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도마운동 Cuervo Stretched 동작의 국면별 역학적 분석

        박종훈 ( Jong Hoon Park ),윤득헌 ( Deuk Hun Yoon ),백진호 ( Jin Ho Back ),김충태 ( Chung Tae Kim ),김동민 ( Dong Min Kim ),한충식 ( Chung Sik Han ),한윤수 ( Yoon Soo Han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2 체육과학연구 Vol.1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도마 Cuervo Stretched 동작의 도약 국면별 운동역학적 변인의 차이가 제 2비약의 공중 회전운동과 착지 제어에 어떠한 영향이 미치는가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국가대표 남자 기계체조 선수 3명을 대상으로 고속 비디오 카메라를 이용한 3차원적 영상분석과 구름판과 도마에 가해지는 힘의 측정을 통하여 운동역학적 변인들을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발구름 시 우수한 동작일수록 고관절을 좁히면서 구름판에 접근하고 신체중심을 앞으로 빠르게 이동시키며 동시에 견관절을 빠르게 좁혀주어 구름판 이륙 시 신체를 앞으로 많이 숙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제 1비약의 체공시간을 짧게 하고 다리를 뒤로 차주는 동작을 용이하게 하여 신체의 회전 속도를 빠르게 유발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도마 접촉 국면 시 견관절각의 큰 신전과 함께 대퇴분절의 빠른 각속도 유지는 도마 접촉 시간을 짧게 하고 수직성분을 강화시키며 도마 이륙각을 수직에 가깝게 유지시킴으로서 제 2비약의 체공 높이와 거리를 증가시키고 제 2비약의 정점에서 공중 회전거리를 많이 확보할 뿐만 아니라 도마에 가해지는 힘을 크게 하여 탄성을 일으키는데 큰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발구름 시 강한 수평반력에 따른 제 1비약의 수직성분 강화는 도마 접촉 시 소요시간을 길게 하고 견관절의 각변위를 작아지게 만드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신체를 앞으로 쓰러지게 하고 수직속도를 약화시킴으로서 제 2비약의 도약력 상승과 공중 회전운동에 나쁜 영향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중 회전운동 초반의 소극적인 움직임은 뒤늦게까지 회전운동의 강화에 치중하게 되어 착지 시 좁은 고관절각과 낮은 중심고를 제공하여 불안정한 착지 동작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aims to closely examine how the difference of kinetic variables by take-off state of horse vaulting Cuervo stretched motion would have an effect on the rotation of the post flight and landing. For this, to three male national artistic gymnastics athletics a three dimensional image analysis using the high speed video camera was made and the force applied to the board was measured, and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ir kinetic variables, following conclusion was obtained. 1. It was indicated that more skilful motion at contact board approaches the contact board with hip joints in narrow, and moves cog. forward rapidly, and narrows shoulder joint, resulting in making the body bending forward at take-off state. In was indicated that this shortens the duration of pre-flight, and facilitates kicking motion, resulting the rotation velocity of the body. 2. Indicated that at the phase of contacting horse vaulting, large extension of shoulder joint angle and maintenance of rapid angular velocity shortens the contact time of horse vaulting, consolidates vertical components, keeps the take-off angle of horse vaulting close to the vertical state, increases the post-flight height and distance, secures rotation distance in the airborne at the peak of the post-flight, and generates elasticity at horse vaulting. 3. It was indicated the consolidation of the vertical component in the pre-flight according to strong horizontal reaction power prolongs required time at the time of contact horse vaulting, and reduces the angular displacement of shoulder joint, which makes the body fall ahead, and weakens vertical velocity, and provides disadvantage to increase and rotation motion of the take-off power at the post-flight, and the initial passive motion of air rotation motion focuses on the consolidation of rotation motion till late, so provides narrow hip joint angle and low cog. height at landing, resulting in unstable landing motion.

      • KCI등재후보

        도마운동 유리첸코 몸 펴 공중돌기 동작의 운동학적 분석

        윤창선,김태삼,윤희중,Yoon, Chang-Sun,Kim, Tae-Sam,Yoon, Hee-Joung 한국운동역학회 2003 한국운동역학회지 Vol.1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 skill motion through the kinematic analysis of the Yurchenko Streched motion in new horse vaulting.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 male gymnasts who were ranked as national athletes. After the 3D motion analysis, kinematic variables were analyzed to comparison with the difference between this study and the previous study(Yang, D. Y and Lee, C. S, 1999).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s was drawn; 1. In the board contact phase, this study showed a shorten contact time to maintain in condition highly extension of hip and hee angle than the previous study. 2. In the pre-flight phase, this study appeared more shortly flight duration time and horizontal flight displacement than the previous study. 3. In the horse contact phase, the contact duration time and horizontal displacement of COG shortened than the previous study, but appeared to the fast horizontal and vertical velocity and highly extension of shoulder an. 4. In the post-flight phase, a stable horse contact appeared to the increase of the flight duration time and the apex height during the post-flight. And it showed that these results have a stable and good landing.

      • KCI등재후보

        단계별 다양한 활동 프로그램을 적용한 창의적인 체육수업

        채창목(Chang Mok, Chae)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9 교육연구 Vol.46 No.-

        본 연구의 목적은 뜀틀운동에 단계별 다양한 활동 프로그램을 적용한 수업 방법을 고안하여 체육 교육에 적용함으로써 체육 교육을 보다 창의적이고 효율적으로 개선하고자 함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별화 수업모형을 적용하여 뜀틀운동의 단계별 다양한 활동 프로그램을 고안하여 체육수업에 적용하였다. 수업은 NIE 활용수업, 기능중심의 단계별 뜀틀활 동, 북 아트 만들기 순서로 이론과 실기 수업순서로 진행하였다. 기능을 습득하기 위한 단계별 뜀틀활동은 뜀틀 코스 난이도에 따라 구성된 수업내용으로 수준별로 지도하였다. 수업에 관한 효율성을 검증하기 위해 동료교사의 체크리스트 분석, 학생자기평가 분석, 실제학습시간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효율성을 검증하였다. 효율성 분석 결과 NIE를 활용한 이론 수업, 단계별 뜀틀활동, 북 아트 만들기 등의 수업 방법이 체육교육에 효과적인 방법이라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또한 개별화 수업모형을 적용한 단계별 다양한 활동 프로그램은 실제학습시간을 증가시켜 수업에 효율적임을 입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teaching method of physical education by proper application of the various activity programs by stages. In this study, the various activity programs of vaulting house by stages were proposed and applied to the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e lecture model used in this study is the personalized system for instruction-physical education. The teaching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order: theory lecture applying NIE, step-by-step horse-vaulting activities focusing on functions, and followed by the art of bookmaking. The horse-vaulting class included various physical activities, which were aimed at learning physical functions, and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difficulty levels of the courses. The efficiency of the teaching method was analyzed by cross-checking by peer teachers, self-evaluation by the students, and an analysis of actual learning time. The efficiency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ory lesson utilizing NIE, Vaulting Horse by stages, and the art of bookmaking were the effective teaching methods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addition,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various activity programs by stages, to which personalized system were applied, were effective by increasing academic learning time in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classes.

      • KCI등재

        도마 Yurchenko 몸 펴 공중돌기 동작의 운동학적 분석

        윤창선(Yoon Chang-Sun),민아영(Min A-Young) 한국체육과학회 2011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ffects of kinematical variables performed from Yurchenko Stretched skill in horse vaulting. Four national woman gymnas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four PD-150 video cameras were used to capture motions for three dimensional analysis.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ings: The CoG height of S2 is higher than S1 in post flight phase by means of increasing horizontal velocity at touching board and vertical velocity at taking off board. Those make stable landing postures. The rapid horizontal velocity of S4 both at peak and at landing make unstable landing postures. The vertical velocity of S2 (2.28 ㎧) is much faster than that of S4 (1.36 ㎧) when they take off board. That is an important factor that decides successful motions. Also CoG of S4 is low as she moves to forward direction with scapular angle of S4 not full extending. S1 and S4 have pertinent blockings doing arm into flexion and extension compared to S2 and S3.Trunk angles of S1 and S4 at taking off board are greater than S2 and S3. That make their bodies approaching the horse too closely, and then they can't control themselves. Therefore, they can't move vertical motions. At touching down board, S1 and S4 contacted board with knee joint angle moving flexion, and at taking off board, they take off the board with knee joint angle moving extension. But, S1 suffers difficulty on vertical rise motion because S1 don't extend knee joint completely compared to other subjects.

      • KCI등재

        초등학교 기계체조 활동과제평가지(Ⅱ) 개발 - 매트와 뜀틀 운동 중심으로 -

        이승배(Seungbae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10

        본 연구는 초등학교 동작도전 활동영역 중 기계체조의 매트와 뜀틀 운동을 중심으로 활동과제평가지를 개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2014년 1월부터 7월까지 경기도에 소재한 한 초등학교 6학년 10개 학급을 대상으로 실행 연구를 통한 질적 분석 을 했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계체조 활동과제평가지는 개발의 방향설정, 내용선정 및 과제분석,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 개발, 디자인 시안 개발, 초안-수정안-최종안의 개발 및 적용의 과정을 거쳐 개발되었다. 둘째, 활동과제평가지의 내 용은 자료명과 로그, 평가 주체, 활동내용 및 인적사항 기본정보, 개발자명과 같은 자료 개발을 위한 장치로써의 기본적인 내용과 운동수행 과제 및 평가, 정의적 과제 및평가, 학습자 반성 및 정리, 교사 피드백 및 평가, 학습 안내 및 길잡이, 연속동작 사진자료와 같은 주요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셋째, 활동과제평가지의 효율적 · 효과적인활용을 위해서는 수업운영의 구조 확립과 적용 시점의 적정화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actual task assessment sheets Ⅱ(ATAS Ⅱ) on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level gymnastics among foam challenge activity domain, focused on floor exercise and vaulting horse. To achieve this purpose, researcher tried to apply an action research design and to approach qualitative analysis from January to July, 2014. Participants were 6th grade students(key informants: two boy students, two girl students) at 10 elementary school classroom,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TASⅡ on gymnastics was developed through establishing direction of development, selecting contents and analysing tasks, developing achievement standards and achievement level, making draft plan, applying preliminary plan, amendment, final plan, and confirming the final. Through this procedure, 7 ATASⅡs were developed. Second, the ATASⅡ was consisted of two domains, that is basic contents domain and core contents domain. Basic contents as a device for development of learning or assessment material are composed of the name and log of the material, the subject of assessment, the basic information for the activity and subject, the name of developer. Core contents are composed of the physical performance task and assessment, the affective task and assessment, learner s reflection and readjustment, teacher s feedback and assessment, the guideline for learning contents, the photograph for the continuous movement. directly related to learning and assessment of the ATASⅡ. Third, it s necessary for us to set up the structure of instructional operation and to seek rationalization in timing of material application, for using the ATAS Ⅱ effectively and efficiently.

      • KCI등재

        자기주도적 개별화수업모형을 적용한 뜀틀 앞구르기 수업의 사례연구

        김재상,정성우,오준석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5 교과교육학연구 Vol.19 No.4

        8-10개의 다양한 교과를 지도하는 초등학교 교사들은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수업과 다르게 운동장 및 체육관에서 이루어지는 체육수업을 운영하는데 어려움을 느낀다. 특히 5가 영역 중 동작도전활동 수업운영에 대한 부담은 다른 영역보다 더 높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나 학생들의 다양한 신체활동 경험과 균형적인 체육수업 운영을 위해 자기주도적 개별화수업모형을 적용하여 뜀틀 앞구르기 수업의 효과를 높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자가 재직하고 있는 B광역시 H초등학교 6학년 24명(남14,여10)의 학생을 대상으로 자기주도적 개별화수업모형을 적용하여 수업(주3일수업시간1시간40분기준)을 운영하였다. 24명의 학생들에게 체육수업 인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개방형 질문지를 활용하여 사전ㆍ사후조사와 6명(남 3명, 여3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자기주도적 개별화수업모형(뜀틀앞구르기)을 가장 잘 나타낼 수 있는 8차시 수업을 통해 구체적인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수업 전(20.8%, 5명)보다 수업 후(79.2%, 19명) 학생들이 뜀틀 앞구르기 수업을 재미있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업 전(33.3%, 8명)보다 수업 후(66.7%, 16명) 학생들이 뜀틀 앞구르기 수업에 대한 이해력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83.3%(20명)의 학생들이 뜀틀 앞구르기 수업에 대한 만족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나 자기주도적 개별화수업모형을 통해 뜀틀 앞구르기 수업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teach the variety of 8-10 subjects have difficulty in controling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playgrounds and gyms compare with classroom.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vaulting horse forward roll class applying the self-directed individualized teaching model to enhance the quality of physical education class for various of physical activity experience and balance of controlled class. 24 elementary students (male 14, female, 10) completed the self-directed individualized teaching model (40 min, 3 day/week) for weeks. The participants evaluated the open questionnaire to evaluate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pre and post surveys and 6 students (male 3, female 3) wer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self-directed individualized instruction model (vaulting horse forward roll) the class of analysis results by collecting the specific data through the 8 periods class which may represent the best derived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are aware of fun in the vaulting horse forward roll fun before class (20.8% 5 people) than after class (79.2%, 19 people) Second, the students are highly aware of the understanding in the vaulting horse forward roll class before class (33.3%, 8 people) and after class (66.7%, 16 people) Third, the students in 83.3% (20 people) have expected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vaulting horse forward roll class through self-directed individualized instructional model and shown to the satisfaction in the vaulting horse forward roll increase awareness classes.

      • KCI등재

        도마 YANG Hak Seon 동작의 완성도 향상을 위한 운동학적 분석: 사례연구

        송주호,문영진,박종훈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017 체육과학연구 Vol.28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perform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YANG Hak Seon technique carried out by "K" athlete with the kinematical data of "Y" athlete and propose a method to improve the YANG Hak Seon technique of "K" athlete. [Method] The subject recruited for the study was a male athlete from Korean national team (Age: 21, height: 1.65 m, body weight: 59.6 kg, and career: 11 years). Four high - speed cameras were used to analyze the 3D motion of the YANG Hak Seon technique performed by "K" athlete. The variables selected for analysis were the velocity of COM, displacement of COM, the rotational & torsional angle of the trunk and rotational & torsional angular velocity of the trunk. The results obtained were compared to the preexisting data of the "Y" athlete (data set from the published research). [Results] Firstly, the horizontal displacement of the YANG Hak Seon technique of the "K" athlete was observed to be shorter along with lower vertical displacement during landing compared to “Y” athlete. In addition, the overall horizontal velocity was low and vertical velocity was not generated which rises during the BC (board contact) phase. Although the rotational angular velocity of the trunk was lower during the BC, HC (horse contact) phase and LD (landing) phase, torsional angular velocity was higher during the LD. [Conclusion] In order to improve the completeness of the YANG Hak Seon technique of the K player, it is necessary to enter with a fast and low posture on the footplate during the initial phase. In the BC phase, it is essential to raise the COM simultaneously while landing on the footplate and increase the rotational angular velocity of the trunk.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K선수가 시행한 YANG Hak Seon 동작을 기존 Y선수의 운동학적 정보와 비교 분석하여 K선수의 YANG Hak Seon 기술 구사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방법] 연구대상자는 한국 기계체조 남자국가대표K선수로 연령 21세, 신장 1.65 m, 체중 59.6 kg, 선수경력 11년이다. 영상자료 수집은 2016 리우올림픽 최종 선발전, 자체 평가전, 최종 평가전으로 총 3회에 걸쳐서 진행하였다. 고속카메라 4대를 동원하여 K선수가 수행한 YANG Hak Seon 기술에 대한 3차원 동작분석을 실시하였다. 변인은 신체중심의 변위, 속도, 상체 회전각, 상체 비틀기각으로 정하였으며, 기존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Y선수의 자료와 함께 제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K선수의 YANG Hak Seon 동작은 Y선수에 비하여 전체적으로 수평변위가 짧았고 착지 시 수직변위가 낮았다. 전체적인 수평속도가 낮았고, BC(board contact) 국면에서 상승하는 수직속도를 생성하지 못하였다. 또한 BC, HC(horse contact) 국면과 LD(landing) 시점에서 상체 회전 각속도는 낮았으나 LD 시 상체 비틀기 각속도는 높은 결과로 나타났다. [결론] K선수의 YANG Hak Seon 동작 완성도 향상을 위해서는 발 구름판에 빠르고 낮은 자세로 진입하여 PoF(post-flight)에서는 수평방향으로 비행한 후 착지 국면에서는 상체를 빠르게 신전시켜야 한다. BC 국면에서는 발 구름판에 착지함과 동시에 신체중심을 상승시키며 상체의 회전 각속도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안정적인 착지를 구사하기 위해서 착지 직전에 상체 회전 각속도를 생성하여 비틀기 각속도를 상쇄시킬 수 있는 기술 훈련을 제안한다.

      • KCI등재
      • 도마 남자 자유연기 CUERVO 동작의 운동학적 변인과 획득점수와의 상관 연구

        송병문,박경호 경원전문대학 1996 論文集 Vol.18 No.2

        1. 시간분석결과의 발구름판 접촉시간(BC)은 0.08초에서 0.12초까지로서 평균과 표준편차는 0.195 ± 0.277이 었다. 2. 신체중심의 속도의 발구름판 접촉시의 수평속도 변화량은 평균과 표준편차가 -2.34±0.70m/sec이고 수직속도 변화량은 평균 표준편차가 4.79 ± 0.58m/sec로 나타났다. 또 도마 접촉시의 수평방향 속도변화량의 평균 표준 편차는 -1.44±0.39m/sec이고 수직방향의 속도변화는 -0.221±0.67로 상관계수는 0.02와 0.29로 나타났다. 3. 도마 이지시의 신체중심 속도값은 Y축(진행방향)으로의 속도변화의 평균과 평균차는 394.91±18.71m/sec로서 상관계수는 0.38, 유의도는 0.17이다. Z축방향으로의 속도변화는 평균과 표준편차는 284.17±58.56m/sec 상관계수는 0.58이고 유의도는 0.06으로 나타났다. 4. X축에 대한 몸전체의 각운동량은 도마터치시는 평균+ 표준편차가 -74.68±9.59kg-m²/s 이고 도마이지 시의 평균±표준편차는 -70.26±9.58kg.m²/s, 최고점에서는 -64.85±11.57 착지시는 -44.10±8.30kg.m²/s로서 상관계수는 -0.81, -0.66, -0.62, -0.21을 나타냈다. 5. Y, Z축에 대한 몸전체의 각운동량은 도마터치시 Y축과 Z축에서 평균±표준차가 각각 4.78±8.44kg.m²/s, O.25±12.OOkg.m²/s로 득접과의 상관계수가 -0.54, 0.50으로서 나타났다.

      • KCI등재

        초등 기계체조 종목의 운동역학적 지도 요소 분석

        강명수 한국웰니스학회 2022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7 No.2

        본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체조 종목 교육 시 고려해야 할 문제점들 중에서 인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초등학교에서 체조 종목은 개인의 도전의식과 신체를 움직이고 조절하는 능력을 키우는데 중요한 영역이며 새롭고 어려운 동작에 도전하며 끈기와 노력하는 자세를 배울 수 있는 필수 영역이다. 그러나 동작의 난이도와 교사의 실기 역량 부족, 수업 교구 준비의 한계점, 안전사고의 위험성 등으로 인해 실제 학교에서는 체조 수업이 잘 진행되지 않고 있는데, 이러한 문제들 중 인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으로 운동역학적 원리 지도법을 제시했다. 매트운동에서 회전력, 관성, 무게중심의 원리와 뜀틀운동에서 관성모멘트, 회전력, 도약력의 원리, 그리고 평균대 운동에서 기저면과 안정성, 관성모멘트, 무게중심의 높이에 대한 원리를 이용해 수업에 활용한다면 교사 자신이 학생 지도에 있어 부족하다고 느꼈던 실기 능력에 대한 대안책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대안은 학생이 느끼는 동작의 어려운 난이도와 교사의 실기 역량 부족으로 인한 자신감 결여, 안전사고의 위험성 등에서 문제를 긍정적으로 해결하여 체조 수업의 기피현상을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라고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method to solve the personal problem among the problems to be considered when teaching gymnastics in the school field. In elementary school, gymnastics is an important area to develop an individual's sense of challenge and ability to move and control the body. However, due to the difficulty of the movement, the teacher's lack of practical skills, the limitations of preparing class materials, and the risk of injuries & accidents, gymnastics classes were not well conducted in actual schools. Among these problems, as a method to solve the personal problem, the biomechanical principle instruction method was presented. If they use the principles of rotational force, inertia, and center of gravity in mat, the principle of moment of inertia, rotational force, and jumping force in vaulting horse, and the principles of base plane & stability, moment of inertia, and the height of the center of gravity in the balance beam, the teacher themselves It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to the practical ability that felt was lacking in this student guidance. This alternative was considered to be one way to solve the avoidance of gymnastics classes by positively solving problems such as the difficulty of the movements felt by the students, the lack of confidence due to the teacher's lack of practical skills, and the risk of injuries & acci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