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한중 대학교 무용 교육과정의 비교 연구

        이권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87

        무용은 사람들의 사상과 감정도 표현할 수 있는 예술 형식이다. 무용의 발전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용 교육이다. 무용 교육의 목적은 협의로는 무용 이론 지식의 전수로부터 광의로는 사회에 우수한 무용 인재를 배양하기 위함까지 넓은 범위에 형성되어 있다. 최근 차세대 무용 인재를 배출하기 위한 대학 내 무용 교육의 필요성이 날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서양보다 무용 발전이 비교적 늦었던 동아시아의 대학 무용교육에는 아직 개선해야 할 문제점이 남아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동아시아를 대표하는 한국과 중국의 대학 무용 교육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양국의 무용 교육이 앞으로 발전하고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함에 있다. 무용 교육에 있어 두 나라의 공통점은 보다 체계적인 교육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선진화 된 교육 시스템을 도입하고자 노력하고 있다는 점이다. 다만 한국과 중국의 무용계 환경 및 전통 문화, 대학 교육 체도의 차이점에 근거하여 한국과 중국의 무용 교육은 여러 차이점을 지니고 있기에 비교 연구의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이에 따라 연구자는 한국의 상명대학교와 중국의 중앙민족대학교를 구체적인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교육목표, 교육과정 및 교육특징을 토대로 한국과 중국 대학 무용 교육 과정에 대해 비교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2개 대학 무용 교육에 대한 심층적 고찰을 통해 공통점과 차이점을 각각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한중 양국 무용 교육의 현 상황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여 양국 무용 교육의 선진화, 국제화 및 개선에 중요한 방향을 설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주제어: 중한대학교,교육과정 Dance is an art form that can express people's thoughts and feeling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dance is dance education. In a narrow sense of the word, the purpose of dance education is to transfer the knowledge of dance theory and in a broad sense, it expands to the broader scope of cultivating talented dancers in a society. Recently, there is a growing need for university dance education for the next generation of dance talents. However, there are some problems still left to be improved in the university dance education in East Asia where dance development was relatively late than in the Wes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dance education in both countries based on the research on the university dance education in Korea and China which represent East Asia. These two countries have common points in dance education in that they are trying to introduce an advanced education system, recognizing the need for more systematic education. However, If you look more closely at Chinese dancers' environment, traditional culture, and university education system, you can find many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dance education, so I think it is worth conducting the comparative study on this matter. Therefore, I selected Sang-Myung University in Korea and Minzu University in China as specific research subjects, and tried to conduct a comparative study on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dance curriculum based on educational goals, curriculum and education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I analyzed the common point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wo university dance education in depth. I hope this study can help to achieve advancement, internationalization and improvement of the two countries dance education by providing some understanding on the current situation of dance education in Korea and China. Key Word: University Of Korea And China, Dance Education

      • 시대적 변화에 따른 UI(University Identity)의 효율적 디자인 연구 : 상명대학교 심볼마크를 중심으로

        김의석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87

        국문요약 시대적 변화에 따른 UI(University Identity)의 효율적 디자인 연구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사회와 문화의 급격한 변화와 발전으로 인하여 대학은 질적 혁신을 통한 변화의 노력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현재는 대학 간 경쟁에서 뒤쳐져 대학이 축소되거나 통합되는 경우가 나타나고 출생자수의 점차적 감소에 따라 대학 지원자도 줄어드는 현실에 있다. 그리고 입학전형의 다양한 변화와 국내 대학시장의 해외개방 등 다각도로 변화하는 환경으로 인해 생존을 위한 치열한 경쟁이 대두되고 있다. 대학은 이 같은 현실을 직시하고 미래지향적인 의식개선과 인식의 변화를 필요로 하고 있다. 이에 따른 대학의 다양한 노력 중 하나는 대학정체성 확립을 위한 UI(University Identity, 이하 UI라 칭함)시스템의 도입과 지속적인 개선 및 개발이다. UI는 직접적인 대학이미지의 대표적인 상징이기 때문에 이는 대학의 이미지와 마케팅 성과를 좌우하는 요소로서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일반인과 대학 예비 구성원이 특정한 대학에 대해 가지는 생각과 표현의 결과는 대학 생존과 이미지 제고에 결정적인 영향을 준다. 따라서 대학은 경쟁력 확보를 위해 체계적이고 미래지향적인 UI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그러므로 UI는 정립된 철학을 바탕으로 대학만의 정체성과 개성을 표현하고 신뢰감이 내제된 절제된 표현을 디자인적 감성을 통해 현대적이고 나아가 미래지향적인 이미지로 표현되어야 한다. 현재 국내외 대다수 대학들은 UI의 개선 작업을 진행하였으며, 대학 이해관계자의 시각들은 세계 비주얼 환경의 끊임없는 업그레이드와 다양한 변화에 동행하듯 발전해 가고 있는 상황이다. 그리고 대학들은 현재 시점에서 보다 업그레이드된 UI를 기반으로 홍보 전략을 수립하고 있으며, 급변하는 시각 환경에 동승하고 미래지향적인 이미지가 형성될 수 있도록 UI 디자인의 개선과 개발에 따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의 사례인 상명대학교 UI의 경우 1996년에 현재의 심볼로고를 제작하였고, 2003년 10월에는 시스템화된 매뉴얼을 완성하여 대학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통일적 지침서로서 역할을 해왔으며, 자긍심과 연대감 조성을 바탕으로 미래 비전을 제시할 수 있는 중요한 기준이었다. 그러나 지속적으로 변화ㆍ발전하는 대학이 많아지는 시대로 점점 접어들면서 상대적으로 UI를 14년간 활용해 왔던 상명대학교는 현재 경쟁력을 갖춘 적절한 UI로 개선ㆍ개발되어야만 하는 상황이 되었다. 상명대학교는 대학 UI가 갖는 경영전략적 효용으로써 비용대비가치(Value per dollar)를 높이고, 대학 구성원들의 인식 변화를 이끌며, 대학의 미래지향적 마인드를 담을 수 있도록 디자인적 방법론의 탐색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상명대학교 UI를 대상으로 하여 새롭게 개선된 ‘심볼마크’ 디자인을 전략적 접근 방법으로 제시하여 새로운 환경과 다양한 적용매체에 유연하게 적응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시대변화에 따른 대학의 외생적 환경변화를 살펴보고, 대학의 전략적인 홍보와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한 디자인을 위해 국내외 대학의 심볼마크 사례 분석과 본 연구가 제시한 두 가지 상명대학교 심볼마크 개선안에 대한 실증조사 결과를 통하여 개선 전략을 수립하고 그에 따른 개선 전술 방안을 시작품을 통해 제시하고자 한다. 이는 대학이 새로운 환경변화에 적응하는데 있어 명확한 기준과 지침이 될 것이며, 대학의 대내ㆍ외적인 교육사업 개발 및 진행시 비용절감에 유용한 전략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대학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대학 간의 무한경쟁 속에서 생존과 위상을 높일 수 있으며, 대학 내의 조직원과 예비구성원, 그리고 일반대중들에게 대학이미지 제고와 홍보효과를 높이는데 큰 역할을 할 것이다. 앞으로 대학 전 구성원이 대학발전을 위한 마인드 제고와 이를 밑바탕으로 한 꾸준한 연구와 노력으로 세계로 확장된 대학경쟁시장 속에서 상위권 대학으로 자리매김한 자랑스러운 상명의 모습을 기대해 본다.

      • 대학교 학점은행제 실용무용 교육과정의 비교연구

        박연주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71

        오늘날 실용무용(스트릿 댄스)은 수많은 매스컴의 관심과 주목을 받고있다. 그로 인해 실용무용 (스트릿 댄스)은 여러 가지 영역을 넓혀가고 있으며, 여러 학자들에 의해 실용무용의 역사 및 용어 정리가 확립되는 중이다. 그중에서도 교육적 영역의 확립은 무용 전문 인재 양성을 위해서 꼭 필요하다. 본 연구는 대학교 내 학점은행제 시설 운영이 활발한 오늘날, 학점은행제 평가인정 과목 수가 20개 이상인 대학교 중 4년제 학교에서 운영 하고 있는 4개의 학교(상명대학교 부설 평생교육원, 국민대학교 부설 평생 교육원, 한양대학교 부설 미래 인재 교육원, 세종대학교 미래교육원)을 선정하여 학교의 이론 및 실기교과목 교육과정과 교육 목표를 문헌조사와 사회조사를 활용하여 선행 논문, 인터넷 조사, 통계치 분석 및 인터뷰를 통해 고찰하고 각 학교 학과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해 대학교 학점은행제 실용무용 교육과정의 방향성과 교육적 발전을 위해 문헌 연구를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관별 교육 목표는 이론과 실기를 겸비한 전문 인재 양성이라는 공통점을 지니며 더 나아가 다양한 장르를 습득하고, 기초이론 및 실기 교육 습득하여 개인의 능력 향상을 목표로 한다. 둘째, 기관별 교육과정은 표준교육과정과 학점인정과목 (일반선택), 전공 심화 과정으로 구분되며, 표준교육과정은 전공 필수와 전공 선택으로 심층적 탐구를 진행하였다. 전공 필수는 총 8과목으로 기관별로 8과목 모두 운영하고 있으며, 전공 선택은 기관별로 차이가 있으나 모두 15과목 이상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학점인정 과목(일반선택)은 기관별 개설 운영과목이 큰 차이를 보였으나, 힙합Ⅰ,힙합Ⅱ의 과목은 4개의 기관 모두 운영 중이었다. 이는 각 기관의 학생들에게 열려있는 실용무용 관련 학점인정 과목이기 때문에 4개 기관 모두 운영 중인 것으로 판단했다. 또한 전공 필수, 전공 선택, 학점인정과목(일반선택) 모두 힙합Ⅰ,Ⅱ를 제외하곤 대부분 순수무용 과목과 타학과 과목으로 개설되어 있었다. 또한 이들의 과목 수를 합한 이론 및 실기 과목 비율이 70% 이상 실기 과목이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용무용 전공 심화 과목은 기관별 학과 교수역량으로 개설이 가능하며, 학점이 인정되지 않는다는 단점을 가지지만 부족한 실용무용 역량을 채우기 위해 개설되고 있다. 과목은 락킹, 왁킹, 팝핀, 비보잉, 등으로 운영된다. 4개 기관 모두 모든 실용무용(스트릿댄스) 장르를 전공 심화 과목으로 운영 중이었다. 그중에서도 세종대학교 부설 평생교육원은 21세기 멀티 무용 인재 양성이라는 교육 목표를 따라 개성과 특성이 보이는 다양한 전공 심화를 운영 중이었다. 그러나, 4개 기관의 전공 심화 과정 모두 실기수업으로 이론 수업이 전무 한 것으로 나타났다.

      • 국내 음악대학의 음악산업 교육과정의 필요성

        김유림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71

        본 논문은 연구자가 4년제 음악대학의 작곡전공 교육과정을 통해 체 감하였던 실태에 대하여 말하고자 객관적인 자료확보를 통한 연구결과를 제시함과 동시에 이를 위한 해결과 발전에 관한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해 DAW에 대한 소개와 그에 관한 전문성을 갖추는 과정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강점, 그리고 그 역량을 갖춘 이가 현 시대에서 음악가로써 살아갈 때의 이점을 기술하였다. 먼저 서론을 통해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말한 후 이를 위한 연구 방법과 그 범위를 제시하고 또 이에 대한 선행연구도 조사하여 목차에 맞 게 그 내용을 인용하였다. 우선적으로 조사한 음악 대학교의 작곡 커리큘 럼 현황에 대해서 국내, 미국, 독일을 조사하며 대학교 선정은 음악 내에 서도 세부적으로 분류하여 교회음악 중심의 커리큘럼,4년재 음악대학의 평균적인 커리큘럼, 실용적 교육에 대한 비중을 높인 커리큘럼 등 총 3개 의 관점을 갖고 조사하였다. 추가적으로 지리적 측면에서 대한민국과 마 찬가지로 극동아시아에 속하는 일본에서 대표격으로 말할 수 있는 음악대 학의 교과과정까지 조사하여 총 4개의 국가에서 17개의 음악대학을 조사 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음악 산업현장에서 필수적으로 요구하는 인재들의 역량에 대하여 조사하기 위해 현장에서 활동하는 사람들과의 인터뷰를 진행하였 다. 음악 산업현장은 총 영상음악,Pop 음악, 음향 등 3가지로 카테고리화하여 진행하였고 또한 음악 산업현장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는 음악가 중 국내 음악대학을 졸업한 사람들을 만나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현재 음악대학의 교육과정을 통해 공부하고 있는 음악대학의 학부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조사한 17개 음악대학의 커리큘럼과 음악 산업현장에서 진행한 인터 뷰, 교육 현장에서의 학생대상 설문조사를 최종적으로 종합하고 비교분석 하여 이 모든 내용이 DAW에 대한 역량강화 필요성을 포함하여 말하고 있음을 연구하였다. 결론적으로 DAW 역량강화를 통해 기대할 수 있는 많은 이점들에 대해서 나열하여 최종적으로 연구과정과 결과가 사회적 요 구에 부응하는 음악대학 작곡전공 교육과정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기대한다. Abstract The Necessity of the Music Industry Curriculum at Music Universities in Korea - A Study on the Curriculum Improvement Plan - This paper presents the research results by securing objective data to talk about the situation the researcher experienced through the four-year music Umiversities composition major curriculum and for describing the positive effects from having the DAW expertise, introduce DAW and relate the benefits of living in this age. First,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research are mentioned through the introduction, and then the research method and scope for this are established. In addition, previous research data related to these were also investigated and the contents were cited according to the table of contents. for the composition curriculum of music universities, Korea, the United States, and Germany were investigated, and the university selection was classified into three perspectives: church music-oriented curriculum, average curriculum of four-year music universities, and practical education. In addition, in terms of geography, the curriculum of music universities in Japan, a country in Far East Asia like Korea, was investigated. So 17 music universities were surveyed and compared and analyzed in a total of 4 countries. After that, this paper shows interviews with people working in the field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mpetencies of talent essential in the music industry field. The music industry site was categorized into three categories: total video music, pop music, and sound,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musicians who graduated from music universities among active musicians in the music industry site. And for the Final, a survey was conducted on undergraduates of the College of Music who are currently studying through the curriculum of the College of Music. By synthesizing and analyzing the curriculums of 17 music universities, interviews conducted at music industry sites, and survey results for students at education sites, all of these contents were studied including the need to acquire professional skills for DAW. In conclusion, we recognize many advantages that can be expected through acquiring professional skills for DAW and hope that research courses and results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composition major curriculum of the College of Music to meet social needs.

      • 한국과 중국 대학교의 현대무용 교육과정 비교 연구

        백맹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71

        국 문 요 약 한국과 중국 대학교의 현대무용 교육과정 비교연구 한국과 중국은 공통된 문화적 배경과 사회풍속을 갖고 있기 때문에, 중국의 경우 미국과 유럽 등 서양의 다른 나라보다 한국의 현대무용에 대한 비교 연구는 중국 현대무용의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한국 대학교와 중국 대학교의 현대무용 교육과정 및 현황을 파악하여 그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고 문제점을 도출한 후, 이를 바탕으로 하여 중국 대학교의 현대무용 교육과정에 대한 개선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의 대학교 중에서 이화여자대학교와 상명대학교를 선택하였고, 중국의 대학교 중에서 복경무용학원과 수도사범대학을 선택하였다. 이들 4개 대학을 대상으로 하여 중국의 현대무용 교육과정에 관하여 비교 연구하였다. 구체적으로 이들 4개 대학교의 현대무용의 교육목표, 교육과정(이론과목, 실기과목), 교육내용 및 방법 등을 순서대로 고찰하고,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각각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 추론할 수 있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대학교의 현대무용 교육목표처럼 중국 대학교의 현대무용 교육목표에도 무용 전문 인력의 양성을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한국의 대학교와 마찬가지로 중국의 대학교에서도 현대무용의 이론과목으로서 “무용표기법”을 추가할 필요가 있다. 셋째, 중국의 대학교의 현대무용 실기 과목을 10개 강좌 이상 확대하여 한국의 대학교처럼 반복적인 실기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Comparative Study of Modern Dance Curriculum in University of Korea and China Bai Meng Dept. of Damce The Graduate School Sangmyung University Korea and China have a common cultural background and social customs, because the comparative study of Korea's modern dance than any other country in Wester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can be considered to contribute significantly to the development of modern dance in China. Thus,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problem of modern dance's curriculum and education status in the Korea's University and the China's University, and on this basis aims to establish a improvement for modern dance curriculum of China's University. In this paper, Ewha Womans University and Sang Myung University in Korea was selected, and Beijing Dancing Academy and Capital Normal University in China also was selected. and this paper was done comparative study about the curriculum of modern dance targeting these four universities in Korea and China. Specifically, the objectives of education, teaching courses (theoretical courses, practical courses), teaching contents and methods of modern dance in these four Universities were analyzed fo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e conclusion in this paper can be inferred as follows. First, as with Korea's University in the object of modern dance at China's University the educational objectives for the training and upbringing of professional dance staff is even more desirable. Second, as with Korea's University in the theoretical courses of modern dance "dance notation" needs to be added in China's University. Third, as with Korea's University practical courses of modern dance should be increased more than 10 courses and repeated practical learning should be done.

      • 한·중 시각디자인 교육 과정 비교 연구

        왕모자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71

        4차 산업 혁명은 디자인 산업구조의 변화를 이끌었는데 신기술의 출현으로 인해 새로운 직업 형태들이 생겨나게 되었다. 또한 사회 여러 분야에서는 디자인 인재에 대한 지식 구조와 함께 새로운 전문적인 역량이 필요하게 되었다. 디자인 산업 중에서도 시각디자인 분야는 디자인 기업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기도 하고, 디자인 전문기관에서 제공하는 디자인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부분이기도 하다. 따라서 산업구조의 변화와 함께 이에 따른 인재 수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대학교의 교육과정이 필요하다. 이에 한국과 중국의 우수한 시각디자인 전공 교육과정은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 대표적인 대학의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하였다. 미래인재에 관한 자료를 근거로 시각디자인 인재의 역량으로 꼭 필요한 5가지 역량을 도출하였다. 시각디자인의 인재 역량은 `전문지식 탐구력', `창의적 문제해결력', `융복합적 사고능력', `조형적 표현력', `논리적 기획력'이다. 본 연구의 범위는 2019년 QS 세계대학 예술 및 디자인학과 평가 순위에 따라 대표성 있는 대학으로 한국에서는 서울대학교와 홍익대학교를 선정했고 중국에서는 청화대학교와 강남대학교를 선정했다. 이와 함께 추가로 한국에서는 디자인 교육을 특성화한 상명대학교와 중국에서는 디자인 학과에서 높은 평가를 받는 소주대학교를 선정하여 총 6개 대학의 시각디자인 교육을 바탕으로 교육이념과 수업시스템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시각디자인 인재의 5가지 역량'을 척도로 6개 대학의 시각디자인 교육과정도 함께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첫째, 한국 대학의 시각디자인 교육이념은 디자인 환경 변화에 맞춰 시각디자인 전문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었다. 한국 대학의 수업시스템은 분산식(15주) 교육방식을 운영하고 있었으며 이는 `능동적'인 사고 및 탐구적인 교육방식이라 할 수 있다. 반면 중국 대학의 시각디자인 교육이념은 이론과 실천의 결합을 강조하여 다양한 직무에 맞는 복합형 인재 육성을 목표로 하고 있었다. 수업시스템인 경우 집중식(2, 3, 4, 8주 등)교육과 분산식(16주. 이론수업)교육 등 다양한 교육방식을 운연하고 있었으며 이는 `수동적'인 지식습득 학습방식이라 할 수 있다. 둘째, 한·중 대학의 시각디자인 전공 교육과정을 비교한 결과 `시각디자인 인재의 5가지 역량'은 한·중 6개 대학 모두 골고루 나타났다. 양국 대학의 시각디자인 교육과정에서 `전문지식 탐구력'의 비율은 비슷하게 나타났다. 반면 한국 대학 시각디자인 교육과정의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융복합적 사고능력', `논리적 기획력'의 비율은 중국 대학보다 높게 나타났다. 한편 중국 대학 시각디자인 교육과정의 `조형적 표현력' 비율은 한국보다 높게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한국은 `조형적 표현력'과 `전문지식 탐구력' 위주로 되어있으며 `논리적 기획력', `창의적 문제해결력', `융복합적 사고능력'이 비교적 균형적으로 나타났다. 반면 중국은 `조형적 표현력'이(41.9%)이 매우 높게 나타나며 그 다음으로는 `전문지식 탐구력'을 높게 나타났고, `논리적 기획력', `창의적 문재해결력', `융복합적 사고능력'에 대한 교육과정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중국 대학의 시각디자인 교육은 미래의 시각디자인 인재 양성을 위해 한국 대학의 시각디자인 교육과정 설정을 참고로 `융복합적 사고능력'과 `논리적 기획력'에 관련된 교육과정을 적절히 강화할 필요가 있다. 융복합적 사고능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프로젝트', `스튜디오', `워크숍' 등의 교과목을 추가적으로 개설하여 포함시키는 것이 필요하며, 논리적 기획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디자인 리서치', `디자인 매니지먼트', `기업적 디자인 스튜디오' 등의 교과목을 추가적으로 개설하여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시각디자인 교육과정에는 `전문지식 탐구력', `창의적 문제해결력', `융복합적 사고능력', `조형적 표현력', `논리적 기획력' 등 5가지 역량을 갖춰야하지만 대학교마다 가지고 있는 환경이나 특성(추구하는 비전이나 교육목표 등)에 따라 교육과정을 구성해야 한다. 글로벌 산업의 변화와 과학기술의 발전은 미래 업무의 내용과 방식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미래에는 시각디자인 인재의 역량에 대한 사회적 수요에도 변화가 생길 것으로 예상된다. 미래의 시각디자인 인재 역량이 사회적 수요에 더욱 부합하기 위해서는 대학의 시각디자인 교육이 사회적 수요에 맞게 학과의 교육과정을 조정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각디자인 인재의 5가지 역량을 확인하였고, 그 분석결과는 후속 연구에 응용될 것으로 기대할 뿐만 아니라 한·중 양국 대학의 시각디자인 교육 교육과정 설정 및 인재 양성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 한⋅중 대학교 무용교육 체계의 비교 연구

        이권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671

        Dance education is an important education that realizes the values and functions of art education as important form and means of art education. However, the current status of dance education shows that there is not enough implementation on the education of dance itself, and as a result of neglect of research on the core values of dance education, dance studies are relatively experiencing marginalization between humanities and natural sciences. In accordance with China’s reform and opening policy, China has been promoting exchanges with other countries in culture education, while also gradually increasing exchanges on dance education. The dance education of universities in China is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dance education system following the development of today’s era and changes in history. As institutions of higher dance education, universities faced new demands and challenges for the dance education system under the background of the new cultural era.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literature researches, and a comparative study was conducted on the education system of department of dance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which are located adjacent to East Asia, in order to achieve the advancement of Chinese dance education. To this end, universities located in the capitals of the two countries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to analyze and study the dance education system of the universities based on research on three parts, which are the selection process of freshmen in department of dance, the current status of opening of curriculum, and the graduation requirements. Through organiz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dance education systems of Korean and Chinese universities with the process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urrent state of the dance education system of the universities in the two countries, this study sought the development and future establishment direction of the Chinese dance education system and drew out the improvement plan on the Chinese dance education system. Furthermore, the researcher intends to establish improvement plans through this study, while also researching for the Chinese dance education system to achieve the pluralization of development in the globalization trend of art in the future.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n educational objective of dance education in universities, the boundaries of dance should be widened to contribute to popularizing dance. Second, dance education in universities should break the standardized education system while setting up an educational system that conforms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university and creating its own educational characteristics. Third, dance education in universities should provide students with an opportunity to choose from a wide range of autonomous learning fields. It is hoped that this research would help the researchers who conduct follow-up studies on Korean and Chinese dance education fields, and further help the development of Chinese dance education through the process of comparative study on Korea’s advanced university dance education system. 무용교육은 예술교육의 중요한 형식 및 수단으로서 예술교육의 가치와 기능을 실현하는 중요한 교육이다. 그러나 현재 무용교육의 현황을 보면 무용 자체의 교육가능 구현이 충분하지 않은 상태이며 구체적으로는 무용교육의 핵심적 가치에 대한 연구에 등한시한 결과 무용학이 인문과학과 자연과학 사이에서 비교적 주변화를 겪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중국의 개혁 개방정책에 따라서 중국은 문화교육에 있어서도 해외 각국과 교류를 촉진을 하면서 무용교육에 관한 교류도 점차 활발해지고 있다. 중국 대학교의 무용교육은 오늘날 시대의 발전 및 역사의 변천에 따라서 무용교육 체계를 정립하는 중에 있다. 대학교는 고등 무용교육기관으로서 새로운 문화 시대 배경 하에 무용교육 체계 새로운 요구와 도전에 직면하였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진행하며 중국 무용교육의 선진화를 이룩하기 위하여 동아시아의 인접국인 한국 대학 무용교육과의 교육체계에 대한 비교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도에 위치한 4년제 대학교인 한국의 이화여자대학교, 한양대학교, 상명대학교 및 중국의 중앙민족대학교, 수도사범대학교, 베이징사범대학교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대학교 무용교육 체계를 크게 무용학과의 신입생 선발과정, 교육과정 개설현황 및 졸업요건의 세 부분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분석 연구하였다. 한국과 중국 대학교 무용교육 체계의 현황을 비교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서 양국 대학교 무용교육 체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정리해서 중국 무용교육 체계의 발전 및 향후 정립 방향을 모색하여 중국 무용교육 체계의 개선방안을 도출해 낼 수 있도록 하며, 더불어 본 연구를 통해 개선방안을 정립하는 한편 중국 무용교육 체계가 향후 예술의 세계화 경향 속 발전의 다원화를 이룩할 수 있도록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교의 무용교육은 무용의 경계를 넓혀서 무용을 대중화시키는 데에 기여하여야 한다. 둘째, 대학교 무용교육은 각 대학교의 특성에 부합하는 교육체계를 설정하고, 자신만의 교육적 특색을 조성해야 한다. 셋째, 대학교 교육은 학생들에게 자율적 학습 분야 선택의 공간을 제공해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한국과 중국의 무용교육 분야를 후속적으로 연구하는 연구자에게 도움이 있기를 바라며, 나아가 인접 국가인 한국의 선진적인 대학교 무용교육 체계를 비교 연구하는 과정을 통해 중국 무용교육의 발전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대학교 우슈 전공자의 과거·현재·미래에 대한 연구

        탕홍부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55

        이 연구의 목적은 운동을 포기한 대학교 우슈 전공자가 왜 학교를 졸업하고 운동을 포기하게 되었는지, 우슈를 전공했던 대학생들이 졸업을 한 후에 진로를 결정할 시기가 됐을 때, 사회적 변화에 따라 어떻게 적응해 나가고 있는지 그리고 그 변화에 따라 대응해야 하는지에 대한 그 요인을 탐색하고, 우슈 전공자의 삶을 바라봄으로서 우슈 전공자들의 발전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대학교 우슈 전공자로 대학교를 졸업하고 우슈 경력이 5년 이상이며, 학생 선수로서 경기 출전 경험이 있는 자로서, 중국 국가 2급 우슈 운동선수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고, 과거 및 현재의 상태와 배경, 개인적인 사정으로 운동포기 한 4명으로 중국에 거주 중인 사람으로 선정 하였다. 연구 자료는 질적 연구 중 하나인 문화기술지를 통하여 수행하였으며, 심층 면담, E-mail 답변, 전화 인터뷰(화상 통화)을 활용하여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전사, 부호화, 범주화 단계에 따라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를 절차에 따라 분석 및 해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교 우슈 전공자의 과거 학창 시절을 회상하여 우슈 전공자들의 학생 시절을 알아보면서 우슈를 통한 긍정적인 삶, 취업 준비를 위한 대비, 힘든 운동의 삶, 즐겁지 않는 학교생활의 4가지 영역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둘째, 대학교 우슈 전공자들이 우슈를 전공했지만 대학교를 졸업하고 어떤 이유로 우슈를 포기했는지 알아보면서 우슈 취업 기회 부족, 태권도에 매료의 2가지 영역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셋째, 대학교 우슈 전공자들이 우슈를 전공하면서 우슈가 더 나아갈 수 있었지만 그렇지 못한 방해 요인과 우슈에 활성화를 위한 개선 방안들을 알아보면서 우슈 발전 방향 모색, 우슈 교육 시스템 재구축, 공격적인 홍보 전략 모색의 3가지 영역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대학교 우슈 전공자의 과거 학창 시절 경험은 우슈를 통해 소극적이던 성격이 적극적이고 활동적이고 자신감이 상승했으며 병약했던 체력이 점점 눈에 띄게 좋아졌다. 하지만 학교 생활은 즐겁지 않는 생활로 통제와 반복된 학교 생활과 가족에 대한 그리움이 있었다. 또한 힘든 훈련을 버티며 우슈 전공으로 대학을 진학했지만 현실은 달랐다. 우슈 전공자들은 우슈로 취업하기는 직업 수요량이 부족하고 취업이 어려운 상황으로 우슈를 포기하고 인기 있는 직업을 선택하기 시작했다. 우슈 전공자들은 우슈의 활성화를 위한 개선 방안으로 우슈 문화적 가치를 알리고, 우슈의 인지도를 높이는 홍보 전략과 발전방안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 치유 개념을 적용한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 연구

        갈환환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55

        국문요약 국민 경제가 발전하면서 삶의 질에 대한 사람들의 기준도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현재 일부 노인 돌봄 환경, 특히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한 노인 돌봄 환경은 노인의 생리적, 정신적 수요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노인 돌봄 구조의 변화로 인해 일부 노인은 집에서 노후를 보내지 못하고, 실버타운에 입주하기도 한다. 사별하거나, 병환으로 고생하거나, 거동이 불편해 개인적〮사회적 스트레스를 받는 노인에게 심신 건강과 스트레스 해소 및 치유 기능이 갖춰진 돌봄 환경이 필요하다. 또한 노인의 심신 건강을 치유해 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주는 것은 사회의 조화로운 발전에도 중요하다. 노인 돌봄 공간에 원예치료 환경을 조성하면 시설 미관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심신 건강에 대한 노인의 수요도 만족시켜 노인이 여생을 더 즐겁게 보낼 수 있다. 관련 문헌 연구를 보면, 현재 노인 돌봄 환경 문제에 대한 연구는 주로 건축 계획 분야에 집중되어 있으며, 노인 돌봄 환경 문제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적은 편이다. 연구는 대개 기술적 측면에 치중되어 있는데, 주로 어떻게 하면 건축과 개조를 통해 노인에게 편안한 거주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본 논문은 인구 고령화가 점차 심각해지고 사회 노인 돌봄 서비스 시스템이 구축되는 과정에서 실버타운의 수요 측면의 문제점을 깊이 있게 연구하여 노인을 위한 더 나은 노인 돌봄 환경을 만들고자 한다. 전 세계적으로 노인 인구가 증가하면서 실버타운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늘어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돌봄 산업도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또한 의료의 발달과 삶의 수준 향상 및 노인의 노후 삶에 대한 인식 변화로 인하여, 단순하고 제한적인 노인 돌봄 환경은 노인들의 정신 및 생활에 대한 수요를 만족시킬 수 없다. 동시에 치유 개념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면서 사람들은 식물이 인간의 생리적 기능 및 심리와 깊은 관련이 있다는 것을 점차 인식하기 시작했으며, 이에 원예치료도 다시 각광받기 시작했다. 치유 개념을 실버타운에 적용하면 실버타운의 수준을 높일 수 있고, 노인에게 보다 다양한 노후 생활을 제공해 줄 수 있다. 동서양의 치유 이념과 실버타운 환경에 관한 연구를 통해 치유 개념의 기존 연구와 실제 적용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첫째, 중국이 실버타운의 치유 환경 연구를 뒤늦게 시작하여 기존의 연구 성과가 적은 편이며 치유 개념과 실버타운을 결합시킨 연구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을 통해 치유 개념을 환경 디자인에 적용할 방법을 모색하고 종합∙귀납하여 중국의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둘째, 본 논문에서는 주로 동서양 국가에서 대표 사례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구미 국가는 실버타운을 비교적 일찍 건설하기 시작하였으며 디자인도 충분히 성숙한 단계에 진입했다. 그에 반해 중국은 한 발 늦게 실버타운을 건설하기 시작했으며 국내 성공 사례가 부족하여 실외 환경 디자인 및 무장애 디자인 등 분야에서 참고할 만한 사례를 찾기 어려웠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사례로 제시한 중국 베이징 동방 태양성 실버타운은 주로 해외 성공 경험을 참고하여 건설한 것이며 여전히 미흡한 점이 많다. (사례 분석에서 자세히 설명) 본 논문의 환경 디자인은 실외 환경 디자인, 조명, 색채, 식물, 공간 계획 등을 포함하며 실내 환경 디자인은 제외한다. 또한 치유 개념과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 관련 문헌 수집과 분석을 통해 동서양의 치유 개념 적용 및 실버타운 현황을 알아보고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에 존재하는 문제점을 종합하여 본 과제의 연구 방향과 주제 의식을 확립하였다. 본 논문은 노인의 각기 다른 수요에서 출발해 실버타운 디자인에 적합한 요건을 파악하고, 치유 개념을 실버타운에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분석하여 실행 가능하고 적절한 실버타운의 환경 디자인 방법을 도출하였다. 본 논문의 주요 연구 성과는 실버타운의 환경 디자인을 분석하고 치유 개념 적용 방식 결합하여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에 치유 개념을 적용하는 방법을 도출하였으며, 치유 개념을 합리적으로 활용한 디자인 방법과 현지 문화경관, 향토 식물자원을 활용해 편안하고 건강한 돌봄 환경을 조성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방법을 실버타운에 적용해 식물, 지형, 도로포장, 물, 소품 표지에 활용되는 방법을 도출하여 실버타운의 다양한 실외 환경을 위한 구체적인 디자인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이는 보다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실버타운 환경 조성에 도움이 된다. 상기 서술한 내용을 기반으로 본 논문에서는 실버타운 치유환경 계획의 기초적인 영향 요인을 결합하고, 노인의 수요와 선호를 참고하여 실버타운 치유환경에 대한 체계적 연구를 실시하고, 연구 성과에 대한 이론적 분석을 통해 실버타운 치유환경 계획에 대한 디자인 전략을 제시하였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실버타운 및 치유 환경 관련 이론과 동서양의 기존 연구 성과를 정리하고 연구와 관련된 개념 및 범위를 정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치유 환경 디자인 개념을 다음과 같이 정했다. 노인의 실버타운 환경에 대한 수요를 근거로 일정한 디자인 방법을 사용하여 노인의 신체 건강을 촉진하는 건강한 지역사회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다. (2) 노인의 행동 및 선호, 심리 및 생리적 특징 차원에서 출발하여 실버타운 치유 환경의 영향요소 및 디자인 원칙의 다양성을 분석하였으며, 실버타운 내 치유 환경 디자인은 안전성, 다양성, 현지성, 적극성, 그리고 교화 역할 등의 원칙을 기준으로 노인의 ‘즐거운 노후, 안정적 노후’에 대한 수요를 만족시켜야 한다. 기존 연구를 통해, 실버타운의 정원 치유환경 계획의 목표를 분석하여, 실버타운의 치유 환경 디자인 요소 간의 연계 및 영향을 종합하였다. 실버타운 환경의 치유 개념 적용을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동서양의 비교적 대표성을 지닌 몇 가지 실버타운 사례를 분석하였으며, 중국 베이징(北京) 동방태양성(东方太阳城)의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을 주요 연구 대상으로 삼고 상기 연구 내용과 결합하여 중국의 치유 개념에 적합한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 이론을 도출했다. 베이징 동방태양성을 위한 실버타운 환경계획 디자인 제안 및 방법을 제시하여 향후 치유 환경을 실버타운 내에 조성할 수 있도록 과학적이고 효과적인 이론과 참고 근거를 제공하였다. (3) 치유 환경 디자인의 역동성, 전체성, 연관성을 통해 실버타운 치유 환경에 대해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참고 문헌, 기존 연구 성과 등을 결합하여 실버타운 치유 환경 디자인 요소 체계를 구축하였다. 치유 개념을 기반으로 한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은 노인 감각기관의 충분한 자극, 자연 공간의 쾌적함 강화, 다양한 식물 선택, 활동 공간의 안전성 등을 고려해야 하며, 식물 등 여러 조건을 충분히 활용하여 인체에 대한 자연환경의 치유 기능을 제고하고 이를 통해 노인의 신체적·심리적 회복을 도모해야 한다. 실버타운 환경의 구역 요소와 지역문화 요소 등을 결합하여 최종적으로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에 치유 개념을 적용할 때의 구체적인 디자인 요구사항 및 응용 방법을 도출해냈다.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실버타운 치유 환경 디자인 요소의 다양화는 노인들의 산책, 명상, 신선한 공기 호흡 등의 활동 수요를 만족시킨다. 실버타운 치유 환경 디자인 요소는 현지성, 적극성 및 교화 등의 원칙에 따라‘노인이 새로운 것을 배우고 즐거움을 얻는다. (老有所乐, 老有所学)’심리를 만족시켜야 한다. 또한 시설 내부 및 주변 공기 질, 토양 환경, 물, 교통 편의성 등의 요소도 실버타운 치유 환경 디자인에 대한 노인의 만족도와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발견했다. 첫째, 실버타운의 환경과 분위기. 미학적 특징의 경우, 시설의 전체적인 색의 조화, 공간의 크기와 환경의 쾌적함, 식물의 계절적 변화와 레이어 등을 중시해야 한다. 문화성의 경우, 일정한 지역 문화를 구현하고, 타운 내 문화 발전에 힘써야 한다. 생태성의 경우, 좋은 식물 군락과 합리적인 식물을 재배하고, 경관 환경 요소와 식물을 합리적으로 배치해야 한다. 식물을 선택할 때 반드시 실버타운의 입지를 고려하여 남부 식물 혹은 북부 식물을 심을 것인지 결정해야 하며, 식물의 오감기능을 중시하여 교목, 관목, 화훼, 지피류 등 다양한 식물 종류를 선택해야 한다. 구체적으로는 노인의 신체재활에 도움을 주는 식물이어야 하며, 식물 색을 배합할 때 계절감이 비교적 뚜렷한 식물을 선택해야 하지만 침엽수, 버들개지 및 독성이 있는 식물은 사용해서는 안 되며 노인의 신체 건강을 위한 식물을 선택하는 것을 전제로 해야 한다. 둘째, 실버타운의 공간 배치. 교통의 접근 용이성의 경우, 안전하고 편리한 도로 체계를 갖춰야 한다. 공간 인식 용이성의 경우, 명확한 표지와 공간 디자인을 사용해 간결하고 명확한 공간 배치를 해야 한다. 셋째, 실버타운의 공간 조성. 공간 적응성의 경우, 노인의 다양한 활동 등 수요를 만족시켜야 한다. 참여성의 경우, 다양한 노인의 개성과 수요를 중시하고, 단순하고 쉽게 조작할 수 있는 시설 등을 조성해야 한다. 공간 영역으로는 다층적인 공간 등을 디자인해야 한다. 넷째 실버타운의 인성화 디자인: 안전성의 경우, 완벽한 예방 보호조치를 취하여 디자인에 존재하는 안전 문제 등을 없애야 한다. 무장애 디자인의 경우, 실버타운 내 도로의 무장애 통행 등에 신경 써야 한다. 마지막으로, 이번 연구는 미비한 점이 많으며, 앞으로의 학습 및 연구를 통해 좀 더 심층적인 탐색이 필요하다. 키워드: 치유,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