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개인 및 조직적 요인이 공항 내 안전업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인천공항 자회사 직원을 중심으로

        배진환 한국항공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인천공항 내 자회사 근무자들의 관점에서 안전업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개인적인 요인인 위험에 대한 태도(attitude toward risk), 위험인식(risk perception), 지식 및 경험(knowledge & experience), 인지편향성(cognitive bias) 및 조직적인 요인인 안전문화(safety climate), 업무환경(work conditions)이 위험감수(risk tolerance)를 통해 불안전행동(unsafe behavior), 불안전상태(unsafe conditions) 및 안전수행(safety performance)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조직 및 개인적인 요인이 복합적으로 안전업무에 영향을 미칠 것인지에 대해 분석하는 것에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체적인 연구모형을 3개로 나누었고 이와 관련한 설문지를 제작한 후 인천공항 내 자회사에 근무하고 있는 직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고, 총 409부의 설문을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는데 연구모형Ⅰ의 개인적 요인에 대한 분석으로 위험에 대한 태도(attitude toward risk), 지식 및 경험(knowledge & experience) 및 인지편향성(cognitive bias)이 위험감수(risk tolerance)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연구모형Ⅱ의 조직적 요인 중 안전문화(safety climate), 업무환경(work conditions)은 위험감수(risk tolerance)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모형Ⅲ 에서는 개인적인 요인 중 위험인식(risk perception)이 위험에 대한 태도(attitude toward risk), 지식 및 경험(knowledge & experience) 및 인지 편향성(cognitive bias)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 결과 지식 및 경험(knowledge & experience) 및 인지편향성(cognitive bias)에 통계적으로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조직적인 요인인 안전문화(safety climate), 업무환경(work conditions)이 개인적인 요인인 위험에 대한 태도(attitude toward risk), 지식 및 경험(knowledge & experience), 위험인식(risk perception) 및 인지편향성(cognitive bias)에 미치는 영향을 추가하여 분석한 결과 안전문화(safety climate)가 지식 및 경험(knowledge & experience) 및 인지편향성(cognitive bias)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업무환경(work conditions)은 지식 및 경험(knowledge & experience), 위험인식(risk perception) 및 인지편향성(cognitive bias)에 고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위험에 대한 태도(attitude toward risk)는 위험감수(risk tolerance)에 미치는 영향 이외에는 어떤 변수에도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모형 공통적으로 위험감수(risk tolerance)는 불안전행동(unsafe behavior) 및 불안전상태(unsafe conditions)를 통해 안전수행(safety performance)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전통적으로 설명되고 증명되어 온 사고인과 모델을 증명하였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사고인과 모형을 공항분야에 적용한 최초의 연구로써 본 연구의 결과는 인천국제공항 자회사 직원들을 위해 조직적인 요인에 있어서의 안전관리 및 개인적인 요인의 사고예방을 위한 Bottom-up 방식의 안전관리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 words : 안전문화(safety climate), 업무환경(work conditions), 위험에 대한 태도(attitude toward risk), 위험인식(risk perception), 지식 및 경험(knowledge & experience), 인지편향성(cognitive bias), 위험감수(risk tolerance), 불안전행동(unsafe behavior), 불안전상태(unsafe conditions), 안전수행(safety performance) This research is the first to apply the accident causal model to the airport industry, and the purpose is to strengthen safety activities and the accident prevention within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s subsidiaries. Research into human error within the airline industry commenced in the 1940s when pilots recognized that it was an important safety element in their selection criteria. Between the 1970s and 1990s, these human factors became prominent, and during the new millennium, human errors have received extensive attention. Safety is now recognized as a systematic perspective, embodying both human and organizational factors, in a bid to eliminate human error from the airline industry. The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ICAO) has undertaken innovative research into human factors within the aviation industry. These research results have been received by aviation industries, but they have been restricted in their adoption to aviation safety regulations, ramp safety, and tower control safety. Since 1981, the safety and health of airport workers in the Republic of Korea have been protected under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which is applicable to all workers. Nevertheless, there has been no research based on the individual care of airport workers to inform a specific aviation safety policy and law. In Korea, airport industries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the economy, especially in generating employment within the vicinity of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IIA). Among the 76,800 workers at IIA, those at subsidiary companies accounted for more than 10,000 workers. These workers are engaged in a variety of activities ranging from maintenance (building, communications, computing, and cleaning), security and services for airport workers, passengers and cargo terminals, firefighting, and first aid for emergency to guidance within the airport. Since the opening of IIA in 2001, there have been formal safety education courses adhering to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In the case of subsidiaries in the IIA,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have been mainly executed by a top-down method using “service level agreements” that include clauses governing safety management and imposing investigations of subsidiaries when safety agreements have been violated. The declaration system, covering facility safety, disaster safety, employee safety, and threats to safety, was introduced in The Safety Report of Incheon Airport, but there have been no cases that have progressed safety management using both a bottom-up method and a focus on individual factors. To prove the accident causal relationship, this study’s purpose is to demonstrate that, from the point of view of employees in subsidiary companies, individual factors, notably attitude towards risk, cognitive bias, knowledge and experience, and risk perception, and organizational factors, notably safety climate and work conditions have generated unsafe behavior and unsafe conditions and have undermined safety performance through risk tolerance, and finally it is analyzed whether there are causal relationships from risk perception to attitude towards risk, cognitive bias, and knowledge & experience, and from organizational factors to individual factors. The data underpinning this research were derived from a survey of employees working in subsidiary companies within the vicinity of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In total, 409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network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 methodology representing, estimating, and testing relationships. This analysis has demonstrated within the bounds of statistical significance (a) that the attitudes towards risk, knowledge & experience, and cognitive bias affect risk tolerance as research modelⅠ and (b) that safety climate and work conditions affect risk tolerance as research model Ⅱ. (c) Commonly, risk tolerance influences unsafe behavior, unsafe conditions, and safety performance. Especially, (d) organizational factors extensively affect individual factors. safety climate notably affects cognitive bias and knowledge & experience, and work conditions affect risk perception, knowledge & experience, and cognitive bias, but (e) there is no causal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 toward risk, and risk perception, safety climate and work conditions. (f) Even though there is no direct effect from risk perception to risk tolerance and unsafe behavior, risk perception affect cognitive bias, and knowledge & experience.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stemming from this research can be presented. First, in previous research, the Accident Causation Mechanism proposed by Heinrich and the modified causal relationship model proposed by Wang et al and Banus et al. were applied to the safety of airport workers for the first time. Second, there was a new discovery about the effect that cognitive bias has on risk tolerance. The effect of cognitive bias on risk tolerance was supported negatively. The researchers concluded that excessive self-confidence and beliefs in preventing accidents through safety activities and enough work experience affects risk tolerance negatively; therefore, self-confidence and cognitive bias can somewhat help prevent accidents caused by risk tolerance. Third, in research model Ⅱ, even though organizational factors have the causal relationship toward risk tolerance, unsafe behavior, unsafe conditions and safety performance, organizational factors do not have huge effects to risk tolerance, so it is needed to do more activities to reduce risk tolerance. Ultimately, risk tolerance as a causal model has a very large impact on unsafe behavior and unsafe conditions; therefore, policy support is needed to reduce risk tolerance. Fourth, risk perception does not directly affect unsafe behavior and risk tolerance, but directly affect other individual factors – knowledge & experience and cognitive bias, it means risk perception indirectly affect risk tolerance through knowledge & experience and cognitive bias, as the demonstration of research model Ⅲ. Fifth, safety climate notably affect cognitive bias positively and it means safety climate can evoke huge and negative cognitive bias in the organizations. In practical terms, airport workers should refrain from risk tolerance behavior for quick task completion and participate in safety activities to keep their lives. Safety managers should desist from actions that encourage workers to take risks in order to achieve work goals within a limited time frame, observe whether the organizations have right safety climate and suggest safety guidelines to make safety climate right. To improve work conditions, safety activities such as work training, and improving knowledge and experience on safety matters should be continued because accidents can be prevented through training and education. In terms of system and environmental improvement, investments in the safety field through incentives and budgets are necessary to improve unsafe conditions, such as changing unnecessary work guidelines, applying safety regulations clearly, and improving poor working conditions. Key words : safety climate, work conditions, attitude toward risk, risk perception, knowledge & experience, cognitive bias, risk tolerance, unsafe behavior, unsafe conditions, safety performance.

      • 국내 반밀폐형 온실의 미니 토마토 수확량 변화 분석 및 수확량 예측 심플 모델 비교 평가

        배진환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소과종 토마토 시장의 공급과 수요는 춘,하계에 집중되어 있으며 이는 국내의 기후환경과 일반농가의 재배시설이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기후환경과 재배시설을 극복하고자 국내에서 반밀폐형 온실이 등장하고 있다. 본연구는 국내 반밀폐형 온실의 내부 온도 변화에 따른 수확량 변화를 분석하고 일표준열시간과 일간 총 광합성유효방사를 기반으로 하는 심플모델을 적용하여 예측수확량을 비교 평가함으로써 반밀폐형 온실의 소과종 토마토 수확량 예측 모델 개발을 위한 지표를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2019년에서 2020년까지 2년동안 국내 반밀폐형 온실에서 연중 재배된 소과종 토마토 'Sweetelle'의 주간 수확량, 수확과중 및 환경요인으로써 일평균온도, 상대습도, 일사량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2년동안의 연간데이터 비교를 통해 6월에 접어드는 22, 23주차부터 온실 내부 일평균온도가 상승하기 시작하여 각기 고점에 도달하고 내려오기 시작해 약 14주간 적정온도를 벗어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일평균온도는 과성숙과 과발달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으로써 적정온도를 상회하는 기간동안의 높은 온도는 과발달보다 과성숙에 더욱 영향을 주어 수확과중이 내려가는 것을 확인하였고, 실제 수확량또한 감소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수집된 데이터를 심플 모델에 대입해본 결과 일 표준 열시간과 일간 총 광합성유효방사의 누적에 따른 엽면적의 증가는 2019년과 2020년 모두 비슷한 양상을 나타냈고 마찬가지로 순건물중비율, 과실건물중비율, 수확비율 또한 비슷한 양상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심플 모델을 통해 나온 예측 수확량은 실제 수확량과 비교하여 상이한 결과가 나왔으며 재배기간 총 수확량에 대해 약 큰 오차 결과가 나와 이 모델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오차원인을 분석하고 이 원인에 따른 변수, 상수값을 교정할 필요성이 있다고 평가하였다. The supply and demand of the domestic mini tomato market are concentrated in the spring and summer seasons, which can be attributed to the domestic climate environment and general farm cultivation facilities. In order to overcome these climatic environment and limitation of cultivation facilities, the semi-closed greenhouses are emerging in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hange in yield due to changes in internal temperature of semi-closed greenhouses in Korea and evaluate comparative the yield prediction by applying a simple model based on daily normalized thermal time and daily total photosynthetically active radiation. For two years from 2019 to 2020, the weekly yield and harvested fruit weight of mini tomato "Sweetelle" which was cultivated year-round in a semi-closed greenhouse and the daily mean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nd solar radiation of environmental factor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a two-year annual data comparison, it was confirmed that the daily mean temperature inside the greenhouse began to rise from 22nd weeks and 23rd weeks of June, reaching and descending, respectively, and deviating from the appropriate temperature for about 14 weeks. The daily mean temperature is a factor influencing the fruit growth rate and hastening maturity. The high daily mean temperature during the period exceeding the appropriate temperature further affects hastening maturity than the fruit growth rate, confirming that harvested fruit weight was decreased, and the actual weekly yield was also decreased. As a result of applying the collected data into a simple model, the increase in leaf area due to the accumulation of daily normalized thermal time and daily total photosynthetically active was similar in both 2019 and 2020, and the ratio of the accumulated shoot dry weight to the accumulated total plant biomass, the ratio of the accumulated fruit dry weight to the accumulated shoot dry weight and the ratio of the accumulated harvested fruit dry weight to the accumulated total fruit dry weight showed a similar pattern. However, the predicted yield from the simple model was different compared to the actual yield, and the error result was too high for the total yield during the cultivation period, so it was evaluated that it was necessary to analyze the cause of the error and calibrate the variables and constant values.

      • 유명 옹호인에 대한 부정적인 정보가 광고 효과에 미치는 영향

        배진환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2001년 「이영애의 하루」란 글이 인터넷에 유행한 시기가 있었다. 최근 몇 년 사이에 많은 기업들에 의해 광고 모델로 기용된 이영애는 자신이 광고 모델로 출연한 제품만 사용해도 하루를 무리 없이 보낼 수 있다고 해서 생겨난 유머이다(한국경제 2002.5.20).신용카드, 정수기, 화장품, 냉장고, 아파트, 기업이미지 광고 등 제품 종류를 불문하고 기용되고 있으며, 그녀가 광고한 제품들은 하나같이 업계 1,2위 자리를 지키고 있다. 여러 실증적인 연구는 다음 장에서 살펴보겠지만 유명인의 광고 효과는 이미 우리 주위에 엄연히 존재하는 현실적인 문제이다. 실제 여고 3년생을 대상으로 한 인터뷰에서 정우성 때문에 지오다노 광고를 좋아한다든가 신화 때문에 새우깡을 사 먹는 등 자기가 좋아하는 스타가 광고하는 제품이면 능력이 허용하는 한 구매하고 싶어하는 현상이 존재한다(애드타임즈, 2002년 9월호).이런 유명인의 각축을 잘 보여 주는 것이 아파트 광고 시장이다. 건설업체들은 아파트에 브랜드 개념을 도입하면서 브랜드에 딱 맞는 모델을 찾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아파트 내부 설계나 구조가 더 이상 특별할 게 없는 이상 브랜드 파워가 성패를 좌우한다는 판단 때문이다(국민일보 2002.10.30). 대형업체는 물론이고 중소업체까지 자체 브랜드를 개발해서 대대적인 마케팅 활동을 펼치고 있다. 이 마케팅 전략의 핵심은 바로 모델 전략으로 실제로 각 업체들은 대부분 유명인을 자사의 광고 모델로 활용하고 있음이 <표 1-1>과 같이 나타나고 있다. 부경희(2000)의 한국인이 선호하는 광고 요소에 대한 조사에 의하면, 한국인들은 제품별, 성별, 연령별 구분에 관계없이 모든 집단에서 모델 요소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선호하는 광고의 구성 요소 중 모델 요소가 37.8%로 음악이나 멘트(카피), 배경, 제품 등 타 요소에 비해 월등하게 선호하는 것으로 아래의 <표 1-2>에 나타나 있다.위 표에서 말해주듯이 광고요소에 있어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모델요소에 집중된다는 점에서 광고주들은 소비자들의 호감을 잡을 수 있는 유명인 모델을 이용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국내 광고시장에서 유명인 모델이 차지하는 비중은 날로 증가하고 있다. 2002년 9월에서 11월까지 3개월간 온 집행된 국내 TV광고는 모두 445편이며 이 중에서 유명인을 광고 모델로 등장시킨 경우는 186편으로 전체의 41.8%에 이른다. 이는 전년도인 2001년 같은 기간동안 짐행된 TV광고 중 유명인 모델 활용비율인 40.4%를 상회하는 수치이다.이렇게 볼 때 국내 광고 제작에 있어서의 유명인 모델 활용은 이미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비율도 갈수록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1-3>은 국내 TV광고에서의 모델 사용 현황을 나타낸 것이다. 이 표를 통해 앞에서 말한 현상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광고주들의 이런 마구잡이식 유명인 모델의 활용에는 뜻하지 않은 부작용도 있을 수 있다. 많은 팬을 확보하고 있는 유명인의 경우 그를 싫어하는 사람의 수도 그에 상응할 정도로 많을 수 있으며, 한번 인기를 얻기 시작한 유명인의 경우 지나치게 여러 광고에 겹치기로 출연함으로써 식상한 느낌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김정현, 1998). 따라서 유용한 광고전략의 하나로써 유명인을 모델로 활용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유명인에 대한 부정적 정보가 소비자에게 노출되었을 때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 포터블 팬 소형화를 위한 고속 구동형 임펠러의 형상 설계

        배진환 경성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포터블 팬의 임펠러 크기 및 형상 변화를 통한 소형화에 대한 연구와 환기 시스템에 대한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최대 유량을 향상시키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임펠러 형상 설계는 Cordier diagram과 Velocity triangle의 개념을 바탕으로 설계하였다. Cordier diagram은 특정 유량을 달성하기 위한 속도와 크기의 대략적인 지표로써 Cordier diagram을 이용해 기존의 포터블 팬의 유량 1.06m^3/s를 목표로 하였을 때 제안된 포터블 팬의 회전속도 5500rpm을 고려하여 임펠러 직경을 320mm에서 250mm로 줄였다. 허브의 직경은 제안된 포터블 팬에 사용되는 모터의 직경을 고려하여 100mm로 하였다. 임펠러 날개 각도는 Velocity triangle을 이용하여 설계 하였고 날개 각도 변화에 따른 최대 유량 변화 비교를 통한 최적화 설계를 하였다. 설계한 임펠러는 ANSYS CFX를 사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고 시뮬레이션 결과를 비교하여 가장 최적화된 모델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임펠러는 제작 및 시험을 통해 시뮬레이션 결과를 검증하였다. 시험결과 기존의 포터블 팬에 비해 최대유량은 0.6m^3/s, 최대 압력은 260Pa 상승하였으며 효율은 약 1%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기반 변이 추정 및 3차원 영상의 중간 시점 영상 합성

        배진환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3차원 영상 표시 장치의 수신단에서, 전송된 기준 영상의 정보를 이용하여 전송되지 많은 시점의 영상, 즉 중간 시점 영상을 합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알고리즘에서는 일반적으로 변이 추정 과정, 가려진 영역 추출, 중간 시점 영상 생성의 세 단계로 이루어지는 중간 시점 영상 합성 과정에서,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기법을 사용한 양방향 변이 추정과, 이에 대한 후처리 과정으로 변이 보정 과정을 수행하고, 가려진 영역을 추출한 후에 이를 기반으로 모호한 영역을 고려한 양방향 선형 보간법을 사용하여 중간 시점 영상을 생성한다. 특히 중간 시점 영상 생성 결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이 추정 과정에서, 기존의 변이 추정 방법에 대한 단점을 보완하는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기법을 사용하면서도, 기존의 방법이 서로 다른 방향의 코스트 행렬을 생성함에 있어, 같은 코스트 값과 계산 순서를 이용하는 것과는 달리, 변이 보정의 후처리 과정을 고려하여, 기준 영상의 특성을 반영한 코스트 값의 참조 방법 및 가려진 영역에서 발생하는 변이의 경계를 정확히 추출하기 위한 코스트 행렬 생성 순서를 새롭게 제안하였다. 결론적으로,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기반 변이 추정을 이용한 중간 시점 영상 합성 기술에 의하여, 화소 단위의 세밀한 영상 합성이 가능하면서도, 기존의 객체 기반이나 특징 기반 방식에서 잘못된 특징점 추출 등으로 인해 발생되는 오류를 보완하며, 영상에 존재하는 물체의 경계를 잘 보존하면서도 보다 정확한 중간 시점 영상을 합성할 수 있었다. In this thesis, an intermediate view reconstruction(IVR) technique is proposed. It is an image synthesis technique with transmitted reference images in three-dimensional(3D) imaging systems. Generally, the IVR technique is composed of a disparity estimation, an occlusion detection and an intermediate view synthesis in order. We use the dynamic programming based technique for disparity estimation, and then bidirectional disparity matching and correction are used to detect occluded regions. In intermediate view synthesis, the linear bidirectional interpolation considering ambiguous region is used. Especially, for the disparity estimation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cess in IVR, we use the dynamic programming based technique to overcome the defects of other techniques such as blocking artifacts and imperfect feature extraction, and some cost matrix creation procedures are modified to solv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dynamic programming. In the conventional dynamic programming based disparity estimation, each directional cost matrix is created in the same direction with same cost values. However, each cost matrix and cost values have different meaning as their directions, the conventional technique is not suitable. We propose the new cost matrices creation technique using the different procedures and cost values according to their directions to consider image properties. Conclusively, since the proposed technique makes disparity maps more accurate and denser by preserving the edges of occluded regions, the high quality of intermediate view images can be obtained.

      • 방과후학교 음악교육프로그램 개선방안 연구 : 교육부 대학주도 방과후학교 (예비)사회적기업을 중심으로

        배진환 서경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내의 방과후학교 교육은 1995년 교육개혁안 이후 “특기·적성교육활동 활성화”를 시작으로 현재에 이르러 공교육강화를 위한 질적 성장을 목표로 부처별 다양한 정책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특히 교육부는 대학의 인프라를 적극 활용하여 방과후학교의 내실화를 도모하고자 ‘대학주도 방과후학교 (예비)사회적기업 발굴·육성사업’을 시행하고 있었다. 수요자중심으로 운영되어지는 방과후학교는 그 특성상 학생 및 학부모의 다양한 요구에 따라 교육프로그램이 단위학교에 공급되어야 하므로 대학들은 짧은 방과후학교 교육경험에도 불구하고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 비교적 많은 교육프로그램을 운영 및 공급하고 있었다. 2012년 교육부 대학주도 방과학교 사회적기업 발굴·육성사업으로 현재 총 49개의 대학이 참여하고 있으며 그중 서울권역은 8개 대학이 참여하고 있었다. 대부분의 학교가 교과과정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었지만 음악교육프로그램을 비롯한 다양한 예술분야 교육도 실시하고 있었다. 서울권역 (예비)사회적기업 중 음악으로 특화되어 운영되는 기업은 서경대학교·(사)서경뮤직스쿨과 이화여자대학교·(사)챔스 단 2곳으로 파악되며, 음악특화 운영을 목적으로 음악관련 교육과정으로 개설 및 운영하고 있어 대학의 전문성과 특성화를 모두 반영하여 단일과목으로 특화하고자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사)서경뮤직스쿨은 유일하게 기악을 통한 앙상블이나 오케스트라교육이 가능하도록 프로그램이 개설되어 있었으며 이는 음악분야로 특화하여 방과후학교를 운영하는 대학 중 유일하게 앙상블이나 오케스트라 교육운영으로 특화되어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인터뷰 결과 주요요인 중 학생의 경우 1명이 2가지 이상의 음악교육프로그램을 받고 있었으며 음악교육의 확장과 장기적인 교육시행이 가능한 것으로 보여 졌다. 교원의 경우 대학주도 방과후학교 (예비)사회적기업에 위탁을 통해 업무경감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은 오케스트라교육에 대하여 만족하고 있었으며 음악교육전문기관이라는 전문성에 대한 신뢰를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한 대학주도 방과후학교 (예비)사회적기업 음악교육프로그램의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오케스트라, 앙상블, 합창 등의 협동수업을 다양하고 창의적인 수업을 개설해 장기적인 교육운영이 필요하다. 둘째,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현장에서 전문적인 활동이 가능한 우수강사를 육성하여야 한다. 셋째, 정부는 물론 교육부 지자체, 대학 간의 긴밀한 협조와 지속적인 지원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한 실정이다.

      • 醫療福祉社業의 活性化方案에 관한 硏究

        배진환 단국대학교 1993 국내박사

        RANK : 247631

        최근 급격한 경제발전과 더불어 人間의 生活水準이 향상됨에 따라 안락하고 健康하게 오래 살려는 욕구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現狀에 따라 社會保障의 여러제도들이 시대변천에 따라 變化를 시도하고 있다. 특히, 健康과 직결되는 醫療福祉는 질환의 발생과 치료까지가 아닌 豫防에서부터 社會復歸까지 요구되고 있다. 본문 제2장에서는 社會保障의 意義와 사회복지의 필요성을 논하고 제 3, 4, 5 장에서는 현재 우리나라가 실시하고 있는 醫療保障制度의 내용과 문제점 그리고 活性化 方案을 설명 하였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의료보장 제도로서는 醫療保護와 醫療保險制度를 들수 있다. 의료보호는 경제사정이 어려운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그들이 自力으로 醫療問題를 해결할 수 없는 경우 國家財政으로 의료혜택을 주는 제도이며 의료보험제도는 生活上의 사고와 사망등 平常時 가계지출 외에 일시에 많은 家計支出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을 分散시켜 주는 제도로서 全國民에게 혜택을 주려하는 政府的 制度이다. 그러나 醫療費의 본인부담을 증가, 종합병원의 환자집중, 질이 낮은 의료서비스 등 醫療福祉 次元의 문제점은 아직 해결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本文에서는 이러한 課題에 대한 改善方案으로 평등한 의료제공, 양질의 의료서비스, 의료에 대한 투자확대 등을 요구하였고, 福祉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政府와 民間團體가 적극 앞장서줄 것을 當付 하였다. Recently, with the rapid economic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living standards, people desire longer more comfortable and healthy lives. According to this situation, various schemes for social welfare have been developed. In particular, welfare related to health is needed to cover not only the occurrence of disease and cure but also prevention of diseases and rehabiliation. I described the meaning of the social security and the necessity of social welfare in chapter 2, and the contents and problems of health security schemes which are currently established by the government and the strengthening of methods in chapters 3, 4 and 5. There are two main health security schemes, medical aid and medical insurance. Medical aid is to provide the poor with medical benefits from the natioal budget in cases where people could not solve their economic burden by themselves. Medical insurance is to alleviate the economic burden when the beneficiary has a big economic problem with sickness, accident and death etc. These are government-run schemes in order to benefit the whole population. But there are still many problems which are not solved such as the increase in contribution rate, concentration of patients into the general hospitals and low quality of medical services. In this thesis, as the method to improve these problems, I suggest equal medical supply, good quality medical services and the increase of investment in the medical field, and propose that government and private organizations should cooperate more actively for the development of welfare programs.

      • 항공자유화를 통한 한-중간 항공노선 확대가 인천국제공항 화물물동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

        배진환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2006년 6월 한-중 항공자유화 관련 협약내용을 중심으로 하여 한-중간 항공노선 확대가 인천국제공항 화물물동량에 미치는 영향을 기술한 논문이다. 현재 중국의 항공자유화에 따라서 중국의 동방항공, 남방항공 등 중국의 각 항공사들은 인천국제공항에 항공편을 증편하고 있고, 화물항공사의 경우, 제이드항공, 우정항공, 장성항공, 양쯔강항공 등 상당수의 화물항공사들이 인천국제공항의 화물항공편을 신규취항 및 증편을 통하여 계속적으로 늘려나가고 있고 반대로 국적사인 대한항공의 경우 중국의 최대 물류회사중의 하나인 시노트랜스와의 합작회사설립 및 천진 항공화물터미널 건립추진 등을 통하여 중국항공화물 시장진출을 노리고 있고 아시아나 항공도 중국항공사와의 합작을 통해 화물운송사업을 강화할 계획으로 있다. 이러한 대외적 환경 속에서 2006년 6월 14~16일 산동성 위해에서 실시된 한-중 항공회담을 통한 양국간 부분적인 항공자유화 선언 이후 현재까지 화물물동량은 증대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효과분석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6년 6월 항공자유화를 통한 한-중간 항공노선 확대가 인천국제공항 화물물동량 증대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해 논하면서, 특히 이에 따른 긍정적 혹은 부정적 효과는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연구로 도출된 결과에 따라 미래의 화물증대 및 동향을 예측하면서 인천국제공항과 관련된 담당자들의 인천국제공항 화물물동량 증대를 위한 정책방향에 대하여 논한다. This paper describes the effect on cargo volumes at IIA from the expansion of airlines between Korea and China caused by the mutual agreement of Korea-China partly open skies on June 2006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