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현대무용참가와 자기능력지각, 무용몰입경험 및 전공만족의 관계

        백순기 同德女子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박사

        RANK : 234383

        이 연구는 현대무용참가정도를 우선적으로 파악하고 이를 통하여 나타나는 개인의 자기능력지각과 무용몰입경험 그리고 이들 변인들이 전공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 연구와 관련 이론을 기초로 연구 가설과 모형을 설정하였다. 연구 변인으로는 배경변인으로 개인적 특성을, 독립변인으로 현대무용참가, 매개변인으로 자기능력지각과 무용몰입경험, 그리고 종속변인으로 전공만족을 설정하였다. 연구 대상은 비확률표집인 유의표집 방법을 이용하여 표집하였다. 2003년 5월 1일부터 15일까지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4년제 대학교의 무용학과 재학생 및 일반 대학생 697명이 유효 표본으로 수집·선정되었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자료는 연구자가 기존 연구를 통해 제작한 설문지를 통하여 수집하였다. 설문 문항 중 표준화되지 않은 문항에 대해서는 구성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거쳐 사용하였다. 설정된 연구 가설 검증을 위하여 사용한 통계적 분석 방법은 t검증, ANOVA, 공변량분석, 중다회귀분석 및 경로분석이었으며, 각 가설은 유의수준 α=.05에서 검증되었다. 이상의 연구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개인적 특성은 전공만족에 영향을 미친다.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교육시설만족도가 높다. 모친직업과 가계수입은 전공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부친의 직업은 교육시설만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둘째, 현대무용참가정도는 자기능력지각, 무용몰입경험 및 전공만족에 영향을 미친다. 참가시간이 길수록 교육시설만족도가 높다. 참가기간과 참가시간이 길수록 무용몰입경험이 강하다. 셋째, 자기능력지각은 무용몰입경험과 전공만족에 영향을 미친다. 운동능력지각은 행위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사회능력은 교육내용 및 교수진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신체적 매력지각은 교육내용만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넷째, 무용몰입경험은 전공만족에 영향을 미친다. 인지몰입은 교수진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다섯째, 현대무용참가, 자기능력지각, 무용몰입경험 및 전공만족은 인과적 관계가 있다. 종합하면, 현대무용전공자의 전공만족도를 제고시키기 위해서는 무용전공자의 무용에 대한 열성적인 참가가 전제되어야 한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이는 현대무용전공자 개인의 자기능력지각 특히, 사회능력에 대한 지각도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무용 활동에서의 인지적 몰입도를 높히며, 결국 대학교육에서 중요한 평가 척도인 전공만족도 제고에 기여함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relationships among modern, dance participation, perceived self-competence, dance flow experience, and satisfaction of major in university students of dance major.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sampled 472 dance majoring university students and 225 general students who lived in Seoul and Gyeonggi-do using purposive sampling method. The survey questionnaire were used to collect data. The questionnaire for perceived self-competence develop by Harter(1982)'s PCS scale. To analyze the data, independent samples descriptive analysis, t-test, ANOVA, covariance analysis, multiple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were used in this study. Based on the procedures and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have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of major. Male students are higher than female students on the satisfaction of facilities. Mother's occupation and family income have positive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of lecture facilities but, father's occupation have negative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of lecture facilities. Second, degree of modern dance participation have influence on perceived self competence, flow experience of dance activities and satisfaction of major. As the time of dance participation is long, as the satisfaction of lecture facilities is high. As the time and the duration of dance participation are high, as the flow experience of dance is strong. Third, perceived self competence have influence on flow experience of dance and satisfaction of major. The athletic competence have positive influence on behavioral flow experience. The social competence have positive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of lecture contents and faculty. But, physical attractiveness competence have negative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of lecture contents. Fourth, the flow experience of dance have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of major. The cognitive flow experience have positive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of faculty. Fourth, each variables of degree of modern dance participation, perceived self-competence, flow experience of dance, and satisfaction of major have a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s.

      • 현대무용 대중화에 대한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인식조사

        李京純 동덕여자대학교 1999 국내석사

        RANK : 234383

        본 연구의 목적은 발레, 한국무용, 현대무용을 전공하는 대학생들의 현대무용에 대한 인식과 최근 현대무용 작품에서 대중춤과 대중음악, 뉴테크놀로지를 결합시키는 경향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무용과가 개설되어 있는 서울지역의 총 10개 대학 가운데 설립 시기, 현재 활동정도를 고려하여 3개 대학을 선정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선정된 대학의 무용과에 재학중인 발레, 한국무용, 현대무용전공 대학생 2·3·4학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현대무용의 개념과 가치, 현대무용과 대중춤, 대중음악, 뉴테크놀로지의 결합에 대한 인식, 현대무용 공연에 대한 현실인식 등 32개 문항으로 구성되였다. 설문지는 총 160부가 회수되었으며, 이 가운데 155부가 유효한 자료로 채택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7.5 통계처리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상의 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발레, 한국무용, 현대무용 전공 대학생들의 현대무용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첫째, 현대무용에 대한 인식에서 현대무용의 주제는 ‘평범한 일상이야기’, ‘환상·추상적인 이야기’를 현대무용 가치에는 ‘표현능력의 향상’, 공연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로는 ‘무용수의 기량’이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이와같은 생각에는 전공별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현대무용은 예술성과 대중성을 동시에 추구’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이와같은 인식에는 전공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현대무용 감상에서는 현대무용 전공학생들이 타 전공학생에 비해 현대무용 공연을 더 많이 감상하고자 하고 있으며, 이와같은 생각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 .05). 둘째, 현대무용과 대중춤, 대중음악, 뉴테크놀로지의 결합에 대한 인식에서, 이와 같은 경향이 현대무용의 예술성을 떨어뜨리는 것은 아니며 앞으로 더욱 활성화되어야 한다고 인식하는 학생이 조금 더 많았으나, 전공별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셋째, 현대무용 공연의 현실인식에서, 현대무용 전공은 공연의 홍보 및 공연횟수에 있어서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이와같은 생각은 전공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현대무용 공연은 관객이 이해하기 쉽고, 재미를 주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이와같은 생각에는 전공별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현대무용의 공연장소 제한, 무대장치 부족, 관객층의 제한, 현대무용 단체에 대한 지원부족, 무용단 수 부족에 대해서는 대체로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생각에는 전공별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현재 무용과에 재학중인 대학생들의 현대무용에 대한 인식은 표현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나 주제나 소재에서 부족함을 느끼고 있었다. 또한 현대무용과 대중음악, 대중춤, 뉴테크놀로지의 결합은 예술성을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대중화를 추구하는 긍정적인 시도로 인식하고 있으며, 현대무용 공연의 현실은 홍보부족과 관객층의 제한, 무대장치와 공연장소의 부족, 각종 단체의 지원부족으로 매우 열악한 상황에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Ballet, Korean Dance, Modern Dance about Modern Dance and about recent trend mixing Modern Dance with popular dance, popular song, new technology in Modern Dance performance.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author select three colleges out of ten which have a department of Dance in Seoul thinking of the time of foundation, the activity in now. And the raw data were collected by surveying sophomore, junior and senior students majoring in Ballet, Korean Dance, Modern Dance. The Survey is composed of 32 questions about the concept, worth of Modern Dance and recognition about the trend mixing Modern Dance with popular dance, popular song, new technology in Modern Dance performance. 160 Cases were collected totally and 155 Cases were availble. The availbl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by SPSS 7.5 for Windows Program. Through the method and procedure mentioned above, the author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of recognition between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bout Ballet, Korean Dance, Modern Dance about Modern Dance. And the results were that below: According to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first,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Ballet, Korean Dance, Modern Dance answered that the most important theme of modern dance was a 'Normal life story', 'Fantastic and abstract story' in order and the most important worth was the 'Improvement of expression competence' and the most important part in Modern Dance performance was the 'Competence of dancer'.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recognition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Ballet, Korean Dance, Modern Dance. They recognized that Modern Dance had to pursue art and popularity simultaneously.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nece between the recognition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Ballet, Korean Dance and Modern Danc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Modern Dance more wanted to see the Modern Dance Performance than others. And there was a statistical difference (p<.05). Second, in the recognition about mixing Modern Dance with Popular Dance, Popular Song, New Technology, they thought that the trend did not degrade art of Modern Dance and should be accelerated more in the future.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each major group. Third, in the recognition about the reality of Modern Dance performanc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Modern Dance thought that PR and the number of Modern Dance performance was not enough. There was a statistical difference in each major group.(P<.05) They recognized that Modern Dance performance had to be easy for audience to understand. They also recognized that there was not enough place to perform and audience to see Modern Dance performance and support to the Modern Dance groups.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each major group. In Conclusion, the recognition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ance about Modern Dance was that Modern Dance helped to develop expression competence but had not plenty theme to perform. They felt that the trend of mixing Modern Dance with popular dance, popular song and new technology was a desirable action to popularize. They recognized that there was not enough PR, Audience of Modern Dance Performance, place to perform and support to the Modern Dancer groups.

      • 무용전공 대학생의 중도탈락의도 인과모형 분석

        이정선 同德女子大學校 2007 국내박사

        RANK : 234383

        본 연구는 무용전공 대학생의 무용참가특성과 학문적․사회적 통합, 무용몰입 및 무용중도탈락의도의 관계를 밝히고자 수행되었다. 선행연구와 이론을 기초로 무용참가특성과 학문적․사회적 통합, 무용몰입 및 무용중도탈락의도를 변인으로 하는 가설적 구조모형을 설정하였으며 외생잠재변인으로 무용참가특성, 내생잠재변인으로 학문적․사회적 통합, 무용몰입 및 중도탈락의도를 설정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한 가설적 구조모형 검증을 통하여 잠재 변인들 간의 인과적 관계를 검증하였다. 조사대상의 모집단은 무용전공 대학생들로써 서울특별시, 대구광역시, 경기도, 충청도 내에 소재하고 있는 10개의 4년제 대학교의 무용학과 학생 중 집락표집방법을 이용하여 총 1,173명의 유효 표본을 수집하였다. 사전검사를 통해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된 54문항의 설문지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는 기술분석(Descriptive Analysis)과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및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의 방법을 이용하여 처리되었다. 이상의 연구 방법과 절차에 의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

      • 舞踊人의 性格 特性 比較 硏究 : 舞踊專攻 女大生을 中心으로

        강혜영 同德女子大學校 大學院 1986 국내석사

        RANK : 234367

        The purpose of this study consists in finding the significant difference of personality traits between the dance major and the non-dance major, in view of each major and each individual careers. This study makes the dance major (n=280) and the non-dance major (n=93) the object of it. The Cayyell's 16PF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all of the subjects in controlled environments to reduce the likeliness of bias. The raw scores were converted to standard ten scores as indicated by the 16PF. The means and standard deviation were significant F-ration. The data were processed by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program of VAX-11/780 Computer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computer center.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According to the least significant difference, the key point of personality traits between the dance major and the non-dance major results in the Factor B (Low Intelligence vs. High Intelligence) and the Factor Factor Q3 (Lack of control vs. Ability to bind Anxiety) (P<0.05). 1) Incase of the Factor Q3, there is a difference of the level of 5% between the Korean Dance and the Ballet, the Modern Dance and the Ballet, the Korean Dance and the non-Dance major. Especially,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the Modern Dance and the non-Dance major, there is. 2) In case of the Factor Q3, there is a difference of the level of 5% between the Modern Dance and the non-Dance major, the Korean Dance and the non-major. 2. As the least significant difference about the Factor B found in the comparison of difference among the Dar majo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Korean Dance and the Ballet. 3. The comparison of difference of career in the each of dance field. 1) As the resuts of doing the T-test in order to kn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ach key point of personality between career dancer above 5years and career dancer under 5years. 1. In Korean Dance major,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level of 5% in the Factor E. 2. In Ballet major, there is not a difference of personality between the above two groups. 3. In Modern dance major there is a remarkable difference of lever of 5% in the Factor Q1. 4. As the result of ANOVA in order to find the difference of personality among dance majors with career above 10 years, there is not a remarkable difference. 5. As the result of doing the T-test in order to kn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ach Factor of the personality traits between the Dance major and the non-Dance major. 1) In the intellectual of Factor B both of the Dance major and the non-Dance major are close to low Intelligence, but thigh Intelligence has come out mare highly in the Dance major them in the non-dance major. 2) In the degree of salt maturity of Factor C both groups are all close to Ego strength, but Ego strength has come out more highly in the group of eve non-Dance major then the group of the Dance major. 3) In Factor N, the tendency of the thinking of shrewdness has come out in the Dance major than in the non highly Dance major. 4) In Factor Q3, the tendency of the restraint for on impulse has come out more highly in the Dance major than in the non-Dance major.

      • 舞踊專攻別 人間關係 特性 分析 : 서울市內 舞踊科 女大生을 中心으로

        김동섭 淑明女子大學校 1990 국내석사

        RANK : 234367

        . *Var. 1 : Piano part takes a melodic-variation of theme, and violin part expresses an obligato effect by triplet. *Var. 2 : Violin part takes a melodic-variation of theme with 32 notes. *Var. 3 : Modulating to F minor, it's the most characteritic variation with a dark feeling. *Var. 4 : The most splendid, decorative variation, and has a finale-grandor with using an execution of trill, pizz, double-stop, and imitating-methods. The 3rd movement is Sonata form with a reduced recapitulation and an expanded coda, which is under the lively-taratelistic rhythm, splendid and freely. Unlike the general violin sonatas, this one makes an effect of a splendid performance, not only external permance effect, but dramatic spiritual undulation of his time with a butalso dynamic emotion of the 1st and 3rd movements, and a soft gracefulness of the 2nd one between them.

      • 무용활동 유형별 정서체험과 라이프스타일 분석

        한선숙 同德女子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박사

        RANK : 234367

        현대사회의 발달은 편리함과 풍요로움을 주는 반면에 환경오염과 스트레스 등의 현상을 동시에 느끼게 함으로써 생활의 변화를 초래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특히 건강을 위해 신체활동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그 활동으로부터 얻어지는 신체적 건강보다는 정서체험에 중요성을 둔다. 따라서 인간이 위대한 자연과학의 성과 앞에서도 자기상실에 놓여 겪게 되는 정서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해 무용을 비롯한 예술의 향유를 일반 대중의 생활영역으로까지 확대시켜야 한다. 근래 무용활동은 우리 사회에 인지능력의 정서에 도움을 주는 새로운 신체문화로서 자리를 잡아가고 있으며, 이러한 무용문화는 신체의 미적인 표현을 극대화 시킨 예술성이 풍부한 문화 활동인 동시에 전통을 중시하는 생활문화를 창출하기도 한다. 물론 무용 문화가 반드시 개인의 문화를 의미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신체의 움직임을 통해서 개인의 정서를 묘사해 내는 무용활동은 중요한 영역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무용활동 유형별로 체험 되는 정서의 범위에 따라 변화하는 라이프스타일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배경변인에 따른 무용활동 유형, 정서체험, 라이프스타일의 차이 둘째, 무용활동 유형별 정서체험과 라이프스타일의 차이 셋째, 정서체험이 라이프스타일에 미치는 영향 넷째, 무용전공자의 무용활동 유형과 정서체험 및 라이프 스타일의 인과 관계 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현재 우리나라에서 무용을 전공하고 있는 19세 이상의 무용전공 여자 대학생과 여성 전문무용가를 모집단으로 선정한 후 무선표집하여 총 660명을 표본 추출하였으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대학생 무용 전공자 33명과 전문 무용가 22명의 설문지를 제외한 605명을 최종적으로 추출하였다. 종속변인의 라이프스타일을 측정하는 도구는 Plummer(1971)가 개발한 AIO(Activities, Interest, Opinion)의 접근방법을 기준으로 박시범(1993)과 이철희(1995)가 사용한 설문지를 본 연구의 목적에 알맞게 수정 ·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45개의 질문 문항에 대한 자기응답의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진보적 성취주의, 불평주의, 소신적 전통주의, 문화활동형, 적극적 사회활동형, 과시적 패션형 등의 6개의 하위변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설문 문항은 5점 척도로 평가되었고 전체 척도의 신뢰도 계수 Cronbach's α가 .66∼.75로 나타나 비교적 신뢰도가 높은 측정도구로 평가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라이프스타일의 분석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설정한 정서체험의 도구는 Hochschild(1979)가 정서 규칙과 사회구조의 관계성을 설명한 이론과 Collins(1984)의 사회구조에 있어 정서 역할에 대한 이론을 토대로 고선혜(2000)가 구성하여 사용한 설문 문항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재구성하여 사용된 설문지에 대한 내적 일치도를 분석한 결과 신뢰도 계수 Cronbach's α값이 .76∼.86으로 나타나 비교적 신뢰도가 높은 척도로 평가되었다. 자료분석 방법은 one-way ANOVA, ANCOVA, multiple regression, path analysis 등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러한 절차를 통해서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전공자의 무용활동 참여, 전공, 직업 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배경변인은 연령, 학력수준, 소득수준 등의 변인이며, 종교는 무용활동 참여형태에 유의한 차이가 없다. 둘째, 무용활동의 참여 형태인 참여강도가 높을수록 정서체험이 높고, 참여빈도가 많을수록 라이프스타일의 변화가 높다. 셋째, 무용전공자가 무용활동을 통해 다양한 정서를 체험할수록 라이프스타일의 수준이 향상된다. 넷째, 무용전공자의 무용활동 참여형태와 정서체험 및 라이프스타일의 관계에서 무용활동 참여형태는 정서체험을 통해 라이프스타일의 수준이 향상되는 간접적인 영향을 미침으로서 정서체험이 무용전공자의 라이프스타일에 크게 기여한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how the range of emotions experienced according to the dance type affects one's lifestyle. For the study, the following were analyzed: first, the difference in the dance type, emotional experience and lifestyle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factors; second, the difference in the emotional experience and life style according to the dance type; third, the effect of emotional experience on the life style; and las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ance type, emotional experience and life style. The study group was composed of 660 people who were selected from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ance and professional dancers over the age of 19, and those who did not filled out the questionnaire sincerely (33 college students and 22 professional dancers) were excluded when making final conclusions. To measure the dependent variables of lifestyle, the AIO (Activities, Interest, Opinion) approach method developed by Plummer (1971) was used as the standard in modifying questionnaires made by Sibeom Park (1993) and CheolHee Lee(1995) to suit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was made up of 45 questions with progressive accomplishment, dissatisfaction, advanced traditionalism, culturally active, socially active, expressively fashionable factors as six subordinate variables. The answers were measured at 5 point units, and the Cronbach's alpha coefficient was found at .66∼.75. To measure the emotional experience, SeonHye Ko's questionnaire (2000) which has basis on Hochschild's theory (1979) on the relation between emotional rules and social structure and Collin's theory (1984) on the influence of emotional role on the social structure was used. When the corresponding rate of the results of the new study and the previous study was analyzed, Cronbach's alpha coefficient was found at .76∼.86.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the methods of one-way AVOVA, ANCOVA, multiple regression and path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 First, the background variables which affect the participation rate, major and the profession of the dancer were age, degree of education and earning, religion was found to have no noticeable influence. Second, the degree of emotional experience was found to increase in proportion to the dance participation rate, and also the rate of change in the lifestyle was found to increase in proportion to the frequency of dance participation.

      • 무용교육 기대효과에 따른 제요인에 관한 연구

        박근희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34351

        이 연구는 무용을 전공하는 대학생들의 무용교육에 대한 기대효과에 따른 제 요인을 규명 하기 위하여 서울 및 경기지역의 무용을 전공으로 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총:169명, 여자: 93%, 남자:7%)으로 하였으며 연구도구는 자기응답식 설문 조사법(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을 사용하여 테이타를 수집하고 제작된 설문지는 내용 타당도(Content Validity)조사와 문항의 재구성을 통하여 완성되어 졌으며 자료분석을 위해 이 연구에서 사용된 통계분석은 Two-way anova(이원변량분석)를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무용교육의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체력 향상에 관한 무용교육의 기대 효과는 소속대학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무용교육이 체력발달에 미치는 기대효과는 체육대학에 소속되어 있는 학생들의 경우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의미는체육대학에 소속된 무용학과 학생들은 무용교육의 효과를 신체능력발달에서 찾으려 하기 때문이다. 둘째, 표현력 향상에 관하 기대효과는 예술대학에 소속되어 있는 학생들의 경우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술대학에 속해 있는 무용학과 학생들은 무용교육의 효과를 표현력 향상과 같은 예술성 함양에 두고 있다. 셋째, 무용교육을 통한 사회성 함양은 소속대학, 학년 그리고 세부전공분야와 상관없이 낮은 기댓값을 보인다. 이러한 의미는 무용학과 학생들은 무용교육이 사회성 함양에 기여하지 못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effects of expectation whose are majoring in dance. In order to get data,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 was employed students(total 169 : male 93%, female 93%) which major in dance in seoul & kyungki province. All data were analyzed by two-way ANOVA. The results of the research follow : 1. The effects of expectation of dance education about increased physical fitness were differenciated from each university, The effects of expectation of dance education about increased physical fitness development were high in physical educatuon colleage. because they tried find in physical capacity development of dance education. 2. The effects of expectation about increased were high in art colleage because they tried find in physical capacity development of dance education. Also, the students who major in dance in art colleage focused in increasing quality of art. 3. The increasing of social through dance education were low expected value in university, year and minor major. The results showed the students who major in dance in art colleage thought uneffected dance education on increasing quality of social

      • 문화예술 환경변화에 따른 무용 전문 인력 재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김이경 숙명여자대학교 2006 국내박사

        RANK : 23433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build the theory and practice of the reeducation program for training professionals in dance and to provide its direction and indicator. In doing this, four specific research questions were proposed as follows: 1) What is the theory and practice about reeducation of artists and the environmental change in culture and art? 2) What can be the present situation and current problems of dance education in internal and external? 3) How can it be done for the building paradigm of reeducation on dance professionals? 4) How would the re-education program model in dance art be set up? In order to examine those of issues, it was accomplished critical consideration and analysis on the education process and the articles related to the art education and re-education concerning with dance. In detail, articles and books about art education and re-education, books and reports for policy program dance art education, and Master theses and Ph.D dissertations were reviewed critically as the first analysis. The current curriculums of department of dance in each national and abroad colleges were considered analysing the internet sites. The following findings were articulated as the result of this study concerning research questions: First of all, it was important to face the reality that the reeducation for the artists can't meet the cultural level of the today's audience requiring high quality and variety performance due to the improvement of the intellectual culture level. It was found that the re-education of artists must be attained with range for the creating jobs relating arts. Also emphasizing more improved and professional re-education and the development of its programs need to be carried out side by side. Second, as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on internal and external dance education it was appeared that the dance department of colleges training the dance professionals mainly focused on the dance practice, which made them stay behind in the diversity and specialization. Therefore, the curriculums couldn't correspond with the diverse need of students. On the contrary, the curriculums of the America, England, and Australia run more flexible and diverse programs. So it's much easier to advance toward the professional field compared the national situation. Third, for the building the paradigm of dance professional re-education process, the constructive culture and art education policy focused on training the creative resources should be established. 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reeducation program that can lead the creative revitalization need to be settled without delay. We formed a conclusion that the re-education for both the professional dance educators and the dance choreographers are needed. Under the current art environment, the usage of technology is increasing rapidly, so the re-education for the dance choreographer on technology may be needed for the smooth communication between the performance producers and audiences. Also it requires the re-education for the professional to secure the competitiveness of dance art, Finally, this study proposed models of re-education program for training choreographers and professional dance educators. To carry out such models, it was suggested building the professional foundation similar to social education academy and lifelong education academy which are the affiliated organizations of the university performing the re-education programs. Each programs were separated into following three categories: 1) movement development, 2) creativity development, and 3) choreography theory education. And then, it showed programs focusing its education goal training creative choreographers. The re-education program for the professional dance educator were classified as the following three sections: 1) movement education, 2) teaching method development, and 3) creativity education. In conclus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as to build the re-education program and the professional organization of dance art re-education relating colleges except the regular curriculums in university, to provide programs leading efficiently dance professionals into creating jobs and social adjustment 본 연구의 목적은 무용 전문 인력을 양성함에 있어서 문화예술 환경변화에 따르는 무용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재교육 프로그램의 이론과 실제를 정립하고 나아갈 방향과 지표를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의 세부 연구문제들을 설정하였다. 1) 문화예술의 환경변화와 예술가 재교육의 이론과 실제는 무엇인가? 2) 국내·외 무용교육의 실태와 문제점은 무엇인가? 3) 무용전문 인력 재교육과정을 위한 패러다임 구축을 어떻게 할 것인가? 4) 무용예술 재교육 프로그램의 모형은 어떻게 설정할 수 있는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무용과 관련된 예술교육과 재교육을 다룬 문헌들과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분석하였으며, 세부적으로 예술교육과 재교육에 관한 연구논문 및 단행본, 정책과제 무용예술교육에 관한 단행본과, 대학교육과정에 대한 연구논문 및 학위논문을 첫 번째 분석의 과정으로서 수행하였고, 현재 각 대학의 무용전공학과에서 시행되고 있는 교육과정에 대한 것과 부가적으로 해외사례분석을 위해 교육과정이 계시되어 있는 인터넷 사이트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위와 같이 설정된 세부 연구문제들에 대해 다음과 같이 결론을 도출 할 수 있었다. 첫째, 문화예술의 환경변화와 예술가 재교육의 이론과 실제에 대해 예술가의 재교육은 지적 문화수준이 향상되어 보다 전문화 된 고품질의 공연을 기획·제작하여 수용자에게 제공 할 수 있는 예술인을 요구하고 있는 현대사회의 관객과 문화수준에 부흥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는 현실을 인식, 예술가의 재교육 측면은 예술과 관련된 새로운 직업창출 차원에서도 다양하게 이루어져야한다 라는 결론을 얻었을 뿐만 아니라 보다 질적으로 향상된 전문적인 재교육을 강조, 이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병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국내 · 외 무용교육의 실태와 문제점으로 한국의 무용 전문인력 양성을 전담하고 있는 대학의 무용(학)과에서는 무용을 실기 위주로 교과 편성을 하여 다양화와 전문성에 있어 낙후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생들의 폭넓은 학문적 욕구에 부합할 수 없는 단점을 찾을 수 있었다. 이에 반해 미국을 비롯한 영국과 호주의 경우 탄력적인 교육과정의 운영과 보다 광범위한 예술적 경험을 할 수 있는 교육과정을 비롯하여 다양한 전문분야로의 진출이 국내대학보다 용이 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용 전문 인력 재교육과정을 위한 패러다임 구축에서는 창의력 있는 인재양성에 초점을 맞춘 문화예술교육정책의 적극적인 수립에 발맞추어 나갈 전문무용교육자 양성을 위한 재교육프로그램과 창작활성화를 유도 해 나갈 수 있는 무용전문 안무가 양성 재교육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무용전문 인력양성을 위한 재교육프로그램의 필요성이 절실한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예술 환경에서의 테크놀로지의 사용도가 날로 급증하고 있는 시점에서 작품생산자와 수용자간의 커뮤니케이션의 원활한 작용을 위해 테크놀로지에 대한 무용창작자 재교육이 절실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무용예술의 경쟁력확보라는 측면에서도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재교육의 필요성을 찾아 볼 수 있었다. 넷째, 안무가 양성을 위한 재교육프로그램과 전문 무용교육자 양성을 위한 재교육프로그램의 모형을 제시하여 재교육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전문기관인 대학기관에서 현재 시행하고 있는 사회교육원과 평생교육원의 형태와 유사한 형태의 전문기관 설립을 제시하였다. 안무가 양성 재교육프로그램에서는 교육목적을 창의력 있는 안무가 양성에 두고 움직임의 개발영역, 창의력 개발영역, 안무이론 교육영역으로 구별하여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전문 무용교육자 양성을 위한 재교육프로그램은 전문 무용교육자 양성에 목적을 두고 움직임의 교육영역과 교수법개발영역, 창의력교육영역으로 구별하여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대학정규 교육과정 이외에 대학기관과의 연계를 통한 무용예술가 재교육 전문기관의 설립과 재교육프로그램을 구축 및 제안하여 무용전문 인력의 사회적응력 배양 및 무용전문 인력의 직업창출을 효율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이다.

      • 대학무용과 여학생의 스트레스 척도 개발

        박현정 同德女子大學校 一般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34335

        본 연구는 대학에서 무용을 전공하며 공연 활동을 하고 있는 무용수들이 직면하는 스트레스를 규명하고 규명된 스트레스를 바탕으로 스트레스 척도를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2001년 현재 서울 소재 무용관련 학과 중에서 무선 표집(random sampling)을 통해 2개 학교를 선정하여 개방형 설문으로 실시하였다. 개방형 설문 내용을 근거로 기초문항을 작성하고 내용의 구성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서울 소재 대학교에서 무용 전공 학과가 있는 대학교 4개를 무선 표집 하여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를 통하여 개방형 설문 결과를 통해 구한 측정 개념을 적절하게 대변하고 있는 문항을 구체화하였다. 척도의 구성 과정은 대학에 재학중인 무용수들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을 통해 스트레스 내용을 추출하고 추출된 원자료를 유사한 영역별로 범주화시켜 세부영역을 구분하고, 다시 세부 영역은 유사 내용과 통합해 일반 영역을 구성하는 귀납적 분류 후 전문가 3인과의 토의를 거쳐 문항 풀(pool)을 제작하였다. 편집된 자료는 SPSS for Windows version 10.0을 사용하여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귀납적 범주화 결과 227사례의 원자료는 57항의 세부영역으로 분류하였으며, 57항의 세부영역은 다이어트에 관한 스트레스, 자신의 체형 불만족으로부터 오는 스트레스, 경제적 부담으로 오는 스트레스. 졸업 후 진로에 대한 스트레스, 선후배와의 갈등에서 오는 스트레스, 무용상해의 스트레스, 열악한 시설에서 오는 스트레스, 인맥·학연·지연에 따른 스트레스, 차별적 대우에 대한 스트레스, 자신의 좌절감에 오는 스트레스, 경쟁 심리에서 오는 스트레스 기타 11항의 일반 영역으로 분류하였다. 범주화를 통한 개방형 설문의 종합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척도 문항을 제작하였다. 그러나 총 40문항의 예비 문항이 제작되었으며, 3인 협의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34문항을 확정하였다. 그 다음 34개의 문항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 분석을 실시한 결과 고유치 값이 1이상인 항목이 8개로 추출되었으며, 8개의 요인은 각각 차별적인 평가에 대한 스트레스, 체형 관리에 대한 스트레스, 실기능력에 대한 스트레스, 무용상해에 대한 스트레스, 인간관계에 대한 스트레스, 경제부담에 대한 스트레스, 환경조건에 대한 스트레스, 진로에 대한 스트레스로 명명하였다. 이와 같이 8개의 요인수를 설정한 후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결과 8개의 요인을 설명하는 총 변량은 76%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대학에 재학중인 무용수의 스트레스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 8개요인, 34개 문항으로 개발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대학에 재학중인 무용수들이 갖고 있는 스트레스 요인을 개방형 설문이라는 질적 연구 방법을 도입하여 현장감 있는 내용을 추출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스트레스를 계량화 하므로서 무용수와 스트레스간의 관계를 밝히려는 양적 연구의 토대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stress out to be faced with dancer of performing activity majoring in dance at the college, and also, to develop a stress measure based on its inquired the stress out. This study carried out a question of an open type to select two schools through a random sampling of the departments related to dance in Seoul as of 2001. The thesis carried out the investigation through the random sampling of four colleges with a department of major in dance from among the colleges in Seoul in order to do a feasibility-degree study of a content composition to draw up a basic items of sentence based on the question contents. The thesis has concreted the item of sentence which is speaking for the measure concept properly through the result of opened-type questionnaire by this survey. A constituent process abstracts the stress contents from the opened-type questionnaire on the dancers who is in the college, classify the detailed fields to categorize by similar domains, and drew up the pool of items of sentence through three professional's discussions after an inductive classification to compose a general fields to unite the detailed fields with the similar contents. The thesis made a feasibility-degree study from its editorial material with SPSS for Windows version 10.0. The original material classified 227 cases of result of an inductive category into the detailed fields of 57 items, that is, the detailed field of 57 items is as in the followings. Stress of the dissatisfaction of one's body-shape, Stress of economical defrayment Stress of course after graduation Stress of conflict between senior and junior Stress of dance injury. Stress of a poor-equipped. Stress of personal connections, school relations and regionalism Stress of discrimination Stress of one's sense of frustration Stress of competitive psychology. and, it classified a general fields of the other 11 items. The thesis made the items of sentence for preliminary measure based on a general results of the open-type questionnaire through categorization. However, it made total 40 items of sentence as a preliminary items of sentence and made a definite decision 34 items of sentence finally through three person's discussions. And then, The thesis found out that the result which carried out an analysis of searchable factor, Eight factors over "One" item were abstracted from the objects of 34 items of sentence and the eight factors is called as follows, Stress of each discriminative estimation. Stress of control of body-shape Stress of Practical abilities. Stress of dance injury. Stress of human relations Stress of Economical defrayment Stress of environment Stress of course In the results, the total variate to describe the eight factors showed 76%. And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thesis has developed eight factors, 34 items of sentence so as to measure the stress that dancers who are in college have. Firstly in the country, this study has extracted the stress factors from the contents of realism to introduce the qualitative study method of open-type questionnaires to the factors of stress which dancers who is in college have, and it is significant that a base of this quantitative study has formed the basis of research in order to inquire into relations between dancers and stress to measure stress based on them.

      • 中.高等學校 體育敎科書 舞踊單元分析 硏究

        김은숙 淑明女子大學校 1987 국내석사

        RANK : 23433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r characteristics of a dance unit and to suggest the basic resource to compile the physical education textbook effeiciently.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a unit, Yim In Jae(1984 : 91) 5present dance units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 were analysed by the grade, classification characteristics, and the class. The following results were drawn as follows : 1. Terms or Concepts are arranged simply and the processes or procedures go into detail. 2. Facts or principles on a dance are shortly mentioned. In accordance with the grade 1. There a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grades. 2. Upon the traditional dance, there are many esplanations on refacts in the first grade of a middle school. 3. Upon the creative dance, there are so many explanations on ferms or concepts in the first grade of a middle school. 4. Upon the creative dance, there are few explanations on terms or concepts in the first grade of a middle school. In accordance with the classitication characteristics 1. Terms or concepts are enumerated excessively, and further more this condifion is mentioned especially in the textbook of a high school. 2. The basic principles or laws on the traditional dance are negleeted. 3. The more grade is high, the more concerns on the proced ures or processes of the traditional dance the are low. 4. Upon the creative dance, the principles or laws of dance are stressed. 5. As compared with the traditional dance, the terms or concepts in the creative dance are shortly enumerted. In accordance with the class 1. There are no differences in the weighting value by classification characteris according to the class 2. Upon a traditional dance, terms or concepts in the high school are explained excessively. Especially the simple arrangmats of the terms than conceptual definition are enumerated, and this occation parti curily comes foreign traditional dance 3. Upon a creative dance, there are many explanations on the facts, and few explanations on the processes or procedures in the high school than middle scho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