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동시대성 지향의 디자인교육 패러다임 연구

        김예은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시각디자인전공 2018 국내박사

        RANK : 250719

        국문초록 이 연구는 동시대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동시대적인 디자이너 상을 제시하고 이에 부합되는 디자이너의 양성과 배출을 위한 디자인 교육의 지향점을 찾기 위한 것이다. 20세기의 산업사회에서 21세기의 지식정보화 사회로의 전환은 정치, 경제, 문화를 포함한 사회 모든 면에서 기술과 정보를 바탕으로 외형과 패러다임의 변화를 가져왔다. 산업사회와 지식정보화 사회의 가장 큰 차이점은 급변성이다. 매순간 새로운 기술과 정보들이 쏟아지고, 새로운 분야가 생기는가 하면 기존의 분야 내에서 새로운 분야가 파생되기도 한다. 급변하는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디자인의 패러다임도 예외일 수는 없다. 따라서 산업과 문화의 교두보역할을 하고 있는 디자인 패러다임의 변화를 살펴보는 것은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디자인 패러다임의 변화에 대한 고찰은 동시대가 요구하는 디자이너 교육의 전제가 되기 때문이다. 디자인은 산업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기 때문에 디자이너를 양성하는 디자인 교육은 본질적으로 산학연계의 특징이 두드러진다. 그러나 국내대학들은 디자이너 양성교육에서 이러한 특수성을 간과한 채 단순히 일련의 학과 또는 세분화되고 답습된 전공의 틀 속에서 디자이너 교육을 실행해왔다. 그 결과 대학의 디자인 교육에서 산업적 요구를 수용하는 면이 미흡했고 또한 국내대학들의 난립 이후 도래한 대학의 재정적 위기도 이에 전문디자인 교육에 악재로 작용을 해왔다. 대학의 운영에 바탕이 되는 재정이라는 실질적인 면에서도 디자인 교육과 산업의 연계성은 필수적이다. 한편 대학 본연의 기능과 역할을 무시할 수는 없다. 교육, 연구, 봉사는 대학이 가진 본연적 기능이고 사회적 책임 수행의 의무이기도 하다. 이에 두 가지 대립 요소인 산업적 특수성과 대학의 본연의 기능을 융합시키는 디자인전문대학원의 존재가 부각되고 있다. 동시대성을 지향하는 디자인 교육 패러다임이 대학에서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정보화 지식기반 사회로의 세계적인 변화에 따라 해외 몇몇 디자인 대학원에서는 이미 선진 디자인 교육이 정착되어 이루어지고 있다. 국내 디자인전문대학원들에서도 그 흐름에 맞추고자 ‘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물건과 서비스의 창조자’ 김현미, 시각디자인 교육에서 디자인 기업가 정신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6권 6호, 2015, p.131 로서 책임을 질 수 있는, 기존과는 다른 위치에서 다른 역할을 수행하는 디자이너 양성을 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요인을 고려해서 국내, 해외의 디자인 교육에 대한 비교연구를 수행했다. 전문적인 디자인 교육으로 일시적인 유행이나 시류에 편승하는 것이 아닌 지나간 시대와 다가올 시대의 시공간적 거리를 둔 ‘시차’에 의한 ‘틈’을 통해 시대를 읽고 예측해서 흐름을 선도해 갈 수 있는 디자이너의 지속적인 양성은 향후 디자이너의 위치와 역할뿐만 아니라 디자인 산업 구조를 바꿀 원동력으로 확장될 가능성을 높여준다. 정보공유 미디어기기의 발전과 디지털 기술발달로 인한 정보지식 기반사회로의 변화의 또 하나의 큰 특징은 전파와 공유이다. 이 두 가지 요소는 국가 간, 기업 간의 기술 격차를 줄였다. 그리하여 과거 디자인이 대기업의 전유물이었다면 이제는 일반인도 자신의 비즈니스를 위해서는 ‘디자인’을 할 수 있는 시대가 온 것이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 디자이너가 ‘전문가’로서의 자리를 지킬 수 있을지에 대한 물음은 계속되어 왔으며 그에 대한 대답을 본 연구에서 찾아보고자 한다. 국내 대다수의 중소기업들은 디자인 전문 인력 부족으로 독자적인 브랜드와 디자인 등을 자력으로 개발하고 사용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산업 현실에서 디자인 교육은 실무에 바로 투입될 뿐 아니라 디자인의 전문성과 성취의 수준을 높이는 디자인 기업가를 필요로 한다. 전통적으로 사회에 디자인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는데 목적을 두고 실무만을 강조했던 교육에서, 스스로 콘텐츠를 개발하고 독립적인 경제적 주체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디자이너 동일출처 를 발굴하고 양성하는 교육으로의 이동이라는 면에 현실적으로 대학 교육이 얼마나 기여하고 있는지를 고찰해 본다. 이 연구는 이 같은 디자인 인재를 배출하기 위한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의 사례를 통해 디자인 전문대학원 존재와 해당교육의 당위성을 입증한다. 또한, 전문 대학원이 용역 기반의 디자인 산업 구조를 스스로 바꿔갈 수 있는 자생력을 지닌 디자이너를 양성함으로써 교육을 통한 디자인 구조를 재정립하는데 기여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 내용은 변화에 따른 시대성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사회적, 디자인적 패러다임의 변화를 연구함으로써 동시대적인 디자인 철학을 기반으로 하는 디자인 교육 패러다임을 예측하였다. 연구 방법은 국내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과 해외 디자인대학원의 교육동향을 포함한다. 그리고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의 디자인 지원 사업과 산업부 과제 수행 과정 추적조사를 통한 디자인 교육의 지향점을 논한다. 나아가 해외 디자인대학원의 다 학제간 융합 커리큘럼과 동시대적 디자이너 인재양성 프로그램을 통해 동시대 디자인 교육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2장에서는 동시대성의 이론적 고찰과 시대의 흐름에 따른 디자인 패러다임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동시대성의 개념적 의미에 대해 이론적 조사를 하고 이를 통해 철학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이는 동시대적 패러다임 연구를 위한 기본적인 개념의 이해를 돕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여러 시대에 걸쳐 여러 철학자들이 연구, 토론을 하며 남겨온 동시대성과 동시대인에 대한 정의를 알아봄과 동시에 그 개념이 앞으로 우리에게 어떻게 적용되어야 하는지를 제시 한다. 또한, 20세기 산업 사회의 디자인 패러다임과 21세기 지식정보화사회가 가져온 디자인 패러다임에 대해 조사해 보고 사회적인 패러다임이 디자인 패러다임에 어떤 영향을 끼쳤으며 그로 인한 디자인 교육 패러다임은 어떻게 변화해 가는가를 살펴본다. 3장에서는 동시대성 교육 동향에 대한 내용이다. 해외 디자인 교육기관은 RISD의 다학제 기반의 교육 프로그램과 디자이너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교육 내용을 살펴보았고, 알토대의 정부 주도하의 융합교육 프로그램과 자생 가능한 디자인 생태계를 구축을 위한 학교의 노력을 알아보았다. 국내 디자인 교육기관으로는 카이스트 산업디자인학과와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의 융합디자인교육과정을 통해 국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다학제 기반 융합 프로젝트를 살펴보았다. 4장은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시각디자인학과에서 추구하는 동시대적 교육 사례 연구로 2009년부터 시작된 사회적 기업과 연계한 디자인 지원 사업을 살펴본다. 교육의 사회적 책임에 따른 대학의 동시대적 움직임을 통해 교육과 산업이 상생하는 생태계를 조성하고자 하는 대학의 노력을 엿볼 수 있다. 또한 현재 진행 중인 산업부과제의 일환인 기업연계형 인재 양성프로그램 사업을 통해 산업을 주도하는 디자이너를 양성하고자 한다. 대학은 주문-생산 형식의 현재의 디자인 용역 기반 구조를 탈피해서 주도적으로 프로젝트 발생 능력을 겸비한 디자이너 양성과 배출이 가능해야한다. 이는 앞으로의 디자인 산업 구조에 적합한 디자인 전문 이력 양성이 우리가 당면한 디자인 교육의 과제이며 그에 맞는 동시대적인 해결안을 목표로 제시한다. 기존의 산학협력체제에서 기업과 학생간의 갑-을 구조와 같은 부작용이 드러남에 따라, 이를 극복할 수 있고 현재 교육체제에 응용이 가능한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을 제시함으로써 환경과 관계없이 자생 가능한 디자이너를 키워내는 교육을 제안한다. 이에 산업부의 기업 연계형 인력양성프로그램 과제 수행을 통한 학교-학생-기업의 선순환 구조를 경험함으로써 주도적인 디자이너의 역량을 펼칠 수 있는 재구성된 디자인 생태계를 제안한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 디자인 산업이 주문에서 시작되는 용역 기반의 구조였으나 교육의 기회를 통한 디자이너 스스로의 기획, 생산체계로의 변화가 가능하다는 사실을 입증하고자 한다. 이 시대에 창조적인 디자인 사고가 가능한 인재를 양성하는 교육의 키워드는 ‘통섭, 융합, 동시대성’이다. 비즈니스와 디자인, 디자인과 기술, 기술과 비즈니스 이렇게 서로 다른 영역이 동시대성을 만났을 때 우리는 새로운 시너지를 발견할 수 있다. 이질적인 영역이 융합하여 발생하는 시너지를 통해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가진 인재양성이 우리 디자인 교육의 동시대적 해결안일 것이다. Abstract A Study of Contemporary Design Education Paradigm by Kim, Ye Eun Dept. of Visual Communication Design Graduate School of Techno Design,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 Through theoretical examination of contemporaneity, this study intends to suggest an image of contemporaneous designer, and to seek a direction of design education to cultivate and generate designers suitable to that image. The shift from the 20th century industrial society to the 21st century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has led to the changes of forms and paradigm in all aspects including politics, economics, and society.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the industrial society and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is rapidity of changes. In every moment, new technologies and information flow out, a new area is created, and a new area in an existing area is born. In the rapidly chang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design paradigm cannot be exceptional. Thus, it has significant meaning to examine changes of design paradigms which serve as bridgeheads of industry and culture. That’s because of the fact that examination of changes of design paradigms is precondition of designer education demanded by the contemporary age. As design has close relationship with industry, design education cultivating designers is essentially characterized by industry-college link. However, Korean colleges, ignoring such a special characteristics of designer cultivation education, have performed designer education in the frame of a series of departments, or divided and traditional majors. As a result, Korean colleges and universities have not been sufficient in accepting demands of related industries in design education. Financial crises of Korean colleges caused by emergence of too many colleges have served as negative element to special design education, as well. In the practical aspect called finances which works as the basis of college management, it is essential to link design education and related industries. Meanwhile, we cannot ignore the original functions and roles of college. Education, research, and service are original functions of college, and its duty to the society. Accordingly, the existence of graduate school of design which can fuse industrial specifics and original functions of college is highlighted. The design education paradigm seeking contemporaneity is required in college. With the global changes toward information and knowledge-based society, some graduate schools on design have already adopted advanced design education. To keep up with such a trend, Korean graduate schools on design too try to cultivate designers who can ‘create products and services which can survive in the market’ and perform roles different from those of previous ages, and in different positions than those of previous ages. Considering such elements, this study compared design education in Korea and foreign countries. The cultivation of designers who do not free-ride temporary fads and moods, but can read the age and predict the future trend, and lead the flow through ‘a crack’ of ‘time lag’ of space-time distance between the past age and the future age can not only boost the position and role of designers in the future, but raise the possibility that it will serve as energy to convert the design industrial structure. Another big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changes into information and knowledge-based one caused by development of information-sharing media devices and digital technology is electric wave and sharing. These two elements have narrowed the technological gap between countries and between companies. Accordingly, design was monopolized by big companies in the past. But, now, common people can ‘design’ for their own businesses. In such contemporary circumstances, the question whether designer will maintain its position as ‘specialist’ has continuously existed. This study tries to answer the question. Owing to lack of design-specialists, most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 Korea have difficulty to develop and use their unique brands and designs for themselves. In such a situation in industrial places, design education needs to cultivate designer businessmen who can immediately start to work in such companies, and, raise levels of speciality and achievement of design, at the same time. This study examines how much college education has contributed in reality in the aspect of change from the traditional education emphasizing only on practices aiming to teach knowledge and techniques needed to provide design services to the society to the education searching for and cultivating designers who can develop contents for themselves and play the role of independent economic subjects. Using the case of Graduate School of Techno-design, Kookmin University, aiming to cultivate such designers, this study proves justification of such graduate school and related education. In addition, this study also aims to contribute to reestablish design structure through education by cultivating designers who have potentials to convert design industry structure for themselves. By examining the changing characteristics of the age and corresponding changes of social and design paradigms, this study predicts a design education paradigm based on contemporaneous design philosophy. The research scope of this study includes education trends of Graduate School of Techno-design, Kookmin University and other graduate schools of design in foreign countries. And, it discusses the direction of design education through follow-up investigation of the design support project of Graduate School of Techno-design and performance of the Ministry of Industry project. Furthermore, by showing interdisciplinary fusion curricula and contemporary designer cultivation programs, it implies that contemporary design education paradigms are changing. Chapter Ⅱ examines theories of contemporaneity and changes of design paradigms with the change of time. After doing theoretical investigation on the concepts of contemporaneity, it tries philosophical approach. It is the stage to help understand basic concepts for researches of contemporaneous paradigms. In this stage, it examines definitions of contemporaneity and contemporaneous people discussed by various philosophers in various ages, and it offers how we can apply the concept in the future. In addition, it investigates design paradigms of the 20th century industrial society and those of the 21st century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and how social paradigms affect design paradigms, and how corresponding design education paradigms have changed. Chapter Ⅲ deals with contents of contemporaneity education. As design educational institutions in foreign countries, the multi-discipline-based education program and education on social responsibility of designers of RISD, and the government-led fusion education program and the efforts of the university to establish sustainable design eco-system of Aalto University. As Korean educational institutions, this chapter deals with multi-discipline-based fusion projects in Industrial Design Department of KAIST and the fusion design education process of the Graduate School of Internal Design, Hongik University. Chapter Ⅳ treats the contemporary education case study pursued by Visual Design Department, Graduate School of Techno-design, Kookmin University. It is the design support project linked with social enterprise which started in 2009. We can notice efforts of universities to build a eco-system where education and industry can coexist through contemporary moves of universities according to social responsibility of education. In addition, they try to cultivate industry-leading designers through the company-linked talent cultivation program, part of the project of the Ministry of Industry. College should be able to cultivate and generate designers equipped with the capacity to create project by themselves, escaping the current design service-based structure with the form of order-production. It argues that it is our challenge to cultivate design specialists suitable to the future design industry and suggests a contemporaneous solution matching it. In the existing industry-college cooperative system, some negative effects like unequal relationship between company and students were revealed. Thus, the chapter offers a new education paradigm which can overcome the negative effects and be applied to the current education system, and an education which cultivates designers who can survive for themselves regardless of environments. Based on the virtuous cycle of school-student-company through performing the company-linked talent cultivation program, this chapter offers a design ecological system where designers can display their capacities as they wish. Chapter Ⅳ inspects conversion education systems in graduate schools of design in foreign countries, and compares global design education whose paradigms are changing. It deal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multi-disciplinary education of Aalto University and RISD (Rhode Island School of Design), and of other universities with contemporaneous trends. This study tries to prove that, while the Korean design industry has been the service-based structure which starts with order, it can be changed into a new structure where designers make plans and make products for themselves by educating designers. The key words of education which cultivates designers who can think creatively in this new age are ‘conversion, fusion, and contemporaneity’. When different fields such as business & design, design & technology, or technology & business meet together, we can discover new synergy. Cultivation of talents equipped with the capacity to solve given problems by synergy acquired from fusion of different fields may be contemporaneous solutions of Korean design education.

      • 테크노 패션 디자인의 기능성과 그 특성에 관한 연구

        김자영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50703

        오늘날 기술은 산업혁명이 초래한 변화 이상으로 인간의 삶을 총체적으로 재편성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흐름은 패션에서도 나타난다. 현재 주목할만한 경향으로 혁신적 기술을 적극 수용하여 의복에 새로운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나타나는 환상적 디자인의 출현을 들 수 있는데 이는 패션과 기술의 끊임없는 상호작용 가운데 나타난 결과라 할 수 있으며 기술이 인간에게 편리함과 유용성을 제공한다는 긍정적 수단으로써 사용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급진적 디자인들은 새롭고 충격적이며 새로운 기능성을 제공한다는 공통된 특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혁신적 기술을 적극 수용하며 급진적 양상을 보이는 환상적 디자인 형태를 테크노 패션 디자인이라 보고 이에 나타난 기능성을 분석하였으며 이에 따른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테크노 패션 디자이너들이 기능성을 부여하는 방법을 고찰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테크노 패션 디자인을 '테크노(첨단기술:high-tech)와 패션의 상호작용으로 의복의 본질적 기능 그 이상의 의미와 기능을 지닌 의복'이라 정의 하였다. 정보 통신 기술이 발달하고 정보와 지식의 중요성이 증대되는 "정보 사회", 공간의 과잉, 정보의 과잉, 개성의 과잉이라 표현되는 "수퍼모던 환경", 사회 문화 전반에 나타나는 "퓨전 현상", 정보공학, 생물공학, 나노공학 등을 적극 활용한 "신소재 개발"은 테크노 패션 디자인의 출현을 가져왔으며 그 발전을 더욱더 가속화시키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의복이 제공하는 유용성을 기능성 개념으로 파악하였으며 아직 실제적 기능성 해결단계인 테크노 패션 입지를 고려하여 도구적 기능성에 입각한 제한적 연구를 하였다. 기능성 분석결과 테크노 패션 디자인에 나타나는 기능성을 보호의 기능, 가동성의 기능, 변환의 기능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보호의 기능은 보호대상에 따라 신체적, 심리적 보호로 분류 되었으며, 가동성의 기능에는 표현 방법에 따라 통합, 테크노 신소재로 분류 되었다. 변환의 기능에는 형태 변환과 모듈시스템 변환으로 분류 되었다. 테크노 패션 디자인의 기능성에 따른 특성은 다음과 같다. 신체적 보호 기능에 나타나는 특성은 첫째, 인위적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며, 둘째, 정치·사회적 가혹행위로부터 보호한다. 심리적 보호 기능에 나타나는 특성은 첫째, '감춤' 역할을 하며, 둘째, '감독'역할을 한다. 가동성 기능의 통합에 나타나는 특성은 첫째, 인간 능력을 확장시키고, 둘째, 인간 활동 영역을 확장시키며, 셋째, 편리성을 제공한다. 가동성 기능의 테크노 신소재에 나타나는 특성은 첫째, 상호 작용 능력을 갖으며, 둘째, 한계성을 극복한다. 형태 변환 기능에 나타나는 특성은 첫째, 착용가능 원리를 따르며, 둘째, 복원성 원리를 따른다. 모듈시스템 변환의 기능에 나타나는 특성은 첫째, 여러 환경 적응 능력을 갖으며, 둘째, 자율성을 갖는다. 테크노 패션 디자인은 의복의 기능성 확장을 가져 왔다. 이에 나타나는 기능성은 기존 의복의 기능성과는 달리 인간의 한계성을 극복하게 하며 외부에만 존재했던 기계의 기능성 까지도 제공해주고 있다. 또한 변환이 자유로운 레고 조립 같은 기능성을 제공하며 착용자 스스로에게 디자인 능력을 부여하는 새로운 형태의 기능성들을 보인다. 이러한 확장된 기능성의 출현은 오늘날 변화된 상황으로부터 오는 요청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의복의 기능성의 본질과 그 작용은 시대에 따라서 가변적 기능을 갖는다할 수 있겠다. 현재 세계는 변화 흐름의 과도기를 지나 성숙기에 있다. 현 시점에서 우리는 이시대가 요하는 의복의 기능성 개념에 대해 다시 한번 검토해야할 필요가 있다. 오늘날 디자이너들은 인간중심 입장에서 기능성을 이해하고 디자인에 반영하여 보다 진보적인 패션 디자인을 제시해야할 것이다. Today's technology has totally reorganized human's life to more than the changes by industrial revolution. This trend is appearing even in fashion. Currently one of the noticeable trend is the emergence of such fantastic designs that actively accepts innovative technique and endows new functions to the clothing. This is probably the result of ceaseless interaction between fashion and technology, which indicates that technology has been used in positive meaning by providing humans with convenience and usefulness. These progressive designs have some common features that they are new, shocking, and provide another functionality. In the paper, such designs that actively accept innovative technology and show progressive aspects were identified as techno-fashion design. Their functionality was analyzed and the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in order to review how the techno-fashion designers endowed functionality. Techno-fashion design in the paper is the composite word meaning the interaction between 'techno' and 'fashion', which defines clothing as something that has some meaning and function beyond its inherent function. "Information society" where IT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and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are being weighted, "super modern circumstance" which is expressed as the excess of space, excess of information, and excess of personality, "fusion phenomenon" which is present in the overall parts of society and culture, and the "development of new material" which actively apply information technology, biotechnology, nano-technology, these things have brought about the emergence of techno-fashion designs, and also are accelerating its advance. In the paper, usefulness provided by clothing was identified in the concept of functionality. Considering the current position of techno-fashion which is now to solve the substantial function of clothing, the study confined the study scope to tool functionality of clothing. As the result of functionality analysis, those functionality in the techno-fashion designs were classified into the function of protection, of availability, and of transformation. Protection function was divided into body protection and mental one according to the target to protect. Operability function was divided into integrated new material and techno one according to the expression methods. Transformation function was divided into form transformation and module system transformation. The characteristics of techno fashion designs to functionality are as follows. As for body protection function, it protects the body against artificial environment, and against political and social harsh behaviors. Psychological protection function plays a role of 'hiding' and 'supervising'. Integration of operability function extends human ability and the area of human activity, and provides convenience. Techno new materials in operability function provides interactive ability and overcomes limit. Transformation function abides by the principle of must be wearable and the principle of restoration. Function of module system change endows the ability to get accustomed to various environment, and the ability of autonomy. Techno-fashion design brought about expansion of functionality of clothing. These functionality, unlikely that of the existing clothing, allows to overcome human limitation, and provides even the function of machine which was outside. Plus, it provides the functionality of LEGO assembly which is free to be transformed, and new type of functionality which endows design ability to the person who puts on the clothing. Emergence of this extended functionality could be the request from the changes of the day. Therefore the essence and the reaction of functionality of clothing varies to the days. Now, the world went beyond transition period and is in a ripen phase. At this time, we need to check again the concept of functionality of clothing requested by this times. Today's designers should understand the functionality of clothing from people-oriented position and reflect them into the designs to present more progressive fashion designs.

      • 한국 대학교의 디자인 입시실기 문제 분석 : 1998학년도부터 2018학년도까지 수도권 4개 대학교를 중심으로

        구엄지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87

        This study is to compile practical questions on the entrance examination of Korea's design university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summarize the periodical changes, analyze the trends of the examination, and present its characteristics. Since Korea's liberation from Japan's colonial rule, university’s entrance examination is the final stage of selecting talented students for normal education, and the examination and exam questions, which are the selection systems for college entrance, hav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educational goals of each stage. The College of Design has also taken practical tests to recruit talented students. To this end, examinees usually visit private educational institutions to prepare for practical tests because private entrance examination art education institutions were faster in analyzing and responding to entrance exams than art education at public institutions. In the field of entrance examination art, the conventional wisdom is that the flow of entrance exams changes every five to seven years. In order to prepare for this,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s collected the questions every three to five years and melted them in the class, attended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briefing session, got information, prepared for the college-hosted practical competition, and organized a mock test. The design university is also aware of entrance examination art education and is constantly changing to select competitive talents along with balancing public education. Based on this status, this paper first looked at the opening of Korean universities' design education, university entrance system, and design major entrance examination. Second, the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oblems of four universiti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hich are influencing the entrance examination of other universities by leading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subjects in the domestic design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Third, this paper looked at what kind of talent these schools have been demanding depending on the tim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help prevent unnecessary investment or prediction in education and to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reasonable and more efficient entrance education in private institutes, while seeking the practical balance and development of public and private education. The subject of this paper is a practical examination of four universiti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Kookmin University, Seoul National University, Konkuk University and Hongik University.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three major categories based on practical exam questions collected from digital data and 「Entrance Examination of Art University」 and 「Art and Design」. The most basic category is Theme, Object, Expression, Material, and other areas. Among them, the Object were detailed in terms of word presentation, visual presentation, and expression conditions, which were divided into background, color, composition in expression, the acceptance and prohibition of specific materials, and the existence of intentional descriptions as analysis indicators. Also derive the category under the subhead of the tools used and constraints, the main concept of the theme representation, and the main concept of object representation during practical testing. Also derive the category under the subhead of the main concept of the topic representation, and the main concept of material representation, the tools used and constraints in the practical exam. Secondly,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periodical changes, the changes in the entrance examination questions of four universities could be defined as 3 to 5 terms, and the basis and examples for the classification were presented. Finally, the interviews with the professors in charge at that time of practical examination's changes of each university were analyzed. Based on these studies, this paper was able to draw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as the Design University entered the 2000s, it wanted talent with communication skills to convey context and multi layer messages rather than design ability to express images based on previous simple messages and visual representations. Second, in the 2010s, university education faced a period of seeking interdisciplinary connections with the subdivision of majors. Therefore, there was a development from the design ability required by the questions of entrance examination to the qualitative aspect of idea and composition for message delivery, and the quantitative aspect of material use and expression ability. Third, in the 2020s, there was a change in the trend that emphasized the basics of observing and expressing reality under the name of "basic formative ability" or "basic knowledge." Lastly, even if a new sort of practical exam is born, by 5 to 7 years, there are efforts and attempts to break away that the name of "Expression Pattern" from a particular university or practical subject . This study is worth analyzing the entrance exam questions from a 20-year-old perspective to provide a broader perspective to examinees and those in the field of entrance exams who are closed to sharing information due to unlimited competition. This also worth that the Design Universiti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has figured out how to measure the basic formative capabilities that have consistently demanded, how to measure design communication capabilities that reflect the times. 본 연구의 주제는 한국 수도권 대학교의 디자인 입시 중 실기문제를 취합하여 그 변천을 정리하여 출제 동향을 분석하고 그 특성을 제시한 것이다. 해방 이후부터 줄곧 한국의 대학교 입시는 교육과정상 인재 선발의 최종단계로, 대학교 입시를 위한 선발제도인 시험과 시험문제는 각 교육단계의 교육목표에 지대한 영향을 끼쳐 왔다. 디자인 대학의 입시 역시 인재를 뽑기 위해 실기시험을 치러 왔다. 이를 위해 수험생들은 대개 사설 교육기관을 찾아 실기를 준비하는데, 그 이유는 사설 입시 디자인 및 미술 교육 기관이 공교육기관에서의 디자인 및 미술교육보다 입시 분석과 대응에는 발 빨랐기 때문이다. 입시미술 현장에서는 5년~7년 주기로 입시의 흐름이 변화한다는 통념이 일반적이다. 이를 대비하기 위해 3년~5년 주기로 기출문제를 취합하여 수업내용에 반영하거나, 각 대학의 입시설명회에 참석하여 정보를 얻고 대학 주최 실기대회를 실전 삼아 준비하게 하였으며, 입시미술학원 연합회를 구성하여 모의시험을 개최하는 등의 입시 교육을 해 오고 있다. 한국의 대학들 또한 입시미술교육을 인지하고 있으며 공교육과의 균형 맞추기와 더불어 경쟁력 있는 인재의 선발을 위해 입시문제 출제에 대해 고심하며 끊임없는 변화를 이끌어내고 있다. 이러한 현황을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첫째, 한국대학의 디자인교육과 대학입시제도, 디자인전공 입시의 개관을 살펴보았다. 둘째, 디자인 입시에서 실기과목 개발을 주도하여 타 대학의 입시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수도권 4개 대학교의 실기문제를 취합하여 문제의 변천과 특성을 파악하였다. 셋째, 이들 학교가 시대에 따라 어떠한 인재상을 요구하여 왔는지를 고찰하였다. 본 논문의 목적은 이러한 고찰을 통해, 사설학원에서 좀 더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입시 교육에 대응함으로써, 공교육과 사교육의 실제적 균형과 발전의 도모를 꾀하면서, 사실 교육에서의 불필요한 투자나 예측을 방지하고, 합목적적 교육 프로그램을 만드는 데 기여를 하는 것이다. 본 논문의 연구 대상은 수도권 대학교 중 국민대학교, 서울대학교, 건국대학교, 홍익대학교 4개 대학교의 디자인 입시 문제 중 실기 출제 문제이다. 디지털 자료 및 국내 입시미술정보지인 월간『미대입시』와 월간『아트앤디자인』에서 취합한 문제를 기반으로 크게 세 가지의 범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가장 기본적인 범주는 각 문제를 주제, 소재, 표현, 재료, 기타 영역으로 범주화한 것이다. 이 중 소재는 단어 제시, 시각 제시, 소재표현 조건의 세부 항목으로, 표현에서는 배경, 색채, 화면구성으로, 재료 영역에서는 특정 재료의 허용 및 금지, 각 학교별 제시 재료의 유무로 구분되었고, 그 외 답안으로 의도 서술 유무의 구분을 분석 지표로 설정하였다. 또한 실기 시험시 사용 도구와 제한 조건, 주제 표현의 주 컨셉, 소재 표현의 주 컨셉이라는 소제목이라는 범주를 도출하였다. 두 번째로 시기별 변천의 특성으로 보면, 4개 대학의 입시 문제의 변천을 3~5시기로 정의할 수 있었으며, 이런 시기 구분의 근거와 사례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각 대학의 실기 변화 시기의 입시 담당 교수 인터뷰를 발췌,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토대로 본 논문은 다음의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디자인 입시에서 실기문제는 단순한 메시지와 시각적 표상 중심의 디자인 능력 제시에서 상황적 맥락과 다층적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요구하는 것으로 변화되고 있었다. 둘째, 대학 교육이 전공의 세분화와 더불어 전공 간 연계를 추구하는 시기를 맞이하게 되면서 아이디어 발상과 메시지 전달을 위한 구성이라는 정성적 측면과, 재료의 사용과 표현 능력이라는 정량적 측면으로 세분화하여 접근하는 시각으로의 발전이 진행되었다. 셋째, 최근 2020년대에 들어 다시 ‘기초 조형 능력’ 또는 ‘기초 소양’이라는 이름으로 실재를 관찰, 조형성을 이끌어내어 표현하는 기본기를 중시하는 흐름으로의 변화가 보였다. 넷째, 하나의 실기과목이 새롭게 탄생한다 하여도 이미 조직화, 기업화되어 정보가 빠른 입시미술학원가의 연구에 의해 5년에서 7년이 되면 특정 대학이나 실기과목의 이름의 ‘입시용 표현 패턴’이 생기는 현실에서 탈피하기 위한 각 대학교의 각고의 노력과 시도가 발견된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20년의 통시적 관점에서의 입시 문제 분석을 통하여 무한 경쟁으로 인해 정보 공유에 폐쇄적인 입시 현장에서의 수험생들과 입시미술 교육 종사자들에게 보다 확장된 시야를 제공하는 데 그 의미가 있다. 또한 국내 수도권 디자인 대학에서 지속적으로 변함없이 요구하여 온 기본 조형 능력을 측정하는 방법과 시대성을 반영하는 디자인 소통 능력을 측정하는 방법을 제공하였다는 가치를 지니고 있다.

      • 省谷 김성곤 선생 탄신 100주년 기념행사 아이덴티티 디자인에 관한 연구

        윤희경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687

        최근 UI(University Identity), EI(Event Identity), MI(Museum Identity)등 목적에 맞는 대상에 따라 아이덴티티 앞에 이름이 붙여지면서 다양한 디자인 형상들이 많이 생겨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아직 대중들에게 보편화 되어있지 않은 M.I.D(Memorial Identity Design)에 대해 논한다. 기념비적인 것 혹은 추도나 추모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 Memorial(메모리얼)은 역사적인 사건이나 인물의 삶을 되돌아볼 수 있도록 상징화하여 기념관, 기념비, 기념행사 등등 다양하게 표현 되어져 왔다. Memorial의 유형사례와 Memorial에 관련된 로고디자인에 대해 조사해본 결과 Memorial의 사례들은 많았으나 특징을 명확하게 보여주는 로고디자인의 표현방법이 다양하지 못하여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체계적인 개발이 부족해 보였다. 최근 기업과 브랜드 혹은 개인의 특별한 기념 이벤트를 자축하는 방법이 다양해지고 있다. 창립기념이나 탄신기념에 제작되는 10주년, 50주년, 100주년의 엠블럼 또는 기념행사 아이덴티티 디자인이 자주 사용된다. 이는 기념 이벤트의 취지나 콘셉트에 맞게 내용이 시각적으로 함축돼 상징적으로 표현해야 하는 작업이다. 여러 사례를 분석해본 결과 기관이나 기업, 대학교의 기념 아이덴티티 디자인은 보수적인 면이 많이 보이는 것부터 축제분위기처럼 재미있게 표현된 디자인까지 다양하였다. 인물에 관련된 기념행사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종류와 소재들이 한정되어 있는 것을 고려하여 성곡 김성곤 탄신 100주년 기념행사 사례연구를 통해 체계적인 디자인 프로세스를 바탕으로 표현영역을 넓혀 다양한 콘셉트와 차별성, 독창성이 구축되어 질 수 있도록 새로운 방향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메모리얼(Memorial)과 관련된 기념행사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가치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디자인 개발을 연구한다.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퓨전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전공 김민 교수의 지도아래 석사 20명의 연구원이 참여하여 진행하였던 성곡 김성곤 탄신 100주년 기념행사 아이덴티티 디자인 개발 사례연구에 관한 것이다. 성곡 김성곤 선생은 국가와 민족을 위해 인재 양성이 꼭 필요하고 지성과 실용적인 지식을 중요시 여겨 이를 위해 일해야 한다고 믿었다. 성곡 김성곤 선생의 탄신 100주년을 맞아 기념행사 아이덴티티 디자인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최종 추천 안들을 애니메이션이 접목된 영상 프레젠테이션으로 제작하여 차별성을 제시한다. 디자인 개발과정을 통해 팀워크를 필요로 하는 체계적인 디자인 프로세스를 경험하고 무궁무진하게 다양한 소재와 콘셉트로 기념행사 아이덴티티 시스템을 발전시켜 나갈 수 있음을 사례연구를 통해 서술하고 있다. Various forms of identity design are created while names are recently attached ahead of the identity according to the objects for purposes, such as UI(University Identity), EI(Event Identity), MI(Museum Identity), etc. In this research, M.I.D(Memorial Identity Design) which is not generalized yet among the people is discussed. Monumental thing or memorial with meanings of remembrance or commemoration have been variously expressed by memorial hall, memorial monument, memorial event, etc. so as to look back historical events or human life. Cases of memorial form and logo designs related to memorial were analyzed. As the result, there were lots of cases of memorial, but systematic development of identity design seemed to be insufficient because expressive methods of logo design showing the characteristics clearly are not various. Recently, there are various methods to celebrate enterprises, brands or special commemorative events. The 10th, the 50th and the 100th anniversary emblem which is manufactured for commemoration of foundation or birth or identity design of commemorative event is often used. It's the work which must imply contents visually for objects or concepts of commemorative event and express them symbolically. As the result of analyzing several cases, commemorative identity design of institutions, enterprises and universities were various from designs including lots of conservative aspects to designs expressed pleasantly like festival atmosphere. This researcher considers that kinds and materials of identity design of commemorative events related to people are limited, widens expressive sectors based on the systematic design process through the case study on commemorative event of the 100th anniversary of 'Sungkok' Kim Sung Gon's birth and suggests new direction so as to establish the differentiation and creativity from various concepts. This researcher studies on design development as a method to improve the value of identity design of memorial commemorative event related to memorial or commemoration. It's a case study on identity design of commemorative event of the 100th anniversary of 'Sungkok' Kim Sung Gon's birth, that 20 master's researchers participated under the supervision of a professor of majoring in visual design, department of fusion design, graduate school of techno design, Kookmin University. 'Sungkok' Kim Sung Gon believed that manpower must be cultivated for nation and people, so people must work by focusing on intelligence and practical knowledge. Identity design of commemorative event is studied for the 100th anniversary of 'Sungkok' Kim Sung Gon's birth. Differences are suggested by manufacturing final drafts as image presentation grafted by animation. The case study describes that systematic design process inquiring teamwork can be experienced by design development process and identity system of commemorative event can be developed by infinitely various materials and concepts.

      • 서울동물원 아이덴티티 디자인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최우진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687

        아이덴티티 디자인이란 기업이 급변하는 경영환경의 변화에 적응하려는 마케팅 전략의 일환으로서 기업의 외모를 정비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글로벌화를 위한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서 국내외 환경 모두에서 통용될 수 있는 이미지를 구축하고자 아이덴티티 디자인을 개발하는 개인, 단체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들은 각각 기존의 노후화된 이미지로 현재에 처한 위기로부터의 탈피를 추구하고 있으며, 시대와 조직의 내외부 환경의 상황 변화에 따라 디자인의 사회적 가치를 중요시 여기고 그 파급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또한 조직은 사업영역 확장, 기업목표 변화, 새로운 비즈니스 환경 등의 변화에 따라 시대에 맞는 이미지를 확립하기 위해 기존 심벌마크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재검토하는 과정을 거쳐 미래를 이끌어가는 아이덴티티 디자인 개발을 시도하고 있다. 이러한 차원에서 오랜 전통과 역사를 통해 발전해 온 서울대공원은 오늘날 글로벌 시대를 맞이하여 정체성을 재확립하고, 그것을 올바로 구현하기 위해 아이덴티티 디자인 시스템 개발이 필요한 때이다. 또한 세계수준의 복합테마단지와 생태동물원을 조성하고, 최상의 서비스로 21세기 초일류 테마파크로 도약하기 위해 서울대공원의 이미지개선을 위한 아이덴티티 디자인 시스템 개발을 수행함으로써 서울대공원의 비전과 핵심가치 등을 반영한 새로운 시각적 이미지의 정체성을 정립시키고자 한다. 이 연구는 실질적인 SEOUL ZOO 아이덴티티 디자인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국외 동물원과 동종업계 디자인 선진사례의 Case Study에 관한 분석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외 동물원과 동종업계의 네임 및 슬로건과 마크를 분석하며, 그 밖에 100주년 엠블램, 캐릭터, 사인디자인을 사례분석하고, 아이덴티티 디자인과의 연계방안을 검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서울과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동물원으로 국문명칭 ‘서울동물원’과 글로벌 한 이미지를 줄 수 있는 영문명칭 ‘SEOUL ZOO’로 개발되었다. 그리고 브랜드 전략의 일환으로 네임과 심벌마크를 강화하기 위해 SEOUL ZOO가 발전하고자 하는 방향성, 지향점 등을 부각시키고자 슬로건 개발이 실행되었다. 또한 타 동물원과의 차별화되는 SEOUL ZOO만의 독자적인 아이덴티티를 위하여 생태보존공간으로서의 신뢰성, 전문성과 함께 체험공간으로서의 친근감을 동시에 담은 아이덴티티 디자인을 개발하였으며, SEOUL ZOO 아이덴티티 디자인과 100주년 엠블램 및 사인디자인의 연계 방안을 고려한 디자인 개발이 실행되었다. 그리하여 SEOUL ZOO 아이덴티티 디자인 시스템은 실질적이고 활용도 높은 디자인을 제시함으로써 브랜드의 강점요소와 특징, 가치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연구는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시각디자인전공과 아이덴티티 전문회사 시디알어소시에이츠가 ‘SEOUL ZOO 아이덴티티 디자인 시스템 개발’을 목표로 한 산학협력 프로젝트의 진행과정을 보고서 형식으로 서술하였다. 연구개발 과제의 결과물에 따른 시사점으로 기존의 이미지 통합만을 지향하는 개발에서 벗어나 조직의 경영이념이나 비전을 명확하게 규정짓고, 서울대공원의 미래를 제시해주는 통합적인 노력으로 SEOUL ZOO가 선도하는 관람객을 위한 친화적인 이미지 구축에 공헌하였다는 점과 산학협력 프로젝트 형식으로 진행하여 교육과 실무를 병행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SEOUL ZOO의 새 출발과 함께 앞으로 크게 성장하게 되기를 바라며, 후에 SEOUL ZOO의 성공배경으로써 아이덴티티 디자인 시스템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도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he development of SEOUL ZOO identity design system is initiated in order to establish a new visual image identity that reflects the vision and key value of the Seoul Grand Park. In the era of globalization, the Seoul Grand Park needs to develop an integrative identity design system to establish and embody its identity appropriately. This study tried to provide the results of the analyses of former design cases of oversea zoos and organizations in the same industry as fundamental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actual SEOUL ZOO identity. Therefore, names, slogans and identities of oversea zoos and organizations in the same industry were categorized and analyzed by shape and subject material. In addition, the cases of centennial emblem, character and autograph design were analyzed, and the way to link them to identity design was explored. Based on this, the Seoul Grand Park, a zoo representing Korean and Seoul, has developed its English name‘SEOUL ZOO’with global image while maintaining its Korean name‘Seoul Dongmulwon.’In addition, in order to reinforce its name and symbol mark as part of brand strategy, the development of slogans was carried out, highlighting the direction and goal of the development of SEOUL ZOO. Furthermore, it has developed its identity design which is differentiated from those of other zoos and at the same time creates a reliable and specialized image of the zoo as a place to preserve the ecology of animals and produces a familiar image of the zoo as a place for experience. After that, it sought ways to link SEOUL ZOO and centennial emblems and autograph designs. The SEOUL ZOO identity design system has presented a practical and highly utilizable design, allowing for the integrative management of the brand's strong points, features and values. This study described in a report the process of a project to develop the‘SEOUL ZOO identity design system,’conducted jointly by Kookmin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Techno Design and the identity specialized company, CDR associates. It is expected that the outcome of this study will be evaluated as a systematic, logical and differentiated identity design system that has escaped from the conventional aim of the establishment of identity design. It is hoped that SEOUL ZOO will grow into a world famous zoo and as a result the identity design system will be evaluated positively as the factor behind the success of SEOUL ZOO.

      • 장애인직업재활시설 ‘해든솔직업지원센터’ 아이덴티티 디자인 개발 : 사회적기업 디자인 지원 프로젝트 12

        김현승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0687

        지난 반세기 동안 자본주의는 급속도로 팽창해왔다. 그러나 자본주의는 시장의 경쟁 체제를 매개로 발전하기 때문에, 고도성장의 이면에는 분배의 문제, 소득 불평등 구조 심화, 빈민과 약자 등의 소외계층 발생, 사회 양극화, 사회 안전망 약화와 사회 불안 등 사회적 부작용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자본주의 체제의 폐단으로 경쟁력 없는 소외계층은 노동 시장에서 더 큰 어려움에 봉착하게 되었고, 압축적 고도성장의 한계는 우리 경제와 사회의 계층 간 양극화를 더욱 심화시켰다. 이러한 상황에서 많은 자본주의 국가들은 장애인 등 불안정 노동자와 소외계층의 사회 통합 문제에 주목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사회적기업을 등장시켰다. 사회적기업은 중앙정부나 지방정부, 기업이 제공하지 못하는 사회서비스를 지역주민에게 제공함과 동시에, 소외·취약계층을 위한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점에서 새로운 기업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 정부는 2007년 '사회적기업 육성법'을 제정하여 교육기관, 종교단체, 자선단체와 같은 비영리·비정부 기구 등의 제3섹터를 적극 활용하기 시작하였고, 현재 많은 비영리 단체와 비정부 기구들이 취약계층에 사회서비스와 일자리를 제공하는 등 사회문제 해결을 위하여 다차원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시각디자인전공 브랜드디자인랩은 사단법인 사회적기업지원네트워크와 연계하여 사회적기업에 대한 디자인 재능 기부 활동인 ‘사회적기업과 창의적과업의 아름다운만남’을 2009년부터 지속해서 진행하고 있다. 그리고 2012년도 상반기에는 장애인에게 직업·사회적 기능 훈련과 유상 고용 기회를 제공하고, 직업적 잠재력을 극대화해 자립 기반을 조성하고 장애인의 사회 통합을 목적으로 하는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이자 예비 사회적기업인 ‘해든솔직업지원센터’의 아이덴티티 디자인 개발 프로젝트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의 사회 통합 실현을 추구하는 장애인 고용 사회적기업의 역할과 가능성에 초점을 맞추어, 이들이 우수한 아이덴티티 디자인을 마케팅 도구로 삼아 시장에서 차별화된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실제 사례를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노동시장에서 배제된 장애인을 고용하는 장애인직업재활시설과 장애인 고용 사회적기업에 대한 개념 정의와 현황 조사를 바탕으로 각각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하고, 국내·외 사회적기업의 아이덴티티 디자인 활용 사례를 조사·분석하여, 장애인 고용 사회적 기업이 시장 경쟁력을 확보하고 자립을 이루기 위한 조건으로서 양질의 아이덴티티 디자인 개발과 적용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기초 조사를 바탕으로 ‘해든솔직업지원센터’의 아이덴티티 디자인 개발과 적용 사례를 서술함으로써 장애인직업재활시설과 장애인 고용 사회적기업에 대한 디자인 개발 지원이 매출 증대와 경쟁력 강화로 이어지고, 시장에서 일반 기업과 경쟁할 수 있는 브랜드 이미지를 제고하고 매출을 증대시키는 선순환 구조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의 경쟁력 저하 원인이 상당 부분 브랜드 아이덴티티 부재에 있음을 밝히면서, 재정이 열악한 사회적기업에 디자인 전문 인력의 우수한 지식과 재능을 나누는 사회공헌 활동을 통해 사회적기업의 자립 능력을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아울러 사회적기업의 자립과 재능기부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시점에서 본 연구가 디자인을 통한 디자이너의 사회적 책임과 사회공헌의 참 의미를 전달하고 이에 대한 필요성과 공감대를 형성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라며, 우수한 디자인 문화 보급의 중요성을 알리는 동시에 디자인 분야의 저변을 폭넓게 확대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한다. Over the past half century, capitalism expanded rapidly. However, capitalism developed through the medium of market competition with the ensuing social side effects of redistribution issues, intensification of income inequality, creation of marginalized groups such as destitute and socially vulnerable classes, social polarization, weakening of the social safety net, and social unrest; all of which are inevitably associated with rapid growth. This is an indictment of the capitalist system and has led to uncompetitive, marginalized groups who experience further difficulties in the labor market. Inherent limits to such a compressed development period deepen these economic problems and further the polarization of social classes. One measure to combat this is the introduction of social enterprises, and amidst such circumstances many capitalist countries are focusing on the social integration of irregular workers such as the disabled and marginalized or underprivileged groups. Social enterprise is the currently focus of a new corporate model as it is able to not only provide local residents with social services unavailable from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or private businesses, but also create jobs for marginalized social groups. These is why the Korean government enacted the 'Social Enterprise Promotion Act' in 2007 and began to actively utilize the third sector, that is, nonprofit and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such as educational institutions, religious organizations, and charities. Many nonprofits and NGOs are currently making efforts from every perspective to resolve social problems by providing social services and jobs to marginalized groups. In this context, the Kookmin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Techno Design Visual Design Department Brand Design Laboratory has affiliated with the Social Enterprise Support Network to provide consistent design talent donation activities through the 'Beautiful Meeting of Social Enterprise and Creative Tasks' since 2009. Additionally, in the first half of 2012, this group provided vocational and socially-functional training and paid employment opportunities to disabled persons to create a basis for them to attain independence through the maximization of their vocational potential. Subsequently, the identity design development project of the preliminary social enterprise 'Haedunsol Vocational Support Center'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y for the disabled with the objective of their social integration were initiated.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focus on the roles and potential of social enterprises that seek to socially integrate the disabled through the provision of employment in order to yield suggestions as to how disabled persons may achieve differentiated competitiveness in the market though the marketing tool of their excellent identity design, and present case studies thereof. To achieve this, each similarity and difference has been compared based on research into the conceptual definition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the disabled and social enterprises that employ the disabled, who are neglected on the labor market. Subsequent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the identity design utilization of social enterprises was performed for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s. The results indicate the necessity of good quality identity design development and application to ensure disabled-employing social enterprises are able to secure market independence and competitiveness. Using this basic research case studies are presented of identity design development and the application of the 'Haedunsol Vocational Support Center.' These suggest the potential for sales increases and reinforcement of competitivenes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the disabled and disabled-employing social enterprises, and the eventuality of a virtuous cycle of increasing sales, wherein these institutions improve their brand image and are able to compete with typical corporations in the market place. In conclusion, this study reveals that the origin of the diminished competitiveness of social enterprises is mostly attributable to an absence of brand identity, and their ability to achieve independence can be increased through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whereby the excellent knowledge and talent of professional designers is shared with financially struggling social enterprises. As social interest in talent donation and the independence of social enterprise increase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onveys the authentic meaning of social contributions through the use of design, provides an opportunity to stimulate consensus on the necessity on social interest in the independence of social enterprise and talent donation, advertises the provision of excellent design culture, and provides suggestions as to how the basis of the design area needs to be expanded.

      • 간판문화선진화를 위한 광고캠페인 개발에 관한 연구

        최석규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687

        도시품격 형성에 있어서 간판의 역할을 주목한 것은 벌써 오래전의 일이다. 도시미관이 반드시 간판에 의해 좌지우지 되는 것은 아니지만 무분별하게 범람한 간판으로 인해 아름다운 도시환경이 형성되지 못하고 있다. 이를 근절해 보려고 예전부터 바람직한 간판문화를 이루기 위해 부단한 노력을 해오고 있으며 거리의 간판개선 사업도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정부는 2007년을 '아름다운 간판 원년'으로 선포하고 시범거리 선정, 언론매체를 통한 홍보 캠페인, 시민문화운동 등을 추진한 바 있다. 또한 2010년에는 G20 서울 정상회의를 개최함에 따라 국격 제고 과제의 하나로 '간판문화선진화'를 선정하고 언론사 및 시민단체 등과 함께 범국민적 인식개선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펼치기도 했다. 2011년 한국지방재정공제회에서 진행하고 있는 간판문화선진화 사업이란 간판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의미 부여를 통해 간판을 중심으로 한 경관의 가치를 높이려는 시도이다. 또한 간판이 상업적 메시지만을 전달하는 일방적 외침이 아니라 시민과 소통하는 커뮤니케이션 수단임을 알리고자 하는 움직임이다. 이런 움직임에 뜻을 같이하는 마음으로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퓨전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전공 브랜드디자인랩에서는 간판문화선진화 사업을 위해 한국지방재정공제회와 문화일보간 업무협약(M.O.U)를 체결하고 2011년 간판문화선진화를 위한 광고 캠페인을 진행하였다. 이 연구개발 프로젝트는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과 한국지방재정공제회와 문화일보간 산악협력 프로젝트로 2011년 3월부터 2011년 5월까지 3개월 동안의 연구개발을 걸쳐 진행되었고 '간판이 경쟁력입니다'를 테마로 한 광고디자인을 개발하였다. 이는 간판에 대한 잘못된 고정관념을 바꾸고 간판이 국가의 경쟁력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임을 인식시키기 위한 목적을 담고 있다. 간판문화선진화를 위해서는 간판의 시각적인 문제점의 개선과 국민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광고캠페인은 행정기관의 주도나 일방적인 홍보에서 벗어나 간판의 인식을 근본적인 차원으로 접근하여 지속적인 의식전환운동이 전개되어야 할 것이다. 이제는 간판이 경쟁력인 시대이다. 상업적인 정보전달을 하던 간판이 도시경관의 영역을 넘어 지역의 정서와 문화를 담아내는 상징물이자 소통의 한 수단으로 자리를 잡았다. 이에 바람직한 간판문화개선의 노력을 시민과 함께 추진해 나간다면 곧 국가 경쟁력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번 간판문화선진화광고캠페인의 개발로 도시의 품격과 경쟁력을 높이고 국민들의 많은 관심과 적극적인 참여가 이루어지길 기대해본다.

      • 예문화사업단 ‘가세학당’ 아이덴티티디자인 개발사례 : 사회적 기업 디자인지원 프로젝트 Ⅷ

        오주영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687

        1970년대 제1차 석유파동으로 인해 물가가 상승하고 실업률이 증가함에 따라, 실업급여와 각종 보조금 등의 지출 증가와 함께 사회적 서비스가 지속적으로 확대되었다. 이로 인하여 국가는 재정적으로 위기를 맞게 되고 복지에 대한 국가의 역할에 의문이 제기 되었다. 유럽 및 선진 국가들은 기존 사회적 서비스의 제공구조에 관심을 기울이며 복지제도의 개혁을 시도하였다. 이 시기에 등장한 것이 사회적 기업이다. 우리나라에서는 2004년 사회적 기업 1호 인증을 받은 다솜이 재단을 시작으로 사회적 기업에 대한 관심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기 시작하였고, 저소득층과 소외된 계층인 장애인, 이주외국인, 새터민 등의 자활·자립의 대안으로 각광받기 시작하였다.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퓨전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전공 브랜드디자인랩(이하 브랜드디자인랩)에서는 2009년 가을학기부터 사회적 기업과의 소통과 교류를 통해 디자인과 디자이너가 가지고 있는 재능을 사회에 환원하고 공한하며 나눔을 실천하는 장으로 ‘사회적기업과 창의적과업의 아름다운만남’이란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4회째를 맞이하여 다양한 사회적 기업이 브랜드디자인랩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 지원을 기다리고 있었다. 그 중 이 연구는 한국 전통과, 예절, 교육, 문화 분야의 사회적 기업인 가세학당에 디자인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하여, 한국 전통의 소재와 조형에서 모티브를 얻어 조형을 다듬고 발전시키는 연구를 진행 하였다. 이러한 브랜드디자인랩의 활동이 국내 많은 사회적 기업에 자극이 되어 활발한 활성이 이루어지길 바래본다. The increase of unemployment benefits and subsidy, due to increase in unemployment rate caused by the inflation in 1970s oil crisis, led the expand of social services including government subsidy and unemployment benefits. Therefore, the nation is faced with financial difficulties and questioned its part in welfare. Europe and other advanced countries have had interest in structure of supply in social service and led reformation of welfare system, which became the beginning of social enterprise. Attention has been drawn to social enterprise in Korea since year 2004 when Dasomi Foundation was announced as the 1st social enterprise. The concept took position in the spotlight as an alternative to support for lower-income group, the disabled, foreigners, and new settlers from North Korea. Ever since 2009 fall semester, Dept. Fusion Design, Brand design lab of Kookmin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Techno Design.(in short, Brand Design Lab) have supported numbers of social enterprise in terms of sharing and reverting of designing talent as 'Beautiful encounter of Social enterprise and creative task' project. Many social enterprises were waiting for support of brand identity design from the Brand Design Lab as the 4th project begun. The following research is about designing brand system for KACE Institute, a social enterprise in the field of Korean traditions and manners education. The research have created and developed a form from the motif of Korean traditional materials. I hope that these activities of Brand Design Lab could lead to stimulate and revitalize social enterprises in Korea.

      • (주)독도쿠키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왕길만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0687

        오늘날의 소비자들은 제품이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성질로부터 만족을 얻는 것은 물론이고, 심미적인 욕구까지도 충족받기를 원하고 있다. 이는 곧 오늘날의 소비자가 제품의 물질적 성질에서만 만족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시각․청각․촉각․후각․통각 등의 감각과 감성 모두를 만족시켜주는 제품을 구매하는 경향이 있음을 의미한다. 우리 사회에는 다양한 기업과 브랜드가 존재한다. 기업은 제품의 판매를 통하여 이익과 이념의 실현을 추구하며, 브랜드가 가진 가치와 이미지는 제품의 판매를 결정짓는 중요 요소라 할 수 있다. 때문에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 개발은 기업이 브랜드의 가치를 형성하고, 브랜드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를 구축하기 위한 중요한 수단이 된다. 그러므로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은 기업이 시장에서 다른 기업과 차별화되고, 브랜드에 대한 인지도를 상승시키는 역할을 한다. 동시에 그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이 제품 패키지 등을 통해 제품에 대한 정보와 가치를 전달한다면, 소비자의 감성적 욕구를 채워줄 수 있는 경쟁력 있는 브랜드로 거듭날 수 있다. 하지만 사회적 목적 달성을 추구하는 영세 사회적 기업에게 체계적인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 개발 및 도입은 아직까지 현실적으로 쉽지 않은 부분이다. 이에 따라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은 2009년부터 사단법인 사회적기업지원네트워크와 함께 사회적 기업을 위한 디자인 개발과 지원을 시작하였고, ‘사회적 기업과 창의적 과업의 아름다운 만남’이라는 명칭의 산학 협력 프로젝트를 시행하게 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재능 기부'를 바탕으로 '실천하고 공유하는 디자인'을 표방함으로서 사회적 기업과 교육 기관 간의 유기적인 네트워킹을 통해 사회적 공동체를 형성함을 목표로 하고 있다. 본 프로젝트는 참여 연구원에게 사회 공익 디자인에 대한 의식을 배양하는 동시에, 사회 취약 계층과의 교류를 증진해왔다는 측면에서 매우 큰 의의를 지닌다. 본 연구는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퓨전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전공 김민 교수의 지도 아래 사회적 기업 (주)독도쿠키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 개발 사례에 관한 것이다. (주)독도쿠키는 판매 수익금을 통해 한국의 독도지킴이 등을 후원하고 사회 취약 계층에게 일자리를 제공하는 사회적 기업이다. 이를 위해 본 프로젝트에 참여한 연구원들은 독도 관련 문헌 조사, 국내외 쿠키 업종 브랜드의 아이덴티티 디자인 및 패키지 디자인 사례를 조사․분석하여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과 패키지 디자인의 중요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주)독도쿠키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 개발을 진행하여 독도쿠키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데 기여하였다.

      • ‘도농직거래상생사업단’ 아이덴티티 디자인 개발사례 : 사회적 기업 디자인지원 프로젝트 Ⅱ

        나웅주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687

        사회적 기업은 현 한국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 궁극적인 목적을 살펴보면, 고령화와 가족 구성원의 변화에 따른 사회 소외계층의 고용안정, 그리고 사회적 지원 서비스가 늘어가는 문제를 해결하고 앞으로 기업이 나아가야 할 사회적 공익 목적을 이루는 대안으로 적절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회적 기업은 일반기업과 대학 등의 참여를 통해 다양한 지원정책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이 연구는 디자인 전문 교육기관으로써 사회적 공헌활동의 필요성을 공감하고 디자인 지원을 통한 사회적 기업의 지속가능한 기업 활동에 도움을 주는 내용을 다루고 있으며, 사회적 기업들의 이미지 개선과 정체성의 확립에 필요한 아이덴티티 디자인 개발의 과정과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연구의 구성은 사회적 기업 중 하나인 ‘도농직거래상생사업단’의 아이덴티티 디자인 개발에 따른 과정을 다루고 있다. 사회적 기업의 환경과 현황을 분석하고, 유기농 농산물 유통업계의 국내외 조사를 바탕으로 해당기업의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최종 결과물을 제시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연구의 디자인 개발은 2009년 9월 1일부터 12월 26일 까지 진행 되었으며, 프로젝트팀의 구성은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김민 교수의 지도 아래 Humming &Company Inc의 실무 디자이너 3명과 디자인학 박사과정 1명 브랜드 랩 석사과정 14명의 연구원으로 구성되어 진행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창의적 과업의 달성이라는 목표로 출발하여 대학에서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이론의 공부를 병행한 실무 프로세스의 경험을 동시에 습득하여 프로젝트 개발의 목적을 수행할 수 있게 하였으며, 사회적 기업 ‘도농직거래상생사업단’은 사회적 공헌의 가치를 바탕으로 한 아이덴티티 개발을 통하여 기존의 이미지를 탈피한 새로운 기업의 이미지와 정체성을 확립하게 되었다. 이는 다른 사회적 기업들의 아이덴티티 디자인 개발의 좋은 본보기가 되고자 한 프로젝트이며, 대학의 역할에 있어서 사회적 책임에 대한 실천적 측면을 보여주는 선행사례로 디자인 지원에 대한 이해와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었다. Social Enterprise gradually began to embed its presence in the current Korean society and its role grows each day. When looking more closely into this social phenomenon, the ultimate goal of this positive stir may be to solve and support some public problems, such as the aging society, the encouraging stable employment of the neglected class, and the expanding number of social services to confront elevating problematic issues. This social movement is a good alternative method for other companies to contribute goodwill to the society as well. Social Enterprises are in great need for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from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corporations in order to construct various policies to stabilize its place in the society. With a full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in social contribution and as Graduate School of Techno Design, Kookmin University being a professional design school, this study covers how educational organizations can directly help Social Enterprises. Donating a specific talent such as identity design skill provides a chance for Social Enterprises to establish and obtain its identity and to improve its past image if needed. This study encompasses the identity design development process of Social Enterprise ‘Donong Direct Distributing Corporation’. The current state of Social Enterprise is examined and analyzed and based on the research of the domestic and foreign organic food distribution industry, final design products were selected and proposed to the company. This study continued from September 1 to December 26, 2009 and progressed with 3 working designers from Humming & Company Inc., one student in doctoral program of Design Studies and 14 researchers in graduate program under the supervision of Professor Min Kim. Started with the primary mission of accomplishing creative achievements, this process offered all participants a chance to obtain hands-on experience of design process on top of theoretical approaches. Social Enterprise ‘Donong Direct Distributing Corporation’ acquired an identity and corporate image different from existing similar companies as the researchers focused on the fundamental value of Social Enterprises as well as the company’s original philosophy. In the course of time, this project has set a valuable precedent example of an identity system development for other social enterprises and it also ignited an active role and stated responsibility of educational institutions in contributing to the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