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조직구성원의 직무특성과 고용관계특성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상진 숭실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47

        國文抄錄 조직구성원의 직무특성과 고용관계특성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영학과 이상진 지도교수 이원우 본 연구는 최근 급격히 변화하는 노동시장 환경에 적극 대처하고 기업의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하여 강조되고 있는 조직구성원의 직무특성과 고용관계특성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직무특성과 고용관계특성, 조직성과에 대한 문헌적 고찰을 토대로 하여 연구의 모형을 설계하고 가설을 설정하였다. 한편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위해 서비스업 및 제조업 등에 종사하는 343명의 정규직과 337명의 비정규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의 조사결과자료를 중심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과제를 분석하고 검증하는 것을 주된 내용으로 하였다. 첫째, 산업현장에서 조직구성원의 직무특성 및 고용관계특성이 조직몰입, 직무만족, 조직시민행동 등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둘째, 조직구성원의 직무특성 및 고용관계특성과 조직성과 간의 관계가 고용형태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파악코자 하였다. 셋째, 조직구성원의 직무특성 및 고용관계특성과 조직성과 간의 관계가 비정규직 직업선택의 자발성 여부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한편, 기존의 연구들이 고용형태별의 조절효과에 대한 분석을 정규직과 비정규직으로만 국한하여 실시하였는데 반해, 본 연구에서는 비정규직을 다시 기간제 근로, 단시간 근로, 파견 근로의 고용형태로 세분화하여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기존 연구들과 차별화를 시도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직무특성 및 고용관계특성에 대한 문헌적 고찰을 토대로 하여 이들의 각 변수들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특성에서 기능다양성, 과업중요성, 자율성, 피드백 등의 변수는 조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용관계특성의 하위변수는 모두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고용안정성과 참여기회는 조직몰입에, 고용안정성, 참여기회, 동료관계는 조직시민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구성원의 직무특성 및 고용관계특성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고용형태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비정규직의 고용형태에 따라서는 부분적으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비정규직 직업선택의 자발성 여부는 직무특성 및 고용관계특성과 조직성과 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부분적으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 결론 부분에서는 이와 같은 실증분석 결과들을 요약정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 실무적 차원의 시사점과 향후 연구과제를 제시하였다. ABSTRACT A Study on the Effect of Employee' Job and Employment Characteristics on Organizational Outcomes LEE, SANG-JIN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Soongsil University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mployee's job and employment characteristics on organizational outcomes which is recently emphasized by company, in order to cope with rapidly changed labor market's environment and to secure competitive superiority. To this end, I designed a model and set up a hypothesis through documentary inquiry on the employee's job and employment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outcomes. For this study, 343 regular and 337 irregular employees who work in service and manufacturing industry sector were asked to response the questionnaires measuring the relevant concepts. This study verified three hypothesis based on the conceptual definition and previous researches as follows : First, the study tested how the factors about employ's job and employment characteristics have an influence on organizational outcomes. Second, the study tried to grasp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s job, employment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outcomes show difference according to employment status. Third, the study tried to grip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s job, employment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outcomes demonstrates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pontaneity of temporary employee' choice.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analysis level, the analysis has done at subdivide irregular employment status which is subdivided contract workers, part-time workers, temporary workers, in this study. while the analysis in previous research on employment status was done at level regular or irregular workers. The research findings by the analysis in this empirical study of employee's job and employment characteristics on organizational outcomes ar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the factors which include skill variety, task significance, autonomy, feedback among the job characteristics factors have an effect on job satisfaction. Second, the employment characteristics factors have an effect on overall job satisfaction. However the employment security, participation opportunity have an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employment security, participation opportunity, co-worker's relationships have an effect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ird, the moderate affects on between job, employment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outcomes don't show according to employment status(regular workers and irregular workers), but partially have an effect according to irregular's employment status(contract workers, part-time workers, temporary workers). Forth, the adjust effects on between job, employment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outcomes partially have an moderate effects according to a voluntary selection of irregular workers. At las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 and the direction of future study are suggested based on results from empirical analysis in this study.

      • 반도체 후공정 MVP 공정설비 물류자동화

        이상진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 문 초 록 반도체 후공정 MVP 공정설비 물류자동화 이 상 진 공주대학교 대학원 기전공학과 본 연구를 통하여 반도체 후공정의 현실을 직시하여 특히 외관 검사 공정인 MVP(Marking Visual Inspection Packing) 공정에서 개선 주제를 설정하여 심층 분석을 통한 개선 방향을 파악 하고자한다. 더불어 반도체 후공정 외관 검사 공정의 출하 방법이 고객요구 및 공정변화에 따라 능동적 대처 가능한 방법을 도출 실시를 통하여 인력을 효율적으로 운영하여 결과적으론 생산성 및 품질 향상에 기여를 통하여 제조 경쟁력을 확보하고자 한다. 반도체 후공정 외관검사 공정은 검사가 필요한 제품을 Customer Tray에 옮겨 담아 설비에 투입한 후 검사를 통하여 양품과 불량을 구분 양품만을 Customer Tray에 담아 적층 후 상부에 Cover Tray를 담아 진공 포장한다. 최근 Customer Tray에 담던 양품의 제품을 Tape & Reel 형태로 제품을 담아 Tape & Reel 형태로 진공 포장하여 출하 하고 있다. 이 과정에 다수의 인력이 참여하게 됨에 따라 참여 인력의 투입 빈도를 파악하여 가장 빈도가 높은 작업인 Reel 교환을 자동화 Item 및 두 번째로 투입 빈도가 높은 Customer Tray를 투입에 필요한 작업을 자동화 Item으로 선정하였다. 상기의 개선 Item을 물류 자동화를 적용 다의 작업을 무인화 함으로 1인당 1대의 Tape & Reel 설비운영에서 5대에서 10대 까지 운영이 가능하게 되었다. 더불어 광학계를 활용 육안으로 검사하는 공정을 자동화에 적용 Human Error를 제거함으로 제조 비용감소 및 생산성 및 품질 향상에 기여하였다. Abstract Logistics Automation of MVP Processing Facilities for Semiconductor Back-End Processing Lee Sang-jin Kongju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Mechatron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ccurately understand the reality of semiconductor back-end processing and to identify, through an in-depth analysis, possible improvements of the process of marking, visual inspection, and packing (MVP) in particular. In addition, this study aims to discover methods that will enable the shipping schemes of visual inspection of semiconductor back-end processing to actively respond to customer demand and changes in process. This will ensure competitiveness in manufacturing by way of more efficient human resources management and the resulting improvement in productivity and quality. In visual inspection of back-end processing, the semiconductor products (devices) to be inspected are placed in a customer tray and then put into the inspection system. Good devices are separated from defective ones, piled up in customer trays, and then, vacuum-packed with the cover tray on top. Recently, the final good devices are vacuum-packed in T&R (Tape and Reel) instead of in customer tray before shipping. As a number of workers participate in this process, two most labor-intensive stages are selected as automation items; reel-exchanging stage and customer-tray-placing stage. This automation makes it possible for one operator to handle up to 10 T&R systems at the same time instead of one. Further application of this type of automation in visual inspection leads to the elimination of human errors, and therefore, results in improvements in cost, productivity and quality in manufacturing.

      • FMEA에 의한 기계 부품의 신뢰도 분석

        이상진 경남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산업기술의 발달에 따라 기계시스템 및 기계설비의 구조도 복잡하고 고정밀화 되고 있으며, 그로 인한 고장은 큰 대형 안전사고를 초래하게 되고 있는 현실이다. 또한 시스템이나 제품에 부과되는 임무나 기능이 고도화되고, 인간생활에 밀착하여 일상생활이나 사회적으로도 큰 영향을 갖게 되므로 고장은 기업의 커다란 경제적 손실이 되므로 이에 대한신뢰성 분석 및 그에 대한 평가는 최근에 많은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산업현장에서 동력 전달용으로 기계장비 및 설비에 널리 사용되는 기본 기계 부품인 감속기를 선택하여 고장형태 및 신뢰도를 분석하여 고장원인을 검토, 그 고장을 미연에 방지하기위하여 FMEA (Mode and Effects Analysis)에 의한 감속기의 부품별 고장률을 예측하고 그 자료를 바탕으로 Relex Program FMEA 모듈을 사용하여 감속기의 고장형태 및 신뢰도를 예측 평가하여 안전성 및 신뢰성 확보를 위한 기초 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This paper dealt with FMEA, Which is a method of the analysis to secure safety and confidence coming up to customer's in consideration of the environment of the corporation, the using industrial environment, and the functional improvement. And by F MEA, We showed the example analyzed the confidence of the reduction gear. It was proved by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at the rate of the break down which is usually regarded as the first important point to reform can't satisfy the selecting basis to improve. Also the result said that it is not right to depend on only the rate of the failure in making the list of the reform. Through the analysis of the breakdown, FMEA can present the important factors of the reform to improve the confidence of the system. In this study would show the important factors of the improvement in order to product the goods guaranteed confidence through the method of FMEA.

      • 패밀리레스토랑 선택속성과 고객만족도가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 : 부산 지역 대학생 중심으로

        이상진 영산대학교 관광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has an objective to ascertain, when the customers frequenting family-restaurant choose restaurants, how important the selection attribute of the service quality and the life style of diet habits is. A survey was carried out to collect of data for the selection attribute of family-restaurant and the customer satisfaction and, contents of survey used were referred to the thesis studied previously. from which the questions of survey were drawn. These questions of survey consist of the selection attribute of family-restaurant, the life style of diet habits and the satisfaction index in using them, the summarized result of the verification is as below: Hypothesis 1 The life style of diet habits would have an significant impact on customer satisfaction. It is believed that, among 4 factors of dietary life, the preferences of both western meal and dining out would influence significantly on customer satisfaction. Consequently, it represents that the dietary life-style of college students and the satisfaction index by using family restaurant have weaker influence on each other. Hypothesis 2 The service quality of family restaurant will affect meaningfully the customer satisfaction. Five factors(conviction, mutual response, reactivity, pattern and confidence) of service quality in family restaurant show that they all have meaningful impact on customer satisfaction Particularly, a prior effort should be made to raise the quality of conviction, mutual response and reactivity which are intensively connected with customer satisfaction. Hypothesis 3 The decision of revisit to family restaurant will be influenced significantly by the customer satisfaction. It means that the customer satisfaction for the college students who are using the family restaurant linked directly with revisit to it. Accordingly, the endeavor and improvement should be needed to keep and promote the customer satisfaction for the college students. Therefore, this study, as making the selection attribute of restaurant clear and subdividing the dietary life style, offers a chance to understand, although only a little, the tendency and taste of the younger generations. Hopefully, I expect this to be a useful information for restaurant management and, also this is the meaning of the study, through which a trend can be made to read the food service industry and culture by making full use of it. 본 연구는 패밀리레스토랑을 이용하는 고객이 레스토랑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서비스품질과 식생활라이프스타일의 선택속성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규명하고자 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그에 앞서 먼저 국내, 외 선행 연구를 참고하고 자료를 통해 연구의 틀과 실증분석 및 검증을 통해 연구목적을 달성하고자 하였다. 먼저 연구 모형을 정하고 그 모형에 따른 가설을 설정하여 논문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패밀리레스토랑 선택속성과 고객만족도에 관한 자료 수집은 설문지법을 이용하였으며 사용된 설문지에 내용은 선행 연구된 논문 내용을 참고로 하여 설문문항을 도출하였고 이는 패밀리 레스토랑의 선택속성 및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그리고 패밀리레스토랑 이용 시 만족도 조사 등으로 구성되었다. 조사 대상은 부산지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1차 설문지 수집을 2008년 10월 초에서 2008년 10월 말까지 총 300부를 배부하고 회수하여 부실기재된 것을 제외한 280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 하였다. 통계처리에 필요한 프로그램 SPSS 12.0 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요인분석, 희귀분석과 평균차이 검증으로 T-test 분석 등을 실시하였으나 결과가 만족스럽지 못하여 2차 설문지 수집을 2008년 11월초에서 11월7일까지 1주일간 자료 수집하여 나온 결과로 통계 처리하여 분석 및 검증했으며 가설검증 결과 나타난 주요 내용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은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을 보며 식생활의 4개요인 중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은 양식 선호형과 외식 선호형 요인으로 나타났다. 검증 결과에 의하면 4개요인 중 2개 요인만이 영향을 미치며, 2개 요인의 영향정도로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과 패밀리레스토랑 이용에 따른 만족과는 영향관계가 매우 약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가설 2 : 패밀리레스토랑 서비스품질은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을 보며 패밀리레스토랑 서비스품질의 5개요인 모두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검증 결과에 의하면 패밀리레스토랑 서비스품질의 5개요인 중 신뢰성만이 회귀계수가 0.139로 다소 낮게 나타났지만 나머지 4개 요인은 고객만족에 대하여 매우 강한 영향력을 가진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패밀리레스토랑에서 대학생 고객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마케팅 방안으로는 서비스품질을 제고시키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특히 고객만족과 강한 영향관계를 보이는 확신성과 공감성 반응성에 대한 품질 제고를 위해 우선적으로 노력해야 할 것이다. 가설 3 : 패밀리레스토랑의 고객만족은 재방문 의사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을 보며 고객만족은 재방문의사에 유의수준 0.001에서 회귀계수 0.730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패밀리레스토랑을 이용하는 대학생들의 고객만족은 재방문 의사와 직결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패밀리레스토랑은 대학생 고객의 만족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면 단골과 같은 장기적 관계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대학생 고객의 고객만족도 제고 및 유지를 위한 서비스품질의 개선과 제고의 노력이 필요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이론과 결과에 거의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패밀리레스토랑의 선택속성을 명확하고 식생활라이프스타일을 세분화하여 젊은 세대들의 성향과 취향을 조금이나마 알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이는 레스토랑의 경영에 유용한 정보가 되었음 하는 논자의 생각이 묻어 있기도 하며 본 연구의 의의이며 이를 통해 외식산업 발전과 미래의 외식문화를 읽을 수 있는 트렌드로 자리매김하는 자료로 활용하기 바란다.

      • 성격유형 탐색 집단상담이 대학생의 자기개념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이상진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성격유형탐색 집단 상담 프로그램을 대학생들에게 적용한 후에 이러한 집단 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개념 및 대인관계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학생들의 성격유형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에니어그램 집단상담 프로그램으로 진행을 할것이며 연구를 위해 세운 가설은 다음과 같다. 1. 성격유형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대학생은 통제집단의 대학생보다 자기개념에 미치는 정도가 유의미하게 향상될 것이다. 2. 성격유형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대학생은 통제집단의 대학생보다 대인관계에 미치는 정도가 유의미하게 향상될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김해 소재 I대학교 학생 중에서 성격유형탐색 집단 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하기를 원하는 학생 24명 중 12명을 실험집단에 12명을 통제 집단에 배치하였다. 실험 집단에서 성격유형탐색 집단 상담 프로그램을 주1회, 매회 150분 총 7회기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를 가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 사용된 성격유형탐색 집단 상담 프로그램은 김성남이 개발한 에니어그램 집단 상담 프로그램에 본 연구자가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재구성한 것이다. 성격유형탐색 집단 상담이 대학생의 자기개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김정규(2001)의 ‘성신자기개념척도’를 사용하였고, 성격유형탐색 집단 상담이 대학생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이형득과 문선모(1982)의 대인관계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이에 따른 논의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실험집단 대학생과 통제집단의 대학생의 자기개념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점수를 비교하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자기개념의 하위척도에서 대인신뢰감과 자기존중감, 대인관계 능력은 유의미한 증가를 나타내고 있으나 정서안정성과 문제해결 능력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성격유형탐색 집단상담이 대학생의 자기개념 특히 대인신뢰감, 자기존중감, 대인관계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실험집단 대학생과 통제집단의 대학생의 자기개념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점수를 비교하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이상의 내용으로 알 수 있는 것은 성격유형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들에게 본인의 성격유형을 탐색케 함으로써 스스로를 파악케하고 이해함으로 내적성장과 인격적 성숙을 이루어 자기개념을 확립 할 수 있고 타인을 이해하고 원만한 인간관계를 형성함으로 대인관계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복합운동프로그램이 만성요통환자의 통증, 기능장애 및 요부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이상진 忠州大學校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요부 불안정성을 가진 요통환자를 대상으로 대둔근과 중둔근의 근력강화에 초점을 맞춘 하지강화 운동과 요부안정화 운동을 함께 실시한 복합운동프로그램이 통증, 기능장애 및 요부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만성 요통환자 59명 중에 요부 불안정성을 가졌다고 판단되는 환자 34명을 선별하였다. 그 중에 하지강화 운동과 요부안정화 운동을 함께 실시한 복합운동군이 17명, 요부안정화 운동만 실시한 안정화운동군이 17명으로 무작위로 배정되었다. 운동 전 평가도구로 100mm 시각적 상사척도를 이용한 요통수준과, 한국어판 오스웨스트리 장애수준 설문지(Korean version of Oswestry disability index)를 이용하여 요통장애지수를 평가하였으며 요부 불안정성에 대한 평가도구를 이용하여 점수화하여 평가하였다. 운동은 일주일에 3회를 6주간 실시하였다. 운동 6주후에 통증과 기능장애수준 및 요부 불안정성을 재평가하였다. 모든 자료들은 윈도우용 SPSS ver. 12.0을 이용하였고, 군 내 실험 전, 후 차이는 대응표본 T검정(paired-t test)으로 통계 처리하였으며 군 간 실험 전, 후 평균차이 비교는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est)으로 통계 처리하였다. 그리고 통계적 검증을 위한 유의 수준은 α=.05로 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만성요통환자는 복합운동을 실시한 후 운동 전보다 운동 후에 요부의 통증과 기능장애수준, 요부 불안정성에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5). 둘째 만성요통환자는 요부안정화 운동을 실시한 후 운동 전보다 운동 후에 요부의 통증과 기능장애수준, 요부 불안정성에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5). 셋째 만성요통환자에서 복합운동군이 요부안정화 운동만 실시한 군보다 요부의 통증과 기능장애수준, 요부 불안정성에 더 큰 감소를 나타냈다(p<.05). 결론적으로 임상에서 요부 불안정성을 가진 환자에게 같은 기간 내에 하지강화 운동과 요부안정화 운동을 함께 실시한 복합운동이 요부안정화 운동만 실시한 안정화운동보다 요부의 통증과 기능장애수준, 요부 불안정성을 감소시키는데 더 효과적이었다.

      • 헬스 참가자의 참여동기와 운동중독 관계분석

        이상진 부산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port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exercise addiction s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exercise addiction. It also examine the exercise maintenance and drop-out of fitness center participants. The subjects were male and female 550 adults of over 18 years who are fitness center participants are located in Busan, Ulsan city through purposive sampling. The data through v11.0 statistics program are handled as PC. Also, this find Cronbach's α coefficient to verify believability. MANOVA is executed to verify difference between the exercise addiction factor and participation motivation. LSD is executed to verify difference of between group. it is execu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stepwise to search relation of sports participation motivation factor and exercise addiction factor. A significant level of p < .05 was used for all the statistical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Sport Participation Motivation (1) Males showed higher scores with regard to intrinsic motivation and extrinsic motivation, while females showed higher scores in the field of a motivation. (2) Twenties showed high scores for health-fitness and external motivation. On the contrary, thirties showed high scores for achievement, skill development and intrinsic motivation. (3) The subjects participating in health-club over two years higher tendency in skill development, enjoyment, achievement of intrinsic motivation and conditioning, affiliation, external display of extrinsic motivation. Moreover, the subjects participating in health-club under 1 or 2 years higher tendency in affiliation. (4) The motive to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frequency showed higher scores for enjoyment, conditioning almost every day. Affiliation, external display and a motivation showed higher scores during a week. 2) Exercise Addiction (1) Differences in sex of exercise addiction show that, the scores are higher than females in positive and negative addiction. (2) Positive addiction show higher scores than negative addiction of exercise addiction in age. Negative addiction statistically less different, positive addiction show that show thirties are higher scores than any other ages. Moreover, twenties show higher scores than fourties and thirties show higher scores than fourtise after finishing LSD. (3) Positive addiction show higher scores than negative addiction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period of exercise addiction. Both elements show that participation period is more higher, exercise addiction is more higher too. (4) Positive addiction show higher scores than negative addiction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frequency of exercise addiction. If participation frequency is more higher, positive addiction show more higher too. Also, if participation frequency is less higher, negative addiction show less higher. 3) The Influence for Sport Participation Motivation on the Exercise Addiction Skill development, conditioning, external display in positive addiction show passive relation for kn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motive and exercise addiction. External display, a motivation, skill development, achievement in negative addiction also show passive relation. In conclusion, skill development, external display have important influences on the positive and negative addi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