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Prediction of Paddy Rice Yields by the County Levels in South Korea Using Meteorological Data and Vegetation Indices

        조수빈 부경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곡물류 중 기상 요소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미곡인 벼가 생장하는 기간 동안의 영향을 미치고 벼 수확량 예측 연구에 많이 사용되는 기상값과 식생지수의 적합한 변수 선정과 최적의 기상자료 확보는 벼 수확량 예측 모델링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2000-2019년의 7월, 8월, 9월에 대하여, 다종의 기상자료를 비교평가하고 적합한 기상자료의 기상변수와 식생지수, 가뭄지수 등을 설명변수로 하여 벼 수확량과의 비선형적 관계를 고려하여 기계학습 기법을 이용한 교차검증과 암맹평가 방식의 수확량 하인드캐스트 실험을 수행하고자 한다. 다종의 기상자료로는, 지상관측자료인 ASOS, 재분석장의 CRU-JRA ver. 2.1, ERA5를 사용하였다. 이들 기상자료에서 공통적으로 도출할 수 있는 7, 8, 9월 기온, 상대습도, 일사량, 강수량 변수에 대한 비교와 벼 수확량과의 연관성을 분석하고 식생지수와 함께 예측 모델을 생성하여 최적의 기상자료로 CRU-JRA를 선정하였고 MODIS LAI, fPAR 식생지수는 벼 수확량 예측에 있어서 중요한 변수임을 알아내었다. CRU-JRA 기상자료와 DTR, LAI, fPAR, scPDSI를 사용하여 랜덤 포리스트 모델에 투입하여 벼 수확량 하인드캐스트 실험을 수행한 결과,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CC = 0.813). 본 연구는 벼 수확량 예측을 위한 다종 기상자료와 위성자료의 식생지수 선택에 있어 하나의 합리적 방법을 제시하고 기상자료 및 식생지수를 활용한 종합적인 벼 수확량 예측 모델을 생성한 것이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 백석 시에 나타난 연민 연구

        조수빈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백석 시에 드러나는 연민의 양상을 밝히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기존의 연구들과 차별점을 가질 수 있는 누스바움의 연민 이론을 접목하였음을 밝힌다. 이는 백석 시에서의 연민이라는 감정이 독자에게 어떤 효과를 불러올 수 있는지에 대해 살피고 시적 화자와 시적 대상 간에 드러나는 연민 양상을 심층적으로 고찰하기 위함이다. 또한 우리 사회에서 상호 간의 원만한 감정 교류를 위해서는 인문학의 학습화를 역설한 누스바움의 주장을 선택하여, 백석 시에서 발현되는 연민을 시적 화자가 어떻게 체득화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려 한다. 연민이란 타자를 불쌍히 여기는 측은지심에서의 발현으로 선의지나 도덕적 의무의 이행을 갖지 않는다. 이같이 연민은 인간이 갖는 감정 중 사적 욕망이 배제된 감정으로 우리 사회에서 긍정적 의미를 내포한다. 필자는 연민의 구체적인 연구를 위해 백석의 작품 활동이 활발했던 암울한 시기를 반영하지 않을 수 없음을 밝힌다. 이와 같은 이유는 백석의 시편들에 드러나는 쓸쓸함의 기조가 시대적 관점의 영향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평안북도 정주에서 태어난 백석의 젊은 시절은 유랑민에 가까웠다. 한곳에 정착하지 못하고 서울과 일본, 만주로 옮겨 다니다 삼수군에서 생을 마친 백석의 삶을 유추했을 때, 그의 시에 표출되는 지식인의 내면 의식은 표현론적 반영과 연결됨을 살필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백석의 내면에 내재된 쓸쓸한 연민의 층위를 네 가지로 나눠 분석하려 한다. 첫째 자기 연민, 둘째 타인을 향한 연민, 셋째 불행을 가하는 대상과 불행을 겪는 대상에 대한 동시적 연민, 넷째 동물과 유생물을 타자한 연민을 도출하여, 백석이 일제의 규범 안에서 연민을 어떤 방식으로 고취하는지 확인하려 한다. 백석의 시편들에서 기억을 재구성함으로써 유년으로의 희구를 지향하는 시적 화자를 쉽게 발견할 수 있다. 그러나 풍요롭던 유년의 바람은 백석의 현실과 유리됨으로 인하여 애상적 정서가 일어나고, 그것이 연민으로 표출된다. 이러한 연민은 백석의 개인적 측면을 넘어 민중들의 삶의 애환을 대변하는 지식인의 역할을 맡아 왔다. 필자가 위에서 제시한 층위에 관한 연민의 양상을 숙고해 볼 때 백석의 시 세계관은 붕괴된 가족과 민족의 공동체 회복으로 함축할 수 있다. 이는 ‘설어워졌다’, ‘눈을 씻는다’, ‘슳븐력사가있다’, ‘가랑가랑한다’, ‘파리했다’, ‘파란 魂들 같다’, ‘쓸쓸한 마음이다’와 같은 부분에서 백석의 연민의 정서가 민족의 애환과 맞닿아 있음을 확인해 볼 수 있다. 이런 백석 시의 연민에 대한 응시는 자신과 타인 그리고 그의 가시권 안에 드는 관물의 대상에서 자주 노출되어 왔다. 특히, 백석 시의 화자와 시적 대상들은 자유주의와 민주적인 제도권 밖의 인물들로 이산과 가난의 궁핍에서 벗어나지 못한 타자들이다. 일제라는 제도적 설계 안에 갇혀 살아야 했을 백석의 시에 드러난 연민은 어두운 과거를 재인식시키는 효과를 거둔다. 이처럼 본고에서는 백석 시에 드러나는 연민의 양상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백석 시의 연민은 암울한 시대 속 서로 불쌍히 여기며 연대할 수 있는 힘을 갖게 하는 것임을 재확인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atterns of compassion in Baek-Seok's poetry. For this purpose, the investigator incorporated Nussbaum's compassion theory into the study for its differentiation from previous studies. It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mpassion on the readers in his poems and make an in-depth inquiry into the patterns of compassion between the poetic speaker and the poetic object. Arguments made by Martha Nussbaum, who highlighted the learning of humanities for smooth emotional exchanges among the members of society, were introduced in the study to investigate how the poetic speaker learned compassion manifested in Baek-seok's poems by experience. Compassion is a manifestation of pity for others, having no duty for good will or moral obligation. Compassion is a human emotion with private desire excluded, connoting positive meanings to the society. The investigator had to reflect the dismal times when Baek-seok was active with his creative activities in order to investigate compassion specifically as the basic trend of solitude in his poems was influenced by the viewpoints of the times. As a young man, Baek-seok had a journey close to that of a nomad. Born in Jeongju, Pyeonganbuk Province, the poet was not able to settle down in one place and moved around Seoul, Japan, and Manchuria before passing away in Samsugun, which suggests that his inner consciousness as an intellectual expressed in his poems was connected to expressive reflection. The study divided solitary compassion inherent in his inner side into four layers for analysis. The four layers include self-compassion, compassion for others, simultaneous compassion for those who cause misery and those who suffer it, and compassion for animals and living things as others. Based on these layers, the investigator examined the ways that the poet promoted compassion within the norm of the ruling Japanese. As the memories were reconstructed in Baek-seok's poems, the poetic speaker was easily found who aspired after childhood. As the rich childhood wish was separated from his reality, however, the sad sentiment was expressed as compassion, which served as an intellectual representing the joys and sorrows of people's lives beyond the poet's personal dimension. When the patterns of compassion were considered carefully regarding the four layers above, his view of poetic world signifies the restoration of collapsed family and national community. This is why his sentiment of compassion including getting sad, washing eyes, having a sad history, full of tears, pale, like blue souls, and sad heart is connected to the joys and sorrows of the people. His gaze at compassion in his poems was often revealed in himself, others, and government-issued articles within his visibility range. The present study arranged the patterns of compassion in Baek-seok's poems with a focus on compassion to be discussed in the body of the investigator's research paper. In his poems, the speakers and poetic objects are outside the institutions of liberalism and democracy, being others trapped in the destitution of separation and poverty. In the poems of Baek-seok that had to live trapped inside the institutional design called the Japanese imperialism, compassion generates an effect of rediscovering the dark past. It was also reconfirmed that compassion in his poems had the power of mutual pity and solidarity each other in the dismal times.

      • 선어말어미 '-시-'의 교수 학습 방안 연구 : 담화.맥락 중심으로

        조수빈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높임 표현 중에서도 주체 높임의 표지로 쓰이는 선어말어미 ‘-시-’를 대상으로 한다. 선어말 어미 ‘-시-’는 주로 형태론과 통사론의 주된 관심 분야였다. 그러나 국어의 높임 표현은 상당히 맥락의존적인 문법요소로 학교문법에서는 선어말어미 ‘-시-’의 비규범적인 용례에 대해서도 관심을 갖고 탐구할 수 있는 교수 학습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어말 어미 ‘-시-’에 대한 이론적 이해를 바탕으로 교과서에서 선어말어미 ‘-시-’와 관련된 단원의 내용을 비판적으로 검토 후 담화 맥락을 활용한 교수학습 방안을 재구성해보고자 한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선어말어미 ‘-시-’의 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선어말어미 ‘-시-’의 이론 문법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을 규범적, 비규범적 용법으로 나누어 알아보았다. 현행 학교 문법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교육 내용은 철저히 규범적인 용법에 입각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화용론적 입장으로 논의되고 있는 비규범적의 다양한 용법에 대해서도 간단하게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먼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나타난 선어말어미 ‘-시-’의 교육 내용상 위치를 알아본 후 『언어와 매체(2018)』총 5종의 교과서에서 개념 설명을 중심으로 학교 문법에서의 교육 내용을 비교 분석해보았다. 선어말어미 ‘-시-’는 5종의 교과서 중 3종의 교과서에서 문장단원에서 다루고 있었으며 나머지 2종의 교과서는 담화단원에 포함은 되어 있으나 실제 내용은 문장단원에 머무르고 있었다. 선어말어미 ‘-시-’의 개념설명에 대해서는 5종의 교과서 모두 주체 높임을 나타내는 방법으로 ‘규범적’인 입장에서만 교육 내용을 제시하고 있었다. 4장에서는 『언어와 매체(2018)』 교과서를 대상으로 학습활동에서 다루고 있는 교육 내용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비상교육』과 『천재교육』을 제외한 나머지 교과서에서 학습활동은 본문학습의 개념을 확인하는 지식 확인 차원의 활동이 제시되는 점, 담화와 맥락을 고려하지 않은 문장의 예문만 제시되고 있는 점, 실제 언어생활에서 사용되는 선어말어미 ‘-시-’의 용례를 오류 표현이라 지적하고 수정하는 활동만 기술되어 있다는 점을 문제점으로 언급하였다. 『비상교육』과 『천재교육』에서는 실제 언어생활에서 사용되는 선어말어미 ‘-시-’의 용례에 대한 원인을 찾아보고 이와 관련된 실제 사례를 알아보는 등의 탐구활동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이 눈에 띠었다. 『언어와 매체(2018)』의 높임 표현 단원의 성취기준이 ‘문법 요소들의 개념과 표현 효과를 탐구하고 실제 국어 생활에 활용한다.’는 점을 잘 반영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다수의 교과서 학습활동에서 여전히 단편적인 지식 확인 차원에 머물러 있거나 담화와 맥락을 고려하지 않은 채 문장으로 예문을 제시하고 있는 등의 문제점을 바탕으로 학습활동에서 다루는 교육 내용이 확대 되어야 하고, 담화와 맥락을 고려한 탐구활동이 기술되어야 함을 지적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선어말어미 ‘-시-’의 다양한 기능과 원인 탐구에 대해 담화와 맥락에 초점을 둔 학습활동을 고안해보았다. 본 연구에서 고안한 학습활동은 실제 언어생활에서 나타나는 용례를 담화론 층위까지 확대시켜 선어말어미 ‘-시-’가 나타나는 원인 탐구와 다양한 설명을 하고자 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prefinal ending ‘si’ used for the honorific expressions for the subject. The prefinal ending ‘si’ is the major issue in both morphemics and syntax. However, the honorific expressions in the Korean language are context-dependent grammar elements, and therefore, a teaching and learning guide should be arranged to encourage the students to learn even about the innormative uses of ‘si’. This study discusses the theoretical aspects of the honorific prefinal ending ‘si’ and thereupon, critically reviews the unit of the Korean language textbook and thereupon, rearranges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the prefinal ending ‘si’.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study in the first chapter, the second chapter reviews the uses of the prefinal ending ‘si’. Specifically, the pre-final ending ‘si’ is divided into normative and innormative uses. As a result,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current grammar education at school is grounded thoroughly on the normative uses. Thus, this study simply reviews the diverse innormative uses of ‘si’ from a pragmatic perspective. The third chapter reviews the 2015 Amendment of the National Curriculum to confirm the position of the prefinal ending ‘si’ in the curriculum, and thereby, comparatively analyzes the 5 textbooks centering around the unit of ‘Language and Media’ (2018). The prefinal ending ‘si’ is handled as a unit by 3 textbooks out of 5 ones. The other 2 textbooks include it in their unit of talks, but the actual contents remain at the unit of the sentences. All of the 5 textbooks handle the prefinal ending ‘si’ from a normative perspective, suggesting it as subject’s honorfic expression. The fourth chapter comparatively analyzes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centering around the textbook ‘Language and Media (2018)’. As a result, this study identifies several problems. First, all the textbooks except for ‘Visang Education’ and ‘Genius Education’ suggest only a knowledge-confirmation activity. Secondly, they suggests only the examples of the sentences not in consideration of the talks and their contexts. Thirdly, they describe only the corrections of the uses of the prefinal ending ‘si’ in the actual linguistic life. In contrast, ‘Visang Education’ and ‘Genius Education’ identify the uses of the prefinal ending ‘si’ in the actual linguistic life and describe the actual cases relevant to it. Particularly, ‘Language and Media“ (2018) suggests some criteria for achievement as ‘exploration of the effects of the grammar elements’ concepts and expressions’ and ‘use of them in the actual language life.’ Nevertheless, the majority of the textbooks remain at the dimension of the fragmental knowledge or the example sentences not in consideration of talks and contexts. Hence,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handled in learning activities should be expanded, while the exploration activities in consideration of talks and context should be enhanced. Based on the results of such reviews, this study has designed a learning activity focused on talks and context to explore diverse functions and causes of the prefinal ending ‘si’. it is deemed significant because it att empted to expand the uses in the actual linguistic life to the level of discourse to explain about the causes and setting of the prefinal ending ‘si’.

      • 융합미술교육을 활용한 초등 저학년 미술영재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연구

        조수빈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초연결, 초지능을 특징으로 하는 4차 산업혁명이 대두됨에 따라 ‘창의·융합 인재’양성을 위한 융합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융합교육은 타 교과와 미술 교과의 융합을 통해 미술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 심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미술영재교육에서 더욱 필요하다. 그러나 초등학교 저학년 미술영재를 대상으로 한 융합프로그램은 찾아보기 어렵고, 미술영재의 범위를 벗어나 초등 저학년을 대상으로 한 융합교육을 사례는 몇 가지 찾을 수 있으나 과학기술의 흥미와 이해를 목표로 한 융합인재교육(STEAM)의 틀에서 벗어나지 못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타 교과의 학습, 이해를 목적으로 한 도구적 교과가 아닌 미술 교과의 독자성이 살아있는 융합교육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의식 아래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미술영재 학생을 위한 융합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 초점을 두어, 미술 교과의 특성을 살린 융합교육의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문헌연구, 초등학교 저학년 교육과정, 미술영재 프로그램의 분석을 통해 프로그램의 주제를 선정하였다. 프로그램의 주제는 학습자의 삶과 맞닿아 있으나 미술의 영역으로 생각하기는 어려운 이야기, 그림자, 빛, 기타로 정하고 강병직(2022)의 융합미술교육의 원리를 활용하여 융합미술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프로그램은 C교육대학교 부설 미술영재교육원 2학년 학생으로 6회에 걸쳐 7개월간 적용하였다. 프로그램 적용의 결과는 학생작품 분석, 학생 만족도 조사 설문, 학생 심층 면담 내용과 수업 과정에 대한 질적 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융합적 표현 능력이 향상되었다. 학생들은 그림책 속의 이야기, 그림자의 특성 등을 파악하고 이를 활용한 미술작품을 계획하여 제작할 수 있게 되었다. 타 교과와 미술 교과의 융합 경험을 통해 학생들은 접하는 모든 것을 미술적 관점에서 바라보고 융합미술을 시도하려는 의지를 갖게 되었다. 둘째, 학생들의 독창적이고 창의적인 표현이 향상되었다. 의미 만들기 원리를 적용한 활동으로 학생들은 미술의 주관성을 이해하고 개인의 느낌과 생각이 저마다 다를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이해는 서로의 의견을 존중하는 분위기를 형성하였으며 작품 계획과 실행에 자신을 갖고 본인의 생각을 마음껏 표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셋째, 학생들의 미술에 대한 관심과 흥미가 향상되었다. 저학년 학생들의 특성에 알맞은 놀이 중심의 활동은 학생들이 즐겁게 수업에 참여할 수 있게 하였다. 학생들은 융합미술 활동이 재미있고 새로웠다고 평가하였으며 융합미술수업에 대한 기대감을 갖게 되었다. 넷째, 학생들의 협업능력이 향상되었다. 타 교과 요소와의 융합, 대형작품 제작과 같은 미술영재의 도전의식을 자극하는 과제는 학생들이 서로의 의견을 조율하고 협의하는 경험을 제공하였다. 혼자서는 해결하기 어려운 과제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통해 협업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다. 본 연구는 초등 저학년 미술영재교육 연구가 부족한 상황 속에서 융합미술교육의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초등 저학년을 대상으로 한 융합미술교육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융합미술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이야기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회복탄력성과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조수빈 전남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이야기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회복탄력성과 언어표현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이야기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회복탄력성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둘째,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이야기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본 연구대상으로 전라남도 S시에 위치한 H어린이집의 만 5세반 두 학급의 유아들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유아들은 각각 실험집단(남:11, 여:9)과 비교집단(남:9, 여:10)으로 배정하였으며, 실험에 참여한 총 유아 수는 39명이였다. 실험집단 유아들은 5주 동안 주 2~3회씩 총 14회기를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이야기꾸미기 활동에 참여하였으며, 비교집단 유아들은 동일한 기간 동안 그림책이나 그림 자료를 활용한 일반적인 이야기꾸미기 활동에 참여하였다. 유아의 회복탄력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이연실(2012)의 ‘유아의 탄력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언어표현력을 알아보기 위해서 정남미(1996)의 VQ(Visual Que Writing Sample) 쓰기 검사도구를 엄은나, 강정원, 박성희(2007)가 말하기 검사도구로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jamovi 1.1.9.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t 검증과 공변량 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이야기꾸미기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그림책이나 그림 자료를 활용한 일반적인 이야기꾸미기 활동을 실시한 비교집단의 점수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 유아들의 회복탄력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인 ‘관계적 탄력성’과 ‘능력적 탄력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정서적 탄력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실험집단의 점수가 향상되었다. 이는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이야기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회복탄력성을 향상시키는 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애니메이션을 활용 이야기꾸미기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그림책이나 그림 자료를 활용한 일반적인 이야기꾸미기 활동을 실시한 비교집단의 점수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 유아들의 언어표현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표현력의 하위요인인 ‘단어 수’. ‘문장 수’, ‘묘사단어 수’, ‘문장 수준’. ‘이야기구조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어휘 수준’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실험집단의 점수가 향상되었다. 이는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이야기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을 향상시키는 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이야기꾸미기 활동은 유아들의 회복탄력성과 언어표현력을 향상시켰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이야기꾸미기 활동이 의미 있는 교수 방법으로 유아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가치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would investigate the effects of story making activities through animation on young children’s resilience and expression ability.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problems set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How does story making activities through animation affect young children’s resilience? 2. How does story making activities through animation affect young children’s expression ability? The research subjects were thirty nine 5-year old children, with twenty in the experimental group(boy: 11, girl: 9) and nineteen in the comparative group(boy: 9, girl: 10) that attended a H kindergarten near S-city.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a story making activities through animation twice-three time a week for five weeks, 14 times in total, and children in the comparative group participated in a common story making activities through picture book or pictorial data during the same period. To measure the resilience of children, this study used ‘A child’s resilience inventory’, created by Lee Yon-sil(2012). To measure the expression ability of children, this study used the ‘Visual Que Writing Sample’ created by Chung Nam-Mi(1996) which was modified and developed ‘Visual Que Speaking Sample’ by Eom Eun-Na, Kang Jeong-Won, Park Sung-Hee(2007). The collected data were calculated by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alyzed by t-test and ANCOVA analysis using jamovi 1.1.9.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post-test with the experimental group that did the story making activities through animation and the comparative group that did the common story making activities through picture book or pictorial data, it turned out that the score of resili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mparative group. In the sub-area of resilience,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ative group, such as ‘relational resilience’, ‘resilient compentence’. The ‘emotional resilience’ did not appear significant, but the score was improved. This mean that the story making activities through animation has a positive affect to young children’s resilience. Second, as a result of the post-test with the experimental group that did the story making activities through animation and the comparative group that did the common story making activities through picture book or pictorial data, it turned out that the score of expression abil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mparative group. In the sub-area of expression abilit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ative group, such as ‘words quantity’, ‘sentences quantity’, ‘the words used to describe quantity’, ‘sentences quality’, ‘the concept of the story structure quality’. The ‘vocabulary quality’ did not appear significant, but the score was improved. This mean that the story making activities through animation has a positive affect to young children’s expression ability. When combined with the above results, the story making activities through animation improved young children’s resilience and expression ability. Thu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worth story making activities through animation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s meaningful teaching-learning method.

      • 무용전공 대학생의 자기관리가 대학생활적응 및 무용성취에 미치는 영향

        조수빈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무용전공 대학생의 자기관리가 대학생활적응 및 무용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성공적인 자기관리를 위한 지표를 제공하고, 대학생활적응 및 무용성취 향상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지역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무용전공 대학생이며, 유의적 표집방법을 사용하여 수집한 600부의 표본 중 신뢰성이 낮은 것으로 판단되는 표본 82부를 제외한 총 518부의 유효 표본을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으로 SPSS ver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료처리는 빈도분석, 요인분석, Cronbach's α 검사, 독립표본 t-test,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절차와 방법을 바탕으로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전공 대학생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자기관리와 대학생활적응 및 무용성취에는 부분적으로 차이가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차이에서는 자기관리의 훈련관리 요인, 대학생활적응의 사회적 적응 요인, 무용성취의 심동성취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에 따른 차이에서는 자기관리의 대인관리 요인, 신체관리 요인, 대학생활적응의 정서적 적응 요인, 대학에 대한 애착 요인, 신체적 적응 요인, 학문적 적응 요인, 무용성취의 정의성취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신고교에 따른 차이에서는 자기관리의 모든 요인, 대학생활적응의 신체적 적응 요인을 제외한 모든 요인, 무용성취의 모든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용경력에 따른 차이에서는 자기관리의 모든 요인, 대학생활적응의 모든 요인, 무용성취의 모든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전공 대학생의 자기관리는 대학생활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적 적응 요인에는 정신관리, 신체관리, 훈련관리가, 대학에 대한 애착 요인에는 훈련관리, 공연관리, 신체관리, 대인관리가, 학문적 요인에는 훈련관리와 공연관리가, 사회적 적응 요인에는 대인관리, 정신관리, 공연관리가, 신체적 적응 요인에는 정신관리가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용전공 대학생의 자기관리는 무용성취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의성취 요인에는 대인관리가, 심동성취 요인에는 훈련관리와 공연관리가, 인지성취 요인에는 훈련관리, 정신관리, 대인관리, 공연관리가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무용전공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은 무용성취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의성취 요인에는 사회적 적응과 학문적 적응이, 심동성취 요인에는 학문적 적응과 대학에 대한 애착, 사회적 적응이, 인지성취 요인에는 학문적 적응, 사회적 적응, 대학에 대한 애착이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볼 때, 무용전공 대학생의 자기관리는 대학생활적응 및 무용성취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결과는 자기관리가 잘 이루어질수록 대학생활적응이 증대되고, 무용성취가 향상됨을 시사한다. 그러므로 자기관리와 대학생활적응 및 무용성취에 대한 보다 구체적이고 세밀한 후속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이며, 무용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자기관리 전략 또는 자기관리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 사료된다.

      • (The) therapeutic effect of cell permeable proteins on neuronal diseases induced by oxidative stress

        조수빈 한림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단백질들은 고분자 물질이기 때문에 세포내로 스스로 들어가지 못한다는 문제점으로 인한 단백질 치료에 문제를 겪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단백질전달시스템을 연구하는데 그 중 하나가 Protein transduction domains (PTD)이다. 단백질에 PTD를 융합하게 되면 PTD에 의하여 단백질이 세포내로 침투하게 된다. 이러한 기능은 단백질의 cellular functions이나 임상 연구에 중요한 기술이 될 것이다. 산화적 스트레스는 퇴행성 뇌 질환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여겨지고 있으며, 세포 내 활성 산소종 (reactive oxygen species: ROS)을 생성하여 생체고분자인 단백질, 핵산, 지질을 파괴 또는 변형시켜 세포를 손상시키며 뇌 허혈와 파킨슨병을 포함한 많은 신경 질환의 발병에 기여한다. Aldose reductase (AR) 단백질은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세포 생존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허혈성 손상에서 AR 단백질의 기능은 완전히 이해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Tat 단백질을 AR에 융합하여 세포 침투성 단백질 Tat-AR을 발현 및 정제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HT-22 세포와 뇌 허혈 동물모델에서산화 스트레스에 의한 세포 사멸에 대한 보호효과를 연구하였다. Tat-AR 단백질은 HT-22 세포로 침투된 것을 확인하였고, 산화 스트레스에 의해 유발된 세포 사멸에 대한 세포 생존율 및 DNA 단편화를 유의하게 억제 하였다. 또한 침투된 Tat-AR 단백질은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s)의 활성화를 억제하고 Bcl-2, Bax, Caspase 3와 같은 세포 사멸 관련된 단백질을 조절하므로서 세포사멸에 대한 보호 효과를 확인하였다. 뇌 허혈 동물 모델에서, Tat-AR 단백질은 해마 CA1 영역의 신경세포 내로 침투되어 신경 세포생존을 현저히 증가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Tat-AR 단백질이 in vitro 및 invivo에서 산화 스트레스에 의해 유발된 신경 세포의 사멸에 중요한 보호 역할을 의미한다.본 연구에서는 또한 세포 투과성 Tat-AR 융합 단백질을 이용하여 SH-SY5Y 세포와 파킨슨 병 동물모델에서 산화 스트레스에 의한 세포 사멸에 대한 보호효과를 연구하였다. Tat-AR 융합 단백질은 SH-SY5Y 세포로 침투 되어 MPP+로 유도된 세포 사멸 및 DNA 단편화를 유의하게 억제 하였다. 또한 침투된 Tat-AR 융합 단백질은 MAPK의 활성화를 억제하고 Bcl-2, Bax 및 Caspase 3와 같은 세포 사멸 관련 신호 단백질을 조절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면역 조직 화학염색을 통해 Tat-AR 융합 단백질이 PD 동물 모델에서 흑질의 도파민성 신경 세포내에 침투 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도파민성 신경 세포 사멸을 현저하게 보호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산화 스트레스에 의해 ER 스트레스가 유발되면 잘못 폴딩된 단백질들의 축적이 가속화되면 신경 세포 사멸을 유도하는데 protein disulfide-isomerase A3 (PDIA3) 단백질은 손상된 단백질의 디설파이드 결합 형성을 촉매하여 세포사멸을 억제하는 기능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산화 스트레스에 의한 HT-22 세포와 뇌허혈 동물모델에서 세포침투성 Tat-PDIA3 단백질의 보호효과를 조사하였다. Tat-PDIA3 단백질이 HT-22세포에 침투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산화스트레스로 유도된 세포 사멸에 대한 세포 생존율과 ROS에 대한 보호효과 및 DNA 단편화를 유의하게 억제 하였다. 뇌허혈 동물모델에서 Tat-PDIA3 단백질이 성상세포와 미세아교세포의 활성화를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며 지질과산화와 산화 질소 생성을 감소시켰다. 또한 Tat-PDIA3는 뇌허혈에 의해 유발된 BiP mRNA 수준을 상향조절 시켰고, CHOP mRNA 수준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Tat-PDIA3가 산화 손상을 줄이고 세포 사멸 경로를 억제하으로써 뇌허혈에 대한 보호효과가 있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세포 침투성 Tat-AR과 Tat-PDIA3 융합단백질이 효율적으로 세포 및 조직 내로 침투되어 산화적 스트레스로 유도한 세포사멸과 뇌 허혈, 파킨슨병에 대한 보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세포 침투성 Tat-AR과 Tat-PDIA3 융합단백질은 뇌 허혈과 파킨슨병을 포함한 산화적 스트레스와 관련된 다양한 신경 질환에서 단백질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이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Protein transduction domains (PTDs) have been developed as carriers for the efficient delivery of proteins that do not permeate living cells. Because of their ability to cross the plasma membrane, PTDs are valuable tools to study cellular functions of a protein and offer great potential for protein therapy. Oxidative stress is a major risk factor in neurodegenerative diseases through the generation of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ROS), which leads to damages to macromolecules including proteins, DNA, and lipids, and eventually cell death. Reactive oxygen species (ROS)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 number of neuronal diseases including brain ischemia and Parkinson’s disease. Aldose reductase (AR) protein plays a crucial role in cell survival against oxidative stress. However, the role of AR protein in ischemic injury has not been fully understood.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protective effects of AR protein against oxidative stress-induced cell death of hippocampal neuronal (HT-22) cells and brain ischemia in an animal model using a Tat-AR protein which is an AR protein fused with the Tat protein transduction domain (Tat-AR) for feasible delivery. Tat-AR protein transduced into HT-22 cells and significantly inhibited oxidative stress-induced cell death and DNA fragmentation. In addition, transduced Tat-AR protein inhibited activation of mitogen-activateprotein kinases (MAPKs) and regulated apoptosis-related signaling proteins such as Bcl-2, Bax, and Caspase 3. In an ischemic animal model, Tat-AR protein transduced into the hippocampal CA1 region and significantly increased neuronal cell survival.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at-AR protein plays an important protective role against oxidative stress-induced neuronal cell death in vitro and in vivo and suggest that Tat-AR protein could be used as potential therapeutic agent in ischemic injury. Aldose reductase (AR) is a member of the aldo-keto reductase superfamily and is involved in detoxification of aldehydes and oxidative stress. However, the role of AR in Parkinson’s disease (PD) remains unclear. In this study, we researched the protective role of AR, using cell permeable Tat-AR fusion protein, against 1-methyl-4-phenylpyridinium (MPP+)-induced dopaminergic SH-SY5Y cell death and 1-methyl-4-phenyl-1,2,3,6-tetrahydropyridine (MPTP) -induced PD in a mouse model. Tat-AR fusion protein transduced into SH-SY5Y cells and significantly inhibited MPP+-induced cell death and DNA fragmentation. Furthermore, transduced Tat-AR fusion protein inhibited activation of MAPKs and regulated apoptosis-related signaling proteins such as Bcl-2, Bax, and Caspase 3.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showed that Tat-AR fusion protein transduced into the substantia nigra (SN) where it markedly protected against dopaminergic neuronal cell death in a PD animal model. These results suggest that Tat-AR protein could be useful as potential therapeutic agent against PD. Ischemia causes oxidative stress in the endoplasmic reticulum (ER), accelerates the accumulation of unfolded and misfolded proteins, and can finally lead to neuronal cell apoptosi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rotein disulfide-isomerase A3 (PDIA3), an ER-resident chaperone that catalyzes disulfide-bond formation in a subset of glycoproteins, against oxidative damage in the hypoxic HT-22 cell line and against ischemic damage in the gerbilhippocampus. The HT-22 cell line showed effective (dose-dependent and time-dependent) penetration and stable expression of the Tat-PDIA3 fusion protein 24 h after Tat-PDIA3 treatment, compared to that in control-PDIA3. Furthermore, Tat-PDIA3 significantly reduced the formation of H2O2-induced reactive oxygen species and apoptosis in the HT-22 hippocampal cell line, which were demonstrated using 2′,7′-dichlorofluorescein diacetate and a terminal deoxynucleotidyl transferase dUTP nick-end labeling assay, respectively. The administration of Tat-PDIA3 significantly reduced the ischemia-induced hyperactivity seen a day after ischemia/reperfusion, and the ischemia-induced neuronal damage and glial (astrocytes and microglia) activation seen in the hippocampal CA1 region four days after ischemia/reperfusion. In addition, the administration of Tat-PDIA3 significantly reduced lipid peroxidation and nitric oxide generation in the hippocampal homogenates 3–12 h after ischemia/reperfusion. Transient forebrain ischemia significantly increased immunoglobulin-binding protein (BiP) and C/EBP-homologous protein (CHOP) mRNA levels in the hippocampus at 12 h and 4 days after ischemia, relative to those in the time-matched sham-operated group. Administration of Tat-PDIA3 ameliorated the ischemia-induced upregulation of BiP mRNA levels versus the Tat peptide- or control-PDIA3-treated groups, and significantly decreased the induction of CHOP mRNA levels, at 12 h or 4 days after ischemia. These results suggest that Tat-PDIA3 can act as a neuroprotective agent against ischemia by decreasing oxidative damage and blocking the apoptotic pathway related to the unfolded protein response in the ER. In this study suggest that transduced Tat-AR and Tat-PDIA3 protects against cell death in vitro and in vivo, suggesting that transduction of Tat-AR and Tat-PDIA3 could be useful as a therapeutic agent for various human disease related to oxidative stress.

      • 국산 Campbell Early와 Muscat Bailey A 포도주에 존재하는 유산균의 다양성 및 말로락틱 발효 특성

        조수빈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lactic acid bacteria (LAB) were isolated from Korean domestic red wines and were characterized by using molecular techniques. Total 165 bacteria were isolated using LAB culture medium from 13 Campbell Early and Muscat Bailey A (MBA) wines. Among them, 42 bacteria were selected with lactic acid productivity. The selected 42 LAB were used for multiplex PCR using species-specific SCAR primers and total 11 strains were finally selected for further study. The isolated 11 strains were identified as Leuconostoc mesenteroides 9 strains and one strain each of Lactococcus lactis and Pediococcus pentosaceus. Fermentation of Campbell Early wine was carried out by the mixed culture of one of 3 LAB isolates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Fermivin. Oenococcus oeni was also used for the mixed fermentation as a control. Alcohol content reached 12.1%~12.3% and pH was 3.56~3.62 in final fermentation day. In contrast, the final content of total acidity was 0.68%~0.78%. The viable cell counts of the LAB in the four groups decreased during fermentation. It seems that the growth of LAB was inhibited due to alcohol produced by the yeast. Among the LAB, L. mesenteroides could reduce the malic acid content most efficiently. When volatile compounds were analyzed by using a GC-MS, it was found that the mixed fermentation resulted in the complicated profiles of the compounds. In the sensory evaluation, the wine fermented with L. mesenteroides and wine yeast obtained the highest scores in the taste and overall preference among the 5 wines. 본 연구에서는 국산 포도주에서 유산균을 분리하고, 이들의 말로락틱 발효 특성을 알아봄으로써 국내 포도주 시장에 활용 가능한 우량균주를 선발하였다. 국내에서 가장 많이 생산되고 있는 적포도 품종인 Campbell Early와 Muscat Bailey A (MBA)를 사용한 총 13개의 포도주에서 유산균 배지를 이용하여 165개의 세균을 분리하였으며, 유산 생성력이 있는 42개의 균주를 선별하였다. 선별된 42개의 유산균들을 species-specific SCAR primer를 이용한 multiplex PCR을 수행하여 최종적으로 11개 의 균주를 분리하였다. 이들의 16S rDNA 염기서열을 토대로 계통 분석하여 L. mesenteroides 9균주와 P. pentosaceus 및 L. lactis 각각 1 균주씩 동정하였다. 분리한 3종의 균주와 대표적인 말로락틱 발효균주인 O. oeni를 효모와 동시 접종하여 포도주를 제조하였다. 포도주 발효 특성을 조사한 결과, 최종 알코올의 함량은 12.1~12.3%였으며, pH는 초기 발효 시 pH 3.9에서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면서 최종 발효일에는 pH 3.56~3.62로 나타났다. 그 반대의 경향으로 총산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L. mesenteroides를 접종한 포도주의 경우 0.68%로 최종 총산이 비교적 낮았고, 이를 제외한 나머지 3개의 실험군에서는 모두 0.73~0.78%로 나타났다. 반면 발효일수가 지남에 따라 4개 실험군의 유산균 생균수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효모와의 동시접종으로 인해 생육에 저해를 받은 것으로 보이며, 알코올의 생성이 유산균의 생육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malic acid 감소능 은 다른 유산균에 비해 생육이 우수했던 L. mesenteroides가 가장 뛰어나 발효 7일차에 malic acid가 거의 소모되었다. 휘발성 향기 성분의 경우 유산균에 따른 포도주의 향기 성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HS-SPME 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GC-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과일향을 내는 ethyl butyrate를 비롯하여 isoamyl alcohol, 2-butenoic acid, methyl salicylate, isoamyl acetate, ethyl caproate, ethyl octanoate, ethyl dodecanoate 등이 대부분의 유산균접종 포도주에서 control 군에 비해 많이 검출되었으며, acetic acid와 1-heptanol은 control 군에서만 검출되었다. 또한 ethyl lactate는 O.oeni를 접종한 포도주에서만 검출이 되었으며, 과일향을 내는 ethyl caprylate가 L. mesenteroides를 접종한 포도주에서만 검출이 되어 향기 성분에 기여하였다. 반면, 발효가 완료된 포도주의 관능검사 결과 향에서는 control을 제외한 4개의 유산균 실험군에서는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맛 부분과 전체적인 기호도면에서 L. mesenteroides를 접종한 포도주가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효모와의 동시접종 시에 L. mesenteroides의 말로락틱 발효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으며, 이후 국내산 포도주에 적합한 말로락틱 스타터로서 이용 가능 할 것으로 보인다.

      • 초·중등교육에서의 문화재 안전관리 교육 실천 방안 연구

        조수빈 공주대학교 문화유산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난 2008년에 발생했던 숭례문 화재 사고는 전 국민에게 문화재 안전관리 의식을 일깨워주었다. 그렇지만 문화재 훼손 사례는 방화, 낙서, 올라타기 등 지금도 많이 일어나고 있다. 무엇이 문제일까? 문화재 안전관리 시스템에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닐까? 이에 본 논문은 문화재 안전관리 교육에 주목하였다. 그 결과, 현재 문화재 안전관리 교육이 대부분 현장관리 전문가나 성인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이고, 미래 사회의 주인공인 초·중·고 학생들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그래서 본 논문은 다양한 문화재 훼손 사례를 검토하고,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실시되고 있는 안전관리 교육의 실태를 분석하여, 초·중등학교에서 문화재 안전관리 교육을 실천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문화재 안전관리 교육을 효율적으로 시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교육을 실시할 전문가의 양성이 필요하다. 이에 교육의 주관기관과 시행기관을 제안하였고, 전문가 과정 교육생 선발 방안과 교육 내용을 제시하였다. 초·중등학교에서 문화재 안전관리 교육 실시 방안은 교사와 학생으로 나누어서 연구하였다. 교사를 위한 교육은 Off-Line, On-Line, Blended Learning 연수방안을 설계하였다. 학생을 위한 교육은 먼저 2015 개정 교육과정을 검토하여 교과활동과 창의적체험활동으로 나누어 교육 시간 확보 방안을 제안하였다. 교육내용은 초·중·고 학교급별로 역사과 또는 사회과 교육과정에 따라 학생들에 맞게 단계적으로 배울 수 있는 내용을 제시하였다. 요컨대 본 연구는 문화재 안전관리 교육 전문가를 양성하여, 초·중등학교의 교사와 학생들을 교육할 수 있는 ‘초·중등교육에서 문화재 안전관리 교육 실천 방안’을 제안하였다. 앞으로 본 연구가 초·중등학교 학교교육과정에 반영되어 사람들에 의한 문화재 훼손이 없어지고, 나아가 문화재 안전관리에 대한 인식이 더욱 성장하기를 기대한다. The fire in Sungnyemun in 2008 has awakened the whole nation of the consciousness of cultural heritage safety management. However, there are still many cases of cultural heritage damage such as arson, graffiti, and climbing. What is the problem? Is there a problem with the cultural heritage safety management system? In response, this paper focused on the safety management education for cultural heritage.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currently safety management education for cultural heritage is mostly for field management experts or adults, and there is no systematic education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will lead the future. Therefore, this study reviewed various cases of cultural heritage damage and suggested a plan to practice safety management education for cultural heritage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e of safety management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curriculum. In order to efficiently implement the safety management education for cultural heritage, it is necessary to train experts to conduct the training first. Therefore, the supervision institutions and enforcement agencies for education were proposed, and a plan for selection of trainees for professional courses and the contents of education were suggested. A plan on the implementation of safety management education for cultural heritage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was studied by dividing it into teachers and students. The education for teachers was designed the Off-Line, On-Line, and Blended Learning training methods. The education for students was first review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divided into curriculum activities and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and proposed a plan to secure educational time.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were suggested the way that students can learn step by step according to the history or social studies curriculum by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In summary, this study suggested ‘a plan to practice safety management education for cultural heritage in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which can train teachers and student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by training experts on safety management education for cultural heritage.

      • 다문화 청소년의 성취동기에 영향을 주는 요인 : 가족지지, 친구지지, 교사지지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조수빈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청소년의 성취동기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는 데 있어 가족지지, 친구지지, 교사지지가 성취동기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는 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NYPI)에서 수행한 ‘다문화 청소년 패널 데이터(MAPS)’의 5차(2015년)년도와 6차(2016년)년도의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해당 조사에 모두 응답한 1,236가구(청소년 1,236명, 다문화 어머니 1,236명)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주된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다문화 청소년의 성취동기는 보통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 청소년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성취동기 수준의 평균 차이를 알아본 결과, 성별과 거주지역은 성취동기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학교 밖에서 도움 주는 어른의 유무에 따른 성취동기 수준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본 연구의 종속변수인 성취동기를 비롯해 독립변수와 통제변수 간의 상관 여부와 그 정도에 대해 분석한 결과, 통제변수 중 신체만족도, 자아탄력성, 다문화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다문화 어머니의 부모효능감, 거주지역에 대한 인식과 독립변수인 가족지지, 친구지지, 교사지지는 다문화 청소년의 성취동기와 정적 상관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문화적응스트레스와 다문화 어머니의 문화적응스트레스는 다문화 청소년의 성취동기와 부적 상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다문화 청소년의 개인 요인, 보호자 요인, 지역사회 요인을 통제한 후에도 가족지지, 친구지지, 교사지지가 성취동기에 주는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문화 청소년의 성취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개별 변수는 자아탄력성, 가족지지, 어머니의 부모효능감, 학교 밖에서 도움 주는 어른의 유무, 문화적응스트레스, 거주지역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주요 관심변수인 가족지지, 친구지지, 교사지지 중 유일하게 가족지지만 다문화 청소년의 성취동기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이 지닌 내적 기제 및 주변에 존재하는 다양한 관계망과의 상호협력적 관계를 개발함으로써 다문화 청소년들의 긍정적인 성취동기를 형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필요성을 더하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가 주는 사회복지적 함의를 바탕으로 다문화 청소년의 성취동기를 향상을 위해 요구되는 실천적 노력에 관하여, 가족 간의 관계코칭프로그램 개발, 지역사회 내 다문화의식 함양을 위한 환경적 지원, 자아성장프로그램 개발, 학령기별 문화적응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프로그램 확대 등을 제언하였다. 또한, 정책적 함의로써 일반가정 청소년과 함께하는 활동 지원 정책 마련, 다문화가족지원센터와 같은 유관기관의 서비스 조정 및 인적자원 개발 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achievement motiva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in order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family support, friend support, and teacher support directly on achievement motiv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data from the 5th (2015) and 6th (2016) of the 'MAPS(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performed by the National NYPI(Youth Policy Institute) were used, and 1,236 households (1,236 adolescents and 1,236 multicultural mothers) who responded to all of the surveys were utiliz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main result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tivation for multicultural youths to achieve was higher than normal. Second, as the outcome of examining the mean difference in achievement motivation levels based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youths, gender and residential area did not show any difference in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achievement motivation, but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achievement motivation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adult helping outside the school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evance and extent of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control variables, including achievement motivation, among the control variables, body satisfaction, self-elasticity, self-esteem of multicultural mothers, parental efficacy of multicultural mothers, perception of residential area, and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family support, friend support, and teacher support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chievement motivations of multicultural youth, and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cultural adaptation stress of multicultural mothers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achievement motiva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Fourth, hierarch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mpact of family support, friend support, and teacher support on achievement motivation even after controlling individual, guardian, and community factor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individual variables affecting the motivation of achievement of multicultural youth were shown in the order of self-elasticity, family support, parental efficacy of mothers, the presence of an adult who helps outside of school,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residential area. Among the main factors of interest in this study, family support, friend support, and teacher support, only family support has been found to affect achievement motivations for multicultural youth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adding the necessity of inventing programs and education for the formation of positive achievement motivation of multicultural youth by developing inner mechanisms of multicultural youth and developing diverse relationship networks and mutual cooperative relationships existing around them. Based on the social welfar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ith regard to practical efforts required to improve achievement motivation of multicultural youth, develop a relationship coaching program between families, environmental support for cultivating multicultural awareness in local communities, and self-growth programs It was suggested to expand programs to reduce development and cultural adaptation stress by school age. In addition, as a policy implication, it was suggested to prepare a policy to support activities with youth in general families, coordinate services of related organizations such as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and develop human resour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