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육교사에 대한 만 2세 영아의 애착 안정성과 또래놀이 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신동주,김소영 한국보육학회 2018 한국보육학회지 Vol.18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bout 2-year-old infants’ attachment security to a child care teacher and peer play process through a case study. For this purpose, the attachment security was assessed with attachment Q-set to 2-year-old five infants at a day care center in Seoul.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four infants included two infants attached securely to their child care teacher and two infants attached insecurely to their child care teacher. Methods: Participant observation was conducted from April 12 to July 19 in 2018 through 36 observations in free play activities. The Data collected from the transcriptions of video shoots and teachers’ interviews, child care plans, and reflexive journal was analyzed and interpreted. Results: The main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The beginning of peer play, when infants invited their peers to play, secure attachment infants selected suitable play partners and asked for a specific play behaviors. However, insecure attachment infants invited unsuitable play partners and asked uncertainly play actions to peers. In addition, when infants entered in-progress play, secure attachment infants understood the context of play but insecure attachment infants did not understand the context of play. In the progress of peer play, secure attachment infants cooperated with peers, shared play objects, but insecure attachment infants did not cooperate complementally with peers and express only their opinions. As well, insecure attachment infants could not play harmoniously without child care teacher’s interventions. In the end of the peer play, secure attachment infants finished in collaboration with peers but insecure attachment infants failed to finish with the peers and was turned into play with the child care teacher because of peer conflict.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has implications for basic resources to think about the role of child care teachers by helping them understand about the relation 2-year-old infants’ attachment security to them and peer play process.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에 대한 만 2세 영아의 애착 안정성과 또래놀이 과정을 사례 연구를 통해 탐구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가정 어린이집을 다니는 4명의 만 2세 영아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참여한 영아들은 애착 Q-set를 통해 측정한 보육교사에 대한 애착 안정성에서 안정애착과 불안정애착을 형성한 영아 각각 2명이었다. 본 연구는 2018년 4월 12일부터 7월 19일까지 36회에 걸쳐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참여관찰을 하였다. 비디오 촬영 전사본, 교사 면담 전사본, 보육계획안, 현장 일지 등이 분석과 해석에 활용되었다. 보육교사에 대한 영아의 애착 안정성과 또래놀이를 놀이의 흐름에 따라 시작·전개·마무리 과정으로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또래놀이의 시작에서 영아가 또래를 놀이에 초대할 때, 안정애착영아는 적합한 놀이 파트너를 선정 하거나 구체적인 놀이 행동을 요구하지만 불안정애착영아는 즉흥적으로 놀이 파트너를 선정하거나 불분명하고 미숙하게 또래를 놀이에 초대하며 서로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었다. 또한 또래가 진행 중인 놀이에 들어가기에서 안정애착영아는 놀이 맥락을 파악하지만, 불안정애착영아는 놀이 맥락에 대한 파악 없이 진행 중인 놀이에 들어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개에서 안정애착영아는 상호보완적으로 협조를 하고 놀잇감을 공유하며 놀이를 진행하였지만, 불안정애착영아는 협조를 하기 보다는 자신의 의사만 표현하고 또래와 놀잇감을 공유하는 것을 어려워할 뿐 아니라 또래갈등이 빈번히 발생함에 따라 보육교사의 중재를 필요로 하였다. 또래놀이의 마무리에서 안정애착영아는 또래와 공동의 끝맺음을 보였으나, 불안정애착영아는 또래와 함께 마무리를 하지 못하고 또래와의 갈등으로 인해 또래놀이가 단절되거나 보육교사와의 놀이로 변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보육교사에 대한 만 2세 영아의 애착 안정성과 또래놀이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도움으로써 보육교사의 역할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 KCI등재

        청소년기 사회적 관계의 영향요인: 공격성과 우울의 매개효과와 성별차이

        손선옥,이봉주 한국청소년학회 2015 청소년학연구 Vol.22 No.10

        The development of social relationships is the most important task of adolescence. It needs to escape from the discussion of the social relations within the fragment influential factors, because youth can develop healthy social relationships when the various systems interact sound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parent attachment, inter-parental violence exposure, child abuse, aggression, depression, community monitoring, and peer and teacher attach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This study analyzed those variables using Structural Equation and Latent Mea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revealed that adolescent-parent attachment did directly affect aggression, depression, peer attachment and teacher attachment. And, inter-parent violence exposure was negative effect on aggression, depression, peer attachment and positive effect on teacher attachment. Community monitoring did directly affect peer attachment and teacher attachment. Also, Aggression was a negative effect on peer attachment Second, In the pathway from inter-parental violence to peer-attachment and parent attachment to peer-attachment, aggression was a partial mediator. Finally, girls had higher latent mean values in peer attachment and depression than boys did.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preventing and increasing attachment were discussed. 사회적 관계의 발달은 청소년기 가장 중요한 발달 과업이다. 다양한 체계가 건강하게 상호작용을 할 때, 보다 긍정적인 사회적 관계로 발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에 대한 논의는 단편적인 영향 요인의 규명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청소년기 사회적 관계를 대표하는 또래와 교사 애착과 부모애착, 부부간 폭력의 노출, 학대의 경험, 지역사회 관리감독, 공격성, 우울의 구조적 관계와 성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청소년패널 초4학년 5차 자료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과 잠재평균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부모 애착은 우울과 공격성을 경감시키고, 또래와 교사 애착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부간 폭력의 노출은 공격성과 우울을 높이고, 또래 애착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교사 애착에는 긍정적인 영향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대 경험은 공격성과 우울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사회 관리감독은 또래애착과 교사애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격성은 또래애착에 부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매개효과를 부트스트랩핑을 통해 검증한 결과, 공격성은 부모자녀애착과 또래애착 경로, 그리고 부부간 폭력 노출에서 또래애착으로 이어지는 경로에서 부분매개가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남녀 청소년의 잠재평균을 살펴본 결과, 우울과 또래애착에서 여학생이 더 높은 잠재평균을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복지 실천에 대한 시사점과 논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학령기 남아와 여아의 또래애착에 미치는 부/모애착과 거절예상의 영향

        민하영,이영미 한국인간발달학회 2012 人間發達硏究 Vol.19 No.4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father/ mother attachment and rejection expectation on school-age boys' and girls' peer attachment.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275 school-age children in Daegu and Gyeongbok Province. The data thus collected were analyzed by means of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s, using the SPSS PC(15.0 ver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School-age children's peer attachment showed manifestly different results for boys and girls. Additionally, the level of school-age boys' peer attachment was lower than the level of school-age girls'. (2) Both father attachment and mother attachment amongst school-age children'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peer attachment for boys and girls. (3) School-age children's rejection expectations had a negative influence on peer attachment for boys and girls. (4) The explanatory power of school-age boys' father attachment and rejection expectation on peer attachment,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school-age boys' mother attachment and rejection attachment on peer attachment were rather higher than the explanatory power in the case of school-age girls'. (5) School-age children's rejection expectations were more powerful in relation to father attachment for boys and girls. School-age children's rejection expectations were more powerful in relation to mother attachment for boys but for not girls.

      • KCI등재

        성별과 학년에 따른 청소년의 부모 애착, 또래 애착과 낭만 애착

        주은지 한국청소년학회 2011 청소년학연구 Vol.18 No.4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he degrees of parent, peer, and romantic attachments according to gender and age-specific groups in adolescence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arent attachment and romantic attachment on peer attachment as a mediator. Participants were total of 454(155 middle schooler, 159 high schooler, 140 college students) students who completed questionnaires. Results showed that girls had higher peer attachment scores than boys. As for the age differences on attachment styles, parent attachment and peer attachmen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age-specific groups except for the romantic attachment. Generally, college students had higher scores on parent attachment and peer attachment than other age-specific groups. Finally, parent attachment exerted influence on adolescents' romantic attachment by full mediation of peer attachment. Thus, secure attachment with parent enhanced peer attachment which in turn had the total mediation effects of securing the romantic attachment level. The suggestions,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본 연구의 주목적은 성별과 학년별로 청소년의 부모 애착, 또래 애착 및 낭만 애착의 차이를 탐구하는 데 있다. 나아가 부모 애착이 낭만 애착에 미치는 영향이 또래 애착에 의해 매개되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를 위해 총 454명(중학생 155명, 고등학생 159명, 대학생 140명)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여학생은 남학생보다 또래와의 애착 정도가 높았으며, 낭만 애착을 제외한 부모 애착과 또래 애착은 학년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대학생이 다른 학년의 청소년들보다 부모 애착과 또래 애착의 정도가 모두 높았다. 마지막으로, 부모 애착은 또래 애착을 매개로 청소년의 낭만 애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또래 애착은 부모 애착과 낭만 애착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안정된 부모 애착은 또래 애착을 향상시키고, 이렇게 향상된 또래 애착은 안정된 낭만 애착을 향상시키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도 논의 되었다.

      • KCI등재

        초기 청소년기의 부모 및 또래애착과 애착의 변화

        황창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6 한국청소년연구 Vol.17 No.1

        본 연구에서는 후기 아동과 초기 청소년의 부모애착과 또래애착 정도를 알아보고 학년별, 성별로 부모애착과 또래애착의 차이를 탐구하였다. 나아가 아동과 청소년이 애착의 기능을 충족시키기 위해 또래를 선택하는 예측변인을 밝히려고 하였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297명의 아동과 청소년을 표본으로 선정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부모애착 정도는 후기 아동에서 초기 청소년으로 성장하면서 낮아지고, 여자가 남자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하지만 또래애착 정도는 학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고, 성별로는 여자가 남자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초기 청소년은 후기 아동에 비해 애착의 세 가지 기능을 충족시키기 위해 부모보다 친구를 선택하는 비율이 높았다. 애착의 기능을 위해 또래선택을 예측하는 변인은, 부모에 대한 애착이 약할수록, 그리고 또래에 대한 애착이 강할수록 그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학년과 성은 애착의 세 가지 기능 가운데 근접추구 기능과 편안한 천국 기능에서는 주요 예측변인이었으나 안전기저 기능에서는 유의미한 예측치가 아니었다. This study tried to explore the degrees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s among age- and sex-specific groups in late childhood and early adolescence. Additionall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actors predicting the selection of peer to satisfy the attachment functions. A sample of 297 fourth, six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second grade middle school student completed two measures assessing attachment to parents and friends. Parent and peer attachment, age and sex predicted the selection of peer to satisfy the various attachment functions. Students who had less parental attachment and more peer attachment were more likely to select peers to fulfill attachment functions. However, grades and sex had produced mixed results in predicting the selection of peers.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부모애착, 동료애착 및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고영남 안암교육학회 2011 한국교육학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청년 후기의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부모애착, 동료애착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를 규명하고, 대학생의 애착과 주관적 안녕감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대학생 366명을 대상으로 부모애착, 동료애착, 주관적 안녕감 검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부모애착, 동료애착 모두 긍정적으로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신의 삶에 대해서는 약간 불만족하는 반면에, 긍정적 정서는 약간 많이 경험하고 부정적 정서는 적게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애착과 동료애착에 대한 지각 수준은 남학생과 여학생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삶의 만족도와 긍정적 정서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정적 정서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애착, 동료 애착 모두 주관적 안녕감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삶의 만족도와 부정적 정서를 예언하는 애착으로는 부모애착인 것으로, 긍정적 정서를 예언하는 애착으로는 부모애착과 동료애착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별에 따라 부모애착과 동료애착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은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학생의 주관적 안녕감에는 부모애착과 동료애착이 함께 영향을 미치는 반면, 여학생의 주관적 안녕감에는 부모애착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대학에서 학생들을 지도·상담할 때 지도교수나 상담자는 학생들의 성별을 고려하여 부모와 맺고 있는 애착관계는 물론 동료들과의 애착관계를 면밀하게 파악하여 학생들의 안녕감을 증진시켜야 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parent, peer attachment and subjective well-being in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were 366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he college in Chungbuk province, Korea.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and the Scale of Subjective Well-Being.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 significant sex differences in parent and peer attachment. This study supported recent literature in finding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gender effects for parent or peer attachment. Second, the female students reported lower levels of subjective well-being. This phenomenon may be explained by prior research indicating men had higher positive affect and life satisfaction than women among college youths. Third, both attachment to parent and peer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ubjective well-being(life satisfaction,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This result was consistent with the literature finding that parent and peer attachment were related to emotional adjustment and well-being. Finally, A number of studies have investigated whether attachment to parent or attachment to peer is more influential on adolescent well-being. Most studies have found that parent attachment is more influential on adolescents' well-being than peer attachment. But the result of this study found that parent attachment and peer attachment contribute to different areas of college students' subjective well-being.

      • KCI등재

        초등 5학년 남녀아동의 또래애착 유형에 따른 개인발달과 발달환경의 차이

        이유리(Lee Yu Ri),박은정(Park Eun Jung),이성훈(Lee Sung H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2

        The present research aimed to classify the peer attachment of fifth year male and femal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o several distinct types, and to grasp the features of peer attachment types, focusing on personal development(self-esteem, school grades) and developmental environment(family environment, peer environment, educational environment, community environment, and media environment). Data used for this study came from the 2014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in which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a total of 2,110 fifth graders(1,084 boys and 1,026 girl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The peer attachment of male and female elementary students was classified into four types designated as stable peer attachment, low communication and trust, peer attachment alienation, and unstable peer attachment. For both male and femal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sonal development(self-esteem, school grades) and developmental environment(parents abuse and neglect, parents attitude toward peers, school life adjustment, community awareness, a sense of community, and mobile phone dependency) variable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y type of peer attachment. Furthermore, for male students, play time with peers on non-school days and time of private institution/tutoring on school day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whereas for female students, time in private institution/tutoring on non-school days, time spent on computer/game console entertainment on school days, and time spent on computer/game console entertainment on non-school days revealed a significant difference. The research findings provides specific information about gender differences in peer attachment typ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specialized educational programs to promote peer attachment.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5학년 남녀아동의 또래애착을 유형화하고, 또래애착 유형의 특징을 개인발달(자아존중감, 성적)과 발달환경(가정환경, 또래환경, 교육환경, 지역사회환경, 매체환경)을 중심으로 파악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를 달성하기 위하여 2014년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원자료 중 초등학교 5학년(남학생 1,084명, 여학생 1,026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남녀 초등학생의 또래애착 유형은 또래애착 안정형, 소통&신뢰 부족형, 또래애착 소외형, 또래애착 불안정형의 네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남자 초등학생은 또래애착 유형에 따라 개인발달(자아존중감, 성적)과 발달환경(부모의 학대, 방임, 친구에 대한 부모의 관심, 비등교일 또래놀이시간, 학교생활적응, 등교일 학원/과외시간, 거주지역인식, 공동체의식, 휴대전화의존도)의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여자 초등학생은 또래애착 유형에 따라 개인발달(자아존중감, 성적)과 발달환경(부모의 학대, 방임, 친구에 대한 부모의 관심, 학교생활적응, 비등교일 학원/과외시간, 거주지역인식, 공동체의식, 휴대전화의존도, 등교일 컴퓨터/게임기오락시간, 비등교일 컴퓨터/게임기오락시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남녀 초등학생의 또래애착 유형별 구체적인 정보와 더불어 또래애착을 증진시키기 위한 세분화된 교육 및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부모와 또래에 대한 애착이 청소년의 아정체감과 성의식 발달에 미치는 영향

        안권순,송국범,이원용 한국청소년학회 2014 청소년학연구 Vol.21 No.9

        본 연구는 부모와 또래에 대한 애착이 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성의식 발달 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청소년들의 부모에 대한 애착과 또래에 대한 애착의 정도에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성별과 학년 및 부모와 또래에 대한 애착 특성에 따라 자아정체감 발달 수준에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성별과 학년 및 부모와 또래에 대한 애착 특성에 따라 성의식 발달 수준에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자는 중ㆍ고등학생 424명(중학생 211명, 고등학생 213명)이었다. 본 연구의 조사도구는 IPPA(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자아정체감검사(Ego-Identity Scale) 및 성 발달평가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빈도분석, t-검증 ,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부모와 또래애착은 자아정체감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중요하다. 둘째, 청소년기의 부모와 또래애착은 성의식 발달 수준에 지대한 영향을 준다. 셋째, 청소년기의 다양한 또래집단, 이성 친구, 부모와의 관계는 자아정체감과 성의식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주기 때문에 성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통하여 성과 관련된 다양한 발달 과업을 완수하여 자신의 자아정체감을 확립할 권리가 있으며 사회는 이들이 건전한 자신의 성적 발달과업을 이루도록 적극적으로 도와주어야 한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청소년의 부모와 또래에 대한 애착은 자아정체감과 성의식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주기 때문에 성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본다.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how difference of developmental level for self identity and sexuality consciousness for parent and peer attachment of adolescents. To fulfill this purpose, this study sets following questions. First, how difference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for adolescents? Second, how difference of attachment characters and self identity for sex, grade, parents and peer attachment? Third, how difference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according to sexuality developmental level for sex, grade, parents and peer attachment? This study investigates 424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 city, C-do. They are consist of 211 middle school students and 213 high school students. For measurement, this study uses IPPA(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Ego-Identity Scale and Sexuality Developmental Evaluation Scale. Then the collected data are gone through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analysis of variance(ANOVA) for further analysis. This study comes up with following conclusions. First, adolescents period is important to effect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for adolescents. Second, the effect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of sexuality developmental level for adolescents. Third, adolescents period is need appropriate identity establishment and right understanding for sexuality value.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it would be efficient to change consciousness to sexuality developmental level for self identity and sexuality consciousness for parent and peer attachment of adolescents.

      • KCI등재후보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또래애착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박윤조,김영미,송하나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19 복지상담교육연구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ays to improve school adaptation, which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for the quality of lif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dlf-esteem, peer attachment, and school adaptation and the mediating role of peer attachment in the effects of children’s self-esteem on school adaptation. The 633 children of elementary school in the 10th year (2017) of the Children’s Panel were selected. The results showed that children’s self-esteem, peer attachment, and school adaptation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Children’s self-esteem was found to affect both peer attachment and subadaptation of school adaptation. Peer attachment affects peer adaptation and teacher adaptation, and trust in peer attachment affects school life adaptation, academic performance adaptation, and peer alienation affects academic adaptation, peer adaptation, and teacher adaptation. Appeared to affec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ng role of peer attachment in the influence of children’s self-esteem on school adaptation, it was found that communication and trust played a full or partial role in school life adaptation, academic performance adaptation, and peer adaptation during peer attachment. Alienation was found to play a full or partial role in school adaptation, peer adaptation, and teacher adaptation. These findings help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peer attachment in children’s self-esteem. 본 연구는 초등학교 시기 아동의 삶의 질에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인 학교적응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아동의 개인요인인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또래와의 상호작용에서 발생하는 또래애착, 그리고 학교적응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또래애착의 매개역할을 살펴보았다. 아동패널 10차년도(2017년) 자료에서 초등학교 3학년 63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아동의 자아존중감, 또래애착 및 학교적응은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자아존중감은 또래애착 및 학교적응의 하위변인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또래애착의 의사소통은 또래적응, 교사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또래애착의 신뢰는 학교생활적응, 학업수행적응에, 또래애착의 소외는 학업수행적응, 또래적응, 교사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의 또래애착의 매개역할을 살펴본 결과, 또래애착 중 의사소통과 신뢰는 학교생활적응, 학업수행적응, 또래적응에 완전 혹은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소외는 학교생활적응, 또래적응, 교사적응에 완전 혹은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아동의 또래애착의 중요함을 인식하게 한다.

      • KCI등재

        초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과 우울의 관계에서 교사애착과 또래애착의 매개효과

        김미선,정현희 한국청소년학회 2017 청소년학연구 Vol.24 No.1

        This study observed relations between marital conflicts between parents as perceived by early adolescents and depression, teacher attachment, and peer attachment and it attempted to verify whether teacher attachment and peer attachment act as mediating factors in the relation between marital conflicts between parents and depression. For this study, data was collected from 390 early adolescents from ages twelve to thirteen (grades five and six) using scales for marital conflicts between parents, teacher attachment, peer attachment, and depression.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and the significance of mediating effects was verified using the Sobel tes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effects of marital conflicts between parents as perceived by early adolescents on teacher attachment, peer attachment, and depression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Secondly, teacher attachment partially mediated in the relation between marital conflicts between parents as perceived by early adolescents and depression. However, peer attachment showed no mediating effects. Thirdly, teacher attachment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marital conflicts between parents as perceived by early adolescents and depression through peer attachment. Such results show the need to consider marital conflicts between parents in the home as well as teacher attachment and peer attachment in school in th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of depression in early adolescents. In particular, teacher attachment can be an important factor in the depression of early adolescents by working as a protective factor. Lastly, proposals were made for future studies based on these study results. 본 연구는 초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과 우울, 교사애착, 또래애착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교사애착과 또래애착이 부모의 부부갈등과 우울의 관계에서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12세-13세의 초기 청소년(초등학교 5, 6학년) 390명을 대상으로 부모의 부부갈등 척도, 교사애착 척도, 또래애착 척도, 우울 척도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되었으며, Sobel test를 통해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초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이 교사애착, 또래애착, 우울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애착은 초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과 우울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또래애착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교사애착은 또래애착을 통하여 초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과 우울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초기 청소년의 우울에 대한 예방과 개입 시 가정에서 부모의 부부갈등, 학교에서 교사애착과 또래애착을 함께 고려해야할 필요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교사애착은 보호요인으로 초기 청소년의 우울에 중요한 매개변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