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중국 한국국제학교 고등학생의 한자어 어휘력 연구

        최지영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중국 베이징 소재 한국국제학교 12학년 학생들의 한자어 어휘 지식을 크기와 깊이의 측면으로 나누어 측정하고, 한국국제학교 학생들의 한자어 어휘력이 국어·중국어 능력과 관련되는지, 중국 이주 연령 및 학습 이력과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중국 한국국제학교 학생들은 다양한 언어 능력과 학습 이력을 가지고 있으며 한국어를 제1 언어(L1)로 사용하면서 영어와 중국어를 구사할 줄 아는 삼중언어자(trilingual)인 경우가 많다. 이들은 중국어를 L1으로 사용하는 조선족이나 영미권에 거주하는 한국어·영어 이중언어자와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지만 이들의 언어 능력을 고찰한 연구는 거의 없다. 어휘력은 일반적으로 읽기 능력과 관련되고 학업 능력에도 영향을 미쳐 어휘력이 부족할 경우 학습 부진 문제를 야기할 가능성이 높다(우정한 외, 2017; 이희란, 2017; 조영희·고혜정, 2015; 허명진·박찬희, 2017). 한국국제학교 졸업생들은 대부분 한국 대학으로 진학하기 때문에 이들의 한국어 어휘력은 대학에서의 수학 능력과도 직결되는 중요한 문제이다. 특히 대학 수준의 고급 어휘가 대부분 한자어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한자어를 얼마나 폭넓게 잘 알고 있느냐가 중요하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기술하고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으며 연구 문제를 정리하여 기술하였다. 본고의 논의와 관련된 선행 연구는 이중언어자의 어휘력 연구와 어휘력의 관련 변인 연구로 나뉜다. 먼저 이중언어자의 어휘력을 살핀 연구를 재중 한국어 화자를 중심으로 검토하고, 이중언어 어휘 평가와 관련된 연구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학습자 변인과 관련하여 다중언어 어휘 습득에서 나타나는 교차 언어적 영향(cross-linguistic influence)을 논의한 연구를 살펴보고, 어휘 습득과 관련된 여러 가지 변인 간의 관계를 살핀 연구를 검토하였다. 연구 문제는 크게 두 가지로 (1) 한국국제학교 고등학생이 가진 한자어 지식의 크기와 깊이가 국내 고등학생의 한자어 지식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2) 한국국제학교 고등학생의 한자어 어휘력과 관련된 학습자 변인을 고찰하는 것이다. Ⅱ장에서는 본고의 논의와 관련되는 이론적 배경을 정리하였다. 첫 번째로 어휘력의 개념을 어휘의 크기와 깊이 측면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두 번째로 어휘력을 평가하기 위해 고안된 어휘 측정 도구들을 살펴보고 타당성과 적절성을 검토하였다. 세 번째로 다중언어 어휘 습득과 관련한 쟁점을 고찰하고 한국어의 한자어와 중국어 어휘 사이에서 나타날 수 있는 교차 언어적 영향을 살펴보았다. 특히 한자어와 중국어 단어 사이의 동형 및 이형 관계를 살펴 두 언어 사이의 어휘적 유사성과 차이점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어휘력과 관련되는 변인을 이주 연령 및 거주 기간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Ⅲ장에서는 연구 설계와 분석 방법을 기술하였다. 먼저 연구의 절차를 밝히고 본격적인 연구에 앞서 실시한 두 차례의 예비 조사를 소개하였다. 그리고 실험 참여자의 특성과 연구에 사용된 평가 어휘 목록 및 한자어 어휘 측정 도구를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 설문지의 내용과 자료 분석 방법을 기술하였다. Ⅳ장에서는 수집된 자료를 기반으로 분석한 내용을 기술하였다. 첫 번째로 한국국제학교 학생들의 한자어 어휘력을 측정하였다. 어휘력 측정은 어휘 지식의 크기 측정과 깊이 측정으로 구분된다. 어휘 크기 측정은 얼마나 많은 단어의 의미를 폭넓게 알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것이고, 깊이 측정은 어떤 단어의 의미를 얼마나 구체적으로 알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어휘 크기 측정에 사용한 도구는 Nation(1990)이 고안한 ‘어휘 수준 테스트(Vocabulary Level Test: VLT)’를 연구자가 한국어에 맞게 변용하여 작성한 것이었고, 테스트 어휘는 3급, 4급, 5급에 속하는 한자어 각 30개였다. 어휘 등급은 김광해(2003), 신명선(2004)을 기준으로 ‘한국어 학습용 어휘 목록’, ‘TOPIK 어휘 목록’ 등을 참고하여 결정하였다. 대학 진학을 앞둔 고등학생 수준에서 알아야 하는 어휘는 4급 어휘지만, 피험자가 가진 어휘 지식의 크기가 4급에 미치지 못하거나 4급을 뛰어넘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3급과 5급에 대한 테스트를 함께 실시하였다. 어휘 깊이 측정에 사용한 도구는 Read(2000)가 고안한 ‘단어 연상 테스트(Word Associate Test: WAT)’를 연구자가 한국어에 맞게 변용하여 작성한 것으로 테스트 어휘는 4급 한자어 30개였다. 어휘력 측정 결과 한국국제학교 고등학생의 한자어 지식은 크기 면에서 국내 고등학생과 차이가 없었지만 깊이 면에서 국내 고등학생에 비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한국국제학교 고등학생의 한자어 어휘력이 국어 및 중국어 능력과 관련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는 한국국제학교 학생이 가진 다중언어 능력이 L1의 어휘력과 관련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 결과 한자어 지식의 크기와 깊이가 모두 국어과 학업 성취도와 양적 선형관계에 놓여 있었고 어휘 크기보다 어휘 깊이와의 상관성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어 능력은 어휘 지식의 크기와는 상관성이 있었지만 깊이와는 관련이 없었고, 국어 능력과의 상관관계도 찾을 수 없었다. 중국어 능력과 한자어 어휘 크기 사이에서 상관성이 나타났으므로 한국 한자어와 중국어 어휘 사이의 교차 언어적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발음·형태·의미 유사성이 어휘 크기 테스트 점수에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발음 및 형태 유사성이 명시적으로 드러나도록 기존의 테스트에 한자를 병기하여 2차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한자를 병기한 테스트에서 유의하게 점수가 상승했고 두 언어 사이의 발음이나 한자 형태 유사성이 단어의 의미를 파악하는 데에 도움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유사성이 클수록 단어의 1차적인 의미를 더 잘 파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로 중국 이주 연령과 학습 이력이 한국국제학교 학생들의 한자어 지식과 관련되는지를 살펴보았다. 어린 나이에 중국으로 이주한 학생이 늦게 이주한 학생에 비해 어휘 지식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이주 연령에 따른 그룹별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주 연령에 따라 구분된 각 그룹과 국내 고등학생의 어휘 점수를 비교한 결과에서는 부분적으로 도착 연령 효과가 발견되었다. 어휘 크기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12세를 기준으로 초등 과정을 이수하기 전에 이주한 학생들은 국내 고등학생에 비해 어휘 깊이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고, 초등 과정을 이수한 후 이주한 학생들은 그렇지 않았다. 어휘 크기에서 이주 연령에 따른 차이가 뚜렷하지 않은 것은 모든 피험자가 일정 기간 한국국제학교에서 한국어로 공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또 어린 나이에 이주한 피험자의 중국어 어휘 지식이 한자어 어휘 크기에 영향을 준 결과로 보인다. 그리고 어린 나이에 이주한 경우에도 가정에서 빈번하게 한국어를 사용하고 지역 사회에서도 한국어를 쉽게 접하는 등 한국어 습득에 긍정적인 요인이 많다는 것도 원인이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학습 이력에 따라 한자어 어휘력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의사결정나무 분석을 시행하였다. 의사결정나무에서 어휘 크기 점수가 높은 피험자는 초등 시기에 국내에서 교육을 받고 중등 시기에 한국국제학교나 중국 공립학교를 다닌 학생이었다. 어휘 깊이 점수가 높은 피험자는 초등 시기에 국내 학교나 영어 국제학교에서 교육을 받고 중등 시기에 한국국제학교에서 교육을 받은 학생이었다. 반면 어휘 크기와 깊이에서 어휘 점수가 가장 낮을 것으로 예측되는 피험자는 초·중·고 과정을 모두 한국국제학교에서만 이수한 학생들이었다. 이상의 결과는 초등 시기에 일정 기간 국내에서 교육을 받는 것이 한자어 어휘 지식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 초·중등 시기에 적극적으로 다른 언어를 학습하는 것이 모국어 어휘 지식 발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암시한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여 요약하고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밝힌 다음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기술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 거주 한국인 고등학생의 한자어 어휘력을 고찰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를 통해 한국국제학교 고등학생의 한자어 어휘력이 크기 면에서는 국내 학생과 차이가 없지만 깊이 면에서는 부족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국국제학교 고등학생의 한자어 어휘력은 국어과 학업 성취도와 관련이 있었다. 그리고 중국어 능력이 한자어 어휘 습득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 다중언어 습득이 전반적인 언어 능력 발달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가 중국 거주 한국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기초 연구로서 더 나아간 후속 논의의 기반이 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ino-Korean ability of 12 graders at the Korean International School in Beijing, China, by comparing it to Sino-Korean ability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and to find out whether Korean International School students’ Sino-Korean vocabulary ability is related to their Korean and Chinese abilities, and whether they are influenced by migration age to China and educational background. Students at Korean International School have multi language skills and educational background. They are often trilingual, speaking English and Chinese, while using Korean as their first language (L1). They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ethnic Koreans who speaks Chinese as their L1 or from bilingual Koreans reside within England and America, and there are only few studies done to examine their language skills. Vocabulary ability are generally associated with reading skill and academic ability, which is likely to result in poor learning problems if there is lack of vocabulary knowledge. (Woo Jung-han et al., 2017; Lee Hee-ran, 2017; Cho Young-hee and Ko Hye-jung, 2015; Huh Myung-jin and Park Chan-hee, 2017). Since most of the graduates from Korean International School go on to Korean universities, their Korean vocabulary skill is an important issue that directly relates to academic learning ability. It is especially essential to know Chinese characters with breadth, as the college-level vocabulary are mostly consist of Chinese characters. The composi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Chapter I described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study, reviewed the preceding research, and summarized the research problems. The precedent research related to the description of original manuscript was done mainly in two parts. First, the study that examined vocabulary ability of bilingual compatriots was revised focusing on the ethnic Koreans living aboard. And the discussion of vocabulary measurement tools and evaluation methods for bilingual users was reviewed. Second, the analysis was done on study that discuss the vocabulary acquisition of multi-language users and the resulting cross-lingual impact. And the analysis was done on the study on variables involved in vocabulary acquisition of bilingual user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largely established in three ways: (1) Is there a difference between the breadth and depth of Sino-Korean ability of Korean International School students and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2) Does the Sino-Korean ability of Korean International School students correlate with their Korean and Chinese skills? (3) Does the migration age and educational background affect Sino-Korean ability of Korean International School students? Chapter II outlin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associated with the discussion of original manuscript. In relation to research question 1, the concept of vocabulary ability was first inquired by dividing it by breadth and depth of the vocabulary. Second, the measurement tools to evaluate vocabulary ability were checked, and as well as its validity and appropriateness. Then in relation to research question 2, the issues associated to acquisition of multi-languages was observed, along with cross-lingual impacts that may arise between Sino-Korean and Chinese vocabulary. Research was done particularly to identify lexical similarity between the two languages by studying the correlation between identically-shaped Sino-Korean and Chinese vocabulary and differently-shaped Sino-Korean and Chinese vocabulary. Finally, the variables related to vocabulary ability was reviewed in relation to research questions 3, focusing on migration age and length residence. Chapter III describes research design and analysis methods. The research procedures were revealed and two preliminary surveys were introduced previously to the full-scale study. It also describ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periment participants and the evaluation vocabulary list and vocabulary measurement tools used in the study. Finally, it describes the content of the survey and data analyzation techniques. Chapter IV describes the Sino-Korean ability of Korean International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collected data, and examines the correlation between Korean, English, Chinese abilities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ir vocabulary skills. Vocabulary skill measurements are largely divided into breadth measurement and depth measurement. A vocabulary breath measurement evaluates how broadly one knows the meaning of a word, and a depth measurement evaluates ow specific one knows the meaning of a word. In this study, the tool used to measure vocabulary breadth was written by the researchers using a Korean adaptation of the ‘Vocabulary Level Test: VLT’ schemed by Nation (1990), and the test vocabulary was 30 Sino-Korean characters each belonging to Level 3, Level 4, and Level 5. The vocabulary level was decided based on Kim Kwang-hae (2003) by referring to Shin Myung-sun (2004), “Vocabulary list for learning Korean,” and “TOPIK vocabulary list”. While the vocabulary level required at high school for college entrance was Level 4, the tests were as well conducted on Level 3 and 5 because the breadth of the subjects’ vocabulary knowledge could possibly fall short or exceed Level 4. The tool used to measure vocabulary depth was written by researchers changing Korean adaptation of ‘Word Associate Test: WAT’ schemed by Read (2000), and the test vocabulary was 30 Sino-Korean characters in Level 4. Vocabulary ability tests showed that Korean International School students’ knowledge of Sino-Korean words did not differ from that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in terms of breadth, but they lacked in terms of depth. Next, the research focuses on whether Sino-Korean ability of the Korean International School student is related to their Korean and Chinese ability. The study showed that breadth and depth of knowledge in Sino-Korean ability were both placed in a quantitatively linear relationship with Korean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vocabulary depth was more correlated than the vocabulary breadth. Chinese ability was related to breadth of vocabulary knowledge, but not depth, and could not found relativity with Korean or English ability. More studies were done to see whether similarities in pronunciation, form, and meaning between Sino-Korean and Chinese vocabulary affect the vocabulary test scores. A second test was conducted with Chinese character written in prior vocabulary breadth test to clearly show similarity in pronunciation and form. As a result, the scores significantly elevated in the test of written Chinese character, and pronunciation and similarity in Chinese form between two languages helped to comprehend the meaning of the words. Besides, it turned out that more similarity they have, the better the subjects were at grasping the primary meaning of the word. The following research checked on whether the migration age and educational history in China affected Korean International School students’ Sino-Korean knowledge. Students who move to China at an early age were expected to lack knowledge of Sino-Korean due to relatively low exposure to Korean, yet no correlation was shown. This seems to be the result of Chinese vocabulary knowledge of subjects with Chinese ability affecting their Sino-Korean vocabulary ability. Lastly, decision making tree was portrayed to see if there are any differences in Sino-Korean vocabulary ability depending on the history of education. Subjects with high vocabulary score in decision making tree were exposed to Korean and Chinese during their elementary period in either Korean International School or Chinese School, and they received domestic education or attended English-speaking international schools in middle school. Whereas subjects with low vocabulary score only studied at Korean International School throughout elementary school to high school. Not only does this suggests that receiving Chinese education during elementary period gives positive effect on Sino-Korean vocabulary knowledge development, but receiving education only at the Korean International School can rather limit the development of Sino-Korean knowledge. Finally, Chapter V summarizes the study results, identifie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n describes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is the primary study to examine the Sino-Korean ability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living in China. Study has confirmed that Sino-Korean vocabulary ability of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n International School relates to their Korean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that their Chinese ability can affect the acquisition of Sino-Korean vocabulary. There are barely any studies conducted on their Korean ability, with a significant number of Korean students residing in China and most of them entering Korean universities after graduation. The hope for this study is that, as a primary study of Korean students residing in China, it will serve as a basis for further discussions in the future.

      • 한국 문화 이해 교육을 위한 <국제시장> 활용 방안 연구

        김다인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문화 이해교육을 위한 자료로 영화 <국제시장>을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의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들은 한국에 정착하며 살아가기 위해 한국 문화 이해에 대한 높은 요구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외부로부터의 수요뿐만 아니라, 오늘날 한국이 국제적으로 여러 분야에서 위상을 높이고 있는 이 시점에 우리는 우리의 문화를 스스로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는 '문화이해능력(Cultural Literacy)'을 지녀야 할 것이다. 또한 이는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함께 살아가는 환경에 필수적인 시대적 과제이기도 하다. 한국문화 교육 수요의 최전선에 서 있는 한국어교육에서 문화 교육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수요자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단편적인 문화 전달에 그치고 있다. 이는 언어 교육이라는 틀에서 진행되는 문화 교육이 갖는 근본적 한계라고 볼 수 있다. 이에 언어를 배제한 채 문화 이해를 교육하기 위한 방안으로 영화를 활용하는 방안을 고찰해 보았다. 영화는 사회와 가치관을 반영하는 영상물이며 역사적 사실을 전달하기도 하는 역사적 기록(historical documents)의 역할을 한다. 나아가 경험해 보지 못한 역사적 사실이 영화를 통해 재현됨으로써 역사의 현장을 간접적으로 체험하고, 영화 속 등장인물들의 행동에 공감함으로써 역사의 변화 속 개인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게 된다. 한국 문화 이해에 있어 필수적인 가치(value), 즉 가족주의(Familism)는 근대 국가 형성 후 겪은 6.25 전쟁, 급격한 도시화와 산업화 등을 통해 변형되고 강화되었다. 한국의 가족주의는 유사 가족주의(Quasi-Familism)로 확장되어 한국 사회와 문화의 중심 원리로 작동한다. <국제시장>에 배경으로 등장하는 역사적 사건과, 이를 겪어 나가는 주인공 덕수의 모습을 통해 격변하는 역사 속에서 적응하며 살아가는 한국인의 모습을 찾을 수 있다. 또한 그 과정에서 자리 잡게 된 한국인의 가치관과 한국의 가족주의의 형성과정을 살펴봄으로써 문화적 코드를 읽어낼 수 있다. <국제시장>을 통해 알 수 있는 한국의 역사와 문화적 코드는 다음과 같다. 제도적·국가적 안정망이 부재했던 6.25 전쟁에서 가족은 최소의 안전망으로 작용했으며, 모든 것을 파괴 시킨 전쟁의 폐허 속에서 가족의 생존을 위해 무슨 일이든 해냈다. 피난지에서는 가족의 생계를 책임지는 여성의 역할이 두드러졌으며, 난리 중에도 교육을 통해 가족의 안정망을 확보하려는 교육열을 보인다. 이후에도 교육열은 이어져, 어려운 가정 형편 속에서 가장 공부를 잘 하는 자녀를 위해 다른 가족 구성원들은 돈을 버는 역할 분담이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많은 여성들이 상경하여 여공이나 가정부가 되었으며 덕수는 파독 광부가 된다. 파독 광부는 개인적·가족적 차원뿐만이 아닌 국가적으로도 빈곤을 벗어나려는 염원을 담아 낸 결과물이었다. 이는 파독 광부뿐만 아니라 베트남 전쟁을 전쟁이 아닌 가난을 극복할 수 있는 기회로 여긴 것과 같은 맥락에 서 있다. 개인·가족·사회·국가가 하나가 되는 것은 경제적 수준에만 머물러 있지 않고 생활 전반에 퍼져 구체적인 행동 지침이 규정되기에 이른다. 결국 가족을 위해 개인은 열심히 일을 하고, 이는 곧 국가의 발전과 연결되었던 시대였다. <이산가족찾기> 방송을 시청하며 함께 슬퍼하고 감동하는 한국 국민들은, 같은 시대적 상황에서 힘든 시기를 겪어 온 가족 같은 감정을 공유하며 '우리'의식을 형성한다. 이에 한국의 '우리주의'는 '가족주의'의 확장성을 지니다. 이러한 '우리주의'는 강한 내부 결속성을 지니지만, 반대로 '우리'밖에는 강한 배타성을 보인다. 오늘날까지도 '고아 수출국'이라 불리는 한국이 그 모습을 증명한다. 본 연구는 그 외에도 <국제시장>을 통해 알 수 있는 문화 현상을 전부 다루지 못하고, 실제 교육에 바로 적용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지 못했다는 큰 한계를 지니나, 영화를 활용해 한국 문화를 이해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발견한 것에 의의를 두며, 앞으로 보다 실용적이고 다양한 한국문화 이해교육 방안이 마련되길 바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suggest a way to use the movie <Ode to my father> as a tool for understanding Korean culture. The number of foreigners living in Korea is increasing, and there is a corresponding need to make an understanding of the culture more accessible. In addition to this, there is a need on the Korean part to be able to understand and disseminate the 'Cultural Literacy', and this is essential in any society of people with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Currently, there are some studies about teaching foreigners Korean culture within studies of the Korean as Foreign language. Yet most of the methods remain cursory attempts at cultural education, since they are often overshadowed by the focus on lingual education. This is one of the reasons why the idea of using movies as a method of culture understanding and education has been suggested, especially outside the realm of language instruction. Movies are excellent reflections of societal value systems, and convey historical facts to us. Indirect experience of certain period of time is possible through viewing movies, and one can discover the aspects of individuals in history by empathizing with them. Familism in Korea has been transformed and fortified through the Korean war, rapid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and became one of the essential values in understanding Korean culture. Being expanded into Quasi-familism, it has worked as one of the central principles of Korean society and culture. We can find some aspects of Korean people adapting themselves to the tectonic changes, through the movie’s historical incidents and behaviors of the main characters. It is also possible to comprehend cultural codes by discovering the course of development of Korean familism and value system. Some of the following are the historical facts and implications found in the movie <Ode to my father>, which are codes and elements contributing the current state of Korean culture, namely being that: the family unit worked as a safety net for most people during the Korean war; the lives of family members were of the highest priority; the role of women in wartime was outstanding; there was an eagerness to continue the education of talented individuals, even during the time of war, being supported by family members; many young women left home and worked at factories to support their family members; two well-know cases included the operation of coal mines in Germany and combating the Vietnam War; both of the aforementioned cases worked for many young Korean men as a means of escaping poverty; working hard to the family was perceived as the service for the development of the country; TV programs like <War-divided Family Reunion Telethon> did help to shape the communal notion of "we" in the minds of Korean people; Korean "weness" is an extended form of familism, sharing at the time internal cohesion and strong hostility toward the outside; these elements contributed to the continuation of cultural mores to this day. This study neither covers every cultural phenomenon that can be found in the movie <Ode to my father>, nor does it suggest methods that can be readily applied to the actual process of education. However, the substantial value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understanding Korean culture can be made possible through the medium of movies. Finally, it is a call for more pragmatic methods and diverse plans for the edification of the public in the future regarding Korean culture.

      • 장르 중심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수의 실행연구 : 대학원 보고서를 중심으로

        박은선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9647

        한국 대학 내에 석사 혹은 박사 과정에 재학 중인 유학생이 많아짐에 따라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한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은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그런데 대학원에서 성공적으로 학업을 마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평가에 있어서 절대적 우위를 차지하는 보고서 작성이라고 할 수 있다. 보고서는 학문적 규범에 맞게 써야 하는 어려움이 따르기에 대학원에 재학 중인 유학생들의 보고서 쓰기 능력의 향상을 위한 학문 목적 쓰기 교수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장르 중심 쓰기 교수(genre-based writing instruction)가 대학원생들의 보고서 쓰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보고, 장르 중심 쓰기 교수를 적용하여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쓰기 수업을 실시하여 이의 효과를 밝히고 교수의 실행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살펴 더 나은 장르 중심 쓰기 교수의 교수모형 및 과제 활동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원 수준의 보고서의 전형을 소논문 혹은 학술논문으로 상정하고, 이를 학위논문의 내용과 구조의 축소판으로 보았다. 이에 따라 기존의 연구인 학위논문의 각 하위 장르에 대한 분석 결과를 실제로 수업에 적용하여 보고서의 장르 중심 쓰기 수업을 구성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장르 분석 연구에서는 학위논문의 서론, 연구 방법, 연구 결과, 결론 및 초록 장르에 대한 분석만이 이루어져, 연구의 배경을 설명하고 연구의 당위성을 획득하기 위해 사용되는 선행연구 고찰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고서 장르의 전체 구성을 완성하기 위하여 선행연구 고찰에 대한 장르 분석을 실시하였는데, IMRD(Introduction-Method-Result-Discussion) 구조를 띠는 한국어교육 관련 전공의 석사학위논문 20편을 추출하고 Kwan(2006)과 Bitchener(2010)의 문헌연구(literature review, 이하 LR로 약칭) 장르 모형을 도입하여 LR 모형을 완성, 이를 분석의 모델로 하여 장르 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한국어 석사학위논문의 선행연구 고찰의 이동마디(move) 구조는 Kwan(2006)과 Bichener(2010)가 제시한 응용언어학 학위논문의 LR 구조와 비슷하지만 똑같은 구조를 띠는 것은 아니었다. 선행연구에 대한 설명의 부분인 이동마디 선행연구 요약하여 제시하기(이하 1C로 약칭)를 선행연구의 주제 제시, 선행연구의 연구방법 제시, 선행연구의 결과 제시 및 선행연구자의 결과에 대한 해석 및 논의 제시의 네 가지 하위 이동마디로 세분화하고 기존 연구에 대한 연구자의 해석 및 평가의 부분인 선행연구 평가하기 이동마디(이하 2A로 약칭) 또한 선행연구 높이 평가하기, 선행연구 문제점 지적하기, 선행연구 종합하여 정리하기, 선행연구에 대한 자신의 해석 밝히기로 세분화할 수 있었다. 또한 Kwan(2006)과 Bitchener(2010)의 이동마디 모형에서는 등장하지 않지만 한국어 석사학위논문의 이동마디 구조에는 등장하는 메타담화적 이동마디(meta-discourse move)도 다수 발견되었다. 둘째, 선행연구 고찰 장르를 구성하는 필수적인 이동마디는 주제와 관련 있는 일반 현상 및 연구 소개하기 이동마디(이하, 1A로 약칭)와 1C, 이동마디 2A및 기존 연구의 공백 밝혀 연구의 필요성 나타내기(이하, 2C로 약칭) 이동마디였다. 셋째, 분석 자료에서 자주 사용되는 패턴이 있었는데 이는 필수 이동마디인 1A 이후 1C가 등장하고, 1C의 등장 이후 2A가 등장하는 것이었다. 또한 2A에 이어 2C가 출현하는 패턴도 자주 발견되었다. 자신이 수행할 연구의 위치를 선점하고 연구의 정당성을 획득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이동마디가 바로 기존 연구의 공백을 밝혀 자신의 연구가 필요함을 밝히는 2C이다. 이에 따라 연구의 정당성을 획득하기 위해 사용되는 선행연구 고찰 장르의 역할을 생각해 볼 때 1A-1C-2A-2C의 이동마디의 패턴은 자연스럽다고 하겠다. 넷째, 선행연구 고찰 부분에서 자주 사용되는 정형화된 표현이 있었는데, 이는 각 이동마디의 내용에 따라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출현 빈도가 높은 필수 이동마디인 1C, 2A 및 2C에서 자주 사용되는 정형화된 표현을 발견할 수 있었다. 위와 같은 장르 분석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어 석사학위논문 선행연구 고찰 장르의 일반화된 모형과 자주 사용되는 정형화된 표현을 제시하였고 이러한 장르 분석 결과를 기존의 장르 분석 결과에 더해 보고서 장르 중심 쓰기 수업을 구성하였다. 이후 보고서의 장르 중심 쓰기 교수의 효과 및 진행상의 문제점을 확인하는 실행연구가 진행되었다. 실행연구 수업은 주 1회, 1회 당 150분의 수업으로 2013년 9월 6일부터 12월 13일까지 총 15주에 걸쳐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에 재학 중인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본 실행연구에서는 보고서 장르 중심 쓰기 교수가 대학원생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내용, 구성 및 언어적 사용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 장르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교수 시 발생하는 문제점을 밝혀 개선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실행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르 중심 쓰기 교수는 학습자의 보고서의 내용, 구성 및 언어적 사용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였다. 수업 전·후의 과제 분석 결과를 보면 수업 전 과제에서 학습자들은 대체로 선행연구의 논문 내용을 그대로 옮겨서 요약하는 형태로 과제를 완수하였으며 필수 이동마디인 2A의 출현 빈도가 높지 않았다. 그러나 수업 후 과제에서는 학습자들이 이동마디의 순서를 바꾸어 글의 구조를 조정하거나 수업 전에는 사용하지 않았던 이동마디를 추가하여 더 많은 이동마디를 사용하였으며 필수 이동마디인 2A의 사용도 더 많아졌다. 특히 수업 전·후 과제에서 정형화된 표현의 사용이 가장 뚜렷한 변화를 보였다. 둘째, 사전·사후 설문지의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장르 중심 쓰기 교수는 대학원생 한국어 학습자의 보고서 장르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켰으며 장르 지식을 향상시켰다. 학습자들은 수업 전에 보고서 장르에 대해서 부분적인 선지식을 내재하고 있었으나 수업 후에는 18명의 학습자 중 1명을 제외한 17명의 학습자에게 기존에는 없었던 장르 지식의 함양과 수업 전에 희미하게 가지고 있었던 장르에 대한 인식이 상향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업 후에 학습자들은 보고서가 학문적인 글임을 인식하고 자신의 학문적 담화공동체가 인정할 만한 수준의 글을 쓰기 위한 방법, 글의 내용, 언어적 특질에 대한 인식이 생성되거나 강화되었다. 셋째, 장르 중심 쓰기 교수의 실행에 있어 발생한 문제점은 수업 후반부에 들어서 교실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았던 것이다. 사후 설문지, 수업 녹취록, 학습일지 및 심층 면접을 분석한 결과를 통해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한 원인을 교사 설명 중심의 수업 방식, 비슷한 형태의 과제 활동의 반복 및 한국어교육 전공 중심의 읽기 자료 선정에서 찾을 수 있었다. 그러므로 학습자 중심의 수업 방식, 다양한 쓰기 활동의 개발 및 학습자의 전공을 고려한 과제 활동 구성을 통해 본 수업을 개선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따라 제 5장에서는 수정된 보고서 장르 중심 쓰기 수업의 교수요목, 수업 모형, 수업 계획 및 수업 시 사용되는 과제 활동의 실례를 보였다. 지금까지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연구되어 온 장르에 대한 연구는 주로 담화 혹은 텍스트를 분석하여 장르의 특성을 밝히는 장르 분석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장르 분석은 텍스트의 특성만을 추출한 것이었기에 한국어 교육에 바로 적용하기는 어려운 점이 있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이전에 이루어진 학위논문의 하위 장르에 대한 연구 결과를 쓰기 교수에 도입하여 장르 중심 쓰기 교수의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The present study is an action research study that aims (1) to investigate effects of genre-based writing instruction on academic paper writing skills and related genre knowledge of learners of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hereafter called KAP) at the graduate level, and (2) to identify problems occurring frequently in the process of instruction in the classroom context. This study is divided into two parts: one is a genre analysis, and the other is an action research study. In general, graduate students are encouraged to write term papers built upon conventions of academic articles, which have been traditionally considered as an authoritative source of rhetorical and linguistic norms for master’s theses and doctoral dissertations. To date, however, there has been no genre analysis study in Korean which pays attention to the literature review section of previous studies (hereafter called RPS) as an independent segment from the theoretical background, despite its pivotal role to play in justifying the purpose of the writer’s study in the literature review section. Thus, I analyzed RPS segments collected from 20 samples of master’s theses in field of Teaching Korean as a Second Language (hereafter called TKSL) written by native writers of Korean. In doing so, a special focus was put on examining typical attributes of rhetorical, functional and textual structure in the collated RPSs on the basis of the model of LR section proposed by Kwan (2006) and Bitchener (2010), and making sure if the LR model could be applied to genre analysis of the RPSs in theses written by native Korean students majoring in TKSL. Additionally, characteristic linguistic features such as discourse markers displaying the movement of each move and step of the RPSs were also examined. The move structure of the RPSs in the sample of Korean theses had many things in common with the LR model suggested by Kwan (2006) and Bitchener (2010), bu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also noticed. The three most important disparities among them were as follows: First, the RPSs obtained from Korean theses tended to have 4 sub-moves in the move 1C (a summary of previous studies) consisting of (1) presenting the theme, (2) presenting the methods, (3) presenting the results, and (4) presenting the discussion of a single given previous study. Second, they by and large included 4 sub-moves in move 2A (evaluation of previous studies), such as indicating unique values of given previous studies, locating problems of them, synthesizing common findings, and offering the writer’s own interpretation of them. Finally, meta-discourse moves, which did not appear in the LR model, were discovered in the mini-corpus of RPSs as well. Among many generic moves comprising the RPSs analyzed, the most frequently found were Move 1A (a survey of the non-research related phenomena or knowledge claims), Move 1C (a summary of previous studies), Move 2A (evaluation of previous studies) and Move 2C (presentation of the necessity of the writer’s study by gap-indicating). The move sequence of 1A-1C-2A-2C was a typical pattern detected in the RPS segments of Korean theses. Besides, it was also revealed that frequently used discourse markers differed depending on what function the move performed. In the present study, a corpus-based analysis of the textlinguistic patterning of the collected RPSs resulted in detailed identification of discourse markers which were most frequently used in Moves 1C, 2A and 2C, respectively.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genre analysis of the RPS data and related findings of previous genre research into thesis writing, I designed a fifteen-week genre-based academic paper writing course for graduate students who were nonnative writers of Korean before conducting an action research study. The goal of the study was to examine effects of genre-based writing instruction ranging from teaching what to write, how to organize the text and how to apply appropriate usage to developing genre perception and awareness on nonnative Korean graduate writers of academic papers. A variety of practical problems facing a genre-based classroom for academic paper writing were also investigated to offer guidance and solutions for more effective writing instruction. According to close observation on the process of instruction and rigorous evaluation on participants’ development as writers, it was turned out that the genre-based writing instruction indeed contributed to improvement of academic writing skills in various ways. The majority of students demonstrated a significant rise in the use of moves and markers in drafts of their writing compared to their performance at the early phase of the course.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ed at the end of the semester also indicated that the genre-based writing course did certainly help nonnative Korean graduate writers develop genre awareness and genre knowledge about academic paper writing. Most of them showed increased interest in the importance of writing academic papers meeting rhetorical and texlinguistic expectations of the Korean academic discourse community, and greatly appreciated the usefulness of genre-specific knowledge of academic paper writing facilitated by the course. However, it was not that there was no difficulty in running the genre-based writing course. The most unexpected and serious setback was the evident decrease in productivity and efficiency of engagement in classroom activities which had prevailed since the latter half of the course. Based on a result of examination of students’ learning logs, in-depth the-end-of-course interviews with them and transcripts of classroom interactions, I determined that this was largely due to a lack of autonomous learning brought about by heavily teacher-centered classes, a loss of interest caused by repetition of similar activities, and inappropriate choices of reading materials. Accordingly, quickly taken were a series of follow-up measures to amend the situation: revision of the syllabus, change in pedagogical methods, variation of lesson plans, and addition of new interesting activities. In spite of the growing voice of the importance of genre-based instruction in the field of KAP education, focal attention in the KAP genre literature has still been paid to genre analysis of separate sections of related written texts. In an effort to redress the severe imbalance between inclination toward scrutiny of text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specific genre texts and unfulfilled needs for genre-based instructional programs, I tried to bring together theory and practice by validating genre-based instruction of academic paper writing for nonnative Korean graduate writers on the basis of achievements of previous studies of genre analysis on theses.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therefore,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LR genre in Korean theses. Hopefully, they would also contribute to providing KAP practitioners with knowledgeable advice and practical help for designing and implementing genre-based writing instruction in the classroom.

      • Study on restricting nuclear weapons under customary international law

        조지이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647

        현대 국제사회에서 핵문제는 대량살상무기의 확대와 함께 심각한 문제로 대두하고 있다. 과거 소수 국가들만이 핵무기를 소유하고 있었으나, 현재에 이르러서는 많은 국가들이 정치적, 군사적 목적을 위해 핵무기를 소유하고자 한다. 특히, 북한은 NPT를 탈퇴함으로써 핵무기 개발 의욕을 공공연히 드러내고 있다. 현대 국제 조약법의 성격상 조약상 의무는 조약에 가입한 회원국가에게만 그 효력을 발휘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북한이 NPT를 탈퇴한 이상 북한에 조약법상 제재는 그 실효성을 잃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제사회, 특히 유엔이 북한의 NPT 탈퇴와 핵무기 개발에 어떠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겠는가 하는 의문을 제기할 수 있다. 조약과 관습법은 대표적인 국제법의 법원이다. 세계 평화와 안보를 유지하고 무력의 사용을 금지하는 규범은 성문법상 보편적으로 인정된다. 특히 유엔헌장 및 결의안, 국제사법재판소의 판결은 이러한 규범의 존재를 명확하게 증명하고 있다. 또한 지역적, 사안별로 양자조약 및 다자조약을 통해서도 대량살상무기는 금지되어 있다. 따라서 성문법을 근거로 하는 대량살상무기의 규제는 상당히 진척되었고, 이견의 여지가 없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대량살상무기규제에 대한 관습국제법적 근거는 무엇인가? 관습국제법의 존재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요청되는 요건들이 충족되었는가를 먼저 확인할 필요가 있다. 관습법의 형성을 인정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객관적 요건으로 국가실행과 주관적 요건으로 법적 확신이 필요하다. 관습법 증거로서 조약 및 재판소 결정, 국내입법, 국제기구 결의안 등을 고려할 수 있다. 유엔헌장은 제4장에서 ‘평화에의 위협’으로 판단되는 경우 유엔안전보장이사회가 외교적, 군사적 방법을 통해 이를 제거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또한 다수의 유엔 결의안들은 국제 대량살상무기 개발이 평화에의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다고 확인하였다. 한편, 이제까지의 다수의 국제적 조약 및 국제기구 결의안, 사법적 판단 등은 국제사회가 핵무기를 포함한 대량살상무기를 제한하고자 하는 인식을 공유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국제법의 법원인 성문법과 관습법 모두를 고찰해본 결과, 핵무기 규제는 국제법적으로 인정되어 적용될 수 있는 보편적 규범에 해당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NPT는 그 목적에 있어서 이러한 보편적 규범을 포함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북한이 NPT를 탈퇴한 이후, 북한에 대해 NPT 개별조항의 직접적인 조약이행을 강제하는 것은 국제법적으로 인정하기는 어렵지만, NPT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핵무기 규제의무는 관습법적으로 인정되는 보편적인 규범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인권 및 무기사용금지는 강행법규 범위 내에서 인정되는 것으로 조약의 가입여부를 떠나 모든 국가들은 이러한 강행규범에 구속된다. Jus Cogens로 일컬어 지는 강행규범은 인류에게 공통적으로 적용되어지는 가치규범으로, 그 자체로 예외 없이 구속성을 가진다. 따라서 강행규범은 이를 인정하지 않는 국가에게도 적용될 수 있다. 인권 및 인도적 지원, 무력의 사용 등이 일반적으로 인정되는 강행규범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핵무기의 사용은 강행규범을 위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북한이 NPT를 탈퇴한 사실 자체만은 강행규범의 위반으로 보기는 어려울 것이다. 그러나 북한의 핵개발 의혹 및 국제사회에서의 위험성과 NPT조약 내용이 무기 제재라는 강행규범을 포함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였을 때, 북한의 NPT 탈퇴는 국제평화 및 안보에 대한 위협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따라서 유엔 및 국제사회는 평화와 안보를 보장하기 위해 북한으로 하여금 NPT상 강행규범을 포함하는 의무사항을 이행할 것을 강제할 수 있을 것이다.

      • Case study : the bidding process of Korea high-speed rail project in terms of international negotiation

        이상문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국제학과 2001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사례연구는 한국고속철도 사업의 차량공급 계약자 선정을 위한 국제입찰을 사례로 하여 국제입찰을 국제협상의 한 차원인 단기협상으로서의 검토를 시도하였다. 고속철도 관련 신문기사와 철도관련 정기간행물을 비롯하여 한국고속철도건설 공단 담당자의 인터뷰와 문서를 통해 자료를 수집했다. 국제협상에서 협상참가자들의 정치경제적 배경이 협상결과에 영향주므로 국제입찰에서도 입찰참가자들의 국내경제 및 국제정치적 배경을 조사하였다. 이 국제입찰이 경매로서 나타내는 특징과 단기 국제협상으로서 나타내는 특성을 나누어 검토하였다. 입찰과정의 역학관계를 서술하고, 국제협상 분석에 사용되는 국제분쟁처리그룹의 기준으로 입찰 참여자들의 이해관계, 옵션, 전략과 전술, 정당성 기준, 대안, 서약, 의사소통을 사용하여 이번 입찰을 분석하였다. 이는 국제협상은 국제입찰을 포함하므로 국제협상분석도구로써 국제입찰의 분석이 가능하다는 점을 의미한다. 뇌물공여가 프랑스의 전략에 포함된다는 분석과 관련하여 필자는 프랑스가 한국 관련 정치인들에게 뇌물을 공여하고 입찰에서 승리했다는 의혹에 관한 검찰의 최종 조사결과가 나와서 미흡한 정보가 보완될 때까지 어떠한 분석결과도 신뢰할 수 없음을 밝힌다. This thesis attempts to examine that international auctions are components of international negotiations through the Korean case of an international auction for selecting rolling stock for the Korea High Speed Rail (KHSR) Project. I gathered in depth information on the bidding process from related articles found in newspapers, periodicals on railways, documents and from an actual interview with a Korea High Speed Rail Corporation (KHSRC) official. The economic and political environment surrounding participants of international negotiations influences the negotiation outcome. As a result, background information of the auction such as the domestic economy's situation and the international political situation were carefully research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uction are examined and divided into those of auction itself, and those of a short-term international negotiation. Dynamics of the auction process is described and analyzed with criteria defined by the CMG (Conflict Management Group) which is used to analyze negotiations such as the parties and their interests, options, strategies or tactics, criteria of legitimacy, alternatives, commitment and communication. International negotiations include international auction so the auction can be analyzed in terms of international negotiation. Bribing seems to have been France's strategy which led to its success. I just qualified this study by suggesting that any conclusion that emerges from this study cannot be sustained without more information until result of the Korean prosecution's investigation for the allegation that France won the auction with bribing related Korean politicians is finalized.

      • 외국인 유학생 대상 학위 논문 작성을 위한 통합 교수 모형 개발 : 문제중심학습(PBL)을 기반으로

        박서윤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9647

        This study recognizes that, when writing graduate thesis in academic situations, foreign students have the biggest difficulties. It notices the necessity of related education and aims to develop an instructional model which can give practical help to the students to become independent members in academic discourse communities. Consensus on the need and importance of teaching thesis writing has been formed via research conducted on graduate theses. However, as this study begins, there is no suitable education on writing theses that meets the learners’ needs and there is no perfect education method teaching the entire thesis writing process. Among foreign students in Korea, most were undergraduates, and research undertaken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were also for the undergraduates. However, the number of foreign masters and Ph.D. students increased 26 times over the last 10 years since 2010. Therefore, the necessity of research on Korean language for their academic performances has increased. The biggest difference in terms of teaching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to foreign undergraduates and foreign masters and Ph.D. students is “importance of a specific genre.” If “report” is the most important genre to the foreign students, “thesis” is the most important genre for foreign masters and Ph.D. students (Jung, Da-Woon, 2014b). In other words, “thesis” is the specific genre that differentiates foreign undergraduates and foreign masters and Ph.D. students. A thesis is the overall product of a graduate school and an essential barrier. To foreign graduate students, theses have a great significance, and a failure can mean failure in studying abroad. A graduate thesis has strong features and needs to be written following a fixed formal system and outline, so education and training are a must. It is said that foreign graduate students enter graduate schools after having enough language skills to perform graduate courses, but it is very difficult to write a dissertation with a high-level thinking and academic discourse community’s communication method, only presupposing the language skill similar to that of a native speaker. In order to solve these difficulties, this study aims to find a solution in Problem-based Learning (PBL), which embraces the principl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ask-centered, learner-centered and interaction-centered learnings. I examined cognitive and affective effect changes of research participants when education applied with PBL is conducted and suggested some methods using it.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ings. First, how can we develop an instructional model based on PBL to help foreign students write a thesis? Second, will the model formed by the researcher be helpful when actually applied in thesis writing? What cognitive and affective changes can it give to the participants? Third, how will this model be applied in an actual education field? To solve these issues, we have performed series of processes. In order to diagnose the current problem, I conducted request analyses in various angles. To find an implication of writing graduate theses, I went over previous research and figured out current problems in education by analyzing established courses and class syllabus on thesis. Also,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oreign graduate students who are currently in schools, who finished four-year courses and foreign workers who achieved master’s degrees. A class syllabus has been written after a PBL-based instruction model was designed using basic data from sufficient request analyses. Before applying to the research, validity was verified by taking expert’s advice and undergoing usability assessments. This paper examined cognitive and affective effect changes of applying an instruction model which went through the first correction step. The instruction model was especially designed to reflect various meanings of “integration,” and included “reading with expansion of content knowledge for writing,” because “collecting certain data and searching field on interested themes” is considered a part of a reading activity for writing from a view seeking “integrated writing and reading.” The first half of the paper focuses on knowledge of genre and Korean language of an academic discourse community and the latter part focuses on planning, self-directed learning and cooperative interaction activities to solve problems after applying PBL. Through this process, cognitive and affective effect changes were detected in various aspects from the research participants. A process of the content knowledge being integrated was also found. Afterwards, the cognitive and affective effect changes of experimental research were evaluated and analyzed us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sessment tools. Then, relevance and feasibility of the model were verified through expert’s consultations and validity test. Final instruction model and application plan were suggested after going through the second correction step. The cognitive and affective effects were as follows: First, via difference in pre- and post-tests assessed by analytic grade lists, PBL was confirmed positive on academic achievements for the participants. Second, an integrated instruction model based on PBL for thesis writing was also positive to academic accomplishments; self-directed learning, data collecting capability, problem-solving capability and critical and reasonable thinking. Third, PBL-based model had positive effect on affective areas including cooperative learning (opinion receptivity, communication capability), self-efficacy (self-control capability, confidence) and study motivation and interest in it. Fourth, a noticeable correlation between cognitive and affective effects was found. In other words, PBL had positive education effects on both cognitive areas including academic accomplishments, problem-solving capability, critical thinking, and affective areas including academic motivation, self-efficacy, self-directed learning, cooperative capability. Based on these positive effects, this paper suggests a management plan to designate required subjects and operate a program assisting thesis writing per two semesters. It is difficult to accomplish overall courses on writing a thesis, a final product of a graduate school, in a semester. Therefore, the education should be done in two semesters, divided into a basic and in-depth part, so that PBL problems can be solved after knowledge of genre and Korean language is sufficiently obtained. Furthermore, based on a research result, various activities and group activities during the semester, due to the characteristic of PBL, can mentally burden the learners. This paper says a program where learners can apply fluidly depending on their schedules is needed, instead of running term systems. This research discovered obstacles in writing a thesis by foreign graduate students in various aspects and considering language skill as a must to write a thesis, has applied a comprehensive and detailed instruction syllabus teaching both genre and Korean language to the research experiment. This syllabus is valuable enough to be used as meaningful data in the future when opening lectures on writing theses or when revising and supplementing existing lectures. The existing studies on theses emphasize process and focus on partial research and teaching methods. However, this paper has an academic implication in that it suggests an instruction model and a teaching method, which puts the entire process of writing a thesis together, while placing stress on an integration of process and genre and reflecting recursion. This is the first paper to discover the effect of applying PBL on the genre of thesis or dissertation. A thesis has a big significance since it determines the success of foreign graduate students in studying abroad. I hope the PBL-based integrated instruction model suggested in this paper can solve obstacles that the students face when writing a thesis and be a valuable first step for them to develop into an independent member of an academic discourse community.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이 학업 수행을 위한 학술적 상황에서 쓰기 기능과 학위 논문 작성에 가장 큰 어려움을 느낀다는 점과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이들이 학문 담화 공동체에서 주체적인 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실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수 모형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금까지의 학위 논문 관련 연구를 통해 학위 논문 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한 공감대는 형성되었지만, 학습자들의 현실적 요구에 부합하는 적합한 학위 논문 교육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는 점과 실제로 학위 논문 과정을 전반적으로 아우를 수 있는 교육 방안이 미비하다는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지금까지 국내 외국인 유학생은 학부생이 대부분을 차지했고,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 또한 학부생을 위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하지만 2010년 이후 지금까지 10년 동안 국내 외국인 석·박사생이 약 26배 증가하였고, 이들을 위한 학문 목적 한국어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외국인 학부생과 외국인 석·박사생을 대상으로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의 쓰기 측면에서 가장 큰 차이는 ‘특정 장르의 중요도’로 볼 수 있다. 외국인 학부생에게 가장 중요한 장르가 ‘보고서’라면, 외국인 석·박사생에게 가장 중요한 장르는 ‘학위 논문’이다(정다운, 2014b). 즉 ‘학위 논문’을 외국인 학부생과 외국인 석·박사생을 구분하는 특정 장르로 볼 수 있겠다. 학위 논문은 대학원 교육의 총체적 산물이자 필수적인 관문이다. 외국인 대학원생에게 학위 논문 실패는 곧 유학 생활 실패를 의미할 정도로 중요하다. 학위 논문은 장르적 특징이 뚜렷하며 정해진 형식적 체제와 틀에 따라 작성해야 하기 때문에 작성 교육과 훈련이 필요하다. 학위 논문은 모국어를 사용하는 국내 대학원생들도 어려움을 느끼는 장르다. 외국인 대학원생들이 대학원 과정을 수학할 수 있는 언어적 능력을 갖춘 후에 입학한다고 하지만, 모국어 화자와 유사한 수준의 언어적 능력을 전제로 고차원의 사고와 학문 담화 공동체의 소통 방식으로 학위 논문을 작성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어 교육이 지향하는 과제 중심, 학습자 중심, 상호작용 중심의 원리를 모두 포함하는 문제중심학습(PBL)에서 해답을 찾고자 하였다. 문제중심학습(PBL)을 적용하여 학위 논문 교육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연구 참여자들의 인지적·정의적 효과 변화를 탐색한 후,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인 유학생들의 학위 논문 작성을 위한 문제중심학습(PBL) 기반 교수 모형을 어떻게 개발할 것인가? 둘째, 연구자에 의해 개발된 문제중심학습(PBL) 기반 통합 교수 모형을 학위 논문 작성에 실제 적용했을 때 유용한가? 연구 참여자들에게 어떠한 인지적·정의적 효과 변화를 미치는가? 셋째, 연구자에 의해 개발된 문제중심학습(PBL) 기반 통합 교수 모형을 실제 교육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 이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였다. 먼저 현재의 문제점을 진단하기 위해 다각도에서 요구 분석을 실시하였다. 학위 논문 작성 관련 시사점을 찾기 위해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대학원에 개설된 학위 논문 관련 과목과 논문 교육 프로그램의 강의 계획서를 분석하여 현 교육 현황의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외국인 유학생들이 학위 논문 작성과 관련하여 느끼는 부담감과 어려움을 면밀하게 살펴보고자 현재 대학원에 재학 중인 유학생, 대학원 수료 상태인 유학생, 석사 학위를 취득한 외국인 직장인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충분한 요구 분석을 통해 마련된 기초 자료를 활용하여 문제중심학습(PBL) 기반 교수 모형을 설계하고 강의 계획서를 작성하였다. 실험 연구에 적용하기 전, 전문가 자문과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여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이를 반영하여 1차 수정 단계를 거친 후 설계한 교수 모형을 실제 교실 현장에 적용하여 학습자들의 인지적·정의적 효과 변화를 탐색하였다. 특히 본 연구자는 다양한 ‘통합’의 의미를 반영하여 교수 모형을 설계하였는데, ‘읽기·쓰기 통합’을 지향하는 관점에서 ‘적절한 자료의 수집과 관심 주제 영역 탐색 활동’ 또한 쓰기를 위한 읽기 활동에 포함된다고 보고 ‘쓰기를 위한 내용 지식 확장 읽기 활동’을 포함하여 문제중심학습(PBL) 기반 통합 교수 모형을 설계하였다. 전반부에는 학문 담화 공동체의 장르적 지식과 한국어 교육을 중심으로, 후반부에는 문제중심학습(PBL) 적용 후 문제 해결을 위한 계획 수립, 자기 주도 학습 활동, 협력적 상호작용 활동을 중심으로 하여 실험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연구 참여자들에게서 다양한 측면에서 인지적·정의적 효과 변화와 내용 지식이 통합되는 과정이 탐색되었다. 실험 연구 종료 후 다양한 양적·질적 평가 도구를 활용하여 실험 연구의 인지적·정의적 효과 변화를 평가·분석하였다. 그 후 전문가 자문과 타당도 검사를 통해 교수 모형의 적절성과 실제성을 검증한 후 2차 수정 단계를 거쳐 최종 교수 모형과 활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실험 연구를 통해 관찰된 연구 참여자의 인지적·정의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적 채점표로 평가한 사전·사후 테스트 차이를 통해 문제중심학습(PBL)이 연구 참여자들의 학업 성취도에 긍정적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문제중심학습(PBL) 기반 학위 논문 작성을 위한 통합 교수 모형은 학업 수행 능력(자기 주도 학습 능력, 자료 수집 능력, 문제 해결력, 비판적·논리적 사고 능력)에 긍정적임을 확인하였다. 셋째, 문제중심학습(PBL) 기반 학위 논문 작성을 위한 통합 교수 모형은 협동 학습 능력(의견 수용력, 의사소통 능력), 자아 효능감(자기 조절 능력, 자신감), 학습 동기와 흥미와 같은 정의적 영역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넷째, 인지적 효과와 정의적 효과 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성립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문제중심학습(PBL)은 학업 성취도, 문제 해결력, 비판적 사고력과 같은 인지적 영역과 학습 동기, 자아 효능감,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협동 능력 등 정의적 영역에서 모두 긍정적인 교육적 효과 있음을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하였고, 인지적 효과와 정의적 효과는 유의한 관계가 성립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긍정적 효과 변화를 근거로 2학기제 필수 과목 지정 운영 방안과 학위 논문 작성 조력 프로그램을 운영할 것을 제안하였다. 대학원 교육의 총체적 산물인 학위 논문과 관련된 전반적인 교육을 한 학기에 모두 수행하는 것은 무리가 따른다. 따라서 기초·심화 과정의 2학기제로 운영하여 장르 지식과 한국어 지식을 충분히 익힌 후 문제중심학습(PBL) 문제를 해결하는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문제중심학습(PBL)의 특성상, 다양한 활동과 그룹 활동이 주가 되기에 학기 중에 실시하는 데에는 학습자에게 심리적 부담감을 줄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기제로 운영하는 것보다는 학습자들의 시간적 여유에 따라 유동적으로 지원하여 참여할 수 있는 ‘학위 논문 작성 조력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다양한 측면에서 외국인 대학원생들의 학위 논문 작성의 장애 요인을 탐색한 후, 학위 논문 작성을 위해서는 언어 능력이 전제되어야 한다고 보고 학위 논문의 장르 교육과 한국어 교육을 병행하여 종합적이고 구체적인 교수요목을 설계하여 실험에 적용하였다. 이렇게 설계한 교수요목은 추후 학위 논문 관련 강의를 개설하거나 기존 강의를 수정·보완할 때, 의미 있고 가치 있는 자료로 활용되기에 충분하다. 또한 기존의 학위 논문 관련 연구가 과정을 중시하고 부분적인 연구와 교수법에 초점을 맞추었다면, 본 연구는 과정·장르 통합을 중시하고 회귀성을 반영하여 학위 논문 작성의 전 과정을 아우르는 교수 모형과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데에서 교육적 함의를 찾을 수 있다. 더불어 학위 논문 장르에 문제중심학습(PBL)을 적용하여 효과를 밝힌 국내 최초의 연구이다. 학위 논문 작성은 외국인 대학원생의 유학 생활 성공 여부를 결정짓는 중요한 과제이다. 본 연구가 제시한 문제중심학습(PBL) 기반 통합 교수 모형이 외국인 대학원생들의 학위 논문 작성의 장애 요인을 해결하고, 이들이 학문 담화 공동체에서 주체적인 구성원으로 성공적으로 성장하기 위한 소중한 첫걸음이 되길 바란다.

      • Analysis of Major Factors Affecting the Success or Failure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홍승연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2010년 1월부터 2020년 06월까지 세계은행에서 시행한 2,536개의 국제개발협력사업을 대상으로 국제개발협력사업의 성공과 실패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탐색하고 해당 요인들의 잠재적 원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국제개발협력사업은 개발도상국의 발전에 사회경제적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수의 국제개발협력사업의 결과가 실패로 귀결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개발도상국이라는 다변적 환경에서 실시되어 불확실성과 복잡성이 높은 국제개발협력사업의 특성을 고려하더라도 선행연구에 따르면 절반 이상의 국제개발협력사업이 실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사업환경의 불확실성과 높은 실패율로 인하여 국제개발분야의 기존의 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국제개발협력사업에 실행 시 적용할 수 있는 지식창출 및 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이에 국제기구를 비롯한 여러 공여기관은 조직 내 지식의 축적, 관리 및 학습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제개발협력사업의 성공과 실패 요인에 대한 선행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다. 수많은 공여기관이 전 세계 개발도상국에 실행하고 있는 국제개발협력사업의 규모에 비하여 사업의 성공과 실패에 영향을 미친 요인과 그 원인에 대한 연구는 소수 사례에 국한되어 이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또한 개별 국제개발협력사업의 성공과 실패에 관한 기록은 각 공여기관별로 축적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데이터’의 형태로만 존재하여 실질적으로 이를 체계화하여 학습할 수 있는 지식의 형태로 변환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Nonaka와 Takeuchi(1995)의 지식창출이론 내 결합화(Combination) 과정을 실행하여 기존에 축적된 명시적 자료, 즉 2010년부터 10년간 발간된 세계은행의 사업 실행 완료 및 결과 보고서 (Implementation Completion and Result Report)로부터 사업의 성공과 실패에 영향을 미친 요인과 그 원인을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비정형 텍스트 분석에 유용성을 발휘해 온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 기법을 적용하였다. 특히, 주제어 분석과 토픽모델링 기법을 적용하여 세계은행의 국제개발협력사업의 영향을 미친 요인들을 귀납적 방법으로 추출하였다. 또한, 분석된 요인들의 잠재적 원인을 탐색하기 위하여 추출된 토픽별로 대표 보고서를 선정하여 해당 요인이 발생하게 된 원인을 질적으로 검토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사업의 성공과 실패에 영향을 미친 요인과 잠재적 원인은 상호 유사성을 가지고 있다. 사업의 성공과 실패에 영향을 미치는 공통된 요인은 1) 단순하고 현실적인 사업 설계, 2) 체계적인 모니터링 및 평가체계, 3) 수원국의 정책적, 제도적 지원, 4) 이해관계자들의 역량과 협업 여부로 나타났는데 이 네가지 요인이 국제개발협력사업 내 어떻게 구현되는지에 따라 사업의 성공과 실패에 결정되었다. 또한, 이와 같은 요인들의 잠재적 원인으로는 1) 수원국 정보의 준비와 적극적 참여 수준, 2) 면밀한 타당성 조사를 바탕으로 한 유연한 사업 설계와 관리방식, 3) 이해관계자들의 사업 수행 역량과 사업에 대한 이해 수준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국제개발협력사업의 성공을 위해서는 사업 전반에 걸쳐 충분한 커뮤니케이션이 적시에 이루어졌으며 사업 초기 단계의 수원국을 대상으로 한 역량증진 교육의 중요성이 드러났다. 따라서 향후 성공적인 국제개발협력사업을 위해서 사업의 설계 및 관리방식에 있어 변화에 대해 유연하고 빠른 적응방식이 실행될 수 있도록 프로젝트 관리 방법이 개선되어야 하며 사업 수행 전 수원국의 사업에 대한 준비 수준과 역량에 대한 사전 평가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또한, 필요 시 수원국이 갖추어야 하는 역량 개발을 위해 역량 증진 교육이 조기에 제공하고 나아가 공여기관 간 협업을 통해 국제개발협력사업 수행에 필요한 정보 및 데이터 수집 관리 체계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본 연구는 국제개발분야에 새로운 연구방법인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함으로써 국제개발협력사업에 효과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새로운 지식과 증거 산출이 가능함을 보여주었고 국제개발학 분야의 방법론적 확장에 기여하였다. 또한, 국제개발협력 사업 수행 시 사업 분야 혹은 내용에 국한되지 않고 공통적으로 적용되어야 하는 가장 보편적이고 중요한 요인을 도출함으로써 정책적으로는 정책적으로 국제개발협력정책 결정 및 실행에 있어 유용한 증거를 제공하여 효과적 정책 결정 및 방향성 제시에 기여하였으며 실무적으로는 국제개발협력사업의 설계 및 수행 시 개선 되어야하는 점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 국제개발협력사업의 분야 혹은 수원국 별로 가지고 있는 특수성은 반영되지 않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향후 사업의 분야별, 특정 시기별, 수원국별 분류를 통해 국제개발협력사업의 성공과 실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보다 구체적인 분석과 연구가 요구된다. This study examines factors affecting the success and failure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and their underlying cau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by uncovering hidden knowledge in unstructured qualitative data, specifically the Implementation Completion and Result Reports issued by the World Bank between January 2011 and June 2020. Despite the importance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in the socio-economic development of developing countries, studies have shown that more than half have been judged to have failed. In addition, due to the highly uncertain and complex nature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carried out in the varied environments of developing countries, the importance of creating and managing knowledge from previous experiences and applying it to new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is highlighted in the literature. Therefore, donors have emphasized the role of knowledge accumulation, management, and learning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and have begun to emphasize the feedback mechanism within their organizations. Existing studies on the success and failure factors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have important limitations. Compared to the scale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implemented by donor organizations in developing countries around the world, research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success and failure of projects is limited to a small number of cases. Even though records on the success and failure of individual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are maintained by donor organizations, they exist only in the form of “data” and are not systematically converted into a form of “knowledge” that can be learned and incorporated into current and future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Therefore, this study applies the combination process of Nonaka and Tekuchi’s Knowledge Creation theory (1995) and examines the factors affecting the success and failure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and their underlying causes from previously accumulated data –the World Bank's Implementation and Completion Result Report. Text mining technique was adopted as a methodology, which has shown to be very useful in the analysis of unstructured text. By applying keyword analysis and topic modeling, factors affecting the outcome of the World Bank’s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were extracted inductively. In addition, a representative report was selected for each extracted topic and the causes of these factors were examined qualitatively to explore the underlying causes. The results show that there are considerable similarities in the factors and underlying causes that affect the success and failure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The findings have shown that the common factors affecting the success and failure of a project are: 1) simple and realistic design, 2) systematic monitoring and evaluation (M&E) approach, 3) policy support from the recipient country, and 4) the capability and cooperation of stakeholders. How these four factors are implemented in a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 determines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project. The underlying causes of these factors include: 1) level of commitment and preparation of the recipient country government, 2) flexible project design and adaptive management strategy based on a qualified feasibility study, and 3) competency and cooperation among stakeholders based on shared understanding of the project. Moreover, success of a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 depends on sufficient and timely communication throughout the project period, and capacity-building training for recipient countries at the early stage of the project. For the success of future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flexible and adaptative management that responds to the varied environments should be implemented throughout the project cycle, with formative assessments of both the preparation level and capability of the recipient. Capacity-building programs should be provided at the early stage of the project to develop the capabilities required by recipient countries. There is need for a regional data collection and management system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based on the collaboration among donor organizations. This study shows that by using text mining, which is a relatively new research method in the field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it is possible to generate knowledge and evidence that can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This is meaningful in contributing to the methodological expansion of the field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studies. This study examined the very basic as well as critical factors that should be applied when carrying out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The dissertation’s findings could help improve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The study, however, has limitations of generalization to other sectors and recipient countries that have not been included in the analysis. Thus, a more detailed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success and failure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classified by project sector or theme, period, recipient country, is needed in future studies.

      • The Role of South Korean NGOs for North Korean Human Rights

        고화형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02 국내박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북한 인권문제의 개선 및 해결에 있어서 남한의 비정부기구가 어떠한 역할을 할 수 있는지 분석해 본다. 북한 인권상황에 대한 국제적 관심이 증대되고 인권문제의 국제화가 가속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남한의 비정부기구가 국제여론 환기 및 국제사회의 협력을 통한 북한인권문제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고에서는 국제인권조약을 기준으로 하여 북한 내부의 전반적인 인권상황 및 재외 탈북자 문제 등을 살펴보고 현재 북한 인권문제를 다루고 있는 남한 비정부기구의 활동을 분석하고 보다 효과적인 활동을 위한 전략을 제시 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기본적으로 국제인권조약의 인권보호 기준에 따라 북한의 인권상황을 점검하고, 주요 인권사안을 정리 분석하고 있다. 국제인권조약상 북한의 인권문제는 크게 시민적 정치적 권리와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권리의 두 분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시민적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조약의 기준으로 보면 북한의 인권실태는 공개처형, 정치범 수용소, 이동의 자유제한, 출판집회의 자유 제한, 종교의 자유 제한, 성분차별정책 등이 해당된다.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권리에 관한 국제조약의 기준으로 보면 생존권, 보건의료, 노조의 활동, 교육의 편파적 내용 등이 지적될 수 있다. 최근 심각한 인권침해로 국제사회의 현안으로 떠오른 재외 탈북자 문제는 북한 내 생존권 문제의 범주에 속하면서도 북한, 중국, 러시아, 한국 등 관련국가의 정치적 이해관계 속에서 방치되어있다는 측면에서 국제적 사안으로 간주하여 예외를 두어 독립적으로 다루었다. 북한 인권문제는 그 동안 국제사회의 주된 관심사가 아니었다. 그러나 90년대 들어 북한 경제가 지속적으로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하고 식량난이 악화되어 생존권이 위협받는 상황이 전개되면서 북한의 인권 문제에 국제적 관심이 모아지게 되었다. 그리고 국제사면위원회 등에서 정치범 수용소의 실상과 공개처형이 거론되는 등 시민적 정치적 권리에 대해서도 국제사회에서 문제가 제기되기 시작하였다. 북한 정부는 지난 91년 나진-선봉에 이어 올해 신의주를 특구로 지정하는 등 최근 주목할만한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외적 변화에도 불구하고 북한내부의 변화는 보이지 않고 있다. 북한 정권은 여전히 주민들이 외국인과 접촉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으며 외부세계의 정보에도 접근할 수 없도록 철저히 제한하고 있다. 따라서 정부차원 및 비정부차원의 국제기구들은 북한의 일반 주민들과 접촉할 가능성이 매우 낮다. 외부세계와의 접촉이 드물다는 것은 그만큼 심각한 인권탄압을 개선하고 위해 캠페인을 벌일만한 지렛대 효과도 미미하다는 것을 뜻한다. 이렇게 북한 당국이 외부세계에 대한 개방을 기피할수록 이 문제를 위해 활동하는 몇몇 인권단체가 힘을 모아 핵심사안에 집중하여 캠페인을 벌이고 활동의 효과를 극대화 하기 위한 전략방안을 찾는 일은 인내가 필요한 동시에 매우 큰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보다 효과적인 북한 인권문제의 새간을 위한 활동에 있어서 남한의 비정부기구들은 우선 사안을 국제인권운동화시키고 보다 많은 국제인권단체들이, 더 나아가서 북한과 수교를 맺고 잇는 각국정부가 이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게끔 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자료수집의 한계, 사안의 공론화에 있어서 제약, 남한정부와의 관계설정문제, 재정적 한계 등의 과제들은 북한인권문제를 다루는 민간단체들의 보다 많은 노력을 요구하고있다. Under the circumstances where human rights have become one of the most universal and noble values with the advancement of democracy, North Korean Human rights problems began to be revealed since the late 1980s, while consistent attention to and concerns about North Korean human rights status were raised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cluding the Amnesty International and the United Nations Sub-Commission for Human Rights. Under these circumstances, a small number of NGOs in South Korea have been actively working for guaranteeing the human rights of North Koreans, based on the homogeneity of Korean nationality and language. The activities of these NGOs aim at mainly realizing the universal human rights conventions but sometimes disseminating religious faith in the case of some religious NGOs in protecting North Korean escapees abroad. Although NGO activity does not have legally binding force, it has an apparent effectiveness in building international opinion, if international community is conscious that the issue of human right is a moral one related to human dignity, which is beyond politics and national sovereignty, and that it can be solved by moral pressure. However, in the case of North Korea, which has taken an unprecedented policy of isolation in the world history, moral pressure is unlikely to work, since it has little leverage. However, the government of the DPRK has little choice but to pursue a policy of opening its nation due to the extreme food and energy crisis. It also wishes to maintain the continuing economic assistance from each country. Consequently, it is in need of carefully observing the trend of international opinion. Therefore, NGOs can play a role of building international opinion for such moral pressure to work out effectively.

      • Collision between international human rights norms and national identity : South Korea's compliance with international obligations for protecting refugees

        유혜정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논문은 국가가 국내외적으로 국제 인권 규범 준수를 위한 유리한 환경과 조건이 마련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종종 국제 인권 규범을 준수하지 않는 현상을 기존의 연구에서 충분히 다뤄지지 않은 점에 주목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규범을 수용하는 국가의 정체성과 특수한 국내 규범이 해당 국가의 국제 인권 규범에 부합하는 국내 제도 및 환경을 마련하였는지 등의 내재화 과정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함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러한 인식 아래, 본 연구에서는 가장 기본적인 기본권과 존엄성이 심각하게 위협을 받으면서도 자국으로부터는 적절한 보호를 받지 못하는 상황에 처하여 국제 사회의 보호와 지원을 절실히 필요로 하는 난민과 비호를 구하는 이들을 위해, 1951년 난민 지위에 관한 국제 협약의 가입한 한국이 체약국으로서의 의무 이행 사례를 들어, 한국 사회가 어느 정도 국제 인권 규범을 내재화를 이룩하였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우선 국제 인권 규범이 어떤 기제(매커니즘)를 통해 국가로 보편적인 가치로 전파, 나아가 국내 규범적 가치로 내재화되며, 국가로 하여금 국제 인권 규범의 실천으로 이끄는 요소들을 살펴본다. 한국의 국제 난민 보호 규범 실천 사례 연구를 통해, 비록 자문 및 감독 기능을 수행할 국제 기구 – 이 경우에는 유엔난민기구 (UNHCR) - 가 존재하고, 그 사회에 제도적으로 국제 인권 규범을 수용, 준수할 수 있는 정치 경제적 환경이 마련되었을지라도, 국제 사회로부터 도입된 인권 규범이 그 규범을 받아들이는 국가의 고유한 규범 가치 그리고 정체성과 충돌하거나 부합하지 않을 경우, 성공적으로 그 사회 규범으로 내재화 될 수 없음을 증명하였다. 특히, 이 과정에서 그 국가가 속한, 그리고 해당 국가와 전통적인 가치와 규범을 공유하는 지역 사회(혹은 국가)로부터의 압력도 해당 국가의 인권 규범 실천에 중요한 영향을 끼침을 증명한다. 기존의 규범 연구와 더불어, 본 연구로 도출한 결론을 토대로, 일본을 비롯한 동북아시아 지역의 국가들의 국제 인권 규범 실천이 미약한 현상을 이해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전망한다. This thesis aims at addressing the continued inability of the existing literature to explain why states sometimes resist international human rights norms, even when the conditions for compliance appear propitious. This thesis argues that indigenous norms and national identity of the norm-invoking state are influential on the state's conformity to international human rights norms. To examine this argument, this study focuses on empirically on South Korea's response to international refugee protection norms as a signatory of the 1951 Refugee Convention. For this purpose, this thesis explores under what conditions states conform to international human rights norms and their diffusion mechanism at national level. Then, it analyzes the impacts of national identity and norms, and of regional context being influential in mobilizing interests of domestic civil advocacy groups and consequently in internalizing international human rights standards into domestic policies and government structure. By this empirical study, the thesis demonstrates that when domestic norms and identity of a state collide with or do not sufficiently match with the human rights norms of international society, international human rights pressure cannot be successfully diffused into states, even if they are seen ready to internalize international human rights norms into their domestic structure. It shows that, despite the presence of a strong supervisory role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 - in this case, UNHCR - the collision or mismatch between the norm taking state…s identity and international norms may imped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state and international society and hence slow down the state's compliance and the socialization of the international norms. The study also found that the regional pressure affects the extent that states conform to international human rights norms. Incorporating this account into existing scholarship may help to understand the cross-national or cross cultural variations on state compliance to international human rights norms. In particular, it will also contribute to understand low compliance of other Northeast Asian countries such as Japan in the future study.

      • Korea’s ODA policy pattern from 1960s to present

        정승은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47

        Being an official member of DAC since 2010, Korea has been required to take responsibility for its ODA growth in quality and quantity and contribute 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 other words, with economic development, Korea has been asked to assume more role and responsibility as a donor and accept international calls and demand. Most donor countries comply with ODA guidelines recommended by OECD/DAC. On the other hand, ODA from Korea fails to reach the satisfactory level. Still, Korean style ODA has a long way to meet the international ODA norms. As of 2009, Korea had only 0.09% of GNI, one of the lowest in DAC members. Despite the trend of increasing the untied aid ratio, it is painstakingly slow. Besides, Korea’s ODA heavily concentrates on lower and middle-income countries (LMICs), though its priority should have gone to the least developed countries (LDCs). Concerned voices are raised that the Korea’s unique policy which is not in line with the global assistance trend may backfire, by ignoring international norms and recommendations (Kwon, 2006). Simply put, the problem is that Korea focuses on its own economic benefits from ODA, rather than poverty reduction and development of recipient countrie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ODA is the global cooperation based on the international consensus in order to contribute to poverty elimination and social and economic advance of developing nations in the firm belief of common prosperity of human kind. In this regard, Korea’s ODA should rather accept the international demands and assistance norms than arguing for Korean style ODA. It is high time for Korea to adopt a new ODA paradigm for truly international cooperation. This study started off from the fundamental question; “What forces affect the pattern of donor countries’ policy?” This study makes a contribution to the discussion on the determinant factors of changing Korea’s ODA policy pattern as a donor from 1960s to present. More specifically, the assumption is that Korea’s ODA policy has changed according to factors such as different administration, political and economic conditions from home and abroad and demands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is paper argues that each administration in Korea has been influenced by a variety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factors to establish ODA policy. I also suggest that the Korean Government have changed from national interest oriented to accommodative to international demands, going in the direction of adhering to the international ODA norm and regime. In other words, Korea’s ODA policy has been weighed on by not only domestic political and economic conditions but also various factors under the international regime. In this paper, through Korea’s ODA policy analysis, Korea’s shift in ODA policy from self interest oriented to ‘Good Samaritan’ will be identified. ODA policies of each Korean government adapted to changes in geopolitical circumstance of that time organically. Indeed, policies of each government did not fully reflect changes and development in international ODA regime. But, it is true that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political arena surely have impacted Korea’s foreign and ODA policies. In other words, the study on ODA policies of each government shows that there are factors influenced and not influenced by international ODA regime along with domestic political and economic factors. Reasons vary. Yet, this study concludes change and duration in the pattern reflects change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factors. From perspectives of time, the influence of international factors rather than domestic ones has become large as time goes by. The purpose of aid has been changed from donor-oriented to development of recipient countries. This trend became apparent since Korea joined DAC after the Rho and Lee government. It is positive and outstanding achievement for Korea to adopted recommendations from DAC and made meaningful change in its ODA policies since 2006. Nonetheless, still more commitment is needed. For example, it was just recent that KOICA and EDCF reflected international consensus such as MDGs in their programs. But there are many positive signs. The past and present ODA policy patterns of Korea have showed that Korea has continued to respect and accept international ODA regime though at a gradual speed. It becomes a responsible member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never turning blind eye to global causes and calls. Korea needs to take stock of its achievement and future policies to serve as exemplary role to acceptors. Therefore, this paper is designed to analyze Korea’s ODA policy based on OECD/DAC guidelines. This paper aims to clearly set the basic direction and purpose of ODA policy and guide Korea’s policy toward international norm in an efficient way. 2010년 24번째 회원국이 된 한국의 OECD/DAC가입은 우리에게뿐만 아니라 많은 개발도상국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2010년부터 DAC의 정식 회원국이 되면서 한국은 ODA의 양적 그리고 질적 성장을 통해 국제사회에 기여해야 하는 분명한 책임을 안게 되었다. 하지만 DAC Peer Review에서 지적했듯이 한국 ODA는 아직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이 남아있다. 대부분의 공여국이 OECD/DAC이 권고하는 ODA가이드라인을 따르고 있는 반면 한국 ODA는 아직 국제사회의 가이드라인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한국의 원조현실은 2009년을 기준으로 GNI대비 0.09%, ODA공여국 중 최하위 수준에 머물러 있고, 비구속성 원조의 비율도 점진적으로 높아지는 추세를 보이고는 있지만 여전히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 또한 최빈국에 우선적으로 지원되어야 할 ODA가 하위중소득국에 몰려있고 지역적으로도 아시아에 편중되어 있다. ODA가 인류 공존공영을 토대로 개도국의 빈곤퇴치와 사회·경제적 발전에 기여하기 위한 국제합의를 거친 협력사업임에도 불구하고 원조를 통한 개도국의 빈곤퇴치와 경제발전보다 오히려 공여에 따른 한국의 경제 파급효과에 관심이 쏠리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의 ODA는 한국의 독자적인 한국형ODA를 주장하기보다는 국제사회의 요구와 국제사회 규범(norm)을 수용하면서 선진원조의 방향과 조화를 이룰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한국은 개발도상국에게 모범이 될 수 있도록 그 동안 잘한 것과 앞으로 잘해나갈 것에 대한 반성과 고찰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한국의 ODA정책을 분석해서 이것을 OECD/DAC의 방향성과 비교하는 것이 의미가 있으며, 이러한 반성을 통해 한국ODA가 근본적으로 고려해야 할 문제를 밝히고자 한다. 아울러 원조정책의 기본방침과 정책목표를 명확히 정립하고 앞으로 국제정의를 실현할 수 있는 원조방향으로 유도하고자 하는 기대도 있다. 본 논문은 ODA정책결정의 이면에는 다양한 원조목적이 있을 수 있음을 전제하며, 공여국이 원조를 통해 정치, 경제적 이익을 얻는 목적 그리고 수원국의 발전을 위한 수원국 중심의 인도적 목적 등이 있음을 문헌연구를 통해 뒷받침한다. 또한 정부의 원조정책은 다양한 원조의 목적과 국내외 여건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전제로, 본 논문은 국제사회의 변화와 국내의 경제, 정치적인 여건에 따라 ‘정권별로 다양하게 나타나는 ODA정책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결론적으로 한국의 ODA 정책분석을 통해 정권별 ODA정책이 이전에는 국익을 위한 경제협력을 목적으로 하는 원조에서, 점차 국제사회의 규범(norm)과 ODA regime을 수용하는 연습을 통해 수원국의 개발을 목적으로 한 선한 의도로서의 원조로 변화하고 있는 과정임을 밝힌다. 결과적으로 한국 ODA정책은 국내외의 정치, 경제적 요인들에 영향을 받으며, 또한 경제적 위상이 높아지면서 국제사회의 일원으로서 부담해야 할 책임감을 무시하기 어렵기 때문에 점차 국제사회요구(international ODA regime)를 반영하여 원조정책을 세워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논문의 한국 ODA정책분석을 통해서, 점차적으로 한국이 International ODA Regime을 존중하고 수용하기 위해 변화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긍정적 변화는 한국의 단독행동이 아니라 개도국 빈곤퇴치를 위해 국제사회와의 조화를 통해 한 목소리를 만들어 나가기 위한 노력으로 볼 수 있으며, 앞으로 전 지구적 문제를 함께 해결해나갈 국제사회의 중요한 파트너로서 한국의 모습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