었고, 진로결정에 있어서 행동유형 검사 및 진로상담을 통해 개인의 행동유형에 따른 체계적이고 다양한 직업 환경을 제시하고, 개인의 관심과 성격, 능력에 맞는 진로 탐색이 필요하다.

      • 예술 고등학교 음악과 학생의 자아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관한 연구

        김양미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727

        이 연구는 예술고등학교 음악과 학생들의 여러 가지 배경변인에 따른 자아효능감과 진로성숙도의 차이를 알아보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예술 고등학교로 조기 진로를 결정한 학생들의 진로, 전공, 진학에 관한 스트레스와 학업성적에 관한 고민을 구체적으로 알아봄으로써 예술계 고등학생의 진로 지도를 위한 경험적인 자료를 예술 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교육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로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광주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G예술 고등학교 음악과 학생 101명을 대상으로 하며, 자기효능감검사와 2001년 한국직업능력 개발원에서 개발한 진로성숙도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과 학생의 배경변인에 따른 자아효능감의 차이는 성별에 따라 목표선택과 미래계획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반면, 직업정보에서는 통계적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음악과 학생의 배경변인에 따른 자아효능감의 차이는 학년에 따라 목표선택과 직업정보는 학년에 따른 자아효능감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반면, 미래계획은 유의수준 .001에서 학년에 따른 음악과 학생들의 자아효능감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전공에 따른 자아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업성적에 따라 직업정보에서는 상위권 학생들이, 미래계획에서는 중위권 학생들의 평균이 높게 나타났으나, 다른 집단과의 차이의 폭이 .03 ~ .09로 크지 않았다. 넷째, 음악전공 학생들의 변인에 따라 진로 성숙도는 성별, 학년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학년에 따라 하위요인 중에서 계획성, 자기이해는 유의수준 .001에서, 진로 준비 행동은 유의수준 .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다섯째, 전공, 학업성적에 따른 진로성숙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세 집단의 전공, 학업성적에 따른 진로성숙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학업성적이 상위권에 속한 학생들의 평균이 다른 집단의 학생들보다 더 높았다. 또한 진로성숙도 하위요인들의 결과에서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여섯째, 음악과 학생들의 자아효능감의 하위요인과 진로성숙도의 구성요소 간의 상관관계를 산출한 결과 먼저, 목표선택은 미래계획, 자아효능감, 정보탐색 및 합리적 의사결정, 선호직업에 대한 지식, 진로준비 행동, 진로성숙도와 높은 정적 상관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업정보는 자아효능감과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고 진로성숙도와도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미래계획도 역시 자아효능감과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에 의해 연구자가 조작적으로 정의한 배경적변인들, 성별, 학년, 전공, 진학동기, 부모의 교육수준, 가족구성원 중 음악전공여부, 전공실기와 학업성적에 대한 자신감에 따른 진로성숙도에서는 부분적인 차이가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앞으로 이 연구 결과가 예술 고등학교 학생들은 효과적인 진로교육이 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대상을 확보하여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 검사뿐만 아니라 음악과 관련된 직업교육, 직업에 관한 다양한 검사 즉 직업흥미검사, 직업적성검사, 그 밖에 여러 가지 성격검사도 실시한다면 예술고등학교 음악전공 학생들의 효과적인 진로지도교육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특성화고등학교 파견형 현장실습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윤숙 광주교육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광주지역 특성화고등학교 파견형 현장실습 현황을 항목별로 분석하고 계열별 차이와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를 하게 되었다.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연구 등을 기초로 특성화고등학교 파견형 현장실습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현장실습의 법적 근거 등을 조사하였다. 둘째, 전공연관성, 취업형태, 연봉수준, 표준직업분류, 파견시기 등을 계열별로 분류하고 2차 조사연구 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특성화고등학교 현장실습에 대한 문제와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소재 13개 특성화고등학교 2016학년도 졸업생 가운데 2017년 2월 1일 기준 취업자 1,584명을 대상으로 조사 연구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와 전공연관성 분석결과 상업정보 계열과 공업 계열의 전공연관성은 평균보다 높게 나타난 반면, 가사실업 계열과 농생명 계열은 매우 낮은 일치도를 보였다. 계열별 학과의 격차도 확인되었다. 상업정보 계열 학과에서는 비서사무서비스과의 일치율이 가장 낮았으며 공업계열 학과에서는 건축인테리어과의 일치율이 가장 낮게 분석되었다. 농생명 계열에서 전공일치도가 가장 낮은 학과는 식물과학과였으며, 가사⋅실업 계열에서 전공일치도가 가장 낮은 학과는 간호학과였다. 둘째, 계열별 취업형태를 분석한 결과 중소기업, 공공기관, 대기업, 부사관 순으로 취업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기관에 가장 많은 취업을 한 계열은 상업정보 계열, 농생명 계열, 공업 계열 순이며, 가사실업 계열은 공공기관 배출자가 없었다. 대기업에 가장 많은 취업을 한 계열은 농생명 계열, 상업정보 계열, 공업계열, 가사실업 계열 순이였다. 농생명 계열의 대기업 배출자가 많은 이유는 전공에 따른 관광호텔 조리 종사원, 대기업 프렌차이즈 음식 종사원으로 취업한 사례가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부사관에 가장 많은 취업을 한 계열은 공업 계열, 가사실업 계열 순이며, 상업정보 계열과 가사실업 계열에서는 배출자가 없었다. 셋째, 파견형 현장실습의 연봉수준은 상업정보 계열과 공업 계열, 농생명 계열은 제2구간(1,500~1,700미만)의 분포가 가장 많았으며, 가사실업 계열은 제1구간(1,500미만)의 분포가 93%를 차지하고 있었다. 또한, 가장 고액 구간(2,900~3,100미만)은 상업정보 계열 3명, 공업 계열 4명이 취업을 했으며, 농생명 계열과 가사실업 계열은 배출자가 없었다. 넷째, 계열별 표준직업분류 분석결과, 상업정보 계열은 사무원 종사자가 가장 많았으며, 공업계열은 제조관련 종사원을 포함한 기계조작, 제품 조립원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농생명 계열은 양식 주방장 및 조리사, 제빵원 순이였으며, 가사실업 계열은 미용사, 기계조작원 순으로 종사 하고 있었다. 다섯째, 파견시기는 광주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지침에(2010)에 의하면 ‘3학년 2학기 1차 중간고사 후 매년 10월 1일 부터 실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고 명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상업정보 계열은 가장 빠른 5월부터 조기취업이 행해지고 있었으며 공업계열 7월, 농생명 계열 9월, 가사실업 계열 8월부터 실시되고 있었다. ‘싼 임금으로 부릴 수 있는 고졸’이라는 인식을 떼어내기 위해서는 과거의 낡은 사고에서 벗어나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걸맞는 창의적인 학습권을 보장받을 때 우리 특성화고 학생들은 산업의 진정한 주역으로 성장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진정한 교육의 현장실습이 최저임금요구가 아닌 정당한 연봉협상테이블로 우리 학생들을 인도해 줄 것이다.

      • 대학생 취·창업 비교과 프로그램 요구분석

        김진희 동덕여자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11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에서 대학은 취업률 감소와 미래에 변화될 직업을 대비하고 있으며 인재 양성 방법에 대한 끊임없는 고민을 통해 다각화된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을 보여주는 프로그램이 바로 비교과 프로그램이다. 대학에서는 다양한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으며, 정부는 비교과 프로그램을 통해 대학생들의 역량 증진과 사회경제 활성화를 위해 2018년 이전부터 재정적 지원을 시행하고 있다. 이러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대학생의 취·창업 역량 증진을 위한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인 개발이나 운영이 미흡하며, 관련 연구 또한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취·창업 역량 증진을 위한 비교과 프로그램의 기존 교육내용을 확인하고 교육요구를 도출하였다. 연구절차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1단계, 취·창업 비교과 프로그램의 세부 교육내용을 도출하기 위해서 선행연구와 실제 운영사례를 분석하였다. ‘취업’에서는 3단계, 30개의 교육내용을 도출하였으며, ‘창업’에서는 3단계, 21개의 교육내용을 도출하였다. 2단계, 도출한 교육내용을 토대로 설문에 임하기 전 9명의 전문가 패널을 대상으로 2차례의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1차 전문가 델파이 조사는 2022년 3월 15일부터 3월 21일 총 7일간 실시되었고, 2차 전문가 델파이 조사는 2022년 4월 6일부터 4월 9일 총 4일간 실시되었다. 내용타당도(CVR)검증을 실시하여 유사한 내용은 통합하고 교육내용의 하위 범주를 변경하였으며, 관련성이 적은 내용은 삭제하는 과정을 거쳤다. 최종적으로 ‘취업’에서는 3단계, 27개의 교육내용을 도출했으며, ‘창업’에서는 3단계, 22개의 교육 내용을 최종 도출하였다. 3단계, 본 조사를 실시하기 전에 대학생 6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각 문항을 읽고 모르는 용어나 이해가 어려운 문항에 표시하고 이유를 작성하도록 하여 최종적으로 문항을 수정하였다. 4단계, 2022년 4월 13일부터 4월 23일 총 11일간 설문을 실시하여 232명의 유효한 연구대상을 확보했다. 수집된 내용을 토대로 -검정, Borich 요구도 분석, Locus for Focus Model을 통한 요구분석을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Borich 요구도의 상위 1/3에 해당하는 교육내용과 The Locus for Focus Model을 통해 현재수준과 필요수준의 차이가 높은 영역인 HH분면에 속한 취·창업 교육내용의 중복 여부를 확인하여 우선순위를 선정하였다. 해당 절차를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를 종합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 비교과 프로그램의 경우, 취업활동에 있어서 면접과 관련된 교육과 자기소개서 및 포트폴리오 작성과 관련된 교육 요구가 가장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교육에서 그치는 일회성 교육이 아닌 실습 과정과 컨설팅이 포함된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취업 단계별 요구분석을 통해 우선순위를 확인하여 학년별 필요 교육내용을 도출하였다. 단계에 따라 도출된 교육내용을 종합하여 학년별 수준에 맞는 교육계획을 수립한다면 효과적이고 질적인 취업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취업 비교과 프로그램 교육내용과 관련된 선행연구 조사 과정에서 가장 많이 제시된 교육내용과 요구분석을 통해 도출된 교육내용이 비슷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현재 대학생에게 제공되는 취업 교육내용에 대한 방향성은 맞으나 교육내용에 필요한 내용이 포함되어있지 않거나, 많은 학생이 교육에 대한 혜택을 받지 못하여 활성화가 되지 않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따라서 주기적으로 요구분석을 실시하여 실제 필요한 교육내용을 파악하고 효율적인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넷째, 창업 비교과 프로그램의 경우, 창업 활동에 있어서 투자유치전략과 사업 제안서·프레젠테이션 작성법과 관련된 교육 요구가 가장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취업 비교과 프로그램과 마찬가지로 실습 과정을 거치고 컨설팅을 받을 수 있는 교육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 또한, 창업을 희망하는 학생을 위한 자발적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창업 단계별 요구분석을 통해 우선순위를 확인하여 학년별 필요 교육내용을 도출하였다. 단계에 따라 도출된 교육내용을 종합하여 학년별 수준에 맞는 교육계획을 수립한다면 효과적이고 질적인 창업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여섯째, 창업 비교과 프로그램 교육내용과 관련된 선행연구 조사 과정에서 가장 많이 제시된 교육내용과 요구분석을 통해 도출된 교육내용이 매우 다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대학에서 제공하는 창업 비교과 프로그램 교육내용의 방향성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창업 교육에 관한 지원과 연구가 새로이 진행되어야 하며, 교육을 개편하고 대학생에게 필요한 교육을 알맞게 제공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대학생을 위한 취·창업 비교과 프로그램에 필요한 교육내용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실제 필요한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요구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교육내용 중 무엇을 최우선으로 반영해야 할 것인지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체계적이고 고도화된 대학 내 취·창업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에 일조할 수 있을 것이며, 궁극적으로 대학생 취·창업 역량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In a rapidly changing society, colleges are preparing for reduction in employment rate and jobs that have changed in the future and developing diversified curriculum through consistent consideration of the method of cultivating talents. Such effort is demonstrated by extracurricular programs. Colleges provide various extracurricular programs, and the government has been carrying out financial support ever since before 2018 for enhancing the competence of college students and social economy activation through such extracurricular programs. Regardless of such interest, there is a lack of systematic development or operation regarding the extracurricular programs to enhance the employment and entrepreneurship competence of college students, and also, currently there is insufficient research on this. Therefore, this research confirmed the initial education details of the extracurricular programs for enhancing the employment and entrepreneurship competence of college students and drew the educational needs. Stage 1, The preceding research and actual operation cases were analyzed in order to deduce detailed content of employment and entrepreneurship extracurricular programs, and 3 stages and 30 educational content were drawn for “employment,” while 3 stages and 21 education content were drawn for “entrepreneurship.” Stage 2, Prior to the survey based on the drawn educational content, a professional delphi survey was executed with 9 professional panels as the subject. The first professional delphi survey was executed for a total of 7 days from March 15, 2022 to March 21, 2022, and the second professional delphi survey was executed for a total of 4 days from April 6, 2022 to April 9, 2022. A content validity ratio (CVR) verification was executed to integrate similar content and change the subcategories of educational content, and the process of deleting content of little relevance was taken. Ultimately, 3 stages and 27 educational content were drawn for “employment,” and 3 stages and 22 educational content were drawn for “entrepreneurship.” Stage 3, A preliminary investigation was executed with 6 college students as the subject prior to executing this investigation. They were made to read each question, mark any that they found difficult to understand or did not know the meaning of, indicate the reason, and the questions were finally modified. Stage 4, A survey was executed for a total of 11 days from April 13, 2022 to April 23, 2022, and 232 persons of effective research subject were secur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a requirement analysis was executed through the -test, Borich Needs Assessment Model, Locus for Focus Model. Ultimately, redundancies in entrepreneurship and employment educational content part of the HH quadrant, with high level of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level and necessary level, were checked through the educational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op 1/3 of the Borich Needs Assessment Model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to select the order of priority. The overall research result drawn through the applicable procedures is as follows. First of all, in terms of the employment extracurricular program, the highest need was for education related to interview in employment activity and education related to completing one’s CV and portfolio. It seems that not one-time education but education that includes actual practice process and consulting is necessary. Secondly, the educational need for each class year was drawn by looking at the priority order through the requirement analysis per employment stage. An effective and qualitative employment extracurricular program can be provided if an educational plan for each level of class year is established by integrating the educational content drawn for each stage. Thirdly, the educational content most presented in the preliminary investigation process regarding the employment extracurricular program educational content and the educational content drawn through the requirement analysis revealed to be similar. It can be inferred that activation is prevented due to the fact that while the employment educational content provided to college students currently is in the right direction, it lacks the required content, or many students not being able to receive the benefits of education. Therefore, the educational content that is actually necessary should be identified through a regular requirement analysis, and measures for operating an efficient extracurricular program should be sought. Fourthly, in terms of the entrepreneurship extracurricular program, the highest need was for education related to investment attraction strategy and business proposal and presentation preparation methods. As with employment extracurricular program, education that includes actual practice process and consulting should be presented. Also, education that can encourage voluntary participation for students wishing to start a business seems to be necessary. Fifth, the necessary educational content was drawn for each class year by checking the priority order through the requirement analysis for each stage of starting a business. An effective, qualitative entrepreneurship extracurricular program can be provided if an educational plan according to the level of each class year is established by integrating the educational content drawn for each stage. Six, the educational content most presented in the preliminary investigation process regarding the entrepreneurship extracurricular program educational content and the educational content drawn through the requirement analysis reveale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This demonstrates that the direction of the entrepreneurship extracurricular program provided by colleges is quite different. Therefore, support and research regarding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 should be newly proceeded with, and education should be re-established to make effort to provide education that accommodates college students. This research identified the educational content necessary for the employment and entrepreneurship extracurricular programs for college students and executed a requirement analysis to provide education that is actually needed. Through this, the educational content that should be prioritized for application was made specific and clarified. This research result can contribute to the systematic and advanced operation of employment and entrepreneurship extracurricular programs of colleges, and eventually it is expected to positively affect the enhancement of employment and entrepreneurship competence of college student.

      • 대학교육에 있어서 메타버스 활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이주현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11

        디지털화와 정보통신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은 제4차 산업혁명을 불러왔고, 2020년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기 시작한 코로나 19의 등장과 함께 우리 삶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가장 큰 변화 중 하나는 많은 부분에서 대면 방식으로 이루어지던 의사소통이 비대면 방식의 의사소통으로 전환되었다는 것이다. 교육 분야 역시 이러한 비대면 방식으로 전환되었고, 이러한 방식을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을 적극적으로 모색하고 활용하게 되었다. 코로나 19 발생 직후 대부분의 교육기관은 방역 당국의 거리 두기 지침과 연계하여 학사운영을 이어나가 2020학년도부터 ‘전면적 원격수업’을 실시하게 되었다. 전염병 차단을 위해 비대면 수업이 교육의 새로운 표준이 되었고 이를 ‘뉴-노멀(New Normal)’이라 하여 교육의 디지털 전환은 더욱 가속되었다. 대학의 전면적 원격수업은 각 대학이 구축한 학습관리시스템(LMS)에서 동영상 녹화수업과 실시간 화상 수업으로 구분되어 진행되었다. 초기 비대면 수업의 진행은 기술적 문제가 많았지만 2년 동안 지속되면서 강의 질에 대한 문제점과 상호작용 부재의 문제점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런 비대면수업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대안 중 하나로 메타버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메타버스란 사전적 정의로는 ‘초월’을 의미하는 ‘메타(Meta)’와 ‘세계’, ‘우주’를 의미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로 현실 너머의 초월 세상을 말한다. 메타버스는 자유도, 정체성, 수익화라는 개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미국의 비영리 기술연구단체인 ASF는 메타버스를 증강현실, 거울세계, 가상세계, 라이프로깅으로 구분하였다. 교육에서의 메타버스 활용은 순천향대학교, 건국대학교, 한성대학교 등 여러 대학에서 메타버스를 도입하여 교과, 비교과, 행사에 이용하고 있다. 산업에서의 메타버스는 현대자동차, 엔터테인먼트. 패션 등 여러 분야에서 마케팅의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육에서 효과적인 학습자 중심의 메타버스 활용을 위한 기초적인 탐색을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D 대학에 재학 중인 재학생의 인식을 설문으로 알아보고, 이를 기초로 한 바람직한 활용방안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설문조사는 2022년 6월 17일부터 24일까지 진행되었고, 총 13문항, 80명의 재학생이 응답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는 메타버스를 접한 경로는 미디어가 57%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자신의 메타버스 활용 능력에 대한 인식은 단어를 들어본 적 있으나 정확히 잘 모르는 입문단계가 5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메타버스 활용 가능성에 대한 인식은 42%가 보통이라고 인식하고 있었고, 학습에서 적절한 활용 방법은 수업 내용 전달을 위한 보조도구로 사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5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메타버스 활용 수업의 적절한 인원 규모는 30명 미만이 37.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이유는 30명 이상은 통제성이 약화되어 수업운영이 어려워 질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메타버스 활용 수업에 적합한 교수법에 대한 인식으로는 42%가 토론식 수업이 적절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메타버스 활용 수업의 장점으로는 시공간 제약 해소가 36%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단점으로는 실재감 부족이 3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지속적인 메타버스 활용에 대한 인식은 56%가 보통이라고 응답했으며, 대학에서의 지원사항은 메타버스 활용 교수법 교육이 31%로 가장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구성원이 메타버스에 대한 인식변화를 가져올 수 있고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비교과 프로그램과 행사를 통한 메타버스 운영의 안정성을 확보해야 한다. 셋째, 교과에 메타버스를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사례 및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넷째, 단계적인 메타버스 도입이 필요하다. 다섯째, 교육 효과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와 질 관리가 필요하다. 여섯째, 메타버스의 역기능도 대비해야 한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설문 참여 대상의 부족이다. 본 연구에서 설문 조사 참여자는 80명으로 이 결과를 근거로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양적 조사로 시행되어 다수 인원에 대한 객관적 결과를 도출하기에는 적합하다. 하지만 학습은 교수자와 학습자와의 눈에 보이지 않는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질적 연구를 통해 더 자세하고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교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한다면 인식의 차이가 크게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교수자 혹은 행정직원을 대상으로 연구를 하여 메타버스 도입에 대한 인식과 효과 그리고 타당성에 대해 검증이 필요하다. 넷째, 본 연구는 메타버스 도입에 대한 인식이기 때문에 전공이나 교과에 따라 다른 인식을 하고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각 전공이나 교과를 대표할 수 있는 교수자에 대한 인식조사나 수업 유형, 설계 방법, 학습자의 만족도나 효과성에 관해 연구한다면 더욱 의미 있는 연구결과가 도출될 것이다.

      • 직무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교육과정에 대한 반응평가 연구 : 전문대학 NCS 기반 교육과정 사례중심으로

        오민아 동덕여자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9711

        학문의 실용성을 확대하기 위해 직무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교육과정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를 위해 교육부에서는 전문대학을 중심으로 NCS 기반 교육과정으로 개편하여 운영하기를 권고하고 있다. 교육과정 수립 절차를 고찰한 결과로 대부분의 개발 모형에서 평가 단계가 포함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발전적인 교육과정을 위해서 지속적인 평가는 필요하며, 본 연구는 NCS 기반 교육과정의 평가를 위해 커크패트릭(Kirkpatrick)의 4수준 평가모델의 1단계인 반응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직무분석과 NCS의 개념, 개발과정, 교육과정 개발 모형의 고찰을 위해 문헌으로 살펴봄으로써 직무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교육과정의 전반적인 내용을 파악하였다. 반응평가를 실시하기 이전에 커크패트릭의 4수준 평가모델인 반응평가, 학습평가, 행동평가 및 결과평가에 대한 개념을 확인하였으며, 반응평가와 NCS 기반 교육과정의 관계를 파악하여 교육과정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반응평가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반응평가의 하위영역을 구성하기 위해 반응평가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하위영역으로 ‘NCS에 대한 인식’, ‘수업내용’, ‘교강사’, ‘교육환경’, ‘교육과정을 통한 자기향상’, ‘전반적인 교육과정 만족’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D대학과 Y대학에서 NCS 기반 교육과정을 수강하고 있는 학생 7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NCS에 대한 인식, NCS 관련 인식과 전반적인 교육과정 만족의 상관관계, 반응평가의 하위영역별 분석, 반응평가의 하위영역별 상관관계, 일반적 특성별 반응평가의 분석, 반응평가의 하위영역별로 전반적인 교육과정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NCS의 개념 인식에 대해서 응답한 학생의 과반수가 알고 있다고 조사되었으며, NCS 기반 교육과정과 기존 교육과정의 차이를 느꼈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느꼈다’에 응답한 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기존 교육과정 보다 NCS 기반 교육과정에 대한 흥미를 묻는 질문에서는 ‘느꼈다’라고 응답한 수가 가장 높게 나타나 전반적인 NCS에 대한 인식은 긍정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NCS 기반 교육과정의 구체적인 차이점을 묻는 질문에서는 ‘수업방식’이 다르다는 응답이 가장 높았으며, NCS 기반 교육과정의 구체적인 교육성과에 대한 질문에서는 ‘수업의 이해도 향상’이라는 결과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생들의 NCS 관련 인식과 전반적인 교육과정 만족의 관계성을 분석한 결과로는 NCS 기반 교육과정을 수강하고 있다는 인지, NCS의 개념에 대한 인식, 기존 교육과정과 NCS 기반 교육과정의 차이 인식, NCS 기반 교육과정에 대한 흥미는 모두 전반적인 교육과정 만족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수업내용, 교강사, 교육환경, 교육과정을 통한 자기향상, 전반적인 교육과정 만족 영역 중에서 교강사에 대한 만족감이 가장 큰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반면에 교육환경에 대한 만족감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학생들의 서술식 설문 문항에서 교재, 수업의 수준, 교강사의 전문성, 실기수업을 위한 환경 조성, NCS에 대한 안내의 필요성 등의 의견을 수집할 수 있었다. 넷째, 반응평가의 하위영역과 전반적인 교육과정 만족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수업내용, 교강사, 교육환경, 교육과정을 통한 자기향상, 전반적인 교육과정 만족은 모두 상관관계 분석에 있어 상관이 있는 유의한 결과로 조사되었다. 그 중 수업내용과 교육과정을 통한 자기향상이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교강사와 교육환경이 가장 낮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일반적 특성인 성별, 학년, 전공, 수강학기 수에 따른 하위영역별 반응평가를 살펴보면 하위영역 중 수업내용, 교강사, 전반적인 교육과정 만족에서만 유의한 결과가 도출되었고 교육환경과 교육과정을 통한 자기향상 영역에서는 유의한 결과가 확인되지 않았다. 일반적 특성 중에서는 공통적으로 고학년과 사회계열 학생들에게서 만족감이 커지는 결과를 확인함으로써 학년과 전공만이 유의한 값으로 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반응평가의 하위영역별 전반적인 교육과정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로 수업내용을 제외한 교강사, 교육환경, 교육과정을 통한 자기향상 영역이 전반적인 교육과정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중 교육과정을 통한 자기향상 영역이 가장 높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NCS 기반 교육과정의 반응평가에 대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NCS 기반 교육과정의 교육적 효과를 확인하고 교육과정의 질 관리 부분과 발전적인 후속연구를 위한 기초적 자료로써 의미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re is a growing need for job analysis based on curriculum in order to expand the practicality of learning. For this purpose, the Ministry of Education recommends that community colleges should operate NCS-based restructured curriculum. According to the research on establishment procedure of curriculum, it has been confirmed that most development models do not include an evaluation stage. But constant evaluation is ess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Therefore, this study, centered on the NCS-based curriculum evaluation, has been carried out at the first level of reaction evaluation out of a four-level evaluation model presented by Kirkpatrick.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opics such as job analysis, the concept of NCS, development procedure, development model of curriculum, and job analysis-based on overall curriculum content was understood through the lens of reference research in order to inquire about the issues. Before carrying out the reaction evaluation, I verified the concepts of Kirkpatrick's four-level evaluation model, such as, reaction evaluation, learning evaluation, behavior evaluation and result evaluation. Based on research on the relation between reaction evaluation and NCS-based curriculum, it is confirmed that reaction evaluation is highly important for the constant development of curriculum. In order to form the subordinate scope of reaction evaluation, preceding research related to reaction evaluation has been carried out. This way, it was possible to draw findings on the "awareness of NCS", "class content", "professors and instructors", "educational environment", "self-improvement through curriculum" and "overall curriculum satisfaction". This study has utilized a questionnaire with 70 students who were taking NCS-based curriculum at D University and Y University in Korea. With an aim of drawing conclusions of the study, I have analyzed the awareness of NCS, the correlation between awareness of NCS and overall curriculum satisfaction, analysis of subordinate scope of reaction evaluation, the correlation between different subordinate scope of reaction evaluation, analysis of reaction evalua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influences of overall curriculum satisfaction according to subordinate scope of reaction evaluation. The findings of analysis show as follows : First, regarding the concept awareness of NCS,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answered positive, and regarding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the NCS-based curriculum and existing curriculum, the answer of "Yes, I perceived the difference" ranked the highest. Regarding the question about their interest in NCS -based curriculum in comparison with the existing curriculum, the answer of "Yes, I felt interest" ranked the highest, so it is considered that the awareness of NCS is positive in general. On the other hand, regarding the question about the concrete difference between NCS-based curriculum and another, the answer of "teaching method is different" ranked the highest, while the question about concrete education performance of NCS-based curriculum, resulted in, "comprehension improvement of class" ranking the highest. Secon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wareness of NCS and overall curriculum satisfaction, it has been confirmed that overall curriculum satisfaction presents correlation with the following subjects : the awareness of taking NCS-based curriculum, the concept awareness of NCS, the awareness in the difference between existing curriculum and NCS-based curriculum and interest in NCS-based curriculum. Third, among the class content categories, professors and instructors, educational environment, self-improvement through curriculum and overall curriculum satisfaction, it is confirmed that the satisfaction of professors and instructors ranked the highest, while the satisfaction of educational environment ranked the lowest. Regarding the narrative questionnaire, students gave opinions about textbooks, level of class, professionalism of professors and instructors, environment development for non-theory classes and the need for NCS guidelines. Fourth,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regarding the correlation between subordinate scope of the reaction evaluation and overall curriculum satisfaction, it is confirmed that all the following categories presented significant result in terms of correlation analysis, including the class content, professors and instructors, educational environment, self-improvement through curriculum and overall curriculum satisfaction. Among them, the highest correlation presented between class content and self-improvement through curriculum, while the lowest correlation presented between professors and instructors and educational environment. Fifth, in terms of the reaction evaluation of subordinate scope according to general features such as gender, years at the university, major and number of course semesters, it is confirmed that the significant result has been drawn only in the categories of class content, professors and instructors and overall curriculum satisfaction, while no significant result has been confirmed in the categories of educational environment and self-improvement through curriculum. Regarding general features, it is confirmed that students of higher year and from social studies-related major showed higher satisfaction in common, therefore, only the number of year at the university and major are considered to be significant. Finally, regarding the research result of the influence of the reaction evaluation on overall curriculum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subordinate scope, it is confirmed that except for class content, the other fields such as, professors and instructors, educational environment, self-improvement through curriculum influence the overall curriculum satisfaction. Among them, self-improvement through curriculum has the strongest influence. I expect that this study,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reaction evaluation of NCS-based curriculum, can contribute, not only to confirming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NCS-based curriculum, but also to serving as basic data for quality management of curriculum and further developmental follow-up studies.

      • 4년제 여대생의 진로개발준비에 대한 교육 요구 분석

        김하령 동덕여자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9711

        이 연구의 목적은 4년제 여대생의 진로개발준비에 대한 교육 요구를 분석하는 것이다. 진로개발준비에 대한 중요도 인식 수준 및 현재 수행수준을 파악하여 우선적으로 개발해야 할 진로개발준비 영역에 대해 도출하고, 학년별, 계열별 차이를 파악하여 여대생의 진로개발 지원에 대해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제기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4년제 여대생의 진로개발준비도 현재 수행수준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1-1. 여대생의 진로개발준비도 수행수준은 어떠한가?연구문제 1-2 여대생의 학년에 따른 진로개발준비도 수행수준의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1-3 여대생의 계열에 따른 진로개발준비도 수행수준의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진로개발준비도에 대한 4년제 여대생의 중요도 인식 수준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1. 진로개발준비도에 대한 4년제 여대생의 중요도 인식 수준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2. 진로개발준비도에 대한 4년제 여대생의 중요도 인식 수준은 학년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연구문제 2-3. 진로개발준비도에 대한 4년제 여대생의 중요도 인식 수준은 계열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연구문제 3. 진로개발준비도에 대한 여대생의 교육 요구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1. 진로개발준비도에 대한 4년제 여대생의 교육 요구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2. 진로개발준비도에 대한 4년제 여대생의 교육요구도는 학년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연구문제 3-3. 진로개발준비도에 대한 4년제 여대생의 교육요구도는 계열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수행하기 위하여 서울 소재 D여자대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진로개발준비도 설문 도구는 임언·윤형한(2005)이 개발한 진로개발준비도 설문 문항을 교육요구도 측정을 위해 수정하여 활용하였다. 진로개발준비도에 대한 현재 수행수준과 중요도 인식수준을 조사하고 Borich 요구도 공식과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4년제 여대생은 진로개발준비도 영역에서 자기이해, 의사결정자신감, 진로결정확신도, 전공 및 직업지식, 관계활용효능감의 순으로 높은 수행 수준을 보이고 있었다. 또한 학년별, 계열별로 진로개발준비도 수행 수준의 차이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둘째, 4년제 여대생은 진로개발준비도 영역에서 자기이해, 전공 및 직업에 대한 지식, 구직기술, 진로결정확신도, 관계활용효능감, 의사결정자신감 순으로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요도 인식 수준은 학년별, 계열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셋째, Borich 요구도 공식과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통해 확인한 4년제 여대생의 진로개발준비에 대한 교육 요구 최상위 우선순위는 자기이해, 전공 및 직업에 대한 지식, 구직기술의 영역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와 시사점을 통해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4년제 여대생의 진로개발준비 지원을 위한 대학의 전반적인 인식 제고가 필요하다. 둘째, 여대생의 자기이해에 대한 교육 요구도가 높게 나타나 스스로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교육 과정이나 프로그램의 지원이 필요 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진로개발준비에 대한 현재 수행 수준의 계열별 차이의 원인을 분석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여대생을 위한 차별화된 진로지도가 필요하다는 선행연구의 의견에 따라 4년제 여대생의 진로개발준비에 대한 교육 요구를 학년별, 계열별 집단 차에 따라 구분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하지만 4년제 여대생의 진로개발준비도의 교육 요구를 조사하기 위하 D여자대학 학생만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기 때문에 표본의 대표성에 한계를 지니고 있으며, 향후 다양한 표본의 추출을 통한 연구대상의 확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ducational needs for the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for female college students. The career development preparation domain which should be developed preferentially was drawn by apprehending the importance awareness level and current performance level on the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and the implications for the career development support for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obtained by apprehending the difference in each grade and each affiliation. The study problems raised for this are as follows. Study problem1. How is the current performance level on the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for female college students? Study problem 1-1. How is the performance level on the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for female college students? Study problem 1-2. How is the difference of the performance level on the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following the female college students’ grade? Study problem 1-3. How is the difference of the performance level on the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following the female college students’ affiliation? Study problem 2. How is the importance awareness level of female college students on the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Study problem 2-1. How is the importance awareness level of female college students on the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Study problem 2-2. What difference does the importance awareness level of female college students on the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show depending on the grade? Study problem 2-3. What difference does the importance awareness level of female college students on the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show depending on the affiliation? Study problem 3. How are the educational needs of female college students on the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Study problem 3-1. How are the educational needs of female college students on the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Study problem 3-2. What difference do educational needs of female college students on the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show depending on the grade? Study problem 3-3. What difference do educational needs of female college students on the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show depending on the affilia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enrolled students in D Women’s University located in Seoul in order to perform these study proems. The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questionnaires developed by Lim Eon·Yoon Hyung-Han(2005) were modified to measure the educational needs and were utilized. The current performance level and the importance awareness level on the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were surveyed and the analysis was conducted by means of the Borich needs formula and the model ‘The Locus for Focus’.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showing a high performance level in order of the self-understanding, decision making confidence, career decision confidence, major and occupation knowledge, and relation use efficacy. Also,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difference of the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performance level by grade and affiliation. Second, it was revealed that the female college students recognized importantly in order of the self-understanding, knowledge on the major and occupation, job-seeking technology, career decision confidence, relation use efficacy, and decision making confidence in the domain of the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Also, it was shown that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portance awareness level by grades and affiliations. Third, it was revealed that the educational needs top priorities on the career development preparation of female college students, which were confirmed through the Borich needs formula and the model ‘The Locus for Focus’ were the self-understanding, knowledge on the major and occupation, and domain of job-seeking technology. The proposals through these results and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raise the college’s overall awareness for the career development preparation support for female college students. Second,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curriculum or program which can raise the understanding of oneself because the educational needs for the self-understanding by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high. Third,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cause for the affiliation difference of the current performance level on the career development prepara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having assorted the educational needs on the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for female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the grade-affiliation group difference in line with the precedent study arguing the differentiated career guidance for female college students was required. However, it has a limit in the representativeness of the sample because it selected only students from D Women’s University as a subject to survey the educational needs of the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for female college students, an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ubject through the extraction of various samples in the future.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활용한 고교학점제 연구동향 분석

        성정의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9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research trends by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Through this, it intends to contribute to the search for the direction of advanced research i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o this end, th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s follows. First, What kind of network do the keyword suggested in the research of academic papers on candidate journals or higher in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 Second,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keyword suggested in the research of academic papers on NRF related to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ird, How is the subgroup of the keyword network suggested in the research of academic papers on NRF related to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formed?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academic papers published by NRF from 2017 to February 2021. The final 88 academic papers were selected by searching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rough the data search service of the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RISS). After refining the keyword of the selected academic papers, the main keyword and their frequency of appearance were identified. Next, the final 44 keyword were selected through co-occurrence analysis among the extracted keyword. Finally, using Netminer 4.4, visualization of the configured network, basic analysis and centrality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rend analysis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study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 keyword such as ‘high school credit system', ’high school curriculum', ‘selective subjects', ‘student selection-centered curriculum', ‘career tailored curriculum', and ‘2015 revised curriculum' were highly ranked in the frequency of appearance. Also as a result of simultaneous appearance frequency analysis, ‘high school credit system-high school curriculum', ‘high school credit system-selective subjects', ‘high school credit system-student selection-centered curriculum', and ‘high school credit system-2015 revised curriculum' were highly ranked. Second, as a result of network structure analysis,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keyword network has a high density, short average connection distance, and a structure in which the whole is connected by one path through the core keyword ‘high school credit system’. It means that one keyword,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s strongly related to other keyword. Thir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centrality of the keyword network, keyword such as ‘high school curriculum', ‘career education', ‘selective subjects', and ‘2015 revised curriculum’ were highly ranked in all results. Fourth, as a result of the cluster analysis of the keyword network, the keyword such as ‘unit system', ‘high school credit system', ‘2015 revised curriculum', ‘high school curriculum', ‘selective subjects', ‘career education’ were identified as a keyword with a lot of influence in each subgroup. Comprehensively, the research trend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with various policy implications and issues for the introduction and found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research related to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selective centered curriculum based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is study presented the research trends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by using the network analysis of academic papers on NRF.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grasped the research trends of a specific group.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research and interpret the meaning through a deeper structural understanding of the research trend. 본 연구의 목적은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고교학점제 연구의 주요 키워드 간 현황 파악을 통해 국내 고교학점제 연구동향을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통해 향후 고교학점제의 발전적 연구 수행 방향성을 탐색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 질문을 설정하였다. 한국연구재단(NRF) 등재후보 이상 학술 논문의 「고교학점제」관련 연구에서 제시되는 키워드는 어떠한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는가? 한국연구재단(NRF) 등재후보 이상 학술 논문의 「고교학점제」관련 연구에서 제시되는 키워드는 어떠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가? 한국연구재단(NRF) 등재후보 이상 학술 논문의 「고교학점제」관련 연구에서 제시되는 키워드 네트워크의 하위그룹은 어떻게 형성되는가? 본 연구는 2021년 2월까지 국내에서 발간된 학술논문 중에서 한국연구재단(NRF)의 등재후보 이상의 논문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의 수집을 위해서 한국교육학술정보원(RISS)의 자료검색 서비스를 통해 ‘고교학점제’를 검색하여 최종 88편의 학술논문을 선정하였다. 이 연구물의 초록을 대상으로 키워드 정제 작업을 실시하여 주요 키워드와 출현빈도를 추출한 후 키워드의 동시출현분석을 실시하여 최종 44개의 키워드를 선정하였다. Netminer 4.4를 활용하여 구성된 네트워크의 시각화, 기초분석과 중심성 분석, 클러스터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활용한 고교학점제 연구동향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교학점제 연구에서 ‘고교학점제’, ‘고교교육과정’, ‘선택교과목’, ‘학생선택중심교육과정’, ‘진로맞춤형교육과정’, ‘2015개정교육과정’ 등의 키워드가 출현 빈도수가 높았다. 또한 키워드 간의 동시출현 빈도 분석을 통하여 ‘고교학점제-고교교육과정’, ‘고교학점제-선택교과목’, ‘고교학점제-학생선택중심교육과정’, ‘고교학점제-2015개정교육과정’ 등이 키워드 동시출현 빈도수가 높았다. 둘째, 네트워크 구조는 밀도가 높고 평균연결거리가 짧으며 핵심키워드 ‘고교학점제’를 통해 전체가 한 개의 경로로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키워드 간 상호관련성이 높았다. 셋째, 고교학점제 연구의 키워드 네트워크의 중심성 분석 결과 ‘고교교육과정’, ‘진로교육’, ‘선택교과목’, ‘2015개정교육과정’ 등의 키워드는 공통적으로 순위가 높았다. 넷째, 고교학점제의 연구의 하위 네트워크 분석을 통하여 ‘단위제’, ‘고교학점제’, ‘2015개정교육과정’, ‘고교교육과정’, ‘선택교과목’, ‘진로교육’ 이 각 하위그룹 내에서 영향력이 많은 키워드로 나타났다. 종합해보면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고교학점제 연구는 고교학점제 도입과 기반마련을 위한 다양한 정책적 시사점이나 쟁점 사항과 연관된 연구, 2015개정교육과정을 바탕으로 선택중심 교육과정 편성·운영 등과 연관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전문 학술DB(RISS)에 게재된 한국연구재단(NRF) 등재후보 이상의 학술논문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고교학점제의 연구 동향을 제시하였다. 이는 특정 집단의 연구 동향을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향후에는 ‘고교학점제’ 연구범위를 넓혀 연구 동향에 대한 심층적인 구조파악을 통해 의미를 해석해 볼 필요가 있다.

      • 여성 청년창업가의 셀프리더십 역량 교육요구도 분석 : The Locus for Focus 모형 중심으로

        양지희 동덕여자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95

        청년실업의 대안으로 창업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정부는 민간, 대학 등 유관기관과의 창업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다양한 창업지원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창업지원 정책을 기반으로 창업 시도가 늘어나는 만큼 실패사례도 발생하고 있다. 또한 청년창업의 문제점으로 일반창업보다 낮은 청년창업의 생존율이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는 청년창업의 생존 능력을 제고해 창업지속률을 높일 수 있는 지원정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청년창업을 분석한 결과, 남성 청년창업에 비해 여성 청년창업은 시도는 늘고 있지만 창업지속률은 떨어지는 현상을 보였다. 이는 창업지속률을 높이기 위한 교육 대상으로 여성 청년창업가를 주목해야 함을 의미한다. 그러나 급변하는 사회에서 창업은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하고 있고 이를 지원하는 교육은 점점 더 세분화되고 있다. 청년창업의 주요 지원기관인 대학의 대학정보공시 지침서에 따르면, 창업과 관련한 키워드는 창업가정신, 창업, 기업가정신, 사업계획서, 지식재산권, 특허, 비즈니스모델 등으로 다양하다. 또한 과목명에 창업 키워드가 포함되면 창업 관련 교과목으로 인정하고 있다. 이는 창업가의 역량을 키우는 것이 다양한 창업분야를 모두 포괄할 수 있는 창업교육의 방향성임을 시사한다. 선행연구 분석 결과, 창업지속률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개인의 역량으로 셀프리더십을 도출할 수 있었다. 셀프리더십은 목표달성을 위한 영향력의 방향이 외적인 대상에서 자신에게 국한된 개념으로 특히 창업지속력의 중요 요소인 창업의지와 사회적 자본 확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셀프리더십은 창업가 개인의 역량을 개발해야하는 창업교육에서 중요한 요소이나 그 중요도에 비해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성 청년창업가를 대상으로 셀프리더십 역량 교육요구도를 분석하여 창업지원기관에서 우선적으로 개발되어야 하는 셀프리더십 역량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에 첫째, 여성 청년창업가의 셀프리더십 역량 현재 보유도 및 미래 필요도와 둘째, 여성 청년창업가의 셀프리더십 역량 교육요구도, 셋째, 여성 청년창업가 중 실제 청년창업가와 예비 청년창업가의 셀프리더십 역량 교육요구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먼저 여성 청년창업가에게 필요한 셀프리더십 역량 교육요구도는 ‘창의성’, ‘자기개발’, ‘자아성찰’, ‘시간관리’, ‘문제해결’ 순이었다. 본 결과는 여성 창업 준비 시 ‘판로확보’, ‘인력확보 및 관리’, ‘아이템 발굴 및 사업타당성 분석’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현 상황을 반영하는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다음으로 여성 청년창업가 중 실제 청년창업가에게 필요한 셀프리더십 역량은 ‘자기개발’, ‘문제해결’, ‘창의성’, ‘목표수립’, ‘자아성찰’ 순이었다. 이는 실제 창업한 창업가에게는 ‘문제해결’, ‘창의성’ 등 사업의 정체성과 장애물을 해결할 수 있는 위기대처능력, 시장의 트렌드를 읽으며 사업과 연결지을 수 있는 역량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예비 청년창업가에게 필요한 셀프리더십 역량은 ‘창의성’, ‘자아성찰’, ‘자기개발’, ‘시간관리’, ‘업무전문성’, ‘문제해결’ 순이었다. 예비 청년창업가의 셀프리더십 역량 요구도 우선순위를 분석한 결과, ‘업무전문성’ 역량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는데 이는 예비 청년창업가에게는 본인의 아이디어를 구체화하는 과정에서 사업의 정체성, 위기대처능력 뿐 아니라 실제 업무역량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여성 청년창업가를 위한 창업교육의 발전과 창업지속률 강화를 위해서 다음과 같이 후속연구 과제를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청년창업을 지원하는 다양한 기관에서 진행할 수 있는 표준화된 셀프리더십 역량 기반 창업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체계화된 창업교육 전문 인력의 양성 방안이 필요하다. 셋째, 청년 창업가를 대상으로 한 셀프리더십 척도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가 진행된다면 여성 청년창업가의 창업지속력 강화를 위한 실증적인 결과를 도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As the importance of entrepreneurship has increased, an institution that supports start-ups are conducting various programs and material support related to entrepreneurship for young female entrepreneur. Despite these efforts, however, Young entrepreneurs among start-ups have not been able to maintain their start-ups for long. And young female entrepreneur have not been able to maintain their start-ups for a long time compared to men.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self-leadership was a positive factor in the willingness to start a business and social capital. However, the demand for a competency-oriented self-leadership education program is not fully reflected in institution that supports start-ups for young female entrepreneur. Therefore this study is conducted to provide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management, and facilitation of the self-leadership education program of institution that supports start-ups through the analysis of difference between the level of importance and level of performance for the development of self-leadership of young female entrepreneur. This study is analyzed through the t-test to identify difference between level of importance and level of performance with the 17 items of 3 competencies in Song(2012). This study is used the Locus for Focus Model to know the priority of education needs for the development of self-leadership of young female entrepreneur.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self-leadership competencies desired by young female entrepreneurs were "creative," "self-reflection," "self-development," "time management," "work expertise" and "problem solving." Among young female entrepreneur, the self-leadership competencies desired by actual start-ups were "self-development," "problem-solving," "creative," "set goals" and "self-reflection." Among young female entrepreneur, the self-leadership competencies desired by prospective entrepreneurs were "professional work", "creative", "problem solving", "self-development", "self-reflection" and "time management". In the future, An institution that supports start-ups make systematic start-up education to develop self-leadership capabilities for young female entrepreneur. Forward, An institution that supports start-ups should provide systematic start-up education to use self-leadership capabilities that this study find out for young female entrepreneur.

      • 제주특별자치도의 학교 변천과 그 영향요인 분석

        김경옥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95

        본 연구의 목적은 문헌연구와 면접조사를 통해 제주특별자치도의 학교 수 변천을 파악하고 변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제주특별자치도 초·중·고등학교의 학교 수 변천의 추이는 어떠한가? 둘째, 학교 변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문헌연구는 국내 제주특별자치도의 교육 관련 논문 자료와 정책보고서, 학계에서 발간된 보고서, 통계청의 통계자료 등을 조사하였다. 면접조사의 연구 대상은 오랜 기간동안 교육 현장에 있으며, 교육행정사를 직접 겪은 퇴임한 도내 학교 교장 선생님 4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연구 기간은 2020년 10월부터 20년 11월까지이며, 제주 학교의 특징, 학교 변천에 영향을 미친 배경 요인, 제주 교육행정 및 정책의 변화 등에 대한 면접조사로 진행되었다. 이를 파악하기 위해 1차·2차 면접조사를 통해 수집한 자료를 녹음 및 전사하고 이후 코딩하여 연구 문제에 접근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게 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특별자치도의 학교 수 변천 추이는 태동기, 적응기, 양적 확장기(도약기), 정착기, 질적 성숙기로 5단계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 변천에 영향을 준 요인에 대한 의미 있는 진술을 추출하여 의미와 맥락을 발견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특별자치도 학교 변천의 영향을 준 요인은 5단계 중 1949년부터 1962년까지 해당하는 적응기를 제외하고는 교육정책 요인보다 교육정책 외적요인의 영향이 컸기 때문에 향후 학교 수를 증가하고 감소하는 데 있어서 교육정책 외적요인을 면밀히 분석하여 개선해나가야 한다. 둘째, 교육정책 외적요인 중 가장 주요한 요인은 학생 수였기 때문에 학생 수에 의해 학교의 수와 규모를 유연하게 증감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학생 수 감소 시, 기존 학교 수는 그대로 두면서 읍면지역의 초등학교 일부는 유치원부터 초등학교 2학년까지 운영하고, 또 다른 초등학교에서는 거점지역의 초등학교로서 3학년부터 6학년까지를 통합하여 운영하는 것을 말할 수 있다. 그리고 기존 읍면지역 초등학교의 3학년부터 6학년이 사용하지 않고 남아있는 유휴공간은 마을과 공동시설로 운영하면서 지역별로 학교-마을 밀착형 학교를 만들어나갈 수 있다. 셋째, 미래 사회를 조명할 때 지역 소멸, 인구 절벽 등 지역 내 인구수를 고려하여 제주의 학교 정책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지역 내 인구수 감소는 지역의 소멸을 불러오며, 이는 학교 통·폐합, 폐교 등의 영향을 미치므로 지역 내 인구수 변화, 국가의 인구 정책 등의 발맞추어 학교 수와 관련된 정책들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이상에서 결론을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해방 이후 시점인 1945년부터 시작한다. 당시 제도적 정비와 통계에 대한 정비가 잘 안 되고, 과학적인 기술이 발달하지 않음에 따라 문헌 자료 수집에 한계가 있었다. 추후에는 학교 현황에 대한 더 많은 자료를 발굴하여 보다 정확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분석하는 데 주력해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연구대상을 제주특별자치도의 학교 교장 출신의 4명으로 한정하여 진행하였다. 추후에는 제주의 학교 역사를 아는 교육계 외의 다양한 전문가를 대상으로 면담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향후 연구는 제주특별자치도 학교의 경험과 인식에 대해 교육계 안팎의 다각적인 측면을 포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제주특별자치도의 학교 변천의 영향요인을 교육정책 요인과 교육정책 외적요인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는데, 향후에는 보다 다양한 영향요인 분석 도출을 위해 세부적으로 영향요인을 구분하여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nge in the number of schools in Jeju Province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interview surveys and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change to derive implications. The research challenges to achieve this research objective were as follows. First, how is the change in the number of elementary, middle, highschools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Second, What factors affect the change in schools? The literature research investigated the education-related papers and policy reports of the Jeju Province in Korea, reports published by academia, and statistical data of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The subjects of the interview surveys were four school principals in Jeju who had been in the field of education for a long time and had experienced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 research was from October 2020 to November 2020, and interview surveys were conducted on the characteristics of Jeju schools, background factors that affected the change of schools, and changes in Jeju education administration and policies. To understand this, The data collected through Secondary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and subsequently coded to approach the research problem.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rend of changing the number of schools in Jeju Province was shown in five stages : the beginning period, the adaptation period, the quantitative expansion period (the leap period), the settlement period, and qualitative maturity. Second, meaningful statement about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 change of schools is extracted to discover the meaning and context. The conclusions obtained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 that influenced the change of schools in Jeju Province were during step 5, Except for the adaptation period from 1949 to 1962, external factors were more influential than educational policy factors, so external factors in increasing and decreasing the number of schools in the future should be closely analyzed and improved. Second, the most important factor external of education policy is the number of students, so it is necessary to flexibly increase and decrease the number and size of schools by the number of students. For example, if the number of students decreases, the number of existing schools remains the same, some elementary schools in the township area operate from kindergarten to second grade, Another elementary school in the base area may proceed to the integration of grades 3 to 6. In addition, idle spaces that are left unused by third to sixth graders of existing elementary schools in the eup-myeon area can be operated as villages and communal facilities to create village-friendly schools by region. Third, it is necessary to reflect Jeju's school policies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people in the region, such as regional extinction and population cliff, when highlighting future society. because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people in the region causes the destruction of the region, which affects school consolidation, closure, etc., so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policies related to the number of schools in line with changes in the number of people in the region and national population policy. Based on the above conclusions, some suggestions are made for subsequent research. First, the temporal scope of this study is start since 1945, when after liberation. At that time, due to poor maintenance of the system and statistics, and the lack of scientific technology, there was a limit to the collection of literature data.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focus on discovering more data on the current state of schools and analyzing them based on more accurate data. Second, this study limited the research subjects to four former school principals of Jeju Province.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interviews with various experts who know the history of Jeju schools. Through this, future research is expected to include various aspects of the current status and perception of Jeju Province schools. Third, in this study, the influential factors of the change of schools in Jeju Province were analyzed mainly by educational policy factors and external factors of educational policy.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the influences in detail to analyze various influe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