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수영 문학의 미학적 정치성에 대하여 -불화의 미학과 탈경계적 정치학-

        진은영 ( Eun Young Jin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0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40

        본 논문의 목적은 김수영 문학에 나타난 미학적 정치성을 조명하는 데 있다. 김수영이 추구하는 문학은 삶의 낡은 관습이라는 뜻에서의 에토스와 불화할 뿐만 아니라 삶의 새로운 감성적 가능성을 창조하고 그것을 삶 일반의 영역으로 확산시켜가는 것이다. 그의 이러한 사유는 최근 정치와 미학에 대한 독특한 관점으로 주목받고 있는 랑시에르(J. Ranciere)의 문제의식을 선취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랑시에르는 `정치적인 것`을 세계를 감성적으로 재분배하는 활동으로 규정한다. 이 점에서 중요한 감성적 재분배 활동의 하나인 문학은 필연적으로 정치성을 지닌다. 김수영의 `시 무용론(無用論)`이 보여주듯 문학은 감정적 재분배 활동의 이중적 계기인 자율성과 타율성의 긴장 속에서 운동해야 한다. 그의 시론은 문학이란 그 긴장을 해소하지 않고 세계와의 불화 속에서 문학과 비문학의 경계를 횡단하는 탈경계적 활동을 수행하는 것임을 강조하면서 순수/참여의 구분을 넘어서는 새로운 미학적 정치성을 보여주고 있다. This article is to illuminate the politics of aesthetics in Kim Su Young`s literature. Kim Su Young pursues the literature that dissents from ethos as old conventions, creates new possibilities of the sensible and distributes them into the various domains of life. His idea as such can be regarded as a preoccupation of Jacques Ranciere`s unique view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tics and literature, to which we have recently paid attention. Ranciere defines `the political(le politique)` as aesthetic activities to redistribute the world. In this regard, literature has to move in the tension between autonomy and heteronomy, two moments of aesthetic activities of redistribution. Kim Su Young`s poetics emphasizes that literature has to move across the border between literature and non-literature. It shows that the new aesthetical politics can overcome the problem of dualism of purity vs. social participation.

      • KCI등재

        트랜스-로컬리티

        이상봉(Lee Sang-bong) 21세기정치학회 2014 21세기 정치학회보 Vol.24 No.3

        So-called Glocalization is a typical post-modernistic aspect in the views of space composition because it means the changes of the modern nation state’s system. If we inspect this aspect attentively, we can see that it is implying two sides of important changes ‘border’ and ‘unit.’ This paper captures and interprets these changes by the term of Trans-Locality which is a combination of trans and locality. Here, trans means the new way of rethinking of border and locality means the multilayered reconstruction of space scale. Being based on these critical mind, this paper considers concretely that how is connected rethinking of border to reconstruction of border and what changes bring about attention to locality in the post-modernistic space recomposition. Furthermore the paper seeks the alternative meaning of a new strategy of spatial politics so-called Trans-Locality.

      • KCI등재

        트랜스-로컬리티: 포스트모던의 대안적 공간정치

        이상봉 21세기정치학회 2014 21세기 정치학회보 Vol.24 No.3

        글로벌화와 로컬화의 동시 진행을 의미하는 이른바 글로컬라이제이션(glocalization)은 근대적 국민국가 시스템의 변화를 수반한다는 의미에서 공간구성의 관점에서 본 전형적인 포스트모던적 양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양상을 유심히 살펴보면, 이는 ‘경계(border)’와 ‘단위(unit)’라는 2가지 측면에서 중요한 변화를 내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글은 이러한 변화를 ‘트랜스(trans)’와 ‘로컬리티(locality)’라는 용어의 결합인 ‘트랜스-로컬리티’로 포착하여해석하고자 한다. 여기서 트랜스가 ‘경계에 대한 재고’나 ‘경계 넘기’의 새로운 방식을 의미한다면, 단위로서의 로컬리티에 대한 관심은 국민국가의 상대화와 공간 스케일의 중층적 재구성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입각하여, 이글은 트랜스로 표현되는 경계에 대한 재인식이 어떠한 경계의 재구성으로 이어지는지와 로컬리티에의 주목이 스케일과 관계의관점에서 어떠한 공간구성의 변화로 이어지는지를 구체적으로 고찰하였다. 나아가 트랜스-로컬리티라는 새로운 공간정치 전략이 가진 대안적 의미를 분석하였다.

      • KCI등재

        시와 정치: 미학적 아방가르드의 모럴

        진은영(Jin Eun-young) 韓國批評文學會 2011 批評文學 Vol.- No.39

        문학은 윤리에 대립함으로써 감각적 자율성을 지닌 미학의 정치성을 확보해야 한다는 랑시에르의 주장은 최근 ‘문학과 정치’ 담론의 가장 중요한 쟁점이 되어왔다. 기성의 감각적 분배 방식을 고수하는 습속의 윤리(ethos)와 그 분배 방식을 파열하고 침입하는 모럴(moral)을 대비시킴으로써 랑시에르는 미학적 아방가르드의 모럴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제공한다. 그에 따르면 미학적 아방가르드 시인이 시인적 모럴을 견지하기 위해서는 문학적 실험을 수행하는 것에 머물러서는 안 된다. 실험적 문학이든 현실참여적 문학이든 삶과 타자가 가하는 제한 속에서 수행되어야 한다. 그와 같은 수행을 통해 양자는 문학의 고유한 경계를 넘어서 기성의 분배 방식에 침입하며 (‘미학적 자율성’) 삶의 새로운 형식이 됨으로써 삶에 침입한다(‘미학적 타율성’). 바로 이 점에서 시인의 모럴은 침입자의 모럴이며, 미학적 자율성만을 옹호하는 ‘숭고의 미학’과 달리 문학의 삶-되기를 부정하지 않는다. 침입의 모럴을 온전히 이해하려면 시 창작 과정에는 이중의 시작(始作)이 존재함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먼저 시에는 바디우가 말라르메의 표현을 인용하여 강조한 바와 같이 ‘모든 필기구를 벗어난’ 시작이 있다. 그것은 작품이 읽히는 시 · 공간과 감응하면서 하나의 문학적 사건을 발생시키는 시작이다. 여기서 시는 시인의 경험으로 환원되지 않는다. 그러나 시는 필기구로 쓰여지기 전부터 시인의 모든 삶의 경험 속에서 시작되고 있다는 점에서 또 다른 시작을 가지고 있다. 이런 이중의 시작은 미학의 정치를 이해하는 관건이 된다. 미학의 정치를 위한 아방가르드 시인의 모럴은 시인의 현실참여로 환원되지 않지만 그와 무관하거나 그것을 금지하는 것이 아니다. 감각적 파열과 발명을 가져오는 사회적 · 정치적 사건들에 대한 참여는 미학의 정치를 실현하는 시 창작의 계기가 될 수 있으며 문학적인 방식의 현실참여 활동은 그 자체로 미학의 정치를 실현할 가능성을 지닌다. The politics of aesthetics argued by Ranci?re has been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in the recent discour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and politics. He argues that literature should involve the politics of aesthetics guaranteeing the autonomy of the sensible. Ranci?re offers a new understanding on the moral of the aesthetic avant-garde, contrasting it with the conventional ethos insisting on the existing distribution of the sensible. According to him, the aesthetic avant-garde poet should not only conduct literary experiments. Literature should be produced within the restrictions imposed by life and others, whether it is experimental literature or participative. It thereby intrudes on existing distribution, going beyond the intrinsic bounds of literature(‘aesthetic autonomy’), and intrudes on life, becoming a new form of life(‘aesthetic heteronomy’). Therefore the moral of the poet is that of the intruder that doesn't refuse art’s becoming-life unlike ‘the aesthetic of the sublime’ advocating only aesthetic autonomy. To understand fully the significance of the moral of the intruder, we should realize that there is a double beginning in the process of writing poems. First, there is a beginning ‘‘set free of any scribe's apparatus’’ in Mallarm?’s words that Badiou quotes. The beginning generates a literary event responding to time and space in which we read literary works. Poetry can not be reduced to poet’s experiences. However there is the other beginning in that poetry has already begun to be in all experiences of the poet’s life before it is written with any scribe’s apparatus. This double beginning is the key to understanding the politics of aesthetics. The moral of the avant-garde poet for the politics of aesthetics can not be reduced to the poet’s participation in reality, but even so, it is not unrelated to the participation, and neither prohibit the participation. The participation in social-political events, bringing about the ruptures and inventions in the distribution of the sensible, can be a moment of writing poetry realizing the politics of aesthetics, and the participation activities performed literarily as such has a possibility to realize it.

      • KCI등재

        다문화 소설의 탈경계적 주체 연구 -``이방인``의 정체성을 중심으로

        연남경 ( Nam Kyung Yeon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2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49

        자본주의와 근대화가 만든 이 시대는 자본과 정보의 세계화는 이룬 반면, 여전히 인간에게는 국경이라는 큰 장벽으로 분리된 세계이다. 돈의 흐름에 따른 ``이주의 시대``에 국경을 넘은 가난한 국가의 국민들은 불법체류자로 남는다. 이는 전지구적 자본주의와 세계화의 이중성을 뜻하며 국가와 조우한 이방인의 문제를 목도하게 한다. 한국의 압축적 이주 현상 또한 이 의제를 공유한다는 점에서 본고에서는 2000년대의 우리의 다문화 상황을 형상화하고 있는 소설을 통해 이방인의 정체성을 파악하고, 그들의 주체화 과정을 추적해 보았다. 이 사회에서 외국인 노동자나 결혼 이민자는 벌거벗은 생명으로서 갖은 폭력에 노출되어 있으며, 영원한 이방인이라는 정체감을 벗어날 수 없다. 법의 이중성으로 인해 환대 받지 못하는 이들은 국가의 시선에서 볼 때 부정적 존재들이며 처벌과 추방을 전제한 존재들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방인의 인권은 보장되기 어려우며 노동자의 경우 고용주, 결혼 이민자의 경우 남편에 의해 경제적, 신체적 안전을 유린당하는 이 사회의 주변인에 해당한다. 국가 권력이 이들의 권리와 생명을 위협하는 지점에 이르러 마침내 이방인들은 국가 질서에 저항하는 정치적 주체의 면모를 갖는다. 『나마스테』의 카밀은 인권과 가치가 무시되어온 불법체류자들 역시 노동과 소비를 통한 엄연한 이 사회의 구성원임을 선언하고, 자살을 통해 박탈된 권리를 요구하는 정치적 주체로 거듭난다. 『잘 가라, 서커스』의 림해화는 결혼 이민자에게 가해지는 가부장적 권력 하에서 분열적 주체로 거듭나며, 기성 질서에 부응하기를 포기한 채 탈주를 택한다. 『나의 이복형제들』에서는 이러한 이방인들이 한국 사회의 또 다른 하위주체들과 집합적으로 연대하여 가부장제와 국가 제도에 상징적 전복을 시도한다. 이와 같이 최근 한국 소설에 등장한 다문화 주체들은 기존 지식체계의 공고한 경계를 허물고 그 경계를 이동시킨다. 한 국가에 위치한 이방인의 자리는 기존 질서에 대항해 선언, 탈주, 전복을 꾀하는 정치적 주체의 도래를 예고한다는 점에서 탈경계적 속성을 갖는다. 따라서 한국의 내부에 들어온 이방인들, 즉 다문화 주체들의 행보를 추적해낸 일련의 소설은 이러한 진리를 전달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획득한다. Capital and information have been being a part of globalization, while people in poor countries have been being illegal aliens who are crossing the borders to chase the money. In this situation, the problem of strangers encountering the nation happens to come, which shows us the duplicity of capitalism and globalization. This duplicity is being accepted as an important issue in South Korea and consequently, not so several Korean novels express this duplicity related with multi-culture in the early 21th century, In this society, foreign laborers or transnational marriage are exposed to every violence due to their illegal and stranger conditions. Never will they be out of their identity as alien or stranger. Their human rights would not be guaranteed, because the duplicity of the law system also makes them object of punishment and banishment. More specifically, human right of laborer is broken by his employer and the life of transnational marriage is threatened by her husband. Strangers naturally would disobey to existing orders of nation and this disobedience is expressed in the form of personal or joint deviation. Subjects of multi-culture expressed in recent Korean literature would be problem because they destroy and shift the existing and fixed knowledge system. Furthermore, all of their movements shows us trait of trans-border from the view that they make us expect the new era in which illegal aliens would become political subjects in this society. Therefore, the novels writing about stranger, in other word multi-cultural subjects should get paid attention in the terms of prediction of future Korea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