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교사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 유형 연구

        성경환,권동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0

        목적 본 연구는 의사소통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초등 교사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의 유형은 어떠한지 탐색하는데 있다. 방법 교사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 유형 연구를 위해 본 연구는 인간 행동을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과 인간의 행동 및 심리 과정을과학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는 교육의 철학적⋅심리학적 통합적 접근 방법으로서 실시되었다. 위르겐 하버마스와 사티어의 의사소통 이론적 탐색을 바탕으로 교사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 유형에 관한 문헌연구를 하였다. 결과 많은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교사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 유형이 교사의 성격적 특성에 중점을 둔 개인적 측면에 초점이맞추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하버마스와 사티어의 의사소통 이론적 탐색과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에 관한 선행연구들에 따른 비언어적 행동 요소의 분류를 통해 교사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은 교사 개인적 측면뿐만 아니라 사회⋅환경적 맥락에 대한 고려의필요성에 따라 나타나는 행동양상을 크게 두 가지 유형인 신체언어형과 환경 언어형으로 구분하였다. 하위요소로 신체움직임, 신체감각, 목소리 등의 신체기관을 수단으로 하는 신체언어형 의사소통 행동유형과 물리적인 시간 및 공간, 인공적 상징, 사회체계를 하위 요소로 하는 환경 언어형 의사소통 행동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결론 초등학교 교실이라는 맥락에서 기존의 연구들이 교사의 의사소통 행동 유형이 어떠한가를 살필 때 우리의 시선은 교사 개인의성격적 특성에만 초점이 맞추어진 연구들과 언어적 의사소통 행동과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의 빈도를 측정한 연구들이 많았다. 비언어적 의사소통 체계의 복잡성 및 그 요소들의 범위가 매우 넓어 유형화 하기 어려웠던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실시된 본 연구에서는하버마스와 사티어의 의사소통 이론을 바탕으로 교사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비언어적 요소들을 공통적인것들로 구분하고 교사의 의사소통 행동 유형은 신체를 가진 교사 한 개인의 특성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개인이 몸담고 있는 실제삶의 맥락인 학교, 교실, 수업, 상황이라는 시⋅공간적 환경의 통합적인 관점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Objectives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ypes of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based on communication theory.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philosophical and psychological integrated approach to education that can scientifically support various perspectives on human behavior and human behavior and psychological processes for the study of teachers'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al types. Based on the communication theoretical exploration of Jurgen Habermas and Satir, a literature study was conducted on the types of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s of teachers. Results Looking at many previous studies, the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s of teachers focused on the personal aspect with emphasis on the teacher's personality traits. In this study, the teacher's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 was considered not only in the personal aspect of the teacher but also in the social and environmental context through Habermas and Satir's communication theoretical exploration and classification of nonverbal behavioral factors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on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 The behavioral patterns that appear according to the necessity of children were divided into two types: body language type and environment language type. As sub-elements, body language type communication behavior types using body organs such as body movements, body sensations, and voices, and environmental language type communication behavior types using physical time and space, artificial symbols, and social systems as sub-elements. classified. Conclusions Conclusion When looking at the types of communication behaviors of teachers in the existing studies in the context of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our gaze is focused on the teacher's individual personality trait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verbal communication behavior and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that have measured the frequency. In this study, which was conduct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that were difficult to categorize because the complexity of the nonverbal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range of its elements are very wide, based on the communication theory of Habermas and Satir, various nonverbal elements appearing in the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 of teachers were identified as common. In addition to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an individual teacher with a body, the teacher's communication behavior type is an integrated perspective of the temporal and spatial environment of school, classroom, class, and situation, which are the real life contexts in which the individual is involved. will have to be understood as.

      • KCI등재

        고기능 자폐장애 청소년과 아스퍼거장애 청소년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특성

        서경희 ( Gyeong Hee Seo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3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9 No.1

        본 연구는 고기능 자폐장애 청소년 10명과 아스퍼거 장애 청소년 3명 총 13명을 대상으로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에 대한 지식과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 고기능 자폐장애 청소년과 아스퍼거 장애 청소년 집단은 연령과 성을 맞춘 일반 청소년 집단과 비교했을 때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들이 평정한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에서는 문제가 만연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비음성적 행동문제가 준언어적 행동문제 보다 더 심각하였다. 준 언어적 행동에서는 음성 크기, 반응 타이밍, 속도, 리듬, 발음, 억양의 순으로 문제의 정도가 심했고, 비음성적 행동문제에서는 부적절한 시선, 얼굴표정, 몸짓/손짓, 신체적 거리의 순으로 문제의 정도가 심하였다. 이러한 특성에 근거한 중재방안에 관한 논의와 후속연구에 대한 제안이 이루어졌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knowledge and the characteristics of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s of adolescents with high functioning autism(HFA) or Asperger disorder(AS). Thirteen adolescents with HFA and AS disorder and thirteen with typical development(TD) between 14-19 years of age were engaged in testing knowledge of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s. The mean scores of knowledge about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s were compared between groups using t-test. The adolescents with HFA or AS disorder showed less knowledgeable about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s than adolescents with TD. Ratings of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s in adolescents with HFA or AS disorder were completed by their mothers through the 10 items of Pragmatic Rating Scale. The 10 pragmatic behaviors are categorized into two groupings: (1) Paralinguistics behaviors which concern the form of speaker production; (2) Nonvocal behaviors which concern the physical behaviors that accompany speech, such as gestures, facial expressions, physical distance, and gaz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blems of nonverbal behaviors were substantially prevalent in adolescents with HFA or AS. Data for qualitative analyses were collected through the use of questionnaire, semi-structured interviews, and observations. The analysis showed a high degree of problems with most of the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s in HFA or AS adolescents but the degree and the type of problems were individually different. This result showed an individualized approach to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s would be greatly beneficial.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practice to improve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s in adolescents with HFA or AS are made.

      • KCI등재

        생활체육 골프지도자의 비언어적 행동과 참여자의 참여동기 및 구매 후 행동의 관계

        전민식 ( Jeon Min Sik ),최관용 ( Choi Kwan-yong ) 한국체육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2020 스포츠사이언스 Vol.38 No.2

        이 연구는 생활체육 골프지도자의 비언어적 행동과 참여자의 참여동기 및 구매 후 행동 간의 관계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S시 소재의 골프 연습장을 이용하는 생활체육 골퍼 170명에게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통계 프로그램 SPSS 22.0 Version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자료를 처리하였다. 첫째, 생활체육 골프지도자의 비언어적 행동은 참여자의 참여동기에 부분적으로 정적(+),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생활체육 골프지도자의 비언어적 행동은 참여자의 구매 후 행동에 부분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골프참여자의 참여동기는 구매 후 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양한 생활체육 종목 중 골프를 선택한 참여자의 동기와 행동을 충족시켜주기 위해 지도자의 비언어적 행동을 중점으로 접근하였으며, 지도자의 몇몇 행동이 참여동기와 구매 후 행동의 영향을 준다는 것을 밝혀냈지만 비언어적 행동만 가지고 골프지도자의 모든 행동을 대변한다고는 할 수 없을 것이다. 이에 지도자의 다양한 행동을 세분화하여 면밀하게 분석해 보는 것은 매우 가치 있는 과정이 될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port golf instructors' nonverbal behavior and participants'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post-purchase behavior.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70 golfers who use the golf practice ground in Seoul,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program through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irst, life-sport golf instructors' nonverbal behavior partially had a positive or negative effect on participants' participation motivation. Second, the former's nonverbal behavior partiall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latter's post-purchase behavior. The third, the latter's participation motivation had no effect on their post-purchase behavior. In order to satisfy the motivation and behavior of participants who selected golf among a variety of life-sport events, this study focused on the behavior of instructors who instructed them. Although the findings show that some behavior of instructors' nonverbal behavior has an effect on participants' post-purchase behavior, they do not mean that only golf instructors' nonverbal behavior represent such a relation. It may be thus very valuable to more closely analyze instructors' behavior, suggesting that a further study reflecting the findings is wararnted.

      • KCI등재

        수업 중에 나타나는 학생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에 대한 교사의 경험과 감정·정서 인식

        조규락,이정미 한국교원교육학회 2015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2 No.1

        본 연구는 수업 중에 학생들이 하고 있는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에는 어떤 것들이 있으며 이를 교사가 경험하고 있는지, 이를 어떤 감정으로 인식하고 있는지, 그리고 감정상태의 정도 는 배경변인별로 차이가 나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고등학교 현직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고, 비언어적 행동의 보편적인 4가 지 유형인 신체언어, 공간적 행위, 유사언어, 가공적 행위로 나누어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학생들이 수업 중에 행하는 긍정적인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과 부정 적인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 총 22개를 확인하였는데, 교사들은 1개를 제외한 모든 영역에 서 이러한 학생들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들 의 긍정적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에 교사들이 인식하는 감정상태는 기쁨이 압도적으로 많았 으며, 부정적인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에는 화남, 불쾌함, 놀람 등의 감정상태를 느끼는 것 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생들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에 대해 교사들이 느끼는 감정상태의 정도는 배경변인별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연구의 중요한 시사점으로는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은 수업목표 달성에 필수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 수업을 위한 정서와 감정에 대한 연구에 기초가 될 수 있다는 점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students’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s in class, to reveal teachers’ experiences on the identified students’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s, and to empirically analyze their emotions and feelings when experiencing the nonverbal behaviors, depending upon their varied background variables. For this purpose, the study conducted survey research, the subjects of which were current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Statistical analysis was also conducted depending upon the four types of nonverbal behaviors, including kinesics, paralanguage, proxemics, and artifacts.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twenty-two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s including both positive and negative ones identified students act in class and almost all the teachers experienced these behaviors. Second, teachers overwhelmingly felt joy on the students’ positive nonverbal behaviors. In contrast, they felt anger, disgust, and surprise on the students’ negative ones. Finally, the study showed that the degrees of their feeling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upon their varied background variables.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re that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s should be considered to be an important factor in order to achieve instructional goal and that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the foundation for the research on emotion and feeling for an instruction.

      • KCI등재

        인문,사회과학편 : 공무원 연수 체육프로그램지도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참여자의 스포츠몰입 및 지속적 참여행동의 관계

        이호열(HoYoulLee),박재우(JaeWooPark) 한국체육학회 2012 한국체육학회지 Vol.51 No.4

        본 연구는 공무원 연수 체육프로그램 지도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nonverbal communication)과 참여자의 스포츠몰입(sports immersion) 및 지속적 참여행동(continuos participation behavior)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수원소재 지방행정연수원 장기과정에 참여하고 있는 연수생 중 유의표집법을 이용하여 체육프로그램에 일관되게 참여하고 있는 참여자 219명의 설문자료를 실제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한 모형검정과 직·간접 효과 및 간접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은 도출하였다. 첫째, 공무원 연수 체육프로그램 지도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은 참여자의 스포츠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둘째, 체육프로그램 참여자의 스포츠몰입은 지속적 참여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셋째, 공무원 연수 체육프로그램 지도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은 참여자의 지속적 참여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넷째, 체육프로그램 참여자의 스포츠몰입은 지도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참여자의 지속적 참여행동 사이에 매개역할을 한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ports program instructor’s nonverbal communication of training program for public officials, participants’ sports immersion and their continuos participation behavior. To achieve this, 219 surveys were collected by using purposive sampling from participants who enrolled in long-term course at Local Government Officials Development Institute which is located in Suwon, Gyeonggi-do. The model test through structural equating model analysis and the significance test of direct and indirect effects were conducted by using SPSS 18.0 and AMOS 18.0 programs,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as follows. First, nonverbal communication of sports program instructor for public official has a positive(+) effects in participants’ sports immersion. Second, sports immersion of participants in PE/sports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s in continuos participation behavior. Third, nonverbal communication of sports program instructor for public official does not have a positive(+) effects in continuos participation behavior. Fourth, sports immersion of participants in PE/sports program plays a mediating role in between nonverbal communication of leaders and continuos participation behavior of participants.

      • KCI등재

        관광전공자를 위한 행동적 취업면접훈련이 면접행동에 미치는 영향 - K대학 항공서비스과 학생을 대상으로 -

        한의진 한국관광학회 2011 관광학연구 Vol.35 No.1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if a behavior interviewing training of tourism major students influences on their interviewing behavior. Based on a review of related literature, the interviewing behavior was conceptualized in terms of verbal communication, articulative communication, and nonverbal communication Data for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64 airline service major students at K college and pre-to-post test was used to examined the effects of behavior interview training on the three dimensions of the students interviewing behavior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behavioral interview training significantly enhanced interviewee’s verbal, articulative and nonverbal communication skills. Results of this study also suggest that additional skills such as mock interview, role play, and feed back by visual data such as viewing interviewee’s own mock interview should be included in the training. 신규 일자리가 늘어나지 않으면서 청년층의 실업률은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대학의 취업률이 중요한 과제로 여겨지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항공사, 호텔, 테마파크 등 서비스업에 취업을 원하는 대학생들에게 행동적 면접훈련이 면접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행동적 면접훈련이 면접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면접행동을 체언적, 음성적, 내용적 등 세부분으로 나누어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집단면접을 통해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면접훈련은 2년제 K대학 항공서비스과 학생들을 연구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행동적 취업면접훈련이 면접행동, 즉 체언적 행동, 음성적 행동, 내용적 행동에 높은 향상을 보인다는 것을 증명하였고, 실제 대학 강의현장에 적용한다면 취업면접행동 향상에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결론을 이끌어냈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대학 취업지원센터 등에서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취업캠프 등이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모의면접, 역할극, 비디오피드백 등 행동적 취업면접훈련이 포함되어야 함을 나타냈다.

      • KCI등재

        간호사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위에 대한 정신질환의 경험

        박정원 대한간호학회정신간호학회 2000 정신간호학회지 Vol.9 No.1

        This study was designed to understand the nature of the experiences of the psychiatric patient about nurses'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to contribute to nursing knowledge development about nurse-client domain by phenomenological method. The research participants consisted of the 6 psychiatric patients who hospitalized in closed psychiatric unit. In this study, the main data was created with by second analysis of the interviewing data on the experiences of the psychiatric nurse-patient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interviewing period is from June, 28 to september. 5, 1999.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follow : The first essential themes of psychiatric patients' experiences of about nurses'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re warmth. Psychiatric patients experienced warmth through nurses' nonverbal behaviors: nurse's facial expressions, smiles, eye contacts, eye expressions, voice tones, ways of talking and gestures. And Psychiatric patients revealed their thoughts and feelings when had been feeling them accepted by the nurse through nurse's active listening behaviors. The second essential theme is being aloof, psychiatric patients experienced of rejecting by nurses when nurses wouldn't understand their suffering and adjusted patients to their views and needs, and to be driven cornered and communicated by the direct authoritative manner. In views of this result, nurse's therapeutic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s improves psychiatric nurse-patient interpersonal Relationship.

      • KCI등재

        자연적 언어 중재가 발달지체 유아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에 미치는 영향

        서안우 ( An Woo Seo ),노진아 ( Jin A Noh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5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7 No.4

        이 연구는 자연적 언어 중재가 발달지체 유아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을 증진시키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통합유치원 특수학급에 재학하고 있는 발달지체 유아 3명을 대상으로, 중재의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대상자 간 중다 기초선 설계를 활용하였고, 기초선, 중재, 유지 순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서 자유 선택 활동 시간에 기초선, 중재, 유지 기간 동안의 유아 행동을 비디오로 녹화한 후 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자연적 언어 중재는 참여 유아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을 증가시켰으며, 중재가 종료된 후에도 향상된 행동은 유지되었다. 이 연구는 자연적 언어 중재를 실시하여 발달지체 유아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을 증가시켰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naturalistic language intervention on young children`s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s. A multiple baseline design was used for three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enrolled in a special class of integrated kindergarten.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phases were introduced subsequently.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s of participants were analyzed after recording their behaviors during free-choice activiti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naturalistic language intervention increased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s of 3 young children and maintained increased behaviors after one week later of intervention termination.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naturalistic language intervention used in inclusive setting had a positive effect on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s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 KCI등재

        지역사회환경 관련 스크립트를 이용한 사회극 놀이 프로그램 적용 : 장애아동의 표현언어와 비구어적 의사소통 행동을 중심으로

        강경숙,최세민,박숙현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2010 놀이치료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지역사회 환경관련 스크립트를 이용한 사회극 놀이 활동이 장애아동의 표현언어와 비구어적 의사소통 행동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것이다. 연구대상은 G시에 위치한 장애인복지관 이용 아동들이며, 연구기간은 9주간, 주 3회, 총 25회기 동안 사회극 놀이활동을 진행하였다. 표현언어 검사는 아동이 대화에 기여한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상대방과 음성언어를 산출하여 발화수와 대화지속 횟수를 이용하였으며, 비구어적 의사소통행동은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을 언어로 표현해야 되는 상황에서 구어 대신 비구어적 행동으로 표현하는 횟수를 관찰하였다. 스크립트를 이용한 사회극 놀이를 실시한 결과 장애아동의 발화는 점차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비구어적 의사소통행동은 점차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장애아동이 각 상황에 맞는 스크립트를 습득하게 됨으로써, 다음 순서의 활동을 예견하여 각 사회극 놀이 활동에 어려움 없이 참여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으로 보여진다. 이를 통해 자발적인 발화와 타인과의 대화지속 횟수가 증가하게 되었고, 말 대신 사용한 비구어적인 의사소통 행동은 감소하게 되는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온 것으로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ociodramatic play by community-centered scripts on the expressive language and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children who used a welfare agency in the city of G. The selected children were engaged in sociodramatic play in 25 sessions during a nine-week period of time from January 5 to March 6, 2009, three times a week. To assess the expressive language of the children, the total number of utterance was measured according to modified method and the frequency of lasting dialog was checked, which was adjacency pair analysis to evaluate the level of children's contribution to conversation in their study of communicative interaction. And an inventory used study of the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employed to assess their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 The structured environments of the script-based sociodramatic play allowed the children to perform the activities in an interesting and familiar manner, and a supply of reinforced intervention for expressive language and of behavioral intervention suitable for each situation provided an opportunity for them to keep interacting with one another and express themselves through language. In addition, they were encouraged to have interest in something common, and that contributed to bolstering their expressive language and cutting down on negative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

      • KCI등재

        경륜지도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신뢰, 운동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정수(Lee, Jeong-Soo),조현익(Cho, Hyun-Ik),김치범(Kim, Chi-Bum),김대근(Kim, Dea-Keun) 한국체육과학회 2017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6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rack Cycle instructors’ nonverbal communications on the trust and exercise behavior. For this study, th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athlete who enrolled at the track cycle racing training centers located in Seoul, Kyunggido, Kyungsangdo by using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mong the total of 300 trainees, 264(88%)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Windows for SPSS 21.0 and AMOS 18.0. Descriptive statistic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rack cycle instructors’ nonverbal communication factors has positive effect on Trust, but Appearance Language among nonverbal communication was not effect on trust. Second, Track cycle instructor’ nonverbal communication was not effect on Excise behavior. Third, Trust was positive effect on Excise behavi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