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성 혁명가의 귀환, 그 이후 -해방기 여성혁명가의 형상과 가족 서사

        박지영 한국여성문학학회 2010 여성문학연구 Vol.24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figuration of woman revolutionaries appeared in the texts in the liberation period. When Korea was liberated from Japan, woman revolutionaries overseas or hidden underground returned to their fatherland. The various media in the liberation period were scrambling to deal with their return and this proves the existence of woman revolutionaries that had not been epics during the colonial period. The existence of such woman revolutionaries provides a great momentum for the aspiration for women’s liberation at that time. Before the establishment of a single government of South and North Korea, women’s liberation had been the major fight goal, together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 state. On the strength of the liberation and revolutionary fever, the figuration of woman revolutionaries appeared in literature texts. Woman revolutionaries in literature texts appear within the framework of family epics. In the revolutionary epics in the liberation period when father did not exist or was denied, mother was new progressive symbol that would replace this. The figuration of sisters, who were female workers, was under way together with summon of worker principal agents during the revolutionary period. As is the case with Kim Sang-Hoon, the principal agents of revolutionary epics in the liberation period dreamed revolutionary family epics, and this was also the figuration of new utopian ‘nation state’ based on solidarity and tolerance. However, this was also not completely freed from androcentrism. The liberation period denies father, and woman revolutionaries are called but these are not directly embodied. In that place, ‘mother’ who lost her name and ‘sister’ who is a female worker appear. Furthermore, mothers are sacrificed after all and, based on this, son (brother) rises. This shows that the liberation period was still the age of youth. Also calling these sisters or mothers was also part of male dominant reconstruction projects and to compensate the male dominance impaired in the historical circumstances at that time. It is to overcome the malfunction of rational logic with emotional pathos. Meanwhile, in the texts after the establishment of Republic of Korea passing through the liberation period, revolutionary sisters and mothers are still called. The figurations of mothers and sisters appeared in the people’s epics in the 1980s are the example. This reflects patriarchal consciousness of progressive male principal agents of Republic of Korea. And just as male principal agents called mothers in the liberation period, this, still passing through the early part of political history of Republic of Korea, indicates that such masculine oppression and the crisis are still under way. Probably because of this, so-called progressive male writers unconsciously collude in calling ‘mother’ or ‘sister’ as panacea for curing the wounds of masculinity of Republic of Korea. Family epics in the liberation period are the staring point of this collusion. 본고는 해방기 텍스트에 나타난 여성 혁명가의 형상을 살펴보는 것이 그목적이다. 해방이 되자 해외에 있거나 지하에 숨어있던 여성 혁명가들은 조국으로 귀환한다. 해방기 여러 매체에서는 이들의 귀환을 앞다투어 다루고 이는식민지 시기 서사화되지 못했던 여성 혁명가의 존재성을 입증한다. 이러한 여성혁명가들의 존재는 당대 여성 해방의 열망에 큰 계기를 제공한다. 실제로남북한 단정 수립이 이루어지기 전까지 여성해방은 민족국가건설 운동과 함께 여성들의 주요 투쟁 목표였다. 이러한 해방과 혁명 열기에 힘입어 문학 텍스트에도 여성혁명가의 형상이나타난다. 문학텍스트에서 여성혁명가들은 가족 서사의 틀 내부에서 등장한다. 아버지가 부재하거나, 부정하고 출발하는 해방기 혁명 서사에서 어머니는이를 대신할 새로운 진보적 표상이었다. 또한 여성노동자인 누이의 형상화 역시 혁명기 노동자 주체의 소환과 동시에 진행된다. 그리하여 김상훈의 경우처럼, 해방기 혁명 서사의 주체들은 혁명적인 가족서사를 꿈꾸었고 이는 연대와포용을 기반으로한 새로운 유토피아적 ‘민족 국가’의 형상이기도 했다. 그러나 이 역시 남성중심주의에서 완전히 벗어난 것은 아니다. 해방기는아비를 부정하고, 여성혁명가들이 호명되지만, 이들은 직접적으로 형상화되지못한다. 대신 그 자리에 이름을 잃은 ‘어머니’와 여성노동자 ‘누이’가 등장한다. 더 나아가 결국 어머니들은 희생되며, 이를 딛고 아들(오빠)가 일어선다. 이는 해방기가 여전히 청년의 시대였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또한 이들 누이,혹은 어머니의 호명 역시 당대 남성 주체 재건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당대 역사적 상황으로 인해 훼손된 남성 주체성을 보상받기 위한 것이었다. 정서적파토스로 이성적 논리의 파행을 극복하려 한 것이다. 그런데 해방기를 지나 대한민국 건국 이후의 텍스트에는 여전히 혁명가인누이와 어머니가 호출된다. 1980년대 민중 서사에 등장하는 어머니, 누이상이그 예이다. 이는 해방기에 남성주체들이 어머니를 호명했던 것처럼, 이 또한대한민국 정치사 전반을 넘어, 아직도 이러한 남성성의 억압, 그리고 위기가현재 진행형이라는 점을 암시하는 것이다. 그래서인지 소위 진보적 남성 작가들도 ‘어머니’ 혹은 ‘누이’를 대한민국 남성성의 상처를 수습해 줄 만병통치약으로 호명하는 데 무의식적으로 공모하게 된다. 해방기 가족 서사는 이러한공모의 출발점이다.

      • KCI등재

        해방기 시의 건설 담론과 수사적 특징

        이경수(Lee, Kyung-Soo) 한국시학회 2016 한국시학연구 Vol.- No.45

        이 논문에서는 해방기에 출간된 네 권의 공동 시집인『해방기념시집』,『해방기념 시집 횃불』,『삼일기념시집』,『전위시인집』을 대상으로 해방기 시에 지배적으로 형성된 건설의 담론과 그것이 형성된 수사적 맥락을 짚어보았다. 특히 해방기 시에 집중적으로 드러난 새나라 건설의 담론이 마음과 감정 계열의 시어들과의 관련 속에서 펼쳐지고 있음에 주목하였다. 이 논문에서 새롭게 밝혀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해방 직후인 1945~1946년에 출간된 공동 시집에서는 공통적으로 새나라 건설의 열망이 집중적으로 드러났는데, 이는 대체로 해방 이전과 이후를 속박과 해방, 낡음과 새로움 등의 시적 표상의 대립을 통해 표출했다. 더 나아가 이분법적 대립을 넘어서 변증법적 극복을 통해 새 시대로 나아가고자 하는 시들도 눈에 띄었다. 둘째, 해방기 시의 건설 담론은 마음 은유를 통해 표현되는 경우가 많았다. 해방기 공동시집에서 마음 은유는 무게와 깊이를 지닌 공간화되고 신체화된 마음으로 구체화된다. 또한 어린이, 청년, 어머니라는 주체와 마음이 결합한 경우도 자주 눈에 띄는데 이를 통해 미래 역사의 주역으로서의 정당성과 겨레의 마음으로 확산될 수 있는 가능성을 획득하고자 했다. 셋째, 해방기 시에서는 감정어가 높은 빈도로 쓰였는데, 특히 흘러넘치고 분출하고 쏟아지는 범람의 상상력과 나부끼는 깃발의 이미지를 통해 탈경계의 상상력이 폭발적으로 쓰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표현상의 특징들은 해방기 시에 출간된 네 권의 공동 시집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었다. 특히 해방기 시의 대표적인 주제라고도 할 수 있는 새 나라 건설의 담론이 마음 은유와 감정어의 사용, 탈경계의 상상력과 결합됨으로써 해방기 시 특유의 파토스의 분출에 이를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정제된 언어와는 거리가 먼 거친 언어의 사용, 격정적 분위기, 거리의 시 등으로 요약될 수 있는 해방기 시의 특징은 이 논문에서 살펴본 표현상의 특징과 긴밀히 관련된 것으로서, 해방기는 한국 현대 시사에서 가장 뜨겁게 시적 에너지가 분출되었던 시기라는 독보적인 자리를 차지하게 된다.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construction discourse dominantly formed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and its rhetoric contexts with a focus on four collected poems of collaboration published during the period, Collection of Poems in Commemoration of Liberation, Torches, the Collection of Poems in Commemoration of Liberation, Collection of Poems in Commemoration of March 1, and Collection of Works of Avant-Garde Poets. The study especially paid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discourse of new nation building, which was intensively revealed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developed in its relations with the poetic words of mind and emotion lines. The study led to the new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there was an intensive description of desire for new nation building among the collected poems of collaboration published in 1945~1946 right after Liberation. It was expressed through a confrontation between different poetic representations before and after Liberation such as restriction and liberation and old and new. Furthermore, beyond the dichotomous opposition poems to moving into a new era through a dialectical overcoming also stood out. Secondly, the construction discourse in the poems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was expressed through the metaphor of mind in many cases. In the collected poems of collaboration of the Liberation Period, metaphor of mind is materialized as the mind that it was spatialized and embodied with the weight and depth. Also, it stands out cases that combined the subject as children, youth, and mother with the mind. Through this, they wanted to acquire the legitimacy as the protagonists of the future history and the possibility which can be spread to the minds of compatriots. Finally, emotion words were used in high frequency in the poems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with the explosive usage of trans-boundary imagination through the overflowing imagination that ran off, erupted, and poured down and the images of fluttering flags. Those expressive characteristics were found in all of the four collected poems of collaboration published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As the discourse of new nation building, which was the representative topic of poems during the period, was combined with the metaphor of mind, emotion words, and overflowing imagination, it amounted to the eruption of pathos unique to the poetry of Liberation period. Summarized in the usage of rough language distant from refined language, passionate atmosphere, and poems of the streets, the characteristics of poems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were closely related to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examined in the present study. The poems of Liberation period got to hold a suggestive place in the history of contemporary Korean poetry as the period when the poetic energy erupted in the hottest fashion.

      • KCI등재

        해방기 시에 나타난 시와 시인의 위상 (p.9-36)

        강호정(Kang Ho-jung) 한국시학회 2012 한국시학연구 Vol.- No.33

        이 논문은 해방기 시에 나타난 '시'와 '시인'에 대한 인식의 문제를 밝혀보고자 한다. 해방기의 시 중에서 메타적 특성이 드러난 시를 대상으로 해방기 시에 투영된 시인의 자기반영적 특성에 대해 탐색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 질문이 유효한 것은 해방기라는 시기가 한국 근대사에 있어서 특별한 시기이기 때문이다. 해방기는 불과 3년 남짓한 기간에 불과하지만 한국 근대사에서는 물론 우리 문학사에 있어서도 문제적인 시기이다. 해방기의 시인들이 '시'에 대해서, 스스로의 정체성에 대해 어떤 인식을 지고 있었는지 확인하는 것은 해방기 시를 이해하는 또 다른 방편이 될 것이다. 이 논문의 또 다른 문제의식은 해방기 시인들의 시(시인)의식과 정치성과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기도 하다. 해방기의 시인들은 시(시인)가 정치적 변화(나라만들기)에 기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넘어서서 기여해야만 한다는 당위의 문제로 여겼다. 그것은 확고부동한 신념의 문제이다. 그 완고함으로 인해 해방기라는 강력한 정치적 자장 안에 있던 시기에있어서 '시란 무엇인가' 혹은 '시인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은 '시란 무엇이어야 하는가' 혹은 '시인은 무엇이어야 하는가'라는 질문으로 대치되었다. 이에 대한 논의를 위하여, 2장에서는 해방기 시에 나타난 시쓰기에 대하여, 그리고 시인의 자기반영적인 시, 일종의 메타적 성격이 드러난 시에 대하여 살펴볼 것이다. 3장에서는 생활의 벽 앞에 서 있는 소시민으로서의 모습과 소시민적 성격을 극복해 나가는 방식에 대해, 4장에서는 현실변혁의 길 위에서 투사의 길로 변모해가는 시인의 면모를 살펴보고자 한다. This paper is aimed to identify the problem of awareness about 'poetry' and 'poet' appeared in the poetry of the liberation period. It is to explore the self-reflection character of the poet projected in the poems of Liberation period for poem in which the meta-characteristics is revealed. This question is valid because the so-called Liberation period is special time in modern history of Korea. Liberation period is just a little more than three years only, but it was the period of problem not only in modern history Korea but also even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To check what recognition had the poets of Liberation period about the 'poetry' and their identity would be another way to understand poetry of the Liberation period. Another problem in this paper is to look 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sciousness about poetry (poets) and political character of poets in the liberation period. For the poets of the liberation period it was considered as the problem of obligation that the poetry (poets) should contribute to the political changes (making the country) beyond the possibility that they could do it. It was the matter of steadfast faith. Due to their rigidness in the time of strong political magnetic field named as the liberation period the question of 'What is poetry' or 'what is the poet' had been replaced by the question of 'What should be poetry' or 'What should be the poet'. For this discussion, in chapter 2 would be investigated writing poems, poems reflecting the poet's self, and poems revealing a kind of meta-characters, appeared in the poetry of the liberation period. In chapter 3 the poets' appearances as petit-bourgeois standing in front of the wall of life and the way how they was overcoming the petit-bourgeois character, in chapter 4, the face of the poet which had transformed into warriors on the road of reality reformation will be discussed.

      • KCI등재

        해방기 남북한의 문해정치와 여성독본의 자리 - 박영애의 『여성독본』과 최화성의 『조선여성독본』을 중심으로 -

        임세화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人文科學 Vol.- No.85

        해방기 여성들에게 ‘해방’이란 무엇이었을까. 탈식민국가의 여성에게 ‘해방’이란 제국주의와 봉건 가부장제로부터의 “이중적 해방”으로 칭해졌다. 이 글은 해방 이후 ‘다시 해방’되어야 했던 ‘여성해방’ 운동의 특수한 성격과 의미를 해방기 ‘문해정치’와 여성독본을 통해 살펴보았다. 좌우의 이념 대립과 체제 경쟁이 격화되어가는 상황 속에서 남북은 통치의 정당성과 우월성을 확립하고 안정을 꾀하려는 목적 하에 문해정치를 펼치기 시작한다. 해방기 남북의 교육 정책은 외연적으로는 문맹퇴치를 위시한 민족교육, 민주주의, 남녀평등의 민족 사업으로 선언되었지만, 그 근저에는 통치 체제에 대한 인민대중의 지지를 확보하고 이념화를 꾀하려는 목적이 있었다. 문해의 영향력과 여파를 이념 정치의 문제로 해석하는 냉전적 사고는 결과적으로 교육에 대한 조선인들의 열망과 이해관계가 일치하게 되었지만, 남북 교육정책의 출발과 방향성은 조선인들의 이상과는 근본적으로 상이한 것이었다. 조선의 문맹퇴치와 민족교육은 이미 그 출발에서부터 양단의 이질적인 이념성을 내장하고 있었고, 교육의 방향성은 점차로 미국과 소련이라는 두 점령국가의 이념 대결의 성격을 담지하게 되었다. ‘문맹퇴치 운동’ 저간의 이중성에서 드러나듯 남북이 각자의 상이한 목적을 가지고도 동일한 구호 아래 민족운동으로서 문해정치를 펼쳤던 것처럼, ‘여성해방’ 역시 전혀 다른 이념적 목적으로부터 출발했음에도 외연적으로는 동일한 기치와 선언 하에 그 노선이 생성되었다. 남북 모두 여권 신장과 평등 실현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를 위한 여성문해교육을 정치적으로 전유하는 가운데, 해방기의 여성은 다시 한 번 민족의 ‘정치적 진보성’과 ‘근대성의 정도’를 드러내는 표지로서 작동하게 되었다. 남북 공히 내걸었던 ‘남녀평등의 민주주의 질서 확립’이라는 정책 기조는 각각 자본주의/공산주의 사회로의 재편이라는 점령의 기본 목표를 관철시키는 과정에서 수반되는 정치적 문제 해결과 사회 안정을 꾀하기 위한 것이었다. 여성 권익을 옹호하고 지위를 향상시킨다는 방침은 정책 추진 과정에서 여성의 지지와 참여를 이끌어내고 민주주의 이념의 실체와 효능감을 가시화하는 데에 더 큰 목적이 있었던 것이다. 역사상 여성독본은 당대적 현실, 사상적 변화와 통치 이데올로기, 성 역할을 담지하고 재생산하는 제도적 구성물이자 정치 기획물로 기능해왔다. 박영애의 『여성독본』과 최화성의 『조선여성독본』은 여성 사회주의자가 쓴 여성독본으로서, 근대계몽기 이래 여성에게 이중의 주박이 되었던 ‘독본’이라는 형식을 빌어 역설적으로 ‘여성해방’을 위한 문해를 설파했다. 이 두 권의 독본은 여성이 직접 쓴 ‘해방기 여성의 이상’으로서 해방기 독본류 발행의 경향에서나 여성운동사의 흐름에서 특수한 위상을 점한다. 이들은 특히 ‘경제적 주체’로서 여성이 바로 서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고, 민족국가 건립과 혁명의 동지로서 소환되는 구도에서 벗어나 여성 스스로 해방의 주체가 되어야 함을 주장했다. 이 두 권의 책은 ‘여성해방’의 포문이 본격적으로 열리던 때에 통치 기획과 냉전 이념, 민족주의, 탈식민, 계몽이 결합되었던 근대여성운동의 상징적 사례이자 실체로서 주목을 요한다. 더불어 오랜 여성운동사에서 미완으로 머물던 이슈들을 현장 ... What did ‘liberation’ mean to Korean women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For the women in post-colonial state, the ‘liberation’ meant the “dual liberation” from imperialism and feudal patriarchy. This article examined the special nature and meaning of the ‘liberation movement’ of Korean women, who had to be ‘liberated again’ after Korea’s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through “literacy politics” and textbooks for Korean woman women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In the situation where the ideological confrontation and the system competition between the left and the right were escalating, South and North Korea began to carry out literacy politics fo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the legitimacy and superiority of their ruling system and achieving stability. The education policy of the two Koreas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was outwardly declared as a national project for the eradication of illiteracy and the education of democracy and gender equality, but its underlying purpose was to secure public support for their ruling system and to seek for consolidating ideologies. The Cold War mode of thinking that interprets the influence and aftermath of literacy as a matter of ideological politics consequently became consistent with the aspirations of Koreans for education, but the start and direction of the education policy of the two Koreas was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the ideals of the Koreans. From the beginning, illiteracy eradication and national education in Korea already had the nature of extremely heterogeneous ideology, and the direction of the education gradually contained the nature of an ideological confrontation between the two occupying countries of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As revealed in the duality of the ‘illiteracy eradication movement’, the two Koreas carried out literacy politics as a national movement under the same slogan despite their different goals. In the same way, the ‘women’s liberation’ also started from a completely different ideological purpose, but outwardly it was carried out under the same slogan and declaration. Both South and North Korea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extension of women’s rights and the realization of gender equality while using women’s literacy education for political purposes. Therefore, Korean woman in the liberation period once again acted as a mark to reveal the ‘political progressiveness’ and ‘degree of modernity’ of the nation. The purpose of the policy direction to ‘establish a democratic order based on gender equality’, which was put forward by both South and North Korea, was to solve the political problems that occurred in the process of accomplishing the basic goal of the occupation of the two Koreas, namely, reorganizing South and North Korea into a capitalist/Communist society, respectively, and to seek social stability. However, the policy to advocate women’s rights and improve their status had actually served a wider political purpose in drawing women’s support and participation in the policy implementation process and visualizing the reality and efficacy of the democratic ideology. Historically, textbooks for women have functioned as an institutional strategy and a political project that represent and reproduce the reality of the times, ideological changes, ruling ideology, and gender roles. Park Young-ae’s Textbook for Women(女性讀本) and Choi Hwa-sung’s Textbook for Joseon’s Women(朝鮮女性讀本) were written by female socialists, who paradoxically preached literacy for ‘women’s liberation’ using the form of ‘textbooks’, which have been a double shackle for women since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These two textbooks, containing the ‘ideology of women in the liberation period’, were written by women themselves, and hold a special position in the trend of textbook publication in the liberation period or in the history of women’s liberation move...

      • KCI등재

        특집논문 : 민족과 계급 사이의 영화비평, 그리고 아메리카니즘 -해방기 영화비평 연구

        남기웅 ( Ki Woong Nam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5 현대영화연구 Vol.11 No.3

        일제가 패망한 1945년부터 한국 전쟁이 발발하는 1950년에 이르는 해방기 동안 제작된 영화는 다른 어떠한 예술 형식보다 그 시대를 읽어낼 수 있는 역사적 통찰을 가능케 해준다. 거대 자본을 필요로 하는 영화산업의 특성상 당시의 열악한 제작 환경으로 말미암아 해방기에 제작된 모든 영화들은 영화인들의 치열한 대립과 숙고의 산물일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제작자들이 영화 제작을 통해 자신의 사상을 표출해나가는 동안 다른 한 쪽에서는 글로써 영화와 민족, 국가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표출하는 중대한 과정들이 진행 중이었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그동안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게 다뤄졌던 해방기의 영화비평을 살펴봄으로써 해방기 영화와 사회에 대한 이해를 넓혀보고자 한다. 이데올로기의 대립과 건국이라는 상황 속에서 해방 공간의 한국인들에게 정치는 일상이었다. 그러므로 해방기 영화비평의 흐름 역시 당시의 정치적 상황 변화와 보조를 맞추어 나갔는데, 이는 크게 세 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해방 직후부터 조선영화동맹이 좌익 중심으로 개편되는 1946년 8월까지의 시기가 첫 번째이다. 이 시기에 영화인들은 건국을 위해 영화가 무슨 역할을 해야 하는지 골몰하며 민족영화론과 영화 국영화론을 중심으로 비평을 전개했다. 그러므로 비평의 목적은 대립과 반목을 해소하고 화합과 통일을 이루는 데 있었다. 두 번째는 좌우익의 대립이 심화되며 우익 주도로 정부수립이 이루어지는 1948년 8월까지의 시기이다. 해방 정국이 헤게모니 다툼의 장이 되면서 영화비평은 강한 정치성을 띠게 되었다. 이 시기 영화비평은 종종 자신의 이념을 옹호하거나 상대 진영을 공격하는 정치 운동의 연장선상에서 진행되었다. 마지막 시기는 정부수립부터 1950년 6월 한국전쟁이 발발하기 전까지의 시기이다. 미군정의 지원 하에서 우파 민족주의 정부가 수립되었고, 아메리카니즘에 영향을 받아 ‘민족’과 ‘조국’의 정의와 이상도 수정되기 시작했다. 정부수립 전부터 비판 받았던 미국의 상업주의 영화들은 이제 새로운 ‘민족영화’를 위한 전범(典範)으로 평가되었다. 이렇듯 해방기의 영화비평은 당시의 정치적 상황과 맞물려 이루어졌으며, 광복이후 현재까지 계속적으로 나타나는 한국 영화의 성격을 규명하는 첫 번째 단초를 제공함은 물론, 치열한 정치 공론의 장이었던 해방기를 이해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사료로서 의미 있는 것이다. This study is on movie criticism for Korean Liberation Period which was from 1945 to 1950. Basically, film industry needs huge capital. However, movies were made from poor production environment in Korean Liberation Period. Moreover, movie makers were intensely in conflict with themselves because of different ideologies. When movie makers expressed their ideology through making movies, movie critics also significantly tried to express their opinions on nation and movie. Based on this special political situation, this study will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movie and society in Korean Liberation Period by investigating movie criticism which was considered less important in that period. Because Korea had ideological conflicts and was about to establish a country in this period, politics was daily life and daily life was politics to the Koreans. Also, movie criticism in Korean Liberation Period was influenced by political changes. This period is divided into three parts. First period is from right after Liberation Day in 1945 to August 1946 when Chosun Film Alliance was reorganized into the leftist force. In this period, critics concentrated on the role of the movie for establishing a country. Then, they developed criticism focusing on ‘Production of National Movie’ and ‘Nationalization of film industry’. In terms of theme on discourse, objective of criticism was to resolve ideological confrontations and reach unification. Second period is from September 1946 to August 1948. As ideological confrontations between the left and the right are getting intensified, government which the right force lead was established. Liberation political situation became the field where they fight for hegemony, so movie criticism became political. Criticism in this period was used for political movement. For example, it supported certain ideology or attacked other ideology. Last period is from the date of establishing government to June 1950 when Korean War occurred. Under U.S. Military Government`s support, right-wing nationalism government was established. With the affect of Americanism, the ideal of ‘Nation’ was also modified. Although American commercial movies had been criticized, after the government was established, they started to be evaluated as ‘Classic’ for new ‘National Movie’ in this period. In a conclusion, according to political situations in Korean Liberation Period, movie criticism was progress. Of course, it gives the first step to reveal characteristic of Korean Movie and it is meaningful as an important resource in order to understand Korean film from 1945 to 1950 which changes a lot politically.

      • KCI등재

        최정희의 해방기 소설에 나타난 ‘독립/해방’의 의미

        차진화 한국현대소설학회 2023 현대소설연구 Vol.- No.91

        이 글은 최정희의 해방기 소설에 나타난 독립/해방의 의미가 민족 광복에 국한된 것이 아닌 광복 주체의 서로 다른 기대와 사상 경사의 표지로 작용하는 점을 살펴보고자 했다. 독립/해방의 나란한 배치는 최정희의 표현에 따른 것으로, 두 개념이 양산하는 담론은 서로 다르지만, 해방기를 일제식민지기와의 연장선에서 파악할 때 광복 주체들이 겪는 일상의 고초를 구조적 문제로 파악할 수 있다. 최정희의독립/해방에 대한 관심은 학창 시절의 영향 관계에서 비롯하여 등단 초기부터 꾸준히 초점화되었던 것으로 단순한 포즈라고 말할 수 없다. 해방기 소설은 지배 권력과 이에 맞서는 주체의 대립적 구도라기보다 지배 권력에 의해 해방기에 걸었던기대가 좌절되는 주체들을 재현하면서 일말의 기대에 대한 가능성을 해방공간이갖는 가능성으로서의 상징 속에 배치하고 있는 것과 같다. 이는 사상적 경사를 넘어 구체적 삶 한가운데에 있는 독립/해방의 의미를 찾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This article attempted to examine the fact that the meaning of independence/liberation in Choi Jung-hee's liberation period novel is not limited to national liberation, but acts as a cover for the different expectations and ideological inclinations of the liberation subject. The parallel arrangement of independence/liberation is based on Choi Jung-hee's expression, and although the discourse produced by the two concepts is different, the daily struggles experienced by the liberation subjects can be identified as structural problems when grasping the liberation period as an extension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Choi Jung-hee's interest in independence/liberation has been steadily focused since the beginning of her debut, including the influence of her school days, and it cannot be said to be a simple pose. The novel of the liberation period is like placing the possibility of a certain expectation in the symbol of the liberation space, recreating the subjects whose expectations were put on the liberation period by the dominant power rather than the confrontational structure of the dominant power and the subject against it. This can be evaluated as looking for the meaning of independence/liberation in the middle of a concrete life beyond the ideological slope.

      • KCI등재

        염상섭 『효풍(曉風)』에 나타난 해방기 도덕지층 연구

        신샛별(Shin, Saet Byeol) 동악어문학회 2016 동악어문학 Vol.68 No.-

        인간의 삶의 기반이 되는 도덕의 지층(地層)은 시대적 지각 변동에 의해 일련의 지질학적 변화를 겪는다. 이와 같은 변화 속에서 사회가 구성원을 결속시키는 힘은 약화되고 그 시대는 전환기적 상태로 돌입한다. 고전적 사회학은 이 시기를 ‘아노미(anomie)’적 상황이라 지칭해 왔다. 이에 더하여 본고는 이 시기에 나타나는 특유의 가치관을 ‘전환기적 도덕’이라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 한국사에서 ‘해방기’는 이와 같은 아노미적 세태와 전환기적 도덕의 양상을 잘 보여주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염상섭의 해방기 장편소설 『효풍(曉風)』은 그런 시대 특유의 인간유형을 다채롭게 보여주는 작품이다. 미국식 자본주의가 본격적으로 도입되고 달러가 지배하는 세상이 도래하면서 전통적인 도덕지층이 흔들리는 가운데, 각 등장인물들은 자신들의 기존 가치관이 새로운 시대의 시험대에 오르는 상황을 경험한다. 단적으로 말해 이 시대는 지사(志士)의 삶을 추구하던 소위 ‘선생님’들이 몰락하거나 또 변신하기를 요구받는 시대였는데, 이 시대의 본질을 특히 잘 보여주는 것은 여성 인물들의 삶이다. 다양한 방식으로 선택의 갈림길에 봉착했던 『효풍』의 여성 인물들은 결국 ‘민족의 어머니’라는 형상으로 통합돼버린다. 새로운 세계의 가능성들이 가장 격렬하게 경쟁했던 시기인 해방기의 도덕이 봉건적이고 가부장적인 판본으로 귀결되고 만 아이러니를 이 소설은 냉정하게 직시한다. 주지하다시피 이와 같은 도덕관념은 산업화시기로 접어들면서 하나의 지층으로 굳어지는데, 『효풍』은 1960년대 이후 개발독재 시대의 한국사회를 지배한 가부장적 도덕지층이 해방기에 이미 배태된 것임을 입증하는 사례로 손꼽힐 수 있다. The strata of moral that provide the basis for human life undergo a series of geological changes due to the crustal movements of the period. In such changes, the power that binds the members of the society together weakens and the period falls into the state of transition. The classical sociology has referred to such a period as an anomic situation. In addition, this paper proposes naming the unique values shown in that period ‘transitional moral.’ In the history of Korea, the ‘Liberation Period’ is one that well shows conditions of such anomic situations and aspects of the transitional moral. Hyopung, a novel by Yeom, Sang seop in the Liberation Period, is a work that colorfully shows human types characteristic of such a period. With the traditional moral-strata shaken along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American style capitalism and the advent of the world ruled by the dollar, each of the characters experiences situations in which their own existing values are put on a new test board. To put it simply, the period has witnessed the forced falling or transformation of so-called ‘teachers’ who have pursued the life of a man of noble ideals. And it is female characters who show the nature of the period specifically. The female characters who have encountered big choices in life in various ways are after all integrated into the figure of the ‘National Mother.’ In the Liberation Period, many possibilities of the new world competed most violently. But different types of ‘transitional morals’ in this novel are finally reduced to the feudal and patriarchal version. The novel Hyopung dispassionately observes that irony. As is well known, such a moral idea came to be firm as a stratum towards the period of industralization, and Hyopung can be said to be a case that demonstrates that the patriarchal moral-stratum that ruled the Korean society in the period of the developmental dictatorship after the 1960s had been already conceived in the Liberation Period.

      • KCI등재

        해방기 좌·우익 문학 논쟁 연구 - 김동석과 김동리를 중심으로 -

        이미나 ( Lee Mi-na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8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59

        해방 직후 결성된 여러 문학단체들은 당시의 정치 노선에 따른 것으로 좌익 문단이나 우익 문단 모두 정치적 현안에 따라 형성되었다. 해방기의 주된 과제는 식민지 잔재를 청산하고, 민족 경제의 발전과 새로운 민주주의 국가를 건설하는 일이었으며, 문학 운동 역시 이러한 정치참여의 일환으로 전개되었다. 해방기는 정치적 현안에 따라 문학과 문화 기구가 탄생되던 시기였으며, 문학 활동 역시 정치 노선에 따라 전개되었던 시기라고 할 수 있다. 해방기의 정치적 상황은 극심한 좌·우익 대립의 양상을 띠었고, 문학 단체의 이론적인 노선도 정치적인 노선과 맥을 같이 하고 있었기 때문에 해방기 비평을 살펴봄에 있어 좌·우익의 대립에 초점을 맞추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일일 것이다. 그러나 해방기 문학 비평에 대한 연구는 다소 소외되어 온 경향이 있으며, 좌·우익 문학 논쟁이 가장 치열했던 시기에 첨예하게 대립하였던 김동석과 김동리의 논쟁을 중심으로 한 본격적인 논의는 거의 전무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해방기에 활발하게 활동했던 좌·우익의 대표적인 비평가인 김동석과 김동리의 문학론을 바탕으로 좌·우익의 대립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며, 해방기 문학 논쟁의 핵심인 순수문학 논쟁과 민족문학 논쟁의 전개 과정을 통해 해방기 비평사가 지닌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고는 좌·우익 측의 대표적인 비평가를 개별적으로 다루면서 해방기의 비평사를 전체적으로 조망하고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Literary organizations formed shortly after liberation were based on the political wings on that era, with both lest and the right literary worlds forming according to political issues. The main task of the liberation period was to eliminate the vestiges of Japanese colonialism, to develop the national economy, and to build a new democratic state. Likewise, literary movements were also developed as part of this political participation. The Liberation Period was a period when literature and cultural institutions were born according to political issues, and literary activities were also developed according to political ideologies.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e liberation period was characterized by severe collisions between the left and the right. Because the roads taken by the literary groups coincided with the roads of political ideologies, it is quite natural to focus on the collisions between the left and the right during this period to shed light on the critique on Liberation Period. This article examines the conflicting aspects of left and right based on the literary theories of Dong Seok Kim and Dong-Ri Kim, the famous critics from the left and the right who actively participated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Through examining the dispute between pure literature and national literature, this paper tries to understand the significance of the history of criticism on this period. It is meaningful that this paper deals with the criticism of the Liberation Period as a whole, while simultaneously introducing the representative critics from the left and right.

      • KCI등재

        해방기 소설에 재현된 중립적 아나크로니즘 연구 ― 염상섭의 『효풍』과 이태준의 『해방전후』를 중심으로

        박인성 ( Park In-seong ) 현대문학이론학회 2022 現代文學理論硏究 Vol.- No.91

        이 논문은 이태준과 염상섭의 해방기 소설들을 대상으로 하여 해방기 시공간의 아나크로니즘(Anachronism)의 성격에 대하여 구체화한다. 이태준의 「해방전후」와 염상섭의 『효풍』은 건국의 공백기로부터 차츰 이념적 공간으로 수렴해가는 해방기 시공간을 차별화된 문학적 방식으로 재현한다. 좌우로 이분화되는 사회 분위기 안에서 그와는 다른 목소리를 도입하거나 이질적인 시간성을 묘사함으로써 해방기에 대한 이해를 상대적으로 복잡하게 만드는 것이다. 또한 표면적으로는 두 텍스트 모두 정치적인 중립성이 강조되지만, 그러한 중립성을 경유함으로써 아나크로니즘의 복합성을 다양하게 재현하고 경험하는 능동적인 소설적 전략을 실행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아나크로니즘의 전략적 활용을 통해서 이태준의 경우는 섬세한 당파주의로 나아가는 방향성을 확보하는 것이며, 염상섭의 경우는 다소 추상적이라고 할지라도 해방기 현실의 잠재성을 계속해서 발굴하고자 미래의 시간성을 현재에 도입하고자 노력한다. 해방기라는 시대에 대한 합의나 그 소설적 재현이 결코 같은 출발점이라고 할 수는 없음에도 두 작가의 텍스트에서는 각자의 중도주의를 활용하여 선명하게 구별되는 방식의 응답을 도출해낸다. 따라서 그들이 공통적으로 관통해야 했던 해방기 아나크로니즘은 단순히 주어진 현실에 대한 수동적인 순응이 아니라, 공백으로 출현한 해방기 내부에서 구체화하고 새롭게 구성해야 하는 자기 정체성의 탐사 전략으로써 능동적 의미를 가진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This thesis specifies the characteristics of spatio-temporal anachronism formed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targeting the liberation period novels of Lee Tae-jun and Yeom Sang-seop. Lee Tae-jun's 「Before and After Liberation」and Yeom Sang-seop's 『Hyo-pung』 both introduce disparate voices in a differentiated way to the time and space of the liberation period converging from the blank period of the founding of the country to the level of ideology. relatively complex reproduction. Also, although political neutrality is emphasized on the surface, under such neutrality, it is to implement an active novelistic strategy to reproduce and experience the complexities of Anachronism in various ways. As a result, through the strategic use of Anachronism, Lee Tae-Jun's case is to secure a direction toward delicate factionalism, and Yeom Sang-Seop's case is to introduce future temporality into the present in order to continue to discover the potential of the reality of the liberation period, even though it is somewhat abstract. The effort. Even though the agreement on the era of liberation or its fictional representation cannot be said to be the same starting point, the texts of the two writers use their respective centrists to derive responses in a clearly differentiated way. Therefore, the anacronism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that they had to penetrate in common should be seen as having an active meaning as a strategy for exploring identity that must be materialized and reconstructed within the liberation period that emerged in a vacuum, not simply a passive adaptation to the given reality.

      • KCI등재

        북한문학사 서술의 특징과 변모 양상 — ‘평화적 민주건설시기’(1945.8-1950.6)를 중심으로

        이승윤 우리어문학회 2011 우리어문연구 Vol.40 No.-

        남북한 문학사는 서술주체나 방법 등에서 적지 않은 차이를 보여준다. 특히 해방 이후를 대상으로 한 문학사 서술은 언어만 같을 뿐 서로 다른 민족(혹은 국가)의 문학사 서술이라고 해도 무방할 만큼 공분모를 찾기 힘들다. 이 글은 해방이후 북한에서 출판된 여러 문학사에서 ‘평화적 민주건설시기’라고 명명한 1945년에서 한국전쟁까지의 시기를 어떻게 서술하고 있는지 살펴보도록 한다. ‘해방공간’, 혹은 ‘평화적민주건설시기’는 정치에 문학이 휩쓸릴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으며, 각각의 문학 단체는 정치현실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다. 그런 와중에도 좌익과 우익 모두 ‘민족문학건설’이란 거창한 슬로건을 내걸고 있었는데, 이때 ‘민족문학건설’이란 결국 새로운 국가 건설이라는 정치적인 과제에 직결된 것이 될 수밖에 없었다. 새로운 민족국가 건설을 위해 낡은 것들을 청산하고, 민중의 자기해방을 기도하며, 그것을 당대현실의 객관적 발전 과정의 추동력 위에서 형상화하는 것은 해방 후 남북한 문학 모두에게 공통의 과제였다. 구체적인 연구 대상은 해방 후 북한의 ‘사회과학원문학연구소’가 발간한 『조선문학통사-현대편』(1959), 『조선문학사 1945-1958』(1978), 『조선문학사』 10(1994) 등 세편의 문학사와 1986년 출판된 박종원·류만, 『조선문학개관』 2이다. 시기적으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출판된 각각의 문학사를 함께 검토해 봄으로써 시대 변화에 따라 서술태도나 대상작품의 선정과 평가 등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북한문학사에서 어떠한 작품들이 문학사에 등재되고 탈락하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더불어 2000년 연변대학 출판부가 발행한 『조선-당대문학사』에 대해서도 검토해보았다. 이른바 제3국에서 출판된 한국문학사인 셈인데 남한과 북한의 자료를 동시에 활용하면서 남북한 문학모두를 대상으로 한 문학사란 점에서 주목되는 텍스트이다. 본 연구가 해방 직후 문학에 대한 북한문학사의 관점과 서술 태도에 주목한 것은 이 시기에 대한 검토가 북한 문학의 향후 전개과정을 살피는데 중요한 토대가 될 수 있으리란 판단에서였다. 실제로 이 시기에 생산된 문학작품들은 북한문학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수령형상의 창조, 미제국주의의 타도와 남조선 혁명, 노동계급의 찬양고취 등이 원형적으로 제시되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평화적민주건설시기’를 정리한 북한문학사는 모두 소설보다 시 장르에 보다 많은 분량을 할애하고 있다. 이 시기 시문학이 왕성하게 창작된 이유는 ‘해방’이라는 특수한 상황과 연결하여 설명할 수 있다. 무엇보다 시 장르는 해방의 감격과 민주개혁에 대한 희망과 결의를 표현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장르였으며, 효과적인 예술적 선전성을 획득하는데도 유용한 장르였다. 시가 비교적 문학적 소양이 부족한 사람도 쉽게 손댈 수 있는 양식이란 점도 많은 시인의 등장과 시편들의 생산을 가능하게 했다. 더하여 식민체제 아래에서는 볼 수 없었던 송가나 서정서사시, 서사시 등 새로운 양식들이 등장한 점도 이 시기의 주요한 특징 중 하나로 꼽을 수 있다. The history of North and South Korean Literature shows not inconsiderable difference in the subject of narrative, method, and etc. Especially, it is so difficult to find common aspects in narratives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after the liberation, though the language is simply the same, that it would be better to mention that the narratives have different ethnicity (or nationality). The paper will review how the period from 1945, which is called ‘the period of peaceful democracy construction’ in many publishings of literature history after the liberation, to the period of the Korean War is narrated. ‘The space of liberation’ or ‘the period of peaceful democracy construction’ was in a situation which literature could not help but become swept by politics, and each literature group was closely related to the political reality. Even among such period, the left and the right both showed a grandiose slogan of ‘the construction of ethnic literature’, and here, ‘the construction of ethnic literature’ could not help but eventually become directly related to the political task of constructing a new nation. For construction of a new ethnic nation, eliminating old things, praying for the people’s self liberation, and projecting such on the impetus of the objective development process in the reality at the time were the common task for both North and South Korean literatures after the liberation. The detailed subject for the study regards to three history of literature books, 『The Complete History of Joseon Literature – Modern Days』 (1959), 『The History of Joseon Literature 1945-1958』 (1978) 『The History of Joseon Literature』 10 (1994), and etc published by North Korea’s ‘Social Science Center for Literature’ after the liberation, and also, 『Overview of Joseon Literature』 2 by Park Jong Won and Ryu Man and published in 1986. By reviewing each history of literature published in certain periodical distance, it was reviewed how the attitude of the narrator or selection and evaluation of the subject work, and etc according the change of age has been transformed. Through such work, it could be known which works were registered and dropped out in the North Korean history of literature. Besides, 『Joseon – History of Literature』 at the time published by the Yunbyun University in 2000 was also reviewed. It would be the so-called Korean history of literature published in the 3rd world, and the test gains attention from the point that it contains history of both North and South Korea while utilizing both data of the North and the South. The reason for the study to draw attention to the viewpoint and narrative attitude of North Korean history of literature regarding literature right after the liberation is because of the judgment that reviewing the period would become an important basis for reviewing the future process of North Korean literature. Actually, it would not be wrong to say that literature works produced during this period suggest the original form of the core of North Korean literature such as the creation of the image of the leadership, the overthrow of US empiricism and the revolution of South Joseon, inspiration of glorification of the labor class, and etc. All North Korean history of literature which arranged ‘the period of peaceful democracy construction’ allocates more pages in the poetry genre than novel. The reason for poetry being prosperous is can be explained by linking it to the special situation called ‘liberation’. Above all, the poetry genre was the most effective genre for expressing hope and determination regarding the sweetness of liberation and democratic reformation, and also, it was a useful genre for obtaining effective artistic propagation. The point that poetry has a form which even people with comparatively insufficient knowledge in literature can easily contact also enabled emergence and production of many poets and poems. Furthermore, the point 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