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폐기물처리방법별 환경효율성(Eco-efficiency) 평가 연구

        이소라 ( Sora Yi Et Al.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8 기본연구보고서 Vol.2018 No.-

        In conjunction with the "Basic Law on Resource Circulation" in 2018, Korea established the Basic Plan for National Resource Recirculation (2018-2027), which contains the nation’s mid-to-long term policy directions and detailed strategies to transform into a resource circulating society. The new directive places greater importance in changing Korea’s recycling system from simple recycling to high value-adding material recycling, with the national goal to realize a final disposal rate of 3% by 2027 and zero waste-to-landfill. In this context, this study conducts the much-needed review on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of Korea’s waste treatment facilities by analyzing their economic and environmental performances. Based on this review, the overall environmental efficiency of each waste treatment method is assessed to propose policies for the effective utilization of the facilities.The wastes were analyzed in terms of combustible waste (disposed in volume-rate waste bags) and organic waste (food waste). Under Korea’s regulations, among municipal/household wastes, food waste is not sent directly to landfills. Instead, a separate volume-rate system is in place for food waste so that most of the food waste is recycled, with only 1.0% and 2.2% sent to landfills or incinerated, respectively. Thus, the different treatment methods for combustible waste and food waste were examined to find the most efficient treatment methods for the respective wastes. Economic performance was evaluated using the treatment facility’s revenue per treating one ton of waste minus the operational costs as the indicator, and environmental performance was determined by conducting a life-cycle assessment (LCA) for calculating the weighted environmental impact per one ton of waste. In assessing the environmental performance, the avoidance effects from utilizing recovered incineration heat and selling the biogas produced from organic waste were excluded to prevent an overlap with the economic performance.The facilities subject to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 were chosen based on their location, size, treatment method, etc. for each waste disposal method. In particular, to ensure a good mix of the facilities that received high scores and those that did not in the “2016 Evaluation of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Waste Treatment Facilities (hereafter 2016 Evaluation),” the facilities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for waste disposed in volume-rate waste bags: incineration facilities, combustible waste-to-fuel facilities, landfills; for food waste: organic waste biogasification facilities, food waste recycling facilities). 79 facilities were initially chosen, from which 42 facilities were finally selected and analyzed for their environmental and economic performances based on the data submitted by the facilities and the reliability of the evaluation results.The chosen facilities were divided according to their sizes, into small facilities that treat less than 100 tons per day, medium facilities that treat more than 100 tons but less than 300 tons per day, and large facilities that treat more than 300 tons per day. Different facility types were incorporated into the analysis, such as facilities for reducing food waste, converting food waste into animal feed and compost were included under food waste recycling facilities; and landfills for incombustible waste and general waste under landfills. The environmental and economic performance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the following data from each treatment facility: the amounts of waste sent to the facility, energy use, incineration heat recovery, captured landfill gas, biogas production, and compost and feed production, as well as operational costs and operational revenue, etc.The environmental performance analysis by waste treatment method showed that the weighted environmental impact of landfills was the smallest at 4.42E-02 points, followed by organic waste biogasification facilities (8.87E-02 points), food waste recycling facilities (2.25E-01 points), incineration facilities (3.50E-01 points), and combustible waste-to-fuel facilities (1.39 points). On the other hand, the economic performance analysis based on each facility’s revenue minus operational costs revealed that the economic performance of landfills performed best at 731 won/ton, followed by organic waste biogasification facilities (-33,419 won/ton), food waste recycling facilities (-40,172 won/ton), incineration facilities (-58,646 won/ton), and combustible waste-to-fuel facilities (-60,149 won/ton).The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 based on the environmental and economic performance analyses showed that landfills were most environmentally efficient at 10,837 thousand won/point, followed by the organic waste biogasification facilities (4,760 thousand won/point), food waste recycling facilities (1,540 thousand won/point), incineration facilities (760 thousand won/point), and combustible waste-to-fuel facilities (-184 thousand won/point).More specifically, in terms of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by facility size, medium-sized facilities were found to have the highest environment efficiency at 2,108 thousand won/point, followed by small facilities (834 thousand won/point), and large facilities (280 thousand won/point). However, in the case of combustible waste-to-fuel facilities,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of large facilities was the best at 5,306 thousand won/point, followed by small facilities (-212 thousand won/point) and medium facilities (-236 thousand won/point). Also, in the case of organic waste biogasification facilities, large facilities were most environmentally efficient at 10,617 thousand won/point, followed by medium facilities (6,236 thousand won/point) and small facilities (2,859 thousand won/point).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of food waste recycling facilities turned out to be best for medium-sized facilities at 1,959 thousand won/point, followed by small facilities (1,308 thousand won/point). In the case of food waste recycling facilities, large facilities were not included in the evaluation.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of landfills for incombustible waste was higher at 18,957 thousand won/point than that of landfills for general waste, which came out to be 9,458 thousand won/point.Based on the results of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 and a waste disposal scenario based on future projection,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mix for 2027 was estimated and compared with the current environmental efficiency mix. In the case of waste disposed in volume-rate waste bags, the landfill disposal rate was 31.1%, incineration rate was 53.2%, and combustible waste-to-fuel conversion was 15.6% in 2016, but in 2027, which is the target year of the first Basic Plan for Resource Circulation, it was projected that the rates would change to 2.5%, 33.5%, and 23.5%, respectively. In the case of food waste, 10% was converted to biogas and 90% was recycled into compost or feed in 2016, but in 2027, the rates were projected to be 69.7% and 30.3% in 2027, respectively. Overall,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mix for all treatment facilities was calculated to be 5,173 thousand won/point in 2016 and 4,118 thousand won/point in 2027. When it was assumed that all landfills were landfills for general waste in 2016 and will become landfills for incombustible waste in 2027,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mix came out to be 4,744 thousand won/point in 2016 and 4,321 thousand won/point in 2027.The results of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2016 Evaluation. The comparison revealed that incineration facilities that scored high environmental efficiencies had also received good scores in the 2016 Evaluation, although with some differences that seem to be due to the inclusion of the incineration heat recovery rate in the 2016 Evaluation. Incineration heat recovery rate was excluded from the environmental performance analysis of the present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 and the life-cycle assessment of the fuel used at incineration facilities was also reflected only in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 In the case of combustible waste-to-fuel facilities also, the results of 2016 Evaluation and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 mostly agreed with each other, with slight differences due to the insignificant effect of SRF production rate on economic performance. In the case of organic waste to biogas facilities, the 2016 Evaluation and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 did not match, which can be attributed to the exclusion of indicators such as odor management, the rate of operation, and facility management, all of which are included in the 2016 Evaluation but not in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 For landfills, the 2016 Evaluation and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 showed similar tendencies, and any differences seemed to have been caused by the discrepancies between the technical evaluation index of the 2016 Evaluation, which includes compaction efficiency and leachate reduction rate, etc., and the index used for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used to develop strategies on how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 can be utilized through policy implementation. The factors that significantly affected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 for each waste treatment method were analyzed and listed in Table 4 below, which can be used as an index to improve the environmental and economic performances of the treatment facilities.It may not be appropriate to perform simple comparisons between the environmental efficiencies of individual facilities since their revenues and operational costs, which are used as economic indicators, can vary greatly depending on the location, condition, and operation standards of individual facilities. Therefore, the environmental efficiencies of waste treatment facilities need to be compared among the same facilities or analyzed specifically for individual facilities when identifying and suggesting areas for improvement. As such, three comparison coefficients were proposed for understanding how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of each waste treatment facility can be improved in comparison to others, namely, the improvement comparison coefficient, benchmark comparison coefficient, and capacity design comparison coefficient.The improvement comparison coefficient can be used to compare the before and after of a specific facility when efforts are made to reduce its economic costs or environmental impacts. The benchmark comparison coefficient can be used as a guideline for identifying whether a particular facility has low environmental efficiency among comparable facilities or needs improvement when compared to the best performing facility of its type, or to understand how effective the efforts toward improvement will be and how much the facility can be improved in terms of its conditions. The capacity design comparison coefficient, on the other hand, provides a guideline for environmental efficienc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facility, thus preventing excessive operational costs projections or potentially adverse environmental impacts when constructing new waste treatment facilities.The improvement comparison coefficient and benchmark comparison coefficient were used to study how an improvement in waste-to-resource capacities at facilities can improve their environmental efficiencies. Specifically, case studies (types A, B, C, D) were performed by assuming an improvement in the waste-to-resources capacities of existing incineration and biogasification facilities with low environmental efficiencies and comparing them against other facilities with different levels of economic and environmental performances. Type A compared between facilities with similar operational costs and environmental performance when the energy recovery (economic value) is improved in the target facility. Type B looked into how the improvement in the target facility’s energy recovery (economic value) would compare to a facility with higher environmental performance, and Type C, to a facility with higher operational costs and similar environmental performance. Lastly, Type D compared the target facility against a facility with higher operating costs and higher environmental performance.In the case of incineration facilities, Hanam incineration facility was chosen for Type A and B case studies to investigate how an improvement in the facility’s thermal energy recovery (economic value) level would make it comparable to Asan and Gumi incineration facility, respectively. For Type C and D, Sejong incineration facility was selected and compared against Asan and Gumi incineration facilities, respectively. In the case of biogasification facilities, only Types B and D were studied due to the limited availability in facility types. For Type B, Gimhae biogasification facility, assuming an improvement in its waste-to-resource production, was compared to Namyangju biogasification facility, and for Type D, Asan biogasification facility was compared to Namyangju biogasification facility.When a 50% improvement was projected for the incineration heat recovery rate of Hanam incineration facility the improvement comparison coefficient came out to be 1.04, and the benchmark comparison coefficient to be 0.56 for Type A and 0.147 for Type B. A 50% improvement in the incinerator heat recovery rate of Sejong incineration facility rendered the improvement comparison coefficient to become 1.03, and the benchmark comparison to become 0.98 for Type C and 0.26 for Type D. Meanwhile, a 35% enhancement in the biogas production of Namyangju biogasification facility resulted in an improvement comparison coefficient of 1.02, and the benchmark comparison coefficients of 0.22 for Type B and 0.40 for Type D.The capacity design comparison coefficient was calculated by computing the mean environmental efficiency by facility size, then comparing it with other facilities of the size that showed the highest environmental efficiency. The capacity design comparison coefficient of small incineration facilities was 0.40, which is better than that of large incineration facilities; and in the case of biogasification facilities, medium-sized facilities had a coefficient of 0.59, which is superior to small biogasification facilities.We propose four ways to translate the present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 into policy implementation: 1) using the evaluation to assess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waste treatment facilities and potential improvements in old facilities, 2) utilizing the evaluation methods in strategic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s and preliminary performance studies, 3) using the evaluation to calculate the social costs of resident subsidy projects and waste disposal charges, and 4) using the evaluation as a guideline for implementing optimization strategies and government-subsidized projects.First,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 can be applied to the annual evaluation on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waste treatment facilities for assessing the actual conditions of waste treatment operations and improving their energy utilization and recovery and operational efficiency. The current annual evaluation includes the level of efforts made toward improvements such as the efforts to enhance the facility’s economic performance and the efforts of local governments to reduce the amount of waste. However, the annual evaluation has yet to incorporate the level of initiatives for improving environmental efficiency. Thus, it will be helpful to apply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comparison coefficient presented in Chapter 6.2 to assess the level of efforts to improve the facilities’ operations. Also, based on the survey of treatment facilities nearing the end of their lifecycles,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comparison coefficient can be used to identify whether the facilities should be improved or closed and to decide whether new facilities should be constructed.Korea’s Act on the Promotion of Waste Treatment Facility Installation and Support to the Surrounding Areas requires strategic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s to be conducted and reviewed in terms of policy plans and basic development plans before making the decisions on the installation cost and site selection when installing and operating waste treatment facilities. Currently, the items reviewed under the strategic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do not include an environmental performance analysis by facility size, treatment method, or the properties of the waste that is being treated, nor an economic performance analysis on the profitability of the facilities. Therefore, applying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 conducted in this study will allow a better assessment of the treatment facilities’ suitability in terms of type, size, and location. Also, since the environmental costs included in the preliminary performance studies on environmental facilities are often estimated based on related literature or expert surveys, which can be open to controversy, the methods presented in this study for measuring environmental efficiency using actual data from treatment facilities can be a helpful index for calculating their economic and environmental effects.The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 can also be used to estimate the social costs of resident subsidy projects and waste disposal charges. According to our analysis, the environmental and economic performances of landfills were better than other types of facilities, possibly because the social costs related to operating landfills are much lower. A pilot project for evaluating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of landfills will help to identify the social costs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and other negative environmental impacts, especially in terms of the land acquisition costs for landfills, which are difficult to measure, by considering both the direct costs and indirect effects (drop in land prices, etc.) in the measurement of economic performance. The comparison of the social costs of landfills to that of incineration facilities showed that the economic value of general landfills was estimated at -368,703 won/ton. Since the average cost of landfill disposal is 14,956 won/ton,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landfill disposal charges be increased by 340,000 won/ton.Government-subsidized waste treatment facility projects aim to promote systematic government support and investment in waste treatment facilities by providing clear subsidy criteria and priorities for regional waste treatment facility installation. At present, the unit cost guidelines for installing government-subsidized treatment facilities is set according to facility type and size, where the lower the facility capacity, the higher the set unit cost subsidized by the government based on the unit cost ratio.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of small facilities is lower than that of larger facilities, and since small facilities receive more government subsidies due to the unit cost ratio, our finding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guidelines to provide more efficient government support based on optimal facility sizes. A revision of government subsidy guidelines will also provide a useful basis for promoting investment in regional and direct-disposal waste treatment facilities in line with the national policy direction. Furthermore, it may be possible to consider incorporating he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 in reviewing the applications for facility operation budgets and government subsidies based on the Guidelines on the Budget Support and Integrated Administrative Process for Waste Treatment Facilities (Jan 2018), Waste Treatment Facility Optimization Strategy (2011), and the Environmental Technology and Environmental Business Support Act.We anticipate the effects of utilizing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 as follows. First, by providing a basis for national policies for each waste treatment method through an integrated evaluation of the environmental and economic performances of waste recirculation,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 will contribute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strategies formulated under goals of the first Basic Plan for Resource Circulation (2018-2027). Secondly, it will become possible to expand the paradigm for assessing the environmental impact of waste treatment facilities from merely looking at their potentials for environmental pollution to a more robust evaluation of environmental and economic performances. Third, by establishing a model for evaluating waste treatment facilities and introducing a minimum standard for environmental-friendliness,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 will help improve the public image of waste treatment facilities. Fourth,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 will make it possible to develop strategies for managing environmental impact and pollution levels efficiently, thereby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and inducing the development of advanced technologies that consider economic efficiency through eco-innovation.The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 in this study presents a meaningful methodology for improving and optimizing treatment facilities by providing a more accurate comparison of different treatment facilities and methods. In particular, the methods used in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 identify the most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environmental efficiency among treatment cost, revenue, and environmental impact, thus allowing for the development of better strategies for improving and optimizing individual facilities. The introduction of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 to government-subsidized projects,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s, etc., may lead to pilot projects for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the data on each facility as well as expanding the utilization of the evaluation itself.When installing a preventive facility, such as a malodor prevention facility, at a waste treatment facility to control pollutants that may have negative aesthetic and health-related environmental impacts, the improvements made in this area are not included as an indicator in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 As such, the facility, despite its advances, may receive a lower environmental efficiency score due to the increase in the facility’s operational costs from installing new equipment. Thus, further research and pilot projects will be necessary to improve the measurement items and methodology used in the present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 to reflect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 facilities.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converting negative (-) indices to positive values, the numerical shifts and the avoidance effects were excluded from the economic performance index and the environmental performance analysis, respectively. To strengthen the robustness of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 conducted in this study, we suggest more case studies to be undertaken, especially on waste treatment facilities that have negative economic values and environmental impacts, and to discuss them at the global level. 2018년 「자원순환기본법」을 시행하면서 우리나라에서는 자원순환사회로 전환하기 위해 국가 중장기 정책방향과 세부전략을 담은 국가 『자원순환기본계획(2018-2027)』을 수립하였다. 그동안 주로 행해 왔던 단순 재활용에서 고부가가치를 생산하는 물질 재활용으로 변화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가운데, 우리나라에서는 『자원순환기본계획(2018-2027)』을 통해 2027년 최종처분율 3%와 더 나아가 직매립의 제로화 달성을 목표로 삼고 있다. 이에 폐기물처리시설의 환경효율적인 측면을 검토할 필요성이 발생함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폐기물처리시설의 경제성 및 환경성을 분석하여 이를 통합한 폐기물처리방법별 환경효율성을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책적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생활폐기물 공공 처리시설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이를 위해 폐기물의 유형을 크게 가연성폐기물(종량제봉투 폐기물)과 유기성폐기물(음식물류폐기물)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국내 제도상 생활폐기물 중 음식물류폐기물은 직매립이 금지되고 별도 종량제로 운영되어 처리물량 대부분이 재활용되고 있으며, 매립되거나 소각되는 물량은 각각 1.0%, 2.2% 수준이다. 이에 가연성폐기물의 처리방법간 비교와 음식물류폐기물의 처리방법 간 비교를 통해 효율적인 처리방안을 검토하였다.환경효율성 평가에서는 시설의 수익에서 운영비를 제외한 톤당 비용을 경제성 지표로 설정하였으며, 환경성 지표의 경우 시설에 대해 전과정평가(LCA)를 수행하여 톤당 발생하는 가중화 환경영향으로 설정하였다. 환경효율성을 평가할 때 소각여열 이용, 바이오가스판매 등에 의해서 발생하는 회피효과가 경제성 평가에서 중복 반영되는 것을 막기 위해 환경성에서는 이를 제외하였다.평가대상인 시설은 폐기물처리방법별로 지역, 규모, 처리유형 등을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특히 「2016년 폐기물처리시설 설치·운영실태평가」에서 우수시설로 평가된 시설과 그렇지 않은 시설이 포함되도록 처리방법별로 5개 그룹(종량제봉투 폐기물: 소각시설, 가연성폐기물 연료화시설, 매립시설; 음식물류폐기물: 유기성폐기물 바이오가스화시설, 음식물류폐기물 자원화시설)의 79개 시설을 대상으로 선정하고, 각 시설에서 제출한 데이터와 평가결과의 신뢰도를 고려하여 42개 시설의 환경성 및 경제성을 분석하였다. 시설 규모는 100톤/일 미만의 소형시설, 100톤/일 이상~300톤/일 미만의 중형시설, 300톤/일 이상의 대형시설로 구분하였다. 특히 세부시설 유형은 음식물류폐기물 자원화시설의 경우 자원화 방식별로 감량화, 사료화, 퇴비화 시설로 구분하여 선정하였으며, 매립시설의 경우 불연물 매립시설과 일반 매립시설로 구분하여 선정하였다. 환경성·경제성 분석을 위해서는 시설별로 폐기물반입량, 에너지 사용량, 소각여열 이용량, 매립가스 포집량, 바이오가스 생산량, 퇴비 및 사료 생산량과 운영비용, 시설수익 등의 자료를 이용하였다.폐기물처리방법별 환경성 분석결과, 매립시설의 가중화 환경영향이 4.42E-02포인트로 가장 작게 나타났으며, 뒤를 이어 유기성폐기물 바이오가스화시설(8.87E-02포인트), 음식물류폐기물 자원화시설(2.25E-01포인트), 소각시설(3.50E-01포인트), 가연성폐기물 연료화시설(1.39포인트) 순으로 나타났다. 경제성 분석에서는 시설 수익에서 운영비용을 제외한 비용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매립시설의 경제성이 731원/톤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뒤를 이어 유기성폐기물 바이오가스화시설(-33,419원/톤), 음식물류폐기물 자원화시설(-40,172원/톤), 소각시설(-58,646원/톤), 가연성폐기물 연료화시설(-60,149원/톤) 순으로 나타났다.환경성·경제성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환경효율성을 평가한 결과, 매립시설의 환경효율성이 10,837천 원/포인트로 가장 좋게 나타났으며, 뒤를 이어 유기성폐기물 바이오가스화시설(4,760천 원/포인트), 음식물류폐기물 자원화시설(1,540천 원/포인트), 소각시설(760천원/포인트), 가연성폐기물 연료화시설(-184천 원/포인트) 순으로 나타났다.시설 규모에 따른 환경효율성을 평가한 결과, 소각시설의 경우 중형시설의 환경효율성이 2,108천 원/포인트로 가장 좋게 나타났으며 뒤를 이어 소형시설(834천 원/포인트), 대형시설(280천 원/포인트) 순으로 나타났다. 가연성폐기물 연료화시설의 경우 대형시설의 환경효율성이 5,306천 원/포인트로 가장 좋게 나타났으며 뒤를 이어 소형시설(-212천 원/포인트), 중형시설(-236천 원/포인트) 순으로 나타났다. 유기성폐기물 바이오가스화시설의 경우 대형시설의 환경효율성이 10,617천 원/포인트로 가장 좋게 나타났으며 뒤를 이어 중형시설(6,236천 원/포인트), 소형시설(2,859천 원/포인트) 순으로 나타났다. 음식물류폐기물자원화시설의 경우 중형시설의 환경효율성이 1,959천 원/포인트로 가장 좋게 나타났으며 소형시설(1,308천 원/포인트)이 뒤를 이었고, 대형시설은 평가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다. 매립시설의 경우 반입 폐기물의 성상에 따라 불연물 매립과 일반 매립으로 구분하여 환경효율성을 평가하였으며, 불연물 매립의 환경효율성이 18,957천 원/포인트로 일반 매립의 환경효율성 9,458천 원/포인트보다 높게 나타났다.환경효율성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폐기물 처리 시나리오에 따른 2027년의 환경효율성믹스를 산정하여 현재의 환경효율성 믹스와 비교 분석하였다. 종량제봉투 폐기물의 경우2016년 에는 매립 31.1%, 소각 53.2%, 가연성연료화 15.6% 비율로 처리1)되던 것이 『제1차 자원순환기본계획』 목표연도인 2027년에는 매립 2.5%, 소각 33.5%, 가연성연료화23.5% 비율로 처리2)될 것으로 전망되었다. 음식물류폐기물의 경우 2016년에는 바이오가스화 10%, 음식물류폐기물자원화(사료화, 퇴비화 등) 90%였던 처리 비율이 2027년에는 바이오가스화 69.7%, 음식물자원화 30.3%가 될 것으로 전망되었다.산정결과, 매립시설 전체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환경효율성 믹스는 2016년 5,173천 원/포인트, 2027년 4,118천 원/포인트로 나타났다. 매립시설을 2016년에는 일반 매립, 2027년에는 불연물 매립으로 구분하여 가정하였을 때 환경효율성 믹스는 2016년 4,744천 원/포인트, 2027년 4,321천 원/포인트로 나타났다.또한 본 연구에서는 환경효율성 평가결과와 폐기물처리시설의 설치·운영 실태평가결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소각시설의 경우 환경효율성 평가가 좋은 시설이 실태평가에서도 좋은 결과를 나타냈으나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이는 실태평가에서는 소각열 회수율이 반영되었으나 환경효율성 평가의 환경성 분석에서는 제외되었고, 시설의 연료 사용에 대한 전과 정평가가 환경효율성에만 반영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가연성폐기물 연료화시설에서도 실태평가결과와 환경효율성 평가결과가 대부분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는 SRF 생산율이 환경효율성 평가의 경제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유기성폐기물 바이오가스화시설의 경우, 실태평가와 환경효율성 평가결과가 다소 일치하지 않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실태평가에 반영된 악취관리, 가동률 및 시설관리 등의 지표가 환경효율성 평가에는 반영되지 않기 때문으로 판단된다.매립시설의 경우, 실태평가의 환경성 및 경제성 결과와 환경효율성 평가결과가 비슷한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는 실태평가의 기술성 평가지표가 환경효율성 평가 지표와는 달리 다짐효율, 침출수 감량률 등을 반영하기 때문으로 보인다.본 연구에서는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환경효율성 평가를 정책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마련하였다.폐기물처리방법별로 환경효율성 평가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분석하여 <표 4>에 나타냈으며, 이를 시설의 환경적·경제적 효율 개선을 위한 지표로 사용할 수 있다.또한 폐기물처리시설의 입지조건 또는 운영기준에 따라 경제적 지표에 활용되는 수익과 운영비용에서 큰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폐기물처리시설 간 환경효율성을 단순 비교분석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환경효율성 평가는 동일 시설 간 비교나 특정시설의 개선효과를 파악 및 권고하는 데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폐기물처리시설별 환경효율성 향상을 위해 개선향상 비교계수, 벤치마크 비교계수, 용량설계기준 비교계수의 3가지 비교계수를 제시하였다.개선향상 비교계수는 특정 폐기물처리시설에 대하여 해당 시설의 경제적 비용 절감 효과또는 환경영향 효과 절감 노력 등의 시설개선 전후를 비교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벤치마킹비교계수는 비교 대상인 여러 시설 중 특정 시설의 환경효율성 결과가 나쁠 경우, 또는 최우수 시설과 비교를 통해 특정 시설의 개선이 필요할 경우에 개선을 통해 어느 정도의 효과를 거둘 수 있는지 비교하고, 해당 시설의 환경을 어느 수준까지 개선할 수 있는지 판단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용량 설계기준 비교계수의 경우, 신규 폐기물처리시설 건설 시 시설용량별 환경효율성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여 시설의 과도한 운영비용 산정 이나 환경영향 발생의 예방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환경효율성이 높은 시설과 비교하여 환경효율성이 낮은 시설이 폐기물 자원화 생산품판매량의 향상을 통해서 환경효율성을 개선한다고 가정할 때, 개선향상 비교계수와 벤치마크 비교계수를 사례 연구로 산정하였다.소각시설의 비교분석은 4가지 유형(A, B, C, D)으로 나누고, 각 유형에 맞는 시설을 선정하여 수행하였다. A유형은 시설운영비 및 환경성 평가결과가 비슷한 시설과 비교하여 에너지 회수를 개선(경제적 가치)하는 사례(아산 소각시설 대비 하남 소각시설의 수준으로 열에너지 회수 수준 개선)이며, B유형은 시설운영비는 유사하고 환경성 평가결과는 우수한 시설과 비교하여 에너지 회수를 개선(경제적 가치)하는 사례(구미 소각시설 대비 하남 소각시설의 수준으로 열에너지 회수 수준 개선)이다. C유형은 시설운영비가 높은 시설에 대해 환경성 평가결과가 비슷한 시설과 비교하여 에너지 회수를 개선(경제적 가치)하는 사례(아산소각시설 대비 세종 소각시설의 수준으로 열에너지 회수 수준 개선)이다. D유형은 시설운영비가 높은 시설에 대해 환경성 평가결과가 우수한 시설과 비교하여 에너지 회수를 개선(경제적 가치)하는 사례(구미 소각시설 대비 세종 소각시설의 수준으로 열에너지 회수 수준개선)이다.바이오가스화시설은 시설 유형 선정에 한계가 있어 B와 D 유형 2가지에 맞는 시설만 선정하였다. B유형은 시설운영비는 유사하고 환경성 평가결과는 우수한 시설과 비교하여 폐기물 자원화 생산을 개선하는 사례(남양주 시설 대비 김해 시설의 수준으로 바이오가스생산 수준 개선)이며, D유형은 시설운영비가 높은 시설에 대해 폐기물 자원화 생산을 개선하는 사례(남양주 시설 대비 아산 시설의 수준으로 운영비 수준 개선)이다.하남 소각시설의 소각열 회수량을 50% 개선했을 때 개선향상 비교계수는 1.04이며, A유형의 경우 벤치마크 비교계수는 0.56, B유형의 경우에는 0.147로 나타났다. 세종 소각시설의 소각열 회수량을 50% 개선했을 때 개선향상 비교계수는 1.03이며, C유형의 벤치마크계수는 0.98, D유형의 경우에는 0.26으로 나타났다. 남양주 바이오가스화시설의 바이오가스생산량을 35% 개선했을 때 개선향상 비교계수는 1.02이며, B유형의 경우 벤치마크 비교계수는 0.22, D유형의 경우에는 0.40으로 나타났다.용량 설계기준 비교계수를 산정하기 위해서 처리시설별 규모에 따른 환경효율성 평균을 계산하여 환경효율성이 가장 좋은 시설규모를 기준으로 다른 시설과 비교하였다. 평가결과 소형 소각시설의 용량 설계기준 비교계수는 0.40으로 대형 소각시설에 비해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바이오가스화시설의 경우 중형시설의 용량 설계기준 비교계수가 0.59로 소형바이오가스화시설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환경효율성 평가의 정책적 활용방안으로는 1) 폐기물처리시설 설치·운영실태평가 및 노후시설 개선 시 환경효율성 평가 활용방안, 2) 전략환경영향평가 및 예비타당성 조사, 3) 주민지원사업과 처분부담금의 사회적 비용 산정 시 환경효율성 평가 활용방안, 4) 최적화 전략추진 및 국고보조사업 추진 시 환경효율성 평가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환경효율성 평가를 폐기물처리시설 설치·운영 실태평가에 적용하여 매년 운영 실태를 평가하고 에너지 활용 및 회수, 효율적 운영방안을 제안할 수 있다. 현재 실태평가에서는 폐기물처리시설의 경제성 개선 노력도와 지자체의 폐기물 감량률 등 개선 노력도를 평가하고 있으나, 환경성과 경제성을 모두 고려한 개선 노력도는 평가하지 않는다. 따라서 폐기물처리시설의 운영 개선 노력을 평가하기 위해 제6장 제2절에서 제시한 환경효율성 비교계수를 적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처리시설의 노후도 조사결과에 따라 환경효율성 비교계수를 적용하여 노후시설의 개선 및 폐쇄 여부, 신규시설 설치 여부 등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폐기물처리시설 설치촉진 및 주변지역지원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폐기물처리시설을 설치·운영할 시 설치비용과 입지선정계획 등을 결정해야 하며, 이를 위해 환경부에서는 전략환경영향평가를 시행하는 동시에 정책계획과 개발기본계획으로 나누어 검토하고 있다. 현재 전략환경영향평가의 조사항목에는 폐기물처리시설의 처리규모 및 처리방법, 반입 폐기물의 성상과 관련한 환경성 평가와 처리비용 및 수익에 관한 경제성 평가가 수반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의 환경효율성 평가를 조사항목에 포함하여 처리시설의 종류와 규모, 입지선정 시의 적합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환경시설에 대한 예비타당성 조사시 환경비용은 관련 문헌이나 전문가 조사에 따른 추정비용으로 산출되는 경우가 많아서 논란의 소지가 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환경효율성 평가방법은 실제 시설에서 측정한 자료를 바탕으로 경제적·환경적 효과를 제시하므로 좋은 활용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또한 주민지원사업과 처분부담금의 사회적 비용 산정 시에도 환경효율성 평가를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 매립시설의 환경성 평가결과와 경제성 평가결과가 다른 종류의 시설보다 우수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사회적으로 매립시설에 대한 운영부담을 그만큼 적게 주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매립시설의 환경효율성 평가 시범사업을 실시하여 환경오염 배출 방지를 위한 사회적 비용과 환경영향을 추가로 규명해야 하며, 특히 매립시설을 위한 토지확보 비용의 경우 측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경제성 평가 시 직접 비용과 간접 영향(지가하락 등)을 고려한 비용을 모두 반영해야 한다. 본 연구결과에서 소각시설과 비교하여 매립시설의 사회적 비용을 예측한 결과, 일반 매립시설의 경제적 가치는-368,703원/톤으로 나타났다. 현재 평가대상 매립시설의 평균 처리비용은 14,956원/톤이므로 톤당 약 34만 원 정도를 추가로 반영하여 매립처분부담금을 높일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폐기물처리시설 국고보조사업의 목적은 지역별 폐기물처리시설 설치사업에 대한 지원기준, 우선순위 등을 명확히 하여 체계적인 국고지원 및 시설투자를 유도하는 것 이다다. 현재국고보조를 위한 시설 설치비 표준단가는 시설별·용량별 기준으로 제시되는데, 시설 용량이 적을수록 사업비 표준단가가 높게 책정되며 이 표준단가에 따라 비율대로 국고지원이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 따르면 소형시설의 경우 다른 규모의 시설보다 환경효율성이 낮게 나타났으며, 국고보조사업의 지원 비율에 따라 더 높은 국고보조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최적 시설용량에 따라 국비지원을 차등 적용하는 것에 대한 개정이 필요하며, 이는 국가정책방향에 부합하는 폐기물처리시설의 광역화·직접화 처리시설에 대한 투자추진 근거가 될 수 있다. 또한 「폐기물처리시설 국고보조금 예산지원 및 통합업무처리지침(2018.1)」, 「폐기물처리시설 최적화 전략(2011)」, 「환경기술 및 환경산업 지원법」 등에 의해 시설의 예산을 신청하거나 국비를 지원하는 경우에도 환경효율성 평가 활용을 검토할 수 있다.마지막으로 환경효율성 평가 활용에 따라 기대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폐기물의 자원화에 대한 환경·경제적 통합평가를 통해 처리방법별 정책적 추진방향의 근거를 제시하여 『제1차 자원순환기본계획(2018-2027)』 목표에 따른 자원순환 전략 수행에 기여할 수 있다. 두 번째, 단순 오염부하를 기준으로 평가하는 환경성 평가 개념에서 환경·경제적 효율성 평가로 연결되는 패러다임을 확산할 수 있다. 세 번째, 폐기물처리시설에 대한 평가 모델을 구축하여 친환경적인 평가 개념 도입함으로써 폐기물 처리에 대한 국민의 이미지를 제고 할 수 있다. 네 번째, 환경영향 및 부하관리를 효율화하는 방안을 마련하여 환경오염을 사전에 예방하고 경제효율화를 감안한 기술개발을 유도하여 에코이노베이션과 연계할 수 있다.또한 본 연구의 환경효율성 평가결과는 폐기물처리시설 간, 처리방법 간의 단순 비교보다는 시설 개선 및 효율화를 위한 방법론으로서의 활용도에 더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며, 특히 환경효율성 산정 방법론의 주요 요소인 시설의 처리비용, 수익, 환경부하 중에서 환경효율성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여 시설별 개선 및 효율화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환경효율성 평가가 국고보조사업, 환경영향평가 등에 도입된다면 시범사업 실시를 통해 시설별 데이터의 신뢰도가 높아지는 것은 물론이고 환경효율성의 활용도 또한 높아질 것이다.폐기물처리시설에서는 심미적 또는 건강과 관련하여 환경영향을 미치는 악취와 같은 오염물질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에 악취방지시설과 같은 방지시설을 도입하면 악취 개선효과 등은 본 연구의 평가항목이 아니므로 반영되지 않는 반면에, 시설의 운영비가 증가하여 환경효율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추가 연구와 시범사업을 실시하여 시설의 특성을 반영한 평가항목 및 방법론을 적용하는 방향으로 개선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환경효율성 산정에 있어 음수(-)인 지수를 양수(+)화하는 과정에서 경제성 지표의 수치이동, 환경성 평가에서 회피효과는 제외하였으므로 폐기물처리시설 특성상 경제적 가치와 환경부하가 음수로 발생하는 사례의 연구를 추가로 수행하고 국제적으로 논의 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자체평가가 정부업무평가에 미치는 영향분석: 패널순서형 프로빗 모형 이용

        김기만,권영상 한국행정연구원 2024 韓國行政硏究 Vol.33 No.1

        국무총리는 국정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정부업무평가기본법에 근거하여 중앙행정기관의정책 등을 평가하고 있고, 중앙행정기관은 정부업무평가기본법에 근거하여 성과관리 등을 실시하면서자체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동 제도가 시행된 지 18년이 지났으나, 자체평가와 정부업무평가결과와연계성을 확인하는 실증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는 2018년부터 2022년까지 국무조정실이주관하는 정부업무평가 결과와 각 부처가 시행하는 자체평가 결과에 대해 국무조정실이 메타평가를하는 성과관리 운영 실태 점검 결과 자료와 행정안전부가 실시하는 행정 관리 역량 점검 결과가 정부업무평가의 특정평가(이하 특정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패널 순서형 프로빗 모형(Panel Ordered Probit model)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자는 양 제도의 연계성을 자체평가가 충실한 기관이 정부업무평가에도 우수한 성과를 이루고있는지에 대해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였다. 동 자료를 종단적으로 분석한 결과 자체평가 우수기관이정부업무평가 결과 우수기관으로 유지되고 있는 사실이 발견되었다. 아울러, 패널 회귀분석(Panel regression)과 상관분석 등을 통하여 정부업무평가 특정평가의 주요구성인 주요정책평가 결과가 정부업무평가 특정평가 종합등급에 가장 큰 영향을 주고 있는 사실을확인하였다. 동 연구는 특정평가와 자체평가를 실시한 중앙행정기관의 업무에 대한 평가결과를 활용하여 평가 부문별 상호 연계성을 도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The Prime Minister evaluates the policies of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based on the Framework Act on Government Performance Evaluation to manage national affairs in an integrated manner, and the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conduct self-evaluation by conducting performance management, etc. based on the Framework Act on Government Performance Evaluation. Although 18 years have passed since the system was implemented, it is difficult to find empirical studies on connectivity between the government performance evaluation and the self-evaluation results. In this study, the impact of the management competency inspection results on the specific evaluation of government performance evalu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specific evaluation) was analyzed using the Panel Ordered Probit model. The analysis used the results of the performance management operation status inspection, meta-evaluation of the results of the government performance evaluation, conducted by the Office for Government Policy Coordination and the result of the performance management operation status inspection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among the results of the self-evaluation conducted by each ministry, from 2018 to 2022,. The researcher analyzed the connectivity between the two systems, focusing on whether the government agencies that had showed good self-evaluation results were also achieving excellent performance in government performance evaluation. As a result of longitudinal analysis of this data, it was discovered that excellent self-evaluated agencies were also had excellent result on government performance evaluation.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main policy evaluation result, which was the main component of the specific evaluation, had the greatest impact on the comprehensive grade of the specific evaluation through panel regression and correlation analysi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es interconnection between evaluation sectors by using specific evaluation and evaluation results of the work of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that conducted self-evaluations.

      • KCI등재

        금융시장에서 영업사원의 지각된 평가 공정성과 직무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

        이준섭,김지영,이한근 한국유통과학회 2016 유통과학연구 Vol.14 No.12

        Purpose – Salesperson perceptions of the fairness and accuracy of a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were examined by managerial and professional employees of large organizati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process is central to many personal decisions such as attitude for job and sales performanc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evaluation fairnes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sales performanc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empirically test a comprehensive model of salespersons’ perceived evaluation fairness on sales performance. For this purpose, we identifi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evaluation fairnes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sales performance. Also we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etween perceived evaluation fairness and sales performanc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o empirically test these relationships, data were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s from sales managers and questionnaire surveys from 300 salespersons who work for sales area (credit card company, insurance company). Demographically, the overall sample was 91.6% female, 77.9% 30s and 40s, and 34% college educated, with an average tenure with their present organizations of 4 years.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total 20 items dealing with frequency, quality, and consequences of perceived evaluation fairnes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sales performance. To test the research hypotheses, collected data analyzed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and structure equation model (SEM). Results – Through extensive and rigorous literature review process of related literature(Perceived evaluation fairnes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Sales performance), research model and research hypothesis was set up. This study obtains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First, perceived evaluation fairness has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whereas the effects of perceived evaluation fairnes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sales performance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 Second,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ave complete mediating role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evaluation fairn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evaluation fairness and sales performance. Conclusions – Based on the results, salespersons’ perceived evaluation fairness is one of the key independent variable for making high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sales performance. Finally the theoretical, managerial implication and research limitations are mentioned in the discussion.

      • KCI등재

        역량기반 전공교육과정 질 관리를 위한 성과인증 평가지표 개발: H대학 사례

        장은지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3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4 No.4

        이 연구는 고등교육기관의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운영 성과를 확인하고, H대학 교육과정의 질 관리 혁신을 시도하기 위해 전공교육과정 인증제의 최종 단계인 ‘성과인증’의 평가지표를 개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우선, H대학의 전공교육과정 성과인증 평가지표 개발의 방향과 근거를 설정하기 위해 문헌 및 타 대학의 사례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1차 평가지표(안)을 개발하였다. 도출된 1차 평가지표(안)에 대해 내외부 전문가에게 2회의 자문을 받아 3차 수정안을 도출하였다. 이와 더불어 평가지표의 내용타당도 확보를 위해 학내 전문가(학부(과) 대표 교수, 교무학사지원 업무 담당자, 교육인증제 전문가, 교육학 분야 전문가) 25명을 대상으로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3회에 걸쳐 진행하였으며, 지속적인 수정・보완 과정을 거쳐 전공교육과정 성과인증 평가지표의 최종안을 도출하였다. H대학의 전공교육과정 성과인증 평가지표는 CIPP 평가모형에 기반하여 교육과정 상황분석 성과, 교육과정 개발운영 성과, 교육과정 중간 성과, 교육과정 산출 성과로 최종 4개의 교육성과 항목이 도출되었으며, 16개의 평가영역, 62문항으로 구성된 평가준거가 평가지표로 도출되었다. 최종 도출된 평가지표의 내용타당도 확보를 위해 수정 델파이 기법을 활용해 영역별, 지표별 내용타당도 비율을 산출하였다. 최종적으로 전문가 델파이 조사 분석에서 활용되고 있는 내용타당도 비율 최소값(Lawshe, 1975)을 기준으로 내용타당성(CVR)을 확보하였다. 이 연구는 H대학의 역량기반 전공교육과정 질 관리 방안으로 성과인증의 평가지표를 도출하는 과정에 있어, 대학에서 자체적으로 평가지표를 개발하여 적용하였을 뿐만 아니라 대학 수준을 넘어 학부(과) 수준에 적합한 교육성과를 확인하고 개선하는 모델을 시범적으로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valuation index for performance accreditation at the final stage of the major curriculum accreditation to confirm performance in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for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nd make an attempt at reforming the quality management for the curriculum of H University. To set a direction and basis for developing a major curriculum performance accreditation evaluation index for H University, literature and cases of other universities were analyzed;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the first evaluation index (plan) was developed. The third revision was drawn with two sessions of advice from internal and external experts in terms of the first evaluation index (plan). To secure content validity of the evaluation index, a professional delphi survey was conducted in 25 internal experts (professors representative of the department, those in charge of support for academic affairs and education matters, experts in the education accreditation system, and education professionals) in three sessions and was constantly revised and complemented to generate a final plan for the major curriculum performance accreditation evaluation index. As for the major curriculum performance accreditation evaluation index of H University, four educational performance items—curricular situation analysis performance, curricular development and operation performance, interim performance of the curriculum, and curricular output performance—were finally drawn on the basis of the CIPP evaluation model, and an evaluation index consisting of 62 items in 16 areas was developed. To secure content validity of the final evaluation index, the revised delphi method was used to estimate the content validity rate for each area and index. On the basis of the minimum content validity ratio (CVR) used for analysis in a professional delphi survey (Lawshe, 1975), content validity was finally obtain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a university has not only developed and employed its own performance accreditation evaluation index but also demonstrated a model of verifying and improving educational performance appropriate for the level of faculty beyond that of university in drawing an evaluation index for performance accreditation as a plan for managing the quality of the competency-based major curriculum for H University.

      • 중앙행정기관 성과관리시스템의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윤수재,임동진,이근주,윤순희 한국행정연구원 2009 기본연구과제 Vol.2009 No.-

        1. 연구의 개요 1) 연구의 필요성 우리나라 정부부문에서의 성과관리제도에 대한 연구는 정부개혁 차원에서 공공조직을 개혁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도입하면서 시작되었다. 이러한 이유에서 기존의 많은 연구들이 조직성과와 그 개선에 초점을 두고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기존의 이러한 연구는 전체적인 관점에서 성과관리제도를 살펴보기보다는 평가, 환류, 수용성 등과 같은 성과관리의 일부에 초점을 두었고, 재정성과관리와 같이 부분적인 관점에서 연구의 초점을 두었다. 물론 이러한 연구들이 단기적 성과, 효율적 측면에서의 성과관리, 성과에 대한 통제의 측면에서 우리나라 정부부문의 성과관리제도를 신속하게 정착시키는데 기여를 하였지만, 성과관리의 장기적이고 궁극적인 목표를 달성하는 체계적인 시스템 구축에 대해서는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측면에서 진정한 의미에서 성과가 관리되고 제도화로 체득되기 위해서는 성과관리시스템을 전략적 시스템으로써 객관화 할 필요가 있다. 2000년대 이후 우리나라 중앙행정기관들은 직무성과계약제, BSC, 자체 성과관리제도 등 다양한 성과관리시스템을 도입하여 시행하고 있으나, 각 성과관리제도 간의 유기적 연계 및 운영 등 여러 측면에서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조직 성과관리 및 개인 성과관리 연구가 분절적으로 진행되어 상호 연계성에 초점을 두어 체계적인 시도를 하고 있는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조직(기관)의 미션ㆍ비전, 전략목표, 성과목표 등의 전략관리시스템(BSC성과관리시스템, 정부업무 평가상 성과관리전략 계획 및 시행계획 등)을 활용한 조직성과 관리시스템과 이를 기반으로 개인의 직무성과 등(직무성과계약제 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인사 및 성과급(연봉)에 반영하는 개인 성과관리시스템 간의 상호 유기적 연계성 및 체계성을 확보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그 이유는 자체평가에 초점을 두고 평가 관련 주요 기반ㆍ역량(평가에 필요한 평가관련 조직ㆍ인력ㆍ예산) 등을 실태분석한 연구는 일부 있지만, 이처럼 평가의 전제조건이 아닌 성과관리의 내용(contents)과 업무에 초점을 맞춰 실태분석 및 개선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연구는 미흡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중앙행정기관의 성과관리시스템의 운영실태 및 문제점을 분석하고, 선진국의 성과관리 사례를 우리나라와 비교분석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중앙행정기관의 성과관리시스템 운영실태 분석을 통해 현행 성과관리시스템의 여러 문제점들을 진단하고 이를 토대로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우리나라 중앙행정기관의 성과관리시스템 운영실태 및 문제점 등을 파악하기 위해 ① 성과관리계획의 운영실태에 대한 내용분석, ② 외국의 성과관리제도 운영에 대한 사례분석, ③ 설문분석을 통해 성과관리시스템의 운영실태 및 문제점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성과관리시스템의 분석을 통해 성과관리시스템의 정착화 방안 및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3) 연구범위 및 방법 우리나라 중앙행정기관의 성과관리시스템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본 연구가 수행하고자 하는 연구범위는 현재 성과관리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는 전체 중앙행정기관(부ㆍ처ㆍ청ㆍ위원회) 중 정책분야별로 대표성을 확보하여 9개 기관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자 한다. 또한 각 중앙행정기관의 성과관리시스템 운영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2008년부터 현재까지 각 부처에서 시행한 성과관리제도의 운영전반을 연구범위로 하고자 한다. 그리고 정부업무평가분야 중 가장 큰 분야인 주요정책과제의 성과관리에 초점을 두어 성과관리시스템을 분석하고자 한다. 중앙행정기관의 성과관리시스템 운영실태,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 실태분석, 실증분석, 사례 및 비교분석 등 다양한 연구방법을 활용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과관리와 관련된 이론, 연구가설, 제도 및 운영실태 등을 연구한 국내ㆍ외의 연구논문, 연구보고서, 전문서적 등의 기존문헌을 심층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둘째, 현 우리나라 각 중앙행정기관에서 시행 중인 성과관리시스템에 대한 운영실태를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성과관리를 체계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선진국 해외사례에 대한 비교연구도 병행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전체 중앙행정기관의 성과관리총괄업무 및 인사ㆍ조직ㆍ재정(예산)분야 성과관리업무를 담당하는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우리나라 중앙행정기관의 성과관리시스템 전반에 대하여 실증분석(설문조사와 심층인터뷰조사병행)을 실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실증분석을 통해 성과관리시스템 핵심영역별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포함한 다양한 쟁점에 관한 인식을 조사ㆍ분석ㆍ도출하고자 한다. 4) 연구체계 2. 성과관리의 개념 및 연구 분석틀 성과관리시스템에 대한 개념은 학자에 따라 다음의 <표 1>과 같이 다양하게 정의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성과관리시스템의 개념을 조직의 목표 달성을 위해 개인이나 조직이 성과계획, 성과측정, 성과보상, 성과보고 및 활용 등의 일련의 성과관리 과정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또한 성과관리시스템의 구체적인 개념범위는 우리나라 중앙행정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성과관리계획서인 「성과관리전략계획」과 「성과관리시행계획」으로 제한하고자 한다. 그 이유는 첫째, 본 연구는 우리나라중앙행정기관의 성과관리시스템에 연구에 초점을 두고 있다. 둘째, 대부분의 중앙행정기관들이 정부업무평가제도상 성과관리시스템으로 성과관리전략 및 시행계획 외에 자체적으로 BSC와 같은 성과관리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는데, 부처 자체적인 성과관리시스템은 각 부처별로 다양한 방식으로 자율적으로 운영되고 있는데다가 비교분석에 필요한 통일된 기준이나 양식이 없기에 전 부처 공통적인 성과관리시스템으로 분석하기에는 적합하지 않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중앙행정기관의 성과관리시스템 운영실태 분석을 통해 현행 성과관리시스템의 여러 문제점들을 진단하고 이를 토대로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의 <그림 2>와 같이 연구의 분석 틀을 구성하였다. 3. 중앙행정기관 성과관리시스템의 현황 및 실태분석 중앙행정기관의 성과관리계획서의 내용분석 기준인 ① 성과계획, ② 성과측정, ③ 성과보상, ④ 성과보고 및 활용을 토대로 성과관리 실태분석을 실시하였는데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성과계획의 경우, 중장기 계획에 해당하는 3-5년간의 성과관리 전략계획과 단기 계획에 해당하는 1년 단위의 성과관리 시행계획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두 가지 성과계획에 대한 실태분석의 기준은 타당성이다. 성과관리전략계획의 경우, 그 판단 기준은 `1) 연도별 성과목표 및 성과목표치 설정의 근거ㆍ논거에 대한 반영ㆍ기술 여부, 2) 성과목표 달성 관련 정책수행에 대한 설명의 반영ㆍ기술 여부, 3) 중장기적 목표수립에 관한 활동에 대한 체계적인 설명 여부` 이다. 이 세 가지 기준을 평가기준으로 하여 성과관리전략계획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판단 기준인 `연도별 성과목표 및 성과목표치의 설정근거ㆍ논거가 반영되고 있는가`에 대한 실태분석 결과, 대부분의 전략계획서들이 단지 전략목표의 설정근거만을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즉, 전략목표의 설정근거가 되는 거시적인 수준의 경제적ㆍ사회적 배경만을 제시하고 있을 뿐, 연도별 성과목표와 목표치 설정 근거에 대한 기술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두 번째로 `성과목표 달성 관련 정책수행에 대한 설명이 반영ㆍ기술되고 있는가` 여부의 판단기준에 대한 분석 결과, 현재의 중앙행정기관 성과관리전략계획은 정책의 종류를 병렬적으로 열거하고 있을 뿐, 상위의 성과목표 달성을 위한 중장기적인 정책수행 계획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고 있다. 즉, 각 성과목표 별 정책수행이 연도별 목표치와 어떻게 연계되어 운영되야 하는지에 대한 단계별 계획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세 번째로 `중장기적 목표수립에 관한 활동에 대한 체계적인 설명이 이루어지고 있는가`의 판단기준에 대한 분석결과, 우리나라의 성과관리전략계획은 전략목표와 성과목표의 연계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중장기적 계획안에서 전략목표의 핵심적인 영역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이기 때문에 각 성과목표가 어떠한 방법과 과정을 거쳐 설정되었다는 등의 논거를 성과관리전략계획서 안에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성과관리시행계획의 경우, 그 판단기준은 `1) 성과관리목표체계의 타당성, 2)전략목표(중장기 목표)와 성과목표(단년도 목표) 간의 연계성 확보 여부, 3) 전략목표 수단으로서 장기적 전략목표 달성을 위한 성과목표수립 여부, 4) 결과에 부합하는(정책의 최종효과를 파악할 수 있는) 수준의 성과목표 설정 여부, 5) 성과목표와 관리과제 간의 직접적인 논리적 연계성 측면` 이다. 첫 번째로 `성과관리목표체계가 타당성을 가지고 있는가`에 대한 판단기준의 경우, 임무-비전-전략목표-성과목표-관리과제-성과지표(6단계)체계에서 정책에 대한 상위단계의 핵심을 그 하위단계 차원에서 제대로 반영하거나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즉, 상위단계의 핵심내용을 하위단계에서 반영하지 못하고 부수적이거나 지엽적인 내용을 포함한다면 전체적인 성과관리목표체계가 핵심영역에 집중하지 못하는 결과를 가져오기 때문에 목표체계의 타당성이 낮아진다는 것이다. 두 번째 판단 기준인 `전략목표(중장기 목표)와 성과목표(단년도 목표) 간의 연계성이 확보되었는가`는 6단계의 성과관리목표체계 중 전락목표와 성과목표 간의 연계성에 초점을 두고 있다. 중장기 목표인 전략목표와 단기목표인 성과목표는 성과목표의 연이은 달성이 전략목표의 달성 결과와 직결되는 매우 긴밀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단년도 계획인 성과관리시행계획서상이라도 중장기적 목표 안에서 당해 연도의 성과목표가 어떤 단계인지에 대한 유기적인 연계성을 반드시 설명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성과관리시행계획서에서는 전략목표와 성과목표가 상ㆍ하위목표로서 차별화된 정책수단으로서의 상호 유기적인 연계성을 명확하게 가지고 있다고는 볼 수 없다. 즉, 기술적인 수준에서 전략목표-성과목표의 연계성을 설명ㆍ반영하지 않았다는 것이 문제의 핵심이다. 따라서 그 연계성을 나타내 주는 로드맵과 같은 그림을 성과관리시행계획서 안에 추가시키는 것 등의 일부 시도는 기술적인 측면에서는 전혀 이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여전히 미흡하다 할 수 있다. 세 번째로 `전략목표 수단으로서 장기적 전략목표 달성을 위한 성과목표수립을 하였는가` 기준의 판단결과, 전략계획서와 마찬가지로 성과관리시행계획서도 전략목표 달성을 위한 핵심영역만으로 설정되어 있지 않아, 성과목표를 수립함으로써 성과목표 달성이 곧 전략목표 달성의 수단이 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즉, 기관의 정책 우선순위를 반영하지 않고, 단순히 기관이 구성하고 있는 다양한 부처의 모든 업무를 성과관리시행계획서에 반영하기 위해 핵심이 아닌 영역까지 성과목표에 포함시키고 있다는 것이다. 네 번째로 `결과에 부합하는(정책의 최종효과를 파악할 수 있는) 수준의 성과목표를 설정하였는가` 여부에 대한 판단기준의 경우, 우리나라의 성과관리시행계획서는 결과위주의 목표설정을 시도하고는 있지만 여전히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단순히 정책산출물을 얻었는지만을 평가할 수 있을 뿐, 상위단계와의 체계적인 연계를 근거로 최종적인 효과를 달성했는지를 확인하기에는 미흡하다. 즉 산출이 아닌 결과위주의 목표설정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성과목표와 관리과제 간의 직접적인 논리적 연계성이 있는가?`에 대한 분석 결과, 우리나라의 성과관리시행계획은 여전히 성과목표와 관리과제 간의직접적인 논리적 연계성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과제로 설정된 경우가 많았다. 즉, 전략목표-성과목표의 관계에서와 마찬가지로 성과목표-관리과제의 관계에서도 관리과제가 성과목표의 핵심적인 영역만을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성과관리시행계획에서는 기관의 각 부처업무를 모두 반영하기 위해 핵심영역만으로 관리과제를 압축ㆍ요약하여 구성하지 않고 있어 성과목표-관리과제 간의 논리적 연계성이 약하다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성과측정의 차원에서는 `1) 성과지표의 대표성 및 측정 가능성, 2) 성과지표의 목표설정 근거의 구체성, 3) 목표와 지표간의 공유성 및 일관성, 4) 조직성과와 개인성과간의 지표체계의 적절성, 5) 성과측정의 관대화 현상`의 총 5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여 실태분석을 시행하였다. 첫 번째로 `성과지표의 대표성 및 측정 가능성이 있는가`에 대한 분석결과 우리나라의 성과관리시행계획의 성과지표는 관리과제의 핵심적인 업무를 반영하지 못하는 등 대표성을 갖지 않은 경우와 모호한 용어를 사용하거나 부적합한 척도를 사용하는 등 측정가능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이 나타났다. 특히 성과지표의 대표성 측면에서는 지표의 기술방식이 결과 지향적이지 않거나 지표의 내용이 관리과제의 정책내용을 핵심적으로 모두 포함하지 않은 경우가 있었다. 또한 성과지표의 측정가능성 측면에서도 계량지표를 사용할 수 있음에도 비계량지표를 사용하거나 계량지표이지만 측정산식이 모호한 추상적 수준이기 때문에 측정가능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나타났다. 두 번째로 `성과지표의 목표설정 근거의 구체성`에 대한 분석결과 우리나라의 성과관리시행계획은 성과지표의 목표설정에 대한 구체적인 근거를 제시하지 않거나 목표치를 하향 설정하는 경우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성과지표의 목표설정에 대한 구체적인 근거 제시 측면의 경우, 목표치 설정의 근거로서 이전까지의 실적 및 목표치를 제시하고 있다는 정도로만 단순하게 기술하고 있을 뿐 그 구체성이 미흡하다. 즉, 근거자료의 출처, 추세의 분석 등을 보다 구체적이고 논리적으로 설명하는 부분이 부족하다. 또한 목표치 하향설정의 측면의 경우 목표치 달성여부가 곧 성과달성 여부와 직결되기 때문에 도전적인 목표를 설정하기 않거나 핵심목표가 아니더라도 달성이 쉬운 업무를 성과목표치로 설정하는 경우가 나타났다. 특히 특별한 상황을 맞이하여 성과목표 하향설정을 한 경우 일반적인 목표치 설정보다 더욱 분석적이고 합리적인 근거를 제시해야 하지만 이것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현실이다. 세 번째로 `목표와 지표간의 공유성 및 일관성`에 대한 분석결과 우리나라의 성과계획은 부처 내 전략목표와 성과목표가 직급별로 공유되지 못하고, 직급별 성과지표 간의 일관성 역시 부족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단순히 하부조직의 전략목표합을 상위 조직의 전략목표로 합하는 설정이 많아 상위조직 고유의 전략목표를 갖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각 조직의 전략목표에 직급별 고유의 기능과 역할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반면에 직급별 성과지표가 전체적인 전략목표의 범주 내에서 일관성을 가지지 못한다는 점도 한계이다. 네 번째로 `조직성과와 개인성과간의 지표체계의 적절성`의 측면을 살펴보면 우리나라의 조직성과와 개인성과는 유기적 연결의 필요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조직성과지표에 따른 개인성과지표의 체계적인 설정이 부족하다. 특히 업무실적에 대한 구체적 사실근거 제시가 부족하고, 비계량평가지표가 필요한 경우가 있음에도 평가지표에 이를 반영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업무추진실적을 부풀리는데 집중하고 있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조직성과지표를 고위공무원단의 개인성과평가제도에 그대로 활용하는 경향이다. 또한 지표체계의 적절성 측면의 경우, 핵심 업무를 포괄하지 못하고 지엽적인 지표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주요추진실적에 대한 기술의 양이 부처 내부에서 많은 편차를 보이고 있다. 마지막 평가기준인 `성과측정의 관대화 현상이 있는가`의 경우, 우리나라의 고위 공무원단 성과평가결과를 살펴보면, 2007년 결과에서 전체의 80%가 우수한 것으로 평가 받는 등 성과측정의 관대화 현상이 나타났다. 2008년의 경우 이와 같은 경향이 완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성과보상의 측면의 경우 `1) 성과보상기준 및 평가등급 결정의 적절성과 2) 성과급 등급 및 지급의 공정성ㆍ객관성`의 문제 지적이 가능하다. 먼저 성과보상 기준 및 평가등급의 적정성 측면에서는 성과기준의 합리성이 부족하여 상당부분이 객관적이지 않거나 공정하지 않고 성과와 보상이 연계되지도 못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또한 일부기관에서 평가등급 설정기준과 직무성과계약 최종점검결과상의 등급결정이상이한 차이를 보이거나 등급결정 기준이 너무 추상적인 것도 한계이다. 또한 성과등급 및 지급의 공정성ㆍ객관성 측면에서도, 일부기관에서 성과평가결과의 관대화 현상이 심해 성과평가결과와 성과연봉간의 상관관계가 낮은 경우가 여전히 나타났다. 그리고 성과달성을 위한 목표치 하향 결정의 경우는 많은 기관에서 발견되었으며, 인사관리에 평가결과를 반영하는 방식이 성과급의 지급에 한정되어 있는 경우가 많았다. 성과보고 및 활용의 차원에서는 `1) 성과정보의 타당성, 2) 성과보고서의 타당성, 3) 성과결과의 활용타당성`을 판단기준으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의 성과보고서의 경우 성과정보의 타당성 측면에서는 성과달성에 대한 근거를 판단하는 성과정보가 기술되지 않거나 성과와 관련된 투입, 과정, 결과에 해당되는 정보 역시 제시하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또한 성과보고서에서도 성과달성여부만 제시하고 있을뿐 인과분석을 하지 않거나, 인과관계를 제시하고 있더라도 추상적인 수준의 설명에 불과한 경우가 많았다. 마지막으로 성과결과의 활용 측면에서도 주요정책 성과결과가 각 부처의 주요업무계획과 개인성과 등에 반영되지 않고, 성과결과가 조직 및 인사에 반영되는지 여부에 대해서도 단지 반영 또는 참고한다고 언급하고만 있을뿐 구체적인 기준과 활용방안을 제시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호주ㆍ캐나다 성과관리시스템 사례분석 호주와 캐나다의 성과관리시스템의 사례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호주의 경우 첫째, 예산과 부처별 성과목표 달성을 철저히 연계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둘째, 결과 중심의 성과관리를 목표로 하고 셋째, 「계획-집행-보고」의 3단계 구성을 모범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그 밖에 계획과 보고의 구체적 성과정보 제공을 들 수 있는데 부처성과계획과 보고에서 제시하고 있는 프로그램과 사업의 구체적 계획과 보고결과는 국ㆍ과ㆍ팀별 업무계획서와 프로그램 계획서를 부처성과와 연계하여 기술되고 있어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성과정보를 확보할 수 있다. 부처 단위 계획서와 보고서에는 이에 대한 적절한 정보를 제공해 주고 있다. 다음으로 캐나다 성과관리체계를 요약하면 첫째, 캐나다는 결과 중심의 성과관리를 특징으로 하는 국가 중 하나이다. 둘째, 성과를 관리하는데 있어 「계획-이행-보고」의 3단계 구성을 지켜나간다. 셋째, 계획과 보고의 연계성을 강조하고 있다. 넷째, 예산과 부처별 성과목표 달성의 철저한 연계를 강조한다. 마지막으로, 특히 캐나다 성과계획과 보고에 있어서 두드러진 특징은 전년과 금년의 업무수행계획과 보고를 비교하고 있어 계속성과 변화발전을 추구하려 한다는 것에 특징을 둘 수 있다. 5. 중앙행정기관 성과관리시스템에 대한 설문분석 1) 설문조사 설계 및 분석 기법 우리나라 중앙행정기관(중앙부처)의 성과관리제도의 전반의 운영실태, 문제점, 개선방안 및 성과관리시행 후 변화 등을 파악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39개 전체 중앙행정기관의 성과관리 부서에 근무하는 공무원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의 대상은 중앙행정기관의 성과관리부서에서 근무하고 있는 공무원으로 하였다. 그 이유는 성과관리 담당부서에 근무하는 공무원들이 다른 부서에서 근무하는 공무원들보다 성과관리제도에 대한 경험과 인식이 다른 부서에 근무하는 공무원들보다 전문화되어 있을 것으로 판단했으며, 이들의 성과관리제도에 대한 인식여하에 따라 성과관리제도의 전반의 운영이 달라질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설문조사대상은 각 중앙행정기관의 성과관리 담당부서에서 성과관리 및 정부업무평가 등을 담당하는 공무원을 대상으로 하여 각 부처당 평균적으로 6∼7명 수준으로 하여 전체적으로 공무원 25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설문조사 방법은 방문, 전화, Fax, e-mail을 통하여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에 이용한 통계분석방법으로 기술 통계분석, 교차분석(X2 분석), 부처 간 인식차이를 분석하기 위한 분산분석(ANOVA), 성과관리 운영실태 등을 독립변수로 하고 성과관리제도의 전반의 만족도 등을 종속변수로 하여 다중회귀분석(OLS), 성과관리의 영향요인들 간의 인과관계나 효과 등을 분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분석(Structural Equation Modeling) 등을 활용하였다. 2) 성과관리제도 운영실태에 대한 설문분석성과관리제도 운영실태에 대한 중앙행정기관 공무원들의 설문조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과관리부서에 근무하는 공무원들은 성과관리전략계획 및 시행계획에 대한 설문조사에서 평균적으로 3.50점(5점척도 측정기준, 100점 기준으로 70점 이상)으로 나타나 대체로 성과관리계획이 긍정적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평가하였다. 둘째, 성과관리전략계획 및 시행계획에 있어서의 성과측정에 대한 설문분석 결과, 전략목표에 근거하여 성과목표의 핵심내용이 반영되고 있고, 이를 측정하기 위해 각 부처에서는 정성지표보다는 정량지표를 많이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이미 목표달성한 지표의 소흘화 경향이나, 달성하기 쉬운 성과지표에 집중하거나 달성하기 어려운 성과지표에 대한 포기경향은 심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앙부처의 성과관리부서에서 근무하는 공무원들은 성과보상에 대해 성과보상기준이나 성과급 등급이 비교적 합리적이고, 성과보상이나 성과급 지급이 비교적 공정하고 적절하다고 판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과관리시행계획의 성과정보의 활용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중앙부처들이 성과정보를 주로 성과급 관리나, 조직목표수립 및 주요정책결정에 상대적으로 많이 반영/활용하고 있는 반면, 조직관리, 예산편성, 인사관리 등에 반영/활용은 상대적으로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중앙행정기관들의 전반적인 성과관리의 운영실태 중 전략목표와 성과목표 간의 연계, 개인성과와 조직목표 간의 연계, 조직목표달성여부에 대한 정보수령여부, 개인성과와 조직성과와의 연계, 부서의 성과측정은 상당히 잘 운영되고 있다고 평가한 반면, 개인 및 조직의 성과결과에 대한 수용성이나 조직우선순위결정시성과정보 활용이나 세부실천계획, 개인성과 개선을 위한 정보수령 등에 있어서는 운영이 상대적으로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성과관리제도 도입이전과 비교하여 도입이후 성과관리제도로 인해 조직성과와 개인성과의 향상이 있었고, 현재의 성과관리제도가 잘 작동하고 있어서 전반적으로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현재 중앙부처에서 성과관리제도를 활용하는 주요 목적으로 성과관리를 통해 조직의 목표 및 전략을 수정하고, 성과평가결과에 따라 성과급을 배분하고, 효율적인 업무배분 및 수행, 포상, 승진 등 인사관리와 정책결정에 주로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성과활용단계에서 제도와 현실의 운영이 많은 괴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과측정단계, 전략·목표수립단계, 성과보상단계 등도 상당부분 제도와 실제 운영에 많은 불일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홉째, 개인성과등급이 매우 높은 공무원들은 성과관리에 보다 적극적으로 동의한 반면, 우수나 보통이하의 공무원들은 성과관리에 대해 다소 부정적인 의견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열 번째, 현재 성과관리부서에서 근무하는 공무원들은 성과지표 개발을 위한 우선적인 원칙으로 목표설정의 적절성, 기관핵심업무의 반영정도, 목표와 결과간의 인과성, 목표달성정도의 측정가능성 순으로 고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평가하였다. 열한 번째, 현재 성과관리제도의 문제점들에 대한 주요 원인은 성과지표 등 성과측정의 문제가 가장 크고, 그 다음으로 성과보상/인센티브 미흡, 평가결과의 활용의 미비, 성과관리인력 및 전담조직 부족, 성과관리제도의 현실적 부적합성이나 불신, 기관장의 의지 부족, 성과관리계획의 비현실성, 부처 자율성 부족 등 복합적인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두 번째, 정부업무평가기본법 하에서의 성과관리 운영상의 문제점으로 도전적인 성과목표 설정의 기피, 성과계획과 연초 업무계획 간의 별개 운영, 평가결과에 대한 낮은 수용성의 문제, 정부업무평가와 재정사업평가 간의 연계 부족, 정부업무평가결과와 성과관리시스템 운영의 연계 부족 등이 지적되었다. 열세 번째, 현재 정부업무평가제도 상에서 효율적인 성과관리를 추진하기 위해서는 우선 부처별 자율성을 부여하고 결과에 책무성을 강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성과관리의 절차나 규칙의 준수보다는 정책성과 달성에 초점을 두고, 평가결과를 정책개선, 인사/조직/재정 등에 적극적으로 환류하여야 하고, 성과와 보상의 연계를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전략과 목표에 입각한 엄격한 사업계획과 업무관리가 필요하고, 성과관리계획 수립시 성과지표의 대표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것이 필요하다. 열네 번째, 현재의 정부업무평가기본법 내에서 성과관리와 평가가 이원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현상에 대해 조사대상 공무원의 약 87% 정도가 현재의 평가법이 성과관리를 담기에는 문제가 있기에 새로운 성과관리법을 제정하거나 현재의 정부업무평가기본법을 개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평가하였다. 열다섯 번째, 부처의 성과관리제도의 전반적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성과관리 시행계획에 따라 성과활용을 높이고, 성과관리제도 전반의 운영을 원활히 하고, 직무성과계약의 성과보상을 합리적으로 하여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성과계획요인이나 성과보상요인은 95%의 신뢰구간에서 성과관리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성과활용요인은 성과관리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성과계획이나 성과보상보다는 성과활용이 원만히 잘 이루어지는 경우에 성과관리에 대한 만족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성과관리의 만족도와 성과향상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성과관리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성과향상으로 이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6. 정책제언 본 연구에서는 성과관리제도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언을 크게 세 부분, `1) 성과관리제도 제도적 측면, 2) 성과관리제도 운영적 측면, 그리고 3) 성과관리제도 인식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먼저, 성과관리제도의 제도적 측면의 개선방안으로는 첫째, 중앙행정기관들의 성과관리제도와 실제 운영이 긴밀히 연계되도록 성과관리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연도별 성과목표 및 성과지표 설정의 근거 및 논거가 구체적이어야 하고, 성과관리시행계획 수준에서는 구체적인 세부사업 및 성과지표를 설정하여 제시할 필요가 있다. 셋째, 궁극적으로 성과관리 본연의 목적에 부합하는 이른바 `통합성과관리기본법`(가칭)의 제정이 필요하다. 넷째, 합리적인 성과지표의 개발이 필요하다. 다섯째, 우리나라도 캐나다의 경우와 같이 성과목표 달성 관련 정책수행에 대한 설명을 반영하여 기술하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기관의 전략계획의 수립에 있어서 성과관리와 예산은 매우 밀접하게 연계되어 운영될 필요가 있다. 일곱째, 우리나라도 부처의 운영상 우선순위가 무엇이고 그 진행 상태는 어떠한지, 우선순위와 전략결과가 어떻게 연결되는지, 그리고 왜 이것이 우선순위로 설정 되었으며 우선순위에 맞추기 위해 어떤 계획을 세우는지 등에 대해 상세히 제시할 필요가 있다. 여덟째, 성과지표의 대표성과 측정가능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성과관리제도의 운영적 측면의 개선방안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앙부처의 성과관리는 부처의 자율성을 강화하면서도 결과에 대한 책무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성과관리가 운영될 필요가 있다. 둘째, 도전적인 성과목표를 설정할 수 있도록 장려하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셋째, 중앙행정기관의 경우 상위목표인 전략목표와 이를 실행하기 위한 하위목표인 성과목표로 이르는 단계는 보다 체계적인 논리를 가지고 정책우선순위에 맞춰 정책목표와 책임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넷째, 성과보고서의 성과달성에 대한 인과분석과 구체적이고 명백한 논거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 또한 성과보고서 개선차원에서, 보고서의 목적과 범위를 명확하게 하고 다양한 계층의 정보를 포함하며 정책결과에 대한 분석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성과관리전략계획 상의 연도별 성과목표 및 성과목표치에 대한 기술은 구체적인 설정의 근거 및 논거에 대한 설명이 필요하다. 여섯째, 부처의 성과관리시행계획과 연초 업무계획 간의 긴밀한 연계가 필요하다. 일곱째, 정부업무평가와 재정사업평가 간의 성과관리 연계의 강화가 필요하다. 여덟째, 성과관리시행계획상의 성과지표목표설정에 대한 근거 제시는 목표치에 설정에 대한 합리적 근거자료와 출처 제시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성과관리제도의 인식적 측면의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과관리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이 필요하다. 둘째, 개인이나 조직의 성과평가 결과의 수용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셋째, 어떤 정책 산출물(output)에 대해 책임을 담당하는 부서가 어디이며, 그 국 책임 하에 보다 구체적인 프로그램이 어떻게 운영되는지를 명확하게 규정하여야 한다. 넷째, 성과관리 담당공무원들에 대한 인식전환 및 그들의 역량을 강화하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다섯째, 성과정보가 조직관리, 예산편성, 인사관리 등에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되도록 심도 있는 성과정보 활용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I. Research Background and Objective □Background of the Research ○The Korean central government has operated a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such as job- performance- contract, Balance Scorecard (BSC), and self- performance management since the 2000s; nonetheless, there exist some problems such as insufficient connection between organizational and individual performances. - There also is little research that provides a systematic connection between the individual performance system and the organization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such as BSC, strategic management, and the Performance Management Plan(PMP). The PMP is a performance plan report in which each government department should make a plan for working in the upcoming year based upon the Government Performance Evaluation Act. □Objective of the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n analysis and improvement of the Korean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by examining actual conditions in terms of contentment, comparison, and recognition regarding the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This research analyzes three aspects: 1) analysis of the current operation condition of the Performance Management Plan, 2) foreign cases about the operation of the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and 3) public employees` survey regarding the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This analysis identifies the problems of the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in the Korean central government. The ultimate goal of this work is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to improve the Korean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II. Analysis Results ○First, in terms of the performance plan aspect, Performance Management Plan reports only provide the basis of strategic objectives with a broad socio- economic background, rather than a detailed analysis and logical basis of annual performance objectives. The performance management strategic plan of the Korean central government lists all kinds of policies in parallel fashion, without explaining a long- term policy implementation plan in detail for achieving higher- level objectives. There also is a lack of connection between strategic and performance objectives in the Performance Management Plan; that is, the Performance Management Strategic Plan report does not provide specific information on the setting process of each performance objective and a specific method regarding a longterm policy implementation plan. The higher- level policies in the Korean Performance Management Strategic Plan cannot reflect the lower level policies in the hierarchical performance plan system, a key aspect of mission- vision- strategic goals- performance objectivesmanagement targets- performance indicators. The Korean Performance Management Strategic Plan does not include the policy priorities of each government agency and key areas to apply to all departments` work. There is no close connection between performance objectives and management targets in the Korean Performance Management Strategic Plan. ○Second, in terms of the performance measurement aspect, performance indicators in the Korean Performance Management Plan cannot reflect the main work of management projects; there is the low feasibility of measurement due to vague words and inadequate measurement. It also does not provide a concrete basis for setting objectives of performance indicators. Despite the need for consistency between organizational and individual performance, the systematic connection between organization and individual performance is lacking. Performance indicators also have a tendency to overestimate real performance, and to exclude important missions and tasks. ○Third, in terms of the performance reward aspect, the standard for performance rewards and the classification of evaluation are not rational, objective, and fair. Also, there is no close connection between performance and reward.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tandard of evaluation classification and public employees` performance contracts in some government agencies, and the standard of evaluation classification is abstract. ○Fourth, in terms of the report and use of performance aspect, performance information does not have validity because it cannot show the degree of performance achievement in each stage (i.e., input, process, and outcome). The results of policies` performance are not based upon the Performance Plan of each government agency and individuals` performance. ○Fifth, results of Australian and Canadian case studies provide a significant comparison to the operation of the Korean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In terms of the middle- or short- term performance management plan, the Australian government emphasizes the roles of government agencies, the setting of priority for their visions and the setting of the mission every three years. A one- year plan includes concrete performance objectives and the setting of work plans for low- ranking departments or teams. The Australian performance management plan also features a close connection between budget and performance objective achievement, establishes results- oriented performance management, and executes three associated steps of plan- implementation- and- report. The Performance Plans and reports offer concrete plans, and the results of reports link to departments or teams` work and program planning; therefore, they include significant performance information. In the setting of rational performance indicators aspect, Canadian and Australian governments are trying to emphasize the system setting of the basis or method of performance indicators, not the description of performance indicators. The Australian case provides significant comparison with regard to concrete information for public agencies, and the Canadian performance plan has also offered the comparison between successive years` performance programs. In the connection between budget and performance aspect, the two cases have provided the results of budget operations relative to the Performance Plan and Report. In regard to middle or long term objective setting, they suggest the definite role and priority of public agency. In terms of the responsibility for policy outcomes, they stress the accountability of each public agency and the priorities of government agencies in the middle or long term objective setting. ○Finally, in terms of the utilization of performance aspect, there are a lot of gaps between the performance system and the current condition of performance operation. For instance, gaps exist in the step of performance measurement, setting of objectives, and rewards. Higherperforming public employees support the system of performance management; however, the average or lower- performing public employees are against the idea. Public employees suggest preconditions such as the propriety, the degree of reflecting main works, the causality between objective and result, and the possibility of the measurement of an achieving objective. There are many problems for the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such as the measurement of performance, the inadequate performance reward/incentive, the incomplete use of performance results, the lack of professional employees, the distrust of the current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the lack of will by the chief, and the lack of agency autonomy. There also exist operational problems such as the evasion of setting moral performance objectives, the separate operation of the performance plan and the beginning work plan each year, the lowapplication of performance results, the lack of connection between government performance evaluations and financial work evaluations, and the lack of connection between government performance evaluation results and performance management operations in the law of government work evaluation. Public agencies need autonomy for effective performance management related to accountability in the current government work evaluation system. Also, government agencies focus on the achievement of policy performance, rather than on the process or observance of performance management. 87 percent of those surveyed suggest that the Act of Government Performance Evaluation should be amended or a new law created such as (so- called) the Act of Performance Management because the present law has dual conflicting functions such as performance management and evaluation. Finally, government agencies have to provide rational rewards to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for enhancing the overall satisfaction of the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III. Policy Recommendations ○In terms of the institutional aspect, central government agencies should make a tight- knit connection between the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and the reality of the system. They need to offer a concrete basis for setting performance objectives and indicators. They should also provide concrete performance plan performance indicators in the level of performance management implementation plan. They need to establish `the law of United Performance Management` (tentatively named) and to develop rational performance indicators. The Korean central government needs to consider the Canadian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in this regard. In Canada, there is a close connection between performance management and budget in setting strategic plans. The Korean central government should consider the priorities for operations, the connection between the priorities and strategic results, and so on. It is important to enhance the representativeness of performance indicators and the feasibility of performance measurement. ○In the operational aspect of the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the central government performance system has changed in the direction of reinforcing autonomy and accountability. Korean government agencies should be encouraged to set challenging performance objectives. They also need to link upper strategic objectives into lower performance objectives with a consistent logic. Also, performance reports need to provide a cause- and- effect analysis and obvious evidence related to performance achievement. Performance reports have to include varied information and analysis of policy outcomes, as well as to provide the report`s goals and range clearly. Performance reports need to explain the concrete basis of annual performance objectives and the expectations of performance objectives. Government agencies need to make a close connection between the performance management implementation plan and the annual work plan and should establish a close connection between government performance evaluation and fiscal management evaluation. They have to provide the rational background or basis of setting performance indicators related to performance objectives. ○Finally, in terms of the recognition aspect of the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public employees need continuous education and training related to performance management. Korean government agencies need to enhance the utilization of individual and organization performance results. Government agencies should stipulate which department has the responsibility for policy outputs or how a program for performance management operates. Public employees need to change their recognition and to reinforce their capabilities. Korean government agencies should apply performance information to organization, budget, and personnel management more practically.

      • KCI등재

        漢文科 遂行評價의 現況과 改善 方向

        宋秉烈 한국한문교육학회 2002 한문교육논집 Vol.19 No.-

        한문과 수행평가는 두 시기로 분류할 수 있다. 교육부에서 수행평가의 지침이 나오기 이전의 시기와 이후의 시기로 분류할 수 있다. 수행평가 지침 이전은 특별한 이론이나 계획 없이 각급 학교 교사 자율적으로 실시하였다. 이 시기는 개별 교사들이 당시 교과 수업의 시수 부족을 보완하는 차원에서 실시하거나 교수-학습 방법의 획일화에 대한 대안으로 개별적으로 원시적인 방식의 수행평가를 실시하였다. 기존의 '과제형 수행평가'가 그것이다. 과제형 수행평가는 '했느냐의 여부'에만 기준을 두었으며, 기타의 학습자의 성취도에 대한 기준 따위는 거의 없었다. 일부 개별적으로 반영하는 경우도 있었으나, 전체 비율도 매우 낮았으며, 대부분 학업 성취도에 반영하지 않았다. 엄밀하게 보면 '과제형 수행평가'는 수행평가의 본래 취지에 미치지 못하는 것이었다. 이는 평가의 보완이라기보다는 학교 수업에서 이루어지는 교수-학습 활동의 연장이기 때문이다. 1999년 '한문과 평가 개발 연구'가 나오면서 한문과도 수행평가 기준을 구체적으로 마련할 수 있었다. 이 연구서는 한문과의 성취 기준, 평가 기준, 등급화 방안을 마련하였다. 연구자들은 이를 근거로 예시 문항 및 평가 도구를 개발하였다. 이 과정에서 수행 평가를 위한 여러 가지 평가 도구도 함께 개발되었다. '한문과 평가 개발 연구'는 몇 가지 문제가 있었다. 첫째, 평가에 대한 교사의 부담이 과중하였다. 평가 기준이 지나치게 상세하였다. 주당 단위수가 적어 매년 교사 1인이 10∼24학급을 맡아야 하는 한문과 교사로서는 평가 자체가 부담이 될 수 밖에 없게 된 것이다. 둘째, 한문과의 성격에 부합하는 수행평가 유형이 한정적이었다. 사례 분석을 통해 확인한 결과, 대부분의 수행평가가 한자·한자어에 관한 것이었다. 한자·한자어에 대한 수행평가는 대부분 포트폴리오형이었다. 따라서 한문과 성격에 맞는 수행평가 유형이 거의 없었다. 셋째, 한문과 교과 내용을 다양하게 반영하는 '내용 반영형 수행평가 도구'가 부족하였다. 개발된 수행평가를 분석해 보면 가지수는 많지만, 다양한 학습 내용이 없었다. 이는 교육 과정에 한문과 교수-학습 내용이 체계적으로 되어 있지 않고 구체적인 세분화가 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뜻한다. 따라서 학습 내용을 반영한 수행평가를 개발하고자 하여도 반영할 학습 내용과 학습 요소가 부족한 것이다. 한문과 수행평가의 개선은 앞서 제기한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데서 출발해야 할 것이다. 첫째, 교사의 평가 부담을 해결하여야 한다. 교사의 부담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평가 도구가 편리해야 하고, 평가 회수를 줄여야 한다. 둘째, 한문과의 학습 내용을 평가하기에 적합한 평가 도구가 다양하게 개발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한시 감상'과 관련되는 '문학작품 감상형 수행평가' 등이 개발되어야 한다. 셋째, 한문과 학습 내용을 반영한 '내용 반영형 평가도구'가 필요하다. 교육과정에 명시된 한문과 내용체계의 영역은 한자, 한자어, 한문으로 되어 있다. 각 영역의 내용체계를 보면 한자는 한자 익히기, 한자 활용하기. 한자어는 한자어 익히기, 한자어 활용하기, 가치관 형성하기. 한문은 한문 익히기, 한시 익히기, 한문 활용하기, 가치관 형성하기, 전통 문화 계승 발전시키기 등이다. 이런 내용체계의 학습 내용과 학습 요소를 구체화하고 세부화하여야 한다. 그래야 학습 목표가 분명해지고 그에 따른 단순한 수행평가 내용을 개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넷째, 한문은 文史哲이다. 문학과 역사 철학의 부분을 담아낼 수 있는 수행평가의 도구가 개발되어야 하는 것이다. 대부분 수행평가를 실시하는 교사는 교육학적 이론에 부담을 느끼고, 학자는 이론에 집착하는 경향이 있다. 한문과는 다른 교과와 그 성격이 매우 다르다. 한문교사는 한문과 성격과 내용에 맞는 평가 도구를 개발하여야 한다. 따라서, 교육학적인 이론에 대한 능동적인 자기화가 필요하다. The period of performance assessment of Chinese writing subject could be divided into two period. The first period was before the Ministry of Education pronounced the direction of performance assessment and the second was after that pronouncement. Each school teacher did perform temporarily the basic principle of performance assessment not having special plan and theory. Each school teacher during this period did the lower and basic performance assessment to supplement curriculum unit or to replace an fixed and traditional teaching method. The previous performance assessment for fulfilling assignment was regarded as the type of the early and traditional performance assessment. The performance assessment for fulfilling assignment just focused on 'assignment having done or not', it was not interested in building the basic model for measuring learners' achievement. Some teachers tried to put learners' performance assessment on their school record, but most teachers did not. Strictly speaking, the performance assessment for fulfilling assignment was not a real assessment comparing with the original intention of the system. Namely this type of performance assessment was not supplement of the previous assessment but the extension of teaching-learning activities. Chinese writing department is absolutely insufficient in curriculum unit point comparing main subjects like Korean, English, and mathematics. The performance assessment for fulfilling assignment of Chinese writing department was totally performed to complete the insufficient unit of curriculum. As a result, the assessment hasn't shown any coherence in both methods and contents, still it had no effect on the previous evaluation. After a series of process, in 1999, the evaluation and development study of Chinese writing department was introduces, so the department could concretely put up and arrange the model of performance assessment. This research paper could be arranged the base of attainment, of evaluation, and the grade of method of Chinese writing department. Researchers developed the example questionnaires and measurements for evaluation on the basis of this paper. In the process of the research, there were developed a variety of measurements for the performance assessment. The study of the evaluation and development of Chinese writing department had a few problems. First, the teachers of Chinese writing department couldn't avoid having heavy burden relating to evaluation. The base of evaluation was explained excessively in detail. The unit of the Chinese writing subject per week was small, so one Chinese writing teacher every year must be in charge of 10 to 24 classes. And this caused most teachers to feel heavy burden and pains. Second, the types of performance assessment fitting in Chinese writing department were very limited. Investigating and analyzing many cases of teachers' evaluation, most types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mainly focused on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words. The performance assessment of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words was the type of portfolio. Unfortunately, at now, there are not any useful and proper types of performance assessment in Chinese writing department. Third, there were short of the measurements of performance assessment including the contents of Chinese writing textbooks through various ways. The established performance assessment had lots of numbers, while had not various learning contents. This means that the contents of teaching -learning of Chinese writing department in curriculum was not composed systematically and also not diversified in detail, either. So it was very difficult to develop the performance assessment including learning contents for want of learning contents and learning elements. The improvement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of Chinese writing department must begin from solving above problems. First, education authorities must solve the teachers' burden about evaluation. To solve the teachers' burden, for one thing, the measurements and means for evaluation must be easy, and the students number for evaluation must be also lessen and limited. Second, the proper measurements and means to evaluate the learning contents of Chinese writing department need to be developed. For instance, it can be a good example to introduce 'the performance assessment for appreciating literary works related to the appreciation of Chinese poems. Third, the proper measurements and means including the learning contents of Chinese writing department also need to be developed. The teaching range of Chinese writing department in curriculum is composed of Chinese character, Chinese word, and Chinese classics. Here, more closely speaking, Chinese character covers practicing the Chinese character, using the character and forming the viewpoint of value. Chinese word covers practicing Chinese word, using Chinese word, and forming the viewpoint of value. And Chinese classics also covers practicing Chinese writing and Chinese poetry, using Chinese writing, forming the viewpoint of value, and developing the traditional culture. The learning contents and learning elements composed these contents system must be embodied and detailed. In case we try it, the purpose of learning will be clear and then the proper performance assessment will also be developed. Last, Chinese writing is a kind of combined subject including literary, philosophy, and history. Chinese writing, therefore, requires developing the proper measurements and means for the performance assessment covering all the three parts. Most of the teachers using the performance assessment have difficulty in receiving educational theory, while scholars tend to keep their theory. Chinese writing department is quite different from other departments in various aspects. So, it's natural and desirable for Chinese teachers to develop the measurements and means for the proper performance assessment agreeing with the originality of Chinese writing department. So, Chinese writing teachers must make themselves be efficient teachers against numberous educational theory.

      • 우리나라 재정성과 향상에 관한 연구 : 복지와 IT분야를 중심으로

        깅영철,박경돈,이재원,임준형 한국행정연구원 2009 기본연구과제 Vol.2009 No.-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정부는 예산회계제도 및 재정운영방식에 대한 지속적인 개선을 시행하여 2005년에는 재정사업자율평가제도, 2006년에는 재정사업심층평가제도, 2007년부터는 프로그램별 예산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또한 국가회계ㆍ결산의 경우 2008년부터 발생주의 회계원칙을 예산원칙의 기본전제로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일련의 재정개혁에서 예산운영 및 집행의 주요 논점은 주로 예산의 투입결과로 나타나는 실질적인 성과를 중심으로 예산을 편성ㆍ운영함으로서 궁극적으로 예산의 절감 및 효율성을 증대하는데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최근 일어난 세계 경제위기와 더불어 정부의 재정정책 및 운영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재정성과제도에 대한 전반적인 분석이나 도입 필요성에 대한 연구는 많으나, 실제로 각 부처나 정부업무에서 재정성과제도가 재정운영 및 집행과 같이 잘 연계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은 현실이다. 예산투입 대비 산출이 가시적으로 쉽게 파악되지 않는 프로그램이나 정책에 대하여는 과정정보의 부재로 인하여 어떠한 기준에서 예산이 실제로 배정되며, 예산대비 성과의 명확한 측정이 어려운 경우 등 실제 재정성과체계 및 관리가 어떻게 부처에서 운영되고 있는 지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현실에 비하여 재정운영에 대한 각 정책별 특성이나 문제점에 대한 분석은 적은 편이라고 할 수 있다. 성과관리(Performance Management)는 투입에 근거한 통제장치의 비중이 과도하여 절차나 규율에 얽매이는 전통적 통제방식에서 탈피하여 산출과 결과 중심으로 조직, 조직문화, 사업 등을 관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재정은 국가활동 중에서 가장 핵심적인 메커니즘으로서 재정지표는 그 나라의 발전정도나 총체적 국민복지수준을 가늠해 주는 전형적 지표의 하나이다. 재정활동은 국가를 둘러싼 여타 여건변화에 발맞추어 변화하면서 시대적 상황 및 변화에 부응하는 노력이 중시되므로 정부재정활동의 정당성을 확보하는 것은 정부신뢰의 지름길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재정성과관리는 1980년대 이후 OECD 선진국들에서 시작된 정부개혁의 일환으로 시장기능적 유인구조 형성을 목적으로 한 신공공관리론에 입각하여 재정개혁을 기반한 공공부문 관리방식의 개선을 목적으로 한 것이 성과주의 예산제도로 나타났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OECD의 회원국인 선진국에서 널리 사용된 재정사업평가는 예산편성, 예산의 집행, 사후평가의 주기로 이루어지며 성과평가의 결과가 예산에 반영하는 것이 중요하다. 2009년 6월 현재 국가재정법 및 동법 시행령의 개정에 따라 재정성과관리에 대한 법적인 근거가 마련되었으며, 성과중심의 재정운용과 재정정보의 공표를 국가재정법에서 규정하고 있다. 또한 재정사업의 성과평가와 재정정보의 공표를 국가재정법시행령에서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재정성과제도와 더불어 정부업무평가제도의 본격적인 운영이후에 상대적으로 각 기관별로 성과관리의 측면에서 예전보다는 정교해진 정책평가 및 성과관리의 제도 내에서 결과평가를 중심으로 한 성과관리의 한계점과 고려점에 대한 논의들이 최근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다. 그러나 재정성과관리가 성과관리의 측면이나 평가체계의 측면에서 과연 어떻게 연계되도록 설계하는것이 바람직한지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는 상대적으로 연구가 많지 않은 편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경제적 효율성 및 효과성을 중심으로 평가되어 온 재정성과의 한계점에 대하여 실제 정부업무 중 예산집행 과정에 대한 고려 및 효율성/효과성 측정이 어려운 정책의 재정성과관리에 대한 개선안을 마련하기 위해 분야별로 분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즉 경제성 중심의 재정운영 및 평가에 대하여 실제 부처 재정운영과정의 다각적이며 동태적인 측면에 대한 고려하되, 이와 차이가 존재하는 대표적인 정책분야로서 사회복지정책과 IT 정책을 중심으로 현재 평가시스템의 문제점과 각 분야의 특성 및 정책내용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재정운영 및 평가시스템의 개선을 위한 대안을 제시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에서 본 연구는 재정성과에 대한 현황 및 기존연구에서의 논의들을 중심으로, 본 연구에서는 재정집행상의 효과성 및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공공부문 재정집행운영상의 방향성을 정립하고자 한다. 특히 각 부처가 실시하고 있는 재정성과관리를 통한 재정집행의 효율성의 정도가 단순히 예산 집행액의 효율성, 자원배분상의 소극적 효율성(절약), 조직의 성과평가가 아닌 실제로 집행상에서 해당 재정집행과 재정성과목적과 차이여부와 달성여부를 분석할 것이다. 세부적으로 재정 성과평가 및 실제 재정운영상의 사이에 차이, 이에 대한 상황 및 이유를 다각화된 시각을 통해 살펴보고 향후 재정집행과 재정평가가 일관성이 높은 방향으로 집행과정이 운영될 수 있도록 하는데 대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특히 이러한 분석에서 본 연구는 재정운영상의 효과성 및 효율성이 재정성과평가에서의 효율성과의 연동여부 및 연계여부를 파악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 연구의 배경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과주의 예산제도 도입이후 현재까지 수행된 우리나라의 제도 운영에 대한 논의 및 재정효율성의 변화를 검토하고, 이를 통해 실제 발생된 재정성과제고의 노력에 대한 전반적으로 평가한다. 이를 위하여 재정성과제고의 연구범위를 2004년대 이후로 한정하여 논의하며, 재정성과목표의 달성과 실패라는 평가를 통해 드러난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고자 하는 진단적 의의를 지닌다. - 성과주의 예산제도 도입이후 아직까지 본격적인 의미에서 전면적인 개혁 및 조정의 필요성을 제기되지는 않았지만, 재정성과는 조직성과관리라는 범주내에서 논의함으로써 재정성과제고를 위해 이용된 다양한 접근법을 조직성과관리라는 구체적인 목표와 과제에 따라 변모되는 방향에서 논의한다. 따라서 평면적이지만 각 프로그램별로 추진된 재정성과제고의 양태를 훑어보고, 향후 재정성과제고의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할 필요가 제기된다. - 이러한 연구목적 내에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방법에 따라 수행되었다. 첫째, 재정집행 및 성과관리에 대한 문헌연구 및 유사관련 개념과의 비교하였다. 둘째, 해외 주요국 재정집행 효율성 및 재정성과 제고에 관한 사례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비교분석을 통하여 실제로 재정운영상의 재정성과관리에 대한 우수사례의 연구를 통해 바람직한 재정관리시스템의 운영을 논의하고자 한다. 또한 우리나라의 재정운영과 비교하여 차이점 도출하고자 한다. 셋째, 정부 및 정책관련자(예산편성자 및 집행자) 및 재정전문가와의 면접조사 및 설문조사를 실시할 것이다. 면접조사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문헌자료를 통해 확인할 수 없는 재정성과관리의 집행과정상 공과와 괴리를 재정운영과정에서의 문제점 및 영향요인을 파악하고, 실제적인 성과제고를 위한 집행상의 개선방안을 찾아내고자 한다. □ 연구의 목적 ○ 이상과 같은 동일한 기준을 적용하여 성과관리 체계를 개선하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재정 또는 사업집행상 성과관리를 위한 정부분야의 업무간 본질적인 차이점을 고려하지 못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즉 토목이나 건축 그리고 Social Overhead Capital(SOC) 사업의 경우 진도관리 등의 물리적 기간이나 시간 총량의 개념이 중요한 반면, 복지나 IT 등과 같은 분야는 연성의 개념 즉, 활용도, 수혜자 층 등에 대한 예산에 따른 관리의 일상적이고 조정적인 업무가 중심이 됨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일관적인 틀에서 성과관리를 위한 기준이나 평가를 하지 않고 성과관리의 틀에서 재정집행상의 효과성, 능률성, 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분야별로 차별화된 전략을 세워서 이를 달성하려는 노력을 겸비할 필요가 있겠다. - 앞선 집행과정의 분석 중 정책집행연구에 대한 통합적 분석을 시도하면서 정책변수, 집행변수, 환경변수로 구분한 틀을(Alexander, 1985) 변용하여, 정책내용 변수, 정책집행조직 변수, 외부적 맥락 변수, 정책유형 변수의 4가지로 나뉘어 고찰하고, 이중에서 외부적 맥락 변수와 정책유형 변수는 정부의 재정성과제고를 위한 외생변수로써 자체적으로 통제 불가능하므로 이를 제외한 정책내용 변수와 정책집행조직 변수를 중심으로 재정집행의 성과제고를 고찰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복지분야와 IT 분야의 근본적인 특성에 비추어 동일한 기준을 가지고 비교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정책내용 변수와 정책집행조직 변수의 일부분을 가지고 차별적으로 성과관리를 통한 재정집행의 효율성 및 효과성을 고양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연구 분석과정과 연구분석틀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분석과정과 틀에 따른 연구방향은 다음과 같다. 분야별로 차별화된 재정집행상의 성과관리를 고찰할 것이다. 이 때 정부업무의 모든 분야를 다루기에는 시간적으로 연구인력상 한계가 있으므로 IT분야와 복지분야를 중심으로 이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Ⅱ. 주요 연구문제와 분석 결과 □ 연구분석의 범위로는 복지정책과 IT 정책에서 실시하는 재정집행상의 효과성 및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재정운용 계획수립, 재정사업현황수행, 집행실적, 재정성과, 성과평가, 성과환류의 과정과 재정성과의 연계성을 중심적으로 분석한다. 이러한 분석을 위하여 재정집행 및 성과관리에 대한 문헌연구 및 장단점 논의, 해외 주요국 재정집행 효율성 및 재정성과 제고에 관한 사례분석, 우리나라의 복지 및 IT 분야의 성과관리체계에 대한 분석, 그리고 마지막으로 정부부처 내의 재정 및 IT 관련자 및 전문가에 대한 면접조사 및 설문조사를 실시한다. ○ 사회복지정책 성과관리의 경우, 본문에서 사회복지정책의 성과관리에 대해 다각적으로 분석한다. 특히 재정성과관리의 의의, 문제점, 재정평가의 문제점 등 성과관리의 전반적인 논의를 하였으며, 이에 덧붙여 복지분야의 재정성과관리가 산출지향적 정부업무분야의 성과관리와 달라야 하는 이유를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복지성과관리의 특이성을 논의하면서 사회복지 성과관리에 대한 제반 시각들, 복지재정사업 성과관리의 정책적 맥락, 사회복지재정의 현황과 성과관리의 쟁점을 훑어보았다. 동시에 설문을 통해 복지정책의 재정성과관리시의 현황과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설문응답의 결과분석을 통하여 앞선 복지정책 분야의 성과관리는 수요자 중심의 관리가 필요하며 다양한 복지의 특성인 수혜자와 중앙과지방간의 연계 등이 중요한 문제임을 확인하였음. 따라서 보편적인 성과관리의 틀과 기준과 복지정책의 정책운영상의 차이가 나타났다. -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복지부분의 재정성과관리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중앙정부의 경우 기관이 조직의 근무분위기를 해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특별히 가진 문제점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광역자치단체도 동시에 `동료간 경쟁심화로 인한 업무애로`라는 문제점을 제외하고는 적절히 성과관리를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계획이나 성과정보, 다른 정부기관과의 연계성에서 좋은 점수를 나타내어 활발하게 성과관리체계를 개선시켜왔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기초자치단체의 경우에는 계획 평가관리 및 개선이라는 보든 단계에서 다른 두 그룹의 정부보다 열악한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이러한 부분에 대한 고려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복지세부분야별로 비교해분 결과분석에 의하면 분야별 영역에서 문제점 및 각각의 성과관리체계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노인분야의 경우, 중장기 계획과 목표연계성은 낮으나, 최근 성과관리체계의 구추 및 개선을 위한 노력에 많이 행해짐을 알 수 있다. 가족 및 여성 복지의 경우, 비교 대상이 되는 국내외 유사 사업의 성과(실적)정보의 부족 현상을 제외하고는 전반적으로 성과평가와 평가결과의 활용을 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IT분야의 성과관리의 경우, 가치성보다는 조직관리적인 측면이 보다 강조되고 집중되므로 이에 따른 차별적 성과관리가 뒤따라야 재정집행의 성과제고가 나타날 것으로 분석되었다. 구체적으로 재정집행과정과 운영에서 정보화 수명주기인 전략기획, 정보체계획득, 조직성과 및 조직의 문화적ㆍ구조적 맥락, 관리과정의 사용자 특성과 시차요인을 고려한 성과관리가 수행되어야 한다. 동시에 국가정보화 전략기획의 시스템 변화로부터 현 정보화 성과평가체계를 분석한 결과, 역사적인 시각에서 `온나라시스템`을 중심으로 조직의 성과관리 차원에서 과제관리, 문서관리, 일정관리 지시사항관리, 회의관리, 유관시스템 연계의 순으로 관리되는 측면을 부각할 때 성과개선효과가 기대된다. IT 분야의 성과관리의 경우, 각 온나라시스템이 각 기관의 시스템과 유기적으로 연계된 상황에서 업무기능에서 집행기능보다는 계획 수립 등의 의사결정 기능 위주로 이용되고 있었음에도 기획위주의 시스템으로 전환할 때 조직성과관리가 제고되고 동시에 성고관리가 고양될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위해 동시에 조직문화가 성과관리 개선을 지향하는 것으로 바뀜과 동시에 예산효율성을 고양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필요가 있으며, IT 분야의 온나라시스템을 통한 성과관리 고양을 위한 전략으로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분석도구에 대한 확충이 요청된다. Ⅲ. 정책대안 □ 본 연구의 정책대안은 성과관리의 재정성과 간의 연계성 및 효과성 증진을 위하여 복지정책과 IT 정책 분야로 각각 나누어 제시한다. ○ 사회복지정책에서 성과제고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으로 - 첫째, 사회복지서비스의 성과관리체계 재정립이 필요함. 즉 성과관리체계의 일반적인 접근방식들을 사회복지서비스 분야에 표준적으로 적용하는 것은 의도하지 않은 부작용을 창출할 가능성이 많음에 따라 정부는 성과관리시 복지분야 특성을 고려한 성과관리체계 세분화 전략이 필요하다. - 둘째, 복지정책의 구조적 특성을 고려한 성과관리체계 재정립이 요청됨. 사회복지서비스는 구조적으로 가치지향적인 특성이 있기 때문에 성과관리의 일반적인 원칙들이 적용되기 곤란한 측면이 많으므로, 복지정책의 정치 경제적 성격들이 최대한 고려되면서 현실적으로 운용 가능한 성과관리체계를 모색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와 동시에 성과목표와 성과지표의 괴리를 축소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또한 사회복지정책에 대한 전략적인 성과관리체계가 구축되기 위해서는 복지서비스 사업의 세부분야별 또는 개별사업별 정책기조가 구체적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 셋째 성과관리는 기본적으로 5년 정도의 중기 기간에 실천 가능한 계획에 바탕을 두면서 중범위 수준에서 운용되는 프로그램이 현실적 적합성이 높음에 따라, SOC 등의 경제정책 분야와 달리 사회정책에서는 복합적인 가치편향 때문에 사회복지정책이 지향하는 궁극적인 가치는 상당히 장기적인 시각에서 설정되거나 추상적 수준이 높은 것이 많기 때문에 장기 비전계획보다는 5년 정도의 기간에 한정된 중범위의 전략계획이 중요하다. 셋째, 재정사업의 성과관리와 정책의 성과관리의 분리 운영이다. 사회서비스들은 가치지향성 및 정치성 때문에 물리적 SOC 사업과 달리 분절적인 개별 사업들이 지향하는 정책결과를 창출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고려하여야 한다. 현재 정책을 “부문(impact)-프로그램(outcome)-단위사업(output)-세부사업(process)”의 체계로 계층화할 때 성과관리는 프로그램 수준에서 결과지향적인 성과지표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 반면, 개별적인 단위사업의 단순 합계가 프로그램의 결과로 환산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재정사업과 성과관리의 분리를 고려하여야 한다. - 넷째, 복지성과관리를 위한 프로그램 단위에서 재원배분에 대한 재량 수단의 확보를 고려하여야 하며, 집행과정에서 재량을 확대하고 구체적 결과에 책임지는 성과관리 구조로 전환될 필요가 있다. 특히 조직 자체적으로 전략적인 성과관리를 수행할 수단이나 재량권이 없는 가운데 주어진 목표에 대한 결과에 대한 책임을 요구하는 경우는 지양되어야 한다. - 다섯째, 복지정책의 프로그램 운영에 있어서의 문제점인 조직단위(실, 국, 과) 중심으로 구조를 지양하고 정책기능별 관련성이 매우 밀접한 정책과 단위사업 간의 계층체계가 확립되어 종합적인 성과관리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한 대안으로 공통적인 성과관리틀이 필요한 부문과 지역적인 차이를 가지는 부문 즉 지역의 우선순위가 높은 부문의 사업을 추려서 지역의 특성에 따른 성과관리안을 고려할 수 있다. 첫 단계로 지방지자체의 정책집행자는 성과관리를 위한 자율재량과 책무를 동시에 부여받으면서 실질적인 의미에서 복지정책의 정책집행에서의 구심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구조가 되어야 한다. 이런 노력이 차별화된 지역의 요구에 부응하는 양질의 사회복지사업을 구현하는 길이며 동시에 합리적인 중앙과 지방정부 모두 수용가능한 재정성과정보의 산출하는 방안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여섯째, 분권지향적인 정부간 복지재정 성과관리체계 구축을 통해, 복지정책에서는 중앙과 지방간 유기적인 업무체계가 형성될 수 있도록 재원과 지침, 기능에서 합리적인 재조정이 필요함. 즉 재원과 지침 설계에서 중앙정부의 역할이 크지만 일선창구에서의 집행관리와 모니터링 그리고 수요자 중심의 보육프로그램 개발은 지자체와 지역사회의 주도적 참여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전국적인 표준화된 성과관리가 강조되는 기초생활보장 서비스와는 달리 지역의 다양성과 전국적인 정책의 일관성을 조화시켜 지방의 다양성과 복지서비스에서 지역 간의 격차 조정이 양립할 수 있는 복잡한 성과관리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중앙정부는 국가 전체의 시각에서 전략 기획으로 접근하지만 지방정부는 중앙정부와 광역자치단체의 재원을 중심으로 상위정부가 결정해 둔 정책수준을 일선에서 집행하는데 많은 행정관리 비중을 집중할 필요가 있다. - 일곱째, 복지성과를 위한 전략 영역에서 특별회계 운영이 요청됨. 일반회계중심으로 운영되는 복지정책의 성과관리체계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전략적인 사업 영역에서는 관련 재원을 관리하는 회계양식을 변경할 필요가 있으며, 전략 사업 영역에서 특별회계나 기금 방식을 도입하여, 사회복지정책 분야에서는 사회적 가치를 상징화 혹은 선언하고 다양한 갈등구조들을 희석하는 차원을 벗어나 명시적인 성과목표와 전략계획을 구체화하는것이 재원의 마련을 통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회복지서비스의 전반적인 특성을 인정하면서도 사회분야에 전략적으로 대응해야 하는 특수한 상황에 맞게 일반회계 중심의 성과관리 틀에서 몇 가지 예외로서 특별회계와 기금을 설치ㆍ운영하는 방안의 도입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 다음으로 IT 분야에서 성과관리 제고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은 점을 고려하여야 한다. 정치적인 흐름과 무관하게 조직성과관리를 위한 도구로써의 온나라시스템이 기능할 수 있도록 BRM의 기본적인 구조를 유지할수 있어야 하는 점이 지적된다. 또한 지방과 중앙간의 업무표준화를 통한 정보화분야의 성과관리가 고양되도록 공통업무표준을 개발해야 한다. 업무의 효율화 및 효과성 극대화를 위해 수요자 중심의 IT 시스템으로 바뀔 필요가 있으며, 정보의 적시성있는 제공을 위한 전략으로 의사결정의 고도화를 추진하면, 추진된 정보화 사업을 기관별도로 산발적인 것이 아닌 포괄적이고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통제타워로서 정부기관의 조직화가 필요하다. - 시스템의 활용목적에 있어서는, 공무원들은 주로 일상적인 업무처리와 부서내외부와의 업무협조 및 문서전달을 위해 온나라시스템을 활용하고 있었으며, 그 외 업무상 의사소통이나 의사결정 및 지식관리를 위해서도 다소 활용 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공무원들이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기능은 전자결재와 메모보고이다. 특히 전자결재는 거의 항상 활용하고 있으며 간단한 의견수렴이나 공지사항 전달을 위해 메모보고도 자주 활용하고 있었고 과제관리기능도 종종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일정관리, 회의관리, 지시사항관리 등의 기능은 활용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주로 업무나 과제의 계획을 수립하거나 의사결정을 위해 온나라시스템을 자주 활용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에 비해 일정관리나 지시사항관리와 같은 집행위주의 업무를 위해서는 온나라시스템을 상대적으로 덜 활용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 온나라시스템의 만족도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이와 일치하는 부분을 알 수 있으며, 온나라시스템의 기능별 만족도에서 다른 기능들에 비해 전자결재와 메모보고기능에 대한 만족도가 다른 기능들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공무원들이 위의 두 기능이 업무에 가장 유용하다고 느끼는 반면 다른 기능들은 업무처리에 상대적으로 도움이 덜 되는 것으로 느끼고 있다는 해석이 가능함에 따라, 전자결재와 메모보고 이외의 다른 기능들을 업무처리의 편의 다른 제고할 수 있도록 개선하거나 담당자의 업무의 에 따라 온나라시스템을 기획위주의 버전과 집행위주의 버전으로 구분하여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시스템자체 품질에 대한 만족도에 있어서는, 시스템의 안정에 있어서는 만족도가 높은 반면 각 기관의 자체시스템들과의 연계성과 기관의 에 따른 온나라시스템의 맞춤형 변경에 있어서는 만족도가 낮게 나타난 점을 고려하여야 한다. 이것은 온나라시스템이 각 행정기관의 기존에 운영하던 자체시스템들과 완전히 연계될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하며 기관의 특성에 따라 시스템을 맞춤형으로 일부 변경할 수 있도록 허용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함. 따라서 이를 위하여 온나라시스템의 주관기관은 반드시 활용해야 할 기능과 변경이 가능한 기능의 표준들을 정립하여야 할 것이다. - 온나라시스템은 조직의 의사결정과정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제고하는데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나라시스템의 활용에 따라 조직의 의사결정에 대한 일반직원의 접근성이 증가하고, 의견수렴과정이 간소화되며, 의사결정의 속도가 빨라지고, 의사결정의 합리성이 제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결재대기시간이 단축되고 의사결정의 투명성을 제고하는데 큰 기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의사결정의 산출물의 품질을 제고하거나 불필요한 회의를 감소시키는 효과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으로 미루어 볼 때, 온나라시스템은 의사결정과정의 결과물의 품질을 제고하기 보다는 의사결정과정의 절차적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큰 것으로 파악된다. 또한 불필요한 회의 감소에 영향을 주지 못한 측면은 정보체계의 성과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이에 걸맞는 조직문화와 관행의 변화관리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아무리 좋은 정보체계가 도입된다 하더라도 기존의 병리적인 관행이 바뀌지 않으면 정보체계가 제공하는 긍정적인 성과영향을 구현할 수 없는 것을 고려하여야 한다. - 온나라시스템에 의해 정부조직의 지식관리과정이 크게 향상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온나라시스템을 도입함으로써 업무관련 지식정보를 더 많이 획득하게 되고, 보직변경에 따라 소멸되던 전임자의 노하우와 지식이 보존되며, 후임자가 이를 열람하여 신속히 업무를 파악하게 되고, 업무지식을 체계적으로 축적하고 객관화하여 공유하는 효과를 가져 온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에서도 많은 공무원들이 보직순환에 따라 소실되던 업무지식의 보존과 후임자의 업무파악에 온나라시스템이 특히 큰 도움을 주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온나라시스템이 기획 및 예산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다소 상반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온나라시스템이 기획프로세스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가져 온 반면 예산과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키지는 않는 것으로 파악된다. 즉 기획과정에 있어서는, 온나라시스템을 활용함으로써 기획업무를 위한 정보자료에 대한 접근성이 크게 향상되고, 기획업무가 간소화되고 그 유연성이 증대함. 또한 기획업무처리에 소요되는 시간이 절감되고, 기획업무처리에 있어 오류와 실수의 감소함으로써 기획업무의 품질이 제고되고 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온나라시스템은 기획업무과정 전반의 효율성, 생산성, 효과성을 증진시키는데 기여하고 있다. 그러나 기획과정의 분석력과 예측력을 증가시키는데 있어서는 온 나라시스템이 특별한 효과를 가져 오지 못하였다는 점으로 고려하여야 한다. 그 이유는 온 나라시스템이 일반적인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이 지원하는 정보의 분석기능들을 내장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따라서 온 나라시스템의 분석기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조직내 의사결정지원 시스템과 연계시키거나, 또는 의사결정지원을 위한 분석도구들을 추가할 필요가 있다. 이에 비해 예산과정에 있어서는 온나라시스템이 확실히 긍정적인 성과를 가져오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예산과정에 대한 기여도를 측정하는 다양한 잣대들에 의한 판단결과 긍정적인 평가와 부정적인 평가가 거의 같은 수준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명확한 판단을 유보하는 공무원들도 다수이다. 단지 예산업무를 위한 정보자료의 접근성에 대해서는 온나라시스템이 명백히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이와 같이 부정적인 결과는 예산업무가 고도의 전문성과 분석을 필요로 하는 특수분야 이므로 일반적인 기획과 업무처리를 체계화하는 온나라시스템이 기여할 수 있는 바가 약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판단된다. - 이명박 정부의 출범으로 정보화전략기획 및 추진체계의 틀이 다시 구성되었다. 현재는 국가정보화 전략위원회가 컨트롤 타워로서 강력한 권한을 가지고 정보화 사업 전략을 마련하고, 그 추진과정의 성과를 평가할 수 있도록 새로운 기회가 형성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한국의 정보화사업평가 방법 및 체계 역시 기존의 틀을 개선하여 현실성 있는 것으로 제도화할 필요가 있다. 이제까지의 정보화 사업평가는 각 기관에서 실시하는 자체평가의 형식성, 정보화 사업이 성과목표와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성과지표 및 척도가 개발되고 이에 따라 관리되지 못한 점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정보화사업의 평가결과를 기획재정부에 통보하여 차년도 예산편성에 반영하는 과정에서도 예산편성에 필요한 정보와 정보화사업평가정보간의 괴리로 인하여 정보화 성과관리와 예산과정이 효과적으로 연계되지 못하였다. 또한 정보화사업의 평가 편람이 가지는 한계와 평가결과에 따른 후속조치의 미비로 전반적으로 정보화 사업의 성과평가는 그 실효성을 가지지 못하고 형식주의화 되어 있는 실정이다. - 정보화사업은 사업의 특성상 기술적인 측면과 활용적인 측면을 동시에 고려하여 추진하여야 한다. 기술적인 측면에서의 정보화사업은 업무의 효율성과 능률성을 중심으로 각 부처나 개인단위의 업무를 동일한 기준으로 분석, 전산화함에 따라 실제 사용자의 의견이나 업무스타일, 필요성 등이 배제된 상태에서 동일 기준을 통한 정부부처 내/간의 구조적인 연결성은 강화시킬 수 있으나, 업무의 연계성이나 업무전략과 부처전략 간의 연계성, 그리고 예산결정에서의 다양한 측면과 업무와 예산 간의 연계성 등을 고려한 종합적인 측면을 반영하는 데 한계가 있는 것으로 지적된다. - 특히 본 연구의 분석대상인 모든 정부부처를 대상으로 구축, 시행중인 온 나라 시스템의 경우 각 부처의 업무에 대한 면밀한 분석과 시스템 구축을 통한 부처의 업무간 연계성 강화 및 예산과 같이 종합적인 분석이 필요한 정보화 사업에서의 운영상의 문제점 및 구축 당시 BPM과 같이 세부적인 업무검토 및 다른 업무와의 연계성을 조직단위에서 종합적으로 세밀하게 검토하지 못한 것이 온나라 시스템을 통한 업무와 예산 간의 연계성을 중심으로 의사결정과 이어지지 못한 원인으로 지적된다. -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보화사업계획의 수립단계에서부터 조직의 성과목표와의 연계성을 확립하고 정보화사업의 성과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사업단계별 성과지표와 척도를 개발하여 사업의 수명주기 전반에 걸쳐 지속적으로 정보화 성과관리를 실시하도록 제도화해야 한다. 특히 기존의 정보화 평가는 주로 사업단위의 예산집행 및 사업추진을 통한 시스템 구축측면을 중심으로 판단한 한계가 있으므로, 재정사업 단위로 평가되고 있는 현재상황을 고려하여 업무와의 연계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정보화 지표의 마련 및 운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I. Research Background and Objective □Background of the Research ○Performance evaluation of public finance is a changing discipline. As governmental evaluation systems change, the implications for financial performance information do as well.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governmental activities should not neglect public finance and budgeting. To take full advantage of the evaluation system, scholars and students always should pay careful attention to performance budgeting and financial accountability. In some sense, their work has been successful in setting a more simplified structure of performance evaluation rather than implementing the flexible performance system in practical detail. ○However, they often overlook the particular features of individual governmental work and function. In other words, Korean governments are disproportionately stuck in the earlier stages of performance evaluation, which is intended to make a monolitic evaluation tool that can help review all the functional policy areas in government. ○One of the well- known problems in Korean governments is that they have failed to consider the differential aspect of individual government function. This perspective includes some criticism on the relevancy of use data, evaluative tools, and evaluation processes. When governments try to overcome the weaknesses in financial management, their actions toward an integrated evaluation system are not adequate to accomplish an effective financial performance measurement tool. In particular, there has been no consideration of how to review governmental performance that cannot be brought into the overall performance system. □Objective of the Research ○In this regard, the study aims to provide governmental agencies with an alternative to a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for financial performance. In consideration of public financial efficiency with respect to specific features of each policy area, this study started with the basic idea that a current financial evaluation system should not be designed for tracking and reviewing the entire functional area of governmental service. ○This study covered the broad scope of a performance system and provided an alternative way of viewing financing accountability, one that has not previously been within the realm of policy implementation. A critical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a new way of looking at performance evaluation. II. Main Research Questions and Analysis Results □In the main body of this project, most chapters are devoted to explaining the problems of the current financial system, performance budgeting, finance implementation theory, and model. Furthermore, the separation of an evaluation system tailored to each governmental function area - especially Welfare Policy and Information Technology Policy - is extensively discussed. Given the discrepancy between a monolithic evaluation system and separated evaluation system, performance data are needed to transition to a new evaluation system that will highlight performance information of real situations and performance accountability. ○As a result, this research was organized as follows: ○Chapter I outlined the whole structure of this project and raised a key question. ○Chapter II examined theoretical models in performance evaluation with respect to performance budgeting, performance management, financial evaluation, and study model. This chapter also introduced the current financial performance system, focusing on the Financial Assessment Rating Tool and the problems of a departmental performance system. This chapter gave special emphasis to the connections of performance evaluation, financial management, and budgeting in government. ○Chapter III reviewed traditional performance evaluation in the Social Welfare function and provided new dimensions with improvement systems such as a voucher system, so- called intergovernmental fiscal relations, welfare fiscal project, welfare performance information, financial discretion, and special accounting. In this chapter, the results for better financial performance were drawn from on- site and on- line surveys of public employees in the subareas of Social Welfare policy. ○Chapter IV focused on the individual performance system dealing with information lifetime, IT multi- dimensionality, and organization context, centering on the On- Nara e- government system for performance evaluation. Surveys of system users or public employees were utilized. In Chapters III and IV, an effective and relevant way of evaluating an agency`s financial performance that has a different meaning for policy implementation was considered. ○Chapter V summarized and discussed the lessons and policy proposals for a better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and its implications for individual policy areas. Individual performance factors in each realm should be associated with the particular features of a policy nature -per se- and policy implementation. Making a heterogeneous performance system can help government and its employees work better and become more satisfied with the results. III. Policy Recommendations □The analysis of individual functional areas such as Social Welfare and Information Technology in government provides the following implications: ○Performance information should facilitate a linkage between budgeting and evaluation. ○Performance evaluation in social welfare should be aligned with a goals system involving integrated visions and objectives in financial efficiency. ○Performance evaluation in IT should face no significant cultural impediments in public organizations. □More specifically, the current financial statement and performance review could neither disclose the actual quality of agency performance nor provide an overall picture of the financial efficiency in the government and its agencies. Thus, a new strategy is requested to enable scholars and related persons to measure financial performance more comprehensively and accurately by reviewing performance information in individual policy areas. In the meantime, the conclusion drawn from the analysis is that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output- oriented policy areas should not be applied to those of non- output- oriented realms. □There has been a noticeable incongruence in accepting the ramifications from performance evaluations, even though the government employed the same measurement tool to review policy implementation. This implies that in government a comparability- centered evaluation approach of financial performance evidently has more weaknesses than a functionalcentered evaluation approach. □However, all of the above proposals are insufficient to assure that performance evaluation and consequent evaluation are the most efficient and accountable. Some obstacles in performance evaluation could arise over the years to hinder progress. An alternative evaluation approach based on each policy- tailored performance measurement contains a detailed and proper review and evaluation. So, it should be realized that the implementation of desirable performance management should not be a short- term effort. In summary, it is necessary that all concerned scholars and individuals pay serious consideration to making a differentiated approach to evaluating performance in their respective policy spheres, accordingly as individual policy is implemented.

      • KCI등재

        공기업 경영실적 평가 결과가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윤인경,문두철 한국정부회계학회 2016 정부회계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2011년부터 2014년까지 93개의 공기업 표본을 대상으로 경영실적 평가 결과가 재무제표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공기업 경영실적 평가는 공기업의 매년도 경영노력과 성과를 평가하는 제도이다. 평가 결과가 평균이하인 공기업에 대해서는 경영평가 성과급의 미지급 및 예산 감액 등의 패널티가 주어지며 정부의 사후관리를 받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년도에 평균에 못 미치는 경영실적 평가 등급을 받은 기관의 경영자가 당해년도의 재무제표 항목에 대해 이익조정을 행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해 발생액 이익조정과 실제 이익조정의 측면에서 실증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 전년도 경영실적 평가 결과로 평균 미만인 D나 E등급을 받은 경영자는 당해년도 재무제표에 대하여 재량적 발생액 이익조정 및 영업현금흐름 실제 이익조정을 적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추가 분석을 통해서는 전전년도의 경영실적 평가 결과가 C등급이상이면서 전년도에 경영실적 평가 결과가 D 또는 E등급인 공기업이 그렇지 않은 공기업보다 당년도의 이익조정을 더 많이 감소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기본분석에서 전년도 경영실적평가가 좋지 못한 공기업의 경영자가 이익조정을 적게 하고 있음을 확인했다면 추가분석에서는 경영실적 평가의 결과가 나빠진 공기업의 경영자가 이익조정을 감소시키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를 종합하면 경영실적 평가 결과가 좋지 못한 공기업에 주어지는 패널티 및 정부의 사후관리로 인해 해당 공기업의 경영자는 다음 해의 재무제표 항목에 대해 이익조정을 적게 하게 되고, 이에 따라 공기업 재무제표의 투명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공공기관 경영실적 평가 결과에 주목하여 경영실적 평가등급에 따른 상벌 및 사후조치가 공공기관의 투명한 회계를 유도하고 있음을 실증분석 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또한 공기업 경영실적 평가 결과에 따른 정부의 사후조치의 유효성을 일부 검증하였으므로 정책적으로도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 evaluation results and earnings management using data of public enterprises. There have been few studies analyzing earnings management practices in public enterprises. Cha and Kim (2010) show that managers of public enterprises manage earnings to avoid loss, as like profit-corporations. Yoon (2013) suggests that managers of public enterprises have incentives to manage earnings for maximizing compensation and minimizing tax. Chung et al.(2013)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 measure characteristic and a manager’s incentive to manage earnings using data of public enterprises. Our study focuses on earnings management incentives based on results of performance evaluation conducted by government. The sample includes 93 firm-years from 2011 to 2014 selected based on the availability of financial data and government performance evaluation result. The government performance evaluation assesses annual management performance and operating system of public enterprises. The government performance evaluation is performed by the committee that receives a delegation of government. Based on government performance evaluation result, public enterprises getting a good rating (as grade S, A, B or C) receive bonus payment and budget increase, but public enterprises getting a poor rating (as grade D or E) receive no bonus payment and penalty; budget reduction, recommendation for removal of CEO, and submission of management improvement plan. Under the reward and punishment system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this study hypothesize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 evaluation result and a manager’s earnings management. First, we investigate whether a manager of public enterprises receiving poor ratings conducts accrual-based earnings management. The discretionary accruals are estimated using the Modified Jones Model suggested by Dechow et al. (1995). The results show that the manager of public enterprises receiving poor ratings decreases income-increasing accrual-based earnings management, supporting our first hypothesis. Second, we examine whether a manager of public enterprises receiving poor ratings conducts real activity-based earnings management. We use Roychowdhury’s model (2006) to measure the magnitude of real earnings management. The results show that the manager of public enterprises receiving poor ratings reduces income-increasing earnings management using real activities (abnormal operating cash flow), providing evidence partially consistent with our second hypothesis. As an additional test, we examine whether a manager of public enterprises receiving good ratings from the year before last evaluation and the poor ratings from last year evaluation conducts accrual- and real activity-based earnings management. The results show that the manager of such public enterprises reduces both accrual-based earnings management and income-increasing earnings management using real activities (abnormal operating cash flow) more than others. This result means that the manager reduces much more earnings management when public enterprises' performance evaluation ratings become worse than before. Such behavior of managers is caused by characteristics of government performance evaluation which assesses not only financial performance of public enterprises but also management transparency, policy implementation, and other non-financial factor. Thus, managers of public enterprises which received poor ratings on government performance evaluation cannot improve the evaluation result by income-increasing earnings management. The results above show that government performance evaluation grade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income-increasing earnings management and managers of public enterprises pay attention on government performance evaluation result. Public enterprises receive rewards or penalty and get subsequent review from government as a result of the evaluation, and managers of public enterprises receiving poor ratings are committed to fair and transparent management, rather than income-increasing earnings management.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focusing on performance evaluation conducted by the government and analyzing empirically that manager’s earnings management can be affected by the grade of performance evaluation. In addition, the study has policy implications in that it validates the purposes of performance evaluation in order to promote a fair and transparent management of public enterprises.

      • KCI등재

        한문과(漢文科) 질문형(質問型) 수행평가(遂行評價)의 운영(運營)과 그 성과(成果)

        송영일 ( Young Il Song )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2009 漢字 漢文敎育 Vol.22 No.-

        中等學校 漢文은 `2007 개정 한문 과목 교육과정`에서 중학교는 재량선택 교과에, 고등학교는 교양 선택과목 군에 속해 있다. 새 敎育課程에서 漢文이 선택 교과인 점을 고려하여 漢文科 敎育은 교육 수요자의 관심과 요구를 적극 반영해야 하며, 지식 생성력을 배양하는 교육이 될 수 있도록 교육적 역량을 强化해야 한다. 本 硏究는 `漢文科 質問型 遂行評價의 運營과 그 成果`에 대한 現場 硏究物로써, 제1, 2차 년도의 設問調査 結果를 中心으로 요약·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效果的인 授業 活動을 가능케 하였다. 敎授·學習 活動 中 유창성과 융통성, 비지시성, 명확성, 효율적 의사소통 면에서 교육적 성과를 낳았다. 둘째, 學習動機와 興味 誘發에 효과적이었다. 학습내용 면에서는 지식·이해와 문제해결력 등에, 학습태도 면에서는 학습자의 동기와 흥미 유발에 敎育的 效果가 높았다. 셋째, 遂行評價의 役割을 强化하였다. 旣存 漢文科 遂行評價는 대부분 한자쓰기와 수업태도 등에 비중을 두고 운영한 사례가 많았다. 본 연구에서는 질문기술 개발과 다양한 질문유형 등을 활용하여 학습자의 능동적 수업 참여와 흥미도를 높여 수행평가의 역할을 强化하였다. 漢文科 敎育에서 質問 授業은 敎科 敎育의 立地를 더욱 견고히 해 줄 수 있으며, 授業의 質을 한 차원 끌어올릴 수 있는 原動力이 되어 줄 것이다. 특히 漢文科 質問型 遂行評價는 교수·학습 방법과 수행평가에 대한 竝行 硏究로, 第7次 改正 敎育課程期 수요자 중심 교육에 순응하고 학습자의 흥미와 호기심을 자극하여 교수·학습의 효과를 倍加시킬 수 있는 최적의 授業 模型 硏究라는 점에서 그 意義는 매우 크다. The question-answer type of performance evaluation of Sino-Korean subject is the combination of question-answer classes and performance evaluation, and is the synthetic observation and evaluation of the responses and thinking process of learners, such as understanding, problem-solving capability, and creativity of the Sino-Korean classes of learners. It was progressed in the order of the whole rangle of planning and application, and input and operation of the question-answer type of performance evaluation of Sino-Korean subject.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s,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the effect and problems, and the strength and weakness in terms of the contents, methods, and evalu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of the question-answer type of performance evalu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for the contents, they can be classified into the contents of Sino-Korean subject and Hanja phrases besides the subject. the question-answer type of performance evaluation was implemented, focusing on the phrases besides the subject in 1st year, and on the contents of the subject in the 2nd year. In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s, the question-answer type of performance evaluation focusing on the phrases showed higher validity and reliability than the contents of the subject. This result shows that the contents of questions and the academic level of learners of that year were not the same as those of the previous year, and when the question-answer type of performance evaluation is conducted only focusing on the phrases, it is required to supplement and have measures as the education course of Sino-Korean subject can be carelessly handled. Second, as for the methods, the question-answer type of performance evaluation was more effective in inducing interest and motivation, attention, the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nd the improvement of problem-solving capability, compared with other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s. In contrast, there was a relatively lower support in the areas of th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and principle of the contents of the subject, and the creativity, arrangement and integration of learners. It seems that the training of question-suggesting techniques of teachers, and the systemic research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can supply the good clues of solving problems. Third, as for evaluati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Sino-Korean subject was mostly made up of the evaluation of writing, attitude, short-query, and portfolio, and the question-answer type of performance evaluation similar to this study was not almost implemented. Seeing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s of 1st, 2nd year on the question-answer performance evaluation, 92.01% of learners answered that it was more effective, compared with other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s, which means that the question-answer type of performance evaluation of Sino-Korean subject is very successful, and the educational availability of the subject in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Sino-Korean subject will increase in the future.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question-answer type of performance evaluation made Sino-Korean subject class vital by stimulating the curiosity of learners, and made learners have interest and confidence in Sino-Korean classes by raising the degree of attending classes of the learners. And also, it created the chances to review and integrate the contents of the study that the learners learned before, and made the need and academic level of students diagnosed. Especially, by controlling the students effectively, it provided the conditions for us to hold the class, and in that it is possible for teachers to evaluate their classes, there is a meaning of this study. However, as it is easy to have a class focusing on the excellent students, difficult to have consistency and integration of thinking, and question items are exposed according to the time difference of classe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liability of evaluation can be dropped. Also, it is not easy to acquire the question-suggesting techniques for proceeding the question-answer type of performance evaluation, and it is required to take complementary measures as the poor operation of the question-answer type of performance evaluation can lower the quality of the class by making the object of subject study unclear, and the education course of Sino-Korean subject can be carelessly handled. With the knowledge-based society of 21C coming on, to make Sino-Korean Subject as a major one which succeeds to and develops our traditional culture and recreates the life and wisdom of ancestors, the position of subject education should be strengthened. Also, to do that, it is necessary for us to seek the improvement in quality of Sino-Korean education through the deepened research and spread of the various evaluation models, such as this kind of the question-answer type of performance evaluation.

      • Evaluation of Performance Capability for Emergency Management in 31 Provinces of China in 2014-2015

        An Chen,Chao Fan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6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학술대회 Vol.2016 No.08

        Performance capability of emergency management refers to the actual performance of the emergency management of an organization, individual or region. The improvement of the government's emergency management capacity is of great significance to the effective response of a country or local emergency. Performance capability evaluation of emergency management for an organization, individual or region can reflect their capability of emergency management, so as to help them make a more clear and comprehensive judgment to the ability of emergency response, enhance the ability of emergency response, promote China’s emergency response capability and reduce the loss of life and property caused by emergency. The report of Evaluation of performance capability for emergency management in 31 provinces of China in 2014-2015 is jointly issued by Public Management Professional Committee in Society of Management Science of China, Ouhua’ antai Risk and Crisis Emergency Research Institute, Emergency Management Institute of Henan Polytechnic University in 21th January, 2016. In the report, firstly, the 10 worst disaster incidents of each province in 2014-2015 are selected, and then every index of the accidents is graded through being analyzed with consulting American evaluation index system for emergency management and the reaction of the different kinds of accidents. At last, the weighted averages of the indexes are worked out. Meanwhile, the performance capability for emergency management in 31 provinces of China in 2014-2015, including precautions, responses and aftermath, is evaluated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from aspects of natural disasters, human disasters and comprehensive performance. Based on it, the relevant performance capability is ranked and classified according to four grades: excellent, good, medium and poor. The evaluation report shows that comprehensive performance of Beijing and other 5 provinces is excellent; comprehensive performance of Jiangxi and other 13 provinces is good; comprehensive performance of Chongqing and other 10 provinces is medium; comprehensive performance of Tianjin and some other provinces is poor. To sum up, the excellent evaluation depends on whether the reasonable measures have been taken and whether the better result have been seen; the good and medium evaluation implies that there is some situation discovered in those provinces, just like the worse results in several accidents and lack of risk consciousness; the others are evaluated for the poor performance capability because of their faults full from the precautions to the aftermath. The report also attracts some friends from domestic mainstream media, such as the Paper, Sohu, China News, Science Net and China Youth Online, who consider that the performance capability for emergency management of China’s provinces is cognized deeply and the feasible blueprint is drawn on improving capability for emergency management in China through the repo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