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데올로기가 표상된 복식문화 아이콘 연구

        김향자(Kim, Hyang-Ja)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8 한국민족문화 Vol.68 No.-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한국영화에 나타난 지배 이데올로기가 표상된 복식문화에 대한 연구이다. 멜로영화 〈미몽, 1936〉, 〈반도의 봄, 1941〉과 친일국책영화 〈군용열차, 1938〉, 〈조선해협, 1943〉을 중심으로 일제강점기 한국영화의 지배적 이데올로기가 주요 등장인물들의 복식에 표현된 전개양상을 파악하고, 시대성을 반영한 정치적 사상적 표상인 복식 이데올로기 코드와 상징성을 분석하였다. 일제강점기 한국영화에 재현된 복식 이데올로기는 식민지 조선의 특수한 상황 속에서 전통과 현대, 근대와 전근대, 여성과 남성의 사회적 가치수행 등이 복합적으로 나타났다. 첫째, ‘양가적 근대 여성관과 근대화된 여성복’은 전통적 현모양처와 신여성의 여성관이 복식을 통해 대립적 이데올로기로 전환되었다. 둘째, ‘일본 천황제 이데올로기의 강요와 국민복’는 일제의 전시 이데올로기 강화를 목적으로 강요된 복식으로 전통적 가족주의가 붕괴되고 이념이 중시되는 억압된 복식 문화코드를 표상한다. 셋째, ‘한 · 일 동화정책과 일본의 제복’은 일본의 제복이 근대적 일본과 전근대적 조선의 가치관을 대표하는 것으로 일본과 조선의 문화와 민족이 화합하고 내선일체사상을 실현하는 구현체로 작동한다. 멜로영화에서는 유사한 스타일의 여성복식 도상이 전통 복식에 근대화된 서양문화를 수용한 신여성의 이미지와 전통적 여성의 상징성이 양가적으로 드러나 젠더 이미지의 정치성이 구현되었으며, 친일국책영화에서는 제복형식의 획일성이 제국주의 이데올로기로 강요된 복식(국민복, 표준복)은 국가 정체성의 획일화를 위한 내셔널 아이덴티티를 반영하는 권력적 도상으로 작동한다. 또한, 시대적 역사적 이념을 대표하고 개인의 자유의지를 표현하며 신분과 계급, 지배와 피지배, 근대와 전근대의 표상을 ‘복식’이라는 장르적 아이콘을 통해 전달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등장인물들의 무의식이나 영화의 주제의식이 상징적 지시체로 나타남으로써 정치적 사회상으로 기호화된 복식이 영화 속 내러티브의 인과관계를 설명하는 중요한 텍스트로서 스크린 위에 재현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is a research on the costume culture represented by the dominant ideology in Korean cinem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dominant ideology of the Korean film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focusing on the melodrama 〈Mimon, 1936〉, 〈Spring of the Koean peninsula, 1941〉 and pro-Japanese national film 〈Military Train, 1938〉, 〈Straits of Joseon, 1943〉. And analyzed the implications and symbolism of the costume, which is a political, ideological representation reflecting the times. The double ideology that was reproduced in Korean film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composed of traditional and modern, modern and pre-modern, and social values of women and men in the special situation of colonial Korea. First, the representation of the dualist ideology reflecting the dualistic female viewpoint changed into the opposite ideology through the traditional costume and the new-female point of view. Second, ‘Imposition of the Japanese Emperor’s Ideology’ is ideology through the forced costume represents the oppressed costume culture code in which the traditional familyism collapses and the ideology is emphasized by the costume forced to strengthen the exhibition ideology of the Japanese imperialism. Third, “Korean-Japan assimilation policy and Japanese uniform” is a representation of the values of modern Japan and pre-modern Joseon in the uniforms of Japan, and it serves as an embodiment that harmonizes the culture and people of Japan and Joseon and realizes unified ideology. In the romantic movie, the image of a new woman embodying a Western culture modernized in a traditional costume and the symbolism of a traditional woman are revealed in a similar fashion, thus realizing the politics of gender image. In a pro-Japanese national film, the costume (national suit, standard clothes) forced by the uniformity of the uniform type as imperialist ideology acts as a powerful image reflecting the national identity for the uniformization of national identity. In addition, it has been revealed that they represent the historical ideology of the times, express individual free will, and transmit the representations of status, class, domination, domination, modernity and pre-modernity through the genre icon of ‘costume’. The subconscious desires of the characters and the theme consciousness of the movie are represented as symbolic directives. Thus, it can be seen that the symbolic costume as political societies is reproduced on the screen as an important text explaining the causal relationship of the narrative in the movie.

      • KCI등재

        분단 이데올로기와 통일교육

        안승대(An Seung-Dae) 동아인문학회 2016 동아인문학 Vol.36 No.-

        이 연구는 이데올로기론을 통하여 남북한의 분단 이데올로기를 분석한 후, 통일 이데올로기를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데올로기는 부정적 의미로 많이 쓰이며, 이 때 이데올로기는 허위의식을 뜻한다. 중립적 의미의 이데올로기는 가치체계・신념체계의 의미로 쓰이며, 긍정적 의미의 이데올로기는 구성원에게 자신의 위치를 자각하고 행동으로 이끌어 주는 세계관을 뜻한다. 분단 이데올로기는 분단을 유지하는 허의의식으로서의 이데올로기이다. 분단 이데올로기는 통일 민족국가의 좌절감을 분단국가에 대한 열망으로 치환함으로써 국민/인민들의 상처를 치유하는 심리적 차원의 카타르시스의 기능을 한다. 분단 이데올로기는 분단 권력에 열광하고 자발적으로 복종하는 행동적 차원의 동원・동기화의 기능을 한다. 분단 이데올로기는 또한 반공/반제의 강조와 체제경쟁을 통해 국민/인민을 사회적 차원으로 통합하는 기능을 하며, 마지막으로 분단 이데올로기는 지배 권력의 차원에서 보면, 분단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허위의식을 조장하고 은폐・왜곡하는 기능을 해 왔다. 통일교육은 분단 이데올로기를 극복하고 통일 이데올로기를 지향하는 교육을 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어야 한다. 통일 이데올로기는 통일과 통합을 지향하는 사상과 이데올로기, 즉 생태주의를 대안으로 제시할 수 있다. 통일 이데올로기로서 생태주의는 큰 자아인 민족과 이웃, 인간과 자연의 공존을 추구하며, 생명과 평화를 지향하는 안보 즉 생태적 안보를 지향한다. 마지막으로 통일교육은 통일 이데올로기 형성을 통해 구성원의 의식을 개혁하고, 통일시민으로 형성해 나가는 적극적 변혁의 과정, 그람시의 유기적 이데올로기의 형성 과정이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 divided ideology and to suggest a unification ideology focusing on the theory of ideology. Theorists distinguish three major versions of the concept of ideology. (1) ideology in the descriptive sense; such thing as the beliefs the members of the group hold, or the set of beliefs (2) ideology in the positive sense; Lenin’s use of ideology to refer to the correct set of beliefs elaborated by the labor movement (3) ideology in the pejorative sense; Marx’s use of ideology to refer to the wrong set of beliefs as a false consciousness. The divided ideology was used as the means for maintaining the divided regime, functioning as a catharsis, motivation, integration and false consciousness, for substituting a defect nation or split nation of nation≠states for treating a special nation-state of North and South. So finally this paper proposes the following : It is necessary to overcome for a unification education of new era and to make an unified ideology because it is urgent for a unification education of new era. Therefore, this paper proposed a unification ideology for an alternative unification education as a ecology which is searching for unity and harmony between North and South, human and human, human and nature.

      • KCI등재

        이데올로기의 호명과 소외에 대한 주체의 변모 양상 연구

        권유리야(Kwon Juria) 국어국문학회 2007 국어국문학 Vol.- No.147

        Ideology works as the most prominent basis of the presence of human's social life. This thesis looked into Poet by Lee Moon Yeol in extension of the aspect of transfiguration of the subject according to calling and estrangement of ideology. For this study. it is based on the idea that ideology is like a power and a process of an imaginative reappearance that needs a certain medium to embody itself. The imaginative reappearnce inevitably shows some deviation in case of ruling elites and ruined ones. The deviation is that the ruined elites like Kim Byoung yeon in Poet cannot help but to accompany the psychology of distortion and metamorphosis because they are neglected from the present power unlike the ruling elites. This thesis tried to reveal the process that the imaginative distortion of ideology took to embodies itself through social. resisting. and fictitious processes. In chapter 2. the reconstruction of social subject and its intrinsic dependancy, Kim Byoung Yeon recognized literature newly as a medium of representation to reconstruct the relationship of ideology and honeymoon. namely the social subject. Kim believes that the past poem held the utility to change the place from ruined elites to ruling elites as a compensation for the lack of social subject. Of course this belief shows the awareness of the language as a tool of reappearance of ideology is not linked to reality but to imagination. For this distinguished view. however. the social subject that Kim Byoung Yeon tries to reconstruct has an important limit as a 'subordinated subject' who only has a freedom but to obey to higher power and accept that obedience willingly. In chapter 3. the restrictive meaning inherited in resisting subject. it shows the second chapter of literature world of Kim Byoung Yeon. In this time. he gave up the social subject which he pursued fiercely to create the past poem. Kim Byoung Yeon changed not as the social subject for subordination but democratic subject for resistance. penetrating the essence of ideology which functions as confirming point which dominate and regulate the life of subject despite of its falsity. His change, however, has a certain meaning in the aspect of resisting ideology, but has a limit in the aspect of 'new ideology of centralism'. In chapter 4, 'fictitious subject, new subordination as freewill disarmament', The de-ideological features of Kim Byoung Yeon. who gives up all the resistance in the method of narration is captures by the sight of his son, Kim Ik Gyun, At this point, the novel depends on the narration excessively, the problem of fiction of the narration combines with the problem of fictitious subject entirely. As long as the essence of ideology is the relation of imagination, the subject is no option but to be fictitious whether it combines with the society in whatever kind of aspects. And this looks of fiction brings on the problem of 'new submission of approving ruling system' ultimately giving up 'history and subject'. Considering the above study, Poet by Lee Moon Yeol is the radical novel of ideology which the called ideology and estranged ideology, or called subject and estranged one approve each other dialectically. This novel shows 'thorough centralism of ideology' which never accept the outer of ideology. Also the human subject in Poet is a product of social discussion. In the social discussion, through the process that Kim Byung Yeon. a human change from social subject to resisting one, to fictitious one, it presents the pessimistic conclusion that 'human being exists to subordinate to ideology'.

      • KCI등재

        이데올로기와 법 ― 국가사회주의 이데올로기와 제국상속농지법을 중심으로 ―

        김우석 한국법철학회 2020 법철학연구 Vol.23 No.1

        Ideology and law are indivisible and interactive. Ideologies involving social and political formation schemes play a role of a donne for legislation. By being absorbed to the law, ideologies can have concrete relationship with law. Both ideologies and laws always advance together under real-life order. But today, we are becoming insensitive to the existence of ideology since the end of the Cold War era. There are many who think that ideology has lost its vitality. And they might think as well, that our society, our law and our real-life order can exist without being related to ideology. Moreover, the modern law was set on the perspective that ideology distorts the human perception. From this point of view, modern law attempts to separate ideology from the law in order to ensure the legal certainty. But ideology and law are concepts that can never be separated. Thus, the idea of the separation of ideology and law, is that it creates distorted perceptions. In turn, it results in the abandonment of philosophy and the ignorance of the practical demands in real-life. What is required in today's law then? It is to understand the concrete relationship between ideology and law, and it is to discover new ideologies and new laws that can satisfy the demands of real-life. These tasks can only be completed by retracing the ideological and legal tradition that we have gone through. This paper tries to shed light on the interaction of ideology and law by introducing a historical example. In particular, the relationship between Reichserbhofgesetz and the National Socialism. 이데올로기와 법은 불가분적이고 상호작용적이다. 사회·정치적 형성계획을 포함하는 이데올로기는 입법 과정에서 법에 흡수되는 선소여로써 법과 이러한 관계를 가지게 된다. 이데올로기에 의해 법이 만들어지고, 법에 의해 이데올로기가 실현되기도 하며, 실재하는 역사와 구체적인 현실 질서 아래에서 이데올로기와 법은 언제나 함께 전진한다. 그러나 냉전이 종결된 오늘날의 우리는 이데올로기의 존재에 대하여 둔감해지기 쉽다. 이데올로기라는 개념이 생명력을 잃고, 우리의 사회와 법, 구체적인 질서가 이데올로기와 분리되어 존재할 수 있는 것처럼 여기는 경우도 많다. 특히 근대적 법치주의의 사고는 이데올로기가 인간 인식을 호도하여 진리를 왜곡시킨다는 입장을 토대로, 보편타당한 진리를 추구하는 법적 확신을 위해 이데올로기와 법의 분리를 무던히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이데올로기와 법은 그것이 설령 긍정·부정의 양가적 성질을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분리될 수 없는 개념이다. 따라서 이데올로기와 법의 분리라는 근대적 법치주의의 사고는 그것이야말로 오히려 왜곡된 인식을 초래하는 것이며, 나아가 철학의 포기와 目下의 현실적 요구로부터의 유리를 낳는다. 오늘날의 법에 요구되는 것은 그러므로 이데올로기와 법의 관계를 실상 그대로 파악하고, 우리가 거쳐 온 역사 속의 이데올로기적 발전과 그 속에 면면히 전개되는 법전통으로부터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요구를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이데올로기와 법을 발견해 내는 일이다. 본고는 이러한 맥락에서 구체적인 역사적 사례를 토대로 이데올로기와 법의 상호작용을 조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우선 이데올로기 개념의 발전과 법에서의 이데올로기 인식을 되짚어 볼 것이다. 특히 바이마르 공화국 말기에 대두된 국가사회주의 이데올로기의 綱要를 제시하고 국가사회주의 이데올로기적인 법철학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기반으로 ?제국상속농지법?을 詮議할 수 있도록, 19세기 농민해방으로부터 바이마르 공화국에 이르기까지 독일 농민을 둘러싼 농지 法史를 槪觀하고자 한다. 이후 ?제국상속농지법? 제정 당시의 사회적·경제적·정치적 배경을 분석하며 그 목적과 내용을 밝히고, ?제국상속농지법?이 거둔 성과와 현대 독일 민법상의 흔적을 설명한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구세기의 이데올로기적 법이 우리에게 남긴 법적 유산을 검토하면서 논문을 마무리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지리 교과서 지역개발 단원에 나타난 개발이데올로기의 출현 형태: 개발과 환경·지역 관계를 중심으로

        서민철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08 사회과교육연구 Vol.15 No.2

        As the Schoolbooks in the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of South Korea are certificated and approved by the government, they are very likely to carry aplenty the dominant ideologies of State. There is an report that the schoolbooks of Geography subject, never free from the likeliness, carry especially the developmental ideology. This paper aimed to give a lesson to the latent writers of the schoolbooks under the coming Revised National Curriculum(N.C.), by disclosing the appeared forms of the developmental ideology at the units of Regional Devleopment and Environment Preservation in Geography schoolbooks. The unit of Regional Development introduced for publicizing the developmental policies of the government at the beginning, then it has been wear the thick color of developmental ideology till now. The ideology-oriented descriptions of the unit survive still in some ways in the schoolbooks under the current 7th N.C., although the books are acknowledged as reinforcing the ideology-free and neural descriptions. For the improvement to ideology-neural description in the schoolbooks under the new Revised N.C., upcoming authors are called for some prudent sensitivity to the developmental ideologies in the existing books. 한국의 초중등 학교의 교과용 도서인 교과서는 국가의 검인정 제도에 의해 지도되는 만큼 국가의 지배이데올로기들을 실어나를 개연성이 무척 크다. 지리 과목들의 교과서들 역시 그러한 성격으로부터 자유롭지 않은데, 특히 개발이데올로기를 많이 싣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지리 교과서에 나타난 개발 이데올로기의 출현 형태를 분석하여, 추후의 교과서 서술에 유용한 타산지석이 되고자 하였다. 지리 교과서 내 지역개발 단원은 국가의 개발 정책을 정당화하기 위해 출발한 단원으로, 형성 초기에서부터 강한 이데올로기적 성격을 띠어왔다. 그런데 그러한 개발이데올로기의 경향은 환경 단원이 신설되어 교과서에 실린 이후에도, 또 제 7차 교육과정에서처럼 탈이데올로기적, 혹은 중립적 서술이 대폭 증가한 가운데서도 여전히 몇 가지 형태로 잔존해 있다. 새로 개정된 교육과정에 입각한 교과서 서술에 있어서는 교과서 저자들의 개발이데올로기에 대한 사려깊은 감수성이 요망된다.

      • KCI등재

        북한철학의 패러다임 변화와 사상적 특징

        이병수 대동철학회 2014 大同哲學 Vol.67 No.-

        이 글은 주체사상의 이론적 내용에 주목하기보다, 지성사적 관심 아래 북한사회주의 역사적 과정에서 주체사상이 어떠한 굴곡을 겪었으며, 그 과정에서 나타난 사상적 특징이 무엇인지를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우선 주체사상의 이론적 위상이 변화한 과정을 역사적 맥락에서 살펴본 후, 위상변화의 원인을 세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주체사상은 대내외적 환경의 변화에 따른 권력의 필요성 때문에 그 이론적 위상과 내용의 강조점이 변화해 왔다. 주체사상의 이론적 위상 변화를 가져온 원인은 크게 볼 때, 유일사상체계 확립의 요구, 북한 지도부의 새로운 시대인식, 전후 20여년의 경제성장을 가능하게 만든 북한 특유의 사회주의 건설노선에 대한 자부심을 들 수 있다. 다음으로 주체사상의 역사적 변화과정에서 드러난 사상적 특징을 고찰하였다. 북한 지도부의 강력한 탈식민 열망은 주체사상이 마르크스-레닌주의를 대체하고 인류철학사상의 최고봉이라는 절대적 신념체계로 치닫는 동력이었으며, 주체사상 속에 포함된 유교전통은 정치적 리더십을 확립하고 사회주의 공업화를 촉진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활용된 ‘만들어진 전통’이었다. 나아가 주체사상은 역사적 전개과정에서 단순한 통치이데올로기를 넘어 북한주민의 삶 속에 깊이 내면화된 종교적 차원으로 발전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under the interest in intellectual history how Juche ideology has undergone trials in the historical process of North Korean socialism, what ideological features it revealed in that process, rather than to focus on theoretical contents of Juche ideology. First, after researching theoretical phase shift of Juche ideology in historical context, I analyzed the cause of the phase shift in three aspects. Juche ideology has been changed in terms of the theoretical phase and emphasis of contents, because of the need for power to respond internal -external environmental change. On a large scale, for the cause of the phase shift, requirement for establishment of the unique ideology system, North Korean leader's awareness about the advent of a new era, and North Korean leader's pride on a unique line of socialist construction enabling the economic growth of more than 20 years after the war, can be exemplified. Secondly, I analyzed the ideological features shown in the historical change process of Juche ideology. North Korean leader's strong post-colonial aspirations was the power made to replace the Marx -Leninism with Juche ideology, and the Confucian tradition contained in it was the 'invention of tradition' which was utilized selectively to establish the political leadership and promote the socialist industrialization. Further, Juche ideology, in its historical development process, has developed into the religious dimension that was deeply internalized in the lives of North Koreans, beyond ruling ideology.

      • KCI등재

        신동엽 시극 <그 입술에 파인 그늘>의 이데올로기

        김동현(Kim, Dong-Hyon) 한국문학회 2010 韓國文學論叢 Vol.55 No.-

        시극 <그 입술에 파인 그늘>에 대한 이전의 연구들은 간단한 내용 및 형식 분석을 통해 '민족시인' 신동엽의 명성을 확인하는 데에 머물렀다. 본고에서는 보다 본격적으로 신동엽의 시극 <그 입술에 파인 그늘>의 드라마투르기를 분석하고, 테리 이글튼의 이데올로기 이론에 입각해서, 당대의 일반적인 이데올로기와 미학적 이데올로기, 작가의 이데올로기 및 텍스트 이데올로기 간의 관계를 통해 텍스트의 생산 관계를 살펴보았다. 첫째, 작품에서 중요한 의미를 띠는 '그늘'의 상징성은 이중적 의미를 띠는데, 일차적으로 일체의 이념에서 벗어난 유보된 지역을 의미한다. 또한 우리를 둘러싼 '모든 쇳소리'나 맹목적인 조직들에 의해 만들어진 음울한 '그늘'로서 동굴로 피신해야 하는 위험한 공간이기도 하다. 둘째, 작가 및 텍스트의 이데올로기는 폭력을 통한 혁명, 제국주의 폭력성을 이념을 향한 맹목적인 의지로 보고, 모든 쇠붙이에 대한 거부를 주장한다. 외세에 의해 조종되는 껍데기가 없는, 주체적이고 유토피아적인 세상을 꿈꾸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낭만적 아이디얼리즘의 세계에 대한 열망을 남녀 주인공의 상징적 통일을 통해 표현하고 있다. 셋째, 텍스트의 비극적 카타스트로프는 미래에 대한 전망이 두 남녀의 상징적 통일처럼 낙관적이지만은 않음을 약호화(略號化)한다. 이것이 텍스트의 이데올로기다. 반면, 작가의 이데올로기는 외세와의 갈등 극복의 길이 험난하겠지만 그 갈등을 극복한, 일체의 이념으로부터 자유로운, 우리 민족의 자주와 주체성 및 고유의 아이덴티티의 회복을 지향한다. 이 지점에서 텍스트의 이데올로기는 지배적 이데올로기에 편입되어 버리는 양상을 보이지만, 작가의 이데올로기는 텍스트의 이데올로기를 넘어서서, 그것과 분열된다. 신동엽은 일체의 이념을 초월한 낭만적이고 전통적인 휴머니즘의 유기적 전체성에 대한 회복을 꿈꾸고 있는 것이다. 미학적 이데올로기는 작가의 이데올로기에 개입함으로써 카타스트로프를 비극적으로 처리하여, 작가의 이데올로기를 미적인 형상화 과정에서 변형, 굴절시켰다. 곧 '부재' 개념의 미학적 변형 메카니즘이 작동한 것이다. 한편, '그늘' 상징 등의 모호함은 지배적 이데올로기의 검열을 피하는 방법으로서, 작가 자신의 자체 검열로 볼 수 있다. 또한 미학적 이데올로기의 개입에 의한 생경한 소재의 나열을 넘어서기 위한 예술적 형상화로 읽히기도 하는데, 곧 '부재' 개념의 미학적 변형 메카니즘의 작동으로 볼 수 있다. 지배적 이데올로기에 도전하는 세력은 신동엽이라는 작가로 하여금, 지배적 이데올로기 세력에 도전하기 위해, 또는 모든 국민을 대상으로 민족적이고 진보적 이데올로기를 호소하기 위해 시극이라는 연극 형식을 택하게 했다. 궁극적으로 이 작품 <그 입술에 파인 그늘>을 포함한 신동엽의 문학은 일체의 이념을 초월한 전통적 총체성 및 낭만적 휴머니즘의 유기적 삶에 대한 회복을 꿈꾸는 것이며, 그런 의미에서 그의 문학은 생산적인 노동이 된다. 본 텍스트의 문학 생산은 이데올로기적으로 민족적 현실에 대한 반성과 미래에 대한 계시, 환상 등을 약호화하고 있으며, 이 작품은 민족적 유토피아 실현을 위한 과정, 실천, 상징, 제스처 등을, 이 작품의 소비는 독자들의 민족적 역사 현실에 대한 마술적인 영향, 비밀스러운 의식, 대화참여 등을 약호화하고 있다. The former studies on poetic drama <Shadow Dug on the Lips> were stayed to confirm the reputation of 'national poet' Shin Dong-Yop through simple content and form analysis. I analysed the dramaturgy of Shin Dong-Yop's poetic drama <Shadow Dug on the Lips> in earnest in this study. And standing at the theory of Terry Eagleton, I studied production relationship through the relationships among general ideology, aesthetic ideology, authorical ideology and textual ideology of the time that he showed in his work. First, the symbol of 'shadow' to have an important meaning at this work is quite ambiguous. This ambiguity is judged on the inexperience about the dramaturgy at the state that he didn't learn a clear recognition through the experience about the stage convention. 'Shadow' has double meanings. Primarily, it means the deferred territory that get out from all the ideologies. And it is also the dangerous space that they should escape to the cave, as the gloomy 'shadow' made by 'all the iron sounds' and blind organizers to surround us. Second, authorical ideology and textual ideology show that the revolution through the violence and the imperialistic violence are a blind will for the ideology. That is, they show their refusal against all the irons. They dream of the subjective utopia world that there is no 'shells' controlled by foreign powers. They express a desire for this romantic idealistic world through borrowing the organistic style of past. Third, the tragic catastrophe of this text encodes that the prospect for the future is not optimistic like the symbolic unification of a man and a woman, that foreign powers don't easily permit the peace of the korean peninsula, that they can't easily escape from the shadow, and that anybody won't be free even only one step from the realistic history. This is the ideology of the text. But authorical ideology aims for recovering our national independence, subjecthood and unique identity to overcome conflicts and to be free from all the ideologies, even though it is the rough way that they overcome the conflicts with the foreign powers. At this point, textual ideology has an incorporated aspect into dominant ideology, but authorical ideology passes over textual ideology and divided with it. Shin Dong-Yop dreams of the recovery to transcend all the ideologies for the organistic totality of the romantic, traditional humanism. Aesthetic ideology dealt with the catastrophe tragically through intervening in authorical ideology, and then it transformed and deflected authorical ideology in the process of aesthetic embodying. That is, aesthetic transformational mechanism of 'the concept of absence'(concealment, distortion, transformation, silence) worked. Meanwhile, the ambiguity of 'shadow' symbol etc can be an author's self-censorship as the way avoiding the censorship of dominant ideology. And it is read as the aesthetic embodying for overcoming the enumeration of raw materials by the intervention of aesthetic ideology. That is, it can be seen as the aesthetic transformational mechanism of 'the concept of absence' works. The power to challenge against the dominant ideology made author, Shin Dong-Yop select poetic drama form, for challenging against the dominant ideology or appealing to the national and progressive ideology to target all the people. Eventually, Shin Dong-Yop's literature including this work <Shadow Dug on the Lips> dreams of the recovery of the organic life of traditional totality and romantic humanism to transcend all the ideologies. At that meaning, his literature turns as a productional labour. The literature production of this text ideologically encodes a reflection about the national reality and revelation, fantasy etc for the future. And this work encodes process, practice, symbol and gesture etc for realizing the national utopia.

      • KCI등재

        기독교의 이데올로기 관련성과 정치이데올로기적 역할

        김녕(Nyung Kim)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09 현상과 인식 Vol.33 No.4

        ‘이데올로기’라고 매도되던‘해방신학’에서처럼, ‘이데올로기’는 교회 안팎에서 흔히‘나쁜 것’으로 간주되곤 했는데 그런 편견은 극복되어야 한다. ‘이데올로기’는‘더 나은 세상에 대한 신념과 그런 세상을 위한 정치적ㆍ사회적 프로그램을 형성하는 원칙이나 사고의 체계’이므로 우리에게 필요한 것이다. 그리고 역사상의 기독교는 이데올로기로부터 자유롭지도 초연하지도 않았다. 기독교는 이데올로기성, 이데올로기 비판성뿐만 아니라 이데올로기 초월성도 지닌다. 또한 기독교는‘하느님 나라’의 정치질서에 기반을 둔 미래에 대한 신념과 비전을 지니기에 정치 이데올로기적인 특성도 지닌다. 기독교는, 본연의‘예언자적 역할’에 입각하여, 일반 정치 이데올로기들에게 정치 이데올로기들이 추구해야 할 궁극적인 방향을 제시해주는‘빛’의 역할과, 그 이데올로기들이 잘못되어 갈 때엔 그들을 규탄하는‘소금’의 역할을 해 줄 수 있다. 이데올로기적 접근을 통해서 신학과 사회과학이, 그리고 신앙과 정치가, 만나므로 기독교의 이데올로기 관련성 연구는 중요하다. As seen in the case of liberation theology that has been harshly criticized as nothing but an ‘ideology’, there has been strong prejudice against the term ‘ideology’from within and without the church. This article argues, first of all, that the prejudice can be overcome by defining ‘ideology’properly and rationally as the body of doctrine or thought forming a belief in, and a political or social program for, a better world, not merely stigmatizing it as a bad thing preoccupied with partial interests or class interests. This article, then, explores how the Christian religion is related to ideology and what politico-ideological roles it can play to secular political ideologies. Major argumen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Christian religion in history has neither been free from nor aloof from ideologies. Secondly, it has characteristics that equal to ideologies, on the one hand, and that transcend ideologies, on the other, for it pursues something eternal and universal, e.g., the justice of the Kingdom of God. These dual characteristics enable it to play some critical and enlightening roles to secular ideologies. Thirdly, it also has politico-ideological characteristics in that it seeks to realize the Kingdom of God in this real world. It has body of doctrine or thought forming a belief in and a vision for the future based on a better political order. It is ow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ligion, both politico-ideological and transcendent, that the ‘prophetic role’of Christian religion can play the role of “the light and the salt”for political ideologies, showing them the eventual direction they will have to seek, and denouncing them when they degenerate into nothing but reigning ideologies that play the hypocrite. And, lastly, ideological approach is indispensable for us to understand how the Christian religion actually can work for making the world better and how religious faith can be connected to political action. It is through ideological approach that theology meets social sciences, and that religious faith meets politics.

      • KCI등재

        유토피아의 실현 방법: 만하임의 관점

        박상철 한국도덕교육학회 2015 道德敎育硏究 Vol.27 No.3

        「이데올로기와 유토피아」에서 만하임은 이데올로기를 극복하고 유토피아를 실현하는 한 가지 특이한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의 분석에 의하면, 이데올로기는 특수적 이데올로기와 총체적 이데올로기로 구분되며, 특수적 이데올로기에는 특정적 이데올로기와 보편적 이데올로기가 포함된다. 그가 보기에, 이데올로기를 극복함으로써 유토피아가 실현되는 것이라면, 극복해야 할 것은 특수적 이데올로기가 아니라 총체적 이데올로기이다. 총체적 이데올로기는 인간 의식의 형식이나 구조 또는 의식 그 자체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그것을 극복하는 일은 곧 그것을 실현하는 일이기도 하다. 만하임의 이 주장은, 가치를 실현하는 일에 종사하는 정치인과 교사에게 ‘너 자신을 비판하고 교정하라’는 경고로 해석될 수 있다. In the well-known book, Ideology and Utopia, Karl Mannheim proposes a peculiar method for realization of ‘utopia’. According to his analysis, the concept ‘ideology’ can be divided into ‘particular ideology’ and ‘total ideology’; ‘Special ideology’ and ‘general ideology’ belong to particular ideology. In his view, if the realization of utopia is nothing other than overcome of ideology, then the real target of overcoming effort is not particular ideology but total ideology. The concept ‘total ideology’ designates the structure or form of consciousness, or consciousness itself; The way of overcoming total ideology is exactly same way of realizing it. Mannheim’s this assertion can be interpreted as a serious warning to politician and teacher that you should criticize and correct yourself.

      • KCI등재

        우상의 또 다른 얼굴, 이데올로기 : 이데올로기의 우상화와 우상적 기능에 대한 비판

        윤형철 ( Yoon¸ Hyung Chul )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20 생명과 말씀 Vol.28 No.3

        나무와 돌로 만들어진 우상이 사라진 현대에서 우상은 이데올로기의 가면을 뒤집어쓴다. 본래 이데올로기는 마르크스주의와 구조주의 철학에서‘인간과 사회를 그릇된 방향으로 규정하고 제약하는 이념’을 가리키는 용어였다. 알튀세르는 사람이 특정한 세계에 참여하는 한 지배당하고 포섭될 수밖에 없는‘이데올로기적 국가기구’의 존재를 지적한 바 있다. 20세기에 사회적, 정치적 이론의 도구로 등장했던 이데올로기는 전통적 종교의 영향력이 약해진 틈을 타 종교가 담당했던 세계관의 기능을 탈취하였다. 유사종교화된 이데올로기는 그 아래 포섭된 사람들을 허구와 위선 속에 가두고 욕망과 추구의 대상, 즉 우상으로 등극하였다. 종교화된 이데올로기는 다음 세 가지 방식으로 우상의 힘을 발휘한다. 첫째, 이데올로기는 자기지시적, 자증적, 자기변호적, 자기확신적 신비화 과정을 통해 역사적이고 상대적인 것을 초역사적이고 초월적인 것으로 절대화한다. 물신화된 자본주의나 나치의 국가주의 우상은 이런 과정을 거쳐 태동했다. 둘째, 이데올로기는 그 안에 포섭된 사람에게 현실에 대한 허상을 심어 현실 인식을 왜곡시키고, 더 나아가 해석학적 왜곡을 합리화하게 만든다. 이데올로기에 의해 인식과 해석과 성향이 왜곡된 사람은 이데올로기의 의지와 자신의 의지를 동일화하여 이데올로기를 맹목적으로 추종하고 열성적으로 실행한다. 셋째, 이데올로기는 인간의 모방성향과 형상화 특성을 오용하여 인간의 기질과 습관과 행위를 그릇된 방향으로 형성한다. 현대의 사상가들이 밝혀냈듯이 인간은 자신 바깥의 중개를 통해서 모방하고 욕망하고 추구하면서 그것을 반영하고 닮아간다. 교회와 그리스도인은 복음의 메시지와 신앙고백이 이데올로기적 표명으로 변질하지 않기 위해 현대의 우상인 이데올로기를 분별하고 대항해야 한다. In modern times when idols made of wood and stone disappeared, another face of the idol appears as ideology. Ideology was a term used in Marxism and structuralist philosophy to refer to the idea of defining and constraining humans and society in the wrong direction. Althusser pointed out the inevitability of“ideological state organization”that would rule and subsidize a person as long as he/she may participate in a particular world. Ideology, which emerged as a tool of social and political theory in the twentieth century, seized the function of the worldview held by religion through the weakening of the influence of traditional religion. The quasi-religious ideology is the confinement of those subordinated in fiction and hypocrisy to the object of desire and pursuit. There are three ways in which religious ideology exerts the power of idols. First, ideology would absolutize the historical and relative into a historic and transcendental through the process of self-referential, self-authenticating and self-affirming mystification. Fetish capitalism or Nazi nationalist idols were born this way. Second, ideology distorts reality perception by injecting illusions about reality into those who are embedded in it, further justifying hermeneutic distortion. A person whose perception, interpretation, and disposition is distorted by ideology, identifies the will of his ideology and his will, blindly follows ideology and executes it enthusiastically. Third, ideology misuses human imitation tendencies and shaping traits to form human temperaments, habits, and actions in the wrong direction. As modern thinkers reveal, human beings imitate, desire and pursue something through mediation outside of them to reflect and resemble it. Churches and Christians who practice true godliness must discern and oppose ideology, the modern idol, in order that the gospel message and confession of faith will not turn into ideological manifest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