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이 장애인에 대한 수용 태도에 미치는 영향=

        신유진 대구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47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이 장애인에 대한 수용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경상남도 창원시와 김해시에 소재하며 특수학급이 설치되어 있는 3개 학교를 선정하여 그 중 3학년(278명)과 5학년(32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다. 초등학생의 배경변인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과 장애인에 대한 수용 태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첫째, 독립표본 t 검증을 실시하였다., 둘째, 심리적 안녕감과 장애인에 대한 수용 태도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다섯째, 심리적 안녕감이 장애인에 대한 수용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은 심리적 안녕감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 배경변인 비교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장애친구 활동경험이 있는 학생이 없는 학생 보다 심리적 안녕감이 높고, 성별에서는 차이가 없다. 둘째, 초등학생의 장애인에 대한 인지․정서 수용 태도는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 배경변인 비교에서는 3학년이 5학년보다, 장애친구 활동경험이 있는 학생이 없는 학생보다 높은 평균을 보였으며, 성별에는 차이가 없다. 장애인에 대한 인지․정서적 수용 태도 중 감정 수용 태도와 사회적 행동 수용 태도에서 다소 긍정적이다. 또한 초등학생의 장애인에 대한 행동적 수용 태도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 배경변인 비교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3학년이 5학년보다, 장애친구 활동경험이 있는 학생이 없는 학생보다 심리적 안녕감이 높고, 성별에는 차이가 없다. 셋째, 초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이 높을수록 장애인에 대한 인지․정서 수용 태도와 행동적 수용 태도가 높다. 특히 심리적 안녕감이 높을수록 감정, 사회적 행동과 같은 인지․정서적 측면에서 장애인에 대한 긍정적 수용 태도를 보인다. 또한 초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이 높을수록 장애인에 대한 행동적 수용 태도가 높다. 즉 초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이 높을수록 장애인과의 학교생활, 개인생활, 취미․오락활동 등과 같은 행동적 측면 전반에서 장애인에 대한 긍정적 수용 태도를 보인다. 넷째, 초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은 장애인에 대한 인지․정서적 수용 태도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변인인 교사관계는 장애인에 대한 인지․정서적 수용 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장애인에 대한 인지․정서적 수용 태도에 자기 주장성은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또한 초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은 장애인에 대한 행동적 수용 태도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 변인인 교사관계, 가족관계, 긍정적 자아인식은 장애인에 대한 행동적 수용 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자기 주장성은 장애인에 대한 행동적 수용 태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이 연구를 통해 초등학생이 인식한 심리적 안녕감과 장애인에 대한 수용 태도, 그리고 초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에 따른 장애인에 대한 수용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확인할 수 있었다. 장애인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보일 때 장애인들의 성공적이고 실질적인 통합이 이루어질 것이며, 장애인들이 사회에서 정상적인 삶을 살아갈 수 있게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well-being of elementary students for their acceptance attitudes on disability people. Three schools located in Chanwon and Gimhae, Gyeongnam and had special classes were selected and performed a survey on the 3rd grade (278) and the 5th grade (329) students. The followings were done to find out the difference of acceptance attitudes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disability people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elementary students; First, independent sample t verification was done. Second, calculated the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of Pearson to check the relation of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ir acceptance attitudes on disability people. Third, performe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the psychological well-being for the acceptance attitudes on disability people.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cogniz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positively. In comparisons between group, girls and kids who had disability friends showed higher mean than boys and kids who had no disability friends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ir genders. Seco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ve negative acceptance attitudes on recognition and emotion of disability people. In comparisons between group, the 3rd graders and kids who had disability friends showed higher mean than the 5th graders and kids who had no disability friends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ir genders.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cognize the action acceptance attitude on the disability people positively. In comparisons between group, girls, the 3rd graders, and kids who had disability friends showed higher mean than boys, the 5th graders, and kids who had no disability friends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ir genders. Third, whe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elementary students are high, their acceptance attitudes of recognition and emotion and action acceptance attitudes are higher. Fourth,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elementary students affect to their acceptance attitudes of recognition and emotion. The relation with teachers which is a low variable of the psychological well-being influences positively and the self-insistence influences negatively.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fluences for the action acceptance attitudes of disability people. The relation with teachers, family relationships, and positive self-recognition which are low variables of the psychological well-being influence positively and the self-insistence influences negatively. Through this study,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acceptance attitudes on disability people, and the acceptance attitudes according to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fluence to the acceptance attitudes on disability people. A successful and real unity will be made when we show positive attitudes on disability people and they will have a normal life in the society.

      • 한국 미디어에 나타난 다문화가족 담론 연구 : 텔레비전 다큐멘터리를 중심으로

        신유진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In Korea, the discourse on multicultural family is rapidly spreading across the country, as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international marriages has been drawing public attention since the mid-2000s. Throughout the years, Korean media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shaping the concept of multicultural family. The Korean television documentary series, in particular, have continued portraying the real stories of these families. Thus, the present dissertation analyzes the ways in which these Korean TV documentary series construct the concept of multicultural family and examines the selected documentaries diachronically to provide a critical analysis of the multicultural family discourse. The periods can be divided into four according to the paradigm changes in the policies for multicultural families: (1) the early 2000s: the absent of public discourse on multicultural families. (2) the mid 2000s; the beginning of public discourse on multicultural families and Korean government support for multicultural families (3) the late 2000s; the enhancement of the governmental support for multicultural families, (4) the early 2010s: the integration policy of multicultural families into mainstream Korean families. This study focuses on four TV documentaries that were produced during each period: “Ingan geukjang” (Human Theater) and “Love in Asia” by KBS, “We Are Koreans – A Vision Project for Multicultural Society” by MBC, and “Mothers and Daughters-in-Law in Multicultural Families” by EBS. The result shows that each program takes very different stances in constructing the discourse of multicultural family, and that those differences are the result of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 familial situation and the policies about national family planning of the times. “Ingan geukjang” by KBS, produced in the early 2000s, when the concept of multicultural family was absent, shows nationalistic views on international marriage. On the contrary, “Love in Asia” by KBS which was produced in the mid 2000s, when the concept of multicultural family was beginning to be acknowledged, takes a rather anti-nationalistic approach, by emphasizing the Asian identity. “We are Koreans” by MBC which was produced in the late 2000s, when the government enhanced the support for multicultural families, tries to deviate from the biased, stereotypes about multicultural family by starring North Korean defectors. Finally, “Mothers and Daughters-in-Law in Multicultural Families” by EBS emphasizes the discourse of conflicts and tensions within multicultural families. While previous television documentary series tend to depict the foreign migrant women in multicultural families as submissive and devoted as a member of a Korean family, the recent series show a change in the discourse about multicultural families. The changes of the family discourses in documentary series about multicultural family are a reflection of the family issues observed in Korean society which include an increase in the divorce rate, low birth rates, the aging population, supporting working moms, and generational conflicts. These television documentary series are constructing the discourse of multicultural family in ways that can suggest values and stabilize the familial issues in Korea. In conclusion, the television series cannot be seen as representative and show limitations as they often focus on expected roles and ideal images of migrant women in multicultural families. Despite such limitations, one can observe that the documentaries have gradually changed their focus from migrant’s cultural differences to intercultural relations between the family members. Such a shift of focus can be regarded positively as it shows the possibility for immigrants to play an independent, integral role within the family. Therefore, the discourse of multicultural family in television documentaries series can be regarded as a discursive field of family discourse attempt to not only educate immigrants about the Korean family culture but also to possibly suggest new values and practices between family members for the prevalent Korean families. 한국의 다문화가족 담론은 2000년대 중반에 국제결혼 가정의 증가 현상이 공론화되면서 대중적 차원으로 빠르게 확산되었다. 이러한 다문화가족 담론의 진행과정에서 미디어는 다문화가족 개념을 형성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고 본다. 특히 다문화가족에 관한 텔레비전 다큐멘터리는 2000년대 초반에 시작된 이래 현재에 이르기까지 다문화가족 담론을 이어오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의 목적은 텔레비전 다큐멘터리에 나타난 다문화가족의 특징과 변화 양상을 통시적으로 살펴보고 그 변화의 담론적 함의를 이해하기 위한 것이다. 2000년대 한국의 다문화주의 담론은 다문화 정책 변화의 흐름에 따라서 크게 2000년대 초반 ‘다문화가족 인식 형성 전 시기’, 2000년대 중반 ‘다문화가족 공론화 시기’ 2000년대 후반 ‘다문화가족 지원 확대 시기’, 2010년대 초반 ‘다문화가족 흡수 통합 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본 논문은 각 시기에 기획된 KBS 「인간극장」과 「러브 人 아시아」, MBC 「다문화 희망 프로젝트-우리는 한국인」(이하 ‘「우리는 한국인」), EBS 「다문화 고부열전」 에 나타난 다문화가족에 관한 담론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각 프로그램에 나타난 담론의 특징은 다른 시기에 기획된 프로그램들과 확연히 구별되었다. 2000년대 초반 ‘다문화가족 인식 형성 전 시기’에 기획된 KBS 「인간극장」의 다문화가족 방송 편에서는 국제결혼에 대한 민족주의 의식이 여과 없이 드러났으며, 오히려 이러한 시각을 부각시키는 경향이 있었다. 반면, 2000년대 중반 ‘다문화가족 공론화 시기’에 기획된 KBS 「러브 人 아시아」는 아시아인의 정체성을 강조함으로써 탈 민족주의를 시도하였다. 2000년대 후반 ‘다문화가족 지원 확대’시기의 MBC 「우리는 한국인」은 방송 기획 변화를 통해 북한이탈주민을 출연시킴으로써 기존 다문화가족에 대한 편향적이고 고정적인 관념으로부터 탈피하려는 시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2010년대 초반 ‘다문화가족 흡수 통합 시기’에 기획된 EBS 「다문화 고부열전」은 기존에 미디어에서 재현된 효부 이주민의 모습과는 상반된 결혼이주민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텔레비전 다큐멘터리는 다문화가족의 가족 질서를 유지하는 핵심 주체로 가족 내 여성을 설정하고, 이들에게 부여된 역할 기대를 재현하는 데 치중하고 있었다. 각 프로그램마다 여성 결혼이주민의 가정 내 역할 재현에 관련된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1) 평등한 부부 관계 재현, (2) 가부장제 가족 내 효부 재현, (3) 여성의 사회 활동 조명을 통한 탈 가족적 재현 시도, (4) 가부장제 가족 내에서 갈등하는 며느리 재현 등 프로그램이 기획된 순서에 따라 이주민의 가족 내 역할 기대가 전복되고 새로운 모습으로 탈바꿈되어 재현되는 양상이 나타났다. 다문화가족에 관한 텔레비전 다큐멘터리의 담론 사례들은 각 방송이 기획된 시기에 나타난 한국 사회의 가족 사안들에 반응한 결과라 할 수 있다. 2000년대 한국의 가족은 이혼율의 상승, 출산율 감소와 인구 고령화, 가족 부양 부담의 가중과 기혼 여성의 일ᆞ가정 양립 문제 그리고 최근의 세대 갈등 문제로 이어지고 있다. 다문화가족은 이러한 한국의 가족 상황과 정책의 변화 속에서 당시 사회에서 요구되는 특정한 가족 가치를 부여 받아 재현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텔레비전 다큐멘터리는 다문화가족을 통해 한국 사회의 가족 현실에 대안을 제시하면서 가족 질서를 안정화하는 데 능동적으로 참여해 왔다고 본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에 의하면, 텔레비전 다큐멘터리의 다문화가족 담론은 한국의 전통적 가족 이데올로기를 의식적 혹은 무의식적으로 따르면서 이주민을 한국화 하는 동시에 구성원 간의 통섭을 통해 새로운 역할과 관계 정립을 시도하며 가족의 의미와 가치를 찾는 미디어의 적극적인 대응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미디어에 나타난 다문화가족 담론의 특징을 통시적으로 고찰한 본 연구는 한국의 다문화가족에 대한 사회적 관점의 변화를 이해하는 작업을 통해 새로운 가족 개념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한국 미디어의 가족 담론이 가지는 함의를 고찰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 에코페미니즘에 의한 장신구 표현 연구

        신유진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우리의 삶은 과학과 기술의 가속적 발전을 통해 놀랄만한 물질문명, 사회 구조적인 발전을 이루었으나, 그와 함께 대두되는 환경파괴의 문제는 인류를 심각한 고민 속에 빠뜨리고 있다. 눈부신 물질문명의 발전 속에서 영원히 지속될 것만 같았던 인류의 미래는 지구 온난화, 자원고갈, 오존층 파괴, 산성비, 토양침식, 수질오염 등의 환경 위기로 생존의 위협을 받고 있다. 자원수급 불안은 더 많은 자원과 물질적 풍요를 얻기 위해 약자에 대한 억압과 착취로 이어져 인류는 심각한 상황에 직면해 있다. 20세기 말에 등장한 에코페미니즘(Ecofeminism)은 시기적으로 보았을 때 이론적인 정립이 미비하여 아직은 하나의 경향으로서 존재하지만, 자연에 속한 인간의 본질을 회복하자는 개념이다. 인간은 자연의 일부이며 자연을 떠나서는 생존할 수 없기 때문에 자연과 인간의 평화적 공존에서 의미를 찾는다. 나는 남성과 여성, 인간과 자연이 원래 하나라고 생각하고 어울림과 균형을 통해 생명의 존엄성과 소중함을 인식하고 자연의 아름다움과 순수함의 가치를 실현하고자 한다. 이러한 에코페미니즘의 기본 개념에 따라 이 연구 작업은 환경파괴에 대한 위기의 인식을 통해 자연과의 동화를 추구하며 표현하는 것이다. 장신구 제작에는 실버클레이(silverclay)를 주재료로 사용하였고 각인기법, 중공기법을 활용하여 제작의 효율성을 높였다. 제작을 위한 연구 내용은 크게 2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에코페미니즘의 발생 배경 및 개념을 고찰하고 제작의 동기가 되는 에코페미니즘 표현물의 상징적 특징을 알아본다. 둘째 자연의 위기가 인간의 위기임을 깨닫고 환경파괴와 자연 이미지를 상징함으로써 자연의 아름다움을 표현하고 인간과 자연이 조화를 이루는데 그 목적을 둔다. 현대의 위기를 겪고 있는 우리에게 자연의 중요성과 공존의 의미를 되새겨 봄으로써 좀 더 인간다운 삶을 살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에코페미니즘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자연의 위기와 자연과의 동화를 표현하였으며 그 과정을 통하여 인간과 자연, 사회가 더불어 살기에 좋은 방식을 제안할 수 있는 참다운 공예인의 역할을 기대해 본다. Today's modern society has accomplished amazing substances and social structural development through accelerativ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However, the problems caused by this development, have landed people in serious troubles. The survival of human beings' future, which seemed to be continued for good in remarkable development of material civilization, has been threatened by environmental crisis such as destruction of ozone layer, acid rain, global warming, depleting resources, soil erosion and water pollution. In addition, since worries about demand and supply of resources have led suppressing and exploiting the weak, in order to obtain the more resources and the material prosperity, human being isn't being able to get through a serious crisis. Ecofeminism which appeared in the late twentieth century, exists still as a tendency since the theoretical thesis is not timely made out properly, but it is a conception which insists to retrieve the nature of human beings who belong to the nature. Since human beings are a part of the nature, and they cannot survive away from the nature, the true meaning can be found in the peaceful coexistence in the nature and human beings. I, as a researcher of this study, would like to realize the values of dignity and preciousness of the life, and beauty and purity of the nature through the balance and the harmony, considering that a man and a woman, and the nature and the human beings are originally the one. According to these fundamental conceptions of Ecofeminism, the motif of this study is to express and pursuing assimilation with the nature through the recognition about the crisis of environmental destruction. The content of this study for work production can be largely summarized by two as follow. First, we consider the background and the conception of Ecofeminism, and learn about the symbolic characteristics of Ecofeminism representation which becomes the motif of the production of a work. Second, we are aware of the nature crisis as the crisis of human beings, and have objectives to strive for the harmony of the nature and the human beings, and to express the beauty of the nature through producing the accessories which symbolize the image of the nature and the environmental destruction. We try to find a way to live more human life through thinking over the meaning of coexistence and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 for us who have gone through the modern crisis.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about Ecofeminism, we produced the accessory which symbols the nature image and the environmental problems. We expect the roles of true artisans who are able to suggest the good way for human beings with the nature and the society, all together through the procedures.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쓰기 학습 전략 연구

        신유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한국어를 학습하는 외국인들의 쓰기 학습 전략 사용에 관한 것이다. 학습 전략은 학습자의 교육, 문화적 배경 등 다양한 변인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에 학습자를 언어권, 성별, 학습 기간으로 구분하였고 기존 여러 연구에서 타당성을 인정받은 Oxford(1990)의 The strategy Inventory for Language Learning(SILL)을 통하여 언어학습 전략의 사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또한 어떤 전략이 학습자의 작문 능력을 예측해 줄 수 있는지를 보여주기 위하여 ‘갖고 싶은 직업’을 주제로 한 학습자의 쓰기 텍스트를 분석하였고 이 둘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 학습 요인에 따라 언어학습 전략의 사용 양상은 다르게 나타났으며, 전략을 많이 사용할수록 학습자의 쓰기 능력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쓰기 능력은 사회적 전략, 인지 전략, 초인지 전략과 높은 상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효과적인 언어학습 전략 사용은 학습자들을 성공적인 언어학습자로 이끌어 줄 수 있으며, 언어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전략은 가르쳐질 수 있기 때문에, 전략 훈련과 언어 학습을 통합시킨 교수법으로 O'Malley와 Chamot(1987)의 전략 훈련 모델 Cognitive Academic Language Approach(CALLA)을 통하여 쓰기 전략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writing learning strategy of foreigners who learn the Korean language. Learning strategy can be influenced by learners' education, cultural background and other variables. Learners were classified depending upon language zone, gender and learning period. Oxford(1990)'s the strategy Inventory for Language Learning(SILL) that many studies admitted of appropriateness was used to investigate use of language learning strategies. And, the study investigated a learner's writing text with subject of "job that I want to have" to forecast learners' writing ability by strategy and to examine correlation. In this study, use of language learning strategy varied depending upon learning factors, and learners who made use of many strategies could improve writing ability. In particular, writing ability had high correlation with social strategy, cognitive strategy and meta-cognitive strategy. In this study, effective language learning strategy could help learners learn language successfully to have influence upon learners' linguistic ability. Strategies could be taught. Therefore, the study suggested writing strategy education method by strategic education model of Cognitive Academic Language Approach (CALLA) (O'Malley and Chamot (1987)) that integrated both strategic training and linguistic learning.

      • 명화를 활용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신유진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focused on analyzing how the story creating activities through masterpiece influenced young children's language expression ability and creativity, and providing the fundamental materials for the educational applications and the effective teaching methods. The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How does the story creating activity through masterpiece have an effect on young children's language expression ability? 2. How does the story creating activity through masterpiece have an influence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For the case study, two classes were chosen in the kindergarten of S elementary school of Y province. There are forty children that are five years old. And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was an experimental group of 20 young children, the other was a controll group of 20 young children. In order to measure young children's language expression ability, "Language Ability Tests" by Jang Young-Ae(1981) was used. Also "TTCT(diagram)" by Kim Young-Chae(2002) who translated "Creative Thinking Faculty Tests by Torrance(1962)" into Korean was used for this study. The process of this case study was made up of preliminary study, pre-test, experimental management, and post-test. At first, homogeneity between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l group was shown through the preliminary study. And then, the story creating activities through masterpiece were done in an experimental group, while the imitating activities through masterpiece were done in a controlled group. Those kinds of activities were totally carried out eighteen times, namely, three times a week for six weeks. In the same way, the post-test was carried out. The results of pre-test and post-test were analyzed on the basis of t-test by SPS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n important difference was shown between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l group. Young children's language expression ability in an experimental group was attentively improved. And that, an experimental group got the better of a controlled group in "the amount of vocabulary", "the number of sentence", "consistence of contents", "connection of contents", and "creative expression" among the low-ranking cause of language expression ability. Second, Creativity in an experimental group was more improved than a controlled group. Also, an experimental group got the better of a controlled group in "fluency", "originality'', "abstraction of subject", and "elaborateness" among the low-ranking cause of creativity. As a result, this study showed that the story creating activities through masterpiece could improve young children's language expression ability and creativity. Therefore, it suggested that the story creating activity through masterpiece can be a meaningful teaching metho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o as to improve young children's language expression ability and creativity. 본 연구는 명화를 활용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창의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여 명화를 활용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의 교육적 적용 및 효과적인 지도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명화를 활용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2: 명화를 활용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전남 Y군의 공립병설유치원 만 5세 2학급을 선정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임의배정 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유아는 총 40명으로 실험집단 20명과 통제집단 20명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를 위한 검사도구는 유아의 언어표현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장영애(1981)가 개발한 「언어 능력 검사」를 사용하였고, 유아의 창의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Torrance(1962)의 창의적 사고력 검사를 김영채(2002)가 편역한 한국판「TTCT(도형)」를 사용하였다. 연구절차는 예비연구,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 순으로 이루어졌다. 실험처치가 실시되기 전 사전검사를 통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을 알아본 후 실험집단은 명화를 활용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을, 통제집단은 명화를 활용한 후속활동을 주 3회씩 6주간 총 16회 실시하였다. 사후검사는 사전검사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명화를 활용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사후 검사 결과를 수집한 후 자료의 분석은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명화를 활용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을 한 실험집단과 명화를 활용한 명화 따라 그리기를 한 통제집단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 유아의 언어표현력이 유의하게 더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표현력의 하위 요인 중 ‘단어수’, ‘문장수’, ‘내용의 일치’, ‘내용의 연계’, ‘창의적 표현’에서 명화를 활용한 이야기 꾸미기활동을 한 실험집단이 명화를 활용한 후속활동을 한 통제집단보다 더 높은 효과가 있었다. 둘째, 창의성에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 유아의 창의성이 더 많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창의성의 하위 요인 중 ‘유창성’, ‘독창성’, ‘제목의 추상성’, ‘정교성’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 보다 더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명화를 활용한 이야기 꾸미기활동이 유아들의 언어표현력과 창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 결과는 명화를 활용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언어표현력과 창의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의미 있는 교수방법의 하나로 유아교육 현장에서 활용해 볼 가치가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하겠다.

      • 그림책을 활용한 독서치료가 초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신유진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독서치료가 초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그림책을 활용한 독서치료가 초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가? 둘째, 그림책을 활용한 독서치료가 초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 각 하위요소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가? 연구대상은 대구시에 소재한 O초등학교 3학년 5개 학급 중 동질성이 확보된 두 학급 40명(실험집단 20명, 통제집단 20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측정도구는 손순자(1993)가 초등학교 고학년에 맞도록 수정하였고 오경애(2007)가 하위 영역 일부를 수정하여 보완한 학교생활만족도 검사 도구를 최근 초등학교 교육과정 영역에 맞게 하위 영역의 명칭을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학교생활만족도는 6가지 하위요소인 학교생활, 수업일반, 교사관계, 아동관계, 물리적 환경, 행사 및 특별활동으로 구분되며 36개의 문항으로 되어있다. 그림책을 활용한 독서치료 프로그램은 2016년 3월 셋째 주에서 4월 넷째 주 까지 6주 동안 실시하였다. 매주 1~2회씩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이용하였고 총 12회기를 실시하였다. 같은 기간 동안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통계처리를 하였으며 독서치료 프로그램 실시 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 여부를 검증하기 위해 학교생활만족도에 대한 사전검사 t검증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후 그림책을 활용한 독서치료가 초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점수에 대해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점수에 대해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을 활용한 독서치료는 초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는데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둘째, 그림책을 활용한 독서치료는 초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 하위요소 중 물리적 환경을 제외한 학교생활, 수업일반, 교사관계, 아동관계, 행사 및 특별활동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그림책을 활용한 독서치료는 초등학생의 하교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주요어 : 그림책, 독서치료, 학교생활만족도

      • 수행 오류 분석을 통한 문법 탐구 교육 연구

        신유진 서울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문법 탐구 학습은 절대적인 권위를 지닌 문법 지식에 대한 회의적인 비판으로 말미암아 제기된 문법교육 무용론을 해소해 줄 수 있는 하나의 대안적 패러다임으로서 문법교육에 수용되어 왔다. 모어 화자가 무의식적이고 자동적으로 부려 쓰던 자신의 언어를 체계적인 규칙성을 내포한 탐구 대상으로서 객관화하고, 발견된 언어적 문제에 대해 다양한 인지 행위를 토대로 나름의 해답을 찾아 가는 과정은 학습자들의 문법적 사고력을 신장시키며, 학교 교육에서 목표로 하는 고등 사고력의 신장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갖는다. 그러나 현행 문법 탐구 교육은 여전히 문법 지식 이해를 보조하기 위한 교수·학습 방법의 하나로만 문법 탐구 학습을 다루고 있다. 나아가 문법 탐구 교육의 내용 요소에 해당하는 과정적·절차적 지식을 교수·학습하는 장면에서도 단순히 정형적이고 선언적으로 제시된 탐구의 단계를 형식적이고 기계적으로 모방하도록 하는 데에 그치고 있다. 이로 인해 학습자들은 문법 탐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실질적인 어려움을 겪고 다양한 오류를 보이게 되며, 이는 문법 탐구 학습 자체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으로 귀결되고 있었다. 이에 본고는 학습자들의 문법 탐구 수행을 효과적으로 추동하고, 탐구를 통한 지식 구성의 과정을 유의미하게 이끌기 위해서는 학습자들이 문법 탐구의 과정에서 실질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그에 따라 오류를 보이는 부분은 무엇인지, 그러한 오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를 일차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이를 위해 Ⅱ장에서는 먼저 교육과정 및 교과서 층위에서 문법 탐구 학습이 수용되어 온 양상을 확인한 뒤, 그에 반해 교수·학습 층위에서는 문법 탐구 교육이 제자리를 찾지 못하고 있는 실태를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나아가 학습자들의 현재 상태에 대한 지표이자 교육적 실마리를 제공하는 단서로서 ‘수행 오류(miscue)’의 개념을 정교화하고 그에 관여될 수 있는 제반 요인들을 체계화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Ⅲ장에서는 일대일 면담과 소집단 토의 방식을 통해 문법 탐구 과제를 해결하는 학습자들의 사고 구술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질적으로 분석하여 구체적인 수행 오류의 양상과 그에 관여되는 세부 요인을 명세화하였다. 이때 실험에 참여하는 학습자들은 기초적인 문법 지식의 이해를 전제로 문법 탐구 과정을 사고 구술하기에 적합한 고등학교 2-3학년으로 한정하였으며, 학습자들에게 제시하는 문법 탐구 과제는 탐구 과제에서 유도하는 탐구의 절차적 단계와 대상이 되는 내용 영역 등의 차이를 고려하여 형태론 및 통사론과 관련된 5세트의 문항을 선정하였다. 구체적인 자료 분석은 문법 탐구 교육의 내용 요소 중에서도 특히 ‘탐구의 방법적 지식’과 ‘문법 탐구 활동의 태도’ 및 ‘문법 탐구 활동에 대한 태도’의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이루어졌다. 학습자들이 보이는 수행 오류의 양상은 문법 탐구를 통해 구성할 것으로 기대되는 지식의 성격을 기준으로 하여 크게 ‘문법 지식 체계와 상충하는 과도기적 개념 체계의 구성’과 ‘탐구 과정에 요구되는 인지 행위 및 전략의 부적절한 실현’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러한 수행 오류의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부정적인 요인은 Ⅱ장에서 살펴본 이론적 토대를 참고로 하여 ‘학습자 요인’, ‘탐구 문제 요인’, ‘교사 요인’의 측면에서 구체화하였다. ‘학습자 요인’은 학습자의 인지적·정의적 요인과 관련되며, ‘탐구 문제 요인’은 과제의 언어적 표상 및 구조화 방식 등을 포괄하고, ‘교사 요인’은 비계의 제공을 중심으로 파악되었다. 이상의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Ⅳ장에서는 탐구를 통한 합리적인 탐구적 지식의 구성 및 바람직한 문법 탐구 태도의 형성을 목표로 하는 문법 탐구 교수·학습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때 문법 탐구 과정에서 학습자들이 보이는 수행 오류는 학습자들이 교육적으로 지원을 요하는 지점을 드러내는 실제적인 지표로서 기능하기에, 이를 고려하여 본고는 문법 탐구 교육을 위한 실천적 교수 지식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에 Ⅲ장에서 분석한 수행 오류의 유발 요인을 재구조화하여 ‘학습자의 메타인지 체제 촉발을 위한 명시적 점검’, ‘교육 내용으로서 문법 탐구의 거시적 구조화에 관한 전제 공유’, ‘문법 탐구 학습을 위한 표상화 및 예시의 정교화’를 구체적인 교수 지식의 범주로서 체계화하였다. 본고는 문법 탐구의 세부 과정 및 수반되는 기능 요소를 규명하는 데에만 초점을 두던 선행 연구들의 한계를 지적하고 문법 탐구를 실제로 수행하는 과정에서 관찰되는 현상을 토대로 실천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마련하였다는 점, 나아가 학습자로부터 발견한 교육의 단서를 교수자를 위한 지식으로 재편함으로써 문법 탐구 학습의 공동 주체로서 교사와 학습자의 역할을 포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Grammar inquiry learning has been accepted in grammar education as an alternative paradigm that can be a key for the uselessness of grammar education, which is raised by skeptical criticism of grammatical knowledge with absolute authority. The process of objectifying the language of a native speaker who is unconsciously and automatically used his or her own language as an object of inquiry with systematic regularity, and finding the solution on the discovered language problem with various cognitive activities can contribute to the growth of high dimensional thinking, the goal of public education. However, current grammar inquiry education still deals with grammar inquiry learning as one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o assist understanding of grammar knowledge. In addition, when teaching the procedural knowledge of grammar inquiry education, it merely makes students to mechanistically imitate the formal and declarative stages of inquiry. As a result, the learners had difficulties in performing the grammar inquiry and show various errors. This resulted in a negative recognition of the grammar inquiry learning itself.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duce learners to practice grammar inquiry effectively and to offer them a meaningful process of knowledge construction through grammar inquiry based on correct intervention of teach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grasp firstly in which part learners have difficulty and are showing errors in grammar inquiry process, what kind of specific errors are, and what factors affect such errors. For this purpose, in chapter Ⅱ, it was firstly confirmed that the grammar inquiry learning was accepted as the contents of grammar education on the curriculum and the textbook. On the contrary, the fact that the grammar inquiry education still can’t find its place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level was critically confirmed. Therefore, it is needed to elaborate the concept of ‘miscue’ as a educational clue to the current state of learners. And it is also needed that systematize all the factors that can be involved in it. In this way, designing grammar inquiry educa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actual learners’ performative miscues can affect not only to form a desirable positive attitude of learners about grammar inquiry, but also to improve the ability of problem solving and meta-intellectual learning ability of learners through grammar inquiry. Based on this, in chapter Ⅲ, the learners’ thinking-aloud datas about their grammar inquiry process are collected through one–on–one interview and small group discussion method, and are analyzed qualitatively. In result, the details of the specific performative miscues and detailed factors involved in it are specified. The learners who are participating in the experiment are limited to 2nd and 3rd grades in high school, who are suitable for thinking-aloud their grammar inquiry process. Also the grammar inquiry tasks presented to the learners are composed of five sets based on morphology and syntax knowledge, in consideration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ocedural stage and the subject content area. Th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focusing on ‘methodological knowledge of inquiry’, ‘attitude of grammar inquiry activity’ and ‘attitude about grammar inquiry activity’ among contents elements of grammar inquiry education. The types of performative miscues seen by learners are classified based on the nature of knowledge that they are expected to construct through grammar inquiry. Specifically, it can be divided into two major categories: ‘Constructing a transitional conceptual system that conflicts with the grammatical knowledge system’, and ‘Inadequate realization of cognitive behavior and strategies required for the inquiry process’. Besides, the negative factors influencing the occurrence of these miscues are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teacher-learners questionnaire survey and the theoretical foundations in Chapter II, and they are differentiated in aspects of ‘learner factor’, ‘internal factor of inquiry problem’, and ‘teacher factor’. Based on these analysis, chapter IV presents a practical grammar inquiry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aiming at formating reasonable inquiry knowledge and desirable grammar exploration attitudes. In this study, the miscues of the learners in the grammar inquiry process function as a practical indicator to reveal the point where the learners need educational support. Therefore, based on this, practical teaching knowledge for grammar inquiry education can be prepared. By restructuring factors of the performative miscues analyzed in chapter Ⅲ, the specific categories of teaching principles consist of ‘explicit inspection for triggering metacognition system of learners’, ‘sharing of premise about macroscopic structuring of grammar inquiry as educational content’, and ‘elaboration of representations and examples for grammar inquiry learning’. This study pointed out the limitations of the previous studies that focused only on the detailed process of grammar inquiry and the function elements that accompanied them, and put forward practical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based on the phenomena observed in the course of actual grammar inquiry.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that the cues of education found from the learners were reorganized into the knowledge for the instructors so that include the roles of the teacher and the learner as the collective subject of the grammar inquiry learning.

      • 경도 신경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회상기반 소집단 미술치료 사례연구

        신유진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s objective was to verify the efficacy of reminiscence-based small group art therapy to improve neurocognitive function among elderly people with mild neurocognitive disorder. The subjects consisted of four elderly individuals with mild neurocognitive disorder, chosen from ‘A’ daycare center in 'P' city, who scored 18–23 or less in the Korean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K-MMSE). The subjects' guardians agreed to the study's purpose and formally gave consent to participate in the art therapy program. The reminiscence-based art therapy was conducted from 9 September 2020 to 18 November 2020, twice a week, 60 minutes per session, total 12 sessions. The subjects were pre-tested a week before the beginning of the program and post-tested 5 days after the end of the program. This study's reminiscence-based small group art therapy program is based on recall therapy and referenced from previous studies on reminiscence-based art therapy programs. The program was restructured to suit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ur subjects and provided supervision from an art therapy expert. The program has three stages: intimacy formation,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and cognitive function enhancement for life (initial, mid-term, and termination respectively). As a measuring tool for verifying the efficacy of this study, K-MMSE (Kang Y., Na D. and Han S., 1997), which is adapted from the original text of MMSE (Folstein F. and Folstein M, 1975), was applied to determine the pre and post-change on a formal scale. Additionally, the descriptions of subjects' reactions to each session were based on observations and records of ‘A’ daycare center's employees, to examine the response in each ses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reminiscence-based small group art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core change on the cognitive function scale of the elderly with mild neurocognitive disorder, and this result was proved in the response of the program participants. Looking at the staged reaction of the subject by session, at the beginning, only partial recollections were made on the subject and it was difficult to recall in detail, but as the session progressed, emotions and concrete recollections were made on the subject.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it can be seen that the small group art therapy based on the recollection of this stud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cognitive function in the elderly with mild neurocognitive disorder. 본 연구는 회상기반 소집단 미술치료가 경도 신경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P시의 A 주간보호센터를 이용하는 신경인지장애 노인들 가운데 K-MMSE점수가 18-23점 이하이면서, 보호자와 당사자가 본 연구의 목적에 동의하여 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하기를 희망하여 동의서를 제출한 경도 신경인지장애 노인 4명이다. 회상기반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실시는 2020년 9월 9일부터 2020년 11월 13일까지 주 2회씩 회기당 60분, 총 12회기 실시하였다. 대상자들에 대한 사전검사는 프로그램 시작 1주일 전에, 사후검사는 프로그램 종료 후 5일 후에 실시하였다. 경도 신경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소집단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회상치료에 근거하고, 회상기반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관련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본 연구대상자의 특성에 맞게 재구성하여 미술치료 전문가에게 슈퍼비전을 받았다. 프로그램은 초기‧중기‧종결의 3단계로 친밀감 형성, 인지기능 향상, 전 생애 회상을 통한 인지기능 강화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효과 검증을 위한 측정도구는 Folstein 부부와 McHugh(1975)가 개발한 MMSE를 강연욱, 나덕렬과 한승혜(1997)가 번안하여 표준화한 K-MMSE를 사용하여 척도상의 사전·사후 변화를 알아보았다. 또한, 경도 신경인지장애 노인의 회기별 반응을 살펴보기 위해 사회복지사의 관찰, 기록을 토대로 회기별 반응을 기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회상에 기반한 소집단 미술치료는 경도 신경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 척도상의 점수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프로그램 참여자들이 반응에서도 입증되었다. 회기별 대상자의 단계별 반응을 살펴보면 초기에는 대상에 대한 부분별 회상만이 이루어지고 구체적으로 회상하는 것이 어려웠으나, 회기가 진행됨에 따라 대상에 대한 감정표현 및 구체적인 회상이 이루어졌다. 따라서 본 연구의 회상에 기반한 소집단 미술치료가 경도 신경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