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아살해죄의 주관적 동기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

        김용애,김민지 한국형사정책학회 2019 刑事政策 Vol.31 No.2

        Because of the past legislative intention for the infanticide were different from now, difficulty of judging subjective motivation requirement of infanticide, and sentence reduction requirement for infanticide compared to murder, maintaining the infanticide law raised many questions among legal scholars and practitioners. Previous research studies on the infanticide are mostly discussed in terms of maintenance, abolition, or amendment of the infanticide law. However, public perceptions and legal sentiments of subjective motivation of infanticide have not been empirically examin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sentence reduction requirement for infanticide corresponds to public perceptions, especially to examine how public perceive the subjective motives of infanticide. For the study, 480 adults participated. They were randomly assigned into one of four mock infanticide trials where the defendant’s subjective motivations to kill the infant was manipulated. The manipulated subjective motivations of the defendant were 1) to conceal shame of an adult offender, 2) to conceal shame for an minor offender, 3) impossible to nurture a baby, and 4) other considerable motives (abnormal mental state of the offender due to childbirt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ubjective motivation of offender’s abnormal mental state due to childbirth was mostly punished the defendant as a case of infanticide than a murder and this subjective motivation was rated as most fit category of “other considerable motives”. Second, the lowest sentence were imposed to the defendant with abnormal mental state due to childbirth and viewed as most valid subjective motivation to lower the sentence compared to murder. Based on the results, it is the right time to discuss the criminal law policy and the amendment of the infanticide. Limitations of the study was also discussed. 영아살해죄는 제정 당시와는 달라진 시대상황으로 인해 영아살해죄의 입법취지, 영아살해죄의 주관적 동기에 대한 판단, 보통살인죄에 비해 감경규정으로서의 타당성 등의 측면에서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영아살해죄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법학적 관점에서 법률의 존폐론, 개정론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는 것이 대부분이고 영아살해죄에 대한 일반인들의 법감정, 영아살해죄의 주관적 동기에 대한 사회적 인식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는 진행된 바 없다. 따라서 영아살해죄에 대해 일반인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고, 특히 주관적 동기와 관련하여 어떻게 해석하고 이해하고 있는지를 경험적으로 살펴보면, 현재 영아살해죄에 대한 양형과 일반인들의 생각하는 적절한 형량에 대해 구체적으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보여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영아살해죄의 감경규정이 현재 일반인들의 인식과 부합되는지, 특히 영아살해죄의 주관적 동기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 영아살해죄의 주관적 동기(치욕은폐, 양육할 수 없음, 기타 참작할 만한 동기)를 조작한 재판시나리오에 전국의 성인 남녀 480명이 무작위로 배정됐고 주관적 동기에 따른 영아살해죄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타 참작할 만한 동기에 해당하는 출산으로 인한 산모의 비정상적 정신상태의 피고인을 가장 많이 영아살해죄로 처벌하였으며, 출산으로 인한 산모의 비정상적 정신상태를 기타 참작할 만한 동기에 가장 부합한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출산으로 인한 산모의 비정상적인 정신상태에 해당하는 피고인에게 가장 낮은 형량을 부과했으며 보통살인죄에 비하여 가벼운 처벌이 가장 타당하다고 판단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입법적 개선 방향을 제시하며, 영아살해죄에 대한 형사정책적 변모가 필요한 시점임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영아살해죄의 규정과 해석에 관한 비판적 고찰

        전보경 ( Bo Gyung Jeon )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법학논총 Vol.37 No.3

        Killing a newborn baby is also the same crime with killing a person, in which both killings involve a violation of the right to life. In the criminal law , however, ``general murder; homicide`` and ``infanticide`` is strictly distinguished. Some punishment reductions, which are not applied to the general homicide, are defined as in legal provisions in case of the infanticide.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admit the needs of infanticide and suggest problems, under a general regulation of infanticide, related to ambiguous conception of ``infant`` and accepted usual interpretations about subjective components which are punishment reduction regulations. I also aim to provide various solutions about above problems. Above all, for the criminal law for the infanticide where ``infant`` is an object of a crime in the infanticide, we need to impose a punishment according to a clear conception and standard, not just by following commonly used and vague conceptions. Therefore, we must change and make a new regulation for the word ``infant``- it is better to change it into a word ``new born baby`` which is newly regulated word by the Mother and Child Health Act. Also, in criminal law, it is appropriate to change words from ``infanticide`` to ``new born baby homicide``. The next suggestion is that I personally think that a financial reason is not appropriate punishment reduction condition in violating people``s rights to life. I, thus, suggest following basis of arguments. First, according to Article 250 of the criminal law Homicide``, Article 51 of the criminal law Conditions of assessment of case and Article 53 of the criminal law Mitigation of punishment in extenuation of circumstances, any financial reasons or grounds are not included as the reduction in punishment in above articles. Having conditions for the reduction in punishment for the new born baby homicide and including ``financial reason`` as the mitigation condition are implying that we are just taking lightly of the right to life of new born baby at the moment. Second, in 2012 Constitutional Court decided that ``Self-induced abortion crime`` is not a violation of the constitution. According to the criminal law, the fetus that is still not ``born human`` also has the right to life. In case where the new born baby who can be considered as the ``born human`` has been decided as to be impossible to be nurtured due to financial reasons and thus to be killed, this is not truly inappropriate to impose a mitigation of punishment. Third, the death with dignity that was accepted in a judgement in 2009, and other various opinions that euthanasia can be socially accepted if some conditions can be satisfied, still do not include financial reasons as a ground of giving up lives. Even in cases where death with dignity and euthanasia are accepted, patients in a phase of irreparable death who prepare his/her own final moment of life are not allowed to choose the death with dignity or euthanasia for shortening the life due to financial grounds. New born babies who have just came into the world and started lives of human cannot be killed by violating their rights to life. Further, dealing with these cases, financial grounds being the mitigation is not reasonable. Overall, I believe that we need to change the vague conception of the word ``infant`` as included in the ``infanticide`` into a more certain and definite word ``new born baby`` so that people can present more clear standard. we, thus, need to amend the legal term ``infanticide`` into ``new born baby homicide; murder``. We also should not impose the mitigation when she/he killed new born baby because of financial grounds, expecting ``will not be possible to nurture the new born baby due to financial reasons``. Not allowing any reeducation of punishment will be resonable for these cases.

      • KCI등재

        유아살해서사의 전통과 영화 <장화, 홍련>

        심우장 ( Sim Woo-jang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4 문학치료연구 Vol.31 No.-

        이 글은 영화 <장화, 홍련>이 <장화홍련전>에서 포착해낸 `죄의식의 부재` 문제를 유아살해서사의 전통에 입각하여 새롭게 조명하려고 했다. 수연의 죽음으로부터 촉발되는 <장화, 홍련>의 죄의식은 우리 서사의 역사에서 줄기차게 문제가 되었던 `유아살해서사`의 전통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이 영화가 유아살해서사의 전통이라는 차원에서 어떠한 시대적 변주를 함축하고 있는지, 서사전통을 어떻게 새롭게 재창조하고 있는지를 살피는 것이 긴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우선 공포영화라는 장르적 속성에 맞춰 <장화, 홍련>에서 생성된 공포와 서사적 반전이 갖는 의의가 무엇인지 고민해보았다. 전통적인 유아살해서사가 작품 이해의 핵심적 스키마를 형성하면서 공포가 조성되고 이러한 스키마로부터 일탈하면서 극적인 반전을 마련하였다고 보았다. 총 두 차례의 반전 중에서 특히 두 번째 반전, 즉 화면에 비춰진 은주가 사실은 수미의 분열적 자아였다는 사실은 유아살해에 대한 죄의식을 새로운 차원에서 재조명 하는 계기가 되었다. 결과적으로 이 작품은 유아살해서사의 전통을 창조적으로 계승한 작품이다. 이행기적 서사에 나타난 계모의 부정적 이미지는 이행기에 요구되었던 시대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종의 희생양이며 허상이고 의학적으로 보면 집단적인 자기분열 증세였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김지운 감독은 서사에 감추어졌던 죄의식을 다시 일깨워 정신의학의 담론 틀로 새롭게 부각시켜 계모의 죄를 벗겨주려 했던 것이다. 이러한 차원에서 이 작품은 유아살해서사의 이행기적 변용에 대한 반성이면서 또한 새로운 서사적 치료이기도 하다. This paper tries to understand A Tale of Two Sisters(Janghwa and Hongnyun) on the perspective of the tradition of infanticide narratives to focus on a sense of guilt. A sense of guilt that is stirred by the death of Sooyeon has to do with the traditional narratives of infanticide. So we would ask which meaning does this movie work achieve and how does it reinvent the traditional narratives of infanticide into the same age`s ones. First of all, we try to find the meaning of horrors and dramatic reversals of this work according to properties of the movie genre. Horrors are made by the schema to be provided by the traditional narratives of infanticide and dramatic reversals are made by a deviation from the schema. Specially the second reversal of the two, the fact that Eunju is a Soomi`s divided self, serves as a momentum to watch once more a sense of guilt in the traditional narratives of infanticide. As a result, this movie is a work to succeed creatively to the traditional narratives of infanticide. This movie tells the fact that stepmother in the narratives is a sacrificial victim or an illusion of transition period and it is reflected in collective mental illness. This movie director tries to rescue the stepmother from the punishment with a discourse of psychiatry. So this movie is a work of reflection and therapy about a transition period`s transformation in the traditional narratives of infanticide.

      • KCI등재후보

        영아살해죄의 범행 동기에 관한 분석

        김학범(Kim Hak Bum),김현수(KIM Hyeon Soo) 한국범죄심리학회 2015 한국범죄심리연구 Vol.11 No.3

        현대사회의 복잡하고 다양한 변화 속에서 범죄의 양상과 정도도 크게 변화하고 있다. 최근 언론을 통해서 이러한 양상들이 보고됨을 통하여 국민들의 범죄에 대한 두려움도 크게 증가하고 있는 현실이다. 이러한 변화 중 하나의 축은 친족 간의 범죄의 증가라 할 수 있다. 여타 강력범죄에 의한 사회적 손실도 매우 큰 편이지만, 친족 간의 범죄는 사회 구성의 근간이라 할 수 있는 가정의 붕괴로 느껴질 만큼 큰 파급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친족 간의 범죄 중의 하나가 바로 영아살해죄와 관련된 범죄이다. 얼마 전 대전지방법원은 출산 후 영아를 방치해 숨지게 한 20대 미혼모에게 징역형을 선고했다. 또한 전남 나주경찰서에 따르면 전남 나주시 금천면 A(56) 씨의 집에 위험물이 택배로 배달됐다는 신고가 112에 접수되어 출동한 경찰은 택배 상자 안에서 영아의 시신을 발견한 충격적인 사건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이 사건은 영아의 사망 시기에 따라 다른 죄로 규율될 가능성이 크긴 하지만 영아에 대한 범죄행위로서 세간의 관심을 끌고 있다. 이러한 영아살해 범죄는 타 강력범죄에 비하여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다고 보기는 어려우나 매년 꾸준한 범죄량을 보이고 있다는 점도 현실이다. 영아살해죄(형법 제251조)는 직계존속이 치욕을 은폐하기 위하거나 양육할 수 없음을 예상하거나 특히 참작할 만한 동기로 분만 중 혹은 분만 직후의 영아를 살해한 때에는 10년 이하의 징역에 처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즉 영아살해죄는 영아를 살해아여 성립하는 범죄로 살인죄에 대한 감경적 구성요건으로 되어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피해자 관점에서 보았을 때 영아살해죄의 객체인 영아는 타 피해자에 비하여 극도로 취약한 피해자라 볼 수 있다. 영아라 할지라고 판례와 학설의 주류가 취하는 사람의 시기에 관한 진통시설을 취할 때 명백히 사람이며 생명권을 가진 존재라 할 수 있다. 생명권을 가진 존재가 자신의 의사와는 상관없이 저평가된 보호를 받고 있는 것이라 생각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점에도 불구하고 영아살해죄는 학계에 의해서도 적은 관심을 받고 있다. 기존의 선행연구들이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으나, 규범적 측면의 접근에 한정되어 있다(전보경, 2013; 성낙현, 2010; 변종필, 2008).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먼저 영아살해죄 일반론과 관련하여 입법례, 주체와 객체와 관련된 논의, 주관적 구성요건으로서 동기를 살펴보기로 한다. 이를 바탕으로 판례에 나타난 영아살해죄의 실제, 즉 감경사유로서의 동기가 존재하였는지와 이에 대한 법원의 판단에 대하여 분석하기로 한다. 이를 바탕으로 영아살해범죄에 대한 입법론 내지 정책적 제언을 하고자 한다. The standards, styles and scale/extent of crime has become greatly varied due to complex and various changes in contemporary society. These aspects are constantly fed to the people by the media and this makes public threat or fear on crime has increased over the recent years. One of the most conspicuous characteristics in these changes is the vast growth of relative crimes(family crimes). The social loss brought by another violent crimes is also huge, but relative crimes have much more destructive power leading a collapse of family, which is the basis of social construction. One of these relative crimes is infanticide. Upon infanticide(Korean Criminal Law Article. 251), the lineal ascendants will be sentenced to under 10 years of prison based on infanticide regulation when the criminals try to conceal the shame or cannot afford to nurture, or in particular, murder the infant at childbirth or immediately after birth, with acceptably reasonable motive of the crime in considered circumstances. Infanticide consists of commutation about murder as a crime formed by conducting infanticide. However, on the perspective of victim, infant as the objective of infanticide is the extremely vulnerable compared to other victims. When it comes to the theory that mainly believes human being starts from pangs of childbirth, even infant can be regarded as human who has the right of life. Regardless of one's - who has the right of life - intent or idea, this study will observe the motivation carefully as a subjective conditions, legal examples, dispute related to subjective and objective, according to the general theory of infanticide.

      • KCI등재

        고대 로마의 임신과 피임에 대한 이론과 실제

        차영길(Cha Young-gil) 부산경남사학회 2010 역사와 경계 Vol.76 No.-

        The Aims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Sociology of Contraception in the Roman Empire. Roman parents had available three methods for contraception. No matter how prevalent the use of contraceptives was, there surely must have been countless unwanted preganacies. Abortion was apparently a common solution. When contraception and abortion failed, parents of an unwanted child sometimes resorted to exposure and infanticide. By leaving the infant in a conspicuous place, clothed and with some kind of birth token(usually a piece of jewelry), parents seemed to try to protect themselves against the pain of the act by indulging in the hope that someone else would rear their child. The right of a father to expose an unwanted baby was almost unquestioned. It was after AD.374 that Roman law made infanticide a capital offense. When contraception and abortion failed, parents of an unwanted child sometimes resorted to exposure and infanticide. There is no way to determine how often parents took this extreme action. Although it is fairly well accepted that deformed and sickly babies were strangled at birth or left in a temple or on a hillside, it is by no means clear that exposure of healthy children was in any sense routine. There is a strong probability that girls were more often exposed than were boys, but at what rate is unknown. Estimates range from 10 to 20 %. It seems likely that rates of infanticide varied over time and according to economic and social conditions. Exposure seems to have been more common among the poor and more prevalent in the East after the 4th century and in the West after the 1st century B.C. This dose not mean that infanticide and exposure was the unique and most common form of family planning. Its meaning is that we should not forget the practice attracted far more attention than contraception or even abortion in the sociological analysis of Roman society.

      • KCI등재

        인격체 논변은 유아살해를 필연적으로 함축하는가

        장동익 ( Chang Dong Ik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人文科學 Vol.0 No.74

        진보주의자들의 인격체 논변은 낙태에 찬성하기 위한 훌륭한 전략으로 평가된다. 이런 탁월성에 반해, 유아살해를 함축한다는 비판도 동시에 제기되고 있다. 유아살해를 함축한다는 비판은 윤리 이론으로서 치명적이다. 여기에서 인격체 논변이 유아살해를 필연적으로 함축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살해’와 ‘살인’ 개념을 구별하고 윤리와 의미 있는 연관을 가진 개념은 살해가 아니라 살인임을 해명한 후에, 살인의 조건들을 살펴보았다. 또한 진보주의자들이 유아살해를 허용한다는 비판에 대해 취할 수 있는 방법들을 고찰한 후, 이런 방법들이 유사성, 사회적 중요성, 권리 개념의 종류, 그리고 여성의 권리 소멸과 관련하여 낙태를 찬성하면서도 유아살해를 반대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런 일련의 설명들을 통하여 낙태를 찬성하더라도 유아살해에 반대할 수 있는 방법이 열려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personhood argument is considered as a good strategy for abortion. Although it has these advantages, criticism that it implies infanticide is also being raised at the same time. This criticism is fatal to an ethical theory. Here, I examined whether the argument of personhood necessarily implies infanticide or not. For this purpose, first, I distinguished the concept of ‘murder’ from that of ‘killing’, then explained that murder, not killing, has meaningful relevance to ethics. And considering the their responses to criticism that the personhood argument allows infanticide, I examined that its criticisms of implying infanticide could be overcome by their responses. Even if abortion is approved,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a way of opposing infanticide by examining the personhood argument.

      • KCI등재

        익명출산에서 익명상담으로

        권재문 전북대학교 동북아법연구소 2015 동북아법연구 Vol.8 No.3

        모자관계는 출산이라는 사실에 의해 당연히 성립하고 이를 해소할 수 없는 것이 우리 친자법의 대원칙이다. 그러나 친생모가 신생아를 출생신고하지 않은 상태에서 자신의 신원을 밝히지 않은 채 남에게 맡겨 버리면 출산이라는 사실에 기초한 친생 모자관계를 법적 모자관계로 반영할 수 있는 길이 막혀 버린다. 이른바 ‘익명출산’은 이처럼 출산모가 출산에 의해 당연히 성립하는 법적 모자관계를 벗어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는데 비록 연혁과 운영방식에 차이는 있지만 우리 법제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주요 국가들 즉 일본, 독일, 프랑스, 미국 등은 모두 이러한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이 제도는 신생아 유기·살해에 대한 대안으로서 그 정당성이 인정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과연 익명출산이 이러한 비극의 방지라는 기능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제도인지는 검증되었다고 보기 어렵다. 또한 출산모의 비밀유지 이익만을 옹호하고 이로 인해 자녀의 혈연을 알 권리를 전면적으로 박탈한다는 문제도 지적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최근 한 종교단체가 익명으로 신생아를 맡길 수 있게 하는 이른바 ‘베이비박스’를 운영하였고 이를 계기로 그 당부에 대한 논의가 촉발되었다. 이러한 논란을 해결하기 위한 비교법적 연구의 일환으로 해외 각국의 유사한 제도를 검토한 결과 이처럼 국가기관의 관여 없이 그리고 아무런 제한조건 없이 출산모가 신생아를 익명으로 맡길 수 있도록 하는 제도를 운영하고 있는 나라는 전혀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최소한 아동과 출산모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의료기관이 개입할 수 있도록 하거나, 신생아 유기·살해라는 위기상황을 모면할 수 있는 상담과 경제적 지원의 계기로서 익명성을 잠정적으로 보장하는 것이 보편적인 형태인 것이다. 이러한 비교법적 연구는 장차 이 문제에 대한 입법을 준비함에 있어서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을 것으로 기대된다. Whenever a tragic event of infanticide occurs, anonymous birth, baby boxes or baby nests were proposed in newspapers. Those who defined this social problem in terms of young mothers in distress pushed the legislatures to introduce legal anonymous birth, succeeding in such countries as U.S.A., France, and Germany. Similar initiatives failed in Japan and Korea, but a system similar to baby boxes has been instituted nevertheless. Supporters of anonymous birth aim at preventing infanticide and child abandonment especially by mothers of minor age, and argue that increased usage of this system in states with strong public awareness programs has effectively reduced the number of infant deaths. But it is to be remarked that socio-legal research reveals that the reasons for abandonment and infanticide are indistinct. Furthermore anonymous birth contradicts our legal tradition that focuses on biological descent as evidence in case of children born out of wedlock. A comparative study of anonymous birth in several countries shows that not anonymity system itself but counselling system is to be recognized as the key to the problem of infanticide. That is, anonymity is realized as only a motive for mothers in crisis to visit adequate counsellor. What is to be kept in mind is that through the ultimate solution as providing confidential counseling to at-risk pregnant women about prenatal care and safe alternatives for their babies, the best interest of the child can come true.

      • KCI등재

        메데이아의 자식살해와 튀모스(thymos)

        정준영(Cheong, June-Young) 韓國西洋古典學會 2011 西洋古典學硏究 Vol.45 No.-

        이 글은 에우리피데스의 『메데이아』에서 메데이아가 ‘왜, 어떻게 자식살해를 하게 되었는가?’를 초점으로 메데이아의 튀모스(thymos)를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일차적으로 기존의 두 해석 전통을 정리, 비판하고, 이를 기초로 새로운 가설(체계적 애매성 가설)을 제시하려 한다. 이 글은 『메데이아』의 1021-1080행을 중점으로 분석하여 이런 작업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논증하려는 바는 다음과 같다. (i) 메데이아의 자식살해 동기를 격정(passion) 대(對) 이성(reason)의 대립이라는 관점에서 바라보는 시각이, 일종의 ‘자제력 없음’(akrasia) 해석을 기초로 한 측면을 드러내고, 이런 노선의 한계를 드러내려 한다. 이런 노선은 메데이아의 thymos를 전적으로 비합리적인 격정으로 해석하는데, 그런 해석은 메데이아의 복잡한 심리적 갈등뿐만 아니라 추론하는 메데이아의 측면을 고려하지 못한 해석이라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ii) 메데이아의 갈등을 ‘전통적 영웅상인 남성성’ 대(對) ‘모성애의 여성성’의 대립으로 해석하는 최근 고전학계의 해석을 소개하고 이런 해석의 유의미한 측면과 한계를 제시하려 한다. 이런 해석은 메데이아의 갈등을 잘 설명하지만, 종국에 가서 어떻게 해서 메데이아가 자식 살해 ‘결정’을 내리는지는 설명하지 못하는 한계를 가진다. (iii) 1021-1080행과 관련된 문헌학적 해석과 문학 비평적인 해석을 논란점 위주로 소개하고, 이런 논란을 극복하기 위해 이 글은 에우리피데스가 의도적으로 애매한 구성을 했다는 체계적 애매성(systematic ambiguity) 가설을 제시하며, 이런 가설을 정당화하려 한다. (iv) 체계적 애매성 가설을 전제로, 메데이아의 튀모스가 합리적인 측면이 있는 동시에 비합리적인 측면이 있다는 것을 드러내고, 이런 역설적 융합을 바로 전통적 튀모스의 왜곡된 변형으로 제시한 데 에우리피데스의 의도가 있다고 해석하려 한다. 이를 통해 이 글이 논증하려는 것은 전통적인 영웅주의적 가치관이 새로운 형태의 지혜(도구적 이성)와 결합됨으로써 자기 파멸의 문제를 일으키는 것을 보여주려는 데 에우리피데스의 의도가 있었다는 것이다. This paper aims for the analysis of Medea’s thymos(spiritedness) in Euripides’ Medea. I will focus on the monologue 1021-1080. My arguments are the followings. (i) The traditional line which considers Medea’s motive from the opposition between passion and reason, overlooks the aspect of ‘reasoning’ Medea. (ii) The late criticisms pay attention to the conflict between heroic Medea and motherly Medea. However, this line does not answer the problem, why and how Medea make a decision of infanticide. (iii) In relation to disputable issues in the monologue 1021-1080, I will propose a new alternative: the hypothesis of systematic ambiguity. According this hypothesis, Euripides intended to open a ambiguous reading of the monologue, particularly 1077-1080. (iv) Through his focusing on a amalgamation of cruel vengeance and instrumental reasoning, Euripides seems to disclose a danger of the transformed traditional hero: Medea’s thymos.

      • KCI등재

        보호출산제도 도입을 위한 헌법적 연구

        신옥주 헌법재판연구원 2023 헌법재판연구 Vol.10 No.2

        In o ur s oci ety, t here a re w omen w ho f ace predicaments and cri ses during pregnancy and childbirth over whether or not to continue their pregnancy and whether or not to provide direct care for their child after birth. This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non-registration of infants, infant abandonment and infanticide. After a long struggle, birth notification system was introduced in June 2023 through an amendment to the Act on Registration of Family Relations. The act stipulates that the births of all chi ldren born in hospitals must be notified and that the head of the competent municipality must register the birth of a notified child unless a birth report is made. As the Act on Registration of Family Relations a ppli es t o nationals, it does not apply to non-national children, including unregistered non-nationals. However, the birth notification system has at least made it possible to register the births of all Korean children. In order to comply with the provisions of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which identifies the right to birth registration as a universal human right, measures are needed to ensure that all children are registered. The introduction of the birth notification system and the removal of the special provisions for infant abandonment and infanticide committed by a lineal ascendant to avoid disgrace or for some other extenuating motives have enshrined the respect for life and the right to life of infants in the Criminal Act. On the o ther hand, the b irth noti fi cation system and toughened penalti es may put women facing predicaments during pregnancy and childbirth in a more desperate situation, endangering the lives and physical safety of pregnant women and infa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system that provides sufficient information to pregnant women facing predicaments through counseling. The system should also support them when they want to gi ve bi rth but are unable to rai se their children themselves. This is embodied in the bill for Special Act on Anonymous Birth System (보호출산특례법안), whi ch i s an a lternati ve bi ll provi d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t passed the competent Standing Committee of the National Assembly i n September 2023. T he b i ll i s understood t o be m odelled a fter G ermany's Confidential Birth Act. Germany’s Pregnancy Conflict Act is characterized by professional and systematic counseling. It allows counselees to choose between general reproductive counseling, pregnancy termination counseling and confidential birth counseling. If a pregnant woman facing predicaments chooses confidential birth counseling, her anonymity is guarante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birth support i s provided to ensure safe bi rth at a hospi tal; the child is gi ven the right to access his/her birth certificate upon reaching the age of 16; and if the birth mother does not c onsent to the c hi ld’s access, the c ourt m ay o rder a di sclosure after balancing interests of relevant entities. The alternative bill currently pending before the National Assembly differs in key aspects from the German legislation in that - the purpose of the law is more focused on creating conditions for children’s well-bei ng a nd f or chi ldren to l i ve s afely wi th t hei r biologi cal parents than o n ensuring the anonymity of pregnant women facing predicaments and children’s right to know; a new counseling system is established for anonymous birth counseling; children who are born anonymously may request access to their birth certificates at any age; and information save for personal details must be disclosed to a child even if his/her biological parents do not consent. While this may have positive aspects from the perspective of children’s welfare, there are doubts as to whether a pregnant woman facing predicaments would choose this option over the fear that information about her could be disclosed at any time. At the very least, th... 우리사회에는 임신・출산에 있어 임신을 지속할지 여부 및 출산 후 직접 양육을 할지의 문제를 가지고갈등을 하고 위기에 처하게 되는 여성들이 존재한다. 이는 영아에 대한 출생신고를 하지 않거나 영아유기, 영아살해 등과 유의미한 관련성을 가지게 된다. 입법화를 위하여 오랜 시간동안 노력하였던 출생통보제가 2023.6. 가족관계등록법이 개정됨으로써 도입되었다. 법에서는 병원에서 출산한 모든 아동에 대하여 출생통보를 하도록 규정하는 한편, 출생통보 된 아동에 대하여 출생신고자의 출생신고가 없는 경우관할 지자체장이 출생등록을 하도록 하고 있다. 가족관계등록법의 대상이 국민이므로 미등록 외국인을포함한 외국국적 아동의 경우 출생통보를 통해 출생등록이 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이러한 출생통보제를 통하여 최소한 모든 한국 국적의 아동에 대한 출생등록이 가능해 졌다고 할 수 있다. 출생등록을 할권리를 보편적 인권으로 파악하는 아동권리협약의 내용에 상응하기 위하여서는 향후 모든 아동에게 출생등록을 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출생통보제 도입과 더불어 직계존속이 치욕을 피하기 위하거나 특히 참작할 만한 사유로 저지른 영아유기죄와 영아살해죄에 대한 특례규정이 삭제됨으로써 형법에서도 영아에 대한 생명존중과 생명권의 보호 관점이 관철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출생통보제와 처벌강화는 임신・출산 위기여성을 더욱 궁박한 상황에 처하게 함으로써 임산부와 영유아의 생명과 신체의 안전을 위험에 처하게 할 우려가 있어 위기임산부에 대하여 상담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출산을 원하지만 직접 양육을 할 수 없는 경우 지원을 하는 제도의도입이 필요하다. 이를 구체화한 것이 2023.9. 보건복지부 대안으로 소관 상임위를 통과하고 2023.10.6. 본화의 의결을 거쳐 2024.7.19.부터 시행되는「위기임신 및 보호출산지원과 아동보호에 대한 특례법(이하보호출산특례법이라함)」이다. 이 법은 독일의 신뢰출산법을 모델로 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독일의임신갈등법은 전문적・유기적 상담이 특징이다. 이를 통해 일반 재생산 상담, 임신중절 상담, 신뢰출산상담을 내담자가 선택하여 결정할 수 있으며, 임신갈등여성이 신뢰출산 상담을 원하는 경우 산모의 익명성을 일정기간 보장하고 출산지원을 통해 병원에서 안전하게 출산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아동에게 만16세가 되면 출생증명서를 열람할 수 있는 권리를 행사할 수 있도록 하며, 친모가 열람에 대한 부동의를하는 경우 법원에서 법익을 형량하여 공개토록 하는 내용의 신뢰출산제도가 작동된다. 그러나 보호출산특례법의 목적이 임신갈등여성의 익명출산과 아동의 알권리보장에 있기보다는 자의 안녕과 친생부모와안전하게 살 수 있는 여건의 조성에 있으며, 보호출산상담을 위해 별도의 상담체계를 구축하고, 보호출산으로 출산 된 자녀는 연령의 제한 없이 출생증성에 대한 열람을 청구할 수 있고, 친생부모가 부동의하는 경우에도 인적 사항을 제외한 정보를 공개하도록 한다는 점에서 독일의 법제와 핵심적 내용이 다르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러한 보호출산제도가 아동의 복리관점에서 긍정적인 측면도 있겠지만 임신갈등여성이 자신과 관련된 정보가 언제든지 공개될 수 있다는 우려를 떨치고 이 제도를 선택할 지에 대하여서는 의구심이 있다. 최소한 ...

      • KCI등재후보

        분만 중 또는 분만 직후의 영아살해범죄에 관한 실무상 문제와 해결방안

        남관모 사법발전재단 2018 사법 Vol.1 No.45

        The Korean criminal law prescribes that a person who commits infanticide shall be punished on charges of infanticide, the crime of causing death to a baby by abandonment, and the crime of resulting death from child abuse. This article examines some of the dilemmas entailed by infanticide cases from the viewpoint of a legal practitioner. The Criminal Act imposes heavier punishment on the crime of causing death to a baby by abandonment, which constitutes a crime that resulted in unintended consequences by the agents’ purposeful criminal conduct (“consequential aggravated crime”), compared to infanticide, which constitutes an intentional crime. Under the Act, a case where infanticide is committed by means of abandonment, during or right after delivery, is punished more heavily, compared to a case where the crime was committed by other means. Yet, in practice, infanticide is sentenced with heavy penalty, contrary to the gravity of the statutory penalty thereon. In addition, the Act on the Punishment of Child Abuse Crimes prescribes aggravated punishment for the case in which a protector of a child results in the death of the child by committing special cases of child abuse crimes, defining the crime of abandonment of a baby as one of the types of the special cases of child abuse crimes. However, imposing punishment, which is heavier than that of the crime of causing death to a baby by abandonment under the Criminal Act, without specific indications of elements of crime, is against the responsibility principle; and is lacking in legitimacy and balance, thereby making it unconstitutional. The unconstitutionality issue must be resolved through legislation; yet, even before legislative action takes place, a court must render constitutionally restrictive interpretation to remove any unconstitutionality therein. This article proposes a way to resolve the imbalance in sentencing for infanticide and for the crime of causing death to a baby by abandonment, which is: (a) repealing the crime of abandoning a baby and punishing it on charge of infanticide, irrespective of the methods of the crime; and (b) raising the statutory penalty for infanticide in view of the circumstances at the time of enactment and the current situation. Finally, infanticide, like other crimes, must be eliminated from our society; however, imposing severe punishment by means of a special law on some types of infanticide, whose methods of crime are no different from other types, is not a fundamental solution to the problem. Furthermore, it violates the principle of equality, and is not legitimate under criminal law and the constitution. 우리 형사법제는 영아살해범죄를 저지른 사람에 대하여 영아살해죄, 영아유기치사죄, 아동학대치사죄로 처벌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본 글에서는 영아살해범죄를 담당하는 실무가로서 업무과정에서 부딪히게 되는 문제를 살펴본다. 영아살해죄와 영아유기치사죄의 관계를 보면, 형법은 고의범인 영아살해죄의 법정형보다 결과적 가중범인 영아유기치사죄의 법정형이 더 중하게 규정하고 있어 분만 중 또는 분만 직후 영아살해의 방법이 유기인 경우를 그 밖의 다른 범행방법인 경우보다 중하게 처벌하고 있고, 반면 실무적으로는 법정형의 경중과 정반대로 영아살해죄에 대하여 중형이 선고되고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아동학대처벌법은 보호자가 특정 아동학대범죄를 범하여 아동을 사망에 이르게 한 경우를 가중처벌하도록 하면서, 영아유기죄를 특정 아동학대범죄의 하나로 규정하고 있는데, 영아살해죄와 비교하여 행위반가치 및 결과반가치가 더 중하지 않음에도 현저히 중하게 처벌하는 것은 책임주의에 반하고 형사특별법으로서 갖추어야 할 형벌체계상 정당성과 균형을 잃어 위헌이라고 생각된다. 입법적으로 위헌 문제가 해소되어야 하겠으나, 그 전이라도 법원은 해석을 통해 위헌성을 제거하는 것이 타당하다. 또한 영아살해죄와 영아유기치사죄의 법정형 불균형의 문제를 해결할 방안으로 영아유기죄를 폐지하여 범행방법과 관계없이 영아살해죄로 처벌하되, 형법 제정 시와 현대의 시대상황변화를 반영하여 영아살해죄의 법정형을 상향하는 입법론을 제안한다. 끝으로, 영아살해범죄는 여타 범죄와 마찬가지로 우리 사회에서 근절되어야 하는 범죄임은 물론이나, 본질적 차이가 없는 영아살해범죄의 일부 범행방법 유형에 대해서만 특별법으로 법정형을 가중하여 가혹한 처벌을 하는 것은 이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도 없을 뿐더러, 동일한 죄책에 대하여 동일한 형벌을 과하여야 하는 형사법체계적으로나 헌법적 관점에서 정당하지 않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