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오현정의 "Sextet for 2Flutes, Clarinet, Bassoon, Percussion and Violoncello"(1996)의 제1, 3악장의분석

        오현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63

        19 세기 말 Richard Wagner (1813-1833)에 의한 반음계주의의 영향으로 출현한 무조성 (atonality)은 Arnold Schoenberg (1874-1951)에 의해 한층 더 발전되어 20세기의 중요한 양식으로 자리 잡았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무조적 개념을 기초로 작곡한 본인의 작품 "Sextet for 2Flutes, Clarinet, Bassoon, Percussion and Violoncello" (1996)의 제 1악장과 제3악장을 분석한 것이다. 제 1악장은 ABA'의 3 Section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속음이 특징적으로 나타나고 각 성부의 지속음에 의해 단 2도로부터 장 7도까지의 다양한 음정구조와 완전 4도 또는 완전 5도로 구성된 화음이 형성된다. 제 3악장은 ABCA'의 4 Section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입부와 Section A에서 제시된 선율의 특징적 요소들이 각 Section의 선을 진행을 이끌어 간다. 또한 단2도, 증4도(감5도), 장·단7도 음정이 주요음정으로 제시되고 각 성부 사이에 장 2도, 단 2도로 구성된 cluster chord가 나타난다. Atonality, appeared under the influence of Chromaticism by Richard Wagner( 1813∼1833) in the end of nineteenth century, was refined and established as a major mode in the twentieth century. This thesis is an analysis of the first and third movements of ˝Sextet for 2 Violins, Clarinet, Bassoon, Percussion and Violoncello˝(1996) which was composed on the basis of this atonal concept The first movement consists of three sections of ABA’ Sustained tone of each part exposed melodic characteristic and built up various intervals and chords in this movement. The third movement consists of four sections of ABCA’ Characteristic elements of melody in the introduction and section A were leading the melodic progression of each section, additionally, all minor seconds, augmented fourths (diminished fifths), major sevenths and minor sevenths together became major intervals in this movement

      • 서울시 유급병가 이용 현황과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오현정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47

        서울시 유급병가 이용 현황과 활성화방안에 대한 연구 오현정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 협동과정 (지도교수 : 최 재 욱, M.D., Ph. D.) 목적 : 서울형 유급병가 지원제도는 아프면 병원에 가야한다는 상식에도 불구하고 병원에 가지 못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병원에 가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일실손해액의 일부 또는 전부를 지원하는 제도이다. 대기업이나 공무원과 같은 경우 질병으로 인한 병가제도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나 비정형고용인 특수고용직이나 영세자영업자의 경우에는 고용상의 지위로 인해 질병에 따른 휴급휴일을 보장받지 못한다. 서울시는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중위소득 100% 이하의 소득을 가진 영세자영업자가 질병으로 입원하거나 건강검진을 받는 경우 소득을 보장해 주는 제도이다. 이 제도는 서울을 시작으로 대전시, 고양시 등에서 확대해서 시행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제도에 대한 성격규명, 효과성, 발전방안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상황으로 이 이유는 서울형 유급병가제도가 건강보험법에 따른 상병수당으로서의 성격이 강조되기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 서울형 유급병가지원제도를 활용하여 상병수당이 도입될 시 소요재정추계를 연구한 연구 등이 존재하나 서울형 유급병가지원제도를 상병수당과 같은 성격의 제도로 볼 것인지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또한, 서울형 유급병가제도의 시행과 앞으로의 발전방향과 관련하여서는 서울시민의 사회보장제도에 대한 인식과 태도 등이 동시에 연구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그리고 서울형 유급병가지원제도가 정책이 목적으로 한 대상에게 적절하게 제공되었는지 평가도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 서울형 유급병가 지원제도의 제도성격을 고찰한다. 둘째, 2020년, 2021년 서울형 유급병가 신청자(승인, 미승인, 심사중)의 특성을 분석한다. 셋째, 시민의 사회경제적 상황에 따른 서울형 유급병가 제도에 대한 인지 및 태도를 조사‧ 분석한다. 넷째, 서울형 유급병가제도 확대 적용 방안에 대하여 제언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방법 : 연구방법은 문헌연구, 조사연구, 실증분석의 세 가지로 이루어졌다. 먼저 연구1은 서울형 유급병가의 제도 성격을 고찰한 연구로 질병과 사회보장간의 관계, 상병수당 및 유사제도에 대한 고찰과 서울형 유급병가 지원제도의 입안과정와 정책확산과정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이 제도의 성격을 규정하였다. 다음으로는 서울형 유급병가 제도가 적절한 대상에게 전달되었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서는 서울시에 자료공개청구를 통해 받은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서울형 유급병가 지원제도가 자치구별, 월별, 직업별, 질병별로 어떠한 특성을 지니고 지급되었는지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서울형유급병가 확대를 위한 실증연구를 위한 서울시민 인지 및 태도에 대한 조사를 하였다. 이 조사는 1,000명의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사설 여론조사기관에 의뢰하여 실시하였으며 서울형 유급병가 지원대상자를 50% 할당하고 유의표본 추출하였다. 결과 :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먼저 서울형 유급병가 제도의 성격과 관련하여 서울형 유급병가 지원제도는 공공부조제도로 상병수당과는 구분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형 유급병가는 보험이 아닌 조세를 재원으로 한다는 점, 특정대상(저소득 지역가입자)를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전국민 대상의 사회보험보다는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와 같은 공공부조로서의 성격이 있다고 할 것이다. 다음으로 서울형 유급병가 제도시행결과는 부유한 자치구보다는 가난한 자치구에서 더 많이 신청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별로는 50대와 60대가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또한 직업별로는 판매종사자와 운송관련직의 비율이 높아 정책대상인 특수고용형태종사자에게 적절하게 전달된 것으로 평가할 수 있었다. 또한 주요 상병으로는 근골격계 질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서울형 유급병가 제도의 확대에 대한 시민의식조사를 한 결과는 서울형 유급병가에 대한 인지율은 낮은 상태이며, 직장가입자의 경우 47.0%만이 유급질병병가를 부여받을 수 있다고 하였다. 또한, 질병휴가가 있는 경우에도 제도의 내용까지 전부 인지하고 있는 사람은 질병휴가가 있는 직장가입자(47.0%) 중 27.7%로 나타나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파도 출근한 경험이 전체의 45.6%로 나타났다. 지역가입자의 경우 질병으로 인해 소득감소를 경험한 비율이 87.6%로 매우 높게 나타났고, 주로 개인적 차원에서 이러한 소득감소를 해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서울형 유급병가 확대 필요성에 대한 의견은 전체의 71.6%가 확대를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안별로는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는 개인의 사회적 지위(복지급여 수급 가능성)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담세부담에 있어서는 담세를 통한 확대에서 비일관적이고 비계급적인 특성이 드러났다. 결론 :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서울형 유급병가의 활성화를 위해 첫째, 제도 성격을 상병수당이 아닌 공공부조로 명확하게 하고, 상병수당의 논의에 포섭되어 사라지지 않아야 할 것을 제언하였다. 둘째, 중앙과 지방자치단체가 근로감독권을 공유하여 직장가입자도 질병으로 인한 병가로 인해 신분상의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해야 서울형 유급병가도 서울형 유급병가의 대상이 아닌 직장 가입자도 질병을 적기에 치료하고 업무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셋째, 서울형 유급병가의 확대는 신중하게 선별적인 방향을 유지해야 한다는 것이다. 조사 결과 제도확대는 지지하고 있으나 낮은 담세의지로 인해 재정적 부담이 큰 사업을 확대하는 것에 있어 사회적 합의가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서울형 유급병가 지원데도의 확대를 위한 증세 등의 주요 이슈와 관련해 시민적 합의와 이를 이끌 정치적인 역량이 시민사회와 정치권에 요구된다. 본 연구는 표본추출방식의 한계와 행정데이터의 수집한계로 인해 일반화에는 어려움이 따를 수 있을 것으로 보이나 앞으로 이 연구의 논의가 바탕으로 지방정치와 지방행정 차원에서 공공보건의료와 제도를 확대할 때 중요한 참고자료가 되길 바란다.

      • 실생활 문제를 이용한 중학교 함수의 지도 방안 : 8-가를 중심으로

        오현정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본 논문에서는 실생활에 관련된 문제를 수업시간에 활용함으로서 수학학습에 흥미와 호기심을 불러 일으켜 학생들의 수학 학업 성취도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얻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By applying the questions related to real-life and causing the students to have interest and curiosity in mathematics, we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mathematics in this study.

      • 뇌기반 학습에 기초한 초등 영재교육의 방안

        오현정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영재교육 분야에서 뇌기반 학습에 대한 내용을 응용하여 어떻게 하면 영재교육의 긍정적인 면을 극대화하고 최선의 교육적 혜택을 제공할 수 있을까 하는 것에 관해 논의하는 것이다. 영재의 뇌에서 일어나는 학습과 기억에 대해 이해하고 뇌기반 학습 원리를 영재의 특성에 맡게 학습 현장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종합적 문헌분석법에 의해 영재의 학습과 기억의 과정을 살펴보고 뇌과학에 기반한 연구동향을 바탕으로 뇌기반 학습 원리를 정리하여 초등 영재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뇌기반 학습 원리를 반영한 실제 수업 사례를 제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 학생의 학습과 기억의 과정은 어떻게 실현되는가? 둘째, 뇌과학에 기반한 학습이론 및 연구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뇌기반 학습의 원리는 무엇인가? 셋째, 뇌기반 학습 원리에 근거한 초등 영재교육의 적용방안은 무엇인가? 이 연구에서 영재의 학습과 기억의 과정을 신경과학적 관점에서 살펴보면 첫째, 영재는 높은 신경 효율성을 가지고 있다. 둘째, 영재는 인지적 사고와 그 관련 활동을 담당하는 전두엽의 용량이 크다. 셋째, 영재는 새로운 상황을 담당하는 우반구에서 일상적인 일을 담당하는 좌반구로의 이동이 용이하여 보통 사람보다 더 짧게 더 적게 접하고도 피질 처리영역이 신속하게 이동한다. 넷째, 영재는 작업 기억이 우수하다이다. 뇌기반 학습 지지하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적용하고자 하는 뇌기반 학습의 원리는 첫째, 교육과정은 학습자 중심으로 제시 되어야 한다. 둘째, 정서를 고려하여 인지력을 향상 시켜야 한다. 셋째, 학습 문제는 실제적으로 제시 되어야 한다. 넷째, 물리적, 사회․정서적 학습 환경이 유연하고 지원적이어야 한다. 다섯째, 피드백은 즉각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다. 뇌기반 학습 원리에 근거한 초등 영재교육의 적용 방안은 첫째, 영재는 수준 높은 수업에서 학습 양식에 맞게 차별화 된 내용을 빠른 속도로 공부해야 하므로 교육과정의 압축을 통한 학습자 중심의 교육과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교육과정의 압축은 가르칠 단원의 주요 개념과 기능을 확인하고 정의, 주요 학습 목표의 검토, 새로운 내용을 더 빨리 학습할 수 있는 학생의 판별, 구체적인 학습목표 도달 여부를 평가할 방법 개발, 학습목표에 도달한 학생들에게 적절한 수업 및 연습 활동 제공, 목표에 도달하지 못했지만 빨리 할 수 있는 학생들에게 적절한 개별화 수업이나 소집단 수업을 실시, 학생들의 관심과 장점을 기반으로 도전적인 학습기회 제공, 제공된 압축과정과 수업대안을 기록의 8단계로 이루어진다. 둘째, 영재의 정서를 고려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긍정적인 느낌을 가지고 경험을 더 잘 분류하고 선명한 회상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뇌 안에서 정서에 관여하는 기제는 편도체와 전두엽 그리고 신경전달물질이다. 영재에게 정서를 유발시키기 위해 또래끼리의 칭찬하는 기회를 늘리고, 서로에게 경쟁 대상을 부여하거나 대규모 발표회를 열어 긴장감, 기쁨, 흥분의 정서를 유발한다. 자기 반성을 생활화 하도록 교실 내 공간을 마련해주고 짝꿍과 이야기하는 시간을 확보하며 현재의 삶과 배우는 내용을 연관시키는 활동을 한다. 또한 자신의 목표, 생각, 이상에 대해 이야기 할 수 있는 멘토와 연결을 통해 영재의 인지 수준에 맞는 상대와 사회적 관계를 유지하여 사회적 자아개념을 높여야 한다. 셋째, 영재의 특성과 관련이 높은 실제적인 학습문제를 제시하여 뇌가 형성하는 연결과 연관성을 높여야 한다. 관련성은 실제적으로 세포 수준에서 발생한다. 뉴런은 시냅스 연결을 위해 주변 뉴런과 연결한다. 아동이 경험하는 것과 관련지어 의미를 기억하게 된다면 뉴런이 다양하게 연결되고 활성화 된다. 새로운 학습내용과 관련된 자신 만의 표현을 만들거나 지역축제, 국가적 축제와 관련된 체득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특별한 사건이나 토론, 자기 반성을 통해 현재 학습과 이전 학습을 연결할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해야 한다. 짝 활동, 모둠 활동을 통해 개인의 경험을 활용할 수 있다. 넷째, 교사는 학급에서 함께 학습하는 영재를 위하여 학급의 물리적 환경과 사회․정서적 학습 환경이 유연하고 지원적이어야 한다. 개별 학습이나 소집단 학습을 하는 동안 컴퓨터실, 도서관, 학습 자료실 등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학생이 스스로 학습할 공간을 선택하고 자신의 학습내용을 주기적으로 제출하여 교사로부터 피드백을 받아야 한다. 학습자는 각자 학습할 시기를 장기적․단기적으로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 영재가 일반학급에서 학습하기 위해서 긍정적인 학습 환경이 중요하다. 긍정적 학습 환경의 조성을 위해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은 긍정적 메시지를 구호화 하여 사용한다. 교사가 전달하는 메시지 뿐 아니라 교사가 하는 행동, 얼굴 표정 등 교사의 모든 것이 학습자의 환경이 될 수 있으므로 긍정적 암시가 가득한 학습 환경을 교사와 학생이 함께 만들

      • 어머니의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과 언어통제유형 간의 관계

        오현정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만 5세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어머니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과 언어통제유형을 살펴보고, 어머니의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 수준에 따른 언어통제유형을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어머니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아동권리 인식은 어떠한가? 2. 어머니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언어통제유형은 어떠한가? 3. 아동권리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수준과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4. 아동권리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수준에 따른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 6곳에 재원하고 있는 만 5세 자녀를 둔 어머니 194명이다. 연구도구는 어머니의 아동권리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1989년 채택된 UN아동권리에 관한 국제협약에 근거하여 1993년 Hart와 Zeider가 ‘Children's Rights Perspectives of Youth and Educator: Early Findings of a Cross National Project’를 통해 개발한 문항을 기초로 하여 이소라(1998)가 번안하여 사용한 설문지를 안사라(2012)가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였고,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을 측정하기 위하여 Bernstein(1971)과 Gumperz(1973)의 연구 및 국내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하여 도혜숙(1997)이 수정ㆍ보완하여 제작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는 SPSS 25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분석과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어머니의 연령, 학력에 따른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과 언어통제유형을 살펴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과 사후 검증을 실시하였고, 어머니의 아동의 권리에 대한 인식과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 간의 상관관계를 보기 위하여 Pearson 상관분석을 사용하였으며, 어머니의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 수준에 따른 언어통제유형을 살펴보기 위해 t-검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연령에 관계없이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이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학력에 따라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이 다르게 나타났다. 즉, 생존권을 제외한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에서 학력이 높은 집단의 어머니들이 학력이 낮은 집단의 어머니들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연령에 관계없이 언어통제유형이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학력에 따라 언어통제유형이 다르게 나타났다. 즉, 지위적 언어통제유형과 인성적 언어통제유형은 어머니의 학력에 관계없이 유사하게 나타난 반면, 명령적 언어통제유형은 학력이 낮은 집단에서 학력이 높은 집단보다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셋째, 아동권리에 대한 어머니의 전체적인 인식과 명령적 언어통제유형 간에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즉,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명령적 언어통제유형을 적게 사용하고 있었다. 또한, 아동권리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중 보호권에서만 지위적 언어통제유형과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의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 수준에 따른 언어통제유형의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보호권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을수록 어머니의 명령적 언어통제유형 사용이 낮아지고, 보호권에 대한 인식 수준이 낮을수록 명령적 언어통제유형 사용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어머니의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은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어머니의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을 증진시킬 수 있는 아동권리교육 및 홍보활동을 활성화하고, 이에 따라 인성적 언어통제유형 사용은 증가하고 지위적·명령적 언어통제유형 사용은 감소시킬 수 있는 부모교육과 부모훈련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mothers’ awareness of children’s rights and verbal control type according to her general background focusing on mothers of 5 year old children and the verbal control type according to mother’s level of awareness of children’s rights. The research questions for it were as follows. 1. What is the mother’s awareness of children’s rights according to her general background? 2. What is the mother’s verbal control type according to her general background? 3.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s level of awareness of children’s rights and her verbal control type? 4. What is the mother’s verbal control type according to her level of awareness of children’s righ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94 mothers with 5 year old children who were enrolled in six preschool institutions located in Gyeonggi-do. The research tool is a revised and supplemented version of the questionnaire used by Sora-Lee(1998), which was amended by Sara-An(2012). The questionnaire was based on the items developed in 1993 by Hart and Zeider through the ‘Children's Rights Perspectives of Youth and Educator: Early Findings of a Cross National Project’ which based on the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adopted in 1989. The research tools used to measure the verbal control type of mothers were based on Hyesook-Do’s(1997) modifications of Bernstein(1971) and Gumperz(1973) studies and domestic preliminary studies.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25 program. To exa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frequency analysis and percentages were calculated. One-way ANOVA and post-test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mothers’ awareness of children’s rights and the verbal control type according to their her age and educational backgrou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s’ awareness of children’s rights and verbal control type and a t-test was used to examine the verbal control type according to the mothers’ level of awareness of children’s righ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wareness of children’s rights was similar regardless of the age of mothers, and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background of mothers. In other words, mothers with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 were higher in awareness of children’s rights than mothers with lower educational background, except for the right to survival. Second, the verbal control type was similar regardless of the mother’s age, and was different according to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In other words, the position-oriented and person-oriented verbal control types were similar regardless of the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whereas the imperative verbal control type was used more frequently in the lower educated group than in the higher educated group. Third,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mother’s overall awareness of children’s rights and the imperative verbal control type.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awareness of children’s rights, the less imperative verbal control was used. In addition,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position-oriented verbal control type only in the protective rights aspect of the mothers’ awareness of children’s rights. The differences in verbal control types according to the mothers’ level of awareness of children’s rights showed that higher perceived levels of mothers’ protective rights correlated with lower use of imperative verbal control, and lower perception levels with higher use of imperative verbal control. In conclusion, the mother’s awareness of children’s rights is closely related to mother’s verbal control typ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promote the education of children’s rights and parent-education programs to improve mothers’ awareness of children’s rights, to increase the use of person-oriented verbal control and reduce the use of imperative and position-oriented verbal control.

      • 음악교과와 사회교과의 통합교육을 적용한 교수-학습 지도안 개발 : 쇤베르크의 "바르샤바의 생존자"를 중심으로

        오현정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음악은 인간의 생각과 감정을 표현하는 학문이기 때문에 시대적 ․ 사회적 ․ 문화적 맥락을 고려하여 음악을 이해해야 한다. 이는 다양한 시대의 사회적 상황과 인간 삶의 보편성을 통찰할 수 있도록 해주며 그 음악들이 속한 시대의 음악적 특수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그러므로 음악의 사회적 · 문화적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타 교과와의 통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쇤베르크(Arnold Schoenberg, 1874〜1951)의 「바르샤바의 생존자(A survivor from Warsaw, op. 46)」를 제재곡으로 음악교과의 ‘20세기 현대 음악기법’과 사회교과의 ‘제2차 세계 대전’을 통합하여 교수-학습 지도안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에게 20세기 음악의 깊은 이해와 ‘제2차 세계 대전’에 대한 올바른 역사의식을 함양시키고, 중등학교 음악교사들에게 수업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통합교육의 개념과 필요성 및 유형을 문헌연구를 통해 살펴보았고, 쇤베르크의 작품 경향 및 작곡 기법을 알아보았다. 또한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바르샤바의 생존자」와 사회교과서에 수록된 ‘제2차 세계 대전’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여 총 2차시의 교수-학습 지도안을 개발하였다. 이렇게 개발한 교수-학습 지도안을 바탕으로 2013년 4월 5일 서울시 S여자 고등학교 학생 37명을 대상으로 수업이 실시되었다. 총 2차시의 교수-학습 지도안 중 1차시는 학생들이 ‘제2차 세계 대전’을 이해하고 자신의 의견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였고, 쇤베르크의 「바르샤바의 생존자」를 듣고 20세기 음악의 다양한 기법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제2차 세계대전’과 「바르샤바의 생존자」를 포괄적으로 이해하도록 수업을 구성하였으며, 이 곡에 사용된 20세기의 새로운 음악기법인 12음 기법(twelve-tone technique)과 슈프레흐슈팀메(sprechstimme)를 설명하였다. 2차시에서는 12음 기법을 활용하여 모둠별로 선율과 리듬을 창작하고 발표하도록 하였다. 12음 기법을 창작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스마트폰의 건반악기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였고, 이때 가사는 전쟁의 주제와 연관된 조영암의 시 <출정사>를 제시하였다. 수업 후 학생들에게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고 이를 분석한 결과 음악교과와 사회교과를 연계한 통합교육이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학습효과를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학생들은 통합수업을 통해서 적극적으로 활동에 참여했던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합교과적 과제를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있지만 흥미를 느끼며 수행했던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Since music is a field of study in which people express their thoughts and feeling, music must be comprehended in the periodical, social, and cultural context. Doing so enable us to gain an insight into social circumstance of various periods and universality of life of human beings and help us to understand musical distinctiveness in which such music belongs to. Accordingly, this study, using "A. Schoenberg's A survivor from Warsaw, op. 46" as chosen music, has developed of lesson plans teaching-learning guideline plan focus on through 'the 20th Century' and 'the Second World War'.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foster deep understanding of the 20th Century music and historical consciousness of 'the Second World War' by students as well as to provide teaching materials to music teachers of middle schools.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I looked into concept, necessity, and types of integrated education and studied inclination of A. Schoenberg's works and composition techniques. Moreover, I proposed two lesson plan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 A survivor from Warsaw' in music textbook and 'the Second World War' in society study textbook. This proposed guideline for teaching-learning guidance was conducted to 37 students at S girl's high school on April 5, 2012. At the second class, we let students by group to create and present melodies and rhythms by utilizing twelve-tone technique. To help create a twelve-tone technique, we utilized applications of keyboard instruments of smart phones. After analyzing the survey filled by the students after the class, we could find out that integrated education that connects music subject with society subject had positive learning effects on the students. The students were shown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activities through integrated lesson; and in spite of difficulties of implementing subject of integrated learning, they implemented the subject with feeling interest.

      • 호텔 종사원의 임파워먼트가 서비스회복,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서울시내 특급호텔 종사원을 중심으로

        오현정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if there is any significant effect of hotel employees empowerment on service recovery,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accordance of theoretical studies and previous examinations, hypotheses have been set to accomplish the objects. The 270 questionnaires were sent to 6 five-star hotels in Seoul and 262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255 questionnaires were finally analyzed. Statistical package, SPSS 13.0 was us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 First,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of the effects of hotel employees empowerment on service recovery, the effects were positive. Empowerment has positive effects on both adaptive recovery and proactive recovery. Second,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of the effects of hotel employees empowerment on job satisfaction, the effects were positive. Third,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of the effects of hotel employees empowermen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effects were positive. Fourth,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of the effects of service recovery on job satisfaction, the effects were positive. Both adaptive recovery and proactive recovery have positive effects on job satisfaction. Fifth,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of the effects of service recovery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effects were positive. Both adaptive recovery and proactive recovery have positive effec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Sixth,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of the effects of job satisfaction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effects were positive. It is concluded that hotel employees empowerment has significant effects on service recovery,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us, the managers and owners of hotel should dedicate the empowerment to the employees. By doing this, the hotel can be more profitable and achieve a competitive advantage in the rapidly changing hotel management environment.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검정 체육교과서 경쟁 활동 내용 분석

        오현정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2009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의 변화에 따라 출판된 13종의 중학교 체육교과서 경쟁 활동 영역을 이해중심게임수업의 특성인 게임의 분류 체계, 게임의 전술적 지식, 변형게임을 기준으로 분석하고, 그 대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학교 13종의 체육교과서 경쟁 활동 영역을 내용 분석(Content Analysis)방법을 사용하여 비교 분석 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중학교 체육교과서 13종의 내용 구성 체제는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다. 게임의 유형을 기준으로 내용 체제를 구성하여 기술하고 있는 교과서는 8종이였으며, 종목 중심으로 내용을 구성하고 있는 교과서는 5종으로 분류되었다. 게임의 영역에 따른 유형별 기술을 한 교과서의 경우에도 그 질에 있어서는 미흡한 점이 많았다. 둘째, 경쟁 활동에 이해중심게임수업 적용을 위한 게임의 전술적 지식을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영역형 경쟁에서 13종의 교과서중 3종의 교과서에서 전술적 지식 내용을 일부분 다루고 있고, 필드형, 네트형에서는 게임의 전술적 지식 내용을 전혀 다루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해중심게임수업 적용을 위해 변형게임을 제시하고 있는 교과서와 제시하지 있지 않은 교과서로 분류할 수 있었다. 그 결과 13종의 교과서 중 5종의 교과서에서 변형게임을 제시하고 있었으며, 그 중 2종에서 변형게임의 목적을 제시하고 있고, 나머지 3종의 교과서는 게임방법만을 기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체육교과서 경쟁 활동 영역이 이해중심게임수업을 형식적인 수준에서만 수용하고, 실질적인 내용에 있어서는 거의 반영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평가된다. 또한, 게임의 분류 체계와 이에 따른 게임의 원리에 대한 기술, 필드형, 네트형 경쟁 활동에서의 전술적 지식의 부재, 대표성과 과장성을 반영한 다양한 변형게임 소개의 부족 등의 문제는 향후 체육 교과서의 경쟁 활동 영역에 대한 편찬과 기술에서 대안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