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서비스브랜드의 국제광고 표현전략에 관한 연구 : 한국과 중국 광고의 비교를 중심으로

        정민함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943

        경제와 사회 문화 수준의 발전은 서비스산업의 비중을 향상시켰으며, 서비스광고의 수량이 변화하게 되었다. 한국의 서비스산업의 비중은 2005년 66.2%에서 2013년에는 69.5%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산업의 성장에 따라 서비스광고도 성장하고 있다. 중국 국가 통계청의 통계에 따르면 중국의 서비스산업의 비중은 2005년 40.3%에서 2013년 46.1%로 나타났다. 늘어나는 서비스 산업의 비중에 비해 중국에서의 서비스광고에 대한 연구는 아주 미흡한 상황이다. 따라서 서비스광고의 규율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시급한 시점이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서비스브랜드 웹광고에서 활용되는 메시지 소구법의 차이점, 광고모델의 부동점, 소비자-마케터 간의 상호작용 묘사의 차이점, 광고비주얼의 부동점에 대해 분석하고자 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한국 서비스브랜드 광고 100개와 중국 서비스브랜드 광고 100개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한국의 서비스광고에서는 이성소구가 더 많이 사용되었으며 중국의 서비스광고에서는 감성소구가 더 많이 사 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과 중국의 서비스광고에서 사용된 광고모델의 성별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한국과 중국의 서비스광고에서 사용된 광고모델의 유형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과 중국의 서비스브랜드의 웹광고에서 활 용되는 소비자-마케터 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묘사의 경우 온라인 요청서/의견/피드백은 한국광고에서 활용빈도가 더 높았지만 SNS 링크라는 요소와 관련하여 중국광고에서 활용빈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한국과 중국의 서비스브랜드의 웹광고에서 활용되는 광고비주얼 요소인 문자비주얼은 중국광고에서 활용빈도가 더 높았지만 상징비주얼은 한국광고에서 활용빈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실무적 시사점을 갖는다. 연구 결과에서 나타났듯이 광고소구, 광고모델, 소비자-마케터 간의 상호작용, 광고비주얼의 활용에 나타난 국가 간, 문화 간 차이를 고려하여 국제광고의 지역화 전략을 정밀하게 수립해야 할 것을 제시한다. 결론적으로 연구결과는 웹 서비스광고에도 문화에 바탕을 둔 지역화 전략이 적절할 수 있음을 암시한다. 한국 서비스광고의 경우에는 이성소구, 모델 미등장, 온라인 요청서/의견/피드백과 상징비주얼 요소들이 효과적일 수 있고, 중국 서비스광고의 경 우에는 감성소구, 모델 미등장, SNS 링크, 문자비주얼 요소들이 효과적임이 밝혀졌다. 그러므로 지역시장을 상대로 각 지역 특성에 맞는 지역화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인터넷을 통한 저렴한 비용 으로 국제적인 마케팅활동의 교두보를 효율적으로 마련할 수 있다는 점에서 홈페이지광고를 집행하는 데 있어서 표준화 전략을 사용할 것인지, 지역현지의 특성에 맞는 차별화 전략을 사용할 것인지가 오늘날 다국적 기업과 해외 광고회사가 직면한 문제이며 이는 인터넷마케팅의 중요한 전략으로 채택될 수 있다. 국제광고를 집행하는 데 있어서 표준화와 차별화 접근방식은 서로 배타적인 것이 아니라 공존의 관계에 있다. 따라서 국제시장을 상대로 홈페이지광고 전략을 수립할 경우, 각 지역시장에 어떤 방식으로 접근할 것인지 또 어떤 내용이 제시되어야 할 것인지 고려해야 한다. 아시아시장은 유교적인 문화와 자연에 대한 태도 등 일부분 공유하는 문화적 가치를 갖고 있지만 세부적인 차이도 적지 않다. 한국과 중국 시장을 비롯하여 아시아시장을 각각의 독립적인 시장으로 보고 접근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구체적으로 국제광고의 입장에서 표준화가 필요한 브랜드 전략 등에서는 먼저 비슷한 문화 요인으로 두 나라 시장을 묶어 하나의 시장으로 보고 표준화 전략을 사용하여 접근할 필요가 있지만 전반적인 마케팅 커뮤니 케이션에서 한국과 중국 간에 문화적으로 차이가 나는 요인은 지역화를 기반으로 시장세분화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 Kano모델과 잠재적 고객만족 개선지수를 이용한 서비스품질속성에 관한 연구 : 고객접촉에 의한 서비스산업을 중심으로

        김희경 한양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943

        세계 많은 나라들의 경제에 있어서 서비스가 차지하는 비중이 절반이 되어 버렸기 때문에 현대사회는 서비스사회 또는 서비스경제라고 불리어지고 있다. 제조업이라 할지라도 서비스개념 없이는 성공할 수 없게 되었으며 대부분의 기업은 서비스 위주의 경영을 추구함으로써 고객관계를 중시하는 경영으로 패러다임이 급속하게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품질의 일반적인 정의는‘사용자의 만족’이라는 주관적 측면과 ‘요구조건의 일치’라는 객관적 측면 중 하나를 따르고 있다. 하지만 오늘날과 같이 고객과 기업이 밀접한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서비스제공이 이루어지는 경우, 고객만족이라는 주관적 측면과 요구조건의 부합성 또는 설계표준에 대한 적합성이라는 객관적 측면을 동시에 고려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품질의 이원적인 측면을 대상으로 한 실증분석사례가 존재하는지, 이원적 품질측면을 바탕으로 하여 연구대상을 산업별 비교를 통해 진행한 연구가 있는지 또한 이러한 이원적 품질측면을 측정한 후, 이에 대한 우선개선사항을 파악한 사례가 있는지에 대한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SERVQUAL 5가지 차원과 고객접촉정도에 따른 산업별에 따라서 Kano품질속성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특성이 다른 4가지의 산업과 SERVQUAL차원간에는 상호작용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산업별과 SERVQUAL차원이 상호작용을 주었을 경우, Kano품질속성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다는 것으로 두 변수간의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Kano품질속성에 차이가 발생하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각 산업별로 잠재적 고객만족 개선지수 순위가 상위권에 속해있는 요소들을 중점적으로 관리·투자한다면 고객만족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각 산업별 SERVQUAL특성이 차이가 있으므로 산업특성에 따라 분류된 우선개선사항들을 파악하여 관리한다면 고객만족을 더 극대화할 수 있으며 산업과 SERVQUAL차원 간에도 상호작용효과가 존재하기 때문에 각 산업의 요소들을 SERVQUAL에 맞춰 고객에게 제공하게 된다면 만족도는 더욱 상승될 것이다. Modern society has called ‘Service Society’ or ‘Service Economy’ because service accounted for over 50 percent in the economy of many countries. Even if it is manufacturing it could not succeed without the concept of service and most of businesses paradigm has been changing on customer-centered service by seeking the management based on service. There are two aspects of service quality as subjective aspect and objective aspect. The subjective aspect means ‘user satisfaction’ and the objective aspect means ‘consistency of requirements. However, if service provision comes on the basis of the close interaction between businesses and customers, it should be considered both subjective aspect as customer satisfaction and objective aspect as consistency of requirements. Therefore, this study check the necessities; an empirical study for dual aspects of quality, a study of comparative analysis by industry on dual aspects of quality and a study of improvement/amendments about service quality after measured the quality. As a result, it verified that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ERVQUAL and quality attributes of Kano. Also, it verified that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industries and quality attributes of Kano. If the interaction effect works on between SERVQUAL and industries, it could check that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because of the interaction effect. it verified that there is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SERVQUAL and industries. Finally, if the top-ranking factors of PCSI in each industry would be handled or invested, it can maximize customer satisfaction. As a whole,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ERVQUAL dimensions in each industry so if the priorities depending on characteristics of industry would grasp and administer, it can cause maximization of customer satisfaction. Also, because there is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industries and SERVQUAL so if service quality attributes would provide to customer on SERVQUAL the level of customer satisfaction will increase.

      • 서비스 광고에서의 광고 모델 유형과 소비자 관여도에 따른 광고 효과 연구 : 의료 보장 보험 광고를 중심으로

        박형도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943

        이 연구는 서비스 광고에서의 모델 속성에 따른 광고 효과를 보고자한 연구이다. 특별히 서비스 광고 중에서도 최근 광고량이 늘고 있는 의료 보장 보험 광고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서비스 광고는 한 눈에 서비스의 질이나 신뢰성을 알아볼 수 없기 때문에 모델의 신뢰성이 중요하다. 이 시점에서 과연 어떤 유형의 모델이 의료 보장 보험 같은 서비스 광고에서도 효과적인가를 되짚어 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서비스 광고 - 의료 보장 보험을 중심으로 - 에서의 모델 속성(유명인/전문인/일반인)에 따른 광고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소비자 변인인 관여도를 중재 변인으로 보고, 관여도에 따른 모델 효과의 변화도 함께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1 : 서비스 광고의 경우, 모델의 유형(일반인/전문인/유명인)에 따른 광고 효과는 어떻게 달라지는가? 연구문제2 : 모델 유형에 의한 광고 효과는 소비자의 관여도에 의해 어떻게 달라지는가? 연구문제3 : 모델의 유형과 소비자 유형에 따른 광고 효과에는 상호작용 효과가 존재하는가? 본 연구자는 앞서 제시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게 되었다. 가설 1 : 3가지 광고(일반인/유명인/전문인 모델)의 유형에 따라 서비스 광고에서의 광고 효과는 달라질 것이다. 가설 1-1. 소비자의 광고 태도는 모델의 유형에 따라 차이가 날 것이다. 가설 1-2. 소비자의 브랜드 태도는 모델의 유형에 따라 차이가 날 것이다. 가설 1-3. 소비자의 구매 의도는 모델의 유형에 따라 차이가 날 것이다. 가설 2-1. 고관여 소비자 집단은 광고 모델의 유형에 따른 광고 태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가설 2-2. 고관여 소비자 집단은 광고 모델의 유형에 따른 브랜드 태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가설 2-3. 고관여 소비자 집단은 광고 모델의 유형에 따른 구매의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가설 2-4. 저관여 소비자 집단은 광고 모델의 유형에 따른 광고 태도의 차이가 나타날 것이다. 가설 2-5. 저관여 소비자 집단은 광고 모델의 유형에 따른 브랜드 태도의 차이가 나타날 것이다. 가설 2-6. 저관여 소비자 집단은 광고 모델의 유형에 따른 구매의도의 차이가 나타날 것이다. 가설 3-1 : 모델의 유형과 소비자 관여도에 따른 광고에 대한 태도에는 상호작용 효과가 존재할 것이다. 가설 3-2 : 모델의 유형과 소비자 관여도에 따른 브랜드에 대한 태도에는 상호작용 효과가 존재할 것이다 가설 3-3 : 모델의 유형과 소비자 관여도에 따른 구매의도에는 상호작용 효과가 존재할 것이다. 앞서 제시한 연구 문제와 가설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요인 실험 설계를 하였고, 실험을 통해 데이터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독립 변인은 모델 유형(일반인/유명인/전문인)이고, 중재변인으로서 소비자의 관여도(고관여/저관여)가 작용하며, 종속 변인은 광고의 효과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3 × 2 의 요인 설계로 이루어졌다. 이 연구의 진행을 위한 연구 방법은 실험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 연구에서는 일단 가상의 실험 광고물을 3가지 포맷으로 제작한 후, 실험에서 피험자 집단에게 노출시킨 후 설문지로 그 응답을 받았다. 실험에서는 실험자가 피험자들에게 가상의 연구 취지를 설명하고, 피험자들이 광고물을 충분히 보게 한 후, 그 후에 설문지를 통한 응답을 받았다. 그리고 이 연구 결과를 통해서 노출된 광고 유형의 집단별 광고 효과를 비교해 보았다. 이 연구에서 분석을 위해 사용된 방법은 ANOVA, Two-way ANOVA 등이었다. 그 결과 광고 모델에 관한 유형에 따른 광고효과는 광고에 대한 태도 면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즉, 광고 모델의 유형은 서비스 광고에서의 광고에 대한 태도에 차이를 낼 수 있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결과를 살펴보면, 광고 모델 유형의 경우, 유명 배우 모델인 안성기가 출연한 광고 모델이 일반인 모델과 전문인 모델에 비해 광고에 대한 태도가 높았다. 이것은 서비스 광고에서의 광고 모델의 유형의 효과가 광고에 대한 태도에서 유의미한 효과를 지니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브랜드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다. 따라서, 가설 1-1은 채택되었고, 가설 1-2와 1-3은 기각되었다. 연구문제2에서는 소비자 관여도의 중재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고, 이에 따라 피험자 집단을 고관여 소비자 그룹과 저관여 소비자 그룹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일단 고관여 소비자 그룹에서는 모델의 유형에 따른 광고 효과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유명 배우, 전문인, 일반인의 모델 유형에 따른 광고에 대한 태도, 브랜드에 대한 태도, 구매의도 모두에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고관여 소비자에 한해서는 광고 모델 유형에 따른 광고 효과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저관여 그룹에서는 다소 광고 모델의 부분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이 집단의 그룹은 광고에 대한 태도 형성에 있어 광고 모델에 따른 차이가 존재하였다. 그러나 브랜드에 대한 태도, 구매의도에서는 모델의 유형에 따른 효과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모델 유형과 관여도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는 광고에 대한 태도에서만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앞서 제시했던 관여도의 중재효과를 확인해주는 것이기도 하고, 모델 유형과 관여도는 광고에 대한 태도 형성에 있어 상호작용효과를 지니고 있으므로, 이것을 고려한 상태에서 광고를 집행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지속되는 후속 연구를 통해 이 연구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광고 모델의 유형에 따른 효과에 관한 이해가 깊어지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service advertisements depending on models' types and consumers' engagement levels, while being focused on the advertisements for the medical assurance insurances which has been increasing lately. Since consumers cannot afford to understand quality or reliability of a service advertisement at a glance, their reliability of its model is very important. Therefore, it may be significant to review what types of models would be effective for such service advertisements as those for medical assurance insurances. With such basic conceptions in mind, this study was aimed at analyzing the effects of the service advertisements - particularly those for medical assurance insurances - depending on models' attributes (celebrities/professionals/ordinary people). To this end, engagement levels or consumers' variables were set as intermediary variables, and thereby, the effects of models were analyzed depending on consumers' engagement levels. For this study, the following study points were set up; Study point 1: How would the effects of the service advertisements differ depending on models' types (ordinary people/professionals/ celebrities)? Study point 2: How would the effects of the service advertisements by models' type differ depending on consumers' engagement levels? Study point 3: How would the effects of advertisement by models' type interact with those by consumers' type? In order to find the answers to the above questions, the following hypotheses were set up; Hypothesis 1: The effects of the service advertisements would differ depending on the models' types (ordinary people/celebrities/professional). Hypothesis 1-1: Consumers' attitudes towards the advertisements would differ apparently depending on models' types. Hypothesis 1-2: Consumers' attitudes towards brands will differ depending on models' types. Hypothesis 1-3: Consumers' purchase intentions would differ depending on models' types. Hypothesis 2-1: Highly engaged consumer group's attitude towards advertisements would not differ depending on models' types. Hypothesis 2-2: Highly engaged consumer group's attitude towards brands would not differ depending on models' types. Hypothesis 2-3: Highly engaged consumer group's purchase intention would not differ depending on models' types. Hypothesis 2-4: Lowly engaged consumer group's attitudes towards advertisements would differ depending on models' types. Hypothesis 2-5: Lowly engaged consumer group's attitudes towards brands would differ depending on models' types. Hypothesis 2-6: Lowly engaged consumer group's purchase intention would differ depending on models' types. Hypothesis 3-1: The effects by model's type would interact with consumers' attitudes towards advertisements depending on their engagement levels. Hypothesis 3-2: The effects by model's type would interact with consumers' attitudes towards brands depending on their engagement levels. Hypothesis 3-3: The effects by model's type would interact with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depending on their engagement levels. In order to review the study points and test the hypotheses thereof, a factor analysis was designed to test the data. The primary independent variables were models' types (ordinary people/celebrities/professional), while the intermediary variables were consumers' engagement levels (high and low engagement levels), and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effects of advertisement. For this study, 3x2 factory analysis was adopted, and the data were tested accordingly. Thus, virtual test advertisements were produced into three formats and then, they were exposed to the subjects who would be surveyed by means of a questionnaire. Namely, subjects were informed of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were instructed to view the test advertisements sufficiently, and respond to the questionnaire. The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o compare the advertising effects among groups. For this analysis, ANOVA and two-way ANOVA were us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advertising effects depending on models' types affected only consumers' attitudes towards the advertisements. Namely, the models' types affected significantly consumers' attitudes towards the advertisement only. To be more specific, when the famous actor Ahn Sung-ki advertised the test advertisement, consumers' attitudes towards the advertisement was more positively affected than those advertised by ordinary people or professional. Such a finding suggests that the models' types may have significantly more effects on consumers' attitudes. However, consumers' attitudes towards the brand or their purchase intention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Therefore, hypothesis 1 was adopted, while hypotheses 1-2 and 1-3 were rejected. The study point 2 was designed to analyze an intermediary effect of consumers' engagement levels, and thereby, subjects were divided into high-engagement and low-engagement groups. The advertising effects by model's type did not differ for high-engagement consumer group. Moreover, their attitudes towards the advertisement or brands or their purchase intention was not affected by models' type (famous actor, professional or ordinary people). In short, the advertising effects by model's type were not significant for the high-engagement consumer group. On the other hand, effects of model were effective partially for low-engagement consumer group. In other words, their attitudes towards the advertisements differed depending on models' types. However, their attitudes towards brands or their purchase intention did not differ depending on models' types. Meanwhile, the effects of interaction between model types and consumers' engagement levels were significant only for consumers' attitudes towards advertisements. Such a finding may confirm an intermediary effect of engagement levels. In other respect, since model types interact with consumers' engagement levels to affect consumers' attitudes towards advertisements, it may well be required of advertisers to plan their advertisements in consideration of such an aspect. Lastl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followed up by future studies which will surmount the limits of this study and analyze the effects of advertisements depending on models' types in more depth.

      • 잠재성장모델을 통한 장기요양서비스와 의료서비스의 관계 분석

        김성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943

        우리나라는 세계 여러 국가와 비교했을 때, 인구 고령화가 상대적으로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급격한 고령화로 만성질환과 연관되는 의료비 문제, 노인의 요양 및 부양 문제 등 노인에 관한 사회문제가 발생하면서 우리나라는 2008년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를 도입하였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장기요양서비스와 의료서비스의 역할이 명확히 구분되지 않아 두 서비스 간의 경쟁이 발생해 노인에게 적절한 서비스가 제공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제도가 도입된 초기부터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따라서 이들 서비스 간의 관계를 명확하게 파악하는 것은 노인에게 효율적인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필수불가결한 사안이며, 나아가 노인을 부양하는 가족과 사회의 부담 감소 및 건강보험 재정 안정을 위한 정책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런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장기요양서비스와 의료서비스의 관계에 잠재성장모델(Latent Growth Model)을 적용한 종단분석을 실시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 노인의 장기요양서비스 이용 여부가 의료서비스 이용수준에 미치는 변화를 분석하고 두 서비스 간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14년부터 2018년까지의 기간 동안 65세 이상 노인의 외래서비스와 입원서비스의 이용횟수, 이용기간, 지출비용 모두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유의하게 선형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노인장기요양보험 이용이 외래서비스 이용횟수와 지출비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노인장기요양보험 이용경험 모델과 이용횟수 모델 모두 외래서비스 이용 수준의 변화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초기에는 노인장기요양보험 이용 경험이 있고 더 많이 이용한 노인이 이용 경험이 없는 노인에 비해 외래서비스 이용횟수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노인장기요양보험 이용 경험이 없는 노인에 비해 외래서비스 이용횟수 및 지출비용이 더 느리게 증가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노인장기요양보험 이용이 입원서비스 이용횟수, 이용기간 및 지출비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입원서비스 이용횟수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초기에는 노인장기요양보험 이용 경험이 있고 더 많이 이용한 노인이 이용 경험이 없는 노인에 비해 입원서비스 이용횟수가 더 많았으며, 시간이 지날 수록 노인장기요양보험 이용 경험이 없는 노인에 비해 입원서비스 이용횟수가 더 빠르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노인장기요양보험 이용 여부가 노인의 병의원의 외래서비스 이용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나, 입원서비스 이용률의 증가를 더 가속화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와 같은 현상은 건강보험 재정 지출이 더 빠르게 확대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법률상의 장기요양 시설 입소와 병원 입원의 기준 및 역할을 명확하게 정립함으로써 사회적 입원과 같은 불필요한 의료서비스 이용을 방지하고, 이를 시작으로 의료자원 낭비 및 건강보험 재정 지출 확대 등의 문제를 해결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이와 더불어 국가 및 장기요양기관은 기관에 종사하는 의사 및 간호 인력의 전문성 강화교육 및 평가를 위한 정책⸱제도도 보완이 요구된다. Compared with other countries in the world, aging of population in Korea is proceeding very rapidly. Rapid aging population brings about various social problems like medical bills related with chronic diseases, and care and support of old people. Thus, in 2008, the Korean government adopted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But, from the time when the system was adopted, the issues that there is not very clear distinction between long-term care service and medical service, and that, competition between two kinds of service hinders provision of proper service to the elderly have continuously been raised. Consequently, clear differentiation of two kinds of service is an indispensible element to provide the elderly with efficient care service, and, furthermore, and can help the families supporting the elderly and the society to reduce burdens, and the government to develop policies to stabilize health insurance finances. Based on such an awareness of problems, this study did longitudinal analysis applying the latent growth model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long-term care service given to old people of 65 years old or over and medical servic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use of long-term care service on the use of medical service among the elderly over time, and find out the problems which occu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kinds of service. Major findings of the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from 2014 to 2018, the frequencies of using outpatient treatments and hospitalized treatments, the periods of using such treatments and medical expenses for the elderly of 65 years old or over have significantly and linearly increased. Second,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use of long-term care insurance on the number of use of outpatient treatments and expenditure costs showed that both the model on whether one has ever used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and the model on how many times one has used the insurance a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changes of the use of outpatient treatment service. At the beginning, those who had ever used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tended to use outpatient treatment service more than those who had not used the insurance, and the more frequently they used long-term care insurance, the more they used outpatient treatment service. But, over time, those who had ever used long-term care insurance and those who had used the insurance more than others were slower in the increase in the frequency of using outpatient treatment service and in expenditure costs than those who had never used the insurance and those who had used less than others. Third,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use of long-term care insurance on the number of use, length of use, and expenditure costs of hospitalized treatments showed that the number of use only are significant. In the initial period after the system was adopted, those who had ever used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and those who had used it more frequently than others used hospitalized treatment service more than those who had not used the insurance. In addition, those who had used the insurance tended to increase the frequency of using hospitalized treatment service more than those who had never used the insurance. In conclusion, the experience of using the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has positive effect on the use of outpatient treatment service among the elderly, and accelerates the use of hospitalized treatment of them. Such a phenomenon is the cause of accelerating expansion of expenditure of health insurance finances. Consequently, it is necessary to prevent use of unnecessary medical service like social admission in facilities and hospitals by clearly defining standards and roles in entering long-term care facilities and admission in hospitals and clinics, and to solve the problems regarding abuse of medical sources and expansion of health insurance expenditures. In addition, it is also necessary for the government and long-term care facilities to revise and compensate for policies and institutions to strengthen educations to improve expertise of doctors and nurses working in long-term care facilities, and evaluate them.

      • Kano model에 기반한 도서관 서비스 품질요소에 관한 분석 : 전문도서관을 중심으로

        이지현 성균관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943

        본 연구는 전문도서관 서비스 품질요소가 이용자의 만족도 및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Kano 모델을 적용시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문도서관 서비스품질 측정에 많이 사용되는 SERVQUAL모형을 이원적 서비스품질 측정모델인 Kano 모델에 적용하였으며, 한국학중앙연구원 전문도서관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Kano모델의 서비스 속성품질분류 결과를 종합적으로 봤을 때 도서관 서비스의 총 22개 서비스 항목은 매력적 품질, 일원적 품질, 무관심 품질 세 가지로 분류되었다. 둘째, Kano모델의 만족향상요인 및 불만감소 요인 분석 결과로 도서관서비스의 만족계수(Better)는 ‘바쁜 상황에서의 대응’, ‘이용자 질문에 준비 되어있는 정도’, ‘이용자의 관심사항을 이해’의 지수값이 높게 나타났으며, 불만족계수(Worse)의 결과로는 '건물외관', '사서의 옷차림'의 지수값이 낮게 나타났다. 셋째, 전문도서관 서비스품질 인식 수준이 이용자의 만족도 및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신뢰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해본다면 전문도서관 이용자들의 서비스품질 인식 수준이 만족도 및 재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Kano모델의 분석을 통해 이용자의 관심사항을 이해하고 요구에 대한 유연한 대처, 이용자 질문에 대한 대답과 전문지식을 갖추는 것이 매우 중요한 관리요소이며 시설관리 및 서비스 제공에 대한 부분들은 도서관 이용자들이 항상 원하는 부분으로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국내의 전문도서관 한 곳을 대상으로 수행하였기 때문에 전체로 일반화시켜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SERVQUAL모형을 이원적 서비스품질 측정모델인 Kano 모델에 적용하여 서비스 품질 개선에 있어 이용자의 입장을 고려할 수 있게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service quality elements of special libraries on the satisfaction and reuse intention of users by applying the Kano model. For that purpose, the study applied the SERVQUAL model, which is often used in the measurement of service quality of special libraries, to the Kano model, a dual service quality measuring model. Date was collected from the users of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library.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made an overall review of service attributes and quality categorization results of the Kano model and found that the total 22 library service items were categorized into attractive, unitary, and indifference quality. Secondly, the study analyzed the factors of the Kano model that are associated with increasing satisfaction and reducing complaints and found that the satisfaction coefficient(Better) of library service was high in "responses to a busy situation," "preparedness for users' questions," and "understanding of users' interest" and that the dissatisfaction coefficient(Worse) was high in "appearance of the building" and "dress of the librarian." Finally, the study perform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effects of perception level of service quality of a special library on the satisfaction and reuse intention of users and found that "reliability"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ir satisfaction and reuse intention. The overall results of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perception level of service quality has influences on satisfaction and reuse intention among the users of this library. The analysis results with the Kano model suggest that it is extremely important for the management to understand the interest of users, make flexible responses with their needs, answer their questions, and have expertise. Library users have continuous demand for facility management and service provision, which calls for ongoing attention.

      • 서비스 중심의 상호운용성 평가 프로세스 모델

        이헌동 아주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943

        최근 정보기술은 사람과 사물이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호작용하는 사회로 발전하는 추세에 있고, 군사분야는 NCW의 발전과 함께 넷-중심적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발전과 노력들은 시너지 창출을 위한 서비스와 서비스 실현을 위한 상호운용성 발전을 예고하고 있다. 상호운용성도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 과거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중심 상호운용성에서, 시스템 중심 상호운용성을 거쳐, 최근에는 조직중심 상호운용성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진화는 상호운용성을 기술적인 문제로만 보지 않고 서비스를 중심으로 조직의 시너지를 창출하는데 주안을두고 있음을 의미한다. 상호운용성 구현을 위해서는 필요한 여러 활동들이 연계되고 통합되어야한다. 상호운용성 서비스의 개발, 정보기술표준 관리, 상호운용성 시험평가, 통합전투력 발휘를 위한 전투발전요소 등은 서로 연관된 활동과 절차들이다. 그러나 현재 이들 활동과 절차들은 각각 영역별로 관리되고 있다. 심지어 서비스의 개발, 전투발전요소의 통합 등은 상호운용성과 관련이 없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어서 상호운용성 구현이 효율적이지 못하다. 연구의 목적은 넷-중심적 환경에서 조직의 서비스를 실현하고 시너지를 창출하도록 ‘서비스 중심 상호운용성 평가 프로세서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모델은 영역별로 관리되는 상호운용성 서비스, 정보기술표준, 상호운용성 시험평가, 전투발전요소 등을 연계 및 통합하여 넷-중심적 환경에서 효율적으로 서비스 중심 상호운용성을 구현을 평가 할 수 있는 프로세서 모델이다. 본 연구를 위해서 먼저, 논문에 관련된 핵심적 주제에 대한 개념 및특징과 기존 상호운용성 평가 절차모델에 대해 연구하고, 이를 기초로 분석 및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먼저, 개념과 특징에 대한 연구로서, 서비스, 상호운용성, 정보기술표준, 통합적 전투발전요소 등을 살펴보았다. 다음, 평가 절차모델은 상호운용성 기반 표준결정 모델, 국제표준화기구(ISO)의 ISO/IEC-9646 표준적합성시험 모델, 유럽전기통신표준기구(ETSI)의ETSI TS 102 237 상호운용성시험 모델과 전투발전요소의평가수준을 식별하기 위해 상호운용성 성숙도 모델을 연구하였다. 3장에서는 분석 및 시사점으로부터 서비스 중심 상호운용성 평가 프로세서 모델을 제안한다. 4장에서는 상호운용성이 필요한 대표적인 합동작전 사례인 근접항공지원 작전을 대상으로 제안모델 적용시험을 통하여 제안모델이 효율적임을 검증하였다. 기대효과는 첫째, 넷-중심적 환경에서 통합 상호운용성 평가 절차를제공 할 수 있다. 상호운용성 구현을 위한 제반 활동과 절차들인 기술표준의 선택, 제품의 표준적합성 구현, 서비스 상호운용성 구현 그리고 통합전투력 발휘에 이르는 과정을 통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둘째, 무기체계 개발과정에서 상호운용성 구현을 위한 효과적인 접근방법을 제공할수 있다. 제안모델의 각 단계는 무기체계 개발과정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단계별 무기체계의 개발 시에 상호운용성 구현에 필요한 창의적 접근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셋째, 서비스 중심 상호운용성 정책발전을 견인할 수 있다. 제안모델은 상호운용성 구현에 필요한 단계별 활동이 연계 및 통합되어 있으므로, 정책발전을 위한 훌륭한 요구사항을 제시할 수 있다.

      • 건강신념모델이 테마파크 서비스품질 인식과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코로나19 상황을 중심으로-

        김건우 동양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94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belief model, perception of service quality in theme park, and revisit intention of theme park visitors in the long term COVID-19 situation. To achieve this research objective, this study designed a research model and established a hypothesis based on previous studies on each variable after obtaining a theoretical overview of COVID-19, theme park, health belief model, perception of service quality in theme park, and revisit intention.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Korean visitors of H Theme Park located in Gyeonggi-do using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nd a total of 399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identified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 of verifying a relationship between predisposing factors and infection prevention behavior among health belief model, perceived severity and perceived effect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infection prevention behavior. On the other hand, the perceived possibility of disease infection and perceived obstacles showed different results from previous studies, and unlike general diseases, perceived possibility of disease infection and perceived obstacles due to the prolonged COVID-19, measures related to the quarantine of COVID-19 which varies by period, and reduction of COVID-19 obstacles do not appear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infection prevention behavior. Secondly, as a result of verifying a relationship between infection prevention behavior and service quality of theme park, it was identified that infection prevention behavior make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ub-factors of service quality in theme park as untact customer management, congestion management, and hygiene management. This signifies that visitors who practice infection prevention behavior well have a high awareness of the sub-factors of service quality provided by theme parks. Third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verifying the influencing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quality of theme park and revisit intention, congestion management, a sub-factor of service quality of theme park, was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influence on revisit intention. This can be interpreted that the importance of congestion management is not recognized higher than hygiene management with the prolonged COVID-19 and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personal quarantine rules. On the other hand, it was identified that untact customer management and hygiene management mak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revisit intention. This signifies that untact customer management and hygiene management, subfactors of service quality provided by theme parks amid the COVID-19 situation, are important factors that can cause tourists to be satisfied and to revisit. First, to summarize the practical implications that can be obtained in this study, it was identified that only two factors as perceived seriousness and perceived effect among the preceding factors of the health belief model mak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infection prevention behavior. This signifies that unlike the research results of general diseases, the main infection prevention behavior variables of theme park visitors in the COVID-19 situation are perceived seriousness and perceived effect, and this suggests that theme parks need to establish measures and countermeasures for infection prevention behavior according to these variables. Secondly, through the results that infection prevention behavior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service quality of theme park, it was identified that tourists who recognize and practice the importance of infection prevention behavior are highly aware of the quality of service provided by theme parks. This result suggests that manager and operator must continuously and actively provide and manage service quality that meets infection prevention behavior. Thirdly, it was identified that untact customer management and hygiene management, which are sub-factors of theme park service quality,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revisit intention. This signifies that providing service quality at theme parks suitable for the COVID-19 situation increases customer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and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achieving profit generation, which is the purpose of a company. 본 연구는 장기적인 코로나19 상황 속에서 테마파크 방문객의 건강신념모델, 테마파크 서비스품질 인식 그리고 재방문 의도 간의 관계에 대해 실증적으로 탐색해 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코로나19, 테마파크, 건강신념모델, 테마파크 서비스품질 인식, 재방문 의도를 이론적으로 개관한 후에 각 변수들에 대한 선행 연구를 기반으로 연구모형을 설계하고 가설을 설정하였다. 이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경기도에 소재하는 H테마파크를 방문한 내국인 방문객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 방법을 활용하여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총 399부의 설문지를 통계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건강신념모델 중 선행요인과 감염예방행동 간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지각된 심각성과 지각된 효과는 감염예방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지각된 질병감염가능성과 지각된 장애요인은 선행연구들과는 다른 결과가 나타났는데 이는 일반 질병과 달리 코로나19의 장기화와 시기별로 달라지는 코로나19의 방역관련 조치, 코로나19 장애 요소의 축소 등으로 인해 지각된 질병감염가능성과 지각된 장애요인이 감염예방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둘째, 감염예방행동과 테마파크 서비스품질 간의 영향 관계를 검증한 결과, 감염예방행동은 테마파크 서비스품질의 하위요인인 언택트 고객관리, 혼잡관리, 위생관리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감염예방행동을 잘 실천하는 관광객은 테마파크에서 제공하는 테마파크 서비스품질의 하위요인에 대해 높은 인식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테마파크 서비스품질과 재방문 의도 간의 영향 관계를 검증한 결과 테마파크 서비스품질의 하위 요인인 혼잡관리는 재방문 의도에 유의한 영향 관계를 갖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코로나19의 장기화와 개인 방역수칙의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혼잡관리에 대한 중요성은 언택트 고객관리, 위생관리보다는 높게 인식하지 않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반면 언택트 고객관리와 위생관리는 재방문 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코로나19의 상황 속에서 테마파크가 제공하는 서비스품질의 하위요인인 언택트 고객관리와 위생관리는 관광객의 만족과 재방문을 일으킬 수 있는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 얻을 수 있는 실무적 시사점을 정리해보면, 첫째, 건강신념모델의 선행요인 중 지각된 심각성과 지각된 효과 두 가지 요인만 감염예방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반 질병들의 연구 결과와는 다르게 코로나19 상황에서 테마파크 방문객의 주요한 감염예방행동 변수는 지각된 심각성과 지각된 효과이며 테마파크에서는 이러한 변수에 맞게 감염예방행동을 위한 방안과 대책 마련을 수립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둘째, 감염예방행동은 테마파크 서비스품질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통해 감염예방행동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실천하는 관광객은 테마파크에서 제공하는 서비스품질에 대한 인식이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테마파크의 관리자와 운영자는 감염예방행동에 부합되는 서비스품질을 지속적, 적극적으로 제공 및 관리해야 함을 시사한다. 셋째, 테마파크 서비스품질의 하위요인인 언택트 고객관리와 위생관리는 재방문 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 이는 코로나19 상황에 맞는 테마파크의 서비스품질 제공이 고객만족과 재방문 의도를 높이며, 이를 통해서 기업의 목적인 이윤 창출 달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OTT(Over The Top) 플랫폼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 Push-Pull-Mooring과 고객 경로 5A 결합 모델을 중심으로

        안상욱 서강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943

        본 연구는 글로벌 OTT 서비스의 한국 진출을 시작으로 국내 콘텐츠 시장의 경쟁이 심화된 상황에서 OTT 서비스 플랫폼을 선택하는 사용자의 주요 영향 요인을 탐색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대표 OTT 플랫폼별로 소비자가 선택하는 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 분석하고, 변화가 빠른 미디어 산업의 특성에 따라 ‘메뚜기족’, ‘빈지-워칭(Binge-watching)’과 같은 최신 경향 요인과 소비자의 새로운 소비 패턴을 알아본다. 기존 OTT 관련 경영학 연구에서는 주로 설문조사에 의존해 연구자가 제한한 범위 안에서 한정적인 답변을 얻는 한계점을 갖는다. 또한, 대표 OTT 플랫폼을 연구하거나 OTT 서비스의 전체적인 특성에 관련된 논의가 주를 이뤄서 OTT 플랫폼별 특성을 고려한 연구가 미흡하다.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소비자가 서비스를 선택하는 실질적인 요소를 파악하고자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는 제한된 질문에서 나올 수 있는 결과의 한계를 넘어, 소비자가 OTT 플랫폼 서비스를 선택하는 실제 요인들을 탐색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연구는 인구통계이론에서 비롯돼 현재 경영학에서 소비자의 행동 변화를 설명하는데 유용한 이론인 PPM(Push-Pull-Mooring) 모델을 사용하였다. 이는 서비스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Push(기존 장소를 떠나게 하는 요인), Pull(새로운 장소로 끌어당기는 요인), Mooring(이동 결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구분하기 위함이다. 또한, 디지털 서비스인 OTT의 특성을 고려하여 디지털 구매자의 소비경로를 인식(Acknowledge), 호감(Appeal), 질문(Ask), 행동(Act), 옹호(Advocate) 이렇게 5단계로 구분하는 디지털 소비 경로 5A 이론을 PPM 모델과 결합하여 분석했다. PPM/5A 결합 모델의 사용은 OTT 플랫폼 서비스의 선택 요인을 분석할 수 있는 범위 안으로 한정했다. 위의 결합 모델과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OTT 서비스 선택 요인들을 바탕으로 국내 OTT 시장 상위 5개 플랫폼인 넷플릭스(Netflix), 티빙(Tving), 웨이브(Wavve), 쿠팡플레이(Coupang-Play), 디즈니플러스(Disney+)를 구독한 20대에서 60대까지의 OTT 서비스 구독자 10명을 대상으로 1:1 심층 인터뷰를 진행한다. 최근 다회선 구독자가 늘어난 추세를 반영해 대상을 설정했다. 이를 통해 (오리지널) 콘텐츠, 계정 공유와 가격 정책, UI 검색과 추천 알고리즘, 자막과 시청 품질, 서비스 불친절이 OTT 서비스 소비자의 선택 혹은 구독 취소에 영향을 미친 요인임이 밝혀졌다. 또한, OTT 플랫폼별로 서비스 이용자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차이점으로 넷플릭스와 디즈니플러스는 오리지널 콘텐츠, 쿠팡플레이는 가격과 편리성이 영향 요인으로 드러났다. 하지만, 티빙과 웨이브는 지상파 콘텐츠를 제외하고 개성화와 차별성 면에서 노력이 필요하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메뚜기족’, ‘빈지-워칭’, ‘공유’가 OTT 서비스 이용자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최근 트렌드를 반영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탐색적 연구가 앞으로 국내 OTT 시장의 변화에 대응할 시사점을 제시하는 사례 연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atively analyze the main influencing factors of users' choice of OTT service platforms in the context of increasing competition in the domestic content market, starting with the entry of global OTT services into Korea. In addition,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factors that influence consumers' choices among representative OTT platforms, and explores the latest trend factors such as 'locusts' and 'binge-watching' and new consumption patterns of consumer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st-changing media industry. Existing OTT-related management studies mainly rely on surveys, which have the limitation of obtaining limited answers within a limited scope. In addition, there is a lack of research that considers OTT platform-specific characteristics, as most studies focus on representative OTT platforms or discuss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OTT services. Therefore, in this paper,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to understand the actual factors that lead consumers to choose services. This is to explore the actual factors that consumers choose OTT platform services beyond the limitations of the results that can come from limited questions. In addition, this study used the Push-Pull-Mooring (PPM) model, a theory that originated in demographic theory and is currently useful in management to explain consumer behavior change. This is to categorize the factors that influence service selection into Push (factors that cause people to leave their existing place), Pull (factors that attract them to a new place), and Mooring (factors that influence their decision to move). In addit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OTT as a digital service, we analyzed the 5A theory of digital consumption path, which divides the consumption path of digital buyers into five stages: Acknowledge, Appeal, Ask, Act, and Advocate, in combination with the PPM model. The use of the combined PPM/5A model was limited to the scope of analyzing the selection factors of OTT platform services. Based on the above combined model and OTT service selection factors identified in previous studies, we conducted one-on-one in-depth interviews with 10 OTT service subscribers in their 20s to 60s who subscribed to Netflix, Tving, Wavve, Coupang-Play, and Disney+, the top five platforms in the domestic OTT market. The target audience reflects the recent trend of multi-line subscribers. The study found that (original) content, account sharing and pricing, UI search and recommendation algorithms, subtitles and viewing quality, and service incompetence were factors that influenced consumers to choose or unsubscribe from OTT services. In addition,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factors that influenced service users' choices among OTT platforms, with Netflix and Disney Plus being influenced by original content, and Coupang Play by price and convenience. However, it was found that Tving and Wavve need to work on individualization and differentiation, except for terrestrial content. Finally, 'locusts', 'binge-watching', and 'sharing' were found to be factors reflecting recent trends that influence the choice of OTT service users. We expect this exploratory study to serve as a case study that provides implications for responding to changes in the domestic OTT mark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