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아시아사와 세계사, 왜 무엇을 가르치나? - ‘농업 패싱’의 교류사를 묻는다 -

        유용태 역사교육연구회 2022 역사교육 Vol.164 No.-

        Why and what do we teach in school history education? The ‘what’ corresponding to the contents of teaching and the ‘why’ corresponding to the goal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This paper identified the goals of East Asian history and world history presented in the national curricula (2007~2022), and examined whether the content system was structured to coincide with the goals. The core of the five goals is the cultivation of historical thinking power. It is a long-standing goal that has been maintained since 1955. In contrast, the content system has been revised toward the history of exchange going with ‘passing agriculture’, thereby growing away from the goal of understanding the regional and periodical characteristics of East Asia in a balanced perspective. The content system as such also conflicts with the new goal of subjecthood to participate in sustainable development, which was added to the 2022 curriculum because traditional agriculture in East Asia played roles not only in food production but also in ecological preservation. The emphasis on the history of exchanges as such is responding to the spread of marketism. The current curriculum system that selects the contents as such and provides it as elective subjects is no different from leaving history education to the logic of the market. Then, why is it necessary to cultivate historical thinking power, which is the long-standing goal of history education? There is a need to reorganize the content system around challenging themes that reflect an ecological perspective. 우리는 학교 역사교육에서 왜, 무엇을 가르치는가? 가르치는 내용에 해당하는 ‘무엇’과 목표에 해당하는 ‘왜’의 문제는 상호 긴밀히 연관되어 있다. 이 논문은 이에 관한 학계의 주요 견해를 정리한 후 국가교육과정(2007~2022)에 제시된 동아시아사와 세계사의 목표를 확인하고 내용체계가 그에 부합하게 구성되었는지를 검토하였다. 다섯 가지 목표의 핵심은 역사적 사고력의 함양이다. 이는 1955년 이래 지속된 오래된 목표이다. 이와 달리 내용체계는 최근 갈수록 ‘농업 패싱’의 교류사 일변도로 개정되어서 동아시아 지역의 특징과 시기별 특징을 균형 있게 이해한다는 목표로부터 더욱 멀어졌다. 이러한 내용체계는 2022년 교육과정에서 추가된 지속가능한 발전에 참여하는 주체성이라는 새로운 목표와도 충돌한다. 동아시아의 전통농업은 식량생산뿐만 아니라 생태보전이라는 역할을 담당하였기 때문이다. 이 같은 교류사의 중시는 시장주의의 확산에 호응하는 것이다. 이런 내용을 선정해 선택과목으로 제공하는 현재의 교육과정 체제는 역사교육을 시장의 논리에 맡기는 것과 다를 바 없다. 그렇다면 역사교육의 오랜 목표인 역사적 사고력의 함양은 대체 왜 필요하다는 것일까? 내용체계를 생태적 관점을 반영한 도전적인 주제를 중심으로 재조직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현행 중,고등학교 역사 교과서의 몇 가지 문제 -선사시대와 국가 성립기를 중심으로-

        하문식 ( Moon Sig Ha ) 한국고대학회 2015 先史와 古代 Vol.46 No.-

        역사 교과서는 객관성과 정확성이 전제되어야 한다. 검증된 사실을 토대로 역사 교육이 이루어져야만 올바른 역사관을 가질 수 있으며, 그러한 역사 교육의 바탕이 되는 것이 역사 교과서이다. 우리나라 선사시대와 국가 형성기의 역사에 대하여는 자료가 빈약하고, 분단으로 인한체제의 특수성 때문에 제한된 환경에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므로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고있다. 따라서 검인정 교과서는 이런 현실을 바탕으로 검증된 최근의 연구 성과를 제대로 반영하여 교육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어야 한다. 현행 역사 교과서의 서술 내용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몇몇 문제점은 교과서 집필 기준(안)의 제시 내용이 최근의 조사와 연구 성과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글은 현행 역사 교과서의 선사시대와 국가 성립기 내용을 중심으로 서술 내용을 검토한것이다. 서술에 따른 문제점을 주제별로 몇 가지 설정하여 그 내용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교과서 집필 기준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선사 유적의 성격 규명에 있어 의견이 많이 나누어지는 부분이 유적의 연대에 대한 것이다. 최근 과학적인 여러 분석 방법으로 절대연대 측정을 많이 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도 상대 연대에 대한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다양한 의견이 있다. 구석기시대의 연대는 대부분의 교과서에서 70만년 전으로 서술하고 있지만, 최근의 연구에서 이렇게 이른 연대로 해석한 견해는 없다. 신석기시대의 연대는 대부분 1만년 전부터 시작된것으로 보고 있으며, 이것은 제주 고산리 유적, 양양 오산리 유적, 창녕 비봉리 유적 등의조사 결과다. 청동기시대의 연대는 문화의 분포 범위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고조선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기 때문에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시작 연대는 기본적으로 기원전 2천년 경에서 1천 5백년 경으로 서술하고 있지만 교과서마다 기원전 1천년 경, 기원전 7백년 경 등으로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역사 교과서의 첫 부분에는 인류의 진화와 기원에 관하여 서술되어 있다. 그런데 교과서마다 최근의 연구 성과를 반영하고 있지 않아 서술에 큰 차이가 있다. 무엇보다 구석기시대의 사람은 ‘역포 사람’, ‘덕천 사람’, ‘승리산 사람’, ‘흥수 아이’ 등 한반도에서 조사된 것만 소개하고있어 만주지역의 구석기 문화를 이해하는데 문제가 되고 있다. 농경 문제에 관한 역사 교과서의 서술은 농사에 따른 곡물과 농기구를 중심으로 설명되고 있다. 신석기시대부터 벼농사가 실시되었지만, 모든 교과서에는 청동기시대 남부지역이나 저지대에서 벼농사가 이루어졌다고 서술하고 있어 개선이 필요하다. 현행 중 고등학교 역사 교과서는 고인돌을 통하여 청동기시대 사회상을 중요하게 서술하고 있다. 그러나 고인돌에 묻힌 사람을 지배자로만 해석하고 있어 앞으로 다른 관점에서의 해석이 필요하다. 또한 고인돌의 형식에서도 가장 보편적으로 널리 분포하고 있는 개석식에 대한 언급이 없는 것도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한국사에 있어 최초의 국가인 고조선은 나름대로 중요한 의미가 있다. 고조선의 건국 시기, 단군 신화, 강역과 중심지 문제, 정치체 등에 대한 최근 연구 성과의 반영이 상당히 미비한것으로 밝혀졌다. 이 문제는 앞으로 여러 관점에서 활발한 논의가 있어야 할 것이다. History textbooks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 precondition accuracy and objectivity. Education on history is based on history textbooks. Historical researches on the prehistoric age and the formative period of Korea have been conducted in the limited environment due to the poor historical materials on them and the peculiarities of the systems caused by the division. Among the opinions on the characteristic of the prehistoric sites, the views on the date of sites are greatly different. Though the scientific absolute dating like carbon dating are recently used by many archaeologists, high dependency on the relative dating makes the views various. Though the Paleolithic Age is described as 700,000 ago in most textbooks, the early view on the Paleolithic Age does not exist in the recent study. The Neolithic Age dates back to 10,000 ago. This date is the result of the investigation including Gosan-ri site in Jeju, Osan-ri site in Yangyang and Bibong-ri site in Changyeong. The period of the Bronze Age in Korea is important, for it is directly related with Gojoseon. While most Korean history textbooks stated that the beginning of the Bronze Age was around 2000 BC~1500 BC, some textbooks showed a slight difference by stating that it began around 1000 BC and 700 BC. The evolution and origin of hominid are described in the first part of the Korean history textbooks. Because each textbook does not reflect the latest research achievements, there are big differences in the description of them. Description of the history textbooks on agricultural issues has been focused on the grains and farming implements. In spite of the fact that the rice farming began in the Neolithic Age, all history textbooks stated that the rice farming started on the southern and swampy places in the Bronze Age.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 fact in the history textbooks. The social aspects in the Bronze Age is mainly described through dolmens in the current middle and high school history textbooks. As the people buried in the dolmens are chiefly interpreted as the rulers, different perspectives on them are needed in the future. Gojoseon, the first country in Korean history, has its own significant meaning. The recent research achievements on the period of founding Gojoseon, the legend about Dangun, the issues about the borderline and the capital and the political system must be reflected in Korean history.

      • KCI등재

        문화사적 관점에서 <견묘쟁주(犬猫爭珠)> 설화의 이해

        황윤정 ( Hwang Yun-jeong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22 고전문학과 교육 Vol.50 No.-

        이 연구에서는 문화사적 관점에서 <견묘쟁주> 설화를 살펴봄으로써 이 설화에 수렵·채집의 문화에서 농경 문화로의 변화에 관한 인류사의 궤적이 담지되어 있음을 논의하였다. ‘보주(寶珠)’에 농경 활동으로 인한 무한한 재화의 생산이 은유되어 있음을, ‘개’와 ‘고양이’에 각각 수렵·채집의 문화와 농경 문화가 표상되어 있음을, 이에 보다 더 지혜로운 고양이가 구슬을 최종적으로 획득하여 이를 노부부에게 전달해 주는 것에 인류가 점차 농경 기술을 수용하게 된 문화사적 흐름을 견주어 볼 수 있음을 살폈다. 신화에서는 이와 같은 문화사의 궤적이 형상화되었음이 종종 논의되어 왔고, 이를 일컬어 ‘농경 기원 신화’라 일컫는다. 이에 비추어 볼 때, <견묘쟁주>와 같은 민담을 농경 기원 신화와 같이 문화사의 궤적을 담고 있는 이야기로 이해하는 것은 다소 새로운 접근법이라 할 수 있다. 살펴본 바, 각각의 문명을 표상하던 신이 개와 고양이와 같은 짐승으로 속화(俗化)된 방식으로 형상화되었다. 또한 개와 고양이 간의 갈등을 미시적 관점에서 바라보아 문화 간의 급격한 전환이 아닌 서서히 전이하는 과정을 드러내었다. 그리고 농경에 관하여서는 신화와 견줄 때 신성화나 가치화를 내려두고, 신비한 구슬로 형상화하는 것으로 농경 방식에 대한 무한한 긍정과 낙관적인 전망을 보이고 있다. 이렇듯 <견묘쟁주> 설화에서는 인물을 속화하고, 갈등을 미시화 하며, 낙관적인 전망을 보이는 방식을 통해 문명의 충돌과 그로 인한 충격의 역사를 동물 세계의 이야기로 변형하여 형상화하였다. 이를 통해 대단한 갈등과 분투의 실제를 환상적이고도 실현 가능한 행복한 세계의 이야기로 그려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세계에 대한 변형과 역전의 전략이 민담 고유의 이야기하기 방식이자, 매력적인 지점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story < Cat and Dog Fighting for Beads > through a cultural history lens, wherein the trajectory of human history in the change from the hunting and gathering culture to an agricultural culture was juxtaposed to gain insights. The study posits that “magic beads” are a metaphor for the infinite production of goods due to agricultural activities; “dogs” represent hunter-gatherer culture; and “cats” represent agricultural culture. The image of cats, which are considered wiser than dogs, ultimately acquiring beads and passing them on to an elderly couple, can be compared to the flow of culture and history in which mankind gradually adopted agricultural technology. In mythology, such a trajectory of cultural history is embodied in the “myth of the origin of agriculture.” In light of this, it is a rather new approach to interpret animal-derived stories such as < Cat and Dog Fighting for Beads > as stories containing the trajectory of cultural history, such as the myth of the origin of agriculture. Furthermore, the gods that represented each civilization were secularly embodied in animals such as dogs and cats. In detail, it reveals a process of gradual transition as opposed to a rapid transition between cultures. In addition, in agriculture, compared to myths, this shows infinite positivity and optimism regarding the farming method by neglecting deification or valorization and shaping it into a mysterious marble. In this way, the history of the clash of civilizations and its impact was transformed into the story of the animal world and shaped by making the characters secular, miniaturizing the conflict, and demonstrating optimism. Thu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reality of great conflict and struggle is drawn in a story of a happy world that is fantastic and feasible. Such transformation and reversal of the world also underscores a unique and captivating way of conveying folktales.

      • KCI등재

        ‘동아시아사’ 교과서시안과 한ㆍ중ㆍ일 역사갈등

        조법종(Cho, Bup-Jong) 백산학회 2008 白山學報 Vol.- No.82

        In 2007.12.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amend the process of History education in middle school. The main contents of change is addition of new items. The new items are ‘History of East Asia’ and ‘Culture History of Korea’. Especially ‘History of East Asia’ is the first History Education item in Asia. The reason that this new item add to History education cource is derived from the neighborhood state. China, in 2002-2007 made project named Dongbukgongjeong(東北工程) and Japenese distorted History Schoolbook. It's main aim is that make change of Koguryo's historical belonging to China. So the contents of ‘HIstory of East Asia’ should touch this problem. But some points are not sufficent to this problems. The representative problem is using chinese historical biased word. The typical word is ‘local government’. Because Chinese Historical treatise emphasized that Koguryo is not Korean indepedant state but Chinese local government. So, the new ‘East Asia History’ should emphasize that objective description of real facts and get along well with one’s neighbor state.

      • KCI등재

        2008년 검정 ‘역사’교과서 선사·고대시기 기준안 검토

        조법종(Cho, Bup-Jong) 韓國古代學會 2009 先史와 古代 Vol.31 No.-

        2007년 개편된 중·고등학교 교육 과정에서 한국사 교육이 기존의 국정 교과서 체제를 탈피하여 검인정 교과서 제도로 전환하게 된 상황은 한국 사회의 발전과 우리 역사 학계의 성숙된 모습에 부응하는 변화라는 점에서 긍정적 의미로 평가되고 있다. 특히, 단일 국사 교과서가 아닌 다양한 입장이 개진될 수 있는 검인정 교과서의 출현은 우리 역사를 폭 넓게 교육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또한 2008년 마련된 검정 역사 교과서 기준안은 2000년 제시된 기존 국정 국사교과서 준거안에 비해 민족주의적 인식이 강조된 역사 인식에서 세계화, 탈 지역화에 부응한 유연한 민족인식의 수용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한반도에 제한되었던 역사의 공간적 영역이 만주, 요동 등 영역으로 확대되어 ‘歷史空間의 擴大’를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학설적 이견을 포용하여 여러 의견의 객관적 소개를 수용하는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선사?고대시기 한·중·일 관계사 부분에서 일본 열도 야요이문화 성립과 관련된 한일관계사에 대한 언급의 누락이 보완될 필요가 있으며 한·중 역사 갈등 내용과 이의 극복을 위한 역사 인식이 소개될 필요가 있다. The Criterions of description of History textbooks based on 2008' curriculum changed some parts compared with 7th's curriculum. The First changing is name of history textbook from “National History” to “History”. It means that the overemphasize on nationalism is reduced and pursue the universal validity of history. Also it represent the situation of historical long-standing feud between the Korea and Japan, China. Second changing is historical territorial expansion from Korean Peninsula to Maanjulia and East China. It means historical territory is changed by times, so many parts are understood by comprehensively. And objective description of historical disputed point especially place of Ko-josun(古朝鮮), and Baekje's advance of Laosi(遼西). Some parts in 2008' curriculum criterion are insufficient especially prehistorical relation of Korea and Japan. The Korean Bronze age culture and Rice agricultural technology(稻作農耕) have been made Yayoi(야요이文化) Culture in Japan. But in 2008' curriculum criterion have no mention about that. So this part should be make up for the point. Korea-China historical disputed points are concerned with ancient age, Kogurye and so on. So many empasize to this. As the textbooks are the most important materials, it is important to include the contents which can improve relationship with Korea and China, Japan.

      • KCI등재

        이스라엘/팔레스틴 고고학 역사: 정치적 종교적 문화적 논쟁들

        강후구 숭실사학회 2023 숭실사학 Vol.- No.50

        This paper is aimed at summarizing a history of archaeology in the region of Israel/Palestine which have been conducted in the last 200 years, and examining the cultural meaning of its results in the perspective of the general civilization in world human history.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enhancing basic understanding for archaeological researchers in the region in the future. 이스라엘/팔레스틴 지역의 지난 200여 년간의 고고학적 연구는 선사 시대부터 오토만시대에 이르기까지 괄목할 만한 성과와 발전을 가져왔다. 방대한 연구결과는 정리하기도힘들 정도이며, 현재에도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이 지역이 성서의 배경이 된다는지리적 특성으로 인하여 이 지역의 물질문화와 문명 연구 결과는 단순히 과거사 연구에 그치지 않고 현대 사회의 정치적, 종교적, 문화적 논의와 연관되어 있기에 현대적 의의를 지니고, 또한 이 지역이 고대문명 세력의 충돌 지역이기에 고대문명의 영향력을 파악할 수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의미를 지니는 이 지역의 고고학사를 정리하는 시도이다. 본 연구는 제 I장에서 이 지역을 일컫는 용어에 관한 다양한 의견과 논쟁을 살펴봄으로써 용어선정부터 정치적, 종교적 영향권 아래 있음을 살펴보았고, 제 II장에서는 이 지역의고고학사를 총 일곱 시기로 나누어 각 기간에 이루어진 고고학 연구사 측면에서 의미 있는연구와 결과들을 살펴보았다. 제 3장에서는 지난 200년간 이 지역의 고고학사에서 밝혀진보편적 문명사 측면에서의 네 가지 의미(인류의 정착, 농경 생활과 토기, 도시 생활과 요새화, 문자생활)와 논쟁점(고대 문명의 영향, 최대주의자/최소주의자 논쟁, 위조품 논쟁)을 다루었다. 본 연구는 이 지역의 고고학적 연구의 기초석을 놓는 작업이 될 것이며, 앞으로 이지역의 고고학적 연구자에게 기본적 이해 증진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한다

      • KCI등재

        『삼국지』의 ‘海賊’기사 검토

        김석우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8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9 No.1

        This article aimed to understand the early medieval period ‘pirates’(海賊), the group of violent people who lived at coastal region and island area. The documents of Histories of Three Kingdoms, one of the Chinese official histories, was mainly examined for this goal. During the Han times ‘the sea silk road’ opened, but the documents of sea history increased with the collapse of Empire Han. The great modern chinese historian Chen In Ke (陳寅恪) already argued the importance of coastal region (濱海地域) in the early medieval Chinese History. In his classical work, he focused on the unique aspect of coastal region culture, it was filled with a kind of mysticism from the ancient times. He argued that the important historical events, including the uprising of Huang-jin (黃巾) people’s anti-government movement and the great sea people’s rebellion at Dong–jin(東晋) dynasty, occurred in the cultural background of coastal region. But he missed some important points, especially the economic feature of coastal region. It is natural that common people who lived at the surroundings of sea, strongly influenced by their natural environment. Such dependency made the coastal people find out various ways for living. Farming, fishery, salt making, trading, iron manufacture, transportation business and so on. However on the contrary, the emperor’s bureaucrat state had their own model – every subjects should be served for state as a farmer-warrior. So the state’s rule on the coastal region getting stronger, the resistance of coastal people also getting bigger, the people of pirate were big member of such anti-state movement. And their leaders of pirates were used to be recruited from coastal region’s local elites. 이 글은 후한 말 삼국시기 바다에 의지하면서 살아가는 인간 집단의 하나인 海賊에 대하여 검토한 것이다. 특히 「삼국지」의 관련 기사들을 정리하고 그 역사적 의미를 헤아려 보았다. 후한 말 이후 중국에서는 해양사의 비중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때부터 바다를 배경으로 살아가는 사람들에 관한 기록이 史書에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海賊은 그러한 집단 가운데 하나이다. 바다를 배경으로 살아가는 사람들의 역사는 일찍이 陳寅恪의 ‘濱海地域’ 연구에서 논의된 바 있다. 「삼국지」 기사를 보면 빈해 지역의 주민들은 농업과 어업, 상업, 염업 등 다양한 종류의 일을 하면서 생계를 이어갔다. 그들의 이러한 특성은 모든 백성들을 농민으로 만들어 軍糧과 戰士를 최대한 확보하려 한 국가의 의도와 모순되는 것이었다. 국가가 전쟁 대비를 위해 노력할수록 그 지배에 저항하는 海賊과 빈해의 羣賊 집단의 수도 증가하였다. 또한 海賊과 羣賊의 수령들 가운데는 濱海 지역의 豪族 출신이 많았다. 그들은 濱海의 주민들을 결집할 수 있는 구심점의 역할을 하였다. 그런 점에서 海賊은 濱海의 주민들을 위협하는 외부의 존재가 아니라 빈해 지역 내부에 기반을 가진 집단이라 할 수 있다. 濱海 주민들을 農民 戰士로 만들어 一統의 전쟁을 수행하고자 한 국가가 오히려 그들에게는 도적과 같은 존재였을 수 있다.

      • KCI등재

        Chronological Role of the Soil Research in Korea - Analysis of Research Reports on Soil from 1906 to 2012 -

        윤순강,권순익,홍승창,김민경,채미진,박찬원,정구복 한국토양비료학회 2013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6 No.5

        Research reports on soil during the years from 1906 to 2012 have been analyzed to understand the role and pattern of soil research in agriculture. The number of research reports in relation with the key word of soils were 2,211 cases and classified in accordance with the criteria of research area, research subject, and research place of report papers. During the 40 years from 1906 to 1946, research work on soil chemistry was reached 62%, highest in the research area. In the case of research subject, research reports on soil fertility and soil nutrients was highest as 42.2%, and the next subject on soil salt and desalinization was about 19.5%. Research places were in the order of paddy as 34.1%, upland as 23.7%, and reclaimed soil as 22.5%. From 1953 to 2012during 60 years, in the research area report papers were mainly concentrated on chemistry area as 32% and the next was physics as 26%, and environment as 12%. In the case of research subject during the same period,nutrient management report was reached 21.1%, and soil improvement on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for optimum crop growth was 11.9%. Soil survey and data base establishment report was 8.6%. Research place were in the order of upland as 34.9%, paddy as 25.7%, and vinyl house as 12.5%, which showed reversed pattern compared to that of before 40 years.

      • KCI등재

        Chronological Role of the Soil Research in Korea - Analysis of Research Reports on Soil from 1906 to 2012 -

        Yun, Sun-Gang,Kwon, Soon-Ik,Hong, Seung-Chang,Kim, Min-Kyeong,Chae, Mi-Jin,Park, Chan-Won,Jung, Goo-Bok 한국토양비료학회 2013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6 No.5

        Research reports on soil during the years from 1906 to 2012 have been analyzed to understand the role and pattern of soil research in agriculture. The number of research reports in relation with the key word of soils were 2,211 cases and classified in accordance with the criteria of research area, research subject, and research place of report papers. During the 40 years from 1906 to 1946, research work on soil chemistry was reached 62%, highest in the research area. In the case of research subject, research reports on soil fertility and soil nutrients was highest as 42.2%, and the next subject on soil salt and desalinization was about 19.5%. Research places were in the order of paddy as 34.1%, upland as 23.7%, and reclaimed soil as 22.5%. From 1953 to 2012 during 60 years, in the research area report papers were mainly concentrated on chemistry area as 32% and the next was physics as 26%, and environment as 12%. In the case of research subject during the same period, nutrient management report was reached 21.1%, and soil improvement on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for optimum crop growth was 11.9%. Soil survey and data base establishment report was 8.6%. Research place were in the order of upland as 34.9%, paddy as 25.7%, and vinyl house as 12.5%, which showed reversed pattern compared to that of before 40 years.

      • KCI등재

        Chronological Role of the Soil Research in Korea

        Sun-Gang Yun,Soon-Ik Kwon,Seung-Chang Hong,Min-Kyeong Kim,Mi-Jin Chae,Chan-Won Park,Goo-Bok Jung 한국토양비료학회 2013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6 No.5

        Research reports on soil during the years from 1906 to 2012 have been analyzed to understand the role and pattern of soil research in agriculture. The number of research reports in relation with the key word of soils were 2,211 cases and classified in accordance with the criteria of research area, research subject, and research place of report papers. During the 40 years from 1906 to 1946, research work on soil chemistry was reached 62%, highest in the research area. In the case of research subject, research reports on soil fertility and soil nutrients was highest as 42.2%, and the next subject on soil salt and desalinization was about 19.5%. Research places were in the order of paddy as 34.1%, upland as 23.7%, and reclaimed soil as 22.5%. From 1953 to 2012 during 60 years, in the research area report papers were mainly concentrated on chemistry area as 32% and the next was physics as 26%, and environment as 12%. In the case of research subject during the same period, nutrient management report was reached 21.1%, and soil improvement on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for optimum crop growth was 11.9%. Soil survey and data base establishment report was 8.6%. Research place were in the order of upland as 34.9%, paddy as 25.7%, and vinyl house as 12.5%, which showed reversed pattern compared to that of before 40 yea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