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문(論文) : 공자(孔子)의 예사상(禮思想) -『논어(論語)』를 중심으로-

        선우미정 ( Mi Jeong Seonu ) 한국한문고전학회(구.성신한문학회) 2006 漢文古典硏究 Vol.12 No.-

        이 논문은 孔子의 禮思想에 대해서, 그의 사상이 잘 나타나 있는 『論語』를 통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孔子는 孔子가 살던 당시 춘추 말기의 혼란한 사회의 무질서를 극복하기 위해 周禮를 회복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그것은 옛 것을 그대로 따르는 것이 아닌 損益을 가한 것이었다. 그것은 형식뿐인 禮의 실천이 아니라 인간의 내면적 도덕성의 완성으로서의 禮였다. 사람은 궁극적으로 仁하여야 하고 그 仁을 행하기 위하여 禮라는 구체적인 형식이 필요하며 그 禮가 합당한지 아닌지를 판단한는 데는 義로움이 있어야 한다. 그러나 禮義도 仁이 바탕이 된 후에 있는 것이지 禮義가 仁보다 먼저 있는 것은 결코 아니다. 이렇듯 인간의 내면적 도덕성 완성으로서의 禮를 통하여 인격을 완성하고 그러한 禮를 통한 사회질서 회복을 강조하였다. 그러기 위해서 모두가 자기 신분과 위치에 맞는 역할을 충실히 하여야 하며 法과 刑罰에 위한 다스림보다 禮와 德으로 다스리는 정치를 하여야 함을 주장하였다. 임금은 임금답고 신하는 신하답고 아버지는 아버지답고 아들은 아들다워야 하는 것처럼 각자의 위치에서 역할을 충실히 해야 한다. 그러나 더욱 분명한 것은 爲政者가 善하지 않고서는 백성은 절대로 복종하지 않는다. 爲政者가 바르게 지도하면 백성들은 따라서 바르게 되고 반대로 爲政者가 포악하면 백성들도 포악하게 된다는 말은 윗사람일수록 모범을 보이면 刑罰과 法으로 억지로 다스리는 것보다 훨씬 효과적임을 말한다. 인간에게 선천적으로 도덕적인 수치심이나 도덕적인 제어력이 분명히 있다고 보고 그러한 면을 의식적인 계발을 통해 발전시켜야 한다. This paper is intended to delineate Confucius` concept of Li(propriety). As the Analects of Confucius is the source of the thought of Confucius, it was read as a main text. Jen(humanity), Li(propriety), and I(righteousness) are the main thought of Confucius. Jen is the heart of Confucius` teaching, which can be manifested through Li. So Confucius emphasized the practice of Li. Confucius was not the creator of Li. He was the transmitter of the Rites of Chou. It is significant to note that he restored the Rites and made it proper for human situations. Confucius` Li is patterns of customary behavior which bears inner qualities. Confucius taught that the practice of Li depends on continuous learning. Confucius stressed that, in order to restore social order, human beings should perform their role according to the status, rank, and position within a structured society. Confucius` aspiration is a government based on Li and Tao rather than law. Under the ruling by law and punishment the people will not be governed by a sense of shame. In this society where traditional culture is underestimated and overpowered by western culture it is necessary to rediscover the value of Confucianism. Confucius was concerned with the learning of Li and the inheritance of tradition. His belief was that the practice of Li would solve the turmoil of the late Spring and Autumn period and the learning of Li would create morally ideal society. The value of Confucius` Li is to be appreciated in today`s society which is similar to Confucius period in terms of social situation.

      • KCI우수등재

        성리학의 아동교육 목적으로서 근본배양에 관한 연구

        신동은(Dong Eun Shin) 한국아동학회 2005 兒童學會誌 Vol.26 No.1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eaning, the method of Cultivation of the fundamental as aim of child education in context of the Xing-Li-Xue(性理學) educational theory. Chu-hsi understood the meaning of Cultivation of the fundamental as Ching(敬, the cultivation of good nature in human mind). The method of Cultivation of the fundamental consists of quiet sitting(정좌), attention(주의집중), moral environment(도덕적 환경) and practicing propriety(예의 실습). Through quiet sitting and attention, learners may reach a condition of mind which is free of their selfish desires and in which they can find out their original nature. The education in Confucianism accepts the environment as a significant element in forming human personality. Making moral environment has leaners to take good value with ease. Characteristic of study in Xing-Li-Xue is to emphasize to observe concrete clauses of propriety. The reason why Xing-Li-Xue emphasizes propriety is that Mind Study may be maintained through Body Study. In conclusion, the Cultivation of the fundamental in the Xing-Li-Xue is to form the power to regulate selfish desires and thus behave more moderately. Along these points, not only quiet sitting which relexes the body and soul, but also song and dance are not considered as contrary to Xing-Li-Xue educational theory. The various ways of Cultivation of the fundamental of Xing-Li-Xue educational theory make people recognize, understand and experience good innate nature of human beings. And we can reach the conclusion that education of Xing-Li-Xue uses so many methods that learner can accept moral value as naturally as possible.

      • KCI등재

        일반논문 : 이구(李구)의 의리사상(義利思想) 및 예론(禮論)과 의의

        한성구 ( Sung Gu Han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1 한국 철학논집 Vol.0 No.31

        李구는 北宋시기 儒學者로 전통 ``貴義賤利`` 사상을 비판하며, 인간의 본성과 욕망에 부합하는 ``禮``와 ``利``를 긍정할 것을 주장한 사상가이다. 그는 禮란 인류의 물질생활과 자연적 욕구인 욕망에 순응하여 발생한 것으로 먼저 물질생활과 자연적 욕구인 욕망을 긍정하면서 만족시켜 주어야 禮가 제대로 발현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만약 이를 어기면 백성들의 삶은 황폐해지고, 국가는 위기를 맞게 될 것이다. 이런 李구의 사상은 王安石의 변법 개혁에 이론적 틀을 제공했을 뿐만 아니라 송명이학자들을 비판하고 內外의 合一을 중시함으로써 추상적이고 공허하게 변해가는 禮에 참신하고 개혁적인 의미를 불어넣었다. 禮의 내재적 근원인 仁, 義, 智, 信만을 강조할 경우 인간의 자연스러운 물질적 욕망은 무시되어 禮는 공허해질 수밖에 없다. 반대로 禮의 외재적 형식으로서의 法制만을 강조하면 禮의 정신과 본질이 망각되어 禮는 사람들을 소외시키고 강제하는 강압적 도구가 될 수밖에 없다. 宋明 시기를 거치면서 내성적인 측면을 강화한 儒學 사상이 佛敎나 서구 학문에 대항할 만한 철학적인 요소를 갖추었다는 점은 평가할 만한 일이다. 그러나 근대로 들어와서 ``사람 잡아먹는 禮敎``로 비판받은 까닭은 지나치게 교조화된 덕목으로 人性에 위배되는 가혹한 ``節慾``을 강요했기 때문이다. 근대로 들어와 동양의 ``禮治 시스템``의 장점들이 부각되면서 전통 ``禮制``가 현대 법치주의 체계가 만들어지는 데 있어 공헌을 한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러나 주목해야 할 점은 禮라는 것이 내재적 근원과 외재적 형식 중 어느 하나만 가지고는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없다는 점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李구의 義利觀과 王覇論, 內外論 등을 살펴봄으로써 禮의 진정한 의미를 고찰하고 ``형식``으로서의 ``禮制``가 아닌 ``體用合一``로서의 ``禮``가 지닌 현실적 의의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Li-Gu was a Confucianist who criticized traditional ``attend to Righteousness and neglect Profit`` idea and insisted that people affirmed ``Proprietiy`` and ``Interest``, which accorded with human nature and desire. He said that ``Proprieties`` was made by adjusting one`s material life and natural desire. Therefore, if we want ``Propriety`` is manifested itself, we must affirm and satisfy the material life and natural desire first. He asserted that if we didn`t follow this, the people`s life would be devastated and the nation would face a big crisis. Li-Gu`s thought not only gave Wang An Suk`s Reformation a theoretical basics, but also attached the new and reformist meanings to ``Propriety``, which had been changing meaningless and abstract, by criticizing Songming Confucian School and put great stress on uniting the inside and outside. In this article, through examining Li-Gu`s the idea of Righteousness and Profit, King and Ruler, Inside and Outside, we can consider what the real ``Propriety`` is and what kind of practical meaning ``Propriety`` has.

      • KCI등재

        『춘추』에서 신뢰 개념과 정치적 이상

        엄연석 한국중국학회 2003 中國學報 Vol.48 No.-

        The purpose of Confucius compilation of Ch-chiu春秋 would lie in making its model through the evaluation of historical events and man s act of that period on the basis of the standard of li(propriety 禮). When this intention being contemplated, it must be very significant that we study the Chun-Chiu in point of view of confidence. So, this essay intends to elucidate the meaning of confidence as a Confucian morality, which was offered in the Ch-Chiu Tso-chan . In the Chun-Chiu Tso-chuan, the concept of confidence can be defined as a several meaning. At first, the term of confidence in this book means the ruler or people s self-confidence of Confucian morality which they must internalize or cultivate in the mind. Here the Chun-Chiu Tso-ch made emphasis on the belief of the re德, and understand it to encompass such a concrete item of Confucian virtue as benevolence and righteotlsness, rite and music, faithfulness and reciprocity, filial piety and reverence, modesty. And the te is not only the ultimate criterion through which the rulers are endowed with the authority fro Heaven and govern the state, but also is regarded as more mighty power than anything. On the other hand, the Chun-Chiu Tso-chuan makes the composing elements of confidence. That is to say, the relation of confidence between state and state, or person and p e m can be accomplished through the li禮. In the Chun-Chiu Tso-chuan, the li禮 is interpreted as the unchangeable law of nature, and defmed as that which man must obey in the actual process of model emulation. This li is founded on justices as the universal rationality, and becomes the primary structure through which rulers achive the harmony of all state and establish the relation of confidence. In the Chun-Chiu Tso-chuan, the meaning of confidence also permeates into the transcendental realm of Heaven In other word, the ruler can obtain the confidence from people because Heaven bestows the soveregin on him. The people believe in the decree of Heaven because it is morally just and prize and penalty by it concur with the moral righteousness or mistake of human act. In case of Chun-Chiu Tso-chuan, the relation among the Heaven, the son of Heaven, prince, subject and people is connected with the organic and reciprocally restricted circularity trough the medium of confidence. And it also composes of an important meaning of confidence that the subject confirms to the decree of soveregin. Moreover, the confidence makes harmony and stability maintain among the states, and it protects the people and makes them enjoy a peaceful life. And in the Spring and Automn period, several prince's states planed a great many meeting or covenant, and concluded a friendly treaty with one another. Such affairs as meeting, covenant or treaty also were that time an important method for maintenance of confidence. In the last analysis, it can be said that the confidence in the Chun-Chiu Tso-chuan be kept up through the intentional endeavor for political order on the bask of Confucian moral and the rule of propriety.

      • KCI등재

        묵암 배극소의 예학(禮學) - 『사례간요(四禮簡要)』를 중심으로 -

        한재훈 ( Han Jae-hoon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4 儒學硏究 Vol.66 No.-

        묵암 배극소의 학문적 관심은 다양한 유학적 주제에 걸쳐 있었지만, 그의 대표적인 저술은 예학(禮學)에 관한 『사례간요(四禮簡要)』이다. 19세기에 편찬된 『사례간요』는 사례(四禮: 관·혼·상·제)와 관련하여 시대의 변천에 따른 새로운 적절성을 모색하면서도 어떻게 핵심적 가치와 의의를 놓치지 않을 수 있을 것인가라는 분명한 목적성을 갖고 편찬되었다. 배극소가 이러한 예학적 문제의식을 갖고 이를 실천적 작업으로 연결한 데는 그동안 조선에서 수행되고 축적된 예학적 자산과 전통 위에서 가능한 것이었다. 『사례간요』는 조선에서 생산된 예서와 예설을 중국의 예서나 예설보다 더 많이 인용하고 있다. 비단 양적인 측면에서만 그런 것이 아니라 내용적으로도 그렇다. 배극소는 이렇게 조선시대 예학적 자산을 『사례간요』에 적극 반영하였지만, 이 과정에서 학파적으로 매우 중립적인 태도를 유지한다. 즉, 조선시대 예학을 풍성하게 가꿔온 영남학파와 기호학파의 연구 성과를 공정하게 반영하고 있다. 이러한 『사례간요』의 특징은 조선시대 예학이 연구의 단계를 지나 실행의 단계로 나아갔던 19세기 조선 예학의 흐름을 잘 반영하고 있다. Muk-am Bae Guek-So's scholarly interests spanned a wide range of Confucian topics, but his most famous work is the Saryeganyo that is the book about the Study of the Li. Written in the 19th century, Saryeganyo was compiled with the clear purpose of exploring the relevance of the four ceremonial occasions of coming of age, wedding, funeral, and ancestral rites to changing times, while not losing sight of their core values and meaning. The fact that Bae was able to take these concerns of the Study of the Li and connect them to practical work was based on the assets and traditions about the Study of the Li that had been carried out and accumulated during the Joseon Dynasty. This book cites more relevant books and theories produced in Korea than in China. This is not only in terms of quantity, but also in terms of content. In this book, Bae actively reflects the achievements about the Study of the Li of the Joseon Dynasty, but in doing so, he maintains a very scholarly neutral attitude, i.e., he fairly reflects the research achievements of the Yeongnam school and the Giho school, which have enriched the Study of the Li of the Joseon Dynasty. The significance of Saryeganyo is that it reflects the trend of the 19th century, when the Study of the Li in the Joseon Dynasty moved from the stage of research to the stage of practice.

      • KCI등재

        『五先生禮說分類』의 편차와 그 의의

        정경주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6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58 No.-

        The book named as 「The classification of the five scholars' comments about Li-xie in Song dynasty[五先生禮說分類]」, was one of the innovative writings for Li-Xie in Joseon dynasty. That was written by Han-gang[寒岡] Jung-gu[鄭逑], one of the famous Li-Xie scholars. This book contains nearly every major statements of the five scholars such as Zhang-zai[張載], Cheng-hao[程顥], Cheng-Yi[程頤], Si-ma Guang[司馬光], and Zhu-Xi[朱熹] in Song[宋] dynasty, for rituals. Jung-gu[鄭逑] classfied it into five chapter, such as Coming-of-age ceremony[冠禮], wedding[昏禮], funeral rites[喪禮], ancestral rites[祭禮], other manners[雜禮]. And there are such comments about family ritual[家禮], ritual of school[學校禮], community ritual[鄕禮], ritual of contries and kingdoms[邦禮], court ritual[王朝禮] and etc in the book. Due to this, many scholars suspected it that has received the main impact of the book, 「The conprehensive Exegesis of the text and commentaries on the Yi-Li[儀禮經傳通解]」, written by Zhu-Xi[朱熹]. In this paper, I do demonstrate the mistakes of that argument, and I point out that it is the most important thing that was designed to provide methods and principles in the study of Li-xie[禮學] for Joseon neo-confucian scholars. The most important principles of that were the principles of propriety[義起之禮], and the etiquette to follow the changing times[禮從時]. 이 글은 한강 정구의 저술인 『오선생예설분류』의 당초 편찬 과정과 편차를 중심으로 이 책의 편찬 의도를 살펴봄으로써, 이 책의 편찬 의의를 밝히고, 한국예학사에서 이 책이 가지는 중요성을 천명하려는 의도에서 집필되었다. 논의한 바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오선생예설분류』는 宋代 道學者들에 의하여 제기된 禮學 이론과 그들에 의하여 講究된 각종의 禮制에 대한 논의를 체계적으로 集成 分類 정리함으로써, 보다 정밀한 예학 논의와 연구의 바탕을 마련한 책이다. 이 책은 가정의 의식 표준을 제안하는 데 그친 『주자가례』의 정해진 體例와는 달리, 국가의 儀典과 가정의 儀式을 冠婚喪祭와 雜禮라는 하나의 통일된 체계로 분류함으로써, 가정의례와 국가의 典禮를 통합하는 예학체계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아왔다. 본고에서는 이 책이 송대 성리학자들의 예설을 분류 정리함으로써 성리학자들의 예학 관점과 예설 取捨의 이론을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조선예학의 학문논의의 전환점을 여는데 무엇보다 중대하게 기여하였다는 데 주목하였다. 이 책은『가례』에 명시되지 않은 주자의 예설과 『가례』의 내용을 비교 검토할 수 있게 함으로써, 주자 예학의 본질을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게 하고, 나아가 주자가 『가례』를 편찬한 본디 의도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주자의 평소 또는 晩年 定論에 의거하여 『가례』를 수정할 수 있는 근거를 확보하였다. 이러한 관점은 『주자가례』의 관혼상제 세부 節次와 器物 규정의 해석에 골몰하였던 당시 학자들에게 예학을 통한 修齊治平의 이상 실현이라는 예학 實用의 시야를 열어줌으로써, 조선후기 예학 담론의 수준을 끌어올려 禮書 편찬과 예학 논의의 새로운 典範을 보여줌으로써 예학 논의의 시야를 확대하고 그 정밀도를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 KCI등재

        『오선생예설분류(五先生禮說分類)』의 편차와 그 의의

        정경주 ( Kyeong Ju Jung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6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58 No.-

        이 글은 한강 정구의 저술인 『오선생예설분류』의 당초 편찬 과정과 편차를 중심으로 이 책의 편찬 의도를 살펴봄으로써, 이 책의 편찬 의의를 밝히고, 한국예학사에서 이 책이 가지는 중요성을 천명하려는 의도에서 집필되었다. 논의한 바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오선생예설분류』는 宋代 道學者들에 의하여 제기된 禮學 이론과 그들에 의하여 講究된 각종의 禮制에 대한 논의를 체계적으로 集成 分類 정리함으로써, 보다 정밀한 예학 논의와 연구의 바탕을 마련한 책이다. 이 책은 가정의 의식 표준을 제안하는 데 그친 『주자가례』의 정해진 體例와는 달리, 국가의 儀典과 가정의 儀式을 冠婚喪祭와 雜禮라는 하나의 통일된 체계로 분류함으로써, 가정의례와 국가의 典禮를 통합하는 예학체계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아왔다. 본고에서는 이 책이 송대 성리학자들의 예설을 분류 정리함으로써 성리학자들의 예학 관점과 예설 取捨의 이론을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조선예학의 학문논의의 전환점을 여는데 무엇보다 중대하게 기여하였다는 데 주목하였다. 이 책은 『가례』에 명시되지 않은 주자의 예설과 『가례』의 내용을 비교 검토할 수 있게 함으로써, 주자 예학의 본질을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게 하고, 나아가 주자가 『가례』를 편찬한 본디 의도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주자의 평소 또는 晩年 定論에 의거하여 『가례』를 수정할 수 있는 근거를 확보하였다. 이러한 관점은 『주자가례』의 관혼상제 세부 節次와 器物 규정의 해석에 골몰하였던 당시 학자들에게 예학을 통한 修齊治平의 이상 실현이라는 예학 實用의 시야를 열어줌으로써, 조선후기 예학 담론의 수준을 끌어올려 禮書 편찬과 예학 논의의 새로운 典範을 보여줌으로써 예학 논의의 시야를 확대하고 그 정밀도를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The book named as 「The classification of the five scholars` comments about Li-xie in Song dynasty[五先生禮說分類]」, was one of the innovative writings for Li-Xie in Joseon dynasty. That was written by Han-gang[寒岡] Jung-gu[鄭逑], one of the famous Li-Xie scholars. This book contains nearly every major statements of the five scholars such as Zhang-zai[張載], Cheng-hao[程顥], Cheng-Yi[程이], Si-ma Guang[司馬光], and Zhu-Xi[朱熹] in Song[宋] dynasty, for rituals. Jung-gu[鄭逑] classfied it into five chapter, such as Coming-of-age ceremony[冠禮], wedding[昏禮], funeral rites[喪禮], ancestral rites[祭禮], other manners[雜禮]. And there are such comments about family ritual[家禮], ritual of school[學校禮], community ritual[鄕禮], ritual of contries and kingdoms[邦禮], court ritual[王朝禮] and etc in the book. Due to this, many scholars suspected it that has received the main impact of the book, 「The conprehensive Exegesis of the text and commentaries on the Yi-Li[儀禮經傳通解]」, written by Zhu-Xi[朱熹]. In this paper, I do demonstrate the mistakes of that argument, and I point out that it is the most important thing that was designed to provide methods and principles in the study of Li-xie[禮學] for Joseon neo-confucian scholars. The most important principles of that were the principles of propriety[義起之禮], and the etiquette to follow the changing times[禮從時].

      • KCI등재

        하빈河濱 신후담愼後聃의 사단칠정론과 공리公理에서 발하는 칠정

        박지현 한국국학진흥원 2015 국학연구 Vol.0 No.26

        Habin(河濱) Shin Hudam(愼後聃)`s theory of Four-seven(四端七情論) and the seven Public feelings(公七情) Park Jihyun Shin Hudam(愼後聃1702∼1761) debate on the Seongho School`s(星湖學派) topic of the seven Public feelings Li-issues(公七情理發). In previous studies, it was attention deployment process and subsequent impact of this discussion. However, these studies did not analyze the reasons for claiming the seven Public feelings Li-issues and his Four-seven theory. Source of a variety of differentiated come everything is one. So different from the Li(理) for its basis. One of the Li that becomes the source is a Li of Yin-Yang and Five elements(陰陽五行之理). Four beginnings is based on Bentili(本體理) of Yin-Yang and Five elements and Seven feelings will not. The Bentili is just Mencius said the Xing of benevolence, righteousness, propriety and wisdom(仁義禮智之性) and Zhu Xi(朱熹) said Xingming(性命). The Li of Seven feelings is Mencius said the Xing of sound, color, smell and taste(聲色臭味之性) and Zhuxi said the private of HyungKi(形氣之私). Shin Hudam wrote that review and assessment for the previous Four-seven discussions. The article is called Sachildongyibyun(四七同異辨). And then, He sent a summary of four of his opinion to Yi Ik(李瀷1681∼1763). In this article, he confirmed the significance of ‘Four beginnings Li-issues(四端理發)’ and ‘Seven feelings Ki-issues(七情氣發)’ to ‘Xingming’ and ‘HyungKi(形氣)’. This is not the same as described in the ontological difference between the separation of the source and path generated by a ‘Sojonglae(所從來)’ of Yi Hwang(李滉1501∼1570). Thus, Shin Hudam`s Four-seven will change the focus of the discussions as a matter of ‘Xingming’ and ‘HyungKi’ in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But ‘Desire and Aversion toward moral good and evil(好善惡惡)’ are not related to feelings of personal interests HyungKi. In this case, that would not be able to have appeared in HyungKi. This is the ‘the seven Public feelings’ exactly what had he said. Therefore, he said ‘the seven Public feelings’ is not ‘the public private(私中之私)’ of Yi Ik. And it does not mean ‘the Seven feelings of a saint(聖人之七情)’. From the beginning the seven Public feelings is a sentiment arising from the principles of Xingming. Shin Hudam learned the spirit of 'Gaining self-realization(自得)' to mentor Yi Ik, and he was pursuing a theory that can practice in the real world. Therefore, Shin Hudam analyzed the theoretical basis that Four-seven of these. 신후담은 사단칠정에 대해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면서 공칠정公七情 리발설理發說을 제기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는 공칠정 리발설의 제기로 성호학파 내에서 일어난 논쟁에 주목했지만, 그가 해석한 사칠론과 공칠정 리발설의 의미를 명확하게 분석하지 데까지는 미치지 않았다. 그는 사단과 칠정이 근거하고 있는 리의 차이에 따라 리발은 성명을 기발은 형기를 가리키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이것은 모든 근원은 하나의 리(理一)에 있어도 다양하게 분화(分殊)된다는 것에 따라 사단과 칠정이 동일한 리에 뿌리를 두더라도 각각 근거로 삼는 리를 다르게 설정한 것이다. 사단과 칠정은 모두 근원이 되는 음양오행의 리에 뿌리를 두지만 사단은 음양오행의 본체리本體理에 근거하고 칠정은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본체리는 곧 맹자가 말한 인의예지仁義禮智의 성이고 주자가 말한 성명의 바름(性命之正)이며, 칠정이 근거한 리는 맹자가 말한 성색취미聲色臭味의 성이고 주자가 말한 형기의 사(形氣之私)이다. 신후담은 「사칠동이변四七同異辨」을 저술한 뒤 스승 이익에게 자신의 입장을 네 가지로 정리하여 보내는데, 사단칠정은 근거하는 리가 다르고 작동하는 기가 다르기 때문에 리발과 기발로 구별되며 그 의미를 주자가 말한 성명과 형기로 확정한다. 이것은 이황이 소종래所從來에 따라 발생근원과 경로를 구분하여 존재론적 차이로 설명하는 것과는 다르다. 따라서 신후담의 사칠론 논의의 초점이 사단과 칠정에서 성명과 형기로 옮겨가게 된다. 즉 형기에서 드러나거나 성명에서 발하는 정만 남게 되는데, 형기에서 드러나는 정은 사적인 이해관계에 따르게 되어 있지만 호선오악好善惡惡하는 경우는 사적인 이해관계와 무관하므로 형기에서 드러난 정이라고 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것이 신후담이 말하는 공칠정이다. 그러므로 신후담의 공칠정은 이익이 말한 사私가 확장된 것으로서의 칠정(私中之公)과 의미가 다르며, 기대승이 말한 맹자의 기쁨이나 순임금의 분노와 같은 성인聖人의 칠정과도 구별해 보아야 한다. 이 공칠정은 처음부터 성명의 리에서 발하는 칠정이라는 점에서 사단과 다르지 않기 때문에 그가 칠정에도 공과 사가 있다고 한 것이다. 신후담이 이렇게 사칠론을 해석할 수 있었던 것은 스승 이익에게 배운 ‘자득’의 정신과 구체적 현실에서 실천 가능한 이론을 추구하고자 했던 그의 학문적 지향이 바탕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순자의 이상사회론 - 욕망의 충족을 중심으로 -

        이해영 한국유교학회 2017 유교사상문화연구 Vol.0 No.68

        순자는 이상사회의 목표를 생존욕망의 충족과 사회적 안정에 두었다. 인간은 자연적 본성에 따른 욕망의 존재이므로 욕망을 충족하지 않을 수 없으며, 사회를 구성하여 살아가야 하는 사회적 존재이므로 사회 속에서 욕망을 충족할 수밖에 없다. 본성적 생존욕망은 사회 속에서 사회화 되며, 욕망의 충족 또한 사회화 된다. 순자는 사회화된 욕망을 사회 분업의 형식으로 충족하고자 한다. 그런데 사회화된 욕망은 무한하며 욕망충족 대상물은 유한하다. 순자는 무한한 욕망과 유한한 대상물의 갈등을 예의 분별적 기준에 의해 해결하고자 하였다. 그 분별의 기준이 적합하고 정당하면 사회는 조화를 이루어 통합되며 개인의 욕망충족과 사회적 안정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된다. 성왕은 예에 따라 사회를 다스리는 사람이다. 그는 인의의 덕을 바탕으로 예라는 사회규범에 따라 사회를 운영하며, 궁극적으로는 사회 구성원들이 상호신뢰를 근거로 조화롭게 하나가 되는 이상사회를 이룬다. Securing one’s basic desires and stabilizing society, those are attributes to the ideal society in Xunzi’s mind. For it is unavoidable to neglect basic desires, they need to be satisfied somehow in a socialized way. Besides the basic, all kinds of desires would be socially achieved with the division of labors in correspondence with social rank and principles of propriety. But material goods won’t catch up with overextending desires for a good reason. There, Xunzi proposed Li(禮, Propriety) as something to fix such disproportionate situation. Following that, he explains the function of Li(禮, Propriety) with differentiation. Xunzi conceives differentiation is an inevitable factor of society. When its standard is justified, society reaches reconciliation of one’s desires and social stabilization, where plus followings are satisfied: differentiating human affairs from natural phenomena, allocating suitable roles to each of social ranks, and providing different kinds of satisfaction for different kinds of social ranks. As shown above, the origin of Li(禮, Propriety) would be found in providing satisfaction of desires. And as a matter of process, followings will lead to ideal society: cultivating Ren Yi(仁義, Benevolence and Righteousness) and Li(禮, Propriety) as an outer and inner control respectively, and putting the ancient kings’ regulative principles on base of ruling. Here, the laws formulated by the ancient kings guide rulers to fulfill the ordered and equal society which members perform their appointed roles sincerely. This is the way to secure mutual trust between individuals and make harmonious society after all.

      • KCI등재

        기획논문 : 교우(膠宇) 윤주하(尹胄夏)의 학문연원과 사상경향

        권오영 ( Oh Young Kwon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1 남명학연구 Vol.32 No.-

        이 글은 윤주하의 학문연원과 理學의 내용을 탐구하고, 그의 현실인식을 새록게 주목하여 밝혔다. 윤주하는 張福樞·許傳·李震相의 문하에서 禮學과 理學을 공부하였다. 우선 그는 禮學 에 관심을 가져 許傳의 문화에 나아가 예학을 깊이 공부하여, 居昌 지역의 儒家의 일상의 禮로 활용하게 하였다. 특히 그는 모든 禮 의식의 행사를 위해 笏記를 만들어 법으로 삼아 시행하게 하였다. 그런가 하면 그는 李震相의 문하에서 理學을 깊이 공부하였다. 그는 스승 이진상의 心卽理설이 영남학계에서 異端으로 몰리자 「反究錄」을 지어 이진상의 이학을 철저히 수호하고자 奮鬪하였다. 또한 그는 스승 이진상의 학설을 이어받아 心의 未發에 氣質이 있는 것은 인정하나, 아직 氣가 作用하지 않기 때문에 기질이 없다고 말해도 가하다고 하였다. 당시 張福樞· 李震相 등 여러 학자들은 未發에도 氣質性이 있다고 보았으나 윤주하는 이러한 설에 대해 반대하고 미발에는 기질성이 없다는 독자적인 견해를 제출하였다. 윤주하는 현실인식에 있어서, 이미 벼슬한 사람은 나라를 위해 殉國할 수 있어야 하며, 아직 벼슬하지 않는 사람은 道를 위해 목숨을 바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그는 곽종석이 제자들에게 時務를 힘쓰게 하고, 외국책과 외국어를 익히게 하고 開化文字를 공부하는 것을 인정한다는 말을 듣고 비판적인 편지를 보내었다. 그는 어려운 시국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理學을 더욱더 철저히 연구하고 수호해야 한다는 생각을 지녀 평생을 이학의 탐구에 학문적 신념을 바친 학자였다. This paper is aimed to shed light on Yun Jooha`s academic source, his study of ii (理), and his attitude towards reality. Yun learned under scholars like Jang Bokchu, Heo Jun, and Yi Jinsang. As a pupil of Heo Jun, he learned study of propriety and Ii and let his learning of propriety be practiced in Geochang. Yun also wrote holgi (笏記), a guide of propriety, and legislated it for every rituals. As a pupil of Yi Jinsang, Yun practiced study of li. Since Yi`s theory of the mind as principle was treated heretical among Yeongnam based scholars, yun wrote 「Bangurok」 in defense of Yi`s theory of li. Under Yi`s influence, Yun argued that although dispositions are existent in the mind before it is aroused, they can be said as non-existent because they are not yet affected. At that time, many scholars like Jang Bokchu and Kwak Jongseok were opposed to Yun`s idea. Yun argued that one in an official position should be able to sacrifice for country, and one in a non-official position should be able to sacrifice for tao. Yun sent a reproaching letter to Kwak Jongseok who let his pupils attend to current social and political affairs, study foreign learnings. Yun kept a principle that study of Ii should be more deeply learned and protected to overcome hard times of history, and he devoted his lifetime to study of l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