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자유학기제와 일반학기 체육활동에 따른 수업만족도 비교(투투볼 수업을 중심으로)
이성남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본 연구는 자유학기제 체육활동에 따른 중학생의 수업만족도의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자유학기제 체육활동의 안정적 정착 및 체육진로활동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Y중학교 1학년5개 학급 161명(남 89명, 여 72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체육활동 설문지의 내용은 8가지의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설문지 분석을 통해 학생들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자료분석은 SPSS 22 version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빈 학생들이 자유학기제를 통해 경험한 체육활동에 대한 인식과 상황적 요소들을 이해하기 위해 빈도 차이 분석(frequency analysis)과 기술통계량 분석(백분률, 평균 등)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남녀학생 모두 일반학기와 자유학기제 수업만족도의 차이는 있었다. 하지만일반학기만의 남녀의 수업만족도는 차이가 없었다. 또한 남녀의 자유학기제만의 수업만족도 차이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항별로 살펴보면 남학생은 ‘체육수업의 참여도’와 ‘꿈과 끼 형성’에서 일반학기와 자유학기제의 수업만족도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여학생은 ‘체육수업의 참여도’와 ‘중학교 생활 행복도’에서 일반학기와 자유학기제의 수업만족도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둘째, 체육 계열 진로를 희망한 학생들과 희망하지 않은 학생 모두 일반학기와 자유학기제 수업만족도의 차이가 있다. 체육 계열 진로를 희망한 남학생은 특히 ‘다양한 수업방법 경험’에서 일반학기와 자유학기제 수업만족도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체육 계열 진로를 희망한 여학생은 특히 ‘체육수업의 참여도’에서 일반학기와 자유학기제 수업만족도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셋째, 체육 진로 탐색 투투볼 수업에 참여한 학생과 참여하지 않은 학생의 수업만족도는 차이가 있다. 투투볼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의 수업만족도가 참여하지 않은 학생들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차이가 더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남학생은 ‘진로 탐색 기여도’에서 체육 진로 탐색 투투볼 수업에 참여한 학생과 참여하지 않은 학생 간 큰 차이가 없으며 여학생은 ‘다양한 수업방법 경험’에서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체육 계열 진로를 희망한 학생 중 체육 진로 탐색 투투볼 수업에 참여한 학생과 참여하지 않은 학생의 수업만족도 차이는 남학생은 차이가 나타났지만 여학생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체육 계열 진로를 희망하지 않은 학생 중 체육 진로 탐색 투투볼 수업에 참여한 학생과 참여하지 않은 학생의 수업만족도 차이는 남학생은 차이가 나타났지만 여학생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자유학기제는 일반학기보다 학생들의 체육수업에 대한 참여도를 높여주었고 교우 관계 및 교사와의 관계를 개선시켰으며 타 과목을 보다 잘 이해하도록 하였으며 다양한 수업방법을 경험하게 하여 학생들의 행복도를 높여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진로를 탐색하고 꿈과 끼를 형성하는데 많은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남녀모두 수업만족도가 높아졌지만 보다 남학생이 여학생들보다 수업만족도를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유학기제시 뉴스포츠 투투볼을 활용한 수업은 체육 계열 진로를 희망여부에 상관없이 모든 학생들의 수업만족도를 높여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남녀 간 성별차를 이해하고 선호에 부합되는 다양한 직업 세계를 경험할 수 있는 체육프로그램과 사고의 폭을 넓어주는 수업 방식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며 자유학기제의 목적을 보다 잘 실현하기 위해 체육 진로 인식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돕는 연구가 필요하다.
Transgene Stability and Karyotype Analysis of CMV-resistant Transgenic Hot Peppers
Many genetically modified crops were developed but the genetic instability of the introduced gene came to be a big problem to be solved for application of the transgenic plants. The existence and expression stability of transgene in CMVP0-CP introduced transgenic Hot peppers was investigated with two lines, H15 and B20. Genomic DNAs, total RNAs and total proteins extracted from leaf, flower and fruit tissues of non-transgenic and transgenic plants of T4 generation were analyzed by PCR, southern blot, RT-PCR, and western blot techniques. The transgenes were confirmed to exist stably during the generation, and transcription and translation of the gene was detected constantly in transgenic plant of two lines. It seems that the existence and expression stability of the introduced gene in CMVP0-CP transgenic Hot peppers keeps up during the generation. Karyotypes of transgenic Hot pepper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non-transgenic plants using mitotic metaphase chromosomes. The somatic chromosome compositions of both transgenic and non-transgenic plants were diploids of 2n=24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itotic karyotypes considering chromosome length, type, and satellites etc., was observed between transgenic plants and non-transgenic plants. 최근 여러 목적으로 형질전환체 식물이 다양하게 개발되고있다. 그러나, 형질전환체 식물에서 도입 유전자의 불활성화 현상이 종종 일어나 형질전환작물 개발의 문제점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CMV 저항성 형질전환 고추 2 계통의 핵형분석과 도입유전자의 발현 안정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CMV 저항성 형질전환 고추 2 계통 H15와 B20의 잎, 꽃 그리고 열매를 이용하여 DNA, RNA 그리고 protein을 추출하여 PCR, southern blot, RT-PCR, western blot의 분자생물학적 방법을 통한 도입유전자의 존재 확인 및 발현안정성을 분석하였다. PCR 결과, 2계통 모두 1054 bp의 35S promoter 와 CMVP0-CP, 654 bp의 CMVP0-CP, 443 bp의 NPTⅡ band가 조사한 모든 식물체 부위에서 검출되었다. CMVP0-CP probe와 NPTⅡ probe를 사용하여 southern blot을 수행한 결과 형질전환 2 계통 모두에서 single band를 나타내어 single copy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RT-PCR을 이용하여 CMVP0-CP의 654 bp와 NPTⅡ의 443 bp의 band를 2계통 모두에서 확인하여 mRNA로의 전사를 확인하였으며, western blot에 의해 형질전환 2계통 모두에서 약 27kDa의 band가 확인되어 도입유전자가 단백질로 발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핵형분석 결과, 염색체 수는 H15와 B20 모두 2n = 24로 나타났으며, 이는 각각의 야생형 모본과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H15와 야생형 모본, B20과 야생형 모본에서 이차협착부위로 인한 satellite의 위치와 수가 대조적인 차이를 보였다. H15와 야생형 모본은 2쌍(chromosome 11, 12)의 satellite chromosome이 관찰된 반면, B20과 야생형 모본은 1쌍의 satellite chromosome이 관찰되었다. 위 결과를 통해 CMV 저항성 형질전환체 고추의 분자생물학적 분석과 핵형분석으로 H15, B20에서 도입유전자가 안정되게 존재하며 발현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식물 형태를 응용한 도자 조형 연구 : 잎과 덩굴을 중심으로
이성남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대학원 2003 국내석사
도시에서 살아가는 현대인들은 활동 공간 안에서 자연을 접하기가 쉽지 않다. ‘자연의 소중함’이라는 말은 교육이나 매체를 통해 우리의 무의식 세계에 자리 잡고 있지만, 현실 생활 속에서는 각개인의 관심이나 체험의 의지가 없다면 자연의 존재조차 인식하지 못하고 살아가기 마련이다. 식물은 인간을 숨 쉴 수 있게 해 줄뿐 아니라, 의, 식, 주 모든 부분에서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작은 관심만으로 주위를 살펴보면, 틈새에서 유약한 생명력으로 주어진 환경에 순응하고 적응하며 돋아있는 풀과 꽃들을 볼 수 있게 된다. 이런 식물들을 관찰하면서, 살아있음에 아름다움을 느끼게 되었고, 그 생명의 아름다움을 개인의 심상으로 재해석 해 보고자한다. 예술적인 표현은 작가의 축적된 주관적 경험을 외적 물질에 감정이입하여 의미부여 함으로써 또 하나의 독립적 주체가 되는 것이라 고 생각한다. 이에 식물의 고유한 생명력과 본인의 주관적 경험에 의한 식물의 이미지를 예술적으로 조형화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식물의 생명력 표현, 유기적 조형미 그리고 생태에서 나타나는 이미지를 알아보고, 식물을 표현한 작품의 사례를 조사해 보았다. 본 작품은 식물의 구조 중 잎과 덩굴을 응용하여, 푸르름과 성장, 그리고 유기적 곡선미를 보여주려 한다. 생명력 표현을 위해 덩굴이 뻗어 나가는 운동감을 곡선적 이미지로 나타내었고, 근원적 모성을 표현하기 위해 잎은 안정된 구도와 볼륨감의 형태로 제작하여 표현하고자 한다. 식물의 이미지를 도자로 조형화 하여 새로운 표현의 한 방법을 연구하고 발전시켜 보는 것을 연구 방향으로 한다. We, who live in cities as modern people, have difficulties to contact and experience the nature directly, managing the lives in the urban environment. Though the words, "significance on the nature" take their place in our unconscious world through education and media even like brainwashing, we are just driving our lives, forgetting and even never thinking at all the existence of the nature around us, if we do not have a concern and a willingness to meet the nature by experience. Vegetation not only lets the human being breathe air but also maintains a close relation tied with all parts of routine life. And also if we take a look around us with a little care, it's not difficult to find grasses and flowers that grow up, adjust themselves and make harmony with the environment. Observing the plants, I found the beauty that they reveal through their silence and latent power. A reason why I feel even a certain responsibility to compose their lives with clay is there, ― the beauty among the modes in which the plants accommodate themselves to environment can be called balance and harmony. For the reason I get encouraged to re-interpret the beauty of the life by my personal (mental) image. Artistic expression is thought as becoming a independent subject through the course a author has outer materials sympathize with his or her accumulated subjective experiences. Thus, the works are composed for the purpose of artistic formation that has a same meaning with a certain space that the genuine power which plants contain in their lives encounters the author's personal experience. To prepare a theoretical background I examined the expression of vegetation's vitality, organic formative beauty and images emerging from ecology and investigated some examples of works which have expressed vegetation. The focus of my works is on showing greenness, vegetative vividness and organic beauty of curves and lines by using leaves and vines among the structures of plants. I represent dynamic figures of vines spreading with curvilineal images in order to express vitality, and make leaves into the shape that has the stable composition and the sense of volume to realize fundamental maternity. Through this study, I'll try to show a new way of ceramic-representing vegetal images formatively.
초등학교 교사의 통일교육에 대한 관심도와 실행형태에 연구
The purpose of this studyr is to look 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stages of concern and innovation configuration as they pertain to education of unification within the 7th ethics curriculum based on survey research with the innovation configuration of Concerns-Based Adoption Model(CBAM). The study also aims to see if teachers’stages of concern and innovation configuration vary by their backgroun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tages of concern and innovation configuration. Research questions are : 1. What is much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tages of concern in the education of unification within the 7th ethics curriculum? 2. What is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novation configuration in the education of unification in the 7th ethics curriculum? 3.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tages of concern and innovation configuration in the education of unification in the 7th ethics curriculum?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research with 431 teachers working in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The study used survey questionnaires about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tages of concern and innovation configuration in the education of unification in the 7th ethics curriculum. The study reorganized and used questionnaires developed by the R&D Center for Teacher Education at the University of Texas, which were applied to the education of unification in the ethics curriculum. In order to discover the interest level during the process of collecting data, the study calculated frequency and a percentile, and in order to discover the difference between background variables, the study conducted a related test. As regards the teaching of the curriculum, the study calculated frequency, percentile, and average between questions, and in order to discover the difference between background variables, the study performed an ANOVA for gender and career and a one-way ANOVA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stages of concern and innovation configuration. The study used the SPSS 10.0 version for all the above data analysi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concern in the education of unification in the 7th ethics curriculum was mainly a cognitive one in the 0 stage, as 58.2% (251 teachers) of the teachers indicated. The second highest was an informative concern in the 1st stage (63 teachers), and then, 45 teachers demonstrated an operational concern in the 3rd stage, followed by 34 teachers with a personal concern in the 2nd stage, 21 teachers with an alternative concern in the 6th stage, 9 teachers with a conclusive concern in the 4th stage, and 8 teachers with a cooperative concern in the 5th stage. Gender and career, which are the background variables of individual teachers, were found not to be significantly associated. Second, concerning an average by section of each compositional factor in the curriculum in the teachers’ innovation configuration in the education of unification within the 7th ethics curriculum, the contents of the class posted 3.39, which was the highest, the teaching method posted 3.34, the assessment of teaching posted 3.27, the objective of the class posted 3.07, teaching material posted 3.02, and the character and ideology of the curriculum posted 2.96. Looking at the total average, most teachers responded that “they taught formal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gender, bu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teaching of a curriculum. This means the more they are experienced, the more fluently they were likely to teach. Third, the teachers’ stages of concern and innovation configuration were very closely related. The average of the education of teachers who showed an alternative concern in the 6th stage was the highest, posting 3.60. Therefore, this means that they are likely to deliver educational content either fluently or creatively as their stages of concern becomes higher. This enables us to project that the performance of education will be higher provided their stages of concern is drawn upwards. 본 연구는 관심에 기초한 실행모형을 사용한 설문지 조사로 초등학교 교사들의 제7차 도덕과 교육과정의 통일교육에 대한 관심도와 실행형태를 살펴보고, 통일교육의 관심도와 실행 형태는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또한 관심도와 실행형태 사이의 관계는 어떠한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초등학교 교사들의 제7차 도덕과 교육과정의 통일교육에 대한 관심도는 어떠한가? 2. 초등학교 교사들의 제7차 도덕과 교육과정의 통일교육에 대한 실행형태는 어떠한가? 3. 초등학교 교사들의 제7차 도덕과 교육과정의 통일교육에 대한 관심도와 실행형태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 방법은 서울과 수도권에 위치한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 431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에 사용한 도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제7차 도덕과 교육과정의 통일교육에 대한 관심도와 실행형태에 관한 설문지이다. 설문지는 Texas대학의 교사교육연구센터(R&D Center for Teacher Education)에서 개발된 것을 도덕과 교육과정의 통일교육에 적합하도록 내용을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처리에 있어서 교육과정 관심은 빈도,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배경변인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검증을 실시하였다. 교육과정 실행은 문항 간 빈도, 백분율, 평균을 산출하였으며, 배경변인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성별과 경력은 분산분석, 관심도와 실행형태간의 관계는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모든 자료 분석은 통계분석용 프로그램인 SPSS 10.0 version을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7차 도덕과 교육과정의 통일교육에 대한 교사의 관심은 0단계 지각적 관심에 58.2%, 251명의 가장 많은 교사가 속한 것으로 나타나 교사의 통일교육에 대한 관심은 0단계의 지각적 관심으로 분석되었다. 두 번째로 높은 관심을 보인 것의 결과는 1단계 정보적 관심에 63명, 3단계 운영적 관심에 45명, 2단계 개인적 관심에 34명, 6단계 대안적 관심에 21명, 4단계 결과적 관심에 9명, 5단계 협동적 관심에 8명 순이었다. 교사들의 개인별 배경 변인인 성별과 경력은 관심도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제7차 도덕과 교육과정의 통일교육에 대한 교사의 실행형태는 교육과정의 각 구성요소별로 영역별 평균을 살펴보면, 수업내용이 3.39로 가장 높고, 수업방법 3.34, 수업평가 3.27, 수업목표 3.07, 수업자료 3.02, 교과의 성격, 이념이 2.95 순이었다. 전체평균으로 볼 때 교사들은 “형식적으로 실행한다”에 가장 많은 응답을 보였다고 볼 수 있고, 성별은 별 차이가 없으나, 경력별로는 교육과정 실행의 차이가 나타나 경력이 높아질수록 익숙하게 실행하는 경향을 찾을 수 있었다. 셋째, 교사들의 관심도와 실행형태의 관계는 매우 밀접한 관계를 보였다. 6단계의 대안적 관심을 갖고 있는 교사의 실행도의 평균이 3.60으로 가장 높아서 높은 관심단계로 갈수록 익숙하게 실행한다거나 창의적으로 실행한다는 답변을 했음을 알 수 있다. 이런 현상은 관심단계를 끌어 올리면 실행도도 높아질 것이라는 예측을 가능하게 했다.
경기도 지역의 설사환자에서 분리한 세균성 병원체의 특성 조사
이성남 충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09 국내석사
본 연구는 경기도 지역의 세균성 설사질환을 유발하는 세균성 병원체에 대한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2007년 1월부터 12월까지 경기도내에 소재하는 4개 병원에서 수집한 설사환자의 대변 총 2,270건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세균검사는 설사를 유발시키는 세균성 병원체인 Salmonella spp., Shigella spp., Vibrio spp., Staphylococcus aureus, Yersinia enterocolitica, Listeria monocytogenes, Pathogenic Escherichia coli, Campylobacter jejuni, Bacillus cereus, Clostridium perfringens를 대상으로 배양법과 multiplex PCR법을 병행하여 실시하였고, 생화학적 시험은 API kit를 이용하여 동정하였다. 조사결과, 설사의 원인병원체가 총456주 분리되었으며, 이 중 Pathogenic E. coli가 362주(79.3%)로 가장 많이 분리되었고, S. aureus가 74주(16.2%), Salmonella spp.가 13주(2.8%), V. parahaemolyticus가 3주(0.7%), B. cereus 3주(0.7%) C. perfringens 1주(0.2%) 순으로 확인 되었다. 월별 분리율은 하절기인 6월에서부터 시작하여 10월까지에 걸쳐 많이 검출되었으며, 연령별로는 9세이하(63.5%)에서 높은 분리율을 보였고, 성별로는 남자가 여자보다 높은 분리율을 보였다. 항생제에 대한 감수성을 시험한 결과 Pathogenic E. coli 는 AM>TE>NA>SXT>CF 순으로 높은 내성을 나타냈으며, S. aureus는 AM>P>OX>FEP>CTT 순으로 그리고 Salmonella spp.는 AM>TE>NA>SXT>CF 순으로 높은 내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양한 세균성 설사질환의 정보가 부족한 현실에서 세균성 설사질환 병원체의 현 유행양상과 항생제 남용에 따른 내성균 출현 등 설사 질환 병원체의 예방 및 치료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두고 있으며, 설사질환에 대한 원인 병원체의 종류 및 역학 자료를 연구, 분석하여 보다 효율적인 질병관리 대책수립의 중요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I investigated characterization of bacterial pathogens on 2,270 stool specimens, which was collected from diarrheal patients of 4 hospitals in Gyeonggi province for one year, 2007 Detection of enteric bacteria in stool of diarrheal patient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routine protocol, such as culture and multiplex PCR method. Biochemical test for Salmonella spp., Shigella spp., Vibrio spp., Staphylococcus aureus, Yersinia enterocolitica, Listeria monocytogenes, Pathogenic Escherichia coli, Campylobacter jejuni, Bacillus cereus and Clostridium perfringens was also performed by API kit. Among 456 isolates of bacterial pathogen isolated from the collected stool, pathogenic E. coli of 362 isolates(79.3%) showed the most predominant pathogen causing diarrhea in Gyeonggi province, and the order of the prevalence seemed to be S. aureus(16.2%) > Salmonella spp.(2.8%) > V. parahaemolyticus(0.7%) = B. cereus(0.7%) > Cl. perfringens(0.2%). Detection rate of bacterial pathogens in diarrheal patients investigated in Gyeonggi province was the higher from June to October as summer season, and in children below 9 years old(63.5%). In addition, bacterial pathogens in male were isolated higher rate than one of female. Antibiotics resistance rate of pathogenic E. coli showed as AM > TE > NA > SXT > CF, Staphylococcus aureus showed as AM > P > OX > FEP > CTT, and Salmonella spp. showed as AM > TIC > NA > TE > C. In the present study, I focused to investigate the incidence and antibiotics resistance patterns of bacterial pathogens related diarrheal patients. These results were very helpful to make preventive method for infectious disease causing bacterial gastroenteritis, especially, food poisoning by enteric bacterial infection.
경남지역 교육대학원 영양교육전공 대학원생들의 교육과정 만족도에 관한 연구 : 고용 형태에 따른 비교
이성남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본 연구는 경남지역 교육대학원 영양교육전공자들을 대상으로 고용형태에 따른 교육대학원의 기능과 요구수렴, 교육과정의 만족도를 살펴보았다. 설문조사는 경남지역 4개 대학 교육대학원 영양교육전공 재학생을 대상으로 2010년 12월 4일부터 12월 20일까지 실시하였다. 총 16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그 중 147부의 설문지가 회수되었으며(회수율 91.8%) 이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용형태에서는 계약직 83명(56.5%), 직종은 비정규직 영양사 83명(56.5%), 근무지에서는 중학교 45명(30.6%), 연령은 25~30세 46명(31.3%)으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육대학원이 수행해야 할 기능은 정규직은 ‘현직 교원의 자질향상을 위한 계속교육, 재교육’으로 나타났으나, 비정규직(임시직, 계약직)의 경우 ‘교원양성기관으로서의 예비교사교육’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대학원의 현재의 기능은 정규직, 비정규직 모두 ‘학위 취득을 위한 기관’이 높게 나타났다(p<0.001). 셋째, 교육대학원의 진학 동기는 정규직은 ‘학교 현장에서 필요한 수업관련 지식을 공부하기 위하여’로 나타났으며, 비정규직은 ‘영양교사가 되기 위하여’로 나타났다(p<0.001). 또한 교육대학원 선택에 있어 중요한 요인은 정규직, 비정규직 모두 ‘동료, 친구의 추천’과 ‘거리가 가까워서’가 높게 나타났으며(p<0.05), 교육대학원 진학만족도는 정규직, 비정규직 모두 ‘그렇다’로 높게 나타났다(p<0.001). 넷째, 교육대학원의 요구수렴 여부는 정규직, 비정규직 모두 ‘그렇지 않다’와 ‘보통이다’의 응답이 높았으며, 요구수렴의 방법은 ‘하지 않는다’가 높게 나타났다(p<0.01). 교육대학원생의 적절한 요구수렴 방법은 정규직, 비정규직 모두 ‘정기적인 설문조사’로 나타났으며, 사회단체와의 상호교류수업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정규직은 ‘그렇다’가 높게 나타났으나, 비정규직의 경우 ‘보통이다’가 높게 나타났으며(p<0.05), 교과과정에서의 우선순위는 정규직, 비정규직 모두 ‘학문(이론) 능력 함양 면’이 높게 나타났다(p<0.01). 다섯째, 교육대학원 영양교육학과 학생들의 교과과정의 만족도는 정규직과 비정규직 모두 ‘만족한다’와 ‘보통이다’가 높게 나타났으며(p<0.05), 개설 교과목 수의 만족도는 정규직과 비정규직 모두 ‘그렇지 않다’와 ‘보통이다’가 높게 나타났다(p<0.01). 또한 교육과정 내용의 수준에 대해 정규직은 ‘학부보다 심화 확장되지 않은 편이다’가 높게 나타났으나 비정규직은 ‘학부보다 심화 확장된 편이다’가 높게 나타났다(p<0.05). 이상의 연구 결과로 대체로 정규직과 비정규직은 교과과정에 대해 만족하고 있었으며, 식품영양학 전반적인 지식을 두루 함양하는 전문인 양성위주의 교육이 교과내용의 목표로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교육대학원의 진학 목적이 달라 수요자에 맞춘 차별화된 교육과정이 필요하며, 교육대학원의 요구수렴 여부와 방법에 대해 질적인 수월성을 확보하기 위해 제도적인 장치를 마련하여, 학생들의 교육만족도를 충족시킬 수 있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satisfaction on the function and demand collecting, and course of study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y the type of employment targeting graduate students majoring nutrition educ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Gyeongnam region. Th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nutrition education in 4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Gyeongnam region from Dec. 4th to Dec. 20th, 2010. Total 16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147 ones were returned (returning rate 91.8%), and the results of analyzing those questionnaires were as follows. First, 83 of contract workers (56.5%) as for type of employment, 83 of temporary nutritionists (56.5%) as for type of job, 45 people in middle school (30.6%) as for working place, and 46 people aged 25~30 (31.3%) accounted for the most. Second, as for the functions which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should perform, regular workers answered ‘continuous education for enhancing qualification of current teaching staffs and re-education’, while non-regular workers (temporary workers and contract workers) selected ‘education of would-be teachers as an institute for fostering teaching staffs’. Also, as for current function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oth groups answered ‘an institute for earning a degree’ the highest (p<0.001). Third, as for a motive to enter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regular workers answered ‘to study knowledge relevant to classes needed at school’, and non-regular workers answered ‘to become a nutritional teacher’ (p<0.001). Also, as for important factors in selecting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oth regular workers and non-regular workers answered ‘recommendation of co-workers or friends’ and ‘easy distance’ (p<0.05), and as for satisfaction of entering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oth regular workers and non-regular workers answered ‘yes’ (p<0.001). Fourth, as for whether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ollects their demands or not, both regular workers and non-regular workers answered ‘no’, and ‘so-so’, and as for a way to collect demands, an answer of ‘it does not collect demands’ accounted for the most (p<0.01). As for a way for appropriately collecting demands of students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oth regular workers and non-regular workers answered ‘conducting regular surveys’, as for the necessity of mutual exchange class with the social organization, most regular workers answered ‘yes’ while most non-regular workers answered ‘so-so’ (p<0.05), and as for the order of priority in the course of study, both regular workers and non-regular workers answered ‘to foster academic (theoretical) ability’ the most (p<0.01). Fifth, as for satisfaction of students majoring in nutrition educ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atisfied’ and ‘normal’ accounted for the most in both regular worker group and non-regular worker group (p<0.05), and as for satisfaction on the number of classes, ‘not satisfied’ and ‘normal’ accounted for the most in both regular group and non-regular group (p<0.01). Also, as for the level of the educational courses, regular workers thought ‘not to be intensified and extended compared with those of undergraduate courses’ the most while non-regular workers thoughts ‘to be intensified and extended compared with those of undergraduate courses’ (p<0.05). With the abov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hown that both regular workers and non-regular workers are satisfied with the courses of study, and think that the goal of educational contents is to educate professionals who develop general knowledge on food and nutrition. In addition, as the purpose of entering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regular workers and non-regular workers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is necessary to prepare differentiated educational courses appropriate for the demanders, and it should meet students' satisfaction by preparing an institutional strategy in order to secure qualified excellence about whether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ollects students' demands or not and its way.
슈퍼비전은 의학, 심리, 간호, 정신건강분야 등에서 전문가 양성의 핵심방법으로 그 중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슈퍼비전은 간호의 질적 향상 및 전문직 발달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슈퍼비전은 훈련된 슈퍼바이저와 경험이 없는 슈퍼바이지가 신뢰를 바탕으로 새로운 해결책을 모색하는 상호작용이 강한 전문직 활동이다. 정신건강간호사는 수련과정에서 슈퍼비전이 필수이며, 수련 이후에도 지속적인 슈퍼비전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정신건강간호사의 슈퍼비전 경험을 총체적으로 탐색하는 실체이론을 개발하여 긍정적인 슈퍼비전을 경험하도록 돕기 위해 전략을 모색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19명으로 슈퍼비전을 받은 경험과 준 경험이 모두 있는 정신건강간호사였다. 연구 자료 수집 기간은 2018년 1월부터 4월까지이며, 자료수집방법은 심층면담과 참여관찰을 이용하였다. 면담 내용은 Strauss와 Corbin (1998)의 근거이론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총 97개의 개념, 39개의 하위범주, 14개의 범주가 도출되었고, 이어서 과정분석과 유형분석, 상황모형이 형성되었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건강간호사의 슈퍼비전의 인과적 조건은 ‘혼자 감당하기 힘듦’이었고, 이로 인해 나타나는 현상은 '이론과 실무 통합능력이 부족함'이었다. 이러한 현상의 맥락적 조건은 ‘슈퍼비전 체계가 부실함’이었다. 작용․상호작용 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중재적 조건은 '개인 성향‘, ‘기관의 슈퍼비전 정책’, ‘슈퍼바이저와의 관계’이었다.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전략들은 ‘도움 요청하기’, ‘집중훈련 동행하며 함께 나누기’, ‘자기 성찰과 학습 지속하기’, ‘전문직 활동 참여하기’로 나타났다. 이러한 전략의 결과는 ‘수준 높은 간호를 제공함’, ‘전문가로 성숙해짐’, ‘슈퍼비전 체계 재정비를 소망함’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신건강간호사의 슈퍼비전 발달 과정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도움 요청단계’, ‘집중훈련 동행단계’, ‘역량강화단계’, ‘자율협력단계’의 4단계의 과정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각 단계별 진행은 중재적 조건에 따라서 차이가 있었다. 셋째, 본 연구에서 핵심 범주는 ‘서로 지지하며 건강한 전문가로 거듭나기’이며, 맥락적 조건과 중재적 조건을 중심으로 슈퍼비전 유형을 분석한 결과, ‘도전성취형’, ‘현실지향형’, ‘안전지향형’의 세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넷째, 정신건강간호사 슈퍼비전 발달과정은 개인의 작용수준과 대인관계 상호작용수준, 조직, 지역사회, 국가 수준의 차원으로 상황적 모형이 형성되었다. 이는 정신건강간호사가 건강한 전문가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개인, 대인관계, 지역사회, 국가 차원에서 체계적인 지원과 관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를 통해 정신건강간호사의 슈퍼비전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와 인식 을 향상시킴으로써 동일한 개념으로 의사소통이 가능해질 것이다. ‘서로 지지하며 건강한 전문가로 거듭나기’의 실체이론은 정신건강간호사의 슈퍼비전 발달과정에 따른 간호 교육, 실무, 연구 및 정책 수립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제시해주는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또한 정신건강간호사의 슈퍼비전 발달 단계별로 제시한 다양한 간호전략들은 긍정적인 슈퍼비전 경험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정신건강간호사가 근무하는 병원, 정신건강복지센터, 중독관리센터 등 다양한 정신보건현장에 필요한 맞춤형 슈퍼비전 프로그램 개발을 제안하며, 정신건강전문요원이 지속적으로 슈퍼비전을 받을 수 있도록 국가 차원에서 수련 이후의 심화교육, 슈퍼바이저 양성과정 개설 및 공식적인 슈퍼비전 체계 구축을 제언한다.
Alkanolamine계 수용액을 이용한 이산화탄소의 흡수에 관한 연구
본 연구에서는 CO_(2)-N_(2) 혼합 기체의 주흡수제로 AMP를 선택한 후 기존의 흡수제와의 비교를 위해 AMP, MEA, DEA 그리고 AMP/MEA에 대한 흡수 실험을 하였다. 실험 조건에 따른 CO_(2)의 alkanolamine계 흡수제에 대한 용해도 및 흡수속도를 구하고 CO_(2)의 흡수 실험에서의 최적의 조건을 구하고자 하였다. 실험 조건은 온도 30, 40℃, 기체 유량 3 ℓ/min이었고, 흡수탑의 경우 액체 유량은 0.1ℓ/min이었다. 실험에 사용된 N_(2):CO_(2) 혼합 기체의 조성은 부피비로 85:15이었다. 실험 결과 AMP가 MEA, DEA 보다 용해도와 흡수 속도 면에서 모두 우수하였으며, 초기 반응 속도는 MEA가 가장 우수하였다. AMP의 느린 초기 반응 속도와 경제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AMP를 MEA와 혼합하여 용해도와 흡수 속도를 측정하였다. 혼합 흡수 실험은 총 농도를 1, 2, 3, 4 M로 하여 일정 농도에서 혼합 비율을 변화시켜가면서 행하였다. 실험 결과 용해도에서는 MEA의 첨가 비율이 높아질수록 용해도가 감소하였다. 또한 혼합 비율이 0에서 대략 0.3인 영역에서의 AMP/MEA 혼합액의 이산화탄소 용해도는, 개별 흡수제 농도의 합이 혼합 흡수제의 총 농도와 같은 조건에서 AMP 단독 용해도와 MEA단독 용해도의 합과 거의 차이가 없었다. 또한 흡수 속도 실험 결과 혼합 비율이 0.3인 영역에서 가장 빠른 흡수 속도를 나타내었다. In this study AMP, as a main absorbent of CO_(2)-N_(2) gas mixture was selected and absorption experiments of modeling gas into AMP, MEA, DEA and to compare AMP with conventional absorbents, AMP/MEA mixture were tested. Solubility and absorption rate of CO_(2) into alkanolamine solutions according to experimental conditions and optimal condition of CO_(2) absorption process were researched. The experimental conditions are as follows; temperature is 30, 40℃, gas flow rate is 3 ℓ/min, and in the case of absorption tower liquid flow rate is 0.1 ℓ/min. Gas mixture consists of 85% N_(2) and 15% CO_(2). The experimental results were that: AMP had greater solubilities and faster absorption rates than MEA and DEA. And MEA had the fastest initial reaction rate. To develope AMP properties which have low initial reaction rate and high cost, AMP was used with MEA. And mixing ratio was changed in constant total molarity -1, 2, 3, 4 M. The experimental results were that: in solubility experiment the addition of MEA in constant total molarity decreased the solubility of CO_(2) in AMP/MEA mixture. And from 0 to about 0.3 in mixing ratio the solubility of CO_(2) in AMP/MEA mixture had little differences compared with the sum of solubility of AMP only and solubility of MEA only in the condition where the sum of molarity of AMP only and molarity of MEA only is equal to the total molarity of AMP/MEA mixture. And mixing ratio, 0.3 was optimal point to reveal the fastest CO_(2) absorption rate.
해외 금융업의 겸업화·세계화·융합화(convergence) 흐름 속에서 우리나라는 그동안 국내 금융업의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하여 규제완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왔다. 그리고 국내 금융환경의 흐름도 2003년 금융기관보험대리점제도의 도입과 자본시장 관련 법률 즉 증권거래법 등 7개 법률을 통합하여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는 등 제도적인 정비를 통하여 금융업간의 겸업화가 서서히 진전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러한 국·내외적인 금융환경 변화 속에서 현행 금융업무 영역규제는 정당한 것인가? 업무영역의 규제방향은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이 정당한가? 그 구체적인 실천방안은 무엇인가? 하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금융회사의 업무영역규제제도, 특히 보험회사의 업무영역규제제도의 규제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를 통한 개선방안을 찾는데 목적을 두었다. 업무영역 규제라 함은 국가가 금융시장의 균형 있는 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행하는 금융규제의 일종으로 각 개별 금융회사의 영업활동의 범위와 한계를 설정하는 것을 말한다. 보험회사의 업무영역 규제조항에는 보험회사의 본체 내의 업무범위를 제한하고 있는 보험업법 제10조 및 제11조, 보험회사의 업무범위를 간접적으로 제한하는 보험업법 제109조 및 제115조 등이 있다. In the flow of integration, globalization and convergence among financial institutions, there has been a huge move toward deregulation aiming at improving competitiveness of domestic financial institutions. With the introduction of bancassurance and legislation of capital market and financial investment business act covering seven acts such as the securities exchange act, the financial integration and convergence within the domestic finance industry are being gradually expedited. This thesis aims to look for ways to tackle problems with regard to the current regulations in finance industry including banking and insurance in the light of the level, purpose and method of the finance regulations as the rapidly changing global industry requires reforms of the regulations. This thesis consists of six chapters, and the contents each chapter deals with are as follows; Chapter 1 introduces aims and substances of the thesis, and presents critical problems this thesis deals with. Chapter 2 observes regulations on business scope of financial institutions, and reviews tendency of business integration among financial institutions in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finance industry. Chapter 3 discusses legal capacities of financial institutions related to regulations of business scope, and illuminates the legal capacities of insurance companies and characteristics of regulations restricting concurrent business of insurance companies. Chapter 4 examines prohibition of concurrent businesses between non-life and life insurance, international cases for the prohibition of the concurrent businesses, commercial law(insurance part) amendments with regard to the concurrent businesses in Japan and Korea, and problems of the scope of pension insurance regulations regarding the amendments. Chapter 5 discusses insurance business acts focusing on prohibition of extrinsic businesses of insurance companies and its consequences, of insurance companies related to limitations of business, studies expansion of businesses of insurance companies into banking and securities industries. Chapter 6 inquires into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mitation of subsidiaries for the insurance companies, problems of the limitation at a domestic level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s, and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s for the introduction of holding companies within finance industry and the financial holding companies act, depicts probable problems and suggestions of 2009 amendments of the insurance business acts with regard to the specialized insurance broker. Chapter 7 summarizes each chapter and suggestions regarding regulations on the business scope of insurance compan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