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역사 텍스트의 다원적 관점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

        김부경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8 사회과교육연구 Vol.2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ive pluralistic perspective in historical texts and form their own historical viewpoints as such the results. I classified the pluralistic perspective in historical facts as historical agent’s perspective and historian’s perspective, and defined the recognition of pluralistic historical view as understanding historical phenomenon through each one’s perspective in this study. I researched how students recognize each perspective through reading texts and surveying questionnaires. Students’recognition of historical agent’s perspective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mainly recognized contextual factor of historical action. but did not pay attention to individual ones. Second, students could easily find compare various people’s perspective related to the historical events, but felt difficult to infer their historical reasoning. Third, students recognized only one factor in causes of historical events, and judged past from present people’s view. Students’ recognition of historian’s perspective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tended to judge historian’s perspective in the positive-negative framework. Second, students focused on contents of the text, but did not consider the author’s internal character for recognizing historian’s perspective. Third, students distinguish between the author’s interpretation and historical facts in the text, and some students reached to realize “history ad interpretation” beyond “history as fact” through this history lesson. In conclusion, students were able to form their own independent perspective through recognizing pluralistic historical perspective of historical phenomena. This results give important implications to history teaching in the sense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e possible to recognize specific character of historical facts. 본 논문은 초등학생들이 역사 텍스트에서 다원적 관점을 어떻게 인식하고 그것을 통해 자신의 관점을 어떻게 형성하는지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역사교육에서 다원적 관점을 인식한다는 것을 ‘역사학습에서 접하는 다양한 주체들의 관점을 통해 역사적 현상을 이해하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다원적 관점의 차원을 역사 행위자 관점과 역사가의 관점으로 분류하였다. 이를 토대로 학생들이 각각의 관점을 어떻게 인식하는지 텍스트와 질문지를 통해 알아보았다. 먼저 역사 행위자 관점이해에서 학생들은 인물 행위의 원인을 개인적 요인보다 상황적 요인에서 주로 찾았으며, 텍스트에서 사건과 관련한 다양한 인물들의 관점을 비교적 쉽게 찾고, 비교할 수 있었으나 표면적 이해에 머무르고 있었고, 인물의 행위를 평가할 때 과거를 오늘날의 시각에서 판단하는 현재적 관점(presentism)을 보였다. 역사가의 관점을 이해할 때 학생들은 관점을 긍정-부정의 틀로 이분화하려는 양상을 보였으며, 관점 판단 시 텍스트의 내용에만 집중할 뿐 저자와 관련한 요인은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다. 학생들은 텍스트 속에서 저자의 해석과 역사적 사실을 구별할 수 있었는데, 그 과정에서 일부 학생은 사실로서의 역사에서 해석으로서의 역사로의 인식 전환 양상을 보이기도 했다. 학생들은 초반에는 이분법적인 해석과 빈약한 근거를 가진 관점을 제시했지만 다원적 관점이 담긴 텍스트를 접한 후 점차적으로 다양한 해석과 근거를 가진 관점을 형성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역사 학습에서 다원적 관점을 다루는 것은 학생들이 자신만의 관점을 갖는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그 과정에서 역사의 본질적인 성격을 인식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적 적용의 의의를 찾을 수 있었다.

      • KCI등재

        Student and Faculty perspectives on Student Course Evaluation: A Case Study of a U.S. University

        Kiyong Byun(변기용) 한국교육행정학회 2006 敎育行政學硏究 Vol.24 No.3

        학생에 의한 강의평가에 대해서는 그 동안 수 많은 연구가 이루어 졌는데, 기존의 연구는 주로 학생 강의 평가의 신뢰도과 타당성 또는 이에 대한 교수들의 인식조사에 초점을 두고 이루어 졌다. 이에 반해, 학생과 교수 등 서로 다른 집단이 학생 강의평가에 대해 가지는 인식 비교 등에는 상대적으로 제한된 수의 연구만이 이루어 졌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학생과 교수집단이 과연 효과적 강의가 무엇인지를 평가하는데 있어서 서로 다른 기준을 적용하는가” 여부와, 둘째, 미국 오레곤 대학에서 실제로 시행중인 학생강의 평가 방식에 대한 학생들과 교수들의 인식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를 실증적으로 조사하는 데 있다. 이를 통해, 한국과 미국의 대학현장에서 시행되고 있는 강의평가 방식을 개선하는데 도움을 주고, 나아가 효과적인 교수법 구안에 대한 연구전반에 기여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오레곤 대학의 162명의 학생과 56명의 교수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실시되었다. 자료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먼저, 일부 차이는 있지만, 교수와 학생들은 효과적 교수방식을 평가하는데 있어 동일한 기준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학생들과 교수들은 현행 학생 강의 평가방식에 대해서는 여러 측면에서 상당히 다른 견해를 보이고 있다 (예: 강의평가과정에서 익명성 보장 여부, 학생 강의평가의 타당성 여부, 강의의 난이도와 평가결과와의 연관성 등). 단, 강의평가 결과의 활용과 관련해서는 학생들과 교수들은 서로 비슷한 견해를 보이고 있다. 분석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이 제시되었다. 첫째, 학생강의 평가결과는 유용한 자료이며, 그 결과는 강의의 질 개선이나, 교수들의 승진, 정년보장 등의 결정에 있어서 활용되어야 한다. 다만, 이 경우 강의평가는 신뢰도와 타당성이 보장될 수 있는 방식으로 시행되어야 하며, 단순히 평가지에서 제시된 점수를 합산하는 방식이 아니라 티칭 포트폴리오, 동료평가 등의 다양한 자료들과 함께 고려될 필요가 있다. 둘째, “효과적 강의”는 다면적 차원의 개념으로서 강의평가지 설계시에는 교수 강의능력과 관련된 다면적 차원이 모두 포함될 수 있도록 고려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강의평가지에 포함된 모든 항목의 단순평균으로 교수강의의 전체적 효과성을 평가하는 현행 방식은 재고될 필요가 있다. 셋째, 강의 종료시에 강의평가를 하는 일반적 방식은 전반적인 강의의 질 향상에는 도움이 되지만, 해당강의를 수강하는 학생들의 입장에서 볼 때 당해 강의에 대한 문제점을 시정하는 기회를 부여받지 못한다는 측면에서 문제가 있으므로 해당학기의 중반에도 형성평가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The study was designed: first to determine whether students and faculty rate effective teaching criteria differently in forming their respective perceptions of effective teaching; secondly to explore student and faculty views on the current student course evaluation procedures at the University of Oregon. 162 students and 56 faculty members in the College of Education at the University of Oregon were surveyed. The results indicate that, although some differences exist, faculty and students generally rate teaching effectiveness in similar ways. It was also found that students' and faculty members' general attitudes toward current student course evaluation procedures are quite different in many aspects (e.g. confidentiality in the rating process, the accuracy of student ratings, the relationship between rating results and course difficulty etc.). However, students and faculty appear to have similar views on the use of student course evaluation results.

      • KCI등재

        비사범계 교직과정이수생들의 교육실습 경험에 대한 생태학적 고찰

        정한호 한국교육개발원 2008 한국교육 Vol.35 No.4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Liberal Arts Students' Pre-Service Internship courses in schools in order to improve the Pre-Service Internship curriculum. This research was an attempt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the Pre-Service Internship courses in schools from an ecological perspective that is based on survival, harmony, and change. Diaries of Pre-Service Internship participants, group interview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the key data used in the current research. Diaries and group interviews were done by 33 undergraduates in A women's university in Seoul. In-depth interviews of 6 students (3 males and 3 females) were carried out in B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Seoul. According to the results, student teachers recognized that relationships with school students were very important aspects of the Pre-Service Internship at school. Student teachers made an effort to live harmoniously in the "new ecosystem" of "relationships with school students" rather than the "official ecosystem" of the Pre-Service Internship course. Since student teachers recognized that it is difficult to interact with the ecosystem of the Pre-Service Internship course except for 'relationships with school students,' they took a passive attitude toward the Pre-Service Internship course. But they focused on 'relationships with school students' by taking advantage of non-class time, such as break times, lunch time, after-school counseling, nightly studying time, morning meetings, and evening meetings to approach the students. These phenomena were discovered in all of the data-diaries, group interviews, and in-depth interviews. Through this research, it was observed that student teachers had a difficult time because of insufficient Pre-Service Internship curricula, the difficulties of practicing in school, the heavy burden of classroom instruction, difficulties as student teachers, and trouble with their academic advisers. We need a practical Pre-Service Internship curriculum for solving these problems. We should develop useful Pre-Service Internship curricula appropriate for teacher training, academic advisers, and student teachers. We have to help student teachers recognize the Pre-Service Internship course in school as a significant ecosystem. 본 연구는 일반대학 교직과정이수생의 교육실습 실태를 파악하고 교육실습이 올바른 방향으로 활성화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생존, 조화, 변화를 기반으로 한 생태학적인 관점을 통해 교육실습 실태 및 문제점을 고찰하고 해결방안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습일지, 집단 면담, 심층 면담을 바탕으로 자료 수집을 하였다. 실습일지 및 집단 면담은 서울소재 A여대 학부생 33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객관적인 연구결과를 얻기 위하여 교육실습 경험이 있는 서울소재 B대학 교육대학원생 6인(남3, 여3)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교육실습생들은 '학생들과의 관계’를 교육실습에서 가장 중요하게 인식한다는 사실을 파악할 수 있었다. 교육실습생들은 교육실습학교라는 '공식적인 생태계'보다는 '학생과의 관계’라는 자신들만의 '새로운 생태계’를 만들고 그곳에서 조화롭게 생활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과의 관계’이외의 다른 교육실습환경들과 유의미한 상호작용이 어렵다는 사실을 인식하면서 교육실습생들은 공식적인 교육실습활동에는 수동적인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학생들과의 원만한 관계’를 위해서는 쉬는 시간, 점심, 방과 후 상담, 야간자율학습, 조회 및 종례와 같은 교실수업이외의 시간을 활용하여 학생들에게 접근하였다. 이와 같은 현상은 실습일지, 집단 면담, 심층 면담에서 모두 동일하게 나타났다. 연구 결과, 교육실습생들은 교육실습 교육과정 미비, 교육실습학교 배정의 어려움, 연구수업 부담감, 비사범대 교직과정 이수자로서의 어려움, 지도교사와의 문제로 인해서 어려움을 겪었다. 교육실습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해서는 실질적인 교육실습 교육과정이 요구된다. 대학의 교직과정담당자, 교육실습담당교사, 그리고 교육실습생들 모두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육실습 교육과정을 수립해야 한다. 이를 통해 교육실습생들이 일선학교에서의 교육실습을 자신에게 유의미한 생태계로 인식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 KCI등재

        학생들의 선호-교사상(選好-敎師像)에 대한 내용분석적 연구

        안길훈(Ahn Gill-Hoon) 한국교육행정학회 2007 敎育行政學硏究 Vol.25 No.4

        이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학부모나 학생에 의한 교사 폭언, 협박, 폭행 등의 문제 상황과 학생지도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현직 교사들의 목소리에 기초하여 학생들이 선호하는 교사의 모습을 규명하였다. 현재까지의 교사상에 대한 연구가 주로 교사의 역할 기대라는 당위론적 관점에서 추상적인 모습의 규명에 머무르며 교사 중심의 용어로 진술된 특징을 감안하여 본 연구는 교사의 내면을 가장 잘 바라보는 학생의 경험적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좋은 선생님에 대한 학생들의 글을 분석하는 내용분석법(content analysis)을 택하였다. 연구결과 학생들이 선호하는 교사의 모습은 첫째, 유머감각을 보유하고 수업을 재미있게 하는 교사, 둘째, 자상하고 너그러운(친절, 친근, 미소)교사, 셋째, 삶의 지혜를 강조하고, 많은 추억을 심어주며, 학교 안에서 뿐만 아니라 밖에서도 관계의 끈을 놓지 않는 교사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이 선호하는 교사의 모습을 보이는 것이 어떤 의미를 담고 있는지를 해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현직 교사들은 교사의 정체성을 확보하게 될 것이며, 미래의 예비교사들은 학생들이 선호하는 교사의 자질을 구비하게 될 것이다. It is very difficult to define what a ‘good teacher’ is or does. The term ‘good teacher’ sounds very ambiguous and yet, walk into an education setting and you will hear students, and teachers alike make observations as to who is and who is not a good teacher. And so, when someone is called a ‘good teacher’ what is the behavior that fits within such terminology? Are teachers classified based on their personality traits and or social skills or does a ‘good teacher’ refer to those whose students’ perform well academically? In this study, a definition is made as to what a ‘good teacher’ is. The definition is not derived from analyzing personality types of individual teachers, but rather from a discourse with students and education providers. This study concludes that ‘good teachers’ are primarily defined as those who have a good relationship with their students. The secondary conditions which define a good teacher are as follows. Firstly, in terms of teaching process and teaching methods, good teachers are those who incorporate humor into their lessons. Who make it easy for students to understand what they are learning, and who are very enthusiastic in their teaching. Further, that the teaching process involves using interesting ways of teaching and that the homework given to students is appropriate. Secondly, In terms of teacher personality and characteristics, good teachers are generous, very attentive, kind, always smiling, good at giving praise, treat students fairly, give students confidence, don’t punish students, give students good advice, become good friends with their students, don’t show prejudices towards students, put themselves in the shoes of their students, and those who can forgive the wrongdoings of students. Thirdly, Additional factors which define a good teacher include those who dress nicely, talk in a friendly way with a cheerful voice, those who succeed in creating good memories and those who often interact with students.

      • KCI등재

        민주시민교육 인정교과서의 학생참여 방식 분석 : 인천광역시교육청 『시민과 사회정의』, 『시민과 사회참여』, 『학생자치와 사회참여』를 중심으로

        한학범 ( Han Hakbum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2 교육문화연구 Vol.28 No.3

        본 연구는 민주시민교육 인정교과서에 나타난 학생참여 방식을 분석하고자 내용요소와 참여방식을 탐색했다. 인정교과서 내용요소와 함께 이를 다루는 접근방식의 특징을 드러냄으로써 학생의 사회참여 실천을 보장하는 교육활동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인정교과서의 내용요소에 학생을 접근시키는 방식의 특징을 파악하고자 인지적 접근, 참여적 접근, 정의지향적 접근 등 이상 세 가지 민주시민교육의 접근 관점에 따라 분류했다. 분석결과, 민주시민교육 인정교과서는 인지적 접근에서 출발하면서, 주로 참여적 접근을 통해 학생의 사회참여입문 촉진을 지향했다. 이러한 지향은 학생의 사회참여실천이 보다 더 정의지향적 접근으로 이어져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교육활동 수업이 가능하도록 기획되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에게 인정교과서를 활용하는 민주시민교육 활동을 실행할 때 학생에게 참여적 접근을 근간으로 하면서 사회참여 실천의 비중을 높여갈 수 있는 촉진자 역할 수행을 요청하고 있는 것이다. 교사에게는 학생이 민주시민교육 내용을 사회참여 실천의 활동 안에서 학생주도성을 발휘하면서 다루는 동안, 학생과 함께 공동주도성이 발휘되는 활동을 전개할 수 있는 역량이 동시에 요청된다. 이를 위해 민주시민교육 장면에서 학생주도성이 교사-학생간 공동주도성으로 확장될 수 있도록 실천적이면서 포용적인 역량을 신장시켜줄 수 있는 교사지원과 교사연수프로그램이 필요하다. To analyze the student participation method presented in the textbook recognized for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his study explored the content elements and participation methods.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activities that guarantee students' social participation practice were explored by reveal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approach to dealing with the content elements of the recognized textbook.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thod of approaching students to the content elements of the recognized textbook, it wa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hree approaches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 cognitive, a participatory, and a justice-oriented approach. The analysis revealed that textbooks for recognition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started from a cognitive approach and aimed to promote students' entry into social participation through a participatory approach. This orientation was designed to enable students' practice of social participation to lead to a more justice-oriented approach, enabling critical reflection on educational activity classes. These results suggest teachers should play a role as a facilitator to increase the proportion of social participation practice based on a participatory approach when implementing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ctivities using recognized textbooks. Teachers are simultaneously required to have the ability to develop activities in which co-agency is exercised with students while students deal with the contents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while demonstrating student agency within social participation practice. To this end, there is a need for teacher support and teacher training programs that can enhance practical and inclusive capabilities so that student agency can be expanded to teacher-student co-agency in the democratic civic education setting.

      • KCI등재

        유학대상국에 대한 국가인식과 문화교육 - 중국 내 한국인 유학생과의 비교를 통한 한국 내 중국인 유학생의 사례를 중심으로 -

        장세길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10 한국어 교육 Vol.21 No.4

        This paper argues educational programs for foreign students, aimed at introducing Korean culture, needs to be differentiated by their views on their temporary residence country, Korea. For this argument, it analyses the comparison between the case of Korean students in China and the other one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Seeing that students' learning incentive, class characteristics and their own cultural backgrounds are to be intertwined, we cannot say that their learning attitude toward culture education including Korean language learning is only passive. In other words, their learning processes are complex and interactive. They reinterpret what they learn, in their own way, and reflect it on practice. Influenced by anti-Korean sentiment shared among the Chinese, Chinese students in Korea reinterpret what they learn in classes. Therefore, culture educational programs for Chinese students need to be different from those for other foreign students. The long historical relationships between Korea and China, anti-Korean sentiment influenced by Chinese nationalism, and Chinese cultural characteristics should be considered on the whole before educational programs are engineered.

      • KCI등재

        University Students’ Perspectives and Voices on L2 Writing in Blended Learning

        소리,이충현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8 외국어교육연구 Vol.32 No.1

        Blended learning has been applied to L2 writing contexts due to its pedagogical and practical benefits such as providing more writing opportunities and interactive environments. This study aims to explore university students’ perspectives and voices on L2 writing in blended learning.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102 students in academic English writing courses through blended learning. Data collection instruments included a questionnaire, students’ reflective journals, and interview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majority of the students had not experienced the process approach and blended learning before the experiment. Second, the students were interested in online learning and ready for blended learning and autonomous learning. Third, the students positively perceived L2 writing in blended learning in terms of usefulness, helpfulness, satisfaction, and motivation. Last, the students had positive perspectives on explicit writing activities. Based on the findings, pedagogical implications are suggested.

      • KCI등재

        대학생의 미래시간관과 학생참여의 관계에서 학업회복력의 조절효과

        김정섭 한국교육심리학회 2022 敎育心理硏究 Vol.36 No.2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academic buoyan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uture time perspective and college students’ engagement. Based on previous research on the effects of future time perspective and academic buoyancy on student engagement and the lack of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uture time perspective and academic bouyancy, a model was created in which academic buoyancy plays a significant role in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uture time perspective and student engagement. The study comprised 334 college students (98 males, 236 females), who participated in an online survey conducted from May to July 2021. The data was analyzed using Pearson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linear regression. The resul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predictor (future time perspective) and the dependent variable (student engagement) as well as between the moderator (academic buoyancy) and the dependent variable.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predictor and the moderator. Furthermore, the participants’ academic buoyanc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dictor and the dependent variable. Thus, the academic engagement of students with a low level of academic buoyancy was more strongly affected by future time perspective than of those with high levels of academic buoyancy. The study discusses the essential strategies for colleges and universities to enhance students’ academic buoyancy and future time perspective to encourage active student engagement in the classroom.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미래시간관과 학생참여 간의 관계에서 학업회복력의 조절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미래시간관이 학생참여에 영향을 준다는 연구결과와 학업회복력이 높을수록 학생의 참여 수준이 높다는 선행연구가 있지만, 미래시간관과 학업회복력 사이의 관련성을 밝힌 연구가 부족하므로 미래시간관이 학생참여에 영향을 줄 때 학업회복력이 조절효과를 가지는 모형이 설정되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학생은 2021년 5월부터 7월까지 온라인 설문조사에 자발적으로 응답한 대학생 334명(남학생 98, 여학생 236)이다. 수집된 데이터는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는 미래시간관과 학업회복력 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고 미래시간관과 학생참여 사이와 학업회복력과 학생참여 사이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더 나아가 대학생의 미래시간관이 학생참여에 영향을 줄 때 학업회복력이 낮은 대학생의 경우 미래시간관이 높아질수록 학생참여 수준이 급격히 높아지는 조절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선행연구와의 관련성과 연구 결과가 주는 교육적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Teaching international students from Confucian Heritage Culture countries: perspectives from three U.S. host campuses

        Qi Sun,Haijun Kang,Bo Chang,David Lausch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Vol.20 No.4

        U.S. host campuses face instructional challenges from increasing numbers of international students from Confucian Heritage Culture (CHC) countries. Yet, the presence of CHC students offers learning opportunities for U.S. faculty in the context of internationalizing their higher education campuses. This study surveyed faculty at three U.S. host universities. It explored faculty understandings of Confucian culture, their perceptions of CHC countries’ international student learning, strategies used by faculty when teaching CHC students, and value faculty recognized when learning from CHC students. Results showed that a majority of faculty recognized the core values of Confucian culture. Yet, they were not fully aware of the cultural impact on CHC students’ learning, and the strategies they employed were mainly from the American perspectives. They did not integrate CHC students’ cultural heritages in their teaching practices and only partially accommodated CHC learners in teaching. This study calls for consciousness to transform faculty mindsets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of students’ cultural differences in order to bring about a dramatic change in their teaching practices. Doing so may enhance the success of CHC students fomenting further internationalization at their host universities.

      • KCI등재

        Chinese English Learners’ Perspectives on Automated Writing Feedback

        Wang Xiaoran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2023 멀티미디어 언어교육 Vol.26 No.2

        This study examined Chinese college English learners’ perspectives of the automated writing feedback generated by Pigai, the most widely used automatic writing evaluation (AWE) tool in China. Additionall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in Chinese college learners’ perspectives of Pigai feedback according to their proficiency levels. Student participants included 70 students from two classes who took the same college English course at one Chinese university. The students in class A were higher level EFL learners, while students in class B were lower level EFL learners. In both classes, Pigai was incorporated into the process-based writing practice along with teacher feedback. Students’ perspectives of the automated writing feedback generated by Pigai were investigated via survey after the course. The findings revealed that all participants demonstrated highly positive perspectives. Besides, both higher- and lower-proficiency groups exhibited similar perspectives regardless of their proficiency levels. Moreover, most participants expressed a preference for receiving both Pigai feedback and teacher feedback integrated into their writing process. Practical implications were also discussed for writing instruction using AWE technology in EFL writing classes such as AWE tools can be used with teacher feedback together to assist writing for classes with students of various proficiency leve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