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트메이크업에 응용된 팝아트의 특성 연구

        김의형(Eui Hyoung Kim),정숙영(Sook Young Jeong)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2014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Vol.15 No.3

        Within the field of modern make-up, pop-art make-up has as yet been only partially researched, with few studies on the topic.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pop-art factors applied to art make-up through the personal creation of art make-up using pop-art characteristics under the assumption that pop art-based art make-up is closely related to the shapes and colors of the trends in fine arts. As a result, pop-art factors used in art make-up were analyzed by morphological, color and expression-technique characteristic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expressed through repetition and duplication, reproduction of objects and modification of original forms. The color characteristics were presented through clear visual effects, film color and color contrast while the expression-technique characteristics were expressed through happening, combine painting and object.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makeup and trends in the fine arts was confirm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elps to broaden the field of art makeup and to enhance its artistic values.

      • KCI등재

        옵티컬 아트의 조형적 특성을 응용한 아트메이크업 디자인 연구

        박소정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22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23 No.70

        Optical art is the art of retina which induces a visual illusion through an abstract expression of repetition aesthetics and has been utilized as a source of design in the various fields beyond the scope and area of contemporary arts. Art makeup is to make aesthetic and artistic emotion become an image visually according to faces and human bodies and achieve a liberal and creative makeup. Art makeup design has focused on a unique design which can enhance an artistic value through the combination with various art areas. This study analyzed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design cases of optical art and works of representative optical artists and researched art makeup designs applying optical art motives. This study reinterpreted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optical art into art makeup works based on an artistic trend in order to develop symbolic formative art makeup design which is harmonized with popular art trend and create a new and unique image. After it investigated materials of optical art and art makeup and analyzed their formative characteristics, it produced art makeup work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formative shape of repetition, illusion and colors, and artistic expressions of geometrical optical art could crate unique optical art designs when they were mixed with facial and physical solidity.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original functionality and aesthetic value of art makeup was enhanced and a new artistic image was delivered. 옵티컬 아트는 반복미학의 추상적 표현을 통한 시각적 착각을 유도하는 망막의 예술로서 단순히 현대미술의 영역과 범위를 넘어서 다양한 분야에서 디자인의 원천으로 활용되고 있다. 아트메이크업은 얼굴 및 인체에 주제에 따라 미적이고 예술적인 감성을 시각적으로 이미지화하여 자유롭고 창의적인 메이크업을 구현하는 것이다. 아트메이크업 디자인은 다양한 예술 분야와 조합을 통해 예술적 가치를 높일 수 있는 개성있는 디자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옵티컬 아트에 나타난 조형적 특성과 대표 작가들의 작품의 특성, 디자인 사례들을 분석하고, 이러한 모티브를 응용하여 아트메이크업 디자인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옵티컬 아트 디자인의 조형적 특성을 예술적 경향에 근거한 아트 메이크업 작품으로 재해석하여 제작함으로서 창의적 발상과 응용력을 높이고 대중적인 예술사조와 융합하는 상징적인 조형예술적 아트메이크업 디자인 개발과 새롭고 개성있는 이미지 구현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옵티컬 아트와 아트메이크업에 관한 자료를 고찰하고 조형적 특성을 분석한 후 아트메이크업 작품을 제작하였다. 연구결과 반복과 착시의 형태조형, 입체조형, 색채조형 등 기하학적 옵티컬 아트의 조형 예술적 표현들이 얼굴 및 신체의 입체성과 융합하여 독특한 옵아트 디자인의 구현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아트메이크업의 독창적인 작품 가능성과 미적 가치를 높이고 새로운 예술적 이미지를 전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패션아트에 있어서 설치미술 표현 특성 연구

        무윈 ( Mu Yun ),김순구 ( Kim Soonku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7 예술과 미디어 Vol.16 No.1

        “패션아트”(Fashion Art)말 그대로 패션과 관련된 예술이다. 패션아트는 하나의 예술 형식이며 이 예술 형식의 핵심적인 특징은 패션을 매개체 및 소재로써 개인의 감정과 정신세계를 표현하는 것을 강조한다는 점이다. 이것은 현대 예술의 한 종류이며 현대 예술 중 하나인 설치 미술과 함께 창조성, 사상성, 예술성 그리고 예견성의 특징이 있으며 패션 디자인을 이끌고 지도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현대에서 패션 디자인은 현장 활동 속에서 “예술”이 ”패션”과 어우러지고 ”예술가”가 ”패션”에 어우러지는 하나의 새로운 예술 형식으로 거듭났다. 이 예술은 창작자의 감정 태도, 생활 주장을 어느 정도 반영하였고 하나의 사회성의 문화 형태로 거듭났다. 패션아트는 20세기 60년도의 미국의 패션아트 운동에서 유래했으며 당시 미국에서 활발했던 현대 예술은 패션아트의 전파와 발전에 가능성을 주었다. 20세기 중반은 현대 예술이 활발해지고 포스트모더니즘 예술이 발전하기 시작한 시기이다. 따라서 패션아트는 탄생할 때부터 현대 예술의 수많은 관념 그리고 철학적 사상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이다. 설치 미술 또한 20세기 60년도에 시작되었는데 하나의 예술로써 60,70년도의 “팝아트”, “미니멀아트”, “개념미술”등과 연관이 있다. 평론가 마이클 킴멜 만은 설치 미술이 현대에서 발전한 것은 문헌으로 기록되는 기능과 연관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 방면에 대한 설치 미술의 잠재력은 회화, 조소 그리고 촬영 등의 예술 형식을 훨씬 뛰어넘는다. 설치 미술과 패션아트의 결합은 현대 사회만이 가지고 있는 새로운 것이며 패션미래의 발전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따라서 이것은 우리가 중시해야 할 가치가 있으며 또한 깊이 연구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설치미술의 형태의 집중 분석을 통해 설치미술의 표현적 특성을 뽑아내고, 이러한 특성과 패션예술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우선, 설치미술의 실물성, 관념성, 상호작용성, 장소 특정성, 시간성, 매개 다양성, 확장성이란 7개의 표현적 특성을 뽑아낸 것이 본 연구의 중요한 연구결과라 볼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패션예술의 많은 작품 사례들을 심층적으로 연구한 뒤, 설치미술의 공통적인 표현적 특성 중 관련도가 가장 높은 특성으로는 실물성, 관념성, 상호 작용성, 장소 특정성 그리고 매개 다양성임을 알 수 있었다. 이 다섯 가지의 설치미술의 표현적 특성과 패션예술을 융합하고, 또 이를 창작의 출발점으로 삼으면, 패션에 더욱 풍부한 시대적 특징이 담긴 참신함을 부여할 수 있고, 또한 사회 사상의 형태를 반영하는 변화 능력을 부여할 수 있어, 최종적으로 새로운 창작 형식으로 이어져 당대의 패션문화를 해석할 수 있다. 창작자들을 위해 새로운 예술 각도로 패션을 자세히 살펴보게 되면, 전통적인 사고관념을 부수고, 상상력을 더하며, 창작능력을 활성화하여 패션산업과 유행에 더욱 많은 영감을 부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문화의 창의적인 산업발전의 촉진이라는 큰 의미를 낳을 수 있다. Fashion art known as Fashion Art in English stresses art related with fashion. It is originated from Fashion Art Movement in 1960s of the United States when contemporary art was active making the transmission and development of fashion art possible. Installation art similarly prevailing in 1960s is also closely linked with the development of fashion art. The combination of installation with fashion is the particularly new thing in modern society. Therefore, it deserves great attention and in-depth researches. Through analyzing the modeling features of installation art, this article has firstly obtained seven manifestation characteristics of installation art: substantiality, conceptualization, interactivity, region-specificity, temporality and medium diversity, expansivity. Then after the in-depth researches on a large amount of examples of fashion art, the article has found that characteristics of installation art also exist in fashion artworks. Through researches and interviews, and correspondence analysis by using five-point measurement method, it proved that fashion art has five installation art characteristics: substantiality, conceptualization, interactivity, region-specificity, and medium diversity. Integrate these five installation art characteristics with fashion art, and then with it as the starting point of creation, endow fashion with innovation of time features and transformation capacity to reflect social ideological form so as to extend new innovation mode for explanation of fashion art in contemporary era. This research can help creators view fashion from the brand new artistic perspective, break through traditional thinking model, activate imagination and stimulate creativity, and infuse more inspirations to clothing industry and fashion industry so that it has the great significance of facilitating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reative industry.

      • KCI등재

        협력종합예술활동의 정의적 특성에 관한 탐색

        김일영 한국예술교육학회 2023 예술교육연구 Vol.2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 and application of the affective character- istics and sub-elements of collaborative integrated arts activities,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importance of awareness of the affective domain in school arts education and the revitalization of arts education. For this purpose, a literature study was conducted by collecting data and conducting a literature review on the affective domain in general subjects and artistic activities and collaborative integrated arts activities. Based on this,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sub-elements of collaborative integrated arts activities were selected, and content verification and validity were secured through re- view, revision, and supplementation by an expert council. In this study, seven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collaborative integrated arts activities were selected: artistic interest, artistic sensitivity, creative expression, confidence, self-directed attitude, cooperative personality, and making art worthwhile. In addition, the meaning and application examples of sub-elements for each characteristic were pre- sented in detail. As a result of the study, collaborative integrated arts activities provide learners with artistic interest, provide artistic stimulation, make their senses more delicate, and play a role in changing artistic sensitivity to understand humans as well as the beauty of art. In addition, we imple- ment new ideas in the form of art and develop confidence, self-directed attitude, and cooperative character through performances and presentations of works. Furthermore, it is related to the affective characteristic of experiencing the valorization of art in school life and future life through internal- ization of art. Based o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research on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ef- fectiveness of various arts education fields will be expanded.

      • KCI등재

        글로벌 허브공항의 장소적 특성에 따른 공공미술과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인천국제공항 제 2여객터미널(T2) 중심으로-

        강윤경 ( Yoonkyoung Kang ),이정교 ( Junggyo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5

        (연구배경 및 목적) 공항은 각 나라의 첫 인상을 전달해주는 장소로 그 나라의 문화를 느낄 수 있는 대표적인 공공장소이다. 최근 글로벌 허브공항에 설치된 공공미술 작품들은 승객들에게 문화소통이라는 특별한 경험 서비스를 제공하여 글로벌 시대의 국제적인 허브 공항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공항이 복합문화공간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은 세계적인 추세이며, 우리나라의 인천공항 제 2여객터미널(T2)은 개항을 앞두고 ‘아트포트(ART+AIRPORT)’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이에 따라 인천국제공항 T2의 공공미술작품을 분석하고 작품들의 특성을 연구하여 공항이라는 특수한 공간에 설치됨으로써 나타나는 의의와 향후 글로벌 허브공항의 공공미술 방향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대한민국의 상징인 인천국제공항의 T2 내에 수준급 미술품을 배치를 목표로 2017년 10월 진행했던 ‘아트포트(Artport)’ 프로젝트에 선정된 5개의 작품과 추가로 T2의 작품 중 박태호 작가와 강희라 작가의 작품 총 7작품을 연구의 범위로 설정한다. T2를 ‘아트포트(Artport)’로 만들기 위해 설치된 작품을 분석하고 글로벌 허브공항이라는 특수한 장소에 공공미술작품과의 상관성을 연구한다. (결과) ‘그레이트 모빌(Great Mobile)’과 ‘모호한 벽(Ambiguous Wall)’은 공공성&상징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두 작품은 설치 공간에 의해 장소적 특성중 공간의 이동성이 높게 나타났다. ‘빛과 그림자’와 ‘Hello’는 공공성&예술성이 공통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공공성&상징성을 가진 작품들과 같이 공간의 이동성과 관계가 높게 보여졌다. ‘Wings of Vision’, ‘Bit. Fall’, ‘Media Cloud’는 공공성&참여성이 공통적으로 높게 나타난 작품으로 작품에 따라 공간의 이동성, 글로벌문화성, 상호작용성이 각각 높게 나타나 장소적 특성과의 관계분포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첫째, 글로벌 허브공항의 공공미술 작품들은 공공미술의 특징을 기본으로 매력적인 공간을 구성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글로벌 허브공항의 공간만이 가지는 특성을 고려해 공간 이미지를 부각시키며 작품과의 관계를 맺고 의미 있는 공간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 셋째, 글로벌 허브공항의 상호작용성은 인간-인간, 인간-공간, 인간-작품 사이에 모두 관계를 맺고 있으며 참여를 통한 공감대 형성과 교감이 공공미술작품의 가치를 높이며 공간에 의미를 갖게 한다고 볼 수 있다. 공공미술의 발전은 국제적 마케팅이 되어 글로벌 허브공항으로 자리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An airport is a place to convey the first impression of a country and a public space representing the country’s culture. The public art pieces recently installed at the global hub airport provide the unique service experience of cultural interaction, allowing the hub airport to perform its role in the global era. Transforming airports into complex cultural spaces is a global trend. In Korea, an Artport (ART+ AIRPORT) project was launched ahead of the port opening of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Terminal 2 (IIA T2). By analyzing the public artwork located in IIA T2 and studying their characteristics, this study aimed to present the significance of the installation of art pieces in unique places like airports and the future direction of public art in hub airports. (Method) The study analyzed seven art pieces: five art pieces selected from the Artport project launched in October 2017 to be placed in IIA T2 and two additional pieces by artists Taeho Park and Heera Kang. The study aimed to analyze the art pieces installed in IIA T2 to make it an “artpor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art pieces and special places like hub airports. (Results) Great Mobile and Ambiguous Wall showed high public and symbolism. Given the location of their installation, these two art pieces had high mobility of space. Both Light and Shadow and Hello were characterized by high public, artistic qualities, and a relationship with mobility of space, similar to the other art works that had high public and symbolism. Wings of Vision, Bit. Fall, and Media Cloud showed high public, participation, and high levels of space mobility, global culture, and interaction in art works, accordingly. Therefore, the relation distribution of location characteristics was confirmed. (Conclusions) First,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art, the artwork at hub airports should be able to form an attractive space. Second, consider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hub airports, the image of the space should be emphasized and become a meaningful space by engaging the artwork. Third, hub airports’ interactivity should engender human human, human space, - - and human-artwork relationships. Thus, the formation of empathic bonds and communion through participation elevates the value of public artwork and grants the meaning of the space. The development of public art should become an international marketing that can serve as a driving force to establishing hub airports.

      • KCI등재

        현대 미술이 응용된 아트메이크업의 표현 특성 연구

        김민정(Min Jeong Kim),임지영(Ji Young L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8 No.3

        아트 메이크업은 기존의 정형화된 메이크업과는 달리 자신의 생각이나 주제를 표현하거나 창의적으로 이미지화하는 작업으로 미술과 인간이 조화된 독창적 예술로서 조형예술의 한분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아트 메이크업이 현대 미술사조의 색채나 형태에 밀접한 관계를 갖고 공통된 기법을 나타내는 것에 주목하여 현대 미술사조의 경향이 나타난 메이크업의 조형적인 측면에서 표현 특성을 분석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으며, 이로써 예술적인 아트메이크업 표현 방법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되어 졌다. 연구방법은 이론적 고찰로서 논문과 단행본을 포함한 국내서적, 인터넷을 이용한 국내외 정보 및 네트워크 검색 등을 통해 현대미술사조를 선정하였으며 각 미술사조별 대표작가의 작품 특징으로 미술사조의 표현경향을 정리하였다. 실증적 고찰을 위해 www.style.co.kr <http://www.style.co.kr>에 업로드 된 오뜨꾸띄르 컬렉션 사진의 정면 얼굴을 대상으로 미술사조의 표현경향이 나타난 메이크업 사진을 수집하였다. 사진을 분석하기 위해 선, 색채, 질감, 형태, 오브제의 조형적 측면에서 메이크업의 예술적 표현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범위와 내용은 20세기 이후에 나타난 현대 미술사조의 표현 경향을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아트메이크업이 활성화되기 시작한 2000년부터 최근 업로드 된 2011년까지의 컬렉션에 사용된 메이크업을 중심으로 현대 미술이 응용된 아트메이크업의 표현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현대 미술사조는 야수파, 입체파, 표현주의, 미래파, 다다이즘, 초현실주의, 액션페인팅, 팝아트, 옵아트, 미니멀아트, 키네틱아트로 정리되었으며, 이들 미술사조 중 6개의 미술사조인 야수파, 입체파, 표현주의, 다다이즘, 팝아트, 미니멀아트의 표현 경향이 아트 메이크업에 응용되어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각 미술사조가 응용된 아트 메이크업은 선, 색채, 질감, 형태, 오브제의 조형적 측면에서 독특한 표현 특성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아트 메이크업의 표현 방법에 관한 자료는 메이크업의 예술적, 미학적 가치를 높이고 메이크업의 창작영역의 확대를 가져올 것으로 생각된다. As being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typical makeups, the art makeup is considered as a process which an artist expresses one`s own thoughts and topics, visualizing them in a creative manner. As an original art with the art and a human being harmonized, the art makeup is now settling itself down in the field of plastic arts. Considering that the art makeup is closely related to colors and forms of the comtemporary art trends and uses common methods, the study worked on a formative analysis on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a makeup in which the contemporary art trends were found. Through the analysis, the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fundamental data of artistic art makeup expression. For a theoretical discussion, the trends of the contemporary art were selected while academic papers, including literature released in Korea and information from the on/offline network, were reviewed. Afterwards, to see how such art trends have been usually expressed, features of works by representative artists of each art trend were examined. For an empirical discussion, photographs of a full face from a Haute Couture collection, which were uploaded in www.style.co.kr were reviewed and among them, only the ones with makeup in which the expressions of the art trends were used were collected. The study focused on analyzing the artistic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the makeup from an aspect of lines, colors, textures, forms and object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summarize the expressions of the contemporary art trends since the 20th century and based on what the study came up with, to analyze the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the art makeup from the year of 2000 to 2011. For this process, makeups that were used in collections between 2000, when the art make started to get a spotlight, and 2011, were selected. The trends of the contemporary art were categorized into Fauvisme, Cubism, Expressionism, Futurism, Dadaism, Surrealism, Action painting, Pop art, Op art, Minimal art and Kinetic art and among these, the six trends which were expressional trends of Fauvisme, Cubism, Expressionism, Dadaism, Pop art and Minimal art were found to be applied to the art makeup. The art makeup in which each of these art trends was applied appeared to have unique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from an aspect of lines, colors, textures, forms and obj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data not only to improve artistic, aesthetic values of the makeup but also to expand a creative area of the makeup.

      • The Effect of Art, Culture and Physical Education on Student Characteristics

        Hyun-Kook Lee,Seung-Hwan Jung 한국교육행정학회 2017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Policy Vol.2 No.-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art, culture and physical education (ACP educa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ere investigated. Art, culture and physical education is a combination of cultural arts education and physical education. Cultural arts education is actually a term used by the Korean government since 2004 to reflect the meaning of popular culture in order to prevent arts education from being understood as meaning only fine arts. The Korean government sought to use cultural arts and physical education as a source of future national competitiveness. Now it also means cultural education, art education, and physical education respectively. Characteristics considered in this study included four relating to the student as an individual (self-concept, creativity, autonomy and happiness) and two determined by the student in relation to other students (the sociality and adaptability of the student). A program connected to the local community arts and culture institut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ll characteristics except sociality.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club activity hours were happier than those who did not. The Creativity-Personality Education Week support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both self-concept and autonomy.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a Free-Semester System, the happi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creased because of the expansion of club activities and programs connected to local community arts and culture institutes.

      • 아르누보 양식의 금속장신구 특성 연구

        신정혜(Shin, Junghei),이형규(Lee, Hyungkyu)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0 디자인지식저널 Vol.16 No.-

        아르누보는 1895년부터 10년간 전성기를 누리지만 1910년 경부터 기능과 사회성을 중요시 하는 경향으로 인해 점차적으로 쇠퇴되고 소멸 되었다. 이처럼 짧고 과도기적 양식인 아르누보가 재창조와 예술가의 독창적인 의미와 표현을 강조함으로써 ‘새로운 창조의 결과’ 라는 추상적인 양식의 기본적 미학을 제공하였다는 면에서 아르누보 장신구의 조형적 특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전통으로부터 벗어난 새로움을 추구하던 하나의 예술양식이 었던 아르누보는 전반적인 사회적 현상의 변화에 의한 인간애와 새로움의 열망이라고 할 수 있다. 아르누보 양식은 초기에 추상적이고 동적인 감각으로 구성하였으며 자연물을 소재로 하여 굽이치는 듯한 유기적인 곡선을 특색으로 한다. 후에 유기적 곡선은 기하학적으로 변모하며 현대적 생산능력을 갖추어 나감으로서 더욱 새로운 양산을 띄게 되었다. 이 양식의 발전에서 뛰어난 두각을 나타낸 장신구는 자유로운 유동적인 선과 자연적 모티브의 사용을 특징으로 하며 새롭고 다양한 소재의 이용으로 창의적 디자인을 선보이고 있다. 전통적 소재의 가치를 뒤바꿈으로서 자유롭고 다채로운 재료의 가치를 확보하고 저렴한 준보석과 금속의 사용을 통해 장신구의 대중화를 부흥시켰다. 아르누보 양식은 예술의 거의 모든 분야에서 영향을 끼쳤지만, 장신구 분야에서 기능적인 오브제에 예술가 자신을 표현하는데 있어서 좋은 표현영역이 되었고 예술로서의 장신구 영역을 확보하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그리고 이 ‘새로운 미술’ 운동이 현대 장신구에 있어서 선구적 구실을 했다는 점에서 아르누보가 장신구에 미친 영향은 그 의의가 높다. Art Nouveau had its heyday for 10 years from 1895 but became gradually declined and finally extinct due to the trend that emphasized functionality and sociality since around 1910. So short and transitional style Art Nouveau provided the basic aesthetics in abstract style, so-called ‘a result of new creation’, by putting stress on recreation and artists’ creative meaning and expression, and in this aspect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aesthetical characteristics of Art Nouveau accessories. Art Nouveau, one of the art styles that pursued a novelty beyond the tradition, can be named as intense aspirations toward humanism and novelty caused by the overall changes in social phenomena. In the beginning, the Art Nouveau style was composed of abstract and dynamic expressions and characterized by organic curves like meandering water using material from nature objects. Later, this organic curves changed into geometrical ones and assumed newer aspect by being equipped with modern capability of production. The jewelry that cut a conspicious figure during the growth of this style was characterized by using its free and fluid lines and natural motives, and presented creative designs using new and various materials. It also created the value of free and diversified materials by changing the concept on the conventional materials and revitalized popularization of jewelries through using inexpensive semi-jewelries and metals. The Art Nouveau style had influence on almost all the sectors of the art but it became a good domain of expression for artists to express themselves on functional objects in the accessory sector and made an important role to secure the accessory sector as an art. And the significance of the influence of Art Nouveau on accessory sector is heavy in the light of the fact that this ‘new art’ movement made a leading role for the modern jewelry sector.

      • KCI등재

        The Characteristics and Flexible Scheme of Students’ Art Troupes at Higher Vocational and Technical Colleges in China: A Case Study on the Art Troupe at N Higher Vocational and Technical College

        Huo Sheng,방수경 사단법인 미래융합기술연구학회 2021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7 No.1

        In order to more effectively cultivate creative talent, China’s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have actively offered art education courses that can optimize their course system and have also built art troupes for their students. This paper mainly aims to promote equality in China’s higher arts education system, narrow the development gap between student art troupes at undergraduate schools and those of vocational and technical colleges in China’s higher education system, and explore the characteristics and flexible schemes of China’s higher vocational and technical colleges’ students’ art troupes. In this line, the students’ art troupe at N Higher Vocational and Technical College in China was used as a case study to analyze the four dimensions of the management system, student structure, faculty strength and activity scope of the students’ art troupe at this school based on investigation, observation and interview.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in China’s higher vocational and technical colleges has the following four characteristics. First, Management has begun to develop but is not systematic. Second, Enrollment quality is low and talent is scarce. Third, The faculty is limited and has high turnover. Fourth, There is a diversified campus culture but its branding is not distinct.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this paper presents the flexible scheme.

      • KCI등재

        설치미술이 적용된 카페공간의 특성에 관한 연구-중국 운남성 사례를 중심으로-

        손옥박(제1저자) ( Yubo Sun ),이정교(교신저자) ( Junggyo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5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0 No.6

        (연구배경 및 목적)중국은 개혁개방 이후에 급속한 경제발전으로 인해 소비자들이 물질적인 소비 단계를 넘어 정신적 소비 단계에 접어들고 있다. 그리고 경제 발전과 함께 예술분야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특히 설치미술은 현대 예술가들이 선호하는 표형방식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경제와 예술의 발전은 새로운 문화를 형성시키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영향으로 카페와 설치미술이 결합된 복합 공간은 상품 소비와 문화 소비가 동시에 일어나고 있으며, 양적으로도 증가하고 있다. 운남성(雲南省)은 중국 대륙 최초의 커피 재배지 및 미래 경제발전의 중요한 구역으로서 그곳의 잠재력이 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설치미술이 적용된 대표적인 카페를 선정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고 향후 발전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본 연구는 중국의 여행 사이트에서 추천된 인지도가 높은 카페를 수집한 후에 그 중에서 설치미술이 활용된 운남성의 카페를 연구사례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제 2장 이론적인 고찰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설치미술과 카페공간의 특성을 살펴보고, 카페의 사례별 특성을 정리하여 평가기준의 항목을 유형화 하고 재분류하였다. 그 다음에 사례분석을 위해 제 3장에서는 설문조사의 방법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기술통계의 방법을 이용해서 평균값을 계산하였다. 설문대상들이 평가의 이유 및 기준을 분석하기 위해서 재조사를 하였다. 측정 방법은 5점 척도를 사용하여, 다이어그램 분석을 하였다. 마지막 제 4장에서는 연구 내용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여 결론을 제시하였다.(결과)첫째, 카페의 기능적인 특성은 고르게 발전되고 있었다. 이중에 소통, 힐링, 노마드 특성은 상대적으로 약하게 나타났다. 둘째, 설치미술 특성 중에 상호작용성과 일시성은 상호 연계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카페 공간 특성 중에 문화 소비 특성과 힐링 특성은 밀접한 관계에 있음을 발견하였다. 셋째, 설치미술과 카페 공간 특성은 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상호작용성은 소통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로 연계성이 있었다. (결론)현대적인 카페는 식음(食飮)만 판매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문화 소비 활동을 체험할 수 있는 복합적인 공간으로 변모되어야 할 것이다. 중국 운남성의 카페는 전반적인 시설 면에서 고정적인 공간에서 장기적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이동, 변형, 개설하기가 쉽지 않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시대와 시류에 부합하며, 설치미술이 적용된 이색적인 카페 공간을 만들어 제안하고자 한다. 아울러 중국의 카페는 양적으로 성장을 이루었으나, 질적인 면에서의 고려가 필요하므로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하고자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China`s dramatic economic development following the economic reforms enables Chinese consumers to be in psychological consumption stage beyond physical consumption stage . Along with rapid economic development, the field of art is changing fast. Illustration art is particularly gaining popularity as a form of expression preferred by modern artists. The development of economy and art is giving rise to a new culture. Due to this change, complex spaces combining cafes and installation art demonstrate product consumption and cultural consumption at the same time. Further, the number of complex spaces is increasing. Yunnan Province is the first coffee plantation in China and is an important economic development zone with high potential. (Method) This study collected the data on famous cafes from Chinese tourism website and selected the cafe in Yunnan Province to examine the role of installation art. As discussed in chapter two, this study examined previous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installation art and the cafe space and reclassified the items of assessment standard after reviewing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cafe. Next, for the case analysis, given in chapter three, this study analyzed data collected from a survey and calculated the average value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For the purpose and assessment of the survey, another survey was conducted on a five-point scale using diagram analysis. Lastly, chapter four comprehensively summarizes the study and provides conclusions. (Results) First,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cafe were evenly developed. Among those characteristics, communication, healing, and nomad were relatively weak. Second, an interrelation between interactivity and temporality among the traits of installation art was found. Furthermore, both the traits of cultural consumption and healing were closely related to many traits of the cafe space. Third,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traits of installation art and the cafe space. The interactivity influenced the trait of communication, and both were found to be connected . (Conclusions) A modern cafe does not only serve food and beverages but is also a complex space where a consumer can perform various cultural consumption activities. In Yunnan province in China, most of the cafes operate in a fixed place for a long time as a facility, thus, the movement, transformation, and establishment of a cafe are not easy. To solve this issue, this study suggests the establishment of a unique cafe space with installation artworks in line with the current trends. Additionally, this study warrants a qualitative study on cafe spaces as the said cafe demonstrated a quantitative growth. Moreover, although the Chinese cafe achieved a quantitative growth, the qualitative aspects also need to be considered, and more studies need to explore this fur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