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교사의 도덕성 구조 모형 검증

        이지혜(Jihye Lee) 한국교육심리학회 2015 敎育心理硏究 Vol.2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도덕성에 대한 통합적 접근 이론을 주장한 Blasi(1980)와 Rest(1986)의 이론을 바탕으로 도덕성 구조 모형을 세워 예비교사에게 가장 적합한 모형을 찾고, 구체적인 영향력을 밝히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충북에 소재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 303명이며,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과 선행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설정한 3개의 가설모형 중 도덕적 민감성이 도덕 판단에는 직접적인 영향력이 없으며, 도덕 판단을 제외한 도덕적 민감성, 도덕 동기, 도덕 성격이 도덕 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구조인 가설모형 3이 χ²=425.315(df=82, ρ=.000), RMSEA=.068, GFI=.903, AGFI=.910, TLI=.923, CFI=.932, NFI=.929, AIC=512.058로 적합도 지수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나 이를 최종모형으로 선정하였다. 둘째, 최종모형의 각 경로를 구체적으로 분석한 결과, 예비교사의 도덕적 자아, 도덕적 민감성, 도덕 동기, 도덕 성격모두 유의한 직접적인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중 도덕적 자아의 영향력이 가장 큰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덕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를 상세 분해한 결과, 유의한 경로 중도덕적 자아가 도덕적 민감성과 도덕 성격을 통해서 도덕적 행동에 이르는 경로의 간접적인 영향력이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도덕적 판단과 민감성, 동기, 성격 등의 통합된 도덕성을 기르더라도 도덕성이 진정한 인간의 일부로 흡수되기 위해서는 자아와의 통합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most appropriate model for pre-service teachers by establishing a morality structure model based on the Integrative Framework theory by Blasi and Rest on morality, and to discover its influencing power in detail.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303 pre-service teachers at a university in Chungbuk, and the study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ly, among the three hypotheses models set in this study based on the results from preliminary studies, moral sensitivity and moral judgment were shown to have no influence on each other, and hypothesis model 3, which was that apart from moral judgment, the other three factors of moral sensitivity, moral motive, and moral personality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moral behavior, had a suitability index of χ²=425.315(df=82, ρ=.000), RMSEA=.068, GFI=.903, AGFI=.910, TLI=.923, CFI=.932, NFI=.929, AIC=512.058; hence it was selected as the final model. Secondly, as a result of detailed analysis on each of the pathways of the final model, it was shown that the moral self, moral sensitivity, moral motive, and moral personality of pre-service teachers all had a direct significant influence, and amongst these the moral self had the biggest influencing power. Also, as a result of running a detailed analysis of the indirect impact on moral behavior, it was shown that among the significant pathways, the one which involved the moral self reaching moral behavior through moral sensitivity and moral personality had the biggest indirect influencing power. Based on these results, in order to enhance the standards of moral behavior in pre-service teachers, there is a need to make evaluations from diverse aspects and approach this from an integrative perspective without stressing single variables.

      • KCI등재

        청소년 도덕지능 검사도구 타당화

        김혜진(Kim, Hyejin),이경정(Lee, Kyungjung),김옥분(Kim, Okboon),이영주(Lee,Youngju) 한국열린교육학회 2010 열린교육연구 Vol.1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the Moral Intelligence Checklist(MIC) by Borba (2001) for adolescents in Korea. The factors and items of this checklist were developed and categorized based on the conceptual model of Borba (2001) which consists of 70 items. MIC were performed with 304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Gyeonggi and Gangwon provinces. Data was analyzed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12 items were deleted through the analysis of item goodness. Secondly, it was shown that MIC consists of 7 factors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se factors were empathy, self-control, conscience, respect, kindness, tolerance, and fairness. Thirdly, 42 items were involved with 7 factors in MIC for Korean adolescents wit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Cronbach's α of 7 factors were ranged from .733 to .832 and construct reliabilities of them were ranged from .730 to .840. Finally, the model fit of GFI(.905), NFI(.986), RMSEA(.018) was satisfied wit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본 연구는 Borba(2001)가 제시한 도덕지능 검사도구(Moral Intelligence Checklist: 이하 MIC)의 타당도를 국내 청소년을 대상으로 살펴보고자 서울 및 경기와 강원도에 거주하고 있는 고등학생 304명을 대상으로 MIC를 실시하였다. 문항의 양호도 검증을 통해 12문항을 삭제한 후 탐색적 요인 분석을 실시한 결과, 요인부하량이 .40이하인 5문항과 다른 요인에 교차부하된 11문항이 삭제되어 최종적으로 70 문항 중 42문항이 선정되었다. 도덕지능 검사도구의 구인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구조 방정식모형을 이용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7개 하위요인(공감, 자기통제, 양심, 존중심, 친절, 관용, 공정)이 확인되었으며, 하위요인별 신뢰도(Cronbach α= .733~.832)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최종 선정된 도덕지능 모형의 적합도 지수는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도덕지능 7개 하위 요인의 단일차원성을 측정하기 위해 살펴본 구성개념 신뢰도는 .730~.840으로 만족스럽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도덕지능 특성 고찰 및 청소년의 도덕지능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협동적 의사소통 전략으로서의 도덕과 월드 카페 모형 연구

        이혜진(Lee, Hye-Ji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20 도덕윤리과교육 Vol.- No.66

        협동적 의사소통은 학생 간 상호작용의 구조적 환경 속에서 수평적 대화를 나누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협동적 의사소통이 의미 있는 배움을 가져오고 인성과 삶의 역량을 키워 줄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효과적인 수업 모형으로서 월드 카페 대화법을 활용하고자 한다. 월드 카페에서 대화는 지식을 구체화하고 창조성과 집합적 행동을 이끄는 통찰력을 형성한다. 먼저 협동적 의사소통 전략으로서 네 가지 원리와 월드 카페의 원칙과 단계에 대해 분석한다. 이를 바탕으로 수업 모형으로서 일정한 절차와 구조화된 활동을 설계해 중학교 학생들에게 9차시로 적용하도록 한다. 더불어 도덕 수업에서 월드 카페 모형의 유용성에 대해 설문 결과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협동적 의사소통인 월드 카페를 통해 학생들은 도덕적 이해를 체화(體化)하고 새로운 지식을 구성하며 행동적 가능성을 향상할 수 있다. Cooperative communication is a horizontal dialogue in the structural environment of student interaction. In this paper, we focus on the fact that cooperative communication can bring meaningful learning and develop character and life competencies. We will use the World Café dialogues as an effective instructional model. In the World Café, dialogues form the insights that shape knowledge and drive creativity and collective action. First, we analyze the four strategies of cooperative communication and the principles and steps of the World Café. Based on this, we design a certain procedure and structured activity as a class model and apply it to 9 classes for middle school students.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s the usefulness of the World Café model in moral class through the survey results. The World Café as cooperative communication enables students to embody moral understanding, construct new knowledge and enhance behavioral possibilities.

      • KCI등재

        예비교사의 자기성찰, 자기통제력, 도덕적 정체성 및 도덕적 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이지혜(Lee Ji Hy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교사의 도덕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자아 관련 변인인 자기성찰, 자기통제력, 도덕적 정체성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고, 각 변수의 영향력을 밝히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충북에 소재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 303명이며,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교사의 자기성찰, 자기통제력, 도덕적 정체성 그리고 도덕적 행동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최종모형의 적합도는 χ²=276.677, df=59, ρ=.000, RMSEA=.074, GFI=.901, TLI=.916으로 모두 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예비교사의 도덕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자기성찰, 자기통제력, 도덕적 정체성의 직?간접적인 영향 관계에 대한 타당성이 확보되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예비교사의 도덕적 행동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자기성찰, 자기통제력, 도덕적 정체성을 순차적이고 통합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과정이나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예비교사의 도덕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인 경로를 살펴보면, 자기성찰, 자기통제력, 도덕적 정체성 모두 유의한 직접적인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도 자기성찰의 직접적인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예비교사의 도덕적 행동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가장 우선적으로 자기성찰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어야 한다. 또한 도덕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를 상세 분해한 결과, 유의한 경로 중 자기성찰이 자기통제력을 통해서 도덕적 행동에 이르는 경로의 간접적인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예비교사의 도덕적 행동을 높이기 위해서는 자기성찰을 시작으로 자기통제력을 높여 도덕적 행동 수준을 높이는 방향으로 이끌어가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self-reflection, self-control, moral identity, moral behavior of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these relationships is crucial to enhancing the moral behavior of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nts were 303 pre-service teachers in Chungbuk province. AMOS 20.0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 hypothetical model was fitted to the empirical data(χ2=276.677, df=59, RMSEA=.074, GFI=.901, TLI=.916). Second, th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moral behavior were self-reflection, self-control, moral identity. The most influential direct factor was self-reflection. Further, the most influential indirect factor was the path from self-reflection through self-control.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moral behavior of pre-service teachers, we must design an integrated program to increase self-reflection, self-control, moral identity.

      • KCI등재

        교사의 의사결정권한, 사기·열의, 교사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류신정,강호수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23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2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eacher’s decision-making authority and morale·engagement on teacher efficacy. For this purpose, high school teacher data from the 9th year of the Gyeonggi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GEPS) were used, an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eachers’ decision-making authority have a static significant impact to morale·engagement and teacher efficacy. Secondly, teachers’ morale and engagement have a significant effect to teachers’ efficacy. Third, indirect effect between teachers’ decision-making authority and teachers’ efficacy are significant madiated teachers’ morale and engagement. Based on these findings, we proposed policies necessary to maintain and improve teacher efficacy.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implications in that it proves that supporting teachers’ decision-making authority is a effective way to develop sustainable school education.

      • KCI등재

        중학교 교장의 도덕적 지도성, 교사효능감, 교사공동체성, 교사의 직무만족 간의 구조 관계

        김기석(Kim, Kee-Sun),이윤식(Lee Yun Sik) 한국교육행정학회 2014 敎育行政學硏究 Vol.32 No.2

        이 연구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학교 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 연구 2010」에서 중학교 자료 를 사용하여 학교장의 도덕적 지도성과 교사효능감, 교사공동체성, 교사의 직무만족 간의 구 조 관계를 탐색적으로 살펴보았다. 선행 연구에서 도출된 가설을 중심으로, 학교장의 도덕적 지도성과 교사효능감을 독립변인으로, 교사공동체성을 매개변인으로 설정하였으며, 교사의 직 무만족을 종속변인으로 구성하였다. 이들의 관계가 반영된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정하고 검증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장의 도덕적 지도성이 교사공동체성 및 교사의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 치고 있었다. 둘째, 교사효능감이 교사공동체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나, 교사의 직무만 족에 주는 영향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셋째, 학교장의 도덕적 지도성과 교사효능감이 교사공 동체성을 매개로 하여 교사의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는 학교장의 도덕 적 지도성과 교사효능감이 교사공동체성을 매개로 하여 직무만족에 주는 중요성을 인식하여, 학교장의 도덕적 지도성, 교사효능감, 교사공동체성과 교사의 직무만족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그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는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he principal’s moral leadership, teacher’s efficacy,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teacher’s sense of community by employing the ‘Study of real condition of school education and level analysis’ conducted by The Korea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Based on a hypothesis derived from empirical studies, the current study sets principal’s moral leadership and teacher’s efficacy as independent variables, teacher’s sense of community as mediation variables,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as dependent variables. By utilizing structure equation modeling analysis that refl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the current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results. Firstly, principals’ moral leadership plays a positive role in increasing teacher’s sense of community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Secondly, even though teacher’s efficacy affects teacher’s sense of community positively, the actual influence on teacher’s job satisfaction is not significant. Finally, the principal’s moral leadership and teacher’s efficacy play decisive roles in increasing teachers’ job satisfaction only if these variables were mediated by the teacher’s sense of community. Through the acknowledgement of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o-relations between principals’ moral leadership, teacher’s efficacy, teacher’s sense of community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in an empirical manner.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SNS의 특성과 조직 커뮤니케이션 문화가 군의 사기에 미치는 요인

        강성윤,윤석용,한경석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8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6 No.7

        Previously,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the fraud of employees, internal customers of the company, but there have been a lot of studies on military affairs that are closely related to the improvement of army's combat power.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how communication satisfaction is influenced by the characteristics of SNS. For empirical verification, 240 soldiers were surveyed in this study. The analysis method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SNS characteristic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overall model related to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has a positive impact on military fraud and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has been shown to mediate between army and SNS traits. Through this research, we intend to promote the morale of soldiers by activating communication among group members using appropriate level of social networking. 기업의 내부 고객인 사원들의 사기(Morale)에 대한 연구들은 많이 발표되어 있지만, 군대에서 전투력 향상과 밀접한 역할을 하고 있는 군사기에 관련된 연구들은 많이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SNS의 특성을 통해 커뮤니케이션 만족이 군의 사기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지에 관해 알아보고자 연구하였다. 실증적인 검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군인 24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여 수집된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구조방정식(SEM)을 사용하여 각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 SNS 특성이 조직 커뮤니케이션 만족에 관련된 전체모형에 대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결과가 나타났다. 그리고 조직 커뮤니케이션 만족은 군의 사기에 대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조직 커뮤니케이션 만족은 군사기와 SNS특성 간에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증명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적당한 수준에서의 SNS를 활용한 군내 조직원들의 커뮤니케이션의 활성화를 통해 장병들의 사기를 증진을 도모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