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카누선수들이 입시 과정에서 겪는 스트레스 요인 탐색

        이서준 한국체육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47

        카누선수들이 입시 과정에서 겪는 스트레스 요인 탐색 이서준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체육학과 본 연구는 대학 진학을 희망하는 카누 엘리트 선수들이 입시 과정에서 겪는 스트레스 요인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입시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선수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카누선수들이 입시 과정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 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대한체육회에 카누선수로 등록한 고등학교 3학년 학생 10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자료는 심층 면담으로 수집하였고, 내용은 주 제 분석 기법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카누선수가 겪는 입시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요인은 부모의 관여, 경기 력 부진, 대인관계였다. 부모의 관여는 대학 중시, 1등 강조, 관전 거부감, 진로 갈등, 과도한 기대, 훈련 간섭, 감정적 홀시가 코드로 나타났다. 경기력 부진은 성적 부진, 기록 달성 실패, 입시 종목 제약, 대회장 환경 제약, 페이스 조절 실 패, 실력 발휘 실패, 진보 압력, 초조가 코드로 나타났다. 대인관계는 과도한 간 섭, 경쟁, 운동 방해, 다툼, 질책, 질투, 무시, 선˙후배 사이 갈등, 외로움, 비교, 후회가 코드로 나타났다. 둘째, 카누선수가 겪은 입시 스트레스 요인이 삶에 미친 영향은 강박, 우울과 불안이었다. 강박은 강박성 행위와 강박성 사고가 코드로 나타났다. 우울은 기 분 부전과 절망감이 코드로 나타났다. 불안은 공황, 강박, 범불안과 특정 공포증 이 코드로 나타났다. 카누선수가 겪는 입시 스트레스는 카누 외 다른 것을 찾기 어려운 현실에 직 면하면서 생길 수밖에 없으므로 다음과 같은 예방책이 필요하다. 첫째, 카누선수가 겪는 입시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요인은 부모의 관여, 경기 력 부진, 대인관계이다. 따라서 카누선수가 불안해하지 않고 우울해하지 않도록 부모와 코치가 도움을 주어야 한다. 둘째, 카누선수가 불안과 우울을 경험하면 성적 저하, 품행 문제, 대인관계 문 제, 주의집중 문제, 분노, 공포증, 짜증 등이 나타난다. 특히, 불안과 우울을 경 험하면 위험 수준이 높아져 자해, 자살 생각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부모나 교 사, 감독 등이 개입하여야 한다. 셋째, 카누선수가 불안과 우울을 경험할 때 가까운 사람들의 관심과 이해가 도움이 될 수 있으므로 사회적 지지를 강화하여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카누선 수가 대학 입시를 앞두고 겪는 스트레스를 이해할 수 있고, 입시 스트레스를 예 방하여 선수 생활을 원활하게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주제어: 카누선수, 입시, 스트레스

      • 토요휴업일 학교도서관 프로그램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성남지역 중학교를 중심으로

        이서준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학교도서관은 주5일 수업제의 전면 실시에 따른 토요휴업일의 안정적 지지기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공간적 요소뿐만 아니라 전문인력, 프로그램 등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토요휴업일을 활용한 학교도서관 프로그램의 현황을 살피고, 프로그램의 기본요소를 파악하여, 주5일 수업제의 근본 취지에 부합하는 프로그램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성남지역 45개 중학교도서관을 대상으로 토요휴업일 개방 및 프로그램 운영 현황을 파악하였으며, 프로그램 담당자의 면담과 참가학생들의 설문을 통하여 조사․분석하였으며, ‘학교도서관 담당인력 부재’, ‘토요프로그램 관련 예산(운영비 및 인건비) 미배정’, ‘학생들의 낮은 관심 및 수요인원 부족’, ‘학교 내․외의 지원 미비’라는 4가지 주요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위의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의 기본 요소를 파악하고, 토요 휴업일 학교도서관 운영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한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학교도서관 토요프로그램의 안정적 운영은 학교도서관의 전문인력 배치․확충이 전제되어야 한다. 담당자들의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연수 기회를 제공하고, 업무부담감을 감소시킬 수 있는 대체인력을 마련해야 한다. 둘째, 재정적 자원 측면이다. 학교도서관 토요프로그램에 관한 예산 항목이 준비되어야 한다. 예산을 마련하기 쉽지 않다면, 학교 밖의 여러 공공기관의 지원 및 협조체계를 구성하여, 학교도서관의 한정된 자원 및 시설, 예산 등 인프라 문제를 극복하고, 학교 안의 제한된 이용 범위를 확장시켜야 한다. 셋째, 학교도서관에 대한 학교관리자와 학생들의 인식개선이 필요하다. 학교도서관 담당자들은 학교도서관의 타당한 존립 근거와 진정한 가치를 학교관리자에게 알려야 하고, 학생들의 토요프로그램에 대한 수요조사 및 사후평가를 통해, 참가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넷째, 주5일 수업제의 목적에 맞게 학생들과 학부모가 토요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학교도서관 개방시간이나 프로그램 운영시간을 확대하여 학부모들의 접근기회를 확대시켜야 한다. 이러한 학교도서관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배려 및 지원을 통해, 주5일 수업제의 전면도입으로 바람직한 여가문화 정립과, 자기주도적 학습력 및 창의력 신장을 중요시하는 교육 환경에서 학교도서관은 교육문화의 발판으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A school library requires not only spatial factors but also professional manpower, programs and others to accomplish its role as a stable supporting foundation of the off-Saturdays in accordance with overall implementation of the five-day school week. This study observed current circumstance of school library programs on off-Saturdays, analyzed basic factors of the programs, and tried to seek ways to improve the programs according to the fundamental purpose of the five-day school week. The research method was to analyze the opening on off-Saturdays and current program management conditions targeting on 45 middle school libraries on Seongnam district, and to conduct research and analysis through interviews with person in charge of the program as well as surveys of participating students. The following four major problems appeared through this study: ‘absence of manpower to support school library’, ‘no allocation of budget related with off-Saturdays program(operating expenses and personnel expenditure)’, ‘low interest of students and lack of demand’, and ‘low support from both in and outside of school’. Based on the study results above, the purpose is to analyze the basic element of the programs and to suggest the following improvement plans to revitalize the program operated by school libraries on off-Saturdays. First, arrangement and expansion of professional manpower in the school library are a prerequisite for stable operation of school library’s Saturday programs. It is necessary to provide training opportunities to secure the professionalism of the person in charge and to prepare alternative manpower to reduce its task burden. Second, it is the financial resource aspect. The budget items about school library’s Saturday program must be arranged. If it is not easy to prepare the budget, onemust overcome infrastructure problems such as limited resources, facilities, and budget of the school library budget and broaden the restricted availability range within the school, by organizing supportive and cooperative system with several public organizations outside the school. Third,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awareness of school administrators and students about school library. Persons in charge of school libraries must inform to school administrators a reasonable existential base and true value of the school library, and develop programs which could motivate participation through student demand survey and post evaluation on Saturday programs. Fourth, with the purpose of the five-day school week inducing participations from both students and parents, approach chances should be expanded by extension of program operating time or opening time in school library. Through these constant interests and consideration on school libraries, they could make a progress as a steppingstone of education and culture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which thinks highly of establishing desirable leisure culture, self-learning ability, and developing creativity.

      • Numerical study of surface plasmon polaritons scattering at a planar metal-dielectric interface by an embedded dielectric nanocube

        이서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Surface plasmon polaritons (SPPs) are localized electromagnetic waves propagating along a planar metal−dielectric interface. SPPs have drawn much attention in a variety of applications, such as light-emitting diodes, solar cells, Raman scattering, chemical or biological sensors, and integrated plasmonic circuits since they are localized electromagnetic waves on a metallic surface with higher local field density. As they have been applied in many applications, the in- and out-coupling of SPPs become important to efficiently excite SPP modes (in-coupling of SPPs), convert SPP modes into far-field radiating modes, electromagnetic waves propagating away from the metal surface to which SPPs are confined (out-coupling of SPPs), or manipulate SPPs (reflection or transmission). Particularly, efficient scattering of SPPs into the far-field radiating modes or reflected or transmitted SPPs is demanded in areas such as thin-film spectroscopy, integrated plasmonic devices, or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s). In this numerical study, it is investigated that how SPPs at a planar metal−dielectric interface are scattered by a dielectric nanocube embedded in the metal layer. The scattering properties of the embedded nanocube in terms of cross sections of scattering and absorption, scattering patterns, reflection, and transmission are numerically analyzed employing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method based simulations. It is confirmed that this embedded nanocube structural system is capable of wavelength-selective SPPs scattering dependent on the size of the nanocube due to the plasmonic resonant modes that are excited in the nanocube. Moreove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cattering properties of the embedded nanocub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smonic resonant modes found in the embedded nanocube is discussed, showing that a specific plasmonic mode, which similarly appears in each of different-sized nanocubes, is responsible for strong scattering of SPPs. Along with the strong outcoupling of SPPs, the strong reflection also occurs when resonant modes of the embedded nanocube are excited, while the transmission decreases. In addition, the scattering patterns of the scattered waves out-coupled by the embedded nanocube are also discussed. With further development,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efficient scattering of SPPs at a planar interface, which can increase the performance of integrated plasmonic devices and, especially, the efficiency of OLEDs by outcoupling of SPPs into the far field radiating modes by collection of embedded dielectric nanocubes with an appropriately chosen size distribution.

      • 강유전성 하프늄 지르코늄 산화물 결정화에 따른 캐패시터의 특성

        이서준 인하대학교 제조혁신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비휘발성 및 전력 동작 특성을 바탕으로 강유전체 재료는 Ferroelectric tunnel junction, 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HfO2 등에 응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강유전체 HfO2 기반 강유전체는 얇은 두께에서도 강유전체 특성을 나타내며, 원자층 증착이 가능한 기술을 기반으로 3차원 구조의 강유전체 재료를 CMOS에도 적용하고 있다. 기존 페로브스카이트 소재의 한계점을 해결 할 수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전극 물질에 따른 강유전 특성의 비교분석도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았다. HZO[HfZrO2] 막을 이용한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양산을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합니다. 강유전성 물질은 외부 전계가 없는 상태에서도 자발 분극을 유지하는 특성이 있어 일반 유전체와 다르다. 강유전성 커패시터는 높은 유전 상수, 높은 항복 강도 및 비선형 정전 용량-전압 관계와 같은 몇 가지 고유한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메모리 저장, 아날로그 회로 및 센서를 비롯한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유용합니다. 전극에 전압이 가해지면 강유전성 물질의 분극이 바뀌어 정전 용량이 변경됩니다. 강유전성 커패시터의 가장 중요한 장점 중 하나는 전원이 꺼진 경우에도 분극을 유지하는 능력으로 비휘발성 메모리 애플리케이션에 이상적입니다. 본 연구에서는 전극 물질과 열처리 온도가 강유전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전반적인 범위로 분석하였다. 먼저 전기적 특성 분석을 통해 하부 전극으로 TiN을 사용했을경우 캐패시터에서 우수한 강유전 특성을 확인하였다. 전기적 특성평가, XRD, AFM, Elipsometer 등의 물질 분석을 통해 이 결과를 통해 전극 물질도 강유전 메모리 소자를 구현하는 데 중요한 역할에 기여한다 것이 보여진다.

      • OSC(off site construction) 공사의 정밀시공을 위한 AI 기반 PC부재 균열 검출 업무지원 기술

        이서준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건설 산업의 환경 변화로 인한 공사비 증가 및 작업 인력 감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생산성 향상 및 효율적인 프로젝트 진행이 가능한 Off-Site Construction(OSC)의 적용이 활발한 추세이다. 이러한 OSC 기반 공사 진행 과정에 있어 문제점은 공장에서 생산 된 PC부재에 대해서는 정확한 품질 검측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공장으로부터 운송되어 현장에 반입 된 PC부재들에 대한 품질 검측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기존 PC부재 현장 검측의 문제점은 작업자들이 직접 현장에 반입되는 부재들을 점검해야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모되고, 검측 정확도가 떨어진다는 것이다. 또한 인력의 한계로 인해 모든 부재들이 아닌 Sample 단위로만 품질 검측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OSC 공사 현장에 반입 된 PC부재 검측을 위해 작업자들이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PC부재 품질 검측 체크리스트 및 PC 공사 시방서를 기반으로 PC부재 현장 품질 검측 시 점검해야 할 PC부재의 주요 검측 항목들을 분류하였다. 주요 검측 항목들을 기반으로 AI 적용 시 자동 품질 검측이 가능한 항목들을 분석 및 도출하였다. 또한 파손, 균열, 마모 등 부재 검측에 필요한 손상 유형 중 작업자 육안에 의한 정확한 검측이 어렵고, 향후 구조물 축조 후 외력 발생 시 구조물의 붕괴를 유발할 가능성이 높은 균열 검출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PC부재 외관 균열 검출 자동화를 위해 균열 및 비균열에 대한 영상 이미지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최근 영상 이미지 인식 분야에서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는 딥러닝 기술 중 하나인 합성곱 신경망(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을 활용한 이미지 학습을 통해 균열 부위를 자동 검출하였다. 검출된 균열은 사용자가 설정한 임계값(균열 폭 및 길이)에 따라 다시 분류되며, 최종적으로 딥러닝 기술과 영상기술을 활용한 모바일 및 웹 서버 기반의 자동 균열 검출이 가능한 PC부재 균열 검출 자동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현장 작업자들의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인 PC부재 품질 검측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Recently, Off-Site Construction(OSC) is being actively applied to improve productivity by efficient factory-based production method rather than on-site production. In OSC-based construction process, problem is the accurate quality inspection for the members produced in the factory is carried out but the quality inspection for the members shipped from the factory and brought to the site is not performed properly. The existing problem in OSC-based Precast Concrete member site detection is on-site workers have to check the members directly, which is very time-consuming and expensive, and the detection accuracy is low. In addition, quality inspection is performed only in the unit of sample, not all members. In this study, for the inspection of PC members brought to the OSC construction site, the main inspection items of the PC members checked during the PC member on-site quality inspection are classified based on the PC member quality inspection checklist and specifications. Based on the classified inspection items, items that can be automatically tested for member damage are derived when applying AI. For the automation of PC member crack detection, crack and non-crack image data are collected to automate crack detection in PC members. And then cracks are automatically detected through image learning using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CNN), one of the deep learning technologies. The detected cracks are reclassified according to user-set thresholds (crack width, length). Finally this study can propose an automated PC member crack detection system based on mobile and web server using deep learning and image processing technology. It is expected to enable more accurate and efficient PC member quality inspection by field workers.

      • 기혼 임금근로자의 직장-가정갈등이 직업만족에 미치는 영향 : 고용형태의 조절효과

        이서준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의 유례없는 고속 성장은 사회 전반에 많은 변화를 일으켰다.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율은 급속도로 증가하였지만, 여전히 가사에 대한 책임은 여성에 편중되어 있고, 젊은 세대를 필두로 성역할 인식이 변화하고 있으나 아직은 미흡한 것이 현실이다. 특히, 기혼 임금근로자는 직장에서의 책임과 가정에서의 책임을 동시에 수행하고 있어 과도한 중압감에 시달리게 된다. 이는 직장 또는 가정 영역에서 부정적인 영향이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으로써 작용할 수 있으며, 어느 한 영역의 갈등이 다른 영역에까지 전이될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 또한 한국은 IMF 외환위기를 기점으로 노동시장 유연화가 급격히 이루어졌으며 이는 비전형 근로자 확산의 계기가 되었다. 고용불안정으로 인한 스트레스는 개인의 삶의 질과 근로자로서의 직업만족 저하에 막대한 영향을 미쳤다. 기혼 임금근로자의 직장-가정갈등으로 인한 어려움과 종사상 지위의 취약점은 직업만족의 하락을 야기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들이 가진 취약성에 대한 적절한 개입이 필요하다. 기존 선행연구는 영유아·미취학 자녀를 둔 기혼의 여성 임금근로자를 중심으로 어려움을 살펴보았는데 성별과 관계없이 가족 구성원으로서 그리고 근로자로서 겪을 수 있는 어려움을 총체적으로 살펴본 연구가 부족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이 이론과 사회 정체성 이론에 근거하여 기혼 임금근로자의 직장-가정갈등이 직업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두 변수 간 관계에서 고용형태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분석 자료는 ‘2020 제6차 근로환경조사’ 원시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전체 조사 응답자 50,538명 중 기혼 상용근로자와 임시·일용근로자 19,089명을 분석에 포함하였다. 독립변수인 직장-가정갈등은 5점 리커트 척도로 구성된 5개 문항의 합으로 측정하였으며, 종속변수인 직업만족은 직무와 직업에 관한 주관적 평가 문항의 응답으로 5점 리커트 척도로 구성된 7개의 문항의 합으로 측정하였다. 조절변수인 고용형태는 상용근로자를 기준 집단으로 더미변수 처리하여 투입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제시하였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장-가정갈등과 직업만족 수준의 차이, 고용형태에 따른 일반적 특성 및 주요 변수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또한 조절효과 검증을 위해 SPSS 29.0으로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혼 임금근로자의 고용형태에 따라 연령, 성별, 학력, 주당 근로시간, 근속년수, 주관적 건강상태에 유의미한 차이가 검증되었다. 둘째, 기혼 임금근로자의 연령, 성별, 학력, 주당 근로시간, 근속년수,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른 직장-가정갈등, 직업만족 수준의 차이가 검증되었다. 셋째, 직장-가정갈등 수준이 낮을 때, 고용형태가 임시·일용근로자일 때보다 상용근로자일 때 기혼 임금근로자의 직업만족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장-가정갈등과 기혼 임금근로자의 직업만족 간 관계에서 고용형태의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통제변수 중 연령, 성별, 학력, 근속년수, 주관적 건강상태가 기혼 임금근로자의 직업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의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일-가정 양립제도 점검과 가족 친화적 조직문화를 조성하고 기혼 임금근로자의 일-생활 균형이 종사상 지위와 관계없이 지원되도록 제도를 확충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직장·가정 양쪽 영역에서 동시에 역할갈등을 겪고 있는 기혼 임금근로자의 스트레스를 적절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셋째, 차별적 조직문화 철폐와 비정규 노동에 대한 고용 안정성 증대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임시·일용근로자 집단에서 사회적 취약계층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이들을 위한 교육·훈련 및 양질의 일자리 창출 등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Korea's unprecedented rapid growth has brought about many changes throughout society. Although women's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has increased rapidly, responsibility for housework is still concentrated on women, and awareness of gender roles is changing, led by the younger generation, but it is still insufficient. In particular, married paid workers suffer from excessive pressure as they simultaneously carry out responsibilities at work and at home. This can act as a possibility that negative influences can occur in the work or home domain, and there is a risk that conflicts in one domain can spread to other domains. In addition, labor market flexibility has been rapidly achieved in Korea since the IMF financial crisis, which served as an opportunity for the spread of atypical workers. The stress caused by job instability has a huge impact on the quality of life of individuals and the decrease in job satisfaction as a worker. The difficulties caused by work-family conflicts and the vulnerability of working status of married paid workers are highly likely to cause a decline in job satisfaction, so appropriate interventions are needed to address their vulnerabilities. Existing studies have looked at the difficulties of married female paid workers with infants and preschool children, but there is a lack of studies that have comprehensively looked at the difficulties that can be experienced as family members and workers regardless of gender.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work-family conflict on married paid workers' job satisfaction based on spillover theory and social identity theory,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employment stat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The analysis data used the raw data of the ‘2020 6th Work Environment Survey’ and included 19,089 married regular workers and temporary/daily workers out of 50,538 total survey respondents in the analysis. The independent variable, work-family conflict, was measured by the sum of 5 items composed of a 5-point Likert scale. It was measured as the sum of items. Employment status, a moderating variable, was input by treating regular workers as a dummy variable as a standard group.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bjects were presented, and differences in work-family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level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i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major variables according to employment status were verified. In addition,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with SPSS 29.0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The results analyz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verified in age, gender, educational background, weekly working hours, years of service,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employment status of married paid workers. Second, differences in work-family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levels according to age, gender, education, weekly working hours, years of service,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of married paid workers were verified. Third, the level of work-family conflict was low and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of married paid workers was found to be higher when they were regular workers than when they were temporary or daily workers. Fourth, the moderating effect of employment status was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of married paid workers. Lastly, among the control variables, age, gender, education, years of service,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of married paid worker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 would like to make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work-family balance system, create a family-friendly organizational culture, and expand the system to support married paid workers' work-life balance regardless of occupational status. Second, it is necessary to support married paid workers who are experiencing role conflicts in both the workplace and family at the same time so that they can properly manage their stress. Third, it is necessary to abolish discriminatory organizational culture and increase employment stability for non-regular labor. Fourth, as the proportion of socially vulnerable groups is high in the temporary and daily worker group, policy support such as education and training and creation of quality jobs for them is needed.

      • 이더넷 기반 방송 시스템 통합제어에 관한 연구

        이서준 배재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코로나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와 외출 제한 조치는 많은 사람들이 온라인 화상회의나 비대면 수업을 진행하게 되었고, 오피스 환경에서부터 학교, 회의, 엔터테인먼트, 문화 활동, 그리고 거의 모든 측면에서 비대면 솔루션과 온라인 플랫폼이 부상하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화상회의 및 녹화 스튜디오를 필수적인 수단으로 만들었으며 방송 시스템은 미디어 제작, 엔터테인먼트 산업, 예술, 문화 활동, 교육, 그리고 비대면 커뮤니케이션의 핵심 요소로 부각되었다. 음향 영상 시스템을 비전문가들이 다루기에는 한계가 존재하고 방송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 많은 인력과 비용이 발생한다. 또한 통합제어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 임베디드 시스템을 구축하거나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제작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별도의 임베디드 시스템 없이 Companion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컴퓨터에서 이더넷 기반 방송 시스템 통합제어를 구축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방송 시스템을 필요로 하는 곳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통합제어 버튼을 구성하고 구축이 가능하다.

      • 소듐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MnMoO4/rGO@g-C3N4 composite 전극의 제조 및 특성에 관한 연구

        이서준 전남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지구온난화 문제, 매장량의 한계를 보이는 화석연료의 사용을 줄이기 위해 지속 가능한 에너지 자원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리튬 이차 전지, 소듐 이차 전지와 같은 재사용 가능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 많이 연구되고 있다. 그중 소듐 이차 전지는 리튬 이차 전지와 유사한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고 소듐 자원이 해수에 녹아 있어 어느 곳에서나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리튬 대비 500배 이상의 자원이 존재하기 때문에 가격 경쟁력이 뛰어나다. 현재 주로 사용되고 있는 탄소 기반 음극 소재는 높은 안전성과 긴 수명을 가지는 장점이 있지만 낮은 에너지 밀도로 인해 적용에 한계가 있다. 이에 에너지 밀도가 높고 장기간 사용에도 안정적인 새로운 음극재의 발굴이 요구되었다. 이중 conversion type의 음극은 탄소 음극 대비 고용량의 이유로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conversion type 소재는 전기전도도가 낮고 충방전이 진행됨에 따라 부피의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며 수명 성능이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망간 몰리브덴 산화물에 환원된 산화 그래핀(rGO)과 질화탄소(g-C3N4)를 첨가하여 수열 합성법으로 합성한 후 음극 소재로서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두 가지 요소(환원된 산화 그래핀, 질화탄소)는 망간 몰리브덴 산화물의 낮은 전도성을 보완해주며 충방전이 반복되며 발생하는 부피 변화에 따른 성능 저하를 완화해준다. 결과적으로, 합성된 MnMoO4/rGO@g-C3N4 전극은 향상된 가역 용량 (첫번째 사이클에서 470.8 mAh g-1)과 우수한 수명 성능 (300번째 사이클에서 231.1 mAh g-1)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Recently, as interest in the environment has increased, sustainable energy resources have been developed to reduce the use of fossil fuels, which have global warming problems and reserves limitations, and reusable energy storage systems such as lithium-ion batteries and sodium-ion batteries have been researched. Among them, sodium-ion batteries have a mechanism similar to lithium-ion batteries, and sodium resources are dissolved in seawater, which can be harvested anywhere. In addition, it has excellent price competitiveness owing to its more than 500 times abundance than lithium. Currently, carbon-based anode materials that are mainly used have the advantages of higher safety and long life, but their application is very limited because of their low energy density. Accordingly, it is required to discover new anode materials with higher energy density and stable performance for long-term use. alternatively, conversion type anodes are being actively studied for their high capacity compared to carbon anodes. However, the conversion type material has low electrical conductivity problem, and the volume expands and contracts as charging and discharging proceeds with poor cycle life performance. In this study, a composite of reduced graphene oxide (rGO), carbon nitride (g-C3N4), and manganese molybdenum oxide (MnMoO4) are synthesized by hydrothermal synthesis, and then its performance as an anode material was evaluated. The two factors (reduced graphene oxide and carbon nitride) complement the low conductivity of manganese molybdenum oxide and mitigate the performance degradation due to the volume change caused by repeated charging and discharging.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synthesized MnMoO4/rGO@g-C3N4 electrode exhibited improved reversible capacity (470.8 mAh g-1) in the first cycle and excellent life performance (231.1 mAh g-1) in the 300th cyc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