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습자 참여를 강화한 과학교육론 수업에서 예비 과학교사의 일반 교수 효능감과 과학 교수 효능감 분석

        강경희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4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10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 참여를 강화한 통합과학교육론 수업이 예비 과학교사들의 일반 교수 효능감과 과학 교수 효능감에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예비 과학교사 29명을 대상으로 학습자 참여를 강화한 통합과학교육론 수업을 실시하였다. 예비 과학교사들은 모둠별 논의를 거쳐 과학교육론과 관련된 토의 주제를 설정하였다. 또한 ChatGPT 활용, 카드게임, 카드뉴스 제작 등 다양한 전략들을 직접 활용하여 토의 활동을 전개하였다. 일반 교수 효능감과 과학 교수 효능감에 대한 사전 사후 검사 간 t-test 결과 일반 교수 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과학 교수 효능감은 사후 검사 결과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교수 효능감 중 개인 교수 효능감은 사후 검사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나, 교수 결과 기대감은 사후 검사에서 더 낮게 나타났다. 이에 비해 과학 교수 효능감은 과학 교수 개인 효능감과 과학 교수 결과 기대감 모두 사후 검사가 더 높게 나타났다. 다만 과학 교수 결과 기대감은 유의하게 높지는 않았다. 이 결과는 예비 과학교사들이 직접 다양한 교수 전략을 활용하는 활동이 교수 효능감을 높이는 데 효과적임을 시사하고 있다. 그러나 교수 결과에 대해 확인하는 과정이 구현되지 않았기 때문에 교수 결과 기대감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학습자 참여를 강화한 과학교육론 수업이 예비 과학교사의 과학 교수 효능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an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class with enhanced learner participation affected o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general teaching efficacy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To this end, 29 prospective science teachers were given an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theory class that strengthened learner participatio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set discussion topics related to science education theory through group discussions. Also, a variety of strategies were directly applied to create discussion activities, including the usage of ChatGPT, card games, and the creation of card news. As a result of the t-test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for general teaching efficacy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eral teaching efficacy. However, science teaching efficacy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er in post-test results. Among the general teaching efficacy, the individual teaching efficac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ost-test, but the expectation of teaching results was lower in the post-test. On the other hand, science professor efficacy was higher in the post-test for both science professor personal efficacy and science professor result expectancy. Science professors, however, were not significantly hig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activities in which pre-service science teachers directly utilize various teaching strategies are effective in increasing teaching efficacy. However, because the process of confirming teaching results was not implemented, it was judg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xpectations of teaching results. In conclusion, it can be seen that the science education theory class that strengthened learner particip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efficacy of science teaching pre-service science teachers.

      • KCI등재

        유아 예비교사들의 자기 효능감과 교사 효능감에 관한 연구

        박은미(Park Eun-Mi)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05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9 No.4

          본 연구는 교직을 준비하는 예비유아교사들의 자기효능감과 교사 효능감의 수준을 알아보고 결과에 따른 학생들의 학교생활과 전공에 대한 준비를 하는 과정에 내적 성취감을 얻기 위한 동기유발을 일으킬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는 기초 연구가 된다는 데에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A대학 유아교육과에 재학중인 학생 18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예비교사는 자신의 수행능력에 대한 신뢰감이 연령과 학년이 높아짐에 따라 점차 높게 형성되어 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의 사회적ㆍ경제적 배경과 관련된 예비 유아교사들의 자기 효능감과 교사 효능감은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다. 이는 예비교사 자신의 사회ㆍ경제적 지위를 넘어설 수 있는 이론과 실습을 통한 유아 교육과정에서 얻어지고 길러질 수 있는 내면적 가치관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자기 효능감과 교사 효능감은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실습을 앞두고 교육자로서의 역할기대에 대한 부담감에 기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교사양성교육을 통해 교사가 되려는 예비교사들의 교직에 대한 인식과 태도형성 및 교사로서 필요한 지식 획득과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교수방법 개발에 대한 노력과 더불어 학생들의 동기적 속성에 대한 이해와 동기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self-efficacy and Teaching-efficacy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182 pre-service teachers of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A colleage.<BR>  Self-Efficacy instrument is made by Sherer (1983), and Hae Young, Hong(1995) reorganized as this measured instrument of this study and the teaching-efficacy instrument(1990) is made by Enochs & Riggs and Hee Jeen, Kim and Boon Ryu, Lee re-organized as this measured instrument of this study.<BR>  The data was analysed by SPSS PC+ 10.0 program. Means, %, F-test, t-test, Parson"s r were used for data analysis.<BR>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s should be researched;<BR>  1. What is the level of self-efficacy for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BR>  1 - 1. Does different pre-service teachers" age and grade, birth-order affect on the relation of self-efficacy?<BR>  1 - 2. Does different parents" age, job, income of the pre-service teachers are affected on the relation of self-efficacy?<BR>  2. What is the level of teaching-efficacy for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BR>  1 - 1. Does different pre-service teachers" age and grade, birth-order affect on the relation of teaching-efficacy?<BR>  1 - 2. Does different parents" age , job, income of the pre-service teachers are affected on the relation of teaching-efficacy?<BR>  3. What is the relation among the self-efficacy, teaching-efficacy for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B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ing :<BR>  1.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teaching-efficacy depending on parent"s age, job, academic career, economic and social level.<BR>  2.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eneral teaching-efficacy, the personal teaching-efficacy.<BR>  3. There is a significant negative difference in the general self-efficacy, personal teaching-efficacy.<BR>  4. There is a significant negative difference in the self-efficacy, teaching-efficacy.

      • KCI등재

        초등예비교사의 일반 교수효능감과 실과 교수효능감 비교 연구

        배선아 한국실과교육학회 2012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general teaching efficacy and practical arts 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400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were selected by purposeful sampling.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eral teaching efficacy and practical arts 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ractical arts teaching efficacy was lower than general teaching efficacy. Second, In case of mal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ut female's practical arts teaching efficacy was lower than general teaching efficacy. Third, In case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who are majoring in science track at universit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whereas, in case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who nonscience track majors at university, practical arts teaching efficacy was lower than their general teaching efficacy. Fourth, In case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who majored in liberal arts at high school, practical arts teaching efficacy was lower than their general teaching efficacy. Fifth, A freshman and sophomore's practical arts teaching efficacy was lower than their general teaching efficacy. Lastly, In case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who wasn't taken practical arts subjects as an elective, practical arts teaching efficacy was lower than their general teaching efficacy. 이 연구는 초등예비교사의 일반 교수효능감과 실과 교수효능감 사이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고, 이를 토대로 실과 교수효능감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러한 목적을위해 초등예비교사 400명을 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얻어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예비교사의 일반 교수효능감과 실과 교수효능감과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초등예비교사의 실과 교수효능감이 일반 교수효능감보다 낮았다. 둘째, 성별 변인에 따라 분석한 결과, 남학생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여학생은 실과 교수효능감이 일반 교수효능감보다 낮았다. 셋째, 대학 심화 전공 계열 변인에 따라 분석한 결과, 자연계열 학생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비 자연계열 학생은 실과 교수효능감이 일반 교수효능감보다 낮았다. 넷째, 고등학교 계열 변인에 따라 분석한 결과, 이과 출신 예비교사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문과 출신 예비교사는 실과 교수효능감이 일반 교수효능감보다 낮았다. 다섯째, 학년 변인에 따라 분석한 결과, 1, 2학년은 실과 교수효능감이 일반 교수효능감보다 낮았고 3, 4학년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여섯째, 실과 선택과목 수강 경험 변인에 따라 분석한 결과, 실과 선택과목 수강 경험이 있는예비교사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실과 선택과목 수강 경험이 없는 예비교사는 실과 교수효능감이 일반 교수효능감보다 낮았다.

      • KCI등재

        융합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성공지능 교수효능감과 집단적 교수효능감의 분석

        이미순 ( Mi Soon Lee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4 중등교육연구 Vol.62 No.1

        본 연구는 융합교육과정 관련 교수효능감을 조사하기 위하여, 교사들에게 URL 주소를 전달한 후 설문에 응답하도록 요청하였다. 199명의 교사가 성공지능 교수효능감(Teaching for Successful Intelligence, TSI, 2003b)과 집단적 교수효능감(Collective Teacher Efficacy Scale, CES, 2000)에 응답하였으며, 교사의 ‘학생 지도경력’을 공변량으로 설정한 후, 융합교육과정 연수와 수업적용 여부에 따른 교사의 성공지능 교수효능감과 집단적 교수효능감에 대해 다변량 공분산분석(MANC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교사의 ‘학생 지도경력’(공변량)에 따른 성공지능 교수효능감과 집단적 교수효능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융합교육과정 연수 유무 역시 성공지능 교수효능감 및 집단적 교수효능감과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교사의 융합교육과정 수업적용 여부의 영향은 유의하여, 융합교육과정을 수업에 적용해본 교사가 그렇지 않은 교사보다 ‘창의적 지능 교수효능감’과 ‘집단적 교수효능감’이 높게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구 결과를 분석하고 향후 융합교육과정 연수 프로그램을 계획할 때 고려해야 하는 사항과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for teaching efficacy by teachers`` training and teaching experiences for STEAM after controling for teaching years. A total of 199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teacher``s teaching years(covariance) did not impact on teaching efficacy in successful intelligence and collective teacher efficacy. After controling for teaching year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ing efficacy in successful intelligence and collective teacher efficacy by teachers`` training for STEAM.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of teaching experiences for STEAM on teaching efficacy in creative successful intelligence and collective teacher efficacy. Teachers applying STEAM into their teachings perceived their teaching efficacy in creative successful intelligence and collective teacher efficacy more positive than teachers not applying STEAM into their teaching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e implications(or directions) in planning for STEAM training programs.

      • KCI등재

        과학 탐구 교수 효능감 연구를 위한 선행 연구 고찰

        인수정(In, Soojeong),김유림(Kim, Yurim),최애란(Choi, Aer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8

        본 연구에서는 과학 교수 효능감을 선행 연구에서 어떠한 방법으로 분석하고 있는지, 어떠한 하위 요소가 포함되어 있는지 분석하여 과학 탐구 교수 효능감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우선 과학 교수 효능감을 질적 또는 양적으로 분석한 91편의 선행 연구 고찰은 탐구 중심 과학 수업 경험을 기반으로 한 과학 탐구 교수 효능 감을 질적으로 분석할 필요성으로 이어졌다. 둘째로, 여러 선행 연구에서 사용된 과학 교수 효능감 검사도구(STEBI)의 문항들은 일반적인 과학 교수에 대해 측정하는 반면 과학 탐구 수업 맥락에서의 과학 교수 효능감을 설명하기에는 부족함이 있었 고, 과학 탐구 교수 효능감(TSI) 검사 도구에서는 5가지 과학 탐구 과정을 학생들이 수행하도록 하는 교사의 능력에 대한 신념을 묻고 있어 5가지 과학 탐구 과정 수행 이외 영역에 대한 효능감에 대해서는 평가할 수 없다는 한계점이 있다는 것을 알 수있었다. 셋째로, 교수 효능감 관련 선행 연구에서 제시하는 교수 효능감의 정의를 통합 분석·범주화한 결과, 교사의 개인적 교수 효능감에는 교수 전략 효능감, 수업 관리 효능감, 학생 참여 효능감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 전략 효능감에는 학생 수준 이해 및 적용, 교과 지식, 교수 전략, 발문, 평가 관련 효능감이 포함되어 있었고, 수업 관리 효능감에는 방해 학생 관리와 학급 내 규칙 효능감이 포함되었 으며, 학생 참여 효능감에는 동기 부여, 참여 독려 효능감이 포함되어 있었다. 이러한 교수 효능감 하위 범주를 기본틀로 하여 실제 과학 탐구 수업을 실행한 교사들이 어떠한 효능감을 가지고 있는지 개방형 면담을 통해 알아보고 추가하거나 수정해야할 하위 범주나 요소가 있는지 알아보는 후속연구가 의미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ways in which science teaching efficacy is examined in previous research studies and to provide implications on studies on examination of science teaching efficacy. First this study examined 91 korea research studies in which science teaching efficacy or science teacher efficacy is analyzed or examined qualitatively and/or quantitatively. Results imply that research studies analyzing science teaching efficacy in a inquiry-based secondary science instruction are needed. Second, content analysis of instrument of science teaching efficacy was implemented to develop an analysis framework for qualitative analysis of science teaching efficacy.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STEBI) included questions in a general science teaching context instead of inquiry-based science teaching. Teaching of Science as Inquiry(TSI) included questions efficacy regarding teacher beliefs on guiding students to be engaged in 5 processes of science inquiry. Third, previous research studies regarding teaching efficacy included efficacy for instructional strategies, efficacy for classroom management, and efficacy for student engagement. Qualitative data analysis on science inquiry teaching efficacy could be implemented using the sub-component framework of teaching efficacy developed in this study. Various sub components of science inquiry teaching efficacy could be named considering the teaching efficacy framework.

      • KCI등재

        유아교사의 문화성향이 다문화 교수능력에 미치는 영향

        정혜욱(CHUNG-HOE-WOOK) 한국육아지원학회 2013 육아지원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문화성향이 다문화 교수능력에 영향을 미치는지, 문화성향과 다문화 교수능 력의 관계에서 다문화 교수효능감이 매개효과를 갖는 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교사 125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문화성향은 다문화 교수능력에 영향 을 미쳤으며, 문화성향의 하위변인 중 수평적 개인주의가 높을수록 다문화 교수능력이 높았다. 둘째, 문화성향과 다문화 교수능력의 관계에서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은 3단계로 이루어졌으며, 1단계에서 유아교사의 문화성향은 다문화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쳤고, 문화성향의 하위변인 중 수평 적 개인주의, 수직적 집단주의 및 수평적 집단주의가 높을수록 다문화 교수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 났다. 2단계에서 다문화 교수효능감은 다문화 교수능력에 영향을 미쳤으며,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세 하 위변인(일반기능 교수효능감, 수업기능 교수효능감, 인간관계 교수효능감) 모두 다문화 교수능력에 영 향을 미쳤다. 3단계에서 문화성향과 다문화 교수능력의 관계에서 다문화 교수 효능감은 부분 매개효과 를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문화성향이 다문화 교수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으며, 문화 성향과 다문화 교수능력의 관계에서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다문화 교수효능 감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또 문화성향과 다문화 교수능력이 유아교사의 다문화 특성을 설명하는 주 요 변인이 될 수 있음을 제기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s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cultural orientation,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wo-fold: first,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ultural orientation on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and second,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 of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on that relationship. Two research questions guided the study. First, does the cultural orient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ffect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asks if the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orientation and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survey data from 125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multicultural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ultural orientation influenced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Among cultural orientation's sub-variables, horizontal individualism significantly influenced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Second, cultural orientation influence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Vertical individualism and vertical collectivism among cultural orientation's sub-variables significantly influence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Thir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influenced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Among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s sub-variables, general teaching efficacy, instruction teaching efficacy, and human relationship teaching efficacy significantly influenced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Forth,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orientation and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This study implies the importance of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by verifying its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orientation and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Also the research suggests that cultural orientation and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can be significant variab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characteristics in multicultural education.

      • KCI등재

        유아교사의 놀이신념이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수업역량의 매개효과

        백영숙(Paik, Young Suk),오현숙(Oh, Hyun S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0

        목적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놀이신념이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하며, 수업역량을 매개로 효과를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J도와 K시의 유아교사 325명을 대상으로 유아교사의 놀이신념, 놀이교수효능감, 수업역량을 검사하기 위해 설문도구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 24.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매개효과의 검증은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검증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는 첫째, 독립변인인 유아교사의 놀이신념, 종속변인인 놀이교수효능감, 매개변인인 수업역량 간에는 의미 있는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놀이신념이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수업역량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유아교사의 놀이신념이 수업역량에 미치는 영향력은 의미 있는 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교사의 수업역량은 유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 하위변인인 ‘놀이교수효능신념’ 및 ‘놀이교수결과기대’ 그리고 놀이교수효능감 전체에 미치는 영향력도 의미 있는 정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과정을 확인한 결과 매개변인인 유아교사의 수업역량은 독립변인인 유아교사의 놀이신념이 종속변인인 유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의 하위요인 ‘놀이교수효능신념’ 및 ‘놀이교수결과기대’와 놀이교수효능감 전체에 대하여 부분적으로 매개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유아교사가 놀이에 대한 올바른 신념, 놀이교수효능감, 수업역량을 갖추고 놀이지원을 할 수 있는 교사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함과 동시에 2019 개정누리과정 실행을 위한 유아교사 재교육 또는 연수지원을 위한 방법 모색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 s play belief on teaching efficacy on play, and its effect when ‘teaching competencies’ as a medium. Methods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tool was used to examine the play belief, teaching efficacy on play, and teaching competenci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argeting 325 early childhood teachers in J and K citi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PASW 24.0. Results In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 early childhood teacher s play belief, the dependent variable, teaching efficacy on play, and the mediating variable, teaching competencies. Second,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ing competencies in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 s play belief on teaching efficacy on play, the influ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 s play belief on teaching competencies was found to be positively significant, and the teaching competenci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also confirmed to have positively significant effects on ‘play teaching efficacy belief’ and ‘play teaching outcome expectation’ and ‘teaching efficacy on play’, which are sub-variables of teaching efficacy on pla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result of confirming the above process, as for the mediating variable,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competencies, the independent variable of early childhood teacher s play belief was confirmed to be partially mediating for all of ‘belief in play teaching efficacy’ and ‘play teaching outcome expectation’ and ‘teaching efficacy on play’ which are the sub-factors of the dependent variabl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efficacy on play. Conclusions Therefore, through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basic data for teacher education that can support play in order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o have the right beliefs about play, teaching efficacy on play, and teaching competencies, and at the same time, to seek a strategy for re-education or training support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 KCI등재

        한국과 미국 중학교 교사의 ICT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요인 비교

        여열(Yue Li),박경희(Kyunghee Park),이핵(He Li) 한국비교교육학회 2021 比較敎育硏究 Vol.31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 중학교 교사의 ICT 교수효능감과 ICT 관련 특성을 비교하고 ICT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환경적 요인들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OECD가 48개국을 대상으로 조사한 TALIS 2018 데이터 중에서 한국과 미국의 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일원분산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한국과 미국 교사의 ICT 교수효능감 수준과 영향요인을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한국과 미국 중학교 교사의 ICT 교수효능감, ICT 전문성 개발 인식, ICT 활용 준비도, ICT 수업환경 요구, 동료교사와 교장의 영향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미국 교사의 ICT 교수효능감이 한국 교사보다 더 높았다. 둘째, 개인요인 중에서 성별, 학력, 교사경력은 한국과 미국 교사의 ICT 교수효능감에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ICT 관련 개인요인 중에서 ICT 전문성 개발 인식은 한국 교사의 ICT 교수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미국 교사의 ICT 교수효능감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ICT 활용 준비도와 ICT 수업환경 요구는 한국 교사의 ICT 교수효능감에만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외부요인 중에서 동료교사의 영향은 한국 교사의 ICT 교수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미국 교사의 ICT 교수효능감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ICT 활용 교육이 세계적으로 중요하게 논의되는 현 시점에서 한국 교사의 ICT 교수효능감을 높이고 ICT 활용을 촉진할 수 있는 교육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tial elements of ICT teaching efficacy between South Korea and American middle school teachers. It aimed at finding methods to improve the South Korea and American teachers ICT teaching efficacy of in the future. [Method] This study utilized data from the TALIS 2018 (The OECD Teaching and Learning International Survey). Difference verific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compare factors affecting the ICT teaching efficacy of South Korean and American. [Result]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CT teaching efficacy, perceptions of ICT professional development, preparation for ICT use, ICT requirements, and the influence of peer teachers and principals between South Korea and America. Moreover, American teachers have higher ICT teaching efficacy than South Korean teachers. Secondly, gender, educational background, teaching years have no significant influence on South Korea and American teachers ICT teaching efficacy. Thirdly, perceptions of ICT professional development have different impact on South Korea and American teachers. The preparation for ICT use and ICT requirement only have a positive impact on South Korea teachers ICT teaching efficacy. They have no impact on American teachers ICT teaching efficacy. Although peer teachers have a positive impact on South Korea teachers ICT teaching efficacy, peer teachers have a negative effect on American teachers. [Conclusion] At present, ICT instruction has become an essential assignment of education development worldwide. By comparing the ICT teaching efficacy of two countries and exploring the influential factors,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to improve teachers ICT teaching efficacy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기술·가정 교사의 교사효능감에 따른 교수전략 분석

        함승연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2 實科敎育硏究 Vol.18 No.4

        이 연구는 기술·가정 교사의 교사효능감을 구명하고, 교사효능감에 따라 교수전략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사효능감과 교수전략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기술·가정 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수전략을 알아보기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조사 수집한 한국교육종단연구(KELS) 자료 중 3차년도(2007년) 자 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전국을 도시규모에 따라 층으로 나누고 추출 된 150개 표본학교의 전체 교사 중 담당 과목이 기술·가정인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으 며 총 275명이다. 기술·가정 교사의 교사효능감은 교수관련 효능감과 생활지도관련 효 능감으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교사효능감에 따른 기술·가정 교사의 교수전략은 수업 방식 및 활동에 있어서의 교수전략과 수업관련 교수전략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도출한 기술·가정 교사의 교사효능감에 따른 교수전략 분석 주요 결 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가정 교사의 교수효능감을 분석한 결과 평균이 3.80으로 비교적 높았다. 둘째, 교사효능감이 높은 기술·가정 교사는 수업목표의 효과를 위해 낮 은 교사에 비해 전반적으로 다양한 교수전략을 적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과 내용에 따라 수업 방식을 조절하고, 학생의 관심 정도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으며, 수 업시간에 학생의 태도를 보고 문제점을 파악하고 문제행동 학생을 잘 지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효능감이 높은 기술·가정 교사는 학생들이 수업 내용을 이해하기 쉽도록 예와 보기를 많이 들고 학생의 질문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며 학생에게 질문도 많이 하며, 수업 전에 본수업 내용을 간략하게 설명하는 등 학생의 수업 이해도 측면 의 교수전략을 많이 활용하였다. 그러나 학생의 학습동기부여 측면과 수업정리 측면에 서는 교사효능감이 높은 교사나 낮은 교사 모두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셋째, 학생 평 가 정보 활용 측면에서 교사효능감이 높은 기술·가정 교사는 학생 평가 정보를 진로 상담에 활용하고 향후 수업 계획에 반영하며 학생의 학습상 문제점을 진단하는데 적극 적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eacher efficacy of technology·home economic teachers and analyze the differences in teaching strategies according to their efficacy. To achieve this, literature on teacher efficacy and teaching strategies was reviewed.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teacher efficacy and teaching strategies of technology·home economic teachers by using the third year data from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KELS), which was collected by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al Institute(KEDI). In this study, teacher efficacy was analyzed in terms of teaching-related efficacy and guidance-related efficacy. In case of analyzing teaching strategies according to teacher efficacy, both teaching strategies in teaching activities and those related to class were considered. The main results from the analysis are as follow. First, it revealed that the level of technology·home economic teachers’ efficacy was relatively high(mean value 3.80). Second, technology·home economic teachers with high efficacy tended to utilize various teaching strategies to reach their teaching goals in comparison with those who had low teacher efficacy. It also found that they were more likely to adjust their teaching methods according to subject contents, assess students’ attention levels accurately, figure out students’ problematic behaviors during class and guide them properly. In addition, technology·home economic teachers who had high efficacy used more teaching strategies such as providing students a lot of examples, answering students’ questions actively, giving out them questions as many as possible, and explaining about main contents before the class, all of which helped to enhance students’ content understanding. However, teachers had few teaching strategies when it comes to motivating students to study and finishing the class, regardless of their levels of teacher efficacy. Third, it showed that teachers with high efficacy used information about student evaluations much more compared to teachers with low efficacy in order to offer career counseling for students, reflect it on the plans for future classes, and examine students’ learning problems.

      • KCI등재

        대학 교수자의 온라인 수업효능감 분석: A대학을 중심으로

        신종호 ( Jong-ho Shin ),박수영 ( Su-yeong Park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21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7 No.2

        COVID-19로 인한 전면적인 비대면 수업의 전환으로 향후 대학 수업에서의 온라인 수업의 적용 증가가 더욱 가속화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온라인 수업이 교수자에 의해 적극적으로 채택이 되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대학 교수자의 수업과정과 학습자의 학습성취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수업효능감에 대한 분석과 개발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 교수의 온라인 수업효능감을 분석하여 수업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A대학교 교수를 대상으로 온라인 수업효능감 측정도구인 MNESEOT를 활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COVID-19로 인하여 대부분의 교수들이 온라인수업을 진행하였음에도 온라인 수업효능감은 선행연구 결과와 비교하여 낮은 수준이었다. 수업효능감의 하위영역인 학생참여, 수업관리, 교수전략, 컴퓨터 이용 중에서 교수전략이 가장 높고 학생참여가 가장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교수의 개인특성에 따른 온라인 수업효능감을 분석한 결과 남성이 여성보다 높았으나, 직급, 연령, 교육경력, 전공계열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수업지원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온라인 수업효능감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면대면 수업지원프로그램 참여경험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온라인 수업지원프로그램 참여횟수와 온라인 수업효능감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교수자의 온라인 수업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지원 방법에 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implications for ways to increase the online teaching efficacy by analyzing the online teaching efficacy of university faculty, which has a very important influence on the adoption of online classes and teaching and learning. To this e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professors of A University using MNESEOT, which is an online measuring tool for online teaching efficac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even though most of the professors took online teaching due to COVID-19, the level of online teaching efficacy was low compared to the result of previous studies. There was a high positive correlation amomg student engagement, class management, instructional strategy, and use of computer, which are sub-areas of online teaching efficacy, and among the four sub-areas, instructional strategy was the highest and student engagement was the lowest.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similar to those of previous studi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online teaching efficacy according to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professors, males were higher than females, and there were differenced in instructional strategy, class management, use of computer. However the differences between position, age, educational experience, and major field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re was no difference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the face-to-face teaching support program.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more participation in the online teaching support program, the higher the online teaching efficacy.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the support approaches that can enhance the online teaching efficacy were propo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