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소(在蘇)한인 작가들의 문학작품 연구

        이화경(Lee Hwakyeong) 동아인문학회 2018 동아인문학 Vol.43 No.-

        본 연구는 ‘상상의 공동체’이자 ‘느낌의 공동체’를 함께 건설하려고 했던 《선봉》의 작가들과 작품들을 보다 개괄적이고 구체적인 차원에서 분석하고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선봉》에 실린 문학 작품들을 중심으로 재소 한인들의 디아스포라적인 삶과 인식이 어떤 궤적을 그리고 있으며 어떻게 문학적 형상화를 이루고 있는지, 그것이 어떤 의미와 가치를 갖는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23년에 창간된 《선봉》은 재소(在蘇) 한인들의 최초의 한글 신문으로, 문예페이지를 개설하면서 한글문학을 본격적으로 개척하고 일군 선구자 역할을 했다. 《선봉》은 연해주로 이주한 지식인과 작가들이 한인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민족어인 한국어로 작품을 창작하고 발표할 수 있도록 각고의 노력 끝에 만들어낸 매체였다. 《선봉》은 1937년에 폐간되어 《레닌기치》로 재탄생되기까지 한글문학의 영역을 구소련까지 확대하고 발전시키면서 사회주의 리얼리즘 형성의 단초를 제공하고, 이후 중앙아시아로 이주하게 된 한인 작가들의 문학적 맹아(萌芽)로써의 역할을 충실히 해낸 선진적인 매체였다. 재소 한인 작가들은 전통의 단절과 새로운 이념의 개입의 영향을 받은 문학 작품을 알리기 위해 ‘신문’과 ‘문학’이라는 근대적인 매체를 통해 연해주 동포들의 인식을 바꿔놓으려 노력했다. 이는 《선봉》의 작가들이 공산주의 이데올로기로 구성된 ‘상상의 공동체’와 사회주의 리얼리즘 이론으로 무장한 근대문학이라는 ‘느낌의 공동체’를 통해 그들만의 역사적 공동체를 실현하고자 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1920~30년대라는 특정한 시기와 10월 혁명이 구현된 소비에트라는 공간 속에서 조선의 망명자들이 그들만의 경험을 통해서 구성되고 의미를 부여한 역사적 공동체라는 특이점을 보이고 있다. 《선봉》매체의 주체들은 재소 한인들과 소통하기 위한 신문과 한글이라는 언문일치의 도구를 통해 공감된 세계와 상상적 세계를 재현하고자 했다. 물론 과도한 정치적 요구와 이념에 경도된 도구화된 문학으로 점철되어 있는 경향성을 띠고 있긴 하지만 시대정신을 강력하게 상기시키는 효과를 발휘했다. 무엇보다 그들은 공산주의 이데올로기로 구성된 ‘상상의 공동체’와 사회주의 리얼리즘 이론으로 무장한 근대문학이라는 ‘느낌의 공동체’를 통해 그들만의 역사적 공동체를 실현하려고 했다는 점이 지금 현재 무력한 문학을 향해 혁명적 상상력이 왜 필요한지를 되돌아보게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examine the writers and works of 《Seonbong》, which was an attempt to construct ‘Imaginary Community’ and ‘Feeling Community’ in a more general and concrete dimension. In other words, it is aimed to reveal the trajectory of diaspora life and recognition of the Korean refugees centering on literary works in 《Seonbong》, and how they are shaped literary and what meaning and value it has. 《Seonbong》, which was created in 1923, was the first Korean-language newspaper of the residents of Soviet., and opened up literary pages to pioneer Korean language literature and acted as a pioneer in the field. 《Seonbong》was expanded in 1937 and expanded to the Soviet Union until the rebirth of 《Lenin Gichi》 to the Soviet Union, providing the basis of socialist realism, and then the literary bud of Korean writers who moved to Central Asia was an advanced medium that faithfully fulfilled its role. Korean writers who tried to change the perception by means of modern media such as ‘Newspaper’ and ‘Literature’ in order to inform the literary works influenced by the interruption of tradition and the intervention of new ideologies. It can be seen that the writers of 《Seonbong》 sought to realize their own historical community through the “imaginary community” composed of communist ideology and the “feeling community” of modern literature armed with socialist realism theory. Also, in the specific period of the 1920s and 1930s and the Soviet space in which the October Revolution was realized, the exiles of Chosun show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 of the historical community that is constituted and meaningful through their own experiences. 《Seonbong》 tried to reproduce the world and the imaginary world that were sympathized through newspapers and Hangul, a tool for communicating with Korean residents. Of course, it has a tendency to be dotted with instrumentalized literature that is devoted to excessive political demands and ideologies, but has shown a powerful reminder of the spirit of the times. Above all, they tried to realize their own historical community through the “imaginary community” composed of communist ideology and the “feelings community” of modern literature armed with socialist realism theory.

      • KCI등재

        김광섭 시에 나타난 공동체 인식 연구

        손민달 ( Min Dal Son ) 한민족어문학회 2015 韓民族語文學 Vol.0 No.70

        김광섭의 시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는 주로 후기시에 집중되어 있다. 또한 기존 연구는 그의 시세계 전반의 변화를 삶의 궤적과 대응시켜 해석하려는 문제를 낳았다. 이에 본연구는 김광섭의 시에 나타난 ‘공동체’에 대한 인식 변화를 통해 그의 시적 변모를 입체적으로 해석하고, 초기시의 한계점으로 지적된 관념성의 문제를 규명하고자 한다. 공동체에 대한 그의 인식 변화는 ‘나라’를 인식하는 ‘상상의 공동체’와 자아와 타자의 관계에 중심을 두는 ‘존재론적 공동체’, 유기체적이고 전일적인 사고를 바탕으로 한 ‘생명공동체’로 구분된다. 그의 첫시집 『동경』에는 앤더슨이 제시한 ‘상상의 공동체’로 규정할 수 있는 ‘민족’의 대응어인 ‘나라’가 다수 등장한다. 김광섭은 ‘나라’를 매개로 일제강점기라는 현실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함께 긍정에 대한 기대와 희망을 표현한다. 그의 초기시를 표면적인 관념성과 고독과 허무로 평가하는 것은 이로써 보완할 수 있다. 김광섭의 중기시에는 자아와 타자와의 관계성 자체에 주목하는 존재론적 공동체를 보여준다. 특히 레비나스가 말하는 타자의 현전, 자아의 타자에 대한 ‘책임’과 ‘대속’을 시의 중요한 표지로 삼아 시작활동을 하였다. 이는 그가 자아 중심에서 타자 중심으로 존재의 범위를 확대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시켜준다. 『성북동 비둘기』를 포함한 후기시는 생명공동체적 인식을 보이면서 자아 범위를 무한히 확장시킨다. 특히 그는 인간과 자연을 포함한 ‘온생명’을 시화하고 유기체적이고 전일적인 생명공동체를 구상한다. 그러나 요나스가 제시한 생태학적 책임 윤리의 측면에서 그의 시는 일정부분 한계를 보인다. Previous studies mostly focused on the later poems of Kim Gwang-seop, which raises a problem of making the overall changes to his poetic world correspond only to his life trajectory. This study thus set out to examine changes to his perceptions of "community" in his poems, interpreting his poetic transformations in a solid manner and explaining about the issue of ideality that was pointed out as a limitation with his early works. Changes to his perceptions of "community" are centered around the "imaginary community" to perceive "nation," "ontological community" with a focus on relations between ego and others," and "life community" based on organic, whole thinking. In his early poems, "nation," which is a corresponding word to "people" that can be defined as "imaginary community" proposed by Anderson, makes frequent appearances. Kim expressed his negative perceptions of reality represented by the ruling Japanese via "nation" and his strong yearning for hopes in it, which raises a need to reconsider the old practice of defining his early works as the poems of superficial ideality, solitude, and futility. In his middle poems, he paid attention to relations between ego and others themselves, dreaming of ontological community. He especially engaged in creative poetic activities with the presence of the other and the "responsibility" and "atonement" of ego for others proposed by Levinas as his important covers of poems. In his later works, Kim expanded the scope of his ego infinitely, showing his perceptions of life community. He, in particular, expressed "global life" including man and nature in poetic words and devised an organic, whole life community. Some of his later poems, however, do have certain limitations, as well, when the ethics of responsibility for man proposed by Jonas is presented as the standard.

      • KCI등재

        Community of Equals: made by intelligence and imagination

        최은하 서울대학교 라틴아메리카연구소 2008 이베로아메리카硏究 Vol.19 No.2

        This essay dialogues with Jacques Rancière’s On the Shores of Politics and Jorge Luis Borges’s short story, “El Congreso”. Though employing different genres, Jorge Luis Borges and Jacques Rancière discuss a series of common themes: political community, equality and the role that intelligence (for Rancière) and literary fiction (for Borges) play in imagining the contours of possibility of a “community of equals” of an unfixed definition. I argue that according to both thinkers, fiction and political essays create the space for the discursive exposition of such a community as one always imminently to come, or as always already a catachresis. Discursively situating the “community of equals” is a practice of artifice that is constituted in the community’s ability and need to enact it.

      • KCI등재후보

        주체 없는 공동체 : 상상적 전회를 통한 들뢰즈의 내기

        이성민(Seong-Min Lee) 한국라깡과 현대정신분석학회 2010 현대정신분석 Vol.12 No.2

        『시네마 1. 운동-이미지』에서 들뢰즈는 강한 형태의 이미지의 존재론을 전개한다. 그것은 이미지와 물질과 운동을 동일시하는 베르그손의 철학에 의해 지탱되는 존재론이다. 최근에 알튀세르의 독해에서 스피노자를 끌어들여 상상적인 것을 강조하는 상상적 전회와 비교할 때 들뢰즈의 경우는 좀더 전면적이고도 보편적인 상상적 전회를 구성한다. 이 글은 이와 같은 상상적 전회를 통해서 들뢰즈가 내기에 걸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를 추적하고자 한다. 들뢰즈는 철학자다. 들뢰즈와 플라톤이 대립되는 입장에 있다고 볼 수 있겠지만, 그 둘은 철학사에 온전히 기입될 수 있는 철학자들이었다. 그리고 철학자란 공동체의 이념적 수호자다. 근대는 공동체의 주체들에게 새로운 과제를 제기했다. 그것은 공동체 편에서의 외적인 지지 없이 스스로를 성장/계몽시키는 과제이다. 데카르트부터 헤겔까지 이는 새로운 기회를 의미했지만, 20세기에 접어들면서 그러한 과제를 거부하는 경향성이 생겼다. 그렇다고 할때 주체 개념을 배척하는 들뢰즈의 시도는 주체 없는 공동체를 구상하려는 시도라고 볼 수 있다. Deleuze develops in his Cinema 1: Movement-Image a strong form of ontology of images. It is an ontology supported by the Bergsonian identity of image, matter and movment. Compared with the imaginary turn that can be found in the recent tendency in reading Althusser emphasizing the imaginary with reference to Spinoza, Deleuze's turn is more comprehensive and universal. This paper aims to trace out what is at stake in Deleuze's imaginary turn. Deleuze is a philosopher. Even though we can find some opposition between Deleuze and Plato, both are truly philosophers inscribed in the history of philosophy. And philosophers are the guardian of the Idea of community. Modernity presented a new task to the subjects of community. It is a task in which the subject should mature/enlighten himself without support from community. This meant a new opportunity for the modern philosophers from Descartes to Hegel. But what we observe in the 20th century the opposite tendency to refuse subjectivization. Then, Deleuze's refusal of the concept of the subject is an attempt to conceive the community without subjects.

      • KCI등재

        지속가능한 공동체를 위한 시각예술이미지의 조직(2) : 냉전시대와 글로벌시대의 현대미술 재고

        강수미 한국미학예술학회 2012 美學·藝術學硏究 Vol.36 No.-

        본 연구는 2009년 "지속가능성"을 화두로 역사적·사회적·문화적 삶의 문제를 숙고하고, "보다 공공적인 차원을 갖는 동시에 개체의 다원성과 자율성이 확보되는 시각예술이미지 모델"을 제안할 목적에서 시작됐다. 그 첫 결과물은 2010년 동 학술지에 「지속가능한 공동체를 위한 시각예술이미지의 조직(Ⅰ) - 아방가르드와 대중예술의 교차점」으로 발표하였다. 그 후속 연구로 본 논문은 냉전시대와 글로벌시대를 역사철학적 관점에서 상관관계로 놓고 두 시대의 사회적 상상, 이데올로기적 이미지, 시각예술의 특정한 경향 및 기능을 재고한다. 특히 현대미술이 생산, 수용, 유통되는 조건들, 즉 냉전시대와 글로벌시대의 사회적 조건 및 해당 시기 시각예술이미지의 특정 경향과 실천이 쟁점이다. 본문 첫 장은 냉전시대와 글로벌리즘시대의 구조적 배경으로서 시각예술이미지의 이데올로기적 작용 및/또는 체제 비판적 실천을 재조명하는 데 집중한다. 먼저 냉전시대 동과 서는 정치적·이념적·경제적 차원에서는 강하게 대립했지만 공통적으로 "대중유토피아 건설"을 공동체의 사회적 상상으로 구축했고, 시각예술 이미지는 그 사회적 상상을 재현하는 한편, 이데올로기 비판적 미술을 다양하게 시도했다는 것이 핵심 내용이다. 다음, 냉전 종식 후 글로벌리즘시대의 사회적 상상은 "신자유주의경제 체제 아래 글로벌 거버넌스의 실현"으로 변경되고, 국가의 정치경제 및 기업 비즈니스부터 문화예술 실천과 개인의 일상까지 글로벌자본주의 원리가 장악하게 된 상황 및 그 역사적 메커니즘을 분석한다. 본문 둘째 장은 글로벌 현대미술의 실천적 측면을 고찰하는 데 할애된다. 여기서는 특히 동시대 이데올로기적 밀도가 높은 이미지들의 양가적 효과에 대해 현대미술작품을 사례로 들어 분석한다. 이데올로기 밀도가 높은 이미지를 담은 작품들은 내용과 약호 면에서 이미 특정 목적과 방향으로 조직된 의미작용을 효과적으로 실행한다는 점에서 한편으로 의사소통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다른 한편 바로 그 점에서 이데올로기 밀도가 높은 이미지의 작품들은 대중이 처한 삶의 현실적 조건에 그들을 복속시키는 이데올로기 기제로 기능하게 된다. 본 연구는 이 같은 문제를 구르스키, 권오상, 히르슈호른, 박찬경, 알리스의 작품들을 현대미술비평과 인문사회과학과의 교차이해를 통해 비평함으로써 구체적으로 재고한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본고는 지속가능한 공동체를 위한 시각예술이미지의 조직(configuration)에는 역사철학적 통찰이 필수요소임을 주장한다. 그리고 그러한 시각예술이미지는 현실의 부정성에 "대항적 사회적 상상"과 "사회적 꿈이 가능한 자유 공간"을 지속적으로 생산하며 공동체의 미래에 기여할 것이라고 결론짓는다. This research was began to consider the subject that how visual arts are configured with social consciousness and practice for the sustainable community in 2009. The first achievement of my research, which title is "The Configuration of the Visual Arts Images for Sustainable Community(Ⅰ) - The Crux of Avant-garde and Mass Culture" was published in this journal of aesthetics in 2010. As the following research, this essay deal with the visual images in cold war era and the global era, these periods are related in political, economical and cultural point of view. It is useful to remind ourselves that cold war era was a period of strong political tension and diverse artistic challenge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And we have to pay attention to a situation that the field of art and culture as well as political and economical sector becoming controlled by global capitalism the here and now. I will argue that artworks and images produced under state cold war during 1947-1991 and globalism after the cold war should rather be considered in more complex terms. For the second chapter of the present essay, I want to focus on the ideological function of visual image as a social imaginary. Twentieth-century political ideologies, be they socialist, capitalist or fascist, had striven to transform and transcend the natural world through material power by building mass utopias. The root of consumerism in our global capitalist society is connected with the policy on which the west did to promote the east's collapse. That is my suggestion for the third chapter. In this chapter, I will compare the art works between 1960-80's and 2000s, and examine their limitation or capacity for sustainable community. From my observation, It seems like more and more global capitalist system is forcing from all nations to individuals to consume the same kind of culture and life. If contemporary art would be configured as the counter social imaginary with concerning history, society and the public, the force can be reduced.

      • KCI등재

        조정래의 <아리랑>과 莫言의 <紅高粱家族>에 나타난 탈식민지적 크로노토프 비교 연구

        최영자 한중인문학회 2016 한중인문학연구 Vol.51 No.-

        This paper was to comparative study of postcolonial chronotope shown in Jo Jung-rae's <Arirang> and Moyan's <Red Sorghum Clan>. <Arirang> shows the rally of national spirit resisting the Japanese imperialism centering around people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ir bloody struggle and national soul. While Arirang shows that the essence of public narration resisting cruelty of the Japanese army is the pulse of ‘Arirang’, <Red Sorghum Clan>shows that the ‘red sorghum’ is impregnated with the public souls resisting the Japanese army and bleeding to death. The chronotope of ‘plain’ in <Arirang>reconstructs the crisis on the Korean Peninsula at that time as it is. People continue to fight against the Japanese imperialism in a ‘mountainous area’ or ‘caves’. It is considered that the chronotope focusing the Gimje plain of the time causes a crisis to farmers and workers i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n influences the popular revolt. In addition, this is also a space-time of full-fledged ‘anti-Japanese struggle’ stirring up the Korean people's struggle against colonial rulers, animosity and revenge. It is affected by emotion of ‘Arirang’ based on their ‘national soul’ and influences in creating the feeling of solidarity as an imaginary community of the Korean people and reinforcing the anti-Japanese struggle. In particular, ‘singing on’ of ‘Arirang’ plays a role as the source of imaginary community leading the Korean army to harmony, aspiration and future. On the other hand, <Red Sorghum Clan> symbolically shows the emotion of people in this region (Dongbei) by chronotope of ‘sorghum furrow’ dominating in the text. In particular, ‘red sorghum farm’ as the symbol of ‘the country village, Dongbei’ plays a role as the source of imaginary community to village people because it is the place that the corpses of many dead people during Japanese invasion were buried. In this meaning, ‘red sorghum’ is a symbol of the Chinese people's perpetual struggle and will. In addition, ‘the country village, Dongbei’ is a certain existence of their reversionary imaginary community.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whereas ‘red sorghum farm’ is their critical chronotope, it is also a weapon depressing the enemy's morale and interfering with it because the farm make the ambush operations possible as the people hide in ‘red sorghum stalks’. In conclusion, the concepts of mass characteristics or nationalism for two nations are different. While <Arirang>, focusing the Gimje plain, shows the start of new sovereign nationalism based on modernity, ‘the country village, Dongbei’ in <Red Sorghum Clan>contains the traditional nationalism for orientation to a basic space-time. 본고는 조정래의 <아리랑>과 중국 작가 모옌의 <紅高梁家族>에 나타난 탈식민지적 크로노토프를 비교 연구하고자 하였다. <아리랑>에 나타나는 ‘평야’의 크로노토프는 당시 한반도의 위기를 재현한다. 이에 민중들의 항일투쟁은 ‘산악지대’나 ‘동굴’ 등지에서 이어나갔다. 당대 김제평야를 중심으로 생산된 크로노토프는 한반도 농민과 노동자에게 위기로 작용하였고 더불어 민중항쟁의 요지로 작용하였다. 더불어 조선민중들의 식민지배자를 향한 투쟁과 증오와 복수심을 생산하는 본격적인 항일투쟁의 시공간이기도 하였다. 여기에는 ‘민족혼’을 바탕으로 ‘아리랑’적 정서가 작용하였고 이는 한반도 민중의 상상적 공동체로서의 연대감을 생성하고 항일투쟁의지를 강화하는 요소로 작용한다. 특히 ‘아리랑’으로 이어지는 ‘노랫말 잇기’ 는 조선의병들을 화합과 염원 그리고 미래로 인도하는 상상적 공동체의 원천으로 작용한다. 반면 莫言의〈紅高梁家族〉은 텍스트를 전체적으로 지배하고 있는 ‘붉은 수수밭’ 크로노토프를 통하여 이 지방 민중들의 정서를 상징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특히 둥베이 향촌의 상징인 ‘붉은 수수밭’은 일본 침략 시 수없이 죽어간 민중들의 시체가 그곳에 매장된 장소라는 점에서 마을 민중들의 상상적 공동체의 원천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런 의미에 ‘붉은 수수’는 그들 민중의 꺼지지 않는 투쟁과 의지의 상징이다. 더불어 둥베이 향촌은 그들 민중의 되돌아갈어떤 상상적 공동체의 현존이다. 일제 침략 시 ‘붉은 수수밭’은 그들 민중에게 위기의 크로노토프로 작용하기도 했지만 ‘수숫대’에 몸을 숨김으로써 매복전을 가능하게 했다는 점에서 적의 사기를 떨어뜨리고 방해하는 교전도구로 가능했다. 이에 두 민족이 지향하는 민중성이나 민족주의 개념은 다르게 나타난다. 김제평야를 중심으로 하는 <아리랑>은 근대성에 기반한 새로운 주권주의적 민족주의가 태동되고 있는 반면, <紅高梁家族>에 등장하는 둥베이 향촌은 원초적 시공간 지향으로서의 전통적 민족주의를 내재하고 있었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조정래의 <아리랑>과 莫言의 <紅高粱家族>에 나타난 탈식민지적 크로노토프 비교 연구

        한중인문학회 한중인문학회 2016 한중인문학연구 Vol.51 No.-

        본고는 조정래의 <아리랑>과 중국 작가 모옌의 <紅高梁家族>에 나타난 탈식민지적 크로노토프를 비교 연구하고자 하였다. <아리랑>에 나타나는 ‘평야’의 크로노토프는 당시 한반도의 위기를 재현한다. 이에 민중들의 항일투쟁은 ‘산악지대’나 ‘동굴’ 등지에서 이어나갔다. 당대 김제평야를 중심으로 생산된 크로노토프는 한반도 농민과 노동자에게 위기로 작용하였고 더불어 민중항쟁의 요지로 작용하였다. 더불어 조선민중들의 식민지배자를 향한 투쟁과 증오와 복수심을 생산하는 본격적인 항일투쟁의 시공간이기도 하였다. 여기에는 ‘민족혼’을 바탕으로 ‘아리랑’적 정서가 작용하였고 이는 한반도 민중의 상상적 공동체로서의 연대감을 생성하고 항일투쟁의지를 강화하는 요소로 작용한다. 특히 ‘아리랑’으로 이어지는 ‘노랫말 잇기’ 는 조선의병들을 화합과 염원 그리고 미래로 인도하는 상상적 공동체의 원천으로 작용한다. 반면 莫言의〈紅高梁家族〉은 텍스트를 전체적으로 지배하고 있는 ‘붉은 수수밭’ 크로노토프를 통하여 이 지방 민중들의 정서를 상징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특히 둥베이 향촌의 상징인 ‘붉은 수수밭’은 일본 침략 시 수없이 죽어간 민중들의 시체가 그곳에 매장된 장소라는 점에서 마을 민중들의 상상적 공동체의 원천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런 의미에 ‘붉은 수수’는 그들 민중의 꺼지지 않는 투쟁과 의지의 상징이다. 더불어 둥베이 향촌은 그들 민중의 되돌아갈어떤 상상적 공동체의 현존이다. 일제 침략 시 ‘붉은 수수밭’은 그들 민중에게 위기의 크로노토프로 작용하기도 했지만 ‘수숫대’에 몸을 숨김으로써 매복전을 가능하게 했다는 점에서 적의 사기를 떨어뜨리고 방해하는 교전도구로 가능했다. 이에 두 민족이 지향하는 민중성이나 민족주의 개념은 다르게 나타난다. 김제평야를 중심으로 하는 <아리랑>은 근대성에 기반한 새로운 주권주의적 민족주의가 태동되고 있는 반면, <紅高梁家族>에 등장하는 둥베이 향촌은 원초적 시공간 지향으로서의 전통적 민족주의를 내재하고 있었다고 볼 수 있다. This paper was to comparative study of postcolonial chronotope shown in Jo Jung-rae's <Arirang> and Moyan's <Red Sorghum Clan>. <Arirang> shows the rally of national spirit resisting the Japanese imperialism centering around people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ir bloody struggle and national soul. While Arirang shows that the essence of public narration resisting cruelty of the Japanese army is the pulse of ‘Arirang’, <Red Sorghum Clan>shows that the ‘red sorghum’ is impregnated with the public souls resisting the Japanese army and bleeding to death. The chronotope of ‘plain’ in <Arirang>reconstructs the crisis on the Korean Peninsula at that time as it is. People continue to fight against the Japanese imperialism in a ‘mountainous area’ or ‘caves’. It is considered that the chronotope focusing the Gimje plain of the time causes a crisis to farmers and workers i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n influences the popular revolt. In addition, this is also a space-time of full-fledged ‘anti-Japanese struggle’ stirring up the Korean people's struggle against colonial rulers, animosity and revenge. It is affected by emotion of ‘Arirang’ based on their ‘national soul’ and influences in creating the feeling of solidarity as an imaginary community of the Korean people and reinforcing the anti-Japanese struggle. In particular, ‘singing on’ of ‘Arirang’ plays a role as the source of imaginary community leading the Korean army to harmony, aspiration and future. On the other hand, <Red Sorghum Clan> symbolically shows the emotion of people in this region (Dongbei) by chronotope of ‘sorghum furrow’ dominating in the text. In particular, ‘red sorghum farm’ as the symbol of ‘the country village, Dongbei’ plays a role as the source of imaginary community to village people because it is the place that the corpses of many dead people during Japanese invasion were buried. In this meaning, ‘red sorghum’ is a symbol of the Chinese people's perpetual struggle and will. In addition, ‘the country village, Dongbei’ is a certain existence of their reversionary imaginary community.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whereas ‘red sorghum farm’ is their critical chronotope, it is also a weapon depressing the enemy's morale and interfering with it because the farm make the ambush operations possible as the people hide in ‘red sorghum stalks’. In conclusion, the concepts of mass characteristics or nationalism for two nations are different. While <Arirang>, focusing the Gimje plain, shows the start of new sovereign nationalism based on modernity, ‘the country village, Dongbei’ in <Red Sorghum Clan>contains the traditional nationalism for orientation to a basic space-time.

      • KCI우수등재

        물화(物化)가 보여준 오장환 시의 근대성

        손민달(Son, Min-dal) 국어국문학회 2015 국어국문학 Vol.- No.171

        이 연구는 오장환의 시에 나타난 물화의 양상을 살펴 오장환 시가 보여준 근대성을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오장환 시의 근대성에 대한 그간의 연구는 형식과 내용의 이분법을 그대로 적용하거나 모더니즘과 리얼리즘의 분화 혹은 결합의 양상으로 제시되었다. 물화 비판을 통해 오장환 시의 근대성을 확인하는 것은 한국문학의 세계문학적 보편성을 확보하는 일이 될 것이다. 오장환은 1930년대 확대되어 가는 근대 자본주의 도시 노동자의 삶을 비판적으로 보여주었다. 그의 눈에 비친 당대 자본주의 노동은 기계의 부속품처럼 사물화 되었으며 ‘교환가치’에 치중한 나머지 본래의 가치를 상실하였다. 나아가 그는 계급적 대립을 통해 자본가가 바라본 모든 객체가 물화화 되었다고 보았다. 여성의 물화는 오장환의 시에서 단순히 여성의 성을 상품화하는 것으로 끝나지 않는다. 상품화된 성을 통해 여성은 근대적 주체로 성장하지 못하고 주체적 남성에 기대어 살아가는 전근대적 여성으로 전락하고 만다. 오장환은 여성의 물화가 인간과 인간의 물화관계에서 확대되어 인간 자신을 상품화하여 결국 현실과 대결하지 못하는 ‘주변인’으로 남게 된다고 보았다. 공동체의 물화는 오장환의 시 해석에서 단순히 전통에 대한 부정으로 귀결되는 문제를 해결한다. 오장환의 시가 보여준 공동체의 물화는 그가 가문이나 가족, 혹은 민족에 대해 가지는 식민지 근대의 문화적 속성을 비판하는 기능을 한다. 그는 전통적 공동체가 가지고 있는 폭력성은 피하면서 상품화되어 가는 공동체를 통해 근대자본주의의 한계를 인식하고 ‘상상의 공동체’를 무화한다. 식민지적 근대의 단면을 ‘물화’라는 형식을 통해 가장 비극적으로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오장환 시의 문학사적 가치는 재확인 된다. ‘물화’는 그의 시를 한국문학으로서의 특수성과 세계문학으로서의 보편성을 동시에 확보하는 하나의 기준이 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odernity revealed in the poetry of Oh Jang-hwan through reification in his poems. Previous studies on the modernity of his poetry either applied the dichotomy of form and content as it was or focused on the patterns of differentiation or combination between modernism and realism. The present study will claim its significance by securing the universality of modernity found in the poetic literature of Korea. Oh critically presented the life of urban workers in modern capitalism that was expanding in the 1930s. He observed the capitalist labor of the times becoming the object of reification like the parts of a machine and losing the values of labor that were heavily inclined toward the "exchange value." Furthermore, he well demonstrated the reification of capitalists" perceptions of objects through the confrontation of classes. In his poems, the reification of women does not end merely at the level of commercializing women. Through the commercialized gender, women fail to grow into modern subjects and degenerate into pre-modern women that depend on the subject perceptions of men. The poet criticized that the reification of women made women remain as a "marginal man" incapable of confronting the reality by commercializing themselves beyond human relationships. The reification of community displayed by the poet fills up the parts that require interpretations more than just a denial of tradition when it comes to the interpretations of his poems. His reification of community also criticized the cultural attributes of colonial modern times that he saw in the clan, family or people. He eliminated an "imaginary community" by avoiding the violence of the traditional community and recognizing the limitations of modern capitalism through a community that was being commercialized. His poetry attains its values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by showing the aspects of colonial modern times in the most tragic fashion. His poems extend to the universality of world literature by checking the modernity of Korean literature in the 1930s and further delving into the problems of modern days.

      • KCI등재

        근대 문학정전에 내포된 미 이데올로기의 성격과 역할

        유용태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5

        이 연구의 목적은 근대 문학정전에 내포된 미 이데올로기의 성격과 역할을 규명하는 것이다. 예술사회학적 관점에서 문학장의 이데올로기 지향을 살펴보고 이를 반영한 문학정전의 이데올로기를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미 이데올로기의 성격과 역할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문학정전에 내포된 이데올로기는 국가 이데올로기가 아니라 문학장의 이데올로기이다. 문학장의 이데올로기는 역사적 의식을 강조하여 한국문학의 연속성을 확보하려는 것과 개인을 중시하고 혁신성을 포용하려는 지향점을 지니고 있다. 이를 반영하는 문학정전은 혁신적 문학에 지위를 부여하려는 개방적인 성격도 포함하고 있다. 미적 가치의 표면화된 미 이데올로기는 본원적인 미적 가치를 지향한다. 미적 가치의 내면화된 미 이데올로기는 예술적 관습과 특정 집단의 영향관계에서 자유로울 수가 없으며 이에 따라 사회적 역할을 부여한다. 이는 개인을 상상적 공동체로 호명하며 공동체로서 정체성을 부여한다. 예술사회학적 접근을 통한 문학정전의 미학적 연구는 앞으로의 과제로 남겨둔다. The goal of this is to establish the characteristics and roles of the ideology about the beauty in the modern literary canon. This study is investigated the ideology in the literary canon by a direction of the ideology from the literature field though the sociology of art. Though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this study has developed the characteristics and roles of an ideology about beauty. The ideology in the literary canon is not the national ideology. It is the ideology in the literature field. The ideology from the literature field has two major intention points, that are securing continuity of overall Korean literature and accepting personality & innovation characteristics, with focusing on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Therefore, the literary canon, that contains the ideology, has open-characteristics to accept those innovative works of literature as part of their literary canon. The beauty ideology that has been come to the surface of aesthetic values aims primary aesthetic values. The beauty ideology that has been internalized with aesthetic values can not be freed from artistic practices and influences from some specific groups, therefore it has been given social roles. Those social roles are called individuals as the imaginary community, also given an identity as the community. This study leaves the aesthetic study from the literary canon with using the sociology of art for further tasks on this field of the study.

      • KCI등재

        디지털 도시화와 사이보그 페미니즘 정치 분석: 인정투쟁의 관점에서 본 폐쇄적 장소의 정치와 상상계적 정체성 정치

        이현재 ( Hyun-jae Lee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18 도시인문학연구 Vol.10 No.2

        이 논문에서 필자는 다음의 네 가지 주장을 하고자 한다. 첫째로, 디지털 도시화는 우리 사회의 페미니즘 이슈와 경향에 대대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가령 디지털 매체를 이용한 불법촬영물의 촬영, 유포, 소비에 대한 저항은 전에 없던 강력한 페미니즘의 이슈가 되었다. 둘째로 디지털 도시화 시대에 우리 사회에는 기계와 유기체의 혼종인 사이보그가 탄생했다. 새로운 인간종인 사이보그가 경험하는 자아와 세게는 유기체로만 사는 사람들에게는 생소한 것이었다. 가령 불법촬영물에 대한 공포는 피해를 당하거나 당할 가능성이 높은 사이보그-여성들에게 특히 극대화된다. 셋째로, 우리 사회의 사이보그-페미니스트는 해러웨이의 예상과 달리 잡종성과 주변성이 아니라 ‘생물학적 여성’ 등 자연적 통일적 단일적 정체성에 기반하여 인정투쟁을 벌이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페미니스트들이 남성중심적 도시 상상계를 비판하는 가운데 부지불식중에 이 상상계가 만들어 놓은 육체적 실재의 지도를 답습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넷째로 사이보그-페미니스트들이 생물학적 정체성 등 자연적 원본을 강조하게 된 이유는 사이버 공간에서 상처받지 않기 위해서 자신들만의 폐쇄적 장소를 만들어 가는 정치를 펼쳤기 때문이다. 사이보그-페미니스트들에게 남성중심적 문화가 지배하는 사이버 공간은 자유라기보다 제약의 공간이었으며 따라서 그들은 폐쇄적 장소를 만들어 도피하는 가운에 이에 저항했다. 그러나 폐쇄적 장소의 정치는 여성의 정체성을 물화하고 내부의 차이를 삭제할 위험을 안고 있다. Fist of all, the age of digital urbanization has announced the emergence of a new form of human existence. The digital urbanization has created a new way of physicality and experiences, which is very alien to those who have experienced it through other media. Cyberspace in the digital age has created cyborg, a new form of human species that combines machines and human bodies, whose physical experience can be hardly understood for people living only in organic entities. Every cyborg, however, could not be free in the cyberspace. Especially cyborg-women have felt restraints, because the cyberspace is dominated by the urban imaginary based on the androcentered cultural imperialism. So the cyborg-women have tended to be closed in a place of gated community and to appeal an identity politics based on the biological sex of woman in order to ensure their safety. This paper argues that, as a result, this kind of cyborg-feminists cannot avoid the limits of identity politics that ignore the inner differences and chan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