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간호사의 병원내부마케팅 인식과 직무만족이 직장애착에 미치는 영향

        이화람 전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1855

        배경 및 목적: 오늘날 의료기관들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인적자원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병원간호사의 내부마케팅 인식, 직무만족이 직장애착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간호 인적자원의 효율적인 관리 및 조직성과를 향상시키며, 간호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대상자는 A광역시 소재의 일 종합병원에서 1년 이상 근무한 간호사 347명으로 2015년 8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다. 간호사 선정기준은 현재 재직하고 있는 간호사 중 근무경력 1년 이상으로 본 연구의 목적과 취지를 이해하고 연구에 참여를 허락한 간호사이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version 21.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으로는 빈도분석, ANOVA, t-test, Pearson’s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사후검정으로 Scheffe 기법 등을 사용하였다. 표본의 크기는 Cohen의 표본추출 공식에 따른 sample size 계산 프로그램인 Franz Faul등의 G*Power 3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5% 유의수준과 95% 검정력으로 하여 표본크기를 산출했을 때 최소 표본크기는 178명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표준오차를 줄이기 위해 총 400명을 모집하였으며, 최종 347부를 회수하였다. 결과: 간호사의 내부마케팅 인식과 직무만족, 직장애착간의 상관분석결과 내부마케팅 인식과 직무만족(r=.711, p<0.001), 내부마케팅 인식과 직장애착(r=.521, p<0.001), 직무만족과 직장애착(r=.611, p<0.001) 모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사의 직장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일반적 특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인 변수인 성별, 나이, 결혼여부, 학력, 직위, 근무경력을 포함하여 내부마케팅 인식과 직무만족을 변수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44.2%의 설명력을 나타냄으로써 (F=28,421, p<0.001) 내부마케팅 인식과 직무만족이 직장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내부마케팅 인식과 직무만족은 직장애착을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다. 또한 내부마케팅을 통해 직무만족을 유도하여 직장애착을 높이는 것이 효과적인 전략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병원 관리자들은 직무만족의 중요성을 인지하여, 간호사의 직무만족 향상을 위한 다양한 전략을 개발할 수 있도록 힘써야 하며, 병원은 내부마케팅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직무만족이 떨어지는 영역을 파악하는 등 다양한 접근을 통해 직장애착 향상을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하겠다.

      • Investigation on changes of volatile components in kimchi during fermentation using targeted and non-targeted approaches

        이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839

        In this study, changes of volatile components in baechu kimchi according to fermentation periods were elucidated using both targeted and non-targeted analysis. Solid phase microextraction (SPME) was used to extract volatiles in kimchi during 40 days fermentation. For targeted analysis, 8 odor-active components including methanethiol, 2-propen-1-thiol, acetic acid, allyl methyl sulfide, ethyl butanoate, 2,5-dimethylthiophene, allyl methyl disulfide and dimethyl trisulfide were determined by gas chromatography-olfactometry (GC-O) and quantifi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with selected ion monitoring (SIM) mode. Among them, acetic acid, ethyl butanoate and dimethyl trisulfide increased as ripening proceeded, whereas the other sulfur-containing odorants showed no change or decreased during fermentation periods. In non-targeted analysis, volatiles in baechu kimchi were determined by GC-MS and organized by automated mass spectral deconvolution and identification system (AMDIS). As multivariate analysis,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PCA) was conducted to visualize and summarize the obtained data sets during fermentation of baechu kimchi. As results, the dominant components were identified depending on a degree of ripening. Sulfur-containing compounds, including diallyl sulfide, 2-ethylthiophene, allyl isopropyl sulfide, 2,5-dimethylthiophene, di(1-propenyl) sulfide, 1,3,5-trithiane, 3-vinyl-1,2-dithiacyclohex-4-ene, thieno[3,2-b]thiophene, 1,2,4,6-tetrathiepane, 2-butenal, 6-methylhept-5-en-2-one and p-cymene contributed to early stage of kimchi fermentation. On the other hand, acetic acid, 1-penten-3-one, ethyl 2-butenoate, methyl (methylthio)methyl disulfide, 2-isothiocyanatoethylbenzene and dimethyl trisulfide were found to be contributors to latter stage of the fermentation of kimchi. 본 연구에서는 발효 기간에 따른 배추김치의 휘발성 성분을 targeted와 non-targeted 기법을 이용하여 규명하고자 하였다. 40일 간의 발효 기간 동안 배추김치의 휘발성 성분을 추출하기 위해 고체상미세추출법 (Solid phase microextraction, SPME)를 이용하였다. Targeted 분석 기법에서는 gas chromatography-olfactometry (GC-O)를 이용하여, methanethiol, 2-propen-1-thiol, acetic acid, allyl methyl sulfide, ethyl butanoate, 2,5-dimethylthiophene, allyl methyl disulfide and dimethyl trisulfide 등 8개의 향기활성성분들을 규명하였고,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의 selected ion monitoring (SIM) mode를 이용하여 정량분석하였다. 이 중에서 발효 산물인 acetic acid, ethyl butanoate, dimethyl trisulfide는 숙성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나머지 황함유 향기활성성분은 숙성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줄어들거나 변화가 없었다. Non-targeted 분석 기법에서는 GC-MS와 automated mass spectral deconvolution and identification system (AMDIS)를 이용하여 김치의 향미성분을 규명하였으며, 숙성 기간에 따른 차이와 이에 기여하는 성분을 알아보기 위해, 다변량통계분석법인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PCA)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황함유화합물인 diallyl sulfide, 2-ethylthiophene, allyl isopropyl sulfide, 2,5-dimethylthiophene, di(1-propenyl) sulfide, 1,3,5-trithiane, 3-vinyl-1,2-dithiacyclohex-4-ene, thieno[3,2-b]thiophene, 1,2,4,6-tetrathiepane, 3,4-dicyanothiophene와 2-butenal, 6-methylhept-5-en-2-one, p-cymene 가 김치의 숙성 초기에 기여하는 성분들로 밝혀졌고, acetic acid, 1-penten-3-one, ethyl 2-butenoate, methyl (methylthio)methyl disulfide, 2-isothiocyanatoethylbenzene, dimethyl trisulfide 가 김치의 숙성 후기에 기여하는 향미성분으로 밝혀졌다.

      • 日·中慣用句の對照分析 : 身體語彙を中心として

        이화 順天大學校 2008 국내석사

        RANK : 1839

        신체에 관한 어휘나 관용구는 그 민족의 특징이나 문화에 아주 큰 영향을 주는 표현이다. 중국어와 일본어에 있어서, 신체에 관한 어휘를 포함한 관용구의 사용빈도는 상당히 많은 것으로 보여진다. 관용구인2장에서는 일본어에 있어서 신체에 관한 관용구를 「頭部」, 「四肢」, 「胴体」, 「五臓六腑」, 「全身」 등 5개 부위로 나누어 구체적인 신체 기관 뿐만 아니라 육안으로는 볼 수 없는 미지의 정신세계까지 그 범위를 확장하여 76개의 용례를 조사한 결과, 5감에 대한 용례가 가장 많았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눈에 대한 관용구 및 신체관용구 표현이 가장 많았다. 그 이유는 눈은 마음의 창이라고 할 만큼 아주 중요한 신체부위로 일컬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단지 보는 의미에서만 구애되지 않고 파생된 눈동자의 움직임, 눈꺼풀, 눈초리, 분별력, 눈코 등 광범위하게 전개되어 있으며, 생활 속에서 자주 사용하는 표현으로써 다른 신체부위에 비하여 하나의 부위가 외부 및 내부까지 표현되는 것이 특징이다. 3장에서는 2장에서의 실태조사를 유형별로 나누어 5개의 표로 공통점과 차이점을 기술해 놓았다. 頭는 겸손과 탄복을 나타내는 의미로써, 일본과 중국에서 같은 성향을 보였다. 또한 口도 먹다, 마시다라는 의미로 두 나라에서 많이 쓰여지고 있다. 하지만 目에 있어서는 다른 부위와 같이 사용될 때, 일본은 눈과 코(目鼻), 중국은 눈과 눈썹(眉目)으로 쓰이고 있다. 예를 들어, 고대 중국의 소설에서는 사람의 생김새를 표현할 때 눈썹에 대한 묘사는 많이 쓰였지만 코에 대한 것은 거의 보이지 않았다. 코는 오만함의 의미로 일본에서 많이 나타나고 있지만, 중국에서는 기본적인 신체부위로 나타난다. 手에 대한 표현은 관계, 방법, 능력을 나타내는 의미로써 일본·중국에서 거의 동일하게 쓰여진다. 肝, 膽에 대한 구분은 일본은 거의 없지만, 중국은 용기와 담력을 나타낼 때는 담을 쓰고, 신체부위를 나타낼 때는 간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氣는 일본 특유의 표현으로 그에 대한 관용구가 많은 것이 특징이다. 중국에서는 心으로 번역되고 있다. 4장에서는 신체 관용어에서 보여지는 일·중 문화의 특질을 역사, 사고방식, 생활양식 등의 비교를 통하여 언어로 볼 수 있는 일·중 문화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객관적인 측면에서 탐구했다. 신체에 관한 관용구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지금까지 연구를 거듭해왔지만 이것은 관용표현연구에 있어서 극히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이에 대한 연구는 보다 심층적으로 분석할 만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한, 중, 일 3개국의 동·식물, 음식 등에 관한 관용구도 앞으로의 연구과제로서 비교연구에 혼신의 힘을 다 하고 싶다.

      • 맥락막신생혈관 환자에서 광역학치료 후 맥락막 관류의 변화

        이화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1839

        목적: 근시와 연령관련황반변성의 맥락막신생혈관에서 광역학치료 시행 후 정상맥락막 관류 변화 발생 여부와 관련 인자를 인도사이아닌그린혈관조영을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5년 8월부터 2006년 7월 사이에 처음으로 광역학치료를 시행받고 3개월 후 인도사이아닌그린혈관조영의 시행과 지속적 경과 관찰이 가능하였던 26안(2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근시로 인한 맥락막신생혈관(1군)은 8안(7명) 이었고, 연령관령황반변성에서 발생한 맥락막신생혈관(2군)은 18안(17명) 이었다. 치료 후 1주 뒤, 1개월 뒤 그 후 매 3개월마다 경과 관찰을 하였으며 최대교정시력, 치료 1주 전과 치료 3개월 후에 시행한 인도사이아닌그린혈관조영의 초기와 후기의 저형광 정도를 5등급으로 나누어 맥락막혈관 저관류의 존재와 변화 여부를 확인하였고 광역학치료 시행 횟수, 레이저 반점 크기, 맥락막신생혈관의 아형, 빛간섭단층촬영기(Optical Coherence Tomography)로 측정한 중심황반두께 등을 의무기록을 통하여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광역학치료 전과 3개월 후 1군과 2군 간에 최대교정시력과 중심황반두께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광역학치료 반복횟수, 레이저 반점 크기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광역학치료 후 1군에서는 맥락막 저관류로의 진행이 전혀 없었으나 2군에서는 18안중 6안(33.3%)이 진행하였으며 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2). 2군을 맥락막 저관류로 진행하지 않은 12안(2-A군)과 진행한 6안(2-B군)을 세부 분류하여 다시 분석하였을 때,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A군에서는 치료 전에 저관류를 보인 것이 총 12안 중 1안이었으며, 2-B군에서는 치료 전에 3안이 정상관류를 보였으며 3안은 저관류를 보여 치료 전 맥락막 저관류가 존재 시 진행할 확률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p=0.001) 결론: 근시에 의한 맥락막신생혈관에서는 정상맥락막의 저관류가 광역학치료 전과 후 모두 없었다. 연령관련황반변성에 의한 맥락막신생혈관에서 광역학치료 전에 정상맥락막 저관류의 존재가 치료 후 저관류가 진행할 확률이 높아지는 것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연령관련황반변성에 의한 맥락막혈관신생에서 광역학치료를 시행할 때 인도시아닌그린혈관조영상 맥락막모세혈관 저관류가 있는 환자들에게는 각별한 주의가 요망된다.

      • 하악 제1소구치 발치공간 폐쇄시 호선 굵기에 따른 치아 이동 양상

        이화 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1839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al study was to evaluate the appropriate size of wire to produce maximum retraction of the anterior teeth and minimum anchor loss of the posterior teeth during En-masse space closure in the mandibular dentition. The Calorific machine^(ⓡ) and the Rapidform 2004™ were used to illustrate tooth movement in three dimensions. The experimantal teeth except the first premolar were embedded in the artificial alveolar bone part without crowding. In a series of experiment, the extraction space was closed using 3 arch wires with bull loops. 3 arch wires into which the gable bend of 15° degrees was incorporated were 016×016 SS, 016×022 SS and 017×025 SS wire. The experiments repeated five times for each wire. The statistical analysis(one-way ANOVA) was performed for the evaluation of the difference among three group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As the wire size was increased, the distance of retraction was increased and more controlled anterior teeth movement was shown. 2. As the wire size was increased, the amount of posterior teeth protraction was decreased. 3. As the wire size was increased, the amount of posterior teeth movement was decreased. 4. Intermolar width was decreased after En-masse space closure.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not only the anteroposterior movement and vertical change of lower teeth but also the buccolingual and rotational movement of posterior teeth occur during En-masse space closure in the mandibular denti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제 1소구치가 발거된 인공 하악 치열 모형에서 루프를 이용한 6전치(En-masse)견인 법으로 발치 공간 폐쇄 시 호선의 굵기에 따른 치아 이동 양상을 Calorific Machine^(ⓡ)(Korea Patent Number;178105 Ewha womans Univ., Seoul, Korea)과 치아 모형의 3차원적 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Rapidform 2004™(INUS Technology, Seoul, Korea)를 이용하여 비교 평가함으로써 양악 치조성 전돌 환자에서 하악 전치부의 효과적인 치축 조절과 최대의 후방 견인 및 구치부의 최소의 전방 이동에 어느 호선이 더 적합한지를 입체적으로 확인해보는 데 있다. 실험 방법은 양악 치조성 전돌 환자와 같이 치아 밀집이 없는 하악 치열을 재현하여 인공 치조골부에 인공 치아를 식립한 후 제 1소구치를 발거하였다. .016〃×.016〃Stainless Steel wire(이하 016×016 SS라 함), .016〃×.022〃SS, .017〃×.025〃SS 각형 호선에 견치 1mm 후방 부위에 bull loop를 제작한 후 gable bend는 15°씩 부여했다. 각 호선을 넣고 전치부터 견치까지 한꺼번에 후방 견인을 시행하고 이 실험 과정을 각 군마다 5회씩 반복하여 시행했다. 발치 공간이 폐쇄된 후 Rapidform 2004™을 이용하여 실험 전후의 치아 이동 양상을 계측 비교하였고 일요인 분산 분석 모형(one-way ANOVA)으로 통계분석한 뒤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호선의 굵기가 증가할수록 전치부의 후방 이동양이 증가하였고, 조절성 경사 이동이 일어났다(p<0.05). 호선의 굵기가 증가할수록 구치부의 전방 이동양은 감소하였다(p<0.05). 호선의 굵기가 증가할수록 전치부와 구치부의 정출량은 감소하였다(p<0.05). 발치공간 폐쇄시 구치부의 설측 경사에 의해 악궁의 폭경이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하악 제1소구치 발치공간 폐쇄시, 치아의 전후방 및 수직적 이동뿐만 아니라 구치부의 협설측 이동과 회전 이동도 일어난다는 것을 유념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청소년의 학교 내 대인관계 유형과 학업무기력, 그릿 간의 관계에 대한 탐색

        이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1839

        Interpersonal relationship affects the quality of human life through the formation of identity, development personality and establishment of self-realization. Adolescence, in particular, is a period when meaningful relationship with others outside the home increases, and school is the place where adolescents spend the most time of the day. Interpersonal relationships during adolescence are formed mainly in the school. Adolescents’ positiv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tability acquired through interpersonal 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peers in school lead to academic motivations. In this regard, this study focused on adolescents’ academic helplessness and grit among various non-cognitive factors of lear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there are adolescents with different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from the general prediction in terms of the tran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latent type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school and the latent types of academic helplessness and grit and explore personal and family casual conditions that affect them. First, its analysis found latent type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nega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lass, averag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lass and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lass. Second, the study identified three latent types of adolescents’ academic helplessness and grit: academic helplessness class, average academic helplessness and grit class, and grit class. Third, the probability of the latent type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school transiting to academic helplessness and grit class was nine (9), and the nega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lass had higher probability of transiting to the academic helplessness class while the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lass had higher probability of transiting to the grit class. Fourth, the study confirmed two types of adolescents who had different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from the general prediction in terms of the tran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latent type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school and the latent types of academic helplessness and grit: adolescents who had a high level of grit despite nega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school and those who had a high level of academic helplessness despite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school. Fifth, the study identified two combinations of casual conditions in adolescents with a low level of grit despite their nega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school. These findings suggested the necessity of continuous interest and study on the two types of adolescents with different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from the general prediction in terms of the tran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latent type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school and the latent types of academic helplessness and grit. Indeed, these types of adolescents have received little interest from the social welfare study, whose focus has been placed mainly on those with vulnerable social groups such as poverty and abuse.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school, academic helplessness and grit are the factors that have a long-term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adolescents. Thu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adolescents as a potential risk group in our society so as to pay attention to them. It is also important to create systems inside and outside of school for early detection of the two types of adolescents and channels for active intervention. Considering that such screening and intervention require expertise, continuous education and training need to be provided for professional personnel in schools. In addition, it is essential to operate various psychological education programs to build up adolescents’ internal resources and promote close cooperation between experts in various fields for adolescents who are in need of treatment. Second, this study conducted a fuzzy-set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of adolescents with a high level of grit despite their nega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school in order to identify the personal and family factors affecting them. The analysis found six factors, including four personal factors – attention concentration, subjective academic achievement assessment, specific career decision and self-respect – and two family factors – private education and parenting attitude -.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ed that support needs to be made to improve the strengths of both individual adolescents and the home environment such as collaboration between schools and local community organizations and development of programs that adolescents can enjoy in the process of challenging and solving tasks. Third, it is important to ensure continuous studies on adolescents’ academic helplessness and grit and efforts from schools and communities based on the findings, and adolescents’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school needs to be considered as important because it has a long-term impact on their development through academic helplessness and grit. This study is of significance as, first, it confirmed that there are adolescents who have different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from the general prediction that the nega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leads to academic helplessness, and the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leads to grit, explored the casual conditions affecting them, and second, provided the grounds for expanding the scope of social welfare study to general adolescents from vulnerable social groups such as poverty and abuse. 대인관계는 정체감 형성과 성격 발달, 자아실현 확립 등을 통해 인간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청소년기는 가정 밖에서 의미 있는 타자와의 관계가 증가하는 시기이며, 학교는 하루 일과 가운데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장소로 청소년 시기의 대인관계는 학교를 중심으로 형성된다. 학교 내에서 교사, 또래와의 대인관계를 통해 획득된 청소년의 긍정적인 심리·정서적 안정감은 학습 관련 동기로 연결된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학습 관련 요인 중 학업무기력과 그릿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학교 내 대인관계 잠재유형과 학업무기력·그릿 잠재유형의 전이관계에서 일반적 예측과 다른 발달특성을 보이는 청소년이 있는지 확인하고, 이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개인·가족적 원인조건을 탐색하고자 함이다. 연구 분석 결과, 첫째, 청소년의 학교 내 대인관계는 3개의 잠재유형이 도출되었으며, 부정적 대인관계형, 대인관계 평균형, 긍정적 대인관계형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청소년의 학업무기력·그릿은 3개의 잠재유형이 도출되었으며, 학업무기력형, 학업무기력·그릿 평균형, 그릿형으로 명명하였다. 셋째, 학교 내 대인관계 잠재유형이 학업무기력·그릿 잠재유형으로 전이될 확률은 9가지가 확인되었으며, 학교 내 부정적 대인관계형은 학업무기력형으로, 학교 내 긍정적 대인관계형은 그릿형으로 전이될 확률이 높았다. 넷째, 학교 내 대인관계 잠재유형과 학업무기력·그릿 잠재유형의 전이관계에서 일반적 예측과 다른 발달특성을 보이는 2가지 유형의 청소년이 확인되었다. 이들은 학교 내 부정적인 대인관계에도 불구하고 그릿이 높은 청소년, 학교 내 긍정적인 대인관계에도 불구하고 학업무기력이 높은 청소년 이다. 다섯째, 학교 내 부정적인 대인관계에도 불구하고 그릿이 높은 청소년에서 2개의 원인조건 조합이 탐색되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첫째, 학교 내 대인관계 잠재유형과 학업무기력·그릿 잠재유형의 전이관계에서 일반적 예측과 다른 발달특성을 보이는 2가지 유형의 청소년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이들은 그동안 빈곤, 학대 등 사회취약계층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온 사회복지의 관심에서 멀어져 있던 청소년들이다. 학교 내 대인관계, 학업무기력, 그릿은 청소년의 발달에 장기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다. 따라서 이 2가지 유형의 청소년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학교 내외적 장치가 마련될 필요가 있으며, 적극적으로 개입할 수 있는 통로가 마련되어야 한다, 이들을 스크리닝 하여 개입하는 것은 전문성을 요하므로, 학교 내 전문 인력들을 대상으로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이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청소년의 내적 자원을 키우기 위한 다양한 심리교육 프로그램이 운영되어야 하며, 치료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청소년들의 경우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과 긴밀하게 협력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 학교 내 부정적인 대인관계에도 불구하고 그릿이 높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퍼지셋 분석을 통해 이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개인·가족적 원인조건을 살펴보았다. 개인요인으로 ‘주의집중, 전 학업 성취도에 대한 주관적 평가, 구체적인 장래직업결정, 자아존중감’, 가족요인으로 ‘사교육, 부모의 양육태도’ 이 6가지 변인들이 청소년에게 영향을 미치는 원인조건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교-지역사회 기관 간 연계, 청소년 프로그램 개발 등 청소년 개인과 가정환경의 강점을 강화할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그 외에도 청소년들의 학업무기력과 그릿에 대한 꾸준한 연구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학교와 지역사회 현장의 노력이 이루어져야 하며, 청소년의 학교 내 대인관계는 학업무기력과 그릿 등 동기를 통해 청소년 발달에 장기적으로 영향을 미치므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첫째, 학교 내 대인관계 잠재유형과 학업무기력·그릿 잠재유형의 전이관계에서 부정적 대인관계는 학업무기력으로 이어지고 긍정적 대인관계는 그릿으로 이어지는 일반적 예측과는 다른 발달특성을 보이는 청소년이 있음을 확인하고 이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원인조건을 탐색하였으며, 둘째, 빈곤, 학대 등 사회취약계층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온 사회복지 연구의 영역을 일반청소년으로 확대하는 단초를 마련했다는 데 의의를 갖는다.

      • Johannes Brahms의 Klavierstucke, Op.118에 대한 연구

        이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1839

        Johannes Brahms was a typical composer who held fast to the Absolute Music, even though the Program Music which was widely liked in the 19th century of Romanticism. He composed most kinds genre of production, especially, we can found his traditional art form in the piano production. This paper can be summarized three steps. First, we look around Johannes Brahms's life. Second, we can research Brahms's piano music by the period and form and separated three genre to look around important production and its musical character. Third, we research Brahms's typical production Klavierst&uuml;cke, Op. 118 about its melody, rhythm, harmony and formal side in his kinds of piano music of latter which was presented much musical techniques and inner maturity. Through researching his Klavierst&uuml;cke, Op 118 we want to look around how his kinds of music expression presented in this work by Brahms's piano music understanding by and large. 본 논문은 19세기 낭만주의의 절대적 작곡가로 잘 알려진 브람스(Johannes Brahms, 1833-1897)의 피아노 음악을 중심으로 그의 후기 대표적 작품인 Klavierst&uuml;cke,Op.118 에 대한 연구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단계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첫째는, 브람스의 생애에 대해 살펴보고 둘째는, 브람스의 피아노 음악을 시기와 형식 면에서 세 장르로 나누어 각 장르의 주요작품들과 그 작품들의 음악적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셋째는, 브람스의 다양한 음악적 기법과 내재적 성숙함이 잘 나타나는 후기의 피아노 대표적 작품 Klavierst&uuml;cke,Op.118을 선율, 리듬, 화성, 형식적인 면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본 논문에서의 연구를 통해, 브람스 피아노 음악의 전반적인 이해와 더불어 후기 브람스의 작품경향에 나타난 다양한 음악기법과 특징에 대해 자세해 알아보고 나아가 본 작품의 내적연주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