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매거진 디자인의 변화와 디지털 환경에서의 전망

        정희숙 한국기초조형학회 2011 기초조형학연구 Vol.12 No.5

        디지털 환경에서의 책은,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인터페이스 등 디지털 컨텐츠와 디바이스의 개념들이 이식되면서 기존의 시각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쌓아온 연구들과는 무관한 기술적 우월함과 흥미로움이 새로운 미덕이 되어가고 있다. 산업 혁명기에 등장한 매거진은 책에 비해 역사가 짧으면서도 뉴스, 시, 소설, 그림 등의 형식적 유사성이 없는 컨텐츠들을 복합적으로 구성하며 수차례 형식과 내용의 변화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이렇듯 형식적 발달 과정에서 잠재된 내적 하이퍼텍스트 기능과 멀티미디어적 특성은 과소평가되는 경향이 있으며, 전통적인 인쇄매거진에 대한 연구는 전자매거진의 연구로 이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매거진의 역사적인 발달 속에서 하나의 미디어로서 스스로를 개조해 온 과정을 추적함으로써, 인쇄 환경으로부터 전자책 환경으로의 전환에서 나타나는 개념적 간극을 메울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매거진 디자인을 아트디렉터의 역사나 그래픽 디자인의 장르개념이 아닌 미디어 개념을 통해 접근할 수 있도록 재매개 이론을 도입하였다. 그리고, 매거진이 매개하고 있는 표현양식, 이용 관습, 그리고 사회적인 변화와 기술적 변화의 단서들을 매거진 초기, 모더니즘의 영향으로 현대매거진의 디자인이 정착된 20세기 초, 사진의 영향이 두드러진 1930년대 전후, 방송미디어가 보편화된 70-80년대 이후, 디지털 출판 환경 이후로 분류하였다. 연구는 실험적 탐색의 한계를 가지지만, 매거진이 디지털 출판환경뿐만 아니라 이전의 기술적 변혁과 사회적 변화를 계속하여 겪어왔으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타 미디어를 매개하고 스스로를 개선시켜왔음을 확인할 수 있다. In digital era, Book design adopts new concepts and frames of digital contents and devices. Many books try to appeal their technical distinction and novelty, regardless of any existing traditional technicalities and strategies in book design. Although magazines have a rather short history compare to books, magazines have transformed over time in contents and forms, using wide range of contents such as news, short story, poem, illustrations in one form. However in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magazine's inherent hypertext functions and multimedia characters are neglected hence a functional and formal detachment is occurring when the traditional printed magazine is evolving into a digitalized media.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bridge the gap between the printed magazines and digitalized magazines, and trace the steps of magazines, focusing on the process of reformation and improvement of magazines as a media. To achieve this, this study adopted remediation theory as a conceptual frame to analyse the evolution of magazine design rather than following the history of art director's chronicles or graphic design history. This study follows a timeline which are divided into four periods; the early 20th century with its constructivist movement which is the basis of modern magazine design; the 1930s when photographic resource dominate magazines; 1970s to 1980s, new broadcast media period; and digital publishing period. Although this study is exploratory and has some limitations, it reveals the fact that magazines have survived through several technological and social shift before digital publishing, and there are many cases to be studied to develop new strategies for digital magazines.

      • KCI등재후보

        웹 매거진의 반응형 웹디자인 인터페이스 비교 연구

        백대은(Baik, Dae Eun),최민영(Choi, Min Young)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4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4 No.1

        Mobile, Tablet PC, Desktop PC, Smart TV 등 NScreen의 시대로 불리는데, 다양한 디바이스의 해상도에 맞춰 사이트의 최적화 된 레이아웃을 변환하는 것을 반응 형 웹 디자인이라 한다. 이러한 반응 형 웹 디자인의 필요성은 최근 몇 년 사이 웹을 이용 할 수 있는 다양한 모바일 기기가 등장하면서 부각되고 있다. 그리고 21세기 초 이슈가 된 분야는 웹 매거진 분야였다. 웹과 매거진의 결합으로 탄생된 웹진은 많은 관심과 연구가 이루어져 왔지만, 사용자가 필요의 의해 접속하지 않으면 접근성을 높일 수 없다는 문제점 때문에 점점 관심이 떨어졌다. 하지만 현 시점에서 사용자들은 Mobile, Tablet PC등의 등장으로 그러한 반응이 역전되는 추세다. 패션에 관심 많은 젊은 사용자들은 패션 잡지를 통해 트렌드를 경험하는데 이러한 측면과 늘 휴대하고 다니는 다양한 디바이스를 접하는 습성은 패션 웹 매거진의 점유율을 높이는데 충분한 상황이 되고 있다. 패션웹 매거진은 화려한 컬러감과 유행을 이끄는 다양한 아이템들 그리고 도전적인 레이아웃과 디자인의 패션 트렌드를 보여주기 때문에 텍스트 보다 미디어가 압도적으로 많이 실린다는 점이 특징이지만, 독자가 원하는 정보를 충분히 전달하지 못 한다는 단점을 패션 웹 매거진은 인터넷을 활용하므로 이점을 보완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해외 버전과 국내 버전을 모두 제공하고 패션 매거진을 대표하는 매거진 중 가장 선호도가 높은 3대 패션 웹 매거진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해외 버전 패션 웹 매거진을 콘텐츠의 내용적 측면과 시각적 조형성으로 비교분석하고 분석된 결과를 추출하여 국내 버전중 반응 형 웹 디자인이 요구되는 한 곳을 대상으로 최적화 된 가이드를 제안한다. Currently, it is heralded as the era of N-Screen that includes mobile, tablet PC, desktop PC, smart TV, etc. Converting an optimized layout in accordance with the resolution of various devices is called responsive web design. The need for such responsive web design has been highlighted with the advent of smart devices of various sizes that can use web in recent years. And the sector that had become an issue in the early 21st century was the web magazine sector. Webzine that was born out of the combination of web and magazine had received a lot of interests and studies. However, those interests have gradually declined due to the problem that it was not possible to increase the accessibility unless an user accessed out of necessity. But, there is recently a reverse tendency that people are using it more with the emergence of smart devices of various sized screens at the present time. Young readers who have lots of interests in fashion get to experience trends through fashion magazines; thus, such aspect and their habit of accessing various portable devices that they carry all the time are generating a sufficient situation to increase market share of fashion web magazine. Fashion web magazine shows splendid color sense and diverse items leading trends, challenging layout and fashion trend of design; therefore, one of its unique features is to include overwhelmingly more media than texts. But as for fashion paper magazine, it has a disadvantage of not delivering a sufficient amount of information that readers want. On that account, fashion web magazine complements this point by using Internet. This study has selected the three major fashion web magazines that had the highest affinity among those magazines representing fashion magazine, which also provided both domestic version and overseas version. And this study proposes an optimized guide for one magazine requiring responsive web design out of the domestic versions by conducting a comparative analysis on overseas version of fashion web magazine through the content aspect and visual formativeness and extracting the analyzed results.

      • KCI등재후보

        종이잡지와 E-magazine의 행위 비교분석을 통한 UI,UX 디자인 향상 방안 연구

        이준형(Lee, Jun Hyung),김보연(Kim, Boyeun)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3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3 No.4

        신문 이외의 정기 간행물을 잡지라고 부른 어원은 네덜란드어의 ‘magazien’에서 비롯된다. 본래는 ‘창고(倉庫)’ 라는 뜻인 ‘매거진’을 잡지에 전용한 최초의 정기간행물은 1731년 영국의 E.케이브가 발행한 Gentleman’s Magazine으로서 지식인에게 정보와 오락을 책으로 묶어 제공하는 것을 간행의 취지로 삼았다고 한다. 이와 같이 잡지는 정보와 오락위주의 출판물 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높은 시각적 주목도를 가진 분야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잡지분야는 Digital Publishing으로 큰 변화를 맞이했다. 본 연구에서는 도널드 노먼(D. Norman)의 사용자 행위 7단계 모델을 사용하여 종이잡지 구독자와 E-magazine 사용자의 사용 행위를 관찰, 측정하고, In-depth interview를 진행했다. 육하원칙에 의거한 설문지를 토대로 네 가지의 잡지 읽기 행위 (목차로 페이지 찾아가기, 상품 세부정보 확인하기, 페이지 기억하기, 페이지 훑어보기)를 선정하여 사용자에게 Task를 부여하고 두 가지 대상에 적용하여 참가자의 행위를 비교관찰하였다. 나아가 사용자의 니즈(needs)를 반영한 E-magazine의 UI, UX Design과 부가가치 등을 제시하였다. The magazine is one of the periodicals. It comes from the Dutch "magazien". Originally magazine means a "warehouse". The Gentleman"s Magazine edited by Edward Cave, first published in 1731, in London, is considered to have been the first general-interest magazine. The purpose of "The Gentleman"s Magazine is to enclose the information and entertainment by form of book for the people. Thus, magazine has the highest visual attention. And, publishing media encountered great changes due to the development of digital publishing. This study observes and measures the behaviors of subscribers and users of the printed magazine and E-magazine, using the model of user"s behavior in 7 stages developed by D. Norman and proceeded with in-depth interviews of such subscribers. Tasks were given to them, selecting four behaviors of reading the printed magazine and the E-magazine (such as searching the pages table of contents, finding information on the commodities, remembering pages and going through the pages), making use of the questionnaires based upon the 5W1H, in order to observe and compare the behaviors of the subscribers of the two different types of magazines. Furthermore, reflects the user"s needs to improve UI, UX Design and extra value.

      • KCI등재
      • KCI등재

        The Korea Magazine의 출판 상황과 문학적 관심

        정혜경 우리어문학회 2014 우리어문연구 Vol.50 No.-

        The Korea Magazine was published by S.A. Beck, J. S. Gale, W. G. Cram, and W. A. Noble in Korea from 1917 to 1919. It was an important magazine that continued the literary mission in Korea and included various contents such as Korean habits, customs, literature, and religion. However, the value of the magazine has often been overlooked by scholars. Of course it has been studied in parts, but each text in the magazine should be discussed under the macroscopic structure of The Korea Magazine itself. This is because the magazine was printed with the specific purpose of missionary work and the contents of the journal had been collected and edited from the point of view of missionaries. So this article aims to address the publication design, organization, and distinct features of the journal in order to analyze its overall characteristics. The editors by enlarge, had already been a part of the literary mission in Korea even before working in The Korea Magazine; especially, the main editor J. S. Gale who wrote most of content in the magazine such as Korean language articles, translations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s, and essays on travel in Korea. The magazine was even discontinued when he went back to home. Interestingly, the editors deal with a large volume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because they thought that they could experience Korean life and know Korean’s inner real world through reading it. In addition, they wrote their own stories that expressed Korean life in a form in novel form, in order to help western people more easily access Korean culture. Lastly, while they excluded oral tradition, they made extensive use of various historical records when they wrote the journal, translating Korean folklore, literature, and history into English. In conclusion, the fundamental purpose of the journal is as a missionary report to help other missionaries including potential missionaries by providing useful information about oriental or Korean people. It was used as a tool to promote Christianity and as a platform reflecting of the editors’ literary tastes, particularly, Korean classical literature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This journal was a unique window into oriental life and culture to western people. 20세기에 출판된 영문 잡지 The Korea Magazine은 선교 출판의 계보를 잇고 있으며, 한국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문학, 언어, 종교, 민속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고 풍부한 자료와 정보를 담고 있다. 하지만 일부 자료들만이 선별적으로 고찰되었을 뿐 잡지의 전체적 성격은 구명되지 않았다. 더구나 이 잡지는 선교라는 특수한 목적 아래 간행되고 그 안에 수렴된 자료들은 서양인 선교사들에 의해 재구성되었다. 따라서 개별 자료들에 대한 접근 또한 The Korea Magazine이라는 거시적 틀 안에서 고찰되어야 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출판 의도와 상황, 구성 체제, 자료의 현황을 밝힘으로써 잡지의 지형을 파악하고 수록된 자료의 목록을 분류/번역함으로써 텍스트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이 잡지는 선교 문서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던 베크, 게일, 크램, 노블에 의해 발행되었다. 특히 게일은 주편집장으로서 한국어, 기행, 문학 관련 기사를 도맡아 작성하는 등 잡지 내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다. 잡지의 색채와 게일의 문학/문화적 취향이 오버랩 되는 것은 이 때문이다. 잡지의 편찬은 교파를 초월해 여러 나라의 선교지부와 긴밀한 상호협력 속에서 이루어졌으며, 편집자들은 저널이라는 매체를 통해 선교 활동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고 동서양의 관계를 개선하고자 하였다. 흥미로운 사실은 문학이라는 프레임을 통해 동양/한국에 대한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 결과 여타의 선교 잡지에 비해 문학의 점유율이 높다. 편집자들은 ‘이야기가 있는 이야기’를 기획함으로써 독자가 낯선 세계로의 여행을 어렵지 않게 떠날 수 있도록 했으며 문학을 통해 한국인의 심적 태도를 이해하고자 했다. 체험적 에세이와 기행문을 제외한 대부분의 기사는 문헌 자료에 기초해 작성되었다. 자료는 의미 중심 번역을 하되 원 텍스트에 가깝게 영역하려고 했다. 끝으로 이 잡지는 각종 이해관계가 얽힌 선교지, 그리스도를 홍보하는 매체, 개인의 문화⋅문학적 취향을 담은 플랫폼, 미지의 세계(동양)를 들여다보는 창으로써 기능했다.

      • KCI등재

        1930년대 시전문 동인지와 로컬리티

        강호정 ( Ho Jung Kang ) 한민족문화학회 2015 한민족문화연구 Vol.51 No.-

        이 논문은 1930년대, 경성이 아닌 타 지역에서 발간된 주요 동인지를 대상으로 동인지의 로컬리티 문제를 살펴보았다. 1930년대 동인지가 속출한 가운데 각 지방에서 출간된 동인지의 양상과 의미를 지역성의 문제와 관련하여 고찰한 것이다. 1930년대 동인지에 대한 연구는 소위 동인지 문단으로 알려진 1920년대 동인지에 대한 연구에 비해 눈에 띄게 저조하다. 1920년대 동인지가 효시로서의 의미를 갖는다면, 1930년대의 동인지는 1930년대라는 문학사적 시기와 맞물려 꽃을 피운 시기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에 대한 관심 역시 필요한데, 여기서는 각 지방에서 출간된 동인지들이 중앙(경성)과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하고 있는지, 중앙과 관계 맺는 방식은 무엇인지, 각 지역에 따른 지역성의 특징은 무엇인지를 점검하였다. 중앙과의 연계 혹은 반발이 이 시기 동인지들이 보여준 극단적인 두 가지 방향이었다. 이때의 중앙은 지리적인 관점에서 경성을 말하는 것이기도 하지만, 구체적으로는 중앙(경성)에서 활동하는 기성문인을 말하는 것이기도 했다. 세대론의 문제와 겹치기도 하는 것인데, 중앙(경성)에서 발간한 동인지의 비판 대상이 한 세대 앞선 전대의 문인들이었다면, 지방에서 발간한 동인지의 타겟은 중앙(중앙집중)과 동시대의 중견시인이라고할 수 있다, 또 중앙과의 연계 여부도 동인지의 활성화에 커다란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리적 관점에서 중앙(경성)으로서의 중심 이외의 다른 중심 혹은 다양한 중심이 필요한 것은 분명해 보인다. 아울러 1930년대의 동인지는 그다양한 중심의 역할을 하기 위해, 그리고 지역문화의 생존을 위해 고군분투했다고 할 수 있다. 1930년대의 동인지를 살피는 것은 새로운 중심 혹은 다양한 중심을 만들기 위한 단초로서의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In this study, locality issue was observed by targeting major literary coterie magazines being published in other region than Gyeongseong (Seoul) during 1930s. Under the situation that literary coterie magazine was mushroomed during 1930s, aspect and meaning of literary magazine being published in each local region was considered in terms of its locality. A study on literary coterie magazine during 1930s was conspicuously rare compared with that on literary coterie magazine during 1920s that was known to be literary society of literary coterie magazine during those times. If literary coterie magazine during 1920s should be called as the first magazine in such category, 1930s would be the times when literary coterie magazine was bloomed matching with its historical timing of literature. Therefore, it would be required to show concern over such trend and in this study, how literary coterie magazines being published locally established its relation with central (Gyeongseong) region, in what way they established such relation and what is local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each local region were observed. Linkage with or rejection against central region was two drastic directions shown by literary coterie magazines during those times. Central region at that time means Gyeongseong in geographic terms but if speaking it in detail, it means also existing writers doing their literary activity in Gyeongseong. It is overlapped with an issue of generation discourse and if a critique target of literary coterie magazine published in central region were writers of past generation, that published in local region would be central region (central concentration) and medium standing writers. In addition, it could be confirmed that linkage status with central region significantly also affected activation of literary coterie magazine. In geographical perspective, it seems to be clear that besides central region based on Gyeongseong, other central area or diversified ones would be required as well. Additionally, it may be said that literary coterie magazine during 1930s had strived in order to play its diversified central roles and to ensure survival of local culture. Observing literary coterie magazine during 1930s would be meaningful in providing a clue for creating a new central or diversified central areas.

      • KCI등재

        온라인 잡지의 편집 유형에 따른 독자 태도의 차이에 대한 연구

        이현구,김진희,이철영 한국기초조형학회 2018 기초조형학연구 Vol.19 No.1

        The design identity of a magazine is formed with such creative elements as hardware (e.g. size and paper type, and software (e.g. grid, typography, photography, and illustration). As media has been digitalized and personal media has grown, a magazine whose contents have been mainly provided on print media is also trying to seek its expansion into the digital world. In the process of expansion, however, a magazine, whose identity is established through the editing design of the medium that is published in the form of a paper book, does not share that of an online magazine but only express it with other editing design elements for the same contents. In this respect, we attempted to examine how readers' attitude toward an online magazine is affected by editing design element in the process where an offline magazine transforms into an online magazine. To attain the objective, we selected fashion magazines that are currently in the press. And we made as experimental stimuli (i) an online magazine in horizontal layout design, which actively adopted the editing design elements of a print magazine, and (ii) an online magazine in vertical layout design, which hardly adopts the editing design elements of a print magazine. And we conducted an experiment with 160 participants (both men and women) in their 20s, living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e found that the online magazine in a vertical layout design had higher attention rate and readability than that in a horizontal layout design. Second, we came to know that readers had a more favorable attitude toward the online magazine in a horizontal layout design than that in a vertical layout design. Intention to purchase was also higher for the online magazine in a horizontal layout design. We expect that these results will be helpful for a study aiming to secure media brand assets and form design identify in the era of integrated media and multi-platform. 잡지의 디자인은 판형, 종이의 종류와 같은 하드웨어적 형태와 그리드, 타이포그래피, 사진 및 일러스트레이션 등의 소프트웨어적 형태의 크리에이티브 요소를 통해 디자인 정체성을 형성한다. 미디어의 디지털화가 진행되고 개인 미디어가 성장하면서 인쇄 매체 중심으로 콘텐츠를 제공하던 잡지 역시 디지털 미디어로의 확장을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종이 책의 형태로 출간되는 잡지 매체의 편집 디자인을 통한 정체성이 디지털 언어로 출력되는 온라인 매체의 잡지와 정체성을 공유하지 못한 채 같은 콘텐츠를 다른 형태의 편집디자인 요소를 통해 표현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오프라인 잡지가 온라인화 되는 과정에서 이러한 편집디자인 요소에 따라 독자들의 태도가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실증 연구를 통해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출판되고 있는 패션 잡지를 선정하여 인쇄 잡지의 편집 디자인 구성 요소들을 적극적으로 반영한 온라인 가로형 편집 디자인과 인쇄 잡지의 편집 디자인 요소들이 거의 반영되지 않은 채 현채 실행되고 있는 온라인 세로형 편집 디자인을 실험 자극물로 제작하여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는 20대 남녀 160명을 대상으로 실험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가로형 편집 디자인이 세로형 편집 디자인보다 주목성이 높고 가독성도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독자들의 태도는 세로형 편집 디자인보다 가로형 편집 디자인에 더 호의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독 의향도 가로형 편집 디자인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통합 미디어, 멀티 플랫폼 시대에 미디어의 브랜드 자산을 확보하고 디자인 아이덴티티를 형성하기 위한 연구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日本の大正期に於ける女性誌の誌名の研究

        朴正一(Park Jung-Il)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09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21

        As a result of having considered the magazine name of the women's magazine of Taisho period, I was able to discover various characteristics. For example. There is overwhelmingly much use of the kanji word with 98 examples (68%) by the magazine name. Meanwhile, there is the use of the katakana word of foreign origin for letter notation such as "woman thyme", and I diversify lexically, and there being it is thought about with influence by the character of the Taisho democracy. In addition, as for the factor that accelerated the birth of the girl magazine, that interest for the home training rose that woman education was begun is raised on a national scale. The example only for an example has sum total 109 examples (75%), and there is variety of the magazine name. I understand that the magazine name which is the symbol of the women's magazine has been regarded as important by state of things. Many magazines were launched for Taisho period, and it was ceased to publish again. A new magazine name appeared in the degree, but thinks the magazine name to be have been reflection of the times of the Taisho democracy. The figure which finished a new Japanese image for women reflected it conspicuously in the world of the women's magazine.

      • KCI등재후보

        한국 최장수 잡지《경향잡지》연구

        윤세민(Yun Se-Min) 한국출판학회 2006 한국출판학연구 Vol.0 No.51

        우리나라 최장수 잡지인《경향잡지》 연구는 곧 한국 잡지에 대한 연구이자 한국 천주교에 대한 연구이기도 하다. 창간 100년의《경향잡지》 연구는《경향잡지》 100년 역사의 의미를 찾아보고 새로운 전망과 비전을 제시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 그것은《경향잡지》뿐 아니라 한국 잡지와 한국 천주교에 대한 기회이기도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고에서는, 먼저《경향잡지》의 역사와 내용과 외형에 대한 연구를 차례로 진행하고, 그 연구 결과에 따른《경향잡지》의 의의와 과제를 살펴보았다. 현존하는 우리나라 최장수 잡지인《경향잡지》는 총 여섯 시기를 거치며 오늘에 이르고 있다. 즉, ‘제1기 보감 시대’(1906년 10월 ~ 1910년 12월), ‘제2기 통제 속의 성장기’(1911년 1월 - 1945년 5월), ‘제3기 혼란 속의 성숙기’(1946년 8월 ~ 1959년 6월), ‘제4기 정착기’(1959년 7월 ~ 1983년 12월), ‘제5기 발전기’(1984년 1월 ~ 2003년 12월), ‘제6기 원숙기’(2004년 1월 ~ 현재)를 거쳐 오늘에 이르렀고, 이제 새로운 100년을 위해 또다시 새로운 도정을 시작하려 한다. 《경향잡지》의 내용을 연구한 결과,《경향잡지》는 지나온 100년 동안 이 땅의 교회와 사회에 그 살아온 세월만큼이나 지대한 영향을 끼쳐 왔음을 알 수 있었다. 교회를 향해서는 ‘신앙인의 백년지기’로서 목소리를 다해 왔으며, 사회를 향해서는 시대와 함께 울고 웃으면서 ‘백성의 백년지기’로서 목소리를 울려 왔음을 확인하였다. 《경향잡지》의 외형을 연구한 결과,《경향잡지》는 시기별로 각기 다른 또는 유사한 편집디자인적 특징을 보여주면서 독자에게 친근하게 다가가는 ‘보는 잡지’로서의 발전을 계속적으로 꾀해 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른《경향잡지》의 의의는‘가톨릭의 긍지’ ‘신앙인의 길잡이’ ‘천주교인의 가교’ ‘시대의 목소리’ ‘인간의 목소리’ ‘한글 선도자’ ‘우리 것 지킴이’ ‘한국 잡지의 역사요 보고’ 등으로 정리할 수 있다. 이와 함께《경향잡지》의 발전적 미래를 위한 과제로 ‘정체성 확립’ ‘반성과 회개’ ‘잡지 발전’ ‘적극적인 홍보와 마케팅’ ‘비전 제시와 실천’ 등을 제언하고자 한다. 현존하는 우리나라 최장수 잡지인《경향잡지》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가 처음으로 시도된 본 논고는, 이러한 시도 자체와《경향잡지》에 대한 최초의 실체적 접근 연구라는 점에서 적지 않은 의의를 지닌다. 또한《경향잡지》 100년 역사의 의미와 의의를 찾아보는 가운데 새로운 전망과 비전에 대한 본 논고의 제언이《경향잡지》 발전의 초석이되리라 기대한다. A study on《Kyeong Hyang magazine》, the longest-running magazine in Korea, has been performed. It is the study not only on Korean magazines but also on Korean Catholic. The study on《Kyeong Hyang magazine》, which was founded 100 yearsago, can be a good chance to find the meaning of the past 100 years publication history and to suggest the new prospect and vision. It can also be a significant opportunity for Korean magazine and Korean Catholic. For these objectives, this study focused on how the history, contents and outward forms of《Kyeong Hyang magazine》 have evolved. Based on its results, the meanings and tasks of the magazine were investigated. 《Kyeong Hyang magazine》, the longest-running magazine in existence in Korea, has been classified into six periods; the first period of Bogam (October 1906 - December 1910); the second period of growing under controlled (January 1911 - May 1945); the third period of advanced among disorder (August 1946 - June 1959); the fourth period of settlement (July 1959 - December 1983); the fifth period of development (January 1984 - December 2003); the sixth period of maturity (January 2004 - present). It is poised for take-off for a new 100 years. It was noted that the contents of《Kyeong Hyang magazine》 has influenced greatly the Catholic church and the Korea society during 100 years. For the church it has been served as ‘believers’ friend’, and for the society as ‘people’s friend’ for 100 years. It was confirmed in this study that the outward forms of《Kyeong Hyang magazine》 have shown different or similar editorial design characteristics by each period developing as a ‘magazine attracting readers’ attention’. The meanings of《Kyeong Hyang magazine》 can be summarized to be ‘the pride of Catholic’, ‘a good guide of believers’, ‘a bridge of Catholic believers’, ‘the voice of the eras’, ‘the voice of human’, ‘the guide of Hanguel’, ‘the guide of Korean culture’, and ‘the treasure and history of Korean magazine’. Also, the prospective tasks are suggested to be ‘identity establishment’, ‘reflection and repentance’, ‘development of magazine’, ‘active public relations and marketing’, and ‘vision presentation and practice’. This study is the first investigation on《Kyeong Hyang magazine》, the longest-running magazine in existence in Korea. This study is also of great importance in that it is the first substantial approach study on《Kyeong Hyang magazine》. This study is also expected to lay down the foundation in《Kyeong Hyang magazine》’s development by investigating the meanings and significances throughout 100-years history and proposing new prospects and visions.

      • KCI등재

        1930년대 후반의 최북단 동인지 『시건설』 연구: 신진 시인들의 기획과 지향성을 중심으로

        나민애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7 한국문화 Vol.80 No.-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iew and to revalue magazine ‘Si-geon-seol’. This magazine was published in the northernmost part of Joseon, eight times in four years. It is very important poetry magazine, but has not been studied much yet. Among the various literary magazines of the 1930s, ‘Si-geon-seol’ has a very unique and exceptional position. So this study analyzes all of ‘Si-geon-seol’, and try to find out the unique character of this magazine. The magazine has three outliers: the best north, the longest period, and the largest magazine in the late 1930s. The characteristics of this magazine are evident when compared to other poetry magazine of literary coterie of the time. The magazine was definitely a magazine of literary coterie, but did not claim a particular literary ecology. The people who created this magazine were the new generation poets. At that time, the new generation poets recognized that literature of Joseon was becoming poor. The problem of poverty in poetry was a problem to be solved by the new generation of poets. The magazine was published in a remote area of capital, new generation poets from various places actively participated. The characteristics as coterie magazine were not very clear, because poets of various tendencies have published their works and the leader of this magazine did not make a clear claim either. However, this feature is characteristic of magazines of this period. More important than literary ecole was solving urgent problems.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is magazine in the future to understand the activities of new generation poets of the 1930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