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신간호학회지에 게재된 간호중재논문 분석 : NANDA, NIC, NOC 중심으로

        이수진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정신간호학회지에 게재된 간호중재 연구논문을 분석하여 정신간호 분야의 간호중재연구 경향을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는 정신간호학회지에 1992년 창간호부터 2006년까지 게재된 논문 494편 중, 정신과 진단 기준에 포함되는 대상자와 그 가족에게 간호중재를 시행한 논문 72편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논문은 북미간호협회에서 개발한 간호진단과 미국 Iowa대학 연구팀이 개발한 NIC, NOC에 근거하여 간호진단, 간호중재, 간호결과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교차분석을 하였으며, NANDA, NIC, NOC 연계를 이용하여 연계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요약은 다음과 같다. 1) 간호진단, 간호중재, 간호결과의 분포는 다음과 같다. 간호진단(NANDA) 영역수준에서 살펴보면, 역할관계 영역이 29.0%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대처/스트레스 내성 영역이 21.6%이었다. 진단수준에서 살펴보면, 비효율적 대처가 16.4%로 가장 많았으며, 사회적응장애 12.7%, 낮은 자존감 11.2%, 비효율적 역할수행 9.0%순이었다. 간호중재(NIC) 영역수준에서 살펴보면, 행동적 영역이 73.8%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건강체계 영역이 13.9%이었다. 중재수준에서 살펴보면, 대응능력 강화가 20.8%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사례관리 13.9%, 단순 상상화 지도와 행동수정:사회화 기술이 각각 9.7% 순이었다. 간호결과(NOC) 영역수준에서 살펴보면, 심리사회적 건강 영역이 49.9%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인지된 건강 영역이 14.9%이었다. 결과수준에서 살펴보면, 자존감이 12.7%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사회적 참여 8.2%, 징후의 중증도 7.5%, 자가간호상태 6.7% 순이었다. 2) 대상자별 간호진단, 간호중재, 간호결과의 분포는 다음과 같다. 아동 및 청소년에서 간호진단은 비효율적 대처, 낮은 자존감 순으로 많았고, 간호중재는 대응능력 강화, 사회성 증진, 행동관리 순으로 많았으며, 간호결과는 스트레스 수준, 자존감 순으로 많았다. 성인에서 간호진단은 사회적응장애, 비효율적 역할수행 순으로 많았고, 간호중재는 행동수정:사회화 기술, 대응능력 강화 순으로 많았으며, 간호결과는 자가간호상태, 사회적 참여 순으로 많았다. 노인에서 간호진단은 수면장애가 가장 많았고, 간호중재는 빛 치료:정서/수면 조절이 많았으며, 간호결과는 수면과 징후의 중증도가 많았다. 가족에서 간호진단은 보호자역할부담감의 위험성, 치료요법의 비효율적 관리(가족) 순으로 많았고, 간호중재는 치료동안의 가족지지, 사례관리, 자기인식 강화 순으로 많았으며, 간호결과는 돌봄제공자의 정서적 건강, 돌봄제공자의 수행:직접간호 순으로 많았다. 3) 간호중재별 간호진단과 간호결과의 분포는 다음과 같다. 대응능력 강화가 20.8%로 가장 많은 중재였으며, 이에 대한 간호진단으로는 비효율적 대처, 낮은 자존감, 치료요법의 비효율적 이행, 불안과 지식부족, 자아정체성 장애, 가족기능장애:알코올중독증, 역할수행장애 순으로 많았으며, 간호결과로는 스트레스수준, 자존감과 우울수준, 대처, 건강신념, 영적 건강, 자가간호상태와 불안수준, 수용:건강상태, 지식:투약, 삶의 질, 징후의 중증도 순으로 많았다. 두 번째로 사례관리가 13.9%였으며, 이에 대한 간호진단으로는 비효율적 역할수행, 자가간호결핍, 가족의 비효율적 대처와 사회적응장애, 비효율적 대처, 보호자역할부담감의 위험성, 치료요법의 비효율적 이행 순으로 많았으며, 간호결과로는 자가간호상태, 치료동안 가족지지, 역할수행, 삶의 질, 징후의 중증도, 돌봄제공자의 정서적 건강, 개인건강상태 순으로 많았다. 4) 간호중재에 대한 간호진단과 간호결과의 연계를 Iowa대학 연구팀에서 제시한 NANDA, NIC, NOC 연계와 비교하여 분석한 결과, 일치한 논문은 59편이었으며, 3가지 분류체계 중 2가지를 일치한 논문은 4편이었고, 간호중재에 대한 간호진단과 간호결과가 연결되지 않는 논문은 9편이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search trends of nursing intervention in the field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by analyzing research report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Of 494 reports published from the inaugural issue of 1992 to the 2006 issue, we selected 72 that reported on nursing intervention intended for subjects and families deemed inclusive by the standard of clinical department of mental health. This study analyzed nursing diagnoses, interventions, outcomes based on NANDA developed by the North American Association of Nurses and NIC and NOC developed by the university of Iowa research team. Frequency and cross-tabulation analyses were carried out for the collected data, and linkage relationship was analyzed using the NANDA, NOC, and NIC linkages.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1) The distribution of NANDA, NIC, and NOC is as follows: At the level of NANDA domain, Role relationship domain was the largest, with the distribution of 29.0%, followed by Coping/stress tolerance of 21.6% distribution. At the level of NANDA diagnosis, Ineffective coping took up the highest section of 16.4%, followed by impaired social interaction and Low self-esteem and Ineffective role performacne of 12.7% and 11.2% and 9.0%, respectively. At the level of NIC domain, Behavioral domain was the highest with the distribution of 73.8%, followed by 13.9% of Health system. At the level of NIC intervention, Coping enhancement was the highest domain with 20.8% distribution, followed by Case management of 13.9%, Simple guided imagery and Behavior modification :social skills of 9.7% distribution each. At the level of NOC domain, Psychosocial health domain was the largest with 49.9%, followed by Perceived health of 14.9% distribution. At the level of NIC outcome, Self-esteem took the largest section of 12.7%, followed by Social involvement and Symptom severity and Self-care status, each taking up 8.2% and 7.5% and 6.7%, respectively. 2) The distribution based on the subjects of NANDA, NIC and NOC is as follows: In childrean and adolescents, in the NANDA, Ineffective coping was the highest, followed by Low self-esteem; with respect to NIC, Coping enhancement, was the largest, followed by Social enhancement, Behavior management; with respect to NOC, Stress level was the largest, followed by Self-esteem. In adults, in the NANDA, Impaired social interaction was the highest, followed by Ineffective role performance; with respect to NIC, Behavior modification:social skills was the largest, followed by Coping enhancement; with respect t NOC, Self-care status was the largest, followed by Social involvement. With respect to senile, in the NANDA, Disturbed sleep pattern was the largest; with respect to NIC, Phototherapy:mood/sleep regulation was the largest; with respect to NOC, Sleep and Symptom severity was the largest. In family, in the NANDA, Risk for caregiver role strain was the highest, followed by Ineffective family therapeutic regimen management; with respect to NIC, Family support during treatment was the largest, followed by case management, Self-awareness enhancement; with respect to NOC, Caregiver emotional health was the largest, followed by Caregiver performance:direct care. 3) The distribution of NAND and NOC in cases of NIC is as follows: Coping enhancement, with 20.8% distribution, was the subject of most frequent nursing intervention. For intervention, for NANDA, the highest diagnosis was Ineffective coping, followed by Low self-esteem, Ineffective therapeutic regimen management, Anxiety, Deficient knowledge, Disturbed personal identity, Dysfuctional family processes:alcoholism, Impaired role performance; for NOC, the highest outcome was Stress level followed by Self-esteem, Depression level, Coping, Health beliefs, Spiritual health, Self-care status, Anxiety level, Acceptance:health status, Knowledge:medication Quality of life, Symptom severity. The second highest subject of intervention was Case management, with the distribution of 13.9%, For this intervention, Ineffective role performance was the largest diagnosis for NANDA, followed by Self-care deficit, Compromised family coping, Impaired social interaction, Ineffective coping, Risk for caregiver role strain, Ineffective therapeutic regimen management; for NOC, the highest outcome was Self-care status, followed by Family support during treatment, Role performance, Quality of life, Symptom severity, Caregiver emotional health, Personal health status. 4) The comparison of linkages between NANADA and NOC with respect to NIC with that postulated by the University of Iowa research team indicated that 59 publications were identical. Of the 3 classification systems, 4 publications indicated the same with 2 systems. There were 9 publications that did not indicate linkage between NANDA and NOC with repect to NIC.

      •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연구에 관한 분석 ‑ 국내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

        장혜정 전남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2

        특수교육 분야에서 ‘보완대체의사소통’에 관한 연구가 매우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보완대체의사소통’의 중재 방법의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보완대체의사소통을 주제로 한 관련 학위논문을 통해 중재 환경, 중재 상징, 중재 도구, 중재 기술, 중재 전략을 분석하여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 연구’에 대한 전반적인 중재 방법 동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은 1990년에서 2022년 11월까지 발표된 보완대체의사소통을 주제로 한 관련 학위논문 34편을 분석 대상으로, 분석 변인은 중재 환경, 중재 상징, 중재 도구, 중재 기술, 중재 전략으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완대체의사소통을 주제로 한 연구의 중재 환경은 특수학교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보완대체의사소통을 주제로 한 연구의 중재 상징은 그림상징과 글자를 동시에 사용한 경우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보완대체의사소통을 주제로 한 연구의 중재 도구는 의사소통판과 음성출력도구를 함께 사용한 경우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보완대체의사소통을 주제로 한 연구의 중재 기술은 직접 선택이 모든 연구에서 나타났다. 다섯째, 보완대체의사소통을 주제로 한 연구의 중재 전략은 촉진 전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국내 보완대체의사소통을 주제로 한 관련 논문 중 학위논문의 중재 방법만을 분석하였으나 학위논문 외에 학술논문을 대상으로 확대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 국내 보완대체의사소통을 주제로 한 관련 학위논문의 중재 방법을 분석하였으나 외국의 보완대체의사소통을 주제로 한 중재 방법 논문을 대상으로 확대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 국내 보완대체의사소통을 주제로 중재 방법을 중재 환경, 중재 상징, 중재 도구, 중재 기술, 중재 전략의 5가지 변인에 한정하여 분석하였으나 후속 연구에서는 5가지 변인 외에 다른 변인을 확대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다. While variou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in the special education field, research on its intervention methods is still insuffici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nvironment, symbols, tools, techniques, and strategies of interventions through dissertations on AAC and to identify the overall trend of intervention methods for ‘AAC intervention research.’ For the research method, this study analyzed 34 dissertations on AAC published from 1990 to November 2022 and set the intervention environment, intervention symbols, intervention tools, intervention techniques, and intervention strategies as the variables for analysi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pecial education schools appeared to be the highest for the intervention environment of AAC studies. Second, the case of using pictorial symbols and letters at the same time was the highest for the intervention symbols of AAC studies. Third, the case of using a communication board and a voice output tool together was found to be the highest for the intervention tools of AAC studies. Fourth, direct selection was shown in all studies for the intervention technique of AAC studies. Fifth, the facilitation strategy was the highest for the intervention strategy of AAC studie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ince this study analyzed only the intervention method of dissertations among the papers on AAC in Korea,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analysis scope to include academic theses other than dissertations. Second, this study analyzed the intervention method of related dissertations on AAC in Korea, but it should expand the analysis to include the intervention method papers on AAC in other countries. Third, while this study limited the variables of intervention methods on the Korean AAC to five: intervention environment, intervention symbols, intervention tools, intervention techniques, and intervention strategies, it should be expanded to other variables in addition to the five for analysis in follow-up studies.

      •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의 사회적 의사소통 중재연구 분석 : 2009˜2019년 문헌을 중심으로

        이상진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의 사회적 의사소통 중재연구의 사용된 매체, 중재 기법, 종속변인으로 설정한 사회적 의사소통 기능을 분석을 통해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시사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09년부터 2019년까지의 발행된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의 사회적 의사소통 중재연구 48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은 대체로 늦은 언어발달을 형태를 보이며, 그 특징으로 자발적인 발화 부족, 사회적 의사소통 제한, 반복적인 구어 산출을 보인다. 특히 사회적 의사소통의 부제로 대화 상대자와 상호작용 및 주제 유지가 힘들며, 비언어적 단서를 이해하고 표현에 어려움을 보여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에 본 연구는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의 사회적 의사소통에 대해 분석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나타냈다. 첫 번째로 연도와 출판유형에 따른 현황과 연구대상의 일반적인 정보를 살펴본 결과 연도별 게재 수는 2019년도가 가장 많았으며, 학술지 게재보다 석사학위논문이 많았다. 다음으로 연구대상의 일반적인 특징에서 대상자 연령은 학령전기가, 중증도는 경증-중간을 나타낸 연구가 많았으며, 또한, 1명 또는 3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의 비중이 높았다. 두 번째로 연구대상의 중재 환경으로 장소는 치료실에서 실시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중재자 유형은 연구자 비중이 높았다. 또한, 중재 기간은 11-15회기, 16-20회기가 많았다. 세 번째로 중재목표인 사회적 의사소통을 가르치기 위해 사용된 매체 분석 결과 놀이활동, 컴퓨터 및 기계사용, 그림글자카드 순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다음으로 중재기법은 보완대체의사소통(AAC), 가족이 참여한 중재, 상황이야기 스크립트 중재, 환경중심언어중재 순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의사소통 별 분석은 요구하기가 가장 많은 중재 목표로 나타났고 보완대체의사소통(AAC)과 상당 부분 중복되었다. 또한, 자발화를 목표로 하거나 반응하기를 목표로 한 경우도 요구하기와 일정 부분 중복되어 나타났다. 중재 기법에 따른 사회적 의사소통 분석으로 요구하기를 가르치기 위해 사용된 기법은 AAC중재와 상황이야기 스크립트 중재가 많았으며, 자발화는 상황이야기 스크립트 중재와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많았다. 반응하기에서는 상황이야기 스크립트 중재와 AAC중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질적수준 분석에서는 유지를 진행한 연구가 많았고 일반화를 진행한 연구가 적었다. 또한 중재 충실도와 사회적 타당도에서도 낮은 결과를 보였다. 설계유형으로는 중다기초선 설계와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가 많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향후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의 사회적 의사소통 연구에서 효과적인 중재기법 선택과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seeks to identify research trends and examine their implications through analysis of the media used in the study of social communication arbitration in children with autism, arbitration techniques, and social communication functions set as the dependent variable. For this purpose, 48 studies on social communication among children with autism category, issued from 2009 to 2019, have been selected and analyzed. Children with autism-category growth generally take the form of slow language development, and it features a lack of spontaneous speech, restriction of social communication, and echolalia. In particular, the subtitle in social communication makes it difficult to interact with and maintain topics with dialogue partners, and shows difficulty in understanding and expressing non-verbal cues, which greatly affect development. This study analyzes the social communication of children with autism and shows the following results. First, as a result of looking into the current status by year and the type of publication and general information of the research subjects, the number of publications per year is the highest in 2019, and there are more master's degree papers than the publication of academic journals. Next,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of the subjects, there are many studies suggesting the age of the subjects is preschool age, the severity of the subjects is mild to moderate, and the proportion of the studies on one or three people is high. Secondly, the place which was the most studied is the treatment room as an arbitration environment for research subjects, and the type of the arbitrators has a high proportion of researchers. In addition, there has a high proportion in 11-15 sessions and 16-20 sessions of the arbitration period. Thirdly, the media analysis used to teach social communication, which is the goal of arbitration, shows that play activities, computer and machine use, and flashcards are the highest in order. Next, in the arbitration techniques, AAC(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is followed by arbitration involving family members, arbitration of situation story scripts, and milieu language intervention in order. The analysis of social communication indicates that "request" is the most common arbitration goal and is substantially overlapped with the AAC. In addition, there is partial overlap with "request" when it is aimed at spontaneous utterance or response. In the analysis of social communication under arbitration techniques, the popular techniques used to teach “request” are AAC arbitration and situation story script arbitration, and for the sake of spontaneous utterance, there are situation story script arbitration and environment-oriented language arbitration. It turns out that situation story script arbitration and AAC arbitration are widely used for reaction. Finally, in the qualitative analysis of interventions, there are many studies that carried out maintenance and few studies that carried out generalization. In addition, There was also less studies on the degree of fidelity of arbitration and social validity. The design types are heavily used for the design of the multiple-baseline design and multiple-probe design. Based on these results, the selection and direction of effective intervention techniques were discussed in future studies of social communication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언어장애 유아를 위한 중재연구 특성 분석 : 1994년에서 2009년까지의 국내 실험연구를 중심으로

        김진현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1994년부터 2009년까지의 국내 실험연구를 중심으로 언어장애 유아를 위한 중재연구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선정기준에 따라 총 22편의 언어장애 유아 중재 관련 논문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징, 중재방법, 종속변인, 연구 설계, 중재특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일반적 특징에서 연구동향, 대상특징으로 대상아동의 연령은 만 3세가 많이 나타났고, 대상자 수는 3명으로 한 논문이 가장 많았으며, 언어장애 유아의 성별은 비슷한 비율로 나타내었다. 연구대상을 선별하기 위한 도구로 PRES(언어발달 검사)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사용된 검사 도구의 수는 3개인 연구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언어장애 유아의 진단 장애 중 언어발달장애에 대한 중재 연구가 가장 높이 나타났다. 독립변인의 3가지 요소에서 중재유형은 치료적 중재가 가장 많았고 중재전략 유형에서는 기능적 중재유형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중재방법에 따른 발달 관련 영역의 유형을 신체, 인지, 언어, 정서, 사회성 발달로 보았을 때 언어 발달만을 고려한 중재 방법이 높게 나타났다. 연구 설계는 단일대상연구가 19편으로 나타났다. 중재특징에서는 중재자가 연구자인 경우가 많았다. 중재 장소는 대상유아의 주 활동 장소의 분포가 많았으며, 중재기간은 21·30회기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효과성 논의에서는 언어적인 부분에서 표현 언어가 수용언어 보다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언어구성요소의 측면에서 보면 표현언어, 수용언어 같은 효과가 나타났다. 언어 형식의 음운론과 언어 사용에 있어서의 화용론이 긍정적인 방향으로 개선되었다고 나타났다. 수용언어의 언어형식인 음운, 형태의 변화와 언어내용에서 개선 효과를 볼 수 있었다. 그 외에도 바람직한 상호작용, 적응행동의 효과를 보이고 문제행동 감소, 긍정적 행동 증가의 효과를 보이는 연구도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적은 연구이지만 보완대체의사소통체계에 대한 연구도 1편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중심으로 언어장애 유아 관련 실험연구의 중재 내용에 대한 특성과 향후 이루어질 유아 언어장애교육의 연구방향에 대한 방향성을 탐색하고 과학적인 근거에 기반한 실제의 기준을 제시하는 기초자료로써의 역할을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자기효능감 관련 미술치료 중재연구 동향 분석 : Bandura의 이론을 중심으로

        안희진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자기효능감 관련 미술치료 중재연구의 동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학술DB 검색 사이트에서 ‘효능감 미술치료’를 검색하여 최종 선정된 자료는 학위 논문 31편, 학술지 4편, 총 35편이다. 자료 분석은 자기효능감 관련 미술치료 중재연구의 질적 수준, 방법 및 결과적 특성, 자기효능감의 4가지 근원과 3가지 하위요인 관련 미술치료 중재 프로그램의 특성을 표와 그래프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효능감 관련 미술치료 중재연구의 질적 수준은 수준Ⅴ가 사례연구(10편, 28.5%)와 질적연구(3편, 8.7%)를 합쳐 13편으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둘째, 자기효능감 관련 미술치료 중재연구의 방법 및 결과적 특성의 형태는 집단(25편), 통제집단(15편)이었다. 연령대는 아동(18편), 실험집단의 인원은 6~10명(14편), 주 2회(16편), 60분 이상 70분 미만(10편), 11회기~15회기(17편)로 진행한 프로그램이 가장 많았다. 연구도구는 김아영, 차정은(1996)의 자기효능감 검사를 김아영(1997)이 수정한 것을 한혜진(2002)이 초등학생에게 알맞은 표현으로 수정한 것이 6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림 검사로는 K-HTP가 5편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연구결과는 p<.05수준에서 전체 자기효능감 6편, p<.01수준에서 전체 자기효능감과 자신감이 각각 5편, p<.001수준에서 전체 자기효능감 4편으로 가장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측정 시기는 사전-사후(29편), 연구장소는 지역아동센터(7편), 연구설계는 사전-사후 실험 통제 집단 설계(13편)로 가장 많았다. 셋째, 미술치료 중재 프로그램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만들기 기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목표 및 기대효과에서 자기효능감의 4가지 근원 중 성공 경험, 3가지 하위요인 중에서는 자신감이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현재까지 발행된 자기효능감 관련 미술치료 중재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프로그램 방안을 모색하여 앞으로의 연구자들이 자기효능감 관련 미술치료를 구성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기초자료가 된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trend in the study of art therapy intervention for self-efficacy.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t Therapy for Efficacy’ was searched in an academic database search engine, and a total of 35 papers comprising 31 academic papers and 4 academic journal articles were finally selected. The tables and graphs on the quantitative standards, methods, and resulting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of art therapy intervention for self-efficacy and the characteristics of art therapy intervention programs related to the four sources and three subfactors of self-efficacy were presented for data analysis. The summaries of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or the quantitative standards of the study of art therapy intervention for self-efficacy, standard V appeared most frequently; this showed up thirteen appearances comprising ten case studies (28.5%) and three quantitative studies (8.7%). Second, the form of method and resulting characteristics of the studies of art therapy intervention for self-efficacy were group (25 studies) and controlled group (15 studies). Most of the studies conducted programs for children (18 studies), six to ten subjects (14 studies), twice a week (16 studies), between 60 and 70 minutes (10 studies), and eleven to fifteen sessions (17 studies). The largest proportion of the studies adopted the self-efficacy test by Ayeong Kim and Jeongeun Cha (1996) which was amended by Ayeong Kim (1997) and reamended by Hyejin Han (2002) to suit elementary school children, appearing six times, while K-HTP emerged as the most-used drawing test, with five studies adopting them as the research tool. Six, five, and four studies showed the most significant improvement in overall self-efficacy at p<.05, overall self-efficacy and confidence at p<.01, and overall self-efficacy at p<.001. Most of the studies made pre-study and post-study measurements (29 studies) at regional children’s centers (7 studies), and the most popular study design was the pre-study and post-study controlled group, appearing in thirteen papers. Third, th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art therapy intervention programs showed that the creation technique was used most frequently, and the mastery experience and the confidence from the four main sources and three subfactors of self-efficacy appeared most frequently in the goal and anticipated effects. This paper is meaningful that it analyzes the trend of studies of art therapy intervention for self-efficacy published to date and becomes the base data to explore an effective program that will allow the researchers to compose and develop art therapy for self-efficacy.

      • 연구자주도임상시험(IIT)의 기업 지원 여부에 따른 유형별 특성 분석 : 연구중심병원 10개 기관 중심으로

        김용석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87

        우리나라 제약산업 시장규모는 2015년 19조2,365억원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장 제약기업의 연구개발비 또한 1조 1694억원 규모로 매년 규모가 확대 되고 있다(2016년 제약산업분석보고서,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0년부터 국내 제약업체들의 신약 기술개발(R&D)이 증가하면서 국내 임상이 다국적 임상을 추월하기 시작했고, 국내 제약산업 시장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허가 전 인간을 대상으로 한 치료제로써 의약품의 안전성, 유효성 확인이 가능한 개발 단계 중 하나인 임상시험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2017년 임상시험 규모 커지는 한국,'임상 강국'도전 파이낸셜 뉴스). 한국의 임상시험은 매년 증가 추세에 있고, 임상시험을 수행할 수 있는 좋은 인프라와 환경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식품의약품안전처 임상시험계획승인현황(2015)에 따르면 연구자주도임상시험이 전체임상시험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약 20%정도로 의뢰자임상시험에 비하여 낮은 비율이고, 다른 나라에 비해서도 낮은 수준이었다. 국내 임상시험은 증가 추세 속에 질적인 측면도 성장해 오고 있지만 제약사가 주도가 되는 의뢰자주도임상시험이 80% 가까이 차지하고 있어, 학술적, 공익성의 추구, 혁신적인 신약과 새로운 치료법의 확립, 신 의료기술 등의 개발 목적을 통한 국민의 치료권의 범위를 넓힐 수 있는 연구자주도임상시험 활성화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연구자주도임상시험은 연구자가 외부의 지원 없이 독자적으로 임상시험을 수행할 경우 연구비 재원 부족의 문제를 초래 할 수 있다. 이는 의약품의 개발, 치료법의 확립, 신 의료 기술 등의 연구 활동의 축소를 초래 할 수 있고 이는 치료를 필요로 하는 국민에게는 치료 받을 수 있는 기회의 박탈 및 치료 범위의 축소, 금전적으로 부담을 가중 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 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연구자주도임상시험에서 연구책임자의 주체는 병원의 연구자이지만 기업에게 연구비를 지원 받으며 임상시험을 수행하는 연구자주도임상시험이 존재하게 된다. 기업이 주체가 되어 수행하는 의뢰자임상시험은 비교적 목적이 분명하지만 연구자주도임상시험에서의 기업이 연구를 진행하는 연구의 성격은 연구자가 독자적으로 임상시험을 진행하는 연구와는 목적 및 특성이 다를 것이고, 연구비의 지원, 기업의 관여로 인하여 연구의 유형이 다를 있을 것으로 예측 하고, 기업 지원에 따른 연구자주도임상시험 유형의 항목별 특성들을 분석하여 연구자주도임상시험의 기업 지원 여부에 따른 특성의 기초자료와 연구자주도임상시험의 활성화의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2010년 registry 구축된 이후 등록된 질병관리본부 임상연구정보서비스(Clinical Research Information Service)의 전체 등록자료 중 보건복지부 지정 연구중심병원 10개 기관의 연구자주도임상시험을 분석한 결과 기업(제약회사)의 지원을 받는 연구자주도임상시험 78개 과제, 기업의 지원을 받지 않는 연구자주도임상시험 333개 과제, 총 411개의 과제가 연구 대상 과제로 분석 되었다. 2개 이상의 기관에서 수행되고 있는 다 기관 연구자주도임상시험의 경우 기업이 지원하는 연구자주도임상시험의 비율이 더 높게 분석되었고, 이는 기업이 지원함으로써 재정적 지원이 안정적인데 따른 임상시험 대상자 수 확대, 대상 기관의 확대에 대한 결과로 예측해 볼 수 있다. 중재종류(중재/관찰)에 따른 연구자주도임상시험의 분석에서는 기업 지원의 경우 중재연구, 기업 미지원의 경우 관찰연구 비율이 더 높게 분석되었다. 이는 해당 과제를 지원하는 기업의 의약품, 의료기기 등의 중재가 개입 되는 연구 비율이 높은 것을 볼 수 있다. 임상시험 단계별 연구자주도임상시험의 분석에서는 기업 지원의 경우 78개 분석대상 과제 중 PhaseⅣ 연구가 19개 과제, 24.36%의 비율로 가장 많이 수행 되었다. 또한 PhaseⅠ 10개 과제, PhaseⅡ(PhaseⅠ/Ⅱ) 13개 과제, PhaseⅢ(PhaseⅡ/Ⅲ) 12개 과제를 수행하며 PhaseⅠ~Ⅲ 경우 비슷한 분포를 보였다. 기업 미지원의 경우 분석대상 333개 연구 과제 중 PhaseⅣ 연구가 35개 과제, 10.51% 비율로 가장 많이 수행되었다. 다음으로 PhaseⅠ 10개, PhaseⅢ 9개, phaseⅡ 3개 과제 순으로 분석되었다. 임상시험 단계별(Ⅰ~Ⅳ) 평균 임상시험 모집 대상자 수의 경우 기업 미지원 연구자주도임상시험의 경우 Phase 단계가 높아질수록 평균 시험대상자 수가 증가 하였지만 기업 지원의 경우 PhaseⅢ은 전 단계인 PhaseⅡ 보다 평균 22.07명 감소하는 수치로 분석되었다. 이는 PhaseⅢ의 경우 과제별로 임상시험 대상자의 편차가 큰 분포에 따른 것으로 볼 수 있다. 연구대상상태/질환별 연구자주도임상시험 분포도의 경우 분석 결과 기업 지원의 경우 소화기계통, 순화기 계통 순으로 비율이 높았으며, 이는 과제를 지원하는 기업과 관련된 의약품과 관련된 질환의 연구 비율이 높은 것으로 보이며, 기업 미지원의 경우 연구자들의 소속과, 연구 성향 및 연구의 목적에 따른 연구가 수행 되는 것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중재연구의 연구 설계에 따른 연구자주도임상시험의 연구목적은 기업 미지원의 경우 예방(5.53%), 진단(5.8%), 보조적 치료(6.19%), 기초과학 (1.45%)의 연구 목적이 기업 지원에 비해 높게 나타나며 연구자들은 연구 설계의 목적이 치료에만 편중되지 않고 다양한 성격과 다양한 목적의 임상시험을 수행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자주도임상시험의 주요결과 평가변수 유형의 경우 안전성, 유효성을 연구과제의 주요결과 평가변수로 정하는 연구 과제 비율이 높게 분석 되었다. 기업 미지원의 경우 임상적동등성 21개 과제(8.5%), 약물역학 4개 과제(1.62%)의 과제가 수행되어, 연구자들은 기업의 지원을 받는 연구에 비하여 주요결과 평가변수를 다양한 목적으로 설정하여 연구 목적의 다양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중재종류를 분석한 결과 기업 미지원의 경우 기업 지원에 비하여 다양한 중재가 개입되어 연구가 수행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기업 미지원의 경우 연구자의 시술/수술법의 중재가 개입되는 연구의 비율이 기업 지원에 비하여 20.49%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업이 지원 하는 연구중심병원 10개 기관의 연구자주도임상시험의 연구비 지원기관의 경우 분석 대상 과제 중 노바티스가 7개 과제를 진행하며 다국적 글로벌 제약사가 많은 임상시험을 수행 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국내 기업 또한 매출액 상위 제약사가 다수의 연구자주도임상시험 과제를 지원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기업이 지원하는 연구자주도임상시험의 경우 스폰서를 가지는 의뢰자임상시험과 비슷한 목적을 가지는 특성을 보이고 있고, 기업 미지원 연구자주도임상시험의 경우 예방, 진단, 보조적 치료, 기초과학 등의 연구 설계, 시술/수술법의 중재 개입의 치료법의 확립, 연구적 성격의 임상시험의 특징들을 분석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연구중심병원 10개 기관에서 수행되는 연구자주도임상시험의 기업지원 여부에 따른 유형별 특성 분석을 통한 연구자주도임상시험의 활성화와, 재정적 지원을 통한 국민의 치료 기회 확대를 목적으로 한 기초자료 제공의 목적으로 활용하고, 의뢰자임상시험에 비하여 수행 규모가 적은 연구자주도임상시험의 활성화를 통한 연구자주도임상시험의 환경의 개선을 위한 유용한 자료의 제공을 목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Transtheoretical model 기반의 고지혈증 관리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개발 및 평가

        이주연 서울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8670

        본 연구의 목적은 transtheoretical model (TTM)을 기반으로 고지혈증 환자의 건강 행위(식이, 운동, 체중관리, 금연, 투약)에 대한 동기화 정도에 따라 맞춤형 중재를 제공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개발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적용 전 후 고지혈증 환자의 건강 행위에 대한 동기화 정도와 실제 건강 행위의 변화를 평가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중재를 전달하기 위한 고지혈증 관리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개발과, 기 개발된 어플리케이션을 고지혈증 환자에게 적용하여 효과를 평가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어플리케이션 개발은 고지혈증 환자의 건강 행위 관리를 위한 근거기반의 TTM 기반 맞춤형 중재를 제공하는 앱 개발을 기본 방향으로 설정하고, 사용자 요구사항 및 문헌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될 지식 및 기능을 분석하고, 데이터 모델, 프로세스 모델,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계하고, 설계 내용을 안드로이드 플랫폼에서 구현하고, 구현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성을 전문가 및 고지혈증 환자를 통해 평가하였다. 어플리케이션의 효과 평가는 고지혈증 환자 64명에게 어플리케이션을 12주간 사용하게 한 후, 사용 전과 후의 건강행위 동기화 정도, 건강 행위의 변화를 단일군 전 후 비교 설계로 평가하였다. 건강 행위 별로 중재 전 후 건강 행위 동기화 정도가 상승한 그룹, 유지된 그룹, 하강한 그룹으로 나눈 후 그룹별 실제 건강 행위 변화 정도가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어플리케이션은 기 발표된 고지혈증 관리 가이드라인 및 문헌을 근거로 선정한 식이, 운동, 체중관리, 금연 및 투약의 건강 행위 별로 환자가 입력한 TTM의 고려전/고려/준비/행동/유지 다섯 단계의 동기화 정도에 따라 환자에게 근거 기반의 맞춤형 정보를 일주일 마다 제공해준다. 전문가와 환자를 대상으로 한 사용성 평가 결과, 흥미/기능/심미/정보/주관적/건강행위의 6개 항목에서 각각 5점 만점에 3.66~4.24점, 3.61~4.26점으로 나타났다. 어플리케이션의 효과 평가 결과, 건강행위에 대한 동기화 정도는 식이, 운동, 체중관리, 금연에서 상승하였으며, 이 중 식이와 운동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 실제 건강 행위는 식이, 운동, 체중관리, 투약에서 향상되었으며, 이 중 식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건강 행위 별로 중재 전 후 건강 행위 동기화 정도의 상승, 유지, 하강에 따라 실제 건강 행위의 변화를 살펴 본 결과, 식이와 운동에서 동기화 정도가 상승한 그룹이, 유지와 하강 그룹에 비해 건강 행위 향상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건강 행위별 맞춤 중재 제공 어플리케이션은 고지혈증 환자의 동기화 정도에서 투약을 제외한 식이, 운동, 체중관리, 금연에서 효과가 있었고, 건강 행위에서 금연을 제외한 식이, 운동, 체중관리, 투약에서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는 고지혈증 환자의 건강 행위 관리를 위한 근거기반의 맞춤형 중재를 제공하는 앱으로, 건강 행위에 대한 동기화 정도를 상승시켜 실제 건강 행위를 향상시키는데 기여하였다.

      • 국내 비만청소년에 대한 운동 중재연구의 질 평가

        정희정 건양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69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exercise interventions for overweight or obese adolescents in South Korea and to perform a quality assessment of the research methodology in these clinical trials. Methods: Eight electronic databases and manual searches were utilized to identify randomized controlled trials(RCTs) and non-randomized controlled trials(NCTs) on exercise intervention written in both English and Korean. The electronic literature search excluded studies on before-after studies and prevention programs. Studies on both RCTs and NCTs that examined body weight change after a single physical activity intervention in adolescents are included. The methodological quality of all RCTs was assessed using the Risk of Bias(ROB) and Jadad Score. For NCTs, Risk of bias assessment tool for non-randomized studies(RoBANS) and Methodological index for non-randomized studies(MINORS) were used for the assessment. Results: Twenty studies met these criteria including 11 RCTs and 9 NCTs. The Jadad score of RCTs was calculated as an average value of 1.09. According to ROB, three studies had a high risk of bias for 5 domains. Unclear risk of bias was the most common rating for all domains. Particularly, the reference on allocation concealment and random sequence generation were not recorded in all studies. According to RoBANS for the evaluation of NCTS, two studies had a high risk of bias for 2 domains. Across all domains, most studies were rated as either low or unclear risk of bias. The MINORS score for all studies ranged from 10 to 14. Conclusion: Since 2000, the quantitative development of exercise intervention studies for obese adolescents in South Korea has steadily improved. However, a qualitative improvement in this research field has not been observed. To establish advanced clinical-based studies, further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appropriate research methods is required. In addition, national support is necessary to develop an assessment tool that can evaluate these studies at several viewpoints and resolve the ethical issues involving social behavior science research, including exercise intervention studies. 세계보건기구에서는 비만을 질병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 비만 인구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국내에서 실시된 비만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운동요법의 임상적 효과에 대해 살펴보고, 연구방법의 분석 및 다양한 평가도구를 활용해 연구의 질을 평가하였다. 국내 비만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운동중재연구에 대해 연구결과 파악 및 질 평가를 위해 연구대상자는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중 체질량지수를 평가하여 25kg/m2 이상이며 8주 이상 실시된 운동요법을 사용하여, 키, 몸무게, 체지방률, 체질량지수, 비만도 중 한 가지 이상을 평가변수를 사용한 경우에만 포함시켰다. 국내의 6개, 국외의 2개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였고, 검색된 논문은 무작위 배정연구, 비무작위 배정연구로 구분하여 질 평가 도구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문헌검색 결과 총 20편의 문헌이 선정되었으며, 무작위 배정연구가 11편 비무작위 배정연구가 9편으로 나타났다. 사용한 운동중재법으로는 걷기가 6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복합운동 5편, 태권도 혹은 유도가 4편으로 나타났으며, 운동프로그램의 횟수는 주 3회가 9편으로 가장 많았고, 주 5회 7편, 주 3∼4회와 주 4회가 각 2편으로 나타났다. 대조군의 설정은 13편의 연구가 대조군을 대기군으로 설정하였고, 4편의 연구에서는 대기군과 유산소 운동군을 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임상연구윤리위원회의 심의를 받은 연구는 1편도 없었으며, 동의서를 취득한 연구는 3편으로 나타났다. 무작위 배정연구의 Jadad score를 이용한 평가 결과, 평균 1.09점으로 나타났으며, Risk of bias 평가 결과 대부분의 평가항목에서 ‘비뚤림 위험 불확실’로 평가되었으며 특히 배정은폐와 배정방법에 대한 언급은 모든 연구에서 기록하지 않았다. 비무작위 배정연구의 RoBANS 평가결과 중재측정에서는 모든 연구가 ‘저위험’으로 평가되었고, 대상군의 선정에서는 7건의 연구에서 ‘저위험’으로 평가되었으나 나머지 항목에서는 대부분 ‘비뚤림 위험 불확실’로 평가되었다. MINORS평가 도구를 이용한 평가 결과 평균 12점으로 나타났다. 2000년 이후 비만청소년에 대한 운동요법 연구는 꾸준한 양적 성장을 보이고 있으나 연구의 질적 성장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향후 향상된 임상근거수립을 위해서는 비뚤림 없는 연구디자인을 설계하는 방법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이러한 연구디자인을 적용하여 대규모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추적관찰하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더불어 연구를 다각도에서 평가할 수 있는 평가도구의 개발, 운동중재연구와 같은 사회행동과학연구의 피험자 보호 및 윤리적 문제 해결을 위한 국가적 지원이 필요하다.

      • 흡연자의 임파구 DNA의 산화적 손상 감소를 위한 영양중재연구 : 항산화 비타민과 야채의 섭취 효과

        이혜진 韓南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668

        흡연은 암 뿐만아니라 만성질환에 영향을 끼치는 가장 강력한 위험 인자로 알려져 있다. 담배 연기는 연기 그 자체로 혈관 내에 강한 산화제로 작용하여 심혈관계에 악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혈액 내 지질과 지단백의 농도에 변화를 가져 오게 되고, 궁극적으로는 세포내 DNA에 손상을 입히게 되어 결국엔 암을 유발하게 되어진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최근 영양중재 연구는 정제된 항산화 비타민 보충 섭취보다는 항산화 영양소가 풍부한 야채 및 과일을 보충 섭취시키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 지고 있으나 두 방법 중 어느 것이 흡연자의 DNA 손상과 지질 양상에 더 효과적일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placebo 약을 대조군으로 두어 당근즙과 정제된 β-carotene의 흡연자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건강한 성인 남자 48명을 대상으로 각각 당근즙 섭취군과 정제된 β-carotene 섭취군, placebo약 섭취군으로 나누어 8주 동안 실시하였다. 당근즙은 매일 300ml을 주었고 정제된 β-carotene은 당근즙에 함유된 β-carotene과 같은 양을 주어 DNA 손상, 항산화 영양 상태 및 지질 양상에 대한 개선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자들의 일반 사항과 식이 섭취 조사, 신체 계측 조사를 하였고, 섭취 전 0주와 섭취 후 4주, 8주에 채혈을 실시하여 체내 DNA 손상 정도와 혈장 TRAP, 혈장 항산화 비타민, 적혈구 항산화 효소 및 혈장 지질 성분을 측정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Comet assay를 통하여 본 DNA 손상은 당근즙과 항산화 비타민을 섭취 4주, 8주 후에 감소하였다. 2) 혈장 비타민 C, 비타민 E 및 β-carotene함량은 당근즙 및 항산화 비타민 섭취 전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혈장 TRAP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항산화 효소인 catalase는 당근즙 및 항산화 비타민의 섭취 후에 차이가 없었다. 4) 혈장 지질인 TG, TC, HDL-C, LDL-C는 당근즙 및 항산화 비타민 섭취 전과 변함이 없었다. 본 연구 결과 당근즙 및 항산화 비타민의 섭취는 흡연자의 DNA 손상 회복과 항산화 상태 개선에 있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가지 영양 중재 방법에 있어 그 효과가 서로 비슷한 양상으로 나타나 식품으로서 항산화 비타민이 풍부한 당근즙이 흡연자의 산화적 손상과 이로 인해 발생하는 각종 암과 질병들을 예방할 수 있는 좋은 방법 중 하나로 제시 될 수 있을 것이다. Smoking i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incidence of numerous cancers and other degenerative diseases. It has been suggested that high consump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may give some protection. Especially carrot is the most important source of dietary β-carotene.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carrot juice supplementaton to smokers can be protective against lymphocyte DNA damage and to compare the effect of supplementation of capsules containing purified β-carotene or simple lactose(sugar pill). The study was conducted in a randomized and placebo-controlled design. After a depletion period of 14 day, 48 smokers were supplemented either carrot juice(n=18), purified β-carotene(n=16) or placebo(n=14). Each group was supplemented for 8 weeks with approximately 20.49mg of β-carotene/day and 1.2mg of vitamin C/day, as carrot juice(300ml/day) or purified β-carotene(1 capsule/day). Lymphocyte DNA damage was determined using the comet assay under alkaline condition and the damage was quantified by measuring tail length(TL), tail moment(TM), and percent DNA in tail. Carrot juice group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lymphocyte DNA damage in all three measurements; TL(0wk:71.0±2.70㎛, 4wks:55.54±1.08㎛, 8wks:52.32±0.83㎛, P=0.000), TM(0wk:17.70±1.11, 4wks:11.67±0.47, 8wks:10.02±0.41, P=0.000) and percent DNA in tail(0wk:23.86±0.71%, 4wks:19.95±0.52%, 8wks:20.50±0.53%, P=0.000). Purified β-carotene group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lymphocyte DNA damage in all three measurements; TL(0wk:26±2.47㎛, 4wks:56.51±0.98㎛, 8wks:53.3±1.35㎛, P=0.000), TM(0wk:18.85±1.15, 4wks:11.75±0.32, 8wks:9.75±0.56, P=0.000) and percent DNA in tail(0wk:73±0.85%, 4wks:19.82±0.45%, 8wks:19.66±0.59%, P=0.000). But placebo group did not show a significant decrease in DNA damage with the exception of TM(0wk:17.87±1.53um, 8wks:14.37±0.69um, P=0.016) and percent DNA in tail(0wk:24.46±1.07%, 4wks:22.22±0.58%, P=0.020). TRAP level was not significantly changed after all supplementation, but plasma vitamin C, vitamin E and β-carotene level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carrot juice and β-carotene supplementation. Antioxidant enzyme, catalase was not significantly changed after supplementation. Similarly plasma lipid profiles were not different after carrot juice, β-carotene and placebo supplementation. These results support that carrot juice containing β-carotene preventing damage to DNA in lymphocyt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arrot juice containing β-carotene or β-carotene itself have similar antioxidative potentials in preventing damage to lymphocyte DNA in smokers. Therefore, we suggest moderate dose of vitamin supplementation (amount of two servings of vegetable intake) may provide beneficial effect on reducing oxidative DNA damage in smokers.

      • 인체중재연구를 통한 발효옻 추출물의 지방간 개선 효능

        이주연 을지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55

        최근 사람들의 식품 선택 기준의 변화로 기능성 식품 등의 식품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생물공학 기술과 융합되어 건강기능식품, 맞춤형 식품, 기능성 소재 등 다양한 방면으로 변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여러 기능성 원료 중 발효옻 추출물의 지방간 개선에 대한 효능을 알아보고자 성인 여성 44명을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무작위 배정하고 12주간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군은 발효옻 추출물 400 mg을 함유한 제품을, 대조군은 유당혼합분말로 제조한 위약을 매일 2알씩 섭취하였으며 설문조사, 식생활 및 식이조사, 인체계측 및 채혈은 0주와 12주에 진행을 하였다. 그 결과, AST, ALT, γ-GT 수치 및 혈중 지질 수치에는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유의적인 변화는 없었으나, 실험군에서 섭취 후 혈소판 수치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MDA 및 adiponectin의 실험 후 수치가 두 군 모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adiponectin의 수치는 두 군 모두 증가하였다. oxidized LDL 수치에서 두 군간 12주차의 차이에서 실험군이 유의적으로 낮음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발효옻 섭취 후 개선된 수치는 있으나 뚜렷한 변화를 확인할 수는 없었다. 그 이유로는, 본 연구의 진행 시기가 COVID-19가 점차 심해지는 단계로 접어들면서 개인생활습관에서도 많은 변화들이 있었던 것이 추가적인 변수가 아니었을까 예측된다. 이에 따라 앞으로는 식이 중재를 포함한 연구를 함께 진행하면 발효옻에 대한 효능을 명확하게 볼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